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915A - 방풍밸브 - Google Patents

방풍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915A
KR20210052915A KR1020190138524A KR20190138524A KR20210052915A KR 20210052915 A KR20210052915 A KR 20210052915A KR 1020190138524 A KR1020190138524 A KR 1020190138524A KR 20190138524 A KR20190138524 A KR 20190138524A KR 20210052915 A KR20210052915 A KR 20210052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pace
closing
ope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983B1 (ko
Inventor
황각하
Original Assignee
황각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각하 filed Critical 황각하
Priority to KR1020190138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9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diaphragm, bellow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보블로워의 초기 구동시 송출되는 송풍공기를 대기로 방풍시키고, 정상 상태에서 대기로의 방풍을 안정되게 차단하기 위한 방풍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방풍밸브는 일단부에 바디입구가 개구되고 둘레면 일측에 방풍구가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방풍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바디유닛과, 양단부에 가이드입구와 가이드출구가 각각 개구되고 내부에 가이드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관 형상이고 가이드입구는 바디입구에 노출되고 가이드출구는 방풍공간과 연통되도록 일부 또는 전체가 방풍공간에 배치되는 가이드유닛 및 적어도 가이드공간과 연통되는 대항공간이 형성되도록 바디유닛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방풍공간에서 가이드출구를 개폐하는 가이드개폐유닛을 포함하고, 대항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면, 가이드입구로 유입되는 송풍공기에 의해 대항공간이 수축되어 방풍공간에서 가이드출구가 개방되고, 대항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면, 송풍공기가 대항공간으로 유입됨에 따라 방풍공간에서 가이드출구를 폐쇄 또는 밀폐시킨다.

Description

방풍밸브{BLOW OFF VALVE}
본 발명은 방풍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보블로워의 초기 구동시 송출되는 송풍공기를 대기로 방풍시키고, 정상 상태에서 대기로의 방풍을 안정되게 차단하기 위한 방풍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보블로워(Turbo Blower)란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임펠러(impeller)를 고속으로 회전하여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이를 송풍하는 기계를 말하며 분체이송용이나 하수처리장 등에서 폭기용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보블로워는 초기 구동시 모터의 회전이 정상 상태에 이르지 못하고 이에 따라 송출되는 송풍공기의 압력이 낮아, 하수처리장에서 사용되는 경우, 폭기 등의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모터의 회전력이 정상 상태에 이를 때 까지 송풍공기를 대기로 방풍시켜 빠른 시간에 모터가 정상 상태에 이르게 하고, 이후, 본래의 의도하는 곳으로 송풍을 이르게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종래에는 버터플라이밸브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때, 압축기로부터 생성되는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액츄에이터가 밸브를 작동하여 터보블로워의 초기 구동 시 송출되는 송풍공기를 방풍하고 이후 정상 상태에 접어들면 본래 의도하는 곳으로 송풍을 이루었다. 하지만, 고압의 압축공기를 생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압축기를 작동하여 전기료의 낭비가 심하고, 압축기의 고장으로 방풍이 이루어지지 않고 이에 따라 터보 블로워 작동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또한 압축기와 버터플라이 밸브를 연결하는 튜브가 공간을 점유하여 번거롭고 또한 튜브의 길이가 문제가 되는 경우 및 압축기 구동을 위한 별도의 전원설치로 인한 번거로움 등이 많았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1248호 (발명의 명칭 : 터보블로워용 방풍밸브, 2008. 10. 02. 공고)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5734호 (발명의 명칭: 방풍밸브, 2013. 08. 12.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보블로워의 초기 구동시 송출되는 송풍공기를 대기로 방풍시키고, 정상 상태에서 대기로의 방풍을 안정되게 차단하기 위한 방풍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풍밸브는 일단부에 바디입구가 개구되고, 둘레면 일측에 방풍구가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방풍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바디유닛; 양단부에 가이드입구와 가이드출구가 각각 개구되고, 내부에 가이드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관 형상이고, 상기 가이드입구는 상기 바디입구에 노출되고, 상기 가이드출구는 상기 방풍공간과 연통되도록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방풍공간에 배치되는 가이드유닛; 및 적어도 상기 가이드공간과 연통되는 대항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디유닛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방풍공간에서 상기 가이드출구를 개폐하는 가이드개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대항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면, 상기 가이드입구로 유입되는 송풍공기에 의해 상기 대항공간이 수축되어 상기 방풍공간에서 상기 가이드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대항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면, 상기 송풍공기가 상기 대항공간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방풍공간에서 상기 가이드출구를 폐쇄 또는 밀폐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방풍밸브는 상기 바디유닛의 타단부에 바디출구가 개구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개폐유닛이 상기 바디유닛의 타단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바디유닛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커버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풍밸브는 상기 바디유닛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대항공간과 상기 외부와의 연통 여부를 선택하는 개폐밸브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유닛의 열림 동작에 따라 상기 대항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개폐밸브유닛의 닫힘 동작에 따라 상기 대항공간이 외부와 차단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개폐유닛은, 상기 대항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디유닛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다이어프램; 상기 방풍공간에서 상기 다이어프램에 적층되고, 상기 가이드출구와 마주보는 면의 평평도를 유지시키는 형상유지판; 및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형상유지판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적어도 상기 가이드공간과 상기 대항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조절홀이 관통 형성된 적층고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가이드출구에 대응하여 판 형상을 이루는 개폐판부; 상기 개폐판부의 가장자리에서 신축 가능하게 연장되는 신축관부; 및 상기 신축관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디유닛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개폐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축관부에는,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형상유지판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개폐판부의 가장자리를 감싸 지지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적층고정부는,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형상유지판을 통과하되, 중심에 상기 연통조절홀이 관통 형성된 볼트부; 및 상기 다이어프램을 기준으로 상기 형상유지판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볼트부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개폐유닛은, 상기 가이드출구의 밀폐를 위해 상기 형상유지판에 적층 고정되는 밀폐탄성판;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개폐유닛은, 상기 대항공간에서 상기 다이어프램에 적층 고정되는 상부지지판; 및 상기 가이드출구에서 삽탈 가능하도록 상기 밀폐탄성판에 적층 고정되는 하부지지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풍밸브에 따르면, 터보블로워의 초기 구동시 송출되는 송풍공기를 대기로 방풍시키고, 정상 상태에서 대기로의 방풍을 안정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복잡한 구조를 간소화하여 컴팩트한 구조를 갖도록하고, 정밀한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이 용이하여 불량률이 낮고, 잦은 고장도 없으며, 또한 조립, 수선이 용이하고, 경제성이 우수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출구의 밀폐에 대응하여 신속한 반응성을 보장하되, 가이드유닛과 가이드개폐유닛 사이의 충격이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커버유닛을 통해 유닛 간의 조립 및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밸브유닛을 통해 대항공간과 외부와의 연통을 명확하게 하고, 대항공간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개폐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이드출구의 개폐를 명확하게 하고, 형상유지판을 통해 다이어프램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이어프램의 세부 구성을 통해 다이어프램의 신축을 안정화시키고, 다이어프램과 바디유닛의 결합 및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돌출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다이어프램을 보호하는 한편, 다이어프램과 형상유지판 사이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탄성판의 부가 구성을 통해 가이드출구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개폐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다이어프램의 적층 구조를 명확하게 하고, 상호 적층된 부재 사이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층고정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다이어프램에서 적층되는 부재 간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볼트부의 교체를 통해 연통조절홀의 크기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풍밸브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풍밸브에서 가이드개폐유닛의 적층고정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풍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풍밸브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풍밸브는 중공의 바디유닛(10)과, 중공의 관 형상을 나타내는 가이드유닛(20)과, 가이드개폐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유닛(10)은 일단부에 바디입구가 개구되고, 둘레면 일측에 방풍구(112)가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방풍공간(111)이 형성된다.
바디유닛(10)은 내부에 방풍공간(111)이 형성된 중공의 관 형상으로 둘레면에 방풍구(112)가 관통 형성된 바디부(11)와, 바디입구에 구비되는 입구플랜지부(13)를 포함하고, 바디유닛(10)의 타단부가 개구되어 바디출구를 형성하는 경우, 바디출구에는 출구플랜지부(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방풍구(112)에도 방풍플랜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방풍구(112)에는 방풍량에 대응하여 오리피스를 설치함으로써, 방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20)은 양단부에 가이드입구(21)와 가이드출구(22)가 각각 개구되고, 내부에 가이드공간(24)이 형성된 중공의 관 형상을 나타낸다. 가이드유닛(20)에서 가이드입구(21)는 바디입구에 노출되고, 가이드출구(22)는 방풍공간(111)과 연통되도록 일부 또는 전체가 방풍공간(111)에 배치된다.
가이드유닛(20)의 둘레면에는 바디유닛(10)의 입구를 밀폐하는 한편 입구플랜지부(13)와 플랜지 결합되는 결합플랜지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개폐유닛(30)은 적어도 가이드공간(24)과 연통되는 대항공간(31a)이 형성되도록 바디유닛(1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가이드개폐유닛(30)은 방풍공간(111)에서 가이드출구(22)를 개폐한다.
가이드개폐유닛(30)은 대항공간(31a)이 형성되도록 바디유닛(1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다이어프램(31)과, 방풍공간(111)에서 다이어프램(31)에 적층되고 가이드출구(22)와 마주보는 면의 평평도를 유지시키는 형상유지판(33)과, 다이어프램(31)과 형상유지판(33)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적어도 가이드공간(24)과 대항공간(31a)을 연통시키는 연통조절홀(362)이 관통 형성된 적층고정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어프램(31)은 가이드출구(22)에 대응하여 판 형상을 이루는 개폐판부(311)와, 개폐판부(311)의 가장자리에서 신축 가능하게 연장되는 신축관부(313)와, 신축관부(313)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바디유닛(1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개폐플랜지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판부(311)는 가이드출구(2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하여 가이드출구(22)의 폐쇄 또는 밀폐에 대응하여 신축관부(313)가 원활하게 신장되도록 한다.
신축관부(313)에는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다수의 주름(314)이 형성되어 신축관부(313)의 신축 동작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신축관부(313)는 탄성을 가지고 신장시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다.
개폐플랜지부(315)는 출구플랜지부(12)에 적층된 상태에서 마감커버유닛(40)이 적층 고정됨에 따라 바디유닛(10)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다이어프램(31)에서 개폐판부(311)의 중심 부분에는 적층고정부(36)와의 결합을 위해 개폐결합홀(312)이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형상유지판(33)의 가장자리에는 개폐판부(311)의 가장자리를 감싸 지지하는 돌출부(33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32)는 링 형상으로 형상유지판(33)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32)는 다수의 띠 형상 또는 다수의 돌기 형상으로 형상유지판(33)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될 수 있다.
형상유지판(33)에는 후술하는 밀폐탄성판(34)이 정위치되도록 밀폐탄성판(34)과 끼움 결합되는 판지지부(333)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판지지부(333)는 밀폐탄성판(34)이 삽입되는 홈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형상유지판(33)의 중심 부분에는 적층고정부(36)와의 결합을 위해 형상유지홀(331)이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적층고정부(36)는 다이어프램(31)과 형상유지판(33)을 통과하되 중심에 연통조절홀(362)이 관통 형성된 볼트부(361)와, 다이어프램(31)을 기준으로 형상유지판(33)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볼트부(361)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볼트부(361)는 머리부가 다이어프램(31)의 개폐판부(311)에 지지되고, 나사부가 개폐결합홀(312)과 형상유지홀(331)을 통과하도록 하며, 너트부(363)가 가이드공간(24) 쪽으로 돌출된 볼트부(361)의 나사부에 나가 결합됨에 따라 개폐판부(311)와 형상유지판(33)을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볼트부(361)의 머리부가 가이드공간(24) 쪽에서 형상유지판(33)에 지지되는 경우, 너트부(363)는 대항공간(31a)에서 볼트부(361)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볼트부(361)에는 가이드공간(24)으로 유입되는 송풍공기를 연통조절홀(362)에 전달되도록 연통조절홀(362)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공간연통부(362-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개폐유닛(30)은 가이드출구(22)의 밀폐를 위해 형상유지판(33)에 적층 고정되는 밀폐탄성판(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탄성판(34)은 탄성을 가지고, 가이드출구(22)를 안정되게 밀폐할 수 있다.
특히, 밀폐탄성판(34)의 중심 부분에는 적층고정부(36)와의 결합을 위해 볼트부(361)의 나사부가 통과하는 탄성홀(341)이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가이드개폐유닛(30)은 대항공간(31a)에서 다이어프램(31)의 개폐판부(311)에 적층 고정되는 상부지지판(32)과, 가이드출구(22)에서 삽탈 가능하도록 밀폐탄성판(34)에 적층 고정되는 하부지지판(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부지지판(32)의 중심 부분에는 적층고정부(36)와의 결합을 위해 볼트부(361)의 나사부가 통과하는 상부지지홀(321)이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하부지지판(35)의 중심 부분에는 적층고정부(36)와의 결합을 위해 볼트부(361)의 나사부가 통과하는 하부지지홀(351)이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풍밸브는 바디유닛(10)의 타단부에 바디출구가 개구되는 경우, 가이드개폐유닛(30)이 바디유닛(10)의 타단부에 고정되도록 바디유닛(10)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커버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감커버유닛(40)에는 가이드개폐유닛(30)에 관통 형성된 연통조절홀(362)보다 큰 직경을 갖는 대항연통홀(41)이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풍밸브는 바디유닛(10)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대항공간(31a)과 외부와의 연통 여부를 선택하는 개폐밸브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밸브유닛(50)에는 대항연통홀(41)과 연통되어 바디유닛(10)의 타단부에 결합된 마감커버유닛(40)에 결합되는 커버결합부(51)와, 개폐밸브유닛(50)의 동작에 따라 대항공간(31a)으로부터 배출되는 송풍공기가 배출되는 에어벤트부(5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개폐밸브유닛(50)의 열림 동작에 따라 대항연통홀(41)이 개방됨으로써, 대항공간(31a)이 외부와 연통되고, 개폐밸브유닛(50)의 닫힘 동작에 따라 대항연통홀(41)이 폐쇄됨으로써, 대항공간(31a)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한다.
그러면, 터보블로워의 초기 구동 시 송풍공기는 가이드입구(21)를 통해 유입된다. 이때, 개폐밸브유닛(50)의 열림 동작에 따라 대항연통홀(41)이 개방되어 대항공간(31a)이 외부와 연통된다. 이때, 일부의 송풍공기는 적층고정부(36)에 구비된 연통조절홀(362)과 대항공간(31a)을 거쳐 대항연통홀(41)로 배출된다. 여기서, 연통조절홀(362)의 직경은 대항연통홀(41)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대항공간(31a)에 유입되는 송풍공기의 유입량보다 대항공간(31a)에서 대항연통홀(41)을 통해 배출되는 송풍공기의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가이드입구(21)로 유입되는 송풍공기는 가이드개폐유닛(30)을 가압하고, 송풍공기에 의해 가이드개폐유닛(30)에서 대항공간(31a)이 수축되어 방풍공간(111)에서 가이드출구(22)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송풍공기는 정상 상태에 이르기까지 방풍공간(111)과 방풍구(112)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정상 상태에 이르면, 개폐밸브유닛(50)의 닫힘 동작에 따라 대항연통홀(41)이 폐쇄되어 대항공간(31a)이 외부와 차단된다. 이때, 일부의 송풍공기가 적층고정부(36)에 구비된 연통조절홀(362)을 통과하여 대항공간(31a)으로 유입된다. 그러면, 대항공간(31a)과 가이드공간(24)이 동일한 압력을 나타내지만, 대항공간(31a)의 송풍공기가 개폐판부(311)를 가압하는 면적은 가이드공간(24)에서 가이드출구(22)로 배출되는 송풍공기가 개폐판부(311)를 가압하는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가이드개폐유닛(30)에서 대항공간(31a)이 팽창되고, 송풍공기가 계속적으로 대항공간(31a)에 유입됨에 따라 가이드출구(22)를 폐쇄 또는 밀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공기는 정상 상태에 대응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본래의 의도하는 곳으로 전달된다.
상술한 방풍밸브에 따르면, 터보블로워의 초기 구동시 송출되는 송풍공기를 대기로 방풍시키고, 정상 상태에서 대기로의 방풍을 안정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복잡한 구조를 간소화하여 컴팩트한 구조를 갖도록하고, 정밀한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제작이 용이하여 불량률이 낮고, 잦은 고장도 없으며, 또한 조립, 수선이 용이하고, 경제성이 우수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출구(22)의 밀폐에 대응하여 신속한 반응성을 보장하되, 가이드유닛(20)과 가이드개폐유닛(30) 사이의 충격이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감커버유닛(40)을 통해 유닛 간의 조립 및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폐밸브유닛(50)을 통해 대항공간(31a)과 외부와의 연통을 명확하게 하고, 대항공간(31a)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개폐유닛(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가이드출구(22)의 개폐를 명확하게 하고, 형상유지판(33)을 통해 다이어프램(31)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31)의 세부 구성을 통해 다이어프램(31)의 신축을 안정화시키고, 다이어프램(31)과 바디유닛(10)의 결합 및 유지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32)의 부가 구성을 통해 다이어프램(31)을 보호하는 한편, 다이어프램(31)과 형상유지판(33) 사이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폐탄성판(34)의 부가 구성을 통해 가이드출구(22)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개폐유닛(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다이어프램(31)의 적층 구조를 명확하게 하고, 상호 적층된 부재 사이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층고정부(36)의 세부 구성을 통해 다이어프램(31)에서 적층되는 부재 간의 결합을 간편하게 하고, 볼트부(361)의 교체를 통해 연통조절홀(362)의 크기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층고정부(36)의 세부 구성 및 각 부재의 홀 사이의 결합관계를 통해 상호 적층되는 부재 사이의 동심도를 명확하게 하고, 가이드출구(22)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바디유닛 11: 바디부 12: 출구플랜지부
13: 입구플랜지부 111: 방풍공간 112: 방풍구
20: 가이드유닛 21: 가이드입구 22: 가이드출구
23: 결합플랜지부 24: 가이드공간 30: 가이드개폐유닛
31: 다이어프램 31a: 대항공간 311: 개폐판부
312: 개폐결합홀 313: 신축관부 314: 주름
315: 개폐플랜지부 32: 상부지지판 321: 상부지지홀
33: 형상유지판 331: 형상유지홀 332: 돌출부
333: 판지지부 34: 밀폐탄성판 341: 탄성홀
35: 하부지지판 351: 하부지지홀 36: 적층고정부
361: 볼트부 362: 연통조절홀 362-1: 공간연통부
363: 너트부 40: 마감커버유닛 41: 대항연통홀
50: 개폐밸브유닛 51: 커버결합부 52: 에어벤트부

Claims (10)

  1. 일단부에 바디입구가 개구되고, 둘레면 일측에 방풍구가 관통 형성되며, 내부에 방풍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바디유닛;
    양단부에 가이드입구와 가이드출구가 각각 개구되고, 내부에 가이드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관 형상이고, 상기 가이드입구는 상기 바디입구에 노출되고, 상기 가이드출구는 상기 방풍공간과 연통되도록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방풍공간에 배치되는 가이드유닛; 및
    적어도 상기 가이드공간과 연통되는 대항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디유닛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방풍공간에서 상기 가이드출구를 개폐하는 가이드개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대항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면,
    상기 가이드입구로 유입되는 송풍공기에 의해 상기 대항공간이 수축되어 상기 방풍공간에서 상기 가이드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대항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면,
    상기 송풍공기가 상기 대항공간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방풍공간에서 상기 가이드출구를 폐쇄 또는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의 타단부에 바디출구가 개구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개폐유닛이 상기 바디유닛의 타단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바디유닛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커버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유닛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대항공간과 상기 외부와의 연통 여부를 선택하는 개폐밸브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유닛의 열림 동작에 따라 상기 대항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고,
    상기 개폐밸브유닛의 닫힘 동작에 따라 상기 대항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개폐유닛은,
    상기 대항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디유닛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다이어프램;
    상기 방풍공간에서 상기 다이어프램에 적층되고, 상기 가이드출구와 마주보는 면의 평평도를 유지시키는 형상유지판; 및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형상유지판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적어도 상기 가이드공간과 상기 대항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조절홀이 관통 형성된 적층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가이드출구에 대응하여 판 형상을 이루는 개폐판부;
    상기 개폐판부의 가장자리에서 신축 가능하게 연장되는 신축관부; 및
    상기 신축관부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바디유닛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개폐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관부에는,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판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개폐판부의 가장자리를 감싸 지지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밸브.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고정부는,
    상기 다이어프램과 상기 형상유지판을 통과하되, 중심에 상기 연통조절홀이 관통 형성된 볼트부; 및
    상기 다이어프램을 기준으로 상기 형상유지판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볼트부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밸브.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개폐유닛은,
    상기 가이드출구의 밀폐를 위해 상기 형상유지판에 적층 고정되는 밀폐탄성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개폐유닛은,
    상기 대항공간에서 상기 다이어프램에 적층 고정되는 상부지지판; 및
    상기 가이드출구에서 삽탈 가능하도록 상기 밀폐탄성판에 적층 고정되는 하부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밸브.
KR1020190138524A 2019-11-01 2019-11-01 방풍밸브 KR102274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524A KR102274983B1 (ko) 2019-11-01 2019-11-01 방풍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524A KR102274983B1 (ko) 2019-11-01 2019-11-01 방풍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915A true KR20210052915A (ko) 2021-05-11
KR102274983B1 KR102274983B1 (ko) 2021-07-07

Family

ID=75914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524A KR102274983B1 (ko) 2019-11-01 2019-11-01 방풍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9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950B1 (ko) 2021-09-28 2022-02-09 주식회사 에어프로텍 터보 송풍기용 방풍밸브
KR102400139B1 (ko) 2021-12-09 2022-05-20 송인승 양방향 통로가 구비되는 터보 송풍기용 방풍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248B1 (ko) 2007-04-11 2008-10-02 주식회사 뉴로스 터보블로워용 방풍밸브
KR101295734B1 (ko) 2012-10-16 2013-08-12 (주) 터보맥스 방풍밸브
KR101993689B1 (ko) * 2018-09-03 2019-09-27 유한회사 아르젠터보 블로우 오프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248B1 (ko) 2007-04-11 2008-10-02 주식회사 뉴로스 터보블로워용 방풍밸브
KR101295734B1 (ko) 2012-10-16 2013-08-12 (주) 터보맥스 방풍밸브
KR101993689B1 (ko) * 2018-09-03 2019-09-27 유한회사 아르젠터보 블로우 오프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950B1 (ko) 2021-09-28 2022-02-09 주식회사 에어프로텍 터보 송풍기용 방풍밸브
KR102400139B1 (ko) 2021-12-09 2022-05-20 송인승 양방향 통로가 구비되는 터보 송풍기용 방풍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983B1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2915A (ko) 방풍밸브
KR100861248B1 (ko) 터보블로워용 방풍밸브
US20050169780A1 (en) Diaphragm pump
US5263826A (en) Device for refueling a gaseous fuel tank
CN102011859A (zh) 疏水通风孔组件
JPH06280821A (ja) 空圧アクチュエータ
KR101993689B1 (ko) 블로우 오프 밸브
JP4019391B2 (ja) ガスタービンの圧縮機段のディフューザのハウジング側における冷却空気取出し部
ITVI20130159A1 (it) Valvola di regolazione
US4717323A (en) Device for cooling a foil tubing
KR101651589B1 (ko) 공기의 차압을 이용한 비오브이밸브
US8113228B2 (en) Suction valve
FI109930B (fi) Kalvosäätöinen paine-eroventtiili
US7021333B1 (en) Reverse flow modifiable combination valve
EP4015826B1 (en) Hydraulic pump with an integrated buffer tank
CN220166532U (zh) 一种稳纸系统
CN209340518U (zh) 一种真空机械阀门
KR102400139B1 (ko) 양방향 통로가 구비되는 터보 송풍기용 방풍밸브
KR102303037B1 (ko) 블로우 오프 밸브
US20070113738A1 (en) Purge-control polymer-membrane-type air drier system
JP2003083007A (ja) タービンにおける温度調節機構
EP4144633A1 (en) A propulsion device
US855697A (en) Air-compressor.
EP0806527B1 (en) A forced discharge compressed-air operated device for sanitary fixtures
KR200268670Y1 (ko) 덕트 보호용 릴리프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