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9264A -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구강 관리 장치 및 그 구강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구강 관리 장치 및 그 구강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9264A
KR20210049264A KR1020190133341A KR20190133341A KR20210049264A KR 20210049264 A KR20210049264 A KR 20210049264A KR 1020190133341 A KR1020190133341 A KR 1020190133341A KR 20190133341 A KR20190133341 A KR 20190133341A KR 20210049264 A KR20210049264 A KR 20210049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bleeding
mouthpiece
negative pressure
oral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기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닥터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닥터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닥터픽
Priority to CN201980103058.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828734A/zh
Priority to PCT/KR2019/014129 priority patent/WO2021080047A1/ko
Priority to KR1020190133341A priority patent/KR20210049264A/ko
Publication of KR20210049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2Evaluating soft tissue within the mouth, e.g. gums or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Mouth, e.g., oral cavity; tongue; Lips;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8Self-contained intraoral toothbrush, e.g. mouth-guard toothbrush without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3/00Gum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3/00Gum massage
    • A61H13/005Hydraulic gum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적 구강 관리를 넘어 구강 관리 데이터를 축적/교환함으로써 전문가에게 정확한 구강 상태를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일실시예로, 공기 유동 통로가 형성된 마우스피스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음압을 부여한 후의 마우스피스에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단계; 상기 마우스피스의 이미지 정보에 적색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출혈 판단 단계; 출혈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마우스피스를 복수 개로 구획한 영역 중 출혈이 있는 영역을 판단하는 출혈 영역 판단 단계; 및 상기 출혈이 있는 영역의 정보를 저장소에 혹은 서버에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구강 관리 장치 및 그 구강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Oral care method and device using negative pressure,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program for implement thereof}
본 발명은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과 장치 및 상기 구강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한 것이다.
치아나 구강에 존재하는 음식물 찌꺼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패하여 역한 입냄새를 발생시키거나 충치, 잇몸병과 같은 각종 구강질환의 원인이 된다. 건강한 치아와 구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주 칫솔질을 하고 구강세정제로 입안을 헹구는 등 구강을 늘 청결하게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치아를 세정할 때는 칫솔과 치실을 사용하는데, 칫솔과 치실을 이용하는 방법만으로는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고, 이들의 무리한 사용은 잇몸이나 치주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세정수를 분사하여 구강을 세척할 수 있는 구강 세정장치가 다양한 구조로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구강 세정장치는 물이나 살균성 세정액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구강이나 치아 사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세정액을 수용하는 용기, 분사노즐, 용기의 세정액을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되었는데, 이러한 형태의 세정장치의 경우에 액이 외부로 튀거나 사용자가 주의하지 않으면 액이 목으로 넘어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액체를 공급하면서 음압을 걸었다 해제했다하는 방식으로 구강을 세정 혹은 잇몸을 자극하여, 세정액이 목으로 넘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기술을 본 발명자가 제시한 바 있다(특허문헌 1 참고).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경우에 액체의 공급이 필요하고, 수거된 액체 역시 용기에 보관하거나 배수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지거나, 장소적 제한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 편리성에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2 에서는 음압을 활용하여 잇몸 치료를 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KR2019-0001262 A
(특허문헌 2) US 2017/0165040 A1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편리하게 구강을 관리할 수 있는 구강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인적 구강 관리를 넘어 구강 관리 데이터를 축적/교환함으로써 전문가에게 정확한 구강 상태를 전달할 수 있는 구강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강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 공기 유동 통로가 형성된 마우스피스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음압을 부여한 후의 마우스피스에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단계; 상기 마우스피스의 이미지 정보에 적색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출혈 판단 단계; 출혈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마우스피스를 복수 개로 구획한 영역 중 출혈이 있는 영역을 판단하는 출혈 영역 판단 단계; 및 상기 출혈이 있는 영역의 정보를 저장소에 혹은 서버에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획득 단계는 카메라의 영상에 마우스피스가 매칭되면 자동으로 상기 마우스피스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출혈 영역 판단 단계에서 상기 마우스피스가 구획된 영역은 마우스피스의 연장 방향에서의 중앙부를 따라서 내측과 외측으로 구분되고, 연장 방향 양 단부가 구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출혈 영역 판단 단계에서 복수 영역에 출혈이 판단되며, 상기 복수 영역 중 적어도 2개 영역이 인접하는 경우에 출혈 영역 체크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출혈 영역 체크 단계는 인접한 복수의 영역 중 가장 많은 적색이 확인된 부분을 선택하고, 다른 영역과 상기 가장 많은 적색이 확인된 영역의 대비를 통하여 다른 영역의 출혈 영역 해당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출혈 영역 체크 단계는 인접한 복수의 영역 중 가장 많은 적색이 확인된 부분을 선택하고, 다른 영역은 영역 전체 면적 대비 적색 면적이 소정 비율이 넘은 경우에만 출혈 영역으로 확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출혈 영역 판단 단계는 서로 다르게 구획된 영역을 통하여 출혈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구강 내에 삽입 시 상측 혹은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의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가요성의 외벽을 포함하되, 상기 외벽에는 상기 공간부 측으로 돌부가 형성되어, 음압이 걸리더라도 외벽이 치아와 잇몸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구강 관리부와 구강 상태 판정부를 포함하는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장치로, 상기 구강 관리부는 구강 내에 삽입 시 상측 혹은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의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에 연결된 흡인 펌프; 및 상기 흡인 펌프에 연결된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피스와 상기 흡인 펌프 사이에는 사용자가 직접 개폐하거나,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개구가 연결되며,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가요성의 외벽을 포함하며, 상기 흡인 펌프의 동작과 상기 개구의 개방 여부에 따라서, 외벽이 변형되고, 상기 구강 상태 판정부는 상기 마우스피스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이미지로부터 출혈 영역을 판단하는 출혈 영역 판단부; 상기 출혈 영역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표시부; 및 상기 출혈 영역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출혈 영역 판단부는 상기 마우스피스를 복수 개로 구획한 영역 중 출혈이 있는 영역을 판단하되, 하나의 영역 또는 인접한 복수 영역에 출혈이 판단되며, 인접한 출혈 영역의 출혈 여부를 재차 체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출혈 영역 판단부는 상기 인접한 출혈 영역 중 가장 많은 출혈이 확인된 부분을 선택하고, 다른 영역은 영역 전체 면적 대비 출혈 면적이 소정 비율이 넘은 경우에만 출혈 영역으로 확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음압이 걸리더라도 외벽이 치아와 잇몸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벽에 상기 공간부 측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편리하게 구강을 관리할 수 있는 구강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인적 구강 관리를 넘어 구강 관리 데이터를 축적/교환함으로써 전문가에게 정확한 구강 상태를 전달할 수 있는 구강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관리기의 일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2 은 도 1 의 실시예의 트랩부의 개략도이다.
도 3 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관리기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실시예의 마우스피스의 공간부에 치아가 배치된 상태에서 동작에 따른 상태도로, (a)는 개구가 열렸을 때, (b)는 개구가 닫혔을 때의 상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구강 상태 판단기의 개략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 은 구강 관리기를 사용한 후의 개략도이다.
도 8 은 이미지 획득 단계의 개략도이다.
도 9 는 출혈 영역 표시 단계의 개략도이다.
도 10 내지 13 은 획득된 마우스피스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 처리한 개략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구강 상태 판단기를 활용한 서비스 개략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관리 방법의 다른 순서도이다.
도 16 는 도 15 에 따라 구획 변경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구강 관리 장치에 대한 것으로, 마우스피스를 포함하여 구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치아 및 잇몸에 음압을 제공하는 구강 관리기(1)와 상기 구강 관리기(1)의 사용된 마우스피스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구강 상태를 판단하는 구강 상태 판단기(1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4를 통하여 구강 관리기(1)에 대하여 설명한 후, 도 5 를 통하여 구강 상태 판단기(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기(1)의 일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에는 상기 구강 관리기(1)의 트랩부(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서 보이듯이, 구강 관리기(1)는 마우스피스(10)가 분기부(15)를 통하여 트랩부(20)에 연결되며, 트랩부(20)는 흡인 펌프(30), 흡인 펌프(30)를 구동하는 모터(40)와 상기 모터(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 및 상기 전원부(60) 에 연결되어 모터(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분기부(15)는 마우스피스(10)와 트랩부(20)의 연결 통로를 개구(18)로 분기시킨다.
개구(18)는 외부를 향해서 열려있는 통로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신체 일부 혹은 다른 기구를 통하여 개구를 막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마우스피스(10)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가요성의 외벽(11)과 상기 외벽으로부터 상기 공간부로 연장 형성되는 돌기부(12)를 포함한다. 돌기부(12)는 마우스피스(10)에 음압이 걸렸을 때, 외벽(11)이 변형되면서 치아 표면을 닦아내고 잇몸을 자극하며, 외벽이 치아와 잇몸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우스피스(10)는 분기부(15)를 통하여 트랩부(20) 또는 개구(18)로 연결되는 유출입구(13)가 형성된다.
분기부(15)는 마우스피스(10)와 트랩부(20)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에 배치되며, 개구(18)로 향하는 분기를 형성한다. 따라서, 마우스피스(10)와 트랩부(20) 및 개구(18)는 서로 연통한다.
트랩부(20)는 도 2 에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듯이, 상부(21)에 유입구(23)가 형성되며, 하부(22)에 유출구(24)가 형성되며, 유입구(23)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부(21) 및 하부(22)에 형성된 돌기(25, 26)를 통과한 후 유출구(24)로 빠져나가게 형성되는 미로형 워터 트랩 구조로, 돌기(25, 26)를 통과하면서 액체는 돌기(25, 26)를 넘지 못하고 떨어지고, 기체만 유출구(24)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트랩부(20)는 미로형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액체를 수거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트랩부(20)는 흡인 펌프(30)로 구강 내의 액체, 예를 들면 침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흡인 펌프(30)의 고장 방지 및 위생적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나, 흡인 펌프(30)에 액체가 들어와도 무방하거나, 별도로 세척이 가능하다면 트랩부(20)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흡인 펌프(30) 및 모터(40)는 이 실시예에서 왕복 피스톤 형식의 흡입 펌프(30)와 피스톤을 왕복 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0)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흡인 펌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50)는 모터(40) 및 전원부(60)에 연결되어, 모터(40)를 제어한다. 제어부(50)는 별도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단순한 전원 차단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포함한다
전원부(60)는 베터리, 예를 들면 리튬이온 베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원부(50)는 모터(40) 및 제어부(60)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원부(50)를 충전하기 위한 단자가 연결되어 외부 전원으로 충전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 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마우스피스(10)를 포함한 모든 구성은 하나의 핸디형 케이스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어부(60)가 모터(40)를 동작시키면, 모터(40)는 흡인 펌프(30)를 통하여 음압을 형성한다. 개구(18)가 막혀있는 경우에 흡인 펌프(30)에 의해서 형성된 음압에 의해서 마우스피스(10)의 공기는 분기부(15) 및 트랩부(20)를 통하여 흡인 펌프(30)로 이동되며, 마우스피스(10)의 공간부의 공기가 감소하여 가요성을 가지는 외벽(11)이 변형되며, 외벽(11)에 형성된 돌기(12)는 치아 혹은 잇몸을 누르거나, 긁으면서 구강의 세정 혹은 잇몸 마사지를 수행한다.
개구(18)가 열려 있는 경우에 흡인 펌프(30)가 외부와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마우스피스(10)의 공기는 흡입 펌프(30)로 이동되지 않으며, 마우스피스(10)의 변형되어 있던 외벽(11)은 탄성에 의해서 원형상으로 복귀한다. 이 과정에서도 외벽(11)에 형성된 돌기는 구강의 세정 혹은 잇몸의 마사지를 수행한다.
이 실시예에서, 개구(18)는 사용자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개구(18)의 개폐에 의해서 마우스피스(10)의 변형이 조절되게 된다. 즉, 칫솔질 대신에, 마우스피스(10)를 물고 있는 사용자는 손가락 등 신체의 일부로 개구(18)를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구강을 세정 혹은 잇몸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의 경우에 액체를 사용하지 않으며, 흡인 펌프(30)에 의해서 형성된 음압과 그 음압으로 인한 마우스피스(10)의 변형을 활용하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며, 따라서, 작은 사이즈로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무게도 가볍다.
또한, 마우스피스(10)의 외벽은 가요성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음압에 의해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관리기(1)에서는 마우스피스(10)로는 공기 외의 유체가 통과되지 않으며, 마우스피스(10)내에 다수의 돌기부(1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아 혹은 잇몸에서 떨어진 이물 혹은 혈액은 사용이 끝난 후에 마우스피스(10) 내에 남아있게 되며, 따라서, 사용 후의 마우스피스(10)를 촬영함으로써 구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개별적인 유입구를 통해 마우스피스(10) 내부로 유체 등을 통과시키지는 않지만, 마우스피스(10)에 거품치약 등 구강관리에 도움이 되는 별도의 물질을 도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4 에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기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에는 도 3 의 실시예의 마우스피스의 공간부에 치아가 배치된 상태에서 동작에 따른 상태도로, (a)는 개구가 열렸을 때, (b)는 개구가 닫혔을 때의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마우스피스(10)는 트랩부(20)에 연결되며, 트랩부(20)와 흡인펌프(30) 사이에 분기부(15)가 위치한다. 마우스피스(10)와 트랩부(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핸디형 케이스(70) 내/외에 위치한다. 즉, 분기부(15), 흡인 펌프(30), 모터(40), 제어부(50), 전원부(60) 및 스위치(75)가 케이스(70) 내부 혹은 외부에 위치한다.
한편, 분기부(15)는 트랩부(20)와 흡인 펌프(30) 사이에 위치하면서 외부로 향해 개방된 개구(18)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관(19)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케이스(70)의 외면을 향해서 상기 관(19)이 연결되어 상기 개구(18)를 외부에서 개방/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케이스(70)에는 상기 개구(18)를 중심으로 손가락 형상에 대응되는 홈(72)이 형성된다. 즉, 케이스(70)에서 봤을 때, 손가락 형상의 홈(72)안에 개구(18)가 위치된다. 다르게, 개구(18)는 홈(72)이 아닌 케이스(70)의 외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개구(18)가 홈(72) 혹은 돌출부에 배치되는 경우에 사용자가 케이스(70)를 잡았을 때, 개구(18)를 촉감만으로 찾을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마우스피스(10)는 상기 도 1 의 실시예와 동일한 마우스피스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르게, 마우스피스(10)에는 복수의 유출입부(13)가 형성되어, 복수의 유출입부(13)에 연결된 복수의 관이 트랩부(20)에 직접 혹은 중간에 합쳐져 트랩부(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마우스피스(10)는 흡입 펌프(30)에서 형성된 음압에 따라서, 외벽(11)이 변형 혹은 복원되면서 돌기부(12)가 치아 혹은 잇몸을 세정 혹은 자극하도록 구성된다.
분기부(15)는 이 실시예에서 T자형 관으로, 한쪽에는 트랩부(20)에 연결되는 관(28)이, 다른 쪽에는 흡인 펌프(30)로 연결되는 관이, 그리고 나머지 한쪽에는 개구(18)를 가지는 관(19)이 연결되어, 트랩부(20), 흡인 펌프(30) 및 개구(18)가 연통되게 한다. 분기부(15)는 3개의 구성, 트랩부(20), 흡인 펌프(30) 및 개구(18)를 연결할 수 있다면, 특정 형상, 특정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개구(18)가 흡인 펌프(30)에 연결되고, 흡인 펌프(30)가 트랩부(20)에 연결되는 구조도 개구(18), 흡인 펌프(30), 트랩부(20)가 연통된다는 점에서 흡인 펌프(30)에 일종의 분기부(15)가 배치된 것과 동일하다.
트랩부(20)는 마우스피스(10)를 통하여 트랩부(20)로 유입되는 유체에서 액체를 분리할 수 있다면, 다른 형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흡인 펌프(30), 모터(40) 및 전원부(60)는 도 1 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어부(50)는 전원 스위치(75)가 연결되며, 전원 스위치(75)는 케이스(70) 내부에서 일단부가 위치하고, 케이스(70) 외부에 일단부가 노출되어 사용자가 모터의 동작 여부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케이스(70)는 한 손에 들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케이스(70)에는 트랩부(20)가 장착/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립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유선형의 형상이 추가되거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소재가 추가될 수도 있다.
전원 스위치(75)와 홈(72)은 대략 원통형의 케이스(70)에서 서로 다른 방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케이스(70)를 손으로 쥐었을 때, 전원 스위치(75)는 대략 엄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홈(72)은 대략 검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엄지 손가락으로 전원을 on/off 조절하고, 검지 손가락으로는 음압 형성을 조절하면서 구강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위치(75)와 상기 홈(72)은 사용자가 케이스를 잡았을 때 엄지 손가락과 검지손가락이 위치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케이스(70)의 평면상에서 다른 방위각에 배치된다.
도 4 를 참고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원 스위치(75)를 동작시키지 않는 경우, 즉, 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개구(18)이 개방되었을 때의 마우스피스(10) 내부의 모습이 도 4(a)에 도시되어 있으며, 전원이 공급되고 개구(18) 막혔을 때의 마우스피스(10) 내부의 모습이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75)를 온 시키면, 모터(40)에 의해서 흡인 펌프(30)가 동작한다. 하지만, 흡인 펌프(30)는 분기부(15)를 통하여 개구(18)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흡인 펌프(30)가 가동되더라도 개구(18)를 막지 않는 이상 도 4(a)의 상태가 유지된다.
흡인 펌프(30)가 동작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 등 인체의 일부 혹은 다른 수단으로 개구(18)를 막는 경우, 흡인 펌프(30)는 외부와 연결되지 않으므로, 마우스피스(10)의 공간부의 공기를 빨아드리며, 음압이 형성된다. 따라서, 마우스피스(10)의 외벽(11)이 변형되면서 외벽(11)에 형성된 돌기(12)는 치아(T) 혹은 잇몸을 누르거나, 긁으면서 구강의 세정 혹은 잇몸 마사지를 수행한다.
개구(18)를 개방하는 즉시 흡인 펌프(30)가 외부와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마우스피스(10) 공간부의 음압이 사라지므로 마우스피스(10)의 변형되어 있던 외벽(11)은 탄성에 의해서 원형상으로 복귀한다.
이 실시예에서, 개구(18)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 인체의 일부 혹은 다른 수단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개구(18)의 개폐에 의해서 마우스피스(10)의 변형이 조절되게 된다. 즉, 칫솔질 대신에, 마우스피스(10)를 물고 있는 사용자는 손가락 등 신체의 일부로 개구(18)를 열었다 닫았다 하면서 구강을 세정 혹은 잇몸 맛사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개구(18)를 닫는 시간에 따라서 변형 정도가 정해지게 되는데,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 즉, 원하는 시간만큼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해진 패턴으로 개구(18)를 개방/폐쇄하는 것보다 사용자에게 만족을 줄 수도 있다.
도 5 에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의 구강 상태 판단기(10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서 보이듯이, 구강 상태 판단기(100)는 마우스피스(10)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촬영부(110), 상기 촬영부(110)의 이미지로부터 출혈 영역을 판단하는 출혈 영역 판단부(120); 상기 출혈 영역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30); 상기 출혈 영역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는 통신부(140); 및 상기 출혈 영역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표시부(15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강 상태 판단기(100)는 개인용 휴대 단말기나, 스마트폰 혹은 전동 기기가 될 수 있다.
구강 상태 판단기(100)에서 촬영부(110)는 카메라이며, CCD를 통하여 마우스피스(10)의 이미지를 디지털화 한다. 촬영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촬영부(110)의 촬영화면에 마우스피스(10) 대응 형상이 잡히면 자동으로 마우스피스(10)의 이미지를 디지털 정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혈 영역 판단부(120)는 촬영부(110)가 획득한 이미지 정보로부터 출혈 영역을 판단하는 프로세서에 해당한다. 출혈 영역 판단부(120)는 출혈 판단부(121)와 검증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강에 음압을 거는 경우에 잇몸 상태가 안좋은 경우에 잇몸에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음압이 걸리면 마우스피스(10) 내부인 공간부의 압력이 낮기 때문에 염증이 있는 부분에서 쉽게 출혈되며, 마우스피스(10)에 구비된 돌기부(12)는 잇몸을 눌러줘 건강하지 않은 잇몸으로부터의 출혈을 돕는다. 본 발명에서는 물과 같은 액체를 순환시키기 않는 데다가 잇몸으로부터 나온 혈액은 점성으로 인하여 마우스피스(10) 내부에 잔존하게 되며, 사용한 마우스피스(10)는 육안 혹은 촬영에 의해서 잇몸에서 나온 혈액을 확인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10)는 가급적 혈액의 색인 적색과 차이가 있는 색, 예를 들면 흰색 또는 투명색의 경우 출혈의 유무를 판단하는데 유리하다.
출혈 영역 판단부(120)는 디지털화된 이미지 정보로부터 피, 즉, 적색 영역을 감지한다. 이때, 출혈 영역 판단부(120)는 마우스피스(10)를 복수 개로 구획한 영역 중 적색이 있는 영역(적색 영역)과 없는 영역을 구분하여 판단한다.
출혈 판단부(121)는 칼라 이미지 상태에서 색값으로부터 적색 부분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며, 칼라 이미지를 그레이 처리한 후 그레이 값으로부터 적색 부분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혈 판단부(121)에서 적색 영역으로 판단하였다고 하더라도, 정확한 출혈 위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검증부(122)에서 적색 영역이 출혈 영역이 맞는지를 검증한다. 검증부(120)는 복수의 영역에 적색 영역이고, 인접한 영역이 적색인 경우에 출혈에 의한 혈액이 옆 영역으로 이동되었는지 혹은 구획선이 잘못 설정되었는지를 검증하는 부분으로, 인접한 영역 중에 적색이 많은 영역은 출혈 영역으로 보되, 상대적으로 적색이 적은 영역은 전체 영역 면적에서 적색이 차지하는 비율 혹은 적색이 많은 영역의 적색이 차지하는 면적과 적색이 적은 영역에서 적색이 차지하는 면적을 비교하여 해당 적색이 구획된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잇몸에서 출혈된 것인지 아니면 옆 영역에서 넘어온 것인지 검증한다.
실제 마우스피스(10)의 공간부는 구획되어 있지 않으므로, 출혈이 있을 때 약간의 혈액이 옆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돌기부(12)가 있고, 공기만 공간부에 유동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피는 출혈된 위치에 묻어있게 되지만, 일부의 양이라도 유출입구(13)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검증부(122)는 검출된 혈액이 이동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출혈이 있었는 지를 판단한다. 또한, 도 16 과 같은 구획선은 촬영시마다 모두 마우스피스에 일률적으로 적용되지 않을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보상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출혈 영역 판단부(120)는 출혈 판단부(121)와 검증부(122)를 통하여 적색 영역을 출혈 영역으로 판단하며, 적색 영역외의 부분은 미출혈 영역으로 판단한다.
저장부(130)는 출혈 영역 판단부(120)에 연결되며, 출혈 영역 판단부(120)에서 제공되는 정보(출혈 영역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단말에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정보는 잇몸 상태 기록으로 보관되며, 사용자 혹은 담당의가 열람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출혈 영역 판단부(120)에 연결되며, 출혈 영역 판단부(120)에서 제공되는 정보(예를 들면, 출혈 영역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네트워크가 연결된 서버로 전송한다. 전송된 정보는 서버에 저장되며, 사용자 혹은 담당의의 요청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출혈 영역 판단부(120)에 연결되며, 출혈 영역 판단부(120)에서 제공되는 정보(출혈 영역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이미지화 혹은 문자화 하여 표시한다. 표시부(150)는 디스플레이 구성 혹은 출력 구성일 수 있다. 표시부(150)에서는 출혈 영역 판단부(120)의 정보와 함께 해당 상황에 맞는 부가 정보를 추가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관리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에는 구강 관리기를 사용한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8 에는 이미지 획득 단계(S10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9 에는 출혈 영역 표시 단계(S19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 내지 13 에는 마우스피스의 구획된 영역에서 출혈 영역을 판단하기 위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관리 방법은 구강 관리기(1)를 사용으로부터 시작된다. 사용자는 구강 관리기(1)를 사용하게 되며(S000), 이렇게 사용된 구강 관리기(1)의 마우스피스(10)에는 사용자의 구강 상태가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구강 관리가 가능하다. 이때, 사용되는 구강 관리기(1)는 도 1 내지 4 에서 도시된 구강 관리기(1)일 수 있다. 도 7 에서 보이듯이, 사용된 마우스피스(10)에는 잇몸 출혈이 있는 경우 출혈 흔적(B)이 적색으로 확인된다.
사용된 마우스피스(10)는 구강 상태 판정기(100)의 카메라와 같은 촬영부(110)에 의해서 이미지 정보화 된다. 즉, 구강 상태 판정기(100)의 촬영부(110)로 마우스피스(10)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S100). 도 8 에는 구강 상태 판정기(100)의 카메라로 마우스피스(10)를 촬영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마우스피스(10)의 이미지 정보 획득(S100)은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를 불러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카메라의 영상이 마우스피스 이미지와 매칭되는 경우에 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이미지 정보화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렇게 얻어진 이미지 정보는 이미지 처리 단계(S110)를 통하여 데이타로 정리된다. 이때, 데이터는 그레이화 되어 정리될 수도 있으며, 칼러 색좌표로 정리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 단계(S110)에서는 마우스피스(10)의 이미지를 정해진 구획으로 나누고, 구획된 영역 별로 데이타를 정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정리된 이미지 데이터는 적색 픽셀이 있는지를 판단(S120)하게 되며, 적색 픽셀이 없다면, 구강 관리 방법을 종료하게 되며, 적색 픽셀이 있다면 이후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적색 픽셀은 마우스피스(10)에 잇몸 출혈 흔적이 남아있는 것이므로, 출혈된 영역을 정확하게 특정하기 위하여 후속 단계(S130)를 수행한다.
적색 픽셀이 있는 경우, 적색 필셀이 마우스피스(10)의 구획된 영역 중 복수 영역에 있는지 단일 영역에 있는지 판단(S130)하게 되며, 단일 영역에만 적색 픽셀이 있다면, 적색 픽셀이 있는 적색 영역을 출혈 영역으로 판단(S180)하는 단계로 넘어가며, 복수 영역에 적색 픽셀이 있는 경우, 즉, 적색 영역이 복수인 경우에는 다음 단계(S140)이 수행된다.
적색 영역이 복수인 경우 적색 영역이 서로 인접한 영역에 있는 지를 판단(S140)하며, 인접한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S150)가 수행되고, 인접한 영역이 없는 경우에는 적색 영역을 각각 출혈 영역으로 판단(S180)한다. 이때, 서로 인접한 영역은 영역의 면이 맞닿아 있는 영역을 의미하며, 모서리가 맞닿은 것은 인접한 영역으로 보지 않는다.
인접한 적색 영역이 있는 경우에 적색 픽셀이 많은 영역을 판정한다(S150). 적색 픽셀이 많다는 것은 혈액이 더 많이 남아 있다는 뜻이므로, 적어도 그 영역에 대응되는 잇몸에서 가장 많은 출혈이 발생한 것이므로, 그 영역은 출혈 영역에 해당하며, 이웃하는 영역에서 발견된 적색 픽셀이 이웃 영역에 대응되는 잇몸에서 출혈된 혈액인지 아니면 적색 픽셀이 많았던 영역에 대응되는 잇몸에서 출혈된 혈액이 옆 영역으로 넘어가거나 촬영시 구획선이 약간 틀어진 것인지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판단은 S160 단계에서 수행된다. 검증 단계(S160)는 적색 픽셀이 많았던 영역의 이웃 영역에서 전체 픽셀에서 적색 픽셀이 차지하는 비율이 소정 기준 이상인 경우, 예를 들어 적색 픽셀이 전체 픽셀의 20%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영역에서도 출혈이 있었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영역 내 판단외에 비교 판단으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웃 영역에서의 적색 픽셀의 수가 적색 픽셀이 많았던 영역에서 적색 픽셀의 수의 20%이상인 경우에는 이웃 영역에서도 출혈이 있었다고 판단한다.
만일, 이웃 영역의 적색 픽셀 수가 이웃 영역 전체 픽셀 수의 20% 미만 혹은 적색 필셀 수가 많았던 영역과 적색 픽셀 수의 20% 미만인 경우에 이웃 영역은 적색 픽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혈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적색 영역에서 제외한다(S170).
그 후, 적색 픽셀이 있는 적색 영역은 출혈 영역으로 판단(S180)한다. 다만, 이 단계에서 앞의 단계 S170 에서 적색 픽셀이 있지만 적색 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이웃 영역의 경우에는 적색 영역에서 배제되었으므로, 출혈 영역도 아닌 것으로 판단되며, 다음 단계가 수행된다.
출혈 영역 정보는 S190 에서 저장부(130)로 저장되거나, 표시부(150)에 표시된다. 표시부(150)에서 표시될 때, 도 9 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3D 구강 모델에 출혈 영역을 표시하여 보여줄 수 있다. 이때, 출혈 영역의 표시와 함께 출혈 영역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동시에 보여주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출혈 영역을 중심으로 칫솔질을 잘하라는 문구 혹은 오랜 기간 출혈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담당의를 찾아가라는 문구 등의 조언을 함께 보여준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영역 선택 시 시간별 출혈양상 변화 등 관리에 필요한 가이드를 제시할 수 있다.
그 후 출혈 영역 정보는 통신부(140)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된다. 출혈 영역 정보는 개인 단말 정보와 함께 연동되어 저장되며 개인 구강 상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으며, 서버에 저장되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담당의와 구강 상태 정보를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서버 관리자는 저장된 정보를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강 관리 방법은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 저장될 수 있으며, 서버를 통하여 앱으로 배포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13 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 내지 13 은 획득된 마우스피스 이미지 정보를 이미지 처리한 모습으로, 마우스피스의 이미지는 10개 영역으로 구획된다. 구획은 마우스피스의 연장 방향에서의 중앙부를 따라서 내측과 외측으로 구분되고, 연장 방향 양 단부가 구분되며, 좌측와 우측은 단부를 제외하고 마우스피스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여 4등분 구획된다. 즉, 마우스피스의 이미지는 우측 전방 내측, 우측 전방 외측, 우측 후방 내측, 우측 후방 외측, 우측 단부, 좌측 전방 내측, 좌측 전방 외측, 좌측 후방 내측, 좌측 후방 외측, 좌측 단부로 구획된다. 10개 영역으로 구분은 일반적인 칫솔 헤드의 크기를 기준으로 했으며, 사용자가 제공된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이를 토대로 쉽게 구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10 에서는 좌측 전방 외측 영역에서만 적색 픽셀이 발견되었으며, 해당 영역 외에는 적색 픽셀이 발견된 영역이 없으므로, 관리 방법은 복수 영역 판단(S130)에서 '아니요'로 판단되어 적색 영역이 단독 출혈 영역으로 판단(S180)되고, 출혈 영역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며(S190), 출혈 영역 정보는 서버로 전송된다(S200).
도 11 에서는 좌측 전방 외측 영역과 좌측 단부에 적색 픽셀이 발견되었으며, 해당 영역 외에는 적색 픽셀이 발견되지 않았다. 관리 방법에서는 복수 영역 판단(130)에서는 '예'로 판단하여 다음 단계가 수행되나, 다음 단계인 인접한 영역이 적색인지(S140)는 해당되지 않으므로, 아래로 내려가 적색 영역을 다수의 출혈 영역으로 판단(S180)하고, 출혈 영역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며(S190), 출혈 영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S200).
도 12 에서는 좌측 전방 외측, 좌측 후방 외측 영역 및 우측 단부에 적색 픽셀이 발견되었으며, 해당 영역 외에는 적색 픽셀이 발견되지 않았다. 관리 방법에서는 복수 영역 판단(130)에서는 '예'로 판단하여 다음 단계가 수행되고, 다음 단계인 인접한 영역이 적색인지(S140)에서도 인접 영역이 적색이므로, 적색 영역에 대한 검증 단계에 해당하는 S150~S160 단계가 수행된다.
좌측 전방 외측 영역에서 적색 픽셀이 더 많으므로, 좌측 전방 외측 영역이 최대 적색 영역으로 선정되며, 그에 이웃하는 좌측 후방 외측 영역이 이웃 영역이 된다.
이웃 영역에서 적색 필셀은 대략 해당 영역 전체 픽셀의 1/5=20% 이상이므로, S160에서 '예'에 해당되어 S170은 수행되지 않고 이웃 영역과 최대 적색 영역 모두 출혈 영역으로 판단된다. 참고로, 우측 단부 영역의 경우에 인접한 영역에서 적색이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인접 영역에 대한 판단 단계인 S150, S160과 상관 없이 S180 단계에 의해서 출혈 영역으로 판단된다.
도 13 에서는 좌측 전방 외측 및 좌측 후방 외측 영역에 적색 픽셀이 발견되었으며, 해당 영역 외에는 적색 픽셀이 발견되지 않았다. 관리 방법에서는 복수 영역 판단(130)에서는 '예'로 판단하여 다음 단계가 수행되고, 다음 단계인 인접한 영역이 적색인지(S140)에서도 인접 영역이 적색이므로, 적색 영역에 대한 검증 단계에 해당하는 S150~S160 단계가 수행된다.
좌측 전방 외측 영역에서 적색 픽셀이 더 많으므로, 좌측 전방 외측 영역이 최대 적색 영역으로 선정되며, 그에 이웃하는 좌측 후방 외측 영역이 이웃 영역이 된다.
이웃 영역에서 적색 필셀은 대략 해당 영역 전체 픽셀의 20% 이하이므로, S160에서 '아니오'에 해당되어 S170이 수행되고 이웃 영역은 적색 영역에서 빠진다. 따라서, 최대 적색 영역만 출혈 영역으로 판단된다.
도 1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상태 판정기(100)의 사용 모습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상태 판정기(100)는 통신부(140)를 포함하며, 서버(S)에 출혈 영역 정보를 단말 정보 혹은 개인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중앙 서버(S)은 구강 상태 판정기(10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서 기록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S)는 담당의의 컴퓨터 혹은 휴대 단말에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시 혹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의 출혈 영역 정보가 담당의의 컴퓨터 혹은 휴대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초보적 원격 진료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담당의는 사용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단말, 즉 구강 상태 판정기(100)로 서버(S)를 통하여 혹은 직접 관리 방법을 전달 혹은 연락을 취할 수 있다.
도 15 에는 본 발명의 구강 관리 방법의 다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 의 순서도는 S000~S140 및 S180~S200 은 동일하므로, 위에 도 5 의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15 의 순서도와 도 6 순서도의 차이점인 S140~S150 사이 부분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 의 실시예에서 인접 영역이 적색으로 판단된 경우에 바로 최대 적색 영역 판정(S150)에 들어가지 않고, 이미지 정보를 재처리, 즉, 이미지 정보의 구획을 변경하여 적색 영역을 다시 판단한다.
즉, 도 1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에서 구획하여 처리한 경우에 인접 영역에 적색 픽셀이 발견된 경우, S210을 통하여 도 16(b)와 같이 다르게 구획하여 이미지를 처리한 후 그 후에도 인접한 영역에 있는 지를 판단한다. 구획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인접한 영역에서 적색 픽셀이 발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인접 영역이 출혈 영역인지 검증하는 단계 수행없이 바로 적색 영역을 출혈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역을 변경한 후에도 적색 영역이 인접한 경우 검증 단계(S160)가 수행된다. 이웃 영역에서의 적색 픽셀의 수가 적색 픽셀이 많았던 영역에서 적색 픽셀의 수의 20%이상인 경우에는 이웃 영역에서도 출혈이 있었다고 판단한다.
만일, 적색 필셀 수가 많았던 영역과 적색 픽셀 수의 20% 미만인 경우에 이웃 영역은 적색 픽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혈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적색 영역에서 제외한다(S170).
이상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음압을 통하여 사용자의 잇몸에 자극을 주게되며, 이러한 자극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잇몸의 취약 부분, 예를 들면 염증이 발생된 부분,에서는 출혈이 발생하게 된다. 음압 자체로도 이러한 취약 부분의 관리에 유리하지만 본 발명은 출혈 부분을 감지/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속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담당의에게 정확한 구강 상태에 대한 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출혈 부분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인식하며, 이를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주의 환기 뿐만 아니라, 자가 치료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1: 구강 관리기 100: 구강 상태 판정기
10: 마우스피스 11: 외벽
12: 돌기 13: 유출입부
15: 분기부 20: 트랩부
30: 흡인 펌프 40: 모터
50: 제어부 60: 전원부
70: 케이스 72: 홈
75: 스위치
110: 촬영부 120: 출혈 영역 판단부
121: 출혈 판단부 122: 검증부
130: 저장부 140: 통신부
150: 표시부

Claims (14)

  1. 공기 유동 통로가 형성된 마우스피스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음압을 부여한 후의 마우스피스에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단계;
    상기 마우스피스의 이미지 정보에 적색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출혈 판단 단계;
    출혈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마우스피스를 복수 개로 구획한 영역 중 출혈이 있는 영역을 판단하는 출혈 영역 판단 단계; 및
    상기 출혈이 있는 영역의 정보를 저장소에 혹은 서버에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 단계는 카메라의 영상에 마우스피스가 매칭되면 자동으로 상기 마우스피스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혈 영역 판단 단계에서 상기 마우스피스가 구획된 영역은 마우스피스의 연장 방향에서의 중앙부를 따라서 내측과 외측으로 구분되고, 연장 방향 양 단부가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혈 영역 판단 단계에서 복수 영역에 출혈이 판단되며, 상기 복수 영역 중 적어도 2개 영역이 인접하는 경우에 출혈 영역 체크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혈 영역 체크 단계는 인접한 복수의 영역 중 가장 많은 적색이 확인된 부분을 선택하고, 다른 영역과 상기 가장 많은 적색이 확인된 영역의 대비를 통하여 다른 영역의 출혈 영역 해당 여부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혈 영역 체크 단계는 인접한 복수의 영역 중 가장 많은 적색이 확인된 부분을 선택하고, 다른 영역은 영역 전체 면적 대비 적색 면적이 소정 비율이 넘은 경우에만 출혈 영역으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혈 영역 판단 단계는 서로 다르게 구획된 영역을 통하여 출혈 영역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구강 내에 삽입 시 상측 혹은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의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가요성의 외벽을 포함하되, 상기 외벽에는 상기 공간부 측으로 돌부가 형성되어, 음압이 걸리더라도 외벽이 치아와 잇몸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구강 상태 판정기를 포함하는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장치로,
    상기 구강 상태 판정기는 음압을 구강에 제공하는 마우스피스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이미지로부터 출혈 영역을 판단하는 출혈 영역 판단부;
    상기 출혈 영역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표시부; 및
    상기 출혈 영역 정보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혈 영역 판단부는 상기 마우스피스를 복수 개로 구획한 영역 중 적색이 있는 영역을 출혈 영역으로 판단하는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구강 관리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강 관리기는 구강 내에 삽입 시 상측 혹은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의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상기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에 연결된 흡인 펌프; 및 상기 흡인 펌프에 연결된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우스피스와 상기 흡인 펌프 사이에는 사용자가 직접 개폐하거나,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개구가 연결되며, 상기 마우스피스는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가요성의 외벽을 포함하며, 상기 흡인 펌프의 동작과 상기 개구의 개방 여부에 따라서, 상기 외벽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혈 영역 판단부는 상기 구획한 영역 중 인접한 영역에 적색이 판단되며, 인접한 영역의 출혈 여부를 재차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출혈 영역 판단부는 상기 인접한 영역 중 가장 많은 출혈이 확인된 부분을 선택하고, 상기 인접한 영역 중 다른 영역은 영역 전체 면적 대비 출혈 면적이 소정 비율이 넘은 경우에만 출혈 영역으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음압이 걸리더라도 외벽이 치아와 잇몸에 과도하게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벽에 상기 공간부 측으로 돌출된 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장치.



KR1020190133341A 2019-10-25 2019-10-25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구강 관리 장치 및 그 구강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10049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103058.XA CN114828734A (zh) 2019-10-25 2019-10-25 利用负压的口腔管理方法、口腔管理装置及记录有用于执行口腔管理方法的程序的计算机可读记录媒体
PCT/KR2019/014129 WO2021080047A1 (ko) 2019-10-25 2019-10-25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구강 관리 장치 및 그 구강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0133341A KR20210049264A (ko) 2019-10-25 2019-10-25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구강 관리 장치 및 그 구강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341A KR20210049264A (ko) 2019-10-25 2019-10-25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구강 관리 장치 및 그 구강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264A true KR20210049264A (ko) 2021-05-06

Family

ID=7562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341A KR20210049264A (ko) 2019-10-25 2019-10-25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구강 관리 장치 및 그 구강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10049264A (ko)
CN (1) CN114828734A (ko)
WO (1) WO202108004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4127B2 (ja) * 2011-09-12 2017-01-25 マブリク デンタル システムズ,リミテッド. 歯のホワイトニングの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5150138A (ja) * 2014-02-13 2015-08-24 Hoya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画像生成装置およびマウスピース
FR3021518A1 (fr) * 2014-05-27 2015-12-04 Francois Duret Dispositif de visualisation pour faciliter la mesure et le diagnostic 3d par empreinte optique en dentisterie
CN106473825B (zh) * 2015-09-01 2018-10-09 欧阳仪霏 一种牙齿清洁器
JP6766086B2 (ja) * 2017-09-28 2020-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0047A1 (ko) 2021-04-29
CN114828734A (zh)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4187B2 (en) Tracked toothbrush and toothbrush tracking system
RU257132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отбора и анализа образцов текучей среды из полости рта
RU2534902C2 (ru) Системы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US10478273B2 (en) Dental device for automatically cleaning a person's oral cavity
ES2689533T3 (es) Dispositivo de limpieza dental
RU263059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CN107404996A (zh) 具有抽吸及清洗功能的牙刷
US11751983B2 (en) Oral hygiene method
US10925703B2 (en) Simultaneous cleaning of multiple teeth
JP2022514419A (ja) 口腔から唾液サンプルを収集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US202103694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ed and personalized oral irrigator
KR101911834B1 (ko) 스마트 칫솔 및 그 제어방법
US11160362B2 (en) All-at-once, teeth-surrounding oral cleaning device and methods
KR20210049264A (ko) 음압을 활용한 구강 관리 방법, 구강 관리 장치 및 그 구강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208591150U (zh) 牙套式牙齿智能清洗和诊断系统
CN105030362A (zh) 一种智能洗牙器及其使用方法
WO2019210581A1 (zh) 一种冲牙器、口腔远程预防、诊断和护理装置及其方法和应用
CN107496048B (zh) 一种牙齿处理装置及牙齿处理方法
CN215936571U (zh) 一种可更换刷头的多功能牙刷
CN204951206U (zh) 一种智能洗牙器
KR102261297B1 (ko) 전동 칫솔
CN105287038A (zh) 一种口腔整体清洁设备及其使用方法
CN114869519B (zh) 一种基于物联网跟踪的口腔疾病智能理疗仪
KR20200106408A (ko) 구강 관리 장치
CN218572167U (zh) 一种去污除雾喉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