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760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760A
KR20210050760A KR1020190135184A KR20190135184A KR20210050760A KR 20210050760 A KR20210050760 A KR 20210050760A KR 1020190135184 A KR1020190135184 A KR 1020190135184A KR 20190135184 A KR20190135184 A KR 20190135184A KR 20210050760 A KR20210050760 A KR 20210050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device
lighting
partition wall
air cleaning
ligh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519B1 (ko
Inventor
허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to KR102019013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5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with a non-rigid pendant, i.e. a cable, wire or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04Pend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중공을 포함하는 도넛 형상의 조명유닛; 상기 중공에 수용되어 상기 조명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 청정 유닛; 및 상기 공기 청정 유닛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유닛의 측방을 향하는 제1유로를 형성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청정 유닛은, 내측에 팬모터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유로를 형성하는 커버부재;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수용되도록 상기 팬모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청정기능을 구비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로 인한 유해성이 문제되고, 실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 청정기의 구비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입상형 공기청정기의 경우, 바닥에 설치되거나 실내 공간의 한쪽 모퉁이에 위치하여 사용됨에 따라 전체적인 공간 내에서 공중에 부유하고 있는 먼지를 포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설치에 제약이 따르고, 실내에서 사람의 활동 범위가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만약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실내 모퉁이에 설치하는 경우 공기 순환의 범위가 제한되어 실내 공기 정화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한편, 실내의 주거 공간에는 다양한 조명기구가 설치된다. 조명기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주로 한 공간의 천장 중앙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공기청정기, 조명 기구는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 천장 또는 바닥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수량에 따라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설치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5-0139314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기 청정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능을 구비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중공을 포함하는 도넛 형상의 조명유닛; 상기 중공에 수용되어 상기 조명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 청정 유닛; 및 상기 공기 청정 유닛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유닛의 측방을 향하는 제1유로를 형성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청정 유닛은, 내측에 팬모터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유로를 형성하는 커버부재;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수용되도록 상기 팬모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재는, 원판형상의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필터부재를 수용하는 하부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하부 격벽의 내부가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 격벽의 하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격벽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둘레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유닛은 UV-A 또는 가시광을 방출하는 광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라켓은 상부 플레이트 및 상측 커버로부터 하방으로 일정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유닛은 천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유닛은 천장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공기 청정 유닛을 팬던트형 조명유닛과 결합함으로써, 공기 청정 효율 및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탈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와 필터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는 천장으로 향하는 방향을 상방 또는 상측으로 설명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하방 또는 하측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하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을 측방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탈착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와 필터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유닛(200) 및 공기청정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는 천장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팬던트형 조명장치일 수 있고, 조명장치를 천장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와이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유닛(200)은 중앙부에 상하방향의 중공(270)이 형성되는 도넛 형상의 바디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50)의 내부에는 광을 배출하는 발광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는 UV-A 또는 가시광을 방출할 수 있다.
바디부(250)의 하단부에는 상기 발광부(21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광부(26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250)는 후술할 와이어장치(450)를 통해 천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250)는 상기 와이어장치(45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250)의 중공(270)에는 공기청정유닛(100)이 내삽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중공(27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공기청정유닛(100)과 나사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억지끼움 등 공지된 다양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 가능될 수 있다.
공기청정유닛(100)은 상술한 조명유닛(20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공기청정유닛(100)은 상기 조명유닛(200)의 중공에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중공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중앙부에는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메인 유로가 배치될 수 있다. 유로는 하우징(1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와 연통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상기 메인 유로상에는 공기의 흐름을 강제하는 팬모터(170)가 구비될 수 있다. 팬모터(170)는 회전날개의 회전방향 제어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하우징(110)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강제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상단부에는 브라켓(300)이 상기 메인 유로와 연통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할 브라켓(300)은 상기 하우징(1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제1유로(13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유로(131)는 조명유닛(200)의 측방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팬모터(170)에 의해 공기의 유동방향이 상방으로 제어되는 경우 제1유로(131)는 배기유로가 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하방으로 제어되는 경우 제1유로(131)는 흡기유로가 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상기 메인유로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32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320)로부터 메인 유로와 평행하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 격벽(3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격벽(310)은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부 격벽(310)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부 격벽(310)의 반경은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리브는 원활한 공기의 유동을 위해 상부 격벽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모터(170)에 의해 상방으로 흐르는 공기가 제1유로(131)를 따라 상기 상부 격벽(310)의 외측면 및 상부 플레이트(320)의 하단면을 따라 조명유닛(2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하우징(110)의 하단부에는 커버부재(120)가 상기 유로와 연통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20)는 하우징(11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재(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제2유로(132)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팬모터(170)에 의해 공기의 유동방향이 상방으로 제어되는 경우 제2유로(132)는 흡기유로가 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하방으로 제어되는 경우 제2유로(132)는 배기유로가 될 수 있다.
커버부재(120)는 원판 형상의 하부 플레이트(121) 및 하부 플레이트(121)로부터 상방으로 일정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부 격벽(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21)는 하우징(110)의 하단에 형성되는 개구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고, 하우 플레이트(121)의 원주단과 하우징(110)의 하단 개구 사이로 제2유로(132)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격벽(123)은 중공의 원주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121)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배치되며, 하부 격벽(123)의 내부에는 필터부재(150)가 수용될 수 있다.
하부 격벽(123)의 하단부에는 공기의 유출입을 위한 복수개의 홀(122)이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공의 원주 형상의 하부 격벽(123)과 원판형상의 하부 플레이트(121)는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부 격벽(123)의 반경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121)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121)의 원주단이 하부 격벽(123)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통해, 공기가 하부 격벽(123)의 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하부 플레이트(121)의 원주단에 의해 먼지의 낙하가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필터부재(150)는 공지된 다양한 공기 청정 필터가 사용될 수 있고, 커버부재(120)의 탈거를 통해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필터부재(150)는 가이드링(160)을 통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와이어장치(450)는 일단이 천장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조명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장치(450)의 타단에는 조명유닛(200)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와이어장치(450)의 타단에는 공기청정유닛(10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조명유닛(200) 또는 공기청정유닛(100)이 와이어장치(450)와 직접 결합되어 천장에 매달리는 구조이다.
와이어장치(450)는 조명장치를 천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할 수 있다. 와이어장치(450)의 일단에는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조명장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모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조명장치가 천장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와이어장치(450)를 통해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유닛(200)이 와이어 장치에 의해 천장으로부터 이격되는 팬턴트 형태로 구비되고, 공기청정유닛(100)이 내부의 유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내의 부유먼지를 쉽게 포집할 수 있으며, 설치위치의 제약이 적어 정화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바닥 공간의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공기청정유닛
110: 하우징
120: 커버부재
150: 필터부재
170: 팬모터
200: 조명유닛
300: 브라켓

Claims (7)

  1. 중공을 포함하는 도넛 형상의 조명유닛;
    상기 중공에 수용되어 상기 조명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 청정 유닛; 및
    상기 공기 청정 유닛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조명유닛의 측방을 향하는 제1유로를 형성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청정 유닛은,
    내측에 팬모터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유로를 형성하는 커버부재;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부재에 수용되도록 상기 팬모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원판 형상의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상기 필터부재를 수용하는 하부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격벽의 내부가 상기 제2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 격벽의 하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둘레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은 UV-A 또는 가시광을 방출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부 플레이트 및 상측 커버로부터 하방으로 일정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 격벽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천장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닛은 천장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90135184A 2019-10-29 2019-10-29 조명 장치 KR102327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84A KR102327519B1 (ko) 2019-10-29 2019-10-29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84A KR102327519B1 (ko) 2019-10-29 2019-10-29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760A true KR20210050760A (ko) 2021-05-10
KR102327519B1 KR102327519B1 (ko) 2021-11-17

Family

ID=7591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84A KR102327519B1 (ko) 2019-10-29 2019-10-29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5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395U (ja) * 1997-07-16 1998-01-27 芳晴 渡邉 空気清浄機能照明器具
KR20100096921A (ko) * 2009-02-25 2010-09-02 주식회사 엠.에스.라이팅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JP2013194965A (ja) * 2012-03-16 2013-09-30 Fuji Industrial Co Ltd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KR20150139314A (ko) 2014-06-03 2015-12-11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천장 직착등 어셈블리
KR20160001754A (ko) * 2014-06-26 2016-01-07 비나텍주식회사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실내용 조명 장치 및 그의 필터 교환 알람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395B2 (ja) * 1989-06-28 2000-05-29 イビデン株式会社 炭化珪素含有アルミニウム合金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395U (ja) * 1997-07-16 1998-01-27 芳晴 渡邉 空気清浄機能照明器具
KR20100096921A (ko) * 2009-02-25 2010-09-02 주식회사 엠.에스.라이팅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JP2013194965A (ja) * 2012-03-16 2013-09-30 Fuji Industrial Co Ltd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KR20150139314A (ko) 2014-06-03 2015-12-11 주식회사 혜성엘앤엠 천장 직착등 어셈블리
KR20160001754A (ko) * 2014-06-26 2016-01-07 비나텍주식회사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실내용 조명 장치 및 그의 필터 교환 알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519B1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418B1 (ko) 조명부를 구비한 천장용 선풍기 및 천장용 선풍기 시스템
JP5379924B2 (ja) 照明付天井埋込換気扇
KR101623692B1 (ko) 천장형 공기 조화 장치
GB2581946A (en) Light and air filtration unit with ozone catalytic oxidation
JP6854402B2 (ja) 天井扇風機
JP2017109158A (ja) 空気清浄機
US20070247854A1 (en) Ceiling fan
KR102327971B1 (ko) 공기정화 기능이 구비된 조명장치
US20180045204A1 (en) Ceiling pot fan
KR20220044265A (ko) 기류 장치
JP2013194965A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JP6450125B2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KR102327519B1 (ko) 조명 장치
JP2019040761A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KR102032401B1 (ko) 공기청정기
JP2017073396A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JP3231382U (ja) 空気清浄ライト
KR102201610B1 (ko) 조명장치
KR102416909B1 (ko) 다기능 공기 청정기
KR102546344B1 (ko) 공기청정기
KR20180060796A (ko) 다기능 스마트 엘이디 천장등
JP7295910B2 (ja) 送風装置
EP4306862A1 (en) Air cleaner
TWM540237U (zh) 照明燈具
CN213656520U (zh) 一种带蓝牙音箱的吸顶风扇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