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642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642B1
KR102628642B1 KR1020230032602A KR20230032602A KR102628642B1 KR 102628642 B1 KR102628642 B1 KR 102628642B1 KR 1020230032602 A KR1020230032602 A KR 1020230032602A KR 20230032602 A KR20230032602 A KR 20230032602A KR 102628642 B1 KR102628642 B1 KR 102628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steam
air
assembl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6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41674A (en
Inventor
최성규
이영구
이정우
문성국
배준석
장환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41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6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642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 F24F6/1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heated elec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내측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토출구와 흡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흡입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가습공기 생성부, 및 상기 가습공기 생성부로부터 상기 토출구까지 연결되고, 상기 가습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스팀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가이드는 상기 가습공기 생성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공기 생성부로부터 상기 가습공기가 유입되는 분지가이드; 및 상기 분지가이드의 상부에서 상기 분지가이드와 조립되는 디퓨저를 포함하고, 상기 분지가이드와 상기 디퓨저의 연결부에서 상기 디퓨저의 내경은 상기 분지가이드의 내경보다 작다.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nal space formed on the inside, a cabinet including a discharge port and a suction port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pace, and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supplies the intak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to the cabinet. A fan assembly that discharges the air into the room through an outlet, a humidified air generator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and converting water stored therein into steam to generate humidified air, and connected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to the outlet, It includes a steam guide that guides humidified air to the discharge port, wherein the steam guide is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humidified air generating unit, and a branch guide through which the humidified air flows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ing unit; and a diffuser assembled with the branch guide at an upper portion of the branch guide,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the diffuser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ranch guide and the diffuser is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branch guide.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가습공기를 스팀가이드를 통해 캐비닛어셈블리의 토출구로 유동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flows humidified air generated in a steam generator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cabinet assembly through a steam guide.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실내기가 배치되고, 실외에 실외기가 배치되며, 실내기 및 실외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통해 실내공기를 냉방, 난방 또는 제습할 수 있다. A separate air conditioner has an indoor unit placed indoors and an outdoor unit placed outdoors, and can cool, heat, or dehumidify indoor air through refrigerant circulating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실내 바닥에 직립으로 설치하는 스탠드형 실내기, 실내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걸이형 실내기 및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 등이 있다.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type,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includes a stand-type indoor unit installed upright on the indoor floor, a wall-mounted indoor unit installed on an indoor wall, and a ceiling-type indoor unit installed on the indoor ceiling.

종래 스탠드형 실내기는 냉방 시, 실내공기를 제습할 수 있지만, 난방 시 실내공기를 가습할 수는 없었다. Conventional stand-type indoor units can dehumidify indoor air during cooling, but cannot humidify indoor air during heating.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3-0109738(선행기술 1이라 한다)에는 가습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습장치가 구비된 스탠드형 실내기가 공지되어 있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09738 (referred to as Prior Art 1) discloses a stand-type indoor unit equipped with a humidify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humidification.

선행기술1의 스탠드형 실내기는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내부에 가습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드레인팬의 물을 물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통해 흡수부재를 적시며, 상기 흡수부재가 흡수된 물을 자연증발시키는 구조이다. The stand-type indoor unit of prior art 1 is provided with a humidifying device inside the main body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indoor unit. And the humidifying device of prior art 1 has a structure that stores water from a drain pan in a water tank, wets an absorbing member with the stored water, and naturally evaporates the water absorbed by the absorbing member.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깨끗한 물을 사용하지 않고, 열교환기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사용한다. 물탱크에 저장된 물에는 열교환기 표면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다량포함될 수 있고, 이물질에서 곰팡이 또는 세균이 번식할 개연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The humidifying device of prior art 1 does not use clean water, but uses condensate that flows down from a heat exchanger.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may contain a larg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and there is a very high probability that mold or bacteria will grow in the foreign substances.

또한,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본체 내부에서 물을 증발시키기 때문에, 증발된 물이 본체 내부의 부품 또는 내벽에 부착될 수 있고, 본체 내부에 곰팡이 또는 세균의 번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humidifier of prior art 1 evaporates water inside the main bod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vaporated water may adhere to parts or inner walls of the main body and cause the growth of mold or bacteria inside the main body.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실내열교환기의 응축수를 이용하여 가습을 제공하기 때문에, 냉방시에만 가습을 제공할 수 있고, 난방시에는 응축수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가습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humidifying device of prior art 1 provides humidification using condensate from an indoor heat exchang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only provide humidification during cooling and cannot provide humidification during heating because condensate is not generated.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3-010973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09738

본 발명은 스팀제너레이터 내부로 여과공기를 불어넣어 가습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can discharge humidified air by blowing filtered air into the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스팀제너레이터에 여과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독립된 유로구조가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ith an independent flow path structure capable of providing filtered air to a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가습공기가 독립된 유로를 통해 토출구에 제공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humidified air generated by a steam generator is provided to an outlet through an independent flow path.

본 발명은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가습공기가 실내에 토출되기 전까지 독립된 유로구조로 유동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humidified air generated by a steam generator can flow in an independent flow path structure before being discharged indoors.

본 발명은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가습공기가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can prevent humidified air generated from a steam generator from spreading inside the cabinet assembly.

본 발명은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가습공기를 복수개의 독립된 유로로 분지한 후, 캐비닛어셈블리의 각 측면토출구에서 분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can branch humidified air generated by a steam generator into a plurality of independent flow paths and then spray it from each side outlet of the cabinet assembly.

본 발명은 토출구에 토출된 가습공기가 토출구의 토출공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an outlet can be effectively diffused by the discharged air from an outlet.

본 발명은 가습공기의 유동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스팀제너레이터로 다시 회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can recover condensate generated during the flow of humidified air back to the steam generator.

본 발명의 가습공기의 유동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스팀제너레이터로 다시 회수될 때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can minimize noise generation when condensate generated during the flow process of humidified air is returned to the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냉방 또는 난방과 관계없이 실내에 가습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can provide humidified air indoors regardless of cooling or heating.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은 가습팬을 통해 스팀제너레이터 내부로 여과공기를 불어넣어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의 가습공기가 스팀가이드 측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에 충분향 유량을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팀 및 여과공기를 효과적으로 혼합시켜 가습공기를 생성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filtered air is blown into the steam generator through a humidifying fan and the humidified air inside the steam generator is discharged to the steam guide, a sufficient flow rate can be supplied inside the steam generator, and through this, steam and filtered air can be supplied. By mixing effectively, humidified air can be created.

가습팬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흡입공기를 불어넣어 가습공기를 유동시키기 때문에, 스팀가이드의 독립된 유로가 길게 형성되더라도 토출구까지 가습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Since the humidifying fan blows suction air into the steam generator to flow the humidified air, the humidified air can flow to the discharge port even if the independent passage of the steam guide is formed long.

생성된 가습공기가 스팀가이드를 통해 토출구까지 독립된 유로로 유동된 후, 토출구에서 토출되기 때문에, 가습공기가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습공기로 인해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에 응축수가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generated humidified air flows through an independent flow path through the steam guide to the discharge port and then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t prevents the humidified air from spreading inside the cabinet assembly and prevents condensation from forming inside the cabinet assembly due to the humidified air. can do.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여과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독립된 유로구조가 배치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Since an independent flow path structure capable of providing filtered air to the steam generator is disposed, contamination inside the steam generator can be minimized.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가습공기가 실내에 토출되기 전까지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공간과 분리된 독립된 유로의 스팀가이드를 통해 토출구까지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공간에 가습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humidified air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is moved to the discharge port through a steam guide in an independent flow path separated from the interior space of the cabinet assembly before being discharged into the roo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umidified air from spreading into the interior space.

상기 가습팬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흡입구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여과공기를 공급받는 유로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Since the humidifying fan is disposed above the steam generator and the supply inlet is disposed above the steam generator, the length of the flow path through which filtered air is supplied can be minimized.

상기 스팀가이드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토출부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열된 스팀 및 가습공기가 공기의 밀도차에 의해 상기 스팀토출구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Since the steam guide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am generator and the steam discharge por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am generator, heated steam and humidified air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ort due to the density difference between the air. .

스팀토출구가 상측을 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가습공기의 유동과정에서 응축수가 생성되더라도 응축수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스팀토출구로 다시 회수될 수 있다. Since the steam outlet is arranged to face upward, even if condensate is generated during the flow of humidified air, the condensate can be returned to the steam outlet due to its own weight.

본 발명은, 내측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토출구, 상기 캐비닛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흡입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흡입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결합되고, 상기 흡입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공급하는 가습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팬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로 상기 흡입공기를 불어넣어 상기 가습공기를 상기 스팀가이드로 토출시키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에 충분향 유량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inet assembly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on the inside, a discharge port disposed in the cabin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a suction port disposed in the cabin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and a suction port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A fan assembly that discharges the intake air suck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 steam generator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and generating humidified air by converting water stored therein into steam, coupl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generating the intake air. It may include a humidifying fan that supplies the steam generator. Since the humidifying fan blows the intake air into the steam generator and discharges the humidified air to the steam guide, a sufficient flow rate can be supplied into the steam generator.

상기 가습팬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결합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안내하는 가습팬하우징, 상기 가습팬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유동시키는 가습임펠러, 상기 가습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가습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humidifying fan is coupled to the steam generator, a humidifying fan housing that guides the sucked air to the steam generator, and a humidifying fan disposed in the humidifying fan housing and flowing the air inside the humidifying fan housing to the steam generator. It may include an impeller and a humidifying motor that rotates the humidifying impeller.

상기 가습팬하우징은 상기 흡입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는 상기 토출구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흡입공기 및 가습공기의 유로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Since the humidifying fan housing is disposed on the suction port side and the main steam guide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port side, the path length of the intake air and humidified air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가습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독립된 가습유로를 제공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서 토출된 스팀을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스팀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가이드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결합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가습공기를 제공받는 메인스팀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팬하우징 및 메인스팀가이드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공기는 상기 가습팬하우징을 통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습공기는 상기 메인스팀가이드를 통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에서 토출되기 때문에, 공기의 밀도차에 의해 흡입공기 및 스팀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am guid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to receive the humidified air, provide a humidifying passage independent from the internal space, and guide steam discharged from the steam generator to the discharge port. The steam guide may include a main steam guide that is coupl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receives humidified air from the steam generator. The humidifying fan housing and the main steam guide ar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team generator, the intake air fl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rough the humidifying fan housing and flows into the steam generator, and the humidifying air is connected to the main steam guide. Since it flows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rough and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steam generator, the flow resistance of the intake air and steam can be minimized due to the difference in air density.

상기 토출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형성된 제 1 토출구, 및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형성된 제 2 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가이드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결합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기 가습공기를 제공받는 메인스팀가이드; 상기 메인스팀가이드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를 통해 유동되는 가습공기 중 일부를 상기 제 1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 1 분지가이드, 상기 메인스팀가이드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를 통해 공급되는 가습공기 중 나머지를 상기 제 2 토출구로 안내하는 제 2 분지가이드, 상기 제 1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지가이드와 조립되고, 상기 제 1 분지가이드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 1 토출구에 토출시키는 제 1 디퓨저, 상기 제 2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분지가이드와 조립되고, 상기 제 2 분지가이드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 2 토출구에 토출시키는 제 2 디퓨저를 포함하기 때문에, 가습공기를 2개의 유로로 나눠어 각 토출구에서 토출시킬 수 있다. The outlet includes a first outlet formed in the cabinet assembly, and a second outlet formed in the cabinet assembly, and the steam guide is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ssembly, is coupl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is a part of the steam generator. A main steam guide that receives the humidified air; A first branch guide coupled to the main steam guide and guiding a portion of the humidified air flowing through the main steam guide to the first outlet, a humidifier coupled to the main steam guide and supplied through the main steam guide a second branch guide that guides the remainder of the air to the second outlet, is disposed in the first outlet, is assembled with the first branch guide, and directs humidified air supplied through the first branch guide to the first outlet. Because it includes a first diffuser for discharging, a second diffuser disposed at the second discharge port, assembled with the second branch guide, and discharging humidified ai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branch guide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Humidified air can be divided into two channels and discharged from each outlet.

상기 제 1 토출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좌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우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outlet may b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the second outlet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and the suction port may b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상기 메인스팀가이드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지가이드 및 제 2 분지가이드는 상기 메인스팀가이드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디퓨저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저는 상기 제 2 분지가이드의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높은 온도로 인해 상승되려는 가습공기의 상승기류를 이용하여 가습공기의 유동시키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main steam guide is disposed above the steam generator, the first branch guide and the second branch guide are disposed above the main steam guide, and the first diffuser is disposed above the first branch guide. , Since the second diffuser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branch guide, the energy for flowing the humidified air can be minimized by using the rising airflow of the humidified air that is about to rise due to the high temperature.

상기 제 1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에 의해 토출되는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제 1 사이드그릴, 및 상기 제 2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에 의해 토출되는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제 2 사이드그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퓨저는 상기 제 1 사이드그릴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저는 상기 제 2 사이드그릴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A first side grill disposed at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guiding the discharge air discharged by the fan assembly, and a second side grill disposed at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guiding the discharge air discharged by the fan assembly. It may further include, wherein the first diffuser may be disposed behind the first side grill, and the second diffuser may be disposed behind the second side grill.

상기 제 1 디퓨저는 상기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제 1 디퓨저아웃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퓨저는 상기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제 2 디퓨저아웃릿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디퓨저아웃릿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토출방향과 상기 제 1 사이드그릴에 배치된 베인의 경사방향이 교차되고,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토출방향과 상기 제 2 사이드그릴에 배치된 베인의 경사방향이 교차되기 때문에, 실내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가습공기 및 토출공기를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The first diffuser includes a first diffuser outlet through which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and the second diffuser includes a second diffuser outlet through which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and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ffuser outlet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and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vanes disposed in the first side grill intersect, 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iffuser outlet intersects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vanes disposed in the second side grill. Therefore, humidified air and discharged air can be effectively mixed in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indoors.

상기 제 1 디퓨저아웃릿은 전방에 배치된 상기 제 1 사이드그릴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은 전방에 배치된 상기 제 2 사이드그릴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diffuser outlet may be disposed toward the first side grill disposed at the front, and the second diffuser outlet may be disposed toward the second side grill disposed at the front.

상기 제 1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에 의해 토출되는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제 1 사이드그릴, 및 상기 제 2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팬어셈블리에 의해 토출되는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제 2 사이드그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퓨저는 상기 제 1 사이드그릴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저는 상기 제 2 사이드그릴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A first side grill disposed at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guiding the discharge air discharged by the fan assembly, and a second side grill disposed at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guiding the discharge air discharged by the fan assembly. It may further include, wherein the first diffuser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side grill, and the second diffuser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side grill.

상기 제 1 디퓨저는 상기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제 1 디퓨저아웃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퓨저는 상기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제 2 디퓨저아웃릿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디퓨저아웃릿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토출방향과 상기 제 1 사이드그릴에 배치된 베인의 경사방향이 교차되고,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토출방향과 상기 제 2 사이드그릴에 배치된 베인의 경사방향이 교차되기 때문에, 실내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가습공기 및 토출공기를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The first diffuser includes a first diffuser outlet through which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and the second diffuser includes a second diffuser outlet through which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and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ffuser outlet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and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vanes disposed in the first side grill intersect, 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iffuser outlet intersects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vanes disposed in the second side grill. Therefore, humidified air and discharged air can be effectively mixed in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indoors.

상기 제 1 디퓨저아웃릿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좌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사이드그릴에 배치된 베인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전방 좌측을 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우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사이드그릴에 배치된 베인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전방 우측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diffuser outlet is disposed toward the lef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the vane disposed on the first side grill is disposed toward the front lef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and the second diffuser outlet is disposed toward the righ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and the vane disposed on the second side grill may be disposed toward the front righ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상기 제 1 디퓨저아웃릿은 상기 제 1 토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은 상기 제 2 토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토출구의 전 영역에서 가습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Because the first diffuser outlet is arranged to extend longitudin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discharge opening, and the second diffuser outlet is arranged to extend longitudin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discharge opening. , Humidified air can be discharged from the entire area of the discharge port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제 1 디퓨저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과 결합되는 제 1 디퓨저인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퓨저인릿의 내경(P1)이 상기 분지가이드의 내경(P2) 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응축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가습공기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응축수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first diffuser includes a first diffuser inlet coupled to the first branch guide, and since the inner diameter (P1) of the first diffuser inlet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P2) of the branch guide, the surface of the condensate By using tension, friction with humidified air can be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noise caused by condensate.

상기 제 1 디퓨저인릿의 하단이 상기 제 1 분지가이드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디퓨저인릿의 하단 및 제 1 분지가이드의 내측면 사이에 단(GP)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단(GP)에서 응축수의 액적을 크게 형성시킬 수 있고, 거대화된 응축수의 자중을 통해 응축수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Since the lower end of the first diffuser inlet is inserted into the first branch guide, and a stage (G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diffuser inle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ranch guide, the stage (GP) Large droplets of condensate can be formed and the condensate can be quickly moved through the self-weight of the enlarged condens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내측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토출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흡입구, 상기 흡입구로 유동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여과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 및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결합되는 가습팬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팬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로 상기 여과공기를 불어넣는다.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assembly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on the inside, a discharge port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terior space, an intake port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terior space, A filter assembly that filters air flowing through the intake port, a fan assembly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and discharging the filtered air sucked in through the intake port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water stored therein. It includes a steam generator that generates humidified air by converting it into steam, and a humidifying fan coupl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the humidifying fan blows the filtered air into the steam generato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가습팬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humidifying fa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above the steam generato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부에 상기 가습팬과 연결되고, 상기 가습팬에서 공급된 상기 여과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흡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An air intake portion connected to the humidifying fan and into which the filtered air supplied from the humidifying fan flows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am generator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가습팬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결합되고, 상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안내하는 가습팬하우징, 상기 가습팬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유동시키는 가습임펠러, 및 상기 가습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가습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humidifying fa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team generator, a humidifying fan housing that guides the sucked air to the steam generator, and is disposed in the humidifying fan housing, the humidifying fan housing It may include a humidifying impeller that flows internal air to the steam generator, and a humidifying motor that rotates the humidifying impell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가습팬하우징은 상기 흡입구 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humidifying fan housing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on the inlet si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가습팬은 상측이 상기 필터어셈블리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에 제공하는 흡입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umidifying fa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duct whose upper side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lter assembly to provide the filtered air to the humidifying fan hous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캐비닛어셈블리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측에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가 배치되는 로어캐비닛, 상기 로어캐비닛 상측에 배치되고, 내측에 열교환어셈블리가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어퍼캐비닛, 및 상기 로어캐비닛과 상기 어퍼캐비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드레인팬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binet assembly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seated on the ground, a lower cabinet disposed above the base, inside which the steam generator is dispose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abinet, and located on the inside. A heat exchange assembly is disposed, and may include an upper cabinet in which the suction port is formed, and a drain pan disposed between the lower cabinet and the upper cabinet and supporting the heat exchange assemb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흡입덕트의 상단은 상기 어퍼캐비닛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덕트의 하단은 상기 로어캐비닛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suction duc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cated inside the upper cabinet, and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duct may be located inside the lower cabine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향해 개구된 제1 덕트 개구면이 형성된 제1 덕트부, 및 상기 드레인팬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고, 하단이 상기 가습팬하우징과 연결된 제2 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duc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has a first duct portion formed with a first duct opening surface opening toward the filter assembly, and operates the drain pa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may include a second duct portion whos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humidifying fan hous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가습팬하우징은 상기 흡입덕트와 결합되고, 제1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제1 가습팬하우징, 상기 제1 가습팬하우징과 결합되고, 제2 흡입공간을 형성하고, 내부에 가습임펠러가 배치되고, 상기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안내하는 제2 가습팬하우징, 및 상기 제2 가습팬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모터가 설치되는 모터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umidifying fan housing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suction duct, a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forming a first suction space, coupled to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and a second suction. It includes a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that forms a space, has a humidifying impeller disposed therein, and guides the filtered air to the steam generator, and a motor installation portion disposed in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and in which the humidifying motor is installed. can d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가습팬하우징은 상기 제1 흡입공간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습팬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하우징부, 상기 제1 흡입공간의 후방을 감싸면서 상기 제2 흡입공간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습팬하우징의 나머지 및 상기 제2 가습팬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하우징부, 및 상기 제2 흡입공간의 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모터설치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습팬하우징의 나머지를 구성하는 제3 하우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umidifying fan housing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surround the front of the first suction space, and includes a first housing portion constituting a part of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and the first suction space. A second housing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rear of the second suction space and the front of the second suction space, constituting the remainder of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and a part of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and the rear of the second suction space.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motor installation part, and may include a third housing part constituting the remainder of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기 가습임펠러는 중앙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일 수 있다.The humidifying impeller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air in the center and discharges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내측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토출구와 흡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흡입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가습공기 생성부, 및 상기 가습공기 생성부로부터 상기 토출구까지 연결되고, 상기 가습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스팀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가이드는 상기 가습공기 생성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공기 생성부로부터 상기 가습공기가 유입되는 분지가이드; 및 상기 분지가이드의 상부에서 상기 분지가이드와 조립되는 디퓨저를 포함하고, 상기 분지가이드와 상기 디퓨저의 연결부에서 상기 디퓨저의 내경은 상기 분지가이드의 내경보다 작다.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ternal space formed on the inside, a cabinet including a discharge port and a suction port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pace, and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supplies the intak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to the cabinet. A fan assembly that discharges the air into the room through an outlet, a humidified air generator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and converting water stored therein into steam to generate humidified air, and connected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to the outlet, It includes a steam guide that guides humidified air to the discharge port, wherein the steam guide is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humidified air generating unit, and a branch guide through which the humidified air flows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ing unit; and a diffuser assembled with the branch guide at an upper portion of the branch guide, wherein an inner diameter of the diffuser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ranch guide and the diffuser is small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branch guid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가습팬을 통해 스팀제너레이터 내부로 여과공기를 불어넣어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의 가습공기가 스팀가이드 측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에 충분향 유량을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팀 및 여과공기를 효과적으로 혼합시켜 가습공기를 생성시킬 수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blows filtered air into the steam generator through a humidifying fan and discharges the humidified air inside the steam generator to the steam guide, thereby supplying a sufficient flow rate inside the steam generator, thereby providing steam and filtration. By effectively mixing air, humidified air can be created.

둘째, 가습팬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흡입공기를 불어넣어 가습공기를 유동시키기 때문에, 스팀가이드의 독립된 유로가 길게 형성되더라도 토출구까지 가습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Second, because the humidifying fan blows intake air into the steam generator to flow humidified air, humidified air can flow to the discharge port even if the independent passage of the steam guide is formed long.

셋째, 생성된 가습공기가 스팀가이드를 통해 토출구까지 독립된 유로로 유동된 후, 토출구에서 토출되기 때문에, 가습공기가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습공기로 인해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에 응축수가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ird, since the generated humidified air flows through an independent flow path through the steam guide to the discharge port and is then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it prevents the humidified air from spreading inside the cabinet assembly and prevents condensation from forming inside the cabinet assembly due to the humidified air. can be prevented.

넷째,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에 여과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독립된 유로구조가 배치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Fourth, since an independent flow path structure that can provide filtered air to the steam generator is arranged, contamination inside the steam generator can be minimized.

다섯째, 스팀제너레이터에서 생성된 가습공기가 실내에 토출되기 전까지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공간과 분리된 독립된 유로의 스팀가이드를 통해 토출구까지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내부공간에 가습공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ifth, since the humidified air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is moved to the discharge port through a steam guide in an independent flow path separate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cabinet assembly before being discharged into the room, the humidified air can be prevented from spreading into the internal space. .

여섯째, 상기 가습팬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흡입구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여과공기를 공급받는 유로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Sixth, because the humidifying fan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am generator and the supply inle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am generator, the length of the flow path through which filtered air is supplied can be minimized.

일곱째, 상기 스팀가이드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토출부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열된 스팀 및 가습공기가 공기의 밀도차에 의해 상기 스팀토출구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Seventh, because the steam guide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am generator and the steam discharge por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am generator, heated steam and humidified air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ort due to the density difference between the air. You can.

여덟째, 스팀토출구가 상측을 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가습공기의 유동과정에서 응축수가 생성되더라도 응축수의 자중에 의해 상기 스팀토출구로 다시 회수될 수 있다. Eighth, since the steam outlet is disposed to face upward, even if condensate is generated during the flow of humidified air, the condensate can be returned to the steam outlet by its own weight.

아홉째, 상기 가습팬하우징 및 메인스팀가이드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공기의 밀도차에 의해 흡입공기 및 스팀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Ninth, because the humidifying fan housing and the main steam guide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low resistance of intake air and steam can be minimized due to the difference in air density.

열번째, 상기 가습팬하우징은 상기 흡입구 측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는 상기 토출구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흡입공기 및 가습공기의 유로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Tenth, because the humidifying fan housing is disposed on the suction port side and the main steam guide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port side, the path length of the intake air and humidified air can be minimized.

열한번째, 상기 메인스팀가이드, 분지가이드 및 디퓨저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높은 온도로 인해 상승되려는 가습공기의 상승기류를 이용하여 가습공기의 유동시키는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Eleventh, because the main steam guide, branch guide, and diffuser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nergy that causes the humidified air to flow can be minimized by using the rising airflow of the humidified air that is about to rise due to the high temperature.

열두번째, 상기 제 1 디퓨저아웃릿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토출방향과 상기 제 1 사이드그릴에 배치된 베인의 경사방향이 교차되고,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토출방향과 상기 제 2 사이드그릴에 배치된 베인의 경사방향이 교차되기 때문에, 실내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가습공기 및 토출공기를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Twelfth, the discharge direction of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ffuser outlet intersects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vane disposed on the first side grill, 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iffuser outlet and the Because the inclination directions of the vanes arranged in the second side grill are crossed, the humidified air and the discharged air can be effectively mixed in the process of being discharged into the room.

열세번째, 상기 제 1 디퓨저인릿의 내경(P1)이 상기 분지가이드의 내경(P2) 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응축수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가습공기와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응축수로 인한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irteenth, since the inner diameter (P1) of the first diffuser inlet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P2) of the branch guide, friction with humidified air is minimized by using the surface tension of condensate, and through this, the friction caused by condensate is minimized. Noise can be minimized.

열네번째, 상기 제 1 디퓨저인릿의 하단이 상기 제 1 분지가이드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디퓨저인릿의 하단 및 제 1 분지가이드의 내측면 사이에 단(GP)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단(GP)에서 응축수의 액적을 크게 형성시킬 수 있고, 거대화된 응축수의 자중을 통해 응축수를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Fourteenth, because the lower end of the first diffuser inlet is inserted into the first branch guide, and a stage (G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diffuser inle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ranch guide, the stage In (GP), large droplets of condensate can be formed, and the condensate can be quickly moved through the self-weight of the enlarged condensat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5에 도시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가 로어캐비닛에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의 후방 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로어캐비닛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가습팬의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디퓨저 한쌍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디퓨저 한쌍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디퓨저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디퓨저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디퓨저아웃릿 주변구조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에서의 공기 스트림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디퓨저하우징의 디퓨저아웃릿 상측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1에 도시된 디퓨저하우징의 디퓨저아웃릿 하측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정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6에 도시된 스팀제너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운전 시 유동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스팀살균 운전 시 유동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가 도시된 실내기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평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디퓨저 및 사이드그릴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assembly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with the door assembly in Figure 1 removed.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nd water tank shown in Figure 5 assembled in the lower cabinet.
Figure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ower cabinet shown in Figure 3.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nd water tank shown in Figure 7.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Figure 8.
Figure 10 is a partially cut cross-sectional view of the humidifying fan shown in Figure 6.
Figure 11 is a front view of the pair of diffusers shown in Figure 6.
Figure 12 is a rear view of the pair of diffusers shown in Figure 6.
Figure 13 is an exemplary installation diagram of the diffuser shown in Figure 6.
Figure 14 is an enlarged view of the diffuser of Figure 13.
Figure 15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ructure surrounding the diffuser outlet shown in Figure 14.
Figure 1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air stream in a diffu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ide of the diffuser outlet of the diffuser housing shown in Figure 11.
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side of the diffuser outlet of the diffuser housing shown in Figure 11.
Figure 19 is a plan view showing a drainag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assembly shown in Figure 19.
Figure 21 is a right side view of the drainage assembly shown in Figure 19.
Figure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generator shown in Figure 6.
Figure 2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flow during humidifying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flow during steam sterilization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5 is a front view of an indoor unit showing a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6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5.
Figure 2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diffuser and side grill shown in Figure 26.
Figure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assembly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with the door assembly in Figure 1 removed.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not shown) that i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through a refrigerant pipe and circulates refrigerant.

상기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응축시키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실외팬(미도시)과, 상기 실내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공급받은 후 기체 냉매만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outdoor unit includes a compressor (not shown) that compresses refrigerant, an out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that receives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and condenses it, an outdoor fan (not shown) that supplies air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indoor unit. It includes an accumulator (not shown) that receives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and then provides only gaseous refrigerant to the compressor.

상기 실외기는 실내기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방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에서는 냉매가 증발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시킨다. 난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에서는 냉매가 응축되어 실내 공기를 가열시킨다. The outdo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four-way valve (not shown) to operate the indoor unit in a cooling mode or a heating mode. When operated in cooling mode, refrigerant evaporates in the indoor unit to cool the indoor air. When operated in heating mode, refrigerant condenses in the indoor unit and heats the indoor air.

<<실내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indoor unit>>

상기 실내기는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흡입구(101)가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300)(400)와, 상기 팬어셈블리(300)(400) 및 캐비닛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어셈블리(5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실내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어셈블리(20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600)와,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포집하는 무빙클리너(700)를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includes a cabinet assembly 100 having a front opening and an intake port 101 formed at the rear, the indoor unit is assembled to the cabinet assembly 100, covers the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includes the cabinet assembly 100. ) a door assembly (200)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a fan assembly (300) (400)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S)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discharging air in the interior space (S) into the room. and a heat exchange assembly 500,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fan assembly 300 and 400 and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exchanges heat between the sucked indoor air and the refrigerant, and is disposed on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is located indoors. A humidifying assembly (2000) that provides moisture, a filter assembly (600) disposed on the back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filtering the air flowing through the intake port (101), and a filter assembly (600) along the filter assembly (600). I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moving cleaner 700 that separates and collects foreign substances in the filter assembly 600.

상기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배면에 배치된 흡입구(101)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면에 배치된 제 1 토출구(301) 및 제 2 토출구(302)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정면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includes an intake port 101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 first discharge port 301 and a second discharge port 302 disposed on a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the cabinet. It includes a front discharge port 201 disposed in front of the assembly 100.

상기 흡입구(101)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된다.The suction port 101 is disposed on the rear of the cabinet assembly 100.

상기 제 1 토출구(301) 및 제 2 토출구(302)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캐빗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된 제 1 토출구를 제 1 측면토출구(301)로 정의하고, 우측에 배치된 제 2 토출구를 제 2 측면토출구(302)로 정의한다. The first outlet 301 and the second outlet 302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et assembly 100,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100, the first discharge port disposed on the left is defined as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301,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 disposed on the right is defined as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 302. define.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더 포함한다. The front outlet 201 is disposed in the door assembly 200, and the door assembly 200 further includes a door cover assembly 1200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front outlet 201.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시킨 후,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도어어셈블리(2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The door cover assembly 1200 may be moved downward along the door assembly 200 after opening the front outlet 201. The door cover assembly 1200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oor assembly 200.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측으로 이동된 후,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After the door cover assembly 1200 is moved downward, the remote fan assembly 400 may move forward through the door assembly 200.

상기 팬어셈블리(300)(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구성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후방에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The fan assemblies 300 and 400 are composed of a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and a long-distance fan assembly 400.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is disposed behind the near fan assembly 300 and the far fan assembly 400.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의 안쪽에 위치되며,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고,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is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is located inside the inlet 101.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covers the inlet 101 and is arranged vertically.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방에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후,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유동된다. The near fan assembly 300 and the far fan assembly 400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The ai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101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and then flows to the near fan assembly 300 and the far fan assembly 400.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is manufactur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near fan assembly 300 and the far fan assembly 400.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상측에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를 상측에 위치시켜 토출공기를 실내의 먼 곳까지 유동시킬 수 있다. The near fan assembly 300 and the far fan assembly 400 may b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long-distance fan assembly 400 is disposed above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By placing the remote fan assembly 400 at the top, discharge air can flow to a distant part of the room.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및 우측으로 동시에 공기를 토출한다.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discharges air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binet assembly 100.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can provide indirect wind to the user.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simultaneously discharges air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et assembly 100.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다. The far fan assembly 400 is located above the near fan assembly 300 and is placed on the inside upper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300)는 실내 공간의 먼 곳으로 공기를 토출시켜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킨다. The remote fan assembly 400 discharges air in a fo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binet assembly 100. The remote fan assembly 300 provides direct wind to the user. In addition, the remote fan assembly 300 improves indoor air circulation by discharging air to a distant part of the indoor spac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작동시에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될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은닉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exposed to the user only when operating. When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operated, the remote fan assembly 400 penetrates the door assembly 200 and is exposed to the user. When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not operated,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hidden inside the cabinet assembly 100.

특히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remote fan assembly 400 can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The remote fan assembly 400 may discharge air in an upper, lower, left, right, or diagonal direction relative to the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100.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위치되고, 사익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조립된다. The door assembly 200 is located in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is assembled with the private cabinet assembly 100.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캐비닛어셈블리(2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200)의 전면 중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The door assembly 200 can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abinet assembly 200, and a portion of the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20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부공간(S)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부공간(S) 중 일부만을 개방시킬 수 있다.The door assembly 200 can be moved in either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o open the internal space (S). Additionally, the door assembly 200 may be moved in either the left or right direction to open only a portion of the internal space (S).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개폐는 2단계로 구성된다. In this embodiment,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ssembly 200 consists of two steps.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폐는 일부만 열리는 것으로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의 물공급을 위한 것이고,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의 물탱크(2100)가 노출될 정도의 면적만을 노출시킨다. The first stag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ssembly 200 is only partially opened, and is for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exposing only an area large enough to expose the water tank 2100 of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2단 개폐는 최대로 열리는 것으로서, 설치 및 수리를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2단 개폐를 제한하는 도어스토퍼구조를 포함한다. The two-stag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ssembly 200 is opened to the maximum and is for installation and repair. To this end, the door assembly 200 includes a door stopper structure that limits the two-stage opening and closing.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후면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부로 회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부로 이동된 필터어셈블리(600)에서 필터만을 분리할 수 있다.The filter assembly 60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abinet assembly 100. The filter assembly 600 may be rotated to the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while being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abinet assembly 100 . The user can separate only the filter from the filter assembly 600 that has been moved to the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각각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lter assembly 600 is composed of two parts, and each can be rotated to the left or right.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이동하면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에 붙은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이물질은 내부에 저장된다. The moving cleaner 700 is a device for cleaning the filter assembly 600. The moving cleaner 700 can clean the filter assembly 600 while moving up and down. The moving cleaner 700 can separat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filter assembly 600 by sucking air while moving, and the separated foreign substances are stored inside.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의 회동 시 간접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moving cleaner 700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does not cause indirection when the filter assembly 600 rotates.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으로 수분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분은 상기 근거리팬어셈블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분리가능한 물탱크(2100)를 포함한다. The humidifying assembly 2000 provides moisture to the internal space S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the provided moisture can be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includes a detachable water tank 21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 공간과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 공간은 구획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ying assembly 2000 is dispos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The space where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is placed and the space where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is placed are divided.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해 여과된 공기 및 살균된 스팀을 사용해서 가습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세균 또는 곰팡이와 같은 유해물질이 물탱크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performs humidification using ai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and sterilized steam, thereby prevent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bacteria or mold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water tank.

<<캐비닛어셈블리의 구성>><<Composition of cabinet assembly>>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30)와, 상기 베이스(130)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121), 상측면(125) 및 하측면(126)이 개구되고, 좌측면(123) 우측면(124) 및 배면(122)이 폐쇄된 로어캐비닛(120)과, 상기 로어캐비닛(120) 상측에 배치되고, 흡입구(101)가 형성된 배면(116), 전면(111) 및 하측면(116)이 개구되고, 좌측면(113), 우측면(114) 및 상측면(115)이 폐쇄된 어퍼캐비닛(110)을 포함한다. The cabinet assembly 100 includes a base 130 that is seated on the groun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30, has a front 121, upper side 125, and lower side 126 that are open, and a left side ( 123) A lower cabinet 120 with a closed right side 124 and a rear side 122, and a rear 116, front 111, and lower sid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abinet 120 and having an inlet 101. It includes an upper cabinet 110 whose opening (116) is open and whose left side 113, right side 114, and upper side 115 are closed.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내부를 제 1 내부공간(S1)으로 정의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내부를 제 2 내부공간(S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내부공간(S1) 및 제 2 내부공간(S2)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을 구성한다. The interior of the upper cabinet 110 is defined as a first interior space (S1), and the interior of the lower cabinet 120 is defined as a second interior space (S2). The first internal space (S1) and the second internal space (S2) constitute the internal space (S) of the cabinet assembly (100).

상기 어퍼캐비닛(110) 내측에 근거리팬 어셈블리(300), 원거리팬 어셈블리(400) 및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A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a long-distance fan assembly 400, and a heat exchange assembly 500 are disposed inside the upper cabinet 110.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측에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다. A humidifying assembly 2000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cabinet 120.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 사이에 열교환어셈블리(500)를 지지하는 드레인팬(14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팬(140)은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하측면(116) 중 일부를 폐쇄한다. A drain pan 140 supporting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binet 110 and the lower cabinet 120. In this embodiment, the drain pan 140 closes a portion of the lower side 116 of the upper cabinet 110.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조립 시,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저면(116)은 가습어셈블리(2000) 및 드레인팬(140)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공기는 로어캐비닛(120) 측으로 유동이 차단된다. When assembling the cabinet assembly 100, the bottom surface 116 of the upper cabinet 110 is shielded by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and the drain pan 140, and the air inside the upper cabinet 110 is discharged into the lower cabinet ( Flow is blocked to the 120) side.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도어어셈블리(200)가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A door assembly 2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the door assembly 200 can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abinet assembly 100.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이동 시,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When the door assembly 200 is moved, a portion of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측 가장자리에 사이드그릴(150)이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그릴(150)은 도어어셈블리(200)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A side grill 150 is disposed at the front edge of the upper cabinet 110. The side grill 150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door assembly 200.

상기 사이드그릴(150)은 상기 어퍼캐비닛(11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그릴(150)은 사출성형을 통해 별도로 제작된 후, 어퍼캐비닛(110)에 조립된다. The side grill 150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upper cabinet 110. In this embodiment, the side grill 150 is manufactured separately through injection molding and then assembled into the upper cabinet 110.

상기 좌측면(113) 전방에 배치된 토출그릴을 좌측 사이드그릴(151)로 정의하고, 우측면(114) 전방에 배치된 토출그릴을 우측 사이드그릴(152)로 정의한다. The discharge grill disposed in front of the left side 113 is defined as the left side grill 151, and the discharge grill disposed in front of the right side 114 is defined as the right side grill 152.

탑뷰로 볼 때,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좌측 사이드그릴(151) 및 우측 사이드그릴(152)은 좌우 대칭이다.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left side grill 151 and the right side grill 152 are left and righ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1.

상기 좌측 사이드그릴(151) 및 우측 사이드그릴(152)에 각각 측면토출구(301)(302)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좌측 사이드그릴(151) 및 우측 사이드그릴(152)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are formed in the left side grill 151 and the right side grill 152, respectively.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are formed through the left side grille 151 and the right side grille 152, respectively.

상기 각 사이드그릴(151)(152)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베인(155)이 배치된다. 상기 각 베인(155)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Each of the side grills 151 and 152 has a plurality of vanes 155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Each of the vanes 155 is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복수개의 상기 베인(155)들은 전후 방향에 대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각 베인(155)들은 베인간격(BG)을 형성한다. The plurality of vanes 155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front-back direction. Each of the vanes 155 forms a vane gap (B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의 전방에 커버(160)가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가 도어어셈블리(200)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In this embodiment, a cover 16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pper cabinet 110 and the lower cabinet 120, and blocks the air inside the cabinet 100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door assembly 200.

도어어셈블리(200)에 차가운 공기가 직접 접촉되는 경우,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고, 도어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전기회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When cold air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door assembly 200, dew may form and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electric circuit constituting the door assembly 200.

그래서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의 전방에 커버(160)를 배치하고 커버(160)를 통해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는 정면토출구(201) 또는 측면토출구(301)(302)로만 유동되게 할 수 있다. Therefore, a cover 160 is placed in front of the upper cabinet 110 and the lower cabinet 120, and the air inside the cabinet 100 is discharged through the cover 160 through the front outlet 201 or the side outlet 301 (302). ) can only be made to float.

상기 커버(160)는,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어퍼커버(162)와,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을 커버하는 로어커버(164)와,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전면을 커버하는 원거리팬커버(166)를 포함한다.The cover 160 includes an upper cover 162 that covers the front of the upper cabinet 110, a lower cover 164 that covers the front of the lower cabinet 120, and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t includes a remote fan cover 166 that covers the front of the.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상기 어퍼커버(162)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거리팬커버(166) 및 어퍼커버(162)를 별도로 제작된 후 조립된다.The remote fan cover 166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upper cover 162. 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fan cover 166 and the upper cover 162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assembled.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원거리팬어셈블리(400)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어퍼커버(162)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커버(166) 및 어퍼커버(162)의 전면은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The remote fan cover 166 is located in front of the remote fan assembly 400 and above the upper cover 162. The front surfaces of the remote fan cover 166 and the upper cover 162 form a continuous plane.

상기 원거리팬커버(166)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팬커버토출구(161)가 형성된다. 상기 팬커버토출구(161)는 정면토출구(201)와 연통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토출그릴(450)은 상기 팬커버토출구(161) 및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하여 도어어셈블리(200)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remote fan cover 166 is formed with a fan cover discharge port 161 that opens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fan cover outlet 161 communicates with the front outlet 201 and is located behind the front outlet 201. The discharge grill 450 of the remote fan assembly 400 may be moved to the front of the door assembly 200 through the fan cover discharge port 161 and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상기 팬커버토출구(161) 전방에 도어어셈블리(200)가 배치되고, 후술하는 패널토출구(1101)의 후방에 상기 팬커버토출구(161)가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전방 이동 시, 상기 토출그릴(450)은 팬커버토출구(161),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를 순서대로 통과한다.The door assembly 2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an cover outlet 161, and the fan cover outlet 161 is located behind the panel outlet 110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remote fan assembly 400 moves forward, the discharge grill 450 passes through the fan cover discharge port 161, the panel discharge port 1101, and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in that order.

즉, 상기 정면토출구(201) 후방에 상기 패널토출구(1101)가 위치되고, 상기 패널토출구(1101) 후방에 상기 팬커버토출구(161)가 위치된다. That is, the panel outlet 1101 is located behind the front outlet 201, and the fan cover outlet 161 is located behind the panel outlet 1101.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어퍼커버(162)는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하측에 결합된다. The remote fan cover 166 is coupled to the front upper side of the upper cabinet 110, and the upper cover 162 is coupled to the front lower side of the upper cabinet 110.

상기 로어커버(164)는 어퍼커버(16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 또는 가습어셈블리(2000)에 조립될 수 있다. 조립 후, 상기 로어커버(164) 및 어퍼커버(162)의 전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The lower cover 164 is located below the upper cover 162 and can be assembled to the lower cabinet 120 or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After assembly, the front surfaces of the lower cover 164 and upper cover 162 form a continuous surface.

상기 로어커버(164)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물탱크개구부(167)가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개구부(167)를 통해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 또는 장착될 수 있다. The lower cover 164 is formed with a water tank opening 167 that opens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water tank 2100 can be separated or installed through the water tank opening 167.

상기 로어커버(164)는 드레인팬(140)의 전방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로어캐비닛(120) 전면 전체를 커버하지 않아도 어퍼캐비닛(110) 내부 공기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로어캐비닛(120) 전면 전체를 커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The lower cover 164 is located on the front lower side of the drain pan 140. Since leakage of air inside the upper cabinet 110 does not occur even if the entire front of the lower cabinet 120 is not covered, there is no need to cover the entire front of the lower cabinet 120.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의 수리, 서비스 및 교체를 위해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 일부는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 중 일부는 상기 로어커버(164)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개방면(169)이 형성된다. It is preferable that a portion of the front of the lower cabinet 120 be opened for repair, service, and replacement of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In this embodiment, a portion of the front of the lower cabinet 120 is formed as an open surface 169 that is not shielded by the lower cover 164.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방 시, 물통개구부(167)가 형성된 상기 로어커버(164)만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2단 개방 시, 상기 개방면(169)도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When the door assembly 200 is opened in the first stage, only the lower cover 164 with the water bottle opening 167 is exposed to the user, and when the door assembly 200 is opened in the second stage, the opening surface 169 is also exposed to the user.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작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물탱크개구부(167) 전체를 노출시킨 상태를 1단 개방으로 정의하고, 상기 개방면(169)를 노출시킨 상태를 2단 개방으로 정의한다. The door assembly 200 is slidably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operation of the door slide module 1300. The state in which the entire water tank opening 167 is exposed by the slide movement of the door assembly 200 is defined as first-stage opening, and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 surface 169 is exposed is defined as second-stage opening.

상기 1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1 개방면(OP1)으로 정의하고, 상기 2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2 개방면(OP2)로 정의한다. The exposed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when the first stage is opened is defined as the first open surface (OP1), and the exposed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when the second stage is opened is defined as the second open surface (OP2).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Configuration of short-distance fan assembly>>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한다.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is configured to discharge air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binet assembly 100.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provides indirect wind to the user.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복수개의 팬(310)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310) 3개가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is installed with a plurality of fans 310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ree fans 310 are provided and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310)은 사류형 원심팬이 사용된다. 상기 팬(31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fan 310 is a diagonal flow centrifugal fan. The fan 310 sucks air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팬(310)은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 및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팬(310)은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되, 전방을 향해 지향성을 갖는 기류를 토출한다. The fan 310 sucks air from the rear and then discharges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forward. The fan 310 discharges ai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discharges an airflow with directionality toward the front.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결합되는 팬케이싱(320)과, 상기 팬케이싱(320)에 결합되고, 상기 팬케이싱(320)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팬(310)과, 상기 팬케이싱(320)에 결합되고 상기 팬(310)에 토출된 공기를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팬가이드(330)를 포함한다.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is formed with openings at the front and rear, and includes a fan casing 320 coupled to the cabinet assembly 100, coupled to the fan casing 320, and inside the fan casing 320. It includes a plurality of fans 310 arranged in the fan casing 320 and a fan guide 330 that gui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an 310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binet assembly 100. do.

상기 팬케이싱(320)은 정면 및 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결합된다. The fan casing 320 is manufactured in a box shape with the front and rear sides open. The fan casing 320 is coupled to the cabinet assembly 100.

상기 팬케이싱(320)의 정면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후면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The front of the fan casing 320 is disposed to face the door assembly 200. The rear of the fan casing 320 is disposed to face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상기 팬케이싱(320)의 정면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밀착되어 폐쇄된다. The front of the fan casing 320 is clos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door assembly 2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케이싱(320)의 측면 일부는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외부로 노출된 상기 팬케이싱(320)에 측면토출구(301)(302)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302)에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사이드그릴(151)(152)이 배치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팬케이싱(3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pan casing 320 is exposed to the outsid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are formed in the fan casing 320 exposed to the outside. Side grilles 151 and 152 that can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are disposed at the side discharge openings 301 and 302.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n casing 320, respectively.

상기 팬(310)은 상기 팬케이싱(320) 내부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상기 팬(310)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에 대하여 일렬로 적층된다. The fan 310 is disposed inside the fan casing 320. The plurality of fans 310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and stacked in a row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팬(310)은 원심팬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팬케이싱(320)의 후면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Since the fan 310 is a centrifugal fan, it sucks in air from the rear of the fan casing 320 and then discharges the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팬가이드(330)는 상기 팬(310)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한다. 상기 팬(310)은 원심팬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측 및 하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팬가이드(330)에 의해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된다. The fan guide 330 gui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an 310 to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Since the fan 310 is a centrifugal fan, the air discharg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is guided to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by the fan guide 330.

<팬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fan>

팬(310)은, 중심에 회전축(313)이 결합되는 허브(312)와, 허브(312)와 이격하여 배치되며 중앙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311)가 형성되는 쉬라우드(314)와, 허브(312)와 쉬라우드(314)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316)를 포함한다.The fan 310 includes a hub 312 to which a rotating shaft 313 is coupled at the center, a shroud 314 that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hub 312 and has an intake port 311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the center, It includes a plurality of blades 316 disposed between the hub 312 and the shroud 314.

블레이드(316)는 허브(312)와 쉬라우드(314) 사이에 복수로 구비된다. 블레이드(316)의 전단은 허브(312)의 후면과 결합되고, 후단은 쉬라우드(314)의 전면과 결합된다. 복수의 블레이드(316)는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블레이드(316)의 단면은 에어포일(airfoil)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blades 316 are provided between the hub 312 and the shroud 314. The front end of the blade 316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hub 312, and the rear end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hroud 314. The plurality of blades 316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blade 316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n airfoil.

블레이드(316)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측단을 앞전(leading edge, 316a)이하며 공기가 유출되는 측단을 뒷전(trailing edge, 316b)이라 한다.The side edge of the blade 316 through which air flows is called the leading edge (316a), and the side edge through which air flows out is called the trailing edge (316b).

블레이드(316)는 토출되는 공기가 반경방향에서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뒷전(316b)이 전후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블레이드(316)는 토출되는 공기가 반경방향에서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앞전(316a)이 뒷전(316b-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blade 316 has a trailing edge 316b inclined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so that the discharged air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in the radial direction. The blade 316 may have a leading edge 316a shorter than the trailing edge 316b-2 so that the discharged air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in the radial direction.

허브(312)는 중심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돌출되는 원뿔 형태로 형성된다. 허브(312)의 전방에 모터커버(318)의 후방이 삽입되고, 팬모터(340)의 적어도 일부가 허브(312)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팬모터(340) 및 팬(310)이 차지하는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hub 312 is formed in a cone shape that protrudes downward toward the center. The rear of the motor cover 318 is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hub 312,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an motor 340 is disposed inside the hub 312. Through this structure, the front-to-back thickness occupied by the fan motor 340 and the fan 310 can be minimized.

허브(312)의 중심에는 허브(312)의 상측에 배치되는 팬모터(340)의 회전축(313)이 결합된다. 허브(312)는 쉬라우드(314)의 전방측에 위치되고, 상기 허브(312) 및 쉬라우드(314)는 이격된다. 허브(312)의 배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316)가 결합된다.The rotation axis 313 of the fan motor 34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ub 312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hub 312. The hub 312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hroud 314, and the hub 312 and shroud 314 are spaced apart. A plurality of blades 316 ar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ub 312.

탑뷰로 볼 때, 상기 회전축(313)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우 중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뷰로 볼때, 상기 회전축(313)은 정면토출구의 중심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축(C1)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rotation axis 313 is preferably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et assembly 100.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rotation axis 313 may be arranged on a central axis C1 tha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ront discharge po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허브(312)는 외주단이 흡입구(311)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형성된다. 허브(312)의 외주단은 허브(312)의 전단 둘레를 의미한다. 허브(31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A)은 좌우방향으로부터 약 45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가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토출되도록 허브(312)의 외주단은 전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hub 312 is formed so that its outer peripheral end is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intake port 311.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hub 312 refers to the front edge circumference of the hub 312. The direction A toward which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hub 312 faces is preferably approximately 45 degrees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hub 312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so that the air is discharged at an angle toward the front.

허브(312)는 평단면이 중앙부로부터 허브(312)의 외주단까지 흡입구(311)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직선(Ah)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허브(312)는 종단면이 복수의 블레이드(316) 각각의 앞전(316a)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외주단까지 경사진 직선(Ah) 형태로 형성된다. 허브(312)는 중앙부으로부터 외주단까지 직경이 일정하게 커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허브(312)는 복수의 블레이드(316) 각각의 앞전(316a)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외주단까지 직경이 일정하게 커지도록 형성된다.The hub 312 is formed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Ah) whose flat cross-section is incl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suction port 311 from the central part to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hub 312. Preferably, the hub 312 is formed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Ah) whose longitudinal cross-section is inclined from the portion where the leading edge 316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316 is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end. The hub 312 is formed to have a uniformly large diameter from the central part to the outer peripheral end. Preferably, the hub 312 is formed to have a uniformly large diameter from the portion where the leading edge 316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316 is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end.

쉬라우드(314)는 중앙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원형의 흡입구(311)가 형성된 사발(bowl) 형태로 형성된다. 쉬라우드(314)의 흡입구(311)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흡입구(101)를 향하게 배치된다. The shroud 314 is formed in a bowl shape with a circular intake port 311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the center. The inlet 311 of the shroud 314 is disposed to face the inlet 101 of the cabinet assembly 100.

즉, 팬케이싱(320)의 유입구(322)는 쉬라우드(314)의 흡입구(311)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흡입구(311)의 직경은 팬케이싱(320)의 유입구(322)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쉬라우드(314)는 흡입구(311)의 둘레 부분에 후방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흡입가이드(314a)가 형성된다.That is, the inlet 322 of the fan casing 320 i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311 of the shroud 314. The diameter of the inlet 311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let 322 of the fan casing 320. The shroud 314 is formed with a suction guide 314a that protrudes vertically toward the rear around the suction port 311.

쉬라우드(314)는 허브(312)의 후방측에 이격하여 배치된다. 쉬라우드(314)의 전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316)가 결합된다.The shroud 314 is disposed at a distance from the rear of the hub 312. A plurality of blades 316 ar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hroud 314.

쉬라우드(314)는 외주단이 흡입구(311)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형성된다. 쉬라우드(314)의 외주단은 쉬라우드(314)의 전단 둘레를 의미한다. 쉬라우드(314)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Sh)은 수평방향으로부터 약 45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토출되도록 쉬라우드(314)의 외주단은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쉬라우드(314)는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이 허브(31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shroud 314 is formed so that its outer peripheral end is angl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intake port 311. The outer edge of the shroud 314 refers to the perimeter of the front end of the shroud 314. The direction Sh toward which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shroud 314 faces is preferably approximately 45 degrees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shroud 314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so that air is discharged at an angle forwar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shroud 314 faces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hub 312 faces.

쉬라우드(314)는 종단면이 흡입가이드(314a)의 상단으로부터 쉬라우드(314)의 외주단까지 흡입구(311)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직선(Ch)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쉬라우드(314)는 종단면이 복수의 블레이드(316) 각각의 앞전(24b-1)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외주단까지 경사진 직선(Ch) 형태로 형성된다. 쉬라우드(314)는 흡입가이드(314a)의 상단으로부터 외주단까지 직경이 일정하게 커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쉬라우드(314)는 복수의 블레이드(316) 각각의 앞전(24b-1)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외주단까지 직경이 일정하게 커지도록 형성된다.The shroud 314 is formed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Ch) whose longitudinal cross-section is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of the suction port 311 from the top of the suction guide 314a to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shroud 314. Preferably, the shroud 314 is formed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Ch) whose longitudinal cross-section is inclined from the portion where the leading edge 24b-1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316 is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end. The shroud 314 is formed to have a uniformly large diameter from the top of the suction guide 314a to the outer peripheral end. Preferably, the shroud 314 is formed to have a uniformly large diameter from the portion where the leading edge 24b-1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lades 316 is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end.

쉬라우드(314)는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Sh)이 허브(31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A)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쉬라우드(314)의 종단면의 경사진 직선(Ch) 부분과 허브(312)의 종단면의 경사진 직선(Ah) 부분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irection (Sh)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shroud 314 faces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direction (A)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hub 312 faces.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straight line (Ch) portion of the longitudinal cross section of the shroud 314 and the inclined straight line (Ah) portion of the longitudinal cross section of the hub 312 are substantially parallel.

본 실시예에서는 쉬라우드(314) 및 허브(312) 사이의 간격이 외주단으로 갈수록 조금씩 넓어지게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gap between the shroud 314 and the hub 312 gradually widens toward the outer peripheral end.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Configuration of remote fan assembly>>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configured to discharge air forward to the cabinet assembly 100. The remote fan assembly 400 provides direct wind to the user.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상측에 적층된다.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The far-distance fan assembly 400 is stacked on top of the near-distance fan assembly 300.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형성된 정면토출구(201)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실내공간의 먼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emote fan assembly 400 discharges air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formed in the door assembly 200. The remote fan assembly 400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up, down, left, right, or diagonally. The remote fan assembly 400 can improve circulation of indoor air by discharging air to the far side of the indoor space.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토출그릴(450)을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에 대해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및 대각선 등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상대회전시키는 틸팅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The remote fan assembly 400 further includes a tilting assembly that freely rotates the discharge grill 450 relative to the fan housing assembly in all directions, such as upper, lower, left, right, and diagonal.

<<<도어어셈블리의 구성>>><<<Configuration of door assembly>>>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가 형성된 프론트패널(210)과,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와 연통되는 패널토출구(1101)가 형성된 패널모듈(1100)과, 상기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를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와, 상기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을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슬라이드모듈(1300)과, 상기 패널모듈(1100) 상측에 배치되고, 실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1900)과, 상단이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패널모듈 어셈블리(110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납되는 케이블가이드(1800)를 포함한다. The door assembly 200 is coupled to the back of the front panel 210 and a front panel 210 having a front discharge port 201, and a panel discharge port 1101 communicating with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is formed. A panel module 1100, a door cover assembly 1200 disposed on the panel module 1100 and opening and closing the panel outlet 1101 and the front outlet 201, and a door cover assembly 1200 disposed on the panel module 1100, A door slide module 1300 that moves the panel module 1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abinet assembly 100, a camera module 190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nel module 1100 and taking images of the interior, and , the upper end is assembled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door cover assembly (1200), the lower end is assembled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panel module assembly (1100), and the cable connected to the door cover assembly (1200) is stored. Includes guide (1800).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door assembly 200 can be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lative to the cabinet assembly.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프론트패널(210)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패널토출구(1101)는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다.The front discharge port 201 is disposed on the front panel 210 and opens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panel discharge port 1101 is disposed in the panel module 1100 and opens in the front-back direction.

정면토출구(201) 및 패널토출구(1101)의 면적 및 형상은 동일하다. 정면토출구(201)가 패널토출구(1101)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The area and shape of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and the panel discharge port 1101 are the same.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is located ahead of the panel discharge port 1101.

그리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패널모듈(1100)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에 실내기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모듈(1500)을 더 포함한다. And the door assembly 200 is installed on the panel module 1100 and further includes a display module 1500 that visually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indoor unit to the front panel 210.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프론트패널(1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1100)을 투과하여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display module 1500 is disposed on the back of the front panel 1100 and can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by penetrating the front panel 1100.

이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프론트패널(1100)을 관통하여 일부가 노출되고, 노출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n contrast, a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1500 is exposed through the front panel 1100, and visual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exposed display.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패널(21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1500)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In this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display module 1500 is deliver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opening 202 formed in the front panel 210.

<<프론트패널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front panel>>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실내기의 전면에 배치된다. 프론트패널(210)은 프론트패널바디(212)와,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정면토출구(201)와,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디스플레이 개구부(202)와,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의 좌측면을 커버하는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와,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의 우측면을 커버하는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를 포함한다.The front panel 210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indoor unit. The front panel 210 includes a front panel body 212, a front discharge port 201 open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a display opening open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front panel body 212 ( 202) and a first front panel side 214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covering the left side of the panel module 1100, and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nel body 212 It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includes a second front panel side 216 that covers the right side of the panel module 1100.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좌우 폭에 비해 상하 갈이가 매우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폭에 비해 상하 길이는 3배 이상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좌우 폭에 비해 전후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된다. 본 실시에에서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폭에 비해 전후 두께는 1/4 이하이다. The front panel 210 is formed to be very long at the top and bottom compared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In this embodiment, the top and bottom length of the front panel 210 is three times or more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In addition, the front panel 210 is formed to have very thin front and rear thickness compared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of the front panel 210 is less than 1/4 compared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는 정면토출구(201)의 하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디스플레이 개구부(202)가 정면토출구(201)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opening 202 is located below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Unlike this embodiment, the display opening 202 may be located above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상기 정면토출구(201) 및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정면토출구(201)의 중심과 디스플레이 개구부(202)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중심축(C1)은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중심축(C1)을 기준으로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대칭된다.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and the display opening 202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irtual central axis C1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and the center of the display opening 202 is arranged vertically.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anel 210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1.

상기 중심축(C1) 상에 상기 카메라모듈(1900)의 카메라(1950)가 배치된다. The camera 1950 of the camera module 1900 is disposed on the central axis C1.

정면토출구(201)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형상은 스티어링그릴(3450)의 정면형상에 대응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통해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은닉된 스티어링그릴(3450)이 외부로 노출된다.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shape of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corresponds to the front shape of the steering grill 3450. The steering grill 3450 hidden inside the cabinet assembly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본 실시예에서는 단순히 정면토출구(201)가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스티어링그릴(3450)을 노출시키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해 상기 프론트패널(210) 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outlet 201 is not simply opened selectively to expose the steering grill 3450, but the steering grill 3450 penetrates the front outlet 201 to expose the front panel 210. It protrudes further forward.

상기 스티어링그릴(3450)이 프론트패널(210) 전방으로 돌출되면, 스티어링그릴(3450)를 통과한 공기와 프론트패널(210)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토출공기를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When the steering grill 3450 protrudes in front of the front panel 210, interference betwe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teering grill 3450 and the front panel 210 can be minimized, and the discharged air can flow farther.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는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프론트패널바디(212)의 배면에 고정된 패널모듈(1100)의 좌측면을 커버한다. The first front panel side 214 protrudes rearward from the left edge of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covers the left side of the panel module 1100 fixed to the back of the front panel body 212.

상기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는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프론트패널바디(212)의 배면에 고정된 패널모듈(1100)의 우측면을 커버한다. The second front panel side 216 protrudes rearward from the right edge of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covers the right side of the panel module 1100 fixed to the rear of the front panel body 212.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및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는 패널모듈(1100)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The first front panel side 214 and the second front panel side 216 block the side of the panel module 110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의 후방측 단에서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측으로 돌출된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가 더 배치된다. 상기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의 후방측 단에서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측으로 돌출된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가 더 배치된다. Additionally, a first front panel end 215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front panel side 214 toward the second front panel side 216 is further disposed. A second front panel end 217 protruding toward the first front panel side 214 is further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front panel side 216.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는 상기 패널모듈(1100)의 배면에 위치된다. 즉, 패널모듈(1100)은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 사이에 위치된다. The first front panel end 215 and the second front panel end 217 are located on the back of the panel module 1100. That is, the panel module 1100 is located between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the front panel ends 215 and 217.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 사이의 간격을 프론트패널의 내부간격(I)으로 정의한다. 상기 내부간격(I)은 프론트패널(210)의 전후 두께보다 짧다. In this embodiment, the gap between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the front panel ends 215 and 217 is defined as the internal gap (I) of the front panel. The internal gap (I) is shorter than the front-to-back thickness of the front panel 210.

그리고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 사이의 간격을 프론트패널의 개방간격(D)으로 정의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개방간격(D)은 프론트패널(210)의 좌우 폭(W) 보다 짧다. And the first front panel end 215 and the second front panel end 217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gap between the first front panel end 215 and the second front panel end 217 is defined as the open gap (D) of the front panel. The opening distance (D) of the front panel 210 is short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 (W) of the front panel 210.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는 교차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직교된다. 상기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는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the front panel ends 215 and 217 are arranged in parallel.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the front panel sides 214 and 216 intersect, and in this embodiment, are orthogonal. The front panel sides 214 and 216 are arranged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210)을 구성하는 프론트패널바디(212),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일체로 제작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panel body 212, front panel sides 214, 216, and front panel ends 215, 217, which constitute the front panel 210, are manufactured as one piece.

본 실시예에서 프론트패널(210) 전체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프론트패널(210)은 전체가 알루미늄재질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entire front panel 210 is made of metal material. In particular, the front panel 210 is entirely made of aluminum.

그래서 상기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는 프론트패널바디(212)에서 후방 측으로 절곡되고,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프론트패널사이드(214)(216)에서 반대편으로 절곡된다. Therefore, the front panel sides 214 and 216 are bent toward the rear side from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the front panel ends 215 and 217 are bent toward the opposite side from the front panel sides 214 and 216.

전체가 금속재질로 형성된 상기 프론트패널(210)을 용이하게 절곡하기 위해,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사이의 절곡부위에 제 1 벤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사이의 절곡부위에 제 2 벤딩홈(213a)이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easily bend the front panel 210, which is entirely made of metal, a first bending groove (not shown) is formed at the bent portion between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the first front panel side 214. , a second bending groove 213a may be formed at the bent portion between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the second front panel side 216.

그리고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및 제 1 프론트패널엔드(215) 사이의 절곡부위에 제 3 벤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및 제 2 프론트패널엔드(217) 사이의 절곡부위에 제 4 벤딩홈(213b)이 형성될 수 있다. And a third bending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bent portion between the first front panel side 214 and the first front panel end 215, and the second front panel side 216 and the second front panel end ( A fourth bending groove 213b may be formed at the bent portion between 217).

상기 각 벤딩홈들은 프론트패널(21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벤딩홈들은 절곡부위 안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2벤딩홈(213a)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사이드의 사이각을 직각으로 형성시키기 어렵다. 또한, 상기 제 1, 2벤딩홈(213a)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사이드의 절곡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되지 않고, 절곡과정에서 임이의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 3, 4 벤딩홈(213b)도 제 1, 2 벤딩홈(213a)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Each of the bending grooves may be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ont panel 210.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bending grooves is located inside the bending area. If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grooves 213a are not formed, it is difficult to form a right angle between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the front panel side. In addition, if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grooves 213a are not formed, the bent portions of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the front panel side are not formed flat and may protrude or change in any direction during the bending process. there is. The third and fourth bending grooves 213b als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and second bending grooves 213a.

이와 같이 제작된 프론트패널(210)의 상측에는 패널 어퍼개구부(203) 및 패널 로어개구부(204)가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패널(210)는 하나의 금속플레이트를 절곡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패널 어퍼개구부(203) 및 패널 로어개구부(204)는 같은 면적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A panel upper opening 203 and a panel lower opening 204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210 manufactured in this way.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ront panel 210 is manufactured by bending a single metal plate, the panel upper opening 203 and the panel lower opening 204 are formed to have the same area and shape.

상기 패널모듈(1100)의 두께는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의 간격과 같거나 작다. 상기 패널모듈(1100)은 상기 패널 어퍼개구부(203) 또는 패널 로어개구부(204)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패널모듈(1100)은 프론트패널엔드(215)(217)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panel module 1100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gap between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the front panel ends 215 and 217. The panel module 110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panel upper opening 203 or the panel lower opening 204. The panel module 1100 may be fixed by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penetrating the front panel ends 215 and 217.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상기 패널 어퍼개구부(203)에 삽입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상기 패널 어퍼개구부(203)를 폐쇄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1900 is inserted into the panel upper opening 203 and is located above the panel module 1100. The camera module 1900 can close the panel upper opening 203.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정면토출구(201)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모듈(1900)은 프론트패널(210)에 의해 은닉된다. 카메라모듈(1900)은 작동시에만 프론트패널(210) 상측으로 노출되고, 작동되지 않을 때에는 프론트패널(210) 배면에 숨겨진다. The camera module 1900 is located above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and disposed on the back of the front panel 210. The camera module 1900 is hidden by the front panel 210. The camera module 1900 is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anel 210 only when operating, and is hidden behind the front panel 210 when not operating.

상기 프론트패널엔드(215)(217)는 카메라모듈(1900)의 측면 및 배면을 감싸고, 체결부재(미도시)는 상기 프론트패널엔드(215)(217)를 관통하여 카메라모듈(1900)에 체결된다. The front panel ends 215 and 217 surround the sides and back of the camera module 1900, and fastening members (not shown) penetrate the front panel ends 215 and 217 and fasten them to the camera module 1900. do.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퍼개구부(203)의 좌우 폭과 카메라모듈(1900)의 좌우 폭이 같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퍼개구부(203)의 좌우 폭과 패널모듈(1100)의 좌우 폭이 같게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panel upper opening 203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camera module 1900 are formed to be the same. 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panel upper opening 203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panel module 1100 are formed to be the same.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퍼개구부(203)의 전후 두께와 카메라모듈(1900)의 전후 두께는 같게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패널 어퍼개구부(203)의 전후 두께와 패널모듈(1100)의 전후 두께도 같게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ront-to-back thickness of the panel upper opening 203 and the front-to-back thickness of the camera module 1900 are formed to be the same. 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front-to-back thickness of the panel upper opening 203 and the front-to-back thickness of the panel module 1100 are formed to be the same.

그래서 상기 카메라모듈(1900) 및 패널모듈(1100)은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 사이에 위치되고, 프론트패널바디(212) 및 프론트패널엔드(215)(217)에 지지될 수 있다. Therefore, the camera module 1900 and the panel module 1100 are located between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the front panel ends 215 and 217, and the front panel body 212 and the front panel ends 215 and 217 ) can be supported.

도 5는 도 5에 도시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가 로어캐비닛에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의 후방 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로어캐비닛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가습팬의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디퓨저 한쌍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디퓨저 한쌍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디퓨저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디퓨저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디퓨저아웃릿 주변구조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에서의 공기 스트림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디퓨저하우징의 디퓨저아웃릿 상측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1에 도시된 디퓨저하우징의 디퓨저아웃릿 하측 단면도이다.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nd water tank shown in Figure 5 assembled in the lower cabinet. Figure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ower cabinet shown in Figure 3.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nd water tank shown in Figure 7.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Figure 8. Figure 10 is a partially cut cross-sectional view of the humidifying fan shown in Figure 6. Figure 11 is a front view of the pair of diffusers shown in Figure 6. Figure 12 is a rear view of the pair of diffusers shown in Figure 6. Figure 13 is an exemplary installation diagram of the diffuser shown in Figure 6. Figure 14 is an enlarged view of the diffuser of Figure 13. Figure 15 is an enlarged view of the structure surrounding the diffuser outlet shown in Figure 14. Figure 1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air stream in a diffus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side of the diffuser outlet of the diffuser housing shown in Figure 11. Figur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side of the diffuser outlet of the diffuser housing shown in Figure 11.

<<<가습어셈블리의 구성>>><<<Composition of humidification assembly>>>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팬어셈블리(300)(400)의 토출유로 상에 수분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분은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제어부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The humidifying assembly 2000 provides moisture to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fan assembly 300 and 400, and the provided moisture can be discharged into the room.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can be selectively operated by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공급된 수분은 측면토출구(301)(302)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무화된 상태이거나 스팀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습어셈블리(2000)는 물탱크(2100)의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토출유로에 공급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moisture supplied from the humidifying assembly 2000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The moisture supplied from the humidifying assembly 2000 may be in an atomized state or in a steam state.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converts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100 into steam and supplies it to the discharge passag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로어캐비닛(120) 내부에 위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ying assembly 2000 is disposed o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is specifically located inside the lower cabinet 120.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베이스(110)에 설치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을 통해 감싸진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 상측에 드레인팬(140)이 위치되고,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가이드(2400)를 통해 측면토출구(301)(302)로 직접 유동된다. 즉,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설치된 공간과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공간은 구획된다.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is installed on the base 110 and is surrounded by the lower cabinet 120. A drain pan 140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and steam generated in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flows directly to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through the steam guide 2400. That is, the space where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is installed and the space inside the upper cabinet 110 are divided.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2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와 결합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하는 가습팬(2500)과,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가습공기를 독립된 유로를 통해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하는 스팀가이드(24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하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또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배치되고,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물탱크(2100)를 전방으로 틸팅시키고, 전방으로 틸팅되어 있던 물탱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틸팅어셈블리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연결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포함한다.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is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supplies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100, which is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stored in the water tank 2100. a steam generator (2300) that generates humidified air by converting the water stored inside into steam, and is disposed on the cabinet assembly (100), coupled to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he filter assembly (600). A humidifying fan 2500 supplies the filter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is disposed on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supplies the humidified air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2300 to the cabinet assembly through an independent flow path. A steam guide 2400 guiding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of (100) is disposed on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the water tank 2100 is detachably mounted, and the water tank 2100 ) of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300, is disposed on the cabinet assembly 100 or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nd selectively supplies water to the water tank 2100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 is connected to a tilting assembly that tilts forward and returns the water tank that was tilted forwar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nd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nd the steam generator It includes a drain assembly (2700) that drains the water in (2300) to the outside.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정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6에 도시된 스팀제너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19 is a plan view showing a drainag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assembly shown in Figure 19. Figure 21 is a right side view of the drainage assembly shown in Figure 19. Figure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generator shown in Figure 6.

<<스팀제너레이터의 구성>><<Configuration of steam generator>>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시키기 때문에, 살균된 스팀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team generator 2300 receives water from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nd generates steam. Since the steam generator 2300 generates steam by heating water, it can provide sterilized steam.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스팀하우징(2310)과,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스팀히터(2320)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와 연통되고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워터파이프(2314)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가이드(2400)와 연결되고,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스팀가이드(2400)에 공급하는 스팀토출부(2316)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2500)과 연결되고, 상기 가습팬(2500)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의 여과공기를 공급받는 공기흡입부(2318)를 포함한다. The steam generator 2300 includes a steam housing 2310, a steam heater 2320 disposed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and a steam heater 2320 that generates heat by applied power, and is disposed in the steam housing 2310. , a water pipe 2314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steam housing 2310 and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or out, is placed in the steam housing 2310, is connected to the steam guide 2400, and supplies steam generated internally. A steam discharge unit 2316 supplies the steam guide 2400, is disposed in the steam housing 2310, and is connected to the humidifying fan 2500, and the cabinet assembly 100 is supplied from the humidifying fan 2500. It includes an air intake unit 2318 that receives internal filtered air.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최저수위(WL)를 감지하는 제 1 수위센서(2360)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최고수위(WH)를 감지하는 제 2 수위센서(2370)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과열을 방지하는 써미스터(2380)를 더 포함한다. The steam generator 2300 includes a first water level sensor 2360 that detects the lowest water level (WL)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and a second sensor 2360 that detects the highest water level (WH)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It further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2370 and a thermistor 2380 to prevent overheating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외부와 밀폐된 구조이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 스팀토출부(2316), 공기흡입부(2318)은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는 베이스(130)에 설치된다. The steam housing 2310 has a structure sealed from the outside. The water pipe 2314, steam discharge unit 2316, and air intake unit 2318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e steam housing 2310 is installed on the base 130.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스팀히터(2320)에 의해 가열된 물을 저장하기 때문에, 내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SPS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어퍼스팀하우징(2340) 및 로어스팀하우징(2350)을 포함한다. Since the steam housing 2310 stores water heated by the steam heater 2320, it is preferably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In this embodiment, the steam housing 2310 is made of SPS material. The steam housing 2310 includes an upper steam housing 2340 and a lower steam housing 2350.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은 하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하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has an open lower side and is concave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has an open top and is concave from the bottom to the bottom.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로어스팀하우징(235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토출부(2316) 및 공기흡입부(2318)은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in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and the steam discharge portion 2316 and the air intake portion 2318 are disposed in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 및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높낮이 차를 통해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워터파이프(2314)로 유동된다. 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Through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pipe 2314 and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water in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flows into the water pipe 2314 by its own weigh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 제 2 수위센서(2370) 및 써미스터(2380)는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에는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가 설치되는 제 1 수위센서설치부(2342)와,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가 설치되는 제 2 수위센서설치부(2344)와, 상기 써미스터(2380)가 설치되는 써미스터설치부(2346)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2360,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and the thermistor 2380 are disposed in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For this purpose,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includes a first water level sensor installation part 2342 where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2360 is installed, and a second water level sensor installation part where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is installed ( 2344) and a thermistor installation portion 2346 where the thermistor 2380 is installed are formed.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에 형성된 공기흡입부(2318) 및 스팀토출부(2316)는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 및 공기흡입부(2318)는 높이차(SH)를 형성하고, 상기 스팀토출부(2316)가 공기흡입부(2318)보다 높이차(SH) 만큼 높게 배치된다. The air intake portion 2318 and the steam discharge portion 2316 formed in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and the air intake unit 2318 form a height difference (SH), and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is disposed higher than the air intake unit 2318 by the height difference (SH).

이는 어퍼스팀하우징(2340) 내부의 스팀이 상기 스팀토출부(2316)로 용이하게 모이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가 공기흡입부(2318)보다 높게 형성되면, 밀도가 낮은 스팀이 스팀토출부(2316) 하측에 모일 수 있다. This is to allow the steam inside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to easily collect into the steam discharge portion 2316. If the steam discharge portion 2316 is formed higher than the air intake portion 2318, low-density steam may collect below the steam discharge portion 2316.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저수위를 감지하기 때문에, 상기 공기흡입부(2318) 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고수위를 감지하기 때문에, 상기 스팀토출부(2316) 주변에 설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2360 detects the low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is install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air intake unit 2318.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detects the high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is installed around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 및 제 2 수위센서(2370)가 높낮이 차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 1 수위센서(2360) 및 제 2 수위센서(2370)의 전극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2360 and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form a height difference, the electrode lengths of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2360 and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can be minimized.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는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의 하단은 같은 높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는 전극이다.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에 물이 닿으면 제어부가 이를 감지한다.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2360 includes a 1-1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1 and a 1-2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2. The lower ends of the 1-1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1 and the 1-2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2 ar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In this embodiment, the 1-1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1 and the 1-2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2 are electrodes. When water touches the 1-1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1 and the 1-2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2, the control unit detects i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의 하단은 스팀제너레이터(2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최저수위(WL)이다.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의 하단(2361a)(2362a) 보다 수위가 낮을 경우 스팀히터(2320)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 하단(2361a)(2362a)보다 수위가 낮아지면 스팀히터(2320)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of the 1-1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1 and the 1-2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2 is the lowest water level (WL) for driving the steam generator 2300. If the water level is lower than the lower ends (2361a) (2362a) of the 1-1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1 and the 1-2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2, damage to the steam heater 2320 may occur. Therefore, when the water level becomes lower than the lower ends (2361a) (2362a) of the 1-1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1 and the 1-2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2, the power provided to the steam heater 2320 is cut off.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는 물이 닿을 때 이를 감지하는 전극이 사용된다.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의 하단(2370a)은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고수위(WH)를 감지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수위가 제 2 수위센서(2370)의 하단(2370a) 보다 높을 경우, 스팀히터(2320)의 작동에 의해 물이 끓어 넘칠 수 있다. 상기 수위가 제 2 수위센서(2370)의 하단(2370a)에 닿으면 상기 스팀히터(232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uses an electrode that detects when water touches it. The lower end (2370a) of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detects the highest water level (WH) of the steam generator (2300). If the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300 is higher than the lower end 2370a of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the water may boil and overflow due to the operation of the steam heater 2320. When the water level reaches the lower end (2370a) of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the operation of the steam heater (2320) is stopped.

상기 최고수위(WH)는 실내기의 기울어짐을 감안한 높이다. 즉, 상기 실내기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졌을 때,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수위는 어느 한쪽이 높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내기가 어느 한쪽으로 3도 기울어지고,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대 작동 시, 상기 스팀하우징(2310) 밖으로 물이 넘치지 않는 높이를 상기 최고수위(WH)로 설정한다. The highest water level (WH) is a height that takes into account the tilt of the indoor unit. That is, when the indoor unit is tilted in one direction, the water level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may be higher on one side. In this embodiment, when the indoor unit is tilted by 3 degrees to one side and the steam generator 2300 is operating at its maximum, the height at which water does not overflow out of the steam housing 2310 is set as the highest water level (WH).

상기 최고수위(WH)가 도달했을 때, 상기 스팀히터(23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작동시켜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을 배수할 수 있다. When the highest water level (WH) is reached, the operation of the steam heater 2320 can be stopped and the drain assembly 2700 can be operated to drain the water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적정수위는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의 하단(2370a) 보다 낮고,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 하단(2361a)(2362a) 보다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를 적정수위라 정의한다. The appropriate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300 is lower than the lower end (2370a) of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and the lower end of the 1-1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1 and the 1-2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2 ( It must be formed higher than 2361a)(2362a). In this embodiment, this is defined as the appropriate water level.

상기 써미스터(2380)의 하단(2380a)은 상기 적정수위 내에 배치된다. 상기 써미스터(2380)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내부 온도가 설정값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상기 스팀히터(232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The lower end (2380a) of the thermistor (2380) is disposed within the appropriate water level. The thermistor 2380 detects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team generator 2300 rises above the set value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steam heater 2320.

상기 공기흡입부(2318)의 면적은 넓을수록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스팀토출부(2316) 보다 넓게 형성된다. The larger the area of the air intake unit 2318, the more advantageous. In this embodiment, the air intake portion 2318 is formed wider than the steam discharge portion 2316.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를 통해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300)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를 통해 배출된 물은 드레인어셈블리(2700)로 유동될 수 있다. The water pipe 2314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steam housing 2310. Water from the water supply assembly 2300 may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pipe 2314. And water discharged from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through the water pipe 2314 may flow to the drain assembly 2700.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하나의 워터파이프(2314)를 물의 공급 및 배수에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스팀을 생성하는 장치의 경우, 물을 공급받는 파이프와 물을 배출하는 파이프를 함께 구비한다. The steam generator 2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the characteristic of using one water pipe 2314 for supply and drainage of water. In general, a device that generates steam is equipped with a pipe for supplying water and a pipe for discharging water.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내부 및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에서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30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의 외측단은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측면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The water pipe 2314 i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water pipe 2314 communicat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The water pipe 2314 protrudes from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toward the water supply assembly 2300. The outer end of the water pipe 2314 protrudes more laterally than the side of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와 연결되고,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이다. The water pipe 2314 is connected to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and is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pipe 2314 is in the form of a pipe with an empty interior.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드레인어셈블리와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드레인어셈블리(2700)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team housing 2310 based on the front-to-back direction. The water pipe 2314 is preferably placed close to the drain assembly. The water pipe 2314 is effective in suppress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drain assembly 2700.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에 상기 스팀히터(2320)가 설치된다.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배면에 상기 스팀히터(2320)가 설치되는 스팀히터 설치부(2352)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을 관통하는 개구면을 포함한다. 상기 스팀히터(2320)는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를 관통하고, 히터부가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 내부에 배치된다. The steam heater 2320 is installed in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A steam heater installation portion 2352 where the steam heater 2320 is installed is disposed on the back of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In this embodiment, the steam heater installation portion 2352 includes an opening that penetrates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The steam heater 2320 penetrates the steam heater installation portion 2352, and the heater portion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상기 스팀히터(2320)는 병렬로 배치된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와,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가 결합되고,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에 각각 전원을 제공하는 히터마운트(2354)와,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퓨즈(미도시)를 포함한다.The steam heater 2320 is a combination of a first heater unit 2321 and a second heater unit 2322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nd the steam A heater mount 2354 coupled to the heater installation unit 2352 and providing power to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respectively, and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It includes a fuse (not shown) that blocks the power provided to the heater unit 2322.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는 시즈히터(sheath heater)가 사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re sheath heaters.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히터부(2321)에만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될 수 있고, 상기 제 2 히터부(2322)에만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 모두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될 수 있다.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may operate independently. For example, power may be applied to only the first heater unit 2321 to generate heat, and power may be applied to only the second heater unit 2322 to generate heat, and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may generate heat. Power may be applied to both parts 2322 to generate heat.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는 모두 "U" 형태로 형성된다. Both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re formed in a “U” shape.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각 곡선부는 스팀토출부(2316)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단(2321a)(2322a)은 상기 최저수위(WL)와 같거나 상기 최저수위(WL)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Each curved part of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is disposed on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side.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The upper ends 2321a and 2322a of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may be disposed equal to or lower than the lowest water level (WL).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기의 기울어짐을 고려하여,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단(2321a)(2322a)이 상기 최저수위(WL) 보다 낮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e tilt of the indoor unit, the upper ends 2321a and 2322a of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re placed lower than the lowest water level (WL).

실내기의 베이스(130)는 지면에 수평하게 설치되어야 하지만, 설치오류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실내기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경우에도,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단(2321a)(2322a)은 수면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se 130 of the indoor unit must be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ground, but may be tilted in at least one of th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due to installation errors. Even when the indoor unit is tilted to one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s 2321a and 2322a of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re not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이를 위해 상기 제 1 히터부(2321)의 상측면(2321a) 및 최저수위(WL) 사이에 안전수위(WS)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면(2322a) 및 최저수위(WL) 사이에 안전수위(WS)가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a safety water level (WS)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side (2321a) of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lowest water level (WL). A safety water level (WS)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side (2322a) of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nd the lowest water level (WL).

그래서 상기 최저수위(WL) 보다 안전수위(WS) 만큼 하측에 상기 제 1 히터부(2321)의 상측면(2321a) 및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면(2322a)이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수위(WS)는 6mm로 형성된다. Therefore, the upper side 2321a of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upper side 2322a of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re located below the lowest water level (WL) by the safety water level (WS). In this embodiment, the safety level (WS) is set to 6 mm.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발열 용량은 상이하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의 길이가 제 2 히터부(2322)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는 상기 제 2 히터부(2322)의 내측에 배치된다. The heat generation capacities of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re different. The length of the first heater unit 2321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heater unit 2322. The first heater unit 2321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heater unit 2322.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히터부(2321)의 용량은 440W이고, 상기 제 2 히터부(2322)의 용량은 560W이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가 함께 작동될 때, 1kW의 최대출력을 제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apacity of the first heater unit 2321 is 440W, and the capacity of the second heater unit 2322 is 560W. When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operate together, a maximum output of 1kW is provided.

상기 제 1 히터부(2321)은 가습운전될 때 작동된다. 가습어셈블리(2000)를 스팀살균할 때,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가 동시에 작동된다. The first heater unit 2321 operates during humidification operation. When steam sterilizing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re operated simultaneously.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정상 작동 시,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온도는 105도 내외로 제어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가 가열되면, 저장된 물이 끓어 버블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가 이를 감지하여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과열을 차단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과열 시,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는 140도 내외에서 작동될 수 있다. When the steam generator 2300 operates normally,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is controlled to around 105 degrees. When the steam generator 2300 is heated, the stored water boils and generates bubbles, and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detects this to block overheating of the steam generator 2300. When the steam generator 2300 overheats,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may operate at around 140 degrees.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에서 과열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써미스터(2380)가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과열을 감지하고, 상기 써미스터(2380)는 150 내지 180도 내외의 온도범위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써미스터(2380)는 167도 이상을 감지한다. If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does not detect overheating, the thermistor 2380 detects overheating of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he thermistor 2380 detects a temperature range of about 150 to 180 degrees. . In this embodiment, the thermistor 2380 detects 167 degrees or more.

상기 써미스터(2380)에 의한 전원제어 후에도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온도(본 실시예에서 섭씨 250도)가 상승되면 상기 퓨즈가 상기 스팀히터(2320)의 전원을 차단한다. Even after power control by the thermistor 2380,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250 degrees Celsius in this embodiment) increases, the fuse cuts off the power to the steam heater 2320.

상기 히터마운트(2354)는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를 관통하여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에 결합된다. 상기 히터마운트(2354)는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를 밀폐시킨다. 상기 히터마운트(2354) 및 스팀히터 설치부(2352) 사이에 기밀을 위한 개스킷(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히터마운트(2354) 측에 배치된다. The heater mount 2354 penetrates the steam heater installation portion 2352 and is coupled to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The heater mount 2354 seals the steam heater installation portion 2352. A gasket (not shown) for airtightness may be placed between the heater mount 2354 and the steam heater installation portion 2352. 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on the heater mount 2354 side.

한편,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의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워터파이프(2314)로 유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와 같거나 낮게 배치된다. Meanwhile, the water inside the supply chamber 2211 flows into the water pipe 2314 by its own weight. For this purpose, the water pipe 2314 is plac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In particular, 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equal to or lower than the outer end 2214b of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특히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가장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저장된 물을 배수할 때,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내부 바닥면은 상기 워터파이프(2314)로 물을 유동시키는 홈 또는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water pipe 2314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most part of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This is to prevent water from accumulating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when draining the water stored in the steam housing 2310.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may be formed with a groove or slope that allows water to flow into the water pipe 2314.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에는 별도의 밸브가 배치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no separate valve is disposed in the water pipe 2314.

상기 워터파이프(2314) 및 챔버하우징파이프(2214)가 연통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수위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Since the water pipe 2314 and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have a connected structure,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2211 and the water level of the steam housing 2310 can be made the same.

구체적으로,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내부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수위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수위 상승에 따라 상승되며,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물이 공급되는 미들홀(2258)을 폐쇄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sufficient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team housing 2310,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2211 and the water level of the steam housing 2310 are formed to be equal, and the supply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The floater 2220 rises as the water level rises, and the supply floater 2220 can close the middle hole 2258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은 상기 스팀히터(2320)의 높이 내에 배치된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고수위(WH) 보다 낮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is disposed within the height of the steam heater 2320. The outer end 2214b of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is disposed lower than the highest water level (WH) of the steam generator 2300.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고수위(WH)는 밸브홀(2111)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미들홀(2258)은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고수위(WH)와 같거나 높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스팀히터(2320)의 상단(2321a)(2322a)과 이격거리(H)를 형성한다. The highest water level (WH) of the steam generator (2300) is located lower than the valve hole (2111). The middle hole 2258 is placed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ighest water level (WH) of the steam generator 2300. In this embodiment, the middle hole 2258 forms a separation distance (H) from the upper ends 2321a and 2322a of the steam heater 232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에 배치된 플로터밸브스토퍼(2278)가 플로터바디(2222)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최대 상승 높이는 상기 최고수위(WH)와 같거나 낮을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loater valve stopper 2278 disposed on the supply floater 2220 protrudes higher than the plotter body 2222, the maximum rising height of the plotter body 2222 is equal to the highest water level (WH). It can be low or high.

다만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최대 상승 시, 상기 미들홀(2258)이 폐쇄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되는 물공급이 차단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However, there is no change in the fact that when the supply floater 2220 rises to its maximum, the middle hole 2258 is closed and the water supply to the steam generator 2300 is blocked.

상기 스팀토출부(2316)는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는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은 상기 스팀가이드(2400)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steam discharge portion 2316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The steam discharge portion 2316 penetrates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team discharge portion 2316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for connection to the steam guide 2400.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어퍼스팀하우징(2340)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어퍼스팀하우징(2340)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가습팬(2500)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입된다. The air intake unit 2318 is disposed in the steam housing 2310,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The air intake unit 2318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and air supplied from the humidifying fan 2500 is introduced.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가습팬(2500)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air intake portion 2318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for connection to the humidifying fan 25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스팀토출부(2316)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스팀토출부(2316) 보다 가습팬(2500)에 가까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air intake unit 2318 is disposed behind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The air intake unit 2318 is disposed closer to the humidifying fan 2500 than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가습팬(2500)과 연결되고, 상기 가습팬(2500)으로부터 여과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로 공급된 여과공기는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스팀과 함께 스팀토출부(2316)로 토출된다. The air intake unit 2318 is connected to the humidifying fan 2500 and receives filtered air from the humidifying fan 2500. The air intake unit 2318 receives air that has been filter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The filtered air supplied to the air intake unit 2318 flows into the steam housing 2310 and is discharged to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together with the steam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여과공기가 아닌 일반 공기가 유입될 경우,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는 곰팡이 등이 번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When normal air, rather than filtered air, flows into the steam housing 2310, there is a very high possibility that mold, etc. will grow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여과공기로 한정되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가 작동되지 않을때 내부가 세균 또는 곰팡이 등으로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air supplied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is limited to filtered air, contamination of the interior with bacteria or mold when the steam generator 2300 is not operated can be minimized.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가습팬(2500)의 공기 유동이 내부에 공급되어 스팀을 스팀하우징(2310)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스팀의 유동압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 steam generator 2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maximize the flow pressure of steam because the air flow of the humidifying fan 2500 is supplied inside and pushes steam out of the steam housing 2310.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팀하우징 밖에서 가습팬이 스팀을 빨아내는 구조일 경우, 스팀하우징 내부의 스팀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Unlike this embodiment, if the humidifying fan is structured to suck steam from outside the steam housing, the steam inside the steam housing may not be discharged smoothly.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이 신속하게 측면토출구(301)(302)로 유동되지 않을 경우, 스팀의 이동 과정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If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2300 does not quickly flow to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dew may form during the movement of the steam.

본 실시예는 가습팬(2500)이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공기 흡입 측에서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스팀의 유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슬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팬(2500)의 공기가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스팀을 스팀하우징(2310)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충분한 공기의 유속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humidifying fan 2500 supplies air from the air intake side of the steam generator 2300, dew 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flow of steam can be minimized. 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air of the humidifying fan 2500 pushes the steam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out of the steam housing 2310, a sufficient air flow rate can be secured.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스팀의 유동과정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되더라도, 스팀을 유동시키는 공기의 유속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응축수가 공기의 유속에 의해 자연증발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even if dew condensation occurs during the flow of steam, the condensate can be naturally evaporated by the flow rate of the air because the flow rate of the air that flows the steam is sufficiently secured.

<드레인어셈블리의 구성><Configuration of drain assembly>

상기 드레인어셈블리(2700)는, 베이스(130)에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펌프(2710)와, 상기 드레인펌프(2710)에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펌프(2710)에서 펌핑된 물을 상기 실내기 밖으로 안내하는 드레인호스(2720)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워터파이프(2314) 및 드레인펌프(2710)를 연결하여 물을 유동시키는 물연결관(2730)을 포함한다. The drain assembly 2700 is disposed on the base 130 and is connected to a drain pump 2710 that drains water from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nd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o the drain pump 2710. A drain hose 2720 that guides the water pumped from the drain pump 2710 out of the indoor unit, a chamber housing pipe 2214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 water pipe 2314 of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It includes a water connection pipe 2730 that connects the drain pump 2710 to flow water.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장치이기 때문에, 작동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드레인펌프(2710)는 물연결관(2730)과 연결되는 드레인인릿(2714)과, 상기 드레인호스(2720)와 연결되는 드레인아웃릿(2712)을 포함한다.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drain pump 2710 is a common devic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scription of its operation is omitted. The drain pump 2710 includes a drain inlet 2714 connected to the water connection pipe 2730, and a drain outlet 2712 connected to the drain hose 2720.

상기 드레인인릿(2714)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드레인아웃릿(2712)은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drain inlet 2714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rotrudes toward the steam generator 2300 in this embodiment. The drain outlet 2712 protrudes upward.

본 실시예에서 물공급어셈블리(2200), 스팀제너레이터(2300) 및 드레인펌프(2710)에서의 물은 물의 자중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배치는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드레인펌프(2710)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및 워터파이프(2314)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steam generator 2300, and drain pump 2710 is moved by the water's own weight, the drain pump 2710 is arranged to satisfy this. Therefore, the drain pump 2710 is preferably plac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and the water pipe 2314.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 역시 물의 자중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nd the steam generator 2300 is also moved by its own weight, the water pipe 2314 is preferably plac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이와 같은 배열에 의해 이 셋 중에서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가 가장 높게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펌프(2710)가 가장 낮게 배치되며,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및 드레인펌프(2710) 사이의 높이에 배치된다. By this arrangement, among these three,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is placed the highest, the drain pump 2710 is placed the lowest, and the water pipe 2314 is connected to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and the drain pump ( It is placed at a height between 2710).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스팀제너레이터(2300) 및 드레인펌프(2710)는 모두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베이스(130)에 배치된다. 상술한 높이차를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130)는 높낮이차를 형성한다.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steam generator 2300, and drain pump 2710 are all disposed on the base 130 of the cabinet assembly 100. In order to create the above-described height difference, the base 130 forms a height differenc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30)는 하측으로 오목한 드레인펌프 설치부(133)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base 130 is formed with a drain pump installation portion 133 concave downward.

상기 베이스(130)는 평평하게 형성된 베이스탑월(131)과, 상기 베이스탑월(131)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드레인펌프 설치부(133)를 포함한다.The base 130 includes a flat base top wall 131 and a drain pump installation portion 133 that is concave downward from the base top wall 131.

상기 베이스탑월(131)이 상기 드레인펌프 설치부(133)보다 높게 위치된다. The base top wall 131 is located higher than the drain pump installation portion 133.

상기 물연결관(2730)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와 연결되는 제 1 연결관(2731)과, 상기 워터파이프(2314)와 연결되는 제 2 연결관(2732)와, 상기 드레인인릿(2714)과 연결되는 제 3 연결관(2733)과, 상기 제 1 연결관(2731), 제 2 연결관(2732) 및 제 3 연결관(2733)과 연결되는 3방향파이프(2735)를 포함한다. The water connection pipe 273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ipe 2731 connected to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a second connection pipe 2732 connected to the water pipe 2314, and the drain inlet ( It includes a third connector 2733 connected to 2714), and a three-way pipe 2735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2731, the second connector 2732, and the third connector 2733. .

상기 3방향파이프(2735)는 T형 파이프 또는 Y형 파이프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T형 파이프가 사용된다.The three-way pipe 2735 may be a T-shaped pipe or a Y-shaped pipe, and in this embodiment, the T-shaped pipe is used to minimize installation space.

상기 제 1 연결관(2731)의 일측단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과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3방향파이프(2735)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연결관(2731)에 밸브가 설치되고, 설치된 밸브가 상기 제 1 연결관(2731)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connector 2731 is coupled to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three-way pipe 2735. Unlike this embodiment, a valve is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and the installed valve can control the flow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상기 제 2 연결관(2732)의 일측단은 상기 워터파이프(2314)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3방향파이프(2735)와 결합된다. 상기 제 2 연결관(2732) 내부에는 메수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쉬필터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스케일을 여과하고, 스케일이 상기 드레인펌프(27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or 2732 is coupled to the water pipe 2314,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three-way pipe 2735. A water filt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pipe 2732. The mesh filter filters scal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team generator and blocks the scale from flowing into the drain pump 2710.

상기 제 3 연결관(2733)의 일측단은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드레인인릿(2714)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3방향파이프(2735)와 결합된다. One end of the third connector 2733 is coupled to the drain inlet 2714 of the drain pump 271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three-way pipe 2735.

상기 제 1 연결관(2731), 제 2 연결관(2732) 및 제 3 연결관(2733)의 재질에 특별한 제약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된다. There are no particular restrictions on the materials of the first connector 2731, the second connector 2732, and the third connector 2733, but in this embodiment, they ar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to facilitate assembly.

여기서 상기 제 2 연결관(2732)은 고온의 물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온도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내열재질(본 실시예에서는 EDP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상기 제 2 연결관(2732)는 상기 히터퓨즈의 작동 전까지의 온도(섭씨 250도)에 대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econd connection pipe 2732 is preferably made of a heat-resistant material (EDPM in this embodiment) that can cover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steam generator 2300 because high-temperature water can flow in. At least the second connection pipe 2732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deform at a temperature (250 degrees Celsius) before the heater fuse is opera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연결관(2730) 전체가 상기 히터퓨즈의 작동 전까지의 온도(섭씨 250도)에 대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entire water connection pipe 2730 is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deform at a temperature (250 degrees Celsius) before the heater fuse is operated.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가 작동되면, 정상적인 경우에도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의 물이 100도 이상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때, 물을 공급받는 파이프와 물을 배출하는 파이프가 각각 구비되는 경우, 물을 공급받는 파이프는 물탱크와 연결되기 때문에 온도상승이 더디지만, 드레인펌프(2710)와 연결되는 파이프에는 소량의 물만이 저장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와 유사한 온도로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steam generator 2300 is operated, the water inside the steam generator 2300 may rise to over 100 degrees even under normal circumstances. At this time, when a pipe for supplying water and a pipe for discharging water are provided, the temperature rise is slow because the pipe for supplying water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but only a small amount of water is present in the pipe connected to the drain pump (2710). Because this is stor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emperature rises to a temperature similar to that inside the steam generator 2300.

상기 드레인펌프와 연결되는 파이프의 물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드레인펌프가 손상될 수 있다. If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pipe connected to the drain pump rises, the drain pump may be damaged.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3방향파이프(2735)에서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과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물을 혼합시킬 수 있고, 혼합된 물에 의해 상기 제 3 연결관(2733)의 온도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water of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can be mixed in the three-way pipe 2735, and the mixed water can be used to connect the third connection pipe ( 2733) can suppress the temperature rise.

상기 제 2 연결관(2732) 측의 물의 온도가 섭씨 100도 이상으로 상승되더라도 상기 제 1 연결관(2731) 측의 물은 상온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3방향파이프(2735)에서 고온의 물과 상온의 물이 혼합되어 물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on the second connection pipe 2732 rises above 100 degrees Celsius, the water on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is at room temperature, so high temperature water and water in the three-way pipe 2735 Room temperature water is mixed to suppress the rise in water temperature.

상기 제 1 연결관(2731) 측의 물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측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기 때문에 대류를 통해 온도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Since the water on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side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side, temperature rise can be suppressed through convection.

예를 들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작동 후,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이 고온인 상태에서 드레인펌프(2710)가 작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 2 연결관(2732)에서 배수된 고온의 물과 상기 제 1 연결관(2731)에서 배수되는 상온의 물이 상기 3방향파이프(2735)에서 혼합되고, 혼합된 물의 온도는 적어도 70도 이하로 하강될 수 있다. For example, after operating the steam generator 2300, even if the drain pump 2710 is operated while the water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is at a high temperature, the high temperature drained from the second connection pipe 2732 The water and room temperature water drain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are mixed in the three-way pipe 2735, and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water can be lowered to at least 70 degrees or lower.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연결관(2730)을 통해 배수 시 상기 드레인펌프(2710)으로 유동되는 물의 온도를 30도 내지 50 사이로 형성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pump 2710 when draining water through the water connection pipe 2730 can be set to between 30 degrees and 50 degrees Celsius.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작동 시,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저장된 물 뿐만 아니라 상기 물탱크(2100) 및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저장된 물도 모두 배수되는 특징이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drain pump 2710 is operated, not only the water stored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but also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100 and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re drained.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사용되는 물은 실내 가습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세균 번식의 위험이 있다. 그래서 소정기간(24시간)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물탱크(2100),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론 스팀하우징(2310)에 저장된 물도 모두 배수하고,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 전체를 건조시키는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Since the water used in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is used for indoor humidification, there is a risk of bacterial growth over time. Therefore, when it is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24 hours), all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100,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s well as the steam housing 2310 is drained, and the entir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is dried. can be performed.

상기 드레인펌프(2710)가 작동되면, 상기 제 3 연결관(2733) 측의 물이 배수된다. 드레인인릿(2714)과 결합된 상기 제 3 연결관(2733)의 일측단이 가장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물탱크(2100) 및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물은 상기 제 1 연결관(2731) 및 3방향파이프(2735)를 거쳐 상기 제 3 연결관(2733)으로 유동된다.When the drain pump 2710 operates, water on the third connection pipe 2733 is drained. Since one end of the third connection pipe 2733 coupled with the drain inlet 2714 is placed at the lowest positio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2100 and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is moved to the lower end by the potential energy of the water. It flows to the third connector (2733) through the 1 connector (2731) and the three-way pipe (2735).

마찬가지로,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물은 상기 제 2 연결관(2732) 및 3방향파이프(2735)를 거쳐 상기 제 3 연결관(2733)으로 유동된다. Likewise, the water in the steam housing 2310 flows to the third connection pipe 2733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pipe 2732 and the three-way pipe 2735 due to the potential energy of the water.

이와 같이, 상기 물연결관(2730)의 구조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습어셈블리(2000) 전체의 배수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the water connection pipe 2730 can not only suppres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steam generator 2300, but also easily drain the entir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스팀가이드의 구성>><<Composition of Steam Guide>>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스팀을 토출유로에 공급한다. 상기 토출유로는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유로 및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유로를 포함한다. The steam guide 2400 supplies steam from the steam generator 2300 to the discharge passage. The discharge passage includes an air passage flowing by the far-distance fan assembly 400 and an air passage flowing by the near-distance fan assembly 3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밖으로 토출되기 전까지로 정의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passage is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is defined as the period befor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is discharged out of the cabinet assembly 1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한다.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의 공기와 분리된 별도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관 또는 덕트의 형태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team guide 2400 guides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2300 to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The steam guide 2400 provides a separate flow path separated from the air inside the cabinet assembly 100. The steam guide 2400 may be in the form of a pipe or duct.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결합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가습공기를 제공받는 메인스팀가이드(2450)와,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 중 일부를 제 1 측면토출구(301)로 안내하는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 중 나머지를 제 2 측면토출구(302)로 안내하는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조립되고,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토출시키는 제 1 디퓨저(2430)와,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조립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토출시키는 제 2 디퓨저(2440)를 포함한다. The steam guide 2400 is coupled to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is coupled to the main steam guide 2450, which receives humidified air from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he main steam guide 2450. A first branch guide 2410 that guides some of the humidified air supplied through the guide 2450 to the first side outlet 301 is coupled to the main steam guide 2450, and the main steam guide 2450 It is assembled with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which guides the remaining humidified air supplied through to the second side outlet 302, and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is disposed at the first side outlet 301. It is assembled with a first diffuser 2430 that discharges the humidified air supplied through the first branch guide 2410 to the first side outlet 301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and the first diffuser 2430 2 It is disposed at the side outlet 302 and includes a second diffuser 2440 that discharges humidified ai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to the second side outlet 302.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는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가 결합되는 각각의 스팀토출부가 배치된다. Unlike this embodiment,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steam generator 2300. In this case, each steam discharge portion to which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are coupled is disposed in the steam generator 2300.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분지가이드만 배치되고, 상기 하나의 분지가이드가 하나의 디퓨저에 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디퓨저는 제 1 측면토출구 또는 제 2 측면토출구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only one branch guide is disposed,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one branch guide is coupled to one diffuser can be provided. In this case, one diffuser may be disposed in only one of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or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퓨저는 측면토출구에 배치되지만, 상기 정면토출구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디퓨저의 설치위치는 측면토출구로 제한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the diffuser is disposed at the side discharge port, but it may also be installed at the front discharge port. That i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diffuser is not limited to the side discharge port.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는 덕트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안내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공급된 공기(스팀 및 여과공기가 혼합된 공기)를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에 제공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main steam guide 2450 is formed in the form of a duct. The main steam guide 2450 guides air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main steam guide 2450 provides air (a mixture of steam and filtered air) supplied from the steam generator 2300 to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공급된 공기(스팀 및 여과공기가 혼합된 공기)는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에서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로 분기된다. The air (air mixed with steam and filtered air) supplied from the steam generator 2300 is branched from the main steam guide 2450 to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의 하단은 스팀하우징(2310)의 스팀토출부(2316)에 결합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의 상단은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main steam guide 2450 is coupled to the steam discharge portion 2316 of the steam housing 2310. The upper end of the main steam guide (2450) is coupled with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는 하측이 개구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의 상측에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가 조립되는 제 1 가이드결합부(2451)와,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가 조립되는 제 2 가이드결합부(2452)가 배치된다.The main steam guide 2450 is open at the bottom.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steam guide 2450, there is a first guide coupling part 2451 to which the first branch guide 2410 is assembled, and a second guide coupling part 2452 to which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is assembled. is placed.

상기 제 1 가이드결합부(2451) 및 제 2 가이드결합부(2452)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가이드결합부(2451) 및 제 2 가이드결합부(2452)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The first guide coupling portion 2451 and the second guide coupling portion 2452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guide coupling portion 2451 and the second guide coupling portion 2452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pipe.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는 상기 제 1 가이드결합부(2451)의 평단면과 대응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는 상기 제 2 가이드결합부(2451)의 평단면과 대응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The first branch guide 2410 is formed in a pipe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at cross-section of the first guide coupling portion 2451.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is formed in a pipe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at cross-section of the second guide coupling portion 2451.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한쪽(좌측)에 치우쳐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는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main steam guide 2450 is disposed skewed to one side (left 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100,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have a length of formed differently.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에 균등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의 관경을 다르게 제작하여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의 유량을 균등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air is equally supplied to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In this embodiment, the pipe diameters of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are manufactured differently,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can be made equal. there is.

예를 들어 길이가 짧은 스팀가이드의 관경을 작게 하고, 길이가 긴 스팀가이드의 관경을 크게하여 유량을 균등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flow rate can be made even 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short steam guide and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long steam guide.

상기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된다. The first diffuser 2430 and the second diffuser 2440 are symmetric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조립되고,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를 통해 스팀과 함께 공급된 공기를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토출시킨다. The first diffuser 2430 is assembled with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disposed at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301. The first diffuser 2430 discharges air supplied along with steam through the first branch guide 2410 to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301.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기 때문에, 스팀의 온도는 고온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온도는 실내온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50도 내지 70도 사이일 수 있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는 사용자에게 화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Since the steam generator 2300 generates steam by heating water,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is high. The temperature of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ffuser 2430 and the second diffuser 2440 may vary depending on the room temperature, but may be between 50 and 70 degrees.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ffuser 2430 and the second diffuser 2440 may cause burns to the user.

그래서 상기 가습어셈블리의 작동 시,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를 반드시 작동시키고, 사이드그릴(151)(152)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가습공기를 혼합시켜 가습공기의 온도를 낮춰야 한다. Therefore, when operating the humidification assembly,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must be operat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humidified air must be lowered by mix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ide grills 151 and 152 with the humidified air.

그래서 상기 디퓨저(2430)(2440)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측면토출구(301)(302)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믹스된다. Therefore,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diffusers 2430 and 2440 is mixed wit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스팀이 포함된 여과공기를 실어서 배출한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과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은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의 유량이 가습공기의 유량보다 크지만, 유속은 유사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어느 한쪽의 유속이 더 클 경우, 다른 한쪽의 유속에 대해 저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The first diffuser 2430 loads filtered air containing steam into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side outlet 301 and discharges it. Th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ffuser 2430 and th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side outlet 301 are similar. Although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301 is greater than the flow rate of the humidified air, it is desirable to have a similar flow rate. This is because if one side's flow rate is greater, it acts as resistance to the other side's flow rate.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디퓨저(2430)에서 토출된 스팀을 더 멀리 확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디퓨저(2440)도 동일한 원리로 작동된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side outlet 301 can diffuse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first diffuser 2430 further. The second diffuser 2440 also operates on the same principle.

상기 제 2 디퓨저(2440)는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조립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디퓨저(2440)는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를 통해 스팀과 함께 공급된 공기를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토출시킨다. The second diffuser 2440 is assembled with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and disposed at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 302. The second diffuser 2440 discharges air supplied along with steam through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to the second side outlet 302.

상기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는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 1 디퓨저(243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Since the first diffuser 2430 and the second diffuser 2440 have the same structure, the first diffuser 243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하측에서 스팀과 함께 공급된 공기 측면토출구로 토출시킨다. The first diffuser 2430 discharges air supplied with steam from the lower side through a side discharge port.

상기 디퓨저(본 실시예에서 제 1 디퓨저 및 제 2 디퓨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본 실시예에서 하측)이 개구되는 디퓨저하우징(2460)과,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디퓨저아웃릿(2431)(2441)와,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체결고정되는 디퓨저체결부(2432)(2442)와,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가이드(2420)(2430)과 조립되는 디퓨저인릿(2433)(2443)과,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2441)의 상측에 위치되고, 하측으로 돌출되는 어퍼디퓨저배리어(2434)와,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측으로 돌출되는 로어디퓨저배리어(2435)를 포함한다. The diffuser (the first diffuser and the second diffuser in this embodiment) has a space formed inside and a diffuser housing 2460 that is open on one side (lower side in this embodiment), and penetrates the diffuser housing 2460. Diffuser outlets (2431) (2441) formed in such a way, diffuser fastening parts (2432) (2442)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diffuser housing (2460) and fastened to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the diffuser housing Diffuser inlets (2433) (2443) disposed in (2460) and assembled with the steam guide (2420) (2430), and disposed in the diffuser housing (2460) and diffuser outlets (2431) (2441) An upper diffuser barrier 2434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protruding downward, and a lower diffuser barrier 2435 disposed in the diffuser housing 2460, located below the diffuser outlet 2431 and protruding upward. ) includes.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의 디퓨저아웃릿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디퓨져아웃릿(2431) 및 제 2 디퓨저아웃릿(2441)으로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의 디퓨저인릿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디퓨저인릿(2433) 및 제 2 디퓨저인릿(2443)으로 정의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diffuser outlets of the first diffuser 2430 and the second diffuser 2440, they are defined as the first diffuser outlet 2431 and the second diffuser outlet 2441. . Similarly, whe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diffuser inlets of the first diffuser 2430 and the second diffuser 2440, they are defined as the first diffuser inlet 2433 and the second diffuser inlet 2443.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디퓨저하우징(246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The diffuser outlet 2431 is formed in a slit shape. The diffuser outlet 2431 extends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diffuser outlets 2431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ffuser housing 2460. The diffuser outlet 2431 is arranged to face left or right.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토출구(301)(302) 근처에 배치된다. The diffuser outlet 2431 is disposed near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of the cabinet assembly 100.

상기 제 1 디퓨져아웃릿(2431)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2441)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우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The first diffuser outlet 2431 is disposed toward the lef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the second diffuser outlet 2441 is disposed toward the righ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아웃릿(2431)은 측면토출구(301)(302) 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토출구(301)(302)에서 토출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 보다 멀리 가습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iffuser outlet 2431 is disposed ahead of the side outlets 301 and 302, and the humidified air can flow farther by th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side outlets 301 and 302. .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은 내부에 디퓨저공간(2461)이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공간(2461)은 상기 디퓨저인릿(2433) 및 디퓨저아웃릿(2431)과 연통된다.The diffuser housing 2460 has a diffuser space 2461 formed therein. The diffuser space 2461 communicates with the diffuser inlet 2433 and the diffuser outlet 2431.

상기 디퓨저공간(246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평단면으로 볼 때, 상기 디퓨저공간(2461)의 내측은 넓고, 외측은 좁게 형성된다.The diffuser space 2461 extends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viewed in plan cross-section, the inside of the diffuser space 2461 is wide and the outside is narrow.

상기 디퓨저공간(2461)의 외측에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이 배치된다. 상기 디퓨저공간(2461)의 하측에 상기 디퓨저인릿(2433)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인릿(2433)은 파이프형태로 형성된다. The diffuser outlet 2431 is disposed outside the diffuser space 2461. The diffuser inlet 2433 is disposed below the diffuser space 2461. In this embodiment, the diffuser inlet 2433 is formed in a pipe shape.

상기 디퓨저인릿(2433)은 스팀가이드(24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디퓨저인릿(2433)이 스팀가이드(24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은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diffuser inlet 2433 is inserted into the steam guide 2420. The diffuser inlet 2433 is inserted into the steam guide 2420 to prevent condensed water generated inside the diffuser housing 246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에 맺힌 응축수는 상기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유동되고, 디퓨저인릿(2433)을 통해 스팀가이드(2420)로 이동된 후,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거쳐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회수될 수 있다.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inside the diffuser housing 2460 flows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moves to the steam guide 2420 through the diffuser inlet 2433, and then passes through the main steam guide 2450 to the steam generator 2300. ) can be recovered.

상기 가습팬(2500)의 작동 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의 응축수는 자연증발될 수 있다. 상기 가습팬(2500)이 작동되지 않을 경우,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에 맺힌 응축수는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회수될 수 있고, 드레인어셈블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When the humidifying fan 2500 operates, condensed water inside the diffuser housing 2460 may naturally evaporate due to flowing air. When the humidifying fan 2500 does not operate, condensed water condensed inside the diffuser housing 2460 can be recovered by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assembly.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은 내부에 맺힌 응축수를 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디퓨저공간(2461)을 구성하는 디퓨저어퍼월(2462) 및 디퓨저로어월(2464)은 경사면을 형성한다. The diffuser housing 2460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guide the condensed water formed inside to the lower side. To this end, the diffuser upper wall 2462 and diffuser lower wall 2464 constituting the diffuser space 2461 form an inclined surface.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은 외측이 높고 내측이 낮게 형성된 경사면이다.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은 디퓨저하우징(2460)의 상측벽을 형성한다.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의 하측에 상기 디퓨저공간(2461)이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은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를 형성한다.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에 맺힌 응축수는 디퓨저어퍼월(2462)의 경사를 따라 하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The diffuser upper wall 2462 is an inclined surface formed with a high outer side and a low inner side. The diffuser upper wall 2462 forms the upper wall of the diffuser housing 2460. The diffuser space 2461 is formed below the diffuser upper wall 2462. The diffuser upper wall 2462 is incli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ondensation water condensed on the diffuser upper wall 2462 can be easily moved downward along the slope of the diffuser upper wall 2462.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은 외측이 높고 내측이 낮게 형성된 경사면이다.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은 디퓨저하우징(2460)의 하측벽을 형성한다.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의 상측에 상기 대퓨저공간(2461)이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은 좌우 방향에 대해 경사를 형성한다.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에 맺힌 응축수는 디퓨저로어월(2464)의 경사를 따라 하측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The diffuser lower wall 2464 is an inclined surface formed with a high outer side and a low inner side. The diffuser lower wall 2464 forms the lower wall of the diffuser housing 2460. The large fuser space 246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ffuser lower wall 2464. The diffuser lower wall 2464 is incli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ondensation water condensed on the diffuser lower wall 2464 can be easily moved downward along the slope of the diffuser lower wall 2464.

그리고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은 내부에 맺힌 응축수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diffuser housing 2460 provides a structure that prevents condensed water condensed inside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에 맺힌 응축수는 가습팬(2500)에서 공급된 공기의 유동압력에 의해 디퓨져(2430)(2440) 밖으로 비산될 수 있다.Condensed water condensed in the diffuser housing 2460 may be scattered out of the diffuser 2430 and 2440 by the flow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humidifying fan 2500.

이를 방지하기 위해 디퓨저하우징(2460)에 상기 어퍼디퓨저배리어(2434) 및 로어디퓨져배리어(2435)가 배치된다. To prevent this, the upper diffuser barrier 2434 and lower diffuser barrier 2435 are disposed in the diffuser housing 2460.

상기 어퍼디퓨저배리어(2434)은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The upper diffuser barrier 2434 is disposed on the diffuser upper wall 2462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diffuser upper wall 2462.

상기 어퍼디퓨저배리어(2434)는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퍼디퓨저배리어(2434)은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의 가장 상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며, 디퓨저어퍼월(2462)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upper diffuser barrier 2434 is preferably disposed outside the diffuser upper wall 2462. The upper diffuser barrier 2434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diffuser upper wall 2462, protrudes downward from the uppermost side of the diffuser upper wall 2462, and extends in the front-back direction from the diffuser upper wall 2462. .

어퍼디퓨저배리어(2434)는 디퓨저아웃릿의 상측 일부를 막아 응축수의 이동을 제한한다. 공기의 유동압력에 의해 상기 디퓨저어퍼월(2462)을 따라 외측으로 밀려 이동된 응축수는 어퍼디퓨저배리어(2434)에 걸려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The upper diffuser barrier 2434 blocks the upper part of the diffuser outlet and limits the movement of condensate. The condensed water pushed outward along the diffuser upper wall 2462 by the flow pressure of the air is caught by the upper diffuser barrier 2434 and is block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로어디퓨저배리어(2435)은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lower diffuser barrier 2435 is disposed on the diffuser lower wall 2464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diffuser lower wall 2464.

상기 로어디퓨저배리어(2435)는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어디퓨저배리어(2435)은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의 가장 상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디퓨저로어월(2464)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lower diffuser barrier 2435 is preferably disposed outside the diffuser lower wall 2464. The lower diffuser barrier 2435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diffuser lower wall 2464,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most side of the diffuser lower wall 2464, and extends in the front-back direction from the diffuser lower wall 2464. .

로어디퓨저배리어(2435)는 디퓨저아웃릿의 하측 일부를 막아 응축수의 이동을 제한한다. 공기의 유동압력에 의해 상기 디퓨저로어월(2464)을 따라 외측으로 밀려 이동된 응축수는 로어디퓨저배리어(2435)에 걸려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The lower diffuser barrier 2435 blocks the lower part of the diffuser outlet to limit the movement of condensate. The condensed water pushed outward along the diffuser lower wall 2464 by the flow pressure of the air is caught by the lower diffuser barrier 2435 and is block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은 디퓨저공간(2461)의 전면을 형성하고, 전방을 향하게 배치된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과, 디퓨저공간(2461)의 배면을 형성하고, 후방향을 향하게 배치된 리어디퓨저하우징(2465)과,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은 상기 외측단(2463a)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2466)를 포함한다. And the diffuser housing 2460 forms the front of the diffuser space 2461, and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is arranged to face the front, and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3 forms the back of the diffuser space 2461 and is arranged to face the rear. The diffuser housing 2465 and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include a protrusion 2466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outer end 2463a.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 및 리어디퓨저하우징(2465) 사이에 상기 디퓨저공간(2461)이 형성된다. The diffuser space 2461 is formed between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and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면(2463c)은 어퍼커버(162)를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면(2463c)은 상기 어퍼커버(162)와 사이각 A2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면(2463c)은 상기 어퍼커버(162)의 배면에 밀착되고, 사이각이 0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내측면(2463b)은 디퓨저공간(2461)을 형성한다.The outer surface 2463c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is disposed to face the upper cover 162.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2463c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forms an angle A2 with the upper cover 162. Unlike this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2463c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cover 162, and the included angle can be formed as 0. The inner surface 2463b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forms a diffuser space 2461.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는 모터커버(318) 전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면(2465c)은 모터커버(318)의 전면에 밀착된다.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내측면(2465b)는 상기 디퓨저공간(2461)을 형성한다.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is located in front of the motor cover 318.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2465c of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motor cover 318. The inner surface 2465b of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forms the diffuser space 2461.

상기 모터커버(318)의 외측단은 사이드그릴(151)(152)까지 연장된다. 상기 모터커버(318)의 외측단은 토출공기를 상기 사이드그릴(151)(152)로 안내한다. The outer end of the motor cover 318 extends to the side grills 151 and 152. The outer end of the motor cover 318 guides the discharge air to the side grills 151 and 152.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 및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 사이에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이 배치된다. The diffuser outlet 2431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and the outer end 2465a of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 및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The diffuser outlet 2431 is formed by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and the outer end 2465a of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being spaced a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 및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거리 D1을 형성한다. To form the diffuser outlet 2431,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and the outer end 2465a of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form a separation distance D1 in the front-back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은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 및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의 좌우 방향 이격거리 D2를 형성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protrudes further outward than the outer end 2465a of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A separation distance D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formed between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and the outer end 2465a of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상기 외측단(2463a)에서 상기 돌출부(2466)의 전방 측 끝단(2466a)까지의 길이 D3를 형성한다. A length D3 is formed from the outer end 2463a to the front end 2466a of the protrusion 2466.

상기 돌출부(2466)의 전방 측 끝단(2466a)에서 프론트패널엔드의 배면(217a) 까지의 이격거리 D4를 형성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D4를 0으로 설정할 수는 없다. D4가 0인 경우,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 시 마찰 및 마찰소음이 발생된다. 도어어셈블리(200) 및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조립공차 또는 제작공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D4가 1mm인 경우도 실질적으로 제작이 어렵다. 그래서 기술적으로 상기 D4는 2mm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separation distance D4 is formed from the front end 2466a of the protrusion 2466 to the rear surface 217a of the front panel end. Since the door assembly 200 is structured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abinet assembly 100, D4 cannot be set to 0. When D4 is 0, friction and friction noise are generated when the door assembly 200 slides. Since assembly or manufacturing tolerances are required for the door assembly 200 and the cabinet assembly 100,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manufacture even when D4 is 1 mm. So, technically, it is desirable to set D4 to 2 mm or more.

상기 외측단(2463a)에서 상기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의 외측면(216a) 까지의 이격거리 D5를 형성한다. A separation distance D5 is formed from the outer end 2463a to the outer surface 216a of the second front panel side 216.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을 도어어셈블리(100)의 좌우 폭 내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도어어셈블리(200) 표면에 이슬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By arranging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withi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door assembly 100, dew condensation on the surface of the door assembly 200 can be minimized.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이 도어어셈블리(200)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단(2463a)이 도어어셈블리(200) 밖으로 돌출될 경우, 사이드그릴에서 토출된 토출공기가 가습공기를 전방으로 유동시키는 힘이 증가된다. 이로 인해 상기 프론트패널사이드에 이슬맺힘을 유발시킬 수 있다. It is desirable that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does not protrude outside the door assembly (200). When the outer end 2463a protrudes out of the door assembly 200, the force of the discharged air discharged from the side grill to flow humidified air forward increases. This may cause dew to form on the front panel side.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은 측면 사이드그릴(151)(152)과 전후 방향에 대해 동일선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사이드그릴(151)(152) 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side grilles 151 and 152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or may be disposed inside the side grills 151 and 152.

보다 정확하게는 사이드그릴(151)(152)에 배치된 베인(155)의 외측단(155a) 보다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이 측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 보다 프론트패널사이드가 측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More precisely,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is disposed laterally outside the outer end (155a) of the vane (155) disposed on the side grill (151) (152). And the front panel side is disposed laterally outside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은 상기 베인(155)의 외측단(155a) 또는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 보다 측방향 내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은 베인(155)의 좌우 방향 길이 내에 위치된다. The outer end 2465a of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is laterally located inside the outer end 155a of the vane 155 or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end 2465a of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is located within the left and right length of the vane 155.

복수개의 베인(155)들은 베인간격(BG)를 형성한다. 상기 복수개의 베인(155)들 중 가장 전방에 배치된 베인을 제 1 베인(156)이라 정의한다. A plurality of vanes 155 form a vane gap (BG). Among the plurality of vanes 155, the vane disposed most forward is defined as the first vane 156.

상기 제 1 베인(156)의 외측단(156a) 및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 사이에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이 배치된다. The outer end 2465a of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is disposed between the outer end 156a of the first vane 156 and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156)의 외측단(156a) 및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의 간격은 상기 베인간격(BG)와 같게 형성된다. And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end 156a of the first vane 156 and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vane gap BG.

상기 제 1 베인(156)의 외측단(156a) 및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 사이에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2441)이 배치된다. The diffuser outlets 2431 and 2441 are disposed between the outer end 156a of the first vane 156 and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상기 제 1 베인(156)의 외측단(156a) 보다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이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 보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이 더 전방에 배치된다. The outer end (2465a) of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is disposed ahead of the outer end (156a) of the first vane 156, and the front diffuser is positioned further forward than the outer end (2465a) of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The outer end 2463a of the housing 2463 is disposed further forward.

상기 돌출부(2466)는 상기 어퍼커버(162)의 외측 가장자리(162a)를 감싸게 배치된다. 즉, 정면에서 볼 때, 제 1 디퓨저(2430)의 돌출부(미도시) 및 제 2 디퓨저(2440)의 돌출부(2466) 사이에 상기 어퍼커버(162)가 위치된다. The protrusion 2466 is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edge 162a of the upper cover 162.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upper cover 162 is positioned between the protrusion (not shown) of the first diffuser 2430 and the protrusion 2466 of the second diffuser 2440.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은 도어어셈블리(100)의 좌우 폭 내에 위치된다. 즉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은 도어어셈블리(100)의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216a)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D5는 1mm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is located withi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door assembly (100). That is,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does not protrude beyond the left or right edge 216a of the door assembly 100. The D5 is preferably formed to be 1 mm or more.

상기 D5의 경우,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216a)에서 프론트패널(210)의 안쪽 방향을 (+)길이로 정의하고, 상기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216a)의 바깥쪽 방향을 (-) 길이로 정의한다. In the case of D5, the inner direction of the front panel 210 from the left edge or right edge 216a is defined as (+) length, and the outer direction of the left edge or right edge 216a is defined as (-) length. define.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216a)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경우(D5=0), 상기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216a) 표면에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When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left or right edge 216a of the front panel 210 (D5=0), dew may occur on the surface of the left or right edge 216a.

상기 D5가 1mm보다 큰 값일 때, 이슬맺힘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D5의 값이 증가될 수록,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과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좌측 가장자리 또는 우측 가장자리(216a) 거리가 증가되기 때문이다. When D5 is greater than 1 mm, dew formation can be reduced more effectively. This is because as the value of D5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and the left edge or right edge 216a of the front panel 210 increases.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제 1 프론트패널사이드(214) 및 제 2 프론트패널사이드(216) 표면에 이슬맺힘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D3 및 D4의 합산길이가 중요하다. And in order to minimize dew condensation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front panel side 214 and the second front panel side 216 of the front panel 210, the combined length of D3 and D4 is important.

본 실시예에서 상기 D3 및 D4의 합산길이(DL)는 5mm 이상으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mbined length (DL) of D3 and D4 is 5 mm or more.

예를 들어, 상기 D3가 3mm인 경우, D4는 2mm 이상이어야 하고, D4가 2mm인 경우, 상기 D3는 3mm 이상이어야 한다. For example, if D3 is 3mm, D4 must be 2mm or more, and if D4 is 2mm, D3 must be 3mm or more.

상기 합산길이(DL)가 5mm 이상일수록 이슬맺힘을 억제할 수 있다. When the total length (DL) is 5 mm or more, dew formation can be suppressed.

상기 합산길이(DL)가 길어질수록 사이드그릴(151)(152) 전방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합산길이(DL)는 5mm 이상 10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the summed length DL becomes longer, the length in front of the side grilles 151 and 152 becomes longer.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summed length DL is preferably formed to be 5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본 실시예에서 설계공차 및 제작공차를 고려하여 상기 D3은 6mm 내지 7mm로 형성되고, 조립공차를 고려하여 상기 D4는 2mm 내지 3mm로 형성되며, 상기 합산길이(DL)는 8mm 내지 10mm로 설정된다. In this embodiment, considering design and manufacturing tolerances, D3 is formed to be 6 mm to 7 mm, and considering assembly tolerances, D4 is formed to be 2 mm to 3 mm, and the total length (DL) is set to 8 mm to 10 mm. .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은 어퍼캐비닛(1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어퍼커버(162)에 밀착된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은 어퍼커버(162)의 후방에 위치되고, 어퍼커버(162)의 배면에 밀착된다.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cover 162 that covers the front of the upper cabinet 110.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is located behind the upper cover 162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upper cover 162.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은 어퍼커버(162)의 측면 가장자리(162a)를 감싸게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외측단(2463a)이 어퍼커버(162)의 측부를 감싸기 때문에, 상기 어퍼커버(162)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is formed to surround the side edge 162a of the upper cover 162. Since the outer end 2463a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surrounds the side of the upper cover 162, the side of the upper cover 16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돌출부(2466)는 프론드디퓨저하우징(2463)과 단차를 형성하고, 전방으로 돌출된다. The protrusion 2466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forms a step with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and protrudes forward.

그래서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돌출부(2466)는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돌출부(2466)를 디퓨저하우징 데코부로 정의한다. Therefore, the protrusion 2466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the protruding portion 2466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is defined as the diffuser housing decoration portion.

상기 디퓨저하우징 데코부는 도어어셈블리(200)의 배면 가장자리 배치되고, 도어어셈블리(200)의 측면 가장자리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되지 않는다. The diffuser housing decoration portion is disposed on the rear edge of the door assembly 200 and does not protrude further laterally than the side edge of the door assembly 200.

상기 디퓨저하우징 데코부가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 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디퓨저(2430)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diffuser housing decoration portion is disposed to protrude further laterally than the outer end 2465a of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the straight flow of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diffuser 2430 can be improved.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은 측면 사이드그릴(151)(152) 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외측단(2465a)은 측면사이드그릴(151)(152) 및 프론트디퓨져하우징(2463) 사이에 배치된다. The outer end 2465a of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is disposed inside the side side grills 151 and 152. Based on the front-to-rear direction, the outer end (2465a) of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is disposed between the side side grills (151) (152) and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상기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은 측면 사이드그릴(151)(152)의 경사방향으로 배치되고, 측면토출구(301)(3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시킨다.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is disposed in an inclined direction of the side grilles 151 and 152, and minimizes resistance to air discharged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스팀을 포함하는 공기의 측방향을 향하는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is preferably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arranging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straight flow of air containing steam in the lateral direction can be improved.

상기 어퍼커버(162) 및 프론트패널바디(212)는 평행하게 배치된다. The upper cover 162 and the front panel body 212 are arranged in parallel.

평단면으로 볼 때,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면(200a)을 기준으로, 상기 전면(200a) 및 사이드그릴(151)(152)의 베인(155)의 사이각을 A1으로 정의한다. 상기 사이각 A1은 전방을 향하게 배치되고, 40도 내지 50도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각 A1은 45도로 형성된다. When viewed in plan cross-section, based on the front surface 200a of the front panel body 212, the angle between the front surface 200a and the vanes 155 of the side grilles 151 and 152 is defined as A1. The included angle A1 is disposed facing forward and may be formed between 40 degrees and 50 degrees. In this embodiment, the included angle A1 is formed at 45 degrees.

평단면으로 볼 때,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면(200a)을 기준으로, 상기 전면(200a) 및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사이각을 A2로 정의한다. When viewed in plan cross-section, based on the front surface 200a of the front panel body 212, the angle between the front surface 200a and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is defined as A2.

상기 사이각 A2는 0도 이상 40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cluded angle A2 may be formed between 0 degrees and 40 degrees.

상기 사이각 A1 및 사이각 A2의 차가 클 수록 상기 프론트패널사이드 표면에 발생되는 이슬맺힘을 억제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사이각 A2는 0도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 사이각 A2는 5도로 형성된다. The larg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cluded angle A1 and the included angle A2, the m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dew forming on the front panel side surface. Therefore, the included angle A2 is preferably 0 degrees, and in this embodiment, the included angle A2 is formed at 5 degrees.

평단면으로 볼 때,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면(200a)을 기준으로, 상기 전면(200a) 및 리어디퓨저하우징(2465)의 사이각을 A3로 정의한다. When viewed in plan cross-section, based on the front surface 200a of the front panel body 212, the angle between the front surface 200a and the rear diffuser housing 2465 is defined as A3.

상기 사이각 A3는 베인(155)의 각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cluded angle A3 is preferably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angle of the vane 155.

상기 사이각 A2를 고려할 때 상기 사이각 A3는 A2 보다 크고 A1보다 작게 형성된다. Considering the included angle A2, the included angle A3 is formed to be larger than A2 and smaller than A1.

상기 사이각 A3가 베인(155)의 경사각(A1)보다 클 경우, 상기 사이드그릴로 향하는 공기에 저항을 발생시킨다. When the included angle A3 is great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A1 of the vane 155, resistance is generated in the air directed to the side grill.

상기 쉬라우드(314)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Sh)과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면(200a)은 사이각 B1을 형성한다. The direction (Sh) toward which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shroud 314 faces and the front surface 200a of the front panel body 212 form an angle B1.

상기 허브(31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A)과 상기 프론트패널바디(212)의 전면(200a)은 사이각 B2를 형성한다. The direction A toward which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hub 312 faces and the front surface 200a of the front panel body 212 form an angle B2.

상기 쉬라우드(314)의 사이각 B1은 상기 베인(155)의 사이각 A1과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브(312)의 사이각 B2는 상기 베인(155)의 사이각 A1과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cluded angle B1 of the shroud 314 is preferably formed to be equal to the included angle A1 of the vane 155. The included angle B2 of the hub 312 is preferably formed to be equal to the included angle A1 of the vane 155.

상기 쉬라우드(314)의 방향(Sh), 허브(312)의 방향(A) 및 베인(155)의 방향(A1)이 같거나 유사해야 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The direction (Sh) of the shroud 314, the direction (A) of the hub 312, and the direction (A1) of the vane 155 must be the same or similar to minimize air flow resistance.

본 실시예에서는 허브(312)의 방향(A) 및 베인(155)의 방향(A1)을 같게 형성하고, 쉬라우드(314)의 방향(Sh)은 상기 사이각 A1 보다 완만하게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 A of the hub 312 and the direction A1 of the vane 155 are formed to be the same, and the direction Sh of the shroud 314 is formed to be gentler than the included angle A1.

본 실시예에서 상기 쉬라우드(314)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Sh) 및 허브(31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A) 사이에 상기 사이드그릴의 복수개 베인(155)들이 모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vanes 155 of the side grill are disposed between the direction (Sh) toward which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shroud 314 faces and the direction (A) toward which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hub 312 faces.

즉, 상기 쉬라우드(314)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Sh) 보다 후방에 상기 베인(155)들이 위치되고, 상기 허브(31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A) 보다 전방에 상기 베인(155)들이 위치된다. That is, the vanes 155 are located rearward than the direction (Sh) toward which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shroud 314 faces, and the vanes 155 are located forward from the direction (A) toward which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hub 312 faces. ) are located.

그리고 허브(31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A) 보다 후방에 디퓨저아웃릿(2431)(2441)이 위치된다. 상기 허브(31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A)은 보다 후방에 상기 돌출부(2466)이 배치된다. And the diffuser outlets 2431 and 2441 are located rearward of the direction A toward which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hub 312 faces. In the direction A toward which the outer peripheral end of the hub 312 faces, the protrusion 2466 is disposed further rearward.

그래서 평단면으로 볼 때,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의 디퓨저공간(2461)은 내측이 넓고, 바깥쪽에 좁아지게 형성된다. 평단면으로 볼 때, 상기 디퓨저공간(2461)은 바깥쪽에 뾰족한 쐐기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viewed in plan cross-section, the diffuser space 2461 inside the diffuser housing 2460 is wide on the inside and narrow on the outside. When viewed in plan cross-section, the diffuser space 2461 may be formed in a sharp wedge shape on the outside.

상기 디퓨저공간(2461)의 뾰족한 부분에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이 배치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측면토출구(301)(302)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도어어셈블리(200) 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그릴(151)(152)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The diffuser outlet 2431 is disposed on a sharp portion of the diffuser space 2461. The diffuser outlet 2431 is disposed ahead of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The diffuser outlet 2431 is disposed rearward than the door assembly 200 and forward than the side grills 151 and 152.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전방 우측 및 전방 좌측을 향해 공기를 토출하고, 가습공기는 상기 측면토출구(301)(302) 전방으로 토출된다. 측면토출구(301)(302) 전방으로 가습공기를 토출할 경우, 가습공기를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discharge air toward the front right and front left, and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forward from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When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in front of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the humidified air can flow farther.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2000)는 가습을 제공할 때, 수분의 도달거리를 가습팬(2500)의 출력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수분을 보다 멀리 유동시키기 위해 가습팬(2500)의 출력에만 의존할 경우, 가습팬(2500)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가습팬(2500)을 고속으로 작동시켜야만 한다. When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provides humidification, the reach distance of moisture does not depend solely on the output of the humidification fan 2500. When relying only on the output of the humidifying fan 2500 to move moisture farther, the capacity of the humidifying fan 2500 must be increased or the humidifying fan 2500 must be operated at high speed.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어셈블리(2000)를 작동시킬 때,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공기유동에 수분을 실어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용량이 작은 가습팬(2500)을 사용하여도 실내의 먼곳까지 가습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operating the humidifying assembly 2000, moisture can be loaded into the air flow of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and flow farther. In this case, even when using a humidifying fan (2500) with a small output capacity, humidification can be provided to a distant part of the room.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가 측면토출구(301)(302)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 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가습공기를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If the diffuser outlet 2431 is placed in front of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rather than behind it, the humidified air can flow farther.

한편,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스트림(HA)과 상기 베인(152)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의 스트림(DA)은 교차될 수 있다. 상기 가습공기의 스트림(HA) 및 토출공기의 스트림(DA)을 교차시키기 위해, 상기 프론트디퓨저하우징(2463)의 경사방향과 베인(152)의 경사방향이 교차된다. Meanwhile, the humidified air stream (HA) discharged from the diffuser outlet 2431 and the discharge air stream (DA) discharged from the vane 152 may intersect. In order to intersect the humidified air stream (HA) and the discharge air stream (DA),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front diffuser housing 2463 and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vane 152 intersect.

<<가습팬의 구성>><<Composition of humidifying fan>>

상기 가습팬(2500)은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여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과 함께 여과공기를 스팀가이드(2400)로 유동시킨다. The humidifying fan 2500 sucks in the filter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and supplies it to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supplies the filtered air together with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2300 to the steam guide 2400. Let it flow.

상기 가습팬(2500)은 스팀 및 여과공기(본 실시예에서 가습공기라 한다)를 디퓨저(2430)(2440)에서 토출시키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킨다. The humidifying fan 2500 generates an air flow that discharges steam and filtered air (referred to as humidified air in this embodiment) from the diffusers 2430 and 2440.

상기 가습팬(2500)은,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여과공기를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안내하는 가습팬하우징(2530)과, 하측이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필터어셈블리(600)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제공하는 클린흡입덕트(2540)와,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의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시키는 가습임펠러(2510)와,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를 회전시키는 가습모터(2520)를 포함한다. The humidifying fan 2500 sucks in filter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and includes a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that guides the sucked filtered air to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he lower side of the humidifying fan housing. A clean suction duct 2540 connected to (2530), the upper side of which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lter assembly 600 to provide filtered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to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and A humidifying impeller 2510 disposed inside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and flowing the filtered air of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to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disposed in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It includes a humidification motor (2520) that rotates the humidification impeller (2510).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제공한다.The clean suction duct 2540 provides filter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to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어퍼캐비닛(110)에 배치되고, 가습팬(2500)은 로어캐비닛(120)에 배치되기 때문에 높이차가 있다. 즉, 필터어셈블리(600)는 가습팬(2500)의 상부에 위치된다.Since the filter assembly 600 is placed in the upper cabinet 110 and the humidifying fan 2500 is placed in the lower cabinet 120, there is a height difference. That is, the filter assembly 600 is located above the humidifying fan 2500.

특히,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로 유동되고, 로어캐비닛(120)으로는 여과공기가 유동되지 않거나 유동이 어렵다. 구체적으로 로어캐비닛(120)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지 않는 이상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여과공기가 유동되거나 순환되지는 않는다. In particular, the filtered air that passes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flows to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and the filtered air does not flow or is difficult to flow to the lower cabinet 120. Specifically, since there is no part in the lower cabinet 120 where air is discharged, filtered air does not flow or circulate within the lower cabinet 120 unless air is artificially supplied.

더불어 어퍼캐비닛(110)의 하측에는 열교환어셈블리를 지지하고,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팬(140)이 배치되기 때문에,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여과공기가 로어캐비닛(120)으로 유동되는데는 제약이 많다.In addition, since the drain pan 14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abinet 110 to support the heat exchange assembly and collect condensate,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flow of filtered air inside the upper cabinet 110 to the lower cabinet 120. many.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의 상측단은 어퍼캐비닛(110) 내부에 위치되고, 하단은 로어캐비닛(120) 내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여과공기를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유로를 제공한다. The upper end of the clean suction duct 2540 is located inside the upper cabinet 110, and the lower end is located inside the lower cabinet 120. That is, the clean suction duct 2540 provides a flow path for filtered air inside the upper cabinet 110 to flow into the lower cabinet 120.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어퍼캐비닛(110) 내부에 배치되고, 여과공기가 흡입되는 제 1 클린덕트부(2542)와,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부에 배치되고, 가습팬하우징(2530)에 결합되는 제 2 클린덕트부(2544)를 포함한다. The clean suction duct 2540 is disposed inside the upper cabinet 110, and includes a first clean duct portion 2542 through which filtered air is sucked, and a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disposed inside the lower cabinet 120. It includes a second clean duct portion 2544 coupled to.

상기 제 1 클린덕트부(2542) 및 제 2 클린덕트부(2544)는 일체로 제작된다. The first clean duct portion 2542 and the second clean duct portion 2544 are manufactured as one piece.

상기 제 1 클린덕트부(2542)는 열교환어셈블리를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클린덕트부(2544)는 가습팬하우징(2530)을 향하게 배치된다.The first clean duct portion 2542 is disposed toward the heat exchange assembly, and the second clean duct portion 2544 is disposed toward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클린덕트부(2542)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클린덕트부(2544)는 수직하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lean duct part 2542 is arranged horizontally, and the second clean duct part 2544 is arranged vertically.

상기 제 1 클린덕트부(2542)는 열교환어셈블리 전방에 위치되고, 필터어셈블리(600)를 향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클린덕트부(2542)는 열교환어셈블리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클린덕트부(2542)는 열교환어셈블리의 하부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클린덕트부(2542)는 열교환어셈블리 또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향해 개구된 제 1 클린덕트 개구면(2541)이 형성된다. The first clean duct portion 2542 is locat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and is arranged to face the filter assembly 600.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lean duct portion 2542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The first clean duct portion 2542 is located in the lower front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The first clean duct portion 2542 is formed with a first clean duct opening surface 2541 that opens toward the heat exchange assembly or filter assembly 600.

상기 제 2 클린덕트부(2544)는 상기 제 1 클린덕트부(2542)를 통해 공급된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으로 안내한다. 상기 제 2 클린덕트부(2544)의 하단은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조립된다. The second clean duct part 2544 guides the filtered air supplied through the first clean duct part 2542 to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lean duct portion 2544 is assembled to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상기 제 2 클린덕트부(2544)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팬(140)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클린덕트부(2544)는 드레인팬(140)의 전방에 위치된다. The second clean duct portion 2544 may be arranged vertically and across the drain pan 140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lean duct portion 2544 is located in front of the drain pan 140.

상기 제 2 클린덕트부(2544)는 후술하는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제 1 흡입개구면(2552)과 연통되는 제 2 클린덕트 개구면(2543)이 형성된다. The second clean duct portion 2544 is formed with a second clean duct opening surface 2543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suction opening surface 2552 of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은 클린흡입덕트(2540)과 결합되고, 여과공기가 흡입되고, 내부에 제 1 흡입공간(2551)이 형성된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으로 부터 여과공기를 제공받고, 내부에 제 2 흡입공간(2561)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가습임펠러(2510)가 배치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의 작동에 의해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안내하는 제 2 가습팬하우징(2560)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과 연통되고, 일측(본 실시예에서 상측)을 향해 개방된 제 1 흡입개구면(2552)과,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과 연통되고, 타측(본 실시예에서 하측)을 향해 개방된 제 2 흡입개구면(2562)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 및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관통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 및 제 2 흡입공간(2561)을 연통시키는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과,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모터(2520)가 설치되는 모터설치부(2565)를 포함한다.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is coupled to the clean suction duct 2540, filtered air is sucked, and a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is formed with a first suction space 2551 therein, and the first humidifying fan It is combined with the housing 2550 to receive filtered air from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a second suction space 2561 is formed inside,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is disposed therein, and the It is formed in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which guides filtered air to the steam generator 2300 by the operation of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and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and the first suction space ( 2551) and a first suction opening surface 2552 open toward one side (the upper side in this embodiment), formed in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and the second suction space 2561, It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uction opening surface 2562 that is open toward the other side (the lower side in this embodiment), and penetrates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and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and the first A first suction space discharge unit 2553 that communicates the suction space 2551 and the second suction space 2561, and a motor disposed in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and on which the humidifying motor 2520 is installed. Includes an installation unit 2565.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은 상측을 향해 제 1 흡입개구면(2552)이 형성된다.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은 상기 흡입개구면(2552)에 연결된다. 반면에,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은 하측을 향해 제 2 흡입개구면(2562)이 형성된다.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has a first suction opening surface 2552 formed toward the upper side. The clean suction duct 254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surface 2552.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has a second suction opening surface 2562 formed toward the lower sid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흡입개구면(2552)의 개구된 방향과 상기 제 2 흡입개구면(2562)이 개구된 방향은 반대다. 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irst suction opening surface 2552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econd suction opening surface 2562 are opposite.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하측면(2554)은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 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의 상측면(2564)은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The lower side 2554 of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is formed in a round shape and is located lower than the first suction space discharge portion 2553. The upper side 2564 of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is formed in a round shape and is located above the first suction space discharge portion 2553.

상기 가습모터(2520)의 모터축(미도시)은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관통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에 조립된다. The motor shaft (not shown) of the humidifying motor 2520 penetrates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and is assembled to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상기 모터설치부(2565)는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모터설치부(2565)에 가습모터(252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The motor installation part 2565 protrudes rearward from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and the humidifying motor 252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motor installation part 2565.

제 1 흡입공간(2551)이 형성된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제 2 흡입공간(2561)이 형성된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이 각각 제작된 후 조립될 수 있다.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with the first suction space 2551 and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with the second suction space 2561 may be manufactured and then assembled.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3파트를 조립하여 가습팬하우징(2530)을 제작한다.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is manufactured by assembling three parts to simplify the assembly structure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s.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은,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가습팬하우징부(2531)과,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의 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나머지 및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와,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의 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모터설치부(2565)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의 나머지를 구성하는 제 3 하우징부(2533)을 포함한다.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is formed to surround the front of the first suction space 2551 and includes a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portion 2531 that forms a part of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and the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rear of the first suction space 2551,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front of the second suction space 2561, the first suction space discharge portion 2553 is formed, and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 2550) and a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portion 2532 constituting a portion of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formed to surround the rear of the second suction space 2561, and the motor installation portion ( 2565) is disposed and includes a third housing portion 2533 that constitutes the remainder of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이 제 1 가습팬하우징(2550) 및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서 공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부품 수를 단순화하게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part 2532 is commonly used in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and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the number of parts can be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에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는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A first suction space discharge part 2553 is formed in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part 2532. The first suction space discharge part 2553 is formed to penetrate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part 2532 in the front-back direction.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는 가습임펠러(2510) 측으로 돌출되고, 원형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suction space discharge portion 2553 protrudes toward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an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는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를 형성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 측으로 돌출되는 오리피스부(2534)가 형성된다.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portion 2532 forms the first suction space discharge portion 2553, and an orifice portion 2534 protruding toward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is formed.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는 전방에 제 1 흡입공간(2551)이 배치되고, 후방에 제 2 흡입공간(2561)이 배치된다.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part 2532 has a first suction space 2551 at the front and a second suction space 2561 at the rear.

상기 가습임펠러(2510)는 중앙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이다. 상기 가습임펠러(251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통해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된다.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is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air toward the center and discharges ai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flows to the steam generator 2300 through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상기 가습모터(2520)의 구동에 따른 여과공기의 유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flow of filtered ai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humidifying motor 2520 is as follows.

상기 가습모터(2520)의 구동 시, 상기 가습모터(2520)와 결합된 가습임펠러(2510)이 회전된다. 상기 가습임펠러(2510)가 회전되면, 가습팬하우징(2530) 내에서 공기유동이 발생되고, 클린흡입덕트(2540)를 통해 여과공기가 흡입된다.When the humidifying motor 2520 is driven,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coupled to the humidifying motor 2520 rotates. When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rotates, air flow is generated within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and filtered air is sucked in through the clean suction duct 2540.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을 통해 흡입된 여과공기는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제 1 흡입공간(2551) 및 제 1 흡입공간 토출부92553)을 거쳐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으로 유동된 공기는 가습임펠러(2510)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된 후, 제 2 흡입개구면(2562)를 통해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로 유동된다. The filtered air sucked through the clean suction duct (2540) passes through the first suction space (2551) and the first suction space outlet 92553 of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to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It flows.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is pressurized by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flows downward along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and then flows through the second suction opening surface 2562. It flows into the steam generator (2300).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공기흡입부(2318)을 통해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유동된 여과공기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과 함께 스팀토출부(2316)로 토출된다.The filtered air flowing into the steam housing 2310 through the air intake unit 2318 of the steam generator 2300 is discharged to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together with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2300.

상기 스팀토출부(2316)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메인스팀가이드(2450)에서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으로 분기된다.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branches from the main steam guide 2450 to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로 유동된 가습공기는 제 1 디퓨저(2440)를 통해 제 1 측면토출구(301)로 토출되고,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로 유동된 가습공기는 제 2 디퓨저(2450)를 통해 제 2 측면토출구(302)로 토출된다. The humidified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branch guide 2410 is discharged to the first side outlet 301 through the first diffuser 2440, and the humidified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ffuser. It is discharged to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 (302) through (2450).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를 통해 생성된 바람과 함께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으로 확산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를 통해 생성된 바람과 함께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우측으로 확산된다.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side outlet 301 spreads to the lef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long with the wind generated through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and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side outlet 302 The air spreads to the righ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long with the wind generated through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도 23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운전 시 유동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스팀살균 운전 시 유동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Figure 2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flow during humidification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flow during steam sterilization ope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가 가습운전되는 경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클린흡입덕트(2540)를 통해 가습팬(2500)으로 흡입되고, 상기 가습모터(2520)의 구동에 의해 흡입된 여과공기가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된다. Referring to FIG. 23, when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operated to humidify, the filtered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is sucked into the humidifying fan 2500 through the clean suction duct 2540, and the humidifying motor ( The filtered air sucked by the drive (2520) flows to the steam generator (2300).

상기 가습팬(2500)에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500)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되고, 공기흡입부(2318)를 통해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유동된 여과공기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과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여과공기는 스팀하우징(2310)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스팀과 혼합될 수 있고, 상기 스팀 및 여과공기의 혼합을 통해 가습공기가 형성된다. The air flowing from the humidifying fan 2500 to the steam generator 2500 flows from top to bottom and flows into the steam housing 2310 through the air intake part 2318. The filtered air flowing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may be mixed with the steam generated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The filtered air may be mixed with the steam while moving horizontally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and humidified air is formed through mixing of the steam and the filtered air.

가습운전 시,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 중 제 1 히터부(2321)에만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 1 히터부(2321)만 발열된다. During the humidifying operation, power is applied to only the first heater unit 2321 among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nd only the first heater unit 2321 generates heat.

상기 가습팬(2500)이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토출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서 공기를 빨아들이는 구조인 경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스팀이 필터어셈블리(600) 측으로 역류될 수 있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에 응축수를 생성시킬 가능성이 있다. When the humidifying fan 2500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has a structure to suck air from the steam housing 2310, steam from the steam generator 2300 flows back toward the filter assembly 60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condensate may be generated in the filter assembly 60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팬(2500)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 측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여과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이 필터어셈블리(600)으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ying fan 2500 blows air toward the steam generator 2300 to supply filtered air, thereby preventing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or 2300 from flowing back into the filter assembly 600. can do.

상기 가습팬(2500)이 작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공기흡입부(2318)를 통해 스팀이 역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팬(2500)이 상기 스팀하우징(2310)을 향해 공기를 불어넣어 공급하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발생된 스팀이 공기 흡입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the humidifying fan 2500 does not operate, steam may flow back through the air intake unit 2318.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humidifying fan 2500 supplies air by blowing it toward the steam housing 23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2300 from flowing back toward the air intake side.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가습공기는 스팀토출부(2316)를 통해 스팀하우징(2310) 밖으로 토출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의 상부에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가 배치되고, 상기 가습공기는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따라 상측으로 유동된다. The humidified air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is discharged out of the steam housing 2310 through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The main steam guide 245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and the humidified air flows upward along the main steam guide 2450.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유동하는 가습공기는 실내공기 보다 뜨겁기 때문에, 밀도차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유동하는 가습공기는 가습팬(2500)에 의한 공기압력 및 밀도차에 의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동될 수 있다. Since the humidified air flowing through the main steam guide 2450 is hotter than indoor air, it may rise due to a density difference. The humidified air flowing through the main steam guide 2450 may naturally flow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due to the difference in air pressure and density caused by the humidifying fan 2500.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의 가습공기는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로 나뉜 후 제 1 디퓨저(2430) 또는 제 2 디퓨저(2440)에 공급된다. The humidified air from the main steam guide 2450 is divided into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and then supplied to the first diffuser 2430 or the second diffuser 2440.

실내의 컨디션에 따라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제 2 분지가이드(2420), 제 1 디퓨저(2430) 또는 제 2 디퓨저(2440)에서 응축수가 생성될 수 있다. Depending on indoor conditions, condensed water may be generated in the first branch guide 2410,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the first diffuser 2430, or the second diffuser 2440.

스팀가이드(240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다. 자중에 의해 상기 디퓨저(2430)(2440)에서 분지가이드(2410)(2420)로 이동되는 응축수는 상기 디퓨저인릿(2433)(2443)을 통해 상기 분지가이드(2410)(2420)의 상부로 유입된다. Condensate generated in the steam guide 2400 is mov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Condensate moved from the diffuser (2430) (2440) to the branch guides (2410) (2420) by its own weight flows into the upper part of the branch guide (2410) (2420) through the diffuser inlet (2433) (2443). do.

상기 디퓨저인릿(2433)(2443)을 통해 상기 분지가이드(2410)(2420)로 응축수가 이동될 때, 상기 응축수 및 공기의 간섭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려는 응축수와 상측으로 유동되는 가습공기가 마찰을 발생시키고, 상기 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When condensed water moves to the branch guides 2410 and 2420 through the diffuser inlets 2433 and 2443, noise may be generated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condensed water and air. Condensate moving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and humidified air flowing upward generate friction, and noise may be generated due to the friction.

즉, 상기 디퓨저인릿(2433)(2443)의 내측면에서 응축수가 분리되면, 상측으로 유동되는 가습공기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응축수가 만나 소음이 발생된다. That is, when condensate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er inlets 2433 and 2443, the humidified air flowing upward and the condensate moving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meet and generate noise.

생성된 응축수가 소량인 경우,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할 정도의 소음이지만, 다량의 응축수가 생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소음이 발생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디퓨저인릿(2433)(2443) 및 분지가이드(2410)(2420)가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응축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저감구조가 형성된다.When a small amount of condensate is generated, the noise is so loud that the user cannot perceive it, but when a large amount of condensate is generated, the noise is so loud that the user can perceive it. To solve this problem, a noise reduction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condensate noise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diffuser inlet (2433) (2443) and the branch guide (2410) (2420) are join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음저감구조를 위해 디퓨저인릿(2433)(2443)의 내경(P1)이 상기 분지가이드(2410)(2420)의 내경(P2)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디퓨저인릿(2433)(2443)의 하단(2433a) 및 분지가이드(2410)(2420) 내측면 사이에 단(GP)을 형성시킨다. In this embodiment, for the noise reduction structure, the inner diameter (P1) of the diffuser inlets (2433) (2443)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P2) of the branch guides (2410) (2420). Through this, a stage (GP)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s (2433a) of the diffuser inlets (2433) (2443)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branch guides (2410) (2420).

상기 디퓨저인릿(2433)(2443)의 내경(P1)이 상기 분지가이드(2410)(2420)의 내경(P2) 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측에서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디퓨저인릿의 하단(2433a)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분지가이드의 내측면(2410a)으로 이동된다. Since the inner diameter (P1) of the diffuser inlet (2433) (2443)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P2) of the branch guide (2410) (2420), the condensate flowing from the upper side is at the bottom (2433a) of the diffuser inlet. It is moved to the inner surface 2410a of the branch guide by surface tension.

분지가이드에서 디퓨저인릿의로 공기가 유동될 때, 내경이 P2에서 P1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디퓨저인릿의 하단(2433a) 주변에서 공기 저항이 형성되고, 공기 스트림이 분지가이드(2410)(2420)의 내측면(2410a) 보다는 디퓨저인릿의 내경(P1)으로 유동되려는 현상을 유발시킨다.When air flows from the branch guide to the diffuser inlet, since the inner diameter decreases from P2 to P1, air resistance is formed around the lower end (2433a) of the diffuser inlet, and the air stream flows through the branch guide (2410) (2420) ) causes the phenomenon of trying to flow to the inner diameter (P1) of the diffuser inlet rather than the inner surface (2410a) of the diffuser inlet.

즉, 상기 내경이 좁아지는 상기 단(GP)를 통해 응축수는 분지가이드의 내측면(2410a)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고, 가습공기의 풍압으로 인해 상기 디퓨저인릿(2433)(2443)의 내측면에서 응축수가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at is, through the stage (GP) where the inner diameter is narrowed, condensate can flow downward along the inner surface (2410a) of the branch guide, and the wind pressure of the humidified air causes the condensate to flow downward in the diffuser inlet (2433) (2443). Separation of condensate from the inner surface can be minimized.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디퓨저인릿(2433)(2443)의 내경(P1)과 상기 분지가이드(2410)(2420)의 내경(P2)을 같게 형성시키고, 상기 디퓨저인릿의 내측면(2433b)과 분지가이드의 내측면(2410a)을 연속된 면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Unlike this embodiment, the inner diameter (P1) of the diffuser inlet (2433) (2443) and the inner diameter (P2) of the branch guide (2410) (2420) are formed to be the same, and the inner side (2433b) of the diffuser inlet The inner surface 2410a of the branch guide may be formed as a continuous surface.

한편, 상기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에 공급된 가습공기는 각 제 1 디퓨져아웃릿(2431) 및 제 2 디퓨저아웃릿(2441)에서 토출된다. Meanwhile, the humidified air supplied to the first diffuser 2430 and the second diffuser 2440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diffuser outlet 2431 and the second diffuser outlet 2441, respectively.

다음으로, 가습어셈블리를 스팀살균하는 경우, 가습팬(2500)은 작동되지 않고 스팀제너레이터(2300)만 작동된다. 상기 상기 스팀살균 운전 시,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 모두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제 1 히터부(2321)만 발열된다. Next, when steam sterilizing the humidification assembly, the humidifying fan 2500 does not operate and only the steam generator 2300 operates. During the steam sterilization operation, power is applied to both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nd only the first heater unit 2321 generates heat.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를 모두 작동시키는 경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저장된 물을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고, 생성된 스팀의 온도를 급상승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량의 물로도 스팀가이드(2400) 전체를 살균할 수 있다. When both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re operated, the water stored in the steam generator 2300 can be quickly heat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generated steam can be rapidly increased. The entire steam guide (2400) can be sterilized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상기 스팀살균 운전 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 및 물탱크(2100)의 물은 함께 배수될 수 있다. After the steam sterilization operation,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water in the water tank 2100 may be drained together.

도 25는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가 도시된 실내기의 정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평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디퓨저 및 사이드그릴의 단면 사시도이다. Figure 25 is a front view of an indoor unit showing a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6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5. Figure 2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diffuser and side grill shown in Figure 26.

본 실시예는 제 1 디퓨저(12430) 및 제 2 디퓨저(12440)의 배치가 상기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만 배치된다.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diffuser 12430 and the second diffuser 12440. In this embodimen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is disposed.

본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12430)(12440)는 사이드그릴(152)의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각 디퓨저아웃릿(2431)(2441)은 전방을 향하게 배치된다. The diffusers 12430 and 1244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r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ide grill 152, and each of the diffuser outlets 2431 and 2441 is disposed facing forward.

상기 디퓨저(12430)(1244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쐐기 형태로 형성되고, 뾰족한 디퓨저아웃릿(2341)(2441)이 전방에 배치된 사이드그릴(152)의 베인(155)을 향하게 배치된다. The diffusers 12430 and 12440 are formed in a wedge shape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harp diffuser outlets 2341 and 2441 are arranged toward the vane 155 of the side grill 152 disposed in the front. do.

상기 디퓨저(12430)(12440)는 측면토출구(301)(302) 보다 후방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12430)(12440)는 디퓨저인릿(2433)(2443)이 후방 측에 배치되고, 디퓨저아웃릿(2341)(2441)이 전방 측에 배치된다. The diffusers 12430 and 12440 may be disposed rearward than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The diffuser (12430) (12440) has diffuser inlets (2433) (2443) disposed on the rear side, and diffuser outlets (2341) (2441) are disposed on the front side.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디퓨저(12430)(12440)에서 토출되는 가습공기의 스트림은 상기 토출공기의 스트림과 교차된다.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tream of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diffusers 12430 and 12440 intersects the stream of discharged air.

상기 디퓨저(12430)(12440)가 측면토출구(301)(302)의 후방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토출공기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저(12430)(12440)가 측면토출구(301)(302)의 후방 측에 되기 때문에, 상기 토출공기가 모터커버(318)와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Since the diffusers 12430 and 12440 ar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interference with discharge air can be minimized. Since the diffusers 12430 and 12440 ar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interference of the discharge air with the motor cover 318 can be minimized.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는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이 구획되고,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 사이에 제 1 내부공간(S1) 및 제 2 내부공간(S2)을 구획하는 파티션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티션은 드레인팬(140)일 수 있다.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divided into an upper cabinet 110 and a lower cabinet 120, and a first internal space (S1) and a second internal space (S1) between the upper cabinet 110 and the lower cabinet 120. A partition dividing S2) may be placed. The partition may be a drain pan 140.

상기 어퍼캐비닛(110) 배면에 제 1 흡입구(101)가 배치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 배면에 제 2 흡입구(10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흡입구(101)에 제 1 필터어셈블리(600)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흡입구(102)에 제 2 필터어셈블리(602)가 배치된다. A first suction port 101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cabinet 110, and a second suction port 102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cabinet 120. A first filter assembly 600 is disposed in the first inlet 101, and a second filter assembly 602 is disposed in the second inlet 102.

상기 제 1 흡입구(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와 열교환되어 실내공기를 공조시킬 수 있다. The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intake port 101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and exchanges heat with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to air condition the indoor air.

상기 제 2 흡입구(10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가습어셈블리(2000)에 공급된다. 상기 제 2 흡입구(102)를 통해 흡입된 여과공기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가습어셈블리(2000)에 공급되고, 가습공기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The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intake port 102 is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The filtered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inlet 102 is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is used to provide humidified air.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열교환어셈블리(500)와 열교환된 여과공기를 가습어셈블리에 공급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와 열교환되지 않고 제 2 필터어셈블리(602)만 통과한 여과공기를 사용하여 가습공기를 생성한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ltered air that has exchanged heat with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is supplied to the humidification assembly. In this embodiment, humidified air is generated using filtered air that has not exchanged heat with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and has only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er assembly 602.

실내기를 오래 작동시킬 경우, 열교환어셈블리(500)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교환어셈블리(500)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가습어셈블리(2000)에 흡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If the indoor unit is operated for a long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foreign substances may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from being sucked into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상기 파티션(본 실시예에서 드레인팬)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내부공간(S1) 및 제 2 내부공간(S2)의 공기는 파티션에 의해 차단되고, 공조된 공기가 제 2 내부공간(S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steam guide 2400 is disposed to penetrate the partition (drain pan in this embodiment). The air in the first internal space (S1) and the second internal space (S2) is blocked by a partition, and the air conditioned air is blocked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internal space (S2).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wh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0 : 캐비닛어셈블리 200 : 도어어셈블리
300 : 근거리팬 어셈블리 400 : 원거리팬 어셈블리
500 : 열교환어셈블리 600 : 필터어셈블리
700 : 무빙클리너 1100 : 패널모듈
1800 : 케이블가이드 1900 : 카메라모듈
2000 : 가습어셈블리 2100 : 물탱크
2200 : 물공급어셈블리 2300 : 스팀제너레이터
2400 : 스팀가이드 2500 : 가습팬
100: cabinet assembly 200: door assembly
300: Near-distance fan assembly 400: Far-distance fan assembly
500: Heat exchange assembly 600: Filter assembly
700: Moving cleaner 1100: Panel module
1800: Cable guide 1900: Camera module
2000: Humidification assembly 2100: Water tank
2200: Water supply assembly 2300: Steam generator
2400: Steam guide 2500: Humidifying fan

Claims (15)

내측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된 토출구와 흡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흡입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가습공기 생성부; 및
상기 가습공기 생성부로부터 상기 토출구까지 연결되고, 상기 가습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스팀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가이드는
상기 가습공기 생성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공기 생성부로부터 상기 가습공기가 유입되는 분지가이드; 및
상기 분지가이드의 상부에서 상기 분지가이드와 조립되는 디퓨저를 포함하고,
상기 분지가이드와 상기 디퓨저의 연결부에서 상기 디퓨저의 내경은 상기 분지가이드의 내경보다 작은 공기조화기.
A cabinet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inside and including a discharge port and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a fan assembly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and discharging the intake air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a humidified air generator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and generating humidified air by converting water stored therein into steam; and
A steam guide is connected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ing unit to the discharge port and guides the humidified air to the discharge port,
The steam guide is
a branch guide disposed above the humidified air generating unit and through which the humidified air flows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ing unit; and
It includes a diffuser assembled with the branch guide at an upper part of the branch guide,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inner diameter of the diffuser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ranch guide and the diffuser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ranch gu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내부에 디퓨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는 디퓨저하우징; 및
상기 디퓨저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분지가이드와 조립되는 디퓨저인릿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인릿의 내경은 상기 분지가이드의 내경보다 작은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ffuser
A diffuser housing with a diffuser space formed inside and one side open; and
It includes a diffuser inlet disposed in the diffuser housing and assembled with the branch guide,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inner diameter of the diffuser inlet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branch gu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인릿은
파이프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분지가이드의 내부로 삽입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ffuser inlet is
An air conditioner formed in a pipe shape and inserted into the branch gu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인릿의 하단과 상기 분지가이드 내측면 사이에 단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paragraph 2,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stag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diffuser inlet and the inner side of the branch gu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하우징은
상측벽을 형성하되, 경사면을 형성하는 디퓨저어퍼월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ffuser housing is
An air conditioner that forms an upper wall and includes a diffuser upper wall that forms an inclined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디퓨저공간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공간과 연통되는 디퓨저아웃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어퍼월은 상기 외측이 높고 내측이 낮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ffuser
It is disposed outside the diffuser space and further includes a diffuser outlet in communication with the diffuser space,
The diffuser upper wall is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outer side is high and the inner side is low.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디퓨저아웃릿의 상측 일부를 막는 어퍼디퓨저배리어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iffuser
An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n upper diffuser barrier that blocks an upper portion of the diffuser outle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디퓨저배리어는
상기 디퓨저어퍼월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pper diffuser barrier is
An air conditioner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diffuser upper wa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하우징은
하측벽을 형성하되, 경사면을 형성하는 디퓨저로어월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ffuser housing is
An air conditioner that forms a lower wall and includes a diffuser lower wall that forms an inclined surfa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디퓨저공간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공간과 연통되는 디퓨저아웃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로어월은 상기 외측이 높고 내측이 낮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diffuser
It is disposed outside the diffuser space and further includes a diffuser outlet in communication with the diffuser space,
The diffuser lower wall is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outer side is high and the inner side is low.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디퓨저아웃릿의 하측 일부를 막는 로어디퓨저배리어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ffuser
An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lower diffuser barrier that blocks a lower portion of the diffuser outle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디퓨저배리어는
상기 디퓨저로어월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lower diffuser barrier is
An air conditioner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diffuser lower wal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디퓨저공간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공간과 연통되는 디퓨저아웃릿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공간은 평단면으로 볼 때, 내측이 넓고 상기 외측은 좁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iffuser
It is disposed outside the diffuser space and further includes a diffuser outlet in communication with the diffuser space,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diffuser space is wide on the inside and narrow on the outside when viewed in plan cross-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캐비닛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배치된 제1 측면토출구; 및
상기 캐비닛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캐비닛의 타측에 배치된 제2 측면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가이드는
상기 가습공기 생성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습공기 생성부의 가습공기를 제공받는 메인스팀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지가이드는
상기 메인스팀가이드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 중 일부를 상기 제1 측면토출구로 안내하는 제1 분지가이드; 및
상기 메인스팀가이드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 중 다른 일부를 상기 제2 측면토출구로 안내하는 제2 분지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는
상기 제1 분지가이드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1 측면토출구에 토출시키는 제1 디퓨저; 및
상기 제2 분지가이드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2 측면토출구에 토출시키는 제2 디퓨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port is
A first side outle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it includes a second side discharge po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binet,
The steam guide is
Further comprising a main steam guide coupled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receiving humidified air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The branch guide is
a first branch guide that guides some of the humidified air supplied through the main steam guide to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and
It includes a second branch guide that guides another part of the humidified air supplied through the main steam guide to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
The diffuser is
a first diffuser that discharges humidified air supplied through the first branch guide to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and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second diffuser that discharges humidified ai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branch guide to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지가이드의 길이는 상기 제2 분지가이드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분지가이드의 관경은 상기 제2 분지가이드의 관경보다 큰 공기조화기.
According to clause 14,
The length of the first branch guide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branch guide,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pipe diameter of the first branch guide is larger than the pipe diameter of the second branch guide.
KR1020230032602A 2019-03-04 2023-03-13 Air conditioner KR10262864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964 2019-03-04
KR20190024964 2019-03-04
KR1020210107553A KR102510974B1 (en) 2019-03-04 2021-08-13 Air conditio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553A Division KR102510974B1 (en) 2019-03-04 2021-08-13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674A KR20230041674A (en) 2023-03-24
KR102628642B1 true KR102628642B1 (en) 2024-01-24

Family

ID=7247149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800A KR102292089B1 (en) 2019-03-04 2019-03-15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0210107553A KR102510974B1 (en) 2019-03-04 2021-08-13 Air conditioner
KR1020230032602A KR102628642B1 (en) 2019-03-04 2023-03-13 Air condition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800A KR102292089B1 (en) 2019-03-04 2019-03-15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0210107553A KR102510974B1 (en) 2019-03-04 2021-08-13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92089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686B1 (en) * 2003-11-17 2006-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552498B1 (en) * 2004-08-09 2006-02-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Apparatus for removing drain water in air conditioner for kitchen
KR100813712B1 (en) * 2006-05-20 200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101339079B1 (en) 2012-03-28 2013-12-09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Humidifier of Air Conditioner
KR20140067310A (en) * 2012-11-26 2014-06-05 헵시바주식회사 Precise temperature control unit with removing condensed water
KR102256966B1 (en) * 2014-06-10 2021-05-28 코웨이 주식회사 humidification type air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425A (en) 2020-09-14
KR20230041674A (en) 2023-03-24
KR102510974B1 (en) 2023-03-16
KR20210103448A (en) 2021-08-23
KR102292089B1 (en)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52777B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20230272926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7174082B2 (en) steam generator
CN111868452B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KR20230042448A (en)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CN111868451B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KR20230156000A (en) Air conditioner
KR102628642B1 (en) Air conditioner
KR102643576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638178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20220404042A1 (e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KR102639779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639778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