KR20210054139A - 발전용 박막열전소자 - Google Patents

발전용 박막열전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139A
KR20210054139A KR1020190139884A KR20190139884A KR20210054139A KR 20210054139 A KR20210054139 A KR 20210054139A KR 1020190139884 A KR1020190139884 A KR 1020190139884A KR 20190139884 A KR20190139884 A KR 20190139884A KR 20210054139 A KR20210054139 A KR 20210054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metal
low
temperature
power generation
metal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3621B1 (ko
Inventor
여종빈
Original Assignee
여종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종빈 filed Critical 여종빈
Priority to KR1020190139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62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3988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36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1Structural details of the junction
    • H01L35/04
    • H01L35/14
    • H01L35/3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1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inorganic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용 박막열전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열원에 의한 발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발전용 열전소자에 있어서, 열전소자를 PGEC(Phonon-Glass Electron-Crystal)화 할 수 있게 고온의 열원과 접하며 박막화된 고온금속부와 저온의 열원과 접하며 박막화된 저온금속부, 상기 고온금속부에 접속되어 음극전원단자 및 상기 저원금속부와 접속되는 양극전원단자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온금속부에서 저온금속부의 열전도가 최소화되고 고온금속부와 저온금속부 사이의 내부저항이 최소되어 발전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발전용 박막열전소자{Phonon-Glass Electron-Crystal for power generation}
본 발명은 발전용 박막열전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용 열조소자에 있어서, 저온에서 고온으로의 열전도율 낮고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게 열전소자를 박막화하여서 열원에 의한 발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용 열전소자는 태양열 ·방사성 동위원소 ·원자로 등을 열원으로 발전하는 소자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발전용 열전소자는 소형 ·경량 제작이 가능하고 움직이는 부분이 없으며 진동 등이 없어 발전으로 인한 주변기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열전소자의 재료는 저온금속부용으로 Bi-Te계, 중온금속부용으로 Pb-Te계, Ge-Te계 및 Si-Ge계, 고온금속부용으로 천이금속 규화물계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발전용 열전소자는 같은 종류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판을 마주 보게 하여 한쪽은 고온과 접하게 하고 다른 한쪽은 저온으로 유지하여서 전자군의 평형압력차이로 인해 전자가 고온금속(음극)에서 저온금속(양극) 쪽으로 흐르게 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발전용 열전소자는 열전자발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열전자방사체가 전기의 양도체인 동시에 열전도율이 낮은 물질이어야 하며,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의 접속부면에서 생기는 내부저항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내부저항증가를 억제하기 위하여 고온부와 저온부의 접촉면에 세슘 증기를 주입, 세슘플라스마에 의해 전기의 전도성을 높임과 동시에 전자의 공간밀도를제하여 해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발전용 열전소자는 고온부에서 저온부로의 열전도율이 낮게 설계하면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의 내부저항이 증가하여 발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10-2011-0077492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발전용 열전소자는 고온부에서 저온부로의 열전도율이 낮게 설계하면 고온부와 저온부 사이의 내부저항이 증가하여 발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발전용 열전소자에 있어서, 열전소자를 PGEC(Phonon-Glass Electron-Crystal)화 할 수 있게 고온의 열원과 접하며 박막화된 고온금속부와 저온의 열원과 접하며 박막화된 저온금속부, 상기 고온금속부에 접속되어 음극전원단자 및 상기 저원금속부와 접속되는 양극전원단자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온금속부와 저온금속부의 사이에 금재질의 선재로 이루어진 전기전도브릿지를 등 간격으로 구비하고, 상기 전기전도브릿지 사이에 구비되는 열전도차단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전도브릿지는 관체로 형성하고 내부에 냉각기체가 순화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온금속부와 저온금속부의 외면에 면상전도율이 우수한 동재질의 열전도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온의 열원과 접하며 박막화된 고온금속부와 저온의 열원과 접하며 박막화된 저온금속부, 상기 고온금속부에 접속되어 음극전원단자 및 상기 저원금속부와 접속되는 양극전원단자로 구성함으로써, 고온금속부에서 저온금속부의 열전도가 최소화되고 고온금속부와 저온금속부 사이의 내부저항이 최소되어 발전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측 단면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 다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고온금속부에서 저온금속부의 열전도가 최소화되고 고온금속부와 저온금속부 사이의 내부저항이 최소되어 발전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발전용 열전소자에 있어서, 열전소자를 PGEC(Phonon-Glass Electron-Crystal)화 할 수 있게 고온금속부(1)와 저온금속부(2), 음극전원단자(3) 및 양극전원단자(4)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온금속부(1)는 열전소자를 PGEC(Phonon-Glass Electron-Crystal)화 할 수 있게 고온의 열원과 접하며 박막화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고온금속부(1)의 일측에는 음금전원단자 접속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저온금속부(2)는 열전소자를 PGEC(Phonon-Glass Electron-Crystal)화 할 수 있게 저온의 열원과 접하며 박막화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저온금속부(2)의 일측에는 양극전원단자(4)가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극전원단자(3)는 전자군의 평형압력차이로 인해 전자가 저온금속부(2)로 이동하여 발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고온금속부(1)에 접속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양극전원단자(4)는 전자군의 평형압력차이로 인해 고온금속부(1)에서 전자가 이동해 오는 저온금속부(2)에 접속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고온금속부(1)와 저온금속부(2)의 사이에 금재질의 선재로 이루어진 전기전도브릿지(5a)를 등 간격으로 구비하고, 상기 전기전도브릿지(5a) 사이에 구비되는 열전도차단층(5b)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기전도브릿지(5a)는 관체로 형성하고 내부에 냉각기체가 순화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온금속부(1)와 저온금속부(2)의 외면에 면상전도율이 우수한 동재질의 열전도층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전용 열전소자에 있어서, 열전소자를 PGEC(Phonon-Glass Electron-Crystal)화 할 수 있게 고온의 열원과 접하며 박막화된 고온금속부(1)와 저온의 열원과 접하며 박막화된 저온금속부(2), 상기 고온금속부(1)에 접속되어 음극전원단자(3) 및 상기 저원금속부와 접속되는 양극전원단자(4)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고온금속부(1)에서 저온금속부(2)의 열전도가 최소화되고 고온금속부(1)와 저온금속부(2) 사이의 내부저항이 최소되어 발전효율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고온금속부(1)와 저온금속부(2)의 사이에 금재질의 선재로 이루어진 전기전도브릿지(5a)를 등 간격으로 구비하고, 상기 전기전도브릿지(5a) 사이에 구비되는 열전도차단층(5b)을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열전소자의 성능을 나타내는 성능지수가 제벡계수가 동일할 때 전기전도도가 높을수록, 열전도도가 낮을수록 성능지수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발전효율이 향상되는 것입니다.
ZT = α² σ T / k
Z : 성능지수(figure-of-merit)
T : 온도(Temperature)
α : Seebeck Coefficient. ΔV/ΔT
σ : Electric Conductivity
k : Thermal Conductivit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브릿지(5a)는 관체로 형성하고 내부에 냉각기체가 순화되게 실시하게 되면, 전기전도브릿지(5a)를 통한 고온금속부(1)에서 저온금속부(2)로의 열전도가 최소화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고온금속부(1)와 저온금속부(2)의 외면에 면상전도율이 우수한 동재질의 열전도층을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고온금속부(1)에서의 면상 고온열원 흡열과 저온금속부(2)에서의 면상 열원방출에 의하여 전자군의 평형압력차가 극대화되어 발전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1 : 고온금속부
2 : 저온금속부
3 : 음극전원단자
4 : 양극전원단자
5a: 전기전도브릿지
5b: 열전도차단층

Claims (4)

  1. 발전용 열전소자에 있어서;
    열전소자를 PGEC(Phonon-Glass Electron-Crystal)화 할 수 있게 고온의 열원과 접하며 박막화된 고온금속부와 저온의 열원과 접하며 박막화된 저온금속부, 상기 고온금속부에 접속되어 음극전원단자 및 상기 저원금속부와 접속되는 양극전원단자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용 박막열전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온금속부와 저온금속부의 사이에 금재질의 선재로 이루어진 전기전도브릿지를 등 간격으로 구비하고, 상기 전기전도브릿지 사이에 구비되는 열전도차단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용 박막열전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브릿지는 관체로 형성하고 내부에 냉각기체가 순화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용 박막열전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금속부와 저온금속부의 외면에 면상전도율이 우수한 동재질의 열전도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용 박막열전소자.
KR1020190139884A 2019-11-05 발전용 박막열전소자 KR102673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884A KR102673621B1 (ko) 2019-11-05 발전용 박막열전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884A KR102673621B1 (ko) 2019-11-05 발전용 박막열전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139A true KR20210054139A (ko) 2021-05-13
KR102673621B1 KR102673621B1 (ko) 2024-06-07

Family

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492A (ko) 2009-12-30 2011-07-07 한국전기연구원 발전용 열전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492A (ko) 2009-12-30 2011-07-07 한국전기연구원 발전용 열전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73032A (en) Means for close placement of electrode plates in a thermionic converter
JP4896336B2 (ja) エネルギー変換のための熱ダイオード
US20100258155A1 (en) Thermoelectric element
KR20130033865A (ko) 열전모듈 및 열전모듈 제조방법
JP2003258323A (ja) 熱電素子
JP2008294129A (ja) 熱電子発電素子、及び当該熱電子発電素子を備えた熱電子発電装置
US3189765A (en) Combined thermionic-thermoelectric converter
KR20210069432A (ko) 발전장치
KR20210054139A (ko) 발전용 박막열전소자
KR102673621B1 (ko) 발전용 박막열전소자
CN218450993U (zh) 一种能量回收装置及电子设备
WO2017138290A1 (ja) 熱電子発電素子
JP2996305B2 (ja) 高熱抵抗型熱電発電装置
RU2740589C1 (ru)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модуль.
US10897001B2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KR20160005588A (ko) 온도센서
KR101046130B1 (ko) 열전소자
US20200203592A1 (en) Electric power generation from a thin-film based thermoelectric module placed between each hot plate and cold plate of a number of hot plates and cold plates
JPH0485973A (ja) 熱電発電装置
WO1982000922A1 (en) Voltage generating device utilizing thermovoltaic cells and method of making
TWI744717B (zh) 熱電溫差發電裝置及其製造方法
RU2376681C1 (ru)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элемент
JP2013247123A (ja) 熱電変換装置
CN217640684U (zh) 一种热离子-温差梯级发电同位素电池
KR20130039139A (ko) 열전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