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415A -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 Google Patents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415A
KR20210052415A KR1020210053204A KR20210053204A KR20210052415A KR 20210052415 A KR20210052415 A KR 20210052415A KR 1020210053204 A KR1020210053204 A KR 1020210053204A KR 20210053204 A KR20210053204 A KR 20210053204A KR 20210052415 A KR20210052415 A KR 20210052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gnal connection
cavity filter
insertion hole
electrod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589B1 (ko
Inventor
박남신
김정회
장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6912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4642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ublication of KR20210052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04Fixed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09Strip line filters with dielectric reson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8Integrated in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 H01P7/065Cavity resonators integrated in a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티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면에 전극 패드가 구비된외부 부재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 및 상기 외부 부재의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상기 소정 거리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간 전기적 흐름의 단절을 예방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전극 패드에 접점되는 일측 단자 및 상기 RF 신호 연결부에 연결되는 타측 단자로 분리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일측 단자와 상기 타측 단자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단자부가 구비된 단자 삽입구 내에 존재하는 상기 조립 공차를 흡수하고, 전기적인 흐름의 단절을 방지함으로써 안테나 장치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CAVITY FILTER AND CONNECTOR INCLUDED IN THE SAME}
본 발명은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성 및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와 인쇄회로기판 간의 커넥터 체결 구조를 개선한 Massive MIMO 안테나용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은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기술로서, 송신기에서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기에서는 적절한 신호처리를 통해 송신 데이터들을 구분해 내는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기법이다.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의 개수를 동시에 증가시킴에 따라 채널 용량이 증가하여 더욱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 수를 10개로 증가시키면 현재의 단일 안테나 시스템에 비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약 10배의 채널 용량을 확보하게 된다.
4G LTE-advanced에서는 8개의 안테나까지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pre-5G 단계에서 64 또는 128개의 안테나를 장착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고, 5G에서는 훨씬 더 많은 수의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 장비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Massive MIMO 기술이라고 한다. 현재의 셀(Cell) 운영이 2-Dimension인데 반해, Massive MIMO 기술이 도입되면 3D-Beamforming이 가능해지므로 Massive MIMO 기술은 FD-MIMO(Full Dimension)라고도 불린다.
Massive MIMO 기술에서는 안테나 소자의 개수가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송수신기와 필터의 개수도 함께 증가한다. 또한, 2014년 기준 전국적으로 20만 개소 이상의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는 상황이다. 즉, 실장 공간을 최소화하며 실장이 손쉬운 캐비티 필터의 구조가 필요하며, 개별적으로 튜닝된 캐비티 필터가 안테나에 실장된 후에도 동일한 필터 특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RF 신호선 연결 구조가 요구된다.
캐비티 구조를 가진 RF 필터는 금속성 도체로 형성된 박스 구조 내부에 도체인 공진봉 등으로 구성된 공진기가 구비되어 고유 주파수의 전자기장만이 존재하게 함으로써 공진에 의해 초고주파의 특성 주파수만 통과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캐비티 구조의 대역통과 필터는 삽입손실이 적고 고출력에 유리하여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필터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슬림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며 RF커넥터가 몸체 내에 두께 방향으로 내장된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 개의 필터의 조립 시에 발생하는 조립 공차의 누적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 방식과 실장이 용이하면서도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RF 신호 연결 구조를 가진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RF 핀의 분리 타입의 경우,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면서도 측면 텐션을 부가하여 신호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인 연결이 필요한 두 부재 사이의 조립 공차를 흡수하면서 일정한 접점 면적을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설치가 매우 간명한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실시예는, 일면에 전극 패드가 구비된 외부 부재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 및 상기 외부 부재의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상기 소정 거리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간 전기적 흐름의 단절을 예방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전극 패드에 접점되는 일측 단자 및 상기 RF 신호 연결부에 연결되는 타측 단자로 분리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일측 단자와 상기 타측 단자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단자부가 구비된 단자 삽입구 내에 존재하는 상기 조립 공차를 흡수한다.
여기서,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 상기 단자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삽입된 유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부 중 상기 일측 단자는 상기 유전체와 함께 조립자가 제공하는 조립력에 의하여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단자부 중 상기 타측 단자는 상기 RF 신호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일측 단자와 상기 타측 단자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소정길이 오버랩되도록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단자와 상기 타측 단자 중 어느 하나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텐션 절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 절개부는 상기 일측 단자에 구비되고, 상기 타측 단자의 상단부가 상기 일측 단자의 하단부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텐션 절개부는 상기 타측 단자에 구비되고, 상기 일측 단자의 하단부가 상기 타측 단자의 상단부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체는, 상기 다수의 텐션 절개부가 형성된 상기 일측 단자 또는 상기 타측 단자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 구비된 상기 RF 신호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필터 본체의 일부로서, 상기 단자 삽입구 측으로 돌출 형성된 삽입구 지지단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는, 상기 단자부가 관통하는 단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관통홀을 관통하는 상기 일측 단자 및 상기 타측 단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 걸림되게 상기 단자 관통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걸림단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 단자의 외측면에는 탄성링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링 설치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링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링은, 상기 탄성링 설치홈에 2개 이상이 상하로 적층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타측 단자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일측 단자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타측 단자의 상단면에 지지되는 지지 링부와, 상기 지지 링부에서 각각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 연장되어 상기 일측 단자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바를 포함하는 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부 중 상기 타측 단자는 상기 RF 신호 연결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플레이트 부위에 형성된 솔더홀에 솔더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다른 실시예는, 일면에 전극 패드가 구비된 외부 부재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 상기 외부 부재의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상기 소정 거리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간 전기적 흐름의 단절을 예방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가 삽입 배치되도록 상기 RF 신호 연결부가 내부에 구비된 필터 본체에 형성된 단자 삽입구 및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서 상기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움직이는 상기 단자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삽입되되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서의 임피던스가 정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 배치된 유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전극 패드에 접점되는 일측 단자 및 상기 RF 신호 연결부에 연결되는 타측 단자로 분리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일측 단자와 상기 타측 단자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단자부가 구비된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 존재하는 상기 조립 공차를 흡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일면에 전극 패드가 구비된 외부 부재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 및 상기 외부 부재의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상기 소정 거리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간 전기적 흐름의 단절을 예방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전극 패드에 접점되는 일측 단자 및 상기 RF 신호 연결부에 연결되는 타측 단자로 분리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일측 단자와 상기 타측 단자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단자부가 구비된 단자 삽입구 내에 존재하는 상기 조립 공차를 흡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RF커넥터가 몸체 내에 두께 방향으로 내장되어 보다 슬림하고 컴팩트한 구조 설계가 가능하고, 다수 개의 필터의 조립 시에 발생하는 조립 공차의 누적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 방식과 실장이 용이하면서도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RF 신호 연결 구조 설계가 가능하며,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면서도 측면 텐션을 부가하여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한 바 안테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Massive MIMO 안테나의 적층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가 안테나 보드와 제어 보드 사이에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구조를 바닥 측에서 바라본 평면 투시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8은 도 16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4는 도 22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25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예시적인 Massive MIMO 안테나의 적층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7)가 포함된 안테나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안테나 장치(1)의 예시적인 외형을 도시한 것일 뿐이고, 실제 적층 시의 외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안테나 장치(1)는, 히트싱크(Heat sink)가 형성된 하우징(2)과, 하우징(2)에 결합된 레이돔(radome)(3)을 포함한다. 하우징(2)과 레이돔(3) 사이에는 안테나 어셈블리가 내장될 수 있다.
하우징(2)의 하부에는, 예컨대 도킹(docking) 구조를 통해 파워 서플라이 유닛(PSU, Power Supply Unit)(4)이 결합되고, 파워 서플라이 유닛(4)은 안테나 어셈블리에 구비된 통신부품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전원을 제공한다.
통상 안테나 조립체는 전면에 복수의 안테나(6)가 배열되는 안테나 보드(5)의 배면에 캐비티 필터(Cavity filter)(7)가 안테나의 개수만큼 배치되고, 관련된 PCB보드(8)가 이어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진다. 캐비티 필터(20)(7)는 실장 전에 개별적으로 사양에 맞는 주파수 특성을 갖도록 세부적으로 튜닝 및 검증되어 준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튜닝 및 검증 과정은 실장 상태와 동일한 특성인 환경에서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가 안테나 보드와 제어 보드 사이에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통상의 RF커넥터(도 1의 도면부호 90 참조)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그 연결이 용이해지고, 더 낮은 높이 프로파일을 가지는 안테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높이 방향의 양면에 RF연결부를 갖추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로 연결함으로써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외부 부재(8)에 진동 및 열변형이 발생하더라도 RF 연결이 동일하게 유지되어 주파수 특성의 변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구조를 바닥 측에서 바라본 평면 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RF 신호 연결부(31)(도 4이하의 도면부호 31 참조)를 포함하고, 내부가 중공인 제1케이스(도면부호 미표기), 제1케이스를 덮는 제2케이스(도면부호 미표기), 제1케이스의 길이 방향 양측에 캐비티 필터(20)의 높이 방향으로 구비된 단자부(도 4 이하의 도면들에 10 단위의 숫자 중 '40'으로 표기된 도면부호 참조), 단자부(40)의 양측에 구비된 조립 구멍을 포함하는 필터 모듈(30, 도 4 이하의 도면에서는 각 실시예들을 구분하기 위한 100 단위 이상의 숫자를 제외하고, '30'을 부가하여 지시하였다) 포함한다. 단자부(40)는 제1케이스에 구비된 단자 삽입구(25)를 관통하여 외부 부재(8), 예컨대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전극패드와 RF 신호 연결부(3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단자부(40)의 구성(일체형 또는 분리형), 후술하는 측면 텐션을 부가하기 위한 형상 및 조립 공차를 흡수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부(40)가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전극패드와 연결(또는 접촉)되는 일단으로부터 RF 신호 연결부(31)에 연결(또는 접촉)되는 타단까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필터와, 단자부(40)의 일단과 타단 사이 중 어느 일지점이 분리된 분리형 필터로 구분될 수 있다.
일체형 필터의 경우, 조립 공차를 해소하기 위해, 소정의 조립력을 공급받게 되면 단자부(40)를 이루는 일부가 탄성 변형되는 탄성체로 구비된다. 다만, 단자부(40)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필터는, 그 일단과 타단 사이까지 전기적인 흐름의 단절이 예견되지 않는 바 별도로 측면 텐션을 부가하기 위한 별도의 형상 설계를 요하지 않는다.
이에 반하여, 분리형 필터의 경우, 조립 공차의 해소는, 분리된 일측 단자(50)와 타측 단자(60)가 상술한 소정의 조립력에 의하여 상호 오버랩되게 이동되면서 전체 길이가 수축 가능하게 구비되고, 조립력이 제거될 때 그 전체 길이가 복원되도록 별도의 탄성부재(80)가 구비된다. 다만, 단자부(40)가 일측 단자(50)와 타측 단자(60)로 분리되게 구비되는 바, 상호 오버랩되게 이동될 때 전기적인 흐름의 단절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일측 단자(50) 및 타측 단자(60) 중 어느 하나가 탄성체로 구비되거나, 측면 텐션을 부가하기 위한 별도의 형상 변경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텐션'이라는 용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 단자(50)와 타측 단자(60) 사이의 전기적인 흐름의 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 단자(50) 및 타측 단자(6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향하여 길이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전달하는 힘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안테나 장치의 특성상, 상술한 단자부(40)의 형상 변경의 설계 시에는, 상술한 단자 삽입구(25) 내에서의 임피던스 매칭 설계가 병행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단자 삽입구(25) 내에서의 임피던스가 정합된 상태임을 전제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4 이하의 도면들을 통해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실시예들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25) 내에 단자부(40)와 함께 삽입되는 유전체 또는 보강 플레이트와 같은 구성의 외형은 임피던스 매칭 설계에 따라 각각 상이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자 삽입구(25) 내에 삽입 배치되는 단자부(40)의 외형은 조립 공차를 흡수하거나 전극 패드와 RF 신호 연결부(31) 간 전기적 흐름의 단절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단자부(40)의 다양한 외형 설계는 유전체 또는 보강 플레이트의 형상 설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유전체는, 상술한 단자 삽입구(25) 내에서의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움직이는 단자부(40)의 일부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임피던스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4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면에 전극 패드(도면부호 미표기)가 구비된 외부 부재(8)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31) 및 외부 부재(8)의 전극 패드와 RF 신호 연결부(3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상기 소정 거리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의 해소가 가능함과 동시에, 전극 패드와 RF 신호 연결부 간 전기적인 흐름이 단절되는 것이 방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단자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 부재(8)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타면에 안테나 소자들이 배치된 안테나 보드 또는 증폭기(Power Amplifier, PA), 디지털보드(Digital board) 및 TX Calibration이 일체의 원보드(one-board)로 구비된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를 통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실시예들을 구성하는 외관 구성을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로 구분하지 않고, 단자 삽입구(25)가 구비된 필터 본체(21)로 통칭하며, 도면부호 21로 지시하기로 한다.
필터 본체(21)에는, 도 4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가 중공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단자 삽입구(25)의 형태는, 후술하는 다수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임피던스 매칭 설계에 따라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필터 본체(21)의 일면, 특히, 후술하는 단자부(40) 중 일측 단자(50)가 구비된 측의 일면에는 와셔 설치부(27)가 홈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와셔 설치부(27)는 후술하는 스타 와셔(90)의 외측 테두리 부위가 걸림되어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단자 삽입구(25)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홈 가공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와셔 설치부(27)에 설치 고정되는 스타 와셔(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에 공통적으로 스타 와셔(90)가 구비되는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 이외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스타 와셔(9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더라도 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스타 와셔(90)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 고정단(91)이 와셔 설치부(27)에 고정되고, 고정단(91)으로부터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전극 패드 측의 중심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지지단(9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타 와셔(90)는, 조립자에 의하여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에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실시예들을 조립할 경우, 상술한 조립 구멍을 통한 미도시의 체결부재 등에 의한 체결력에 대하여 다수의 지지단(92)이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일면에 지지되면서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수의 지지단(92)의 탄성력 부가는, 단자부(40)의 전극 패드에 대한 접촉 면적을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타 와셔(90)의 링 형상의 고정단(91)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된 단자부(40)의 외측을 감사도록 구비되어, 일종의 접지단자(Ground terminal)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스타 와셔(90)는,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실시예들의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 사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스타 와셔(90)에 의하여 흡수되는 조립 공차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단자부(40)에 의하여 흡수되는 조립 공차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캐비티 필터는, 단일의 조립 과정에서 별도의 부재에 의해 적어도 2 개소에서 전체적인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설계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서 단자부(40)는, 도 4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외부 부재(8)의 전극 패드에 접점되는 일측 단자(50)와, RF 신호 연결부(31)로서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부위에 형성된 솔더홀(32)에 고정되는 타측 단자(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 단자(50) 및 타측 단자(6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어, 조립 시 각각의 단부 일부가 상호 소정 길이 오버랩(Overlap)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서는, 도면 상(도 4 내지 도 6 참조) 티측 단자(60)의 상측으로 일측 단자(50)의 하측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타측 단자(60)의 상단부(61)는 일측 단자(50)의 하단 일부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측 단자(50) 및 타측 단자(60)로 구비된 단자부(40)가 단자 삽입구(25)에 설치된 경우, 단자 삽입구(25) 내에서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단자부(40)의 외측을 감싸도록 유전체(70)가 삽입될 수 있다. 유전체(70)는, 테플론(Teflon) 재질일 수 있다. 그러나, 유전체(70)의 재질이 테플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자 삽입구(25) 내에서의 임피던스 매칭이 가능한 유전율을 가지는 재질이면 여하한 것이라도 대체 가능하다.
유전체(70)는, 단자부(40) 중 일측 단자(50)와 일체로 사출 성형 가능하나, 상술한 단자부(40)가 삽입되는 단자 관통홀(71)을 가지도록 별도로 성형되어 단자 삽입구(25) 내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유전체(70)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 내에 구비된 삽입구 지지단(28)에 걸림되도록 삽입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일측 단자(50)는,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에 접점되는 접점부(53)의 접점 면적이 작으면 작을수록 좋다. 따라서, 일측 단자(50)의 선단인 접점부(53)는, 도 4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소정의 접점 면적을 가지는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 단자(50)는, 그 선단인 접점부(53)를 통해 외부 부재(8)의 전극 패드에 접촉되는 동작으로 조립자에 의한 조립력의 제공 시, 단자 삽입구(25) 내에 배치된 유전체(70)의 단자 관통홀(71)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측 단자(50)는, 전기가 흐르는 금속 재질의 봉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일측 단자(50)의 하측 일부가 삽입되는 타측 단자(60)의 상단부(61)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텐션 절개부(64)가 구비될 수 있다. 텐션 절개부(64)는, 중공관 형태로 구비된 타측 단자(60)의 상단부(61)가 다수개로 분할되도록 절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텐션 절개부(64)는, 타측 단자(60)의 상단부(61)로 하여금 그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비된 일측 단자(50)의 하단부 외주 측으로 밀착시키는 동작으로 상술한 측면 텐션을 부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유전체(70)는 텐션 절개부(64)가 형성된 타측 단자(60)의 상단부(61) 외주면을 내측으로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바, 텐션 절개부(64)에 의해 절개된 타측 단자(60)의 상단부(61)의 내측면이 그 내부에 수용된 일측 단자(50)의 외주면에 상시 밀착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타측 단자(60)의 상단부(61)에 형성된 텐션 절개부(64)는, 그 절개 형성 시 타측 단자(60)의 상단부(61)의 끝이 각각 타측 단자(60)의 중심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타측 단자(60)의 상단부(61)의 각 끝은 적어도 일측 단자(50)의 하단부가 중공관 형태의 타측 단자(60)의 상단부(61) 내부로 수용되는 크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텐션 절개부(64)에 의한 측면 텐션의 부가는 2개로 분리된 단자부(40)의 전기적인 흐름의 단절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중공관 형태의 상기 타측 단자(60)의 상단부(61) 내측에 배치되어, 일측 단자(50)를 탄성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80)는, 일측 단자(50)를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가 구비된 방향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탄성부재(80)는, 도 4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중공관 형태로 구비된 타측 단자(60)의 내측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하로 적층 배치된 다수의 탄성 구슬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80)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자부(40) 중 일측 단자(50)의 선단인 접점부(53)가 외부 부재(8)의 전극 패드 측에 밀착되게 조립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해소하면서 중공관 형태의 타측 단자(60)의 상단부(61) 내측에서 압축된 후, 지속적으로 일측 단자(50)의 접점부(53)가 전극 패드에 접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일측 단자(50)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조립자 등으로부터 어떠한 조립력이 제공되지 않을 경우, 접점부(53)가 스타 와셔(90)의 구성 중 지지단(92)보다 더 높이 돌출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조립에 따른 조립 공차 흡수 과정 및 측면 텐션 부여 과정을 첨부된 도면(특히,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를 전극 패드가 구비된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일면에 밀착시킨 후 미도시의 체결부재가 조립 구멍에 체결되는 동작으로 소정의 체결력을 캐비티 필터(20)에 전달한다. 그러나, 반드시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일면에 캐비티 필터(20)를 밀착시킬 필요는 없고, 그와 반대로 소정 간격으로 정렬되어 있는 캐비티 필터(20)에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일면이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조립력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 사이의 거리가 줄어듦과 동시에 스타 와셔(90)의 지지단(92)이 상술한 체결력에 의하여 형상 변형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와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 사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1차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단자부(40) 중 일측 단자(50)는 단자 삽입구(25) 내에 삽입된 유전체(70)의 단자 관통홀(71)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타측 단자(60) 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되도록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일면에 의해 눌림되고, 이때, 타측 단자(60)의 상단부(61) 내측에 적층 배치된 다수의 탄성 구슬과 같은 탄성부재(80)가 압축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2차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일측 단자(50)와 타측 단자(60)는, 타측 단자(60)의 상단부(61)는 텐션 절개부(64)에 의하여 중공관 형태의 내측으로 삽입된 일측 단자(50)의 하단부 외주면에 대하여 측면 텐션이 부가되는 바, 전기적인 흐름의 단절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신호 성능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는 도 7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7 내지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RF 신호 연결부(31)와, 일측 단자(150) 및 타측 단자(160)를 포함하는 단자부(140)와, 단자 삽입구(25) 내에 단자부(140)의 외측을 감싸도록 삽입된 유전체(170)와, RF 신호 연결부(31)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플레이트(195)를 포함한다.
여기서, RF 신호 연결부(31), 단자부(140) 및 유전체(170)와 그 하위 구성들은, 뒤에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도에서, 이미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제1 실시예로 갈음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이한 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보강 플레이트(195)에는, 타측 단자(160)가 관통하는 단자 관통홀(171)이 형성되고, 타측 단자(160)는 보강 플레이트(195)의 단자 관통홀(171)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타측 단자(160)에는, 보강 플레이트(195)의 단자 관통홀(171)을 관통하면서 보강 플레이트(195)의 상면에 걸림되게 단자 관통홀(171)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걸림단(163)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195)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그 테두리 하면이 단자 삽입구(25)에 형성된 삽입구 지지단(28)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 플레이트(195)는, 조립자가 제공하는 조립력에 의하여 유전체(17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일측 단자(150)와의 마찰력으로 인해 함께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195)는, 타측 단자(160)가 그 걸림단(163)에 의하여 하방 이동이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타측 단자(160)의 하단(162)이 솔더 고정된 RF 신호 연결부(31)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실시예의 캐비티 필터(20)의 경우, 조립력에 의해 이동되는 일측 단자(50)에 의해 타측 단자(60) 또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RF 신호 연결부(31)에 조립력이 전달되나, 제2 실시예의 캐비티 필터(20)는, 타측 단자(60)의 하측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간접적으로 RF 신호 연결부(31)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텐션 절개부(64)가 타측 단자(60)의 상단부(61)에 형성되고, 중공관 형상의 타측 단자(60)의 상단부(661) 내측으로 일측 단자(50)의 하단부 일부가 삽입되며, 일측 단자(50)와 타측 단자(60) 사이에 탄성부재(80)로서 다수의 탄성 구슬이 구비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취하는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10 내지 도 12에 참조된 바와 같이, RF 신호 연결부(31), 단자부(240) 및 유전체(2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구성 중, RF 신호 연결부(31) 및 유전체(270)와 그 하위 구성들은, 뒤에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도에서, 이미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로 갈음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유전체(270)를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유전체(70)의 구성과 동일한 것을 채용하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구성 중 보강 플레이트(195)가 삭제된 형태를 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구성 중, 단자부(240)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텐션 절개부(254)가 일측 단자(250)의 하단부(252)에 형성되고, 타측 단자(260)의 상단부(261)가 중공관 형태로 구비된 일측 단자(250)의 하단부(252)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울러, 일측 단자(250)에는, 텐션 절개부(254)의 상단에 해당하는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이탈 방지 리브(25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일측 단자(250)의 이탈 방지 리브(255)는, 유전체(270)의 단자 관통홀(271)의 내측에 걸림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일측 단자(250)와 타측 단자(260) 사이에 개재된 다수의 탄성 구슬(280)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특히, 전극 패드가 구비된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가 구비된 방향)으로 일측 단자(2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 외에,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와 비교하여, 유전체(270)가 일측 단자(250)의 텐션 절개부(254)의 외주면을 지지하고, 타측 단자(260)의 하단부(262)가 별도의 보강 플레이트(295) 없이 직접 RF 신호 연결부(31)에 솔더 고정되는 구성은 동일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13 내지 도 15에 참조된 바와 같이, RF 신호 연결부(31), 단자부(340), 유전체(370) 및 보강 플레이트(395)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강 플레이트(39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서의 보강 플레이트(195)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단자부(340)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구성과 동일하게 채용되는 바, 제3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그 외에,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나머지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8은 도 16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16 내지 도 18에 참조된 바와 같이, RF 신호 연결부(31), 단자부(440), 유전체(470) 및 보강 플레이트(495)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강 플레이트(495)는, 제2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서의 보강 플레이트(195, 395)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단자부(440)는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구성과 동일하게 채용되는 바,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의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16 내지 도 1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와 대비하여, 일측 단자(450)와 타측 단자(46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80)는 용수철 스프링과 같은 탄성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 외에,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나머지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1은 도 19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는, 도 19 내지 도 21에 참조된 바와 같이, RF 신호 연결부(31)와, 일측 단자(550) 및 타측 단자(560)를 포함하는 단자부(540)와, 보강 플레이트(59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구성 중, RF 신호 연결부(31), 단자부(540) 및 보강 플레이트(595)와 그 하위 구성들은, 뒤에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도에서, 이미 설명한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구성과 기능이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갈음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구성 중, 단자부(540)는, 도 19 내지 도 2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와 동일한 구성을 취한다. 즉, 텐션 절개부(564)가 타측 단자(560)의 상단부(561)에 형성되고, 일측 단자(550)의 하단부 일부가 중공 형태로 구비된 타측 단자(560)의 상단부(561)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일측 단자(550)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 봉 형태를 취하되, 타측 단자(560)의 내부에서 탄성부재(557)로서 구비된 탄성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일측 단자(550)에는 탄성부재(557)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타측 단자(560)의 내측에서 걸림되는 걸림 리브(554)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리브(554)는, 타측 단자(560)의 내측으로 삽입 시에는 걸림되지 않고, 타측 단자(56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단(567)을 한도로 하여 타측 단자(560)의 내측에서 걸림되는 후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 있어서, 타측 단자(560)의 외주면에는, 탄성링 설치홈(565)이 구비될 수 있고, 탄성링 설치홈(565)에는 다수의 탄성 링(580)이 상하로 적층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서, 탄성 링(580)은, 2개(580a,580b)가 상하로 적층 배치되나, 반드시 이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유전체의 구성이 삭제되는 대신, 탄성 링(580)을 통해 텐션 절개부(564)가 형성된 타측 단자(560)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측면 텐션을 부가함으로써,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일측 단자(550)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전기적인 흐름의 단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단자 삽입구(25)에 형성된 삽입구 지지단(28)에 지지되고 배치되고, 단자부(540) 중 타측 단자(560)가 관통하도록 단자 관통홀(597)이 형성된 보강 플레이트(595)에 의해 타측 단자(560)의 하단부(562)가 솔더 고정되는 RF 신호 연결부(31)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후술할 다양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일측 단자(550) 및 타측 단자(560) 사이에 탄성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557)이 개재되어, 조립자가 제공하는 조립력에 대응하여 일측 단자(550)를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에 구비된 전극 패드 측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2차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4는 도 22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22 내지 도 2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 내에 배치되는 단자부(640) 및 유전체(670a,67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전체(670a,670b)는, 단자 삽입구(25) 내에서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도 22에 참조된 바와 같이, 각각 후술하는 단자부(640) 중 타측 단자(66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관통되는 단자 관통홀(671a,671b)이 형성된 상측 유전체(670a) 및 하측 유전체(67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22 내지 도 2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 내에 배치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관 형태의 메인 단자 하우징(29)과, 메인 단자 하우징(29)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서브 단자 하우징(29')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자 삽입구(25)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메인 단자 하우징(29)과 서브 단자 하우징(29')의 외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단자 하우징(29)의 내부에는 타측 단자(660)가 상하로 관통되게 배치되되, 그 내부에 구비된 상측 유전체(670a)의 단자 관통홀(671a) 및 하측 유전체(670b)의 단자 관통홀(671b)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단자 하우징(29)을 관통하도록 배치된 타측 단자(660)의 상단부 일부는, 서브 단자 하우징(29')의 내부로 소정 길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서브 단자 하우징(29')의 내부에는 일측 단자(650)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단(652)이 외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설치되고, 일측 단자(650)와 타측 단자(660) 사이에는 탄성부재(680)가 개재될 수 있다.
일측 단자(650)는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전극 패드에 접점되게 구비된 접점부(651)와, 접점부(651)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서브 단자 하우징(29')의 내측에 걸림되게 구비된 접점 플레이트(6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680)는, 도 22 및 도 23에 참조된 바와 같이, 타측 단자(660)의 상단면에 지지되는 지지 링부(681) 및 지지 링부(681)에서 각각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 연장되어 일측 단자(650) 중 접점 플레이트(652)의 하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바(682)를 포함하는 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 스프링은, 도 2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조립자의 조립력이 제공되면, 일측 단자(650)의 눌림에 의하여 압축 변형되면서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도성 재질로 구비되는 바, 별도의 텐션 절개부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전기적인 흐름의 단절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타측 단자(960)의 하단부는, 단자 삽입구(25) 내에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31)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솔더홀(32)에 솔더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조립자로부터 제공되는 조립력에 의하여, 단자부(640) 중 일측 단자(951)가 서브 단자 하우징(29') 내부에서 탄성부재(68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7은 도 25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25 내지 도 27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 내에 배치되는 단자부(740) 및 유전체(770a,77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전체(770a,770b)는, 단자 삽입구(25) 내에서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도 26에 참조된 바와 같이, 각각 후술하는 단자부(740) 중 일측 단자(750a)의 상단부와 타측 단자(750b)의 하단부가 관통되는 단자 관통홀(771a,771b)이 형성된 상측 유전체(770a) 및 하측 유전체(77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25 내지 도 27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 내에 배치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관 형태의 단자 하우징(29)과, 단자 하우징(29)의 내부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전달 단자(76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 삽입구(25)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자 하우징(29)의 외관 형상에 대응되는 긴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달 단자(760)는, 상측 유전체(770a)의 단자 관통홀(771a)에 상단부(761) 일부가 삽입 배치되고, 하측 유전체(770b)의 단자 관통홀(771b)에 하단부(762) 일부가 삽입 배치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서 단자부(740)는, 도 25 및 도 2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측 유전체(770a)의 단자 관통홀(771a) 내부에 배치되되 전달 단자(760)의 상단부(761)에 대하여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측 유전체(770a)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걸림 고정된 일측 단자(750a)와, 하측 유전체(770b)의 단자 관통홀(771b) 내부에 배치되되 전달 단자(760)의 하단부(762)에 대하여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측 유전체(770b)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걸림 고정된 타측 단자(750b)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각각 상측 유전체(770a) 및 하측 유전체(770b)에 개재되되, 일측 단자(750a)와 전달 단자(760)의 상단부 사이에 개재된 상부 탄성부재(780a) 및 타측 단자(750b)와 전달 단자(760)의 하단부(762) 사이에 개재된 하부 탄성부재(780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탄성부재(780a)와 하부 탄성부재(780b)는 모두 용수철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탄성부재(780a)와 하부 탄성부재(780b)는, 도 2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조립자의 조립력이 제공되면, 일측 단자(750a)의 눌림에 의하여 압축 변형되면서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2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달 단자(760)의 상단부(761) 및 하단부(762)가 삽입 수용되는 일측 단자(750a)의 하단부(752) 및 타측 단자(750b)의 상단부(752)에 텐션 절개부(75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텐션 절개부(754)는, 각각 상측 유전체(770a) 및 하측 유전체(770b)에 의하여 외주면이 밀착 지지되는 바 측면 텐션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일측 단자(750a)와 전달 단자 사이 및 타측 단자(750b)와 전달 단자(760) 사이의 전기적인 흐름의 단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의 모듈로 제작되어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일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28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모듈 형태로의 제작 여부와 관계 없이 외부 부재(8)의 일면에 구비된 전극 패드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다른 연결부재(31')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도모하는 단자부(40)가 구비된 커넥팅 구조체(1')로써 구현되는 변형 실시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캐비티 필터 21: 필터 본체
25: 단자 삽입구 27: 설치홈
30: 필터 모듈 31: RF 신호 연결부
32: 솔더홀 40: 단자부
50: 일측 단자 60: 타측 단자
70: 유전체 71: 단자 관통홀
80: 탄성부재 95: 보강 플레이트

Claims (15)

  1. 일면에 전극 패드가 구비된 외부 부재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
    상기 외부 부재의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상기 소정 거리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간 전기적 흐름의 단절을 예방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가 삽입 배치되도록 상기 RF 신호 연결부가 내부에 구비된 단자 삽입구를 포함하는 필터 본체; 및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 상기 단자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삽입되되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서의 임피던스가 정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 배치된 유전체; 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전극 패드에 접점되는 일측 단자 및 상기 RF 신호 연결부에 연결되는 타측 단자로 분리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일측 단자와 상기 타측 단자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 존재하는 상기 조립 공차를 흡수하는, 캐비티 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 중 상기 일측 단자는 상기 유전체와 함께 조립자가 제공하는 조립력에 의하여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단자부 중 상기 타측 단자는 상기 RF 신호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일측 단자와 상기 타측 단자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소정길이 오버랩되도록 수용되는, 캐비티 필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측 단자와 상기 타측 단자 중 어느 하나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텐션 절개부가 구비된, 캐비티 필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텐션 절개부는 상기 일측 단자에 구비되고, 상기 타측 단자의 상단부가 상기 일측 단자의 하단부의 내부로 수용되는, 캐비티 필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텐션 절개부는 상기 타측 단자에 구비되고, 상기 일측 단자의 하단부가 상기 타측 단자의 상단부의 내부로 수용되는, 캐비티 필터.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상기 다수의 텐션 절개부가 형성된 상기 일측 단자 또는 상기 타측 단자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캐비티 필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 구비된 상기 RF 신호 연결부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캐비티 필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필터 본체의 일부로서, 상기 단자 삽입구 측으로 돌출 형성된 삽입구 지지단에 고정되는, 캐비티 필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는, 상기 단자부가 관통하는 단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 관통홀을 관통하는 상기 일측 단자 및 상기 타측 단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에 걸림되게 상기 단자 관통홀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걸림단이 형성된, 캐비티 필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타측 단자의 외측면에는 탄성링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링 설치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링이 개재되는, 캐비티 필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탄성 링은, 상기 탄성링 설치홈에 2개 이상이 상하로 적층 개재되는, 캐비티 필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타측 단자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일측 단자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으로 구비된, 캐비티 필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타측 단자의 상단면에 지지되는 지지 링부와, 상기 지지 링부에서 각각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 연장되어 상기 일측 단자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바를 포함하는 바 스프링으로 구비된, 캐비티 필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 중 상기 타측 단자는 상기 RF 신호 연결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플레이트 부위에 형성된 솔더홀에 솔더 고정되는, 캐비티 필터.
  15. 일면에 전극 패드가 구비된 외부 부재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
    상기 외부 부재의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상기 소정 거리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간 전기적 흐름의 단절을 예방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가 삽입 배치되도록 상기 RF 신호 연결부가 내부에 구비된 단자 삽입구를 포함하는 필터 본체; 및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 상기 단자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삽입되되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서의 임피던스가 정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 배치된 유전체; 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전극 패드에 접점되는 일측 단자 및 상기 RF 신호 연결부에 연결되는 타측 단자로 분리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일측 단자와 상기 타측 단자 사이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 존재하는 상기 조립 공차를 흡수하는, 커넥팅 구조체.
KR1020210053204A 2018-06-12 2021-04-23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KR102474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67397 2018-06-12
KR1020180067397 2018-06-12
KR1020190069124A KR102246429B1 (ko) 2018-06-12 2019-06-12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124A Division KR102246429B1 (ko) 2018-06-12 2019-06-12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415A true KR20210052415A (ko) 2021-05-10
KR102474589B1 KR102474589B1 (ko) 2022-12-07

Family

ID=6884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204A KR102474589B1 (ko) 2018-06-12 2021-04-23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078302A (ko)
KR (1) KR102474589B1 (ko)
WO (1) WO201924048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1919A (ko) * 2009-10-16 2011-04-2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회로기판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rf 캐비티 필터
KR20160119942A (ko) * 2015-04-06 2016-10-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소켓 플러그 접속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180055772A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Mimo 안테나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302603A (ja) * 2008-06-10 2009-12-24 Panasonic Corp 高周波装置
CN204243344U (zh) * 2014-10-11 2015-04-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射频单元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1919A (ko) * 2009-10-16 2011-04-2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회로기판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rf 캐비티 필터
KR20160119942A (ko) * 2015-04-06 2016-10-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소켓 플러그 접속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180055772A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Mimo 안테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78302A (ja) 2023-06-06
KR102474589B1 (ko) 2022-12-07
WO2019240488A1 (ko)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461B1 (ko) 캐비티 필터
KR102241462B1 (ko) 캐비티 필터
KR102241459B1 (ko)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KR102246429B1 (ko)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US11522260B2 (en) Cavity filter
US20210098912A1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JP7459197B2 (ja) キャビティフィルタ
KR102474589B1 (ko)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JP2022508748A (ja) キャビティフィルタ
US11817643B2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