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464A -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8464A KR20210048464A KR1020210052303A KR20210052303A KR20210048464A KR 20210048464 A KR20210048464 A KR 20210048464A KR 1020210052303 A KR1020210052303 A KR 1020210052303A KR 20210052303 A KR20210052303 A KR 20210052303A KR 20210048464 A KR20210048464 A KR 202100484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assembly
- pipe
- steam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humidification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가습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공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습공기를 실내에 제공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ying assembly included in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umidifying assembly capable of generating humidified air and providing the generated humidified air indoors.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실내기가 배치되고, 실외에 실외기가 배치되며, 실내기 및 실외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통해 실내공기를 냉방, 난방 또는 제습할 수 있다. In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an indoor unit is disposed indoors, an outdoor unit is disposed outdoors, and indoor air can be cooled, heated, or dehumidified through a refrigerant circulating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실내 바닥에 직립으로 설치하는 스탠드형 실내기, 실내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걸이형 실내기 및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 등이 있다. The indoor unit of the detachable air conditioner includes a stand-type indoor unit installed upright on an indoor floor, a wall-mounted indoor unit hung on an indoor wall, and a ceiling type indoor unit installed on an indoor ceiling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type.
종래 스탠드형 실내기는 냉방 시, 실내공기를 제습할 수 있지만, 난방 시 실내공기를 가습할 수는 없었다. Conventional stand-type indoor units can dehumidify indoor air during cooling, but cannot humidify indoor air during heating.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3-0109738(선행기술 1이라 한다)에는 가습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습장치가 구비된 스탠드형 실내기가 공지되어 있다.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3-0109738 (referred to as prior art 1), a stand-type indoor unit equipped with a humidify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humidification is known.
선행기술1의 스탠드형 실내기는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내부에 가습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드레인팬의 물을 물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통해 흡수부재를 적시며, 상기 흡수부재가 흡수된 물을 자연증발시키는 구조이다. The stand-type indoor unit of Prior Art 1 is provided with a humidifying device inside the main body forming the exterior of the indoor unit. In addition, the humidification device of the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깨끗한 물을 사용하지 않고, 열교환기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사용한다. 물탱크에 저장된 물에는 열교환기 표면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다량포함될 수 있고, 이물질에서 곰팡이 또는 세균이 번식할 개연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The humidifier of Prior Art 1 does not use clean water, but uses condensed water flowing down from the heat exchanger.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may contain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highly likely that mold or bacteria will propagate from the foreign matter.
또한,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본체 내부에서 물을 증발시키기 때문에, 증발된 물이 본체 내부의 부품 또는 내벽에 부착될 수 있고, 본체 내부에 곰팡이 또는 세균의 번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humidification device of the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본체 내부에서 물이 증발되고, 송풍팬이 작동되어도, 송풍팬에 의해 증발된 수분이 모두 실내로 토출되지 않고, 실내열교환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 실내열교환기 표면에 재부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humidifier of Prior
또한, 실내온도가 낮을 때 실내공기의 습도가 낮기 때문에, 가습이 필요한 실내조건에서는 난방이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실내열교환기의 응축수를 이용하여 가습을 제공하기 때문에, 냉방시에만 가습을 제공할 수 있고, 난방시에는 응축수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가습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humidity of the indoor air is low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low, heating is generally performed in indoor conditions requiring humidification. Since the humidification device of the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6245(이하 선행기술 2라 한다)에는 물을 끓여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증기를 실내로 방출하여 실내를 가습하는 스팀가습기가 공개되어 있다.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4624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discloses a steam humidifier that humidifies the room by boiling water to generate steam and releasing the generated steam into the room.
선행기술2는 물통, 급수유도관, 가열히터관 및 증기방출관을 구비하고, 가열히터관을 통해 물을 가열하고, 증기방출관을 통해 스팀을 실내로 토출하는 구조이다. 선행기술2는 물통에 저장된 물의 압력을 통해 가열히터관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지만, 저장된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구조는 구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1 및 2와 같이, 가습을 제공하는 장치는 물탱크를 통해 물을 저장하지만, 가습이 필요하지 않을 때,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물이 저장되는 곳에서 세균 또는 곰팡이에 의한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in
본 발명은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ssembly capable of draining water stored in a humidified air generator.
본 발명은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ssembly capable of draining water stored in a water tank.
본 발명은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동시에 배수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ssembly capable of simultaneously draining water stored in a water tank and water stored in a humidified air generator.
본 발명은 가습공기생성기가 스팀히터를 포함하는 경우, 스팀히터의 작동에 의해 가습공기생성기에 물을 공급하는 관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overheating of a pipe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by the operation of the steam heater whe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includes a steam heater.
본 발명은 가습공기생성기가 스팀히터를 포함하는 경우, 스팀히터에 의해 가열된 물을 배수할 때, 배수되는 물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ssembly capable of lowering the temperature of water to be discharged whe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includes a steam heater, when water heated by the steam heater is drained.
본 발명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가습공기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적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ssembly capable of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required to generate humidified air without using a valve operated by an electric signal.
본 발명은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통해 물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ssembly capable of controlling water supply through a water level stored in a humidified air generator.
본 발명은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서플라이플로터에 의해 물탱크의 물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ying assembly capable of controlling water supply to a water tank by a supply plotter tha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본 발명은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동시에 배수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cation assembly capable of simultaneously draining water stored in a water tank and water stored in a humidified air generator by the potential energy of wat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는, 가습공기생성기의 수위와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물을 공급하는 서플라이챔버의 수위가 연동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에 따라 하강 또는 상승되는 서플라이플로터가 상기 서플라이챔버에 물을 공급하는 서플라이유로를 개폐시키기 때문에,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통해 물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level of a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a water level of a supply chamber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re interlocked, and a supply plotter that descends or rises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is the Since the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upply chamber is opened and closed, water supply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는 물연결관이 물탱크, 가습공기생성기 및 드레인어셈블리를 동시에 연결하기 때문에,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동시에 배수할 수 있다. In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connector connects the water tank,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drain assembly at the same tim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can be simultaneously drain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는 물연결관이 물탱크, 가습공기생성기 및 드레인어셈블리를 동시에 연결되고,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물을 공급하는 관이 상기 물탱크로부터 온도가 낮은 물을 공급받기 때문에, 상기 물연결관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connection pipe connects a water tank, a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a drain assembly at the same time, and a pipe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supplies water with a low temperature from the water tank.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water connecto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습공기생성기가 스팀히터를 포함하고, 스팀히터에 의해 가열된 물을 배수할 때, 가습공기생성기에서 배수된 물과 물탱크에서 배수되는 물이 3방향파이프에서 혼합되기 때문에 배수되는 물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includes a steam heater and drains water heated by the steam heater, the water drained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water drained from the water tank are in a three-way pipe. Because they are mixe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being drained can be lower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가습공기생성기의 수위와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물을 공급하는 서플라이챔버의 수위가 연동되기 때문에, 가습공기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적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level of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re interlocked without using a valve operated by an electric signal, humidified air is generated. It can supply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needed to make 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물연결관이 물탱크, 가습공기생성기 및 드레인어셈블리를 동시에 연결하고, 물탱크 및 가습공기생성기 보다 드레인어셈블리가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동시에 배수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connection pipe simultaneously connects the water tank,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drain assembly, and the drain assembly is disposed lower than the water tank and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The stored water and the water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can be draine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는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가습어셈블리에 있어서,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물이 내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물탱크가 거치되고, 챔버하우징파이프를 통해 상기 내부로 유동되는 물을 배수하는 물공급어셈블리, 내부에 저장된 물을 기화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가습공기생성기, 드레인인릿을 통해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어셈블리, 및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 상기 가습공기생성기, 및 상기 드레링인릿을 연통시키는 물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물연결곤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로부터 배수된 물이 유동하는 제1 연결관,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와 연결되고, 상기 가습공기생성기로 유입되는 물 및 상기 가습공기생성기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2 연결관, 상기 드레인인릿과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어셈블리로 유입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3 연결관, 및 상기 제1 연결관, 상기 제2 연결관, 및 상기 제3 연결관과 연결되는 3방향 파이프를 포함한다.The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umidification assembly included in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water tank is mounted so that the water of the water tank flows into the inside, and flows into the inside through the chamber housing pipe. A water supply assembly for draining the water, a humidified air generator for generating humidified air by vaporizing water stored therein, a drain assembly for drain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inlet, and the chamber housing pipe,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a water connector connecting the draining inlet, wherein the water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chamber housing pipe, a first connector through which water drained from the water supply assembly flows, and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 second connection pipe through which water flowing in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water drained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flow, and a third connection pipe through which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assembly flows And a three-way pip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the third connection pipe.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관의 길이는 상기 제3 연결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or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hird connecto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레인인릿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브포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inlet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at of the chamber housing fi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습공기생성기는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밀이 기화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가습하우징, 및 상기 가습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가여하는 스팀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comprises a humidifying housing that forms a storage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the stored mill is vaporized, and a steam heater disposed inside the humidification housing and supplying water to the storage space. Can inclu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습공기생성기는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기화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의 제1 영역에 공기가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면의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된 제2 영역에 상기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가습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가습하우징, 및 상기 제2 연결관과 연결되는 워터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forms a storage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the stored water is vaporized, and an air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is formed in a first area of the upper surface, A humidifying housing having a humidified ai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is formed in a second reg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gion of the upper surface, and a water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ipe.
이때, 상기 워터파이프는 가습공기토출구보다 상기 공기흡입구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pipe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air inlet than to the humidified air outle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습공기생성기는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기화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가습하우징, 및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2 연결관과 연결되는 워터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comprises a humidifying housing that forms a storage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the stored water is vaporized, and a water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spac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Can include.
이때, 상기 워터파이프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pipe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또한, 상기 워터파이프는 상기 드레인인릿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ipe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drain inlet.
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챔버하우징의 내측단이 상기 물공급어셈블리의 내부와 연통되고, 외측단이 상기 제1 연결관과 연결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end of the chamber housing may communicate with an interior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and an out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이때,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외측단은 상기 워터파이프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내측단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외측단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n outer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water pipe, and an inner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an outer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탱크는 상기 드레0인어셈블리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ank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drain assembly.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습공기생성기는 상기 물탱크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water tank.
또한, 상기 워터파이프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 및 상기 드레인인릿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ip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hamber housing pipe and the drain inlet based on the front-rear direction.
이때, 상기 워터파이프는 상기 드레인인릿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pipe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drain inle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가습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humidification assembly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가습공기생성기의 수위와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물을 공급하는 서플라이챔버의 수위가 연동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에 따라 하강 또는 상승되는 서플라이플로터가 상기 서플라이챔버에 물을 공급하는 서플라이유로를 개폐시키기 때문에,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통해 물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level of a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a water level of a supply chamber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re interlocked, and a supply plotter that descends or ri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upply chamber supplies water to the supply chamber. Since the supply passage is opened and clos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ater supply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둘째, 본 발명은 물연결관이 물탱크, 가습공기생성기 및 드레인어셈블리를 동시에 연결하기 때문에,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동시에 배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connection pipe connects the water tank,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drain assembly at the same tim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can be drained at the same time.
셋째, 본 발명은 물연결관이 물탱크, 가습공기생성기 및 드레인어셈블리를 동시에 연결되고,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의 작동에 의해 가습공기생성기에 물을 공급하는 관이 상기 물탱크로부터 온도가 낮은 물을 공급받기 때문에, 상기 물연결관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connection pipe connects the water tank,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drain assembly at the same time, and the pipe that supplies water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by the operation of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collects low-temperature water from the water tank. Since it is supplied,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overheating of the water connector.
넷째, 본 발명은 가습공기생성기에 의해 가열된 물을 배수할 때, 가습공기생성기에서 배수된 물과 물탱크에서 배수되는 물이 3방향파이프에서 혼합되기 때문에 배수되는 물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discharged becaus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are mixed in a three-way pipe when the water heated by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is drained. have.
다섯째, 본 발명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가습공기생성기의 수위와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물을 공급하는 서플라이챔버의 수위가 연동되기 때문에, 가습공기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적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fth,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level of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re interlocked without using a valve operated by an electric signal, an appropriate amount of humidified air is requir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upply water.
여섯째, 본 발명은 물연결관이 물탱크, 가습공기생성기 및 드레인어셈블리를 동시에 연결하고, 물탱크 및 가습공기생성기 보다 드레인어셈블리가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동시에 배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xth,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connector connects the water tank,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drain assembly at the same time, and the drain assembly is disposed lower than the water tank and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the water and humidification stored in the water tank by the potential energy of the water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drain the water stored in the air generator at the same time.
일곱째, 상기 서플라이플로터는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에 따라 하강 또는 상승되어 상기 서플라이유로를 개폐시키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를 통해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의 적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공급되는 물의 양 또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venth, since the supply plotter is lowered or rais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passag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appropriate water level of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through the potential energy of water,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The amoun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djust automatically.
여덟째, 상기 서플라이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의 저면을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저면에서 이격시키는 리브가 배치되기 때문에, 서플라이플로터가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서플라이챔버에 부착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ighth, because a rib is disposed in the supply chamber and separa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ly plotter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ly chamber, the supply plotter is attached to the supply chamber due to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it cannot move. There is an advantage.
아홉째,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외측단은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저면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 차에 의해 서플라이챔버의 물을 챔버하우징파이프로 유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Ninth, since the outer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is disposed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ly chamb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ater in the supply chamber can flow into the chamber housing pipe due to a difference in potential energy of water.
열번째,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저면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내측단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 차에 의해 서플라이챔버의 물을 챔버하우징파이프로 유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enth,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ly chamber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inner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ater in the supply chamber can flow into the chamber housing pipe due to a difference in potential energy of water.
열한번째,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물연결관과 결합되는 워터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파이프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 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 차에 의해 챔버하우징파이프의 물을 스팀제너레이터로 유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leventh, a water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steam generator and coupled to the water connector is further included, and since the water pipe is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water in the chamber housing pipe due to the difference in potential energy of wa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flowed to the steam generator.
열두번째, 상기 서플라이플로터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보다 높게 위치되기 때문에, 서플라이플로터가 하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welfth, since the supply plotter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even if the supply plotter is moved downward,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chamber housing pipe from being clogged.
열세번째, 상기 물연결관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와 연결되는 제 1 연결관; 상기 워터파이프와 연결되는 제 2 연결관; 상기 드레인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제 3 연결관; 상기 제 1 연결관, 제 2 연결관 및 제 3 연결관과 연결되는 3방향파이프;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상기 드레인어셈블리를 통해 동시에 배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teenth, the water connection pipe, a first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chamber housing pipe; A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 third connector connected to the drain assembly; Since it includes a three-way pip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the third connection pip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can be simultaneously drained through the drain assembly. There is an advantage.
열네번째, 상기 물연결관의 구조는 가습공기생성기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습어셈블리 전체의 배수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eenth, the structure of the water connection pipe has an advantage that not only can the temperature rise of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be suppressed, but also the entire humidification assembly can be easily drained.
여다섯번째, 상기 워터파이프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보다 낮고, 상기 드레인인릿보다 높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상기 드레인어셈블리를 통해 동시에 배수할 때, 상기 물탱크에서 배수된 물과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서 배수된 물이 혼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서 배수되는 물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fth, since the water pipe is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and is disposed higher than the drain inlet,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re simultaneously drained through the drain assembly, the Water drained from the water tank and water drained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may be mixed, thereby reducing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drained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열여섯번째, 상기 스팀히터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의 상측단 보다 하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스팀히터에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최저수위 이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xteenth, since the steam heater is locat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supply plott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ater level of water supplied to the steam heater can be formed above the minimum level.
열일곱번째, 상기 스팀히터의 작동 시,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는 상기 스팀히터의 상측면 보다 높게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의 수위가 상기 스팀히터의 상측면 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스팀히터가 공기중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venteenth, when the steam heater is operated, since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is located higher than the upper side of the steam heater, the water level of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is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side of the steam heater, and the steam heater is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exposure to the air.
열여덟번째,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이 최대수위일 때, 상기 서플라이플로터는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에 의해 상승되고, 상기 서플라이유로를 폐쇄시키기 때문에,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물이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추가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ighteenth,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is at the maximum level, the supply plotter is raised by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and closes the supply flow path, so that the water in the supply chamber enters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block additional supply.
열아홉번째,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는 내측단이 상기 서플라이챔버와 연통되고, 외측단이 상기 제 1 연결관과 연결되며,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외측단은 상기 워터파이프 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내측단은 상기 서플라이플로터의 하측단보다 낮게 위치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 차에 의해 상기 서플라이챔버 내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Nineteenth, the chamber housing pipe has an inn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supply chamber, an out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an outer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positioned higher than the water pipe, and the chamber housing Since the inner end of the pipe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supply plotter,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water from accumulating in the supply chamber due to a difference in potential energy of water.
스무번째, 상기 서플라이유로는,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로 안내하는 미들홀을 포함하기 때문에, 물의 자중에 의해 물탱크에서 토출된 물이 상기 미들홀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챔버로 유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wentieth, the supply passage is formed to penetrate the supply support body in an up-down direction, and includes a middle hole for guid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supply chamber, so that th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by its own weigh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sulting water can flow into the supply chamber through the middle hole.
스물한번째,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에 따라 상기 플로터밸브가 상기 미들홀을 개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wenty-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loater valve can open and close the middle hol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스물두번째, 상기 플로터밸브스토퍼는 상기 미들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미들홀을 개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wenty-second, the floater valve stopper is disposed below the middle hole,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and opens and closes the middle hole.
스물세번째,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의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어셈블리; 상기 가습공기생성기 및 드레인어셈블리를 연결하는 배수연결관; 상기 배수연결관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연결관을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배수밸브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의 작동 시, 상기 배수밸브가 상기 드레인어셈블리로 고온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23rd, a drain assembly for draining water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 drain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drain assembly; Since the drain valve is disposed on the drain connection pipe and further comprises a drain valve that regulates the flow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drain connection pipe, whe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is operated, the drain valve allows hot water to flow into the drain assembl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lock th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분리된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로어캐비닛에 조립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의 후방 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좌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로어캐비닛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물공급어셈블리 및 스팀제너레이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정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5에 도시된 스팀제너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스팀제너레이터의 수위가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 21은 실내기가 기울어졌을 때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의 수위가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팀제너레이터, 물탱크 및 드레인펌프의 급수 및 배수 연결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파이프의 관경, 배치 및 드레인펌프로 인가된는 전압에 따른 배수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파이프의 관경 및 배치에 따른 스팀제너레이터 내부, 급수유로 및 배수유로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의 작동주기에 따른 스케일의 발생 및 스팀히터의 온도와, 세탁기에서의 스케일의 발생 및 스팀히터온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의 작동주기에 따른 히터내부온도 및 열전달률과, 세탁기에서의 히터내부온도 및 열전달률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from which the door assembly is separated in FIG. 1.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ying assembly and a water tank assembled in the lower cabinet of FIG. 1.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y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tank and a water suppl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lower side of FIG. 6.
8 is a left sectional view of FIG. 6.
9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ank shown in FIG. 6.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tank and a water suppl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view of FIG. 11.
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lower cabinet shown in FIG. 3.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water supply assembly and the steam generator shown in FIG. 13.
1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4.
16 is a plan view showing a drainag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assembly shown in FIG. 16.
18 is a right side view of the drainage assembly shown in FIG. 16.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generator shown in FIG. 5.
2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shown in FIG. 19.
2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water level inside the steam generator when the indoor unit is inclined.
22 is a plan view showing a water supply and drain connection structure of a steam generator, a water tank, and a drain pum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graph showing a water pipe diameter, arrangement, and a drainage rate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a drain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graph showing temperature changes in a steam generator interior, a water supply passage, and a drain passage according to a pipe diameter and arrangement of a water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graph showing the comparison of the generation of scal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hea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cycle of the drain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tion of scal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heater in a washing machine.
26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 heater internal temperature and a heat transfer rate according to an operation cycle of a drain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eater internal temperature and heat transfer rate in a washing machin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분리된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from which the door assembly is separated in FIG. 1.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outdoor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through a refrigerant pipe to circulate the refrigerant.
상기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응축시키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실외팬(미도시)과, 상기 실내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공급받은 후 기체 냉매만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outdoor unit includes a compressor (not shown) that compresses a refrigerant, an out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that receives and condenses the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an outdoor fan (not shown) that supplies air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indoor unit And an accumulator (not shown) that supplies only gaseous refrigerant to the compressor after receiv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상기 실외기는 실내기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방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101)에서는 냉매가 증발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시킨다. 난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에서는 냉매가 응축되어 실내 공기를 가열시킨다. The outdo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four-way valve (not shown) to operate the indoor unit in a cooling mode or a heating mode. When operating in the cooling mode, the refrigerant is evaporated in the indoor unit 101 to cool the indoor air. When operating in the heating mode,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in the indoor unit to heat the indoor air.
<<<실내기의 구성>>><<<Indoor configuration>>>
상기 실내기는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실내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어셈블리(20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has a
상기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배면에 배치된 흡입구(101)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면에 배치된 측면토출구(301)(302)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정면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includes a suction port 101 disposed at the rear of the
상기 흡입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된다.The suction port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캐빗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된 측면토출구를 제 1 측면토출구(301)로 정의하고, 우측에 배치된 측면토출구를 제 2 측면토출구(302)로 정의한다. The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더 포함한다. The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시킨 후,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도어어셈블리(2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The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측으로 이동된 후, 원거리 팬어셈블리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After the
상기 팬어셈블리는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로 구성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후방에 상기 열교환어셈블리가 배치된다. The fan assembly is composed of a near fan assembly and a far fan assembly. The heat exchange assembly is disposed behind the near fan assembly and the far fan assembly.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의 안쪽에 위치되며,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는 상기 흡입구를 커버하고,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heat exchange assembly is disposed inside the
상기 열교환어셈블리 전방에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를 통과한 후,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로 유동된다. The near-field fan assembly and the far-field fan assembly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 assembly and then flows to the near fan assembly and the remote fan assembly.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위치되고, 사익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조립된다. The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캐비닛어셈블리(2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200)의 전면 중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측면토출구에 가습공기를 제공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분리가능한 물탱크(2100)를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 공간과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 공간은 구획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해 여과된 공기 및 살균된 스팀을 사용해서 가습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세균 또는 곰팡이와 같은 유해물질이 물탱크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실내기의 구성>><<Indoor configuration>>
상기 실내기는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흡입구(101)가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와, 상기 팬어셈블리 및 캐비닛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어셈블리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실내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어셈블리(2000)를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has a
상기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배면에 배치된 흡입구(101)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면에 배치된 측면토출구(301)(302)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정면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includes a suction port 101 disposed at the rear of the
상기 흡입구(101)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된다.The suction port 101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캐빗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된 측면토출구를 제 1 측면토출구(301)로 정의하고, 우측에 배치된 측면토출구를 제 2 측면토출구(302)로 정의한다. The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더 포함한다. The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시킨 후,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도어어셈블리(2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The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측으로 이동된 후,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After the
상기 팬어셈블리(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구성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후방에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The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의 안쪽에 위치되며,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고,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방에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후,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유동된다. The short-range fan assembly and the far-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The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상측에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를 상측에 위치시켜 토출공기를 실내의 먼 곳까지 유동시킬 수 있다. The near fan assembly and the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및 우측으로 동시에 공기를 토출한다. The short-range fan assembly discharges air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다. The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는 실내 공간의 먼 곳으로 공기를 토출시켜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킨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작동시에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될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은닉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특히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위치되고, 사익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조립된다. The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캐비닛어셈블리(2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200)의 전면 중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The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부공간(S)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부공간(S) 중 일부만을 개방시킬 수 있다.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으로 수분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분은 상기 근거리팬어셈블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분리가능한 물탱크(2100)를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 공간과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 공간은 구획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해 여과된 공기 및 살균된 스팀을 사용해서 가습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세균 또는 곰팡이와 같은 유해물질이 물탱크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캐비닛어셈블리의 구성>><<Composition of cabinet assembly>>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30)와, 상기 베이스(130)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121), 상측면(125) 및 하측면(126)이 개구되고, 좌측면(123) 우측면(124) 및 배면(122)이 폐쇄된 로어캐비닛(120)과, 상기 로어캐비닛(120) 상측에 배치되고, 흡입구(101)가 형성된 배면(116), 전면(111) 및 하측면(116)이 개구되고, 좌측면(113), 우측면(114) 및 상측면(115)이 폐쇄된 어퍼캐비닛(110)을 포함한다. The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내부를 제 1 내부공간(S1)으로 정의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내부를 제 2 내부공간(S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내부공간(S1) 및 제 2 내부공간(S2)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을 구성한다. The interior of the
상기 어퍼캐비닛(110) 내측에 근거리팬 어셈블리(300), 원거리팬 어셈블리(400) 및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A short-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측에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다. A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 사이에 열교환어셈블리(500)를 지지하는 드레인팬(14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팬(140)은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하측면(116) 중 일부를 폐쇄한다. A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조립 시,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저면(116)은 가습어셈블리(2000) 및 드레인팬(140)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공기는 로어캐비닛(120) 측으로 유동이 차단된다. When assembling the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도어어셈블리(200)가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A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이동 시,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When the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측 가장자리에 토출그릴(150)이 배치된다. 상기 토출그릴(340)은 도어어셈블리(200)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A
상기 토출그릴(150)은 상기 어퍼캐비닛(11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그릴(150)은 사출성형을 통해 별도로 제작된 후, 어퍼캐비닛(110)에 조립된다. The
상기 좌측면(113) 전방에 배치된 토출그릴을 좌측 토출그릴(151)로 정의하고, 우측면(114) 전방에 배치된 토출그릴을 우측 토출그릴(152)로 정의한다. A discharge grill disposed in front of the
상기 좌측 토출그릴(151) 및 우측 토출그릴(152)에 각각 측면토출구(301)(302)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좌측 토출그릴(151) 및 우측 토출그릴(152)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의 전방에 커버(160)가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가 도어어셈블리(200)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ver 16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도어어셈블리(200)에 차가운 공기가 직접 접촉되는 경우,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고, 도어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전기회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When cold air directly contacts the
그래서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의 전방에 커버(160)를 배치하고 커버(160)를 통해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는 정면토출구(201) 또는 측면토출구(301)(302)로만 유동되게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ver 16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상기 커버(160)는,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어퍼커버(162)와,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을 커버하는 로어커버(164)와,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전면을 커버하는 원거리팬커버(166)를 포함한다.The cover 160 includes an upper cover 162 covering the front of the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상기 어퍼커버(162)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거리팬커버(166) 및 어퍼커버(162)를 별도로 제작된 후 조립된다.The far fan cover 166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upper cover 162. In this embodiment, the far-field fan cover 166 and the upper cover 162 ar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then assembled.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원거리팬어셈블리(400)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어퍼커버(162)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커버(166) 및 어퍼커버(162)의 전면은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The far fan cover 166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상기 원거리팬커버(166)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팬커버토출구(161)가 형성된다. 상기 팬커버토출구(161)는 정면토출구(201)와 연통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토출그릴(450)은 상기 팬커버토출구(161) 및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하여 도어어셈블리(200)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far fan cover 166 has a fan
상기 팬커버토출구(161) 전방에 도어어셈블리(200)가 배치되고, 후술하는 패널토출구(1101)의 후방에 상기 팬커버토출구(161)가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전방 이동 시, 상기 토출그릴(450)은 팬커버토출구(161),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를 순서대로 통과한다.The
즉, 상기 정면토출구(201) 후방에 상기 패널토출구(1101)가 위치되고, 상기 패널토출구(1101) 후방에 상기 팬커버토출구(161)가 위치된다. That is, the panel discharge port 1101 is located behind the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어퍼커버(162)는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하측에 결합된다. The far fan cover 166 is coupled to the upper front side of the
상기 로어커버(164)는 어퍼커버(16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 또는 가습어셈블리(2000)에 조립될 수 있다. 조립 후, 상기 로어커버(164) 및 어퍼커버(162)의 전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The
상기 로어커버(164)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물탱크개구부(167)가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개구부(167)를 통해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 또는 장착될 수 있다. The
상기 로어커버(164)는 드레인팬(140)의 전방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로어캐비닛(120) 전면 전체를 커버하지 않아도 어퍼캐비닛(110) 내부 공기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로어캐비닛(120) 전면 전체를 커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의 수리, 서비스 및 교체를 위해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 일부는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 중 일부는 상기 로어커버(164)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개방면(169)이 형성된다. It is preferable that a part of the front of the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방 시, 물통개구부(167)가 형성된 상기 로어커버(164)만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2단 개방 시, 상기 개방면(169)도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When the first stage of the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작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물탱크개구부(167) 전체를 노출시킨 상태를 1단 개방으로 정의하고, 상기 개방면(169)를 노출시킨 상태를 2단 개방으로 정의한다. The
상기 1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1 개방면(OP1)으로 정의하고, 상기 2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2 개방면(OP2)로 정의한다. When the first stage is opened, the exposed front surface of the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Composition of short-range fan assembly>>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한다. The short-range fan assembly is a configuration for discharging air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The near-field fan assembly is disposed in front of the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Composition of remote fan assembly>>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The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상측에 적층된다. The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형성된 정면토출구(201)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스티어링그릴(450)은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실내공간의 먼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도 4는 도 1의 로어캐비닛에 조립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의 후방 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좌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확대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ying assembly and a water tank assembled in the lower cabinet of FIG. 1.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y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tank and a water suppl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lower side of FIG. 6. 8 is a left sectional view of FIG. 6. 9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ank shown in FIG. 6.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tank and a water suppl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view of FIG. 11.
<<<가습어셈블리의 구성>>><<<Composition of humidification assembly>>>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팬어셈블리(400)의 토출유로 상에 수분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분은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제어부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공급된 수분은 측면토출구(301)(302)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무화된 상태이거나 스팀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습어셈블리(2000)는 물탱크(2100)의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토출유로에 공급한다. In this embodiment, moisture supplied from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로어캐비닛(120) 내부에 위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베이스(110)에 설치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을 통해 감싸진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 상측에 드레인팬(140)이 위치되고,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가이드(2400)를 통해 측면토출구(301)(302)로 직접 유동된다. 즉,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설치된 공간과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공간은 구획된다.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2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와 결합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하는 가습팬(2500)과,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가습공기를 독립된 유로를 통해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하는 스팀가이드(24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하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연결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포함한다.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is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100), a water tank (2100)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the water (supplied) in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stored in the water tank (2100) A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팬(2500)은 터보팬이 사용될 수 있다. 가습팬(250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공기흡입부(2318)를 통해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스팀토출부(2316)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The
스팀가이드(2400) 내부에서 형성되는 가습유로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내부공간에 비해 유로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가습유로로 일정유속 이상의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높은 압력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팬(2500)은 스팀가이드에서 정압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터보팬이 사용될 수 있다. The humidification flow path formed inside the
<<물탱크의 구성>><<Composition of water tank>>
상기 물탱크(210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방 시, 외부로 노출되고, 도어어셈블리(200)가 개방되지 않을 때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The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작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물탱크개구부(167) 전체를 노출시킨 상태를 1단 개방으로 정의하고, 상기 개방면(169)를 노출시킨 상태를 2단 개방으로 정의한다. The
상기 1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1 개방면(OP1)으로 정의하고, 상기 2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2 개방면(OP2)로 정의한다. When the first stage is opened, the exposed front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는 내부의 물을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상기 제 1 개방면(OP1)에 위치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물탱크개구부(167)에 위치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상기 물탱크개구부(167)를 통해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삽입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물탱크(2100)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되는 탱크로어바디(2110)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고,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캥트로어바디(2110)에 의해 하측면이 폐쇄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탱크미들바디(2120)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어 물탱크개구부(2101)가 형성되고,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의 상측에 결합되는 탱크어퍼바디(2130)와,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물탱크핸들(2140)과,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에 조립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물탱크밸브(2150)을 포함한다. The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물탱크(2100)의 바닥을 제공한다.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밸브홀(2111)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홀(2111)에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된다. 상기 밸브홀(2111)은 상기 물탱크(2100)의 측면에서 볼 때 후방측에 위치된다. The tank
상기 밸브홀(2111)의 중심에서 물탱크의 전면(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탱크프론트월)까지의 거리를 T1이라 정의하고, 상기 밸브홀(2111)의 중심에서 물탱크의 배면(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제 1 리어월)까지의 거리를 T2라 정의한다. 여기서 상기 T1이 상기 T2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밸브홀(2111)을 물탱크(2100)의 후방측에 위치시킴으로서, 틸팅어셈블리의 작동 시, 물탱크밸브(2150)의 누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틸팅어셈블리의 작동 시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와 신속히 이격되어야만 물탱크밸브(2150)가 신속하게 폐쇄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전방측을 하단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틸팅되기 때문에, 물탱크밸브(2150)가 후방 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tilting assembly is operated,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탑뷰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이다. 탱크로어바디(21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이 개구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ank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내부에 로어바디공간(2112)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바디공간(2112)는 하측을 향해 개구된다. 상기 로어바디공간(2112)에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일부 구성이 삽입될 수 있다. The tank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탱크로어바디(2110)는, 전면, 좌측면, 우측면, 상측면이 폐쇄된다. The tank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는, 상측이 개구된 미들바디 어퍼개구부(2121)와, 하측이 개구된 미들바디 로어개구부(2122)를 포함한다.The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는, 전면, 좌측면, 우측면 및 배면이 폐쇄되고, 상측면 및 하측면만 개구된다.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는, 탱크프론트월(2123), 탱크레프트월(2124), 탱크라이트월(2125) 및 탱크리어월(2126)를 포함한다.In the
탱크프론트월(2123), 탱크레프트월(2124) 및 탱크라이트월(2125)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탱크리어월(2126)은 수직하게 배치되되, 전후 방향으로 굴곡이 형성된다. The
탱크리어월(2126)은 탱크로어바디(2110)에 결합되고, 탱크로어바디(2110)의 배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는 제 1 리어월(2126a)과,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와 결합되고,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리어월(2126a)보다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 2 리어월(2126b)과, 상기 제 1 리어월(2126a) 및 제 2 리어월(2126b)를 연결하는 커넥트월(2126c)을 포함한다. The tank
상기 커넥트월(2126c)은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커넥트월(2126c)은 전방측이 높고 후방 측이 낮게 배치된다. The
상기 제 1 리어월(2126a)은 상기 커넥트월(2126c)에 대해 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리어월(2126b)은 상기 커넥트월(2126c)에 대해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전후 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리어월(2126a)와 제 2 리어월(2126b)은 T3 만큼의 거리차를 형성한다. The first
그래서 상기 제 1 리어월(2126a)을 포함하는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의 평단면적이 상기 제 2 리어월(2126b)을 포함하는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의 평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물탱크(2100)에 물이 저장되었을 경우, 상기 물탱크(2100)의 무게중심을 보다 후방 측에 형성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flat cross-sectional area of the
이는 틸팅어셈블리에 의해 물탱크(2100)가 전방으로 기울어졌을 때, 상기 물탱크(2100)가 전방으로 쏠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is can prevent the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탱크미들바디(2120)의 상측단에 결합된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탑뷰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The tank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미들바디 어퍼개구부(2121)와 연통되는 어퍼바디 개구부(2131)를 형성한다. 상기 어퍼바디 개구부(2131) 하측에 상기 미들바디 개구부(2121)가 배치된다.The tank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에 상기 물탱크핸들(2140)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The water tank handle 2140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tank
상기 물탱크핸들(2140)은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 내측에 배치되고, 로어캐비닛(120)에 수납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숨겨진다.The water tank handle 2140 is disposed inside the tank
이를 위해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의 내측에는 상기 물탱크핸들(2140)이 설치되는 핸들설치홈(2132)이 형성된다.To this end, a handle installation groove 2132 in which the water tank handle 2140 is installed is formed inside the tank
상기 핸들설치홈(2132)은 탱크어퍼바디(2130)의 전방 측에 형성된다. The handle installation groove 2132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tank
탑뷰로 볼 때, 상기 핸들설치홈(2132)은 탱크어퍼바디(2130)의 두께 내에 배치되고, 탱크어퍼바디(2130)의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As viewed from the top view, the handle installation groove 2132 is disposed within the thickness of the tank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설치홈(2132)은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의 바깥쪽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핸들설치홈(2132)이 탱크어퍼바디(2130)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installation groove 2132 is formed outside the tank
상기 물탱크핸들(2140)은 "ㄷ"자로 형성된 핸들바디(2142)와, 상기 핸들바디(2142) 및 탱크어퍼바디(213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핸들축(2144)과, 상기 핸들바디(2142) 또는 핸들축 (2144)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에 지지되는 핸들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water tank handle 2140 includes a handle body 2142 formed in a "c" shape, a handle shaft 2144 rotatably coupling the handle body 2142 and the tank
상기 핸들탄성부재는 상기 핸들바디(2142)의 전방 측 단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The handle elastic member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handle body 2142 is raised.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elastic member may be a torsion spring.
상기 물탱크(2100)가 전방으로 틸팅되면, 상기 핸들탄성부재에 의해 물탱크핸들(2140)이 핸들설치홈(2132) 밖으로 회전된다. When the
상기 물탱크(2100)가 물탱크개구부(167) 안으로 삽입되면, 상기 물탱크핸들(2140)이 로어커버(164)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핸들설치홈(2132)으로 수납된다. When the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기 미들바디 로어개구부(2122)에 밀착되고 상기 미들바디 로어개구부(2122)를 밀폐시키는 로어바디탑월(2113)과,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안착되는 로어바디사이드월(2114)과,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밸브홀(2111)을 형성시키는 밸브설치부(2115)를 포함한다. The tank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은 탱크로어바디(2110)의 상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미들바디 로어개구부(2122)를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어바디탑월(2113) 및 미들바디(2120)는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초음파 용접되고, 상기 미들바디(2120)의 저면을 밀폐시킨다. The lower
상기 밸브설치부(2115)는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밸브홀(2111)을 형성시킨다. 상기 밸브설치부(2115)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The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상기 밸브설치부(2115)에 조립된다. 물탱크밸브(2150)는 상기 밸브설치부(2115)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밸브홀(2111)을 개방시킬 수 있다. The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기능적으로 체크밸브의 기능을 갖고, 구조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구조에 최적화된다. The
상기 밸브설치부(2115)는 상하 로어바디탑월(2113)에서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의 연장설치부(2116)와, 상기 연장설치부(2116)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되는 조립설치부(2117)를 포함한다. The
상기 연장설치부(2116)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다. 상기 조립설치부(2117)는 상기 연장설치부(2116)의 내부를 가로질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설치부(2117)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상기 조립설치부(2117)는 상기 밸브홀(2111)을 상측 및 하측으로 구획한다.The assembly and
상기 조립설치부(2117)의 상측을 어퍼밸브홀(2111a)로 정의하고, 조립설치부(2117)의 하측을 로어밸브홀(2111b)로 정의한다. The upper side of the assembly and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기 조립설치부(2117)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되는 조립홀(2117a)과, 상기 조립설치부(2117)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어퍼밸브홀(2111a) 및 로어밸브홀(2111b)를 연통시키는 설치부홀(2118)을 더 포함한다. The tank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기 조립설치부(2117)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되는 조립홀(2117a)과, 상기 조립설치부(2117)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어퍼밸브홀(2111a) 및 로어밸브홀(2111b)를 연통시키는 설치부홀(2118)을 더 포함한다. The tank
상기 조립홀(2117a) 및 설치부홀(2118)은 모두 밸브설치부(2115) 내부에 위치된다. Both the
상기 조립홀(2117a)은 밸브설치부(2115)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부홀(2118)은 상기 조립홀(2117a) 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설치부홀(2118)은 상기 연장설치부(2116) 및 조립홀(2117a) 사이에 배치된다. The
상기 조립홀(2117a)은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되기 때문에 물의 원활한 유동을 기대할 수 없다.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은 상기 설치부홀(2118)을 통해 물공급어셈블리(2200)로 유동된다.Since the
<물탱크밸브의 구성><Composition of water tank valve>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탱크로어바디(2110)의 밸브설치부(2115)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밸브코어(2152)와,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코어(2152)와 조립되고, 상기 밸크코어(2152)의 상하 이동 시 상기 밸브홀(211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다이어프램(2154)을 포함한다. The
탑뷰로 볼 때, 상기 다이어프램(2154)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홀(2111)의 직경보다 크다. 다이어프램(2154)의 상단은 밸브홀(2111)의 상측에 위치되고, 하단은 상기 밸브홀(2111) 내부에 위치된다. When viewed from a top view,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이어프램(2154)은 하측으로 오목한 보울(bowl) 형상이다. 상기 밸브코어(2152)는 다이어프램(2154)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다이어프램(2154)은 중심측에서 바깥쪽으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상기 물탱크(2100)에 설치된 물탱크밸브(215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될 때, 상기 밸브코어(2152)의 하단이 후술하는 밸브서포터(2250)와 접촉된다.When the
상기 밸브코어(2152)가 상기 밸브서포터(2250)에 접촉되어 지지되면, 상기 다이어프램(2154)을 포함한 물탱크밸브(2150)가 상기 밸브서포터(2250)에 위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제외한 물탱크(2100)의 나머지 구성은 하측으로 이동된다. When the
그래서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밸브서포터(2250)에 지지되면, 다이어프램(2154)이 상기 밸브홀(2111)을 개방시킨다. 반면에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서 분리되면,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2154)이 밸브홀(2111)을 폐쇄시킨다. So, when the
<<물공급어셈블리의 구성>><<Composition of water supply assembly>>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탱크(2100)의 물을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한다.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탱크(2100)가 거치될 때에만 물탱크(2100)의 물탱크밸브(2150)를 개방시켜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물을 공급한다. The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탱크(2100)를 지지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되는 유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대신 기구적인 배치를 통해 구현한다.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를 전동식으로 구현할 경우, 이에 따른 전기배선이 습기 또는 물에 노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오작동 및 안전성이 문제가 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를 기구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구현하기 때문에, 물과 접촉되는 부위의 전기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작동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을 서플라이챔버(2211)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하는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과,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의 서플라이챔버(2211)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서플라이플로터(2220)와,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안내하는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여 틸팅각을 제공하는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거치 시 상기 물탱크(2100)의 물탱크밸브(2150)와 접촉되어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개방시키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에서 토출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111)로 안내하는 상기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를 제공하는 밸브서포터(2250)와,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의 틸팅 시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상대회전 가능하고, 상기 물탱크의 물공급밸브가 관통되게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111)에 제공하는 서플라이틸팅커버(2260)과,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를 연결하고, 상기 밸브서포터(2250)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서플라이유로(2231)를 통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안내하는 워터벨로우즈(2240)를 포함한다. The
상기 물탱크(2100)의 하측에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하측에 밸브서포터(225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가 배치되고, 상기 밸브서포터(2250) 하측에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높이 내에서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The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은 상기 물탱크밸브(2150), 워터벨로우즈(2240) 및 서플라이유로(2231)를 거쳐 서플라이챔버(2211)로 유동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는 공급된 물을 일시 저장하고, 물은 자중에 의한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시킨다. The water from the
<서플라이챔버하우징의 구성><Composition of supply chamber housing>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베이스(130) 상측면에 설치된다.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물탱크에서 공급된 물을 일시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고,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베이스(130) 상측에 설치되는 챔버하우징바디(2212)와, 상기 챔버하우징바디(2212) 내측에 배치되고, 상측 방향으로 개구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물을 일시 저장하는 서플라이챔버(2211)와, 상기 챔버하우징바디(2212) 또는 서플라이플로터(2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저면(2220a)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에서 이격시키는 리브(2215)와, 상기 챔버하우징바디(2212)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와 연통되고, 상기 챔버하우징(2212)에 저장된 물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물을 제공하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를 포함한다. The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는 상측으로 개구된다. 서플라이챔버(2211)의 개방된 상측면을 챔버개구면(2213)으로 정의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에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서플라이챔버(2211)의 형상에 대응하여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The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평단면 형상은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평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것이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이동에 바람직하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평단면 형상은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각진 형태로 형성될 경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상하 이동 시 걸림을 발생시킬 수 있고, 설치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저면(2211a)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리브(2215)는 본 실시예에서 챔버하우징바디(2212)에 형성된다. 상기 리브(2215)는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리브(2215)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저면(2220a)과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을 이격시킨다. The
상기 리브(2215)가 없을 경우,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 물이 채워지더라도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저면(2220a) 및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밀착에 의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In the absence of the
상기 리브(2215)는 상기 밀착에 의한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측면(2220b)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내벽(2211b)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측면(2220b) 및 서플라이챔버(2211)의 내벽(2211b)은 1mm 이상의 유격이 확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는 서플라이챔버(2211)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와 연통되고, 외측단(2214b)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밖으로 돌출된다. The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과 같거나 높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물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저면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서플라이챔버(2211)에 저장된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로 유동된다. The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 보다 낮게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 높이 내에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저면(2211a)이 위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저면 보다 높은 경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에 잔류되는 물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세균 또는 곰팡이의 번식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저면과 같거나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예를 들어 습도가 높은 여름철이나 물탱크에 저장기간이 길어길 때), 물탱크(2100)를 비롯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 모든 물은 내부에 잔류되지 않고, 외부로 배수된다. When the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이 유동되는 과정에서 잔류되지 않고, 자중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water supplied from the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은 스팀제너레이터(2300)와 연결되고,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물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은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된다. The
<밸브서포터의 구성><Composition of valve supporter>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물탱크밸브(215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상기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될 때 상기 물탱크밸브(2150)와 간섭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개방시킨다.The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상측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밸브코어(2152)를 지지한다. The
상기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되면, 상기 밸브서포터(2250)가 상기 밸브코어(2152)와 간섭되어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밸브홀(2111)이 개방된다. When the
상기 밸브홀(2111)이 개방되면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이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로 유동된다. When the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별도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성형을 통해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물탱크밸브(2150)과의 접촉을 위해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서 상측으로 노출되어야 한다. The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는 서로 이격되어 밸브서포터갭(2256)을 형성한다.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 사이로 물이 유동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는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 역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의 상측에 밸브코어(2152)가 배치된다. The
상기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이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가 밸브코어(2152)의 하단을 지지하여도 상기 물탱캐(2100)에 배출된 물이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으로 유입될 수 있다. Since the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의 하단은 개구된다. 밸브서포터갭(2256)의 상측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상측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의 하측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하측을 향해 개구된다. The lower end of the valve supporter gap 2256 is opened. The upper side of the valve supporter gap 2256 is open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서포터(2250)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의 하측은 서플라이챔버(2211)와 연통된 미들홀(2258)이 형성된다. 미들홀(2258)는 서플라이유로(2231)의 일부를 형성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들홀(2258)이 밸브서포터갭(2256)의 하측에 형성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미들홀(2258)은 워터벨로우즈(2240)의 내부 공간 및 서플라이챔버(2211)를 연통시킨다. The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에 위치된다. 그래서 상기 밸브홀(2111)을 통해 배출된 물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에 저장되고, 상기 미들홀(2258)을 통해 서플라이챔버(2111)로 유동된다. The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들홀(2258)이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밖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을 미들홀(2258)로 안내하는 별도의 구성이 배치되거나, 배출된 물이 다른 곳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배치되어야 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물탱크밸브(2150) 및 밸브서포터(2250)의 접촉부분(밸브코어의 하단 및 밸브서포터의 상단)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portions (the lower end of the valve core and the upper end of the valve supporter) between the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처럼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을 일시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에 관한 구성은 워터벨로우즈(2240)의 구성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The water bellows 2240 provides a space for temporarily stor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구성><Composition of Supply Support Body>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을 커버한다. 특히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이 상측면을 밀폐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의 물이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밖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그리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안내하는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가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서포터(2250)의 미들홀(2258)이 이를 대신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고,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회전된 물탱크(2100)를 지지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을 커버하는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와,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를 연결하는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를 형성하는 미들홀(2258)과,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미들홀(2258)과 연통되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상측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플로터가이드(2234)와,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저면과 소정의 틸팅각을 형성하고,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는 틸팅서포터(2236)를 포함한다. The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챔버개구면(2213)을 커버하며,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챔버개구면(2213)을 밀폐시킨다. The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가 서플라이챔버(2211)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실링리브(2231)가 더 형성된다. In order for the
상기 실링리브(2231)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챔버개구면(22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링리브(2231) 및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사이에 실링을 위한 서플라이챔버 개스킷(2233)이 더 배치된다. The sealing
탑뷰로 볼 때, 상기 서플라이챔버 개스킷(2233)은 상기 챔버개구면(2213)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된다. 서플라이챔버 개스킷(2233)은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된다.When viewed from a top view, the
상기 미들홀(2258)은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를 연결한다. 상기 미들홀(2258)은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을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하측으로 유동시킨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들홀(2258)은 밸브서포터(225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를 관통하는 별개의 미들홀을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에 위치된다. 즉,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에 밸브서포터(250)의 미들홀(2258)과 별개의 미들홀이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미들홀(2258)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미들홀(2258)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미들홀(2258)을 통과한 물을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 내부로 안내된다. The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하측이 개구된 형태이고, 개구된 하측면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상측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The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삽입되는 플로터가이드 내부공간(2234S)가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가이드 내부공간(2234S) 상측에 상기 미들홀(2258)이 배치되고, 상기 미들홀(2258) 상측에 밸브서포터갭(2256)이 배치된다. The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 미들홀(2258) 및 플로터가이드 내부공간(2234S)를 일렬로 배치하여 물의 이동거리를 최단거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미들홀(2258)은 후술하는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승강 시 폐쇄되고, 하강 시 개방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를 통해 미들홀(2258)의 개폐는,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와 별개로 이루어진다. The valve supporter gap 2256, the
상기 틸팅서포터(2236)는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구조물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서포터(2236)는 사출성형을 통해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틸팅서포터(2236)는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조립될 수 있다. The tilting
상기 틸팅서포터(2236)는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기 때문에 상기 물탱크(2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Since the tilting
상기 틸팅서포터(2236)는, 상기 물탱크(2100)가 틸팅되기 전 상기 물탱크(2100)를 수직하게 지지하는 제 1 서포터부(2236a)와, 상기 물탱크(2100)가 틸팅된 후 상기 물탱크(210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제 2 서포터부(2236b)를 포함한다. The tilting
상기 제 1 서포터부(2236a)는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제 1 서포터부(2236a)의 상측단은 수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서포터부(2236a)는 상기 밸브서포터(2250)의 상측단 보다 높게 위치된다. The first supporter part 2236a protrudes upward from the
상기 제 2 서포터부(2236b)는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서포터부(2236b)의 상측단을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서포터부(2236b)는 물탱크(2100)의 틸팅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는 전방으로 틸팅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서포터부(2236b)는 후방이 높고 전방이 낮은 틸팅경사면(2237)을 제공한다. 상기 틸팅경사면(2237)은 제 2 서포터부(2236b)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틸팅경사면(2237)은 후방에서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상기 틸팅경사면(2237)은 상기 물탱크(2100)의 저면과 소정의 틸팅각을 형성한다. 상기 틸팅경사면(2237)은 10도 이상 45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2100)가 상기 틸팅경사면(2237)에 지지될 때, 상기 물탱크(2100)는 전도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2100)가 상기 틸팅경사면(2237)에 지지될 때, 물탱크핸들(2140)이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상측으로 회전되어 전개되어야 한다. The tilting inclined
<서플라이틸팅커버의 구성><Composition of the supply tilting cover>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물탱크(2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물탱크(210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된다. The
상기 물탱크의 틸팅 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상대 회전된다. When the water tank is tilted, the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물탱크의 물공급밸브가 관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를 관통하여 밸브서포트(2250)과 접촉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물탱크(2100)의 하부를 구성하는 탱크로어바디(2110)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하측이 개구되고, 상면 및 측면을 폐쇄된다. The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물탱크(2100)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틸팅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틸팅어셈블리의 작동에 의해 틸팅되는 틸팅커버바디(2262)와,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2100)의 밸브홀(2111)과 연통되는 밸브삽입홀(2261)과,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틸팅커버사이드월(2264)을 포함한다. The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는 대체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에 상기 밸브삽입홀(2261)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삽입홀(2261)은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밸브홀(2111)의 물을 제공받는다. 상기 밸브홀(2111)의 하측에 상기 밸브삽입홀(2261)이 배치된다. The tilting cover body 2262 is dispos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The valve insertion hole 2261 is formed in the tilting cover body 2262. The valve insertion hole 2261 passes through the tilting cover body 226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eceives water from the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의 하측면에 상기 틸팅경사면(2237)의 상측단(2237a)이 지지된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틸팅경사면(2237)의 상측단(2237a)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틸팅될 수 있다. An upper end (2237a) of the tilting inclined surface (2237) is supported on the lower side of the tilting cover body (2262). The
상기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될 때, 상기 물탱크(2100)의 밸브설치부(2115)가 상기 밸브삽입홀(2261)을 관통하고,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밸브설치부(2115)에서 물탱브밸브(2150) 및 밸브서포터(2250)이 상호 간섭될 수 있다. When the
그리고 상기 밸브삽입홀(2261) 주변에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를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배치된다. In addition,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water bellows 2240 to the tilting cover body 2262 is disposed around the valve insertion hole 2261.
<워터벨로우즈의 구성><Composition of Water Bellows>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고정되고, 상기 물탱크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제공한다.The water bellows 224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water bellows 2240 is fixed to the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가 탄성변형되어 늘어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물탱크의 틸팅 시에도,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를 연결한다. The water bellows 2240 prevents water discharged from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bellows 22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rrugated pipe.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은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고정되고, 하단은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고정된다. The upper end of the water bellows 2240 is fixed to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을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고정하기 위한 벨로우즈캡(2242)이 더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a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은 상기 밸브삽입홀(2261)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upper end of the water bellows 2240 protrudes above the
상기 벨로우즈캡(2242)은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을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상측면에 가압한다. 상기 벨로우즈캡(2242)은 체결 또는 억지끼움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bellows cap 2242 is disposed above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벨로우즈캡(2242)은 체결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고정된다. 이는 워터벨로우즈(2240)의 손상 또는 파손 시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bellows cap 2242 is fixed to the
<서플라이플로터의 구성><Configuration of Supply Plotter>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서플라이챔버(2211)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물탱크의 물이 모두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되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The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부력은 상기 물탱크(2100)에서 가해지는 압력보다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buoyancy of the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밸브홀(2258)을 폐쇄한다. 상기 밸브홀(2258)이 폐쇄되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물이 공급되지 않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의 물은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를 통해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이동된다. When the water level of the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물이 이동된 만큼 서플라이챔버(2211) 내의 수위가 낮아지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높이가 낮아져 상기 밸브홀(2258)이 개방될 수 있다. As water moves from the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 플로터바디(2222)와,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형성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플로터가이드(2234)가 삽입되는 가이드삽입홈(2225)과,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삽입홈(2225)을 형성시키는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와,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유로(2231)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밸브홀(2258)을 개폐시키는 플로터밸브(2270)를 포함한다. The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는 상측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가 삽입된다.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에 따른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상승 또는 하강 시,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는 플로터가이드(2234)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된다.The support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로터가이드(2234)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역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The support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방향으로는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최하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는 측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제공한다. The support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 중 적어도 일부는 동일한 높이 내에 위치된다.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는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된다. At least some of the suppor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의 직경이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는 플로터가이드(2234)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는 플로터밸브(2270)의 설치구조를 위한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support
상기 플로터밸브(2270)는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배치된 플로터밸브코어(2272)와,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미들홀(2258)을 개폐시키는 플로터밸브스토퍼(2278)을 포함한다.The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는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는 상기 플로터바디(222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플로터바디(2222)는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가 관통되는 코어홀(2223)이 형성된다. The
상기 코어홀(2223)은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내측에 배치된다. The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를 기준으로 내측에 코어홀(2223)이 형성되고, 바깥쪽에 가이드삽입홈(2225)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홀(2223) 및 가이드삽입홈(2225)은 모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A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는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터바디(2222)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코어홀(2223)을 형성시키고 외측에 상기 가이드삽입홈(2225)을 형성시키는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과, 상기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 및 플로터바디(2222)를 연결하고, 상측에 상기 가이드삽입홈(2225)을 형성시키는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을 포함한다. The support
상기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는 상하 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은 탑뷰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upport body
상기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의 안쪽단은 플로터바디(2222)와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의 바깥쪽단은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과 연결된다. The inner end of the support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로터바디(2222) 및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를 별도로 제작한 후 플로터바디(2222) 내부에 조립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는 상기 코어홀(222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상단은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고,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하단은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의 하단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The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하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의 하단에 지지되는 코어지지단(2273)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지지단(2273)은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 보다 낮게 위치된다.A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플로터바디홈(2226)이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바디홈(2226)은 코어홀(2223)과 연통되고, 코어홀(2223)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바디홈(2226)은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 보다 낮게 위치된다. A plotter body groove 2226 formed concav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상기 코어지지단(2273)은 상기 플로터바디홈(2226)에 삽입되고, 코어지지단(2273)은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저면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플로터바디홈(2226)에 은닉된다.The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상단에 플로터밸브스토퍼(2278)이 조립된다. 상기 플로터밸브스토퍼(2278)는 플로터밸브코어(2272)에 조립된 상태에서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의 상단에 지지된다. A
상기 플로터밸브스토퍼(2278)는 상측이 뾰족한 삼각뿔 형상이고, 뾰족한 첨단(2279)이 상기 밸브홀(2258)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첨담(2279)은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상측단 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에서 서플라이챔버(2111)로 유동되는 물은 2번의 단속과정을 거친다. In this embodiment, water flowing from the
먼저,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밸브홀(2111)을 개폐하여 물의 유동을 단속한다. 다음으로, 플로터밸브(2270)가 미들홀(2258)을 개폐하여 물의 유동을 단속한다. First, the
상기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이 2번의 개폐과정을 거쳐 서플라이챔버(2111)로 유동되기 때문에, 물의 과공급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추가적으로 물의 공급을 제어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물이 과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Sinc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본 실시예와 달리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에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배치하고,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에 개폐밸브를 배치하여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수위센서 및 개폐밸브를 추가적으로 필요로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전기신호를 통해 제어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케이블의 결선구조를 필요로 한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 water level sensor that senses the water level inside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되는 물의 공급량을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서플라이플로터(2220)를 통해 제어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의 수위조절 및 물 공급량을 기구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upply amount of water provided to the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로어캐비닛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물공급어셈블리 및 스팀제너레이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정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5에 도시된 스팀제너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스팀제너레이터의 수위가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 21은 실내기가 기울어졌을 때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의 수위가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파이프의 관경, 배치 및 드레인펌프로 인가된는 전압에 따른 배수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파이프의 관경 및 배치에 따른 스팀제너레이터 내부, 급수유로 및 배수유로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의 작동주기에 따른 스케일의 발생 및 스팀히터의 온도와, 세탁기에서의 스케일의 발생 및 스팀히터온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의 작동주기에 따른 히터내부온도 및 열전달률과, 세탁기에서의 히터내부온도 및 열전달률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lower cabinet shown in FIG. 3. 1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water supply assembly and the steam generator shown in FIG. 13. 1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4. 16 is a plan view showing a drainag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assembly shown in FIG. 16. 18 is a right side view of the drainage assembly shown in FIG. 16.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generator shown in FIG. 5. 2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shown in FIG. 19. 2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water level inside the steam generator when the indoor unit is inclined. 23 is a graph showing a water pipe diameter, arrangement, and a drainage rate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a drain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graph showing temperature changes in a steam generator interior, a water supply passage, and a drain passage according to a pipe diameter and arrangement of a water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graph showing the comparison of the generation of scal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hea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cycle of the drain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tion of the scal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heater in a washing machine. 26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a heater internal temperature and a heat transfer rate according to an operation cycle of a drain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eater internal temperature and heat transfer rate in a washing machine.
<<스팀제너레이터의 구성>><<Composition of the steam generator>>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시키기 때문에, 살균된 스팀을 제공할 수 있다. The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스팀하우징(2310)과,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스팀히터(2320)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와 연통되고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워터파이프(2314)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가이드(2400)와 연결되고,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스팀가이드(2400)에 공급하는 스팀토출부(2316)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2500)과 연결되고, 상기 가습팬(2500)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의 여과공기를 공급받는 공기흡입부(2318)를 포함한다. The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최저수위(WL)를 감지하는 제 1 수위센서(2360)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최고수위(WH)를 감지하는 제 2 수위센서(2370)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과열을 방지하는 써미스터(2380)를 더 포함한다. The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외부와 밀폐된 구조이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 스팀토출부(2316), 공기흡입부(2318)은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는 베이스(130)에 설치된다. The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스팀히터(2320)에 의해 가열된 물을 저장하기 때문에, 내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SPS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어퍼스팀하우징(2340) 및 로어스팀하우징(2350)을 포함한다. Since the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은 하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하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로어스팀하우징(235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토출부(2316) 및 공기흡입부(2318)은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 및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높낮이 차를 통해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워터파이프(2314)로 유동된다.The
입력 전압Drain pump
Input voltage
(3400cc 배수)time
(3400cc multiple)
도 23의 경우, 워터파이프(2314)가 스팀하우징(23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위치, 드레인펌프(2710)로 입력되는 전압, 및 워터파이프(2314)의 관경을 달리할 때, 파악되는 배수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에서 워터파이프(2314)의 배치는, 스팀하우징(2310)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공기흡입부(2318)가 배치되는 후방(Back), 스팀토출부(2316)가 배치되는 전방(Front), 및 전방과 후방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Center)의 배치가 기준이 된다. 다만, 워터파이프(2314)는,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부분으로, 스팀하우징(2310)의 둘레면 하단부에 배치된다. In the case of FIG. 23, when the
상기 표 1은, 도 23의 그래프에서 파악되는 데이터를 정리한 표이다. Table 1 is a table that summarizes data found in the graph of FIG. 23.
도 23과 상기의 표 1을 참조하면, 워터파이프(2314)는, 스팀하우징(2310)의 후방에 배치될 때,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속도가 빨라짐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스팀하우징(2310)의 후방으로 공기흡입부(2318)가 형성되어,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을 하측으로 압력을 가하는 구조임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드레인펌프(2710)가 스팀하우징(2310)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구조임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3 and Table 1 above, when the
또한, 도 23과 상기의 표 1을 참조하면, 워터파이프(2314)는, 드레인펌프(2710)로 입력되는 전압이 커질수록,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속도가 빨라짐을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워터파이프(2314)의 관경은, 배수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3 and Table 1 above,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 제 2 수위센서(2370) 및 써미스터(2380)는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에는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가 설치되는 제 1 수위센서설치부(2342)와,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가 설치되는 제 2 수위센서설치부(2344)와, 상기 써미스터(2380)가 설치되는 써미스터설치부(2346)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에 형성된 공기흡입부(2318) 및 스팀토출부(2316)는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 및 공기흡입부(2318)는 높이차(SH)를 형성하고, 상기 스팀토출부(2316)가 공기흡입부(2318)보다 높이차(SH) 만큼 높게 배치된다. The
이는 어퍼스팀하우징(2340) 내부의 스팀이 상기 스팀토출부(2316)로 용이하게 모이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가 공기흡입부(2318)보다 높게 형성되면, 밀도가 낮은 스팀이 스팀토출부(2316) 하측에 모일 수 있다. This is to allow the steam inside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저수위를 감지하기 때문에, 상기 공기흡입부(2318) 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고수위를 감지하기 때문에, 상기 스팀토출부(2316) 주변에 설치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 및 제 2 수위센서(2370)가 높낮이 차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 1 수위센서(2360) 및 제 2 수위센서(2370)의 전극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는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의 하단은 같은 높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는 전극이다.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에 물이 닿으면 제어부가 이를 감지한다. The firs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의 하단은 스팀제너레이터(2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최저수위(WL)이다.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의 하단(2361a)(2362a) 보다 수위가 낮을 경우 스팀히터(2320)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 하단(2361a)(2362a)보다 수위가 낮아지면 스팀히터(2320)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ends of the 1-1st water level detection part 2601 and the 1-2th wat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는 물이 닿을 때 이를 감지하는 전극이 사용된다.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의 하단(2370a)은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고수위(WH)를 감지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수위가 제 2 수위센서(2370)의 하단(2370a) 보다 높을 경우, 스팀히터(2320)의 작동에 의해 물이 끓어 넘칠 수 있다. 상기 수위가 제 2 수위센서(2370)의 하단(2370a)에 닿으면 상기 스팀히터(232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상기 최고수위(WH)는 실내기의 기울어짐을 감안한 높이다. 즉, 상기 실내기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졌을 때,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수위는 어느 한쪽이 높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내기가 어느 한쪽으로 3도 기울어지고,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대 작동 시, 상기 스팀하우징(2310) 밖으로 물이 넘치지 않는 높이를 상기 최고수위(WH)로 설정한다. The maximum water level (WH) is the height in consideration of the inclination of the indoor unit. That is, when the indoor unit is inclined in either direction, the water level inside the
상기 최고수위(WH)가 도달했을 때, 상기 스팀히터(23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작동시켜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을 배수할 수 있다. When the maximum water level (WH) is reached, the operation of the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적정수위는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의 하단(2370a) 보다 낮고,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 하단(2361a)(2362a) 보다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를 적정수위라 정의한다. The proper water level of the
상기 써미스터(2380)의 하단(2380a)은 상기 적정수위 내에 배치된다. 상기 써미스터(2380)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내부 온도가 설정값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상기 스팀히터(232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The lower end 2380a of the
상기 공기흡입부(2318)의 면적은 넓을수록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스팀토출부(2316) 보다 넓게 형성된다. The larger the area of the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를 통해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300)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를 통해 배출된 물은 드레인어셈블리(2700)로 유동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하나의 워터파이프(2314)를 물의 공급 및 배수에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스팀을 생성하는 장치의 경우, 물을 공급받는 파이프와 물을 배출하는 파이프를 함께 구비한다. The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내부 및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에서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30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의 외측단은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측면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The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와 연결되고,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이다. The
도 24의 경우, 워터파이프(2314)의 관경과, 워터파이프(2314)의 배치를 달리하면서, 스팀히터(2320)로 스팀제너레이터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때, 제 1 연결관(2731)에 형성되는 급수유로와, 제 3 연결관(2733)에 형성되는 배수유로에 존재하는 물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에서 워터파이프(2314)의 배치는, 스팀하우징(2310)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공기흡입부(2318)가 배치되는 후방(Back), 스팀토출부(2316)가 배치되는 전방(Front)이 기준이 된다. In the case of FIG. 24, when water stored in the steam generator is heated by the
도 24를 참조하면, 스팀히터(2320)로 스팀제너레이터에 저장된 물이 가열될 때, 제 3 연결관(2733)에 형성되는 배수유로에 비해, 제 1 연결관(2731)에 형성되는 급수유로 상의 온도변화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연결관(2731)이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측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형성함에 따라,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에서 가열된 물이 상측으로 일부 유동할 수 있어, 급수유로 상의 온도변화가 생길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4, when water stored in the steam generator is heated by the
스팀히터(2320)로 스팀제너레이터에 저장된 물이 가열될 때, 급수유로 또는 배수유로 상의 온도가 변경되는 것은, 스팀제너레이터의 가열된 물이 급수유로 또는 배수유로로 역류하는 것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워터파이프(2314)의 배치 및 관경을 조절하여,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가열된 물이 급수유로나 배수유로를 통해 역류하지 않는 워터파이프의 관경이나, 워터파이프의 배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steam generator is heated by the
워터파이프(2314)는, 관경이 작을 수록, 급수유로 및 배수유로에서 온도변화가 적게 일어남을 파악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워터파이프(2314)는, 관경이 Φ9일 때보다 관경이 Φ7일 때, 급수유로 및 배수유로에서 온도변화가 적게 일어남을 파악할 수 있다. 관경이 작을 수록, 유로저항이 크게 형성되므로,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워터파이프(2314)로 유동하는 물이 적게 형성되어, 급수유로 또는 배수유로 상의 온도변화가 적게 형성될 수 있다. The
워터파이프(2314)는, 스팀하우징(2310)의 후방에 배치될 때, 급수유로 및 배수유로에서 온도변화가 적게 일어남을 파악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워터파이프(2314)는, 스팀하우징(2310)의 전방에 배치될 때보다 스팀하우징(2310)의 후방에 배치될 때, 급수유로 및 배수유로에서 온도변화가 적게 일어남을 파악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역류하는 물은, 상측으로 연장되는 급수유로로 유동할 수 있으며, 스팀하우징(2310)의 후방에 배치될 때, 물공급어셈블리(2200)와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연결관(2731)의 길이가 길어진다. 급수유로의 길이가 길수록, 급수유로 상의 유로저항이 크게 형성되므로,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워터파이프(2314)로 유동하는 물이 적게 형성되어, 급수유로 또는 배수유로 상의 온도변화가 적게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워터파이프(2314)는 3방향파이프(2735)를 통해 제 1 연결관(2731) 및 제 3 연결관(2733)과 동시에 연결됨으로써, 워터파이프(2314)를 통해 역류하는 물이 공급유로가 형성된 제 1 연결관(2731)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드레인펌프(2710)와 연결되는 제 3 연결관(2733)으로 역류하는 물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즉, 3방향파이프(2735)를 통해, 제 1 연결관(2731)과 제 3 연결관(2733) 및 워터파이프(2314)가 연결되므로, 배수유로가 형성되는 제 3 연결관(2733)으로 역류를 최소화하여, 배수유로 상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워터파이프(2314)를 스팀하우징(2310)의 후방에 배치하여, 급수유로가 형성된 제 1 연결관(2731)으로 역류를 최소화하여, 급수유로 상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드레인어셈블리와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드레인어셈블리(2700)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The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에 상기 스팀히터(2320)가 설치된다.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배면에 상기 스팀히터(2320)가 설치되는 스팀히터 설치부(2352)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을 관통하는 개구면을 포함한다. 상기 스팀히터(2320)는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를 관통하고, 히터부가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 내부에 배치된다. The
상기 스팀히터(2320)는 병렬로 배치된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와,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가 결합되고,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에 각각 전원을 제공하는 히터마운트(2354)와,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퓨즈(미도시)를 포함한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는 시즈히터(sheath heater)가 사용된다. In this embodiment, a sheath heater is used for the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히터부(2321)에만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될 수 있고, 상기 제 2 히터부(2322)에만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 모두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될 수 있다.Each of the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는 모두 "U" 형태로 형성된다. Both the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각 곡선부는 스팀토출부(2316)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단(2321a)(2322a)은 상기 최저수위(WL)와 같거나 상기 최저수위(WL)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Each curved part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기의 기울어짐을 고려하여,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단(2321a)(2322a)이 상기 최저수위(WL) 보다 낮게 배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e inclination of the indoor unit,
실내기의 베이스(130)는 지면에 수평하게 설치되어야 하지만, 설치오류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실내기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경우에도,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단(2321a)(2322a)은 수면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를 위해 상기 제 1 히터부(2321)의 상측면(2321a) 및 최저수위(WL) 사이에 안전수위(WS)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면(2322a) 및 최저수위(WL) 사이에 안전수위(WS)가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a safety water level WS may be formed between the
그래서 상기 최저수위(WL) 보다 안전수위(WS) 만큼 하측에 상기 제 1 히터부(2321)의 상측면(2321a) 및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면(2322a)이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수위(WS)는 6mm로 형성된다. Therefore, an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발열 용량은 상이하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의 길이가 제 2 히터부(2322)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는 상기 제 2 히터부(2322)의 내측에 배치된다. The heating capacities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히터부(2321)의 용량은 440W이고, 상기 제 2 히터부(2322)의 용량은 560W이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가 함께 작동될 때, 1kW의 최대출력을 제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apacity of the
상기 제 1 히터부(2321)은 가습운전될 때 작동된다. 가습어셈블리(2000)를 스팀살균할 때,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가 동시에 작동된다. The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정상 작동 시,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온도는 105도 내외로 제어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가 가열되면, 저장된 물이 끓어 버블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가 이를 감지하여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과열을 차단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과열 시,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는 140도 내외에서 작동될 수 있다.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에서 과열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써미스터(2380)가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과열을 감지하고, 상기 써미스터(2380)는 150 내지 180도 내외의 온도범위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써미스터(2380)는 167도 이상을 감지한다. When the second
상기 써미스터(2380)에 의한 전원제어 후에도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온도(본 실시예에서 섭씨 250도)가 상승되면 상기 퓨즈가 상기 스팀히터(2320)의 전원을 차단한다. Even after power control by the
상기 히터마운트(2354)는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를 관통하여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에 결합된다. 상기 히터마운트(2354)는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를 밀폐시킨다. 상기 히터마운트(2354) 및 스팀히터 설치부(2352) 사이에 기밀을 위한 개스킷(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히터마운트(2354) 측에 배치된다. The
한편,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의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워터파이프(2314)로 유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와 같거나 낮게 배치된다. Meanwhile, water inside the
특히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가장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저장된 물을 배수할 때,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내부 바닥면은 상기 워터파이프(2314)로 물을 유동시키는 홈 또는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에는 별도의 밸브가 배치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a separate valve is not disposed in the
상기 워터파이프(2314) 및 챔버하우징파이프(2214)가 연통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수위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Since the
구체적으로,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내부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수위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수위 상승에 따라 상승되며,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물이 공급되는 미들홀(2258)을 폐쇄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sufficient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은 상기 스팀히터(2320)의 높이 내에 배치된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고수위(WH) 보다 낮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고수위(WH)는 밸브홀(2111)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미들홀(2258)은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고수위(WH)와 같거나 높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스팀히터(2320)의 상단(2321a)(2322a)과 이격거리(H)를 형성한다. The maximum water level WH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에 배치된 플로터밸브스토퍼(2278)가 플로터바디(2222)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최대 상승 높이는 상기 최고수위(WH)와 같거나 낮을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다만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최대 상승 시, 상기 미들홀(2258)이 폐쇄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되는 물공급이 차단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However, when the
상기 스팀토출부(2316)는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는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은 상기 스팀가이드(2400)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어퍼스팀하우징(2340)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어퍼스팀하우징(2340)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가습팬(2500)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입된다. The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가습팬(2500)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스팀토출부(2316)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스팀토출부(2316) 보다 가습팬(2500)에 가까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가습팬(2500)과 연결되고, 상기 가습팬(2500)으로부터 여과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로 공급된 여과공기는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스팀과 함께 스팀토출부(2316)로 토출된다. The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여과공기가 아닌 일반 공기가 유입될 경우,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는 곰팡이 등이 번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When general air, not filtered air, flows into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여과공기로 한정되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가 작동되지 않을때 내부가 세균 또는 곰팡이 등으로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가습팬(2500)의 공기 유동이 내부에 공급되어 스팀을 스팀하우징(2310)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스팀의 유동압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In the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팀하우징 밖에서 가습팬이 스팀을 빨아내는 구조일 경우, 스팀하우징 내부의 스팀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 humidifying fan is configured to suck steam outside the steam housing, the steam inside the steam housing may not be discharged smoothly.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이 신속하게 측면토출구(301)(302)로 유동되지 않을 경우, 스팀의 이동 과정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If the steam generated by the
본 실시예는 가습팬(2500)이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공기 흡입 측에서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스팀의 유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슬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팬(2500)의 공기가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스팀을 스팀하우징(2310)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충분한 공기의 유속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스팀의 유동과정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되더라도, 스팀을 유동시키는 공기의 유속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응축수가 공기의 유속에 의해 자연증발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condensation occurs during the flow of steam, condensed water can be spontaneously evaporated by the flow rate of air because the flow rate of air for flowing the steam is sufficiently secured.
<드레인어셈블리의 구성><Composition of drain assembly>
상기 드레인어셈블리(2700)는, 베이스(130)에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펌프(2710)와, 상기 드레인펌프(2710)에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펌프(2710)에서 펌핑된 물을 상기 실내기 밖으로 안내하는 드레인호스(2720)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워터파이프(2314) 및 드레인펌프(2710)를 연결하여 물을 유동시키는 물연결관(2730)을 포함한다. The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장치이기 때문에, 작동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드레인펌프(2710)는 물연결관(2730)과 연결되는 드레인인릿(2714)과, 상기 드레인호스(2720)와 연결되는 드레인아웃릿(2712)을 포함한다.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드레인인릿(2714)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드레인아웃릿(2712)은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물공급어셈블리(2200), 스팀제너레이터(2300) 및 드레인펌프(2710)에서의 물은 물의 자중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배치는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드레인펌프(2710)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및 워터파이프(2314)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water in the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 역시 물의 자중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water of the
이와 같은 배열에 의해 이 셋 중에서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가 가장 높게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펌프(2710)가 가장 낮게 배치되며,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및 드레인펌프(2710) 사이의 높이에 배치된다. With this arrangement, the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스팀제너레이터(2300) 및 드레인펌프(2710)는 모두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베이스(130)에 배치된다. 상술한 높이차를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130)는 높낮이차를 형성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30)는 하측으로 오목한 드레인펌프 설치부(133)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베이스(130)는 평평하게 형성된 베이스탑월(131)과, 상기 베이스탑월(131)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드레인펌프 설치부(133)를 포함한다.The
상기 베이스탑월(131)이 상기 드레인펌프 설치부(133)보다 높게 위치된다. The base
상기 드레인펌프(2710)는 상기 드레인펌프 설치부(133)에 설치되고, 물탱크(21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이 상기 드레인펌프(2710)에 모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 잔류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상기 물연결관(2730)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와 연결되는 제 1 연결관(2731)과, 상기 워터파이프(2314)와 연결되는 제 2 연결관(2732)와, 상기 드레인인릿(2714)과 연결되는 제 3 연결관(2733)과, 상기 제 1 연결관(2731), 제 2 연결관(2732) 및 제 3 연결관(2733)과 연결되는 3방향파이프(2735)를 포함한다. The
상기 3방향파이프(2735)는 T형 파이프 또는 Y형 파이프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T형 파이프가 사용된다.The three-
상기 제 1 연결관(2731)의 일측단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과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3방향파이프(2735)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연결관(2731)에 밸브가 설치되고, 설치된 밸브가 상기 제 1 연결관(2731)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connector 271 is coupled to the
상기 제 2 연결관(2732)의 일측단은 상기 워터파이프(2314)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3방향파이프(2735)와 결합된다. 상기 제 2 연결관(2732) 내부에는 메수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쉬필터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스케일을 여과하고, 스케일이 상기 드레인펌프(27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One end of the
상기 제 3 연결관(2733)의 일측단은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드레인인릿(2714)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3방향파이프(2735)와 결합된다. One end of the
상기 제 1 연결관(2731), 제 2 연결관(2732) 및 제 3 연결관(2733)의 재질에 특별한 제약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된다. There is no particular restriction on the material of the
여기서 상기 제 2 연결관(2732)은 고온의 물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온도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내열재질(본 실시예에서는 EDP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상기 제 2 연결관(2732)는 상기 히터퓨즈의 작동 전까지의 온도(섭씨 250도)에 대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연결관(2730) 전체가 상기 히터퓨즈의 작동 전까지의 온도(섭씨 250도)에 대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가 작동되면, 정상적인 경우에도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의 물이 100도 이상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때, 물을 공급받는 파이프와 물을 배출하는 파이프가 각각 구비되는 경우, 물을 공급받는 파이프는 물탱크와 연결되기 때문에 온도상승이 더디지만, 드레인펌프(2710)와 연결되는 파이프에는 소량의 물만이 저장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와 유사한 온도로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상기 드레인펌프와 연결되는 파이프의 물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드레인펌프가 손상될 수 있다. When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pipe connected to the drain pump increases, the drain pump may be damaged.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3방향파이프(2735)에서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과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물을 혼합시킬 수 있고, 혼합된 물에 의해 상기 제 3 연결관(2733)의 온도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water of the
상기 제 2 연결관(2732) 측의 물의 온도가 섭씨 100도 이상으로 상승되더라도 상기 제 1 연결관(2731) 측의 물은 상온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3방향파이프(2735)에서 고온의 물과 상온의 물이 혼합되어 물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on the side of the
상기 제 1 연결관(2731) 측의 물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측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기 때문에 대류를 통해 온도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Since water is supplied from the
예를 들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작동 후,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이 고온인 상태에서 드레인펌프(2710)가 작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 2 연결관(2732)에서 배수된 고온의 물과 상기 제 1 연결관(2731)에서 배수되는 상온의 물이 상기 3방향파이프(2735)에서 혼합되고, 혼합된 물의 온도는 적어도 70도 이하로 하강될 수 있다. For example, after the operation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연결관(2730)을 통해 배수 시 상기 드레인펌프(2710)으로 유동되는 물의 온도를 30도 내지 50 사이로 형성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draining through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작동 시,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저장된 물 뿐만 아니라 상기 물탱크(2100) 및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저장된 물도 모두 배수되는 특징이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사용되는 물은 실내 가습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세균 번식의 위험이 있다. 그래서 소정기간(24시간)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물탱크(2100),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론 스팀하우징(2310)에 저장된 물도 모두 배수하고,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 전체를 건조시키는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Since the water used in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사용되는 물은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가열되어 사용되므로, 물을 가열하는 스팀히터(2320)의 표면에 스케일이 발생할 수 있다. 스팀히터(2320)의 표면에 쌓인 스케일은 스팀히터(232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저장된 물로 열전달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팀히터(2320)의 표면 또는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스케일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주기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소정기간(1일) 가습어셈블리(2000)가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물탱크(2100),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론 스팀하우징(2310)에 저장된 물도 모두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water used in the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어셈블리(2700)의 작동여부 및 작동주기에 따라 스팀히터(2320)가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히터(2320)의 온도가 달라짐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드레인어셈블리(2700)가 3일에 1회 주기로 작동한 경우, 드레인 어셈블리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스케일의 발생량이 현저히 줄어들고, 그에 따른 스팀히터(2320)가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히터(2320)의 온도가 줄어드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5, the temperature of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10년 사용했을 때, 스케일발생에 따른 스팀히터(2320)의 내부온도는, 드레인어셈블리를 작동하지 않았을 때, 207.6도로 형성되고, 3일에 1회 주기로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작동한 경우, 스팀히터(2320)의 내부온도는, 192.4도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으나, 같은 방식으로 1일에 1회 주기로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작동한 경우, 스팀히터(2320)의 내부온도는, 185.9도로 형성되어, 스팀히터(2320)의 표면 또는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스케일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드레인어셈블리(2700)의 작동주기를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for 10 year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퓨즈는, 끊어짐 온도를 216도로 설정하여, 드레인어셈블리(2700)가 주기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10년 이상의 공기조화기 사용에도 히터퓨즈가 끊어지지 않아, 스팀히터(2320)가 작동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the heater fus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ut-off temperature is set to 216 degrees, so that even when the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어셈블리(2700)의 작동여부 및 작동주기에 따라 스케일의 발생여부가 달라진다. 즉, 드레인어셈블리(2700)가 3일에 1회 주기로 작동한 경우, 드레인 어셈블리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스케일의 발생량이 현저히 줄어들고, 그에 따른 스팀히터(2320)의 열전달률도 증가하여, 스팀히터(2320)의 내부온도가 작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6, whether or not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10년 사용했을 때, 스케일발생에 따른 열전달률의 예측값은, 드레인어셈블리를 작동하지 않았을 때, 601W로 형성되고, 3일에 1회 주기로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작동한 경우, 열전달률 예측값은, 624W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으나, 같은 방식으로 1일에 1회 주기로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작동한 경우, 열전달률의 예측값은 631W로 형성되어, 스팀히터(2320)의 표면 또는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스케일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드레인어셈블리(2700)의 작동주기를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for 10 years, the predicted value of the heat transfer rate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scale is 601W when the drain assembly is not operated, and the
상기 드레인펌프(2710)가 작동되면, 상기 제 3 연결관(2733) 측의 물이 배수된다. 드레인인릿(2714)과 결합된 상기 제 3 연결관(2733)의 일측단이 가장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물탱크(2100) 및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물은 상기 제 1 연결관(2731) 및 3방향파이프(2735)를 거쳐 상기 제 3 연결관(2733)으로 유동된다.When the
마찬가지로,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물은 상기 제 2 연결관(2732) 및 3방향파이프(2735)를 거쳐 상기 제 3 연결관(2733)으로 유동된다. Likewise, water in the
이와 같이, 상기 물연결관(2730)의 구조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습어셈블리(2000) 전체의 배수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the
<<스팀가이드의 구성>><<Steam Guide Composition>>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스팀을 토출유로에 공급한다. 상기 토출유로는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유로 및 근거리 팬어셈블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유로를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밖으로 토출되기 전까지로 정의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charge passage is disposed in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한다.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의 공기와 분리된 별도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관 또는 덕트의 형태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결합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가습공기를 제공받는 메인스팀가이드(2450)와,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 중 일부를 제 1 측면토출구(301)로 안내하는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 중 나머지를 제 2 측면토출구(302)로 안내하는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조립되고,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토출시키는 제 1 디퓨저(2430)와,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조립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토출시키는 제 2 디퓨저(2440)를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는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가 결합되는 각각의 스팀토출부가 배치된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분지가이드만 배치되고, 상기 하나의 분지가이드가 하나의 디퓨저에 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디퓨저는 제 1 측면토출구 또는 제 2 측면토출구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only one branch guide is disposed, and the one branch guide is coupled to one diffuser. In this case, one diffuser may be disposed only in either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or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퓨저는 측면토출구에 배치되지만, 상기 정면토출구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디퓨저의 설치위치는 측면토출구로 제한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the diffuser is disposed at the side discharge port, but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discharge port. That i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iffuser is not limited to the side discharge port.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는 덕트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안내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공급된 공기(스팀 및 여과공기가 혼합된 공기)를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에 제공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공급된 공기(스팀 및 여과공기가 혼합된 공기)는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에서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로 분기된다. Air (air mixed with steam and filtered air) supplied from the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의 하단은 스팀하우징(2310)의 스팀토출부(2316)에 결합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의 상단은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는 하측이 개구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의 상측에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가 조립되는 제 1 가이드결합부(2451)와,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가 조립되는 제 2 가이드결합부(2452)가 배치된다.The
상기 제 1 가이드결합부(2451) 및 제 2 가이드결합부(2452)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가이드결합부(2451) 및 제 2 가이드결합부(2452)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The first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는 상기 제 1 가이드결합부(2451)의 평단면과 대응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는 상기 제 2 가이드결합부(2451)의 평단면과 대응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한쪽(좌측)에 치우쳐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는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에 균등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의 관경을 다르게 제작하여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의 유량을 균등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equal air is supplied to the
예를 들어 길이가 짧은 스팀가이드의 관경을 작게 하고, 길이가 긴 스팀가이드의 관경을 크게하여 유량을 균등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by reducing the pipe diameter of the short steam guide and increasing the pipe diameter of the long steam guide, the flow rate can be formed evenly.
상기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된다. The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조립되고,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를 통해 스팀과 함께 공급된 공기를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토출시킨다. The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스팀이 포함된 여과공기를 실어서 배출한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과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은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의 유량이 가습공기의 유량보다 크지만, 유속은 유사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어느 한쪽의 유속이 더 클 경우, 다른 한쪽의 유속에 대해 저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The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디퓨저(2430)에서 토출된 스팀을 더 멀리 확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디퓨저(2440)도 동일한 원리로 작동된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상기 제 2 디퓨저(2440)는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조립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디퓨저(2440)는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를 통해 스팀과 함께 공급된 공기를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토출시킨다. The
상기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는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 1 디퓨저(243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Since the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하측에서 스팀과 함께 공급된 공기 측면토출구로 토출시킨다. The
상기 디퓨저(본 실시예에서 제 1 디퓨저 및 제 2 디퓨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본 실시예에서 하측)이 개구되는 디퓨저하우징(2460)과,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디퓨저아웃릿(2431)(2441)와,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가이드(2420)(2430)과 조립되는 디퓨저인릿(2433)(2443)를 포함한다. The diffuser (the first diffuser and the second diffuser in this embodiment) penetrates through the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의 디퓨저아웃릿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디퓨져아웃릿(2431) 및 제 2 디퓨저아웃릿(2441)으로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의 디퓨저인릿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디퓨저인릿(2433) 및 제 2 디퓨저인릿(2443)으로 정의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diffuser outlets of the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디퓨저하우징(246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The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토출구(301)(302) 근처에 배치된다. The
상기 제 1 디퓨져아웃릿(2431)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2441)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우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아웃릿(2431)은 측면토출구(301)(302) 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토출구(301)(302)에서 토출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 보다 멀리 가습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은 내부에 디퓨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공간은 상기 디퓨저인릿(2433) 및 디퓨저아웃릿(2431)과 연통된다.상기 디퓨저공간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평단면으로 볼 때, 상기 디퓨저공간의 내측은 넓고, 외측은 좁게 형성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인릿(2433)은 파이프형태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디퓨저인릿(2433)은 스팀가이드(24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디퓨저인릿(2433)이 스팀가이드(24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은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에 맺힌 응축수는 상기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유동되고, 디퓨저인릿(2433)을 통해 스팀가이드(2420)로 이동된 후,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거쳐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회수될 수 있다. The condensed water formed inside the
상기 가습팬(2500)의 작동 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의 응축수는 자연증발될 수 있다. 상기 가습팬(2500)이 작동되지 않을 경우,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에 맺힌 응축수는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회수될 수 있고,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Whe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2000)는 가습을 제공할 때, 수분의 도달거리를 가습팬(2500)의 출력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수분을 보다 멀리 유동시키기 위해 가습팬(2500)의 출력에만 의존할 경우, 가습팬(2500)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가습팬(2500)을 고속으로 작동시켜야만 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어셈블리(2000)를 작동시킬 때,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공기유동에 수분을 실어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용량이 작은 가습팬(2500)을 사용하여도 실내의 먼곳까지 가습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가 측면토출구(301)(302)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 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가습공기를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If the
<<가습팬의 구성>><<Composition of humidifying fan>>
상기 가습팬(2500)은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여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과 함께 여과공기를 스팀가이드(2400)로 유동시킨다. The
상기 가습팬(2500)은 스팀 및 여과공기(본 실시예에서 가습공기라 한다)를 디퓨저(2430)(2440)에서 토출시키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킨다. The
상기 가습팬(2500)은,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여과공기를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안내하는 가습팬하우징(2530)과, 하측이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필터어셈블리(600)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제공하는 클린흡입덕트(2540)와,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의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시키는 가습임펠러(2510)와,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를 회전시키는 가습모터(2520)를 포함한다. The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제공한다.The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어퍼캐비닛(110)에 배치되고, 가습팬(2500)은 로어캐비닛(120)에 배치되기 때문에 높이차가 있다. 즉, 필터어셈블리(600)는 가습팬(2500)의 상부에 위치된다.Since the
특히,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로 유동되고, 로어캐비닛(120)으로는 여과공기가 유동되지 않거나 유동이 어렵다. 구체적으로 로어캐비닛(120)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지 않는 이상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여과공기가 유동되거나 순환되지는 않는다. In particular, the filter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더불어 어퍼캐비닛(110)의 하측에는 열교환어셈블리를 지지하고,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팬(140)이 배치되기 때문에,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여과공기가 로어캐비닛(120)으로 유동되는데는 제약이 많다.In addition, since the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의 상측단은 어퍼캐비닛(110) 내부에 위치되고, 하단은 로어캐비닛(120) 내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여과공기를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유로를 제공한다. The upper end of the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열교환어셈블리 또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향해 개구된 제 1 클린덕트 개구면(2541)이 형성된다. The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은 클린흡입덕트(2540)과 결합되고, 여과공기가 흡입되고, 내부에 제 1 흡입공간(2551)이 형성된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으로 부터 여과공기를 제공받고, 내부에 제 2 흡입공간(2561)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가습임펠러(2510)가 배치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의 작동에 의해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안내하는 제 2 가습팬하우징(2560)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과 연통되고, 일측(본 실시예에서 상측)을 향해 개방된 제 1 흡입개구면(2552)과,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과 연통되고, 타측(본 실시예에서 하측)을 향해 개방된 제 2 흡입개구면(2562)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 및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관통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 및 제 2 흡입공간(2561)을 연통시키는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과,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모터(2520)가 설치되는 모터설치부(2565)를 포함한다.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is coupled to a clean suction duct 2540, filtered air is sucked, and a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having a first suction space 2551 formed therein, and the first humidifying fan It is coupled to the housing 2550 to receive filtered air from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a second suction space 2451 is formed therein, and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is disposed therein, and the A second humidification fan housing (2560) that guides filtered air to the steam generator (2300) by the operation of the humidification impeller (2510), and is formed in the first humidification fan housing (2550), the first suction space ( 2551) and formed in the first suction opening surface 2552, which is open toward one side (upper side in this embodiment), and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and the second suction space 2551 and The second suction opening surface 2562 communicated and opened toward the other side (lower sid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and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and penetrated, and the first A first suction space discharge unit 2553 communicating the suction space 2551 and the second suction space 2551, and a motor disposed in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and in which the humidifying motor 2520 is installed It includes an installation part 2565.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은 상측을 향해 제 1 흡입개구면(2552)이 형성된다.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은 상기 흡입개구면(2552)에 연결된다. 반면에,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은 하측을 향해 제 2 흡입개구면(2562)이 형성된다. The firs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흡입개구면(2552)의 개구된 방향과 상기 제 2 흡입개구면(2562)이 개구된 방향은 반대다. 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irst
상기 가습모터(2520)의 모터축(미도시)은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관통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에 조립된다. The motor shaft (not shown) of the
상기 모터설치부(2565)는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모터설치부(2565)에 가습모터(252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The
제 1 흡입공간(2551)이 형성된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제 2 흡입공간(2561)이 형성된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이 각각 제작된 후 조립될 수 있다. The first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3파트를 조립하여 가습팬하우징(2530)을 제작한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simplify the assembly structure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the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은,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가습팬하우징부(2531)과,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의 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나머지 및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와,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의 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모터설치부(2565)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의 나머지를 구성하는 제 3 하우징부(2533)을 포함한다. The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이 제 1 가습팬하우징(2550) 및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서 공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부품 수를 단순화하게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humidifying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에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는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는 가습임펠러(2510) 측으로 돌출되고, 원형으로 형성된다. A first suction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는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를 형성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 측으로 돌출되는 오리피스부(2534)가 형성된다. The second humidification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는 전방에 제 1 흡입공간(2551)이 배치되고, 후방에 제 2 흡입공간(2561)이 배치된다. In the second humidifying
상기 가습임펠러(2510)는 중앙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이다. 상기 가습임펠러(251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통해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된다. The
상기 가습모터(2520)의 구동에 따른 여과공기의 유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flow of filtered ai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상기 가습모터(2520)의 구동 시, 상기 가습모터(2520)와 결합된 가습임펠러(2510)이 회전된다. 상기 가습임펠러(2510)가 회전되면, 가습팬하우징(2530) 내에서 공기유동이 발생되고, 클린흡입덕트(2540)를 통해 여과공기가 흡입된다.When the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을 통해 흡입된 여과공기는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제 1 흡입공간(2551) 및 제 1 흡입공간 토출부92553)을 거쳐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으로 유동된 공기는 가습임펠러(2510)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된 후, 제 2 흡입개구면(2562)를 통해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로 유동된다. The filtered air sucked through the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공기흡입부(2318)을 통해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유동된 여과공기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과 함께 스팀토출부(2316)로 토출된다.The filtered air flowing into the
상기 스팀토출부(2316)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메인스팀가이드(2450)에서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으로 분기된다.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로 유동된 가습공기는 제 1 디퓨저(2440)를 통해 제 1 측면토출구(301)로 토출되고,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로 유동된 가습공기는 제 2 디퓨저(2450)를 통해 제 2 측면토출구(302)로 토출된다. The humidified air flowing through the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를 통해 생성된 바람과 함께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으로 확산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를 통해 생성된 바람과 함께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우측으로 확산된다.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팀제너레이터, 물탱크 및 드레인펌프의 급수 및 배수 연결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22 is a plan view showing a water supply and drain connection structure of a steam generator, a water tank, and a drain pum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를 연결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내부 및 서플라이챔버(2211)를 연통시키는 물연결관(2730')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 및 드레인펌프(2710)를 연결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내부 및 드레인인릿(2714)를 연결하는 배수연결관(2740)과,상기 배수연결관(2740)과 연결되고, 상기 배수연결관(2740)을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배수밸브(2750)를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nects the
상기 물연결관(2730')에 급수밸브(미도시)가 더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되는 물을 단속할 수도 있다.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물탱크(2100)에서 스팀제너레이터(2300)로만 물이 유동되게 하는 체크밸브일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는 제어신호를 통해 개폐되는 개폐밸브일 수 있다. A water supply valve (not shown) is further disposed in the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제 1 워터파이프(2311) 및 제 2 워터파이프(2312)를 포함한다. The
상기 제 1 워터파이프(2311)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측부에 배치된다.상기 제 2 워터파이프(2312)는 드레인인릿(2714)의 측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워터파이프(2311)는 상기 제 2 워터파이프(2312) 보다 전방 측에 배치된다. The
상기 제 1 워터파이프(2311) 및 제 2 워터파이프(2312)는 같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워터파이프(2312)가 상기 제 1 워터파이프(2311) 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배수에 바람직하다. The
상기 제 1 워터파이프(2311) 및 제 2 워터파이프(2312)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인릿(2714) 보다 높게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흡입 측에 배수밸브(2750)가 더 배치된다. 상기 배수밸브(2750)는 배수연결관(2740)의 물을 단속한다.In this embodiment, a
상기 배수밸브(2750)가 없을 경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작동 시 가열된 고온의 물이 드레인펌프(2710)로 유입되고, 드레인펌프(2710)을 손상시킬 수 있다. In the absence of the
상기 배수밸브(2750)는 고온의 물이 드레인펌프(27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상기 배수밸브(2750)는 배수연결관(2740)에 배치되거나, 상기 드레인인릿(2714) 및 배수연결관(27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저장된 물을 배수할 때,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온도 또는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의 온도를 확인한 후, 상기 드레인펌프(27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물온도를 확인하지 않을 경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작동 후 물이 식는 시간을 고려하여 드레인펌프(2710)를 작동시켜야 한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100 : 캐비닛어셈블리
200 : 도어어셈블리
300 : 근거리팬 어셈블리
400 : 원거리팬 어셈블리
500 : 열교환어셈블리
600 : 필터어셈블리
700 : 무빙클리너
1100 : 패널모듈
1200 : 도어커버어셈블리
1300 : 도어슬라이드모듈
1400 : 사이드무빙어셈블리
1500 : 디스플레이모듈
1600 : 도어커버무빙모듈
1700 : 도어하우징무빙모듈
1800 : 케이블가이드
1900 : 카메라모듈
2000 : 가습어셈블리
2100 : 물탱크
2200 : 물공급어셈블리
2300 : 스팀제너레이터
2400 : 스팀가이드
2500 : 가습팬
2600 : 틸팅어셈블리
2700 : 드레인어셈블리
2800 :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100: cabinet assembly 200: door assembly
300: near fan assembly 400: far fan assembly
500: heat exchange assembly 600: filter assembly
700: moving cleaner 1100: panel module
1200: door cover assembly 1300: door slide module
1400: side moving assembly 1500: display module
1600: door cover moving module 1700: door housing moving module
1800: cable guide 1900: camera module
2000: humidification assembly 2100: water tank
2200: water supply assembly 2300: steam generator
2400: steam guide 2500: humidifying fan
2600: tilting assembly 2700: drain assembly
2800: tilting drive gear assembly
Claims (9)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물이 내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물탱크가 거치되고, 챔버하우징파이프를 통해 상기 내부로 유동된 물을 배수하는 물공급어셈블리;
내부에 저장된 물을 기화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
드레인인릿을 통해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어셈블리;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및 상기 드레인인릿을 연통시키는 물연결관; 및
상기 드레인인릿을 포함하고, 자중에 의해 이동된 상기 물공급어셈블리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물연결관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로부터 배수된 물이 유동하는 제1 연결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유입되는 물 및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2 연결관;
상기 드레인인릿과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어셈블리로 유입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3 연결관; 및
상기 제1 연결관, 상기 제2 연결관, 및 상기 제3 연결관과 연결되는 3방향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어셈블리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보다 낮게 배치되는 가습어셈블리.
In the humidification assembly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Water tank;
A water supply assembly in which the water tank is mounted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flows into the inside, and drains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side through a chamber housing pipe;
A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humidified air by vaporizing water stored therein;
A drain assembly for drain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inlet;
A water connection pipe communicating the chamber housing pipe, the steam generator, and the drain inlet; And
It includes the drain inlet, and a drain pump for draining th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assembly and the steam generator moved by its own weight,
The water connector
A first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chamber housing pipe and through which water drained from the water supply assembly flows;
A second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through which water flowing into the steam generator and water drained from the steam generator flow;
A third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drain inlet and through which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assembly flows; And
And a three-way pip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the third connection pipe,
The drain assembly is a humidification assembly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상기 제1 연결관의 길이는 상기 제3 연결관의 길이보다 긴 가습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umidification assembly having a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pipe is longer than that of the third connecting pipe.
상기 드레인인릿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보다 낮게 배치되는 가습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 inlet is a humidification assembly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기화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스팀하우징; 및
상기 스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가여하는 스팀히터를 포함하는 가습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am generator
A steam housing that stores water and forms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stored water is vaporized; And
A humidifying assembly comprising a steam heater disposed inside the steam housing and adding water to the storage space.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기화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의 제1 영역에 공기가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면의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된 제2 영역에 상기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가습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스팀하우징; 및
상기 제2 연결관과 연결되며, 상기 가습공기토출구보다 상기 공기흡입구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워터파이프를 포함하는 가습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am generator
A storage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the stored water is vaporized is formed, an air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is formed in a first region of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reg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gion of the upper surface is formed. A steam housing having a humidified air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And
A humidifying assembly comprising a water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disposed closer to the air inlet than the humidified air outlet.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기화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스팀하우징; 및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2 연결관과 연결되며,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보다 낮게 배치되는 워터파이프를 포함하는 가습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am generator
A steam housing that stores water and forms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stored water is vaporized; And
A humidifying assembly comprising a water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spac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상기 드레인인릿보다 높게 배치되는 가습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water pipe
Humidifying assembly disposed higher than the drain inlet.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기화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스팀하우징; 및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2 연결관과 연결되는 워터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는 제1단이 상기 물공급어셈블리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단의 타단인 제2단이 상기 제1 연결관과 연결되며,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상기 제2단은 상기 워터파이프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상기 제1단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상기 제2단보다 높게 위치되는 가습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am generator
A steam housing that stores water and forms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stored water is vaporized; And
And a water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spac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In the chamber housing pipe, a first e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and a second end,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first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The second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water pipe, and the first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second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기화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스팀하우징; 및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2 연결관과 연결되는 워터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는 상기 드레인어셈블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는 상기 물탱크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워터파이프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 및 상기 드레인인릿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드레인인릿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가습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am generator
A steam housing that stores water and forms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stored water is vaporized; And
And a water pipe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spac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The water tank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rain assembly, and the steam generator is disposed at a side of the water tank,
The water pipe is disposed between the chamber housing pipe and the drain inlet based on a front-rear direction, and the humidification assembly is disposed closer to the drain inl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4723A KR102691497B1 (en) | 2019-03-04 | 2023-03-16 |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24949 | 2019-03-04 | ||
KR1020190024949 | 2019-03-04 | ||
KR1020190029802A KR102245840B1 (en) | 2019-03-04 | 2019-03-15 |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9802A Division KR102245840B1 (en) | 2019-03-04 | 2019-03-15 |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4723A Division KR102691497B1 (en) | 2019-03-04 | 2023-03-16 |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8464A true KR20210048464A (en) | 2021-05-03 |
KR102512534B1 KR102512534B1 (en) | 2023-03-21 |
Family
ID=7247144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9802A KR102245840B1 (en) | 2019-03-04 | 2019-03-15 |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
KR1020210052303A KR102512534B1 (en) | 2019-03-04 | 2021-04-22 |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
KR1020230034723A KR102691497B1 (en) | 2019-03-04 | 2023-03-16 |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9802A KR102245840B1 (en) | 2019-03-04 | 2019-03-15 |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4723A KR102691497B1 (en) | 2019-03-04 | 2023-03-16 |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10224584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29356B1 (en) | 2021-11-18 | 2024-01-29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Humidifier Module for Air Conditioner |
KR102629357B1 (en) | 2021-11-18 | 2024-01-29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Having Humidifier Modu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210234A (en) * | 1984-04-11 | 1984-11-2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Hot air heater |
JPH10141715A (en) * | 1996-11-12 | 1998-05-29 | Tabai Espec Corp | Water saving type humidifier water supplying and draining apparatus |
KR200446245Y1 (en) | 2007-12-11 | 2009-10-09 | (주)비엘씨 | Steam humidifier with net-shaped metal assembling structure |
KR20130109738A (en) | 2012-03-28 | 2013-10-08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Humidifier of air condition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04674A (en) * | 2004-06-15 | 2006-01-05 | Toyota Motor Corp | Humidification control unit |
KR20140067310A (en) * | 2012-11-26 | 2014-06-05 | 헵시바주식회사 | Precise temperature control unit with removing condensed water |
JP2016044909A (en) * | 2014-08-25 | 2016-04-04 | ソニー・ライフケア株式会社 | humidifier |
-
2019
- 2019-03-15 KR KR1020190029802A patent/KR102245840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4-22 KR KR1020210052303A patent/KR102512534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3-16 KR KR1020230034723A patent/KR10269149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210234A (en) * | 1984-04-11 | 1984-11-2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Hot air heater |
JPH10141715A (en) * | 1996-11-12 | 1998-05-29 | Tabai Espec Corp | Water saving type humidifier water supplying and draining apparatus |
KR200446245Y1 (en) | 2007-12-11 | 2009-10-09 | (주)비엘씨 | Steam humidifier with net-shaped metal assembling structure |
KR20130109738A (en) | 2012-03-28 | 2013-10-08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Humidifier of air 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6427A (en) | 2020-09-14 |
KR20230042448A (en) | 2023-03-28 |
KR102245840B1 (en) | 2021-04-28 |
KR102691497B1 (en) | 2024-08-05 |
KR102512534B1 (en) | 2023-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868452B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 |
JP7174082B2 (en) | steam generator | |
KR102691497B1 (en) |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 |
US11971070B2 (en) |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 |
KR20230156000A (en) | Air conditioner | |
KR102643576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CN111868451B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 |
KR102638178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2639778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20210079901A (en) | Air Conditioner | |
US20220404042A1 (en) |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 |
KR102628642B1 (en) | Air conditioner | |
KR102219869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2717317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20210029559A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