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659A - 약물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약물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659A
KR20210051659A KR1020190137208A KR20190137208A KR20210051659A KR 20210051659 A KR20210051659 A KR 20210051659A KR 1020190137208 A KR1020190137208 A KR 1020190137208A KR 20190137208 A KR20190137208 A KR 20190137208A KR 20210051659 A KR20210051659 A KR 20210051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wing
injection
needle
ampo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4093B1 (ko
Inventor
박광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102019013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093B1/ko
Priority to PCT/KR2020/010440 priority patent/WO2021085813A1/ko
Publication of KR20210051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5/2422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using emptying means to expel or eject media, e.g. pistons, deformation of the ampoule, or telescoping of the ampo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8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combined with anaesthetis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4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oling or heating the devices or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03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33Ampoule fixed to ampoul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17Means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medicament compartment of a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37Charg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 A61M2209/084Supporting bases, stands for equipment
    • A61M2209/086Docking st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약물 주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약물 주입 장치는, 주사액이 담긴 앰플을 수용하는 앰플 수용부를 구비하며 주사액을 피시술자에게 주입하는 주입유닛과, 주입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앰플 내의 주사액이 주입유닛으로 전달되도록 앰플을 가압하는 가압유닛과, 가압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유닛과, 가압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베이스유닛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압유닛의 베이스유닛에 대한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스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약물 주입 장치{Apparatus for injecting medicine}
본 발명은,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시술자의 체내로 주입되는 주사액의 주입 속도를 조절하여 피시술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으며 피시술자의 체내로 주사액을 주입시킬 수 있는 약물 주입 기구와 이러한 약물 주입 기구를 거치하는 크래들(cradle)을 구비하는 약물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임플란트를 간단히 설명하면,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임플란트 시술은, 픽스츄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지만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한 후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츄어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 시술은,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한편 임플란트 시술은, 그 시술과정에서 잇몸 절개, 드릴에 의한 천공 등을 수행함으로써, 피시술자에게 많을 고통을 유발한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에서 시술부위에 대한 국부마취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국부마취는 통상 주사기로 마취액을 가압하여 시술부위에 마취액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마취액의 주입 시 피시술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는 주사기의 마취액의 주입 속도, 니들의 온도, 니들의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
마취액의 주입 속도, 즉 마취액의 가압 속도가 빠르면 마취액의 주입부위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되고, 그에 따라 피시술자가 통증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마취액의 주입은 가급적 느린 속도로 이루어져야한다. 그런데 마취액의 주입 속도를 늦추면 마취액의 주입시간이 늘어나고, 결국 시술자가 주사기를 들고 있는 시간이 늘어난다.
시술자가 주사기를 들고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 시술자가 일정한 주입속도를 유지하기 어렵고, 시술자의 손떨림 현상으로 인해 피시술자가 통증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시술자가 마취액의 주입을 위해 직접 마취액을 가압하지 않고 별도의 가압 기구를 통해 마취액을 가압하는 방식의 약물 주입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는, 주사액이 담긴 앰플을 수용하는 앰플 수용부를 구비하며 주사액을 피시술자에게 주입하는 주입부와, 주입부에 연결되어 앰플을 가압하며 주사액을 주입부로 유동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는 별도의 거치기구(크래들)이 없이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보관 및 사용과정에서 파손되기 쉬우며, 거치기구(크래들)가 있더라도 앰플 수용부가 가압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형태, 즉, 가압부가 세워진 형태로 크래들에 거치되어 약물 주입 후 가압부에 묻은 주사액이 하중에 의해 가압부의 내부로 침입되어 가압부의 내부가 주사액에 의해 오염되고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13-0001191호, (2013.2.20.)
따라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사액을 피시술자에게 주입하기 위해 앰플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며, 앰플에서 유출되어 가압부에 묻은 주사액이 가압부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약물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사액이 담긴 앰플을 수용하는 앰플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주사액을 피시술자에게 주입하는 주입유닛; 상기 주입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앰플 내의 상기 주사액이 상기 주입유닛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앰플을 가압하는 가압유닛; 상기 가압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유닛; 및 상기 가압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유닛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압유닛의 상기 베이스유닛에 대한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스윙유닛을 포함하는 약물 주입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윙유닛은, 아크(arc) 형상으로 구부러진 스윙 몸체부; 및 상기 스윙 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스윙 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윙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윙 안내부는, 상기 스윙 몸체부의 측벽에서 미리 결정된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유닛에 마련된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윙 몸체부에는 상기 주입유닛의 앰플 수용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윙 몸체부에는 상기 가압유닛이 걸림결합되는 걸림턱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윙유닛은, 상기 스윙 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압유닛에 마련된 충전식 배터리를 무선충전하는 무선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단부에 상기 스윙 몸체부가 삽입되는 스윙용 삽입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몸체부; 및 상기 스윙용 삽입홈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스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스윙 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유닛에 연결되며, 사용 전 체내 주입용 니들을 보관하며 보관된 상기 체내 주입용 니들을 예열하는 니들 워머유닛(warmer un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들 워머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체내 주입용 니들을 수용하는 니들 수용홈이 형성된 니들 보관부; 및 상기 베이스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니들 보관부로 열을 전달하는 보관부용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들 보관부는, 상기 니들 수용홈이 마련된 보관 몸체; 및 상기 보관 몸체의 하단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유닛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는 끼움용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앰플 내의 주사액이 주입유닛으로 전달되도록 앰플을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유닛과, 베이스유닛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압유닛의 베이스유닛에 대한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스윙유닛을 구비함으로써, 가압유닛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며 앰플에서 유출되어 가압유닛에 묻은 주사액이 가압유닛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베이스유닛과 스윙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스윙유닛에 가압유닛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스윙유닛이 베이스유닛에 대해 상대이동되어 가압유닛의 기울기가 가변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는 도 1의 주입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는 도 1의 가압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니들 워머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은 도 8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베이스유닛과 스윙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스윙유닛에 가압유닛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스윙유닛이 베이스유닛에 대해 상대이동되어 가압유닛의 기울기가 가변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6는 도 1의 주입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7는 도 1의 가압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주사액(J)이 담긴 앰플(M)을 수용하는 앰플 수용부(111)를 구비하며 주사액(J)을 피시술자에게 주입하는 주입유닛(110)과, 주입유닛(11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앰플(M) 내의 주사액(J)이 주입유닛(110)으로 전달되도록 앰플(M)을 가압하는 가압유닛(120)과, 가압유닛(120)을 지지하는 베이스유닛(130)과, 가압유닛(12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베이스유닛(13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압유닛(120)의 베이스유닛(130)에 대한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스윙유닛(1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주사액(J)은 마취액 등 피시술자의 체내에 주입되는 다양한 약물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앰플(M)은 주사액(J)을 수용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앰플(M)은 양단부가 개구되는 파이프 형태의 앰플 몸체(M1)와, 앰플 몸체(M1)의 일측 개구부를 밀봉하는 실링캡(M2)과, 앰플 몸체(M1)의 타측 개구부를 밀봉하며 앰플 몸체(M1)의 내측벽을 따라 이동가능한 피스톤(M3)을 포함한다.
피스톤(M3)은, 가압유닛(120)의 후술할 가압 플런저(122)에 연결되어 가압유닛(120)의 작동에 의해 앰플(M) 내부에 수용된 주사액(J)을 가압한다.
한편 주입유닛(110)은 주사액(J)을 피시술자에게 주입한다. 이러한 주입유닛(110)은, 가압유닛(120)의 주입유닛 결합부(1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앰플(M)을 수용하는 앰플 수용부(111)와, 앰플 수용부(111)에 연결되는 튜브(112)와, 튜브(112)에 연결되는 니들 홀더(113)와, 니들 홀더(113)에 결합되는 체내 주입용 니들(114)을 포함한다.
앰플 수용부(111)는 앰플(M)을 수용한다. 이러한 앰플 수용부(111)는 가압유닛(120)의 후술할 주입유닛 결합부(1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앰플 수용부(111)는, 앰플(M)이 수용되는 수용부 본체(115)와, 수용부 본체(115)에 결합되며 튜브(112)와 연통되는 앰플용 니들(116)을 포함한다.
앰플용 니들(116)은, 수용부 본체(115)의 상측벽에 결합되며, 튜브(112)와 연통된다. 이러한 앰플용 니들(116)은, 앰플(M)이 수용부 본체(115)에 수용 시 앰플(M)의 실링캡(M2)을 관통하여 앰플(M) 내부와 연통된다.
튜브(112)는, 앰플 수용부(111)에 연결되며, 앰플용 니들(116)에 연통된다. 또한 니들 홀더(113)는, 튜브(112)에 연결되며, 튜브(112)에 연통된다, 따라서 튜브(112)를 통해 앰플(M) 내부의 주사액(J)이 튜브(112)를 통해 니들 홀더(113)로 유동된다.
체내 주입용 니들(114)은, 니들 홀더(113)에 결합되며, 니들 홀더(113)에 연통된다. 따라서 니들 홀더(113)로 유동된 주사액(J)이 체내 주입용 니들(114)을 통해 피시술자에게 주입된다.
또한 주입유닛(110)은, 니들 홀더(113)에 연결되는 봉 형상의 손잡이부(118)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손잡이부(118)는 피시술자가 주입유닛(110)을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게 하여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한편, 가압유닛(120)은 앰플(M) 내의 주사액(J)이 주입유닛(110)으로 전달되도록 앰플(M)의 피스톤(M3)을 가압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가압유닛(120)은 주사액(J)을 가압하는 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피시술자의 체내로 주입되는 주사액(J)의 주입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유닛(1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유닛(110)의 앰플 수용부(11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입유닛 결합부(121)와, 앰플 수용부(111)에 수용된 앰플(M)에 연결되며 주사액(J)을 가압하는 가압 플런저(122)와, 가압 플런저(122)와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되며 가압 플런저(122)를 업/다운(up/down)시키는 가압 플런저 업/다운(up/down) 구동모듈(미도시)과, 가압 플런저 업/다운(up/down) 구동모듈(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미도시)와, 충전식 배터리(미도시)에 연결되며 충전식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는 제1 코일(미도시)을 포함한다.
주입유닛 결합부(121)에는 주입유닛(110)의 앰플 수용부(11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주입유닛 결합부(121)는 가압유닛(120)의 상단부를 형성하다. 본 실시예에서 주입유닛 결합부(121)에는 가압 플런저(122)가 관통하는 통과공(미도시)이 마련된다.
가압 플런저(122)는, 가압 플런저 업/다운(up/down) 구동모듈(미도시)에 의해 이동되어 앰플(M)의 피스톤(M3)을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 플런저(122)는, 가압 플런저 업/다운(up/down) 구동모듈(미도시)에 연결되는 플런저 본체(122a)와, 플런저 본체(122a)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플런저 캡(122b)을 포함한다.
플런저 본체(122a)는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플런저 본체(122a)의 내측벽에는 후술한 리드 스크류(151)에 치합되는 나사산(미도시)이 마련된다.
가압 플런저 업/다운(up/down) 구동모듈(미도시)은 가압 플런저(122)를 업/다운(up/down)시킨다. 이러한 가압 플런저 업/다운(up/down) 구동모듈(미도시)은 가압 플런저(122)와 동일 축선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플런저 업/다운(up/down) 구동모듈(미도시)은, 가압 플런저(122)의 플런저 본체(141)에 치합되는 리드 스크류(미도시)와, 리드 스크류(미도시)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미도시)와, 가압 플런저(122)에 연결되어 가압 플런저(122)의 이동을 가이드하되 가압 플런저(122)의 회전을 저지하는 회전 저지 겸용 가이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압 플런저 업/다운(up/down) 구동모듈(미도시)은, 구동 모터(미도시)의 회전축(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회전축(미도시)에 결합된 리드 스크류(미도시)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가압 플런저(122)의 이동속도를 조절함으로??, 결과적으로 피시술자의 체내로 주입되는 주사액(J)의 주입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스윙유닛(140)에는 가압유닛(12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스윙유닛(140)은 베이스유닛(13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압유닛(120)의 베이스유닛(130)에 대한 기울기 각도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윙유닛(140)은, 도 1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arc) 형상으로 구부러진 스윙 몸체부(141)와, 스윙 몸체부(141)에 마련되며 베이스유닛(130)에 연결되어 스윙 몸체부(141)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윙 안내부(143)와, 스윙 몸체부(141)에 장착되며 가압유닛(120)의 충전식 배터리(미도시)를 무선충전하는 무선충전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몸체부(141)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아크(arc) 형상으로 구부러진다. 이러한 스윙 몸체부(141)의 가상의 곡률 중심은 스윙 몸체부(141)의 상측 영역에 존재한다.
이러한 스윙 몸체부(141)의 일측 단부 영역에는 주입유닛(110)의 앰플 수용부(111)가 관통하는 관통공(141a)이 마련된다. 이러한 관통공(141a)은 앰플 수용부(111)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141a)에는 가압유닛(120)의 주입유닛 결합부(121)가 끼움결합된다. 따라서 관통공(141a)의 내주면에 주입유닛 결합부(121)의 외주면이 접촉된다.
스윙 몸체부(141)에는 가압유닛(120)의 타측 단부 영역이 걸림결합되는 걸림턱부(141b)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턱부(141b)는 가압유닛(120)의 일측을 감싸는 'ㄱ'자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걸림턱부(141b)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스윙 안내부(143)는 스윙 몸체부(141)에 마련된다. 이러한 스윙 안내부(143)는 베이스유닛(130)에 연결되어 스윙 몸체부(141)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윙 안내부(143)는, 도 3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몸체부(141)의 측벽에서 미리 결정된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되어 베이스유닛(130)에 마련된 후술할 가이드 돌기(135)가 삽입되는 가이드 그루브(143a)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 그루브(143a)는 스윙 몸체부(141)의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윙 몸체부(141)는 아크 형상으로 절곡되어 마련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이드 그루브(143a)도 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 그루브(143a)에는 베이스유닛(130)에 마련된 가이드 돌기(135)가 삽입된다.
무선충전부(미도시)는 스윙 몸체부(141)에 장착된다. 이러한 무선충전부(미도시)는 가압유닛(120)의 충전식 배터리를 무접점 방식으로 무선충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부(미도시)는, 스윙 몸체부(141)의 내부에 배치되며 가압유닛(120)의 제1 코일(미도시)에 비접촉되어 제1 코일(미도시)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제2 코일(미도시)를 포함한다.
제2 코일(미도시)은 제1 코일(미도시)에 비접촉되어 제1 코일(미도시)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충전식 배터리(미도시)를 무선충전한다. 즉, 제2 코일(미도시)에서 발생된 자기장이 제1 코일에 유도되어 제1 코일에 전류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는, 가압유닛(120)의 충전식 배터리(미도시)를 무접점 방식으로 충전하는 무선충전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접점 불량 없이 충전할 수 있어 누전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유닛(130)은 가압유닛(120)을 지지한다. 이러한 베이스유닛(130)은, 도 1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스윙 몸체부(141)가 삽입되는 스윙용 삽입홈(133)이 형성되는 베이스 몸체부(131)와, 스윙용 삽입홈(133)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스윙유닛(140)에 연결되어 스윙 몸체부(14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135)를 포함한다.
베이스 몸체부(1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베이스 몸체부(131)의 상단부에는 스윙 몸체부(141)의 일부가 삽입되는 스윙용 삽입홈(133)이 형성된다.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135)는 스윙용 삽입홈(133)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135)는 스윙유닛(140)에 연결되어 스윙 몸체부(141)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의 가이드 돌기(135)는 스윙 몸체부(141)의 가이드 그루브(143a)에 삽입되어 스윙 몸체부(141)의 곡선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돌기(135)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스윙용 삽입홈(133)의 양측 내측벽 각각에서 돌출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약물 주입 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스윙유닛(140)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시술자는 피수술자에게 주사액(J)을 주입 시 피시술자가 통증을 느끼지 않을 주사액(J)의 주입 속도를 결정한다. 이후 시술자의 가압유닛(120)을 조작하여 가압 플런저(122)의 가압 속도를 설정한다.
다음, 주사액(J)의 주입을 위해 피시술자의 시술부위에 체내 주입용 니들(114)이 삽입된다.
이후, 시술자의 가압유닛(120)의 조작에 의해 가압 플런저(122)가 이동되어 앰플(M)의 주사액(J)이 피시술자의 체내에 주입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유닛(120)은 베이스유닛(130)의 하부면에 대해 대략 나란한 자세로 배치된다.
이후, 피시술자에 대한 주사액(J) 주입 후 앰플 수용부(111)가 주입유닛 결합부(121)에서 분리된다. 이때,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유닛(140)이 베이스유닛(130)에 대해 상대이동 되어 가압유닛(120)은 베이스유닛(130)의 하부면에 대해 대략 30도 정도로 기울기 각도를 이룬다.
이와 같이 주사액(J) 주입 후 가압유닛(120)이 베이스유닛(130)에 대한 기울어지게 배치(특히, 주입유닛 결합부(121)가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됨으로, 주사액(J) 주입 과정에서 주입유닛 결합부(121)에 묻은 주사액(J)이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아래로 흐르게 되어 주사액(J)이 가압유닛(120)의 내부로 침입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는, 앰플(M) 내의 주사액이 주입유닛(110)으로 전달되도록 앰플(M)을 가압하는 가압유닛(120)을 지지하는 베이스유닛(130)과, 베이스유닛(13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압유닛(120)의 베이스유닛(130)에 대한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스윙유닛(140)을 구비함으로써, 가압유닛(120)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으며 앰플(M)에서 유출되어 가압유닛(120)에 묻은 주사액이 가압유닛(120)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 장치의 니들 워머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8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니들 워머유닛(250)이 추가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7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니들 워머유닛(25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약물 주입장치는, 베이스유닛(230)에 연결되며 사용 전 체내 주입용 니들(미도시)을 보관하며 보관된 체내 주입용 니들(미도시)을 예열하는 니들 워머유닛(warmer unit, 250)을 구비한다.
이러한 니들 워머유닛(250)은, 도 8 내지 도 1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유닛(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체내 주입용 니들(미도시)을 수용하는 니들 수용홈(G)이 형성된 니들 보관부(251)와, 베이스유닛(130)에 장착되며 니들 보관부(251)로 열을 전달하는 보관부용 가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니들 보관부(251)는 베이스유닛(1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니들 보관부(251)에는 체내 주입용 니들(미도시)을 수용하는 니들 수용홈(G)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니들 보관부(251)는, 도 8 내지 도 1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수용홈(G)이 마련된 보관 몸체(251a)와, 보관 몸체(251a)의 하단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베이스 몸체부(231)에 형성된 끼움홈(K)에 끼움결합되는 끼움용 돌출부재(251b)를 포함한다.
끼움홈(K)은 베이스 몸체부(231)의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니들 보관부(251)는, 보관 몸체(251a)의 하단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어 베이스유닛(130)의 끼움홈(K)에 끼움결합되는 끼움용 돌출부재(251b)를 구비함으로써, 보관 몸체(251a)가 안정적으로 베이스유닛(130)에 결합되도록 한다.
보관부용 가열부(미도시)는 베이스유닛(13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보관부용 가열부(미도시)는 니들 보관부(251)로 열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관부용 가열부(미도시)는 발열용 니크롬선 또는 펠티어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본 발며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발열기구가 본 실시예의 보관부용 가열부(미도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약물 주입장치는, 사용 전 체내 주입용 니들(미도시)을 보관하며 보관된 체내 주입용 니들(미도시)을 예열하는 니들 워머유닛(250)을 구비함으로써, 체내 주입용 니들(미도시)을 체온과 유사한 온도로 예열한 상태에서 피시술자에게 사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피시술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주입유닛 120: 가압유닛
130, 230: 베이스유닛 131, 231: 베이스 몸체부
133: 스윙용 삽입홈 135: 가이드 돌기
140: 스윙유닛 141: 스윙 몸체부
141a: 관통공 141b: 걸림턱부
143: 스윙 안내부 143a: 가이드 그루브
250: 니들 워머유닛 251: 니들 보관부
251a: 보관 몸체 251b: 끼움용 돌출부재
G: 니들 수용홈 K: 끼움홈

Claims (10)

  1. 주사액이 담긴 앰플을 수용하는 앰플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주사액을 피시술자에게 주입하는 주입유닛;
    상기 주입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앰플 내의 상기 주사액이 상기 주입유닛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앰플을 가압하는 가압유닛;
    상기 가압유닛을 지지하는 베이스유닛; 및
    상기 가압유닛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유닛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압유닛의 상기 베이스유닛에 대한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스윙유닛을 포함하는 약물 주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유닛은,
    아크(arc) 형상으로 구부러진 스윙 몸체부; 및
    상기 스윙 몸체부에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스윙 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윙 안내부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안내부는,
    상기 스윙 몸체부의 측벽에서 미리 결정된 깊이만큼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유닛에 마련된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그루브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몸체부에는 상기 주입유닛의 앰플 수용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마련되는 약물 주입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몸체부에는 상기 가압유닛이 걸림결합되는 걸림턱부가 마련되는 약물 주입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유닛은,
    상기 스윙 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압유닛에 마련된 충전식 배터리를 무선충전하는 무선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약물 주입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은,
    상단부에 상기 스윙 몸체부가 삽입되는 스윙용 삽입홈이 형성되는 베이스 몸체부; 및
    상기 스윙용 삽입홈의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스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스윙 몸체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유닛에 연결되며, 사용 전 체내 주입용 니들을 보관하며 보관된 상기 체내 주입용 니들을 예열하는 니들 워머유닛(warmer unit)을 더 포함하는 약물 주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워머유닛은,
    상기 베이스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체내 주입용 니들을 수용하는 니들 수용홈이 형성된 니들 보관부; 및
    상기 베이스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니들 보관부로 열을 전달하는 보관부용 가열부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보관부는,
    상기 니들 수용홈이 마련된 보관 몸체; 및
    상기 보관 몸체의 하단부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유닛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결합되는 끼움용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약물 주입장치.
KR1020190137208A 2019-10-31 2019-10-31 약물 주입 장치 KR102344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208A KR102344093B1 (ko) 2019-10-31 2019-10-31 약물 주입 장치
PCT/KR2020/010440 WO2021085813A1 (ko) 2019-10-31 2020-08-06 약물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208A KR102344093B1 (ko) 2019-10-31 2019-10-31 약물 주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659A true KR20210051659A (ko) 2021-05-10
KR102344093B1 KR102344093B1 (ko) 2021-12-29

Family

ID=7571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208A KR102344093B1 (ko) 2019-10-31 2019-10-31 약물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4093B1 (ko)
WO (1) WO202108581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188B1 (ko) * 2007-01-24 2007-08-08 박태순 보급형 자동마취주입기의 충전용 거치대 겸용 마취액 앰플워머 유니트
KR101044371B1 (ko) * 2008-06-05 2011-06-29 이희영 줄기세포 분리를 위한 혼합장치
KR20130001191U (ko) 2011-08-12 2013-02-20 서용선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KR20140142084A (ko) * 2013-06-03 2014-12-11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약물 주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481B1 (ko) * 2011-10-20 2013-07-12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시린지 펌프를 흔들기 위한 장치
EP3925642A1 (en) * 2016-06-27 2021-12-22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Syringe stabiliz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188B1 (ko) * 2007-01-24 2007-08-08 박태순 보급형 자동마취주입기의 충전용 거치대 겸용 마취액 앰플워머 유니트
KR101044371B1 (ko) * 2008-06-05 2011-06-29 이희영 줄기세포 분리를 위한 혼합장치
KR20130001191U (ko) 2011-08-12 2013-02-20 서용선 보조가압부가 구비된 국소마취용 주사기
KR20140142084A (ko) * 2013-06-03 2014-12-11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약물 주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813A1 (ko) 2021-05-06
KR102344093B1 (ko)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3551B2 (ja) 薬液注入装置
KR102055279B1 (ko) 디지털 마취액 주입 장치
US20030040714A1 (en) Vibrating injection needle
CA25404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a therapeutic agent into tissue
EP0429440B1 (en) Aspirating hypodermic syringe apparatus
TWI597085B (zh) 注藥裝置
KR102136498B1 (ko) 상악동 내막 수압 거상기구
KR101092074B1 (ko) 마취용 주사기
JP6482565B2 (ja) 薬液注入装置
KR102304183B1 (ko) 약물 주입장치
KR102344093B1 (ko) 약물 주입 장치
KR102258699B1 (ko) 멤브레인 리프팅 장치
KR20120007746A (ko) 용이한 구강 내 관찰 및 용이한 국부 마취를 가능하게 해주는 치과용 진동장치
KR101198082B1 (ko) 임플란트용 인공뼈 주입기구
KR101720604B1 (ko) 약물 주입 장치
KR20090008545A (ko) 치과용 진동장치
WO2004082508A1 (en) Delivery device for applying dental materials to the oral cavity
KR102007517B1 (ko) 치과용 전달마취 보조기구
KR20230104469A (ko) 복합기능을 갖는 무통마취기 거치기구
KR101282332B1 (ko) 치아 이동 가속기
KR20080107902A (ko) 국소마취장치
ITVI20100236A1 (it) Dispositivo di iniezione di fluidi medicali
KR20090129682A (ko)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을 보조하기 위한 간편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