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318A -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318A
KR20210050318A KR1020190134790A KR20190134790A KR20210050318A KR 20210050318 A KR20210050318 A KR 20210050318A KR 1020190134790 A KR1020190134790 A KR 1020190134790A KR 20190134790 A KR20190134790 A KR 20190134790A KR 20210050318 A KR20210050318 A KR 20210050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dentification
call
connection device
cal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5892B1 (ko
Inventor
임홍진
Original Assignee
블루칩씨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루칩씨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루칩씨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892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02Preprocessing operations, e.g. segment selection; Pattern representation or modelling, e.g. based on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 or principal components; Feature selection or extra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04Training, enrolment or model bui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통화연결장치는 제1 식별사운드가 부가된 통화데이터를 수신하면, 통화데이터에 포함된 제1 식별사운드를 기초로 전화통화 상대방을 식별한다.

Description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identifying user using sound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화통화 상대방을 식별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운드를 이용하여 전화통화 상대방을 식별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찰청, 은행, 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발생하고 있다. 과거에는 단순히 범죄자가 발신자 정보만을 위조하였다면 최근에는 피해자가 경찰청 등으로 전화를 걸면 이를 보이스피싱 조직으로 콜 라우팅(call routing)시켜 정교하게 속이는 방법으로 진화하고 있어 보이스피싱 여부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각 사용자에게 부여한 고유의 식별사운드를 이용하여 전화통화 상대방을 식별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의 일 예는, 통화연결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 식별 방법에 있어서, 전화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제1 식별사운드가 부가된 통화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데이터에 포함된 제1 식별사운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사운드를 기초로 전화통화 상대방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연결장치의 일 예는, 기 정의된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포함하는 제1 식별사운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1 식별사운드를 통화데이터에 부가하는 사운드부가부; 및 상기 통화데이터를 전화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사용자에게 부여한 고유의 식별사운드를 이용하여 전화통화 상대방을 식별할 수 있다. 전화번호를 위변조한 경우에도 식별사운드를 통해 전화통화 상대방을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콜 라우팅 등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등의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등을 제공하는 기업 고객 서비스 센터에서 고객 식별을 위한 별도의 정보를 입력받을 필요없이 식별사운드를 이용한 고객 자동 식별을 통해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사운드를 통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식별서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식별서버가 식별사운드를 부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식별서버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사운드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사운드 정책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방법을 ARS 서비스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데이터를 블록단위로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연결장치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통화연결장치(100)와 제2 통화연결장치(150)는 전화통화가 가능한 모든 종류의 단말을 의미하며, 일 예로 일반 유선전화기 또는 스마트폰 등이 있다.
제1 통화연결장치(100)와 제2 통화연결장치(150)를 연결하는 통신망(180)은 유선 전화망 또는 무선 전화망(이동통신망)이거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위한 인터넷망일 수 있다. 이하에서, 전화통화망이라고 함은 특정 통신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1 통화연결장치(100)와 제2 통화연결장치(150) 사이의 전화통화에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망을 의미한다.
제1 통화연결장치(100) 또는 제2 통화연결장치(150)는 전화통화 상대방을 식별할 수 있도록 제1 식별사운드(120) 또는 제2 식별사운드(170)를 통화연결음 또는 전화통화시의 통화 데이터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본 실시 예를 포함한 이하의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통화연결장치(100)와 제2 통화연결장치(150)가 모두 각자의 식별사운드(120,170)를 전송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 예로 제1 통화연결장치(100) 및 제2 통화연결장치(150) 중 어느 하나의 통화연결장치만이 자신의 식별사운드를 전송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는 제1 식별사운드(120) 또는 제2 식별사운드(170)를 전화통화망을 통해 전송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각 통화연결장치(100,150)는 상대방 통화연결장치로부터 수신한 식별사운드(120,170)를 이용하여 전화통화 상대방(110,160)을 식별한다. 식별사운드는 각 사용자(110,160)에게 부여된 고유한 소리이며 따라서 통화연결장치(100,150)는 수신한 식별사운드가 어느 사용자에게 부여된 소리인지 파악하여 사용자(110,150)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통화연결장치(100,150)는 사용자별 식별사운드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110,160)는 가족이나 친구 등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스마트폰에 저장된 식별사운드를 자신의 통화연결장치에 전송받은 후 이를 연락처와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3과 같이 사운드식별서버(300)가 사용자별 식별사운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각 통화연결장치(100,150)는 사운드식별서버(300)를 통해 식별사운드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운드식별서버(300)의 일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사운드식별서버(300)를 통한 식별사운드의 관리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사운드를 통화 데이터에 부가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화데이터(240)는 일정 주파수 대역(이하, 전화통화 주파수 대역)(200)의 소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화연결장치가 스마트폰인 경우에, 스마트폰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등을 포함한 주변 환경의 소리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생성한 통화데이터(240)를 통신망을 통해 상대방 통화연결장치로 전송하며, 이때 디지털신호로 변환되는 소리는 기 정의된 전화통화주파수대역(200)의 소리이다.
일 실시 예로, 전화통화 주파수 대역(200)은 가청 주파수 대역(220)과 그 주변의 비가청 주파수 대역(210,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식별사운드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전화통화 주파수 대역(200)에 비가청 주파수 대역(210,230)이 존재하지 않거나, 비가청 주파수 대역(210,230)이 좁아 식별사운드를 부가하기 어렵다면, 식별사운드는 가청 주파수 대역(220) 중 일부 또는 전부의 대역 또는 비가청 주파수 대역(210,230)과 가청 주파수 대역(220)의 일부를 포함하는 대역의 소리일 수 있다.
통화연결장치는 미리 정의된 일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인 식별사운드를 오디오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통화연결장치는 다양한 파일 형태 또는 다양한 데이터 형태로 식별사운드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통화연결장치는 사용자식별코드를 저장하며,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식별코드를 미리 정의된 일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인 식별사운드로 생성할 수 있다.
통화연결장치는 통화연결장치의 마이크로 입력되는 소리와 식별사운드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식별사운드가 전화통화 주파수 대역(200) 내의 소리이므로 통화연결장치는 전화통화 주파수 대역(200)의 소리를 종래와 같이 디지털화하여 통화데이터를 생성하면, 통화데이터에는 식별사운드가 포함된다.
다른 실시 예로, 식별사운드는 통화연결장치가 아닌 별도의 소리발생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식별사운드가 저장된 소리발생장치를 켠 후 통화연결장치로 전화통화를 하면 통화데이터에 식별사운드가 부가된다. 다시 말해, 통화연결장치의 마이크에는 사용자의 음성뿐만 아니라 소리발생장치로부터 출력된 식별사운드가 함께 입력되므로 통화데이터에는 자연스럽게 식별사운드가 부가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식별서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운드식별서버(300)는 통신망(310)을 통해 각 통화연결장치(100,150)와 연결된다. 사운드식별서버(300)는 각 사용자에게 고유의 식별사운드를 부여하고, 사용자별 식별사운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사운드식별서버(300)가 각 사용자에게 식별사운드를 부여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각 통화연결장치(100,150)가 사운드식별서버(300)를 통해 전화통화 상대방을 식별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식별서버가 식별사운드를 부여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통화연결장치(100)의 사용자는 사운드식별서버(300)에 회원가입을 한다(S400). 사운드식별서버(300)는 사용자 정보 또는 제1 통화연결장치의 고유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식별코드를 생성한다(S410). 사운드식별서버(300)는 사용자식별코드와 사용자 정보를 맵핑하여 저장한다(S420).
사운드식별서버(300)는 사용자식별코드를 제1 통화연결장치(100)로 전송한다(S430). 일 실시 예로, 사운드식별서버(300)는 사용자 식별코드를 암호화하여 제1 통화연결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사운드식별서버(300)는 사용자 식별코드(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식별코드)를 일정 대역의 주파수 파형으로 만든 식별사운드를 오디오 파일 형태로 만들어 제1 통화연결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사운드식별서버(300)는 식별사운드를 오디오 파일이 아닌 본 실시 예를 위한 전용의 파일 형태로 만들어 전송하거나 종래의 다양한 파일 형태로 만들어 전송할 수도 있다.
제1 통화연결장치(100)는 사운드식별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식별코드(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식별코드)를 로컬에 저장한다. 만약, 사용자가 제1 통화연결장치(100)가 아닌 다른 장치로 회원가입하는 경우에, 사운드식별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제1 통화연결장치(10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를 입력받은 후 사용자식별코드(또는 암호화된 사용자식별코드)를 제1 통화연결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통화연결장치(100)는 사용자 식별코드(또는 암호화된 사용자 식별코드)를 기 정의된 주파수 대역의 소리로 변환한 식별사운드를 오디오 파일 형태로 저장하거나, 사운드식별서버(300)로부터 오디오 파일 형태의 식별사운드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1 통화연결장치(100)는 본 실시 예를 포함한 이하의 다양한 실시 예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연결장치(100)는 본 실시 예를 위한 전용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앱스토어(예를 들어, 구글스토어 등)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거나 사운드식별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는 제1 통화연결장치에는 본 실시 예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탑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운드식별서버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통화연결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를 선택받는다(S500). 제1 통화연결장치(100)는 선택된 전화번호를 사운드식별서버(300)로 전송한다(S505).
사운드식별서버(300)는 수신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식별사운드 정책이 존재하는지 파악하고(S510), 파악한 식별사운드 정책을 제1 통화연결장치(100)에 전송한다(S515). 사운드식별서버(300)는 수신한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통화 이력 조회에 활용할 수 있다.
식별사운드 정책은 제1 통화연결장치(100)가 식별사운드를 어떤 방식으로 전송할지를 정의한 것으로, 다양한 실시 예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식별사운드 정책은 사용자별로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사운드식별서버(300)는 일부 사용자에 대한 식별사운드 정책을 해당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식별서버(300)는 도 4에서 살핀 식별사운드 부여 과정에서 각 사용자로부터 식별사운드 정책을 등록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운드식별서버(300)는 사용자가 기업인 경우에만 식별사운드 정책을 등록받을 수 있다.'
전화통화가 연결되면(S520), 제1 통화연결장치(100)는 식별사운드 정책에 따라 통화데이터에 식별사운드를 부가하여 전송하고(S525,S535), 제2 통화연결장치(150) 또한 식별사운드 정책에 따라 통화데이터에 식별사운드를 부가하여 전송한다(S530,S535). 식별사운드 정책은 제2 통화연결장치(150)의 사용자가 등록한 정책이며 따라서 제2 통화연결장치(150)에 식별사운드 정책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통화연결장치(150)에 식별사운드 정책이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제2 통화연결장치(150)는 자신의 전화번호를 사운드식별서버(300)에 전송하여 자신이 등록한 식별사운드 정책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사운드 정책이 통화 연결 시점부터 발신자가 5초 동안 자신의 제1 식별사운드를 전송하고, 이후 수신자가 제2 식별사운드를 전송하는 정책인 경우에, 제1 통화연결장치(100)가 먼저 제1 식별사운드를 통화 연결 시점에 통화데이터에 부가하여 전송하고, 이후 제2 통화연결장치(100)가 식별사운드 정책에 정의된 시간이 되면 제2 식별사운드를 통화데이터에 부가하여 전송한다.
본 실시 예는, 수신자인 제2 통화연결장치(150)가 사운드식별서버(300)에 등록한 식별사운드 정책을 이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발신자인 제1 통화연결장치(100)가 사운드식별서버(300)에 등록한 식별사운드 정책을 이용하거나, 사운드식별서버(300)가 미리 정의한 식별사운드 정책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1 통화연결장치(100)가 식별사운드 정책을 파악하는 과정(S505,S510,S515)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통화연결장치(100,150)의 식별사운드 정책이 모두 동일하거나, 제1 통화연결장치(100)에 제2 통화연결장치(150)의 식별사운드 정책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예를 들어, 이전에 사운드식별서버(300)로부터 식별사운드 정책을 수신한 경우)에는 제1 통화연결장치(100)는 사운드식별서버(300)를 통한 식별사운드 정책 파악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제1 통화연결장치(100)와 제2 통화연결장치(150)는 송수신되는 통화데이터에 부가된 상대방 식별사운드를 추출한다(S540,S545). 제1 통화연결장치(100)는 추출한 제2 통화연결장치(150)의 제2 식별사운드를 사운드식별서버(300)로 전송하고(S550), 사운드식별서버(300)는 제2 식별사운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파악하여 제1 통화연결장치(100)에 제공한다(S555). 또한, 제2 통화연결장치(150)는 추출한 제1 통화연결장치(100)의 제1 식별사운드를 사운드식별서버로 전송하고(S560), 사운드식별서버(300)는 제1 식별사운드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파악하여 제2 통화연결장치(565)에 제공한다.
제1 통화연결장치(100)와 제2 통화연결장치(150)는 사운드식별서버(300)로부터 전화통화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보이스피싱 조직이 콜 라우팅을 통해 수신자를 속인 경우에, 제1 통화연결장치(100)는 원래 전화통화하고자 했던 제2 통화연결장치(150)의 제2 식별사운드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보이스피싱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통화연결장치(150)가 ARS 등의 기업고객센터인 경우 제2 통화연결장치(150)는 별도의 정보를 입력받을 필요없이 제1 통화연결장치(100)의 사용자 정보를 신속하게 식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통화연결장치(100)와 제2 통화연결장치(150)가 식별사운드를 전송하는 순서나 방법은 식별사운드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 5는 하나의 예일 뿐 식별사운드의 전송 순서와 방법이 도 5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 통화연결장치(100)와 제2 통화연결장치(150) 모두 각자의 식별사운드를 통화데이터에 부가하여 전송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통화연결장치(100)가 제1 식별사운드를 전송하고 제2 통화연결장치(150)는 제2 식별사운드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전화통화의 수신자측인 제2 통화연결장치(150)가 제1 통화연결장치(100)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통화연결장치(150)가 제2 식별사운드를 전송하고 제1 통화연결장치(100)는 제1 식별사운드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전화통화의 발신자측인 제1 통화연결장치(100)가 제2 통화연결장치(150)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식별사운드는 전화연결 후의 통화데이터가 아닌 통화연결음에 부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사운드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식별사운드(600)는 사용자식별코드(610)와 가변코드(620)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사운드에 포함되는 정보는 미리 정의되어 있거나 도 5에서 살핀 식별사운드 정책에 따라 사용자별로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식별코드(610)는 각 사용자에게 고유하게 부여된 고정된 정보이고, 가변코드(620)는 통화데이터에 식별사운드(600)를 부가할 때마다 매번 변경되는 정보이다. 가변코드(620)의 일 예로, 시간정보(예를 들어, 분 또는 초 단위까지의 시간 정보) 또는 금융서비스 등에 이용되는 OTP(One Time Password) 정보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가변코드(620)로 이용될 수 있다. 가변코드(620)는 전화통화마다 변경되는 정보이므로 악의의 제3자가 통화내용을 녹음하여 악의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통화연결장치(100,150) 또는 사운드식별서버(300)는 각 사용자의 사용자식별코드(610)를 기 정의된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도 2에서 살핀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파형으로 만들 수 있다. 사용자식별코드(610)의 디지털 값을 아날로그 형태의 주파수 파형으로 만들거나 그 반대로 만드는 종래의 다양한 인코딩/디코딩 방법이 본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다.
통화연결장치는 도 4에서 살핀 바와 같이 사운드식별서버(300)로부터 사용자식별코드(또는 암호화된 사용자식별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통화연결장치는 전화통화시에 사용자식별코드(또는 암호화된 사용자식별코드)와 가변코드(620)를 기 정의된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도 2에서 살핀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파형으로 구성된 식별사운드(600)를 생성한다. 통화연결장치는 사용자식별코드(610)와 가변코드(620)가 포함된 식별사운드를 통화데이터에 부가하여 전송한다.
수신측 통화연결장치는 통화데이터에 부가된 식별사운드(600)를 추출하고, 추출한 식별사운드(600)에 포함된 사용자식별코드(610) 및 가변코드(620)를 파악한 후 가변코드(620)가 기 정의된 식별사운드 정책에 따라 부가된 정보인지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측 통화연결장치는 가변코드(620)가 시간정보일 경우에는 현 통화시점의 시간정보와 비교하여 일정 범위 내의 시간정보이면 정당한 식별사운드로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통화연결장치는 통화데이터에 부가된 식별사운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식별사운드(예를 들어, 비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 데이터)를 그대로 사운드식별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운드식별서버(300)가 식별사운드를 디코딩하여 사용자식별코드(610) 및 가변코드(620)를 파악한 후 정당한 사용자의 식별사운드인지 여부를 가변코드(620)를 통해 파악하고, 사용자식별코드(610)를 통해 사용자정보를 파악하여 통화연결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사운드 정책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통화연결장치(100)와 제2 통화연결장치(150)는 식별사운드 정책에 따라 식별사운드를 전송한다. 식별사운드 정책은 식별사운드의 삽입시점이나 전송간격 등을 정의하고 있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식별사운드 정책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사운드 정책이 전화통화 연결된 후 t1(예를 들어, 전화통화 연결된 시점 등)부터 발신자인 제1 통화연결장치(100)가 제1 식별사운드(710)를 일정 간격(t3-t1)마다 반복 전송하고, 수신자인 제2 통화연결장치(150)는 t2부터 제2 식별사운드(720)를 일정간격(t4-t1)마다 반복 전송하는 정책일 수 있다.
식별사운드가 악의적 제3자에게 유출된 경우에도, 식별사운드 정책의 전송간격 등을 검증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별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방법을 ARS 서비스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신측 통화연결장치가 ARS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기업고객센터인 경우에, 발신측 통화연결장치의 사용자는 ARS 전화번호로 전화를 건 후 ARS 메뉴를 선택한다(S800).
발신측 통화연결장치는 ARS 메뉴가 선택되는 시점에 식별사운드를 통화데이터에 부가하고(S810), 식별사운드가 부가된 통화데이터를 수신측 통화연결장치로 전송한다(S820). 다시 말해, 발신측 통화연결장치에서 ARS 메뉴가 선택되면, 메뉴의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데이터가 수신측 통화연결장치로 전송되는데, 그 통화데이터에 식별사운드가 부가된다.
악의적 제3자에 의한 식별사운드의 도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신측 통화연결장치는 ARS 메뉴의 서비스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사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식별사운드(600)는 사용자식별코드 및 가변코드와 함께 서비스식별코드를 포함하거나, 가변코드 없이 사용자식별코드와 서비스식별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ARS 메뉴별로 부여된 서비스식별코드는 발신측 통화연결장치에 미리 등록되어 있거나, 사운드식별서버(300)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운드식별서버(300)에 서비스식별코드가 등록되어 있다면, 발신측 통화연결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ARS 메뉴 정보를 사운드식별서버(300)로 전송하고, 사운드식별서버(300)로부터 ARS 메뉴 정보에 해당하는 서비스식별코드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데이터를 블록단위로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발신측 통화연결장치는 통화데이터를 일정 크기의 블록단위(900,910,920)로 암호화하여 수신측 통화연결장치로 전송한다. 발신측 통화연결장치는 통화데이터와 제1 비밀키를 포함하는 첫 번째 블록(900)을 공개키로 암호화하고, 통화데이터와 제2 비밀키를 포함하는 두 번째 블록(910)을 제1 비밀키로 암호화한다. 발신측 통화연결장치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N번째 블록(920)을 제(N-1) 비밀키로 암호화한다.
(N+1)번째 블록(930)은 통화데이터와 제1 비밀키를 포함하며, 발신측 통화연결장치는 (N+1)번째 블록을 제N 비밀키로 암호화한다. 그 다음 블록은 제2 비밀키를 포함하며, 제1 비밀키로 암호화된다. 즉, 발신측 통화연결장치는 N개의 비밀키를 순환 사용하여 통화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전체 또는 일부 블록의 통화데이터에는 식별사운드가 존재할 수 있다.
수신측 통화연결장치는 첫 번째 블록(900)을 수신하면 공개키로 복호화(950)하여 통화데이터 및 제1 비밀키를 획득한다. 두 번째 블록(910)을 수신하면, 수신측 통화연결장치는 첫 번째 블록을 통해 획득한 제1 비밀키로 두 번째 블록을 복호화(960)한다. N번째 블록은 제(N-1) 비밀키로 복호화(970)되고, (N+1)번째 블록은 제1 비밀키로 복호화(980)된다. 즉 수신측 통화연결장치는 이전 블록을 통해 획득한 비밀키로 현재 수신한 블록을 복호화한다.
이를 위해, 각 통화연결장치는 사운드식별서버(300)로부터 공개키 및 비밀키를 할당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식별서버(300)는 발신측 통화연결장치에 복수 개의 비밀키와 이에 대한 공개키를 발급할 수 있다. 공개키는 모든 통화연결장치에 공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사운드식별서버(300)는 공통의 공개키를 생성하고, 공통의 공개키와 대응되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비밀키를 생성한 후, 각 비밀키를 각 통화연결장치에 발급할 수 있다. 사운드식별서버로부터 정당하게 공개키를 수신한 수신측 통화연결장치는 발신측 통화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통화데이터는 블록단위로 암호화하여 전송되고, 복호화를 위한 비밀키는 이전 블록에 존재하므로, 악의적 제3자가 통화 중간에 내용을 도청할 수 없다. 또한, 악의적 제3자가 공개키를 획득하였다고 하여도 통화연결장치 사이의 첫 번째 블록을 확보하지 못하면 이후의 블록을 복호화할 수 없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화연결장치의 일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통화연결장치(100,150)는 저장부(1000), 사운드부가부(1010), 사용자식별부(1020) 및 송수신부(1030)를 포함한다. 통화연결장치(100,150)는 스마트폰 등과 같이 종래 전화통화가 가능한 모든 종류의 단말에 본 실시 예의 추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추가적인 구성은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부가될 수 있다.
저장부(1000)는 사운드식별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식별코드(또는 암호화된 사용자식별코드)를 저장한다. 다른 실시 예로, 저장부(1000)는 사용자식별코드를 일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로 만든 식별사운드를 오디오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저장부(1000)는 사용자식별코드뿐만 아니라 도 5에서 살핀 식별사운드 정책, 도 8에서 살핀 ARS 메뉴의 서비스식별코드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운드부가부(1010)는 통화연결시 통화데이터에 식별사운드를 부가한다. 예를 들어, 사운드부가부(1010)는 통화연결장치(100,150)의 마이크의 입력단에 사용자식별코드를 일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로 만든 식별사운드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화연결장치(100,15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식별사운드의 소리 파형을 함께 디지털화하여 통화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사운드부가부(1010)는 식별사운드에 도 6에서 살핀 가변코드를 더 추가하거나 도 8에서 살핀 서비스 식별코드를 더 부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사운드부가부(1010)는 식별사운드 정책에 따라 통화데이터에 식별사운드를 부가하는 시점이나 전송간격 등을 결정할 수 있으며 그 일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송수신부(1030)는 식별사운드가 부가된 통화데이터를 전송한다. 다른 실시 에로, 송수신부(1030)는 통화데이터를 일정 블록 단위로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그 일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부(1030)는 암호화된 블록 단위의 통화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사용자식별부(1020)는 상대방 통화연결장치로부터 수신한 통화데이터에 포함된 식별사운드를 추출하고, 해당 식별사운드를 이용하여 전화통화 상대방을 식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식별부(1020)는 사용자별 식별사운드에 대한 정보를 로컬에 저장하고 있다면, 추출한 식별사운드를 기초로 로컬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하여 전화통화 상대방이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식별부(1020)는 추출한 식별사운드를 사운드식별서버(300)에 전송하고, 사운드식별서버(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통화연결장치가 수행하는 사용자 식별 방법에 있어서,
    전화통화를 연결하는 단계;
    제1 식별사운드가 부가된 통화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데이터에 포함된 제1 식별사운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식별사운드를 기초로 전화통화 상대방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사운드는 기 정의된 대역의 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사운드식별서버에 등록된 식별사운드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정보 사이의 맵핑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식별사운드에 해당하는 사용자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전화통화 상대방에게 상기 통화연결장치의 제2 식별사운드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사운드식별서버로부터 상기 전화통화 상대방의 식별사운드 정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사운드 정책에 포함된 식별사운드의 삽입시점 또는 전송간격을 기초로 상기 제2 식별사운드를 통화데이터에 부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식별사운드가 부가된 통화데이터를 상기 전화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사운드는 상기 통화데이터에 부가될 때마다 변경되는 가변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사운드는 ARS의 메뉴 선택시점에 상기 통화데이터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8. 기 정의된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포함하는 제1 식별사운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제1 식별사운드를 통화데이터에 부가하는 사운드부가부; 및
    상기 통화데이터를 전화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연결장치.
KR1020190134790A 2019-10-28 2019-10-28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및 그 장치 KR102335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790A KR102335892B1 (ko) 2019-10-28 2019-10-28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790A KR102335892B1 (ko) 2019-10-28 2019-10-28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318A true KR20210050318A (ko) 2021-05-07
KR102335892B1 KR102335892B1 (ko) 2021-12-07

Family

ID=7591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790A KR102335892B1 (ko) 2019-10-28 2019-10-28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8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754A (ko) * 2003-11-03 2006-09-15 콸콤 (유케이) 리미티드 전화 장치에서 인입 호출의 스크리닝 및 제어
KR20060102457A (ko) * 2005-03-23 2006-09-2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이중 고객 인증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서버와기록매체
EP2958043A1 (en) * 2014-06-16 2015-12-23 Cashlog, S.L. Method for the recognition of user profiles
KR101718368B1 (ko) * 2015-11-03 2017-03-21 보이스로코 주식회사 생체 인식을 통한 보안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5575A (ko) * 2016-07-06 2018-01-16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 단말 기반의 그룹 통화 보안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754A (ko) * 2003-11-03 2006-09-15 콸콤 (유케이) 리미티드 전화 장치에서 인입 호출의 스크리닝 및 제어
KR20060102457A (ko) * 2005-03-23 2006-09-2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이중 고객 인증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서버와기록매체
EP2958043A1 (en) * 2014-06-16 2015-12-23 Cashlog, S.L. Method for the recognition of user profiles
KR101718368B1 (ko) * 2015-11-03 2017-03-21 보이스로코 주식회사 생체 인식을 통한 보안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5575A (ko) * 2016-07-06 2018-01-16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 단말 기반의 그룹 통화 보안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5892B1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4043B2 (en) Identity and content authentication for phone calls
US202203375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hone number certification and verification
US84675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telephone callers and avoiding unwanted calls
US20090025075A1 (en) On-demand authentication of call session party information during a telephone call
KR101182540B1 (ko) 호출자 위치, 프로파일, 및 신뢰 관계의 실시간 표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1534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blocking robocalls
JP4633059B2 (ja) 携帯機器を用いた電気通信網における認証の方法及びデバイス
CN105229985A (zh) 标识令牌
WO2016062153A1 (zh) 一种音频数据安全传递方法、系统及终端
CN110380856B (zh) 终端设备及其语音信息处理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CN112929339A (zh) 一种保护隐私的消息传送方法
CN113114858B (zh) 一种基于网关为通话添加可信标识的方法和装置
US20090129293A1 (en) Recording a circuit switched call using an ip based control interface
KR102335892B1 (ko) 사운드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 방법 및 그 장치
JP5242790B2 (ja) アクセス管理方法
KR102308247B1 (ko) 양자난수 기반의 양자암호화칩이 탑재된 비화기기 및 이를 이용한 비화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JP5103950B2 (ja) 呼制御サーバおよび個人情報データベースならびに音声データの生成方法
US8917840B2 (en) Enhanced privacy caller identification system
WO2018157211A1 (en) Securely verifying voice communication
AU2019101103A4 (en) Securely verifying voice communication
JP4160523B2 (ja) 音情報提供システム
CN113099444B (zh) 一种保护隐私的信息传输方法及其系统
JP4537987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ボイスメール装置
RU2453065C2 (ru) Способ персонального вызова пользователя телефонной сети связи
JP3642253B2 (ja) 位置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並びに、位置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情報利用方法、発信端末、位置センタ、及び、着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