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17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173A
KR20210053173A KR1020200105234A KR20200105234A KR20210053173A KR 20210053173 A KR20210053173 A KR 20210053173A KR 1020200105234 A KR1020200105234 A KR 1020200105234A KR 20200105234 A KR20200105234 A KR 20200105234A KR 20210053173 A KR20210053173 A KR 20210053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oling
cold air
evaporato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기훈
남정만
문형희
박영곤
박정근
이정용
정태윤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0/01506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86124A1/en
Priority to US17/085,400 priority patent/US11719484B2/en
Priority to EP20883472.1A priority patent/EP4018138A4/en
Publication of KR20210053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plug-i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냉장고가 개시된다. 개시된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외상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를 포함한 캐비닛과, 저장실의 냉기순환을 위해 단열재에 매립된 냉기덕트와, 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된 냉각 모듈 장착부 및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및 냉각팬이 설치되며 증발기를 눕힌 상태로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는 모듈 바디를 포함하며 냉각 모듈 장착부에 장착시 냉기덕트와 연통하는 접속구가 구비되는 냉각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리 가능한 냉기 공급 모듈을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시스템을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기기이다. 저장실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과, 대략 섭씨 0 ~ 영하 30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에 단열재가 마련되며, 캐비닛의 외부에는 기계실이 형성된다. 냉기 공급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요소 중에서 압축기 및 응축기는 캐비닛의 외부에 형성된 기계실에 배치되고, 증발기는 캐비닛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에 배치되며, 냉매가 이동하는 냉매관은 단열재를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냉장고는 냉기 공급 시스템의 냉각 성능을 시험하고자 하는 경우, 냉기 공급 시스템의 각 구성을 모두 캐비닛에 설치한 이후에만 냉각 성능 시험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냉기 공급 시스템을 유지 및 보수하고자 하는 경우, 캐비닛을 분해하여야 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냉기 공급 시스템을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냉기 공급 시스템을 유지 보수 시 저장실 냉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부품수를 줄여 구조를 단순화시킴에 의해 원가 절감을 통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냉기 공급 시스템의 소음과 진동이 고내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외상,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를 포함한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의 냉기순환을 위해 상기 단열재에 매립된 냉기덕트와,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된 냉각 모듈 장착부 및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및 냉각팬이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눕힌 상태로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는 모듈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모듈 장착부에 장착시 상기 냉기덕트와 연통하는 접속구가 구비되는 냉각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 바디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부가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일체화되며, 상기 수용부와 상기 집수부는 상기 격벽에 형성된 배수홀을 통해 서로 연통하고, 상기 수용부의 바닥은 상기 집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와 상기 집수부는 상기 모듈 바디에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모듈 바디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열되고, 상기 집수부에는 상기 응축기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증발기가 위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냉각팬이 위치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의 상부를 덮으며 냉기 회수공이 형성된 증발기 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모듈 바디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접속구가 형성된 모듈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구는 상기 냉기 회수공과 대응하는 제1 접속구와, 상기 냉각팬의 출구와 대응하는 제2 접속구를 포함한다.
상기 냉기덕트는 상기 저장실의 냉기를 회수하는 회수덕트와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구는 상기 회수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속구는 상기 공급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모듈 장착부의 양측에는 상기 냉각 모듈의 슬라이딩 장착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상히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냉각 모듈에는 상기 냉각 모듈을 제어하는 전장 모듈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복수의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외상,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를 포함한 캐비닛과, 상기 복수의 저장실의 냉기순환을 위해 상기 단열재에 매립된 냉기덕트와,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된 냉각 모듈 장착부와, 제1 증발기, 제2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제1 냉각팬, 제2 냉각팬 및 집수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증발기 및 상기 제2 증발기를 각각 눕힌 상태로 수용 가능한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갖는 모듈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모듈 장착부에 장착 시 상기 냉기덕트와 연통하는 접속구가 구비된 냉각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 바디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부가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형성하는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일체화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집수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와 상기 집수부를 각각 연통시키는 제1 배수홀 및 제2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의 바닥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1 배수홀 및 상기 제2 배수홀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모듈 바디의 전방에서 서로 구획된 상태로 좌우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모듈 바디의 후방에는 상기 응축기가 위치되는 상기 집수부와 상기 압축기가 장착되는 압축기 장착부가 펜스에 의해 서로 구획된 상태로 좌우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에는 상기 제1 증발기와 상기 제1 냉각팬이 수용되고, 상기 제2 수용부에는 상기 제2 증발기와 상기 제2 냉각팬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모듈 장착부의 양측에는 상기 냉각 모듈의 슬라이딩 장착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냉각 모듈 장착부의 후방에서 진입하여 전방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냉기덕트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저장실 중 적어도 두 개의 저장실과 연통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냉기덕트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저장실 중 하나의 저장실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 증발기는 상기 제2 증발기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장실은 제1 저장실, 제2 저장실 및 제3 저장실을 포함하고,
상기 냉기덕트는 상기 제1 수용부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1 저장실과 상기 제2 저장실에 제공하는 제1 공급덕트와, 상기 제1 저장실과 상기 제2 저장실의 냉기를 회수하는 제1 회수덕트와, 상기 제2 수용부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3 저장실로 제공하는 제2 공급덕트와, 상기 제3 저장실의 냉기를 회수하는 제2 회수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냉각 모듈 장착부의 천장을 형성하는 외상에는 상기 제1 냉각팬의 출구와 대응하는 제1 냉기 유입구와, 상기 제2 냉각팬의 출구와 대응하는 제2 냉기 유입구와, 상기 제1 증발기 근방의 어느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냉기 유출구와, 상기 제2 증발기 근방의 어느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냉기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급덕트는 일측이 상기 제1 냉기 유입구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1 저장실 및 상기 제2 저장실에 각각 연통되고, 상기 제2 공급덕트는 일측이 상기 제2 냉기 유입구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3 저장실과 연통되고, 상기 제1 회수덕트는 일측이 상기 제1 냉기 유출구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1 저장실 및 상기 제2 저장실의 각 하부영역에 각각 연통되고, 상기 제2 회수덕트는 일측이 상기 제2 냉기 유출구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3 저장실의 하부영역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제1 증발기와 상기 제2 증발기의 각 상부를 각각 덮으며 각각 상기 제1 냉기 유출구 및 상기 제2 냉기 유출구와 대응하는 제1 냉기 회수공 및 제2 냉기 회수공이 형성된 제1 증발기 커버 및 제2 증발기 커버와, 상기 제1 냉기 회수공 및 상기 제2 냉기 회수공과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제1 접속구와 상기 제1 냉기 유입구 및 상기 제2 냉기 유입구와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제2 접속구가 구비되며 상기 모듈 바디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모듈 커버와, 상기 제1 증발기 및 상기 제2 증발기를 제상하는 제상히터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외상,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를 포함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된 냉각 모듈 장착부;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및 냉각팬이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눕힌 상태로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는 모듈 바디를 포함하는 냉각 모듈; 외상 바닥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 대응되는 외상 바닥 개구 및 내상 바닥에 형성되며 상기 외상 바닥 개구에 대응되는 내상 바닥 개구를 포함하는 접속부로서, 상기 내상 바닥 개구 및 외상 바닥 개구가 상하로 배치되는 접속부; 및 상기 내상 바닥 개구를 개폐하는 접속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냉각 모듈 장착부에 장착 시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커버는, 상기 접속 커버가 상기 내상 바닥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저장실이 연통되는 접속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상 바닥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외상 바닥으로부터 상기 내상 바닥 개구를 향하여 돌출된 접속 넥(Access neck) 및 상기 내상 바닥에 접하도록 상기 접속 넥의 일단에 형성되는 넥 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 넥의 내측에 접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에 안착되며, 상기 접속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덕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 모듈은, 상기 접속부에 안착되는 덕트 모듈 바디;상기 덕트 모듈 바디에 채워지는 단열부; 및
상기 덕트 모듈 바디 및 상기 단열부를 관통하는 회수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커버는, 상기 단열부 상단을 커버하며 상기 덕트 모듈 바디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냉기 회수 덕트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고, 타단에 형성된 개구는 상기 접속 커버의 상기 접속구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커버는 상기 내상 바닥 개구의 테두리에 위치한 상기 내상 바닥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커버의 상단 테두리가 형성하는 면적은 상기 내상 바닥 개구의 테두리가 형성하는 면적보다 넓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바디는 상기 모듈 바디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단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상 바닥은, 상기 외상 바닥의 상기 냉각 모듈 장착부와 마주한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모듈이 상기 냉각모듈 장착부에 장착 시, 상기 단차부와 상기 함몰부가 밀착되어 상기 모듈 바디의 상기 상단 테두리 근처에서 냉기의 유출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모듈은, 응축수가 집수되며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집수부로서,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모듈 바디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열되는 집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와 상기 집수부는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배수홀 및 배수홀에 연결되며 상기 격벽을 관통하는 배수관을 통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배수관 및 상기 수용부의 바닥은 상기 집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배수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캡은 자중에 의하여 상기 배수관의 일단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모듈은, 냉각 모듈을 제어하는 전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는 사이에 응축팬을 두고, 상기 모듈 바디의 후방에 좌우로 배치되며, 상기 전장 모듈의 전장 모듈 하우징은 상기 압축기의 상부 및 상기 외상 바닥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모듈 바디로부터 상기 압축기를 향해 돌출된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장 모듈 하우징의 바닥은 상기 응축팬의 상단 및 상기 지지 브라켓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응축기, 상기 응축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전장 모듈을 커버하며 상기 외상의 후벽과 함께 냉장고의 외관을 이루는 모듈 후방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듈 후방 커버는 상기 응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에 대응되는 영역에 통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는 복수의 냉각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냉각핀 각각은, 상기 통기구로 유입되어 상기 응축팬으로 유동되는 기류의 유동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냉각핀은 상기 응축팬에 인접한 단변과 상기 모듈 후방 커버에 인접한 장변을 포함하는 C형상으로 배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냉기를 생성하고 공급하는 냉각 모듈이 캐비닛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냉기 공급 시스템을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냉각 모듈의 냉기는 단열재에 매립된 냉기덕트를 통해 순환됨에 따라 냉각 모듈의 탈부착 시 저장실의 냉기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모듈 바디에 증발기의 제상수 집수조가 일체화됨에 따라 집수조의 별도 설치를 위한 냉각 모듈의 제조원가가 줄어들고 설치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홀에 연결된 배수캡에 의하여 응축기의 열기에 의한 수증기가 증발기로 다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증발기의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냉각 모듈에 배치된 증발기가 눕힌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증발기의 제상 시 제상시간 및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캐비닛으로부터 냉각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 모듈 장착부를 형성하는 외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바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바디에 장착된 부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기덕트의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기덕트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캐비닛으로부터 냉각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각 모듈 장착부를 형성하는 외상중 외상 바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상 및 냉각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냉각 모듈 장착부를 형성하는 외상을 기준으로 내상 바닥 개구, 외상 바닥 개구 및 접속부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각 모듈 장착부를 형성하는 외상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커버 및 덕트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각 모듈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각 모듈을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각 모듈을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2의 D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기 덕트의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댐퍼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캐비닛으로부터 냉각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 모듈 장착부를 형성하는 외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냉장고(1)는 저장실(2)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저장실(2)을 개폐하는 도어(3)와, 캐비닛(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저장실(2)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각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1)과, 외상(11)의 내측에 결합되며 복수의 저장실(2)을 형성하는 내상(12)과, 저장실(2)을 단열하도록 외상(11)과 내상(12)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13)와, 냉각 모듈(100)과 저장실(2) 사이의 냉기 순환을 위해 단열재(13)에 매립된 냉기덕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상(11)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내상(12)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단열재(13)는 우레탄 폼 단열재(urethane foam insulation)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진공 단열재(vacuum insulation panel)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저장실(2)은 파티션(14)에 의해 복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저장실(2)의 내부에는 복수의 선반(17) 및 저장용기(18)가 구비될 수 있다.
파티션(14)은 저장실(2)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위치되는 수평 파티션(14a)과, 저장실(2)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는 수직 파티션(14b)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은 수평 파티션(14a)에 의해 상하 두 개의 저장실로 구획될 수 있고, 수직 파티션(14b)에 의해 하부 저장실을 좌우 두 개의 저장실로 구획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파티션(14)의 의해 구획된 복수의 저장실(2)은 하부 좌측에 위치된 제1 저장실(2a), 우측에 위치된 제2 저장실(2b), 상부에 위치된 제3 저장실(2c)로 칭할 수 있다.
제1 저장실(2a)과 제2 저장실(2b)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고, 제3 저장실(2c)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 있으나, 제1 저장실(2a), 제2 저장실(2b) 및 제3 저장실(2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필요에 따라 냉장실, 냉동실 또는 변온실로 사용될 수 있다.
도어(3)는 제1 저장실(2a)과 제2 저장실(2b)을 개폐하는 한 쌍의 하부도어(3b)와, 제3 저장실(2c)을 개폐하는 한 쌍의 상부도어(3a)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도어(3a)와 한 쌍의 하부도어(3b)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도어(3a)의 배면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도어가드(15)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도어(3a)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바(16)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바(16)는 한 쌍의 상부도어(3a)가 닫힐 때 한 쌍의 상부도어(3a) 사이 틈새를 밀폐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각 모듈(100)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냉각 모듈 장착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냉각 모듈 장착부(20)는 냉각 모듈(100)과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냉각 모듈 장착부(20)는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캐비닛(10)의 바닥을 형성하는 외상(11a)에 의해 상부, 전방 및 양 측방이 덮힌 상태이고, 후방은 냉각 모듈(100)이 진입 가능하도록 개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냉각 모듈 장착부(20)의 천장을 형성하는 외상(11a)에는 절개 형성된 제1 냉기 유입구(21), 제2 냉기 유입구(22), 제1 냉기 유출구(23) 및 제2 냉기 유출구(24)가 구비될 수 있다.
냉각 모듈 장착부(20)의 양 측방에는 냉각 모듈(100)의 장착 시 슬라이딩 장착을 안내하는 안내레일(25)이 설치될 수 있다.
안내레일(25)에는 냉각 모듈(100)의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101)와 구름 접촉하는 롤러(26)가 설치될 수 있다.
냉각 모듈(100)은 냉각 모듈 장착부(20)의 개방된 후방으로부터 진입하여 냉각 모듈 장착부(20) 전방으로 인입됨에 따라 냉각 모듈 장착부(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냉각 모듈(100)의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101)가 냉각 모듈 장착부(20)의 양측에 마련된 안내레일(2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냉각 모듈(100)은 냉각 모듈 장착부(20)에 장착되게 된다. 냉각 모듈(100)의 가이드(101)에는 안내레일(25)과 구름 접촉하는 롤러(10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모듈(100)의 레일 방식의 장착 구조는 냉각 모듈(100)의 유지 보수 시 냉각 모듈 장착부(20)에서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냉각 모듈(100)은 냉각 사이클을 통해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냉각 모듈(100)은 냉각 모듈 장착부(20)에 장착이 완료될 때 냉각 모듈 장착부(20)의 천장에 형성된 제1 냉기 유출구(23) 및 제2 냉기 유출구(24)와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제1 접속구(171,172)와, 제1 냉기 유입구(21) 및 제2 냉기 유입구(22)와 각각 연통되는 한 쌍의 제2 접속구(173,174)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접속구(171,172)는 저장실(2)의 냉기를 냉각 모듈(100)로 회수하는 개구일 수 있고, 한 쌍의 제2 접속구(173,174)는 냉각 모듈(100)에서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2)로 공급하는 개구일 수 있다.
냉각 모듈(100)이 냉각 모듈 장착부(20)에 장착이 완료되면, 제1 냉기 유출구(23) 및 제2 냉기 유출구(24)는 한 쌍의 제1 접속구(171,172)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냉기 유입구(21) 및 제2 냉기 유입구(22)는 한 쌍의 제2 접속구(173,174)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사이에는 접속 시 틈새로 인한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미도시)가 한 쌍의 제1 접속구(171,172)와 한 쌍의 제2 접속구(173,174)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바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바디에 장착된 부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냉각 모듈(100)은 모듈 바디(110), 모듈 커버(170), 모듈 베이스(180), 압축기(140), 증발기(120), 응축기(150), 냉각팬(130)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바디(110)는 냉각 모듈 장착부(20)와 대응하는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압축기(140), 증발기(120), 응축기(150), 냉각팬(130), 응축팬(151) 등이 설치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냉각 모듈(100)이 두 개의 증발기(120)와 두 개의 냉각팬(130)을 구비한 예를 들어 설명하나, 하나의 증발기 및 냉각팬을 갖는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모듈 바디(110) 내부에는 냉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가 채워질 수 있다.
모듈 바디(110)는 두 개의 증발기(120)를 각각 눕힌 상태로 수용 가능한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는 모듈 바디(110)의 전방(냉각 모듈의 장착방향)에서 서로 구획된 상태로 좌우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11)는 제1 증발기(121)를 눕힌 상태에서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질 수 있고, 제2 수용부(112)는 제2 증발기(122)를 눕힌 상태에서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는 각각 모듈 바디(110)의 상면에서 대응하는 증발기(121,122)를 수용할 수 있게 움푹 패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11)에는 제1 증발기(121)와 제1 냉각팬(131)이 함께 수용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11)는 제1 증발기(121)가 눕힌 상태로 안착되는 제1 영역(111a)과, 제1 냉각팬(131)이 수용되는 제2 영역(111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수용부(112)에는 제2 증발기(122)와 제2 냉각팬(132)이 함께 수용될 수 있다.
제2 수용부(112)는 제2 증발기(122)가 눕힌 상태로 안착되는 제1 영역(112a)과, 제2 냉각팬(132)이 수용되는 제2 영역(112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는 각각 제1 증발기(121)와 제2 증발기(122)에 의해 생성된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증발기 커버(160)에 의해 상부가 덮혀질 수 있다.
증발기 커버(160)는 제1 수용부(111) 상부를 덮는 제1 증발기 커버(161)와, 제2 수용부(112) 상부를 덮는 제2 증발기 커버(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발기 커버(161)는 제1 수용부(111)에서 제1 증발기(121)가 위치되는 제1 영역(111a)의 상부만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2 증발기 커버(162)는 제2 수용부(112)에서 제2 증발기(122)가 위치되는 제1 영역(112a)의 상부만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증발기 커버(161) 및 제2 증발기 커버(162)에는 각각 모듈 커버(170)에 구비된 한 쌍의 제1 접속구(171,172)와 각각 대응하는 제1 냉기 회수공(163) 및 제2 냉기 회수공(16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11)에 생성된 냉기는 복수의 저장실(2) 중 적어도 두 개의 저장실(2)에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제2 수용부(112)에 생성된 냉기는 복수의 저장실(2) 중 하나의 저장실에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수용부(111)에 수용된 제1 증발기(121)는 제2 수용부(112)에 수용된 제2 증발기(12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모듈 바디(110)의 후방에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부(113)와, 압축기(140)가 장착되는 압축기 장착부(114)가 위치될 수 있다.
집수부(113)와 압축기 장착부(114)는 모듈 바디(110)의 후방에서 연장 형성되는 펜스(fence)(116)에 의해 좌우로 구분되어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펜스(116)의 일측에는 응축팬(151)이 배치될 수 있다.
집수부(113)에는 응축기(150)가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압축기 장착부(114)에는 압축기(14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40)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15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응축기(150)는 냉매를 응축시켜 팽창밸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응축팬(151)은 압축기(140) 및 응축기(15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집수부(113)와 압축기 장착부(114)는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의 일부를 형성하는 격벽(115)에 의해 서로 구획된 상태로 모듈 바디(110)의 후방에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집수부(113)는 제1 수용부(111)와 제2 수용부(112)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집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수용부(111,112)와 집수부(113)를 구획하는 격벽(115)에는 구획된 두 영역을 연통시키기 위한 제1 배수홀(117) 및 제2 배수홀(118)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수용부(111)의 제1 바닥(111c) 및 제2 수용부(112)의 제2 바닥(112c)은 응축수가 집수부(113)로 원활히 집수될 수 있도록 집수부(113) 또는 대응하는 배수홀(117,118)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듈 바디(110)는 제1 수용부(111), 제2 수용부(112), 집수부(113) 및 압축기 장착부(114)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모듈 베이스(180)는 모듈 바디(11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모듈 베이스(180)는 모듈 바디(110)의 전방 하부를 커버하는 전방 모듈 베이스(181)와, 모듈 바디(110)의 후방 하부를 커버하는 후방 모듈 베이스(182)를 포함할 수 잇다.
전방 모듈 베이스(181)와 모듈 바디(110) 사이에는 증발기의 제상을 위한 제상히터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제상히터부(190)는 제1 증발기(121)와 제2 증발기(122)가 각각 수용부(111,112)에 눕힌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제상히터부(190)의 동작 시 증발기(121,122)의 두께 만큼의 거리만 열전달을 하여 짧은 시간 내에 제상을 완료할 수 있다.
냉각 모듈(100)에는 냉각 모듈(100)을 제어하기 위한 전장 모듈(191)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전장 모듈(191)은 모듈 커버(17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장 모듈(191)은 냉각 모듈(100)을 제어하여 저장실(2)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냉각 모듈(100)과 저장실(2)의 냉기 순환은 캐비닛(10)에 구비된 냉기덕트(4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기덕트의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냉기덕트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기덕트(40)는 외상(11)과 내상(12)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13)에 매립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냉기덕트(40)는 저장실(2)의 냉기를 냉각 모듈(100)로 회수하는 회수덕트(50)와, 냉각 모듈(100)에서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2)로 공급하는 공급덕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모듈(100)이 냉각 모듈 장착부(20)에 장착 완료된 경우, 공급덕트(60)는 냉각 모듈(100)의 제2 접속구(173,174)와 연통되어 냉각 모듈(100)로부터 냉기를 제공받을 수 있고, 회수덕트(50)는 냉각 모듈(100)의 제1 접속구(171,172)와 연통되어 저장실(2)의 냉기를 냉각 모듈(100)로 제공할 수 있다.
공급덕트(60)는 냉각 모듈(100)의 제1 수용부(111)에서 생성된 냉기를 제1 저장실(2a)과 제2 저장실(2b)에 제공하는 제1 공급덕트(61)와, 냉각 모듈(100)의 제2 수용부(112)에서 생성된 냉기를 제3 저장실(2c)에 제공하는 제2 공급덕트(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급덕트(61)는 일측이 제1 냉기 유입구(21)와 연결되며, 타측은 제1 저장실(2a) 및 제2 저장실(2b)에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제1 공급덕트(61)는 제1 냉기 유입구(21)와 연결되어 제1 수용부(111)의 냉기가 유입되는 제1 유입부(61a)와, 제1 저장실(2a)과 제2 저장실(2b)에 각각 냉기를 배출시키는 제1 냉기배출구(63)가 형성된 한 쌍의 제1 배출부(61b, 61c)와, 한 쌍의 제1 배출부(61b,61c) 사이를 연결시키며 댐퍼(damper)(62)가 설치되는 제1 연결부(61d)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62)의 개폐 동작에 의해 제1 유입부(61a)로 유입된 냉기는 제2 저장실(2b) 쪽으로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댐퍼(62)는 제1 연결부(61d)를 통과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2 공급덕트(65)는 일측이 제2 냉기 유입구(22)와 연결되며, 타측은 제3 저장실(2c)과 연통될 수 있다.
제2 공급덕트(65)는 제2 냉기 유입구(22)와 연결되어 냉각 모듈(100)의 제2 수용부(112)에서 생성된 냉기가 유입되는 제2 유입부(65a)와, 제2 유입부(65a)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제1 저장실(2a)의 후방에 위치되며 제1 저장실(2a)로 냉기를 배출시키는 제2 냉기배출구(66)가 형성된 제2 배출부(65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수덕트(50)는 제1 저장실(2a)과 제2 저장실(2b)의 냉기를 냉각 모듈(100)의 제1 수용부(111)에 제공하는 제1 회수덕트(51)와, 제3 저장실(2c)의 냉기를 냉각 모듈(100)의 제2 수용부(112)에 제공하는 제2 회수덕트(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수덕트(51)는 일측이 제1 냉기 유출구(23)와 연결되며, 타측은 제1 저장실(2a)과 제2 저장실(2b)의 하부영역에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제1 회수덕트(51)는 제1 저장실(2a)과 연결되는 제1 분기 유입부(51a)와, 제2 저장실(2b)과 연결되는 제2 분기 유입부(51b)와, 제1 분기 유입부(51a)와 제2 분기 유입부(51b)가 합류하여 제1 수용부(111)로 냉기를 배출시키는 합류부(5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수덕트(55)는 일측이 제2 냉기 유출구(24)와 연결되며, 타측은 제3 저장실(2c)의 하부영역에 연통될 수 있다.
제2 회수덕트(55)는 제3 저장실(2c)의 하부영역과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회수 유입부(55a)와, 회수 유입부(55a)의 하단에서 제2 냉기 유출구(24)를 향해 수평 연장되는 회수 배출부(5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캐비닛으로부터 냉각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각 모듈 장착부를 형성하는 외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상 및 냉각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냉각 모듈 장착부를 형성하는 외상을 기준으로 내상 바닥 개구, 외상 바닥 개구 및 접속부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각 모듈 장착부를 형성하는 외상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커버 및 덕트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각 모듈(1000)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냉각 모듈 장착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냉각 모듈 장착부(200)는 냉각 모듈(1000)과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냉각 모듈 장착부(200)는 사각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캐비닛(10)의 바닥을 형성하는 외상(11b)에 의해 상부, 전방 및 양 측방이 덮힌 상태이고, 후방은 모듈 후방 커버(2000, 도 13 참조)에 의하여 덮히도록 개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냉각 모듈 장착부(200)는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냉각 모듈(1000)은 냉각 모듈 장착부(200)의 개방된 하부로부터 진입하여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상방으로 인입됨에 따라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장착될 수 있다.
냉각 모듈 장착부(200)의 천장을 형성하는 외상(11b)은 외상 바닥(11b)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일한 용어로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외상 바닥(11b)은 외상 바닥(11b)을 제외한 외상(11)의 나머지 부분과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외상(11)은 외상 바닥(11b)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냉각 모듈 장착부(200)의 천장을 형성하는 외상(11b), 즉 외상 바닥(11b)에는 제1 냉기 유입구(221), 제2 냉기 유입구(221') 및 제3 냉기 유입구(222)가 형성될 수 있다. 냉각 모듈 장착부(200)의 천장을 형성하는 외상(11b), 즉 외상 바닥(11b)에는 냉기 유출구(223) 가 형성될 수 있다. ㄷ냉기 유출구(223)는 제 2 회수 덕트와 ㄷ
외상 바닥(11b)에는 외상 바닥 개구(11ba)가 형성될 수 있다. 외상 바닥 개구(11ba)는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인입된 냉각 모듈(1000)의 수용부(1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외상 바닥 개구(11ba)는 냉각 모듈(1000)의 수용부(1110)와 연통될 수 있다. 수용부(1110)에 관하여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내상 바닥(12b)에는 내상 바닥 개구(12ba)가 형성될 수 있다. 내상 바닥 개구(12ba)는 상술한 외상 바닥 개구(11b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외상 바닥 개구(11ba) 및 내상 바닥 개구(12ba)의 형상은 편평한 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각 모듈 장착부(200) 또는 냉각 모듈(1000)의 형상에 따라 곡면 또는 절곡부를 지닌 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냉각 모듈(1000)이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장착 시, 저장실(2)과 연통되도록 하는 접속부(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속부(19)는 냉각 모듈(1000)과, 수평 파티션(14a)에 의해 구획된 상하 두 개의 저장실 중 하부 저장실(2a, 2b)이 서로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속부(19)는 내상 바닥 개구(12ba) 및 외상 바닥 개구(11ba)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접속부(19)는 상단에 내상 바닥 개구(12ba)가 위치하며, 하단에 외상 바닥 개구(11ba)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냉각 모듈(1000)이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한 쌍의 하부도어(3b)를 열어 하부 저장실(2a, 2b)을 개방하여 상술한 접속부(19)를 통하여 냉각 모듈(1000)에 접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속부(19)를 통하여 냉각 모듈(1000)의 수용부(1110)에 접근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 및 도 19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외상 바닥 개구(11b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접속 넥(Access neck, 19a) 및 접속 넥(19a)의 일단에 형성되는 넥 플랜지(1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 넥(19a)의 일단에는 내상 바닥 개구(12ba)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넥(19a)의 인단에 형성된 넥 플랜지(19b)의 안쪽 테두리 형상은 대략 내상 바닥 개구(12ba)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또는 접속 넥(19a)의 인단에 형성된 넥 플랜지(19b)의 안쪽 테두리에 의하여 내상 바닥 개구(12ba)가 형성될 수 도 있다.
접속 넥(19a)은 외상 바닥 개구(11b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외상 바닥(11b)으로부터 내상 바닥 개구(12ba)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접속 넥(19a)의 일단에 형성된 넥 플랜지(19b)는 내상 바닥 개구(12ba)의 둘레에 위치한 내상 바닥(12b)의 아랫면에 접하며 고정될 수 있다. 접속 넥(19a)의 내측에는 상술한 접속부(19)가 형성될 수 있다. 접속 넥(19a)의 외측 둘레에는 내상 바닥(12b)과 외상 바닥(11b)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므로 단열재(13)가 채워질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내상 바닥 개구(12ba)를 개폐하는 접속 커버(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커버(710)는 접속 커버(710)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걸림부(7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접속 커버(710)의 상단 테부리를 걸림부(712)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접속 커버(710)의 상단 테두리 즉 걸림부(712)는 내상 바닥 개구(12ba)의 테두리에 위치한 내상 바닥(12b)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속 커버(710)의 상단 테두리가 형성하는 면적은 내상 바닥 개구(12ba)의 테두리가 형성하는 면적보다 넓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커버(710)는 접속부(19)의 상부에서 접속부(19)를 향하여 접근하다가 걸림부(712)가 내상 바닥(12b)에 걸리게 될 수 있다.
접속 커버(710)가 접속부(19)의 상단, 즉 내상 바닥 개구(12ba)를 폐쇄한 상태에서 접속 커버는(710) 내상 바닥(12b)과 함께 하부 저장실(2a, 2b)의 인테리어(Interior)를 형성할 수 있다.
접속 커버(710)는, 접속 커버(710)가 내상 바닥 개구(12ba)를 폐쇄한 상태에서 접속부(19)와 하부 저장실(2a, 2b)이 연통되는 접속구(7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저장실(2a, 2b)의 회수 냉기는 접속 커버(710)의 접속구(712)를 통과한 후, 접속부(19)를 지나 냉각 모듈(1000)의 수용부(1110)로 유입될 수 있다.
접속 커버(710)의 하부에는 덕트 모듈 바디(720)가 배치될 수 있다. 접속 커버(710)는 덕트 모듈 바디(72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 모듈 바디(720)의 내부에는 단열부(730)가 배치될 수 있다. 접속 커버(710), 단열부(730) 및 덕트 모듈 바디(720)가 하나의 덕트 모듈(700)을 형성할 수 있다. 덕트 모듈(700)에 관하여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냉각 모듈(1000)은 냉각 사이클을 통해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냉각 모듈(1000)은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장착이 완료될 때 냉각 모듈 장착부(200)의 천장에 형성된 제1 냉기 유입구(221), 제2 냉기 유입구(221'), 제3 냉기 유입구(222)와 각각 연통되는 제1 송풍 개구(1121a), 제2 송풍 개구(1121b), 제3 송풍 개구(1122a)를 포함 할 수 있다.
냉각 모듈(1000)은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장착이 완료될 때 냉각 모듈 장착부(200)의 천장에 형성된 냉기 유출구(223)와 연통되는 제1 회수구(1123a)를 포함 할 수 있다.
제1 회수구(1123a)는 저장실(2)의 냉기를 냉각 모듈(1000)로 회수하는 개구일 수 있고, 제1 냉기 유입구(221), 제2 냉기 유입구(221'), 제3 냉기 유입구(222)는 냉각 모듈(1000)에서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2)로 공급하는 개구일 수 있다.
냉각 모듈(1000)은 모듈 바디(1100), 모듈 베이스(1800), 압축기(1400), 증발기(1200), 응축기(1500), 냉각팬(1310, 1320)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베이스(1800)는 전방 모듈 베이스(1810) 및 후방 모듈 베이스(18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중 전방 모듈 베이스(1810)는 모듈 바디(1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모듈 바디(110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모듈 바디(1100)는 냉각 모듈 장착부(200)와 대응하는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증발기(1200), 냉각팬(1300) 등이 설치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모듈 바디(1100)와는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모듈 바디(1100)에는 응축기(1500), 응축팬(1510) 및 압축기(1400)가 일체화 되도록 설치되지 않고 후방 모듈 베이스(1820)에 설치된 후, 모듈 바디(1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모듈 바디(1100)와 같이 모듈 바디(1100)는 압축기(1400), 증발기(1200), 응축기(1500), 냉각팬(1300), 응축팬(1510) 등이 설치되어 일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냉각 모듈(1000)이 한 개의 증발기(1200)와 두 개의 냉각팬(1300)을 구비한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복수의 증발기 및 하나의 냉각팬을 갖는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모듈 바디(1100) 내부에는 냉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가 채워질 수 있다.
모듈 바디(1100)는 하나의 증발기(1200)를 눕힌 상태로 수용 가능한 수용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200)는 수용부(1110) 내에 눕힌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200)는 수용부(1110) 내에 전방(냉장고(1)에서 도어(3)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하자면 증발기(1200)는 제1 수용부(111) 및 제2 수용부(112)에 해당되는 영역에 걸쳐 눕힌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수용부(1110)는 증발기(1200)를 눕힌 상태에서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1110)는 모듈 바디(1100)의 상면에서 대응하는 증발기(1200)를 수용할 수 있게 움푹 패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수용부(1110)에는 증발기(1200)와 제1 냉각팬(1310) 및 제2 냉각팬(1320)이 함께 수용될 수 있다. 수용부(1110)는 증발기(1200)가 눕힌 상태로 안착되는 제1 영역(1110a)과, 제1 냉각팬(1310) 및 제2 냉각팬(1320)이 수용되는 제2 영역(111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영역(1110b)은 냉각팬의 수에 맞추에 다시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 될 수 있다. 제2 영역(1110b)은 제1 냉각팬 안착부(1121) 및 제2 냉각팬 안착부(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팬 안착부(1121)의 상단에는 제1 송풍 개구(1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냉각팬 안착부(1122)의 상단에는 제3 송풍 개구(1122a)가 형성될 수 있다. 모듈 바디(1100)의 제2 송풍 개구(1121b)의 인접한 영역에 제2 송풍 개구(1121b)가 형성될 수 있다. 모듈 바디(1100)의 제3 송풍 개구(1122a)의 인접한 영역에 제1 회수구(1123a)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모듈 바디(1100) 상의 제2 송풍 개구(1121b) 및 제1 회수구(1123a)의 형성 위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모듈 바디(1100)와는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모듈 바디(1100)는 제1 증발기 커버(161) 및 제2 증발기 커버(162) 또는 모듈 커버(170)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직접 외상 바닥(11b)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송풍 개구(1121a) 및 제2 송풍 개구(1121b)는 모듈 바디(1100) 상단 일부 영역에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냉각 모듈(1000)이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장착되면, 모듈 바디(1100)의 상단 면은 외상 바닥(11b)과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송풍 개구(1121a)는 제1 냉기 유입구(221)와 밀착되어 연통되고, 제2 송풍 개구(1121b)는 제2 냉기 유입구(221')와 밀착되어 연통되며, 제3 송풍 개구(1122a)는 제3 냉기 유입구(222)와 밀착되어 연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회수구(1123a)는 냉기 유출구(223)에 밀착되어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모듈 바디(1100)와는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모듈 바디(1100)는 제1 증발기 커버(161) 및 제2 증발기 커버(162) 또는 모듈 커버(170)가 생략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조공정의 단순화 및 원가 절감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서의 외상 바닥(11b)과 모듈 바디(1100) 상단의 밀착 접촉 구조만으로는 냉기 유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냉기 유실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 모듈(1000)은 단차부(1101)를 포함하고, 외상 바닥(11b)은 함몰부(11c)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11c)는 단차부(110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모듈 바디(1100)의 상단에는 상단 테두리를 따라 단차부(110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모듈 바디(1100)의 단차부(1101)의 두께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각 모서리 마다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전방(냉장고(1)에서 도어(3)의 배치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상단 모서리에 형성되는 단차부(1101)는 다른 모서리에 형성되는 단차부(1101)에 비하여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듈 바디(1100)의 상단 테두리의 전방에 형성된 단차부(1101)는 후방에 형성된 단차부(1101)에 비하여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모듈 바디(1100)의 단차부(1101)의 두께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각 모서리를 따라 모두 돌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외상 바닥(11b)의 단차부(1101)의 형상에 대응되는 함몰부(1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11c)는 외상 바닥(11b)의 냉각 모듈 장착부(200)과 마주한 면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각 모듈(1000)이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장착되면, 모듈 바디(1100)의 상단 면은 외상 바닥(11b)과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송풍 개구(1121a)는 제1 냉기 유입구(221)와 밀착되어 연통될 수 있다. 또는 제3 송풍 개구(1122a)는 제3 냉기 유입구(222)와 밀착되어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와 더불어, 냉각 모듈 장착부(200) 내에서 외상 바닥(11b)과 모듈 바디(1100)가 모듈 바디(1100) 상단 테두리 영역에서 단차부(1101) 및 함몰부(11c)의 치합(齒合)되어, 냉각 모듈(1000)과 저장실(2) 사이에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냉각 모듈(1000)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장착되면, 단차부(1101)와 함몰부(11c)가 밀착되어 모듈 바디(1100)의 상단 테두리 근처에서 냉기의 유출이 차단될 수 있다.
제1 냉각팬(1310)에 의하여 유동되는 냉기는 복수의 저장실(2) 중 적어도 두 개의 저장실(2)에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제2 냉각팬(1320)에 유동되는 냉기는 복수의 저장실(2) 중 하나의 저장실에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냉각팬(1310)과 제2 냉각팬(1320)의 송풍 출력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모듈 바디(1100)의 후방에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부(1130)와, 압축기(1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모듈 바디(1100)와는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모듈 바디(1100)는 집수부(1130)와 압축기 장착부가 일체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집수부(113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의 형태로서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집수부(1130)와 압축기(1400)는 후방 모듈 베이스(1820)상에 고정될 수 있다. 후방 모듈 베이스(1820)는 모듈 바디(1100)가 고정되어 있는 전방 모듈 베이스(1810)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후방 모듈 베이스(1820)는 모듈 바디(1100)가 고정되어 있는 전방 모듈 베이스(1810)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결합되어 냉각 모듈(1000)을 구성할 수 있다.
집수부(1130)와 압축기 모듈 응축팬(1510)에 의해 좌우로 구분되어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응축팬(1510)은 축류팬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응축팬(1510)의 둘레에는, 응축팬(1510)을 감싸는 응축팬 커버(1520)가 마련될 수 있다. 응축팬 커버(1520)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응축팬 커버(1520)의 높이는 대략 모듈 바디(110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집수부(1130)에는 응축기(150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400)는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15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응축기(1500)는 냉매를 응축시켜 팽창밸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응축팬(1510)은 압축기(1400) 및 응축기(15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집수부(1130)는 수용부(1110)를 형성하는 모듈 바디(1100)의 격벽을 사이에 두고 모듈 바디(1100)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열될 수 있다.
수용부(1110)와 집수부(1130)는 수용부(1110)에 형성된 배수홀(1170) 및 배수홀(1170)에 연결된 배수관(1172)을 통하여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배수홀(1170) 및 이에 대응되는 배수관(1172)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수홀(1170) 및 이에 대응되는 배수관(1172)은 단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홀(1170)은 수용부(1110)의 바닥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배수홀(1170)은 수용부(1110) 바닥 중 제1 냉각팬 안착부(1121) 및 제2 냉각팬 안착부(1122)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10)의 바닥은 집수부(113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10) 내에서 제1 냉각팬 안착부(1121) 및 제2 냉각팬 안착부(1122)은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되며, 수용부(1110)를 형성하는 모듈 바디(1100)의 격벽을 사이에 두고 집수부(1130)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배수홀(1170)의 둘러싼 영역에 수용부(1110)의 바닥의 전반적인 경사도보다 큰 부분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1170)의 하단에는 배수관(1172)이 연결될 수 있다. 배수관(1172) 역시 수용부(1110)의 바닥과 유사하게 집수부(113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1110)의 바닥이 집수부(1130) 또는 대응하는 배수홀(1170)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되고, 배수홀(1170)에 연결된 배수관(1172)이 집수부(113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구비되어, 응축수가 집수부(1130)로 원활히 집수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배수관(117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캡(1172)이 마련될 수 있다. 배수캡(1172)은 자중에 의하여 배수관(1172)의 일단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캡(1172)이 배수관(1172)의 일단을 폐쇄한 상태에서 배수관(1172)의 경사를 따라 응축수가 모일 수 있다. 응축수가 일정량 모이게 되면 모인 응축수의 무게에 의하여 배수캡(1172)이 회전되어 배수관(1172)의 일단을 개방할 수 있다. 모인 응축수는 집수부(1130)로 흘러 나가게 된다.
배수관(1172)의 일단이 상기 개방되어 있지 않게되므로 응축기(1500)에 의한 증기가 증발기(1200)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응축기(1500)에 의한 증기가 증발기(1200)에 결로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모듈 베이스(1800)는 모듈 바디(110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모듈 베이스(1800)는 모듈 바디(1100)의 전방 하부를 커버하는 전방 모듈 베이스(1810)와, 응축기(1500), 응축기(1500)가 고정된 집수부(1130), 응축팬 커버(1520) 및 압축기(1400) 하부를 커버하는 후방 모듈 베이스(1820)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기(1500), 응축기(1500)가 고정된 집수부(1130), 응축팬 커버(1520) 및 압축기(1400)는 좌우로 나란히 배열되어 후방 모듈 베이스(1820)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전방 모듈 베이스(1810)와 모듈 바디(1100) 사이에는 증발기(1200)의 제상을 위한 제상히터부(1900)가 마련될 수 있다.
제상히터부(1900)는 증발기(1200)가 수용부(1110)에 눕힌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제상히터부(1900)의 동작 시 증발기(1200)의 두께만큼의 거리만 열전달을 하여 짧은 시간 내에 제상을 완료할 수 있다.
도 12, 도 13 및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발명의 다른 실시예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내상 바닥 개구(12ba)를 개폐하는 접속 커버(7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커버(710)의 상단 테두리 즉 걸림부(712)는 내상 바닥 개구(12ba)의 테두리에 위치한 내상 바닥(12b)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속 커버(710)가 접속부(19)의 상단, 즉 내상 바닥 개구(12ba)를 폐쇄한 상태에서 접속 커버(710)는 내상 바닥(12b)과 함께 하부 저장실(2a, 2b)의 인테리어(Interior)를 형성할 수 있다.
접속 커버(710)는, 접속 커버(710)가 내상 바닥 개구(12ba)를 폐쇄한 상태에서 접속부(19)와 하부 저장실(2a, 2b)이 연통되는 접속구(7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구(712)는 접속 커버(710) 상에 절개 형성될 수 있다. 접속구(712)는 접속 커버(710)상 하부 도어(3b)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접속구(712)는 접속 커버(710)의 전방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접속 커버(710)의 하부에는 덕트 모듈 바디(720)가 배치될 수 있다. 접속 커버(710)는 덕트 모듈 바디(72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 모듈 바디(720)의 내부에는 단열부(730)가 배치될 수 있다. 접속 커버(710), 단열부(730) 및 덕트 모듈 바디(720)가 하나의 덕트 모듈(700)을 형성할 수 있다.
덕트 모듈 바디(720)는 단열부(73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움푹 패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단열부(730)는 외상(11)과 내상(12)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13)와 마찬가지로, 우레탄 폼 단열재(urethane foam insulation)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진공 단열재(vacuum insulation panel)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덕트 모듈 바디(720)의 상하 폭은 접속부(19)의 상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덕트 모듈 바디(720)의 상하 폭은 접속부(19) 상단에 배치된 내상 바닥 개구(12ba) 와 접속부(19)의 하단에 배치된 외상 바닥 개구(11ba)간의 거리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덕트 모듈 바디(720)의 바닥은 따라서 외상 바닥 개구(11ba)를 통과하여 증발기(1200)의 상면과 근소한 이격거리를 두고 마주할 수 있다.
접속구(712)의 하부에는, 단열부(730)를 관통하며 접속구(712)와 연통되는 제1 회수 덕트(7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수 덕트(740)의 상단에는 접속구(71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수 덕트(740)의 하단에 대응되는 덕트 모듈 바디(720)의 바닥에는 수용부 연통구(721)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 연통구(721)는 제1 회수 덕트(740)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로서 마련될 수 있다. 접속구(712)는 제1 회수 덕트의 타단에 형성된 개수로서 마련될 수 있다. 수용부 연통구(721)는 제1 회수 덕트(740)의 하단에 형성되며, 접속구(712)의 수직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회수 덕트(740)는 접속구(712) 및 수용부 연통구(721)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부 저장실(2a, 2b)의 냉기는 접속 커버(710)의 접속구(712)를 통과한 후, 접속부(19)를 지나 냉각 모듈(1000)의 수용부(1110)로 유입될 수 있다. 또는 하부 저장실(2a, 2b)의 회수 냉기는 접속 커버(710)의 접속구(712), 제1 회수 덕트(740) 및 수용부 연통구(72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냉각 모듈(1000)의 수용부(1110)로 유입될 수 있다. 접속구(712)는 접속 커버(710)의 전방 상단에 위치하며 제1 회수 덕트(740) 및 수용부 연통구(721)는 접속구(712)의 수직 하방에 배치되므로, 수용부(1110)로 유입된 냉기는 증발기(1200)와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진 뒤 제1 냉각팬(1310) 또는 제2 냉각팬(13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각 모듈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각 모듈을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각 모듈을 상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2의 D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냉각 모듈(1000)에는 냉각 모듈(1000)을 제어하기 위한 전장 모듈(1910)이 구비될 수 있다. 전장 모듈(1910)은 냉각 모듈(1000)을 제어하여 저장실(2)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전장 모듈(1910)은 전장품(미도시) 및 전장품(미도시)가 내부에 배치되는 전장 모듈 하우징(19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장 모듈 하우징(1920)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1400) 및 응축기(1500)는 사이에 응축팬(1510)을 두고, 모듈 바디(1100)의 후방에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전장 모듈(1910)의 전장 모듈 하우징(1920)은 압축기(1400)의 상부 및 외상 바닥(11b)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장 모듈 하우징(1920)은 압축기(1400)와 외상 바닥(11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장 모듈 하우징(1920)은 모듈 바디(1100)로부터 압축기(1400)를 향해 돌출된 지지 브라켓(1102) 및 응축팬 커버(1520)의 상단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팬(1510)에 의하여 유동되는 냉각 기류(D2)는 전장 모듈 하우징(1920)의 하부로 집중적으로 유동되며 압축기(14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장 모듈 하우징(1920)의 하부를 유동하며 전장 모듈(1910)의 전장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열도 동시에 냉각하는 효과를 지닐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냉각 모듈(1000)은, 응축기(1500), 응축팬(1510), 압축기(1400) 및 전장 모듈(1910)을 커버하며 외상(11)의 후벽과 함께 냉장고(1)의 외관을 이루는 모듈 후방 커버(2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 후방 커버(2000)는 응축기(1500) 또는 압축기(1400)에 대응되는 영역에 통기구(2100)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 외부의 공기는,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응축기(1500)에 대응되는 모듈 후방 커버(2000)의 통기구(2100)로 유입되는 기류(D1), 응축팬(1510)에 의하여 유동되는 기류(D2) 및 압축기(1400)를 거쳐 압축기(1400)에 대응되는 모듈 후방 커버(2000)의 통기구(2100)로 유출되는 기류(D3)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응축기(1500)는 복수의 냉각핀(150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냉각핀(1501)은 응축팬(1510)에 인접한 단변과 상기 모듈 후방 커버(2000)에 인접한 장변을 포함하는 C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냉각핀(1501) 각각은, 통기구(2100)로 유입되어 응축팬(1510)으로 유동되는 기류(D1, D2)의 유동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기류의 유동 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되어 효과적인 순환기류를 형성할 수 있어 응축기(1500) 및 압축기(1400)를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기 덕트의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이패스 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28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댐퍼의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1 공급 덕트(661), 제2 공급 덕트(661'), 제3 공급덕트(665) 및 제2 회수 덕트(555)는 외상(11)과 내상(12)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13)에 매립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2), 구체적으로 상부 저장실인 제3 저장실(2c)의 냉기를 냉각 모듈(1000)로 회수하는 제2 회수 덕트(555)와 냉각 모듈(100)에서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2), 구체적으로 하부 저장실(2a, 2b)로 공급하는 제1 공급 덕트(661), 제2 공급 덕트(661'), 제3 공급덕트(665)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모듈(1000)이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장착 완료된 경우, 제1 공급 덕트(661)의 제1 유입부(661a)는 제1 냉각팬 안착부(1121) 상단에 위치하는 제1 송풍 개구(1121a)와 연통되어 냉기를 공급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공급 덕트(661)의 제1 유입부(661a)는 외상 바닥(11b)에 형성된 제1 냉기 유입구(221)에 연결될 수 있다. 냉각 모듈(1000)이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장착 완료되면, 모듈 바디(1100)의 제1 송풍 개구(1121a)는 제1 냉기 유입구(221)와 밀착되어 연통되므로 결과적으로 제1 공급 덕트(661)의 제1 유입부(661a)와도 연통될 수 있다. 제1 공급 덕트(661)의 제1 유입부(661a)로 유입된 냉기는 제1 공급 덕트(661)의 제1 배출부(661b)를 통하여 제1 저장실(2a)로 공급될 수 있다.
냉각 모듈(1000)이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장착 완료된 경우, 제2 공급 덕트(661')의 제2 유입부(661a')는 제2 송풍 개구(1121b)와 연통되어 냉기를 공급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공급 덕트(661')의 제2 유입부(661a')는 외상 바닥(11b)에 형성된 제2 냉기 유입구(221')에 연결될 수 있다. 냉각 모듈(1000)이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장착 완료되면, 모듈 바디(1100)의 제2 송풍 개구(1121b)는 제2 냉기 유입구(221')와 밀착되어 연통되므로 결과적으로 제2 공급 덕트(661')의 제2 유입부(661a')와도 연통될 수 있다. 제2 공급 덕트(661')의 제2 유입부(661a')로 유입된 냉기는 제2 공급 덕트(661')의 제2 배출부(661b')를 통하여 제2 저장실(2b)로 공급될 수 있다.
냉각 모듈(1000)이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장착 완료된 경우, 제3 공급덕트(665)의 제3 유입부(665a)는 제3 송풍 개구(1122a)와 연통되어 냉기를 공급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공급덕트(665)의 제3 유입부(665a)는 외상 바닥(11b)에 형성된 제3 냉기 유입구(222)에 연결될 수 있다. 냉각 모듈(1000)이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장착 완료되면, 모듈 바디(1100)의 제3 송풍 개구(1122a)는 제3 냉기 유입구(222)와 밀착되어 연통되므로 결과적으로 제3 공급덕트(665)의 제3 유입부(665a)와도 연통될 수 있다. 제3 공급덕트(665)의 제3 유입부(665a)로 유입된 냉기는 제3 공급덕트(665)의 제3 배출부(665b)를 통하여 제3 저장실(2c)로 공급될 수 있다.
하부 저장실(2a, 2b) 즉 제1 저장실(2a)과 제2 저장실(2b)의 냉기는 접속 커버(710)의 접속구(712)를 통과한 후, 접속부(19)를 지나 냉각 모듈(1000)의 수용부(1110)로 유입될 수 있다. 또는 하부 저장실(2a, 2b)의 회수 냉기는 접속 커버(710)의 접속구(712), 제1 회수 덕트(740) 및 수용부 연통구(72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냉각 모듈(1000)의 수용부(1110)로 유입될 수 있다. 접속구(712)는 접속 커버(710)의 전방 상단에 위치하며 제1 회수 덕트(740) 및 수용부 연통구(721)는 접속구(712)의 수직 하방에 배치되므로, 수용부(1110)로 유입된 냉기는 증발기(1200)와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진 뒤 제1 냉각팬(1310) 또는 제2 냉각팬(13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부 저장실(2c) 즉 제3 저장실(2c)의 냉기는 제2 회수 덕트(555)의 일단에 형성된 회수 유입부(555a)로 유입되어 제2 회수 덕트(555)를 통과한 후 제2 회수 덕트(555)의 타단에 형성된 회수 배출부(555b)로 유동될 수 있다. 회수 유입부(555a)는 제3 저장실의 하단 모서리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수 배출부(555b)는 외상 바닥(11b)에 형성된 냉기 유츌구(223)에 연결될 수 있다. 냉각 모듈(1000)이 냉각 모듈 장착부(200)에 장착 완료되면, 모듈 바디(1100)의 제1 회수구(1123a)는 냉기 유출구(223)와 밀착되어 연통되므로 결과적으로 제2 회수 덕트(555)의 회수 배출부(555b)와도 연통될 수 있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제2 회수 덕트(555)의 회수 배출부(555b)로 배출된 냉기는 곧바고 수용부(1110)로 흘러 들어가지 않고, 바이패스 덕트(1234)로 우회하여 유동될 수 있다. 바이패스 덕트(1234)의 일단에는 제1 회수구(1123a)가 위치할 수 있다. 바이패스 덕트의 타단에는, 수용부(1110)의 안쪽 영역 중 전방에 대응되는 모듈 바디(1100)의 일부에 형성된 제2 회수구(1123b)가 위치할 수 있다. 접속구(712)가 접속 커버(710)의 상단 전방에 형성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수용부(1110)의 안쪽 영역 중 전방으로 냉기가 흘러 들어가게 하여 증발기(1200)와의 열교환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3, 도 14 및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댐퍼(6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댐퍼(662)는 제1 냉각팬 안착부(1121) 및 제2 냉각팬 안착부(11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 바디(1100)의 격벽 중, 제1 냉각팬 안착부(1121)의 측면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제2 송풍 개구(1121b)와 연통되는 보조 개구(1121b')가 형성될 수 있다. 댐퍼(662)의 일측은 보조 개구(1121b')와 연통되고, 댐퍼(662)의 타측은 제2 송풍 개구(1121b)와 연통될 수 있다. 댐퍼(662)의 개폐 동작에 의해 보조 개구()로 유입된 냉기는 제2 저장실(2b) 쪽으로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댐퍼(662)는 제1 공급 덕트(661)와 제2 공급 덕트(662)간에 분배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개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냉장고
2; 저장실
10; 캐비닛
19: 접속부
20, 200; 냉각 모듈 장착부
40; 냉기덕트
50; 회수덕트
60; 공급덕트
100, 1000; 냉각 모듈
110, 1100; 모듈 바디
111; 제1 수용부
112; 제2 수용부
113, 1130; 집수부
120, 1200; 증발기
130, 1300; 냉각팬
140, 1400; 압축기
150, 1500; 응축기
160; 증발기 커버
170; 모듈 커버
180, 1800; 모듈 베이스
190, 1900; 제상히터부
191, 1910; 전장 모듈
700: 덕트 모듈
710: 접속 커버
1110: 수용부

Claims (36)

  1.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외상,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를 포함한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냉기순환을 위해 상기 단열재에 매립된 냉기덕트;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된 냉각 모듈 장착부; 및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및 냉각팬이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눕힌 상태로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는 모듈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모듈 장착부에 장착 시 상기 냉기덕트와 연통하는 접속구가 구비되는 냉각 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바디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부가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일체화되며, 상기 수용부와 상기 집수부는 상기 격벽에 형성된 배수홀을 통해 서로 연통하고, 상기 수용부의 바닥은 상기 집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집수부는 상기 모듈 바디에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모듈 바디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열되고, 상기 집수부에는 상기 응축기가 위치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증발기가 위치되는 제1 영역과 상기 냉각팬이 위치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의 상부를 덮으며 냉기 회수공이 형성된 증발기 커버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바디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접속구가 형성된 모듈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구는 상기 냉기 회수공과 대응하는 제1 접속구와, 상기 냉각팬의 출구와 대응하는 제2 접속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덕트는 상기 저장실의 냉기를 회수하는 회수덕트와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구는 상기 회수덕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속구는 상기 공급덕트와 연결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 장착부의 양측에는 상기 냉각 모듈의 슬라이딩 장착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설치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상히터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에는 상기 냉각 모듈을 제어하는 전장 모듈이 일체로 구비되는 냉장고.
  10. 내부에 복수의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외상,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를 포함한 캐비닛;
    상기 복수의 저장실의 냉기순환을 위해 상기 단열재에 매립된 냉기덕트;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된 냉각 모듈 장착부;
    제1 증발기, 제2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제1 냉각팬, 제2 냉각팬 및 집수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증발기 및 상기 제2 증발기를 각각 눕힌 상태로 수용 가능한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를 갖는 모듈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모듈 장착부에 장착 시 상기 냉기덕트와 연통하는 접속구가 구비된 냉각 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바디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부가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형성하는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일체화되며, 상기 격벽에는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집수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와 상기 집수부를 각각 연통시키는 제1 배수홀 및 제2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의 바닥은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1 배수홀 및 상기 제2 배수홀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모듈 바디의 전방에서 서로 구획된 상태로 좌우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모듈 바디의 후방에는 상기 응축기가 위치되는 상기 집수부와 상기 압축기가 장착되는 압축기 장착부가 펜스에 의해 서로 구획된 상태로 좌우로 나란히 배열되는 냉장고.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에는 상기 제1 증발기와 상기 제1 냉각팬이 수용되고, 상기 제2 수용부에는 상기 제2 증발기와 상기 제2 냉각팬이 수용되는 냉장고.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 장착부의 양측에는 상기 냉각 모듈의 슬라이딩 장착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냉각 모듈 장착부의 후방에서 진입하여 전방으로 인입되는 냉장고.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냉기덕트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저장실 중 적어도 두 개의 저장실과 연통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냉기덕트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저장실 중 하나의 저장실과 연통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발기는 상기 제2 증발기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구비되는 냉장고.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실은 제1 저장실, 제2 저장실 및 제3 저장실을 포함하고,
    상기 냉기덕트는 상기 제1 수용부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1 저장실과 상기 제2 저장실에 제공하는 제1 공급덕트와, 상기 제1 저장실과 상기 제2 저장실의 냉기를 회수하는 제1 회수덕트와, 상기 제2 수용부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3 저장실로 제공하는 제2 공급덕트와, 상기 제3 저장실의 냉기를 회수하는 제2 회수덕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 장착부의 천장을 형성하는 외상에는 상기 제1 냉각팬의 출구와 대응하는 제1 냉기 유입구와, 상기 제2 냉각팬의 출구와 대응하는 제2 냉기 유입구와, 상기 제1 증발기 근방의 어느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냉기 유출구와, 상기 제2 증발기 근방의 어느 일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냉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덕트는 일측이 상기 제1 냉기 유입구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1 저장실 및 상기 제2 저장실에 각각 연통되고,
    상기 제2 공급덕트는 일측이 상기 제2 냉기 유입구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3 저장실과 연통되고,
    상기 제1 회수덕트는 일측이 상기 제1 냉기 유출구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1 저장실 및 상기 제2 저장실의 각 하부영역에 각각 연통되고,
    상기 제2 회수덕트는 일측이 상기 제2 냉기 유출구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제3 저장실의 하부영역과 연통되는 냉장고.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제1 증발기와 상기 제2 증발기의 각 상부를 각각 덮으며 각각 상기 제1 냉기 유출구 및 상기 제2 냉기 유출구와 대응하는 제1 냉기 회수공 및 제2 냉기 회수공이 형성된 제1 증발기 커버 및 제2 증발기 커버;와,
    상기 제1 냉기 회수공 및 상기 제2 냉기 회수공과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제1 접속구와 상기 제1 냉기 유입구 및 상기 제2 냉기 유입구와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제2 접속구가 구비되며 상기 모듈 바디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모듈 커버;와,
    상기 제1 증발기 및 상기 제2 증발기를 제상하는 제상히터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21.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외상,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에 마련된 단열재를 포함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된 냉각 모듈 장착부;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및 냉각팬이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를 눕힌 상태로 수용 가능한 수용부를 갖는 모듈 바디를 포함하는 냉각 모듈;
    외상 바닥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에 대응되는 외상 바닥 개구 및 내상 바닥에 형성되며 상기 외상 바닥 개구에 대응되는 내상 바닥 개구를 포함하는 접속부로서, 상기 내상 바닥 개구 및 외상 바닥 개구가 상하로 배치되는 접속부; 및
    상기 내상 바닥 개구를 개폐하는 접속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냉각 모듈 장착부에 장착 시 상기 접속부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과 연통되는 냉장고.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커버는, 상기 접속 커버가 상기 내상 바닥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저장실이 연통되는 접속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외상 바닥 개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외상 바닥으로부터 상기 내상 바닥 개구를 향하여 돌출된 접속 넥(Access neck) 및 상기 내상 바닥에 접하도록 상기 접속 넥의 일단에 형성되는 넥 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속 넥의 내측에 접속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 안착되며, 상기 접속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덕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모듈은,
    상기 접속부에 안착되는 덕트 모듈 바디;
    상기 덕트 모듈 바디에 채워지는 단열부; 및
    상기 덕트 모듈 바디 및 상기 단열부를 관통하는 회수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커버는, 상기 단열부 상단을 커버하며 상기 덕트 모듈 바디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냉기 회수 덕트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고, 타단에 형성된 개구는 상기 접속 커버의 상기 접속구와 연통되는 냉장고.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커버는 상기 내상 바닥 개구의 테두리에 위치한 상기 내상 바닥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커버의 상단 테두리가 형성하는 면적은 상기 내상 바닥 개구의 테두리가 형성하는 면적보다 넓게 마련되는 냉장고.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바디는 상기 모듈 바디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외상 바닥은, 상기 외상 바닥의 상기 냉각 모듈 장착부와 마주한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단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함몰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이 상기 냉각모듈 장착부에 장착 시, 상기 단차부와 상기 함몰부가 밀착되어 상기 모듈 바디의 상기 상단 테두리 근처에서 냉기의 유출이 차단되는 냉장고.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은, 응축수가 집수되며 상기 응축기가 배치되는 집수부로서,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기 모듈 바디의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배열되는 집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와 상기 집수부는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배수홀 및 배수홀에 연결되며 상기 격벽을 관통하는 배수관을 통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배수관 및 상기 수용부의 바닥은 상기 집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냉장고.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배수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수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캡은 자중에 의하여 상기 배수관의 일단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냉장고.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은, 냉각 모듈을 제어하는 전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는 사이에 응축팬을 두고, 상기 모듈 바디의 후방에 좌우로 배치되며,
    상기 전장 모듈의 전장 모듈 하우징은 상기 압축기의 상부 및 상기 외상 바닥의 하부에 배치되는 냉장고.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모듈 바디로부터 상기 압축기를 향해 돌출된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장 모듈 하우징의 바닥은 상기 응축팬의 상단 및 상기 지지 브라켓에 의하여 지지되는 냉장고.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응축기, 상기 응축팬,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전장 모듈을 커버하며 상기 외상의 후벽과 함께 냉장고의 외관을 이루는 모듈 후방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듈 후방 커버는 상기 응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에 대응되는 영역에 통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기는 복수의 냉각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냉각핀 각각은, 상기 통기구로 유입되어 상기 응축팬으로 유동되는 기류의 유동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냉장고.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냉각핀은 상기 응축팬에 인접한 단변과 상기 모듈 후방 커버에 인접한 장변을 포함하는 C형상으로 배열되는 냉장고.
KR1020200105234A 2019-11-01 2020-08-21 냉장고 KR20210053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5064 WO2021086124A1 (en) 2019-11-01 2020-10-30 Refrigerator
US17/085,400 US11719484B2 (en) 2019-11-01 2020-10-30 Refrigerator
EP20883472.1A EP4018138A4 (en) 2019-11-01 2020-10-30 F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38322 2019-11-01
KR1020190138322 2019-11-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173A true KR20210053173A (ko) 2021-05-11

Family

ID=75915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234A KR20210053173A (ko) 2019-11-01 2020-08-21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31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30506A (zh) * 2022-10-31 2023-04-07 青岛凯创电器有限公司 卧式风冷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30506A (zh) * 2022-10-31 2023-04-07 青岛凯创电器有限公司 卧式风冷柜
CN115930506B (zh) * 2022-10-31 2024-05-10 青岛凯创电器有限公司 卧式风冷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9484B2 (en) Refrigerator
KR102627719B1 (ko) 냉장고
US10458699B2 (en) Refrigerator
KR102412189B1 (ko) 냉장고
US11353255B2 (en) Refrigerator
KR20080079109A (ko) 냉장고
CN105605857B (zh) 冰箱
US11512887B2 (en) Refrigerator
KR102483212B1 (ko) 냉장고
US11306960B2 (en) Refrigerator having detachable cooling module
KR20170084916A (ko) 냉장고
KR101565387B1 (ko) 냉장고
KR20180129472A (ko) 냉장고
KR20210053173A (ko) 냉장고
KR101519142B1 (ko) 냉장고
JP3684323B2 (ja) 配膳車
JP2983824B2 (ja) 横型冷蔵庫
US20230251012A1 (en) Refrigerator cooling system
JP4156952B2 (ja) 冷却貯蔵庫
US11796242B2 (en) Air vent for a refrigeration appliance
CN111609617B (zh) 回风口位于箱体两侧壁且分别对应有蒸发器的冰箱
KR20230116577A (ko) 냉장고용 그릴팬 어셈블리 및 냉장고
KR100729474B1 (ko) 냉장고
JP3649646B2 (ja) 配膳車
KR20210072669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