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894A -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외함의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외함의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894A
KR20210050894A KR1020190135464A KR20190135464A KR20210050894A KR 20210050894 A KR20210050894 A KR 20210050894A KR 1020190135464 A KR1020190135464 A KR 1020190135464A KR 20190135464 A KR20190135464 A KR 20190135464A KR 20210050894 A KR20210050894 A KR 20210050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battery
battery enclosure
ship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현섭
이상민
한영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5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0894A/ko
Publication of KR20210050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9Other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involving an intermittent action, not provided in groups B63B27/04 - B63B27/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9Methods or equipment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2C99/0009 - A62C99/00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외함에서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은 모듈화된 복수의 배터리 셀(battery cell)이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외함(battery enclosure)이 적재되는 외함 적재부;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외함 적재부를 지지하는 지지 받침부; 및 상기 지지 받침부에 마련되고 상기 배터리 외함에서 화재 발생 시 상기 외함 적재부의 일측을 상승시켜 상기 배터리 외함을 선외로 배출시키는 외함 배출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외함의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BATTERY ENCLOSURE EMERGENCY DUMP SYSTEM FOR A SHIP AND FIRE EXTINGUISHING METHOD FOR A SHIP IN CASE OF FIRE GENERATED IN BATTERY ENCLOS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 적재된 배터리 외함에서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화재의 확산을 막을 수 있고 선박의 운항 등에 필요한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는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외함에서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추진용 모터 또는 운항제어용 관리시스템 등 전력을 이용한 다양한 전기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전기시스템들은 고전압을 이용한 전력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위와 같이 선박의 전기시스템에 요구되는 고전압을 충족시키기 위해, 선박에 구비되는 배터리시스템은 복수의 배터리 셀(battery cell)을 직렬로 연결하여 일정 수준의 고전압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대형 리튬-이온(Li-ion) 배터리가 필요한 선박이 많아지고 있는데, 설치 공간 등의 문제로 모듈화된 배터리 셀을 여러 개 모아 컨테이너나 기타 구조물 내에 소방 및 온도 제어 설비 등과 같이 두어 단위화된 용량을 가진 하나의 배터리 외함(Battery Enclosure)을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배터리 외함을 다수개 적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형 리튬-이온 배터리는 화재 시 소화가 되지 않고 배터리 셀이 다 연소되길 기다리며 확산을 막도록 수동적 조치만을 취할 수밖에 없는데, 그 동안 선박은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없으며, 화물이나 기타 시설에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은 항상 높게 존재하게 된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선박에 설치된 대형 배터리에 화재가 발생하면 배터리 셀이 배치된 배터리 외함 내에 분사구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분사구는 선체 내의 청수 공급 시스템과 연결되며 추가적인 펌프를 통해 화재가 자연 연소되어 진압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청수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배터리 외함 내에 청수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가 계속 구동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전력 공급도 계속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화재 진압 방법은 배터리 외함에서의 화재의 확산을 막을 수 있지만 화재 진압 과정 중에 주변 화물이나 기타 시설에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이 여전히 높으며, 화재 진압 작업동안 선박은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없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07666호(삼성중공업 주식회사) 2019. 07. 31.
본 발명은 선박에 다수개 적재되는 배터리 외함에서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화재의 확산을 막고 필요한 선박의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는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외함에서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듈화된 복수의 배터리 셀(battery cell)이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외함(battery enclosure)이 다수개 적재되는 외함 적재부;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외함 적재부를 지지하는 지지 받침부; 및 상기 지지 받침부에 제공되고 상기 배터리 외함에서 화재 발생 시 상기 외함 적재부의 일측을 상승시켜 상기 배터리 외함을 선외로 배출시키는 외함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함 배출수단은 일측이 상기 지지 받침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외함 적재부에 결합되어 상기 외함 적재부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부; 및 상기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부를 구동하는 실린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함 적재부의 타측 하단은 상기 지지 받침부의 일측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실린더 구동부에 의해 상기 외함 적재부의 일측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함 적재부는 상기 배터리 외함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외함 적재부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외함을 스토핑(stopping)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스토핑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한 스토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핑부는 상기 외함 배출수단의 미 작동 시 상기 배터리 외함을 스토핑하여 상기 외함 적재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외함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외함 배출수단이 작동하여 상기 외함 적재부의 일측이 상승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외함의 스토핑을 해제하여 상기 배터리 외함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배터리 외함의 양측에 한쌍의 레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체 내부에서 상기 배터리 외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전반; 및 상기 분전반의 전력이나 신호를 차단하는 제어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함 적재부는 일측에서 상기 분전반과 상기 배터리 외함의 전력 및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 연결소켓; 및 상기 외함 적재부와 상기 지지 받침부 사이에서 상기 분전반과 전력 및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 연결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함 적재부는 상기 배터리 외함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외함에서 화재 발생 시 이를 진압하기 위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으로서, 선내 경보 시스템을 통해 상기 외함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배터리 외함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외함의 화재 여부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 외함의 배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배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외함 적재부의 일측을 상승시켜 상기 배터리 외함을 선외로 배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외함의 배출 여부를 확인하는 배출완료 확인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외함의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에는 상기 배터리 외함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경보 신호와 선내 다른 전력 시스템의 오류로 인한 경보 신호를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보 신호를 구분하는 단계에서 상기 선내 다른 전력 시스템의 오류로 인한 경보 신호 발생 시, 상기 배터리 외함의 배출을 위한 인지(Acknowledge) 신호를 생성하고, 인지 회신 신호가 접수되면 경보 신호를 해제하고, 지정된 시간 내 인지 회신 신호가 미 입력되면, 상기 배터리 외함의 상기 배출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외함을 선외로 배출시키는 단계에는 상기 배터리 외함의 배출 이전에 상기 배터리 외함으로부터의 전력 공급 및 신호 송수신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은 배터리 외함에서 화재 발생 시 배터리 외함이 적재된 외함 적재부의 일측을 상승시켜 배터리 외함을 선외로 배출함으로써,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선박의 운항 등에 필요한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함 적재부에 가이드부와 스토핑부가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외함의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외함 적재부에 레일부와 스토핑부가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선미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100)은 엔진 케이싱(20)의 후방 및 조타기 룸(30)의 상부 영역인 데크(D)에 마련될 수 있으며, 선체 내부에는 전력을 공급 및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40)와 배전반(Switchboard)(50)이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100)은, 배터리 외함(10)이 적재되는 외함 적재부(110)와, 선체에 마련되어 외함 적재부(110)를 지지하는 지지 받침부(120)와, 지지 받침부(120)에 마련되어 배터리 외함(10)에서 화재 발생 시 지지 받침부(120)로부터 외함 적재부(110)의 일측을 상승시켜 배터리 외함(10)을 선외로 배출(dumping)하는 외함 배출수단(미부호)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100)은 배터리 외함(10)에서 화재 발생 시 배터리 외함(10)이 적재된 외함 적재부(110)의 일측을 상승시켜 배터리 외함(10)을 선외로 배출함으로써,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여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선박의 운항 등에 필요한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외함(10)이란, 모듈화된 복수의 배터리 셀(battery cell)이 컨테이너나 기타 구조물에 내에 설치되어 마련되는 하나의 배터리 패키지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외함(110)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 적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외함 적재부(110)는 배터리 외함(10)의 적재 장소로 제공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와 후방부가 개방됨과 아울러, 다수의 배터리 외함(10)이 다층으로 적재될 수도 있고, 하나의 큰 사이즈의 배터리 외함(10)이 적재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함 적재부(110)에 다수의 배터리 외함(10)이 다층으로 적재되는 경우, 배터리 외함(10)끼리 서로 고정시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외함 적재부(110)의 타측 하단은 지지 받침부(120)의 일측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함 적재부(110)는 지지 받침부(120)의 일측 상단에 마련된 힌지 부재(121)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힌지 부재(121)를 회전축으로 하여 지지 받침부(12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지지 받침부(120)는 조타기 룸(30)의 상부 영역의 데크(D)에 마련되는 것으로, 외함 적재부(110)를 데크(D)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받침부(120는 복수의 지지부재(미부호)를 포함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측면이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 지지부재의 단부는 데크(D)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외함 배출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타기 룸(30)의 상부 영역의 데크(D)에 마련되어 배터리 외함(10)의 화재 발생 시 외함 적재부(110)의 일측을 상승시켜 배터리 외함(10)을 선외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외함 배출수단은 일측이 지지 받침부(120)에 설치되고 타측은 외함 적재부(110)에 결합되어 외함 적재부(110)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부(130)와, 선체에 마련되어 실린더부(130)를 구동하는 실린더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부(130)는 다단으로 승강되는 실린더 로드(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게 되는 실린더 구동부(140)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으로 작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린더부(130)는 브래킷 등에 의해 양측 단부가 각각 지지 받침부(120)의 상면과 외함 적재부(110)의 하면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 구동부(140)는 실린더부(130)의 실린더 로드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 펌프와 유압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린더 구동부(140)는 선체 내부, 바람직하게는 조타기 룸(30) 내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100)은 실린더부(130)가 외함 적재부(110)의 일측을 상승시키도록 마련되되, 외함 적재부(110)의 타측 하단은 지지 받침부(120)의 일측 상단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배터리 외함(10)에서 화재 발생 시, 외함 적재부(110)가 선외측으로 기울어짐으로써 배터리 외함(10)을 신속하게 선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린더 구동부(140)의 미 구동 시, 외함 적재부(110)와 지지 받침부(120)가 결합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함 적재부(11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외함 적재부(110)는 배터리 외함(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11)와, 외함 적재부(110)에 마련되어 배터리 외함(10)의 이동을 스토핑(stopping)하는 스토핑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부(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 적재부(110)의 내부 저면에서 배터리 외함(10)의 양측에 레일 형태로 마련되어, 배터리 외함(10)이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스토핑부(113)는 외함 적재부(110)에 마련되어 배터리 외함(10)의 이동을 스토핑하기 위한 것으로, 스토핑부(1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 적재부(110)의 개방된 후방부에 마련될 수 있다.
스토핑부(113)는 배터리 외함(10)을 스토핑(stopping)하는 잠금 위치와, 배터리 외함(10)의 스토핑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핑부(113)는 실린더 구동부(140)의 미 작동 시 배터리 외함(10)을 스토핑(stopping)하여 배터리 외함(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실린더 구동부(140)가 작동되어 외함 적재부(110)의 일측이 상승되는 경우 배터리 외함(10)의 스토핑을 해제하여 배터리 외함(10)이 선외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스토핑부(113)는 외함 적재부(110)에 적재된 복수의 배터리 외함(10)이 서로 고정되어 일체로 움직이게 마련되는 경우, 적재된 복수의 배터리 외함(10) 중 어느 하나를 스토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스토핑부(113)는 외함 적재부(110)의 제일 하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외함(10)을 스토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외함 적재부(110)에 적재된 배터리 외함(10)이 각각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경우, 스토핑부(113)는 외함 적재부(110)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연장되어 배터리 외함(110)을 스토핑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배터리 외함(10) 각각을 스토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핑부(113)는 유압 실린더 타입으로 마련되어 전술한 실린더 구동부(140)와 연결되어 실린더부(130)와 함께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스토핑부(113)는 실린더부(130)가 작동되기 이전에 외함 적재부(110)에 대한 배터리 외함(10)의 스토핑을 먼저 해제하도록 작동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함 적재부(110)에 대한 배터리 외함(10)의 스토핑을 먼저 해제하고 실린더부(131)를 구동함으로써, 외함 적재부(110)의 일측이 상승됨에 따라 배터리 외함(10)의 선외 배출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외함 적재부(110)의 일측에는 배터리 외함(10)과 전력 및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 연결소켓(110a)과, 외함 적재부(110)와 지지 받침부(120) 사이에서 전력 및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 연결소켓(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외함 적재부(110)의 내부에 복수의 배터리 외함(10)이 적재되는 경우, 복수의 배터리 외함(10) 각각에 전력 및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도록 제1 연결소켓(110a)은 배터리 외함(10)의 개수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연결소켓(110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 적재부(110)와 지지 받침부(120)가 접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100)은 선체에 마련되어 배터리 외함(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전반(Distribution board)(150)과, 선체에 마련되어 배터리 외함(10)에서 화재 발생 시 분전반(150)을 차단시키는 제어 패널(Control panel)(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전반(1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타기 룸(3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분전반(1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50)과 연결되도록 마련되어 제어부(40) 또는 제어 패널(160)의 작동에 의해 제1 연결소켓(110a) 및 제2 연결소켓(110b)으로 전달되는 전력이나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연결소켓(110b)으로 전달되는 전력이나 신호는 분전반(150)의 회로 차단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분전반(150)의 회로 차단은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차단될 수도 있고, 제어 패널(160)을 통해 수동으로 차단될 수도 있다.
제어 패널(1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반(150)과 격리되도록 조타기 룸(30)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 패널(160)은 제1 연결소켓(110a) 및 제2 연결소켓(110b)으로 전달되는 전력이나 신호를 차단하도록 분전반(15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외함 적재부(110)의 하부 일측에는 배터리 외함(10)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부재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 부재에서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40)로 전달되어 외함 적재부(110)로부터 배터리 외함(10)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100)은 실린더부(130)가 외함 적재부(110)의 일측을 상승시키도록 마련되되, 외함 적재부(110)의 타측 하단은 지지 받침부(120)의 일측 상단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배터리 외함(10)에서 화재 발생 시 외함 적재부(110)가 지지 받침부(120)의 힌지 부재(121)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고 외함 적재부(110)에 적재된 배터리 외함(10)이 신속하게 선외(즉, 해수)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을 이용하여 배터리 외함에서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외함의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의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은, 선내 경보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외함 적재부(110)에 적재된 배터리 외함(10)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00)와, 배터리 외함(10)의 화재 여부 감지 결과에 따라 배터리 외함(10)의 배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200)와, 배출신호를 입력받아 외함 적재부(110)의 일측을 상승시켜 배터리 외함(10)을 선외로 배출시키는 단계(S300)와, 배터리 외함(10)의 배출 여부를 확인하는 배출완료 확인 단계(S400)를 포함한다.
배터리 외함(10)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00)에서, 선내 경보 시스템에서 화재 등 비상 경보 신호가 발생되면, 본 실시예의 제어 패널(160)은 해당 신호를 접수하게 된다.
배터리 외함(10)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00)에는, 배터리 외함(10)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경보 신호와 선내 다른 전력 시스템의 오류 또는 이상 신호로 인한 경보 신호를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터리 외함(10)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제어 패널(160) 및 외함 적재부(110)의 부근에서 경보 신호가 발생되면, 제어 패널(160)을 통해 즉시 배터리 외함(10)의 배출신호를 생성하고, 실린더 구동부(140)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배터리 외함(10)의 스토핑(stopping)을 해제하여 배터리 외함(10)이 신속하게 선외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선내 다른 전력 시스템의 오류 또는 이상 신호가 접수되어 경보 신호가 발생된 경우, 배터리 외함(10)의 배출을 위한 인지(Acknowledge) 신호를 선내 경보 시스템에 발생시킨다.
이때, 제어 패널(160)에서 인지 회신 신호가 접수되면 선내 경보 시스템의 경보 신호는 해제될 수 있으며, 지정된 시간 내에 인지 회신 신호 미 접수 시 제어 패널(160)은 배터리 외함(10)의 배출 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배터리 외함(10)의 배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배터리 외함(10)을 선외로 배출시키는 단계(S300)에는, 배터리 외함(10)의 배출 이전에 배터리 외함(10)으로부터 전력 공급 및 신호 송수신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 배터리 외함(10) 배출 신호가 접수되면, 제1 연결소켓(110a)으로부터 배터리 외함(10)에 연결된 케이블을 해제한 뒤, 제2 연결소켓(110b)으로부터 분전반(150)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해제하여 배터리 외함(10)과의 전력 공급 및 신호 송수신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1 연결소켓(110a)과 제2 연결소켓(110b)에 케이블을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마련하고 제어 패널(160)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소켓(110b)으로부터 분전반(150)에 연결된 케이블을 해제하기 이전에, 외함 적재부(110)에 적재된 배터리 외함(10)의 스토핑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2 연결소켓(110b)으로부터 분전반(150)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해제하여 배터리 외함(10)과의 전력 공급 및 신호 송수신을 차단하고 난 다음에는 실린더 구동부(140)를 구동시켜 외함 적재부(110)를 상승시킴으로써, 배터리 외함(10)을 가이드부(111)를 따라 선외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외함 적재부(110)와 지지 받침부(120)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된 경우, 제어 패널(160)은 배터리 외함(10)의 스토핑 해제 시 지지 받침부(120)에 대한 외함 적재부(110)의 고정이 함께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배터리 외함(10)의 배출 완료 시, 외함 적재부(110)에 마련된 센서 부재(미도시)를 통해 배터리 부재(100)의 배출 여부 재확인 작업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부재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함 적재부(110)의 내부 저면에 마련될 수 있다.
배터리 외함(10)의 배출 완료가 확인되면 실린더부(130)를 원 위치로 하강시킨 후 스토핑부(113)를 원 위치로 상승시킨 후 경보 신호를 해제한다.
이때,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외함 적재부(110)와 지지 받침부(120)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외함 적재부에 적재된 배터리 외함에서 화재 발생 시 외함 적재부의 일측을 상승시킴으로써 배터리 외함을 선외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함 적재부에 배터리 외함이 다수 적층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다수의 배터리 외함을 선외로 한 번에 배출시킬 수 있으며, 신속한 화재 진압을 통해 선박의 운항 등에 필요한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배터리 외함
110 : 외함 적재부
110a : 제1 소켓
110b: 제2 소켓
111 : 레일부
113 : 스토핑부
120 : 지지 받침부
121: 힌지 부재
130 : 실린더부
140 : 실린더 구동부
150 : 분전반(Distribution board)
160 : 제어 패널(Control panel)
D : 데크(Deck)

Claims (11)

  1. 모듈화된 복수의 배터리 셀(battery cell)이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외함(battery enclosure)이 다수개 적재되는 외함 적재부;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외함 적재부를 지지하는 지지 받침부; 및
    상기 지지 받침부에 제공되고 상기 배터리 외함에서 화재 발생 시 상기 외함 적재부의 일측을 상승시켜 상기 배터리 외함을 선외로 배출시키는 외함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 배출수단은,
    일측이 상기 지지 받침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외함 적재부에 결합되어 상기 외함 적재부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부; 및
    상기 선체에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부를 구동하는 실린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함 적재부의 타측 하단은 상기 지지 받침부의 일측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실린더 구동부에 의해 상기 외함 적재부의 일측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 적재부는,
    상기 배터리 외함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외함 적재부에 마련되어 상기 배터리 외함을 스토핑(stopping)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스토핑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한 스토핑부를 포함하는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부는,
    상기 외함 배출수단의 미 작동 시 상기 배터리 외함을 스토핑하여 상기 외함 적재부로부터 상기 배터리 외함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외함 배출수단이 작동하여 상기 외함 적재부의 일측이 상승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 외함의 스토핑을 해제하여 상기 배터리 외함을 배출시키는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내부에서 상기 배터리 외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전반; 및
    상기 분전반의 전력이나 신호를 차단하는 제어 패널을 더 포함하는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 적재부는,
    일측에서 상기 분전반과 상기 배터리 외함의 전력 및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 연결소켓; 및
    상기 외함 적재부와 상기 지지 받침부 사이에서 상기 분전반과 전력 및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 연결소켓을 포함하는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 적재부는 상기 배터리 외함의 배출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외함에서 화재 발생 시 이를 진압하기 위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으로서,
    선내 경보 시스템을 통해 상기 외함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배터리 외함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외함의 화재 여부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배터리 외함의 배출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배출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외함 적재부의 일측을 상승시켜 상기 배터리 외함을 선외로 배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외함의 배출 여부를 확인하는 배출완료 확인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외함의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에는,
    상기 배터리 외함에서 화재 발생으로 인한 경보 신호와 선내 다른 전력 시스템의 오류로 인한 경보 신호를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외함의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신호를 구분하는 단계에서,
    상기 선내 다른 전력 시스템의 오류로 인한 경보 신호 발생 시, 상기 배터리 외함의 배출을 위한 인지(Acknowledge) 신호를 생성하고, 인지 회신 신호가 접수되면 경보 신호를 해제하고, 지정된 시간 내 인지 회신 신호가 미 입력되면, 상기 배터리 외함의 상기 배출신호를 생성하는 배터리 외함의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외함을 선외로 배출시키는 단계에는,
    상기 배터리 외함의 배출 이전에 상기 배터리 외함으로부터의 전력 공급 및 신호 송수신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외함의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
KR1020190135464A 2019-10-29 2019-10-29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외함의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 KR20210050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464A KR20210050894A (ko) 2019-10-29 2019-10-29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외함의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464A KR20210050894A (ko) 2019-10-29 2019-10-29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외함의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894A true KR20210050894A (ko) 2021-05-10

Family

ID=7591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464A KR20210050894A (ko) 2019-10-29 2019-10-29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외함의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08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284A (ko)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엔에스 선박 화재 확산 방지용 배터리 사출장치
KR102560226B1 (ko) * 2023-02-07 2023-07-27 세호마린솔루션즈 주식회사 선박용 배터리 룸 화재 진압 장치 및 진압 방법
KR102569669B1 (ko) * 2023-02-07 2023-08-28 세호마린솔루션즈 주식회사 선박용 배터리 팩 화재 진압 장치 및 진압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666B1 (ko) 2017-12-22 2019-08-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터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666B1 (ko) 2017-12-22 2019-08-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터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284A (ko)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엔에스 선박 화재 확산 방지용 배터리 사출장치
KR102560226B1 (ko) * 2023-02-07 2023-07-27 세호마린솔루션즈 주식회사 선박용 배터리 룸 화재 진압 장치 및 진압 방법
KR102569669B1 (ko) * 2023-02-07 2023-08-28 세호마린솔루션즈 주식회사 선박용 배터리 팩 화재 진압 장치 및 진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0894A (ko) 선박의 배터리 외함 비상 덤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외함의 화재 발생 시 선박의 화재 진압 방법
KR102437707B1 (ko) 차량용 배터리 화재 진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
EP3352316B1 (en) Explosion-proof device
US4830421A (en) Service vehicles
EP2460563B1 (en) Automated storage system
DK2678252T3 (en) EVERY SIDE LOCKABLE SHIPPING CONTAINER
JP5356809B2 (ja) 荷役用昇降床
US11241599B2 (en) Fire suppression system
JP7332628B2 (ja) 爆発の可能性のある区域で使用される産業車両用のバッテリ電源
JP2011089310A (ja) 機械式駐車装置
US11904704B2 (en) Battery release system for vehicle
JP2007221767A (ja) 船内放送システムおよび該船内放送システムを組み込む船舶
US11111652B2 (en)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battery
JP6964936B2 (ja) 作業機械
KR20220049305A (ko) 교체형 선박용 배터리 시스템 및 동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CN114793426A (zh) 灭火系统以及灭火方法
KR101833999B1 (ko)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US20080099616A1 (en) Electrical interlock and indication system for aircraft
US20210359367A1 (en) Container for an energy supply system, energy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ame
CN112427848B (zh) 中厚板机器人焊接工作站的安全操作方法、系统及设备
CN105682974A (zh) 具有电力驱动装置、接地装置以及用于中间电路的短路装置的工作机械
CN209112398U (zh) 一种应用于千吨级以上纯电动散货船的plc控制系统
JP2007190999A (ja) 船舶
JPH1025097A (ja) アウトリガ張出幅確認装置
US11715963B1 (en) Battery storage container and wellness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