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618A - 옥외 조명, 이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들 - Google Patents

옥외 조명, 이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618A
KR20210053618A KR1020190139450A KR20190139450A KR20210053618A KR 20210053618 A KR20210053618 A KR 20210053618A KR 1020190139450 A KR1020190139450 A KR 1020190139450A KR 20190139450 A KR20190139450 A KR 20190139450A KR 20210053618 A KR20210053618 A KR 20210053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lighting
control
server device
ligh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4920B1 (ko
Inventor
전기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이
Priority to KR1020190139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9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3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복수의 옥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서버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각 옥외 조명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디스플레이 및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옥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컨트롤러는, 복수의 옥외 조명을 일괄 제어하는 전체 제어 모드, 복수의 옥외 조명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그룹 별로 제어하는 그룹 제어 모드, 복수의 옥외 조명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제어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한다. 이에 따라,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옥외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옥외 조명, 이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들 { OUTDOOR LIGHTS, SERVER DEVICE FOR CONTROLLING THE OUTDOOR LIGHTS, LIGHT SYSTEM COMPRISING THESE AND CONTROL METHODS THEREOF }
본 발명은 옥외 조명, 이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들에 대한 것이다.
여가를 즐기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야간 시간 대에, 번잡한 도시 내에서의 운행이 아닌 인적이 드문 도로를 통행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이에 따라, 차량 운행자나 주변 보행자들의 안전을 위하여, 도로를 따라서 옥외 조명을 설치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옥외 조명은 사람의 안전을 위하여 차도 주변이나 인적이 드문 지역에 설치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있지만, 그렇기 때문에 그 관리 및 제어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함께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옥외 조명을 좀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전국의 다양한 지역에 설치된 옥외 조명을 이용하여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들에게 좀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들의 정보를 수집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 역시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옥외 조명, 그 옥외 조명과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와 이들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들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르면, 복수의 옥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서버 장치는,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 UI 상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일괄 제어하는 전체 제어 모드,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그룹 별로 제어하는 그룹 제어 모드,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제어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며, 상기 제어 UI 상에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옥외 조명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의 주변 차량의 정보가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주변 차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의 주변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주변 상황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 각각의 조명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 각각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이 위치한 전체 지역 중 적어도 일부 지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지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옥외 조명의 조명 상태를 타 지역에 위치한 옥외 조명과 상이하게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옥외 조명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이 위치한 전체 지역 중 적어도 일부 지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각 옥외 조명의 조명 상태를 상이하게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벤트는 교통 정체 이벤트, 사고 이벤트, 도로 상태 이상 이벤트, 주의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상태는, 점등, 소등, 컬러, 디밍 정도, 점멸 패턴, 광조사 방향, 광조사 스폿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UI는 각 옥외 조명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지도 상에서 각 옥외 조명의 위치를 아이콘으로 표시하며, 상기 그룹 제어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설치 위치, 종류, 용도,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그룹핑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제어 UI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옥외 조명 제어 방법은, 복수의 옥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UI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 UI 상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일괄 제어하는 전체 제어 모드,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그룹 별로 제어하는 그룹 제어 모드,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제어 모드 중 하나로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UI 상에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옥외 조명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의 주변 차량의 정보가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주변 차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의 주변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주변 상황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 각각의 조명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이 위치한 전체 지역 중 적어도 일부 지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지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옥외 조명의 조명 상태를 타 지역에 위치한 옥외 조명과 상이하게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옥외 조명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이 위치한 전체 지역 중 적어도 일부 지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각 옥외 조명의 조명 상태를 상이하게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 각각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 UI는 각 옥외 조명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 각각의 위치는 상기 지도 상에서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상기 옥외 조명 제어 방법은, 상기 그룹 제어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설치 위치, 종류, 용도,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그룹핑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제어 UI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 및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 각각은, 주변 차량의 정보를 각 차량의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주변 차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 각각의 주변 상황을 판단하여, 상기 주변 상황에 따라 조명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외 조명은, 조명부, 서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옥외 조명 주변의 외부 장치와 상기 통신부 사이에서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외부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옥외 조명의 주변 차량에 탑재된 단말 장치이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이 상기 옥외 조명 방향으로 접근하면 상기 차량에 탑재된 단말 장치와의 통신 세션을 연결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이동 속도, 위치, 주행 시간, 잔여 거리, 움직임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점등, 소등, 컬러, 디밍 정도, 점멸 패턴, 광조사 방향, 광조사 스폿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는 복수의 옥외 조명과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전이나 편의성 및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 내지 도 6은 서버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옥외 조명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옥외 조명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외 조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외 조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옥외 조명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조명 시스템은 복수의 옥외 조명(100-1 ~ 100-n) 및 서버 장치(2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옥외 조명(100-1 ~ 100-n) 각각은 외부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의미한다. 다르게는, 가로등이나 안내등 등으로 명명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옥외 조명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각 옥외 조명(100-1 ~ 100-n)은 기둥에 해당하는 등주와, 그 등주에 부착된 조명부 및 조명부에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각 옥외 조명(100-1 ~ 100-n)은 등주 없이 건물이나 주변 사물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의 조명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각 옥외 조명(100-1 ~ 100-n)은 통신 기능이 지원된다. 이에 따라, 각 옥외 조명(100-1 ~ 100-n)은 서버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각 옥외 조명(100-1 ~ 100-n)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마련된 장치를 의미한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서버 장치(200)로 구현된 것처럼 도시하였으나, 서버 장치(200)의 개수 및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클라우드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서버 장치(200)는 PC나 모바일 통신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옥외 조명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통칭하여 서버 장치(200)라 한다.
각 옥외 조명(100-1 ~ 100-n)과 서버 장치(20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옥외 조명(100-1 ~ 100-n)은 3G, 4G, LTE, 5G 등과 같은 무선 랜을 통해 서버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조명 시스템은 각종 게이트웨이나 라우터, 기지국 등의 중계 기기, 액세스 네트워크, 백본 네트워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 장치(200)는 각 옥외 조명(100-1 ~ 100-n)과의 통신을 통해서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200)는 다양한 동작 모드에 따라서 옥외 조명(100-1 ~ 100-n)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버 장치(2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전체 옥외 조명(100-1 ~ 100-n)을 일괄 제어하는 전체 제어 모드, 각 옥외 조명(100-1 ~ 100-n)을 복수 개로 그룹핑하여 가 그룹 별로 제어하는 그룹 제어 모드, 각 옥외 조명(100-1 ~ 100-n)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제어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전체 제어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각 옥외 조명의 조명 상태가 설정되면, 그 조명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제어 신호를 전체 옥외 조명(100-1 ~ 100-n)에게 전송한다. 그룹 제어 모드 및 개별 제어 모드에서는 선택된 그룹에 속한 옥외 조명 또는 선택된 옥외 조명에 대해서 설정 제어 신호가 전송된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200)는 점등, 소등, 컬러, 디밍 정도, 점멸 패턴, 광조사 방향, 광조사 스폿 등과 같은 다양한 제어 항목을 일괄/그룹/개별 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200)는 특정 지역 내의 옥외 조명의 RGB 패턴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200)는 외부의 다른 서버 또는 소스로부터 특정 지역의 날씨나 천재지변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거나, 교통 상황 정보가 수신된다면, 해당 지역의 옥외 조명의 RGB 패턴을 다른 지역의 옥외 조명과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비가 많이 오는 지역이라면 주변 지역보다 시인성이 좋은 컬러로 동작하도록 제어 신호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서버 장치(200)는 지진 등으로 도로가 파손되었거나, 교통 사고나 도로 공사 등으로 인해 위험 요소가 있는 지역에서는 그 지역 또는 주변 지역의 옥외 조명의 점멸 속도를 거리에 반비례하게 빠르게 점멸시켜서 사용자가 위험 상황임을 직관적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서버 장치(200)는 지역 축제나 퍼레이드가 있는 특수 지역이나, 해당 지역 내의 옥외 조명에 대해서, 일부 점등 및 일부 소등시켜 공중에서 봤을 때 이미지나 텍스트가 인식되도록 패턴을 설정한 후, 각 옥외 조명으로 그 패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패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서버 장치(200)는 경축일 등과 같이 국가 전체의 특수한 기념일이나 행사가 있는 경우에는, 전체 지역의 옥외 조명에 대해서 패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옥외 조명은 공원이나, 스키장, 각종 운동장, 행사장, 동물원, 식물원 등 다양한 구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버 장치(200)는 그 설치 지역의 용도나 목적에 부합하는 컬러나 밝기, 패턴 등으로 옥외 조명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200)는 주위 차량이나 사람들의 안전을 위한 목적 이외에도, 사용자들이 각종 여가 활동이나 운동 등을 하면서 심리적 안정감이나, 심미감 등을 느낄 수 있도록 각 옥외 조명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각 옥외 조명에 스피커가 구비된 경우, 서버 장치(200)는 조명 동작 뿐만 아니라 그 지역의 특징에 맞는 오디오 신호까지 각 옥외 조명의 스피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만족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현 예들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도면과 함께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상과 같이, 서버 장치(200)는 각 옥외 조명을 통해서 사고 주의 효과를 증대시키거나, 임의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200)는 각 옥외 조명(100-1 ~ 100-n)에서 통신 기능을 활용하여 수집한 주변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각 옥외 조명(100-1 ~ 100-n)은 주변을 통행하는 차량의 정보나, 주변 보행자의 정보를 그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차량에는 차량 내부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 : ECU)이 포함되어 있기도 하고, 이와 별도로 차량 운전자나 탑승자가 소지하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도 있을 수 있다. 각 옥외 조명(100-1 ~ 100-n)은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이들 외부 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세션이 연결되면, 통신 세션을 통해서 차량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의 정보에는 GPS 정보, 이동 속도, 위치, 주행 시간, 잔여 거리, 움직임 상태 등과 같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차량의 정보는 각 옥외 조명(100-1 ~ 100-n)과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ECU와 옥외 조명(100-1 ~ 100-n)이 직접 연결된다면, 차량의 이동 속도, 주행 시간, 차량 서스펜션 동작 상태, 브레이크 동작 상태, 휠 조작 상태, 와이퍼 작동 상태, 조명등 작동 상태, 안개등 조작 상태, 고장 상태, 네비게이션 설정 거리, 현재 위치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ECU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반면, 차량 내부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옥외 조명(100-1 ~ 100-n)이 직접 연결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GPS 정보, 사용자 정보, 기울임 정보(피치각, 롤각, 요우각 등)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목적지 설정이 이루어졌다면, 그 네비게이션 설정 정보도 제공받을 수 있다.
각 옥외 조명(100-1 ~ 100-n)은 수신한 정보를 서버 장치(200)로 전송한다. 서버 장치(200)는 각 옥외 조명(100-1 ~ 100-n)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옥외 조명(100-1 ~ 100-n)의 주변 상황을 판단한다. 주변 상황에는 교통 정체, 사고, 도로 상태 이상 등의 다양한 이벤트가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폭우나 폭설, 지진 등과 같은 자연 재해를 주의해야 하는 주의 이벤트도 포함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판단 결과에 따라 각 옥외 조명(100-1 ~ 100-n)의 동작을 다양하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일 예로, 일정 지역 내에서 차량의 이동이 일정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다면, 서버 장치(200)는 해당 지역의 옥외 조명들을 일괄적으로 턴 오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나의 옥외 조명에서 차량의 이동이 감지된다면, 서버 장치(200)는 그 옥외 조명을 기준으로 이후 일정 거리 이내의 옥외 조명을 순차적으로 또는 일괄 턴 온 시키고, 차량 이동 정도에 따라 다시 그 이후의 옥외 조명도 턴온 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 장치(200)는 차량의 이동 속도가 아주 늦거나, 정차 및 이동을 번갈아 가면서 자주 반복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차량 정체 구간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버 장치(200)는 차량이 특정 위치에서 급 브레이크조작, 급 휠조작 등을 한다고 판단되면, 도로 상에 장애물이 있거나, 도로 파손 등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여러 대의 차량이 특정 위치에서 서스펜션 조작이 공통적으로 수행한다면, 서버 장치(200)는 도로 상에 파손 또는 함몰된 부분이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서버 장치(200)는 차량 정체나, 사고, 장애물, 도로 파손, 천재지변 등과 같은 다양한 주의 이벤트가 있을 때는, 해당 지역의 옥외 조명의 휘도나 컬러를 다른 지역과 다르게 하거나, 해당 지역 옥외 조명들의 점멸 동작을 빠른 주기로 반복 수행하여, 후속 차량의 운전자가 특수 상황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밖에, 서버 장치(200)는 점등, 소등, 컬러, 디밍 정도, 점멸 패턴, 광조사 방향, 광조사 스폿 등 다양한 조명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서버 장치(200)가 변경하는 항목은 설계 사양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버 장치(200)는 특정 지역 내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그 지역 내의 옥외 조명들의 조명 상태를 타 지역의 옥외 조명과 상이하게 일괄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고, 거리에 따라 상이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체 도로 상에서 특정 지점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그 사고 위치에 최 근접한 옥외 조명 또는 그 사고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반경 내의 옥외 조명은 밝게 표시하고, 그 밖의 옥외 조명들은 사고 위치와의 거리 또는 해당 반경 경계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휘도가 점점 낮아지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점멸 주기로 설정된 상황인 경우에는, 사고 위치나 반경 이내의 옥외 조명은 빠르게 점멸되도록 하고, 그로부터 멀어질 수록 점점 느리게 점멸시켜서 차량이 사고 위치에 접근할 수록 위험 상황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서버 장치(200)는 각 옥외 조명으로부터 고장 여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수신할 수도 있다. 서버 장치(200)는 각 옥외 조명의 상태 정보를 제어 UI를 통해 표시하여, 관리자가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그 밖에, 각 옥외 조명의 동작 모드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메뉴를 제어 UI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들 및 그의 변형 실시 예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서버장치(200)는 통신부(210), 컨트롤러(220), 저장부(230), 디스플레이(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일 예로, 통신부(210)는 다수의 옥외 조명과 통신 가능하며, 이 밖에도 다른 서버 장치나 단말 장치, 휴대폰, 태블릿, 랩탑 PC, 실외 키오스크, 다양한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무선 랜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유선 인프라스트럭쳐를 통해서 옥외 조명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와이파이나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 지그비, NFC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주변 장치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230)는 서버 장치(200)의 다양한 정보나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구성요소이다. 저장부(230)에는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도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각종 메모리 뿐만 아니라, 캐시 메모리, 버퍼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매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서버 장치(2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결합된 외부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22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220)는 복수의 옥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UI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240)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각종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 소자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240)는 서버 장치(2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서버 장치(200)와 별개의 장치로 마련되어 서버 장치(200)에 연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인 연결 형태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컨트롤러(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는 각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UI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220)는 각 옥외 조명의 위치, 동작 상태, 주변 상황, 날씨 정보, 기타 각종 이벤트 정보들을 옥외 조명 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부 소스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관리자는 제어 UI를 보면서 필요한 제어 동작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220)는 기 설정된 설정 항목이 있으면 그 항목의 실행 조건이 충족될 때마다, 해당 항목의 제어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 UI에는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 UI의 구성은 실시 예에 따라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UI에는 제어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 모드란 복수의 옥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하여 구분되는 다양한 동작 모드를 의미한다. 복수의 옥외 조명을 일괄 제어하는 전체 제어 모드, 각 옥외 조명을 여러 개로 그룹핑하여 그룹 별로 제어하는 그룹 제어 모드, 각 옥외 조명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제어 모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 모두를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일부 모드가 생략될 수도 있고, 추가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제어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면 컨트롤러(220)는 설정된 제어 모드에 따라 동작한다. 컨트롤러(220)는 제어 UI 상에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모드에 따라 전체 또는 일부 또는 하나의 옥외 조명에게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전체 제어 모드를 선택한 상태에서 특정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컨트롤러(220)는 전체 옥외 조명에게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또는, 그룹 제어 모드를 선택한 상태에서 특정 그룹을 선택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컨트롤러(220)는 선택된 그룹에 속한 옥외 조명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또는, 개별 제어 모드를 선택한 상태에서 하나의 옥외 조명을 선택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컨트롤러(220)는 해당 옥외 조명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 UI의 구성 및 동작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도면과 함께 다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200)는 각 옥외 조명에서 외부 장치와 통신하여 수집한 정보를 전달 받아서, 이를 토대로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버 장치(200)는 각 옥외 조명에서 수집한 주변 차량의 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220)는 각 옥외 조명의 위치와, 주변 차량 정보 등에 기초하여, 각 옥외 조명의 주변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20)는 주변 상황에 따라 각 옥외 조명의 조명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각 옥외 조명으로 전송한다.
주변 상황은 차량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판단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220)는 하나의 옥외 조명으로 접근하는 여러 차량들의 속도가 일정 수준 미만으로 낮거나, 0인 상태(즉, 정지 상태)가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옥외 조명 주변이 정체 또는 지체 구간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20)는 그 옥외 조명 주변의 적어도 하나의 차량이 정지 상태이고 다른 차들만 이동 중이라면 정체 또는 지체의 원인이 차량 고장이나 사고인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220)는 해당 옥외 조명 주변의 옥외 조명들에 대해서 턴-온 및 턴-오프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나, 옥외 조명의 휘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 또는 옥외 조명의 컬러를 붉은색이나 기타 주의력을 높일 수 있는 색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주변 차량들이 위험 상황임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220)는 여러 차량에서 윈도우 와이퍼가 움직이고 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지역에서 비 또는 눈이 내리고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컨트롤러(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변 차량들이 위험 상황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220)는 여러 차량에서 전조등을 켰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지역의 조도가 낮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220)는 옥외 조명을 켜기 위한 제어 신호 또는 휘도를 높이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컨트롤러(220)는 복수의 옥외 조명이 위치한 전체 지역 중 적어도 일부 지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옥외 조명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대상은 이벤트의 종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20)는 특정 지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 지역 내의 옥외 조명의 조명 상태가 타 지역에 위치한 옥외 조명과 상이해지도록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지역 내의 옥외 조명은 동일 조건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트롤러(220)는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각 옥외 조명의 조명 상태를 상이하게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각 옥외 조명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정체 구간이 발생하면, 컨트롤러(220)는 정체가 가장 심한 위치 또는 정체 원인이 존재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거리가 멀어질 수록 휘도를 낮게 한다거나, 점멸 주기를 느리게 한다거나, 색상을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운전자는 정체 위치가 가까워지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컨트롤러(220)는 각 옥외 조명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상황을 빠르게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230)에 인공지능모델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컨트롤러(220)는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주변 상황을 좀 더 정밀하게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에서 여러 차량의 휠 조작, 서스펜션 조작, 브레이크 조작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그 위치에서 도로 파손이 있거나 유실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인공지능모델은 수시로 학습되면서 정밀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20)는 각 옥외 조명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이외에 기상청 서버, 도로관리공단 서버, 차량 제조사 서버, 보험사 서버, 경찰 서버 등 다양한 외부 소스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주변 상황을 좀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도 있다. 차량 정체 구간으로 판단된 지점에서 사고 신고가 접수되었다면, 컨트롤러(220)는 해당 정체 구간이 사고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맞는 경고 신호를 해당 지역의 옥외 조명을 통해 주변 차량들 및 보행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교통 정체 이벤트, 사고 이벤트, 도로 상태 이상 이벤트 및 기타 주의 이벤트 등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벤트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라톤 경기나 퍼레이드, 시위, 차량 통제, 공무 수행 등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20)는 각 이벤트의 성격에 맞게 각 옥외 조명의 점등, 소등, 컬러, 디밍 정도, 점멸 패턴, 광조사 방향, 광조사 스폿 중 적어도 하나의 조명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나, 이 역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에서는, 도로 상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옥외 조명과 이를 제어하는 서버 장치(20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임시로 설치되는 이동식 조명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바다나 산 등과 같이 조명 시설이 많지 않은 지역에서 축제 등의 사유로 한시적으로 인파나 차량이 몰리는 경우, 그 지역에서 그 기간 동안만 조명 시설이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이동식 조명등을 해당 지역에 설치할 수 있다. 각 이동식 조명등의 제어는 별도로 마련된 단말 장치(미도시)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고정식 옥외 조명 제어를 위해 마련된 서버 장치(200)가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서는, 각 이동식 조명등 중 하나에서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200)는 각 옥외 조명과의 통신 연결 상태를 이용하여 다양한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220)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기 설정된 조건이 충족되면 제어 대상인 옥외 조명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220)는 제어 대상인 옥외 조명의 디밍(dimming)을 복수의 단계(예를 들어, 0 내지 10레벨) 중 하나로 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컨트롤러(220)는 각 옥외 조명의 RGB 패턴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색으로도 조정할 수 있지만, 그라데이션(gradation)이나 기타 색 조합을 표시하도록 각 옥외 조명을 제어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어 동작 조건을 미리 설정하고, 그 조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미리 설정해둘 수 있다. 제어 동작 조건은 시간이나, 설치 위치, 주변 휘도, 온도, 날씨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컨트롤러(220)는 제어 동작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면, 해당 조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 예를 들어, 점등, 소등, 디밍 조정, RGB 패턴 조정, 점멸 패턴 조정, 광조사 방향 변경, 광조사 스폿 변경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옥외 조명으로 전송한다.
또는, 서버 장치(200)의 사용자는 오디오 파일을 업로드하여, 각 옥외 조명에서 오디오 파일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의 경우, 각 옥외 조명은 스피커 및 디코더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옥외 조명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경우에는, 서버 장치(200)의 사용자는 텍스트나, 이미지, 동영상 등과 같은 컨텐츠를 서버 장치(200)로 업로드하여, 각 옥외 조명에서 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원격 제어 동작이나 설정 등의 작업은 서버 장치(200)가 제공하는 제어 UI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 UI는 서버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40)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 내지 6에서는 제어 UI의 다양한 구성 및 그에 기초한 제어 동작을 나타낸다.
도 3에 따르면, 컨트롤러(220)는 각 옥외 조명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를 포함하는 제어 UI(300)를 디스플레이(240) 상에 표시한다. 제어 UI(300)에는 지도(310), 모드 선택 메뉴(320), 기능 선택 메뉴(330), 스케일링 메뉴(34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각 메뉴(320, 330, 340)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분산되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구현 예에 따라서는 메뉴(320, 330, 340)들은 지도(310)의 일측 가장자리에 한꺼번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모드 선택 메뉴(320)에는 전체 제어 모드, 그룹 제어 모드, 개별 제어 모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능 선택 메뉴(330)에는 옥외 조명을 턴 온 또는 턴 오프시키거나, 디밍 상태를 조정하는 기능, RGB 패턴을 설정하는 기능, 현재 상태를 확인하는 기능, 옥외 조명의 설정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메뉴, 옥외 조명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들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들이 표시된다.
컨트롤러(220)는 각 옥외 조명을 지도(310) 상에서 해당 위치에 아이콘(31-1 ~ 31-x) 형태로 표시한다. 컨트롤러(220)는 옥외 조명의 아이콘을 옥외 조명 상태에 맞게 다양한 형태, 색상, 컬러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에러 상태의 옥외 조명 아이콘(31-2)을 정상 상태의 옥외 조명 아이콘(31-1)과 상이한 형태로 표현한 것을 나타낸다. 형태 이외에도, 아이콘 표시를 껌벅거리게 하는 방식으로도 아이콘이 에러 상태임을 나타낼 수도 있다. 에러 상태 이외에도, 턴 온, 턴 오프, 표시 컬러, 디밍 정도 등과 같이 다양한 조명 상태 별로 상이한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각 옥외 조명의 위치 및 상태가 지도 상의 아이콘 형태로 표시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옥외 조명의 위치나, 상태 기타 세부 정보들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모드 선택 메뉴(320) 중 하나를 선택해서 제어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룹 제어 모드가 선택되면, 컨트롤러(220)는 옥외 조명을 그룹핑하기 위한 메뉴를 제어 UI 상에 표시한다. 도 4는 그룹 제어 모드가 선택된 상태의 제어 UI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에 따르면, 그룹 제어 모드에 대응되는 메뉴(321)가 선택되면, 각종 그룹핑 기준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350)가 추가로 표시된다. 그룹핑 기준은 옥외 조명의 설치 위치, 종류, 용도, 동작 상태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행정 구역 기준(351), 이벤트 기준(352), 도로 별 기준(353), 사용자 기준(354)도 도시되고 있다.
행정 구역 기준(351)은 시, 구, 군, 동 등과 같은 행정 구역 별로 배치된 옥외 조명들을 그룹핑하는 메뉴를 의미한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산간 지역이나 바닷가 지역, 농촌 지역, 도시 지역 등과 같은 지리적 위치 기준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벤트 기준(352)은 교통 정체, 사고, 도로 상태, 천재지변, 체육 행사, 퍼레이드 등 다양한 이벤트가 발생한 지역 내의 옥외 조명들을 그룹핑하는 메뉴를 의미한다. 도로 별 기준(353)은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로, 해안도로, 산간 도로 등과 같이 각종 도로의 주변에 배치된 옥외 조명들끼리를 그룹핑하는 메뉴를 의미한다. 사용자 기준(354)은 사용자가 직접 옥외 조명을 선택해서 그룹핑하는 메뉴를 의미한다. 사용자 기준(354)이 선택되면, 컨트롤러(220)는 지도(310) 상에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선택하는 옥외 조명들 또는 드래그 조작으로 하나로 묶는 옥외 조명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한다. 컨트롤러(220)는 각 옥외 조명들을 그룹 별로 식별력 있게 표시한다. 도 4에서는 도로별 기준(353)이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컨트롤러(220)는 지도(310) 상의 각 도로의 종류 별로 옥외 조명을 그룹핑하고, 각 그룹들을 나타내는 그래픽 오브젝트(351, 352, 353, 354)를 지도(310)에 표시한다. 도 4에서는 라인 형태의 그래픽 오브젝트를 도시하였으나, 그룹 별로 아이콘 형태나 색상, 크기 등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그룹을 구분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이들 그룹 중 하나를 선택하고, 기능 제어 메뉴(330)에서 기능을 선택하여, 선택된 그룹의 기능을 일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기능 제어 메뉴(330)에서 RGB 패턴 제어 메뉴(330-1)가 선택된 경우를 나타낸다. 컨트롤러(220)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서브 제어 UI(500)를 지도(310) 상에 오버랩하여 표시한다. 제1 그룹(351)이 선택된 경우, 컨트롤러(220)는 도 5와 같이 제1 그룹(351)의 일 측에 서브 제어 UI(500)를 표시할 수 있다. RGB 패턴 제어 메뉴(330-1)의 서브 제어 UI(500)에는 해당 그룹의 컬러를 R, G, B 또는 기타 색상으로 통일시켜 표시하기 위한 단색 표시 메뉴(510) 뿐만 아니라, 각종 이벤트 표시 메뉴(520, 530, 540, 550), 텍스트 표시 메뉴(560), 사용자가 직접 RGB 패턴을 설정하도록 하는 메뉴(570)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단색 표시 메뉴(510) 내에서 컬러가 선택되면, 컨트롤러(220)는 선택된 그룹 내의 옥외 조명들을 선택된 컬러로 점등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한다.
이벤트 표시 메뉴(520, 530, 540, 550) 중 하나가 선택되면, 컨트롤러(220)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는 RGB 패턴으로 옥외 조명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한다. 각 이벤트 별로 대응되는 패턴이란 점등, 소등, 컬러, 디밍 정도, 점멸 패턴, 광조사 방향, 광조사 스폿 등과 같은 조명 상태를 이벤트 별로 상이하게 설정한 패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정체 지역인 경우 붉은 색으로 빠르게 점멸시키는 패턴, 지체 지역인 경우는 노란색으로 좀 덜 빠르게 점멸시키는 패턴, 상시 위험 지역인 경우는 휘도를 높인 상태로 넓은 면적으로 옥외 조명의 앞뒤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패턴, 도로 상태 이상 지역이나 사고 표시 지역인 경우 해당 위치에 집중적으로 조명을 조사하면서 빠르게 점멸시키는 패턴 등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은 반복 실험을 통해 사용자가 시인성을 가장 높일 수 있는 조명 패턴을 확인한 후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후 서버 장치(200)의 사용자가 RGB 패턴을 다양한 형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각 이벤트 별 RGB 패턴 정보가 설정되면, 설정된 정보는 저장부(230)에 저장된다.
텍스트 표시 메뉴(56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텍스트를 표현하기 위한 메뉴를 의미한다. 컨트롤러(220)는 사용자가 입력 창에 입력한 텍스트를 복수의 옥외 조명을 이용해서 표현하기 위하여, 각 옥외 조명 별로 점멸 타이밍, 색상, 휘도 등을 설정한 후, 설정 값에 따른 제어 신호를 각 옥외 조명으로 전송한다. 복수의 옥외 조명이 설치된 지역은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처럼 사용될 수 있는 바, 컨트롤러(220)는 각 옥외 조명을 하나의 픽셀 처럼 사용하여 텍스트를 표현한다. 예를 들어, "Dynamic Korea"라는 문구가 입력된 경우, 컨트롤러(220)는 전체 옥외 조명 중에서 글자 부분에 해당하는 옥외 조명은 밝은 휘도로 녹색으로 표시하고, 배경 부분에 해당하는 옥외 조명은 낮은 휘도로 백색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각 옥외 조명으로 전송한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텍스트 뿐만 아니라 간단한 이미지나 기호, 부호 등도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 선택 메뉴(570)는 사용자가 RGB 패턴을 임의로 설정하기 위한 메뉴이다. 사용자는 상술한 다양한 조명 옵션을 개별적으로 설정한 후, 저장 및 실행하여, 선택된 그룹의 RGB 패턴을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지도를 통해 각 지역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제어 UI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태 확인 메뉴(330-2)를 선택하면, 컨트롤러(220)는 각 옥외 조명에서 확인된 정보에 기초하여 파악된 주변 상황 정보를 지도(310) 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20)는 정체가 발생한 도로는 그 도로 상에 붉은 색 라인(610)을 표시하고, 정체 사실을 알리는 메시지(611)를 표시한다. 지체가 발생한 도로는 그 도로 상에 노란 색 라인(620)을 표시하고, 지체 사실을 알리는 메시지(621)를 표시한다. 또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220)는 사고 위치에 특정 그래픽 오브젝트(613)를 표시하고, 그에 대응되는 메시지(613)를 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컨트롤러(220)는 전체 상황을 직관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6에서는 지도에 기초하여 상황을 표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메시지 창을 이용하여 주변 상황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 장치(200)는 옥외 조명과의 통신에 기초하여 다양한 형태로 각 옥외 조명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옥외 조명의 제어는 제어 UI에 기초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버 장치(200)는 각 옥외 조명에서 주변 장치들과의 통신을 이용하여 수집한 정보를 분석하여 그에 따라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 서버 장치(200)가 표시하는 지도는 외부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고, 서버 장치(200)에 기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 장치(200)가 직접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서버 장치(200)는 실제 사진에 기초하여 옥외 조명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200)는 위성 사진이나, 드론으로 촬영한 사진 등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그 위에 그래픽 오브젝트로 옥외 조명이나 기타 메뉴 등을 표시하는 형태로 UI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서버 장치(200)는 각 옥외 조명에서 직접 촬영한 사진이나 주변에서 촬영한 사진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전체 사진을 구성한 후, 그 전체 사진을 상술한 지도처럼 디스플레이하여 줄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의 옥외 조명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서버 장치는 복수의 옥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UI를 표시한다(S710). 제어 UI에서 모드 선택이 이루어지고,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S715), 서버 장치는 그 모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옥외 조명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전체 제어 모드가 선택되었다면(S720), 전체 옥외 조명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725). 그룹 제어 모드가 선택되고(S730), 하나의 그룹이 선택되었다면(S735), 선택된 그룹에 속한 옥외 조명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740). 반면, 개별 제어 모드가 선택되고(S745), 하나의 옥외 조명이 선택되었다면(S750), 선택된 옥외 조명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755).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옥외 조명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르면, 서버 장치는 옥외 조명에서 수집한 주변 외부 장치의 정보를 수신한다(S810).
서버 장치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환경을 판단한다(S820). 서버 장치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830). 서버 장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그 이벤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840).
상술한 주변 외부 장치는 옥외 조명 주변을 통행하는 차량의 ECU 또는 해당 차량에 실린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옥외 조명 주변의 보행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등이 될 수 있다.
서버 장치는 복수의 옥외 조명이 위치한 전체 지역 중 적어도 일부 지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그 지역 내의 옥외 조명의 조명 상태를 타 지역의 옥외 조명과 상이하게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는 해당 지역의 옥외 조명을 더 밝게 표시하거나, 컬러를 다르게 하거나, 특정 패턴으로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해당 지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장치는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각 옥외 조명의 조명 상태를 상이하게 조정할 수도 있다. 즉, 정체나 사고, 도로 결손 등이 발생한 위치가 있다고 판단되면, 서버 장치는 그 위치에 가까울수록 옥외 조명을 빠르게 점멸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 또는 옥외 조명 색상을 다양한 색상으로 계속 바꾸기 위한 제어 신호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이벤트 위치에 가까워진다는 사실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점멸 속도를 차량 위치에서 먼 옥외 조명부터 가까운 옥외 조명까지 상이하게 조정하면 실제 속도가 동일하더라도 차량 운전자의 체감 속도가 더 빠르게 느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습 과속 구간이나, 사고 다발 구역 등이 있는 경우에도, 그 위치에 가까워질 수록 위험 지역임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컬러나, 점멸 속도, 디밍 상태 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버 장치는 각 옥외 조명에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상황을 바로 파악하고, 그 주변 상황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각 옥외 조명으로 전송한다.
서버 장치는 각 옥외 조명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로부터 판단된 판단 결과에 따라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자동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판단 결과를 제어 UI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그에 맞는 제어를 직접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외 조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에 따르면, 옥외 조명(100)은 조명부(110), 통신부(120) 및 컨트롤러(130)를 포함한다. 도시된 구성 요소 이외에도 옥외 조명지주나 케이스, 기판,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ier), 각종 지지 부재, 연결 부재, 전원부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가 포함될 수 있지만, 옥외 조명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조명부(110)는 LED(Light Emit Diode) 어레이, 구동 회로 등과 같이 광을 주사하기 위한 각종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부분이다. 조명부(110)에는 서로 다른 컬러를 발광하기 위한 발광 소자, 발광 소자의 광조사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엑츄에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각종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통신부(120)는 유선 랜, 무선 랜, 와이파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 탑재된 단말 장치가 무선 랜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통신부(120)에 무선 랜 모듈만 구비된 경우에도, 옥외 조명(100)은 차량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20)에서 무선 랜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통신부(120)는 해당 지역의 이동 통신 망을 이용하여 주변의 외부 장치들과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동 통신 망(미도시)은 기지국 전송기, 기지국 제어기 및 이동통신 교환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30)는 옥외 조명(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컨트롤러(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 포트, 발광 소자 등 다양한 부품을 포함하는 독립적인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20)를 통해서 주변 외부 장치 뿐만 아니라 서버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컨트롤러(130)는 서버 장치(200)의 제어 신호가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조명부(11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130)는 조명부(110)를 턴 온 또는 턴 오프시키거나, 디밍을 복수의 단계(예를 들어, 0~10레벨)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110)의 컬러를 변경할 수도 있고, 임의의 속도로 점멸하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30)는 옥외 조명의 종류, 설치 위치, 가격 등에 따라 다양한 사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130)는 512MB DDR3 메모리, GPIO 6port, 시리얼 1포트, 이더넷 1포트 등과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고, 리눅스 커널 OS(Operating System)으로 구동될 수 있으나, 사양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컨트롤러(130)는 주변 외부 장치와 통신부(110)를 통해 통신이 연결되고, 외부 장치의 정보가 수신되면 그 정보를 서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130)는 해당 지역의 기지국을 통해서 해당 지역 내에 진입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정보(모바일 IP 등)를 수신하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을 위한 퀘어리를 전송할 수 있다. 해당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퀘어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면, 컨트롤러(130)는 해당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 세션을 연결한다. 컨트롤러(130)는 통신 세션이 연결되면,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되는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 자체 정보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탑재된 이동체(예를 들어, 이륜차나 사륜차 등)의 움직임과 관련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예들은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컨트롤러(130)는 옥외 조명(100)에 구비된 각종 부품이나 옥외 조명(100)의 동작 상태 등을 주기적으로 진단하여, 진단 결과를 서버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명부(110)의 입출력 전압 변화, 온도 변화, 누설 전류 등을 확인하여 LED 등, SMPS, AC 전원부 등 다양한 부품들의 고장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130)는 옥외 조명(100)의 고장이 감지되면, 컨트롤러(130) 자체에 구비된 발광 소자(미도시)를 이용하여, 육안으로도 오류 상태임을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컨트롤러(130)는 옥외 조명이 정전 등의 사유로 비정상적으로 소등되는 경우, 수동 조작이 있은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통신 불가 상태가 발생하였다가 원인이 해소된 경우 등이 발생하면, 정상 복구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원격 설정을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그 제어 신호에 따라 IP, 전송 주기, RGB 패턴 시나리오 등 다양한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30)는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TCP/IP 기반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며, 원격 접속에 따른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밖에, 통신부(120)는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모듈 또는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s), DSRC)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WAVE 모듈이나 DSRC 모듈이 구비된 경우, 옥외 조명(100)은 일정 거리 내에 진입한 차량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차량 이외의 다양한 외부 장치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30)는 수신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서버 장치(2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부분에서는, 외부의 서버 장치(200)에서 정보를 분석하여 주변 상황을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옥외 조명(100)에 구비된 컨트롤러(130)의 사양이 뛰어나다면, 직접 상황을 분석할 수도 있다. 즉, 별도의 서버 장치(200)를 마련하는 대신에, 복수의 옥외 조명 중 적어도 하나가 서버 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옥외 조명(100)에 통신부(120)가 마련되어 외부 장치의 정보를 직접 수신한다면, 별다른 센서가 없어도 주변 상황을 파악하여 적절한 조명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옥외 조명(100)은 카메라나 일부 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메라에서 촬영한 이미지나 센서에서 센싱한 데이터도 통신부(120)를 통해 서버 장치나 외부 차량, 보행자 단말 장치 등으로 제공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옥외 조명(100)은 도로 주변의 CCTV, 교통법규 위반 단속 카메라 등과 연동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과속을 하거나 상태 이상인 차량이 감지되는 경우, CCTV나 교통법규 위반 단속 카메라 등을 제어하여 해당 차량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옥외 조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옥외 조명은 서버 장치와 통신을 연결한다(S1010). 이러한 상태에서 주변 외부 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1020), 외부 장치와 통신을 연결한다(S1040). 통신 연결 방식은 통신 규격에 따라 상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 규격은 3G, 4G, LTE 등과 같은 다양한 공개 규격이 사용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주변 외부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주변 지역으로 퀘어리를 브로드캐스팅해서 주변 외부 장치를 감지할 수 있다(S1030).
외부 장치와 통신이 연결된 경우(S1040), 옥외 조명은 외부 장치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S1050), 서버 장치로 전송한다(S1060). 이 후, 서버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S1070),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S1080).
도 10에 따른 방법은 도 9의 구성을 가지는 옥외 조명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된 구성의 옥외 조명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옥외 조명이 주변을 지나가는 임의의 차량의 ECU나 기타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다양한 제어 동작들은 서버 장치(200)에 등록된 차량이나 단말 장치에 대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버 장치(200)는 옥외 조명을 이용한 정보 수집에 사전에 동의한 운전자의 차량이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 번호, IP 어드레스 등과 같은 식별 정보를 각 옥외 조명에 제공한다. 옥외 조명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퀘어리를 전송하여, 등록 차량 또는 등록 장치에 대해서만 통신을 연결하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의 경우, 정보 수집 동의에 대한 보상으로, 각 옥외 조명은 통신이 연결된 이후에, 해당 차량이나 단말 장치에 대해서 위험 상황, 정체 구간, 도로 손실 상황, 사고 상황 등과 같은 특수 정보를 제공하여 줄 수도 있다. 차량의 ECU는 차량의 센터페시아나 스피커 등을 통해서 제공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휴대폰과 같은 단말 장치에 정보가 제공된 경우에도, 단말 장치가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해당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차량 운행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대신 안전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받는 실시 예는 하나의 비지니스 모델로 구성되어, 서버 장치(2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다양한 위치에 고정된 복수의 옥외 조명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밖에 다양한 조명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 내에 설치된 조명등이나, 건물 내에 설치된 조명등 등에도 일부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위치로 옮겨서 설치 및 사용하는 이동식 옥외 조명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름 피서지나 지역 축제 등과 같이 한시적으로 조명이 필요한 지역에서는, 고정식 조명 시스템을 운영하기에는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이동식 옥외 조명을 렌탈하여 설치하고, 옥외 조명의 제어는 서버 장치를 이용하거나, 옥외 조명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비지니스 모델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버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새로이 추가되는 이동식 옥외 조명은 기존의 다른 그룹과 다른 새로운 그룹으로 생성되어 제어 UI에 표시될 수 있다. 자체 제어를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 등에 제어 기능이 부여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설치된 옥외 조명을 전부 또는 일부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UI를 제공한다. 제어 UI의 크기나 기능은 상술한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구성과 상이할 수 있으나, 주요 기능 및 동작은 유사하므로 중복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옥외 조명은 일반 가로등처럼 도로 주변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회사 부지나 특정 건물 주변, 관광 명소, 시골 마을, 도시 지역, 공원, 호숫가, 스키장, 동물원, 식물원, 해수욕장, 운동장, 골프장, 조깅 트랙, 마라톤 코스, 등산로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에 설치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그 설치 위치나 환경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 옥외 조명의 조명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산로나 동물원, 식물원 같은 경우 주변 동식물들이 강한 조명에 방해를 받을 수 있으며, 폐장 시간 이후의 이용이 없거나 드물어서 조명을 필요치 않을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서버 장치는 이러한 지역에 설치된 옥외 조명들은 약한 조도, 자연 친화적 컬러의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일정 시간 이후에는 턴 오프 시켜두고 주변 사람이나 차량의 통행이 감지될 때만 제한적으로 턴 온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스키장이나 공원 같이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주위 환경을 즐기고자 하는 지역에서는, 서버 장치(200)는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패턴으로 옥외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스키장에 옥외 조명이 설치된 경우의 조명 제어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키장 같은 경우 옥외 조명(1110-1 ~ 1110-6)은 슬로프(1100)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서버 장치(200)는 사람들이 해당 시설을 충분히 즐길 수 있도록 옥외 조명들(1110-1 ~ 1110-6)의 색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스키어가 내려가는 위치에 따라 R, G, B 색상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서버 장치(200)는 슬로프의 상위에 있는 옥외 조명부터 하위에 있는 옥외 주명까지 다양한 휘도나 컬러 등으로 변화를 주면서 심미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2는 공원에 옥외 조명이 설치된 경우의 조명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원의 경우 사용자가 앉아서 쉴수 있는 벤치(1210), 식사나 다과를 즐길 수 있는 카페테리아(1220) 및 산책로 등 다양한 시설이 있을 수 있다. 서버 장치는 공원 내에서도 그 영역 별 특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옥외 조명을 제어한다. 도 12에서 벤치(1210) 주위에 설치된 옥외 조명(1211)은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은은한 컬러 및 휘도로 점등시킬 수 있고, 카페테리아(1220) 주변의 옥외 조명(1221, 1222)은 휘도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식욕을 돋우는 주광색 계열의 컬러로 점등시킬 수 있다. 산책로나 광장 같이 사람이 많이 지나가고 활동적으로 움직이는 영역의 옥외 조명(1231 ~ 1234)은 R, G, B나 기타 컬러를 다채롭게 점등시키거나,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면서 활동의 재미를 느끼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장치(200)는 각 옥외 조명이 설치된 구체적인 위치와 용도 등을 고려하여 세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특수한 환경에서 국소적인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서버 장치는 넓은 환경에 분포된 다수의 옥외 조명들의 점멸 패턴을 제어하여 멀리 떨어진 관측자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도 13은 이러한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
큰 도시나 넓은 벌판, 고속 도로 등에는 많은 수의 옥외 조명(1310-1 ~ 1310-x)이 촘촘하게 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 장치는 이들 옥외 조명(1110-1 ~ 1110-6) 중 일부만을 점등하고 나머지는 소등하거나, 일부 조명의 색상만 다르게 한다거나, 점멸 속도를 다르게 하여 일종의 메시지(1300)를 표현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 기호를 표시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옥외 조명(1110-1 ~ 1110-6)의 수가 많다면 텍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서버 장치(200)는 이벤트 성으로 특정 지역의 옥외 조명(1110-1 ~ 1110-6)을 제어하여, 홍보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방향으로 옥외 조명들을 순차적으로 점등하거나 소등한다면, 다양한 표시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전망대 주변의 옥외 조명(1110-1 ~ 1110-6)들인 경우, 도 13과 같이 제어한다면, 만족도가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복수의 옥외 조명들이 균일한 패턴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이와 같이 균일하게 배치되지 않더라도 넓은 영역에서 다수의 옥외 조명(1110-1 ~ 1110-6)가 구비된 환경이라면 도 13과 같은 제어 동작을 통해서 심미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옥외 조명을 전체, 그룹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옥외 조명의 제어는 제어 UI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각 옥외 조명에서 주변 장치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분석한 분석 결과까지 제어 UI에 표시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옥외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옥외 조명 제어 방법, 정보 분석 방법 등은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배포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되면 전자 문서에 대한 각종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배포되거나, 온라인 상에서 배포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코드는, 복수의 옥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UI를 표시하는 단계, 제어 UI 상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복수의 옥외 조명을 일괄 제어하는 전체 제어 모드, 복수의 옥외 조명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그룹 별로 제어하는 그룹 제어 모드, 복수의 옥외 조명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제어 모드 중 하나로 설정되는 단계, 제어 UI 상에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모드에 따라 복수의 옥외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옥외 조명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코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서버 장치 뿐 아니라 PC,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키오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의 기록 매체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장치는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ROM, RAM, 메모리 칩, 메모리 카드, 외장형 하드, 하드,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를 온라인 공급자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장치 역시 상술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옥외 조명 200 : 서버 장치
210 : 통신부 220 : 컨트롤러
230 : 저장부 240 : 디스플레이

Claims (15)

  1. 복수의 옥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서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 UI 상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일괄 제어하는 전체 제어 모드,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그룹 별로 제어하는 그룹 제어 모드,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제어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며,
    상기 제어 UI 상에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옥외 조명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서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의 주변 차량의 정보가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주변 차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의 주변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주변 상황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 각각의 조명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 각각 전송하는, 서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이 위치한 전체 지역 중 적어도 일부 지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지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옥외 조명의 조명 상태를 타 지역에 위치한 옥외 조명과 상이하게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옥외 조명으로 전송하는, 서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이 위치한 전체 지역 중 적어도 일부 지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각 옥외 조명의 조명 상태를 상이하게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 각각 전송하는, 서버 장치.
  5. 제2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교통 정체 이벤트, 사고 이벤트, 도로 상태 이상 이벤트, 주의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상태는, 점등, 소등, 컬러, 디밍 정도, 점멸 패턴, 광조사 방향, 광조사 스폿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UI는 각 옥외 조명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지도 상에서 각 옥외 조명의 위치를 아이콘으로 표시하며,
    상기 그룹 제어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설치 위치, 종류, 용도,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그룹핑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제어 UI 상에 표시하는, 서버 장치.
  7. 복수의 옥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서버 장치의 옥외 조명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UI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 UI 상에서의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일괄 제어하는 전체 제어 모드,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그룹 별로 제어하는 그룹 제어 모드,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개별 제어 모드 중 하나로 설정되는 단계;
    상기 제어 UI 상에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현재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 중 적어도 하나의 옥외 조명으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옥외 조명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의 주변 차량의 정보가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주변 차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의 주변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주변 상황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 각각의 조명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 각각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옥외 조명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이 위치한 전체 지역 중 적어도 일부 지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지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옥외 조명의 조명 상태를 타 지역에 위치한 옥외 조명과 상이하게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옥외 조명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옥외 조명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이 위치한 전체 지역 중 적어도 일부 지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각 옥외 조명의 조명 상태를 상이하게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 각각 전송하는 옥외 조명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UI는 각 옥외 조명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 각각의 위치는 상기 지도 상에서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상기 옥외 조명 제어 방법은,
    상기 그룹 제어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을 설치 위치, 종류, 용도, 동작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따라 그룹핑하기 위한 메뉴를 상기 제어 UI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옥외 조명 제어 방법.
  12.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옥외 조명; 및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의 동작을 제어하는 서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 각각은, 주변 차량의 정보를 각 차량의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주변 차량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 각각의 주변 상황을 판단하여, 상기 주변 상황에 따라 조명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옥외 조명으로 각각 전송하는, 조명 시스템.
  13. 옥외 조명에 있어서,
    조명부;
    서버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및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옥외 조명 주변의 외부 장치와 상기 통신부 사이에서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외부 장치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는, 옥외 조명.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옥외 조명의 주변 차량에 탑재된 단말 장치이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차량이 상기 옥외 조명 방향으로 접근하면 상기 차량에 탑재된 단말 장치와의 통신 세션을 연결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이동 속도, 위치, 주행 시간, 잔여 거리, 움직임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동작을 조정하는, 옥외 조명.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점등, 소등, 컬러, 디밍 정도, 점멸 패턴, 광조사 방향, 광조사 스폿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옥외 조명.
KR1020190139450A 2019-11-04 2019-11-04 옥외 조명, 이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들 KR102304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450A KR102304920B1 (ko) 2019-11-04 2019-11-04 옥외 조명, 이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450A KR102304920B1 (ko) 2019-11-04 2019-11-04 옥외 조명, 이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618A true KR20210053618A (ko) 2021-05-12
KR102304920B1 KR102304920B1 (ko) 2021-09-27

Family

ID=7591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450A KR102304920B1 (ko) 2019-11-04 2019-11-04 옥외 조명, 이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9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840A (ko) 2015-04-29 2016-11-08 서지선 옥외 조명기구 및 옥외 조명기구용 제어 장치
KR20180034268A (ko) 2016-09-26 2018-04-04 알까뗄 루슨트 V2v 센서 공유 방법에 기초한 동적 교통 안내
KR20180078688A (ko) 2016-12-30 2018-07-10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LiFi와 TPEG 기술을 적용한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89660A (ko) 2017-02-01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002019B1 (ko) 2019-02-20 2019-07-19 조용성 도로 상황에 따라 가로등의 점등구간을 조절하는 도로 조명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840A (ko) 2015-04-29 2016-11-08 서지선 옥외 조명기구 및 옥외 조명기구용 제어 장치
KR20180034268A (ko) 2016-09-26 2018-04-04 알까뗄 루슨트 V2v 센서 공유 방법에 기초한 동적 교통 안내
KR20180078688A (ko) 2016-12-30 2018-07-10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LiFi와 TPEG 기술을 적용한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89660A (ko) 2017-02-01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제어 시스템
KR102002019B1 (ko) 2019-02-20 2019-07-19 조용성 도로 상황에 따라 가로등의 점등구간을 조절하는 도로 조명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920B1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202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trol of outdoor lighting networks
US2020014613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trol of outdoor lighting networks
US9696159B2 (en) Streetwise navigation system using infrastructure elements
US10643468B2 (en) Traffic light control device, method, and system
AU2013254834B2 (en) Road and path lighting system
KR101956529B1 (ko) 다기능 스마트 가로등
US20140253733A1 (en) Networked modular security and lighting device grids an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thereof
KR20210062417A (ko) 옥외 조명 장치, 조명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30120326A (ko) 지능형 가로등 시스템
US20090212942A1 (en) Street lamp system
US20200363043A1 (en) Independently operable multi-panel municipal luminaire
KR20130055873A (ko) Cim/bim기반의 모션디텍션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KR102304920B1 (ko) 옥외 조명, 이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과 그 제어 방법들
JP6213870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KR20090108982A (ko) 안개센서를 구비하는 사고방지 조명조절용 유비쿼터스가로등
ES2657165T3 (es) Aparato y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un sistema de iluminación
KR102054219B1 (ko) 횡단보도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30380B1 (ko) 스마트 조명 장치
KR20170129523A (ko) 횡단보도용 조명 스마트 제어 시스템
KR20090108967A (ko) 풍향센서를 구비하는 조명조절용 유비쿼터스 가로등
KR102498900B1 (ko) 차량 충전기가 구비된 스마트 인공지능 보안등
FR2991490A1 (fr) Systeme support d'information orientable
WO2018041756A1 (en) Illumination control
SK9419Y1 (sk) Systém osvetlenia priechodov, najmä priechodov pre chodcov
Guide Street Ligh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