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115A - 스마트 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115A
KR20210052115A KR1020190146556A KR20190146556A KR20210052115A KR 20210052115 A KR20210052115 A KR 20210052115A KR 1020190146556 A KR1020190146556 A KR 1020190146556A KR 20190146556 A KR20190146556 A KR 20190146556A KR 20210052115 A KR20210052115 A KR 20210052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dging
company
terminal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음
Publication of KR2021005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은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숙박업체의 객실 내에 비취된 NFC 태그를 태깅한 태깅정보를 제공하는 숙박이용객 단말; 및 상기 숙박이용객 단말에서 태깅한 NFC 태그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숙박업체에서 판매중인 주문상품목록 또는 광고중인 광고상품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숙박이용객 단말에서 상기 판매중인 주문상품목록 또는 광고중인 광고상품목록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주문결제하면,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에 주문상품 또는 광고상품을 상기 숙박이용객의 객실로 배송요청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A system that provides services for the use of accommodation facilities using smart phone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다양한 통신기술이 등장하였다. 그 중,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무선태그(RFID)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데이터 읽기와 쓰기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RFID 사용을 위해 필요했던 리더기가 필요하지 않고, 블루투스 등 기존의 근거리 통신 기술과 비슷하지만 블루투스처럼 기기 간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NFC기술은 최근,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스마트폰과 결합되어, 모바일 결제라는 커다란 모멘텀을 일으키게 되었고, 이동통신사업자들에게는 비용 창출 마켓을 제공하고 이용자들에게는 다양한 서비스와 편리함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사실상 현재까지는 그 기술적 가능성과 스팩만 무성할 뿐 실제 시장에 나온 비즈니스 모델과 제품은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번호 제10-2019-0033500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은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숙박업체의 객실 내에 비취된 NFC 태그를 태깅한 태깅정보를 제공하는 숙박이용객 단말; 및 상기 숙박이용객 단말에서 태깅한 NFC 태그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숙박업체에서 판매중인 주문상품목록 또는 광고중인 광고상품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숙박이용객 단말에서 상기 판매중인 주문상품목록 또는 광고중인 광고상품목록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주문결제하면,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에 주문상품 또는 광고상품을 상기 숙박이용객의 객실로 배송요청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NFC 태그는 상기 서비스 서버의 URL, 상기 객실번호 및 상기 숙박업체의 코드가 코딩된 전자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숙박고객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인접한 숙박업체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요청결과를 지리정보맵 상에 스팟으로 표시하는 숙박업체 검색 인터페이스; 숙박업체에서 주문가능하거나 또는 광고하는 상품을 주문요청하는 상품주문 인터페이스; 및 숙박회원의 객실 체크인 및 체크 아웃을 전자처리 요청하는 체크 In/Out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주문 인터페이스는 숙박업체의 객실 내에 위치한 NFC 태그를 태깅하는 태깅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크 In/Out 인터페이스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발급된 객실의 check in/out 태그를 표시하고, 상기 Check in/out 태그는 객실도어에서 식별하는 전자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숙박고객 단말의 위치정보, 검색 키워드에 부합(매칭)되는 숙박업체 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된 결과를 지리정보맵의 스팟으로 표시한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숙박고객 단말로부터 전송된 NFC 태깅정보에 기록된 숙박업체의 코드정보로 숙박업체를 확인하고, 확인된 숙박업체에서 등록한 상품주문목록을 숙박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숙박업체 단말로부터 check in/out 태그정보 발급이 요청되면, 숙박업체 단말에서 지정한 객실번호가 코딩된 check in/out 태그를 숙박고객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방법은 숙박이용객 단말에서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숙박업체의 객실 내에 비취된 NFC 태그를 태깅한 태깅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숙박이용객 단말에서 태깅한 NFC 태그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숙박업체에서 판매중인 주문상품목록 또는 광고중인 광고상품목록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숙박이용객 단말에서 상기 판매중인 주문상품목록 또는 광고중인 광고상품목록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주문결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에 주문상품 또는 광고상품을 상기 숙박이용객의 객실로 배송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NFC 태그를 통해 객실에서 간편하게 상품주문 및 주문한 상품을 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간편하게 프론트 방문 없이 숙박업체의 체크 인/아웃을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클라이언트", "유저" 및 "사용자"는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및 "엘리먼트" 또한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 내지 도 7은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의 실행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100)은 숙박이용객 단말(200), 숙박업체 단말(300) 및 서비스 서버(4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200, 300, 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숙박이용객 단말(200)은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예컨대,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숙박업체의 이용가능정보(서비스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숙박이용객 단말(200)은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숙박시설의 이용정보(숙박, 주문가능상품목록, 프론트 서비스 요청 등)를 NFC 태깅정보를 이용하여 요청할 수 있고, 요청한 서비스 및/또는 상품주문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단말일 수 있다.
숙박이용객 단말(200)은 숙박업체 내의 숙박시설물에 기록된 NFC 태그의 태깅을 통해 후술하는 서비스 서버에 접속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해당 숙박업체에서 주문가능한 상품정보목록을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숙박이용객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숙박이용객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1)은 숙박이용객 단말(200)에 설치 또는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1)은 도 2를 참조, 회원가입에 필요한 필수정보(이름, 휴대번호) 및 등록할 회원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회원등록을 수행하는 회원가입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1)은 도 3을 참조, 숙박업체 검색 인터페이스(10), 상품주문 인터페이스(20), 룸 서비스 인터페이스(30) 및 체크 In/out 인터페이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박업체 검색 인터페이스(10)는 도 4를 참조, 숙박고객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반한 검색 기능을 갖는 인터페이스로서, 검색키워드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검색키워드 및/지리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된 숙박업체 정보를 지리정보맵 상에 스팟으로 표시되며, 숙박고객의 검색키워드에 가장 근접한 숙박업체의 경우, 스팟이 점멸될 수 있다.
또한, 숙박업체 검색 인터페이스(10)는 사용자의 터치정보에 기초하여 지리정보맵 상에서 표시된 스팟들 중 사용자가 터치로 지정된 영역에 해당하는 숙박업체의 세부결과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부결과정보는 1일 숙박료, 비취물품, 체크 인/아웃 시간, 이용서비스 대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품주문 인터페이스(20)는 숙박업체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광고대상상품(지역상품 등)을 주문요청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품주문 인터페이스(20)는 도 5를 참조, NFC 태그수단 및 상품주문목록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C 태그 수단은 숙박업체의 객실 내에 위치한 NFC 태그를 태깅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NFC 태그는 서비스 서버의 URL, 숙박고객이 입실한 객실호수, 숙박업체 코드가 코딩된 태그일 수 있다.
따라서, 숙박업체 단말에서 NFC 태그를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면, 서비스 서버는 숙박업체에서 주문가능한 광고상품정보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품주문목록 표시수단은 서비스 서버에 전송된 광고상품목록을 표시하며, 이때, 숙박업체의 객실호수 및 숙박업체의 코드정보를 함께 표시한다.
한편, 상기 상품주문목록 표시수단은 결제인터페이스와 연동되며, 결제인터페이스는 숙박고객이 지정한 광고상품에 대한 결제를 처리한다.
다음으로, 룸 서비스 인터페이스(30)는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로 룸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룸 서비스 인터페이스(30) 또한, 상품주문 인터페이스와 같이, NFC 태그수단을 통해 NFC 태깅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면, 서비스 서버는 숙박고객이 위치한 객실호수의 룸서비스 요청정보를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은 룸서비스 요청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체크 In/Out 인터페이스(40)는 도 7을 참조, 서비스 서버(400)에서 발급된 객실의 check in/out 태그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Check in/out 태그는 객실도어에서 식별하는 전자태그로서, 숙박업체의 카운트에서 숙박결제를 처리하면,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에서 서비스 서버(400)로 해당 숙박고객의 단말로 check in/out 태그 발급을 요청하면, 서비스 서버(400)는 숙박고객 단말(200)로 객실번호가 코딩된 check in/out 태그를 발급한다.
숙박고객은 프런트에서 키 또는 카드를 받을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퇴실 시에 키 반납 등의 퇴실절차 없이 간편하게 퇴실할 수 있다.
여기서, 체크 In/Out 인터페이스(40)는 Check in/out 태그의 태깅시점의 시간을 표시하고, 또한, 퇴실 시간을 표시한다.
또한, 체크 In/Out 인터페이스(40)는 퇴실시간 10분, 30분, 1시간 전 단위로 퇴실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원에서 설명하는 숙박업체의 객실도어는 상술한 Check in/out 태그를 태깅하기 위한 태깅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도어락일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400)는 숙박고객 단말에서 제공된 NFC 태깅정보에 기초하여 숙박업체의 위치정보, 해당 숙박업체에서 주문 및/또는 판매되는 광고상품목록을 제공하고, 광고상품목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광고상품주문을 요청받으면, 해당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로 숙박고객이 주문요청한 광고상품정보의 배송을 요청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400)는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로부터 check in/out 태그정보 발급이 요청되면,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에서 지정한 객실번호가 코딩된 check in/out 태그를 숙박고객의 단말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서버(400)는 회원관리부(410), 숙박업체 검색부(420), 상품주문정보 관리부(430), 체크인/아웃 태그 생성부(440), 결제처리부(450) 및 플랫폼 제공부(460)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관리부(410)는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1)에 가입한 회원(숙박고객 및 가맹점)의 회원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회원관리부(410)는 회원가입에 필요한 필수정보를 요청하고, 회원가입시에 인증절차를 진행한다.
참고로, 회원관리부(410)는 회원이 숙박업체 가맹점일 경우, 해당 숙박업체의 객실정보, 숙박료, 숙박시설정보, 광고상품정보목록 등을 관리하며, 실시간으로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로부터 숙박업체 위치정보, 객실정보, 숙박료, 숙박시설정보 등의 변동사항을 업로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숙박업체 검색부(420)는 숙박고객 단말의 위치정보, 검색 키워드에 부합(매칭)되는 숙박업체 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된 결과를 지리정보맵의 스팟으로 표시한 검색결과를 제공한다.
또한, 숙박업체 검색부(420)는 숙박고객의 단말에서 제공된 지리정보맵의 지정영역 내에 포함되는 숙박업체의 세부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품주문정보 관리부(430)는 숙박고객이 주문요청한 상품주문정보를 등록 및 관리한다.
상품주문정보 관리부(430)는 숙박고객이 이용한 숙박업체에서 주문한 상품주문기록정보를 숙박고객 별로 기록관리하며, 상품주문과 관련된 컴플레인 정보 또한 기록저장한다.
상품주문정보 관리부(430)는 회원으로 등록된 숙박업체에서 광고하는 광고상품 또는 숙박업체에서만 주문가능한 상품정보를 등록관리한다.
상품주문정보 관리부(430)는 숙박고객 단말로부터 전송된 NFC 태깅정보에 기록된 숙박업체의 코드정보로 숙박업체를 확인하고, 확인된 숙박업체에서 등록한 상품주문목록을 숙박고객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상품주문정보 관리부(430)는 후술하는 결제처리부(450)와 연동되며, 결제처리부(450)로부터 주문상품의 결제처리완료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로 숙박고객의 객실로 주문상품 배송을 요청한다.
상기 체크 In/Out 태그 생성부(440)는 숙박업체 단말(300)로부터 check in/out 태그정보 발급이 요청되면,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에서 지정한 객실번호가 코딩된 check in/out 태그를 숙박고객의 단말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결제처리부(450)는 숙박고객 단말에서 결제한 결제정보(예컨대, 숙박이용료 결제 및 주문상품 결제)를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플랫폼 제공부(460)는 앞에서 상술한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1)을 제공하며, 상기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1)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서비스 서버(400)는 빅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집 및 저장되는 빅데이터의 종류나 이후에 요청될 질의(Query)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마이닝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는, 인공신경망 딥러닝이나 기계학습 등으로 검증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이때, 인공 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데,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또한, 각 부는 DB를 포함할 수 있고, 각 DB는 오라클(Oracle), MYSQL, MSSQL,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은 상위 개념 또는 하위 개념의 필드 또는 엘리먼트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방법(S700)은 먼저, 숙박이용객 단말(200)에서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1)을 실행한 후, 인접한 위치에 있는 숙박업체검색을 요청하면, 서비스 서버(400)는 숙박고객 단말의 위치에 인접한 숙박업체의 위치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결과를 지리정보맵의 스팟으로 표시하여 전송한다.
숙박이용객 단말(200)은 지리정보 맵에 표시된 숙박업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지리정보 맵 상에 복수 개의 숙박업체 스팟을 영역지정한 후, 영역 내에 포함하는 숙박업체의 세부정보 검색을 요청한다.
이후, 숙박이용객 단말(200)에서 숙박업체를 지정한 후, 숙박이용료를 결제처리하면, 결제정보를 해당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고,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은 해당 숙박고객이 입실할 객실번호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400)는 해당 숙박고객 단말(200) 및 가맹점 단말(300)로 객실번호가 코딩된 체크 인/아웃 태그를 발급한다.
이후, 숙박고객 단말(200)에서 객실의 객실도어에 발급된 체크 인 태그를 태깅하면, 숙박고객 단말(200)에 체크 인 정보가 기록되고, 체크 아웃 시간이 표시된다.
이후, 숙박고객 단말에서 플랫폼을 이용하여 객실 내에 비취된 NFC 태그를 태깅하면, 서비스 서버에 접속되어, 숙박업체에서 판매가능하거나 또는 주문가능한 광고상품목록을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받는다. 이후, 광고상품목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주문 및 결제하면, 주문 및 결제정보는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어, 가맹점 단말로 주문 및 결제정보가 전송된다.
이후, 가맹점 단말(300)은 관리자를 통해 주문상품을 숙박고객의 객실로 배송하도록 요청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NFC 태그를 통해 객실에서 간편하게 상품주문 및 주문한 상품을 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간편하게 프론트 방문 없이 숙박업체의 체크 인/아웃을 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200: 숙박이용객 단말
300: 숙박업체 단말
400: 서비스 서버
410: 회원관리부
420: 숙박업체 검색부
430: 상품주문정보 관리부
440: 체크인/아웃 태그 생성부
450: 결제처리부
460: 플랫폼 제공부
1: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
10: 숙박업체 검색 인터페이스
20: 상품주문 인터페이스
30: 룸 서비스 인터페이스
40: 체크 In/Out 인터페이스

Claims (8)

  1.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숙박업체의 객실 내에 비취된 NFC 태그를 태깅한 태깅정보를 제공하는 숙박이용객 단말; 및
    상기 숙박이용객 단말에서 태깅한 NFC 태그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숙박업체에서 판매중인 주문상품목록 또는 광고중인 광고상품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숙박이용객 단말에서 상기 판매중인 주문상품목록 또는 광고중인 광고상품목록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주문결제하면,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에 주문상품 또는 광고상품을 상기 숙박이용객의 객실로 배송요청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C 태그는 상기 서비스 서버의 URL, 상기 객실번호 및 상기 숙박업체의 코드가 코딩된 전자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은
    상기 숙박고객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인접한 숙박업체 위치정보를 요청하고, 요청결과를 지리정보맵 상에 스팟으로 표시하는 숙박업체 검색 인터페이스;
    숙박업체에서 주문가능하거나 또는 광고하는 상품을 주문요청하는 상품주문 인터페이스; 및
    숙박회원의 객실 체크인 및 체크 아웃을 전자처리 요청하는 체크 In/Out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주문 인터페이스는 숙박업체의 객실 내에 위치한 NFC 태그를 태깅하는 태깅수단을 포함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In/Out 인터페이스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발급된 객실의 check in/out 태그를 표시하고,
    상기 Check in/out 태그는 객실도어에서 식별하는 전자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숙박고객 단말의 위치정보, 검색 키워드에 부합(매칭)되는 숙박업체 정보를 검색한 후, 검색된 결과를 지리정보맵의 스팟으로 표시한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숙박고객 단말로부터 전송된 NFC 태깅정보에 기록된 숙박업체의 코드정보로 숙박업체를 확인하고, 확인된 숙박업체에서 등록한 상품주문목록을 숙박고객 단말로 전송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숙박업체 단말로부터 check in/out 태그정보 발급이 요청되면, 숙박업체 단말에서 지정한 객실번호가 코딩된 check in/out 태그를 숙박고객의 단말로 제공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8. 숙박이용객 단말에서 숙박시설물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숙박업체의 객실 내에 비취된 NFC 태그를 태깅한 태깅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숙박이용객 단말에서 태깅한 NFC 태그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숙박업체에서 판매중인 주문상품목록 또는 광고중인 광고상품목록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숙박이용객 단말에서 상기 판매중인 주문상품목록 또는 광고중인 광고상품목록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품을 주문결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숙박업체 가맹점 단말에 주문상품 또는 광고상품을 상기 숙박이용객의 객실로 배송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방법.
KR1020190146556A 2019-10-31 2019-11-15 스마트 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21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37623 2019-10-31
KR1020190137623 2019-10-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115A true KR20210052115A (ko) 2021-05-10

Family

ID=7591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556A KR20210052115A (ko) 2019-10-31 2019-11-15 스마트 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21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396B1 (ko) * 2021-07-27 2022-09-30 주식회사 라코스시스템 고객 모바일 앱을 이용한 비대면, 비접촉 및 범용성 기반의 호텔 자율서비스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500A (ko) 2019-03-19 2019-03-29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3500A (ko) 2019-03-19 2019-03-29 주식회사 이베이코리아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주문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396B1 (ko) * 2021-07-27 2022-09-30 주식회사 라코스시스템 고객 모바일 앱을 이용한 비대면, 비접촉 및 범용성 기반의 호텔 자율서비스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5774B2 (en) Geotargeting of content by dynamically detecting geographically dense collections of mobile computing devices
KR101868583B1 (ko) 객관적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가맹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40623B1 (ko) 비즈니스용 추천 프로그램
US20140039945A1 (en) Customized Check-in for Event Ticket Network Systems
CN104115147B (zh) 位置感知应用搜索
CN105229485A (zh) 多因素位置验证
US2019002055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entity performance
CN109285092A (zh) 网上房地产信息提供系统,房地产放心交易服务提供系统
KR102403331B1 (ko) 소재/부품 재고관리 및 스마트 거래 시스템, 방법
US20200327548A1 (en) Merchant classification based on content derived from web crawling merchant websites
CN106489165A (zh) 将来自应用的转化与所选内容项目匹配
Dong Construction of mobile E-commerce platform and analysis of its impact on E-commerce logistics customer satisfaction
CN104079640A (zh) 一种用户服务提供方法及系统
KR20180131925A (ko) 추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10070254A (ko) 가격기준 검색을 이용한 가성비 맛집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0163094B2 (en) Light-life system and application
US20210133851A1 (en) Personalized content based on interest levels
US11620693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and store search results associated with meta shopping mall
KR101485813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건물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052115A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숙박시설물 이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98558B1 (ko) 컨텐츠에 링크 정보를 등록하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32990A (ko) 부동산 정보 제공에 따른 차등적 리워드 보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60142345A1 (en)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search and retrieval of lost objects
Goecke Advanced web technologies and E-tourism web applications
KR102185781B1 (ko) 자동번역을 이용한 소스 쇼핑몰로부터 타겟 쇼핑몰로의 상품 간편등록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