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679A - 점착식 청소패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착식 청소패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679A
KR20210051679A KR1020190137250A KR20190137250A KR20210051679A KR 20210051679 A KR20210051679 A KR 20210051679A KR 1020190137250 A KR1020190137250 A KR 1020190137250A KR 20190137250 A KR20190137250 A KR 20190137250A KR 20210051679 A KR20210051679 A KR 20210051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biodegradable
poly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370B1 (ko
Inventor
홍조원
Original Assignee
(주)대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고 filed Critical (주)대고
Priority to KR1020190137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37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04H13/001Making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to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e.g. woven, knitted non-woven fabric, paper, leather, during consolidation
    • D04H13/006Making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to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e.g. woven, knitted non-woven fabric, paper, leather, during consolidation strengthened or consolidated by the use of bonding agents in solid or liquid for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2Physical properties 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점착식 청소패드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청소패드는, 청소용 밀대에 부착되는 청소용 원단의 하단에 점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 및 섬도가 3 내지 50 Denier인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에 의해 웹(Web)을 형성하되, 점착 조성물에 함침시 점착 조성물이 침투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 침투 공간를 형성하고, 점착 조성물에 함침하고 건조하여 점착 조성물과 일체로 마련되는 생분해성 부직포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점착식 청소패드 및 그 제조방법{Adhesive cleaning pad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점착식 청소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과 일체로 형성되는 생분해성 부직포부를 포함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 환경이 개선되어 가면서 깨끗한 환경 속에서 생활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의 욕구가 상승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보편화되고 있어 과거에는 여성의 역할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던 집안일의 많은 부분에서 남녀의 구분이 사라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집안일에 할애하는 시간을 아껴 자기관리나 문화생활에 투자하고자 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나 스마트 세탁기 등이 개발되어 기존의 가전제품에 혁신의 바람이 부는가 하면,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사람들의 시간과 노력을 줄여줄 수 있는 우수한 성능의 청소 용품들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 가운데는 집안일 중 가장 번거롭고 많은 힘이 소모되는 걸레질을 좀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 용품들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고, 부직포 소재의 청소포도 이 중 하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청소포는 일반적으로 봉 형태의 자루와 자루의 단부에 구비된 부직포 장착부로 구성된 밀대 청소기에 고정시켜 사용하는데, 보통 사각형 구조의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재질은 주로 PP(Polypropylene), PET(Polyester) 등과 같은 재질의 폴리머로 이루어져 있어 폴리머 자체의 정전기 특성을 활용하여 먼지나 머리카락 같은 이물질을 흡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청소용 부직포는 재질 자체의 정전기만으로 이물질을 흡착시키는 원리이므로, 무거운 먼지나 부스러기에 대한 흡착력은 다소 약하여 깨끗이 청소를 하기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청소용 부직포는 대부분이 고압의 물을 이용하여 섬유를 엉키도록 하는 스펀레이스(Spunlace) 방식에 의해 형성된 것이어서 높은 평활도로 인해 이물질에 대한 흡착력이 다소 낮은 문제가 있다. 즉, 청소 시 이물질이 한쪽으로 쓸릴 뿐, 청소면으로부터 완전한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부직포에 부착되더라도 이물질이 포화상태가 되면 더 이상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곤란하여 결과적으로 청소 효율이 떨어지는 것이다. 이 외에도 사실상 양면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라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한계를 극복하고 청소용 부직포의 흡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근래에는 모재의 일면에 접착제 를 도포한 접착식 청소포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접착식 청소포는 와인딩(winding) 상태로 제공하는 과정에서 접착면이 감겨있는 하부 모재에 달라 붙어버려, 청소포를 사용하기 위해 언와인딩(Unwinding)시 모재의 뜯김 현상 등의 제품 손상 및 접착력 감소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때문에 접착면을 보호하는 별도의 이형지 사용이 필수적이거나 접착면이 모재에 달라붙지 않도록 모재 상부면을 이형 처리해야 하는 제조상의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한편, 정전기 방식이 아닌 점착 또는 접착 방식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포와 관련하여 특허로서 개시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106917 호 「점착식 청소포 및 그의 제조방법」이 존재한다. 상기 특허는 모재의 일면에 전처리층을 도포한 후, 전처리층 상부에 인쇄층 및 접착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접착층이 모재의 양면으로 흡수 및 투과되지 않게 하여 접착층에 의한 모재 이면의 뜯어짐이 발생하지 않게 하고, 더불어 인쇄층에 의해 접착층이 도포된 면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양면 사용이 불가능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며, 접착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실질적으로는 다소 뻣뻣한 사용감을 줄 수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일본 등록특허 제 4187341 호 「롤식 청소구」에 섬유 간 거리가 0.3mm 이상인 부직포에 핫멜트계의 점착제로서, 20℃에서의 탄성률이 1×105Pa ~ 3×106Pa인 점착제를 상기 부직포의 표면 및 내부에 담지하여 사용 중에 상기 점착제가 침출하도록 제조한 롤식 청소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출원인 역시, 한국 특허출원 10-2015-0161216호 「점착식 청소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니들 펀칭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에 수용성 접착제를 함침 또는 스프레이 처리하여 제조한 점착식 청소용 부직포를 개시한 바 있다.
이와 같이 부직포에 점착제를 함침하여 제조한 청소포의 경우, 부직포의 일면에 코팅 처리한 청소포와 비교하여 이물질 제거 능력이 우수하고, 양면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점착제의 사용은 청소면을 부드럽게 닦아내는 사용 감(感)을 저하시킬 수 밖에 없기에, 점착제 함침식 청소포에서는 이물질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힘을 덜 들여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이에 더하여, PET 등과 같은 폴리머만으로 제작된 청소포에 있어서 수명을 다한 청소포의 폐기 시에도 100년 이상의 시간 동안 분해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경오염을 고려하여 생분해성 물질 만으로 청소포를 제작하는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제품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과 일체로 형성되는 생분해성 부직포부를 포함하여 친환경적으로 분해되면서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점착식 청소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13237호 (주식회사 그린텍 외 1인), 2017.12.2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과 일체로 형성되는 생분해성 부직포부를 포함하여 친환경적으로 분해되면서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점착식 청소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청소용 밀대에 부착되는 청소용 원단에 점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 및 섬도가 3 내지 50 Denier인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에 의해 웹(Web)을 형성하되, 상기 점착 조성물에 함침시 상기 점착 조성물이 침투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 침투 공간를 형성하고, 상기 점착 조성물에 함침하고 건조하여 상기 점착 조성물과 일체로 마련되는 생분해성 부직포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부의 기공률(porosity)은, 40 내지 95% 부피%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부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셀룰로오스(Cellulose), 키틴(Chitin), 녹말(Starch), PHA(Poly Hydroxyl Alkanoate), PHBV(Poly Hydroxy Butyrate Valerate), PVA(Poly Vinyl Alcohol), PGA(Poly Glycolic Acid), PBS(Poly Butylene Succinate), PBSA(Poly Butyleneadipate-co-Butylene Succinate), PBAT(Poly 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CL(Poly Capro 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미드(PolyEster-Amide), PLA(Poly latic acid) 및 폴리에스테르-우레탄(PolyEster-Uretha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부는, 합성수지 물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합성수지 물질은, PVC(polyvinyl chloride), PEG(polyethylene glycol), EVA(ethylene vinyl acetate), TPE(thermo plastic elastomer),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TPS(thermo plastic starch), ENR(epoxidized naturalrubber), 아이오노머(Ionomer), SBS(styrene butadiene styren), NBR(nitrilebutadiene rubber),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s styrene), 아크릴레이트(acryl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변성폴리올레핀(polyolefin modified with compatibilizer), PU(polyurethan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물질과 상기 합성수지 물질의 중량비는 97 : 3 내지 59 :41 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물질을 상기 점착 조성물에 함침 후, 상기 생분해성 물질과 상기 점착 조성물의 중량비는 10 : 243 내지 10 : 46 이며,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부의 두께는, 2.5 mm 내지 3.5 mm 일 수 있다.
상기 청소용 밀대는, 일단의 헤드단부를 구비하는 지지대; 및 일단에 상기 청소용 원단이 부착되는 벨크로 부착부를 구비하며 타단에 상기 헤드단부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힌지결합부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청소용 원단을 끼움 결합가능하게 마련되는 끼움결합부가 형성되는 헤드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용 원단은, 단위면적당 표면적이 2 ~ 4m2/m2 가 되도록 주름이 형성된 극세사 원단일 수 있다.
상기 점착 조성물은,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 100중량부 기준,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65(라우릭 산의 비율):35 내지 55:45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라우릭 산(Lauric acid); 및 수평균분자량 2000 내지 30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혼합된 마찰 개선제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 100중량부 기준,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65(라우릭 산의 비율):35 내지 55:45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라우릭 산(Lauric acid) 및 수평균분자량 2000 내지 30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혼합된 마찰 개선제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 마련단계; 섬도가 3 내지 50 Denier인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에 의해 웹(Web)을 형성하는 웹 형성단계; 상기 점착 조성물에 상기 웹을 함침시키는 웹 함침단계; 및 상기 점착 조성물에 함침된 웹인 함침 웹을 건조하는 함침 웹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웹은, 상기 점착 조성물이 침투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 침투 공간를 형성하고 상기 웹 함침단계 및 상기 웹 건조단계를 통하여 상기 점착 조성물과 일체로 마련되는 생분해성 부직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웹 형성단계는, 생분해성 물질(31a) 및 합성수지 물질(31b)으로 니들 펀칭(Nedle punching) 방식을 통하여 웹(Web)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함침 웹 건조단계는, 100 ˚C 내지 150˚C의 온도로 30초 내지 60초 동안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부의 기공률(porosity)은, 40 내지 95% 부피%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부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셀룰로오스(Cellulose), 키틴(Chitin), 녹말(Starch), PHA(Poly Hydroxyl Alkanoate), PHBV(Poly Hydroxy Butyrate Valerate), PVA(Poly Vinyl Alcohol), PGA(Poly Glycolic Acid), PBS(Poly Butylene Succinate), PBSA(Poly Butyleneadipate-co-Butylene Succinate), PBAT(Poly 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CL(Poly Capro 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미드(PolyEster-Amide) 및 폴리에스테르-우레탄(PolyEster-Uretha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부는, 합성수지 물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합성수지 물질은, PVC(polyvinyl chloride), PEG(polyethylene glycol), EVA(ethylene vinyl acetate), TPE(thermo plastic elastomer),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TPS(thermo plastic starch), ENR(epoxidized naturalrubber), 아이오노머(Ionomer), SBS(styrene butadiene styren), NBR(nitrilebutadiene rubber),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s styrene), 아크릴레이트(acryl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변성폴리올레핀(polyolefin modified with compatibilizer), PU(polyurethan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물질과 상기 합성수지 물질의 중량비는 97 : 3 내지 59 :41 이며,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부의 두께는, 2.5 mm 내지 3.5 mm 일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물질을 상기 점착 조성물에 함침 후, 상기 생분해성 물질과 상기 점착 조성물의 중량비는 10 : 243 내지 10 : 46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과 일체로 형성되는 생분해성 부직포부를 포함하여 친환경적으로 분해되면서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청소패드를 포함하는 청소용 밀대 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소용 밀대를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점착식 청소패드의 생분해성 부직포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점착식 청소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청소패드 제조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청소패드를 포함하는 청소용 밀대 세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청소용 밀대를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점착식 청소패드의 생분해성 부직포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점착식 청소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청소패드(30)를 포함하는 청소용 밀대 세트(1)는, 청소용 밀대(10)와, 청소용 원단(20)을 더 포함한다.
청소용 밀대(10)는, 일단의 헤드단부(11a)를 구비하는 지지대(11)와, 일단에 청소용 원단(20)이 부착되는 벨크로 부착부(12a)를 구비하며 타단에 헤드단부(11a)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12b)를 가지고 힌지결합부(12b)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청소용 원단(20)을 끼움 결합가능하게 마련되는 끼움결합부(12c)가 형성되는 헤드플레이트(12)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소용 원단(20)은 벨크로 부착부(12a)에 간편하게 부착가능하게마련되나, 필요에 따라 청소용 원단(20)을 끼움결합부(12c)에 끼움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벨크로 부착부(12a)에 부착력이 저하되거나 벨크로 부착부(12a)에 부착되지 않는 일면을 구비하는 청소용 원단(20)도 끼움결합부(12c)에 끼움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청소용 원단(20)에 점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청소패드(30)는, 점착 조성물(33)과, 생분해성 부직포부(31)를 포함한다.
청소용 밀대(10)에 부착되는 청소용 원단(20)의 하단에 점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33)은,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 100중량부 기준, 라우릭 산(Lauric acid) 및 수평균분자량 300 내지 3,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혼합된 마찰 개선제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점착식 청소용 시트에 적용되는 아크릴 점착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아크릴 단량체, 계면활성제 및 개시제로부터 중합된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를 의미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계면활성제 4 내지 10 중량부 및 개시제 2 내지 7 중량부를 이용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아크릴 단량체, 계면활성제 및 개시제는 물을 용매로 하여 에멀젼 중합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 단량체는 일예로, (ⅰ)알킬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및 (ⅱ)불포화 카본산 및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고, 효과적인 점착력 부여를 위해서는 상기 아크릴 단량체를 9:1 내지 7: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ⅰ)알킬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펜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ⅱ)불포화 카본산 및 수산기 함유 불포화 단량체로는 아크릴산, 이타코닉산, 말레익산, 푸마릭산, 메타크릴산, 에틸메타크릴산, 히드록시메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 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계면활성제 및 개시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를 제조하기 위해 적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계면활성제는 모노알킬 황산염(alkylsulfate), 알킬폴리옥시에틸렌 황산염(Alkyl polyoxyethylene sulfate), 알킬벤젠술폰산염(Alkylbenzene Sulfonate) 및 도데실황산나트륨(Sodium dodecyl sulfate)를 포함한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와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고, 개시제는 과산화황산나트륨(Ammonium persulfat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과황산칼슘(potassium persulfate) 및 황산수소나트륨(sodium bisulfate)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청소포에 포함된 점착 조성물(33)은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와 함께 마찰 개선제를 포함하는데, 마찰 개선제는 아크릴 점착제의 점착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점착 조성물 침투 공간(32)에 점착 조성물(33)이 잘 스며들게 도와줄 뿐만 아니라, 점착 조성물(33)을 포함하는 점착식 청소포로 제공될 때, 청소면에 대한 마찰력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마찰 개선제는 아크릴 점착제 100중량부 기준, 5 내지 2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마찰 개선제의 함량이 아크릴 점착제에 비해 전술한 범위 보다 적을 경우, 마찰력을 저하시키는 효과에 한계가 발생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오히려 점착 조성물 침투 공간(32)로부터 용출되어 나와 점착시트 사용 시 청소 면을 오염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찰 개선제는 구체적으로 라우릭 산(Lauric acid) 및 수평균분자량 300 내지 3,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마찰 개선제는 라우릭 산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이거나 라우릭산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물이 될 수 있고, 생산 단가 측면에선는 라우릭 산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이 선호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수평균분자량은 말단기정량법이나 총괄성 이용 측정법, 또는 삼투압법으로 측정된 값을 의미할 수 있으며, 수 평균 분자량이 전술한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단분자일 경우, 반응성이 높아 인체에 쉽게 흡수될 수 있어 인체유해 가능성이 우려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은 라우릭 산 100 중량 대비 50 내지 85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전술한 범위에서 라우릭 산과 다가 알코올이 혼합되어 겔 상태가 되므로 물에 용해도 용이하고,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와의 상용성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만약, 라우릭 산의 비율이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배합 후 상태가 고체여서 물에 용해가 어렵고,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비율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와 상 분리를 일으켜 점착 조성물(33)을 형성하기 곤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우릭 산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65(라우릭 산의 비율):35 내지 55:45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좋다.
한편, 청소용 밀대(10)에는 청소용 원단(20)이 부착되는 벨크로 부착부(12a)가 포함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원단(20)은 단위면적당 표면적이 2 ~ 4m2/m2 가 되도록 주름(21)이 형성된 극세사 원단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청소용 밀대(10)에 주름(21)이 형성된 극세사 원단을 부착하고, 점착 조성물(33)이 주름(21)이 형성된 극세사 원단에 점착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와 같이 주름(21)이 형성된 극세사 원단의 단위면적당 표면적이 2 ~ 4m2/m2 가 되도록 마련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점작 조성물의 점착 효율이 증대된다. 또한, 주름(21)이 형성된 극세사 원단을 벨크로 부착부(12a)가 형성된 청소용 밀대(10)의 하단에 부착하여 주름(21)이 형성된 극세사 원단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청소용 밀대(10)에 포함되는 벨크로 부착부(12a)는 주름(21)이 형성된 극세사 원단이 부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조성물(33)은 극세사로마련되며 주름(21)이 형성되어 점착 면적이 넓어진 청소용 원단(20)에 점착된다. 즉, 점착 조성물(33)이 전술한 바와 같은 조성물로 형성되고, 청소용 원단(20)이 단위면적당 표면적이 2 ~ 4m2/m2 가 되도록 주름(21)이 형성된 극세사 원단으로 마련되어 점착성이 증대된다. 따사서 청소영역에는 점착되지 않으면서 청소용 원단(20)에는 안정적으로 점착되어 청소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청소용 원단(20)에 점착 조성물(33)이 점착되게 마련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청소패드(30)는 청소 영역에 점착되지 않으면서도 청소용 원단(20)에 점착될 수 있어 점착 조성물(33)에 의한 청소영역의 재오염이 발생하지 않고, 청소 중에 점착식 청소패드(30)가 청소용 원단(20)에서 탈락되어 청소 효율을 저하 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생분해성 부직포부(31)는, 섬도가 3 내지 50 Denier인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에 의해 웹(Web)을 형성하되, 점착 조성물(33)에 함침시 점착 조성물(33)이 침투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 침투 공간(32)을 형성하고, 점착 조성물(33)에 함침하고 건조하여 점착 조성물(33)과 일체로 마련되며, 공률(porosity)은, 40 내지 95% 부피%로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부직포부(31)는, 생분해성 물질(31a) 및 합성수지 물질(31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생분해성 물질(31a)과 합성수지 물질(31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섬도가 3 내지 50 Denier인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로써, 니들 펀칭(Nedle punching) 방식에 의해 웹(Web)이 형성된다.
생분해성 물질(31a)은, 셀룰로오스(Cellulose), 키틴(Chitin), 녹말(Starch), PHA(Poly Hydroxyl Alkanoate), PHBV(Poly Hydroxy Butyrate Valerate), PVA(Poly Vinyl Alcohol), PGA(Poly Glycolic Acid), PBS(Poly Butylene Succinate), PBSA(Poly Butyleneadipate-co-Butylene Succinate), PBAT(Poly 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CL(Poly Capro 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미드(PolyEster-Amide), PLA(Poly latic acid) 및 폴리에스테르-우레탄(PolyEster-Uretha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으로 마련된다.
합성수지 물질(31b)은, PVC(polyvinyl chloride), PEG(polyethylene glycol), EVA(ethylene vinyl acetate), TPE(thermo plastic elastomer),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TPS(thermo plastic starch), ENR(epoxidized naturalrubber), 아이오노머(Ionomer), SBS(styrene butadiene styren), NBR(nitrilebutadiene rubber),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s styrene), 아크릴레이트(acryl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변성폴리올레핀(polyolefin modified with compatibilizer), PU(polyurethan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으로 마련된다.
또한, 생분해성 부직포부(31)의 생분해성 물질(31a)과 합성수지 물질(31b)의 중량비는 97 : 3 내지 59 :41 로 마련될 수 있다.
생분해성 부직포부(31)의 생분해성 물질(31a)과 합성수지 물질(31b)의 중량비에 따른 성능 실험의 결과는 아래의 [실험 1]의 표와 같다. [실험 1]에 있어서, 생분해성 물질(31a)은 PLA(Poly lactic acid)로 마련되었고, 합성수지는 PET(Polyester)로 마련되었다. PLA(Poly lactic acid)는 옥수수의 전분에서 추출한 원료로 만든 친환경 수지로, 환경호르몬은 물론, 중금속 등 유해 물질이 검출되지 않고, 사용 중에는 일반 플라스틱과 동등한 특징을 가지지만 폐기 시 미생물에 의해 100% 생분해되는 재질이다. 즉, PLA(Poly lactic acid)는 토양에 묻힐 경우 강도 저화와 함께 2년 내지 3년 이내에 완전히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며, 해수에 잠기는 경우에도 토양에 묻히는 경우와 유사한 분해결과를 보인다.
한편, PLA(Poly lactic acid)와 PET(Polyester) 물성에 유사성이 있으며, 물성의 비교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실험 1]
Figure pat00001
[표 1]
Figure pat00002
위의 [표 1]에 자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PLA(Poly lactic acid)와 PET(Polyester) 물성에 유사성이 있다. 다만, [실험 1]에 자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PLA(Poly lactic acid)와 PET(Polyester)의 중량비가 97 : 3 내지 59 :41 바람직하게는 95:5 내지 60:40으로 마련되어야 청소 패드로 활용가능하다. 특히 PLA(Poly lactic acid)와 PET(Polyester)의 중량비에서 PLA(Poly lactic acid)의 중량비가 50 퍼센트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 국가별 바이오 프라스틱 규격 기준에 비추어 일반적으로 생분해성 제품으로 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PLA(Poly lactic acid)와 PET(Polyester)의 중량비가 97 : 3 바람직하게는 95 : 5 이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특히,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의 탄성계수(Modulus)가 같이 PET(Polyester)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의 탄성계수(Modulus)와 비교하여 매우 낮기 때문에, PLA(Poly lactic acid) 만으로 구성된 부직포를 스퀴즈 하는 경우 PLA(Poly lactic acid) 부직포의 두께가 얇아지며, 부직포의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들 사이가 너무 촘촘하여 공극률이 낮아지며, 점착 조성물(33)에 부직포를 함침 후 점착 조성물(33)이 뭉치게 되어 스퀴즈 후에도 부직포 초기의 두께를 회복하지 못하고 압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PLA(Poly lactic acid) 만으로 구성된 부직포를 점착 조성물(33)에 함침하여 점착 조성물(33)이 부직포 사이로 침투되어도 스퀴즈 시에 점착 조성물(33)이 부직포로부터 전혀 이탈하지 못하고 부직포에 잔여하게 되어 건조 작업시 부직포 내부까지 충분히 건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더하여 PLA(Poly lactic acid) 만으로 구성된 부직포를 충분히 건조하기 위하여 온도를 상승 시키면, PLA(Poly lactic acid)가 녹아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부직포부(31)는 PLA(Poly lactic acid)와 PET(Polyester)의 중량비가 97 : 3 내지 59 :41 바람직하게는 95:5 내지 60:40으로 마련하여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였다.
즉, 위의 [실험 1]에서와 같이 PET(Polyester)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를 5% 내지 40%로 혼합하여 함침 후에 점착 조성물(33)이 침투 될 수 있는 점착 조성물 침투 공간(32)을 구조적으로 형성하여 최대 점착제 흡수율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스퀴즈 시에 손쉽게 점착 조성물(33)이 빠져나가 적절한 건조가 가능하게 하였고, 탄성계수가 높은 PET(Polyester)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가 혼합되어 스퀴즈 시에 생분해성 부직포부(31)가 압착되지 않고 초기 두께를 회복하도록 마련하였다.
한편, 아래의 [실험 2]의 표는 PLA(Poly lactic acid) 및 PET(Polyester)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만으로 구성된 부직포의 건조 실험 결과이다.
[실험 2]
Figure pat00003
또한, 아래의 [실험 3]의 표는 PLA(Poly lactic acid) 및 PET(Polyester)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만으로 구성된 부직포의 함침 실험 결과이다.
[실험 3]
Figure pat00004
PLA(Poly lactic acid)의 녹는점(Metting point)는 175℃이며 일반적인 PET(Polyester)는 녹는점은 265℃ 이다. 따라서 완전한 건조를 위해 PET(Polyester)의 건조시와 같이 온도를 높일 경우 PLA(Poly lactic acid)의 표면이 녹아 표면의 거칠기가 높아질 수 있으며, 과도하게 온도를 높이는 경우 PLA(Poly lactic acid)가 완전히 녹아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위 [실험 3]의 결과와 같이, PLA(Poly lactic acid) 100%의 부직포는 기존의 점착시트용 부직포인 PET(Polyester) 100% 부직포에 비교하여 함침시 2배 이상의 점착 조성물(33)을 흡수하였으며 또한 스퀴징 후 PET(Polyester) 100% 부직포에 비하여 1.5배 이상의 점착 조성물(33)이 남아 있었다.
PLA(Poly lactic acid) 100%의 부직포를 스퀴징시 PLA(Poly lactic acid)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의 탄성계수(Modulus)가 PET(Polyester)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의 탄성계수(Modulus)와 비교하여 매우 낮기 때문에 PLA(Poly lactic acid)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만으로 부직포를 구성시 부직포의 두께가 얇아지고, PLA(Poly lactic acid)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사이가 너무 촘촘하여 함침 후 점착 조성물(33)이 뭉치게 되며 스퀴징 후에도 초기의 두께를 회복하지 못하고 압착된 상태로 함침된 점착 조성물(33)이 이탈하지 못하고 부직포에 잔여하게 된다.
따라서 과도하게 점착 조성물(33)을 흡수한 압착상태의 부직포는 건조 작업시 내부 까지 충분히 건조되기 어려우며 높은 온도와 건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생산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충분한 건조작업을 위하여 온도를 높이면 PLA(Poly lactic acid)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의 표면이 녹아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거나 PLA(Poly lactic acid)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의 특성을 고려하여 온도를 너무 낮추면 부직포 내부의 과량 침투된 점착 조성물(33)이 완전히 건조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적절한 건조온도와 시간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위 [실험 2] 및 [실험 3]의 결과를 반영하여 PLA(Poly lactic acid)와 PET(Polyester)의 중량비가 97 : 3 내지 59 :41 바람직하게는 95:5 내지 60:40으로 마련되는 생분해성 부직포부(31)를 100 ˚C 내지 150˚C의 온도로 30초 내지 60초 동안 건조시키되, 바람직하게는 110 ˚C 내지 140˚C의 온도로 30초 내지 60초로 건조하여 생분해성 부직포부(3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생분해성 부직포부(31)의 건조 효율을 높였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부직포부(31)는, 생분해성 물질(31a)을 점착 조성물(33)에 함침 후, 생분해성 물질(31a)과 점착 조성물(33)의 중량비가 10 : 243 내지 10 : 46 로 마련된다. 따라서 건조효율을 증대시키면서도 점착성을 증대시켜 청소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부직포부(31)의 두께는 2.5mm 내지 3.5mm로 마련하여 청소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아래의 [실험 4]는 PLA(Poly lactic acid)와 PET(Polyester)의 중량비에 따른 청소포 두께와 먼지 청소력의 상관관계를 실험한 결과이다.
이때, PLA(Poly lactic acid)를 100%로 마련한 부직포는 함침 후 건조 단계시 2mm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는 문제가 있었다.
실시예1은 PLA(Poly lactic acid) 100%로 마련된 부직포이며, 실시예2는 생분해성 부직포부(31)에서 PLA(Poly lactic acid)와 PET(Polyester)의 중량비가 95 : 5로 마련되었고, 실시예3은 생분해성 부직포부(31)에서 PLA(Poly lactic acid)와 PET(Polyester)의 중량비가 60 : 40으로 마련되었으며, 비교예1은 PET(Polyester) 100% 로 마련된 부직포이다.
[실험 4의 먼지 청소력 측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점착력(먼지 부착률, %) 측정: 일정 면적(45cm × 180cm)의 비닐 바닥(Vinyl floor)에 피착물(Sand, 입경 300~600㎛) 2g을 고르게 뿌린 후, 각 조건에 따라 제조된 점착 시트를 테스트 시편(120 × 470mm)으로 사용하여 피착제가 뿌려진 Vinyl floor를 청소하였다. 청소시 가하는 압력(힘)은 모든 실험에서 동일하게하였고, 청소를 완료한 후 시편을 청소 전 측정한 중량과 비교하여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식 1에 의해 피착물의 부착율(먼지 부착률)을 계산하였다.
식 1) 피착물 부착율(%) = [(W 3 -W 2 )/W 1 ] × 100
이때, 상기 식 1에서 W 1 =일정면적에 뿌려진 피착물 총 중량(2g), W 2 = 실험(청소)전의 시편 중량, 및 W 3 =테스트(청소)후의 시편 중량이다.
터치감은 10명을 실험자를 대상으로 눈을 가리고 비교예1 표면의 터치감을 확인후 실시예1~3번의 3가지의 표면 터치감 향상을 확인하였으며, 개인차가 있어 다수의 의견을 택하여 작성하였다.
청소포의 두께측정: KS M ISO 17186 :2013 : Method A 실사현미경 측정방법에 의한 측정 총 5회를 진행하여 평균값을 기입하였다.
[실험 4]
Figure pat00005
[실험 4]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1의PLA(Poly lactic acid) 100%로 마련된 부직포는 점착 조성물(33)에 함침 후 건조시 부직포 두께가 2mm 이하로 압착되며, 강한 점착력에 의해 바닥면(청소면)에 부직포가 부착되어 버려 청소작업 불가능 하였으며 부직포의 먼지가 점착될 빈공간이 없어 청소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교예1은 생분해성이 없는 것으로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청소패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청소패드 제조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식 청소패드 제조방법은, 점착 조성물 마련단계(S100)와, 웹 형성단계(S200)와, 웹 함침단계(S300)와, 웹 스퀴징단계(S400)와, 함침 웹 건조단계(S500)를 포함한다.
점착 조성물 마련단계(S100)는,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 100중량부 기준,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65(라우릭 산의 비율):35 내지 55:45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라우릭 산(Lauric acid) 및 수평균분자량 2000 내지 30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혼합된 마찰 개선제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33)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웹 형성단계(S200)는 섬도가 3 내지 50 Denier인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에 의해 웹(Web)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웹은 점착 조성물(33)이 침투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 침투 공간(32)을 형성하고 웹 함침단계 및 웹 건조단계를 통하여 점착 조성물(33)과 일체로 마련되는 생분해성 부직포부(31)를 포함한다.
또한, 웹 형성단계(S200)에 있어서 생분해성 부직포부(31)의 섬유는 니들펀칭 방식으로 마련된다. 웹 형성단계(S200)를 니들 펀칭 방식으로 마련하여 효율적으로 점착 조성물(33)이 침투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 침투 공간(3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웹 형성단계(S200)에 있어서 건식방법으로 저중량 웹을 형성하여 생분해성 부직포부(31)를 기계적으로 분리시키고 한방향으로 적층시켜 강도와 신도를 적절히 유지하였으며, 오버래핑(overlapping)을 최소화하여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웹 함침단계(S300)는 점착 조성물(33)에 웹을 함침시키는 단계이다. 웹을 점착 조성물(33)에 함침시켜 점착 조성물 침투 공간(32)으로 점착 조성물(33)이 침투된다.
웹 함침단계(S300) 후에는 웹을 스퀴징하는 웹 스퀴징단계(S400)가 더 포함되며, 웹 스퀴징단계(S400)는 함침 웹을 건조하기 위한 적절한 점착 조성물(33)이 남도록 스퀴즈(squeeze)하는 단계이다.
함침 웹 건조단계(S500)는 점착 조성물(33)에 함침된 웹인 함침 웹을 스퀴징한 후 건조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함침 웹 건조단계(S500)는, 적절한 건조 온도와 시간이 요구되며, 위 [실험 2] 및 [실험 3]의 결과를 반영하여, PLA(Poly lactic acid)와 PET(Polyester)의 중량비가 97 : 3 내지 59 :41 바람직하게는 95:5 내지 60:40으로 마련되는 생분해성 부직포부(31)를 100 ˚C 내지 150˚C의 온도로 30초 내지 60초 동안 건조시키되, 바람직하게는 110 ˚C 내지 140˚C의 온도로 30초 내지 60초로 건조하여 생분해성 부직포부(3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생분해성 부직포부(31)의 건조 효율을 높였다.
이와 같이, 함침 웹 건조단계(S500)를 거치면, 생분해성 물질(31a) 및 합성수지 물질(31b) 그리고 점착 조성물(33)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과 일체로 형성되는 생분해성 부직포부를 포함하여 친환경적으로 분해되면서도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청소용 밀대 세트 10 : 청소용 밀대
20 : 청소용 원단 30 : 점착식 청소패드
31 : 생분해성 부직포부 32 : 점착 조성물 침투 공간
33 : 점착 조성물

Claims (15)

  1. 청소용 밀대에 부착되는 청소용 원단의 하단에 점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 및
    섬도가 3 내지 50 Denier인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에 의해 웹(Web)을 형성하되, 상기 점착 조성물에 함침시 상기 점착 조성물이 침투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 침투 공간를 형성하고, 상기 점착 조성물에 함침하고 건조하여 상기 점착 조성물과 일체로 마련되는 생분해성 부직포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부의 기공률(porosity)은, 40 내지 95% 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부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셀룰로오스(Cellulose), 키틴(Chitin), 녹말(Starch), PHA(Poly Hydroxyl Alkanoate), PHBV(Poly Hydroxy Butyrate Valerate), PVA(Poly Vinyl Alcohol), PGA(Poly Glycolic Acid), PBS(Poly Butylene Succinate), PBSA(Poly Butyleneadipate-co-Butylene Succinate), PBAT(Poly 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CL(Poly Capro 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미드(PolyEster-Amide), PLA(Poly latic acid) 및 폴리에스테르-우레탄(PolyEster-Uretha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부는,
    합성수지 물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합성수지 물질은, PVC(polyvinyl chloride), PEG(polyethylene glycol), EVA(ethylene vinyl acetate), TPE(thermo plastic elastomer),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TPS(thermo plastic starch), ENR(epoxidized naturalrubber), 아이오노머(Ionomer), SBS(styrene butadiene styren), NBR(nitrilebutadiene rubber),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s styrene), 아크릴레이트(acryl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변성폴리올레핀(polyolefin modified with compatibilizer), PU(polyurethan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과 상기 합성수지 물질의 중량비는 97 : 3 내지 59 :41 이며,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부의 두께는, 2.5 mm 내지 3.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을 상기 점착 조성물에 함침 후, 상기 생분해성 물질과 상기 점착 조성물의 중량비는 10 : 243 내지 10 : 46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용 밀대는,
    일단의 헤드단부를 구비하는 지지대; 및
    일단에 상기 청소용 원단이 부착되는 벨크로 부착부를 구비하며 타단에 상기 헤드단부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힌지결합부에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청소용 원단을 끼움 결합가능하게 마련되는 끼움결합부가 형성되는 헤드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청소용 원단은, 단위면적당 표면적이 2 ~ 4m2/m2 가 되도록 주름이 형성된 극세사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조성물은,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 100중량부 기준,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65(라우릭 산의 비율):35 내지 55:45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라우릭 산(Lauric acid); 및
    수평균분자량 2000 내지 30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혼합된 마찰 개선제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9.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 100중량부 기준,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65(라우릭 산의 비율):35 내지 55:45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라우릭 산(Lauric acid) 및 수평균분자량 2000 내지 3000의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혼합된 마찰 개선제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 마련단계;
    섬도가 3 내지 50 Denier인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에 의해 웹(Web)을 형성하는 웹 형성단계;
    상기 점착 조성물에 상기 웹을 함침시키는 웹 함침단계; 및
    상기 점착 조성물에 함침된 웹인 함침 웹을 건조하는 함침 웹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웹은,
    상기 점착 조성물이 침투 가능하게 마련되는 점착 조성물 침투 공간를 형성하고 상기 웹 함침단계 및 상기 웹 건조단계를 통하여 상기 점착 조성물과 일체로 마련되는 생분해성 부직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 웹 건조단계는, 100 ˚C 내지 150˚C의 온도로 30초 내지 60초 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부의 기공률(porosity)은, 40 내지 95% 부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부는,
    생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생분해성 물질은, 셀룰로오스(Cellulose), 키틴(Chitin), 녹말(Starch), PHA(Poly Hydroxyl Alkanoate), PHBV(Poly Hydroxy Butyrate Valerate), PVA(Poly Vinyl Alcohol), PGA(Poly Glycolic Acid), PBS(Poly Butylene Succinate), PBSA(Poly Butyleneadipate-co-Butylene Succinate), PBAT(Poly 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CL(Poly Capro Lactone), 폴리에스테르-아미드(PolyEster-Amide) 및 폴리에스테르-우레탄(PolyEster-Uretha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부는,
    합성수지 물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합성수지 물질은, PVC(polyvinyl chloride), PEG(polyethylene glycol), EVA(ethylene vinyl acetate), TPE(thermo plastic elastomer),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TPS(thermo plastic starch), ENR(epoxidized naturalrubber), 아이오노머(Ionomer), SBS(styrene butadiene styren), NBR(nitrilebutadiene rubber),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s styrene), 아크릴레이트(acryl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변성폴리올레핀(polyolefin modified with compatibilizer), PU(polyurethane), 폴리아마이드(Polyamide)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과 상기 합성수지 물질의 중량비는 97 : 3 내지 59 :41 이며,
    상기 생분해성 부직포부의 두께는, 2.5 mm 내지 3.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물질을 상기 점착 조성물에 함침 후, 상기 생분해성 물질과 상기 점착 조성물의 중량비는 10 : 243 내지 10 : 4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청소패드 제조방법.
KR1020190137250A 2019-10-31 2019-10-31 점착식 청소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282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250A KR102282370B1 (ko) 2019-10-31 2019-10-31 점착식 청소패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250A KR102282370B1 (ko) 2019-10-31 2019-10-31 점착식 청소패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679A true KR20210051679A (ko) 2021-05-10
KR102282370B1 KR102282370B1 (ko) 2021-07-27

Family

ID=7591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250A KR102282370B1 (ko) 2019-10-31 2019-10-31 점착식 청소패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3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876B1 (ko) 2023-08-09 2023-12-20 설창수 급수 구조가 개선된 물걸레 로봇청소기용 쿠션 패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885A (ja) * 2000-12-01 2003-03-04 Kao Corp 清掃用シート
JP2003321819A (ja) * 2002-05-07 2003-11-1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舗装路面清掃材及び舗装路面清掃方法
KR20140002987U (ko) * 2012-11-13 2014-05-21 주식회사 다미산업 청소용 밀대 걸레
KR101398555B1 (ko) * 2013-08-27 2014-05-27 (주)대고 청소용 주름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801607B1 (ko) * 2017-03-28 2017-11-27 (주)대고 점착 시트
KR101813237B1 (ko) 2017-03-02 2018-01-30 주식회사 그린텍 양면 사용이 가능한 점착식 청소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885A (ja) * 2000-12-01 2003-03-04 Kao Corp 清掃用シート
JP2003321819A (ja) * 2002-05-07 2003-11-1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舗装路面清掃材及び舗装路面清掃方法
KR20140002987U (ko) * 2012-11-13 2014-05-21 주식회사 다미산업 청소용 밀대 걸레
KR101398555B1 (ko) * 2013-08-27 2014-05-27 (주)대고 청소용 주름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813237B1 (ko) 2017-03-02 2018-01-30 주식회사 그린텍 양면 사용이 가능한 점착식 청소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1801607B1 (ko) * 2017-03-28 2017-11-27 (주)대고 점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370B1 (ko)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4202B2 (ja) 周囲に捕獲シートを伴う床掃除用具
AU2001257338B2 (en) Cleaning sheet with particle retaining cavities
US20060141881A1 (en) Wipe
US20100044909A1 (en) Lofty, tackified nonwoven sheet and method of making
NZ200331A (en) Washable napped or tufted floor covering
KR102282370B1 (ko) 점착식 청소패드 및 그 제조방법
CN101518434A (zh) 一种可反复使用的清洁辊
MXPA06006876A (es) Herramienta de limpieza para remover particulas de tamano grande y pequeno.
KR20150109351A (ko) 유기질 오염물 제거용 점착 클리너
AU760336B2 (en) Layered cleaning sheets
EP2359732B1 (en) Mop head cover for use with a flat mop device
KR101801607B1 (ko) 점착 시트
WO1997006723A1 (en) Stain removal device
CN105828684B (zh) 清洁制品
JP4073267B2 (ja) 清掃用シート
JP2004236732A (ja) 清掃シート
JP2006137894A (ja) 柔軟な粘着性紙
CN2889148Y (zh) 一种微孔涂层擦布
WO2018143031A1 (ja) 粘着クリーナー
JP2020156704A (ja) 拭取シート積層体の固定具
KR101743052B1 (ko) 양면이 서로 다른 성질을 갖는 기능성 물티슈
JP2002219092A (ja) 清掃具のための粘着ロール
US200701863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stains on articles of clothing
JPH0516964U (ja) 室内外装飾材止着用シート
JPH03231621A (ja) 粘着剤付き掃除道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