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938A -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938A
KR20210048938A KR1020190133239A KR20190133239A KR20210048938A KR 20210048938 A KR20210048938 A KR 20210048938A KR 1020190133239 A KR1020190133239 A KR 1020190133239A KR 20190133239 A KR20190133239 A KR 20190133239A KR 20210048938 A KR20210048938 A KR 20210048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ster
drug
blister sheet
pocke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6557B1 (ko
Inventor
김호연
Original Assignee
(주)크레템
김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레템, 김호연 filed Critical (주)크레템
Priority to KR1020190133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557B1/ko
Priority to PCT/KR2020/014504 priority patent/WO2021080353A2/ko
Publication of KR20210048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50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 B65B11/52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one sheet being rendered plastic, e.g. by heating, and forced by fluid pressure, e.g. vacuum, into engagement with the other sheet and contents, e.g. skin-, blister-, or bubbl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2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개시된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약제가 수용된 복수의 약제 카세트, 약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약제 포켓이 구비된 블리스터 시트를 한 장씩 낙하시켜 공급하는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 복수의 약제 카세트 중 적어도 일부에서 낙하한 약제를 복수의 약제 포켓에 분배하여 채우는 약제 분배 유닛, 복수의 약제 포켓에 약제가 채워진 블리스터 시트의 상측면에 커버를 부착하여 복수의 약제 포켓이 밀봉된 블리스터 팩을 형성하는 커버 부착 유닛, 및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에서 낙하한 블리스터 시트를 약제 분배 유닛으로 이송하고, 약제 분배 유닛에 의해 복수의 약제 포켓에 약제가 채워진 블리스터 시트를 커버 부착 유닛까지 이송하는 블리스터 시트 이송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blister-packing pills}
본 발명은 자동으로 약제를 블리스터 시트의 복수의 약제 포켓에 분배하고 커버를 부착하여 블리스터 팩을 완성하는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이나 약국에서 처방전(prescription)에 따라 처방된 약제는 비닐 백(bag)에 1회 복용량씩 분리 포장되거나, 블리스터 팩(blister pack)에 밀봉 포장된다. 상기 블리스터 팩은 행렬을 이루며 배열된 복수의 약제 포켓(pocket)이 형성된 블리스터 시트와, 상기 복수의 약제 포켓이 밀봉되도록 상기 블리스터 시트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커버를 구비한다. 블리스터 팩을 이용하여 약제를 밀봉 포장하는 방식은 약제의 도난, 유실, 오남용을 예방하고, 예컨대, 점심 후 복용 약제와 저녁 후 복용 약제가 다른 경우와 같이 약제의 복용 방법이 복잡한 경우에도 올바른 약제 복용을 도와주는 효과가 있어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약제를 처방전에 따라 블리스터 팩에 포장하는 작업의 능률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자동으로 약제를 블리스터 시트의 복수의 약제 포켓에 분배하고 커버를 부착하여 블리스터 팩을 완성하는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가 요구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343788호
본 발명은, 복수의 약제 카세트로부터 자동으로 약제를 낙하시켜서 블리스터 시트의 복수의 약제 포켓에 분배하고, 상기 블리스터 시트에 커버를 부착하여 약제가 밀봉된 블리스터 팩을 완성하는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약제가 수용된 복수의 약제 카세트, 약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약제 포켓이 구비된 블리스터 시트를 한 장씩 낙하시켜 공급하는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 상기 복수의 약제 카세트 중 적어도 일부에서 낙하한 약제를 상기 복수의 약제 포켓에 분배하여 채우는 약제 분배 유닛, 상기 복수의 약제 포켓에 약제가 채워진 블리스터 시트의 상측면에 커버(cover)를 부착하여 상기 복수의 약제 포켓이 밀봉된 블리스터 팩을 형성하는 커버 부착 유닛, 및 상기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에서 낙하한 블리스터 시트를 상기 약제 분배 유닛으로 이송하고, 상기 약제 분배 유닛에 의해 상기 복수의 약제 포켓에 약제가 채워진 블리스터 시트를 상기 커버 부착 유닛까지 이송하는 블리스터 시트 이송 유닛을 구비하는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약제 분배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약제 포켓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hole)이 형성된 분배 프레임(frame), 및 상기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 하단의 개구(opening)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셔터(shutter)를 구비하고, 상기 셔터에 의해 상기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 하단의 개구가 폐쇄된 상태로 상기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에 약제가 투입되고, 상기 블리스터 시트의 복수의 약제 포켓과 상기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이 일대일로 정렬되도록 상기 분배 프레임이 상기 블리스터 시트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셔터에 의해 폐쇄된 상기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 하단의 개구가 개방되어서 상기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에 수용된 약제가 상기 복수의 약제 포켓으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분배 프레임이 중력(重力)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단의 개구가 폐쇄된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에 순차적으로 약제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셔터는, 상기 분배 프레임의 아래에 배치된 평판(flat plate)을 구비하고, 상기 평판은 상기 분배 프레임의 모든 포켓 대응 통공의 하단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분배 프레임의 모든 포켓 대응 통공의 하단의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는, 상기 블리스터 팩을 상기 커버 부착 유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블리스터 팩 배출 컨베이어(conveyo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는, 처방전에 따라 복수의 약제 카세트로부터 자동으로 약제를 낙하시켜서 블리스터 시트의 복수의 약제 포켓에 분배하고, 상기 블리스터 시트에 커버를 부착하여 자동으로 약제가 밀봉된 블리스터 팩을 완성한다. 따라서, 블리스터 시트를 이용한 처방 조제 작업의 능률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블리스터 시트를 이용한 약제 포장이 확산되면 약제의 도난, 유실, 및 오남용이 억제되고, 약제의 복용 방법이 복잡한 경우에도 환자가 약제를 올바르게 복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약제 포장용 블리스터 팩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의 평면도로서, 블리스터 시트가 적층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의 우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적층된 복수의 블리스터 시트 중에서 최하층의 블리스터 시트가 분리 낙하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약제 분배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커버 부착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커버 공급 롤러를 통해 공급되는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XII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블리스터 시트에 커버를 부착하여 블리스터 팩을 완성하고, 블리스터 팩을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약제 포장용 블리스터 팩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처방전에 따른 조제약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약제 포장용 블리스터 시트(2)는, 편평한 시트 본체(3)와, 약제(16)(도 6 참조)가 수용되는 복수의 약제 포켓(pocket)(8)을 구비한다. 각각의 약제 포켓(8)은 시트 본체(3)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측에는 약제(16)가 투입되도록 개방된 포켓 개구(9)가 형성된다. 각각의 약제 포켓(8)에 1회 복용량의 약제(16)가 채워진다. 복수의 약제 포켓(8)은 행렬을 이루며 배열되는데, 도시된 블리스터 시트(2)는 최대 일주일 분량의 조제약이 채워질 수 있도록 7행 4열로 약제 포켓(8)이 배열된다.
복수의 약제 포켓(8)에 약제(16)가 채워지면 블리스터 시트(2)의 상측면, 다시 말해 시트 본체(3)의 상측면에 복수의 약제 포켓(8)을 밀봉하는 시트(sheet) 형태의 커버(cover)(12)가 부착된다. 약제가 수용된 블리스터 시트(2)와, 블리스터 시트(2)에 부착된 커버(12)가 약제(16)를 1회 복용분씩 분리하여 밀봉 수용하는 블리스터 팩(pack)(1)을 구성한다. 블리스터 시트(2)의 상측면, 구체적으로 시트 본체(3)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커버(12)의 하측면은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면이다. 손가락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12)를 눌러서 찢으면 약제 포켓(8)에 채워진 약제(16)를 꺼내 복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20)는 자동으로 조제약을 1회 복용량씩 구분하여 블리스터 시트(2)의 복수의 약제 포켓(8)(도 1 참조)에 채우고, 블리스터 시트(2)를 커버(12)로 밀봉하여 블리스터 팩(1)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주로 대형 병원이나 약국에 구비된다.
상기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20)는 캐비닛(cabinet) 형태의 하우징(21)과, 하우징(21) 내부 상측에 약제 공급부(22)와, 하우징(21) 내부의 하측에 블리스터 포장부(35)와, 상기 약제 공급부(22) 및 블리스터 포장부(35)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controller)(미도시)를 구비한다. 블리스터 포장부(35)는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50), 약제 분배 유닛(37), 커버 부착 유닛(130), 블리스터 시트 이송 유닛(110), 및 블리스터 팩 배출 컨베이어(125)를 구비한다.
약제 공급부(22)는 서로 다른 종류의 약제가 수용된 복수의 약제 카세트(23)와, 상기 약제 카세트(23)에서 배출되는 약제들이 모여 순차적으로 아래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호퍼(hopper)(26, 27)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서버(server)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해 입력된 처방전에 따라 특정 약제가 채워진 약제 카세트(23)에서 약제가 배출되고, 약제 낙하 통로(미도시)를 통해 아래로 낙하된다. 상기 약제들은 복수의 약제 카세트(23) 아래에 배치된 복수의 중간 호퍼(26)에 모여 낙하 순서가 조정되어 낙하하고, 최종 호퍼(27)를 통해 최종 호퍼(27) 하단의 약제 검사대(30)에 1회 복용량 단위로 집합된다. 상기 약제 검사대(30)에 모인 약제들은 검사 카메라(camera)(29)에 의해 촬상된다. 상기 검사 카메라(29)는 약제 검사대(30)에 집합된 약제들이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와 같은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상기 검사 카메라(29)를 통해 약제 검사대(30)에 모인 약제들이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와 같지 않다고 판단되면, 즉 에러(error)라고 판단되면 약제 검사대(30)에 모인 약제들은 상기 약제 검사대(30) 아래의 에러 회수함(32)으로 배출된다. 상기 검사 카메라(29)를 통해 약제 검사대(30)에 모인 약제들이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와 같다고 판단되면, 즉 에러(error)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약제 검사대(30)에 모인 약제들은 상기 약제 검사대(30) 아래의 낙하 채널(channel)(33)을 통해 약제 분배 유닛(37)으로 낙하한다.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50)은 적층된 복수 장의 블리스터 시트(2)를 한 장씩 낙하시켜 공급하는 유닛으로, 하우징(21) 내부에서 상기 약제 분배 유닛(37)의 좌측에 배치된다. 상기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50)은 복수의 약제 포켓(8)(도 1 참조)에 약제가 채워지지 않은 블리스터 시트(2)를 공급한다. 커버 부착 유닛(130)은 약제(16)(도 13 참조)가 채워진 복수의 약제 포켓(8)이 밀봉되도록 블리스터 시트(2)의 상측면에 커버(12)를 부착하여 블리스터 팩(1)(도 1 참조)을 완성시키는 유닛으로, 하우징(21) 내부에서 상기 약제 분배 유닛(37)의 우측에 배치된다.
약제 분배 유닛(37)은 복수의 약제 카세트(23) 중 적어도 일부에서 낙하되고, 중간 호퍼(26)와 최종 호퍼(27)를 통해 낙하하여 1회 복용분씩 약제 검사대(30)에 집합되고, 다시 낙하 채널(33)을 통해 낙하하는 약제를 블리스터 시트(2)의 복수의 약제 포켓(8)에 올바르게 분배하여 채우는 유닛이다.
블리스터 시트 이송 유닛(110)은,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50)에서 낙하한 블리스터 시트(2)를 약제 분배 유닛(37)으로 이송하고, 약제 분배 유닛(37)에 의해 복수의 약제 포켓(8)에 약제(16)(도 13 참조)가 채워진 블리스터 시트(2)를 커버 부착 유닛(130)까지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블리스터 시트 이송 유닛(10)은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50), 약제 분배 유닛(37), 및 커버 부착 유닛(130)의 아래에서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이동 가능한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tray)(111)와,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5)(도 13 참조)을 구비한다.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의 전면 및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15)에 끼워져서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이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롤러(114)가 설치된다.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의 상측면에는 상기 블리스터 시트(2)에 구비된 복수의 약제 포켓(8)이 일대일로 대응되게 끼워지는 복수의 약제 포켓 그루브(groove)(112)(도 4 참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블리스터 시트(2)가 안착된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가 빠른 속도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블리스터 시트(2)가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50)에서 낙하한 블리스터 시트(2)가 상기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50) 아래에 위치한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에 안착되면, 상기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는 상기 약제 분배 유닛(37)의 아래로 이동하여 멈춘다. 상기 약제 분배 유닛(37)에서는 처방전에 대응되는 약제가 일시에 아래로 낙하하여 복수의 약제 포켓(8)에 약제(16)(도 13 참조)가 채워진다.
복수의 약제 포켓(8)에 약제(16)가 채워진 블리스터 시트(2)가 안착된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가 커버 부착 유닛(130) 아래로 이동하여 멈추면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상측면에 커버(12)(도 1 참조)가 부착되어 블리스터 팩(1)(도 1 참조)이 완성된다. 상기 블리스터 팩(1)은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와 이격되게 위로 들려지고, 상기 블리스터 시트(2)와 분리된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는 복수의 약제 포켓(8)이 채워지지 않은 새로운 블리스터 시트(2)가 낙하하여 안착되는 위치, 다시 말해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50)의 아래로 복귀한다.
블리스터 팩 배출 컨베이어(125)는 커버 부착 유닛(130) 아래에 상기 블리스터 시트 이송 유닛(110)의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5) 사이에 배치된다. 블리스터 팩 배출 컨베이어(125)는 커버(12)가 부착되어 완성된 블리스터 팩(1)을 커버 부착 유닛(130)의 외부, 구체적으로, 하우징(21) 외부의 적재 위치로 배출한다.
도 3은 도 2의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의 평면도로서, 블리스터 시트가 적층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의 우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50)는, 한 쌍의 외측벽(51), 한 쌍의 내측벽(55), 한 쌍의 전동 모터(57), 한 쌍의 스크류(screw)(60), 한 쌍의 제1 안내판(64), 한 쌍의 제2 안내판(70), 한 쌍의 제1 지지대(80), 한 쌍의 제2 지지대(90), 및 분리 블레이드(blade)(100)를 구비한다.
한 쌍의 내측벽(55)은 블리스터 시트(2)의 좌우 폭, 즉 Y축과 평행한 방향의 폭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며, 블리스터 시트(2)의 전후 길이 방향, 즉 X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 쌍의 내측벽(55) 상단부에는 블리스터 시트(2)의 좌우측 단부, 즉 제1 지지 단부(4)와 제2 지지 단부(5)가 걸리지 않도록 경사지게 상향 연장된 경사 가이드(guide)(56)가 구비된다. 한쌍의 내측벽(55)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적층되는 블리스터 시트(2)의 전단 코너(corner)와 후단 코너(corner)의 위치를 한정하는 한 쌍의 전단 가이드(106)와 한 쌍의 후단 가이드(108)가 고정 지지된다. 복수 장으로 적층된 블리스터 시트(2)는 상기 한 쌍의 내측벽(55), 한 쌍의 전단 가이드(106), 및 한 쌍의 후단 가이드(108)에 의해 한정되는 적재 공간에 적층된다. 도 3에서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블리스터 시트(2)의 아웃라인(outline)이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적재 공간에 대응된다.
상기 한 쌍의 외측벽(51), 한 쌍의 전동 모터(57), 한 쌍의 스크류(screw)(60), 한 쌍의 제1 안내판(64), 한 쌍의 제2 안내판(70), 한 쌍의 제1 지지대(80), 한 쌍의 제2 지지대(90), 및 분리 블레이드(blade)(100)는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적재 공간을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되게 배치된다. 각각의 외측벽(51)은 대응되는 내측벽(55)보다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적재 공간으로부터 더 멀게 배치되고, ZX 평면과 평행한 평면을 따라 연장된다.
한 쌍의 제1 지지대(80)는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적재 공간에 적층된 블리스터 시트(2)의 양 측 단부(4, 5), 즉 제1 지지 단부(4) 및 제2 지지 단부(5)를 지지한다. 한 쌍의 제2 지지대(90)는 한 쌍의 제1 지지대(80)의 아래에서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양 측 단부(4, 5)를 지지한다.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80) 및 한 쌍의 제2 지지대(90)는 각각,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양 측 단부(4, 5)가 걸려 지지되도록 서로에 대해 가까워지는 방향과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양 측 단부(4, 5)가 걸리지 않고 낙하하도록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80)와 한 쌍의 제2 지지대(90)는 동시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적재 공간의 좌측에 위아래로 배치된 제1 지지대(80)와 제2 지지대(90)는,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적재 공간의 좌측 후방에 배치된 하나의 전동 모터(57)의 동력에 의해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적재 공간의 우측에 위아래로 배치된 제1 지지대(80)와 제2 지지대(90)는,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적재 공간의 우측 후방에 배치된 하나의 전동 모터(57)의 동력에 의해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부연하면, 각각의 스크류(60)는 대응되는 내측벽(55)과 외측벽(51) 사이에서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전동 모터(57)의 샤프트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참조번호 58 및 59는 전동 모터(57)의 동력이 스크류(60)에 전달되도록 전동 모터(57)의 회전축과 스크류(60)의 일 단에 각각 고정되고 서로 치합된 베벨 기어이다. 각각의 제1 안내판(64)은 대응되는 내측벽(55)과 외측벽(51) 사이에서 스크류(60)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정한 폭으로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각각의 제2 안내판(70)은 대응되는 내측벽(55)과 외측벽(51) 사이에서 스크류(60)의 하측에 배치되며 일정한 폭으로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위아래로 배치된 제1 안내판(64)과 제2 안내판(70)의 전단과 후단은 한 쌍의 연결 부재(62)의 상단과 하단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62)에는 상기 스크류(60)가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6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62)의 통공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60)의 수나사 패턴이 치합되는 암나사 패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동모터(57)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안내판(64) 및 제2 안내판(70)이 동시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제1 안내판(64)의 전단 및 후단과 제2 안내판(70)의 전단 및 후단에는 좌우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65, 71)가 구비된다. 외측벽(51)과 내측벽(55)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65, 71)가 끼워지는 상측 가이드 그루브(guide groove)(52)와 하측 가이드 그루브(5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동 모터(57)의 동력에 의해 제1 안내판(64)과 제2 안내판(7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안내판(64)과 제2 안내판(70)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적층된 복수의 블리스터 시트 중에서 최하층의 블리스터 시트가 분리 낙하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대응되는 외측벽(51)과 내측벽(55) 사이에 Y축으로 연장된 제1 지지대 안내 빔(beam)(76)과 제2 지지대 안내 빔(78)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지지대 안내 빔(76)과 제2 지지대 안내 빔(78)의 양 단이 외측벽(51)과 내측벽(55)에 고정 지지된다. 제1 지지대 안내 빔(76)은 제1 안내판(64) 아래에 배치되고, 제2 지지대 안내 빔(78)은 제2 안내판(70) 위에 배치되며, 제2 지지대 안내 빔(76)이 제2 지지대 안내 빔(78)보다 위에 배치된다. 제1 지지대(80)는 Y축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제1 지지대 안내 빔(76)에 꿰어지고, 제2 지지대(90)는 Y축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제2 지지대 안내 빔(78)에 꿰어진다.
각각의 제1 지지대(80)는 제1 지지대 안내 빔(76)에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꿰어지는 슬라이딩 부재(81)와, 슬라이딩 부재(81)의 상단에서 상향 돌출된 제1 연계 돌기(protrusion)(82)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81)의 하단에서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적재 공간을 향해, 즉 Y축 양(+)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블레이드(85)를 구비한다. 각각의 제2 지지대(90)는 제2 지지대 안내 빔(78)에 슬라이딩(sliding) 가능하게 꿰어지는 슬라이딩 부재(91)와, 슬라이딩 부재(91)의 하단에서 하향 돌출된 제2 연계 돌기(92)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91)의 상단에서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적재 공간을 향해, 즉 Y축 양(+)의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블레이드(94)를 구비한다.
제1 블레이드(85)와 제2 블레이드(94)는 블리스터 시트(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 즉 X축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1 블레이드(85)가 제2 블레이드(94)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내측벽(55)에는 상기 제1 블레이드(85)와 제2 블레이드(94)가 내측벽(55)을 관통하여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적재 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게 개방된 블레이드 돌출 슬롯(55s)이 형성된다.
제1 안내판(64) 및 제2 안내판(70)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연장된 제1 경사 그루브(groove)(67) 및 제2 경사 그루브(73)가 형성된다. 도 3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경사진 그루브(67)가 제1 경사 그루브를 가리키고, 점선으로 도시된 경사진 그루브(73)가 제2 경사 그루브를 가리킨다. 제1 경사 그루브(67)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내측벽(55)보다 외측벽(51)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제2 경사 그루브(73)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외측벽(51)보다 내측벽(55)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1 연계 돌기(82)는 제1 경사 그루브(67)에 끼워지고, 제2 연계 돌기(92)는 제2 경사 그루브(73)에 끼워진다. 전동 모터(57)의 동력에 의해 제1 안내판(64)과 제2 안내판(70)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경사 그루브(67)에 끼워진 제1 연계 돌기(82)와, 상기 제2 경사 그루브(73)에 끼워진 제2 연계 돌기(9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지지대(80)와 제2 지지대(90)는 동시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제1 안내판(64)과 제2 안내판(70)의 모습은 X축 양(+)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의 모습이다. 이때 제1 연계 돌기(82)는 제1 경사 그루브(67)의 일 단(68a)에 위치하고, 제2 연계 돌기(92)는 제2 경사 그루브(73)의 일 단(74a)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80)의 제1 블레이드(85)의 말단은 블레이드 돌출 슬롯(55s)을 통해 내측벽(55)를 관통하여 적층된 블리스터 시트(2)를 향해 돌출되고, 제2 지지대(90)의 제2 블레이드(94)의 말단은 적층된 블리스터 시트(2)를 향해 돌출되지 못하고 후퇴되어 있다.
도 3에서 이점 쇄선은 제1 안내판(64)과 제2 안내판(70)이 X축 음(-)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했을 때 제1 안내판(64)과 제2 안내판(70)의 양 단의 위치를 가리킨다. 전동 모터(57)의 동력에 의해 제1 안내판(64)과 제2 안내판(70)의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위치까지 X축 음(-)의 방향과 평행하게 이동함에 따라 제1 연계 돌기(82)는 제1 경사 그루브(67)를 따라 그 일 단(68a)에서 타 단(68b)으로 위치 이동하고, 제2 연계 돌기(92)는 제2 경사 그루브(73)를 따라 그 일 단(74a)에서 타 단(74b)으로 위치 이동한다.
이로 인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80)의 제1 블레이드(85)는 외측벽(51)을 향해 후퇴하여서 제1 블레이드(85)의 말단이 내측벽(55)을 관통하여 적층된 블리스터 시트(2)를 향해 돌출되지 않는다. 제2 지지대(90)의 제2 블레이드(94)는 상기 제1 블레이드(85)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서 제2 블레이드(94)의 말단이 내측벽(55)을 관통하여 적층된 블리스터 시트(2)를 향해 돌출된다. 한편, 전동 모터(57)의 동력에 의해 제1 안내판(64)과 제2 안내판(70)이 도 3에서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까지 X축 양(+)의 방향과 평행하게 다시 이동하면,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80) 및 이에 구비된 제1 블레이드(85)는 다시 적층된 블리스터 시트(2)를 향해 돌출되고, 제2 지지대(90) 및 이에 구비된 제2 블레이드(94)는 다시 외측벽(51)을 향해 후퇴한다.
도 3과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한 쌍의 제1 지지대(80)가 서로에 대해 가까워져 있는 상태로서 한 쌍의 제1 블레이드(85)가 한 쌍의 내측벽(55)을 가로질러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적재 공간에 적층된 복수 장의 블리스터 시트(2) 중에서 최하층의 블리스터 시트(2BT)의 양 측 단부(4, 5)(도 1 참조)를 지지한다. 이때 한 쌍의 제2 지지대(80)는 서로에 대해 멀어져서, 즉 한 쌍의 외측벽(51)에 가깝게 후퇴되어 있어서 한 쌍의 제2 블레이드(94)가 한 쌍의 내측벽(55)을 가로질러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 3과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한 쌍의 제1 안내판(64)과 한 쌍의 제2 안내판(70)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면, 한 쌍의 제1 지지대(80)는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 즉 한 쌍의 외측벽(5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후퇴하여 한 쌍의 제1 블레이드(85)가 한 쌍의 내측벽(55)을 가로질러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고, 한 쌍의 제2 지지대(9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즉 한 쌍의 외측벽(5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제2 블레이드(94)가 한 쌍의 내측벽(55)을 가로질러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로 인해, 적층된 복수 장의 블리스터 시트(2)가 제1 블레이드(85)와 제2 블레이드(94) 간 높이 차이만큼 하강하여 상기 최하층의 블리스터 시트(2BT)가 한 쌍의 제2 지지대(90)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제2 블레이드(94)에 상기 최하층의 블리스터 시트(2BT)의 양 측 단부(4, 5)(도 1 참조)가 지지된다.
도 3과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한 쌍의 제1 안내판(64)과 한 쌍의 제2 안내판(70)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 한 쌍의 제2 지지대(9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 즉 한 쌍의 외측벽(5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후퇴하여 한 쌍의 제2 블레이드(94)가 한 쌍의 내측벽(55)을 가로질러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고, 한 쌍의 제1 지지대(8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즉 한 쌍의 외측벽(5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제1 블레이드(85)가 한 쌍의 내측벽(55)을 가로질러 내측으로 돌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한 쌍의 제2 블레이드(94)에 지지되었던 상기 최하층의 블리스터 시트(2BT)가 아래로 낙하하고, 상기 최하층의 바로 위 층의 블리스터 시트(2)는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80)에 지지되어 새롭게 최하층의 블리스터 시트(2)가 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1 블레이드(85)에 상기 새롭게 최하층이 된 블리스터 시트(2)의 양 측 단부(4, 5)(도 1 참조)가 지지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안내판(64)과 한 쌍의 제2 안내판(70)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다시 이동하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지지대(80)는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다시 후퇴하고, 한 쌍의 제2 지지대(90)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다시 전진 이동하여서, 적층된 복수 장의 블리스터 시트(2)가 제1 블레이드(85)와 제2 블레이드(94) 간 높이 차이만큼 다시 하강하고, 상기 새롭게 최하층이 된 블리스터 시트(2)가 한 쌍의 제2 지지대(90)에 지지된다.
도 3, 및 도 6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복수 장의 블리스터 시트(2)가 적층되면, 약제 포켓(8)이 바로 아래에 적층된 블리스터 시트(2)의 약제 포켓(8)의 포켓 개구(9)에 끼워진다. 상기 위 층의 약제 포켓(8)의 외측면과 그 아래 층의 약제 포켓(8)의 내측면이 마찰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최하층의 블리스터 시트(2BT)가 한 쌍의 블레이드(94)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최하층의 블리스터 시트(2BT)가 아래로 낙하하지 않을 수 있다.
분리 블레이드(100)는 상기한 최하층 블리스터 시트(2BT)의 낙하 실패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제1 지지대(80)가 서로에 대해 가까워져 상기 최하층 블리스터 시트(2BT)의 바로 위 층의 블리스터 시트(2)가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대(80)의 제1 블레이드(85)에 지지될 때 상기 최하층의 블리스터 시트(2BT)를 상기 최하층의 바로 위 층의 블리스터 시트(2)와 분리되도록 아래로 가압한다. 상기 분리 블레이드(100)는 상기 제1 지지대(80)에 힌지(hinge)(10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분리 블레이드(100)는 상기 최하층의 블리스터 시트(2BT)를 접촉 가압하는 블레이드 본체(101)와, 힌지(104)의 중심, 즉 분리 블레이드(100)의 회전 중심(RC)에 가깝게 위치하며 블레이드 본체(101)의 일 측에서 하향 돌출된 트리거(trigger)(102)와, 상기 분리 블레이드(100)의 회전 중심(RC)에 가깝게 위치하며 블레이드 본체(101)의 다른 일 측에서 상향 돌출된 충돌 돌기(103)를 구비한다. 제1 블레이드(85)의 하측면 일 부분에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101)가 제1 블레이드(85)와 겹쳐지면서 수용되도록 상측으로 파여진 분리 블레이드 수용 홈(groove)(87)이 형성된다.
제2 지지대(90)에는,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대(90)가 서로에 대해 가까워질 때 분리 블레이드(100)와 제1 지지대(80) 사이의 각도(AN), 구체적으로는 분리 블레이드(100)의 회전 중심(RC)에 대한 블레이드 본체(101)와 제1 블레이드(85) 사이의 각도(AN)가 작아지도록 분리 블레이드(100)를 밀어주는 상단 푸셔(pusher)(96)가 구비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부연하면, 제2 지지대(90)가 외측벽(5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지지대(80)가 외측벽(5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면서, 상기 블레이드 본체(101)가 상기 회전 중심(RC)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분리 블레이드 수용 홈(87)에 수용되도록 상기 상단 푸셔(96)가 상기 블레이드 본체(101)의 하측면을 밀어준다. 이에 따라, 제1 지지대(80)가 원활하게 외측벽(5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102)는 상기 상단 푸셔(96)와 충돌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된다. 즉, 상기 트리거(102)의 위치와 상기 상단 푸셔(96)의 위치의 X축 방향 좌표값은 서로간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이격된다.
또한, 제2 지지대(90)에는,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대(90)가 서로에 대해 멀어질 때 상기 분리 블레이드(100)와 제1 지지대(80) 사이의 각도(AN), 구체적으로는 분리 블레이드(100)의 회전 중심(RC)에 대한 블레이드 본체(101)와 제1 블레이드(85) 사이의 각도(AN)가 커지도록 상기 트리거(102)를 밀어주는 트리거 푸셔(97)가 더 구비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부연하면, 제1 지지대(80)가 외측벽(5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지지대(90)가 외측벽(5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면서, 상단 푸셔(96)는 상기 블레이드 본체(101)에서 이격되고, 상기 트리거 푸셔(97)가 상기 트리거(102)를 밀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85)와의 각도(AN)가 커지도록 상기 블레이드 본체(101)가 상기 회전 중심(RC)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블레이드(85)와 함께 최하층 블리스터 시트(2BT)의 양 측 단부(4, 5)(도 1 참조)와 최하층 블리스터 시트(2BT)의 바로 위 층 블리스터 시트(2)의 양 측 단부(4, 5) 사이로 진입한 블레이드 본체(101)의 말단이 상기 최하층 블리스터 시트(2BT)의 양 측 단부(4, 5)를 접촉하여 아래로 누른다. 이로 인해, 상기 최하층의 블리스터 시트(2BT)가 신뢰성 있게 아래로 낙하하게 된다.
제1 지지대(80)에는,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대(90)가 서로에 대해 멀어질 때 분리 블레이드(100)와 제1 지지대(80) 사이의 각도(AN)가 과도하게 커지지 않도록 상기 충돌 돌기(103)를 가로막는 스토퍼(stopper)(84)가 구비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트리거 푸셔(97)가 트리거(102)를 밀어서 분리 블레이드(100)가 회전할 때 중력(重力)에 의해 상기 분리 블레이드(100)가 과도하게 회전할 수 있으나, 상기 충돌 돌기(103)가 상기 스토퍼(84)와 충돌하면서 가로막혀 상기 분리 블레이드(100)의 과도한 회전이 방지된다.
도 2, 도 4,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적층된 복수 장의 블리스터 시트(2)에서 분리되어 낙하하는 최하층의 블리스터 시트(2BT)는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50) 아래 지점에 대기하고 있는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의 상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약제 포켓 그루브(112)에 낙하하는 블리스터 시트(2)의 복수의 약제 포켓(8)이 끼워진다. 낙하하는 한 장의 블리스터 시트(2BT)가 안착된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는 약제 분배 유닛(37)의 아래 지점까지 이동하여 멈춘다. 상기 블리스터 시트(2BT)가 안착된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가 빠른 속도로 약제 분배 유닛(37)의 아래 지점으로 이동하더라도 상기 블리스터 시트(2)가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도 9는 도 2의 약제 분배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약제 분배 유닛(37)은 분배 프레임(frame)(38)과 셔터(shutter)(40)를 구비한다. 상기 분배 프레임(38)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으로,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즉 분배 프레임(38)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hole)(39)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39)은 블리스터 시트(2)의 복수의 약제 포켓(8)에 일대일로 대응된다. 다시 말해, 도 9에 도시된 분배 프레임(38)의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39)은 복수의 약제 포켓(8)과 마찬가지로 7행 4열의 행렬을 이루며 배열되고, 인접한 포켓 대응 통공(39) 사이의 간격도 인접한 약제 포켓(8) 사이의 간격과 같다.
분배 프레임(38)은 중력(重力)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수평 방향, 즉 X축과 평행한 P1 방향 및 Y축과 평행한 P2 방향으로 빠르게 이동 가능하다. 상기 분배 프레임(38)을 P1 방향 및 P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메커니즘(mechanism)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셔터(40)는 분배 프레임(38)에 형성된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39) 하단의 개구(opening)를 선택적으로 폐쇄한다. 셔터(40)는 분배 프레임(38)의 아래에 배치된 평판(flat plate)을 구비한다. 상기 셔터(40)의 평판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Y축과 평행하고 서로 이격된 전단 모서리(41)와 후단 모서리(42), 및 X축과 평행하고 서로 이격된 좌측 모서리(43)와 우측 모서리(44)에 의해 그 형상이 한정된다. 상기 셔터(40)의 평판의 상측면과 분배 프레임(38)의 하측면 사이의 간격은 약제가 빠져 나올 수 없도록 약제 카세트(23)에 수용된 약제 중 가장 작은 약제의 크기보다 작다.
상기 셔터(40)의 평판은 분배 프레임(38)의 모든 포켓 대응 통공(39)의 하단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분배 프레임(38)의 모든 포켓 대응 통공(39)의 하단의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셔터(40)의 평판은 X축과 평행한 OC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9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전단 모서리(41), 후단 모서리(42), 좌측 모서리(43), 및 우측 모서리(44)가 폐쇄 위치에 있는 평판을 나타낸다. 한편, 도 9에서 개방 위치에 있는 평판의 전단 모서리(41)는 이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셔터(40)의 평판이 개방 위치인 때에는 분배 프레임(38)과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으므로, 분배 프레임(38)의 모든 포켓 대응 통공(39)의 하단 개구가 개방된다. 상기 셔터(40)의 평판을 OC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메커니즘(mechanism)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셔터(40)의 평판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분배 프레임(38)이 P1 및 P2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분배 프레임(38)의 전단 모서리가 상기 평판의 전단 모서리(41)를 넘어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분배 프레임(38)의 후단 모서리가 상기 평판의 후단 모서리(42)를 넘어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분배 프레임(38)의 좌측 모서리가 상기 평판의 좌측 모서리(43)를 넘어 좌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분배 프레임(38)의 우측 모서리가 상기 평판의 우측 모서리(44)를 넘어 우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셔터(40)의 평판이 폐쇄 위치에 정지하고 있더라도, 분배 프레임(38)의 모든 포켓 대응 통공(39)의 하단의 개구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처럼 셔터(40)에 의해 분배 프레임(38)의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39) 하단의 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낙하 채널(33)의 하단으로부터 약제가 1회 복용분씩 단속적으로 낙하하여 상기 ??쇄된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39)에 약제가 순차적으로 투입되어 수용된다. 부연하면, 낙하 채널(33)의 하단에서 첫 번째 1회 복용분의 약제가 낙하할 때에는 1행 1열 위치의 포켓 대응 통공(39)이 상기 낙하 채널(33) 하단과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게 위치하고, 낙하 채널(33)의 하단에서 두 번째 1회 복용분의 약제가 낙하할 때에는 분배 프레임(38)이 P2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여 1행 2열 위치의 포켓 대응 통공(39)이 상기 낙하 채널(33) 하단과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게 위치한다. 예컨대, 이런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1행 1열 위치의 포켓 대응 통공(39)부터 7행 4열 위치의 포켓 대응 통공(39)까지 순차적으로 1회 복용분의 약제가 채워진다. 다만,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20)에 입력된 처방전에 따라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39) 중 일부의 포켓 대응 통공(39)에는 약제가 투입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39)에 처방전에 따라 약제가 채워지면, 약제 분배 유닛(37) 아래에서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에 지지된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블리스터 시트(2)의 복수의 약제 포켓(8)(도 1 참조)과 상기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39)이 Z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일대일로 정렬되도록 상기 분배 프레임(38)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처럼 블리스터 시트(2) 위에 분배 프레임(38)이 정렬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셔터(40)의 평판이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서 셔터(40)에 의해 폐쇄되었던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39) 하단의 개구가 개방되고, 이로 인해 상기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39)에 수용된 약제가 상기 복수의 약제 포켓(8)으로 낙하하여 수용된다.
복수의 약제 포켓(8)에 처방전에 따른 약제가 채워진 블리스터 시트(2)가 안착된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는 커버 부착 유닛(130)의 아래 지점까지 이동하여 멈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평판을 구비한 셔터(40)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약제 분배 유닛에 구비되는 셔터는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을 개별적으로 여닫을 수 있게 분배 프레임에 힌지(hinge)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또는, 분배 프레임(38)의 P1 또는 P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셔터의 평판이 상기 분배 프레임(38)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계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2의 커버 부착 유닛의 우측면도고, 도 11은 도 10의 커버 공급 롤러를 통해 공급되는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XII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블리스터 시트(2)의 커버 부착 유닛(130)은 커버 공급 롤러(136), 커버 분리기(140), 이형 필름 회수 롤러(138), 프레스 판(131), 에어 블로어(air blower)(160), 커버 감지 센서(152), 및 프린터(156)를 구비한다.
커버 공급 롤러(136)는 커버(12)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이형 필름(10)을 끊김 없이 공급하는 롤러(roller)로서, 상기 프레스 판(131)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12)의 하측면(12b)에는 점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이형 필름(10)의 상측면(10t)에는 이형제가 도포되어서 상기 커버(12)의 하측면(12b)이 상기 이형 필름(10)의 상측면(10t)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복수의 커버(12)가 일정 간격(GP)으로 이격되게 일렬로 배열되며 이형 필름(10)에 부착된다.
커버 분리기(140)는 이형 필름(10)에 부착된 커버(12)를 상기 이형 필름(10)으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커버 분리기(140)에 의해 이형 필름(10)에서 분리된 커버(12)는 프레스 판(131) 아래로 진행한다. 커버 분리기(140)는 웨지(wedge)(148), 전동 모터(141), 스크류(143), 및 연결 부재(145)를 구비한다.
웨지(148)는 커버 공급 롤러(136)로부터 공급된 이형 필름(10)의 진행 방향이 예각(AW)을 이루며 절곡되도록 예각으로 돌출된 에지(edge)(149)를 구비한다. 웨지(148)는 그 에지(149)가 상기 프레스 판(131)의 후단(133)과 겹쳐지도록 상기 프레스 판(131)의 바로 아래에서 전방으로 이동한 전진 위치와, 상기 프레스 판(131)이 하강할 때 상기 프레스 판(131)과 충돌하지 않도록 프레스 판(131)에서 멀어지는 후방으로 이동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도 10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웨지(148)가 전진 위치에 있는 웨지를 나타내고,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웨지(148)가 후퇴 위치에 있는 웨지를 나타낸다.
상기 전동 모터(141)는 상기 웨지(148)가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스크류(143)는 X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외주면에 수형 스크류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동 모터(14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 모터(141)의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연결 부재(145)는 상기 스크류(143)가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웨지(148)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 부재(145)의 통공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143)의 수형 스크류 패턴에 치합되는 암형 스크류 패턴이 형성되어서, 상기 스크류(143)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145)와 이에 결합된 웨지(148)가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된다.
웨지(148)가 전진 위치인 때 커버(12)가 부착된 이형 필름(10)은 웨지(148)의 상측면(148u)을 타고 전방으로 이동한다. 에지(149)를 지나면서 이형 필름(10)의 진행 방향이 예각(AW)을 이루며 절곡되는데 이때 커버(12)는 이형 필름(10)과 함께 절곡되지 않아서 이형 필름(10)과 분리되면서 계속 전진한다. 커버(10)가 분리된 이형 필름(10)은 웨지(148)의 경사진 하측면(148l)을 타고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형 필름 회수 롤러(138)는 커버 분리기(140)에 의해 커버(12)가 분리된 이형 필름(10)을 감아 회수하는 롤러로서, 커버 공급 롤러(136)의 후방에 위치한다. 프레스 판(131)은 커버 분리기(140)에 의해 이형 필름(10)과 분리된 커버(12)를 흡착하고 하강하여 점착제가 도포된 상기 커버(12)의 하측면(12b)을 블리스터 시트(2)의 상측면, 구체적으로는 시트 본체(3)의 상측면에 점착 고정시킨다. 상기 프레스 판(131)은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의 동력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도 10, 도 13 내지 도 15에 명확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프레스 판(131)의 하측면(132)에는 진공압에 의해 공기가 흡기되는 복수의 흡기공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스 판(131)은 흡기 튜브(tube)(133)를 통해 프레스 판(131) 외부의 진공 흡입 펌프(pump)(미도시)로 연결된다.
에어 블로어(160)는 웨지(148)의 에지(149)를 지나서 이형 필름(10)과 분리되어 진행하는 커버(12)가 프레스 판(131)의 하측면(132)에 흡착되도록 고압의 공기를 상기 프레스 판(131)의 하측면(132)을 향해 불어낸다. 도 10에서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가 에어 블로어(160)에 의해 토출되는 고압 공기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다. 이형 필름(10)과 분리된 커버(12)는 프레스 판(131) 아래에서 전진하면서 중력(중력)에 의해 전단(13)(도 11 참조)이 아래로 처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커버(12)가 프레스 판(131) 하측면에 흡착되지 못하고 낙하할 수 있는데, 상기 에어 블로어(160)가 상기 커버(12)를 위로 불어 올려서 상기 프레스 판(131)의 하측면(132)에 신뢰성 있게 흡착되게 한다.
커버 감지 센서(152)는 커버 분리기(140)에 의해 이형 필름(10)에서 분리되어 프레스 판(131) 측으로 공급되는 커버(10)의 후단(14)을 감지한다. 커버 감지 센서(152)는 예컨대, 프레스 판(131)의 후단(133) 바로 뒤 상측에 배치된 발광부(153)와, 웨지(148)에 마련된 센서 수용 그루브(15)에 배치된 수광부(154)를 구비한다. 상기 이형 필름(10)은 상기 발광부(153)와 수광부(154) 사이를 지나 에지(149)로 진행한다. 상기 이형 필름(10)은 투명하고, 커버(12)는 불투명하다.
따라서, 커버(12)가 발광부(153)와 수광부(154)를 잇는 가상의 선(line)(도 12의 일점 쇄선 참조)을 통과하는 동안에는 발광부(153)에서 투사된 빛이 수광부(154)에 입사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20)의 콘트롤러는 한 장의 커버(12)가 프레스 판(131)의 아래로 계속 공급되고 있고 공급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한편, 인접하여 이격된 한 쌍의 커버(12) 사이의 이형 필름(10) 부분이 상기 발광부(153)와 수광부(154)를 잇는 가상의 선을 통과하는 동안에는 발광부(153)에서 투사된 빛이 수광부(154)에 입사된다. 이 경우에 상기 콘트롤러는 앞선 한 장의 커버(12)가 프레스 판(131)의 아래로 공급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결론적으로, 발광부(153)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부(154)에서 감지하지 못하다가 감지하게 되면, 커버 감지 센서(152)가 커버(12)의 후단(14)을 감지한 것이 되며, 커버(12)의 후단(14)(도 11)이 상기 발광부(153)와 수광부(154)를 잇는 가상의 선을 막 통과하여 한 장의 커버(12)가 프레스 판(131) 아래로 공급 완료되었다고 판단된다. 발광부(153)에서 조사된 빛을 수광부(154)에서 감지하다가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후속하는 커버(12)의 전단(13)이 프레스 판(131)의 아래로 공급되기 시작한다고 판단된다.
상기 커버 감지 센서(152)에 의해 상기 커버(12)의 후단(14)이 감지된 후에 상기 프레스 판(131)이 하강하기에 앞서서 커버 분리기(140)의 웨지(148)가 전동 모터(141)의 동력에 의해 후퇴하게 된다. 이로써 프레스 판(131)과 웨지(148)의 충돌이 방지된다.
프린터(156)는 커버 분리기(140)에 의해 커버(12)가 이형 필름(10)에서 분리되기 전에 상기 커버(12)의 상측면(12t)(도 13 참조)에 문자 또는 그림을 인쇄한다. 상기 커버(12)는 감열지일 수 있다. 상기 프린터(156)는 감열 방식으로 문자 또는 그림을 커버(12)에 인쇄하는 프린터 헤드(head)(157)와, 상기 프린터 헤드(157)가 커버(12)에 문자 또는 그림을 인쇄할 때 상기 커버(12)를 지지하여 상기 프린터 헤드(157)에 밀착시키는 인쇄 지지 롤러(158)를 구비한다. 상기 프린터 헤드(157)는 상기 인쇄 지지 롤러(158)에 지지되는 커버(12)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커버(12)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약제(16)(도 15 참조)가 수용된 블리스터 시트(2)와 상기 블리스터 시트(2)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커버(12)를 구비한 블리스터 팩(1)은 프레스 판(131) 아래의 블리스터 팩 배출 컨베이어(125)에 내려지고, 상기 블리스터 팩 배출 컨베이어(125)에 의해 하우징(21) 외부의 소정의 적재 위치로 배출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블리스터 시트에 커버를 부착하여 블리스터 팩을 완성하고, 블리스터 팩을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2, 도 10, 및 도 13 내지 도 15을 참조하여 커버 부착 유닛(13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약제 분배 유닛(37)에서 낙하한 약제가 복수의 약제 포켓(8)에 채워진 블리스터 시트(2)가 안착된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부착 유닛(130)의 아래, 구체적으로 프레스 판(131)의 아래로 이동하여 멈춘다.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는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5)을 따라 이동한다.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의 전면 및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15)에 끼워져서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이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 롤러(114)가 설치된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5) 사이에는 상기 블리스터 팩 배출 컨베이어(125)가 배치된다.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가 프레스 판(131) 아래에 멈춰있을 때 상기 프레스 판(131)은 상승 위치에 있고, 커버 분리기(140)의 웨지(148)는 전진 위치에 있다. 웨지(148)의 에지(149)를 지나면서 이형 필름(10)과 분리된 커버(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 판(131)의 하측면(132)에 흡착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 블로어(160)가 고압 공기를 불어 커버(12)가 프레스 판(131)의 하측면(132)에 흡착되도록 돕는다. 그리고 나서, 웨지(148)는 후퇴 위치로 이동한다.
커버(12)를 흡착한 프레스 판(131)이 하강 위치로 이동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의 하측면(12b)을 블리스터 시트(2)의 상측면, 구체적으로는 시트 본체(3)의 상측면에 밀착시킨다. 이로 인해, 점착제가 도포된 커버(12)의 하측면(12b)이 상기 시트 본체(3)의 상측면에 점착되고, 복수의 약제 포켓(8)에 수용된 약제(16)가 밀봉된 블리스터 팩(1)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14을 함께 참조하면, 프레스 판(131)의 하측면(132)이 커버(12)를 흡착하는 상태로 프레스 판(131)이 상승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블리스터 팩(1)이 프레스 판(131)에 의해 들어올려지며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에서 분리 이격된다. 상기 블리스터 팩(1)과 분리된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는 Y축 음(-)의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약제 포켓(8)이 채워지지 않은 새로운 블리스터 시트(2)가 낙하하여 안착되는 위치, 구체적으로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50)의 아래로 복귀한다.
도 2 및 도 15을 함께 참조하면,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111)가 프레스 판(131) 아래에서 제거된 후에 프레스 판(131)이 블리스터 팩(1)을 흡착한 상태로 다시 하강하여 블리스터 팩 배출 컨베이어(125)에 블리스터 팩(1)을 올려 놓는다. 그리고, 프레스 판(131)은 하측면(132)을 통한 공기 흡입을 중단하고 다시 상승한다. 이로 인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리스터 팩(1)이 프레스 판(131)과 분리되어 블리스터 팩 배출 컨베이어(125)에 놓여진다. 상기 블리스터 팩(1)은 상기 블리스터 팩 배출 컨베이어(125)에 의해 하우징(21)의 외부의 블리스터 팩 적재 위치(미도시)로 배출된다.
상기 커버 부착 유닛(130)에 의해 약제(16)가 투입된 블리스터 시트(2)의 상측면에 자동으로 커버(12)를 부착하여 약제(16)가 밀봉된 블리스터 팩(1)이 완성된다. 따라서, 블리스터 시트(2)를 이용한 자동 약제 포장 작업의 작업 생산성과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착 유닛(130)에 의하면, 커버(12)에 약제(16)와 약제(16)의 수령인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및 약제(16)의 복용 방법에 관한 정보를 프린터(156)를 이용하여 인쇄할 수 있어서, 블리스터 팩(1)의 전달 에러(error)를 예방하고, 약제의 올바른 복용이 촉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블리스터 팩 2: 블리스터 시트
10: 이형 필름 12: 커버
20: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23: 약제 카세트
37: 약제 분배 유닛 50: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
110: 블리스터 시트 이송 유닛 111: 블리스터 시트 트레이
125: 블리스터 팩 배출 컨베이어 130: 커버 부착 유닛

Claims (5)

  1. 서로 다른 종류의 약제가 수용된 복수의 약제 카세트;
    약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약제 포켓이 구비된 블리스터 시트를 한 장씩 낙하시켜 공급하는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
    상기 복수의 약제 카세트 중 적어도 일부에서 낙하한 약제를 상기 복수의 약제 포켓에 분배하여 채우는 약제 분배 유닛;
    상기 복수의 약제 포켓에 약제가 채워진 블리스터 시트의 상측면에 커버(cover)를 부착하여 상기 복수의 약제 포켓이 밀봉된 블리스터 팩을 형성하는 커버 부착 유닛; 및,
    상기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에서 낙하한 블리스터 시트를 상기 약제 분배 유닛으로 이송하고, 상기 약제 분배 유닛에 의해 상기 복수의 약제 포켓에 약제가 채워진 블리스터 시트를 상기 커버 부착 유닛까지 이송하는 블리스터 시트 이송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분배 유닛은, 상기 복수의 약제 포켓에 일대일로 대응되는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hole)이 형성된 분배 프레임(frame), 및 상기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 하단의 개구(opening)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셔터(shutter)를 구비하고,
    상기 셔터에 의해 상기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 하단의 개구가 폐쇄된 상태로 상기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에 약제가 투입되고, 상기 블리스터 시트의 복수의 약제 포켓과 상기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이 일대일로 정렬되도록 상기 분배 프레임이 상기 블리스터 시트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셔터에 의해 폐쇄된 상기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 하단의 개구가 개방되어서 상기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에 수용된 약제가 상기 복수의 약제 포켓으로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프레임이 중력(重力)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하단의 개구가 폐쇄된 복수의 포켓 대응 통공에 순차적으로 약제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분배 프레임의 아래에 배치된 평판(flat plate)을 구비하고,
    상기 평판은 상기 분배 프레임의 모든 포켓 대응 통공의 하단의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분배 프레임의 모든 포켓 대응 통공의 하단의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 팩을 상기 커버 부착 유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블리스터 팩 배출 컨베이어(conveyor);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KR1020190133239A 2019-10-24 2019-10-24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KR102346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239A KR102346557B1 (ko) 2019-10-24 2019-10-24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PCT/KR2020/014504 WO2021080353A2 (ko) 2019-10-24 2020-10-22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239A KR102346557B1 (ko) 2019-10-24 2019-10-24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938A true KR20210048938A (ko) 2021-05-04
KR102346557B1 KR102346557B1 (ko) 2022-01-03

Family

ID=7561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239A KR102346557B1 (ko) 2019-10-24 2019-10-24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6557B1 (ko)
WO (1) WO2021080353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788B1 (ko) 2000-07-08 2002-07-20 오영현 환약용 블리스터 포장기
KR20150067684A (ko) * 2013-12-10 2015-06-18 에이치엠에이치 주식회사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KR20170068285A (ko) * 2015-12-09 2017-06-19 에이치엠에이치 주식회사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350A (ja) * 1999-08-10 2001-02-20 Sanyo Seisakusho:Kk ワークの移送ミス防止装置
US7426814B2 (en) * 2005-12-23 2008-09-23 Qem, Inc. Method of dispensing pills from a movable platen
KR20170068284A (ko) * 2015-12-09 2017-06-19 에이치엠에이치 주식회사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788B1 (ko) 2000-07-08 2002-07-20 오영현 환약용 블리스터 포장기
KR20150067684A (ko) * 2013-12-10 2015-06-18 에이치엠에이치 주식회사 작은 입자 약제 포장 장치
KR20170068285A (ko) * 2015-12-09 2017-06-19 에이치엠에이치 주식회사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557B1 (ko) 2022-01-03
WO2021080353A2 (ko) 2021-04-29
WO2021080353A3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8140B2 (ja) 薬剤分包装置
CA2533265C (en) Medicine supply apparatus and tablet case
TWI574887B (zh) 用於分配及包裝固體物質之裝置及方法
CN1724310A (zh) 药品供给装置
CN107499544B (zh) 药物包装设备
KR20200074109A (ko) 고형 의약품의 투여량을 포장하는 장치
KR20170068285A (ko)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KR20180043215A (ko)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JP2015063346A (ja) 錠剤供給装置、錠剤供給装置に着脱可能な着脱部材、及び錠剤供給システム
KR102346557B1 (ko)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KR20170068279A (ko)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JP2015123139A (ja) 錠剤供給装置
KR102346558B1 (ko) 약제 포장용 블리스터 시트의 커버 부착기
JP5585631B2 (ja) 錠剤供給装置、錠剤供給方法および除電ユニット、除電方法。
KR20170068284A (ko)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KR102515162B1 (ko) 약제 포장용 블리스터 시트 공급기
JP2017047964A (ja) 除包システム
KR102531178B1 (ko) 블리스터 팩용 블리스터 시트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약제의 블리스터 팩킹 장치
JP2538350B2 (ja) 薬剤包装機の薬包取出装置
KR20220135102A (ko) 블리스터 팩용 커버 부착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약제의 블리스터 팩킹 장치
JP3183987U (ja) Ptpシート。
KR20180042175A (ko)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KR20180042176A (ko) 약제의 블리스터 포장 장치
KR20180060000A (ko) 약제 자동 포장기
KR100814292B1 (ko) 반자동 약제 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