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109A - 도어 잠금 장치 제어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 장치 제어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109A
KR20210050109A KR1020190134302A KR20190134302A KR20210050109A KR 20210050109 A KR20210050109 A KR 20210050109A KR 1020190134302 A KR1020190134302 A KR 1020190134302A KR 20190134302 A KR20190134302 A KR 20190134302A KR 20210050109 A KR20210050109 A KR 20210050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door locking
locking device
do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9705B1 (ko
Inventor
김정무
옥치원
이용수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이용수
옥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이용수, 옥치원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4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70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634Power supply for the lo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잠금 장치 제어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태그 유닛을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시키는 태그 유닛 등록 단계; 및 등록된 상기 태그 유닛이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상기 태그 유닛으로부터 상기 태그 유닛의 식별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된 식별번호와 일치되는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도어 개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 송신 거리는, 상기 태그 유닛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식별정보 송신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잠금 장치 제어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시스템{MOBILE DEVICE FOR CONTROLLING FOR DOOR LOCK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DOOR LOCKING APPARATUS USING THEREWITH AND CONTROLLING SYSTEM FOR ACCESS USING THEREWITH}
본 발명은 도어 잠금 장치 제어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인식 거리가 향상된 도어 잠금 장치 제어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잠금장치(도어락)는 사용자가 도어잠금장치의 키패드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미리 도어잠금장치에 등록된 RFID 태그(카드)를 가깝게 위치시켜 개방된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비접촉 방법의 일종인 무선 주파수 식별 기술이며, RFID 태그(이하 태그)와, RFID 판독기(이하 판독기)가 필요하다. 태그는 안테나와 집적 회로로 이루어지는데, 집적 회로 안에 정보를 기록하고 안테나를 통해 판독기에게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는 태그가 부착된 대상을 식별하는 데 이용된다.
다만, 일반적으로 RFID 판독기에 해당되는 도어잠금장치는 저전력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고유 키에 해당되는 RFID 태그가 비교적 가까운 거리, 예시적으로 10cm 이내에서만 상호 송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문 앞에서 RFID 태그를 꺼내 상기 RFID 태그를 도어잠금장치에 근접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28224호(2015.06.05)(발명의 명칭 :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인식 거리가 향상되는 도어 잠금 장치 제어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태그 유닛을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시키는 태그 유닛 등록 단계; 및 등록된 상기 태그 유닛이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상기 태그 유닛으로부터 상기 태그 유닛의 식별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된 식별번호와 일치되는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도어 개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 송신 거리는, 상기 태그 유닛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식별정보 송신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태그 유닛 등록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서로 통신 가능 하게 연결되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도어 잠금 장치 연결 단계;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태그 유닛 등록 제어를 위한 권한을 상기 도어 잠금 장치로부터 승인 받는 모바일 디바이스 승인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도록, 등록하는 태그 유닛 등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도록 등록된 복수의 상기 태그 유닛의 식별 정보들이 저장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어느 하나의 상기 태그 유닛의 식별정보를 다른 하나의 상기 태그 유닛의 식별정보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승인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로부터 상기 권한을 승인받으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기등록된 다른 상기 태그 유닛들의 식별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 유닛 등록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메모리부에는,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서로 링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 유닛 등록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태그 유닛 등록 단계가 수행되는 위치의 도어락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락 위치 정보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락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근접되는 지 여부를 감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 감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락 위치 정보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위치되거나 상기 거리보다 작은 범위에 위치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태그 유닛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개방 단계에서,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에 의하여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개방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연결되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도어 잠금 장치 연결 단계; 및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상기 도어가 개방된 이후 닫혔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개방후 닫힘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후 닫힘 판단 단계에서,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개방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된 후, 다시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태그 유닛에 대한 전원 공급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태그 유닛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통신 가능하며 내부에 배터리가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태그측 전원공급부와, 상기 태그측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와 연결되며 내부에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태그측 메모리를 포함하는 태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태그 유닛은 인접된 도어 잠금 장치에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도어 잠금 장치 측으로 송신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 송신 거리는, 상기 태그 유닛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식별정보 송신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는,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식별정보를 도어 잠금 장치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는 상기 태그 유닛으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다음,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태그 유닛 등록 제어를 위한 권한을 상기 도어 잠금 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가 승인받은 후,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도어 잠금 장치 측으로 전달하며,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고유 정보 또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고유 정보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승인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승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로부터 상기 태그 유닛 등록 제어를 위한 상기 권한을 승인 받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기등록된 다른 상기 태그 유닛들의 식별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태그 유닛들의 상기 식별정보들은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시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는,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된 지점에 대한 도어락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가 상기 도어락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근접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가 상기 도어락 위치 정보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위치되거나 상기 거리보다 작은 범위에 위치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는 상기 태그 유닛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개방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된 이후 다시 닫혔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도어가 개방된 이후 다시 닫힌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는 상기 태그 유닛에 대한 전원 공급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출입 관리 시스템은, 출입 관리를 위한 출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가능하며 내부에 배터리가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태그측 전원공급부와, 상기 태그측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와 연결되며 내부에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태그측 메모리를 포함하는 태그 유닛;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태그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식별정보가 등록된 식별정보와 일치되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도어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 유닛은 인접된 도어 잠금 장치에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도어 잠금 장치 측으로 송신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 송신 거리는, 상기 태그 유닛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식별정보 송신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된 지점에 대한 도어락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도어락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근접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락 위치 정보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위치되거나 상기 거리보다 작은 범위에 위치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태그 유닛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다음,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태그 유닛 등록 제어를 위한 권한을 상기 도어 잠금 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승인받은 후,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도어 잠금 장치 측으로 전달하며,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고유 정보 또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고유 정보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승인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승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으로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태그 유닛에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가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태그 유닛이 고유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거리가 증가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태그 유닛을 꺼내는 동작을 하지 않고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 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도어 잠금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출입 제어 시스템의 도어 잠금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출입 제어 시스템의 도어 잠금 장치의 제어 방법 중 태그 유닛 등록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출입 제어 시스템의 의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출입 제어 시스템의 도어 잠금 장치의 제어 방법 중 태그 유닛 등록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출입 제어 시스템의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출입 제어 시스템의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중 도어 개방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될 수 있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며,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인바, 도면에 도시된 내용은 실제 발명의 구현모습에 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기재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도어 잠금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제어 시스템(1)은,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도어 잠금 장치(200)를 포함한다.
사용자(U)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도어 잠금 장치(200)에 인접하게 되는 경우(예시적으로 1 M ~ 5 M이내), 도어 잠금 장치(200)는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여 등록된 사용자일 경우 도어를 개방한다.
보다 상세히,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통신 가능하며 내부에 배터리가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와,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도어 잠금 장치(200)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태그 유닛(130)을 포함한다.
태그 유닛(130)은 일례로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일 수 있으며, RFID 리더기인 도어 잠금 장치(200)에 정보를 전달하며, 도어 잠금 장치(200)는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태그 유닛(130)이 인가된, 즉 등록된 태그 유닛(130)일 경우, 도어를 개방하며, 태그 유닛(130)이 인가되지 않은, 즉 등록되지 않은 태그 유닛(130)일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태그 유닛(130)은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신호를 보다 멀리 송신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태그 유닛(130)의 식별정보 송신 거리는, 태그 유닛(130)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식별정보 송신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그 유닛(130)은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않는 경우에도, 태그 유닛(130)의 상기 식별 정보를 도어 잠금 장치(200) 측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태그 유닛(130)의 상기 식별정보 송신 거리는 도어 잠금 장치(200)와 30 cm 이내의 거리 이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그 유닛(130)은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동 RFID 태그로서 작동하게 되며,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능동 RFID 태그로서 구동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는, 외부의 통신망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며 예시적으로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시계 등과 같은 핸드헬드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1)와, 메모리부(112)와, 위치센싱부(113)와, 통신부(114)와, 입력부(115)와, 디스플레이부(116)와, 카메라부(117)와, 배터리부(118)와, 외부 전원 공급부(119)를 포함한다.
제어부(111)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있으며, 이러한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메모리부(112)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시적으로 DRAM 등과 같이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NAND Flash 등과 같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센싱부(113)는 일례로 GPS 일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가 위치되는 위치의 정보를 센싱한다.
통신부(114)는 외부의 통신망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 하며, 예시적으로 WCDMA, LTE 등과 같이 통신망 기지국을 통한 통신 모듈과, WiFi 같은 무선 AP 기반 통신 모듈과, 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모듈들을 통하여 외부의 통신망과 통신할 수 있다. 다만, 통신부(114)가 포함하는 통신 모듈은 상기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부(115)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 받으며, 기계적인 버튼 또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6)는, 정보를 표시하며, 예시적으로 LCD, OLE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카메라부(117)는,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생성하며, 예시적으로 CMOS 방식의 이미지 센서 또는 CCD 방식의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부(118)는,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며, 예시적으로, 리튬이온 방식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원 공급부(119)는, 배터리부(118)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배터리부(118)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배터리부(118)로부터 전원을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의 외부 전원 공급부(119)는 유선으로 태그 유닛(130)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외부 전원 공급부(119)가 무선으로 태그 유닛(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 또한 가능한다.
한편, 태그 유닛(130)은, 카드 또는 작은 태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태그측 전원공급부(133)와, 태그측 전원공급부(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부(131)와, 안테나부(131)와 연결되며 내부에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태그측 메모리(132)를 포함한다. 이때, 태그측 전원공급부(133)는 USB, Thunderbolt 등과 같이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표준 규격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태그 유닛(130)은,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 측으로 태그 유닛(130)의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의 메모리부(112)에 저장된다. 그리고, 태그 유닛(130)의 상기 식별 정보를 도어 잠금 장치(200)에 등록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의 메모리부(112)에 저장된 상기 식별 정보는 통신부(114)를 통하여 도어 잠금 장치(200) 측으로 송신될 수 있다.
도어 잠금 장치(200)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며, 상기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 잠금 장치 본체(210)와, 도어 잠금 장치 본체(2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부(220)를 포함한다. 도어 잠금 장치(200)에 기등록된 상기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도어 잠금 장치(20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며 사용자는 핸들부(220)를 회전시켜 상기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어 잠금 장치 본체(210)는, 제어부(201)와, 메모리부(202)와, 통신부(203)와, 입력부(204)와, 디스플레이부(205)와, 배터리부(206)와, 구동부(207)와 인식부(208)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제어부(201)는 도어 잠금 장치(200)를 제어하는 구성이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있으며, 이러한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메모리부(202)는, 도어 잠금 장치(200)에 도어 잠금 장치(200)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도록 등록된 태그 유닛(130)들의 식별 정보들과, 상기 식별 정보를 등록시킨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의 고유 정보(예시적으로 MAC Address,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 이름 등), 인가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계정 정보, 도어 잠금 장치(200)의 고유 정보 등이 기록 및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03)는, 예시적으로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태그 유닛(130)을 도어 잠금 장치(200)에 등록시키기 위하여, 통신부(203)를 통하여 도어 잠금 장치(200) 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어 잠금 장치(200)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연결된 상태에서, 도어 잠금 장치(200)의 태그 유닛 등록 제어를 위한 권한을 도어 잠금 장치(200)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승인 받은 후, 태그 유닛(130)의 상기 식별 정보를 도어 잠금 장치(200) 측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도어 잠금 장치(200)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고유 정보 또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200)의 고유 정보와, 모바일 디바이스(100)로부터 전달되는 승인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도어 잠금 장치(200)로부터 상기 태그 유닛 등록 제어를 위한 상기 권한을 승인 받으면, 디스플레이부(116)에는 도어 잠금 장치(200)에 기등록된 태그 유닛(130)들의 식별정보가 표시되며, 태그 유닛(130)들의 상기 식별정보들은 상기 식별정보를 도어 잠금 장치(200)에 등록시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의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도어 잠금 장치(200)로부터 상기 권한을 승인 받으면, 기등록된 태그 유닛(130)들의 상기 식별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어느 하나의 태그 유닛(130)의 식별정보를 다른 하나의 태그 유닛(130)의 식별정보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다.
기존의 도어락 장치에서는, 태그 유닛(130)들을 새롭게 등록시키는 경우, 도어 잠금 장치(200)의 메모리부를 초기화 시키고 등록을 시키고자 하는 태그 유닛(130)들을 가져와 순서대로 등록을 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제어 시스템은, 하나의 태그 유닛(130)의 상기 식별정보를 등록 또는 변경하는 경우라도, 이미 등록된 태그 유닛(130)의 상기 식별정보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해당 등록 또는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등록된 복수의 태그 유닛(130)들 중 어느 하나의 태그 유닛(130)이 분실된 경우에는, 분실된 태그 유닛(130)의 식별정보와 해당 태그 유닛(130)을 등록시킨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의 정보가 동시에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됨에 따라, 선별적으로 분실된 태그 유닛(130)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삭제하여, 출입 개폐의 보안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입력부(204)는, 사용자로부터 암호 등의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도어 잠금 장치(200)에 사용자가 직접 암호를 입력하여, 상기 암호를 도어 잠금 장치(200)에 저장하거나, 도어 잠금 장치(200)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204)는 예시적으로 터치식 입력장치 또는 가압버튼식 입력장치 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5)는, 도어 잠금 장치(200)의 상태 또는 입력된 상기 암호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예시적으로 LCD, LED 또는 OLED와 같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배터리부(206)는, 도어잠금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예시적으로 충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충전이 불가능한 1차 전지일 수 있다.
구동부(207)는, 도어 잠금 장치(200)의 제어부(201)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상기 도어가 도어 프레임 등에 대하여 고정 또는 해제되도록, 상기 도어 프레임의 일측에 걸리는 잠금 수단을 선택적으로 잠금 위치 또는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 등과 같은 구동 유닛과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인식부(208)는, 태그 유닛(130)의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유닛(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식부(208)가 수신한 상기 식별정보는 제어부(201)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부(208)는 상기 안테나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터리부(206)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출입 제어 시스템의 도어 잠금 장치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은,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태그 유닛(130)을 상기 도어 잠금 장치(200)에 등록시키는 태그 유닛 등록 단계(S100)가 수행된다.
그 다음, 등록된 태그 유닛(130)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도어 잠금 장치(200)에 접근하는 경우, 도어 잠금 장치(200)가 태그 유닛(130)으로부터 태그 유닛(130)의 상기 식별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식별정보가 도어 잠금 장치(200)에 등록된 식별번호와 일치되는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도어 개방 단계(S200)가 수행된다.
즉, 사용자가 도어 잠금 장치(200)에 태그 유닛(130)이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소지하고 도어 잠금 장치(200)에 접근하게 되면, 도어 잠금 장치(200)는 이를 인식하여 상기 도어에 개방을 하게 된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태그 유닛(130)의 식별정보 송신 거리는, 태그 유닛(130)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식별정보 송신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의, 태그 유닛 등록 단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출입 제어 시스템의 도어 잠금 장치의 제어 방법 중 태그 유닛 등록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그 유닛 등록 단계(S100)에,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도어 잠금 장치(200)를 식별하는 도어락 장치 식별 단계(S110)가 수행된다. 도어락 장치 식별 단계(S1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접속하고자 하는 도어 잠금 장치(200)가 어떤 장치인지를 식별하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도어 잠금 장치(200)에 기록되어 있는 식별코드, 예시적으로 QR코드를 인식하거나, 블루투스 접속 리스트를 확인하여 접속하고자 하는 도어 잠금 장치(200)를 특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도어 잠금 장치(200)가 서로 통신 가능 하게 연결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도어 잠금 장치 연결 단계(S120)가 수행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 및 도어 잠금 장치(200)는 블루투스, WiFi 등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 다음,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도어 잠금 장치(200)의 태그 유닛 등록 제어를 위한 권한을 도어 잠금 장치(200)로부터 승인받는 모바일 디바이스 승인 단계(S130)가 수행된다.
모바일 디바이스 승인 단계(S1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도어 잠금 장치(200)로부터 상기 권한을 승인받으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에는 도어 잠금 장치(200)에 기등록된 다른 상기 태그 유닛(130)들의 식별정보가 표시(S140)될 수 있다.
그 다음,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태그 유닛(130)의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도어 잠금 장치(200)에, 도어 잠금 장치(200)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도록, 등록하는 태그 유닛 등록 단계(S150)가 수행된다. 이때, 태그 유닛 등록 단계(S150)에서, 어느 하나의 태그 유닛(130)의 상기 식별 정보가 도어 잠금 장치(200)에 등록되면, 도어 잠금 장치(200)의 메모리부(202)에는, 태그 유닛(130)의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서로 링크될 수 있다. 태그 유닛 등록 단계(S15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도어 잠금 장치(200)에 기등록된 태그 유닛(130)의 상기 식별정보를, 다른 태그 유닛의 식별정보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다.
그 다음, 태그 유닛(130)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도어 잠금 장치를 개방하는 단계(S2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4의 출입 제어 시스템의 의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U)가 건물(300)로 접근하게 되고, 사용자(U)가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도어(310)에 설치된 도어 잠금 장치(200)와 기설정된 거리(D) 안으로 진입하게 되면,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식별 태그(130)는 도어 잠금 장치(200) 측으로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
도어 잠금 장치(200)는 수신된 상기 식별 정보가 등록된 식별정보, 즉 인가된 식별정보와 일치되면, 도어(31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등록된 식별정보와 일치되지 않으면, 도어(310)의 잠금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으로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태그 유닛에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가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태그 유닛이 고유의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거리가 증가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태그 유닛을 꺼내는 동작을 하지 않고 도어 잠금 장치의 잠금 장치를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출입 제어 시스템의 도어 잠금 장치의 제어 방법 중 태그 유닛 등록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7의 출입 제어 시스템의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7의 출입 제어 시스템의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중 도어 개방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태그 유닛(13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외부의 통신망(410) 또는 위성(420)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위치되는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저장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태그 유닛(130)를 도어 잠금 장치(200)에 등록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해당 시점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위치되는 지점(즉, 도어 잠금 장치(200)의 위치 또는 이에 인접되는 위치)의 상기 위치 정보(등록지점위치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메모리부(112)에 저장한다.
정상적으로 태그 유닛(130)가 도어 잠금 장치(200)에 등록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상기 등록지점 위치정보에 따른 위치와 이격된 상태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태그 유닛(130)에 대하여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상기 등록지점 위치정보에 따른 위치에 위치되거나 상기 위치에 인접하게 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태그 유닛(130)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여 인접하는 도어 잠금 장치(2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도어 잠금 장치(200)에 인접하는 경우에만, 태그 유닛(130)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며, 도어 잠금 장치(200)에 인접되지 않은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태그 유닛(130)의 상기 식별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는,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에 포함되는 무선전원공급코일(미도시)을 통하여, 태그 유닛(130)에 대하여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항상 무선전원공급코일에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가 전력을 공급하게 됨으로써 과도하게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의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제어 방법의 태그 유닛 등록 단계(S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태그 유닛 등록 단계(S100)에서, 도어락 장치 식별 단계(S110),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도어 잠금 장치 연결 단계(S120), 모바일 디바이스 승인 단계(S130), 식별정보 표시단계(S140), 태그 유닛 등록 단계(S150)가 수행된다.
이때, 태그 유닛 등록 단계(S150)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태그 유닛 등록 단계가 수행되는 위치의 도어락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락 위치 정보 저장 단계(S160)가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의, 도어 개방 단계(S2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U)가 소지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도어 잠금 장치(200)와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110)는 태그 유닛(130)에 대하여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지 않으며 태그 유닛(130)는 패시브 상태로 RFID 리더기로부터 신호를 받지 않으면 상기 식별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사용자(U)가 이동하게 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00)의 식별 영역(R2), 즉 위치 정보에 따라 동일한 범위로 판단하는 영역,이 도어 잠금 장치(200)의 식별 영역(R2)와 접촉되거나 중첩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식별 태그(130)에 전력을 공급하며, 식별 태그(130)는 액티브 상태로 RFID 리더기인 도어 잠금 장치(200)에 상기 식별 정보를 전단하여, 도어 잠금 장치(2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U)가 도어(310)를 개방한 다음, 건물(300) 내부에 진입하게 되어, 도어(310)가 다시 닫히게 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도어(310)의 닫힘 정보를 도어 잠금 장치(200)로부터 전달 받고, 식별 태그(130)에 대한 전원 공급을 해제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U)가 건물(300)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임에도 불구하고, 태그 유닛(130)가 지속적으로 상기 식별 신호를 송신하여 도어 잠금 장치(200)의 잠금 상태가 의도하지 않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의 도어 개방 단계(S20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상기 도어락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근접되는 지 여부를 감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 감시 단계(S210)가 수행된다.
그 다음,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상기 도어락 위치 정보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위치되거나 상기 거리보다 작은 범위에 위치되면(S220),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태그 유닛(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태그유닛 전원공급 개시 단계(S230)가 수행된다.
그 다음, 태그 유닛(130)의 상기 식별정보에 의하여 도어 잠금 장치(200)가 개방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와 도어 잠금 장치(200)가 연결되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도어 잠금 장치 연결 단계(S240)가 수행된다.
그 다음, 도어 잠금 장치(200)가 도어(310)가 개방된 이후 닫혔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개방후 닫힘 판단 단계(S250)가 수행되고, 도어 잠금 장치(200)가 개방되어 도어(310)가 개방된 후, 다시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는 태그 유닛(130)에 대한 전원 공급을 해제하는 태그 유닛 전원 공급 해제 단계(S360)가 수행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00)가 도어 잠금 장치(200)와의 거리에 따라 태그 유닛(13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인 전력관리가 가능하며, 보안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7)

  1.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태그 유닛을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시키는 태그 유닛 등록 단계; 및
    등록된 상기 태그 유닛이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상기 태그 유닛으로부터 상기 태그 유닛의 식별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된 식별번호와 일치되는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도어 개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 송신 거리는, 상기 태그 유닛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식별정보 송신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유닛 등록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및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서로 통신 가능 하게 연결되는 제1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도어 잠금 장치 연결 단계;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태그 유닛 등록 제어를 위한 권한을 상기 도어 잠금 장치로부터 승인 받는 모바일 디바이스 승인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도록, 등록하는 태그 유닛 등록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개폐 제어가 가능하도록 등록된 복수의 상기 태그 유닛의 식별 정보들이 저장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어느 하나의 상기 태그 유닛의 식별정보를 다른 하나의 상기 태그 유닛의 식별정보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승인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로부터 상기 권한을 승인받으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기등록된 다른 상기 태그 유닛들의 식별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유닛 등록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되면,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메모리부에는,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정보는 서로 링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유닛 등록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태그 유닛 등록 단계가 수행되는 위치의 도어락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도어락 위치 정보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락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근접되는 지 여부를 감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위치 감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락 위치 정보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위치되거나 상기 거리보다 작은 범위에 위치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태그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단계에서,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에 의하여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개방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연결되는 제2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도어 잠금 장치 연결 단계; 및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상기 도어가 개방된 이후 닫혔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개방후 닫힘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후 닫힘 판단 단계에서,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개방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된 후, 다시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태그 유닛에 대한 전원 공급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태그 유닛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9.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통신 가능하며 내부에 배터리가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태그측 전원공급부와, 상기 태그측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와 연결되며 내부에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태그측 메모리를 포함하는 태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태그 유닛은 인접된 도어 잠금 장치에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도어 잠금 장치 측으로 송신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 송신 거리는, 상기 태그 유닛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식별정보 송신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는,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식별정보를 도어 잠금 장치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는 상기 태그 유닛으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다음,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태그 유닛 등록 제어를 위한 권한을 상기 도어 잠금 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가 승인받은 후,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도어 잠금 장치 측으로 전달하며,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고유 정보 또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고유 정보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승인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로부터 상기 태그 유닛 등록 제어를 위한 상기 권한을 승인 받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기등록된 다른 상기 태그 유닛들의 식별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태그 유닛들의 상기 식별정보들은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시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를 함께 표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는,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된 지점에 대한 도어락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가 상기 도어락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근접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가 상기 도어락 위치 정보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위치되거나 상기 거리보다 작은 범위에 위치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는 상기 태그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개방되어, 상기 도어가 개방된 이후 다시 닫혔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도어가 개방된 이후 다시 닫힌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는 상기 태그 유닛에 대한 전원 공급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5. 출입 관리를 위한 출입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가능하며 내부에 배터리가 설치된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태그측 전원공급부와, 상기 태그측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안테나부와, 상기 안테나부와 연결되며 내부에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된 태그측 메모리를 포함하는 태그 유닛;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태그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식별정보가 등록된 식별정보와 일치되면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도어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태그 유닛은 인접된 도어 잠금 장치에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도어 잠금 장치 측으로 송신하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본체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 송신 거리는, 상기 태그 유닛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식별정보 송신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된 지점에 대한 도어락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도어락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에 인접한 위치에 근접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락 위치 정보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거리에 위치되거나 상기 거리보다 작은 범위에 위치되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기 태그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도어 잠금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다음,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태그 유닛 등록 제어를 위한 권한을 상기 도어 잠금 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승인받은 후, 상기 태그 유닛의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도어 잠금 장치 측으로 전달하며,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고유 정보 또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고유 정보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전달되는 승인 요청 정보를 비교하여, 승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KR1020190134302A 2019-10-28 2019-10-28 도어 잠금 장치 제어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시스템 KR102439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302A KR102439705B1 (ko) 2019-10-28 2019-10-28 도어 잠금 장치 제어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302A KR102439705B1 (ko) 2019-10-28 2019-10-28 도어 잠금 장치 제어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109A true KR20210050109A (ko) 2021-05-07
KR102439705B1 KR102439705B1 (ko) 2022-09-08

Family

ID=7591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302A KR102439705B1 (ko) 2019-10-28 2019-10-28 도어 잠금 장치 제어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7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224B1 (ko) 2014-02-27 2015-06-1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9553A (ko) * 2014-05-12 2015-11-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76590B1 (ko) * 2014-06-05 2015-12-10 패스테크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와 카드형 인증장치를 포함하는 초절전·소형화 무선인증시스템
KR200479730Y1 (ko) * 2015-07-22 2016-03-02 이승일 스마트 전자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8224B1 (ko) 2014-02-27 2015-06-1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9553A (ko) * 2014-05-12 2015-11-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76590B1 (ko) * 2014-06-05 2015-12-10 패스테크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와 카드형 인증장치를 포함하는 초절전·소형화 무선인증시스템
KR200479730Y1 (ko) * 2015-07-22 2016-03-02 이승일 스마트 전자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705B1 (ko)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0694B2 (en) Restricted range lockbox, access device and methods
US20120108168A1 (en) External power supply system for a lock comprising nfc-type contactless communication means
US11164407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EP2804153B1 (en) Electronic lock,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lock
KR101866375B1 (ko) 근접식 출입통제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0869888B1 (ko) 세대현관 출입제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세대현관 자동출입관리 시스템
KR10176749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개방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
US103191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keyless access control system
US8836475B2 (en) Monitoring unit configuration management
KR200479730Y1 (ko) 스마트 전자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KR20150137947A (ko) 근거리 유저 식별을 이용한 차량 도어락 시스템
JP2006505967A (ja) 携帯モジュラー無線識別信号送信機及び無線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
KR101733454B1 (ko) 등록된 스마트폰 키를 제공하는 락킹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39705B1 (ko) 도어 잠금 장치 제어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잠금 장치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시스템
CN104919473A (zh) 读取装置和出入室管理系统
KR20070081528A (ko) 분리형 안테나슬롯이 구비된 차량의 이모빌라이저 시스템
KR20110134112A (ko) 스마트 usim 카드, 스마트 usim 카드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스마트 키 시스템
JP4369625B2 (ja) 施錠/解錠システム及び施錠/解錠方法
KR101576590B1 (ko) 휴대용 단말기와 카드형 인증장치를 포함하는 초절전·소형화 무선인증시스템
JPH11110509A (ja) 出入方向判定装置
JP4458688B2 (ja) 施錠/解錠システム及び施錠/解錠方法
KR20180076194A (ko) 근접무선인식기능이 포함된 스마트키
JP2018071227A (ja) 電気錠システム、電気錠装置、及び電気錠用プログラム
KR100634567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CN213904417U (zh) 一种免钥匙触发装置、门禁装置及电梯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