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717A - 편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717A
KR20180131717A KR1020170067894A KR20170067894A KR20180131717A KR 20180131717 A KR20180131717 A KR 20180131717A KR 1020170067894 A KR1020170067894 A KR 1020170067894A KR 20170067894 A KR20170067894 A KR 20170067894A KR 20180131717 A KR20180131717 A KR 20180131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liquid crystal
material layer
layer
polariz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희
박재홍
박지윤
윤형근
장재복
탁경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7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1717A/ko
Priority to US15/710,126 priority patent/US20180348416A1/en
Publication of KR20180131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8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polarising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편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편광 소자는 광경화된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 복수 개가 표면에 형성된 배향층 및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배향층 표면 상에 배치되며, 서모트로픽(thermotropic) 액정 및 이색성(dichroic)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 물질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편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POLAR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편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광 소자는 그 투과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 성분은 투과시키고 흡수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편광 성분은 흡수하여 무편광(unpolarized) 상태의 입사광을 특정한 편광 상태를 갖는 광으로 변환하는 소자이다. 이러한 편광능을 갖는 편광 소자를 표시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표시 장치가 다양한 광학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에서 편광 소자는 액정층과 함께 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의 양을 조절하는 셔터(shutt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영상 표시를 구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편광 소자는 위상 지연층과 함께 무편광 상태의 광을 원편광 상태의 광으로 변환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외광 반사로 인한 표시 품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편광 소자의 예로서, 요오드가 흡착된 폴리비닐 알코올을 연신하여 제조되는 요오드-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을 이용한 편광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수용성 고분자인 폴리비닐 알코올은 내수성과 내열성이 좋지 않고 요오드 또한 열에 취약하여 강한 빛에 노출되거나 열이 가해질 경우 요오드가 승화됨으로써 편광 소자의 편광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연신/압력 공정 하에서 제조되는 제조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요오드-폴리비닐 알코올 편광판은 기계적 강도가 취약하고 열이나 수분에 의해 수축이 발생할 경우 휨 불량이 발생하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등 내구성이 취약하여 지속적인 편광 특성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추가적인 보호 필름을 적용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이는 요오드-폴리비닐 알코올 편광 소자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요오드-폴리비닐알코올 편광판을 대체하기 위해 액정 분자를 배향시켜 이색성 염료의 배향을 유도함으로써 편광을 구현하는 기술이 등장하였으며,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는 방식으로서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 표면에 스크래치를 형성하여 액정을 배향시키는 러빙 배향법, 광 조사를 통해 액정을 배향시키는 광 배향법 등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러빙 배향법은 물리적으로 스크래치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고분자 표면이나 염료에 결함(defect)이 발생할 수 있으며, 광 배향법은 화학적 불안정성으로 인한 배향력 편차가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한 방식으로 액정의 배향을 유도하여 안정적인 배향력을 제공할 수 있는 편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소자는 광경화된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 복수 개가 표면에 형성된 배향층 및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배향층 표면 상에 배치되며, 서모트로픽(thermotropic) 액정 및 이색성(dichroic)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 물질층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reactive mesogen)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목부 각각은 폭이 100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 각각은 깊이가 70n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오목부 간의 간격은 100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수직 단면의 형상이 서로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광경화된 고분자 물질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된 아크릴계(Acrylic)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소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 복수 개가 표면에 형성된 제1 배향층,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제1 배향층 표면 상에 배치되며, 액정 및 이색성(dichroic) 염료를 포함하는 제1 편광 물질층, 상기 제1 편광 물질층 상에 배치된 중간층, 상기 중간층 상에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 복수 개가 표면에 형성된 제2 배향층 및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제2 배향층 표면 상에 배치되며, 액정 및 이색성 염료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은 서모트로픽(thermotropic) 액정일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은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염료와 상기 제2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염료는 서로 같거나 다른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제1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염료는 옐로우(Yellow) 염료, 마젠타(Magenta) 염료 및 시안(Cyan)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염료는 상기 제1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염료 중 하나 이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염료는 제1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염료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염료는 적색 염료, 녹색 염료 및 청색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소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볼록부 복수 개가 표면에 배치된 배향층 및 상기 볼록부가 배치된 배향층 표면 상에 배치되며, 서모트로픽(thermotropic) 액정 및 이색성(dichroic) 염료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reactive mesogen)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볼록부 간의 간격은 100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볼록부 각각은 폭이 100nm 이하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편광 소자의 배향층 표면에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여 나노 가둠(nanoconfinement) 효과를 통해 액정을 안정적으로 배향함으로써, 편광 소자가 우수한 편광도 및 흡광도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편광 소자를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편광 소자의 배향층 상에 편광 물질들이 배치된 모습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10은 도 1에 도시된 편광 소자의 배향층에 대한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11 내지 13은 도 10에서 제조한 배향층을 이용하여 다수의 배향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편광 소자」는 편광 물질 등을 포함하는 용액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어 박형화가 가능한 코팅형 박막 편광 소자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이색성(dichroic)」은 일축 방향에서의 흡광도와 다른 축 방향에서의 흡광도가 상이함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소자(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편광 소자(10)를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편광 소자(10)는 베이스 기판(100), 베이스 기판(100) 상에 배치된 배향층(200), 배향층(200) 상에 배치된 편광 물질층(300) 및 편광 물질층(300) 상에 배치된 보호층(400)을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100)은 배향층(200)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배향층(200)을 포함한 편광 소자(10)의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00)은 투광성 기판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이스 기판(100)은 편광 소자(10)의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해 별도로 배치된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편광 소자(10)가 표시 장치에 적용될 경우 배향층(200) 등의 구성들은 별도의 베이스 기판(100) 없이 표시 장치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편광 소자(10)는 별도의 베이스 기판(100)을 포함하여 편광판(polarize plate) 또는 편광 필름(polarize film) 형태로 제공되거나, 표시 장치에 코팅층의 형태로 직접 배치되어 표시 패널과 일체화될 수 있다.
배향층(200)은 베이스 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배향층(200)의 표면에는 복수의 오목부(201) 및 볼록부(202)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오목부(201)와 복수의 볼록부(202)는 서로 교번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오목부(201)는 배향층(200)의 표면 일부가 수직 방향으로 함몰된 부분이고, 볼록부(202)는 오목부(201)가 형성되지 않은 표면일 수 있다. 각 오목부(201) 및 각 볼록부(202)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D1)과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다.
각 오목부(201)의 폭(L)은 100nm 이하일 수 있고, 깊이(D)는 70nm 이상일 수 있다. 복수의 오목부(201)는 서로 100nm 이하의 간격(I)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복수의 오목부(201) 간의 간격(I)은 서로 일정할 수 있다. 오목부(201)의 폭(L)은 오목부(201)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길이 또는 이웃하는 두 볼록부(202) 간의 간격(I)을 의미하며, 깊이(D)는 오목부(201)의 최하부로부터 볼록부(202)의 최상부까지의 높이를 의미한다.
각 오목부(201)의 폭(L)이 100nm 이하이면 액정(301)의 나노 가둠(nanoconfinement)을 통해 배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향층(200)에 입사된 광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각 오목부(201)의 폭(L)은 10nm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오목부(201) 간의 간격(I)이 100nm 이하이면 오목부(201)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상에 위치하는 액정(301)도 효과적으로 배향될 수 있고, 배향층(200)에 입사된 광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오목부(201) 간의 간격(I)은 10nm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오목부(201)의 수직 단면은 직사각 또는 정사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삼각형, 곡선을 포함하는 다변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오목부(201)는 수직 단면의 형상이 서로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수직 단면이란 배향층(200)을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 모두에 수직한 제3 방향(D3)으로 자른 단면을 의미한다.
배향층(200)은 광경화된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향층(200)은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이 광 조사에 의해 경화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향층(200)에는 일부 미경화된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이 잔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배향층(200)은 자외선 경화성 아크릴계(Acrylic) 고분자가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미경화된 아크릴계 고분자를 미량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향층(200)은 복수의 볼록부(202)를 갖는 몰드(mold)에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을 채워 넣고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배향층(200) 표면의 오목부(201)는 몰드의 볼록부(202)에 의해 패터닝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편광 물질층(300)은 배향층(200) 상에 배치된다. 편광 물질층(300)은 액정(301) 및 이색성(dichroic) 염료(302)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301)은 액정성을 나타내는 모든 물질을 의미하는 용어로서, 액정 단량체, 액정 단량체의 중합체, 액정성 고분자 등을 모두 포괄하는 용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정(301)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Reactive Mesogen)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성 액정 단량체의 중합체는 중합 반응이 가능한 말단기를 갖는 반응성 액정 단량체가 자외선 또는 열에 의해 서로 중합되어 형성된 물질일 수 있다. 이 경우, 편광 물질층(300)에는 일부 미중합된 반응성 액정 단량체가 잔존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액정(301)은 특정 온도 조건에서 액정상을 갖는 서모트로픽(thermotropic) 액정 또는 이의 중합체일 수 있다. 서모트로픽 액정의 예로서 네마틱(nematic) 액정, 스메틱(smetic) 액정, 콜레스테릭(cholesteric) 액정 등을 들 수 있다. 액정(301)은 구체적으로 스메틱 액정 또는 이의 중합체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메틱 B 액정 또는 이의 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액정(301)은 이방성(anisotropic) 또는 사슬형의 액정상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액정(301)은 반응성 말단기를 갖는 서모트로픽 액정 단량체의 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색성 염료(302)는 일축 방향과 평행한 편광성분은 흡수하고 이와 수직한 편광성분은 투과하는 염료이다. 이색성 염료(302)는 아조계, 안트라퀴논계 또는 요오드계 염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조계 염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색성을 갖는 다른 염료, 안료, 색소 등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색성 염료(302)는 옐로우(Yellow) 색상을 갖는 염료, 마젠타(Magenta) 색상을 갖는 염료 및 시안(Cyan) 색상을 갖는 염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색성 염료(302)는 옐로우 염료, 마젠타 염료 및 시안 염료를 모두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블랙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색성 염료(302)는 적색 염료, 녹색 염료 및 청색 염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적색 염료, 녹색 염료 및 청색 염료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블랙을 구현할 수도 있다.
액정(301)과 이색성 염료(302)는 서로 혼합된 상태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액정(301)보다 소량인 이색성 염료(302)가 액정(301) 분자들 사이의 공간에 분산된 상태일 수 있다.
액정(301)은 배향층(200)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201)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정(301) 중합체에 혼합된 이색성 염료(302) 또한 액정(301) 중합체의 배향 방향으로 배향되어 편광 물질층(300)으로 입사된 광을 편광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편광 물질층(300)의 두께는 수 ㎛ 내지 수십 ㎛ 수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편광 물질층(300)은 가교제 및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는 편광 물질층(300)의 경화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교 결합을 형성하는 물질일 수 있고, 용매는 액정(301)과 이색성 염료(302)가 용해되는 물질일 수 있다. 다만, 가교제 또는 용매는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다른 물질로 대체될 수 있다.
보호층(400)은 편광 물질층(300) 상에 배치된다. 보호층(400)은 편광 물질층(300)에 포함된 액정(301) 및 이색성 염료(302) 등을 보호 또는 밀봉하는 층일 수 있다.
보호층(400)은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호층(400)은 수용성 고분자 물질 중 하나인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편광 물질층(300)을 이루는 액정(301) 및 이색성 염료(302) 등은 대부분 지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편광 물질층(300)을 덮는 보호층(400)을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 구성함으로써 편광 물질층(300)이 손상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보호층(400) 상에는 추가적인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보호 필름) 등의 기능성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능성 필름은 베이스 기판(100)의 하부나 편광 소자(10) 내의 각 층들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편광 소자(10)의 배향층(200) 상에 편광 물질들이 배치된 모습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향층(200)의 표면에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복수의 오목부(201) 및 볼록부(202)가 제1 방향(D1)과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교번적으로 배열되고, 배향층(200) 상에는 액정(301)과 이색성 염료(302)가 배치된다.
액정(301) 분자들은 배향층(200)에 형성된 오목부(201) 내에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액정(301) 분자들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은 약 100nm 이하의 좁은 폭을 갖는 오목부(201) 내로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액정(301) 분자들은 낮은 에너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오목부(201)의 연장 방향으로 배향된다.
이에 따라, 액정(301) 사이에 위치하는 이색성 염료(302) 또한 액정(301)의 배향 방향을 따라 배향될 수 있다. 이색성 염료(302)는 일축 방향과 평행한 편광성분은 흡수하고 이와 수직한 편광성분은 투과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특정 방향으로 배향된 이색성 염료(302)는 입사되는 광도 특정 방향으로 편광시키게 된다. 이처럼 입사된 광을 편광시키는 이색성 염료(302)를 게스트(Guest) 물질이라 하고, 이색성 염료(302)를 특정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액정(301)을 호스트(Host) 물질이라 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볼록부(202) 상이나 배향층(200) 표면과 이격된 상부에도 액정(301) 및 이색성 염료(30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액정(301) 또한 오목부(201) 내에서 배향된 액정(301) 분자들과 같은 방향으로 배향됨으로써 낮은 에너지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 소자(10)는 복수의 오목부(201)를 갖도록 표면이 패턴화된 배향층(200)을 이용하여 액정(301) 분자들 및 이색성 염료(302)를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배향시킴으로써 입사된 광을 특정 방향으로 편광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소자(2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편광 소자(10)가 다단으로 적층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1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100) 상에는 제1 배향층(210), 제1 편광 물질층(310) 및 제1 보호층(41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제1 보호층(410) 상에 다시 제2 배향층(220), 제2 편광 물질층(320) 및 제2 보호층(42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각 배향층(210, 220), 편광 물질층(310, 320) 및 보호층(410, 420)은 도 1의 설명에서 상술한 배향층(200), 편광 물질층(300) 및 보호층(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즉, 제1 및 2 배향층(210, 220)도 복수의 오목부(211, 221)와 볼록부(212, 22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2 편광 물질층(310, 320)은 액정과 이색성 염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2 보호층(410, 420)은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편광 물질층(310, 320)뿐 아니라 배향층(210, 220) 또한 지용성 물질일 수 있기 때문에, 제1 편광 물질층(310)과 제2 배향층(220) 사이에 배치된 제1 보호층(410)이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 구성되면 제1 편광 물질층(310)과 제2 배향층(220)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편광 소자(20)의 제조 과정에서 상기 부재들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배향층(210)에 형성된 제1 오목부(211) 및 볼록부(212)는 제2 배향층(220)에 형성된 제2 오목부(221) 및 볼록부(222)와 동일한 패턴으로 정렬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제1 오목부(211) 및 볼록부(212)는 제2 오목부(221) 및 볼록부(222)와 완전히 중첩될 수 있다. 제1 및 2 배향층(210, 220)의 오목부(211, 221) 및 볼록부(212, 222)가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열되면 제1 편광 물질층(310)과 제2 편광 물질층(320)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광을 편광시킬 수 있다.
편광 소자가 단일층으로 구성되면 일부 또는 전체 파장에 대한 흡광도나 편광도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나, 도 4와 같이 배향층(210, 220) 및 편광 물질층(310, 320)을 포함하는 편광 소자를 다단으로 배치함으로써 흡광도 및 편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편광 물질층(310)에 포함된 이색성 염료와 제2 편광 물질층(320)에 포함된 이색성 염료는 동종의 물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염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배향층(210, 220)과 편광 물질층(310, 320)을 포함하는 편광 소자가 2단으로 적층된 경우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단 이상으로 적층되는 등 흡광도 및 편광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만큼 적층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소자(3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편광 소자(20)에서 제1 편광 물질층(330)에 포함된 이색성 염료(332)와 제2 편광 물질층(340)에 포함된 이색성 염료(342)가 서로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4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편광 물질층(330)은 제1 염료(332R), 제2 염료(332G) 및 제3 염료(332B)와 액정(331)을 포함하며, 제2 편광 물질층(340)은 제4 염료(342)와 액정(341)을 포함한다. 제1 내지 4 염료(332, 342)는 모두 이색성 염료일 수 있다.
제1 내지 3 염료(332)는 서로 다른 물질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서로 다른 색을 갖는 염료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내지 3 염료(332)는 각각 적색(Red) 염료, 녹색(Green) 염료 및 청색(Blue) 염료일 수 있다. 또는, 제1 내지 3 염료(332)는 각각 옐로우(Yellow) 염료, 마젠타(Magenta) 염료 및 시안(Cyan) 염료일 수 있다.
제4 염료(342)는 제1 내지 3 염료(332) 중 하나와 동일한 염료일 수 있다. 또한, 제4 염료(342)는 제1 내지 3 염료(332) 중 하나 이상과 동일한 염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4 염료(342)는 제1 내지 3 염료(332)와 상이한 염료일 수도 있다.
제4 염료(342)는 장파장의 가시 광선을 흡수하는 염료일 수 있다. 장파장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붉은 빛을 내는 약 560~780nm 영역대의 파장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3 염료(332)가 흡수하는 파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긴 범위의 파장을 의미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염료(342)는 시안 색상을 갖는 염료 또는 청색 염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3 염료(332)는 각각 옐로우 염료, 마젠타 염료 및 시안 염료일 수 있고, 제4 염료(342)는 시안 염료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편광 물질층이 단파장, 중파장 및 장파장의 가시 광선을 흡수하는 염료를 모두 동일한 비율로 포함하더라도 장파장대의 흡광도는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으며, 용해도의 문제 때문에 단일층 내에서 장파장을 흡수하는 염료만을 증가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으나, 도 5와 같이 상대적으로 장파장을 흡수하는 편광 물질층(340)을 추가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장파장대에 대한 흡광도를 보상할 수 있다.
도 5에는 제1 내지 3 염료(332)가 제1 편광 물질층(330)에 포함되고 제4 염료(342)가 제2 편광 물질층(340)에 포함되는 경우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4 염료(342)가 제1 편광 물질층(330)에 포함되고 제1 내지 3 염료(332)가 제2 편광 물질층(340)에 포함되도록 그 순서가 변경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소자(4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편광 소자(10)에서 배향층(250) 상에 별도의 볼록부(252)가 배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1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배향층(250)의 표면에는 복수의 볼록부(252)가 별도로 배치되며, 이웃하는 볼록부(252)들의 사이 공간에 의해 오목부(251)가 정의된다. 즉, 볼록부(202) 및 오목부(201)가 배향층(200)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어 서로 일체화된 도 1과 달리, 편평한 배향층(250)의 표면에 복수의 볼록부(252)가 별도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배향층(250)은 편평한 기판 상에 포토레지스트 물질을 도포한 후 이를 패터닝하여 복수의 볼록부(252)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볼록부(252)의 폭과 복수의 볼록부(252) 간의 간격은 100nm 이하일 수 있다. 이는, 각 오목부(251)의 폭과 복수의 오목부(251) 간의 간격이 100nm 이하임을 의미할 수 있다.
각 오목부(251)의 폭과 복수의 오목부(251) 간의 간격이 100nm 이하이면 액정 중합체의 나노 가둠을 통해 배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배향층(250)에 입사된 광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오목부(251)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상에 위치하는 액정도 효과적으로 배향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마찬가지로, 각 오목부(251)의 폭과 복수의 오목부(251) 간의 간격은 10nm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의 편광 소자(40)도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다단으로 적층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각 편광 물질층(300)이 서로 다른 이색성 염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7 내지 10은 도 1에 도시된 편광 소자(10)의 배향층(200)에 대한 제조 방법의 공정 단계별 단면도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표면에 복수의 볼록부(m1) 및 오복부(m2)가 형성된 몰드(M)를 준비한다. 각 볼록부(m1) 및 오목부(m2)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볼록부(m1) 및 오목부(m2)는 서로 교번적으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몰드(M)는 실리콘(Si) 재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할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에 대한 표면 에너지가 작은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표면이 상기 물질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어 몰드(M)의 볼록부(m1) 및 오목부(m2)가 형성된 표면 상에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을 도포한다.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의 일부는 몰드(M)의 오목부(m2) 내로 채워 넣어질 수 있다.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은 자외선(UV) 조사에 의해 경화가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어 도포된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 상에 지지 부재(S)를 부착하고 자외선(UV)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을 경화시킨다.
지지 부재(S)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재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에 대한 표면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큰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표면이 상기 물질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도 9에는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이 자외선(UV)에 의해 경화되는 물질로 예시되었으나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분자 물질은 자외선(UV) 이외의 파장에 의해 경화되는 물질일 수도 있고, 열, 용매 등 광 이외의 조건에 의해 경화되는 물질일 수도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이 광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물질일 경우 별도의 열이 필요 없이 상온에서 경화공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액정, 염료 등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특히 편광 소자를 다단으로 형성할 때 유리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어 경화된 고분자 물질을 몰드(M)로부터 분리한다.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에 대한 몰드(M)의 표면 에너지는 작은 반면 지지 부재(S)의 표면 에너지는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상기 경화된 고분자는 지지 부재(S)에 부착된 상태로 몰드(M)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경화된 고분자 물질은 몰드(M)의 볼록부들(m1)에 대응된 위치에 복수의 오목부(201)가, 몰드(M)의 오목부들(m2)에 대응된 위치에 복수의 볼록부(202)가 형성되어 본 발명의 배향층(200)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어, 배향층(200) 상에 편광 물질층(300) 및 보호층(400)을 형성하여 도 1에 도시된 편광 소자(10)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편광 소자(10)는 지지 부재(S)를 탈착한 후 표시 패널 상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13은 도 10에서 제조한 배향층(200)을 이용하여 다수의 배향층(200)을 제조하는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에서 제조한 배향층(200)의 표면 상에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c)을 도포한다.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c)은 배향층(200) 중 오목부(201) 및 볼록부(202)가 형성된 표면 상에 도포될 수 있다.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c)의 일부는 배향층(200)의 오목부(201) 내로 채워 넣어질 수 있다.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c)은 도 8에서 사용한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과 동일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배향층(200)의 표면을 테프론으로 코팅하고 광경화성 고분자도 테프론을 혼합함으로써 배향층(200)의 표면과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c)간의 부착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어 도포된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c) 상에 지지 부재(Sc)를 부착하고 자외선(UV)을 조사하여 광경화성 고분자 물질(Pc)을 경화시킨다. 도 12의 단계는 도 9에 도시된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어 경화된 고분자 물질을 배향층(200)으로부터 분리한다.
경화된 고분자 물질은 배향층(200)의 볼록부들(202)에 대응된 위치에 복수의 오목부(201c)가, 배향층(200)의 오목부들(201)에 대응된 위치에 복수의 볼록부(202c)가 형성된 복제층(200c)일 수 있다. 배향층(200)의 볼록부(202)와 오목부(201)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가질 경우, 복제층(200c)은 배향층(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면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배향층(200) 또는 복제층(200c)을 이용하여 도 11 내지 13의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다수의 배향층(200)을 제조할 수 있으며, 복제층(200c)으로부터 복제된 층은 처음의 배향층(200)과 동일한 오목부 및 볼록부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베이스 기판
200: 배향층
300: 편광 물질층
400: 보호층

Claims (20)

  1. 광경화된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 복수 개가 표면에 형성된 배향층; 및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배향층 표면 상에 배치되며, 서모트로픽(thermotropic) 액정 및 이색성(dichroic)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 물질층을 포함하는 편광 소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reactive mesogen)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편광 소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각각은 폭이 100nm 이하인 편광 소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각각은 깊이가 70nm 이상인 편광 소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편광 소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 간의 간격은 100nm 이하인 편광 소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수직 단면의 형상이 서로 동일한 편광 소자.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된 고분자 물질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된 아크릴계(Acrylic) 고분자인 편광 소자.
  9. 일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 복수 개가 표면에 형성된 제1 배향층;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제1 배향층 표면 상에 배치되며, 액정 및 이색성(dichroic) 염료를 포함하는 제1 편광 물질층;
    상기 제1 편광 물질층 상에 배치된 중간층;
    상기 중간층 상에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 복수 개가 표면에 형성된 제2 배향층; 및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제2 배향층 표면 상에 배치되며, 액정 및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제2 편광 물질층을 포함하는 편광 소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은 서모트로픽(thermotropic) 액정인 편광 소자.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수용성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편광 소자.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염료와 상기 제2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염료는 서로 같거나 다른 물질인 편광 소자.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염료는 옐로우(Yellow) 염료, 마젠타(Magenta) 염료 및 시안(Cyan)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 소자.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염료는 상기 제1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염료 중 하나 이상과 동일한 편광 소자.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염료는 상기 제1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염료와 다른 편광 소자.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 물질층에 포함된 염료는 적색 염료, 녹색 염료 및 청색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 소자.
  17. 일 방향으로 연장된 볼록부 복수 개가 표면에 배치된 배향층; 및
    상기 볼록부가 배치된 배향층 표면 상에 배치되며, 서모트로픽(thermotropic) 액정 및 이색성(dichroic)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 물질층을 포함하는 편광 소자.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reactive mesogen)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편광 소자.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부 간의 간격은 100nm 이하인 편광 소자.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각각은 폭이 100nm 이하인 편광 소자.
KR1020170067894A 2017-05-31 2017-05-31 편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31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894A KR20180131717A (ko) 2017-05-31 2017-05-31 편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5/710,126 US20180348416A1 (en) 2017-05-31 2017-09-20 Polariz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894A KR20180131717A (ko) 2017-05-31 2017-05-31 편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717A true KR20180131717A (ko) 2018-12-11

Family

ID=6445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894A KR20180131717A (ko) 2017-05-31 2017-05-31 편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80348416A1 (ko)
KR (1) KR201801317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7196B2 (en) 2017-09-05 2020-12-29 Samsung Display Co., Ltd. Polar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053662A (ko) * 2019-11-04 2021-05-12 주식회사 캐머론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294A (ko) * 2016-11-30 2018-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표시장치
CN110703506B (zh) * 2019-09-24 2022-02-2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的制作方法、液晶显示面板
CN115232553A (zh) * 2022-07-28 2022-10-25 广州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偏光片制备方法、偏光片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4188A (en) * 1994-09-17 1997-12-02 Kabushiki Kaisha Toshiba Refl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comb-shaped wall electrode
JPH0921913A (ja) * 1995-07-05 1997-01-21 Sharp Corp 軸対称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液晶表示装置
US20050068476A1 (en) * 2003-05-26 2005-03-31 Masato Okabe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JP5202889B2 (ja) * 2007-06-29 2013-06-05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CN102159988A (zh) * 2009-12-03 2011-08-17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装置
KR101732687B1 (ko) * 2013-12-27 2017-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료형 편광체 형성용 조성물 및 염료형 편광체
US9685635B2 (en) * 2015-01-05 2017-06-20 Apple Inc. Displays having polarizing structures formed using narrowband dichroic dyes
KR102377174B1 (ko) * 2017-05-18 2022-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7196B2 (en) 2017-09-05 2020-12-29 Samsung Display Co., Ltd. Polariz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053662A (ko) * 2019-11-04 2021-05-12 주식회사 캐머론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편광판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48416A1 (en)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1717A (ko) 편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590072B1 (ko) 액정 폴리머 재료의 상부에 정렬을 생성시키는 방법
KR102347474B1 (ko) 코팅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US9417367B2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for an orientating treatment in a photo-orientable layer
KR100405126B1 (ko) 수지ㆍ액정형성체, 액정장치, 이들을 사용한 액정표시장치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064585B1 (ko) 광배향막 배향 처리용 점착 필름
CN103988121A (zh) 液晶单元
JPWO2017208617A1 (ja) 視野角制御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7433002B2 (en) Prism-patterned broadband reflective polariz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20220357585A1 (en) Display medium, display product, and display set
JP7428137B2 (ja) 真正性判定用のビュワー及びその製造方法、識別媒体の真正性の判定方法、並びに、真正性判定用セット
US7486376B2 (en) Broadband reflective polariz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overcoating method
CN110554451B (zh) 层叠体及其制造方法
KR102580799B1 (ko) 편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12626B1 (ko) 광분할 소자
KR20160027552A (ko) 나노캡슐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20230229050A1 (en) Optical Device
KR100803715B1 (ko) 프리즘패턴을 갖는 광대역 반사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KR102118377B1 (ko) 액정 소자
KR102267513B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20200050750A (ko)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TWI833368B (zh) 偏光板及其製造方法
KR102253502B1 (ko) 편광판
KR102253504B1 (ko) 편광판
JP2020148831A (ja) カラーフィルタ基板、表示パネル、表示装置、カラーフィルタ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