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662A -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662A
KR20210053662A KR1020190139558A KR20190139558A KR20210053662A KR 20210053662 A KR20210053662 A KR 20210053662A KR 1020190139558 A KR1020190139558 A KR 1020190139558A KR 20190139558 A KR20190139558 A KR 20190139558A KR 20210053662 A KR20210053662 A KR 20210053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alignment
polarizing plate
polarizatio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3006B1 (ko
Inventor
김성호
김상묵
이만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머론
Priority to KR1020190139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0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향 유도홈부를 이용하여 액정 및 편광 유도 입자의 배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선형의 배향 유도홈부들이 형성되는 배향 유도판;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향 유도홈부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누워져서 배향되도록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액정; 및 상기 액정과 함께 혼합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향 유도홈부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누워져서 상기 액정과 함께 배향되도록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편광 유도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제조 방법{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향 유도홈부를 이용하여 액정 및 편광 유도 입자의 배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자계산기, 전자시계, 자동차 네비게이션, 사무자동화기기, 휴대전화, 노트북 컴퓨터 및 정보통신 단말기 등의 표시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 중 액정 표시 장치는 내부에 투명전극과 배향막을 형성하여 서로 대향되게 배치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 및 상기 상부패널과 하부패널 사이에 주입된 액정을 포함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는 선편광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광흡수형 편광막을 구비한 편광판이 패널의 상하에 배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 편광판에 요구되는 특성은 광투과율, 편광도, 및 색상과 같은 우수한 광학특성과, 박형화 및 경량화, 그리고 편광판에 사용되는 광흡수 물질의 광학적 성질이 사용기간에 따라 변화되지 않는 성질, 즉 광학적 내구성을 포함한다.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PVA) 연신 편광 필름의 경우 우수한 광학특성의 구현이 가능하나, 박형화 및 경량화 등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PVA 대신 액정을 사용하여 이를 한 방향으로 배향시키고, 액정의 배향된 방향으로 이색성을 가지는 염료를 배향시켜 사용하는 액정 및 염료 편광 필름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미국특허출원 제1999-171299호 및 제1997-836635호 등은 용매변성 액정(Lyotropic Liquid Crystal)과 염료 등을 기재 필름 위에 코팅하여 액정 및 염료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특허출원 제2006-7008569호는 열변성 액정(Thermotropic Liquid crystal)과 염료 등을 기판 위에 코팅하여 액정 및 염료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편광판 제조 기술은, 단순히 평탄한 형상의 필름 상에 액정과 염료의 혼합물을 도포하고 별도의 외부 러빙(rubbing)판 등을 이용하여 배향시키는 것으로서, 액정의 배향성 즉, 액정 입자 각각의 방향성들이 일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질서도가 크게 떨어져서 편광판의 성능을 결정하는 편광도가 매우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균일한 배양성을 갖는 배양막을 형성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액정 및 편광 유도 입자의 혼합물의 일부가 먼저 편광 유도판의 편광 유도홈부를 따라 방향성을 가지고 삽입되게 하고, 이들의 배향 규제력과 표면 고정력 등의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나머지 액정과 편광 유도 입자의 배향성 및 균일도를 향상시켜서 편광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배향막을 쉽게 형성할 수 있게 하여 편광판의 제작 비용과 제작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하는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편광판은,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선형의 배향 유도홈부들이 형성되는 배향 유도판;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향 유도홈부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누워져서 배향되도록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액정; 및 상기 액정과 함께 혼합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향 유도홈부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누워져서 상기 액정과 함께 배향되도록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편광 유도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향 유도홈부는, 상기 배향 유도판의 표면에 제 1 피치의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로 상기 액정 및 상기 편광 유도 입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액정의 제 2 두께(단축의 길이) 보다 크고, 상기 편광 유도 입자의 제 3 두께 보다 큰 제 1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은, 상기 배향 유도홈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누워져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폭 보다 긴 제 2 길이(장축의 길이)를 갖는 네마틱 액정(nematic liquid)이고, 상기 편광 유도 입자는, 상기 액정과 함께 상기 배향 유도홈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누워져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폭 보다 긴 제 3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액정 및 상기 편광 유도 입자는, 장축과 단축의 비가 1:1.5 이상이고, 상기 제 2 길이 또는 상기 제 3 길이가 10 nm 내지 50 nm이며, 상기 제 2 두께 또는 상기 제 3 두께는, 0.5 nm 내지 1 n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피치에서 상기 제 1 폭을 뺀 나머지 제 1 돌출 거리가 상기 제 1 폭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편광 유도 입자는, 적어도 10 퍼센트 이상의 반사율을 가질 수 있도록 적어도 실버 나노 와이어, 알루미늄 나노 와이어, 티타늄 나노 와이어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사성 나노 입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편광 유도 입자는, 적어도 염료(dye), 탄소 나노 튜브(CNT)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광성 나노 입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상기 액정의 배향성을 이용하여 상기 편광 유도 입자가 상기 배향 유도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향될 수 있도록 상기 배향 유도판의 상면에 도포되는 배향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a) 배향 유도판의 표면에 복수개의 선형의 배향 유도홈부들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배향 유도판의 상면에 배향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향 유도홈부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누워져서 방향성을 갖게 배향되도록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액정 및 편광 유도 입자가 서로 혼합한 혼합물을 상기 배향 유도판에서 배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에서, 적어도 레이저 빔, E빔, 식각, 인프린팅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배향 유도판에 상기 배향 유도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적어도 광배향 또는 러빙 방식을 이용하여 배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따르면, 막대 형상인 네마틱 액정(nematic liquid) 및 반사성 나노 입자나 흡광성 나노 입자 등의 편광 유도 입자의 혼합물의 일부가 먼저, 편광 유도판의 편광 유도홈부를 따라 방향성을 가지고 삽입되게 하고, 이들의 배향 규제력과 표면 고정력 등의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나머지 액정과 편광 유도 입자의 배향성 및 균일도를 향상시켜서 편광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별도의 러빙판이 없이도 배향막을 쉽게 형성할 수 있게 하여 편광판의 제작 비용과 제작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편광판의 II-II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광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편광판의 액정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편광판의 패턴 골의 간격과 액정 장축비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판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판(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편광판(100)의 II-II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광판(10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판(100)은, 크게 배향 유도판(10)과, 액정(20)과, 편광 유도 입자(30) 및 배향제(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향 유도판(10)은, 상기 액정(20) 및 상기 편광 유도 입자(30)의 혼합물이 도포될 수 있는 일종의 베이스 기판이나 베이스 필름으로서, 그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선형의 배향 유도홈부(H)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향 유도홈부(H)는, 상기 배향 유도판(10)의 표면에 적어도 레이저 빔, E빔, 식각, 인프린팅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배향 유도판(10)은 상기 배향 유도홈부(H)의 형상을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액정(20) 및 상기 편광 유도 입자(30)의 상기 혼합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 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1종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eleneterephthalate),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 naphthalate)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향 유도판(10)은 수 nm 내지 수백 n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20)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향 유도홈부(H)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누워져서 배향되도록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20)과 함께 혼합되는 골고루 분산될 수 있는 상기 편광 유도 입자(30)는, 상기 액정(20)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것으로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향 유도홈부(H)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누워져서 상기 액정(20)과 함께 배향되도록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상기 배향 유도홈부(H)는, 상기 배향 유도판(10)의 표면, 즉 상면에 제 1 피치(P)의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반복적인 실험 결과, 상기 제 1 피치(P)에서 상기 제 1 폭(a)을 뺀 나머지 제 1 돌출 거리(b)가 상기 제 1 폭(a) 보다 큰 경우에 상기 배향제(40)의 도포가 원활하여 배향성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즉, 상기 제 1 돌출 거리(b)가 상기 제 1 폭(a)에 비해 너무 짧은 경우에는 상기 배향제(40)가 충분히 도포되지 못하고 상기 배향 유도홈부(H)에만 도포되어 배향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고, 상기 배향 유도홈부(H)는, 그 내부로 상기 액정(20) 및 상기 편광 유도 입자(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액정(20)의 제 2 두께(T2)(단축의 길이) 보다 크고, 상기 편광 유도 입자의 제 3 두께(T3) 보다 큰 제 1 폭(a)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편광판(100)의 액정(20)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정(20)은, 상기 배향 유도홈부(H)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누워져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폭(a) 보다 긴 제 2 길이(L2)(장축의 길이)를 갖는 네마틱 액정(nematic liquid)이고, 상기 편광 유도 입자(30)는, 상기 액정(20)과 함께 상기 배향 유도홈부(H)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누워져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폭(a) 보다 긴 제 3 길이(L3)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정(20) 또는 상기 편광 유도 입자(30)의 길이(L2)(L3)가 상기 배향 유도홈부(H)의 상기 제 1 폭(a) 보다는 커서 폭 방향으로 누워지게 삽입될 수 있고, 그 대신 그 두께(T2)(T3)는 상기 제 1 폭(a) 보다 작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는 누워지게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최초 아랫방향에 도포되는 상기 액정(20) 또는 상기 편광 유도 입자(30)의 방향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방향성을 갖게 되고, 이를 통해서, 이들의 배향 규제력과 표면 고정력 등의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나머지 상기 액정(20)과 상기 편광 유도 입자(30) 역시 동일한 방향성으로 배향될 수 있다.
그러므로, 편광판의 배향성 및 균일도를 향상시켜서 편광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배향막을 쉽게 형성할 수 있게 하여 편광판의 제작 비용과 제작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정(20)은, 상기 네마틱 액정(nematic liquid) 이외에도, 필름화가 가능한 반응성 메조겐(Reactive Mesogen, RM) 재질이나 discotic 액정, smetic 액정 등 광학적 이방성을 갖는 것으로 3종 이상의 이색성 염료와 조합하여 40 이상의 이색성비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임의의 액정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네마틱 엑정이란 분자가 길다란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지만 층 모양으로 되지 않고 서로의 위치가 불규칙하게 되어 있는 액정으로서, 전계를 가하면 투명한 상태에서 불투명한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스메틱 액정이란 액정분자들이 층층이 정렬된 액정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메틱 액정에서 액정분자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막대모양의 액정분자가 층 모양의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층의 면에서는 분자의 위치에 규칙성이 없지만 면에 직각인 방향에는 분자 위치에 규칙성을 유지하며, 분자축은 전체로서 한 방향을 향한 질서를 갖는 등 다양한 형태의 액정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상기 편광 유도 입자(30)는, 적어도 10 퍼센트 이상의 반사율을 가질 수 있도록 적어도 실버 나노 와이어, 알루미늄 나노 와이어, 티타늄 나노 와이어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사성 나노 입자이거나, 또는 상기 편광 유도 입자(30)는, 적어도 이색성 염료(dichroic dye), 탄소 나노 튜브(CNT)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광성 나노 입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색성 염료는 결정된 파장 영역에 대하여, 두개의 편광직교 성분들 중 하나의 광을 흡수하고 다른 하나의 편광 직교 성분을 투과시키는 염료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이색성 염료는 광을 선형으로 편광시키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예컨대, 상기 액정에 대한 이색성 염료의 용해도는 이방성 액정상에서 등방성 액정상으로의 액정의 전이온도보다 10℃ 높은 온도에서 15% 이상일 수 있다.
액정 물질은 최초의 고체상태에서 가열하게 되면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상(Nematic 또는 Smectic)을 구현하다가 더 가열하면 액체상태(Isotropic Phase)로 바뀔 수 있다. 즉, 상기 액정의 전이온도란 액정이 이방성 액정상에서 완전한 등방성 액체상으로 바뀌는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등방성 액체 상태에서 액정 물질에 대한 염료의 용해도는 1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용해도가 15% 이상인 영역에서는 그 값이 높을수록 더욱 바람직한데, 이는 염료의 용해도가 높아야만 액정내에서 염료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후 상기 액정을 냉각할 경우, 등방성 액체는 다시 이방성 액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액정이 이방성 액정상이 되면서 용해되었던 염료가 액정방향으로 배향되면서 석출되게 된다. 이때 염료는 액정에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에서 응집없이 석출될 수 있다.
상기 용해도가 15% 미만이면 상기 이색성 염료의 배향 방향이 상기 액정의 배향 방향과 일치하지 않아 그 편차가 커져서 완성된 이색성비가 작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이색성 염료를 사용한 편광 필름은 자외선 조사 이 후의 색상 변화가 적은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색성 염료의 함량은 상기 액정 100 중량부 대비 6 내지 15 중량부이다. 상기 함량이 6 중량부 미만이면 광흡수율이 낮아져서 편광도가 지나치게 낮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1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이색성 염료가 액정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서 이색성비 또는 광투과율이 지나치게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색성 염료는 최대 흡수파장이 300 내지 500 ㎚인 제 1 염료, 최대 흡수파장이 500 내지 600 ㎚인 제 2 염료, 최대 흡수파장이 600 내지 700 ㎚인 제 3 염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최대 흡수파장의 범위가 서로 다른 3종 이상의 이색성 염료를 사용함으로써 400 내지 700 ㎚의 가시광 영역 전부에 걸쳐 광을 선형으로 편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색성 염료는 액정 100 중량부 대비 2 내지 5 중량부의 제 1 염료, 2 내지 5 중량부의 제 2 염료, 및 2 내지 5 중량부의 제 3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이러한 이색성 염료로는 안트라퀴논(anthraquinone)계, 프탈로시아닌(phthalocyanine)계, 프로피린아조 염료, 비아조 염료, 및 트리아조 염료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색성 아조(azo) 염료가 적합하다. 적합한 이색성 아조염료의 예는 미국등록특허 제 6,133,973호에 개시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색성 염료는 요오드계, 안트라퀴논계, 및 아조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종,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종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정(20)의 배향성을 이용하여 균일하게 배향된 상기 편광 유도 입자(30)를 통해서 한쪽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편광파만 통과되고, 나머지 편광 외 광파는 흡수되거나 반사되어 소멸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편광판(100)의 패턴 골의 간격(피치, P)과 액정 장축비(a/x, x=L2)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복된 실험을 통해서 상기 액정(20) 및 상기 편광 유도 입자(30)는, 장축(길이)과 단축(두께)의 비가 1:1.5 이상이고, 상기 제 2 길이(L2) 또는 상기 제 3 길이(L3)가 10 nm 내지 50 nm이며, 상기 제 2 두께(T2) 또는 상기 제 3 두께(T3)는, 0.5 nm 내지 1 nm일 경우, 배향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 결과, 패턴 크기(P)가 300 nm에서는 안정적으로 배향되었으나, 1000 nm 이상에서는 배향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예컨대, 상기 배향제(40)는, 상기 액정(20)의 배향성을 이용하여 상기 편광 유도 입자(30)가 상기 배향 유도홈부(H)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향될 수 있도록 상기 배향 유도판(10)의 상면에 도포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배향제(40)는 일반적으로 폴리이미드나 폴리아미드 등의 수지에 경화제를 첨가한 조성물을 용매에 녹여 상기 배향 유도판(10) 상에 도포한 후, 건조 및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도포법은 주로 나이프, 콤마, 다이, 그라비아, 닙 등의 코팅헤드를 이용하는 코팅방식에 의한다. 이러한 상기 배향제(40)는 0.5 내지 20 ㎛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향제(40)를 이용하여 상기 액정(20)과 상기 편광 유도 입자(30)의 혼합물을 적어도 광배향 또는 러빙 방식을 이용하여 배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혼합물을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러빙판 또는 러빙포을 이용한 상기 러빙(rubbing) 처리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러빙 처리에 의한 배향방법은 상기 배향 유도판(10)에 상기 배향제(40)를 도포한 후, 이를 별도의 러빙포를 이용하여 러빙함으로써 추가로 배향막 표면을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향제(40)에 포함된 상기 액정(20)이 상기 배향 유도홈부(H)d에 일부가 삽입되고, 나머지 상기 액정(20)들이 상호작용하여 상기 액정(20)에 배향 규제력 또는 표면고정력(즉, 프리틸트각과 배향방향)을 제공하고, 이로 인해 상기 배향제(40)의 전표면에 걸쳐서 상기 표면에 인접한 상기 액정(20)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상기 액정(20)들이 일방향으로 배향됨으로써, 상기 액정(20) 사이에 분산되어 있는 상기 편광 유도 입자(30)도 상기 액정(20)과 같은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제품의 편광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별도의 러빙판을 추가로 사용하면 편광도를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러빙판이 없이도 배향막을 쉽게 형성하여 편광판의 제작 비용과 제작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된 본 발명의 상기 편광판(100)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판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판 제조 방법은, (a) 배향 유도판(10)의 표면에 복수개의 선형의 배향 유도홈부(H)들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배향 유도판(10)의 상면에 배향제(40)를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향 유도홈부(H)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누워져서 방향성을 갖게 배향되도록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액정(20) 및 편광 유도 입자(30)가 서로 혼합한 혼합물을 상기 배향 유도판(10)에서 배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a) 단계에서, 적어도 레이저 빔, E빔, 식각, 인프린팅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배향 유도판(10)에 상기 배향 유도홈부(H)를 형성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적어도 광배향 또는 러빙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배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배향 유도판
20: 액정
30: 편광 유도 입자
40: 배향제
H: 배향 유도홈부
P: 제 1 피치
a: 제 1 폭
b: 제 1 돌출 거리
T2: 제 2 두께
T3: 제 3 두께
L2: 제 2 길이
L3: 제 3 길이
100: 편광판
1000: 액정 표시 장치

Claims (11)

  1.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선형의 배향 유도홈부들이 형성되는 배향 유도판;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향 유도홈부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누워져서 배향되도록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액정; 및
    상기 액정과 함께 혼합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배향 유도홈부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누워져서 상기 액정과 함께 배향되도록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편광 유도 입자;
    를 포함하는, 편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유도홈부는, 상기 배향 유도판의 표면에 제 1 피치의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로 상기 액정 및 상기 편광 유도 입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액정의 제 2 두께(단축의 길이) 보다 크고, 상기 편광 유도 입자의 제 3 두께 보다 큰 제 1 폭을 갖는, 편광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은, 상기 배향 유도홈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누워져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폭 보다 긴 제 2 길이(장축의 길이)를 갖는 네마틱 액정(nematic liquid)이고,
    상기 편광 유도 입자는, 상기 액정과 함께 상기 배향 유도홈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누워져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폭 보다 긴 제 3 길이를 갖는, 편광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및 상기 편광 유도 입자는, 장축과 단축의 비가 1:1.5 이상이고, 상기 제 2 길이 또는 상기 제 3 길이가 10 nm 내지 50 nm이며, 상기 제 2 두께 또는 상기 제 3 두께는, 0.5 nm 내지 1 nm인, 편광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피치에서 상기 제 1 폭을 뺀 나머지 제 1 돌출 거리가 상기 제 1 폭 보다 큰, 편광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유도 입자는, 적어도 10 퍼센트 이상의 반사율을 가질 수 있도록 적어도 실버 나노 와이어, 알루미늄 나노 와이어, 티타늄 나노 와이어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사성 나노 입자인, 편광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유도 입자는, 적어도 염료(dye), 탄소 나노 튜브(CNT)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광성 나노 입자인, 편광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의 배향성을 이용하여 상기 편광 유도 입자가 상기 배향 유도홈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향될 수 있도록 상기 배향 유도판의 상면에 도포되는 배향제;
    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a) 배향 유도판의 표면에 복수개의 선형의 배향 유도홈부들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배향 유도판의 상면에 배향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c) 상기 배향 유도홈부의 내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누워져서 방향성을 갖게 배향되도록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액정 및 편광 유도 입자가 서로 혼합한 혼합물을 상기 배향 유도판에서 배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적어도 레이저 빔, E빔, 식각, 인프린팅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배향 유도판에 상기 배향 유도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적어도 광배향 또는 러빙 방식을 이용하여 배향하는, 편광판 제조 방법.
KR1020190139558A 2019-11-04 2019-11-04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제조 방법 KR102273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558A KR102273006B1 (ko) 2019-11-04 2019-11-04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558A KR102273006B1 (ko) 2019-11-04 2019-11-04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662A true KR20210053662A (ko) 2021-05-12
KR102273006B1 KR102273006B1 (ko) 2021-07-05

Family

ID=75919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558A KR102273006B1 (ko) 2019-11-04 2019-11-04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00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0768A (ja) * 2003-05-26 2005-01-13 Dainippon Printing Co Ltd 偏光板、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06058517A (ja) * 2004-08-19 2006-03-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補償偏光板
KR20130069523A (ko) * 2011-12-15 2013-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형 편광판
KR20180131717A (ko) * 2017-05-31 2018-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35503A (ko) * 2017-06-12 2018-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염료 화합물, 이를 이용한 편광 소자 및 염료 화합물을 이용한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0768A (ja) * 2003-05-26 2005-01-13 Dainippon Printing Co Ltd 偏光板、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06058517A (ja) * 2004-08-19 2006-03-02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補償偏光板
KR20130069523A (ko) * 2011-12-15 2013-06-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반사형 편광판
KR20180131717A (ko) * 2017-05-31 2018-1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35503A (ko) * 2017-06-12 2018-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염료 화합물, 이를 이용한 편광 소자 및 염료 화합물을 이용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006B1 (ko) 202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6323B2 (ja) 円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積層体
US9366793B2 (en) Circularly polarizing plate, retardation plate for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pparatus
JP6366277B2 (ja) 調光装置、調光窓、及び調光装置用の光学積層体
TWI658309B (zh) 透射率可變薄膜
KR102174676B1 (ko)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EP373662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950503B1 (ko) 이색성비가 향상된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TWI627481B (zh) 透光率可變的薄膜、其製造方法及使用
JP2021534454A (ja) 透過度可変デバイス
JP6987411B2 (ja) 積層体およ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KR101999950B1 (ko) 액정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183677B1 (ko) 광학 디바이스 및 이의 용도
JP2022503554A (ja) 透過度可変デバイス
CN114514451B (zh) 光学膜、圆偏振片、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JP2004078191A (ja) 液晶ディスプレイ用光学補償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73006B1 (ko)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제조 방법
KR20220032085A (ko) 액정 조성물, 광학 필름, 유기 el 디스플레이용 원편광판, 광학 이방성층의 제조 방법
JP2021534455A (ja) 透過度可変デバイス
KR20200007455A (ko) 폴더블 편광판 및 이의 용도
CN115933037A (zh) 光学膜、圆偏振片、显示装置
KR102273007B1 (ko) 광제어판 및 광제어판 제조 방법
Pan et al. P‐155: High‐performance Coatable Polarizer by Photoalignment
KR20220027249A (ko) 광학 이방성층의 제조 방법, 적층체의 제조 방법, 편광자 부착 광학 이방성층의 제조 방법, 편광자 부착 적층체의 제조 방법, 조성물, 광학 이방성층
KR100929384B1 (ko) 이색성비가 향상된 다층 편광막 구조의 편광판 및 이를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79136B1 (ko) 투과율 가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