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960A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 포함 논프레스 타입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 포함 논프레스 타입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960A
KR20210050960A KR1020190135602A KR20190135602A KR20210050960A KR 20210050960 A KR20210050960 A KR 20210050960A KR 1020190135602 A KR1020190135602 A KR 1020190135602A KR 20190135602 A KR20190135602 A KR 20190135602A KR 20210050960 A KR20210050960 A KR 20210050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lding agent
cosmetic composition
press type
pear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447B1 (ko
Inventor
원두현
최혜선
지진구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5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4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6Interference pigments, e.g. Iridescent, Pearl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유상 또는 수상에 분산된 성형제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기질 펄을 포함하는 논 프레스 타입(Non-press type) 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논 프레스 타입(Non-press type)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열 가소성이 있어 사용이 어려웠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기질 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형제의 용해단계와 상기 기질 펄 투입단계를 분리함으로써 효과적인 PET 기질 펄 포함 고형상 화장료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논 프레스 타입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의 온도감응적 물성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타정 제조설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 포함 논프레스 타입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Non-press type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based pearl powder}
유상 또는 수상에 분산된 성형제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기질 펄을 포함하는 논 프레스 타입(Non-press type) 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중 고형상 화장료는 2가지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온도에 따라 고체-액체 상전이 물성을 갖는 성형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의 경우 내용물 제조 후 고온에서 유동성을 부여하여 충전하고 냉각과정을 거쳐 고형상으로 굳히는 방법이 이용된다. 두 번째 방법으로 파우더의 흡유력에 의해 낮아진 유동성을 이용한 파우더 타입이 있다. 이러한 제형은 충전 시 타정(press) 공정을 통해 고압으로 내용물을 압축하여 고형상을 구현한다.
전자는 제형의 온도감응적 물성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타정 제조설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제형을 논프레스(non-press) 타입 고형상이라 한다. 논프레스 타입 고형상 화장료에는 립스틱, 스틱 파운데이션, 스틱 하이라이터 등의 스틱타입, 젤 아이라이너, 크림 블러셔, 크림 아이섀도우, 크림 하이라이터 등의 펜타입 화장품이 포함된다.
상기 이유로 논프레스 타입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에는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성형제가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성형제의 종류에는 대표적으로 왁스와 겔화제가 있는데 제조 과정에서 오일, 안료, 체질안료 등 다른 구성원료들과 혼합되기 위해 용융 또는 고온 용해과정을 거쳐야 한다. 일반적으로 왁스는 섭씨 80~85도 이상, 겔화제는 섭씨 90~95도 이상에서 용해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공정은 80도 이상에서 진행된다. 특히 유분산 화장료 제형의 경우 따로 유화등의 상변이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성형제의 용해와 오일, 안료, 체질안료 혼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1단계 제조방법을 통해 만들어 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펄 파우더의 경우 표면반사광과 내부반사광의 보강간섭, 상쇄간섭 효과를 통해 광택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다층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다층구조에서 코팅층의 중심부를 기질(substrate, 基質)이라 한다. 기질은 균일하고 효과적인 빛의 간섭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판상구조를 가지며 대표적으로는 운모, 합성운모, 비스무스 옥시클로라이드, 알루미나, 글래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기질의 면적이 넓어질수록 빛의 간섭효과가 커져 광택이 우수해지는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은 합성소재로 크기 조절이 용이하고 유연성이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른 기질보다 크기가 더 크고 광택감이 우수한 펄 파우더를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논프레스 타입 고형상 화장료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온에서 성형제를 용해해야 하기 때문에 열가소성 기질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펄을 적용할 경우 펄이 변형이 일어나 광택을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은 액상의 화장료 제형에 주로 적용되어 왔으며, 성형제가 포함되어야 하는 논프레스 타입 고형상 제제에는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일 양상은 유상 또는 수상에 분산된 성형제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기질 펄을 포함하는 논 프레스 타입(Non-press type)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성형제를 유상 또는 수상에 분산하고 용해시켜 성형제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제 베이스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기질 펄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논 프레스 타입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유상 또는 수상에 분산된 성형제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기질 펄을 포함하는 논 프레스 타입(Non-press type)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은 합성소재로 크기 조절이 용이하고 유연성이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른 기질보다 크기가 더 크고 광택감이 우수한 펄 파우더를 쉽게 구현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종전에 액상과 프레스 타입 화장료 조성물에만 사용하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을 성형제와 함께 포함하여 논 프레스 타입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일 양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은 100μm 이상으로 종래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펄 기질보다 클 수 있으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평균 입경 크기이면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은 0.1 μm 내지 300 μm, 1 μm 내지 250 μm, 10 μm 내지 200 μm, 50 μm 내지 200 μm, 100 μm 내지 200 μm, 또는 150 내지 200 μm일 수 있다.
상기 성형제는 고온에서 액상, 졸(sol) 상태 등 흐름성을 갖는 상변화가 일어나며, 상온에서는 겔(gel) 상태 또는 고형을 형성하는 성분이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일 양상의 화장료 조성물은 성형제로 젤라틴, 한천, 펙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수성 성분; 또는 탄화수소계 왁스, 광물성 왁스,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실리콘계 왁스, 실리콘 겔링제, 레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유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내 포함되는 유상은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트리글리세리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수상은 정제수,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성 성분은 상기 고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면 0.1 내지 95 중량%, 1 내지 80 중량%, 5 내지 80 중량%, 10 내지 70 중량%, 10 내지 75 중량%, 10 내지 70 중량%, 15 내지 60 중량%, 20 내지 60 중량%, 또는 25 내지 5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성 성분이 상기 고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일 경우, 본 발명의 화장품이 적절한 수분 손실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부드러운 질감의 느낌을 제공할 수 있으며, 75 중량% 이하일 경우, 사용시의 답답한 느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무기안료, 유기안료, 체질안료 및 레이크안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장료에서 미용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 모든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로 포함될 수 있는 무기안료는 예를 들면 흑색산화철, 황색산화철, 적색산화철, 울트라마린, 페릭페로시아나이드, 페릭암모늄페로시아나이드, 크로뮴옥사이드그린, 크로뮴하이드록사이드그린,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카본 블랙, 망가니즈 바이올렛, 알루미늄가루, 카민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체질안료는 통상적으로 화장료의 도포력, 밀착력, 사용감, 안정도 개선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파우더 형태의 안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탤크, 마이카, 합성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실리카, 실리카 실릴레이트, 보론나이트라이드, 나일론-12,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 메칠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성형제 조성물은 화장료 충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면 0.1 내지 95 중량%, 5 내지 90 중량%, 10 내지 90 중량%, 15 내지 58 중량%, 20 내지 80 중량%, 25 내지 75 중량%, 30 내지 75 중량%, 30 내지 70 중량%, 35 내지 65 중량%, 또는 4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은 화장료 충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면 1 내지 70중량%, 5 내지 50중량%, 10 내지 40 중량%, 15 내지 35중량%, 15 내지 30중량%, 또는 15 내지 2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는 안료는 화장료 충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면 0.1 내지 50 중량%, 1 내지 45 중량%, 5 내지 40 중량%, 5 내지 35 중량%, 10 내지 30 중량%, 15 내지 25 중량%, 또는 1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고형 타입의 예를 들면 파운데이션, 바디밤, 블러셔, 아이베이스,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트윈케이크, 멀티밤, 프라이머, 립밤, 립스틱 및 메이크업베이스로 이루어진 고형상의 제품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을 가질 수으며, 구체적으로 아이섀도 (eye shadow) 제형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향료, 충전제, 보존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및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성형제를 유상 또는 수상에 분산하고 용해시켜 성형제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제 베이스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기질 펄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논 프레스 타입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고형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성형제는 고온에서 액상, 졸(sol) 상태 등 흐름성을 갖는 상변화가 일어나며, 상온에서는 겔(gel) 상태 또는 고형을 형성하는 성분이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제로 젤라틴, 한천, 펙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수성 성분; 또는 탄화수소계 왁스, 광물성 왁스,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실리콘계 왁스, 실리콘 겔링제, 레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유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제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유상 베이스에 사용되는 오일로는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오일이라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오일은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트리글리세리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성형제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수상 베이스에 사용되는 수성 용매는 정제수,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성형제를 제조하는 단계의 온도조건은 수상일 경우 예를 들면 60 ℃ 내지 100℃, 65 내지 90 ℃, 70 내지 90℃, 또는 65℃ 내지 75℃일 수 있으며, 유상일 경우 예를 들면 60 ℃ 내지 100℃, 65 ℃ 내지 100℃, 70 ℃ 내지 100℃, 75 ℃ 내지 95℃, 80 ℃ 내지 100℃, 또는 60 ℃ 내지 90℃으로 가열하여 수상 또는 유상에 다른 성분이 충분히 용해될 수 있도록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성형제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분산 회전 속도는 예를 들면 500 내지 4000 rpm, 700 내지 3500 rpm, 또는 1,000 내지 3,000 rpm일 수 있으며, 분산 시간은 예를 들면, 5 내지 40분, 10 내지 30 분 또는 10 내지 20분일 수 있다.
상기 조건에 따른 온도, 회전 속도, 시간이 적정 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성형제가 완전히 녹지 않아 균일한 고형상을 형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적정 온도 이상에서는 수상의 증발, 유상 오일의 변형으로 인한 물성치 변화, 악취 발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성형제 베이스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기질 펄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는 PET 기질 펄 파우더를 비롯한 안료, 체질안료 등의 그 외 안료를 더 투입 또는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온도조건을 70 ℃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예를 들면 상기 혼합단계는 25℃ 내지 70℃, 30℃ 내지 70℃, 40℃ 내지 60℃, 30℃ 내지 60℃, 40℃ 내지 50℃, 또는 40℃ 내지 55 ℃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온도제한은 열가소성 소재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성형제 베이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 파우더, 및 안료를 첨가하여 분산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산 시 회전 속도는 예를 들면 1000 내지 4000 rpm, 1500 내지 3000 rpm, 또는 2,000 내지 3,000 rpm일 수 있으며, 분산 시간은 예를 들면 5 내지 30분, 10 내지 30분, 15 내지 25분, 또는 10 내지 20 분일 수 있다.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성형제에 의한 점증효과로 인해 회전속도, 온도, 분산 시간이 2,000 내지 3000 rpm, 40 내지 55 ℃, 및 10 내지 20분 이외인 경우 내용물이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아 경도 편차, 제품의 안정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용어,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또는 성분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문맥상 지시된 것이 아니라면 단수형은 복수형도 또한 포함한다. 다른 식으로 정의된 것이 아니라면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이 발명이 속한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보통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모순이 될 경우, 본 명세서가 조절할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논 프레스 타입(Non-press type)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열 가소성이 있어 사용이 어려웠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기질 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형제의 용해단계와 상기 기질 펄 투입단계를 분리함으로써 PET 기질 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효과적인 PET 기질 펄 포함 고형상 화장료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논 프레스 타입 고형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의 온도감응적 물성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타정 제조설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 이점이 있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을 함유하는 논프레스 타입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방법을 모식화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3은 제조 온도에 따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의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을 포함하는 고형상 화장료의 제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성형제 베이스를 사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각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85~90 ℃의 온도에서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1,500rpm으로 20분간 용융혼합하였다.
구분 물질 함량
(단위:중량%)
1 폴리부텐 35.00
2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15.00
3 에칠헥실팔미테이트 10.00
4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0
5 아이소에이코산 5.00
6 오조케라이트 5.00
합계   75
이후,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된 성형제 베이스를 50 ℃ 까지 교반 냉각한 후 하기 표 2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각 원료를 투입하였다. 45~50 ℃ 온도를 유지하며 디스퍼를 이용하여 3,000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분산하여 제조하였다.
이후 제조된 내용물을 50 ℃에서 충전 및 냉각하여 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상기 과정을 간단히 모식화하여 도 1에 표시하였으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도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물질 함량
(단위:중량%)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우레탄-11/알루미늄 20.00
2 실리카실릴레이트 3.00
3 색소 적량
4 방부제 적량
합계   25
실험예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기질 펄의 투입시 온도에 따른 기질 펄의 변형 정도 확인
PET 기질 펄 투입시 온도에 따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의 변형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기질 펄의 변형 정도만을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디메치콘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디메치콘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을 8:2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50, 60, 70, 80 ℃로 유지하며 30분간 교반한 후 펄의 변형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확인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70 ℃ 이상에서부터 기질 펄의 변형이 나타나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광택력이 낮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제조과정에서도 특이취와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60℃ 이하에서 제조되는 경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의 형태변형 및 크기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Claims (10)

  1. 유상 또는 수상에 분산된 성형제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기질 펄을 포함하는 논 프레스 타입(Non-press type) 고형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제는
    젤라틴, 한천, 펙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수성 성분; 또는
    탄화수소계 왁스, 광물성 왁스,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실리콘계 왁스, 실리콘 겔링제, 레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유성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논 프레스 타입 고형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상은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 및 트리글리세리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논 프레스 타입 고형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안료를 더 포함하는 것인 논 프레스 타입 고형 화장료 조성물.
  5. 성형제를 유상 또는 수상에 분산하고 용해시켜 성형제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제 베이스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기질 펄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논 프레스 타입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성형제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는 60℃ 내지 100 ℃의 온도조건으로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성형제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는 분산 회전 속도가 1,000 내지 3,000 rpm이고, 분산시간은 10 내지 30분인 것인 제조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성형제 베이스에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는 25℃ 내지 70℃에서 진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성형제 베이스에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는 분산 회전 속도가 1,000 내지 4,000 rpm인 것인 제조방법.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성형제 베이스에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에 안료를 더 첨가하는 것인 제조방법.
KR1020190135602A 2019-10-29 2019-10-29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 포함 논프레스 타입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KR102334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602A KR102334447B1 (ko) 2019-10-29 2019-10-29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 포함 논프레스 타입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602A KR102334447B1 (ko) 2019-10-29 2019-10-29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 포함 논프레스 타입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960A true KR20210050960A (ko) 2021-05-10
KR102334447B1 KR102334447B1 (ko) 2021-12-03

Family

ID=7591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602A KR102334447B1 (ko) 2019-10-29 2019-10-29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 포함 논프레스 타입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4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635A (ja) * 1994-05-30 1996-02-20 Chiba Seifun Kk W/o型マイクロカプセル状エマルジョン。
KR20010072740A (ko) * 1999-06-18 2001-07-31 조지안느 플로 친수성 겔화제 및 전분을 함유하는 고형 수성겔, 이를함유하는 조성물 및 용도
US20030019501A1 (en) * 2000-01-18 2003-01-30 Keiko Hirota Brilliant cosmetics
KR20070081994A (ko) * 2006-03-21 2007-08-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청량감과 펄감을 제공해주는 스틱형 메이크업 화장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30281A (ko) * 2016-09-12 2018-03-22 한국콜마주식회사 고융점 및 고광택 성능을 갖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US20190314261A1 (en) * 2018-04-12 2019-10-17 Sigmund Lindner GmbH Glitter and the use thereof in cosmetic formulatio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7635A (ja) * 1994-05-30 1996-02-20 Chiba Seifun Kk W/o型マイクロカプセル状エマルジョン。
KR20010072740A (ko) * 1999-06-18 2001-07-31 조지안느 플로 친수성 겔화제 및 전분을 함유하는 고형 수성겔, 이를함유하는 조성물 및 용도
US20030019501A1 (en) * 2000-01-18 2003-01-30 Keiko Hirota Brilliant cosmetics
KR20070081994A (ko) * 2006-03-21 2007-08-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청량감과 펄감을 제공해주는 스틱형 메이크업 화장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30281A (ko) * 2016-09-12 2018-03-22 한국콜마주식회사 고융점 및 고광택 성능을 갖는 고형 화장료 조성물
US20190314261A1 (en) * 2018-04-12 2019-10-17 Sigmund Lindner GmbH Glitter and the use thereof in cosmetic formul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447B1 (ko) 2021-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4623B1 (en) Powder cosmetic composition
EP1889598B1 (en) Cosmetic composition in powdered form
EP3157497B1 (en) Solid lipstick composition having improved hardness
US20060292193A1 (en) Encapsulated cosmetic composition
KR101965883B1 (ko) 오일 함유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US20110182834A1 (en) Clear or Translucent Composition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326575A1 (fr) Utilisation notamment en maquillage d'une composition cosmetique a phase continue hydrophile comprenant un pigment goniochromatique multicouche
JPH11130655A (ja) 溶融シリカを含有する増粘組成物
JP5657455B2 (ja) 油性化粧料基剤および油性化粧料
EP2512401B1 (en) Clear or translucent composition
KR20180036264A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5948395A (en) Anhydrous cosmetic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soft past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P1584322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anhydre comprenant un gélifiant polymérique, une huile non volatile et des particules de polyméthacrylate de méthyle
KR101450387B1 (ko) 내열성 유중수형 고형 화장료 조성물
EP1584321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anhydre comprenant une huile, un gélifiant polymérique et une poudre de polyuréthane
WO2017170217A1 (ja) 化粧料セット
JPH02300109A (ja) メイクアップ用皮膚化粧料組成物
KR102334447B1 (ko)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기질 펄 포함 논프레스 타입 고형상 화장료 조성물
JPH0733324B2 (ja) スティック状化粧料
JP6829886B2 (ja) 油性化粧料
JP2006089409A (ja) 固型粉末メーキャップ化粧料の製造方法
US10258545B2 (en) Oily cosmetics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EP1655019A1 (fr) Poudre cosmétique comprenant un organopolysiloxane élastomè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