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1393A -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 - Google Patents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1393A
KR20210051393A KR1020190136601A KR20190136601A KR20210051393A KR 20210051393 A KR20210051393 A KR 20210051393A KR 1020190136601 A KR1020190136601 A KR 1020190136601A KR 20190136601 A KR20190136601 A KR 20190136601A KR 20210051393 A KR20210051393 A KR 20210051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chloride
weight
parts
resin composition
window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857B1 (ko
Inventor
김차남
양성만
정은천
진동휘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90136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8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20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천연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 프로파일로 제조시 백색도가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하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창호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CELLUROSE-CONTAINING POLYVINYL CHLORIDE-BASED RESIN COMPOSITION AND WINDOW PROFILE INCLUDING THE SAME}
본 출원은 천연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 프로파일로 제조시 백색도가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하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창호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창호는 건물내부를 외계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과거에는 목재 창호가 많이 이용되었다. 목재는 열에 대하여 약하고, 벌레나 습기 등으로 인해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금속재 창호는 목재 창호보다 내열성, 내충성, 내습성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금속재 창호는 열전달이 우수하여 단열에 취약하고 무겁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동절기나 하절기에 온도 변화에 따른 치수 안정성이 낮아 단열 및 기밀성에도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플라스틱 창호는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자유롭게 창호의 제작이 가능하다. 하지만 플라스틱의 특성상 내열성 및 강도 물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플라스틱 창호는 강도 보강을 위하여 내부에 금속으로 된 보강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때 플라스틱 창호에는 금속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금속재 창호의 문제점이 플라스틱 창호로 해소되기 어렵고, 플라스틱 창호의 문제점이 금속재 창호로 해소되기 어려운 실정에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는 창호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PVC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창호(이하, ‘PVC 창호'라 한다)는 다른 소재의 창호에 비하여 저가이고, 내화학성, 내후성 및 난연성 등이 우수하며, 기계적 물성이 뛰어나 창호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PVC 창호는 PVC 수지가 가공시 열에 분해되는 경향이 있어 통상 6대 유해중금속(납, 수은, 카드뮴, 6가 크롬, 브롬계 난연제인 PBBs 및 PBDEs) 중 하나인 납이 함유된 납계 열안정제를 포함하는데, 이 납계 열안정제는 가격이 저렴하고(생산비용 절감), 열에 의한 분해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가공성) 뛰어나다.
그러나, 상기 납계 열안정제가 포함된 PVC 창호는 환경오염 및 인체의 중금속 중독 등이 문제된다. 따라서, 비납계 열안정제를 사용하여, 유해 중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PVC 창호의 개발에 노력하고 있으나, 여전히 배합 및 압출 성형시 충분한 가공성 등을 얻지 못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첨가제를 사용하여, 창호의 물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있었고, 특히, 유리 섬유등의 무기 충전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 없으나, 창호 압출시 프로파일의 백색도와 유리가루 날림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여,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PVC 창호를 제조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백색도가 우수하면서도 친환경적인 충전제를 선정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PVC 기반의 창호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36874호(2015년 4월 8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04133호(2016년 1월 12일 공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천연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형태는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염화 비닐 수지 100 중량부와 셀룰로오스 3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시에서, 상기셀룰로오스는 단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시에서, 상기 셀룰로오스의 평균 입자 크기는 10 ㎛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시에서, 상기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시에서, 상기 첨가제는 안료, 필러, 충격보강재, 안정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형태는 전술한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에 관한 것이다.
일 예시에서, 상기 창호 프로파일의 인장 항복 강도는 36.8 M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시에서, 상기 창호 프로파일의 신장률은 1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시에서, 상기 창호 프로파일의 23 ℃에서 샤르피 충격강도는 12.7 KJ/㎡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시에서, 상기 창호 프로파일의 -10 ℃에서 샤르피 충격강도는 4.9 KJ/㎡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백색도가 우수한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에 무해한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 공정상 분말의 날림이 적은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장 항복 강도가 우수한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장률이 우수한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샤르피 충격강도가 우수한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창호 프로파일의 인장 항복 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요소 등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요소 등이 존재하지 않거나 부가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중량부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기준 물질을 정하고 이에 따른 다른 성분의 함량을 표현하는 기재방식이나 기준 물질이 특정되어 있지 않아도 한 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성분의 함량을 상대적인 비로 환산할 수 있으므로, 조성물의 조성비가 명확하게 기재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출원의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염화 비닐 수지 100 중량부와 셀룰로오스 3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 수지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로 강하고, 색을 내기 쉽고, 단단하거나 유연하고, 잘 마모되지 않는다. 또한,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는 에틸렌분자의 수소 하나를 염소로 치환한 비닐클로라이드라고 하는 분자를 중합시킨 것이다. 비닐클로라이드를 만드는 데는 카바이드에 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아세틸렌에 염화수소를 부가하여 만드는 방법과, 석유에서 얻어지는 에틸렌에 염소가스를 반응시켜 그 수소원자 하나를 염소로 치환시켜 제조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는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는 기계적 강도 및 성형성이 우수하여, 일반적으로 압축 성형으로 제조되는 창호 프로파일의 재료로서 매우 적합하다.
또한,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50,000, 15,000 내지 45,000, 20,000 내지 40,000 또는 25,000 내지 28,000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 수치를 의미한다.
셀룰로오스는 수백에서 수천 개의 D-포도당 단위체들이 β(1→4) 글리코사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선형 사슬의 다당류로, 화학식이 (C6H10O5)n 인 유기 화합물이다.
여기서, 상기 셀룰로오스는 단섬유일 수 있다.
단섬유는 예를 들어, 실을 뽑아내는 방사라는 과정과 다양한 물성을 부여하는 연신이라는 과정을 거친 후 짧게 잘라 솜 형태로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는 단섬유의 길이 등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는 단섬유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셀룰로오스의 평균 입자 크기는 10 ㎛ 내지 10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95 ㎛, 20 ㎛ 내지 80 ㎛, 25 ㎛ 내지 75 ㎛, 30 ㎛ 내지 70 ㎛, 40 ㎛ 내지 65 ㎛, 45 ㎛ 내지 60 ㎛, 또는 50 ㎛ 내지 55 ㎛일 수 있다. 이러한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셀룰로오스는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와 결합력이 우수하여, 창호 프로파일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도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여러 가지 첨가제를 적절하게 첨가하여 다양한 가공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첨가제는 안료, 필러, 충격보강재, 안정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안료 또는 염료 중 하나 이상을 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료는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또는 이들을 혼합물일 수 있으나, 코팅층의 광택, 착색성 등과 같은 뛰어난 외관 특성을 부여해주면서, 우수한 내광성 및 내열성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무기 안료가 적절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안료는 코팅층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을 고려하여, 백색 안료, 적색 안료, 황색 안료, 녹색 안료, 청색 안료, 자색 안료, 흑색 안료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안료의 구체적인 소재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일 례로, 백색 안료는 이산화티탄(TiO2), 필러(CaCO3), 탈크(Talc), 황산바륨(BaSO4), 규회석(CaSiO3)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은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2 내지 9 중량부, 3 중량부 내지 8 중량부, 4 중량부 내지 7 중량부, 또는 5 중량부 내지 6 중량부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필러(filler)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탄산칼슘, 탈크, 황토,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등의 무기계 필러; 또는 목질계 필러(ex. 목분, 목칩), 콜크, 케냐프 또는 펄프 등의 유기계 필러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필러의 함량은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8 내지 15 중량부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필러의 양이 지나치게 낮으면, 가공성, 원재료비 절감, 안착성 및 강도 증가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지나치게 많아지면, 수지 등 타성분의 결합력이 떨어져서, 가공성, 예를 들면 공압출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충격 보강재의 종류는 수지와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공지된 재료를 임의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염화폴리에틸렌(CPE)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보강재의 함량은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2 내지 14 중량부, 3 중량부 내지 13 중량부, 4 중량부 내지 12 중량부, 5 중량부 내지 11 중량부, 6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또는 7 중량부 내지 9 중량부 범위 내일 수 있다.
안정제(Stabilizer)는 열안정제 또는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의 종류로는, Ba-Cd계, Ba-Zn계, Ca-Zn계 등이 있으나, 바람직하게 분말 타입의 Ca-Zn계가 적절할 수 있다.
상기 안정제의 함량은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 5 내지 20 중량부 또는 8 내지 15 중량부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형태는 전술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창호 프로파일이다.
또한, 창호란 건물의 창과 문을 일컫는 것으로 건물 또는 주택의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는 벽체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그 기능으로는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등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창호는 그 기본 구성을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창호 프레임의 형상에 적합하게 압출 성형한 프로파일(Profile)이 주로 사용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형태는 전술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창호 프로파일이다.
본 출원에서, 전술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창호 프로파일이면 창호 프로파일의 형상 및 크기 등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출원에서, 후술하는 실험예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이, 창호 프로파일의 기계적 물성은 중요한 요소이다.
후술하는 기계적 물성은 KS F 5602 기준의 물성을 의미한다.
일 예시에서, 상기 창호 프로파일의 인장 항복 강도는 36.8 M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37 MN/㎡ 내지 39 MN/㎡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시에서, 상기 창호 프로파일의 신장률은 100 % 이상일 수 있으며, 95 % 내지 110 % 또는 100 % 내지 110%일 수도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창호 프로파일의 상온(23 ℃)에서 샤르피 충격강도는 12.7 KJ/㎡ 이상일 수 있으며, 19 KJ/㎡ 내지 22 KJ/㎡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시에서, 상기 창호 프로파일의 저온(-10 ℃)에서 샤르피 충격강도는 4.9 KJ/㎡ 이상일 수 있으며, 4.9 KJ/㎡ 내지 9 KJ/㎡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비교예 1]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백색안료 2.8 중량부, 탄산칼슘 15.0 중량부, 충격보강재 5.0 중량부, 및 안정제 2.9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비교예 1로 제조하였다.
[ 실시예 1]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백색안료 2.8 중량부, 탄산칼슘 15.0 중량부, 충격보강재 5.0 중량부, 안정제 2.9 중량부 및 셀룰로오스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실시예 1로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백색안료 2.8 중량부, 탄산칼슘 15.0 중량부, 충격보강재 5.0 중량부, 안정제 2.9 중량부 및 셀룰로오스 4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실시예 1로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백색안료 2.8 중량부, 탄산칼슘 15.0 중량부, 충격보강재 5.0 중량부, 안정제 2.9 중량부 및 셀룰로오스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실시예 1로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원료 배합 후 기존 PVC 압출성형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압출성형 하여 프로파일 형태로 성형하였다. 여기서, 압출온도조건은 180 내지 190 ℃였다. 각각의 창호 프로파일을 제조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인장항복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KS F 5602에 따른 실험을 실시한 후, 5회에 걸쳐서 인장항복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평균값에 대하여 도 1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비교예 1
(MN/㎡)
실시예 1
(MN/㎡)
실시예 2
(MN/㎡)
실시예 3
(MN/㎡)
1 37.9 38.0 38.0 38.0
2 36.8 37.1 38.7 37.1
3 37.4 37.3 39.0 36.6
4 38.0 37.5 38.5 36.8
5 36.4 38.1 38.1 38.1
평균 37.3 37.6 38.5 37.3
도 1 및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를 첨가하면, 인장항복강도가 증가하나, 과량 첨가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실험예 1에서 제조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인장파단 테스트를 통하여, 신장률을 측정하기 위하여, KS F 5602에 따른 실험을 실시한 후, 5회에 걸쳐서 신장률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1 145.3 114.7 114.7 100.6
2 132.8 115.0 100.1 95.0
3 157.4 90.1 95.4 95.1
4 140.3 114.6 110.7 96.8
5 114.8 110.6 110.3 97.1
평균 138.1 109.0 106.2 96.9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를 첨가함으로써 일정양 첨가는 인장항복강도 향상에 도움에 되나, 인장항복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신율은 조금 하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인장항복강도와 신율은 반비레 관계이기 때문이다. 셀룰로오스를 5 중량부(phr) 이상 첨가를 하게 되면 오히려 물성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3]
실험예 1에서 제조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샤르피충격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KS F 5602에 따른 실험을 실시한 후, 23℃ 및 -10℃ 각각 5회에 걸쳐서 샤르피충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23℃ 비교예 1
(KJ/㎡)
실시예 1
(KJ/㎡)
실시예 2
(KJ/㎡)
실시예 3
(KJ/㎡)
1 21.8 21.0 21.2 18.5
2 21.8 18.0 20.1 19.6
3 20.3 22.0 20.9 21.2
4 20.3 21.2 21.2 20.1
5 20.3 20.1 21.9 18.5
평균 20.9 20.5 21.1 19.6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를 첨가하면, 샤르피충격강도가 증가하다가, 일정 함량을 초과하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 비교예 1
(KJ/㎡)
실시예 1
(KJ/㎡)
실시예 2
(KJ/㎡)
실시예 3
(KJ/㎡)
1 8.89 9.1 9.5 5.0
2 9.49 8.5 5.0 5.0
3 7.69 8.3 8.5 4.4
4 8.29 9.0 7.5 5.6
5 8.89 8.1 7.8 5.0
평균 8.65 8.60 7.66 4.98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를 첨가하면, 샤르피충격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100 중량부 대비 셀룰로오스 4 중량부를 포함함으로써, 적정 수준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계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염화 비닐 수지 100 중량부와 셀룰로오스 3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는 단섬유인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의 평균 입자 크기는 10 ㎛ 내지 100 ㎛인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안료, 필러, 충격보강재 및 안정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창호 프로파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로파일의 인장 항복 강도는 36.8 MN/㎡ 이상인 창호 프로파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로파일의 신장률은 100 % 이상인 창호 프로파일.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로파일의 23 ℃에서 샤르피 충격강도는 12.7 KJ/㎡ 이상인 창호 프로파일.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로파일의 -10 ℃에서 샤르피 충격강도는 4.9 KJ/㎡ 이상인 창호 프로파일.
KR1020190136601A 2019-10-30 2019-10-30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 KR102623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01A KR102623857B1 (ko) 2019-10-30 2019-10-30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601A KR102623857B1 (ko) 2019-10-30 2019-10-30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393A true KR20210051393A (ko) 2021-05-10
KR102623857B1 KR102623857B1 (ko) 2024-01-11

Family

ID=7591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601A KR102623857B1 (ko) 2019-10-30 2019-10-30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8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7675A (ja) * 1995-11-10 1997-05-27 Tokuyama Corp 樹脂製窓枠
KR20150036874A (ko) 2013-09-30 2015-04-08 (주)엘지하우시스 보강재가 구비된 창호용 프로파일
KR20160004133A (ko) 2014-07-02 2016-01-12 (주)엘지하우시스 방향 창호용 프로파일 및 그 제조방법
JP2017120122A (ja) * 2015-12-25 2017-07-06 住友理工株式会社 ホースおよびその製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7675A (ja) * 1995-11-10 1997-05-27 Tokuyama Corp 樹脂製窓枠
KR20150036874A (ko) 2013-09-30 2015-04-08 (주)엘지하우시스 보강재가 구비된 창호용 프로파일
KR20160004133A (ko) 2014-07-02 2016-01-12 (주)엘지하우시스 방향 창호용 프로파일 및 그 제조방법
JP2017120122A (ja) * 2015-12-25 2017-07-06 住友理工株式会社 ホースおよびその製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857B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201B1 (ko) 고인장 내충격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KR101054330B1 (ko) 친환경 합성목재와 그 제조방법
CN103265777A (zh) 一种聚氯乙烯硬质改性塑料
US20090258208A1 (en) Compositions And Composite Articles Suitable For High Heat Applications
KR20160046709A (ko) 반탄화 목분을 함유하는 합성 목재 조성물
KR100733133B1 (ko) 파이프 제조용의 수지조성물, 이를 이용한 다층구조의 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수득되는 다층구조의 파이프
CN103897289A (zh) Pvc型材配方及其加工方法
KR20210111669A (ko) 내후성 합성목재 제조방법 및 내후성 합성목재
US9085671B2 (en) Mineral based fillers used as a substitute for wood fillers in simulated wood products and simulated wood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KR102623857B1 (ko) 셀룰로오스 함유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프로파일
CN110154483A (zh) 一种环保耐候型复合强化板材及其制备方法
US20210108082A1 (en) Composition and moulded part which can be produced by moulding the composition
KR100823497B1 (ko) 프로파일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13114B1 (ko) Wpc용 올레핀계 조성물
KR20150075837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20120110953A (ko)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549875B1 (ko) 고강도 및 수축팽창율이 낮은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10159A (ko) Pvc 항균 마스터배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8651B1 (ko)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성형체.
KR20040009053A (ko) 단열바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KR102324037B1 (ko) 창호 코팅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창호 및 창호의 제조 방법
KR101184704B1 (ko) 기능성 창호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36677B1 (ko) 프로파일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59557B1 (ko) 열충격 저항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DE102014224281A1 (de) Biomasse enthaltende polymere Zusammensetzung und Holzoptikstruktur, die dieselbe enthä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