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185A -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185A
KR20210050185A KR1020190134509A KR20190134509A KR20210050185A KR 20210050185 A KR20210050185 A KR 20210050185A KR 1020190134509 A KR1020190134509 A KR 1020190134509A KR 20190134509 A KR20190134509 A KR 20190134509A KR 20210050185 A KR20210050185 A KR 20210050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disposed
building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915B1 (ko
Inventor
이승권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34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9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01L35/32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 프레임부, 발전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표시부는 건물 외벽에 설치된 창호에 배치되고, 투명 LED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부는 창호의 창틀에 배치되고, 표시부의 양 측단이 결합된다. 발전부는 프레임부에 배치되고, 건물의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하여 발전시키는 열전모듈과 태양광 셀을 이용하여 자가 발전한다. 저장부는 프레임부에 배치되고,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한다. 제어부는 표시부, 발전부 및 저장부를 제어한다. 또한, 프레임부는 발전부가 배치되는 제1 수용부 및 저장부가 배치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Window Frame-Install Type Display Apparatus of Building Outside Having Self-Generating and Charging}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의 창틀에 설치되는 열전모듈 및 태양광 셀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적용하여 스스로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산업의 발전에 따라 LED(Light Emitting Diode)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해 광고 산업, LED 산업도 성장하고 있다. 그 중 투명 LED 디스플레이(Display)의 경우, 광고용 및 전시용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옥외광고로 사용되고 있는 전광판들은 네온이나 냉음극 방전광을 사용하는데 이는 고압의 전원을 사용하므로 전력소모가 크고, 감전 및 화재의 위험이 있으며, 기계적 수명이 짧다. 또한, 두께가 두껍고, 한 모듈(module) 단위로 제작되기 때문에 주문 제작시 설치 및 유지 비용이 만만치 않다.
또한, 종래의 투명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외부전원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외부전원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력으로 사용하는 경우 재난 및 기타 비상시에 외부전원이 끊겨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시민들이 화재나 재난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외부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하다.
투명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래 연구로, 디스플레이 기능을 하면서도 투명도를 향상시키는 등의 연구가 있지만,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투명 LED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된 연구가 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42393호 (공고일자 2019년01월29일)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을 적용하여 스스로 전력을 생산 및 충전하고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되는,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 프레임부, 발전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표시부는 건물 외벽에 설치된 창호에 배치되고, 투명 LED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부는 창호의 창틀에 배치되고, 표시부의 양 측단이 결합된다. 발전부는 프레임부에 배치되고, 건물의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하여 발전시키는 열전모듈과 태양광 셀을 이용하여 자가 발전한다. 저장부는 프레임부에 배치되고,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한다. 제어부는 표시부, 발전부 및 저장부를 제어한다. 또한, 프레임부는 발전부가 배치되는 제1 수용부 및 저장부가 배치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발전부는 기판을 포함한다. 열전모듈 및 태양광 셀은 기판에 하나 이상 배치된다. 열전모듈 및 태양광 셀은 기판에 탈 부착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열전모듈은 건물 외벽 및 창호와 건물 내부의 온도차를 에너지 하베스팅으로 이용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발전부는 복합 모듈 장치에 탈 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복합 모듈 장치의 테두리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일면은 PCB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열전모듈과 태양광 셀이 복합 모듈 장치에 탈 부착 가능하며, 부착시 +, - 단자가 연결되는 구조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복합 모듈 장치는 제1 수용부에 탈 부착되는 구조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수용부는 프레임부에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복합 모듈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다수개의 제1 수용부에 각각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는 하나의 수용실에 배치된다. 제1 수용부는 수용실의 외측에 형성되고, 제2 수용부는 수용실의 내측에 형성된다. 수용실은 프레임부의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열전모듈 및 태양광 셀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적용하여 스스로 전력을 생산 및 충전할 수 있고,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비상시 및 재난 발생시에도 외부 전력이 필요 없으며, 자가 발전으로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열전모듈 및 태양광 셀의 발전용량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기판, 열전모듈 및 태양광 셀의 교체,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프레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요소인 발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발전부와 저장부가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종래기술에 의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는 것에 관하여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하여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는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를 앞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b)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100) 및 프레임부(2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각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표시부(100)>
도 2는 도 1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100)는 영상 및/또는 문자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Display Screen)을 말한다.
표시부(100)는, 요즘 각광받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에서, 관제센터 등에서 통신망 등을 통해 광고 및 각종 정보 등과 관련된 영상 등이 표시되는 모니터(Monitor) 또는 스크린을 말하며, 지하철 역사, 버스정류장, 건물 외벽, 아파트 엘리베이터, 은행 등 유동 인구가 많은 곳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100)는 건물 외벽에 설치된 창호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100)는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필름(Film)일 수 있다. 투명 LED 필름은 투명 전극 필름(110)에 LED 소자(130)가 배치된 구조이다. LED 소자(130)의 발광에 의해 영상이나 문자 등이 표시된다.
표시부(10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프레임부(200)에 배치될 수 있고, 프레임부(2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표시부(10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저장부(4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프레임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표시부(100)는 프레임부(200)에 탈 부착이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표시부(10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어부(500)와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어부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영상이나 문자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00)가 투명 LED 필름인 경우, 표시부(100)는 메탈메시(metal mesh)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고, 모아레(Moire) 현상(두 개 이상의 주기적인 물결무늬가 겹쳐서 생기는 간섭무늬)을 방지하기 위해 선폭을 1마이크로미터 이하로 제작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
도 3은 도 1의 프레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프레임부(200)를 앞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b)는 프레임부(200)를 뒤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부(200)는 표시부(100)의 양 측단이 결합될 수 있고, 표시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부(200)는 건물 외벽에 설치된 창호의 창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00)는 건물 외벽에 설치된 창호에 배치될 수 있고, 표시부(100)의 양 측단이 결합된 표레임부(200)는 창호의 창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는 표시부(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거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부(200)는 표시부(100)의 양측 또는 일측 가장자리와 결합되어 표시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레임부(200)는 건물의 유리창을 지지(또는 가이드)하는 창틀(일반적으로 유리창을 감싸는 고정 틀)에 형성(제작)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레임부(200)는 별도로 제작되어 건물의 외벽이나 창호(건물에 달린 창과 문)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즉 프레임부(200)는 창틀에 형성(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별도의 구성요소로 제작되어 건물의 외벽, 창틀 또는 문 등에 부착(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를 건물의 외벽이나 창호 등에 부착함으로써, 하기에서 설명하는 발전부(300)의 구성요소인 열전모듈 및/또는 태양광 셀의 발전용량을 확대할 수 있고, 열전모듈 또는 태양광 셀의 교체,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프레임부(200)의 형상이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프레임부(200)는 제1 수용부(210), 제2 수용부(230) 및/또는 제3 수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부(210)는 발전부를 수용할 수 있고, 제2 수용부(230)는 저장부를 수용할 수 있고, 제3 수용부는 제어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수용부(210) 및 제2 수용부(230)는 프레임부(200)의 일면에 형성된 홈(recess)이나 구멍(hole, 홀)일 수 있다. 여기서 홈이나 홀의 형상은 특별한 형상으로 정해지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홈이나 홀에 배치(수용)되는 발전부 및 저장부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고, 대응되지 않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수용부(210) 및/또는 제2 수용부(230) 각각은 프레임부(200)의 일면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부(200)에는 프레임부(200)의 길이 방향(또는 세로 방향)으로 다수 개의 제1 수용부(210) 및/또는 제2 수용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a)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에 제1 수용부(210)가 3개, 제2 수용부(230)가 2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레임부(200)의 일면에는 발전부가 배치되는 제1 수용부(210)만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발전부 아래에(또는 옆에) 저장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수용부(210), 복수의 발전부 및 복수의 저장부의 개수가 동일할 수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수용부(210)가 3개인 경우에, 3개의 제1 수용부(210) 각각에 발전부가 배치될 수 있고, 2개의 제1 수용부(210)에만 발전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저장부도 마찬가지이다. 3개의 제1 수용부(210) 각각에 발전부가 배치되어 3개의 발전부가 있는 경우, 3개의 저장부가 배치될 수 있고, 2개의 저장부만 배치될 수 있다. 이렇듯 제1 수용부(210), 발전부 및 저장부의 개수는 다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레임부(200)의 일면에는 발전부가 배치되는 제1 수용부(210)와, 저장부가 배치되는 제2 수용부(230)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수용부(230)는 제1 수용부(2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수용부(210)가 홈인 경우에, 홈 내에 제2 수용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홈(제1 수용부(210)) 내에 또 다른 홈이나 홀(제2 수용부(2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수용부(210), 복수의 제2 수용부(230), 복수의 발전부 및 복수의 저장부의 개수가 동일할 수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수용부(210) 및/또는 제2 수용부(230)가 3개인 경우에, 3개의 제1 수용부(210) 각각에 발전부가 배치될 수 있고, 2개의 제1 수용부(210)에만 각각 발전부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제1 수용부(210) 각각에 발전부가 배치된 경우, 3개의 제2 수용부(230) 각각에 저장부가 배치될 수 있고, 2개의 제2 수용부(230)에만 각각 저장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렇듯 제1 수용부(210), 제2 수용부(230), 발전부 및 저장부의 개수는 다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레임부(200)에는 프레임부(200)의 세로 방향으로 다수 개의 수용실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수용부(210) 및 제2 수용부(230)는 하나의 수용실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용부(210)는 수용실의 외측에 형성(배치)될 수 있고, 제2 수용부는 수용실의 내측에 형성(배치)될 수 있다.
제3 수용부는 프레임부(200)의 일면에 형성된 홈이나 홀 또는,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일 수 있다. 여기서 홈이나 홀 및, 소정의 공간의 형상은 특별한 형상으로 정해지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홈이나 홀, 소정의 공간에 배치(수용)되는 제어부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고, 대응되지 않는 형상일 수 있다.
제어부가 배치되는 제3 수용부는 하나 또는 필요에 따라 그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레임부(200)가 유리창의 창틀에 형성될 경우, 상술한 제1 수용부(210), 제2 수용부(230) 및/또는 제3 수용부는 유리창의 창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00)는 창틀에 배치될 수 있고, 창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설치되는 유리창의 창틀은 알루미늄, 폴리염화비닐(PVC)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창틀의 재질에 상관없이 프레임부(200)를 제작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요소(제어부, 저장부, 승압회로, 감지센서 등)들을 프레임부(200)를 형성하는 창틀의 내 외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프레임부(200)의 뒷면 또는 측면에 개구(270)를 형성할 수 있고, 개구(2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간의 전선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전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 각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발전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외부전원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외부전원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력으로 사용하는 경우 재난 및 기타 비상시에 외부전원이 끊겨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시민들이 화재나 재난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외부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요소인 발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발전부와 저장부가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발전부(300)는 자가 발전(發電)할 수 있고, 발전부(300)에서 생산된 전기는 발전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발전부(300)는 복합 모듈 장치에 탈 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복합 모듈 장치는 테두리(315)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일면(310)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열전모듈(330)과 태양광 셀(350)이 복합 모듈 장치에 탈 부착 가능하며, 부착시 +, - 단자가 연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레임부(200)에는 프레임부(200)의 세로 방향으로 다수 개의 제1 수용부(210)가 형성될 수 있고, 복합 모듈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다수개의 제1 수용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발전부(300)는 기판(310), 열전모듈(열전소자)(330) 및/또는 태양광 셀(cell)(350)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판(310)은 복합 모듈 장치를 대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전부(300)는 하나의 기판(310) 및, 하나의 기판(310)에 배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열전모듈(330)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태양광 셀(3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전부(300)는 복수의 기판(310) 및, 복수의 기판(310) 각각에 배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열전모듈(330)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태양광 셀(35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310)에 배치되는 열전모듈(330) 및/또는 태양광 셀(350)의 크기 및 개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로 하는 발전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발전부(300)는 프레임부(20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전부(300)는 프레임부(200)의 제1 수용부(210)에 배치(수용)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에 형성된 제1 수용부(210)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제1 수용부(210) 중 하나 이상에 발전부(300), 즉 열전모듈(330) 및/또는 태양광 셀(350)이 배치된 기판(310) 또는 복합 모듈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발전부(300) 및 복합 모듈 장치는 프레임부(200)의 제1 수용부(210)에 붙여질 수 있고, 떼어질 수 있다. 즉 발전부(300) 및 복합 모듈 장치는 프레임부(200)의 제1 수용부(210)에 탈 부착될 수 있다. 이는 발전부(300), 복합 모듈 장치, 발전부(300)를 구성하는 기판(310), 열전모듈(330) 및 태양광 셀(350)의 교체,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기판(310)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일 수 있다.
기판(310)은 인쇄된 회로(배선)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코팅(coating)될 수 있다.
기판(310)에는 하나 이상의 열전모듈(330) 및/또는 하나 이상의 태양광 셀(350)이 배치될 수 있다.
기판(310)은 프레임부(200)의 제1 수용부(210)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310)의 크기, 개수 및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로 하는 발전용량 및 제1 수용부(210)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열전모듈(330)은 기판(310)에 배치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복수)일 수 있다.
열전모듈(330)을 이용한 건물의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을 적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전모듈(330)은 건물의 외벽 및 창호와 건물 내부의 온도차를 열에너지 하베스팅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에서는 외벽을 통한 열 손실이 약 25%, 창호를 통한 열 손실이 약 15%로, 총 40% 이상의 열 손실이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사계절이 뚜렷하고 냉ㅇ난방 사용기간이 비교적 확실하여, 건물의 외벽 및 창호와, 건물 내부의 온도차가 통상 10 ~ 30도 정도 발생한다. 건물의 외벽 및 창호와, 건물 내부의 온도차는 열전모듈(330)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의 열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에너지 하베스팅의 경우, 온도차가 대략 10 ~ 30도 정도일 때, 40mm × 60mm 크기 당 0.6W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한다.
태양광 셀(350)은 기판(310)에 배치되고, 하나 또는 그 이상(복수)일 수 있다. 셀을 포함한다.
열전모듈(330)에 더하여 태양광 셀(350)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적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할 수 있다.
종래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태양광 셀(350)의 경우 125mm × 125mm 크기 당 최대 2.8W, 74mm × 185mm 크기 당 최대 2.4W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한다.
열전모듈(330) 및/또는 태양광 셀(350)은 기판(310)에 붙여질 수 있고, 떼어질 수 있다. 즉 열전모듈(330) 및/또는 태양광 셀(350)은 기판(310)에 탈 부착될 수 있다. 이는 열전모듈(330) 및 태양광 셀(350)의 교체,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열전모듈(330) 또는 태양광 셀(350)을 기판(310)에 붙이면, 열전모듈(330) 또는 태양광 셀(350)에 형성된 단자는 기판(310)에 형성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열전모듈(330) 및 태양광 셀(350)에서 생산된 전기는 기판(310)을 통해 저장부로 전달될 수 있다.
기판(310)에 붙여진 열전모듈(330) 및/또는 태양광 셀(350)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열전모듈(330) 및/또는 태양광 셀(350)은 기판(310)에서 서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열전모듈(330) 및 태양광 셀(350)의 단자와 접촉하고 있는 기판(310)의 단자들을 서로 병렬로 연결하여 구현할 수 있고,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병렬 연결될 수 있다.
기판(310)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기판(310)들은 하나 이상의 저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열전모듈(330) 및/또는 태양광 셀(350)은 각각의 기판(310)에 배치될 수 있고, 열전모듈(330) 및/또는 태양광 셀(350)에서 생산된 전기는 기판(310)을 통해 기판(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열전모듈(330) 및 태양광 셀(350)을 기판(310)에 붙이는 방식은, 열전모듈(330) 및 태양광 셀(350)을 기판(310)에 끼우는 방식일 수 있다. 열전모듈(330) 및 태양광 셀(350)을 기판(310)에 끼운 경우, 열전모듈(330) 및 태양광 셀(350)에 소정의 힘 이상을 가하면 열전모듈(330) 및 태양광 셀(350)을 기판(310)에서 뗄 수 있다.
<저장부(400)>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저장부(400)는 발전부(300)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0)는 발전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발전부(300)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0)에 저장된 전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력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종 구성요소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저장부(40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종 구성요소들에게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저장부(400)는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일 수 있고, 발전부(300)에서 생산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저장부(4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종 구성요소들에게 발전부(300)에서 생산된 전기를 바로 공급하여 표시부(100)에 영상이나 문자 등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발전부(300)의 자가 발전을 동력원으로 하여 평상시에는 표시부(100)를 광고판이나 전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전부(300)에서 전기 생산이 중단되거나 기타 비상시에, 저장부(400)는 저장된 전기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종 구성요소들에게 공급하여 표시부(100)에 영상이나 문자 등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400)에 저장된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재난 발생시 상황(화재나 재난 정보, 안내 문구, 피난 유도 등)을 표시부(100)에 표시함으로써 시민들에게 재난 발생을 인지시키거나 시민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저장부(400)는 에너지 저장 장치(ESS) 이외에 배터리(Battery)와 같은 저장장치(이하 '보조 저장장치' 라 한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저장장치는 에너지 저장 장치(ESS)와 에너지 하베스팅으로 생산된 전류가 맞지 않을 경우 또는 그 밖에 비상시에, 저장된 전기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종 구성요소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장부(400)는 하나일 수 있고, 물리적으로 구분된 복수 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400)의 개수를 늘려 충전용량을 확대할 수 있다.
저장부(400)는 프레임부(20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전부(300)는 프레임부(200)의 제2 수용부(230)에 배치(수용)될 수 있다. 프레임부(200)에 형성된 제2 수용부(230)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제2 수용부(230) 중 하나 이상에 저장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저장부(400)의 크기, 개수 및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로 하는 저장용량 및 제2 수용부(230)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제어부(500)>
제어부(5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종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발전부(300) 및/또는 저장부(400)의 전기를 이용할 수 있고, 표시부(100), 발전부(300) 및 저장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발전부(300)가 전기를 생산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발전부(300)에서 생산된 전기가 저장부(40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저장부(400)(에너지 저장 장치(ESS) 및 보조 저장장치)의 전기용량에 따라, 저장부(400)에 저장된 전기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요소에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표시부(100)에 영상이나 문자 등이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로 영상이나 문자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표시부(100)에 표시되는 영상이나 문자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통신장비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데이터가 표시부(10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프레임부(200)의 제3 수용부에 배치(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승압회로, 감지센서, 방열판, PWM(Pulse Width Modulation),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 및 드라이브 등 각종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압회로, 감지센서 및 방열판 등 각종 구성요소들은 프레임부(200)의 소정의 공간에 배치(수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레임부(200)와 연결된 별도의 부재에 배치(수용)될 수 있다.
승압회로는 저장부(400)에서 나온 전기를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할 수 있는 전력으로 승압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온도 센서 및 광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온도 센서는 열전모듈(330)의 열전효율을 최대로 올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광 센서는 표시부(100)를 온/오프(ON/OFF)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열전모듈(330) 및 태양광 셀(350)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적용하여 스스로 전력을 생산 및 충전할 수 있고, 생산된 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비상시 및 재난 발생시에도 외부 전력이 필요 없으며, 자가 발전하므로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열전모듈(330) 및 태양광 셀(350)의 발전용량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간편하게 확대할 수 있다. 또한, 기판(310), 열전모듈(330) 및 태양광 셀(350)의 교체,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부
200: 프레임부
300: 발전부
400: 저장부
500: 제어부

Claims (7)

  1. 건물 외벽에 설치된 창호에 배치되고, 투명 LED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
    상기 창호의 창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의 양 측단이 결합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배치되고, 상기 건물의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하여 발전시키는 열전모듈과 태양광 셀을 이용하여 자가 발전하는 발전부;
    상기 프레임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표시부, 상기 발전부 및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발전부가 배치되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저장부가 배치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모듈 및 상기 태양광 셀은 상기 기판에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열전모듈 및 상기 태양광 셀은 상기 기판에 탈 부착이 가능한,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모듈은 상기 건물 외벽 및 창호와 건물 내부의 온도차를 에너지 하베스팅으로 이용하는,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는 복합 모듈 장치에 탈 부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상기 복합 모듈 장치의 테두리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일면은 PCB 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열전모듈과 태양광 셀이 상기 복합 모듈 장치에 탈 부착 가능하며, 부착시 +, - 단자가 연결되는 구조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모듈 장치는 상기 제1 수용부에 탈 부착되는 구조인,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복합 모듈 장치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다수개의 제1 수용부에 각각 결합되는,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는 하나의 수용실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용부는 상기 수용실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수용실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실은 상기 프레임부의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는,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134509A 2019-10-28 2019-10-28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80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509A KR102280915B1 (ko) 2019-10-28 2019-10-28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509A KR102280915B1 (ko) 2019-10-28 2019-10-28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185A true KR20210050185A (ko) 2021-05-07
KR102280915B1 KR102280915B1 (ko) 2021-07-23

Family

ID=7591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509A KR102280915B1 (ko) 2019-10-28 2019-10-28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9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313A (ko) * 2009-04-30 2009-05-25 이재영 도광판을 이용한 표시장치
KR20110101569A (ko) * 2010-03-09 2011-09-16 이호진 부표를 이용한 옥외 광고
KR20120063987A (ko) * 2010-12-08 2012-06-18 고현빈 디지털 창문
KR101942393B1 (ko) 2018-01-08 2019-01-29 주식회사 엔앤비 투명 led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89404A (ko) * 2018-01-22 2019-07-3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2313A (ko) * 2009-04-30 2009-05-25 이재영 도광판을 이용한 표시장치
KR20110101569A (ko) * 2010-03-09 2011-09-16 이호진 부표를 이용한 옥외 광고
KR20120063987A (ko) * 2010-12-08 2012-06-18 고현빈 디지털 창문
KR101942393B1 (ko) 2018-01-08 2019-01-29 주식회사 엔앤비 투명 led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89404A (ko) * 2018-01-22 2019-07-3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915B1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75666A1 (en) Display and corresponding support, emissive lighting display modules and packaging for such display modules
US8115393B2 (en) LED tubular lighting fixture
JP5792806B2 (ja) 発光装置用ブロック
US7348738B2 (en) OLED area illumination source
NL2018439B1 (en) Panel for cladding a building and display information
JP2007294630A (ja) 太陽電池発電装置
JPWO2009072386A1 (ja) 照明ユニットパネル
JP2012506359A (ja) 絶縁ガラス板
WO2009016581A2 (en) Light output device
KR20190065845A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간판
US11236876B2 (en) Illumination unit
ES2377208T3 (es) Mejoras en o relativa a paredes
KR102280915B1 (ko) 자가 발전 및 충전이 가능한 건물 외벽의 창틀 설치형 디스플레이 장치
JP4785806B2 (ja) 照明装置
KR101285608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이용한 간판
RU101528U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светильник
US9534754B2 (en) Easily expandable indoors LED lighting device
KR101042753B1 (ko) 박스 타입의 led 모듈을 갖는 led 전광판
KR101337451B1 (ko) 전계발광시트 일체형 태양전지모듈
KR101383033B1 (ko) 전자디바이스 모듈 및 이를 결합한 전자디바이스 모듈 어레이 장치
JP2012226061A (ja)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KR101142288B1 (ko) 모듈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3309B1 (ko) 조명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패널 모듈과 이의 제어 시스템
JP6389445B2 (ja) 広告板サイン
KR20040107336A (ko) 발광기능을 갖는 시트형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