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933A - 기지국장치 및 스케줄링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스케줄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933A
KR20210051933A KR1020190137857A KR20190137857A KR20210051933A KR 20210051933 A KR20210051933 A KR 20210051933A KR 1020190137857 A KR1020190137857 A KR 1020190137857A KR 20190137857 A KR20190137857 A KR 20190137857A KR 20210051933 A KR20210051933 A KR 20210051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station
signal
period
schedu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382B1 (ko
Inventor
이덕희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7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3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SA 5G 단말에서 수행되는 NR 신호 측정 시, Meas. Gap 설정 제약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상당 시간 반복되는 전송중단구간(DTX)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방안)을 제안한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스케줄링 방법{BASE STATION AMD SCHEDU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E-UTRA 기술과 NR 기술을 연동하는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EN-DC 동작을 위해 단말에서 필수적으로 수행되는 NR 신호 측정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NR(New Radio, 5G) 규격만으로 서비스 상용화가 어려운 상황이며, 초기 NR 투자 비용 과다 및 NR 독자적인 상용 서비스 제공 불가를 고려하여, 많은 사업자들이 기존 상용화된 E-UTRA 기술과 NR 기술을 연동하는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방식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EN-DC의 Architecture는, 기존 EPC(MME/S-GW)와 E-UTRA 기지국 달리 말하면 LTE 기지국(이하, eNB)/ NR 기지국 달리 말하면 5G 기지국(이하, gNB)를 연동하는 방식으로서, 서로 다른 이기종의 4G(LTE) 및 5G 네트워크 간 상호 연동을 기반으로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Non-Standalone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Non-Standalone 기술은, 4G(LTE)를 Primary 네트워크로 사용하여 Seamless한 Coverage를 확보하면서, 5G를 Secondary 네트워크로 사용하여 보다 대용량/저지연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4G 및 5G 네트워크 간 상호 연동을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이에, Non-Standalone을 지원하는 5G 단말은, 네트워크 초기 접속 시, eNB의 LTE cell에 접속하여 Primary인 4G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gNB의 NR cell에 접속(NR addition)하여 Secondary인 5G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EN-DC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5G 단말이 NR cell에 접속하여 EN-DC 동작하기 위해서는, NR 신호를 측정하는 절차(예: B1 measurement 절차)를 수행해야만 한다.
이때, 5G 단말에서 B1 measurement 절차는 5G 단말이 먼저 접속한 LTE cell(eNB)에 의한 제어/설정을 기반으로 수행되며, 이와 관련하여 LTE cell(eNB)은 기 정의된 Meas. Gap 파라미터 설정을 5G 단말로 내려주어 NR 신호 측정을 위해 데이터 전송을 강제로 중단하는 구간(전송중단구간, DTX: Discontinuous Transmission)을 5G 단말에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5G 단말은, Meas. Gap 설정을 기반으로 일정 주기 마다 도래하는 전송중단구간(DTX)에서, UL/DL 데이터를 전송(송수신)하지 못하고 강제로 쉬게 된다.
만약 5G 단말이 NR coverage 영역에 있고 B1 event 조건이 충족되는 NR 신호를 측정하여 바로 B1 MR(Measurement Report, 보고메시지)을 전송한다면, NR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Meas. Gap 설정이 해제(release)되므로 큰 문제가 없다.
헌데 5G 단말이 NR coverage 영역에 있지만 B1 event 조건이 충족되는 NR 신호를 측정을 하지 못하거나 NR coverage 영역에 없는 경우 NR Addition을 위한 B1 MR을 전송하지 않을 것이고, 이렇게 되면 5G 단말에 설정된 Meas. Gap 설정 활성화로 인해 전송중단구간(DTX)에서 계속 UL/DL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UL/DL Throughput 감소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전송중단구간(DTX)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Meas. Gap 파라미터가 표준에서 정의하고 범위 내에서만 사용 가능한 점, 그리고 상용 5G 단말의 스펙(Spec) 한계점 등 Meas. Gap 설정 제약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상당 시간 반복되는 전송중단구간(DTX)으로 인한 Throughput 감소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5G 단말에서 수행되는 NR 신호 측정 시 Meas. Gap 설정 제약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상당 시간 반복되는 전송중단구간(DTX) 및 이로 인한 Throughput 감소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NSA 5G 단말에서 수행되는 NR 신호 측정 시, Meas. Gap 설정 제약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상당 시간 반복되는 전송중단구간(DTX) 및 이로 인한 Throughput 감소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실현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는 설정정보제공부; 및 상기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해 데이터 전송을 미 지원하는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하여, 상기 주변 기지국의 신호 측정을 위해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전송중단구간을 상기 단말에 설정하는 일 없이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구간에서 상기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구간에서 상기 단말로 업링크(UL)/다운링크(DL) grant를 전송하지 않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을 미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한 보고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로 경과하는 경과 시간이 길어질수록 상기 특정 구간의 주기를 길게 하여 재 스케줄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변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장치와 상이한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지원하며, 상기 설정정보는, 측정 대상인 주변 기지국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신호에 대한 송신주기정보, 송신되는 타이밍정보, 주파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주기 파라미터, 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 오프셋 파라미터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한 파라미터 값에 따른 특정 구간을 상기 단말에 대해 스케줄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는, 상기 설정정보 내 타이밍정보에서 확인되는 상기 주변 기지국의 SSB 신호 송신시간(duration)과, 상기 단말에서 SSB 신호 측정 및/또는 디코딩(decoding)을 위해 소요되는 추가 보상 시간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기 파라미터는, 상기 설정정보 내 송신주기정보에서 확인되는 상기 주변 기지국의 SSB 신호 송신주기의 배수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한 보고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로 경과하는 경과 시간에 따라 상기 특정 구간의 설정된 주기 파라미터 값을 단계적으로 조정하여 재 스케줄링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에 수행되는 스케줄링 방법은,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는 설정정보제공단계; 및 상기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해 데이터 전송을 미 지원하는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하여, 상기 주변 기지국의 신호 측정을 위해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전송중단구간을 상기 단말에 설정하는 일 없이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구간에서 상기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케줄링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케줄링단계는,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한 보고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로 경과하는 경과 시간이 길어질수록 상기 특정 구간의 주기를 길게 하여 재 스케줄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케줄링단계는, 상기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주기 파라미터, 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 오프셋 파라미터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한 파라미터 값에 따른 특정 구간을 상기 단말에 대해 스케줄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한 보고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로 경과하는 경과 시간에 따라 상기 특정 구간의 설정된 주기 파라미터 값을 단계적으로 조정하여 재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스케줄링 방법에 따르면, NSA 5G 단말에서 수행되는 NR 신호 측정 시, Meas. Gap 설정 제약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상당 시간 반복되는 전송중단구간(DTX)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Throughput 감소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장치에서 수행되는 스케줄링 방법의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E-UTRA 기술과 NR 기술을 연동하는 EN-DC(E-UTRA NR Dual Connectivity) 환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EN-DC 동작을 위해 단말에서 필수적으로 수행되는 NR 신호 측정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DC의 Architecture는, 기존 EPC(MME/S-GW)와 E-UTRA 기지국 달리 말하면 LTE 기지국(이하, eNB)/ NR 기지국 달리 말하면 5G 기지국(이하, gNB)를 연동하는 방식으로서, 서로 다른 이기종의 4G(LTE) 및 5G 네트워크 간 상호 연동을 기반으로 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Non-Standalone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Non-Standalone 기술은, 4G(LTE)를 Primary 네트워크로 사용하여 Seamless한 Coverage를 확보하면서, 5G를 Secondary 네트워크로 사용하여 보다 대용량/저지연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4G 및 5G 네트워크 간 상호 연동을 기반으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술이다.
이에, Non-Standalone을 지원하는 5G 단말은, 네트워크 초기 접속 시, eNB의 LTE cell에 접속하여 Primary인 4G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gNB의 NR cell에 접속(NR addition)하여 Secondary인 5G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EN-DC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30)이eNB(10)의 LTE cell/gNB(20)의 NR cell에 접속하여 EN-DC 상태로 동작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하고, eNB(10)의 LTE cell에 참조번호 10, gNB(20)의 NR cell에 참조번호 20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이와 같이 단말(30)이 NR cell(20)에 접속하여 EN-DC 동작하기 위해서는, NR 신호를 측정하는 절차(예: B1 measurement 절차)를 수행해야만 한다.
이때, 단말(30)에서 B1 measurement 절차는 단말(30)이 먼저 접속한 LTE cell(10)에 의한 제어/설정을 기반으로 수행된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기존 방식을 설명하면, LTE cell의 eNB(10)은, 주변 gNB의 신호를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하는 설정정보 즉 B1(또는 B2) measurement 정보를 단말(30)에 제공하여, 단말(30)로 하여금 자신이 측정해야 할 NR 신호를 인지시킨다.
그리고, LTE cell의 eNB(10)은, 기 정의된 Meas. Gap 파라미터 설정을 단말(30)로 내려주어, NR 신호 측정을 위해 데이터 전송을 강제로 중단하는 구간(전송중단구간, DTX: Discontinuous Transmission)을 단말(30)에 설정할 수 있다.
이에, LTE cell의 eNB(10, 구체적으로 DTX 스케줄러)은 Meas. Gap 설정에 따른 전송중단구간(DTX)에서 UL/DL grant를 전송하지 않으며, 단말(30)은 Meas. Gap 설정을 기반으로 일정 주기 마다 도래하는 전송중단구간(DTX)에서 UL/DL 데이터를 전송(송수신)하지 못하게 강제되며 이 구간에서 B1(또는 B2) measurement 정보를 기반으로 NR 신호를 측정하게 된다.
만약 단말(30)이 NR coverage 영역에 있고 B1(또는 B2) event 조건이 충족되는 NR 신호를 측정하여 바로 B1(또는 B2) MR(Measurement Report, 보고메시지)을 전송한다면, NR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Meas. Gap 설정이 해제(release)되므로 큰 문제가 없다.
헌데 기존 기술에서 단말(30)이 NR coverage 영역에 있지만 B1(또는 B2) event 조건이 충족되는 NR 신호를 측정을 하지 못하거나 NR coverage 영역에 없는 경우 NR Addition을 위한 B1(또는 B2) MR을 전송하지 않을 것이고, 이렇게 되면 단말(30)에 설정된 Meas. Gap 설정 활성화로 인해 전송중단구간(DTX)에서 계속 UL/DL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UL/DL Throughput 감소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전송중단구간(DTX)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Meas. Gap 파라미터가 표준에서 정의하고 범위 내에서만 사용 가능한 점, 그리고 상용 5G 단말의 스펙(Spec)으로 인해 경우에 따라 표준에서 정의하고 범위 내 고 성능의 일부 Meas. Gap 파라미터를 적용이 불가능한 한계점 등 Meas. Gap 설정 제약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상당 시간 반복되는 전송중단구간(DTX)을 회피하기 어렵고, 이로 인한 Throughput 감소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기존의 기 정의된 Meas. Gap 파라미터를 이용하는 Meas. Gap 설정 방식으로는, 불필요하게 상당 시간 반복되는 전송중단구간(DTX)으로 인한 Throughput 감소 현상의 문제를 의미 있게 해결하기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5G 단말에서 수행되는 NR 신호 측정 시, Meas. Gap 설정 제약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상당 시간 반복되는 전송중단구간(DTX) 및 이로 인한 Throughput 감소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안을 실현하는 기지국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설정정보제공부(110),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LTE(4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eNB이며, 특히 NSA를 지원하는 LTE cell을 형성하는 eNB로 가정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EN-DC 동작을 위한 5G NSA UE(이하 단말(30)) 및 NR cell(20) 즉 gNB(20)와의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부(13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30)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기지국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셀접속제어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방안을 실현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지국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로서 도 1에 도시된 eNB(10, LTE cell(10))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설정정보제공부(110)는,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주변 기지국은,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와 상이한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지원하는 기지국이다.
즉,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가 LTE(4G) 네트워크의 eNB이므로, 주변 기지국은 NR(5G) 네트워크의 gNB를 의미하며, 후술에서는 주변 기지국으로서 도 1에 도시된 gNB(20, NR cell(20))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그리고 설정정보제공부(110)가 제공하는 설정정보는, 측정 대상인 주변 기지국 즉 gNB(20)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신호에 대한 송신주기정보, 송신되는 타이밍정보, 주파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장치(100)가 자신 주변에 위치하는 gNB 즉 자신에 접속한 단말(특히, NSA 5G 단말)이 측정해야 할 gNB의 SSB 신호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다는 것을 가정하며, 예컨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정보를 공유하여 알 수 있다.
이에, 설정정보제공부(110)는, 주변 기지국 즉 gNB(20)의 SSB 신호를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하는 설정정보, 즉 B1(또는 B2) measurement 정보(SSB 신호 송신주기정보, 타이밍정보, 주파수정보 등)를 단말(이하, 단말(30))에 제공하여, 단말(30)로 하여금 자신이 측정해야 할 NR 신호를 인지시킨다.
이하에서는, B1 measurement 정보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이처럼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eNB(10))에서 B1 measurement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은, EN-DC 동작을 위해 우선 기지국장치(100, eNB(10))에 접속한 단말(30)로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제공하는 기존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앞서 설정정보제공부(110)가 단말(30)으로 제공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단말(30)에 대해 데이터 전송을 미 지원하는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하여, 주변 기지국 즉 gNB(20)의 SSB 신호 측정을 위해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전송중단구간(DTX)을 단말(30)에 설정하는 일 없이 단말(30)이 전술의 특정 구간에서 주변 기지국 즉 gNB(20)의 SSB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B1 measurement 정보를 단말(30)에 제공하여 측정해야 할 NR 신호를 인지시킨 후, 단말(30)로 Meas. Gap 파라미터 설정을 내려주는 기존 방식과 달리, B1 measurement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30)에 대해 데이터 전송을 미 지원하는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하고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B1 measurement 정보를 단말(30)에 제공하여 측정해야 할 NR 신호를 인지시킨 후, NR 신호(gNB(20)의 SSB 신호)를 측정 가능 하도록 DTX 구간을 보장해주는 역할의 특정 구간을 단말(30)에 스케줄링함으로써, 단말(30)에 강제되는 전송중단구간(DTX)를 설정하지 않고도 단말(30)이 gNB(20)의 SSB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20)는, 앞서 단말(30)에 대해 스케줄링한 특정 구간에서 단말(30)로 업링크(UL)/다운링크(DL) grant를 전송하지 않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을 미 지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어부(120, 또는 eNB(10) 내 스케줄러)는, B1 measurement 정보를 단말(30)에 제공하여 측정해야 할 NR 신호를 인지시킨 후, DTX 구간을 보장해주는 역할의 특정 구간을 단말(30)에 스케줄링하여 이 특정 구간에서 단말(30)로 UL/DL grant를 전송하지 않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앞서 B1 measurement 정보(SSB 신호 송신주기정보, 타이밍정보, 주파수정보 등)를 기반으로 측정해야 할 NR 신호(예: gNB(20)의 SSB 신호)를 인지하고 있는 단말(30)에서는, Meas. Gap 설정이 없기 때문에 강제되는 전송중단구간(DTX)은 없고(비활성화 상태), 대신 eNB(10)에 의해 UL/DL grant가 전송되지 않는 특정 구간에서 UL/DL 데이터 전송이 없으므로 해당 시점에 UL/DL grant(via PDCCH)를 decoding 하지 않고, 이 특정 구간에서 B1 measurement 정보를 기반으로 NR 신호를 측정하면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B1 measurement 정보를 단말(30)에 제공하여 측정해야 할 NR 신호를 인지시킨 후, 단말(30)로 Meas. Gap 파라미터 설정을 내려주는 대신, NR 신호(gNB(20)의 SSB 신호)를 측정 가능 하도록 DTX 구간을 보장해주는 역할의 특정 구간을 단말(30)에 스케줄링함으로써, 단말(30)에 강제되는 전송중단구간(DTX)를 설정하지 않고도 단말(30)이 gNB(20)의 SSB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DTX 구간을 보장해주는 역할의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하는 방식의 구체적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장치(100, eNB(10)) 내부적으로 정의한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20)는, 설정정보 즉 B1 measurement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 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durationOfSchForMeas), 오프셋 파라미터(offsetOfSchForMeas)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B1 measurement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한 파라미터 값 즉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durationOfSchForMeas)/오프셋 파라미터(offsetOfSchForMeas) 값에 따른 특정 구간을 단말(30)에 대해 스케줄링할 수 있다.
여기서,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는, 전술의 설정정보 즉 B1 measurement 정보 내 송신주기정보에서 확인되는, 측정해야 할 주변 기지국 즉 gNB(20)의 SSB 신호 송신주기의 배수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gNB(20)의 SSB 신호 송신주기가 20ms인 경우라면, 제어부(120)는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를 20ms의 배수(예: 20ms, 40ms, 60ms 등)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는, 기존 Meas. Gap 설정에서 Measurement gap Repetition Period 파라미터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durationOfSchForMeas)는, B1 measurement 정보 내 타이밍정보에서 확인되는, 측정해야 할 주변 기지국 즉 gNB(20)의 SSB 신호 송신시간(duration)과, 단말(30)에서 SSB 신호 측정 및/또는 디코딩(decoding)을 위해 소요되는 추가 보상 시간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gNB(20)의 SSB 신호 송신시간(duration)을 x라 할 때, 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durationOfSchForMeas)는 다음 수학식 1로 정의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ceil(x)의 역할은 x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 중 최소값이고, y는 단말(30)에서 SSB 신호 측정 및/또는 디코딩(decoding)을 위해 필요로 하는 추가 보상 시간이다. 파라미터 y값은 서비스하고자 하는 단말의 capability에 따라 달라지며, 서비스 운용자에 따라 임의 변경 할 수 있다.
이러한 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durationOfSchForMeas)는, 기존 Meas. Gap 설정에서 Measurement gap length 파라미터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오프셋 파라미터(offsetOfSchForMeas)는, 측정하고자 하는 NR 신호 즉 gNB(20)의 SSB 신호 시작 Offset Timing에 의해 결정된다.
예컨대, gNB(20)의 SSB 신호가 매 20ms마다 X ms째 전송이 된다면, 오프셋 파라미터(offsetOfSchForMeas)은 X 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오프셋 파라미터(offsetOfSchForMeas)는, B1 measurement 설정에서 periodicityAndOffset-r15의 Offset 값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전술과 같이 제어부(120)는, B1 measurement 정보를 기반으로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durationOfSchForMeas)/오프셋 파라미터(offsetOfSchForMeas) 값 각각을 설정하면, 설정한 파라미터 값에 따른 특정 구간 즉 단말(30)에서 DTX 구간을 보장해주는 역할의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NSA 5G 단말에 B1 measurement 설정 후, NR 신호를 측정 가능 하도록 DTX 구간 역할의 특정 구간을 NSA 5G 단말에 스케줄링함으로써, NSA 5G 단말에 강제되는 전송중단구간(DTX)를 설정하지 않고도 NSA 5G 단말이 특정 구간에서 NR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Meas. Gap 설정 없이도, NSA 5G 단말에서 NR 신호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부(120)는, 단말 즉 단말(30)에 대해 전술의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한 후, 단말(30)로부터 주변 기지국의 신호(예: gNB(20)의 SSB 신호)를 측정한 보고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로 경과하는 경과 시간이 길어질수록 해당 특정 구간의 주기를 길게 하여 재 스케줄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술의 파라미터들 중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를 이용하여 DTX 구간 역할의 특정 구간 주기를 조정함으로써, 특정 구간의 주기 조정을 통해 DTX 구간을 동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eNB(10))는, 단말(30)에 대해 전술의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durationOfSchForMeas)/오프셋 파라미터(offsetOfSchForMeas) 값을 각각 설정하여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하면, 이 특정 구간에서 단말(30)로 UL/DL grant를 전송하지 않는다.
그리고, 단말(30)에서는, 기지국장치(100, eNB(10))에 의해 UL/DL grant가 전송되지 않는 특정 구간에서 UL/DL 데이터 전송이 없으므로 해당 시점에 UL/DL grant(via PDCCH)를 decoding 하지 않고, 이 특정 구간에서 B1 measurement 정보를 기반으로 NR 신호를 측정하고, B1 event 조건이 충족되는 NR 신호(예: gNB(20)의 SSB 신호)를 측정하면 보고메시지 즉 B1 MR을 기지국장치(100, eNB(10))로 전송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eNB(10))는, 단말(30)로부터 보고메시지 즉 B1 MR가 수신되면, 수신한 B1 MR을 기반으로 단말(30) 및 선택 gNB(20, NR cell) 간의 NR Addition 절차가 수행되도록 하면 된다.
반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 eNB(10)) 특히 제어부(120)는, 단말(30)에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한 후, 단말(30)로부터 보고메시지 즉 B1 MR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로 경과하는 경과 시간에 따라 특정 구간의 설정된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 값을 단계적으로 조정하여 재 스케줄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단말(30)로부터 보고메시지 즉 B1 MR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로 경과하는 경과 시간이 길어질수록, 특정 구간의 설정된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 값을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재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제어부(120)는, 처음에 단말(30)에 40ms(periodicityOfSchForMea: 40 ms) 주기로 특정 구간(DTX 구간 보장의 역할)이 40ms(periodicityOfSchForMea: 40 ms)을 설정/스케줄링한 후, 단말(30)로부터 B1 MR가 수신되지 않고 일정 시간(예: 1초)이 경과하면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 값을 증가시켜 60ms(periodicityOfSchForMea: 60 ms) 주기로 특정 구간을 재 스케줄링하고, 이후에도 단말(30)로부터 B1 MR가 수신되지 않고 일정 시간(예: 1초)이 더 경과하면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 값을 증가시켜 80ms(periodicityOfSchForMea: 80 ms) 주기로 특정 구간을 재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단말(30)에서는, NR 접속을 위한 SSB 신호 품질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B1 event 조건 미 충족)이 지속될 경우, B1 MR 측정의 주기(특정 구간의 주기)가 단계적으로 길어지고, 이로 인해 DTX 구간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에 따르면, NSA 5G 단말에 B1 measurement 설정 후, NR 신호를 측정 가능 하도록 DTX 구간 역할의 특정 구간을 NSA 5G 단말에 스케줄링함으로써, NSA 5G 단말에 강제되는 전송중단구간(DTX)를 설정하는 대신, Meas. Gap 설정 없이도, NSA 5G 단말이 특정 구간에서 NR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실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NSA 5G 단말에서 수행되는 NR 신호 측정 시, Meas. Gap 설정 제약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상당 시간 반복되는 전송중단구간(DTX)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Throughput 감소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방법을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에서는 본 발명의 스케줄링 방법이 수행되는 주체로서 기지국장치(100, eNB(10))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기지국장치(100, eNB(10)) 및 5G 단말 특히 NSA 5G 단말(이하 단말(30)) 간에 접속이 완료되면 단말(30)은 eNB(10)과의 접속을 기반으로 Primary인 LTE(4G) 네트워크에 접속한다(S10).
이후, 단말(30)은, NR(5G)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EN-DC 동작하기 위해, NR 신호를 측정하는 절차(예: B1 measurement 절차)를 수행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스케줄링 방법은, 이처럼 단말(30)에서 수행해야 하는 B1 measurement 절차와 관련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스케줄링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eNB(10))는, 자신 주변에 위치하는 gNB 즉 자신에 접속한 단말(특히, NSA 5G 단말)이 측정해야 할 gNB의 SSB 신호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가정하며, 예컨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정보를 공유하여 알 수 있다(S20).
본 발명의 스케줄링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eNB(10))는, 주변 기지국 예컨대 기 인지하고 있는 gNB(20)의 SSB 신호를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하는 설정정보, 즉 B1 measurement 정보(SSB 신호 송신주기정보, 타이밍정보, 주파수정보 등)를 단말(30)에 제공하여, 단말(30)로 하여금 자신이 측정해야 할 NR 신호를 인지시킨다(S30, B1 measurement 설정).
그리고, 본 발명의 스케줄링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eNB(10))는, S30단계에서 제공한 설정정보 즉 B1 measurement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 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durationOfSchForMeas), 오프셋 파라미터(offsetOfSchForMeas)를 설정할 수 있다(S40).
여기서,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는, 전술의 설정정보 즉 B1 measurement 정보 내 송신주기정보에서 확인되는, 측정해야 할 주변 기지국 즉 gNB(20)의 SSB 신호 송신주기의 배수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gNB(20)의 SSB 신호 송신주기가 20ms인 경우라면,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를 20ms의 배수(예: 20ms, 40ms, 60ms 등)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durationOfSchForMeas)는, B1 measurement 정보 내 타이밍정보에서 확인되는, 측정해야 할 주변 기지국 즉 gNB(20)의 SSB 신호 송신시간(duration)과, 단말(30)에서 SSB 신호 측정 및/또는 디코딩(decoding)을 위해 소요되는 추가 보상 시간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gNB(20)의 SSB 신호 송신시간(duration)을 x라 할 때, 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durationOfSchForMeas)는 전술의 수학식 1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오프셋 파라미터(offsetOfSchForMeas)는, 측정하고자 하는 NR 신호 즉 gNB(20)의 SSB 신호 시작 Offset Timing에 의해 결정된다.
예컨대, gNB(20)의 SSB 신호가 매 20ms마다 X ms째 전송이 된다면, 오프셋 파라미터(offsetOfSchForMeas)은 X ms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스케줄링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eNB(10))는, B1 measurement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한 파라미터 값 즉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durationOfSchForMeas)/오프셋 파라미터(offsetOfSchForMeas) 값에 따른 특정 구간을 단말(30)에 대해 스케줄링할 수 있다(S50).
즉, 본 발명의 스케줄링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또는 eNB(10) 내 스케줄러)는, 단말(30)에 대해 스케줄링한 특정 구간에서 단말(30)로 업링크(UL)/다운링크(DL) grant를 전송하지 않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지 않는다(S50).
이렇게 되면, 앞서 B1 measurement 정보(SSB 신호 송신주기정보, 타이밍정보, 주파수정보 등)를 기반으로 측정해야 할 NR 신호(예: gNB(20)의 SSB 신호)를 인지하고 있는 단말(30)에서는, Meas. Gap 설정이 없기 때문에 강제되는 전송중단구간(DTX)은 없고(비활성화 상태), 대신 eNB(10)에 의해 UL/DL grant가 전송되지 않는 특정 구간에서 UL/DL 데이터 전송이 없으므로 해당 시점에 UL/DL grant(via PDCCH)를 decoding 하지 않고, 이 특정 구간에서 B1 measurement 정보를 기반으로 NR 신호를 측정하면 된다(S60).
그리고 단말(30)에서는, 해당 특정 구간에서 B1 measurement 정보를 기반으로 NR 신호를 측정하고, B1 event 조건이 충족되는 NR 신호(예: gNB(20)의 SSB 신호)를 측정하면 보고메시지 즉 B1 MR을 기지국장치(100, eNB(10))로 전송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스케줄링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eNB(10))는, 단말(30)로부터 보고메시지 즉 B1 MR가 수신되면(S70 Yes), 수신한 B1 MR을 기반으로 단말(30) 및 선택 gNB(20, NR cell) 간의 NR Addition 절차가 수행되도록 하면 된다(S90).
반면, 본 발명의 스케줄링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eNB(10))는, 단말(30)에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한 후, 단말(30)로부터 보고메시지 즉 B1 MR가 수신되지 않지 않으면(S70 No) 미 수신 상태로 경과하는 경과 시간에 따라 특정 구간의 설정된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 값을 단계적으로 조정하여 재 스케줄링할 수 있다(S8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스케줄링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장치(100, eNB(10))는, 단말(30)로부터 보고메시지 즉 B1 MR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로 경과하는 경과 시간이 길어질수록, 특정 구간의 설정된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 값을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재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기지국장치(100, eNB(10))는, 처음에 단말(30)에 40ms(periodicityOfSchForMea: 40 ms) 주기로 특정 구간(DTX 구간 보장의 역할)이 40ms(periodicityOfSchForMea: 40 ms)을 설정/스케줄링한 후, 단말(30)로부터 B1 MR가 수신되지 않고 일정 시간(예: 1초)이 경과하면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 값을 증가시켜 60ms(periodicityOfSchForMea: 60 ms) 주기로 특정 구간을 재 스케줄링하고, 이후에도 단말(30)로부터 B1 MR가 수신되지 않고 일정 시간(예: 1초)이 더 경과하면 주기 파라미터(periodicityOfSchForMeas) 값을 증가시켜 80ms(periodicityOfSchForMea: 80 ms) 주기로 특정 구간을 재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단말(30)에서는, NR 접속을 위한 SSB 신호 품질이 보장되지 않는 상황(B1 event 조건 미 충족)이 지속될 경우, B1 MR 측정의 주기(특정 구간의 주기)가 단계적으로 길어지고, 이로 인해 DTX 구간이 감소되는 효과를 얻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NSA 5G 단말에 B1 measurement 설정 후, NR 신호를 측정 가능 하도록 DTX 구간 역할의 특정 구간을 NSA 5G 단말에 스케줄링함으로써, NSA 5G 단말에 강제되는 전송중단구간(DTX)를 설정하는 대신, Meas. Gap 설정 없이도, NSA 5G 단말이 특정 구간에서 NR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실현하고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NSA 5G 단말에서 수행되는 NR 신호 측정 시, Meas. Gap 설정 제약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상당 시간 반복되는 전송중단구간(DTX)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Throughput 감소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 및 스케줄링 방법에 따르면, NSA 5G 단말에서 수행되는 NR 신호 측정 시, Meas. Gap 설정 제약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상당 시간 반복되는 전송중단구간(DTX)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기지국장치
110 : 설정정보제공부 120 : 제어부

Claims (12)

  1.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는 설정정보제공부; 및
    상기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해 데이터 전송을 미 지원하는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하여, 상기 주변 기지국의 신호 측정을 위해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전송중단구간을 상기 단말에 설정하는 일 없이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구간에서 상기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구간에서 상기 단말로 업링크(UL)/다운링크(DL) grant를 전송하지 않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을 미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한 보고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로 경과하는 경과 시간이 길어질수록 상기 특정 구간의 주기를 길게 하여 재 스케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장치와 상이한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지원하며,
    상기 설정정보는, 측정 대상인 주변 기지국의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신호에 대한 송신주기정보, 송신되는 타이밍정보, 주파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주기 파라미터, 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 오프셋 파라미터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한 파라미터 값에 따른 특정 구간을 상기 단말에 대해 스케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는,
    상기 설정정보 내 타이밍정보에서 확인되는 상기 주변 기지국의 SSB 신호 송신시간(duration)과, 상기 단말에서 SSB 신호 측정 및/또는 디코딩(decoding)을 위해 소요되는 추가 보상 시간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파라미터는,
    상기 설정정보 내 송신주기정보에서 확인되는 상기 주변 기지국의 SSB 신호 송신주기의 배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한 보고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로 경과하는 경과 시간에 따라 상기 특정 구간의 설정된 주기 파라미터 값을 단계적으로 조정하여 재 스케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9. 기지국장치에 수행되는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단말에 제공하는 설정정보제공단계; 및
    상기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해 데이터 전송을 미 지원하는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하여, 상기 주변 기지국의 신호 측정을 위해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전송중단구간을 상기 단말에 설정하는 일 없이 상기 단말이 상기 특정 구간에서 상기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스케줄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단계는,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한 보고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로 경과하는 경과 시간이 길어질수록 상기 특정 구간의 주기를 길게 하여 재 스케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링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단계는,
    상기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구간을 설정하기 위한 주기 파라미터, 구간유지 시간 파라미터, 오프셋 파라미터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한 파라미터 값에 따른 특정 구간을 상기 단말에 대해 스케줄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링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특정 구간을 스케줄링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주변 기지국의 신호를 측정한 보고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로 경과하는 경과 시간에 따라 상기 특정 구간의 설정된 주기 파라미터 값을 단계적으로 조정하여 재 스케줄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줄링 방법.
KR1020190137857A 2019-10-31 2019-10-31 기지국장치 및 스케줄링 방법 KR102329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857A KR102329382B1 (ko) 2019-10-31 2019-10-31 기지국장치 및 스케줄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857A KR102329382B1 (ko) 2019-10-31 2019-10-31 기지국장치 및 스케줄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933A true KR20210051933A (ko) 2021-05-10
KR102329382B1 KR102329382B1 (ko) 2021-11-22

Family

ID=7591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857A KR102329382B1 (ko) 2019-10-31 2019-10-31 기지국장치 및 스케줄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3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085A (ko) * 2009-01-29 201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이 억제된 측정 결과를 모아서 보고하는 방법
KR20110048456A (ko) * 2009-11-02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
US20190306734A1 (en) * 2018-03-30 2019-10-03 Mediatek Inc. Gap-based cell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085A (ko) * 2009-01-29 201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이 억제된 측정 결과를 모아서 보고하는 방법
KR20110048456A (ko) * 2009-11-02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장치
US20190306734A1 (en) * 2018-03-30 2019-10-03 Mediatek Inc. Gap-based cell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382B1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81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측정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9076373B (zh) 基于lbt参数控制测量的方法
TWI508598B (zh) 用於偵測及減緩裝置內共存現象之方法與設備
EP29655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CA2653421C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handover in a radio access network
JP2017099019A (ja)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
US9516645B2 (en) Carrier aggreg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23749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staggered device handovers
EP2876968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iscontinuous reception
US10925012B2 (en) Cellular user equipment and method of operation
CN112312487B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US10512037B1 (en) Controlling cell selection based on relative device-type prioritization
JP2022514288A (ja) アンライセンススペクトルで動作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109047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voking beamforming responsive to carrier transition
US11611892B1 (en) Dynamic control of single-rat service based on threshold presence of dual-RAT-capable devices
WO2020191736A1 (en) Bandwidth part configuration for reception of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US10085161B1 (en) Dynamic variation of radio link failure timer duration for relay backhaul link, with timer duration being set based on number of served UEs
KR102329382B1 (ko) 기지국장치 및 스케줄링 방법
US10554286B2 (en) Method and control node for supporting transmissions of reference signals in beams from a first network node
CN109152000B (zh) 一种语音业务处理方法及装置
US10085279B1 (en) Estimating and using UE tune-away period based on timing of detected missed communications from the UE
KR20220018044A (ko) 뉴라디오 비면허 대역(nr-u)에 대한 시그널링을 위한 기술
WO2024031483A1 (zh) 测量方法、能力上报方法、测量配置方法、装置及设备
US20220322178A1 (en) Mutually exclusive configurations
WO2023126108A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apparatuse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