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941A - 에폭시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에폭시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941A
KR20210050941A KR1020190135567A KR20190135567A KR20210050941A KR 20210050941 A KR20210050941 A KR 20210050941A KR 1020190135567 A KR1020190135567 A KR 1020190135567A KR 20190135567 A KR20190135567 A KR 20190135567A KR 20210050941 A KR20210050941 A KR 20210050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weight
epoxy
coating compositio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1582B1 (ko
Inventor
이상민
정석희
우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9013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5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고 작업성이 우수한 에폭시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폭시 도료 조성물{Epoxy 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동시에 외관, 광택, 건조성, 작업성, 부착력 등의 물성이 우수한 에폭시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 자재와 각종 마감재의 도장용 도료로 많이 사용되는 에폭시 도료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에폭시 수지나 아민 수지를 수용성 용제에 강제로 분산시켜 에멀젼화 또는 수분산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또한, 도료 및 도막의 물성 개선을 위해 첨가되는 분산제, 소포제,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에도 용제가 포함되어 있다. 이들 용제에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이 포함되어 있어, 환경 설비가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곳에서 도장할 경우 VOC가 많이 발생되어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최근 새집증후군 문제가 대두되면서 친환경적인 건축 자재나 각종 마감재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VOC 함량이 낮은 친환경적 도료 조성물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고, 유기 용제 대신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수용성 도료, 특정 종류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도료, 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분체 도료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459263호는 에폭시 수지 및 아민 수지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액상 토르말린, 나노클레이, 은나노, 탄소나노튜브 등을 첨가함으로써 도료 작업에 따른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종래의 도료는 여전히 높은 수준의 VOC 함량을 나타내거나, VOC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 광택 등 물성이 열세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VOC 함량을 감소시켜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외관 특성, 기계적 물성 등 도료에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물성 또한 우수한 에폭시 도료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의 발생량을 줄이면서도, 건조성, 부착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고, 도막의 외관 및 광택 등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폭시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아마이드 수지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 면제 용제(VOC exemption solvent)를 포함하는, VOC 저감형 에폭시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에폭시 도료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아마이드 수지 및 VOC 면제 용제를 포함하여, 친환경적인 동시에 건조성, 부착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고, 도막의 외관 및 광택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도료 조성물은 VOC 발생을 최소화한 것으로, 2020년 VOC 5단계 함량 규제(400 g/L)를 만족하며, 아파트, 병원 등 유기 용제의 냄새에 민감한 건축물용 마감재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내용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 요소가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선택적으로 혼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도료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와 제1 용제를 포함하는 주제부 및 아마이드 수지와 제2 용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제 및 제2 용제 중 1 이상은 VOC 면제 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도료 조성물은 도료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에폭시 도료 조성물의 조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에폭시 수지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도료 조성물의 주제부는 주(主) 수지로서 에폭시 수지를 포함한다. 에폭시 수지는 도막 형성 시 내후성 및 내식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기를 2개 이상, 예를 들어 2 내지 6개를 갖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기가 2 이상인 에폭시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오르소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페놀 아랄킬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다관능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및 디시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에폭시 수지는 옥시란 알킬할라이드를 포함하는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예를 들어, 클로로메틸 옥시란(chloromethyl oxirane)을 포함하는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예컨대, 클로로메틸 옥시란을 포함하는 4,4'-(1-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 수지(4,4'-(1-methylethylidene)bisphenol polymer with (chloromethyl)oxirane) 또는 클로로메틸 옥시란과 4,4'-(1-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 수지의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EEW)은 350 내지 700 g/eq, 예를 들어 450 내지 600 g/eq일 수 있고, 질량평균분자량(Mw)은 500 내지 1,500 g/mol, 예를 들어 800 내지 1,2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의 불휘발분 함량(NV)은 70 내지 90 %, 예를 들어 70 내지 80 %일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가 전술한 범위의 물성을 갖는 경우, 도막 형성 시 우수한 외관 및 광택, 건조성, 작업성 및 부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주제부 총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65 중량%, 예를 들어 35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25 중량% 미만인 경우 경화성 및 성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6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흡습량 증가로 신뢰성이 저하되고,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
아마이드 수지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도료 조성물의 경화제부는 아마이드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아마이드 수지는 긴 가사시간(Long pot-life)과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고 있어, 이를 경화제로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재도장성 및 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아마이드 수지의 활성수소당량(AHEW)은 100 내지 300 g/eq, 예를 들어, 150 내지 200 g/eq일 수 있다. 상기 아마이드 수지의 아민가(AV)는 100 내지 300 mgKOH/g, 예를 들어, 150 내지 270 mgKOH/g일 수 있다. 상기 아마이드 수지의 불휘발분(NV) 함량은 70 내지 90 %. 예를 들어, 75 내지 85 %이고, 점도(25 ℃)는 40,000 내지 80,000 cps, 예를 들어, 50,000 내지 70,000 cps일 수 있다. 아마이드 수지가 전술한 범위의 물성을 갖는 경우, 우수한 내식성, 작업성, 재도장성 및 부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아마이드 수지는 경화제부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60 중량%, 예를 들어, 2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마이드 수지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도막의 경화도가 높아 도막의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부 및 아마이드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제부의 배합비(중량비)는 2 : 1 내지 4 : 1, 예를 들어 2.5 : 1 내지 3.5 : 1일 수 있다. 상기 배합비를 가질 경우, 도막의 경화도가 높아지고, 동시에 우수한 부착성, 건조성 및 방청성을 확보할 수 있다.
용제
본 발명에 따른 에폭시 도료 조성물에서, 주제부는 제1 용제를 더 포함하고, 경화제부는 제2 용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용제 및 제2 용제 중 1 이상은 VOC 면제 용제를 포함한다. 상기 용제는 조성물의 점도, 분산성 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VOC 면제 용제로는 면제 용제로 지정된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터셔리-부틸아세테이트(t-BAC), 파라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PCBTF),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용제 및 제2 용제는 상기 VOC 면제 용제 외에 유기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 용제로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제라면 특별한 한정 없이 사용 가능하고, 예컨대 자일렌(Xylene), 메틸이소부틸 케톤(MIBK), 이소프로필 알코올(IPA), N-부틸 알코올, 톨루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VOC 면제 용제는 도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 예를 들어 2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VOC 면제 용제는 주제부 총 중량 대비 1 내지 15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고, 경화제부 총 중량 대비 1 내지 15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VOC 면제 용제를 전술한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VOC 발생량을 낮추어 환경 오염을 줄일 뿐만 아니라, 냄새 강도가 낮아 작업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기 용제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 총 중량(예컨대, 100 중량%)을 만족시키는 잔량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에폭시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 예컨대 10 내지 2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기 용제는 주제부 총 중량 대비 1 내지 15 중량%, 예를 들어 3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고, 경화제부 총 중량 대비 20 내지 60 중량%, 예를 들어 30 내지 5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용제는 주제부 총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 예를 들어 5 내지 16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고, 상기 제2 용제는 경화제부 총 중량 대비 10 내지 70 중량%, 예를 들어 35 내지 6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작업성이 개선되고 도막의 우수한 물성을 발휘할 수 있다.
안료
본 발명의 에폭시 도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고유 특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로는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체질 안료, 유색 안료, 방청 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체질 안료는 도막 내의 기공을 충전시키고, 도막 형성을 보완하며, 도막에 살오름성 또는 기계적 성질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체질 안료를 포함할 경우, 양호한 도막 외관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경도, 내충격성 및 방청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체질 안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장석, 카올린, 수산화알루미나, 수산화마그네슘, 티타늄다이옥사이드, 탄산마그네슘, 알루미나, 운모, 몬모릴로나이트, 올라스토나이트, 탈크,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붕소, 산화알루미늄, 질화알루미늄 등이 있는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체질 안료의 형상은 구형 또는 무정형일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체질 안료의 평균 입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1 내지 20 ㎛일 수 있다.
유색 안료는 도료에 원하는 색상(유색)을 발현하거나 도막의 강도나 광택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색 안료로는 도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메탈릭 안료, 알루미늄-페이스트(Al-paste), 펄(pearl)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유색 안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조계, 프탈로시아닌계, 산화철계, 코발트계, 탄산염계, 황산염계, 규산염계, 크롬산염계 안료 등이 있으며, 예컨대, 티타늄 디옥사이드, 징크 옥사이드, 비스무스 바나데이트, 시아닌 그린, 카본 블랙, 산화철적, 산화철황, 네이비 블루, 시아닌 블루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있다.
방청 안료는 내식성 향상을 위해 투입되는 물질로서,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청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방청 안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징크 포스페이트,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징크 트리포스페이트, 변성 바륨 메타보레이트, 징크 몰리브데이트, 칼슘이온 치환 실리카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안료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에폭시 도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60 중량%, 예를 들어 20 내지 60 중량% 일 수 있다. 안료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일 경우, 도막의 색상 발현이 우수하고, 도막의 기계적 물성, 내충격성, 부착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의 에폭시 도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고유 특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첨가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분산제, 침강 방지제, 소포제, 탈포제, 레벨링제, 점도 조절제, 가소제, 경화 촉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분산제는 도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재료들을 분산시키고 거리 유지를 통해 재응집을 막아 도막의 균일한 물성을 발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산제로는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고분자량의 블록 공중합체 타입의 분산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소포제는 도장 시 발생되는 기포를 억제함으로써 도막의 외관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소포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계 또는 비실리콘계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고, 일례로 파라핀을 사용할 수 있다.
레벨링제는 도료 조성물이 평탄하고 매끄럽게 코팅되도록 레벨링함으로써, 조성물 내의 접착력을 증진시키면서 도막의 외관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벨링제로는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계, 아민계 레벨링제 등이 있다.
가소제는 도료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저장안정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소제로는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방향족 알코올계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당 분야에 공지된 함량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 일례로 에폭시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폭시 도료 조성물은 당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전술한 에폭시 수지와 제1 용제, 분산제, 소포제, 안료,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주제를 제조하고, 아마이드 수지와 제2 용제, 경화촉진제,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경화제를 제조한 후, 이들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9]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주제 및 경화제를 제조하고 혼합하여 실시예 1-9의 에폭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서의 각 성분의 사용량 단위는 중량부이다.
Figure pat00001
[비교예 1-3]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주제 및 경화제를 제조하고 혼합하여 비교예 1-3의 에폭시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서의 각 성분의 사용량 단위는 중량부이다.
Figure pat00002
에폭시 수지 1: 4,4'-(1-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과 (클로로메틸)옥시란의 중합체(에폭시 당량: 455 g/eq, 불휘발분 함량: 75%, 질량평균분자량: 900 g/mol)
에폭시 수지 2: 4,4'-(1-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과 (클로로메틸)옥시란의 중합체(에폭시 당량: 550 g/eq, 불휘발분 함량: 72%, 질량평균분자량: 1,100 g/mol)
에폭시 수지 3: 4,4'-(1-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과 (클로로메틸)옥시란의 중합체(에폭시 당량: 480 g/eq, 불휘발분 함량: 78%, 질량평균분자량: 820 g/mol)
에폭시 수지 4: 4,4'-(1-메틸에틸리덴)비스페놀과 (클로로메틸)옥시란의 중합체(에폭시 당량: 250 g/eq, 불휘발분 함량: 75%, 질량평균분자량: 1,300 g/mol)
면제 용제 1: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면제 용제 2: 아세톤 
면제 용제 3: 터셔리-부틸아세테이트(t-BAC) 
면제 용제 4: 파라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PCBTF) 
용제 1: 이소프로필 알코올(IPA) 
용제 2: 메틸이소부틸 케톤(MIBK) 
용제 3: 자일렌(Xylene)
용제 4: N-부틸 알코올, 자일렌, 톨루엔 및 메틸이소부틸 케톤의 혼합 용제 (혼합비율(중량비) = 15:60:15:10)
안료: Limestone(흡유량: 31-35 g/100g, 평균입도: 1.8-2.6 ㎛) 및 Titanium dioxide(흡유량: 10.5-15.5 g/100g, TiO2 순도: Min. 93 %)의 혼합물(60:40의 중량비)
가소제 1: branched dodecylphenol
분산제 1: Solution of a low molecular weight, unsaturated polycarboxylic acid polymer and a polysiloxane copolymer
분산제 2: Solution of a phosphoric ester salt of a high molecular weight copolymer with pigment-affinic groups
소포제: 파라핀(고형분: 38.5-41.5 %, 비중: 0.81-0.83)
레벨링제: 폴리에테르-개질된 폴리메틸알킬 실록산 용액(고형분: 96-100 %, 비중: 0.97-1.01)
아마이드 수지 1: 활성수소 당량(AHEW) 155 g/eq, 불휘발분(NV) 82 %, Total Amine Value 240 mgKOH/g, 점도(25 ℃) 55,000 cps
아마이드 수지 2: 활성수소 당량(AHEW) 185 g/eq, 불휘발분(NV) 76 %, Total Amine Value 160 mgKOH/g, 점도(25 ℃) 65,000 cps
아마이드 수지 3: 활성수소 당량(AHEW) 170 g/eq, 불휘발분(NV) 80%, Total Amine Value 220 mgKOH/g, 점도(25 ℃) 60,000 cps
아마이드 수지 4: 활성수소 당량(AHEW) 325 g/eq, 불휘발분(NV) 81 %, Total Amine Value 340 mgKOH/g, 점도(25 ℃) 50,000 cps
경화 촉진제: 2,4,6-Tris[(dimethylamino)methyl]phenol 
가소제 2: 트리메틸 펜탄디올 디이소부티레이트(TXIB)
[실험예-물성 평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에폭시 도료 조성물의 물성을 하기와 같이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편 제조
은폐율지 시편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고 25 ℃에서 1일동안 건조시켰다(건조도막 두께: 50 마이크론).
광택
ASTM D523에 의거하여 Gloss Meter(BYK)를 사용하여 측정각 60˚ 에서 광택을 측정하였다.
색분리
해당 도료를 10% 희석하여 은폐지에 200 마이크론 두께로 도장하고, 5분 후 RUB-UP시켰다. 24 시간 동안 자연건조 후, 칼라컴퓨터로 색차를 측정하였다.
VOC 함량
Gas Chromatography(GC)를 이용하여 VOC 함량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에폭시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은 비교예들의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에 비하여 VOC 함량이 낮으면서도 물성이 전반적으로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의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은 VOC 함유량이 400 g/L 이하로 친환경적인 동시에, 우수한 광택 및 색분리 특성을 나타냈다.

Claims (4)

  1. 에폭시 수지와 제1 용제를 포함하는 주제부 및 아마이드 수지와 제2 용제를 포함하는 경화제부를 포함하는 에폭시 도료 조성물로서,
    상기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이 350 내지 700 g/eq이고, 질량평균분자량이 500 내지 1,500 g/mol이고, 불휘발분 함량이 70 내지 90 %이고,
    상기 아마이드 수지의 활성수소 당량이 100 내지 300 g/eq이고, 아민가가 100 내지 300 mgKOH/g이고, 불휘발분 함량이 70 내지 90 %이고, 점도(25 ℃)가 40,000 내지 80,000 cps이며,
    상기 제1 용제 및 제2 용제 중 1 이상은 VOC 면제 용제를 포함하는 에폭시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부 및 경화제부의 배합비는 2 : 1 내지 4 : 1의 중량비인 에폭시 도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OC 면제 용제는 터셔리-부틸아세테이트(t-BAC), 파라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PCBTF),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에폭시 도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주제부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에폭시 수지 25 내지 65 중량% 및 제1 용제 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고,
    경화제부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아마이드 수지 10 내지 60 중량% 및 제2 용제 10 내지 70 중량%를 포함하는 에폭시 도료 조성물.
KR1020190135567A 2019-10-29 2019-10-29 에폭시 도료 조성물 KR102341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567A KR102341582B1 (ko) 2019-10-29 2019-10-29 에폭시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567A KR102341582B1 (ko) 2019-10-29 2019-10-29 에폭시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941A true KR20210050941A (ko) 2021-05-10
KR102341582B1 KR102341582B1 (ko) 2021-12-21

Family

ID=7591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567A KR102341582B1 (ko) 2019-10-29 2019-10-29 에폭시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5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192B1 (ko) * 2022-10-31 2023-01-27 고경태 부착성이 향상된 에폭시 프라이머 조성물
KR20230174590A (ko) * 2022-06-21 2023-12-28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도장 방법
KR102623180B1 (ko) * 2023-09-12 2024-01-09 고경태 방오도료와 부착성이 향상된 비닐 변성 에폭시 중도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6709A (ja) * 2005-01-27 2006-08-10 Aica Kogyo Co Ltd エポキシプライマー組成物
KR20120110263A (ko) * 2011-03-29 2012-10-10 주식회사 케이씨씨 변성 폴리아마이드 경화제 수지 조성물 및 선박 방청용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KR20130081047A (ko) * 2012-01-06 2013-07-16 (주)감로파인케미칼 친환경 기능성 2액형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6709A (ja) * 2005-01-27 2006-08-10 Aica Kogyo Co Ltd エポキシプライマー組成物
KR20120110263A (ko) * 2011-03-29 2012-10-10 주식회사 케이씨씨 변성 폴리아마이드 경화제 수지 조성물 및 선박 방청용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KR20130081047A (ko) * 2012-01-06 2013-07-16 (주)감로파인케미칼 친환경 기능성 2액형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4590A (ko) * 2022-06-21 2023-12-28 주식회사 케이씨씨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도장 방법
KR102492192B1 (ko) * 2022-10-31 2023-01-27 고경태 부착성이 향상된 에폭시 프라이머 조성물
KR102623180B1 (ko) * 2023-09-12 2024-01-09 고경태 방오도료와 부착성이 향상된 비닐 변성 에폭시 중도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582B1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1582B1 (ko) 에폭시 도료 조성물
US8143342B2 (en) Coating agent
US4439239A (en) Pigmented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 mixture of alkoxysilanes
KR102042801B1 (ko) 무용제형 에폭시 도료 조성물
CN108342139A (zh) 一种木器用多功能涂料
KR101575125B1 (ko) 수용성 하이브리드 고성능 코팅 조성물
KR100848671B1 (ko) 수계 방식 도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도금층의형성 방법
CN100365081C (zh) 涂料组合物
ES2375597T3 (es) Recubrimiento de combinación para madera.
JP7042679B2 (ja) 水性被覆材
KR100623607B1 (ko) 무용제형 에폭시 중후막형 바닥재 피막조성물
KR20210013944A (ko) 수용성 도료 조성물
KR101852308B1 (ko) 상온 경화형 무기질 도료 조성물
KR20210017543A (ko) 수용성 피씨엠 도료 조성물
GB2431402A (en) Epoxy resin composition and epoxy-polysiloxane coating composition
CN102597085B (zh) 含二氧戊环作为偶联剂的水性制剂
US4254009A (en) Binding agent for coating compositions having a long shelf life
EP2152815A1 (en) Resin compositions for wrinkle-pattern paint purposes
JP5037025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エポキシ−ポリシロキサン塗料組成物
KR10261405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친환경, 다기능성 에폭시 수지계 방수방식재 조성물
JP2006052297A (ja) 水性塗料組成物及び塗装方法
KR101038871B1 (ko) 제진 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4290173B2 (ja) 水性塗料組成物
PL180073B1 (pl) Srodek powlokowy i sposób wytwarzania powlok PL PL PL
JP2007268386A (ja) 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