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414B1 -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414B1
KR101743414B1 KR1020170000027A KR20170000027A KR101743414B1 KR 101743414 B1 KR101743414 B1 KR 101743414B1 KR 1020170000027 A KR1020170000027 A KR 1020170000027A KR 20170000027 A KR20170000027 A KR 20170000027A KR 101743414 B1 KR101743414 B1 KR 101743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defibrillator
impedance
automatic defibrillator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회
이병석
최무진
Original Assignee
(주)나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눔테크 filed Critical (주)나눔테크
Priority to KR1020170000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Specially adapted for shock therapy, e.g. defibr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Abstract

본 발명은 패드 및 전기충격을 전달하는 전극부, 인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젤이 도포된 전도성 시트를 포함하는 구성부재가 밀봉된 패드 패키지 내부에 있는 패드의 정상적인 보관 및 관리 상태 등을 확인하여 패드의 교체 여부를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제세동기용 패드, 전극부, 젤이 도포된 전도성 시트를 포함하는 패드 구성 부재가 패드 패키지에 밀봉되되 패드 패키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밀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감지부와, 패드 패키지의 보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전도성 시트에 도포된 젤의 물성을 감지하기 위한 임피던스 브리지와, 자동제세동기와 연결되어 패드의 점검 결과 전송 및 패드의 정보를 관리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구비된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Pad checking system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본 발명은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패드 및 전기충격을 전달하는 전극부, 인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젤이 도포된 전도성 시트를 포함하는 구성부재가 밀봉된 패드 패키지 내부에 있는 패드의 정상적인 보관 및 관리 상태 등을 확인하여 패드의 교체 여부를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는 자동으로 심장세동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심장박동이 정지되어 각 조직으로 혈류가 중단되면서 생체활동에 필수적인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는 현상인 급성심정지(SCA: Sudden Cardiac Arrest) 현상이 발생할 때, 외부로부터 전기충격을 주어서 심장박동을 정상적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자동제세동기에 사용되는 패드(Electrodes Pad)는 심장 세동 제거를 목적으로 환자의 흉부에 부착하여 전기충격을 인가하는 수단으로 심장박동을 정상적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패드의 안쪽에는 환자에게 밀착 접촉되어 전기펄스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젤(하이드로겔;Hydrogel)이 발라져 있다.
자동제세동기의 패드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패드 및 전기충격을 전달하는 전극부, 인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젤이 도포된 전도성 시트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이 패키지로 봉투(파우치) 또는 캐트리지 형태로 조립된 패키지로 구비되고, 패키지 내부는 진공으로 밀봉 보관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제세동기 패드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실용등록 제20-0479146호, 특허공개 제10-2016-0119886호, 특허 제10-1259128호, 특허 제10-1584088호 등과 같이 다수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을 포함하는 자동제세동기 패드는 그 보관 및 관리 점검에 어려움이 있어 이에 따른 여러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첫째; 밀봉된 패드 패키지의 일부분이 구멍이나 찢어지는 등의 개봉 상태가 되는 경우에 패드의 젤이 경화되고 전극부가 산화되는 등 품질 저하 및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손될 수 있는 등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없는 패드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둘째; 환자의 흉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패드의 전도성 시트에 도포된 젤(하이드로겔;Hydrogel)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0~45℃의 온도로 보관되어 있어야 밀착력 및 전기에너지 전달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관리됨이 바람직하지만 제세동기가 외부온도에 쉽게 접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리 온도에 비해 저온인 경우에는 젤이 동결되어 밀착력 저하 및 밀착력이 저하되면서 발생되는 간극에 의해 불꽃 방전으로 인한 화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고, 상기 관리 온도에 비해 고온인 경우에는 젤이 경화되면서 밀착력 저하 및 밀착력이 저하되면서 발생되는 간극에 의해 불꽃 방전으로 인한 화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에너지 전달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패드를 사용한 후 이를 재사용하는 경우에 패드의 오염이나 전기 에너지 전달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등 제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되는데도 불구하고 이러한 패드 재사용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패드의 제품번호, 생산일자, 유효기간 등과 같은 패드 관리정보를 쉽게 점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등록문헌 0001) KR 제20-0479146호 (특허공개문헌 0002) KR 제10-2016-0119886호 KR 제10-1259128호 KR 제10-1584088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패드, 전극부, 젤이 도포된 전도성 시트를 포함하는 패드 구성 부재가 밀봉된 패드 패키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밀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압력감지부와, 패드 패키지의 보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전도성 시트에 도포된 젤의 물성을 감지하기 위한 임피던스 측정부와, 자동제세동기와 연결되어 패드의 점검 결과 전송 및 패드의 정보를 관리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구비되어 패드의 보관 및 관리 상태 등을 확인하여 패드의 교체 여부를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제세동기용 패드, 전극부, 젤이 도포된 전도성 시트를 포함하는 패드 구성 부재가 패드 패키지에 밀봉되되 패드 패키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밀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감지부와, 패드 패키지의 보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전도성 시트에 도포된 젤의 물성을 감지하기 위한 임피던스 브리지와, 자동제세동기와 연결되어 패드의 점검 결과 전송 및 패드의 정보를 관리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구비된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감지부는 패드 패키지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고도센서, 압력센서, 압력스위치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감지부는 패드 패키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피던스 브리지는, 제1,2패드에 있는 전도성 시트에 도포된 젤과 연결되되 카본 및 저항체로 구성된 임피던스 브리지 회로와, 제1,2패드의 전도성 시트에 도포된 젤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 해당되고 카본으로 구비된 임피던스 브리지 접촉면으로 구비되어 자동제세동기의 임피던스 측정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앙처리장치로 전송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피던스 브리지의 이면은 라이너에 일체로 부착되어 제1,2패드에서 분리되는 라이너와 함께 임피던스 브리지도 함께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압력감지부 및 온도감지부의 제어 및 정보 수집을 하고, 패드의 제품번호, 생산일자, 유효기간, 사용 여부를 포함하는 패드 관리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자동제세동기의 중앙처리장치로 전송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제세동기의 중앙처리장치로 전송되는 패드 관리정보는 화면출력장치, 소리출력장치, 유,무선 통신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은, 밀봉된 패드 패키지의 압력을 감지하여 손상 및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온도감지부를 통한 젤의 보관온도 확인, 패드의 전도성 시트에 도포된 젤의 임피던스를 통한 젤의 물성 확인, 패드의 재사용 여부, 제품번호, 생산일자, 유효기간 등과 같은 패드 관리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하여 패드의 교체 여부를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에서 패드의 임피던스 측정을 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는 자동으로 심장 세동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심장박동이 정지되어 각 조직으로 혈류가 중단되면서 생체활동에 필수적인 산소 등의 공급이 중단되는 현상인 급성심정지(SCA: Sudden Cardiac Arrest) 현상이 발생할 때, 외부로부터 전기충격을 주어서 심장박동을 정상적으로 돌아오도록 하는 심장충격기이다.
위와 같은 자동제세동기(100)는, 중앙처리장치(110), 임피던스 측정회로(120), 저장 장치(130), 화면출력장치(140), 소리출력장치(150), 통신장치(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10)는 자동제세동기(100)에 내장된 임피던스 측정회로(120), 저장 장치(130), 화면출력장치(140), 소리출력장치(150), 통신장치(160)를 포함하는 기기를 제어하고 이를 관리하는 장치이다.
상기 임피던스 측정회로(120)는 제세동기용 패드(220)와 환자의 임피던스를 회로이고, 저장 장치(130)는 자동제세동기(100)에 내장되어 자료 및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상기 화면출력장치(140)는 제세동기용 패드(220)의 상태를 그림, 동영상, 불빛 등을 화면으로 보여주기 위한 장치이고, 소리출력장치(150)는 제세동기용 패드(220)의 상태를 알람이나 부저 등으로 알려주는 장치이며, 통신장치(160)는 제세동기용 패드(220)의 상태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서버에 전송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세동기용 패드(220)는 자동제세동기(100)에서 환자의 심전도를 분석하거나 전기 충격을 주기 위해서 환자의 몸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이는 패드(220), 전극부(230), 젤이 도포된 전도성 시트(240)를 포함하는 패드 구성부재가 밀봉된 패드 패키지(20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세동기용 패드(220)의 구성 부재는, PE 폼으로 구성되고 패드 구성부재를 집결하는 제1,2패드(221)(222)와, 상기 제1,2패드(221)(222)의 내측에 구비되어 환자의 심전도 신호를 자동제세동기(100)에 전달하고 자동제세동기(100)의 전기충격 에너지를 환자에게 전달하는 전도체로 은 또는 염화은으로 이루어진 전극부(230)와, 환자의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점성이 있는 하이드로겔(Hydrogel) 물질로 이루어진 젤이 도포된 전도성 시트(240)와, 상기 제1,2패드(221)(222)를 밀착 고정시키는 시트인 라이너(210)가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 제1,2패드(221)(222)는 리벳(250)을 이용하여 자동제세동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라이너(210)의 일측에 패드 안내 라벨(220)이 부착되어 패드(220)를 떼어내는 방법을 안내하도록 하는 구성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제세동기용 패드(220)의 구성 부재는 봉투(파우치) 또는 캐트리지 형태로 조립되어 내부는 진공상태로 밀봉 보관하도록 하는 패드 패키지(200)로 이루어져서 전도성 시트(240)에 도포된 젤이 경화되고 전극부(230)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패드(220), 전극부(230), 젤이 도포된 전도성 시트(240)를 포함하는 패드 구성 부재가 패드 패키지(200)에 밀봉되되 패드 패키지(200) 내부에 압력을 감지하여 밀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감지부(272)와, 패드 패키지의 보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274)와, 전도성 시트(240)에 도포된 젤의 물성을 감지하기 위한 임피던스 브리지(260)와, 자동제세동기와 연결되어 패드의 점검 결과 전송 및 패드의 정보를 관리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76)가 구비된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드 패키지(200) 내부에 패드 관리장치(270)가 설치되고 패드 관리장치(270)에 압력감지부(272), 온도감지부(274), 마이크로 컨트롤러(276)가 구비된다.
상기 압력감지부(272)는 패드 패키지(2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고도센서, 압력센서 또는 압력스위치가 구비되어 패드 패키지(200)의 밀봉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패드 패키지(200)가 손상되거나 밀봉되지 않은 상태가 되면 이를 감지하여 패드가 경화되고 전극부가 산화되는 등 품질 저하 및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어 제품이 오손되는 것을 점검한다.
상기 온도감지부(274)는 패드 패키지(2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되어 전도성 시트(240)에 도포된 젤의 밀착력 및 전기에너지 전달이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적절한 보관온도로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에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보관온도가 0~45℃로 설정된 상태에서 그 설정된 온도범위를 벗어나는 저온인 경우에는 젤이 동결되어 밀착력 저하 및 밀착력이 저하되면서 발생되는 간극에 의한 불꽃 방전으로 화상 발생 우려가 있고, 설정된 온도에 비해 고온인 경우에는 젤이 경화되면서 밀착력 저하 및 밀착력이 저하되면서 발생되는 간극에 의해 불꽃 방전으로 화상 발생 우려 및 전기 에너지 전달이 잘 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점검한다.
상기 임피던스 브리지(260)는 자동제세동기(100)의 임피던스 측정회로(120)를 이용하여 전도성 시트(240)에 도포된 젤의 물성을 점검하기 위한 것으로, 하이드로겔(Hydrogel) 물질로 이루어진 젤은 굳어질수록 임피던스는 높아지는 원리를 이용하되 환자의 임피던스와 구분하기 위하여 임피던스 브리지(260)는 인체보다 높아야 한다.
이러한 임피던스 브리지(260)는 제1,2패드(221)(222)에 있는 전도성 시트(240)에 도포된 젤과 연결되되 카본 및 저항체로 구성된 임피던스 브리지 회로(262)와, 제1,2패드(221)(222)의 전도성 시트(240)에 도포된 젤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 해당되고 카본으로 구비된 임피던스 브리지 접촉면(26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임피던스 브리지(260)는 젤이 도포된 전도성 시트(240) 및 전극부(230)를 통해 제1,2패드(221)(222)의 리벳(250)에 전도가 되어 자동제세동기(100)의 임피던스 측정회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앙처리장치(110)에 전송되는 구성으로 임피던스 브리지(260)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때 전도성 시트(240)에 도포된 젤의 물성을 점검하기 위한 임피던스 브리지(260)의 임피던스 기준 값은 저항체에 의해서 환자 임피던스에 비해 높게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임피던스 측정회로(120)를 통해 측정되는 환자 임피던스와 젤의 임피던스를 구분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환자 임피던스는 기준 값이 0단위부터 시작하고 젤의 임피던스 기준 값은 1000단위부터 시작하도록 한 다음 임피던스 측정회로(120)를 통해 1000단위의 측정값이 나오는 경우에는 젤의 임피던스 측정값임을 쉽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또, 임피던스 브리지(260)는 제1,2패드(221)(222)에 있는 전도성 시트(240)에 도포된 젤과 연결되도록 하되 임피던스 브리지(260)의 이면은 라이너(210)에 일체로 부착된 구성으로 제1,2패드(221)(222)를 환자의 흉부에 부착하기 위해 라이너(210)를 분리하게 될 때 임피던스 브리지(260)도 함께 분리되어 젤의 임피던스 측정은 중단되도록 함으로써 제1,2패드(221)(222)를 이용한 환자의 임피던스만 측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276)는 자동제세동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패드의 점검 결과 전송 및 패드의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제어장치와 기억장치가 구비되어 제어장치는 압력감지부(272) 및 온도감지부(274)의 제어 및 정보 수집을 하고, 기억장치는 패드의 제품번호, 생산일자, 유효기간, 사용 여부 등의 패드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자동제세동기(100)의 중앙처리장치(110)로 전송이 되며, 중앙처리장치(110)에 의해서 화면출력장치(140), 소리출력장치(150)를 통해서 이를 확인할 수 있고, 통신장치(160)를 통해 유,무선으로 원격 전송하여 관리 점검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에 의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세동기용 패드(220)는 자동제세동기(100)에서 환자의 심전도 분석 및 전기 충격을 주기 위해서 환자의 몸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이는 패드(220), 전극부(230), 젤이 도포된 전도성 시트(240)를 포함하는 패드 구성부재가 패드 패키지(200) 내부에 밀봉되는 구성에 의해 산소를 차단시켜 전도성 시트(240)에 도포된 젤이 경화되고 전극부(230)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자동제세동기(100)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음과 같이 패드를 점검한다
패드 패키지(200)에 설치된 패드 관리장치(270)의 압력감지부(272)에 의해 밀봉된 패드 패키지(200)가 손상되거나 개봉되어 진공이 해제되는 압력변화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밀봉 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패드 패키지(200)에 설치된 패드 관리장치(270)의 온도감지부(274)에 의해 패드 패키지(200)의 보관온도를 측정하여 전도성 시트(240)에 도포된 젤의 밀착력 및 전기에너지 전달이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적절한 보관온도로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또, 패드 패키지(200) 내에 있는 제1,2패드(221)(222)에 연결된 임피던스 브리지(260)에 의해 전도성 시트(240)에 도포된 젤의 임피던스를 자동제세동기(100)의 임피던스 측정회로(120)에서 측정하여 젤의 물성을 점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드 패키지(200)에 설치된 패드 관리장치(270)의 마이크로 컨트롤러(276)는 압력감지부(272) 및 온도감지부(274)의 제어 및 정보 수집을 함과 아울러 패드(220)의 제품번호, 생산일자, 유효기간, 패드 사용 여부 등의 패드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자동제세동기(100)의 중앙처리장치(110)로 전송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패드 관리장치(270)의 마이크로 컨트롤러(276)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및 제1,2패드(221)(222)의 전도성 시트(240)에 도포된 젤의 임피던스 측정되는 정보는 자동제세동기(100)의 중앙처리장치(110)에 의해서 화면출력장치(140), 소리출력장치(150)를 통해서 출력되는 제세동기용 패드(220)의 교체 정보 등을 확인하여 교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동제세동기(100)의 중앙처리장치(110)에 의해서 제세동기용 패드(220)의 교체 정보 등을 통신장치(160)를 통해 유,무선으로 원격 전송하는 수단으로 관리자가 점검을 위해서 현장에 직접 가지 않고 제세동기용 패드를 간편하게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자동제세동기 110 : 중앙처리장치
120 : 임피던스 측정회로 130 : 저장 장치
140 : 화면출력장치 150 : 소리출력장치
160 : 통신장치 200 : 패드 패키지
210 : 라이너 212 : 패드 안내 라벨
220 : 패드 221,222 : 제1,2패드
230 : 전극부 240 : 전도성 시트
250 : 리벳 260 : 임피던스 브리지
262 : 임피던스 브리지 회로 264 : 임피던스 브리지 접촉면
270 : 패드 관리장치 272 : 압력감지부
274 : 온도감지부 276 : 마이크로 컨트롤러

Claims (7)

  1. 제세동기용 패드(220), 전극부(230), 젤이 도포된 전도성 시트(240)를 포함하는 패드 구성 부재가 패드 패키지(200)에 밀봉되되
    패드 패키지(20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밀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압력감지부(272)와,
    패드 패키지(200)의 보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274)와,
    전도성 시트(240)에 도포된 젤의 물성을 감지하기 위한 임피던스 브리지(260)와,
    상기 임피던스 브리지(260)의 이면은 라이너(210)에 일체로 부착되어 제1,2패드(221)(222)에서 분리되는 라이너(210)와 함께 임피던스 브리지(260)도 함께 분리되도록 한 것을 포함하며,
    자동제세동기(100)와 연결되어 패드의 점검 결과 전송 및 패드의 정보를 관리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7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272)는 패드 패키지(2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고도센서, 압력센서, 압력스위치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부(274)는 패드 패키지(2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브리지(260)는,
    제1,2패드(221)(222)에 있는 전도성 시트(240)에 도포된 젤과 연결되되 카본 및 저항체로 구성된 임피던스 브리지 회로(262)와, 제1,2패드(221)(222)의 전도성 시트(240)에 도포된 젤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 해당되고 카본으로 구비된 임피던스 브리지 접촉면(264)으로 구비되고, 자동제세동기(100)의 임피던스 측정회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중앙처리장치(110)로 전송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276)는 압력감지부(272) 및 온도감지부(274)의 제어 및 정보 수집을 하고, 패드의 제품번호, 생산일자, 유효기간, 사용 여부를 포함하는 패드 관리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자동제세동기(100)의 중앙처리장치(110)로 전송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
  7. 제 4항 또는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제세동기(100)의 중앙처리장치(110)로 전송되는 패드 관리정보는 화면출력장치(140), 소리출력장치(150), 유,무선 통신장치(16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
KR1020170000027A 2017-01-02 2017-01-02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 KR101743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027A KR101743414B1 (ko) 2017-01-02 2017-01-02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027A KR101743414B1 (ko) 2017-01-02 2017-01-02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414B1 true KR101743414B1 (ko) 2017-06-05

Family

ID=5922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027A KR101743414B1 (ko) 2017-01-02 2017-01-02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41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2875A1 (en) * 2018-04-04 2019-10-10 Koninklijke Philips N.V. Electrode pad set
KR102136215B1 (ko) * 2019-05-16 2020-07-21 주식회사 어니언스 의료기기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50751A (ko) * 2019-10-29 2021-05-10 정지은 일체형 자동심장충격기용 패드
WO2021186859A1 (ja) * 2020-03-17 2021-09-23 テルモ株式会社 電気刺激印加装置及び判定方法
WO2021192489A1 (ja) * 2020-03-25 2021-09-30 テルモ株式会社 電気刺激印加装置及び判定方法
EP3932477A4 (en) * 2019-02-27 2022-03-09 Shenzhen Mindray Bio-Medical Electronics Co., Ltd. DEFIBRILLATOR AND ELECTRODE PLATES
KR102404108B1 (ko) 2022-01-24 2022-06-02 (주)나눔테크 손상방지 임피던스 브리지가 구비된 자동제세동기용 패드점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1664A (ja) * 2006-03-29 2007-10-11 Oki Electric Ind Co Ltd 輸送用ボックス
US20090048636A1 (en) * 2004-06-10 2009-02-19 Medtronic Emergency Response Systems, Inc. Assessing medical electrode condition
KR101236914B1 (ko) 2012-11-09 2013-02-25 (주)나눔테크 임피던스 측정 전극패드 및 전극패드 자가진단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8636A1 (en) * 2004-06-10 2009-02-19 Medtronic Emergency Response Systems, Inc. Assessing medical electrode condition
JP2007261664A (ja) * 2006-03-29 2007-10-11 Oki Electric Ind Co Ltd 輸送用ボックス
KR101236914B1 (ko) 2012-11-09 2013-02-25 (주)나눔테크 임피던스 측정 전극패드 및 전극패드 자가진단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2875A1 (en) * 2018-04-04 2019-10-10 Koninklijke Philips N.V. Electrode pad set
EP3932477A4 (en) * 2019-02-27 2022-03-09 Shenzhen Mindray Bio-Medical Electronics Co., Ltd. DEFIBRILLATOR AND ELECTRODE PLATES
KR102136215B1 (ko) * 2019-05-16 2020-07-21 주식회사 어니언스 의료기기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50751A (ko) * 2019-10-29 2021-05-10 정지은 일체형 자동심장충격기용 패드
KR102264172B1 (ko) 2019-10-29 2021-06-11 정지은 일체형 자동심장충격기용 패드
WO2021186859A1 (ja) * 2020-03-17 2021-09-23 テルモ株式会社 電気刺激印加装置及び判定方法
WO2021192489A1 (ja) * 2020-03-25 2021-09-30 テルモ株式会社 電気刺激印加装置及び判定方法
KR102404108B1 (ko) 2022-01-24 2022-06-02 (주)나눔테크 손상방지 임피던스 브리지가 구비된 자동제세동기용 패드점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414B1 (ko) 자동제세동기용 패드 점검 시스템
US7526345B2 (en) Assessing medical electrode condition
EP2750592B1 (en) Medical equipment electrodes
EP3128903B1 (en) Method, devices and processor-exectuable instructions for detecting an attachment of an electronic patch
EP3222320B1 (en) Adaptive self-testing and stress analysis of medical devices
US6694193B2 (en) Medical electrode and release liner configurations facilitating packaged electrode characterization
US20070090355A1 (en) Single separable electrode and self-contained pad viability tester
EP1852144B1 (en) Defibrillator with a self-test system
US6208251B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assisting isolated persons,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ystem
JP2015535184A (ja) 可撓性の軽量生理学的モニタ
CN109843151A (zh) 用于检测受激运动反应的系统和方法
JP6801880B2 (ja) 除細動器訓練システム
KR101236914B1 (ko) 임피던스 측정 전극패드 및 전극패드 자가진단방법
EP3406297B1 (en) Testing of defibrillator electrodes
JP4040808B2 (ja) トレーニングマネキン上における細動除去器電極の位置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2404108B1 (ko) 손상방지 임피던스 브리지가 구비된 자동제세동기용 패드점검 시스템
CN107015000B (zh) 动态连续血糖监测系统的一次性监测装置
EP3474732B1 (en) Device for monitoring patient's vital functions comprising a piezoelectric transducer and a measuring capacitor
KR101259128B1 (ko) 전극패드의 임피던스 측정을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작동 안내방법
US20230293885A1 (en) Electrodes with usability indicator
JP2024021061A (ja) 生体信号測定パッチ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20230037091A (ko) 자동심장충격기 모니터링을 위한 거치 시스템
US20180256054A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evaluating cardiac anoma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