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751A - 일체형 자동심장충격기용 패드 - Google Patents

일체형 자동심장충격기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751A
KR20210050751A KR1020190135165A KR20190135165A KR20210050751A KR 20210050751 A KR20210050751 A KR 20210050751A KR 1020190135165 A KR1020190135165 A KR 1020190135165A KR 20190135165 A KR20190135165 A KR 20190135165A KR 20210050751 A KR20210050751 A KR 20210050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ar
automatic
protective film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172B1 (ko
Inventor
정지은
Original Assignee
정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은 filed Critical 정지은
Priority to KR1020190135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17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Specially adapted for shock therapy, e.g. defibr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68Constructional arrangements, e.g. cas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과 제1점착층이 형성된 제1패드 및 전극과 제2점착층이 형성된 제2패드가 상부바의 양측 끝단 하부면에 각각 연결되고, 제1,2패드의 제1,2점착층은 하나의 부재로 된 보호필름 표면에 부착되거나 자동심장충격기의 케이스 또는 커버에 부착되되,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을 위해 보호필름과 일체형 패드 분리시 제1,2패드의 제1,2점착층이 한 번에 노출됨으로써, 심정지 환자 발생시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자동심장충격기의 패드를 부착하는 과정을 보다 단순화 시켜,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에 의한 응급구조대 도착 전 빠른 초동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체형 자동심장충격기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자동심장충격기용 패드 {Integral Pad f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본 발명은 심정지 환자 발생시 자동심장충격기에서 발생한 전기충격을 심장에 전달하여 정상 심장 박동을 회복시키도록 환자의 신체에 부착하는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과 제1점착층이 형성된 제1패드 및 전극과 제2점착층이 형성된 제2패드가 상부바의 양측 끝단 하부면에 각각 연결되고, 제1,2패드의 제1,2점착층은 하나의 부재로 된 보호필름 표면에 부착되거나 자동심장충격기의 케이스 또는 커버에 부착되되,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을 위해 보호필름과 일체형 패드 분리시 제1,2패드의 제1,2점착층이 한 번에 노출됨으로써, 심정지 환자 발생시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자동심장충격기의 패드를 부착하는 과정을 보다 단순화 시켜,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에 의한 응급구조대 도착 전 빠른 초동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일체형 자동심장충격기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실세동 또는 심실빈맥으로 인해 심정지 환자가 발생하였을 때, 전문적인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지 않은 일반인도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심장에 전기충격을 가하여 정상 심장 박동을 회복시키는 자동심장충격기(또는 자동 제세동기)를 사용하게 된다.
특히 심정지 발생 후 뇌로 혈액공급이 차단된 상태로 3~5분 경과시 뇌세포가 불가역적인 상해를 받아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거나 뇌사 상태에 빠지게 되는데, 응급구조신청 후 응급대원이 현장까지 도착하기까지 3분 이상 소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심정지 환자의 뇌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응급대원의 현장 도착 전 자동심장충격기를 통한 초동 대응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은 자동심장충격기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681호(2014.12.16.등록)에서는 제세동기 본체에 연결된 2개의 전극을 각각 심정지 환자의 우측 쇄골 아래쪽과 좌측 젖꼭지 바깥쪽 아래 겨드랑이 중앙선에 부착한 후, 제세동기의 지시에 따라 작동버튼을 조작하는 자동 제세동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세동기는 2개의 전극이 각각 올바른 위치에 배치되도록 전극을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부착하고, 전극 부착시 전극의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긴급 상황에서 당황한 제세동기 사용자가 보호필름을 제대로 벗겨내지 못하거나, 전극을 잘못 부착하는 실수가 많이 발생하여 자동심장충격기의 사용준비를 완료하는데 시간이 지체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681호 (2014.12.16. 등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심정지 환자 발생시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자동심장충격기의 패드를 부착하는 과정을 보다 단순화 시켜,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에 의한 응급구조대 도착 전 빠른 초동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시, 전극이 장착된 패드 부착 위치의 혼동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시, 패드의 점착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 제거 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후 흉부압박을 실시할 때,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이 부족한 실시자도 흉부압박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심정지 환자 발생시 자동심장충격기에서 발생한 전기충격을 심장에 전달하여 정상 심장 박동을 회복시키도록 환자의 신체에 부착하는 패드에, 전극과 제1점착층이 형성된 제1패드 및 전극과 제2점착층이 형성된 제2패드가 상부바의 양측 끝단 하부면에 각각 연결되고, 제1,2패드의 제1,2점착층은 하나의 부재로 된 보호필름 표면에 부착되거나 자동심장충격기의 케이스 또는 커버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바에는 상부바의 양측 끝단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하부바, 상부바와 하부바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 상부바와 연결바의 경계부에 형성된 탄성재질의 제1탄성부, 연결바와 하부바의 경계부에 형성된 탄성재질의 제2탄성부가 부가되며, 하부바의 양측 하부면에 제1,2패드가 형성되되, 일체형 패드의 상부바와 양측 연결바 및 하부바는 제1탄성부 및 제2탄성부를 기준점으로 "Z"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제1점착층과 제2점착층이 보호필름 표면에 부착되고,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을 위해 보호필름으로부터 일체형 패드 분리시 제1탄성부와 제2탄성부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양측 연결바 및 하부바가 펼쳐지면서 제1패드 및 제2패드가 자동으로 전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바 중앙부에는 흉부압박 위치를 안내하는 CPR가이드가 형성되고, 2개의 부재로 나누어진 상부바는 각각 슬라이딩을 통해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CPR가이드 측면에 연결되어,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전개 패드 부착시 제1,2패드의 각 전극간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필름 내측면에는 상부바의 상부면을 고정하는 탄성재질의 스토퍼가 형성되어, 일체형 패드의 비정상 전개 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용 일체형 패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심장충격기의 전극이 형성된 양측 패드를 하나의 부재를 통해 연결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패드를 부착하는 속도를 향상시키고, 긴급상황에서 당황한 사용자가 패드 전극을 반대로 부착하거나 상하를 반대로 부착하는 등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절차상 시행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양측 패드가 하나의 부재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됨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 본체와 연결되어 패드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하나로 통합하고, 이를 통해 패드와 본체간 전원 케이블을 한 번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준비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케이블끼리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심장충격기의 보호필름 내부에 부착된 상태로 보관된 일체형 패드를 분리함과 동시에 패드의 점착층이 곧바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패드 보호용 외부 포장을 개봉하고 패드의 점착면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사용 준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긴급상황에서 당환한 사용자가 패드 점착면으로부터 보호필름을 쉽게 벗기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일체형 패드의 접힘을 통해 보관시 크기를 감소시켜 일체형 패드의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일체형 패드의 양 패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심정지 환자의 신장 또는 체격에 관계 없이 패드를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패드가 부착되는 자동심장충격기 보호필름 표면에 점착층 보호면을 형성하여, 보호필름로부터 일체형 패드 분리시 패드 점착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토퍼를 통해 자동심장충격기 보호필름 내 일체형 패드 보관 중 일체형 패드가 펼쳐지면서 패드의 점착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패드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패드가 자동심장충격기의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패드의 측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드 간격이 조절 가능한 일체형 패드의 정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패드를 보호필름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패드를 보호필름로부터 분리할 때, 일체형 패드가 펼쳐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100)의 일체형 패드(200)는 도 1a 및 도 3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바(210)의 일측 끝단 하부면에 전극과 제1점착층(410)이 형성된 제1패드(400)가 연결되고, 상부바(210)의 타측 끝단 하부면에 전극과 제2점착층(510)이 형성된 제2패드(500)가 연결된다.
상기 제1,2패드(400,500)의 제1,2점착층(410,510)은 하나의 부재로 된 보호필름(120) 표면에 부착되거나, 자동심장충격기(100)의 케이스 또는 커버에 부착된 보호필름(120) 표면에 부착되며, 자동심장충격기(100) 사용을 위해 일체형 패드(200)로부터 보호필름(120) 분리시 제1,2패드(400,500)의 제1,2점착층(410,510)이 한 번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심장충격기(100)의 일체형 패드(200)는 도 1b 및 도 3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심장충격기(100)의 본체(110)와 함께 보호필름(120)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 보관된다.
접혀진 상태의 일체형 패드(200)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바(210)의 양측 끝단 하부에 2개의 하부바(220)가 각각 배치되고, 상부바(210)와 하부바(220)는 연결바(23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일체형 패드(200)의 접혀진 상태로 보관 및 자동심장충격기(100) 사용시 일체형 패드(200)의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상부바(210)와 연결바(230)가 연결된 경계부에 탄성재질의 제1탄성부(240)가 형성되고, 연결바(230)와 하부바(220)가 연결된 경계부에 탄성재질의 제2탄성부(250)가 형성된다.
2개의 하부바(220) 중 일측 하부바(220)의 하부면에는 제1패드(400)가 장착되고, 타측 하부바(220)의 하부면에는 제2패드(500)가 장착됨으로써, 일체형 패드(200)의 양 전극이 하나의 일체형 패드(2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일체형 패드(200)의 제1,2점착층(410,510)을 보호필름(120)에 부착하여 접혀진 상태로 보관할 때에는 제1탄성부(240) 및 제2탄성부(250)를 기준점으로 일체형 패드(200)의 상부바(210)와 양측 연결바(230) 및 하부바(220)를 "Z"자 형상으로 구부리게 되며, 일체형 패드(200)가 구부러진 상태로 제1점착층(410)과 제2점착층(510)이 보호필름(120) 표면에 부착된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바(210) 중앙부에는 그립부(300)가 형성될 수 있고, 상부바(210)는 2개의 부재로 나누어진 상태로 각각의 상부바(210) 부재가 슬라이딩을 통해 서로 끝단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그립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바(210)의 양 끝단 간격 조절을 통해 심정지 환자의 신장이나 체격에 대응하여 제1패드(400) 및 제2패드(500)의 각 전극간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그립부(300)는 일체형 패드(200) 분리시 손잡이 역할과 정확한 흉부압박 위치를 자동심장충격기(100) 사용자에게 안내해주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120)에는 탄성재질의 스토퍼(130)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는데, 스토퍼(130)는 상부바(210)의 상부면을 고정하여 자동심장충격기(100) 보관 중 일체형 패드(200)가 펼쳐지는 비정상 전개 작동을 방지하며, 일체형 패드(200)의 보다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2개의 상부바(210) 각각의 양측 상부면에 스토퍼(13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심장충격기(100) 및 일체형 패드(200)의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심정지 환자 발생시 사용자가 자동심장충격기(100)의 커버 등에 부착된 작동 안내서 또는 자동심장충격기(100)의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지시에 따라 제1,2패드(400,50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자동심장충격기(100) 본체(110)와 연결하게 되는데, 일체형 패드(200)는 제1,2패드(400,50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원 케이블이 하나로 통합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 제1,2패드(400,500)와 본체(110)간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는 횟수를 1회로 단축하고, 패드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끼리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여 자동심장충격기(100) 사용 준비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 케이블 연결이 완료되면 보호필름(120)로부터 일체형 패드(200)를 분리하여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부착할 준비를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패드(200)에는 제1,2패드(400,500) 표면의 제1,2점착층(410,510)이 손상되거나 접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필름(120)이 부착되는데, 제1,2패드(400,500)의 제1,2점착층(410,510)은 하나의 부재로 된 보호필름(120) 표면에 부착되거나 자동심장충격기(100)의 케이스 또는 커버에 형성된 보호필름(120)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일체형 패드(200)를 잡아당기면 보호필름(120)이 제1,2점착층(410,510)으로부터 동시에 분리되어 제1,2패드(400,500)의 전극이 한 번에 노출된다.
이때, 일체형 패드(200)가 보호필름(120)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제1,2패드(400,500)의 제1,2점착층(410,51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시 패드 보호용 외부 포장을 개봉하고 패드로부터 점착면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준비 과정을 단순화하여 사용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긴급상황에서 당황한 사용자가 패드로부터 보호필름을 쉽게 벗기지 못하여 자동심장충격기 사용 준비가 지체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보호필름(120)을 자동심장충격기(100)의 케이스 또는 커버 등에 고정하여 사용자가 일체형 패드(200)를 들어올림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100)의 자체 무게에 의해 일체형 패드(200)로부터 보호필름(120)을 쉽게 분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바(210) 중앙에 마련된 그립부(300)를 통해 사용자가 일체형 패드(200)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부바(210)의 중앙부 하단에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추가로 마련하여, 손가락 움직임이 불편한 사용자도 상부바(210) 하단의 공간으로 손을 넣어 일체형 패드(200)를 들어올림으로써 보호필름(120) 분리 과정을 쉽게 이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개 가능하도록 접혀진 구조의 일체형 패드(200)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그립부(300)를 잡아당기면 일체형 패드(200)의 제1탄성부(240)와 제2탄성부(250)가 가지는 탄성회복력에 의해 양측 연결바(230) 및 하부바(220)가 펼쳐지면서 제1패드(400) 및 제2패드(500)가 자동으로 전개되는 힘이 발생하게 되며, 일체형 패드(200)의 상부바(210) 상부면이 스토퍼(13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일체형 패드(200)를 자동심장충격기(100)의 보호필름(120)에 보관하는 중 일체형 패드(200)가 펼쳐지면서 제1,2패드(400,500)의 제1,2점착층(410,510) 점착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스토퍼(130)의 변형이 발생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그립부(300)를 잡아당기면 상부바(210)가 스토퍼(130)로부터 분리되고, 제1,2점착층(410,510)을 통해 보호필름(120) 표면에 부착된 제1,2패드(400,500)가 보호필름(12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연결바(230) 또는 하부바(220)가 스토퍼(130)에 걸리면서 일체형 패드(200)를 보호필름(120)로부터 분리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연결바(230) 및 하부바(220)의 폭을 상부바(210)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체형 패드(200)와 보호필름(120)이 서로 분리되면 제1,2탄성부(240,250)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연결바(230) 및 하부바(220)가 펼쳐지게 되는데, 이를 통해 보호필름(120) 내 일체형 패드(200)가 보관되는 크기를 감소시켜 자동심장충격기(100)의 소형화 및 보관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각 실시 예들에 따른 일체형 패드(200)와 보호필름(120)간 분리가 완료되면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제1,2패드(400,500)를 부착하게 되는데, 제1,2패드(400,500)가 하나의 일체형 패드(200)에 일체화되어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패드를 붙이는 과정을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심장충격기(100) 사용 준비 속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상부바(210)를 형상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하고, 상부바(210)의 양측 끝단이 하부면 방향으로 휘어진 구조를 이룸으로써, 제1,2패드(400,500)가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보다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심정지 환자의 신장이나 체격 등 신체조건에 따라 제1,2패드(400,500)가 부착되는 정위치 간격이 변화될 수 있는데, 2개의 부재로 나누어진 상부바(210) 부재를 그립부(300)와의 결합부에서 슬라이딩시켜 제1,2패드(400,500)간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1,2패드(400,500)의 전극이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일체형 패드(200)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일체형 패드(200) 상부에는 심정지 환자의 신체 부착위치를 안내하는 그림 등을 형성함으로써, 긴급상황에서 당황한 사용자가 제1,2패드(400,500) 전극을 반대로 부착하는 등 자동심장충격기(100) 사용 절차상 시행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일체형 패드(200)의 부착이 완료되면 설명서 또는 스피커의 음성 안내에 따라 자동심장충격기(100)를 작동시킨 후 흉부압박을 실시하게 되는데, 상기 그립부(300)는 일체형 패드(200) 분리시 손잡이 역할과 정확한 흉부압박 위치를 자동심장충격기(100) 사용자에게 안내해주는 가이드 역할을 하며, 상부바(210) 부재의 슬라이드를 통해 제1,2패드(400,500)간 간격을 조절할 때 그립부(300)가 정확한 흉부압박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각 상부바(210) 부재의 표면에는 슬라이드 이동량이 표시되는 눈금 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립부(300) 표면에는 흉부압박을 실시할 때 시간당 압박 횟수를 표기하여 전문 CPR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도 정확한 횟수로 흉부압박을 시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그립부(300)에 램프나 스피커 등을 부가하여 흉부압박 시술자에게 흉부압박 속도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안내하여 보다 정확한 속도로 흉부압박을 시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흉부압박을 실시할 때 심정지 환자의 심장까지 충분한 압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적정 수준의 압력을 가하여야 하므로, 그립부(300) 내에 압력센서를 부가하여 흉부압박에 필요한 적정 압력을 가하는지 여부를 알릴 수 있으며, 그립부(300) 하부면에는 흉부압박 시행 중 그립부(300)가 정위치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가 적용되고, 그립부(300) 표면에 밀림 방지 요철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자동심장충격기 110: 본체
120: 보호필름 130: 스토퍼
200: 일체형 패드 210: 상부바
220: 하부바 230: 연결바
240: 제1탄성부 250: 제2탄성부
300: 그립부 400: 제1패드
410: 제1점착층 500: 제2패드
510: 제2점착층

Claims (4)

  1. 심정지 환자 발생시 자동심장충격기(100)에서 발생한 전기충격을 심장에 전달하여 정상 심장 박동을 회복시키도록 환자의 신체에 부착하는 패드에 있어서,
    전극과 제1점착층(410)이 형성된 제1패드(400) 및 전극과 제2점착층(510)이 형성된 제2패드(500)가 상부바(210)의 양측 끝단 하부면에 각각 연결되고, 제1,2패드(400,500)의 제1,2점착층(410,510)은 하나의 부재로 된 보호필름(120) 표면에 부착되거나 자동심장충격기(100)의 케이스 또는 커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용 일체형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210)에는 상부바(210)의 양측 끝단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2개의 하부바(220), 상부바(210)와 하부바(22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230), 상부바(210)와 연결바(230)의 경계부에 형성된 탄성재질의 제1탄성부(240), 연결바(230)와 하부바(220)의 경계부에 형성된 탄성재질의 제2탄성부(250)가 부가되며, 하부바(220)의 양측 하부면에 제1,2패드(400,500)가 형성되되, 일체형 패드(200)의 상부바(210)와 양측 연결바(230) 및 하부바(220)는 제1탄성부(240) 및 제2탄성부(250)를 기준점으로 "Z"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제1점착층(410)과 제2점착층(510)이 보호필름(120) 표면에 부착되고, 자동심장충격기(100) 사용을 위해 보호필름(120)으로부터 일체형 패드(200) 분리시 제1탄성부(240)와 제2탄성부(250)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양측 연결바(230) 및 하부바(220)가 펼쳐지면서 제1패드(400) 및 제2패드(500)가 자동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용 일체형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210) 중앙부에는 흉부압박 위치를 안내하는 그립부(300)가 형성되고, 2개의 부재로 나누어진 상부바(210)는 각각 슬라이딩을 통해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그립부(300) 측면에 연결되어, 심정지 환자의 신체에 일체형 패드(200) 부착시 제1,2패드(400,500)의 각 전극간 간격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용 일체형 패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120) 내측면에는 상부바(210)의 상부면을 고정하는 탄성재질의 스토퍼(130)가 형성되어, 일체형 패드(200)의 비정상 전개 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심장충격기용 일체형 패드.

KR1020190135165A 2019-10-29 2019-10-29 일체형 자동심장충격기용 패드 KR102264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65A KR102264172B1 (ko) 2019-10-29 2019-10-29 일체형 자동심장충격기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65A KR102264172B1 (ko) 2019-10-29 2019-10-29 일체형 자동심장충격기용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751A true KR20210050751A (ko) 2021-05-10
KR102264172B1 KR102264172B1 (ko) 2021-06-11

Family

ID=7591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65A KR102264172B1 (ko) 2019-10-29 2019-10-29 일체형 자동심장충격기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17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1521A (ja) * 1991-04-17 1993-05-07 Univ California 外部から胸部圧迫を行うための改良された装置及び方法
JPH0920362A (ja) * 1995-07-05 1997-01-21 Nitto Denko Corp 伸長可能な固定用テープ
US6178357B1 (en) * 1998-08-28 2001-01-23 Agilent Technologies, Inc. Electrode pad system and defibrillator electrode pad that reduces the risk of peripheral shock
US20110130665A1 (en) * 2009-10-23 2011-06-02 Bowers Kyle R Method and system for expediting the rescue of victims experiencing sudden cardiac arrest (sca)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WO2014086626A1 (en) * 2012-12-04 2014-06-12 Esm (European Safety Maintenance) Extractable electrodes for automatic external cardiac defibrillator
KR200475681Y1 (ko) 2012-12-28 2014-12-22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자동 제세동기
KR101743414B1 (ko) * 2017-01-02 2017-06-05 (주)나눔테크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1521A (ja) * 1991-04-17 1993-05-07 Univ California 外部から胸部圧迫を行うための改良された装置及び方法
JPH0920362A (ja) * 1995-07-05 1997-01-21 Nitto Denko Corp 伸長可能な固定用テープ
US6178357B1 (en) * 1998-08-28 2001-01-23 Agilent Technologies, Inc. Electrode pad system and defibrillator electrode pad that reduces the risk of peripheral shock
US20110130665A1 (en) * 2009-10-23 2011-06-02 Bowers Kyle R Method and system for expediting the rescue of victims experiencing sudden cardiac arrest (sca)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WO2014086626A1 (en) * 2012-12-04 2014-06-12 Esm (European Safety Maintenance) Extractable electrodes for automatic external cardiac defibrillator
KR200475681Y1 (ko) 2012-12-28 2014-12-22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자동 제세동기
KR101743414B1 (ko) * 2017-01-02 2017-06-05 (주)나눔테크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172B1 (ko)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8357B1 (en) Electrode pad system and defibrillator electrode pad that reduces the risk of peripheral shock
ES2828361T3 (es) Desfibrilador externo
US7245974B2 (en) Defibrillation electrode pad assembly including CPR pad
EP3673953B1 (en) Ecg and defibrillator electrode detection and tracking system
US9265963B2 (en) Defibrillator, rescue kit of parts and process for controlling the quality of chest compression
JP6458958B2 (ja) 成人および小児被験者のための汎用性除細動電極パッドアセンブリ
JP6046693B2 (ja) 2つの引剥用タブを有する除細動器用電極パッド
CN108671401B (zh) 一种智慧医疗物联网协同aed自动体外除颤器系统和方法
US20240050734A1 (en) Configurable electrodes and sensors
CN105209110B (zh) 具有成人和小儿图形的除颤器电极
KR101391001B1 (ko) 반복적 제세동기 훈련이 가능한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
KR102264172B1 (ko) 일체형 자동심장충격기용 패드
US11484702B2 (en) Electrode assemblies for treating adult and pediatric patients
US20050070963A1 (en) Hair-removal apparatus for preparing a human torso for the use of a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US20120029530A1 (en) AED Chest Hair Removal Pads
CN114727675A (zh) 用于医疗用途的防护性的护罩
EP2928553B1 (en) Extractable electrodes for automatic external cardiac defibrillator
KR102495968B1 (ko) 증강현실 기반 자동제세동기
SI23964A (sl) Naprava za kardiopulmonalno oživljanje za visokokakovostne zunanje kompresije prsnega koša
CN215994490U (zh) 一次性医用术中保护眼贴
US11794025B1 (en) Compact AED with integrated CPR coaching
CN210447355U (zh) 一种眼部保护贴膜
JP2017217424A (ja) 二重瞼形成用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