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821A - 실내용 전동 의자 - Google Patents

실내용 전동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821A
KR20210048821A KR1020190132972A KR20190132972A KR20210048821A KR 20210048821 A KR20210048821 A KR 20210048821A KR 1020190132972 A KR1020190132972 A KR 1020190132972A KR 20190132972 A KR20190132972 A KR 20190132972A KR 20210048821 A KR20210048821 A KR 20210048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lifting
plate
board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남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암
Priority to KR1020190132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8821A/ko
Publication of KR20210048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8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4Devices for lifting or tilting the whole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4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1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61G5/02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having particular operating means
    • A61G5/025Le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용 전동 의자이다. 본 발명의 전동 의자의 골격을 본체(10)가 형성하고, 상기 본체(10)에는 본체프레임(12)이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12)에는 구동원(14)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원(14)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바퀴(16)가 상기 본체프레임(12)의 후단 양측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2)의 선단 양측에는 상기 구동바퀴(16)보다 작은 직경의 앞바퀴(18)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2) 상에는 승강기구(30)에 의해 승강되는 탑승판(20)이 설치되고, 상기 탑승판(20)은 승강기구(30)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승강기구(30)는 승강구동원(35)의 구동력을 리드스크류(34)를 통해 이동블럭(36)에 전달하여 이동블럭(36)에 연결된 제1승강링크(31)를 구동하여 제1승강링크(31)와 제2승강링크(32)가 탑승판(20)을 승강시킨다.

Description

실내용 전동 의자{Electromotive chair for indoor use}
본 발명은 실내용 전동 의자에 관한 것으로, 노약자나 장애자가 실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용 전동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학의 발달로 사람들의 수명이 늘어났지만 신체가 모두 건강하고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상반신은 건강하고 정상적인 상태이지만 하반신이 마비가 된 경우나 전체적으로 기력이 떨어지는 경우는 실내에서 이동하거나 의자를 사용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기존의 휠체어나 전동의자들은 혼자서 타려면 하반신을 정상적으로 사용하거나 상반신의 힘을 최대한 사용해야만 가능하다. 따라서, 노약자나 장애자들이 방바닥이나 침대에 누워있다가 휠체어나 전동의자를 혼자서 타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하반신을 전혀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혼자의 힘으로 휠체어나 전동의자에 타는 것은 타인의 힘을 이용해야만 가능하다.
그리고, 휠체어나 전동의자 중에서는 앉아 있다가 기립이 가능한 것들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것은 일단 휠체어나 전동의자에 탈 수 있어야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해서 아래의 특허문헌1에서와 같이 본 출원인이 실내용 전동의자를 개발했는데, 여기서는 탑승판의 승강을 위한 승강기구가 다수개의 링크로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링크 구성으로는 탑승자의 하중이 탑승판에 가해진 상태에서 탑승판의 승강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112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213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54569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반신의 사용이 어려운 사람이나 노약자가 실내의 바닥에서 탑승할 수 있도록 된 전동 의자에서 탑승판의 승강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후단에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바퀴가 있고 선단에 앞바퀴가 구비되어 이동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가 본체프레임의 상부에서 상하로 승강되고 사용자가 앉는 탑승판과, 상기 탑승판을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해 승강시키는 다수개의 승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는 승강구동원과, 상기 승강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따라 직선운동하는 이동블럭과, 상기 이동블럭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탑승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승강링크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된 고정블럭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탑승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승강링크를 포함한다.
상기 탑승판의 선단에는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판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하반신을 안내하고, 상기 탑승판의 후단에는 소정 각도만큼의 회동이 가능하게 등판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판의 선단에는 바닥에 보조바퀴가 안착되어 설치되고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풋레스트가 더 구비된다.
상기 탑승판의 양측에는 핸드가이드가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이 위치되고 구동을 위한 구동레버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기구에서 상기 이동블럭의 양측면에는 제1승강링크가 하나씩 각각 연결되고 상기 고정블럭의 양측면에는 제2승강링크가 하나씩 각각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실내용 전동의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반신이 불편한 사람이 혼자서 손과 상반신의 힘을 이용하여 탑승하고 하차할 수 있는 전동의자에서 탑승판의 승강을 위한 구동력이 리드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럭을 통해 X자 형상의 제1 및 제2 승강링크로 전달되는 다수개의 승강기구를 통해 전달된다. 따라서 탑승판에 가해지는 하중에 불구하고 탑승판의 승강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내용 전동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탑승판이 하강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 탑승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타고 이동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탑승판을 상승시킨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실내용 전동 의자는 본체(10)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10)에는 본체프레임(12)이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12)은 바닥에 인접한 위치에서 바닥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2)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판형상이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아래에서 설명될 승강기구(30)와 구동원(14)등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하여도 상관없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프레임(12)의 일측에는 구동원(14)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원(14)은 전기모터가 될 수 있다. 상기 구동원(14)은 전기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한 것으로 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2)의 후단 양측에는 상기 구동원(14)으로 구동되는 구동바퀴(16)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바퀴(16)는 회전하여 전동의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향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레버(24)의 조작에 의해 구동바퀴(16)의 설치방향이 달라지면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바퀴(16)의 조향을 위한 구성은 상기 구동원(14)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12)의 후단 양측에 설치된 상기 구동바퀴(16)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지는 앞바퀴(18)가 상기 본체프레임(12)의 선단 양측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실내에는 높은 턱이 거의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앞바퀴(18)는 큰 직경을 가지지 않아도 상관없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앞바퀴(18)는 연결케이스(18')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케이스(18')는 상기 본체프레임(12)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앞바퀴(18)는 본체프레임(12)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되는 연결케이스(18')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되므로 다양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12) 상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승강기구(30)에 의해 지지되어 탑승판(20)이 설치된다. 상기 탑승판(20)은 사용자의 엉덩이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탑승판(20)은 아래에서 설명될 승강기구(30)에 의해 승강된다. 상기 탑승판(20)이 가능 낮은 위치로 이동한 것은 상기 본체프레임(12)의 바로 상부 위치이다. 상기 탑승판(20)이 최대로 상승된 것은 일반적인 의자의 높이로 보면 된다.
상기 탑승판(20)의 양단에는 핸드가이드(22)가 있다. 상기 핸드가이드(22)는 사용자의 양손을 올려놓거나, 사용자의 양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핸드가이드(22)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탑승판(20)에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핸드가이드(22)가 회전하여 뒤로 젖혀지면 사용자가 탑승판(20)의 양측을 통해 탑승판(20)에서 내리거나 탑승판(20)에 탈 수 있다.
상기 핸드가이드(22)중 어느 하나에는 구동레버(24)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레버(24)는 상기 구동원(14)의 동작과 상기 뒷바퀴(16)의 조향을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레버(24)는 사용자가 잡아서 조작하기 편리한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탑승판(20)의 후단에는 등판(26)이 설치된다. 상기 등판(26)은 상기 탑승판(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도록 된다. 상기 등판(26)은 사용자의 등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탑승판(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될 수도 있다. 상기 탑승판(20)의 선단에는 연결판(28)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판(28)은 상기 탑승판(20)의 선단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판(28)은 상기 탑승판(20)이 상승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프레임(12)을 향해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탑승판(20)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탑승판(20)의 선단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된다. 즉, 탑승판(20)이 하부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탑승판(20)과 연결판(28)이 같은 평면이 되도록 나란히 연결된다.
상기 연결판(28)의 선단에는 풋레스트(29)가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풋레스트(29)는 사용자의 발이 얹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풋레스트(29)에는 보조바퀴(29')가 설치되어 있어 본체(10)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2)과 탑승판(20)의 사이에는 승강기구(30)가 있어서 상기 탑승판(20)은 상기 본체프레임(12)에 대해서 승강되게 한다. 상기 승강기구(30)는 제1승강링크(31)와 제2승강링크(32)가 연결핀(33)을 중심으로 X자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승강링크(31)와 제2승강링크(32)의 상단은 상기 탑승판(20)의 하면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승강링크(31)의 상단이 상기 탑승판(20)의 상대적으로 후단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2승강링크(32)의 상단이 상기 탑승판(20)의 상대적으로 선단 하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1승강링크(31)의 하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블럭(36)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승강링크(32)의 하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블럭(36')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2)의 상면에는 리드스크류(34)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리드스크류(34)는 상기 본체프레임(12)의 후단에 있는 승강구동원(35)에 커플링(35')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리드스크류(34)는 상기 승강구동원(35)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리드스크류(34)의 회전에 의해 본체프레임(12)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이동블럭(36)이 있다. 상기 이동블럭(36)은 상기 리드스크류(34)의 회전에 따라 리드스크류(34)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1승강링크(31)의 하단을 이동시킨다. 상기 리드스크류(34)의 후단 하부에는 고정블럭(36')이 상기 본체프레임(12)에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블럭(36')은 상기 리드스크류(34)와 본체프레임(12)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고정블럭(36')에는 상기 제2승강링크(32)의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물론, 상기 고정블럭(36') 없이 직접 상기 본체프레임(12)에 상기 제2승강링크(32)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승강링크(31)와 제2승강링크(32)는 하나의 이동블럭(36)과 고정블럭(36')에 대해 2개씩 사용된다. 즉, 상기 이동블럭(36)의 양측면에 제1승강링크(31)가 하나씩 연결되고, 상기 고정블럭(36')의 양측면에 제2승강링크(32)가 하나씩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이동블럭(36)에 탑승판(20)에서 전달되는 힘이 균형있게 분산되도록 하고, 고정블럭(36')에도 역시 힘이 균형있게 분산되어 작용하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승강기구(30)는 본 실시례에서는 4개가 사용된다. 상기 승강기구(30)를 다수개 사용하는 것은 탑승판(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대한 분산해서 이동블럭(36)이 받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블럭(36)중 본체프레임(12)의 폭방향 어느 일단에 설치된 이동블럭(36)에는 감지봉(40)이 있다. 상기 감지봉(40)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41)가 상기 본체프레임(12)의 상대적으로 후단에 있고, 제2감지센서(42)는 상기 본체프레임(12)의 상대적으로 선단에 있다. 상기 제1감지센서(41)는 상기 탑승판(20)의 최고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감지센서(42)는 상기 탑승판(20)의 최저높이를 감지한다. 즉, 상기 감지봉(40)이 상기 제1감지센서(41)에 의해 감지되면 탑승판(20)이 최고높이에 있는 것이고, 상기 감지봉(40)이 제2감지센서(42)에 의해 감지되면 탑승판(20)이 최저높이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실내용 전동의자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동의자는 실내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구동원(14)의 구동력을 사용하여 실내에서 이동된다. 특히, 하반신이 불편한 사용자를 위해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하반신이 불편한 사용자는 실내에서 바닥에 요를 깔고 누워있거나 침대에 누워있는다.
도 5에는 바닥의 요와 본 발명 의자의 탑승판(20) 사이에서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탑승판(20)에 설치된 핸드가이드(22)를 회전시켜서 뒤쪽으로 젖힌다. 이와 같이 되면 탑승판(20)의 측부를 통한 사용자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손바닥을 바닥에 짚으면서 상반신의 힘을 이용해서 요와 탑승판(20) 사이에서 이동한다.
예를 들어 요에서 탑승판(20)으로 이동하여, 탑승판(20)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핸드가이드(22)를 다시 회전시켜 원위치로 두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이 때에는 상기 연결판(28)과 풋레스트(29)가 상기 탑승판(20)의 전방에 나란히 위치되어 있어, 사용자의 하반신과 발이 이에 놓여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레버(24)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원(14)이 동작되면 상기 구동바퀴(16)가 회전하면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레버(24)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바퀴(16)의 조향을 달리하여 전동의자가 전후진 하는 방향을 달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구(30)를 동작시키면, 상기 제1승강링크(31)와 제2승강링크(32)가 X자 형상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탑승판(20)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승강기구(30)의 구동은 상기 구동레버(24)에 있는 버튼 등을 사용하여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기구(3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승강구동원(35)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34)가 회전되면, 상기 이동블럭(36)이 상기 리드스크류(34)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리드스크류(34)의 선단에 있던 이동블럭(36)이 리드스크류(34)의 후단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승강링크(31)가 세워지면서 상기 탑승판(20)도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1승강링크(31)가 세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2승강링크(32)는 상기 연결핀(33)에 의해 상기 제1승강링크(31)에 연결되어 있어 제2승강링크(32)도 함께 세워지면서 탑승판(20)을 지지하여 상승시킨다.
상기 탑승판(20)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탑승판(20)의 선단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판(28)은 자연스럽게 세워지게 되고, 상기 연결판(28)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풋레스트(29)는 바닥에 보조바퀴(29')가 안착된 상태로 평행하게 있게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판(20)이 최대로 상승한 상태가 되면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구동레버(24)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원(14)을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바퀴(16)가 구동하면서 이동을 만들어낸다. 상기 탑승판(20)이 상승한 상태, 즉 상기 제1감지센서(41)가 감지봉(40)을 감지한 상태가 탑승판(20)이 최고로 상승한 상태이다. 이 상태는 일반적인 의자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서, 탑승자가 마치 의자에 앉은 것과 같은 높이여서 테이블 상에서 식사를 하거나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등판(26)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상반신을 가눌 수 있는 정도의 상태라고 하면 등판(26)이 없어도 본 발명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판(28)의 경우도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풋레스트(29)도 상기 연결판(28)과 별개로 되지 않고 연결판(28)의 일부로서 만들어질 수도 있다.
10: 본체 12: 본체프레임
14: 구동원 16: 구동바퀴
18: 앞바퀴 20: 탑승판
22: 핸드가이드 24: 구동레버
26: 등판 28: 연결판
29: 풋레스트 29': 보조바퀴
30: 승강기구 31: 제1승강링크
32: 제2승강링크 33: 연결핀
34: 리드스크류 35: 승강구동원
35': 커플링 36: 이동블럭
36': 고정블럭 40: 감지봉
41: 제1감지센서 42: 제2감지센서

Claims (5)

  1. 후단에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바퀴가 있고 선단에 앞바퀴가 구비되어 이동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가 본체프레임의 상부에서 상하로 승강되고 사용자가 앉는 탑승판과,
    상기 탑승판을 상기 본체프레임에 대해 승강시키는 다수개의 승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는 승강구동원과, 상기 승강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따라 직선운동하는 이동블럭과, 상기 이동블럭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탑승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승강링크와,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된 고정블럭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탑승판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승강링크를 포함하는 실내용 전동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판의 선단에는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판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하반신을 안내하고, 상기 탑승판의 후단에는 소정 각도만큼의 회동이 가능하게 등판이 설치되는 실내용 전동 의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선단에는 바닥에 보조바퀴가 안착되어 설치되고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풋레스트가 더 구비되는 실내용 전동 의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판의 양측에는 핸드가이드가 소정 각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손이 위치되고 구동을 위한 구동레버가 설치되는 실내용 전동 의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에서 상기 이동블럭의 양측면에는 제1승강링크가 하나씩 각각 연결되고 상기 고정블럭의 양측면에는 제2승강링크가 하나씩 각각 연결되는 실내용 전동 의자.
KR1020190132972A 2019-10-24 2019-10-24 실내용 전동 의자 KR20210048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972A KR20210048821A (ko) 2019-10-24 2019-10-24 실내용 전동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972A KR20210048821A (ko) 2019-10-24 2019-10-24 실내용 전동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821A true KR20210048821A (ko) 2021-05-04

Family

ID=7591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972A KR20210048821A (ko) 2019-10-24 2019-10-24 실내용 전동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882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692B1 (ko) 2014-05-30 2015-08-19 주식회사 퓨트로닉 구동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비한 기립형 전동의자
KR20170032137A (ko) 2015-09-14 2017-03-22 김규성 의자부와 바퀴부의 분리가 가능한 휠체어 장치
KR20190111271A (ko)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시암 실내용 전동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692B1 (ko) 2014-05-30 2015-08-19 주식회사 퓨트로닉 구동 제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비한 기립형 전동의자
KR20170032137A (ko) 2015-09-14 2017-03-22 김규성 의자부와 바퀴부의 분리가 가능한 휠체어 장치
KR20190111271A (ko)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시암 실내용 전동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7023B2 (ja) 輸送装置
US10842706B2 (en) Elevating walker chair
JP5911559B2 (ja) 身体障害者のための移動装置
US9737448B2 (en) Elevating manual wheelchair
JP4202916B2 (ja) 起立補助車椅子
KR101437374B1 (ko) 가변형 휠체어
US20060162069A1 (en) Lifting and transfer apparatus
KR101545158B1 (ko) 접이식 전동 휠체어
KR102150594B1 (ko) 휠체어
JP7007912B2 (ja) 介助装置
KR102107236B1 (ko) 하차 편의 장치가 구비된 승용차용 시트
KR20210048821A (ko) 실내용 전동 의자
KR20190111271A (ko) 실내용 전동 의자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JP2010246626A (ja) 起立補助装置
CN110840661B (zh) 一种急诊科用病患转移装置
JP2009106692A (ja) 介護用椅子
JP2005040346A (ja) 高さ可動椅子
JP3058272B2 (ja) 電動車椅子
KR100755180B1 (ko) 장애인용 작업의자
JP2001061899A (ja) 車椅子
CN215779249U (zh) 床椅装置
JP2018175130A (ja) 移乗介護椅子
KR102483477B1 (ko) 가변형 퍼스널 모빌리티
CN214382465U (zh) 一种多功能康复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