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940A -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940A
KR20210052940A KR1020190138587A KR20190138587A KR20210052940A KR 20210052940 A KR20210052940 A KR 20210052940A KR 1020190138587 A KR1020190138587 A KR 1020190138587A KR 20190138587 A KR20190138587 A KR 20190138587A KR 20210052940 A KR20210052940 A KR 20210052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hole
drainage
washing
foo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8190B1 (ko
Inventor
이윤복
Original Assignee
이윤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복 filed Critical 이윤복
Priority to KR1020190138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1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용기인 들통몸체가 형성되고, 들통몸체 상단에는 외측으로 권취되어 걸림되는 손잡이링부가 형성되며, 들통몸체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들통몸체의 수직기립을 위한 다수개의 다리부가 형성되고, 들통몸체 바닥면 중심부에는 하부로 요부형성되되 중심에 볼트공을 갖고 볼트공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좌우측배수공간을 각각 갖는 원통형상의 배수작동요부가 형성되며, 평면에서 볼때 상기 좌우측배수공간이 좌우측에 위치될 때 볼트공 중심부 직상부의 손잡이링부의 상단면 또는 외측면 중 한 곳 이상에 표시되는 열림기준점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열림기준점에서 시계방향으로 90도 각도의 손잡이링부 상단면 또는 외측면 중 한 곳 이상에 표시되는 닫힘기준점이 형성되며, 내부에 세척수가 채워지는 물받이들통; 상기 물받이들통의 배수작동요부에 위치되는 일정 두께의 원형판체로, 상면 외측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원형외측돌부가 형성되고, 원형외측돌부 내측에는 중심부를 가로 지르는 중심대가 형성되며, 원형외측돌부와 중심대 사이의 좌우측공간에는 좌우측삽입요부가 각각 요부형성되고, 좌우측삽입요부 중심측에는 상기 좌우측배수공간 연장선상에서 상하로 관통되는 좌우측배수통공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중심대 저면 중심에는 상기 볼트공 연장선상에 요부형성되어 체결볼트가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외면에 실리콘이나 우레탄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표면코팅처리되어 체결볼트에 의해 축회동되면서 상기 좌우측배수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회동개폐작동판; 상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용기로 상기 물받이들통 내부에 삽입되는 통몸체가 형성되고, 통몸체 상단에는 외측으로 권취되어 걸림되는 손잡이링부가 형성되며, 통몸체의 바닥중심부를 제외한 바닥면과 측면에는 다수개의 유입배수공이 각각 타공형성되고, 통몸체 바닥면 중심부에는 리벳이 고정되는 리벳공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리벳공 연장선상의 직상부 손잡이링부의 상단면 또는 외측면 중 한 곳 이상에 표시되는 배수개폐기준점이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료가 담겨져 세척수로 세척되는 식재료세척타공통; 및 상기 식재료세척타공통 통몸체 바닥면 중심부 저면에 위치되는 원형판체로 상기 리벳공 연장선상에 리벳삽입공을 갖고 리벳에 의해 리벳공에 고정결합되는 고정원판이 형성되고, 고정원판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되 원형외측돌부 2배의 높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동개폐작동판 상면의 원형외측돌부와 중심대 사이의 좌우측삽입요부 중에서 상기 좌우측배수통공을 제외한 공간으로 각각 삽입돌출되어 고정원판과 좌우측배수통공 사이에 세척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경로인 좌우측배수로를 각각 형성시키는 좌우측삽입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개폐작동판을 물받이들통에서 축회동시켜 좌우측배수로와 좌우측배수통공 및 좌우측배수공간을 연통되게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고정개폐구를 구비하는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물받이들통 내부에 회동개폐작동판을 설치하고 이에 맞물려 회동개폐작동판을 회동시키는 고정개폐구를 갖는 식재료세척타공통을 구비함으로써 물받이들통 내부에서 식재료세척타공통을 손쉽게 90도 회동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내부에 충전된 세척수를 손쉽게 외부로 배출시키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간편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이 간편하고 사용시 또는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아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오랜기간 파손없이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Improved food ingredients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받이들통 내부에 회동개폐작동판을 설치하고 이에 맞물려 회동개폐작동판을 회동시키는 고정개폐구를 갖는 식재료세척타공통을 구비함으로써 물받이들통 내부에서 식재료세척타공통을 손쉽게 90도 회동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내부에 충전된 세척수를 손쉽게 외부로 배출시키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간편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이 간편하고 사용시 또는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아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오랜기간 파손없이 사용이 가능한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는 과일, 채소 등 식재료를 세척하는 경우 잔류농약을 제거하기 위해 흐르는 물에 여려번 씻는다.
그러나, 과일, 채소 등 식재료를 세척하는 동안 식재료가 손상되거나, 물이 계속 교체되면서 식재료가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척 후 물에서 과일, 채소 등 식재료를 건져내거나, 식재료의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기 힘든 어려움이 발생되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급수관과 연결된 호스부로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세척통부; 상기 세척통부에 삽입되고, 상측이 개방된 용기형태로 바닥면에 세척망홀부가 형성되는 세척망부; 상기 세척망부의 상측을 덮고, 상기 세척망홀부의 중심부와 동일선상에 놓이는 중심부를 가진 세척망커버홀부가 형성되는 세척망커버부; 및 상기 세척망커버홀부와 상기 세척망홀부를 관통한 상태에서 회동되면서 상기 세척망커버부 및 상기 세척망부와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기둥형상으로 상기 세척망부의 길이보다 길며, 단부에 홈부가 형성되는 손잡이몸체와, 상기 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변의 길이가 상기 홈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짧으며, 상기 세척망홀부는, 상기 손잡이몸체가 관통되는 제1세척망홀부; 및 상기 제1세척망홀부에서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부가 관통되는 제2세척망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망커버홀부는, 상기 손잡이몸체가 관통되고, 상기 제1세척망홀부와 동일선상에 놓이는 제1세척망커버홀부; 및 상기 제1세척망커버홀부에서 양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부가 관통되는 제2세척망커버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돌기부는, 상기 제2세척망커버홀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세척망커버홀부의 하측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고정돌기; 및 상기 제2세척망홀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세척망홀부의 하측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돌기는 상기 손잡이몸체의 회동시 상기 제2세척망커버홀부와 교차되어 상기 세척망커버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고정돌기는 상기 손잡이몸체의 회동시 상기 제2세척망홀부와 교차되어 상기 세척망부의 바닥면과 결합되고, 상기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고정돌기는 서로 어긋나는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몸체의 양측부에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세척망커버홀부와 상기 세척망홀부는 각각 상기 제1고정돌기 및 상기 제2고정돌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료 세척장치."가 특허등록 제10-1765225호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식재료 세척장치는, 세척통부(100), 세척망부(200), 세척망커버부(300), 손잡이부(400)로 이루어져 손잡이부(400)를 세척망커버부(300)를 통해 세척망부(200)와 결합시킨 다음 세척수가 담긴 세척통부 내에서 상하로 유통시켜 세척망부(200) 내부의 식재료를 세척시킴으로써 세척시 식재료가 물에 의해 흘러 넘치면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식재료를 안전하고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 반면에, 손잡이부(400)를 세척망커버부(300)를 통해 세척망부(200)에 결합시키는 번거로운 작업구조를 갖으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식재료 세척장치는, 사용시 손잡이부(400)의 손잡이몸체(410)의 제1고정돌기(431)과 제2고정돌기(432)가, 세척망커버부(300)의 제1세척망커버홀부(311)와 제2세척망커버홀부(312)로 이루어진 세척망커버홀부(310)와 제1세척망홀부(211)와 제2세척망홀부(212)로 이루어진 세척망홀부(210)를 통해서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구조로, 사용자는 손잡이부(400)에 걸림고정되는 세척망부(200)를 상하부로 흔들어서 세척망부(200) 내부의 식재료를 세척하여 사용하는 것이나, 손잡이부(400)의 제1고정돌기(431)과 제2고정돌기(432)가 삽입되어 걸림고정되는 세척망커버부(300)와 세척망부(200)는 망체인바, 손잡이부(400)의 상하부 흔들시 그 충격으로 인해 망체인 세척망부(200)의 세척망홀부(210)와 세척망커버부(300)의 세척망커버홀부(310)가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652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받이들통 내부에 회동개폐작동판을 설치하고 이에 맞물려 회동개폐작동판을 회동시키는 고정개폐구를 갖는 식재료세척타공통을 구비함으로써 물받이들통 내부에서 식재료세척타공통을 손쉽게 90도 회동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내부에 충전된 세척수를 손쉽게 외부로 배출시키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간편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이 간편하고 사용시 또는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아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오랜기간 파손없이 사용이 가능한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용기인 들통몸체가 형성되고, 들통몸체 상단에는 외측으로 권취되어 걸림되는 손잡이링부가 형성되며, 들통몸체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들통몸체의 수직기립을 위한 다수개의 다리부가 형성되고, 들통몸체 바닥면 중심부에는 하부로 요부형성되되 중심에 볼트공을 갖고 볼트공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좌우측배수공간을 각각 갖는 원통형상의 배수작동요부가 형성되며, 평면에서 볼때 상기 좌우측배수공간이 좌우측에 위치될 때 볼트공 중심부 직상부의 손잡이링부의 상단면 또는 외측면 중 한 곳 이상에 표시되는 열림기준점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열림기준점에서 시계방향으로 90도 각도의 손잡이링부 상단면 또는 외측면 중 한 곳 이상에 표시되는 닫힘기준점이 형성되며, 내부에 세척수가 채워지는 물받이들통;
상기 물받이들통의 배수작동요부에 위치되는 일정 두께의 원형판체로, 상면 외측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원형외측돌부가 형성되고, 원형외측돌부 내측에는 중심부를 가로 지르는 중심대가 형성되며, 원형외측돌부와 중심대 사이의 좌우측공간에는 좌우측삽입요부가 각각 요부형성되고, 좌우측삽입요부 중심측에는 상기 좌우측배수공간 연장선상에서 상하로 관통되는 좌우측배수통공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중심대 저면 중심에는 상기 볼트공 연장선상에 요부형성되어 체결볼트가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외면에 실리콘이나 우레탄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표면코팅처리되어 체결볼트에 의해 축회동되면서 상기 좌우측배수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회동개폐작동판;
상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용기로 상기 물받이들통 내부에 삽입되는 통몸체가 형성되고, 통몸체 상단에는 외측으로 권취되어 걸림되는 손잡이링부가 형성되며, 통몸체의 바닥중심부를 제외한 바닥면과 측면에는 다수개의 유입배수공이 각각 타공형성되고, 통몸체 바닥면 중심부에는 리벳이 고정되는 리벳공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리벳공 연장선상의 직상부 손잡이링부의 상단면 또는 외측면 중 한 곳 이상에 표시되는 배수개폐기준점이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료가 담겨져 세척수로 세척되는 식재료세척타공통; 및
상기 식재료세척타공통 통몸체 바닥면 중심부 저면에 위치되는 원형판체로 상기 리벳공 연장선상에 리벳삽입공을 갖고 리벳에 의해 리벳공에 고정결합되는 고정원판이 형성되고, 고정원판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되 원형외측돌부 2배의 높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동개폐작동판 상면의 원형외측돌부와 중심대 사이의 좌우측삽입요부 중에서 상기 좌우측배수통공을 제외한 공간으로 각각 삽입돌출되어 고정원판과 좌우측배수통공 사이에 세척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경로인 좌우측배수로를 각각 형성시키는 좌우측삽입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개폐작동판을 물받이들통에서 축회동시켜 좌우측배수로와 좌우측배수통공 및 좌우측배수공간을 연통되게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고정개폐구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물받이들통 내부에 회동개폐작동판을 설치하고 이에 맞물려 회동개폐작동판을 회동시키는 고정개폐구를 갖는 식재료세척타공통을 구비함으로써 물받이들통 내부에서 식재료세척타공통을 손쉽게 90도 회동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내부에 충전된 세척수를 손쉽게 외부로 배출시키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작이 간편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시 또는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아 구조적으로 견고하여 오랜기간 파손없이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물받이들통의 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물받이들통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물받이들통의 배수작동요부에 회동개폐작동판이 체결되는 모습을 보인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물받이들통의 배수작동요부에 회동개폐작동판이 체결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식재료세척타공통의 모습을 보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식재료세척타공통의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식재료세척타공통의 저면에 고정개폐구가 체결되는 모습을 보인 분리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식재료세척타공통의 저면에 고정개폐구가 체결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고정개폐구가 저면에 고정된 식재료세척타공통이 회동개폐작동판이 축고정된 물받이들통의 내부에 체결되는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분리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식재료세척타공통의 고정개폐구가 물받이들통의 회동개폐작동판에 체결된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고정개폐구와 회동개폐작동판의 체결모습을 확대한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물받이들통과 식재료세척타공통 내부에 담겨진 세척수에 의해 식재료가 세척되는 상태의 고정개폐구와 회동개폐작동판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물받이들통과 식재료세척타공통 내부에 담겨진 세척수에 의해 식재료의 세척이 완료된 상태에서 고정개폐구에 의해 회동개폐작동판을 축회동시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한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는, 바닥면(11a)에 좌우측배수공간(14a,14b)을 갖고 내부에 세척수(16)가 채워지는 물받이들통(10)과, 물받이들통(10)의 바닥면(11a)에 축결합되어 회동되면서 좌우측배수공간(14a,14b)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회동개폐작동판(20)과, 물받이들통(10) 내부에 안착되어 내부에 식재료(36)가 위치되어 세척가 이루어지는 식재료세척타공통(30)과, 식재료세척타공통(30)의 저면에 고정되어 회동개폐작동판(20)에 삽입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회동개폐작동판(20)을 축회동시키면서 세척수(16)의 배수 또는 폐쇄를 이루는 고정개폐구(40)로 구성된다.
상기 물받이들통(10)은, 상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용기인 들통몸체(11)가 형성되고, 들통몸체(11) 상단에는 외측으로 권취되어 걸림되는 손잡이링부(12)가 형성되며, 들통몸체(11)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들통몸체(11)의 수직기립을 위한 다수개의 다리부(13)가 형성되고, 들통몸체(11) 바닥면(11a) 중심부에는 하부로 요부형성되되 중심에 볼트공(14c)을 갖고 볼트공(14c)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좌우측배수공간(14a,14b)을 각각 갖는 원통형상의 배수작동요부(14)가 형성되며, 평면에서 볼때 상기 좌우측배수공간(14a,14b)이 좌우측에 위치될 때 볼트공(14c) 중심부 직상부의 손잡이링부(12)의 상단면 또는 외측면 중 한 곳 이상에 표시되는 닫힘기준점(15)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14c)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닫힘기준점(15)에서 시계방향으로 90도 각도의 손잡이링부(12) 상단면 또는 외측면 중 한 곳 이상에 표시되는 열림기준점(15a)이 형성되며, 내부에 세척수(16)가 채워진다.
상기 회동개폐작동판(20)은, 상기 물받이들통(10)의 배수작동요부(14)에 위치되는 일정 두께의 원형판체로, 상면 외측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원형외측돌부(21)가 형성되고, 원형외측돌부(21) 내측에는 중심부를 가로 지르는 중심대(22)가 형성되며, 원형외측돌부(21)와 중심대(22) 사이의 좌우측공간에는 좌우측삽입요부(23,24)가 각각 요부형성되고, 좌우측삽입요부(23,24) 중심측에는 상기 좌우측배수공간(14a,14b) 연장선상에서 상하로 관통되는 좌우측배수통공(23a,24a)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중심대(22) 저면 중심에는 상기 볼트공(14c) 연장선상에 요부형성되어 체결볼트(25a)가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25)이 형성되고, 외면에 실리콘이나 우레탄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표면코팅처리되어 체결볼트(25a)에 의해 축회동되면서 상기 좌우측배수공간(14a,14b)을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상기 식재료세척타공통(30)은, 상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용기로 상기 물받이들통(10) 내부에 삽입되는 통몸체(31)가 형성되고, 통몸체(31) 상단에는 외측으로 권취되어 걸림되는 손잡이링부(32)가 형성되며, 통몸체(31)의 바닥중심부를 제외한 바닥면(31a)과 측면(31b)에는 다수개의 유입배수공(33)이 각각 타공형성되고, 통몸체(31) 바닥면(31a) 중심부에는 리벳(34b)이 고정되는 리벳공(34,34a)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리벳공(34,34a) 연장선상의 직상부 손잡이링부(32)의 상단면 또는 외측면 중 한 곳 이상에 표시되는 배수개폐기준점(35)이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료(36)가 담겨져 세척수(16)로 세척된다.
상기 고정개폐구(40)는, 상기 식재료세척타공통(30) 통몸체(31) 바닥면(31a) 중심부 저면에 위치되는 원형판체로 상기 리벳공(34,34a) 연장선상에 리벳삽입공(41a,41b)을 갖고 리벳(34b)에 의해 리벳공(34,34a)에 고정결합되는 고정원판(41)이 형성되고, 고정원판(41)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되 원형외측돌부(21) 2배의 높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동개폐작동판(20) 상면의 원형외측돌부(21)와 중심대(22) 사이의 좌우측삽입요부(23,24) 중에서 상기 좌우측배수통공(23a,24a)을 제외한 공간으로 각각 삽입돌출되어 고정원판(41)과 좌우측배수통공(23a,24a) 사이에 세척수(16)가 외부로 배수되는 경로인 좌우측배수로(42a,43a)를 각각 형성시키는 좌우측삽입돌부(42,43)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개폐작동판(20)을 물받이들통(10)에서 축회동시켜 좌우측배수로(42a,43a)와 좌우측배수통공(23a,24a) 및 좌우측배수공간(14a,14b)을 연통되게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물받이들통(10)의 배수작동요부(14) 내측에 회동개페작동판(20)을 안착시킨 다음, 체결볼트(25a)로 볼트공(14c)저면측에서 상부측으로 삽입하여 체결공(25)에 회동가능하게 축고정시켜 물받이들통(10)에 회동개페작동판(20)을 축결합시킨다.
그 다음, 도 7 및 도 8과 같이, 식재료세척타공통(30)의 바닥면(31a) 중심부 저면에 고정개폐구(40)를 위치시키되, 바닥면(31a)의 리벳공(34,34a) 연장선상에 고정개폐구(40)의 리벳고정공(41a,41b)을 위치시키고, 리벳(34b)으로 고정결합시킨다.
그 상태에서 도 9 및 도 10과 같이, 저면에 고정개폐구(40)가 고정된 식재료세척타공통(30)을 회동개폐작동판(20)이 축결합된 물받이들통(10) 내부에 삽입시키면서 도 12와 같이, 식재료세척타공통(30) 바닥면(31a) 저면에 고정된 고정개폐구(40)의 좌우측삽입돌부(42,43)를 물받이들통(10) 바닥면(11a) 배수작동요부(14)에 축고정된 회동개폐작동판(20)의 좌우측삽입요부(23,24)에 삽입시키면, 식재료세척타공통(30) 손잡이링부(32) 상면 또는 측면의 배수개폐기준점(35)은 물받이들통(10) 손잡이링부(12) 상면 또는 측면의 닫힘기준점(15)에 위치되어 도 10과 같이 세척수(16)에 의해 식재료세척타공통(30) 내부의 식재료(36)를 세척하면 된다.
이 상태에서, 식재료세척타공통(30) 내부의 식재료(36)를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 작업자는 도 10과 같이, 세척수(16)가 가득찬 상태에서 물받이들통(10)은 고정된 상태에서 내부의 식재료세척타공통(30)만을 도 8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13과 같이, 물받이들통(10)의 좌우측배수공간(14a,14b)과 회동개폐작동판(20)의 좌우측배수통공(23a,24a)이 연통되면서 물받이들통(10) 내부의 세척수(16) 자중에 의해서 좌우측삽입돌부(42,43)의 높이로 인해서 발생된 좌우측삽입돌부(42,43)와 회동개폐작동판(20) 및 물받이들통(10)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된 좌우측배수로(42a,43a)를 통해서 물받이들통(10) 외부로 신속히 배출된다.
이로 인해, 식재료세척타공통(30) 내부에는 세척이 완료된 식재료(36)만이 남게 되어 식재료(36)의 세척후 간단한 조작으로 세척수(16) 배출이 손쉽게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물받이들통 11 : 들통몸체
11a : 바닥면 12 : 손잡이링부
13 : 다리부 14 : 배수작동요부
14a,14b : 좌우측배수공간 14c : 볼트공
15 : 닫힘기준점 15a : 열림기준점
16 : 세척수
20 : 회동개폐작동판 21 : 원형외측돌부
22 : 중심대 23,24 : 좌우측삽입요부
23a,24a : 좌우측배수통공 25 : 체결공
25a : 체결볼트
30 : 식재료세척타공통 31 : 통몸체
31a : 바닥면 31b : 측면
32 : 손잡이링부 33 : 유입배수공
34,34a : 리벳공 34b : 리벳
35 : 배수개폐기준점 36 : 식재료
40 : 고정개폐구 41 : 고정원판
41a,41b : 리벳고정공 42,43 : 좌우측삽입돌부
42aa,43a : 좌우측배수로

Claims (1)

  1. 상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용기인 들통몸체(11)가 형성되고, 들통몸체(11) 상단에는 외측으로 권취되어 걸림되는 손잡이링부(12)가 형성되며, 들통몸체(11)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들통몸체(11)의 수직기립을 위한 다수개의 다리부(13)가 형성되고, 들통몸체(11) 바닥면(11a) 중심부에는 하부로 요부형성되되 중심에 볼트공(14c)을 갖고 볼트공(14c)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좌우측배수공간(14a,14b)을 각각 갖는 원통형상의 배수작동요부(14)가 형성되며, 평면에서 볼때 상기 좌우측배수공간(14a,14b)이 좌우측에 위치될 때 볼트공(14c) 중심부 직상부의 손잡이링부(12)의 상단면 또는 외측면 중 한 곳 이상에 표시되는 닫힘기준점(15)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14c)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닫힘기준점(15)에서 시계방향으로 90도 각도의 손잡이링부(12) 상단면 또는 외측면 중 한 곳 이상에 표시되는 열림기준점(15a)이 형성되며, 내부에 세척수(16)가 채워지는 물받이들통(10);
    상기 물받이들통(10)의 배수작동요부(14)에 위치되는 일정 두께의 원형판체로, 상면 외측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원형외측돌부(21)가 형성되고, 원형외측돌부(21) 내측에는 중심부를 가로 지르는 중심대(22)가 형성되며, 원형외측돌부(21)와 중심대(22) 사이의 좌우측공간에는 좌우측삽입요부(23,24)가 각각 요부형성되고, 좌우측삽입요부(23,24) 중심측에는 상기 좌우측배수공간(14a,14b) 연장선상에서 상하로 관통되는 좌우측배수통공(23a,24a)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중심대(22) 저면 중심에는 상기 볼트공(14c) 연장선상에 요부형성되어 체결볼트(25a)가 삽입되어 체결고정되는 체결공(25)이 형성되고, 외면에 실리콘이나 우레탄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표면코팅처리되어 체결볼트(25a)에 의해 축회동되면서 상기 좌우측배수공간(14a,14b)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회동개폐작동판(20);
    상단이 개방된 통형상의 용기로 상기 물받이들통(10) 내부에 삽입되는 통몸체(31)가 형성되고, 통몸체(31) 상단에는 외측으로 권취되어 걸림되는 손잡이링부(32)가 형성되며, 통몸체(31)의 바닥중심부를 제외한 바닥면(31a)과 측면(31b)에는 다수개의 유입배수공(33)이 각각 타공형성되고, 통몸체(31) 바닥면(31a) 중심부에는 리벳(34b)이 고정되는 리벳공(34,34a)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리벳공(34,34a) 연장선상의 직상부 손잡이링부(32)의 상단면 또는 외측면 중 한 곳 이상에 표시되는 배수개폐기준점(35)이 형성되고, 내부에 식재료(36)가 담겨져 세척수(16)로 세척되는 식재료세척타공통(30); 및
    상기 식재료세척타공통(30) 통몸체(31) 바닥면(31a) 중심부 저면에 위치되는 원형판체로 상기 리벳공(34,34a) 연장선상에 리벳삽입공(41a,41b)을 갖고 리벳(34b)에 의해 리벳공(34,34a)에 고정결합되는 고정원판(41)이 형성되고, 고정원판(41) 저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되 원형외측돌부(21) 2배의 높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회동개폐작동판(20) 상면의 원형외측돌부(21)와 중심대(22) 사이의 좌우측삽입요부(23,24) 중에서 상기 좌우측배수통공(23a,24a)을 제외한 공간으로 각각 삽입돌출되어 고정원판(41)과 좌우측배수통공(23a,24a) 사이에 세척수(16)가 외부로 배수되는 경로인 좌우측배수로(42a,43a)를 각각 형성시키는 좌우측삽입돌부(42,43)가 형성되어 상기 회동개폐작동판(20)을 물받이들통(10)에서 축회동시켜 좌우측배수로(42a,43a)와 좌우측배수통공(23a,24a) 및 좌우측배수공간(14a,14b)을 연통되게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고정개폐구(4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KR1020190138587A 2019-11-01 2019-11-01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KR102358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587A KR102358190B1 (ko) 2019-11-01 2019-11-01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587A KR102358190B1 (ko) 2019-11-01 2019-11-01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940A true KR20210052940A (ko) 2021-05-11
KR102358190B1 KR102358190B1 (ko) 2022-02-03

Family

ID=75914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587A KR102358190B1 (ko) 2019-11-01 2019-11-01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1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225B1 (ko) 2016-01-28 2017-08-04 권은채 식재료 세척장치
KR101832860B1 (ko) * 2017-05-12 2018-04-13 창신리빙(주) 주방에서 사용되는 세척용 보울
KR20190076082A (ko) * 2017-12-21 2019-07-02 이찬호 곡물세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225B1 (ko) 2016-01-28 2017-08-04 권은채 식재료 세척장치
KR101832860B1 (ko) * 2017-05-12 2018-04-13 창신리빙(주) 주방에서 사용되는 세척용 보울
KR20190076082A (ko) * 2017-12-21 2019-07-02 이찬호 곡물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190B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9190B2 (en) Device combining 3 functions in one for washing, serving and storing berries, grapes, and other fruits
US7977612B2 (en) Container for microwaveable food
US20100263555A1 (en) Salad, rice and other foods washer and spinner
US6167799B1 (en) Tamale and vegetable steaming device
US11851803B2 (en) Fabric treating appliance comprising a scrubbing tool
KR20100008882U (ko) 원액기
US6276555B1 (en) Salad storage and drainage device
US11503960B2 (en) Dishwasher comprising a fruit and vegetable washing apparatus
US9861257B2 (en) Detergent dispenser module for a dishwashing appliance
KR20210052940A (ko)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KR101558749B1 (ko) 씽크대 배수구 거름망
KR20120107593A (ko) 싱크대 배수구용 음식물 찌꺼기 거름 용기
KR100722904B1 (ko) 소쿠리 운반차
EP2920347B1 (en) A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with a steam generator
US53775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ual washing capacity
KR20210012680A (ko) 개량된 식재료 세척장치
KR102032698B1 (ko) 음식물 세척용기
US6523555B2 (en) Device for washing and drying foods, for example vegetables
KR102186655B1 (ko) 거름 망을 구비한 조리용 기구
KR101447599B1 (ko) 쌀 세척 장치
KR101923819B1 (ko)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JP3212457U (ja) 家庭用洗濯機
KR20090012580U (ko) 자동 쌀 세척기
KR200358224Y1 (ko) 기울어진 세탁기의 물고임 방지 구조
US1020618A (en) Washing-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