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778B1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9778B1 KR102639778B1 KR1020190110950A KR20190110950A KR102639778B1 KR 102639778 B1 KR102639778 B1 KR 102639778B1 KR 1020190110950 A KR1020190110950 A KR 1020190110950A KR 20190110950 A KR20190110950 A KR 20190110950A KR 102639778 B1 KR102639778 B1 KR 1026397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ssembly
- humidifying
- water
- air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381 potential energ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 F24F1/009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with additional radiant heat-discharging elements, e.g. electric hea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구 및 토출구가 배치된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고, 내부에 배치된 초음파진동자를 통해 내부에 저장된 물을 무화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액적생성모듈; 상기 가습챔버와 결합되고, 공기를 상기 가습챔버에 공급하는 가습팬; 상기 가습챔버에 결합되고, 상기 가습챔버에서 토출된 상기 가습공기를 독립된 유로를 통해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가습공기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초음파진동자에 의해 생성된 가습공기가 가습공기가이드의 독립된 유로를 통해 토출구에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assembly in which an inlet and an outlet are arranged; a water tank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and storing water; a droplet generating module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receiv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generating humidified air by atomizing the water stored therein through an ultrasonic vibrator disposed therein; a humidifying fan coupled to the humidifying chamber and supplying air to the humidifying chamber; A humidifying air guide is coupled to the humidifying chamber and guides the humidifying air discharged from the humidifying chamber to the discharge port through an independent flow pa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humidified air generated by an ultrasonic oscillator is provided to the discharge port through an independent flow path of the humidified air gu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 가습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providing humidified air to a room.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실내기가 배치되고, 실외에 실외기가 배치되며, 실내기 및 실외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통해 실내공기를 냉방, 난방 또는 제습할 수 있다. A separate air conditioner has an indoor unit placed indoors and an outdoor unit placed outdoors, and can cool, heat, or dehumidify indoor air through refrigerant circulating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실내 바닥에 직립으로 설치하는 스탠드형 실내기, 실내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걸이형 실내기 및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 등이 있다.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type,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air conditioner includes a stand-type indoor unit installed upright on the indoor floor, a wall-mounted indoor unit installed on an indoor wall, and a ceiling-type indoor unit installed on the indoor ceiling.
종래 스탠드형 실내기는 냉방 시, 실내공기를 제습할 수 있지만, 난방 시 실내공기를 가습할 수는 없었다. Conventional stand-type indoor units can dehumidify indoor air during cooling, but cannot humidify indoor air during heating.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3-0109738(선행기술 1이라 한다)에는 가습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습장치가 구비된 스탠드형 실내기가 공지되어 있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09738 (referred to as Prior Art 1) discloses a stand-type indoor unit equipped with a humidify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humidification.
선행기술1의 스탠드형 실내기는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내부에 가습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드레인팬의 물을 물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통해 흡수부재를 적시며, 상기 흡수부재가 흡수된 물을 자연증발시키는 구조이다. The stand-type indoor unit of prior art 1 is provided with a humidifying device inside the main body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indoor unit. And the humidifying device of prior art 1 has a structure that stores water from a drain pan in a water tank, wets an absorbing member with the stored water, and naturally evaporates the water absorbed by the absorbing member.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깨끗한 물을 사용하지 않고, 열교환기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사용한다. 물탱크에 저장된 물에는 열교환기 표면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다량포함될 수 있고, 이물질에서 곰팡이 또는 세균이 번식할 개연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The humidifying device of prior art 1 does not use clean water, but uses condensate that flows down from the heat exchanger.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may contain a larg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and there is a very high probability that mold or bacteria will grow in the foreign substances.
또한,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본체 내부에서 물을 증발시키기 때문에, 증발된 물이 본체 내부의 부품 또는 내벽에 부착될 수 있고, 본체 내부에 곰팡이 또는 세균의 번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humidifier of prior art 1 evaporates water inside the main bod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vaporated water may adhere to parts or inner walls of the main body and cause the growth of mold or bacteria inside the main body.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본체 내부에서 물이 증발되고, 송풍팬이 작동되어도, 송풍팬에 의해 증발된 수분이 모두 실내로 토출되지 않고, 실내열교환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 실내열교환기 표면에 재부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humidifying device of prior art 1, water evaporates inside the main body, and even if the blower fan operates, all of the moisture evaporated by the blower fan is not discharged into the room,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s low, it i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There was a problem with attachment.
또한, 실내온도가 낮을 때 실내공기의 습도가 낮기 때문에, 가습이 필요한 실내조건에서는 난방이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실내열교환기의 응축수를 이용하여 가습을 제공하기 때문에, 냉방시에만 가습을 제공할 수 있고, 난방시에는 응축수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가습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Additionally, since the humidity of indoor air is low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low, heating is generally performed in indoor conditions that require humidification. Since the humidifying device of prior art 1 provides humidification using condensate from an indoor heat exchang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only provide humidification during cooling and cannot provide humidification during heating because condensate is not generated.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6245(이하 선행기술 2라 한다)에는 물을 끓여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증기를 실내로 방출하여 실내를 가습하는 스팀가습기가 공개되어 있다.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20-044624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discloses a steam humidifier that generates steam by boiling water and releases the generated steam into the room to humidify the room.
선행기술2는 물통, 급수유도관, 가열히터관 및 증기방출관을 구비하고, 가열히터관을 통해 물을 가열하고, 증기방출관을 통해 스팀을 실내로 토출하는 구조이다. 선행기술2는 물통에 저장된 물의 압력을 통해 가열히터관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지만, 저장된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구조는 구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Prior art 2 has a structure that includes a water tank, a water supply inlet pipe, a heating heater pipe, and a steam discharge pipe, heats water through the heater pipe, and discharges steam into the room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ipe. Prior art 2 can supply water to the heater pipe through the pressure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but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have a structure for draining the stored water.
선행기술 1 및 2와 같이, 가습을 제공하는 장치는 물탱크를 통해 물을 저장하지만, 가습이 필요하지 않을 때,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물이 저장되는 곳에서 세균 또는 곰팡이에 의한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Like prior art 1 and 2, devices that provide humidification store water through a water tank, but do not have a structure to drain water when humidification is not needed, so water is stored when not in use. There was a problem of contamination by bacteria or mold in places where it was used.
본 발명은 여과공기를 사용하여 가습공기를 생성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can generate humidified air using filtered air.
본 발명은 생성된 가습공기가 독립된 유로를 통해 토출구에 제공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generated humidified air is provided to an outlet through an independent flow path.
본 발명은 생성된 가습공기가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can prevent the generated humidified air from spreading inside the cabinet assembly.
본 발명은 생성된 가습공기를 복수개의 독립된 유로로 분지한 후, 캐비닛어셈블리의 각 측면토출구에서 분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can branch the generated humidified air into a plurality of independent channels and then spray it from each side outlet of the cabinet assembly.
본 발명은 토출구에 토출된 가습공기가 토출공기와 섞여 실내로 확산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an outlet can be mixed with discharged air and spread indoors.
본 발명은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챔버에 저장된 물을 동시에 배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can simultaneously drain water stored in a water tank and water stored in a humidification chamb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은 초음파진동자에 의해 생성된 가습공기가 가습공기가이드의 독립된 유로를 통해 토출구에 제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humidified air generated by an ultrasonic vibrator is provided to the discharge port through an independent flow path of the humidified air guide.
본 발명은 가습팬에 히터가 배치되기 때문에 여과공기를 가열할 수 있고, 가열된 여과공기를 통해 액적의 크기를 미세화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heater is placed in the humidifying fan, filtered air can be heated, and the size of the droplets can be refined through the heated filtered air.
본 발명은 초음파진동자가 가습공기가이드의 하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생성된 액적이 여과공기와 함께 가습공기가이드로 신속하게 토출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ultrasonic vibrator is disposed below the humidified air guide, the generated liquid droplets are quickly discharged to the humidified air guide together with the filtered air.
본 발명은 여과공기 및 액적을 혼합하여 가습공기를 생성하기 때문에, 세균 및 곰팡이의 번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humidified air by mixing filtered air and liquid droplets, the propagation of bacteria and mold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은 물연결관이 물탱크, 액적생성모듈 및 드레인펌프를 동시에 연결하기 때문에,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액적생성모듈에 저장된 물을 동시에 배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rain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water stored in the droplet generating module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water connection pipe connects the water tank, the droplet generating module, and the drain pump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흡입구 및 토출구가 배치된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고, 내부에 배치된 초음파진동자를 통해 내부에 저장된 물을 무화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액적생성모듈; 상기 가습챔버와 결합되고, 공기를 상기 가습챔버에 공급하는 가습팬; 상기 가습챔버에 결합되고, 상기 가습챔버에서 토출된 상기 가습공기를 독립된 유로를 통해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가습공기가이드;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assembly in which an inlet and an outlet are arranged; a water tank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and storing water; a droplet generating module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receiv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generating humidified air by atomizing the water stored therein through an ultrasonic vibrator disposed therein; a humidifying fan coupled to the humidifying chamber and supplying air to the humidifying chamber; A humidifying air guide is coupled to the humidifying chamber and guides the humidifying air discharged from the humidifying chamber to the discharge port through an independent flow path.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커버하며, 상기 캐비닛어셈블리 내부로 유동되는 실내공기를 여과하여 여과공기를 형성시키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되는 열교환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팬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액적생성모듈에 제공할 수 있다. a filter assembly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covering the intake port, and filtering indoor air flowing into the cabinet assembly to form filtered air; It may further include a heat exchange assembly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ssembly and in front of the filter assembly, wherein the humidifying fan may suck in filter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 assembly and provide it to the droplet generating module.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에 배치되는 클린흡입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린흡입덕트는 상기 가습팬과 결합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를 통과한 상기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에 제공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clean suction duct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ssembly, wherein the clean suction duct is coupled to the humidifying fan and may provide the filtered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assembly to the humidifying fan.
상기 액성생성모듈은, 상기 가습팬과 결합되고, 상기 가습팬을 통해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는 공기흡입부; 상기 가습공기가이드와 결합되고, 상기 가습챔버 내부의 상기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가습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quid generation module includes an air intake unit coupled to the humidifying fan and receiving the filtered air through the humidifying fan; It may include a humidifying discharge unit coupled to the humidifying air guide and discharging the humidified air inside the humidifying chamber.
상기 가습공기가이드는 상기 가습챔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토출부는 상기 가습챔버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humidifying air guide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humidifying chamber, and the humidifying discharge unit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humidifying chamber.
상기 초음파진동자는 상기 가습토출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ultrasonic vibrator may be disposed below the humidifying discharge unit.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가습팬에 배치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for heating the air, and the heater may be disposed on the humidifying fan.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가습팬의 토출측에 배치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that heats the air, and the heater may be disposed on a discharge side of the humidifying fan.
상기 가습팬은,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여과공기를 상기 액적생성모듈로 안내하는 가습팬하우징; 상기 가습팬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하우징의 여과공기를 상기 액적생성모듈로 유동시키는 가습임펠러; 상기 가습팬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가습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umidifying fan includes a humidifying fan housing that sucks in filter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and guides the sucked filtered air to the droplet generating module; a humidifying impeller disposed inside the humidifying fan housing and flowing filtered air of the humidifying fan housing to the droplet generating module; It may include a humidifying motor disposed in the humidifying fan housing and rotating the humidifying impeller.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가습팬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하우징의 토출측에 배치될 수 있다. It may further include a heater that heats the air, and the heater may be disposed inside the humidifying fan housing and may be disposed on a discharge side of the humidifying fan housing.
상기 가습공기가이드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챔버에서 토출된 상기 가습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분지가이드; 및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분지가이드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토출구에 토출시키는 디퓨저;를 포함하고, 상기 분지가이드는 상기 가습토출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humidified air guide includes: a branch guide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ssembly and guiding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humidifying chamber to the discharge port; and a diffuser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and discharging humidified air supplied through the branch guide to the discharge port. The branch guide may be coupled to the humidification discharge unit.
상기 토출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좌측면에 배치된 제 1 측면토출구 및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우측면에 배치된 제 2 측면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는 상기 제 1 측면토출구 및 제 2 측면토출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 includes a first side discharge port disposed on a lef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and a second side discharge port disposed on a righ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and the diffuser is disposed at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and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 respectively. can be placed.
상기 물탱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액적생성모듈에 제공하는 챔버하우징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는 상기 초음파진동자 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It further includes a chamber housing pipe disposed below the water tank and provid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droplet generating module, wherein the chamber housing pipe is disposed higher than the ultrasonic transducer and lower than the water tank. It can be.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초음파진동자에 의해 생성된 가습공기가 가습공기가이드의 독립된 유로를 통해 토출구에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humidified air generated by an ultrasonic oscillator is provided to the discharge port through an independent flow path of the humidified air guide.
둘째, 본 발명은 가습팬에 히터가 배치되기 때문에 여과공기를 가열할 수 있고, 가열된 여과공기를 통해 액적의 크기를 미세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heat the filtered air because the heater is placed in the humidifying fan, and to refine the size of the droplets through the heated filtered air.
셋째, 본 발명은 초음파진동자가 가습공기가이드의 하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생성된 액적이 여과공기와 함께 가습공기가이드로 신속하게 토출되는 장점이 있다. 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generated liquid droplets are quickly discharged into the humidified air guide together with the filtered air because the ultrasonic vibrator is disposed below the humidified air guide.
넷째, 본 발명은 여과공기 및 액적을 혼합하여 가습공기를 생성하기 때문에, 세균 및 곰팡이의 번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 Fourth, because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humidified air by mixing filtered air and liquid droplets, the propagation of bacteria and mold can be minimized.
다섯째, 본 발명은 물연결관이 물탱크, 액적생성모듈 및 드레인펌프를 동시에 연결하기 때문에,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액적생성모듈에 저장된 물을 동시에 배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f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rain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water stored in the droplet generating module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water connection pipe connects the water tank, the droplet generating module, and the drain pump at the same time.
여섯째, 본 발명은 액적생성모듈의 수위와 상기 액적생성모듈에 물을 공급하는 서플라이챔버의 수위가 연동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에 따라 하강 또는 상승되는 서플라이플로터가 상기 서플라이챔버에 물을 공급하는 서플라이유로를 개폐시키기 때문에, 상기 액적생성모듈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통해 물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xt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level of the droplet generation module and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that supplies water to the droplet generation module are linked, and the supply floater, which lowers or rises depending on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supplies water to the supply chamber. Since the supply passage is opened and clos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ater supply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the droplet generation module.
일곱째, 상기 서플라이플로터는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에 따라 하강 또는 상승되어 상기 서플라이유로를 개폐시키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를 통해 상기 액적생성모듈의 적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액적생성모듈에 공급되는 물의 양 또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venth, because the supply floater lowers or rises depending on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passag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appropriate water level of the droplet generation module through the potential energy of water,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droplet generation module can be maintained. The amoun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adjusted automatically.
여덟째, 상기 액적생성모듈에 저장된 물이 최대수위일 때, 상기 서플라이플로터는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에 의해 상승되고, 상기 서플라이유로를 폐쇄시키기 때문에,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물이 상기 액적생성모듈에 추가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ighth,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droplet generation module is at the maximum water level, the supply floater is raised by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and closes the supply passage, so that the water in the supply chamber is additionally supplied to the droplet generation module. There is an advantage in being able to block it from happe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분리된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로어캐비닛에 조립된 가습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의 후방 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좌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로어캐비닛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물공급어셈블리 및 액적생성모듈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정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in FIG. 1 with the door assembly separat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ssembled in the lower cabinet of Figure 1.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tank and water suppl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ure 6.
Figure 8 is a left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6.
Figure 9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6.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ank shown in Figure 6.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tank and water suppl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nlarged view of Figure 11.
Figure 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ower cabinet shown in Figure 3.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assembly and droplet generation module shown in FIG. 13.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ure 14.
Figure 16 is a plan view showing a drainag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assembly shown in Figure 16.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am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분리된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로어캐비닛에 조립된 가습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의 후방 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좌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로어캐비닛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물공급어셈블리 및 액적생성모듈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정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in FIG. 1 with the door assembly separate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ssembled in the lower cabinet of Figure 1.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tank and water suppl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ure 6. Figure 8 is a left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6. Figure 9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6.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ank shown in Figure 6.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tank and water suppl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nlarged view of Figure 11. Figure 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ower cabinet shown in Figure 3.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assembly and droplet generation module shown in FIG. 13.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ure 14. Figure 16 is a plan view showing a drainag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assembly shown in Figure 16.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not shown) that is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through a refrigerant pipe and circulates refrigerant.
상기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응축시키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실외팬(미도시)과, 상기 실내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공급받은 후 기체 냉매만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outdoor unit includes a compressor (not shown) that compresses refrigerant, an out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that receives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and condenses it, an outdoor fan (not shown) that supplies air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indoor unit. It includes an accumulator (not shown) that receives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and then provides only gaseous refrigerant to the compressor.
상기 실외기는 실내기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방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101)에서는 냉매가 증발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시킨다. 난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에서는 냉매가 응축되어 실내 공기를 가열시킨다. The outdo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four-way valve (not shown) to operate the indoor unit in a cooling mode or a heating mode. When operated in cooling mode, refrigerant evaporates in the indoor unit 101 to cool indoor air. When operated in heating mode, refrigerant condenses in the indoor unit and heats the indoor air.
<<<실내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indoor uni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기는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실내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어셈블리(20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indoor unit includes a
상기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배면에 배치된 흡입구(101)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면에 배치된 측면토출구(301)(302)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정면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has an intake port 101 disposed at the rear of the
상기 흡입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된다.The suction port is disposed on the back of the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캐빗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된 측면토출구를 제 1 측면토출구(301)로 정의하고, 우측에 배치된 측면토출구를 제 2 측면토출구(302)로 정의한다. The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더 포함한다. The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시킨 후,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도어어셈블리(2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The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측으로 이동된 후, 원거리 팬어셈블리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After the
상기 팬어셈블리는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로 구성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후방에 상기 열교환어셈블리가 배치된다. The fan assembly is composed of a near fan assembly and a far fan assembly. The heat exchange assembly is disposed behind the near fan assembly and the far fan assembly.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의 안쪽에 위치되며,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는 상기 흡입구를 커버하고,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heat exchange assembly is disposed inside the
상기 열교환어셈블리 전방에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를 통과한 후,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로 유동된다. The near fan assembly and the far fan assembly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The ai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 assembly and then flows to the near fan assembly and the far fan assembly.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위치되고, 사익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조립된다. The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캐비닛어셈블리(2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200)의 전면 중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측면토출구에 가습공기를 제공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분리가능한 물탱크(21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액적 및 여과공기가 혼합된 공기를 가습공기로 정의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 공간과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 공간은 구획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해 여과된 공기를 사용해서 가습을 실시한다. The
상기 실내기는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흡입구(101)가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와, 상기 팬어셈블리 및 캐비닛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어셈블리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실내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어셈블리(2000)를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includes a
상기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배면에 배치된 흡입구(101)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면에 배치된 측면토출구(301)(302)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정면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has an intake port 101 disposed at the rear of the
상기 흡입구(101)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된다.The suction port 101 is disposed on the rear of the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캐빗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된 측면토출구를 제 1 측면토출구(301)로 정의하고, 우측에 배치된 측면토출구를 제 2 측면토출구(302)로 정의한다. The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더 포함한다. The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시킨 후,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도어어셈블리(2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The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측으로 이동된 후,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After the
상기 팬어셈블리(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구성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후방에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The fan assembly 400 is composed of a short-distance fan assembly and a long-distance fan assembly 400.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is disposed behind the near fan assembly and the far fan assembly 400.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의 안쪽에 위치되며,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고,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is disposed inside the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방에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후,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유동된다. The near fan assembly and the far fan assembly 400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The ai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101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and then flows to the near fan assembly and the far fan assembly 400.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is manufactur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near fan assembly and the far fan assembly 400.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상측에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를 상측에 위치시켜 토출공기를 실내의 먼 곳까지 유동시킬 수 있다. The near fan assembly and the far fan assembly 400 may b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long-distance fan assembly 400 is disposed above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By placing the remote fan assembly 400 at the top, discharge air can flow to a distant part of the room.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및 우측으로 동시에 공기를 토출한다.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discharges air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다. The far fan assembly 400 is located above the near fan assembly and is disposed on the inside upper side of the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는 실내 공간의 먼 곳으로 공기를 토출시켜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킨다. The remote fan assembly 400 discharges air in a fo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작동시에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될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은닉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exposed to the user only when operating. When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operated, the remote fan assembly 400 penetrates the
특히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remote fan assembly 400 can control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 The remote fan assembly 400 may discharge air in an upper, lower, left, right, or diagonal direction relative to the front of the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위치되고, 사익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조립된다. The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캐비닛어셈블리(2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200)의 전면 중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The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부공간(S)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부공간(S) 중 일부만을 개방시킬 수 있다.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으로 수분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분은 상기 근거리팬어셈블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분리가능한 물탱크(2100)를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 공간과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 공간은 구획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사용해서 가습을 실시한다.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performs humidification using filter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캐비닛어셈블리의 구성>><<Composition of cabinet assembly>>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30)와, 상기 베이스(130)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121), 상측면(125) 및 하측면(126)이 개구되고, 좌측면(123) 우측면(124) 및 배면(122)이 폐쇄된 로어캐비닛(120)과, 상기 로어캐비닛(120) 상측에 배치되고, 흡입구(101)가 형성된 배면(116), 전면(111) 및 하측면(116)이 개구되고, 좌측면(113), 우측면(114) 및 상측면(115)이 폐쇄된 어퍼캐비닛(110)을 포함한다. The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내부를 제 1 내부공간(S1)으로 정의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내부를 제 2 내부공간(S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내부공간(S1) 및 제 2 내부공간(S2)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을 구성한다. The interior of the
상기 어퍼캐비닛(110) 내측에 근거리팬 어셈블리(300), 원거리팬 어셈블리(400) 및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A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a long-distance fan assembly 400, and a heat exchange assembly 500 are disposed inside the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측에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다. A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 사이에 열교환어셈블리(500)를 지지하는 드레인팬(14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팬(140)은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하측면(116) 중 일부를 폐쇄한다. A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조립 시,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저면(116)은 가습어셈블리(2000) 및 드레인팬(140)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공기는 로어캐비닛(120) 측으로 유동이 차단된다. When assembling the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도어어셈블리(200)가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A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이동 시,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When the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측 가장자리에 토출그릴(150)이 배치된다. 상기 토출그릴(340)은 도어어셈블리(200)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A
상기 토출그릴(150)은 상기 어퍼캐비닛(11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그릴(150)은 사출성형을 통해 별도로 제작된 후, 어퍼캐비닛(110)에 조립된다. The
상기 좌측면(113) 전방에 배치된 토출그릴을 좌측 토출그릴(151)로 정의하고, 우측면(114) 전방에 배치된 토출그릴을 우측 토출그릴(152)로 정의한다. The discharge grill disposed in front of the
상기 좌측 토출그릴(151) 및 우측 토출그릴(152)에 각각 측면토출구(301)(302)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좌측 토출그릴(151) 및 우측 토출그릴(152)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의 전방에 커버(160)가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가 도어어셈블리(200)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In this embodiment, a cover 16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도어어셈블리(200)에 차가운 공기가 직접 접촉되는 경우,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고, 도어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전기회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When cold air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그래서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의 전방에 커버(160)를 배치하고 커버(160)를 통해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는 정면토출구(201) 또는 측면토출구(301)(302)로만 유동되게 할 수 있다. Therefore, a cover 160 is placed in front of the
상기 커버(160)는,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어퍼커버(162)와,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을 커버하는 로어커버(164)와,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전면을 커버하는 원거리팬커버(166)를 포함한다.The cover 160 includes an upper cover 162 that covers the front of the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상기 어퍼커버(162)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거리팬커버(166) 및 어퍼커버(162)를 별도로 제작된 후 조립된다.The remote fan cover 166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upper cover 162. 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fan cover 166 and the upper cover 162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assembled.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원거리팬어셈블리(400)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어퍼커버(162)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커버(166) 및 어퍼커버(162)의 전면은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The remote fan cover 166 is located in front of the remote fan assembly 400 and above the upper cover 162. The front surfaces of the remote fan cover 166 and the upper cover 162 form a continuous plane.
상기 원거리팬커버(166)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팬커버토출구(161)가 형성된다. 상기 팬커버토출구(161)는 정면토출구(201)와 연통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토출그릴(450)은 상기 팬커버토출구(161) 및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하여 도어어셈블리(200)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remote fan cover 166 is formed with a fan
상기 팬커버토출구(161) 전방에 도어어셈블리(200)가 배치되고, 후술하는 패널토출구(1101)의 후방에 상기 팬커버토출구(161)가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전방 이동 시, 상기 토출그릴(450)은 팬커버토출구(161),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를 순서대로 통과한다.The
즉, 상기 정면토출구(201) 후방에 상기 패널토출구(1101)가 위치되고, 상기 패널토출구(1101) 후방에 상기 팬커버토출구(161)가 위치된다. That is, the panel outlet 1101 is located behind the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어퍼커버(162)는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하측에 결합된다. The remote fan cover 166 is coupled to the front upper side of the
상기 로어커버(164)는 어퍼커버(16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 또는 가습어셈블리(2000)에 조립될 수 있다. 조립 후, 상기 로어커버(164) 및 어퍼커버(162)의 전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The
상기 로어커버(164)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물탱크개구부(167)가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개구부(167)를 통해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 또는 장착될 수 있다. The
상기 로어커버(164)는 드레인팬(140)의 전방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로어캐비닛(120) 전면 전체를 커버하지 않아도 어퍼캐비닛(110) 내부 공기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로어캐비닛(120) 전면 전체를 커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의 수리, 서비스 및 교체를 위해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 일부는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 중 일부는 상기 로어커버(164)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개방면(169)이 형성된다. It is preferable that a portion of the front of the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방 시, 물통개구부(167)가 형성된 상기 로어커버(164)만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2단 개방 시, 상기 개방면(169)도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When the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작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물탱크개구부(167) 전체를 노출시킨 상태를 1단 개방으로 정의하고, 상기 개방면(169)를 노출시킨 상태를 2단 개방으로 정의한다. The
상기 1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1 개방면(OP1)으로 정의하고, 상기 2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2 개방면(OP2)로 정의한다. The exposed front surface of the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Configuration of short-distance fan assembly>>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한다.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is configured to discharge air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Configuration of remote fan assembly>>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configured to discharge air forward to the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상측에 적층된다.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The far fan assembly 400 is stacked on top of the near fan assembly.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형성된 정면토출구(201)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토출그릴(450)은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실내공간의 먼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emote fan assembly 400 discharges air through the
도 4는 도 1의 로어캐비닛에 조립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의 후방 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좌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확대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nd water tank assembled in the lower cabinet of Figure 1.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tank and water suppl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ure 6. Figure 8 is a left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6. Figure 9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6.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ank shown in Figure 6.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tank and water suppl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nlarged view of Figure 11.
<<<가습어셈블리의 구성>>><<<Composition of humidification assembly>>>
도 4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팬어셈블리(400)의 토출유로 상에 수분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분은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제어부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4 or Figure 5,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초음파진동자(2330)를 통해 물을 무화시키고, 무화된 액적을 여과공기와 혼합하여 가습공기를 제공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공급된 수분은 독립된 유로를 통해 측면토출구(301)(302)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무화된 상태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moisture supplied from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로어캐비닛(120) 내부에 위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베이스(110)에 설치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을 통해 감싸진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 상측에 드레인팬(140)이 위치되고,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생성된 가습공기는 가습공기가이드(2400)를 통해 측면토출구(301)(302)로 직접 유동된다. 즉,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설치된 공간과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공간은 구획된다.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2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무화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액적생성모듈(23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와 결합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에 공급하는 가습팬(2500)과,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에서 생성된 가습공기를 독립된 유로를 통해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하는 가습공기가이드(24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을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에 제공하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액적생성모듈(2300)에 연결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액적생성모듈(2300)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팬(2500)은 터보팬이 사용될 수 있다. 가습팬(250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액적생성모듈(2300)의 공기흡입부(2318)를 통해 액적생성모듈(2300)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액적생성모듈(2300)의 가습토출부(2316)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The
가습공기가이드(2400) 내부에서 형성되는 가습유로는, 액적생성모듈(2300)의 내부공간에 비해 유로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가습유로로 일정유속 이상의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높은 압력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팬(2500)은 가습공기가이드에서 정압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터보팬이 사용될 수 있다. Since the humidifying passage formed inside the humidifying
<<물탱크의 구성>><<Configuration of water tank>>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210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방 시, 외부로 노출되고, 도어어셈블리(200)가 개방되지 않을 때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S. 6 to 10 , the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작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물탱크개구부(167) 전체를 노출시킨 상태를 1단 개방으로 정의하고, 상기 개방면(169)를 노출시킨 상태를 2단 개방으로 정의한다. The
상기 1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1 개방면(OP1)으로 정의하고, 상기 2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2 개방면(OP2)로 정의한다. The exposed front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는 내부의 물을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상기 제 1 개방면(OP1)에 위치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물탱크개구부(167)에 위치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상기 물탱크개구부(167)를 통해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삽입된다. In this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of the
상기 물탱크(2100)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되는 탱크로어바디(2110)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고,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캥트로어바디(2110)에 의해 하측면이 폐쇄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탱크미들바디(2120)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어 물탱크개구부(2101)가 형성되고,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의 상측에 결합되는 탱크어퍼바디(2130)와,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물탱크핸들(2140)과,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에 조립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물탱크밸브(2150)을 포함한다. The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물탱크(2100)의 바닥을 제공한다.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밸브홀(2111)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홀(2111)에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된다. 상기 밸브홀(2111)은 상기 물탱크(2100)의 측면에서 볼 때 후방측에 위치된다. The tank
상기 밸브홀(2111)의 중심에서 물탱크의 전면(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탱크프론트월)까지의 거리를 T1이라 정의하고, 상기 밸브홀(2111)의 중심에서 물탱크의 배면(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제 1 리어월)까지의 거리를 T2라 정의한다. 여기서 상기 T1이 상기 T2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밸브홀(2111)을 물탱크(2100)의 후방측에 위치시킴으로서, 틸팅어셈블리의 작동 시, 물탱크밸브(2150)의 누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틸팅어셈블리의 작동 시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와 신속히 이격되어야만 물탱크밸브(2150)가 신속하게 폐쇄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전방측을 하단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틸팅되기 때문에, 물탱크밸브(2150)가 후방 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tilting assembly operates,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탑뷰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이다. 탱크로어바디(21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이 개구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ank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내부에 로어바디공간(2112)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바디공간(2112)는 하측을 향해 개구된다. 상기 로어바디공간(2112)에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일부 구성이 삽입될 수 있다. The tank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탱크로어바디(2110)는, 전면, 좌측면, 우측면, 상측면이 폐쇄된다. The tank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는, 상측이 개구된 미들바디 어퍼개구부(2121)와, 하측이 개구된 미들바디 로어개구부(2122)를 포함한다.The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는, 전면, 좌측면, 우측면 및 배면이 폐쇄되고, 상측면 및 하측면만 개구된다.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는, 탱크프론트월(2123), 탱크레프트월(2124), 탱크라이트월(2125) 및 탱크리어월(2126)를 포함한다.The
탱크프론트월(2123), 탱크레프트월(2124) 및 탱크라이트월(2125)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탱크리어월(2126)은 수직하게 배치되되, 전후 방향으로 굴곡이 형성된다. The tank front wall (2123), tank left wall (2124), and tank light wall (2125) are arranged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ank
탱크리어월(2126)은 탱크로어바디(2110)에 결합되고, 탱크로어바디(2110)의 배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는 제 1 리어월(2126a)과,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와 결합되고,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리어월(2126a)보다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 2 리어월(2126b)과, 상기 제 1 리어월(2126a) 및 제 2 리어월(2126b)를 연결하는 커넥트월(2126c)을 포함한다. The tank
상기 커넥트월(2126c)은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커넥트월(2126c)은 전방측이 높고 후방 측이 낮게 배치된다. The
상기 제 1 리어월(2126a)은 상기 커넥트월(2126c)에 대해 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리어월(2126b)은 상기 커넥트월(2126c)에 대해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전후 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리어월(2126a)와 제 2 리어월(2126b)은 T3 만큼의 거리차를 형성한다. The first
그래서 상기 제 1 리어월(2126a)을 포함하는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의 평단면적이 상기 제 2 리어월(2126b)을 포함하는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의 평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물탱크(2100)에 물이 저장되었을 경우, 상기 물탱크(2100)의 무게중심을 보다 후방 측에 형성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이는 틸팅어셈블리에 의해 물탱크(2100)가 전방으로 기울어졌을 때, 상기 물탱크(2100)가 전방으로 쏠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is can prevent the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탱크미들바디(2120)의 상측단에 결합된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탑뷰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The tank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미들바디 어퍼개구부(2121)와 연통되는 어퍼바디 개구부(2131)를 형성한다. 상기 어퍼바디 개구부(2131) 하측에 상기 미들바디 개구부(2121)가 배치된다.The tank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에 상기 물탱크핸들(2140)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The water tank handle 2140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tank
상기 물탱크핸들(2140)은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 내측에 배치되고, 로어캐비닛(120)에 수납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숨겨진다.The water tank handle 2140 is disposed inside the tank
이를 위해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의 내측에는 상기 물탱크핸들(2140)이 설치되는 핸들설치홈(2132)이 형성된다.For this purpose, a handle installation groove 2132 where the water tank handle 2140 is installed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tank
상기 핸들설치홈(2132)은 탱크어퍼바디(2130)의 전방 측에 형성된다. The handle installation groove 2132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tank
탑뷰로 볼 때, 상기 핸들설치홈(2132)은 탱크어퍼바디(2130)의 두께 내에 배치되고, 탱크어퍼바디(2130)의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handle installation groove 2132 is disposed within the thickness of the tank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설치홈(2132)은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의 바깥쪽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핸들설치홈(2132)이 탱크어퍼바디(2130)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installation groove 2132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tank
상기 물탱크핸들(2140)은 "ㄷ"자로 형성된 핸들바디(2142)와, 상기 핸들바디(2142) 및 탱크어퍼바디(213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핸들축(2144)과, 상기 핸들바디(2142) 또는 핸들축 (2144)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에 지지되는 핸들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water tank handle 2140 includes a handle body 2142 formed in a "C" shape, a handle shaft 2144 that rotatably couples the handle body 2142 and the tank
상기 핸들탄성부재는 상기 핸들바디(2142)의 전방 측 단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The handle elastic member provides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to raise the front end of the handle body 2142.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elastic member may be a torsion spring.
상기 물탱크(2100)가 전방으로 틸팅되면, 상기 핸들탄성부재에 의해 물탱크핸들(2140)이 핸들설치홈(2132) 밖으로 회전된다. When the
상기 물탱크(2100)가 물탱크개구부(167) 안으로 삽입되면, 상기 물탱크핸들(2140)이 로어커버(164)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핸들설치홈(2132)으로 수납된다. When the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기 미들바디 로어개구부(2122)에 밀착되고 상기 미들바디 로어개구부(2122)를 밀폐시키는 로어바디탑월(2113)과,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안착되는 로어바디사이드월(2114)과,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밸브홀(2111)을 형성시키는 밸브설치부(2115)를 포함한다. The tank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은 탱크로어바디(2110)의 상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미들바디 로어개구부(2122)를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어바디탑월(2113) 및 미들바디(2120)는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초음파 용접되고, 상기 미들바디(2120)의 저면을 밀폐시킨다. The lower
상기 밸브설치부(2115)는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밸브홀(2111)을 형성시킨다. 상기 밸브설치부(2115)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The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상기 밸브설치부(2115)에 조립된다. 물탱크밸브(2150)는 상기 밸브설치부(2115)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밸브홀(2111)을 개방시킬 수 있다. The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기능적으로 체크밸브의 기능을 갖고, 구조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구조에 최적화된다. The
상기 밸브설치부(2115)는 상하 로어바디탑월(2113)에서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의 연장설치부(2116)와, 상기 연장설치부(2116)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되는 조립설치부(2117)를 포함한다. The
상기 연장설치부(2116)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다. 상기 조립설치부(2117)는 상기 연장설치부(2116)의 내부를 가로질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설치부(2117)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상기 조립설치부(2117)는 상기 밸브홀(2111)을 상측 및 하측으로 구획한다.The assembly and
상기 조립설치부(2117)의 상측을 어퍼밸브홀(2111a)로 정의하고, 조립설치부(2117)의 하측을 로어밸브홀(2111b)로 정의한다. The upper side of the assembly and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기 조립설치부(2117)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되는 조립홀(2117a)과, 상기 조립설치부(2117)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어퍼밸브홀(2111a) 및 로어밸브홀(2111b)를 연통시키는 설치부홀(2118)을 더 포함한다. The tank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기 조립설치부(2117)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되는 조립홀(2117a)과, 상기 조립설치부(2117)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어퍼밸브홀(2111a) 및 로어밸브홀(2111b)를 연통시키는 설치부홀(2118)을 더 포함한다. The tank
상기 조립홀(2117a) 및 설치부홀(2118)은 모두 밸브설치부(2115) 내부에 위치된다. Both the
상기 조립홀(2117a)은 밸브설치부(2115)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부홀(2118)은 상기 조립홀(2117a) 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설치부홀(2118)은 상기 연장설치부(2116) 및 조립홀(2117a) 사이에 배치된다. The
상기 조립홀(2117a)은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되기 때문에 물의 원활한 유동을 기대할 수 없다.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은 상기 설치부홀(2118)을 통해 물공급어셈블리(2200)로 유동된다.Since the
<물탱크밸브의 구성><Configuration of water tank valve>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탱크로어바디(2110)의 밸브설치부(2115)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밸브코어(2152)와,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코어(2152)와 조립되고, 상기 밸크코어(2152)의 상하 이동 시 상기 밸브홀(211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다이어프램(2154)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8 to 12, the
탑뷰로 볼 때, 상기 다이어프램(2154)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홀(2111)의 직경보다 크다. 다이어프램(2154)의 상단은 밸브홀(2111)의 상측에 위치되고, 하단은 상기 밸브홀(2111) 내부에 위치된다.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이어프램(2154)은 하측으로 오목한 보울(bowl) 형상이다. 상기 밸브코어(2152)는 다이어프램(2154)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다이어프램(2154)은 중심측에서 바깥쪽으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상기 물탱크(2100)에 설치된 물탱크밸브(215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될 때, 상기 밸브코어(2152)의 하단이 후술하는 밸브서포터(2250)와 접촉된다.When the
상기 밸브코어(2152)가 상기 밸브서포터(2250)에 접촉되어 지지되면, 상기 다이어프램(2154)을 포함한 물탱크밸브(2150)가 상기 밸브서포터(2250)에 위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제외한 물탱크(2100)의 나머지 구성은 하측으로 이동된다. When the
그래서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밸브서포터(2250)에 지지되면, 다이어프램(2154)이 상기 밸브홀(2111)을 개방시킨다. 반면에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서 분리되면,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2154)이 밸브홀(2111)을 폐쇄시킨다. Therefore, when the
<<물공급어셈블리의 구성>><<Configuration of water supply assembly>>
도 6 내지 도 9,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탱크(2100)의 물을 액적생성모듈(2300)에 공급한다.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탱크(2100)가 거치될 때에만 물탱크(2100)의 물탱크밸브(2150)를 개방시켜 액적생성모듈(2300)에 물을 공급한다. Referring to FIGS. 6 to 9 and 11 to 12, the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탱크(2100)를 지지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액적생성모듈(2300)로 유동되는 유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대신 기구적인 배치를 통해 구현한다.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를 전동식으로 구현할 경우, 이에 따른 전기배선이 습기 또는 물에 노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오작동 및 안전성이 문제가 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를 기구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구현하기 때문에, 물과 접촉되는 부위의 전기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작동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을 서플라이챔버(2211)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에 공급하는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과,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의 서플라이챔버(2211)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서플라이플로터(2220)와,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안내하는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여 틸팅각을 제공하는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거치 시 상기 물탱크(2100)의 물탱크밸브(2150)와 접촉되어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개방시키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에서 토출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111)로 안내하는 상기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를 제공하는 밸브서포터(2250)와,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의 틸팅 시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상대회전 가능하고, 상기 물탱크의 물공급밸브가 관통되게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111)에 제공하는 서플라이틸팅커버(2260)과,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를 연결하고, 상기 밸브서포터(2250)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서플라이유로(2231)를 통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안내하는 워터벨로우즈(2240)를 포함한다. The
상기 물탱크(2100)의 하측에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하측에 밸브서포터(225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가 배치되고, 상기 밸브서포터(2250) 하측에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높이 내에서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The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은 상기 물탱크밸브(2150), 워터벨로우즈(2240) 및 서플라이유로(2231)를 거쳐 서플라이챔버(2211)로 유동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는 공급된 물을 일시 저장하고, 물은 자중에 의한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로 유동시킨다. The water in the
<서플라이챔버하우징의 구성><Configuration of supply chamber housing>
도 6 내지 도 9,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베이스(130) 상측면에 설치된다.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물탱크에서 공급된 물을 일시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액적생성모듈(2300)에 제공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고,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 to 9 and 11 to 12, the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베이스(130) 상측에 설치되는 챔버하우징바디(2212)와, 상기 챔버하우징바디(2212) 내측에 배치되고, 상측 방향으로 개구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물을 일시 저장하는 서플라이챔버(2211)와, 상기 챔버하우징바디(2212) 또는 서플라이플로터(2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저면(2220a)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에서 이격시키는 리브(2215)와, 상기 챔버하우징바디(2212)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와 연통되고, 상기 챔버하우징(2212)에 저장된 물을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에 물을 제공하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를 포함한다. The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는 상측으로 개구된다. 서플라이챔버(2211)의 개방된 상측면을 챔버개구면(2213)으로 정의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에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서플라이챔버(2211)의 형상에 대응하여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The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평단면 형상은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평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것이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이동에 바람직하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평단면 형상은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각진 형태로 형성될 경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상하 이동 시 걸림을 발생시킬 수 있고, 설치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of the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저면(2211a)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리브(2215)는 본 실시예에서 챔버하우징바디(2212)에 형성된다. 상기 리브(2215)는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리브(2215)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저면(2220a)과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을 이격시킨다. The
상기 리브(2215)가 없을 경우,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 물이 채워지더라도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저면(2220a) 및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밀착에 의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In the absence of the
상기 리브(2215)는 상기 밀착에 의한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측면(2220b)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내벽(2211b)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측면(2220b) 및 서플라이챔버(2211)의 내벽(2211b)은 1mm 이상의 유격이 확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는 서플라이챔버(2211)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와 연통되고, 외측단(2214b)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밖으로 돌출된다. The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과 같거나 높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물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저면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서플라이챔버(2211)에 저장된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로 유동된다. The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 보다 낮게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 높이 내에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저면(2211a)이 위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저면 보다 높은 경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에 잔류되는 물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세균 또는 곰팡이의 번식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저면과 같거나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예를 들어 습도가 높은 여름철이나 물탱크에 저장기간이 길어길 때), 물탱크(2100)를 비롯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 모든 물은 내부에 잔류되지 않고, 외부로 배수된다. When the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이 유동되는 과정에서 잔류되지 않고, 자중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은 액적생성모듈(2300)와 연결되고, 액적생성모듈(2300)에 물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은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로 유동된다. The
<밸브서포터의 구성><Configuration of valve supporter>
도 6 내지 도 9,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물탱크밸브(215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상기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될 때 상기 물탱크밸브(2150)와 간섭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개방시킨다.Referring to FIGS. 6 to 9 and 11 to 12, the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상측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밸브코어(2152)를 지지한다. The
상기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되면, 상기 밸브서포터(2250)가 상기 밸브코어(2152)와 간섭되어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밸브홀(2111)이 개방된다. When the
상기 밸브홀(2111)이 개방되면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이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로 유동된다. When the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별도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성형을 통해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물탱크밸브(2150)과의 접촉을 위해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서 상측으로 노출되어야 한다. The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는 서로 이격되어 밸브서포터갭(2256)을 형성한다.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 사이로 물이 유동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는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 역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의 상측에 밸브코어(2152)가 배치된다. The
상기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이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가 밸브코어(2152)의 하단을 지지하여도 상기 물탱캐(2100)에 배출된 물이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으로 유입될 수 있다. Since the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의 하단은 개구된다. 밸브서포터갭(2256)의 상측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상측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의 하측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하측을 향해 개구된다. The lower end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서포터(2250)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의 하측은 서플라이챔버(2211)와 연통된 미들홀(2258)이 형성된다. 미들홀(2258)는 서플라이유로(2231)의 일부를 형성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들홀(2258)이 밸브서포터갭(2256)의 하측에 형성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미들홀(2258)은 워터벨로우즈(2240)의 내부 공간 및 서플라이챔버(2211)를 연통시킨다. The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에 위치된다. 그래서 상기 밸브홀(2111)을 통해 배출된 물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에 저장되고, 상기 미들홀(2258)을 통해 서플라이챔버(2111)로 유동된다. The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들홀(2258)이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밖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을 미들홀(2258)로 안내하는 별도의 구성이 배치되거나, 배출된 물이 다른 곳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배치되어야 한다. The
상기 물탱크밸브(2150) 및 밸브서포터(2250)의 접촉부분(밸브코어의 하단 및 밸브서포터의 상단)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act portion (bottom of the valve core and top of the valve supporter) of the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처럼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을 일시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에 관한 구성은 워터벨로우즈(2240)의 구성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The water bellows 2240, like the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구성><Configuration of supply support body>
도 6 내지 도 9,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을 커버한다. 특히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이 상측면을 밀폐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의 물이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밖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Referring to FIGS. 6 to 9 and 11 to 12, the
그리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안내하는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가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서포터(2250)의 미들홀(2258)이 이를 대신한다.And the
그리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고,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회전된 물탱크(2100)를 지지한다. And the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을 커버하는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와,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를 연결하는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를 형성하는 미들홀(2258)과,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미들홀(2258)과 연통되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상측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플로터가이드(2234)와,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저면과 소정의 틸팅각을 형성하고,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는 틸팅서포터(2236)를 포함한다. The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챔버개구면(2213)을 커버하며,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챔버개구면(2213)을 밀폐시킨다. The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가 서플라이챔버(2211)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실링리브(2231)가 더 형성된다. In order for the
상기 실링리브(2231)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챔버개구면(22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링리브(2231) 및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사이에 실링을 위한 서플라이챔버 개스킷(2233)이 더 배치된다. The sealing
탑뷰로 볼 때, 상기 서플라이챔버 개스킷(2233)은 상기 챔버개구면(2213)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된다. 서플라이챔버 개스킷(2233)은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된다.When viewed from the top, the
상기 미들홀(2258)은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를 연결한다. 상기 미들홀(2258)은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을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하측으로 유동시킨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들홀(2258)은 밸브서포터(225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를 관통하는 별개의 미들홀을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에 위치된다. 즉,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에 밸브서포터(250)의 미들홀(2258)과 별개의 미들홀이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미들홀(2258)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미들홀(2258)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미들홀(2258)을 통과한 물을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 내부로 안내된다. The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하측이 개구된 형태이고, 개구된 하측면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상측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The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삽입되는 플로터가이드 내부공간(2234S)가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가이드 내부공간(2234S) 상측에 상기 미들홀(2258)이 배치되고, 상기 미들홀(2258) 상측에 밸브서포터갭(2256)이 배치된다. The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 미들홀(2258) 및 플로터가이드 내부공간(2234S)를 일렬로 배치하여 물의 이동거리를 최단거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미들홀(2258)은 후술하는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승강 시 폐쇄되고, 하강 시 개방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를 통해 미들홀(2258)의 개폐는,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와 별개로 이루어진다. By arranging the
상기 틸팅서포터(2236)는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구조물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서포터(2236)는 사출성형을 통해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틸팅서포터(2236)는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조립될 수 있다. The tilting
상기 틸팅서포터(2236)는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기 때문에 상기 물탱크(2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Since the tilting
상기 틸팅서포터(2236)는, 상기 물탱크(2100)가 틸팅되기 전 상기 물탱크(2100)를 수직하게 지지하는 제 1 서포터부(2236a)와, 상기 물탱크(2100)가 틸팅된 후 상기 물탱크(210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제 2 서포터부(2236b)를 포함한다. The tilting
상기 제 1 서포터부(2236a)는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제 1 서포터부(2236a)의 상측단은 수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서포터부(2236a)는 상기 밸브서포터(2250)의 상측단 보다 높게 위치된다. The first supporter part 2236a protrudes upward from the
상기 제 2 서포터부(2236b)는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서포터부(2236b)의 상측단을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서포터부(2236b)는 물탱크(2100)의 틸팅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는 전방으로 틸팅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서포터부(2236b)는 후방이 높고 전방이 낮은 틸팅경사면(2237)을 제공한다. 상기 틸팅경사면(2237)은 제 2 서포터부(2236b)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틸팅경사면(2237)은 후방에서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상기 틸팅경사면(2237)은 상기 물탱크(2100)의 저면과 소정의 틸팅각을 형성한다. 상기 틸팅경사면(2237)은 10도 이상 45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2100)가 상기 틸팅경사면(2237)에 지지될 때, 상기 물탱크(2100)는 전도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2100)가 상기 틸팅경사면(2237)에 지지될 때, 물탱크핸들(2140)이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상측으로 회전되어 전개되어야 한다. The
<서플라이틸팅커버의 구성><Configuration of supply tilting cover>
도 6 내지 도 9,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물탱크(2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물탱크(210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S. 6 to 9 and 11 to 12, the
상기 물탱크의 틸팅 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상대 회전된다. When the water tank is tilted, the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물탱크의 물공급밸브가 관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를 관통하여 밸브서포트(2250)과 접촉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물탱크(2100)의 하부를 구성하는 탱크로어바디(2110)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하측이 개구되고, 상면 및 측면을 폐쇄된다. The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물탱크(2100)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틸팅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틸팅어셈블리의 작동에 의해 틸팅되는 틸팅커버바디(2262)와,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2100)의 밸브홀(2111)과 연통되는 밸브삽입홀(2261)과,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틸팅커버사이드월(2264)을 포함한다. The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는 대체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에 상기 밸브삽입홀(2261)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삽입홀(2261)은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밸브홀(2111)의 물을 제공받는다. 상기 밸브홀(2111)의 하측에 상기 밸브삽입홀(2261)이 배치된다. The tilting cover body 2262 is generally arranged horizontally. The valve insertion hole 2261 is formed in the tilting cover body 2262. The valve insertion hole 2261 penetrates the tilting cover body 226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eceives water from the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의 하측면에 상기 틸팅경사면(2237)의 상측단(2237a)이 지지된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틸팅경사면(2237)의 상측단(2237a)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틸팅될 수 있다. The
상기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될 때, 상기 물탱크(2100)의 밸브설치부(2115)가 상기 밸브삽입홀(2261)을 관통하고,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밸브설치부(2115)에서 물탱브밸브(2150) 및 밸브서포터(2250)이 상호 간섭될 수 있다. When the
그리고 상기 밸브삽입홀(2261) 주변에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를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배치된다. And a component for fixing the water bellows 2240 to the tilting cover body 2262 is disposed around the valve insertion hole 2261.
<워터벨로우즈의 구성><Configuration of water bellows>
도 6 내지 도 9,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고정되고, 상기 물탱크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제공한다.Referring to FIGS. 6 to 9 and 11 to 12, the water bellows 224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water bellows 2240 is fixed to the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가 탄성변형되어 늘어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물탱크의 틸팅 시에도,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를 연결한다. The water bellows 2240 prevents water discharged from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bellows 22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rrugated pipe.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은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고정되고, 하단은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고정된다. The upper end of the water bellows 2240 is fixed to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을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고정하기 위한 벨로우즈캡(2242)이 더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a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은 상기 밸브삽입홀(2261)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upper end of the water bellows 2240 protrudes upward from the
상기 벨로우즈캡(2242)은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을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상측면에 가압한다. 상기 벨로우즈캡(2242)은 체결 또는 억지끼움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bellows cap 224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벨로우즈캡(2242)은 체결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고정된다. 이는 워터벨로우즈(2240)의 손상 또는 파손 시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bellows cap 2242 is fixed to the
<서플라이플로터의 구성><Configuration of supply plotter>
도 6 내지 도 9,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서플라이챔버(2211)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Referring to FIGS. 6 to 9 and 11 to 12, the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물탱크의 물이 모두 액적생성모듈(230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로 유동되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The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부력은 상기 물탱크(2100)에서 가해지는 압력보다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buoyancy of the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밸브홀(2258)을 폐쇄한다. 상기 밸브홀(2258)이 폐쇄되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물이 공급되지 않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의 물은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를 통해 액적생성모듈(2300)로 이동된다. When the water level in the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서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로 물이 이동된 만큼 서플라이챔버(2211) 내의 수위가 낮아지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높이가 낮아져 상기 밸브홀(2258)이 개방될 수 있다. As the water moves from the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 플로터바디(2222)와,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형성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플로터가이드(2234)가 삽입되는 가이드삽입홈(2225)과,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삽입홈(2225)을 형성시키는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와,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유로(2231)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밸브홀(2258)을 개폐시키는 플로터밸브(2270)를 포함한다. The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는 상측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가 삽입된다.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에 따른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상승 또는 하강 시,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는 플로터가이드(2234)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된다.The support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로터가이드(2234)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역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The support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방향으로는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최하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는 측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제공한다. The support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 중 적어도 일부는 동일한 높이 내에 위치된다.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는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된다. At least some of the suppor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의 직경이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는 플로터가이드(2234)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는 플로터밸브(2270)의 설치구조를 위한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support
상기 플로터밸브(2270)는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배치된 플로터밸브코어(2272)와,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미들홀(2258)을 개폐시키는 플로터밸브스토퍼(2278)을 포함한다.The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는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는 상기 플로터바디(222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플로터바디(2222)는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가 관통되는 코어홀(2223)이 형성된다. The
상기 코어홀(2223)은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내측에 배치된다. The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를 기준으로 내측에 코어홀(2223)이 형성되고, 바깥쪽에 가이드삽입홈(2225)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홀(2223) 및 가이드삽입홈(2225)은 모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A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는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터바디(2222)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코어홀(2223)을 형성시키고 외측에 상기 가이드삽입홈(2225)을 형성시키는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과, 상기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 및 플로터바디(2222)를 연결하고, 상측에 상기 가이드삽입홈(2225)을 형성시키는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을 포함한다. The support
상기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는 상하 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은 탑뷰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upport body
상기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의 안쪽단은 플로터바디(2222)와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의 바깥쪽단은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과 연결된다. The inner end of the support body bottom wall (2224b) is connected to the floater body (2222), and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body bottom wall (2224b)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inner wall (2224a).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로터바디(2222) 및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를 별도로 제작한 후 플로터바디(2222) 내부에 조립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는 상기 코어홀(222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상단은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고,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하단은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의 하단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The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하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의 하단에 지지되는 코어지지단(2273)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지지단(2273)은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 보다 낮게 위치된다.A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플로터바디홈(2226)이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바디홈(2226)은 코어홀(2223)과 연통되고, 코어홀(2223)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바디홈(2226)은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 보다 낮게 위치된다. A plotter body groove 2226 is formed concav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상기 코어지지단(2273)은 상기 플로터바디홈(2226)에 삽입되고, 코어지지단(2273)은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저면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플로터바디홈(2226)에 은닉된다.The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상단에 플로터밸브스토퍼(2278)이 조립된다. 상기 플로터밸브스토퍼(2278)는 플로터밸브코어(2272)에 조립된 상태에서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의 상단에 지지된다. A floater valve stopper (2278) is assembled on top of the floater valve core (2272). The
상기 플로터밸브스토퍼(2278)는 상측이 뾰족한 삼각뿔 형상이고, 뾰족한 첨단(2279)이 상기 밸브홀(2258)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첨담(2279)은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상측단 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에서 서플라이챔버(2111)로 유동되는 물은 2번의 단속과정을 거친다. In this embodiment, water flowing from the
먼저,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밸브홀(2111)을 개폐하여 물의 유동을 단속한다. 다음으로, 플로터밸브(2270)가 미들홀(2258)을 개폐하여 물의 유동을 단속한다. First, the
상기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이 2번의 개폐과정을 거쳐 서플라이챔버(2111)로 유동되기 때문에, 물의 과공급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추가적으로 물의 공급을 제어하기 때문에, 액적생성모듈(2300)로 물이 과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Sinc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본 실시예와 달리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에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배치하고,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에 개폐밸브를 배치하여 액적생성모듈(2300)에 제공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수위센서 및 개폐밸브를 추가적으로 필요로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전기신호를 통해 제어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케이블의 결선구조를 필요로 한다. Unlike this embodiment, a water level sensor that detects the water level can be placed inside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에 제공되는 물의 공급량을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서플라이플로터(2220)를 통해 제어하기 때문에, 액적생성모듈(2300) 내부의 수위조절 및 물 공급량을 기구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액적생성모듈의 구성>><<Configuration of droplet generation module>>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는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액적을 생성한다.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는 초음파진동자(2330)의 진동을 통해 물을 액적상태로 무화시킨다. Referring to Figures 13 to 17, the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는 가습하우징(2310)과, 상기 가습하우징(2310) 내부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초음파진동자(2330)와, 상기 가습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하우징(2310) 내부와 연통되고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워터파이프(2314)와, 상기 가습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공기가이드(2400)와 연결되고, 내부에서 생성된 액적을 상기 가습공기가이드(2400)에 공급하는 가습토출부(2316)와, 상기 가습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2500)과 연결되고, 상기 가습팬(2500)으로부터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는 공기흡입부(2318)를 포함한다. The
상기 가습하우징(2310)은 외부와 밀폐된 구조이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 가습토출부(2316), 공기흡입부(2318)은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가습하우징(2310)는 베이스(130)에 설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하우징(2310)은 SPS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가습하우징(2310)은, 어퍼가습하우징(2340) 및 로어가습하우징(2350)을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어퍼가습하우징(2340)은 하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로어가습하우징(2350)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하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로어가습하우징(235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토출부(2316) 및 공기흡입부(2318)은 상기 어퍼가습하우징(2340)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 및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높낮이 차를 통해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워터파이프(2314)로 유동된다. The
상기 어퍼가습하우징(2340)에 형성된 공기흡입부(2318) 및 가습토출부(2316)는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가습토출부(2316) 및 공기흡입부(2318)는 높이차(SH)를 형성하고, 상기 가습토출부(2316)가 공기흡입부(2318)보다 높이차(SH) 만큼 높게 배치된다. 이는 어퍼가습하우징(2340) 내부의 액적이 상기 가습토출부(2316)로 용이하게 모이게 하기 위함이다. The
상기 공기흡입부(2318)의 면적은 넓을수록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가습토출부(2316) 보다 넓게 형성된다. The larger the area of the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가습하우징(2310)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를 통해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300)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습하우징(2310) 내부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를 통해 배출된 물은 드레인어셈블리(2700)로 유동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적생성모듈(2300)는 하나의 워터파이프(2314)를 물의 공급 및 배수에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The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로어가습하우징(2350)의 내부 및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로어가습하우징(2350)에서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30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의 외측단은 상기 로어가습하우징(2350)의 측면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The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와 연결되고,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이다. The
즉, 3방향파이프(2735)를 통해, 제 1 연결관(2731)과 제 3 연결관(2733) 및 워터파이프(2314)가 연결되기 때문에, 배수유로가 형성되는 제 3 연결관(2733)으로 역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워터파이프(2314)를 가습하우징(2310)의 후방에 배치하여, 물이 급수유로의 제 1 연결관(2731)으로 역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가습하우징(2310)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드레인어셈블리와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드레인어셈블리(2700)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The
상기 로어가습하우징(2350)에 상기 초음파진동자(2330)가 설치된다. 상기 초음파진동자(2330)는 병렬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초음파진동자(2330)는 2개가 배치된다. 상기 초음파진동자(2330)는 제 1 초음파진동자(2331) 및 제 2 초음파진동자(2332)로 구성된다. The ultrasonic vibrator 2330 is installed in the
액적의 생성 시 상기 초음파진동자(2330)는 물에 잠기게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초음파진동자(2330)는 최저수위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초음파진동자(2330)는 가습토출부(2316)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초음파진동자(2330)에 생성된 액적은 여과공기와 함께 상기 가습토출부(2316)으로 신속하게 토출될 수 있다. When generating droplets, the ultrasonic transducer 2330 is placed submerged in water. Therefore, the ultrasonic transducer 2330 is located lower than the lowest water level. The ultrasonic vibrator 2330 is disposed below the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기의 기울어짐을 고려하여,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2331) 및 제 2 초음파진동자(2332)는 상기 최저수위보다 낮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in consideration of the tilt of the indoor unit, the first
실내기의 베이스(130)는 지면에 수평하게 설치되어야 하지만, 설치오류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실내기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경우에도,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2331) 및 제 2 초음파진동자(2332)는 수면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한편,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의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워터파이프(2314)로 유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와 같거나 낮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초음파진동자(2331) 및 제 2 초음파진동자(2332)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보다 낮게 위치되고, 물의 자중을 통해 상기 가습하우징(2310) 내부로 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Meanwhile, the water inside the
특히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로어가습하우징(2350)의 가장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습하우징(2310)에 저장된 물을 배수할 때, 상기 가습하우징(2310) 내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로어가습하우징(2350)의 내부 바닥면은 상기 워터파이프(2314)로 물을 유동시키는 홈 또는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에는 별도의 밸브가 배치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no separate valve is disposed in the
상기 워터파이프(2314) 및 챔버하우징파이프(2214)가 연통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와 상기 가습하우징(2310)의 수위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Since the
구체적으로, 상기 가습하우징(2310)의 내부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와 상기 가습하우징(2310)의 수위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수위 상승에 따라 상승되며,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물이 공급되는 미들홀(2258)을 폐쇄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sufficient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은 상기 초음파진동자(2330) 보다 높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의 최고수위는 밸브홀(2111)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미들홀(2258)은 액적생성모듈(2300)의 최고수위와 같거나 높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초음파진동자(2330)의 상단과 이격거리를 형성한다. The highest water level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에 배치된 플로터밸브스토퍼(2278)가 플로터바디(2222)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최대 상승 높이는 상기 최고수위와 같거나 낮을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다만,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최대 상승 시, 상기 미들홀(2258)이 폐쇄되고,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에 제공되는 물공급이 차단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However, there is no change in the fact that when the
상기 가습토출부(2316)는 상기 어퍼가습하우징(2340)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가습토출부(2316)는 상기 어퍼가습하우징(234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가습토출부(2316)은 상기 가습공기가이드(2400)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어퍼가습하우징(234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가습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어퍼가습하우징(2340)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어퍼가습하우징(2340)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가습팬(2500)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입된다. The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가습팬(2500)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어퍼가습하우징(234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가습토출부(2316)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가습토출부(2316) 보다 가습팬(2500)에 가까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가습팬(2500)과 연결되고, 상기 가습팬(2500)으로부터 여과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로 공급된 여과공기는 가습하우징(231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가습하우징(2310) 내부의 액적과 함께 가습토출부(2316)로 토출된다. The
상기 가습하우징(2310) 내부로 여과공기가 아닌 일반 공기가 유입될 경우, 상기 가습하우징(2310) 내부는 곰팡이 등이 번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When normal air, rather than filtered air, flows into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하우징(2310)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여과공기로 한정되기 때문에,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가 작동되지 않을때 내부가 세균 또는 곰팡이 등으로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air supplied inside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는 가습팬(2500)의 공기 유동이 내부에 공급되어 가습공기를 가습하우징(2310)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가습공기의 유동압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 liquid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가습하우징 밖에서 가습팬이 가습공기를 빨아내는 구조일 경우, 가습하우징 내부의 가습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Unlike this embodiment, if the humidifying fan is structured to suck humidified air from outside the humidifying housing, the humidified air inside the humidifying housing may not be discharged smoothly.
액적생성모듈(2300)에서 생성된 액적이 신속하게 측면토출구(301)(302)로 유동되지 않을 경우, 액적의 이동 과정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If the droplets generated in the
본 실시예는 가습팬(2500)이 액적생성모듈(2300)의 공기 흡입 측에서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가습공기의 유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슬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팬(2500)의 공기가 가습하우징(2310) 내부의 가습공기를 가습하우징(2310)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충분한 공기의 유속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가습공기의 유동과정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되더라도, 액적을 유동시키는 공기의 유속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응축수가 공기의 유속에 의해 자연증발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even if dew condensation occurs during the flow of humidified air, the condensate can be naturally evaporated by the flow rate of the air because the flow rate of the air that flows the liquid droplets is sufficiently secured.
<드레인어셈블리의 구성><Configuration of drain assembly>
상기 드레인어셈블리(2700)는, 베이스(130)에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액적생성모듈(2300)의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펌프(2710)와, 상기 드레인펌프(2710)에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펌프(2710)에서 펌핑된 물을 상기 실내기 밖으로 안내하는 드레인호스(2720)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액적생성모듈(2300)의 워터파이프(2314) 및 드레인펌프(2710)를 연결하여 물을 유동시키는 물연결관(2730)을 포함한다. The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장치이기 때문에, 작동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드레인펌프(2710)는 물연결관(2730)과 연결되는 드레인인릿(2714)과, 상기 드레인호스(2720)와 연결되는 드레인아웃릿(2712)을 포함한다.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드레인인릿(2714)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드레인아웃릿(2712)은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물공급어셈블리(2200), 액적생성모듈(2300) 및 드레인펌프(2710)에서의 물은 물의 자중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배치는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드레인펌프(2710)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및 워터파이프(2314)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water in the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액적생성모듈(2300)의 물 역시 물의 자중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water in the
이와 같은 배열에 의해 이 셋 중에서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가 가장 높게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펌프(2710)가 가장 낮게 배치되며,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및 드레인펌프(2710) 사이의 높이에 배치된다. By this arrangement, among these three, the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액적생성모듈(2300) 및 드레인펌프(2710)는 모두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베이스(130)에 배치된다. 상술한 높이차를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130)는 높낮이차를 형성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30)는 하측으로 오목한 드레인펌프 설치부(133)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베이스(130)는 평평하게 형성된 베이스탑월(131)과, 상기 베이스탑월(131)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드레인펌프 설치부(133)를 포함한다.The
상기 베이스탑월(131)이 상기 드레인펌프 설치부(133)보다 높게 위치된다. The base
상기 드레인펌프(2710)는 상기 드레인펌프 설치부(133)에 설치되고, 물탱크(2100) 및 액적생성모듈(2300)의 물이 상기 드레인펌프(2710)에 모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 잔류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상기 물연결관(2730)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와 연결되는 제 1 연결관(2731)과, 상기 워터파이프(2314)와 연결되는 제 2 연결관(2732)와, 상기 드레인인릿(2714)과 연결되는 제 3 연결관(2733)과, 상기 제 1 연결관(2731), 제 2 연결관(2732) 및 제 3 연결관(2733)과 연결되는 3방향파이프(2735)를 포함한다. The
상기 3방향파이프(2735)는 T형 파이프 또는 Y형 파이프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T형 파이프가 사용된다.The three-
상기 제 1 연결관(2731)의 일측단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과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3방향파이프(2735)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연결관(2731)에 밸브가 설치되고, 설치된 밸브가 상기 제 1 연결관(2731)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상기 제 2 연결관(2732)의 일측단은 상기 워터파이프(2314)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3방향파이프(2735)와 결합된다. 상기 제 2 연결관(2732) 내부에는 메수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쉬필터는 상기 액적생성모듈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스케일을 여과하고, 스케일이 상기 드레인펌프(27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One end of the
상기 제 3 연결관(2733)의 일측단은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드레인인릿(2714)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3방향파이프(2735)와 결합된다. One end of the
상기 제 1 연결관(2731), 제 2 연결관(2732) 및 제 3 연결관(2733)의 재질에 특별한 제약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된다. There are no particular restrictions on the materials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작동 시, 상기 가습하우징(2310) 내부에 저장된 물 뿐만 아니라 상기 물탱크(2100) 및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저장된 물도 모두 배수되는 특징이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사용되는 물은 실내 가습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세균 번식의 위험이 있다. 그래서 소정기간(24시간)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물탱크(2100),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론 가습하우징(2310)에 저장된 물도 모두 배수하고,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 전체를 건조시키는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Since the water used in the
초음파진동자(2330)의 표면 또는 가습하우징(2310) 내부에 스케일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주기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소정기간(1일) 가습어셈블리(2000)가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물탱크(2100),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론 가습하우징(2310)에 저장된 물도 모두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desirable to periodically operate the
상기 드레인펌프(2710)가 작동되면, 상기 제 3 연결관(2733) 측의 물이 배수된다. 드레인인릿(2714)과 결합된 상기 제 3 연결관(2733)의 일측단이 가장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물탱크(2100) 및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물은 상기 제 1 연결관(2731) 및 3방향파이프(2735)를 거쳐 상기 제 3 연결관(2733)으로 유동된다.When the
마찬가지로,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가습하우징(2310)의 물은 상기 제 2 연결관(2732) 및 3방향파이프(2735)를 거쳐 상기 제 3 연결관(2733)으로 유동된다. Likewise, the water in the
이와 같이, 상기 물연결관(2730)의 구조는 액적생성모듈(2300)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습어셈블리(2000) 전체의 배수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the
<<가습공기가이드의 구성>><<Composition of humidifying air guide>>
상기 가습공기가이드(2400)는 액적생성모듈(2300)의 가습공기를 토출유로에 공급한다. 상기 토출유로는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유로 및 근거리 팬어셈블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유로를 포함한다. The humidifi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밖으로 토출되기 전까지로 정의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passage is disposed in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공기가이드(2400)는 액적생성모듈(2300)에서 생성된 가습공기를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한다. 상기 가습공기가이드(2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의 공기와 분리된 별도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가습공기가이드(2400)는 관 또는 덕트의 형태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ied
상기 가습공기가이드(2400)는 액적생성모듈(2300)에 결합되고,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의 가습공기를 제공받는 메인가습공기가이드(2450)와, 상기 메인가습공기가이드(245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가습공기가이드(245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 중 일부를 제 1 측면토출구(301)로 안내하는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상기 메인가습공기가이드(245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가습공기가이드(245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 중 나머지를 제 2 측면토출구(302)로 안내하는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조립되고,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토출시키는 제 1 디퓨저(2430)와,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조립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토출시키는 제 2 디퓨저(2440)를 포함한다. The humidified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가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에는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가 결합되는 각각의 가습토출부가 배치된다. Unlike this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분지가이드만 배치되고, 상기 하나의 분지가이드가 하나의 디퓨저에 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디퓨저는 제 1 측면토출구 또는 제 2 측면토출구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only one branch guide is disposed,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one branch guide is coupled to one diffuser can be provided. In this case, one diffuser may be disposed in only one of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or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퓨저는 측면토출구에 배치되지만, 상기 정면토출구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디퓨저의 설치위치는 측면토출구로 제한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the diffuser is disposed at the side discharge port, but it may also be installed at the front discharge port. That i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diffuser is not limited to the side discharge port.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가습공기가이드(2450)는 덕트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가습공기가이드(2450)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안내한다. 상기 메인가습공기가이드(2450)는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에서 공급된 가습공기(액적 및 여과공기가 혼합된 공기)를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에 제공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main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에서 공급된 가습공기는 상기 메인가습공기가이드(2450)에서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로 분기된다. The humidified air supplied from the
상기 메인가습공기가이드(2450)의 하단은 가습하우징(2310)의 가습토출부(2316)에 결합된다. 상기 메인가습공기가이드(2450)의 상단은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main
상기 메인가습공기가이드(2450)는 하측이 개구된다. 상기 메인가습공기가이드(2450)의 상측에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가 조립되는 제 1 가이드결합부(2451)와,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가 조립되는 제 2 가이드결합부(2452)가 배치된다.The main
상기 제 1 가이드결합부(2451) 및 제 2 가이드결합부(2452)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가이드결합부(2451) 및 제 2 가이드결합부(2452)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The first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는 상기 제 1 가이드결합부(2451)의 평단면과 대응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는 상기 제 2 가이드결합부(2451)의 평단면과 대응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가습공기가이드(2450)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한쪽(좌측)에 치우쳐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는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main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에 균등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의 관경을 다르게 제작하여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의 유량을 균등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air is equally supplied to the
예를 들어 길이가 짧은 가습공기가이드의 관경을 작게 하고, 길이가 긴 가습공기가이드의 관경을 크게하여 유량을 균등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flow rate can be made even 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short humidifying air guide and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long humidifying air guide.
상기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된다. The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조립되고,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를 통해 가습공기를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토출시킨다. The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가습공기를 실어서 배출한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과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은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의 유량이 가습공기의 유량보다 크지만, 유속은 유사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어느 한쪽의 유속이 더 클 경우, 다른 한쪽의 유속에 대해 저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The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디퓨저(2430)에서 토출된 애적을 더 멀리 확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디퓨저(2440)도 동일한 원리로 작동된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상기 제 2 디퓨저(2440)는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조립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디퓨저(2440)는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를 통해 가습공기를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토출시킨다. The
상기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는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 1 디퓨저(243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Since the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하측에서 가습공기 측면토출구로 토출시킨다. The
상기 디퓨저(본 실시예에서 제 1 디퓨저 및 제 2 디퓨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본 실시예에서 하측)이 개구되는 디퓨저하우징(2460)과,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디퓨저아웃릿(2431)(2441)와,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공기가이드(2420)(2430)과 조립되는 디퓨저인릿(2433)(2443)를 포함한다. The diffuser (the first diffuser and the second diffuser in this embodiment) has a space formed inside and a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의 디퓨저아웃릿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디퓨져아웃릿(2431) 및 제 2 디퓨저아웃릿(2441)으로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의 디퓨저인릿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디퓨저인릿(2433) 및 제 2 디퓨저인릿(2443)으로 정의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diffuser outlets of the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디퓨저하우징(246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The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토출구(301)(302) 근처에 배치된다. The
상기 제 1 디퓨져아웃릿(2431)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2441)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우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아웃릿(2431)은 측면토출구(301)(302) 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토출구(301)(302)에서 토출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 보다 멀리 가습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은 내부에 디퓨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공간은 상기 디퓨저인릿(2433) 및 디퓨저아웃릿(2431)과 연통된다.상기 디퓨저공간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평단면으로 볼 때, 상기 디퓨저공간의 내측은 넓고, 외측은 좁게 형성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인릿(2433)은 파이프형태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디퓨저인릿(2433)은 가습공기가이드(24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디퓨저인릿(2433)이 가습공기가이드(24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은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에 맺힌 응축수는 상기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유동되고, 디퓨저인릿(2433)을 통해 가습공기가이드(2420)로 이동된 후, 메인가습공기가이드(2450)를 거쳐 액적생성모듈(2300)로 회수될 수 있다. The condensed water condensed inside the
상기 가습팬(2500)의 작동 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의 응축수는 자연증발될 수 있다. 상기 가습팬(2500)이 작동되지 않을 경우,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에 맺힌 응축수는 액적생성모듈(2300)로 회수될 수 있고,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Whe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2000)는 가습을 제공할 때, 수분의 도달거리를 가습팬(2500)의 출력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수분을 보다 멀리 유동시키기 위해 가습팬(2500)의 출력에만 의존할 경우, 가습팬(2500)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가습팬(2500)을 고속으로 작동시켜야만 한다. When the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어셈블리(2000)를 작동시킬 때,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공기유동에 수분을 실어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용량이 작은 가습팬(2500)을 사용하여도 실내의 먼곳까지 가습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operating the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가 측면토출구(301)(302)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 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가습공기를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If the
<<가습팬의 구성>><<Composition of humidifying fan>>
상기 가습팬(2500)은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여 액적생성모듈(2300)에 공급하고,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에서 생성된 액적과 함께 여과공기를 가습공기가이드(2400)로 유동시킨다. The
상기 가습팬(2500)은 액적 및 여과공기(본 실시예에서 가습공기라 한다)를 디퓨저(2430)(2440)에서 토출시키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킨다. The
상기 가습팬(2500)은,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여과공기를 액적생성모듈(2300)로 안내하는 가습팬하우징(2530)과, 하측이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필터어셈블리(600)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제공하는 클린흡입덕트(2540)와,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의 여과공기를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로 유동시키는 가습임펠러(2510)와,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를 회전시키는 가습모터(2520)를 포함한다. The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제공한다.The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어퍼캐비닛(110)에 배치되고, 가습팬(2500)은 로어캐비닛(120)에 배치되기 때문에 높이차가 있다. 즉, 필터어셈블리(600)는 가습팬(2500)의 상부에 위치된다.Since the
특히,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로 유동되고, 로어캐비닛(120)으로는 여과공기가 유동되지 않거나 유동이 어렵다. 구체적으로 로어캐비닛(120)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지 않는 이상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여과공기가 유동되거나 순환되지는 않는다. In particular, the filtered air that passes through the
더불어 어퍼캐비닛(110)의 하측에는 열교환어셈블리를 지지하고,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팬(140)이 배치되기 때문에,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여과공기가 로어캐비닛(120)으로 유동되는데는 제약이 많다.In addition, since the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의 상측단은 어퍼캐비닛(110) 내부에 위치되고, 하단은 로어캐비닛(120) 내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여과공기를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유로를 제공한다. The upper end of the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열교환어셈블리 또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향해 개구된 제 1 클린덕트 개구면(2541)이 형성된다. The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여과공기를 히터(2570)가 배치된다. 상기 히터(2570)는 여과공기를 가열하여 액적의 작은 크기로 미세화시킬 수 있다.A
상기 초음파진동자(2330)를 통해 물을 액적형태로 변환시킬 경우, 액적의 크기는 7 내지 10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상기 히터(2570)를 통해 여과공기를 가열시킬 경우, 생성된 액적의 크기를 1마이크로미터 미만으로 미세화시킬 수 있다. 상기 액적의 크기가 미세화되면, 이동 중에 이슬맺힘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When water is converted into droplet form through the ultrasonic transducer 2330, the size of the droplet may be 7 to 10 micrometers. When filtered air is heated through the
상기 히터(2570)는 가습팬하우징(2530)의 토출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2570)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가습하우징(2310) 내부로 바로 유입되는 것이 액적의 크기를 미세화하는데 유리하다. The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은 클린흡입덕트(2540)과 결합되고, 여과공기가 흡입되고, 내부에 제 1 흡입공간(2551)이 형성된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으로 부터 여과공기를 제공받고, 내부에 제 2 흡입공간(2561)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가습임펠러(2510)가 배치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의 작동에 의해 여과공기를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로 안내하는 제 2 가습팬하우징(2560)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과 연통되고, 일측(본 실시예에서 상측)을 향해 개방된 제 1 흡입개구면(2552)과,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과 연통되고, 타측(본 실시예에서 하측)을 향해 개방된 제 2 흡입개구면(2562)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 및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관통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 및 제 2 흡입공간(2561)을 연통시키는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과,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모터(2520)가 설치되는 모터설치부(2565)를 포함한다. The humidify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2570)는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히터(2570)는 액적생성모듈(2300)의 공기흡입부(2318) 상측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은 상측을 향해 제 1 흡입개구면(2552)이 형성된다.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은 상기 흡입개구면(2552)에 연결된다. 반면에,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은 하측을 향해 제 2 흡입개구면(2562)이 형성된다. The firs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흡입개구면(2552)의 개구된 방향과 상기 제 2 흡입개구면(2562)이 개구된 방향은 반대다. 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irst
상기 가습모터(2520)의 모터축(미도시)은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관통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에 조립된다. The motor shaft (not shown) of the
상기 모터설치부(2565)는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모터설치부(2565)에 가습모터(252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The
제 1 흡입공간(2551)이 형성된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제 2 흡입공간(2561)이 형성된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이 각각 제작된 후 조립될 수 있다. The first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3파트를 조립하여 가습팬하우징(2530)을 제작한다.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ying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은,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가습팬하우징부(2531)과,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의 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나머지 및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와,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의 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모터설치부(2565)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의 나머지를 구성하는 제 3 하우징부(2533)을 포함한다. The humidifying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이 제 1 가습팬하우징(2550) 및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서 공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부품 수를 단순화하게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humidifying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에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는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는 가습임펠러(2510) 측으로 돌출되고, 원형으로 형성된다. A first suction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는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를 형성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 측으로 돌출되는 오리피스부(2534)가 형성된다. The second humidifying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는 전방에 제 1 흡입공간(2551)이 배치되고, 후방에 제 2 흡입공간(2561)이 배치된다. The second humidifying
상기 가습임펠러(2510)는 중앙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이다. 상기 가습임펠러(251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통해 액적생성모듈(2300)로 유동된다. The
상기 가습모터(2520)의 구동에 따른 여과공기의 유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flow of filtered ai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상기 가습모터(2520)의 구동 시, 상기 가습모터(2520)와 결합된 가습임펠러(2510)이 회전된다. 상기 가습임펠러(2510)가 회전되면, 가습팬하우징(2530) 내에서 공기유동이 발생되고, 클린흡입덕트(2540)를 통해 여과공기가 흡입된다.When the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을 통해 흡입된 여과공기는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제 1 흡입공간(2551) 및 제 1 흡입공간 토출부92553)을 거쳐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으로 유동된 공기는 가습임펠러(2510)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된 후, 제 2 흡입개구면(2562)를 통해 액적생성모듈(2300) 내부로 유동된다. The filtered air sucked through the clean suction duct (2540) passes through the first suction space (2551) and the first suction space outlet 92553 of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to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It flows.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상기 액적생성모듈(2300)의 공기흡입부(2318)을 통해 가습하우징(2310) 내부로 유동된 여과공기는 액적생성모듈(2300)에서 생성된 액적과 함께 가습토출부(2316)로 토출된다.The filtered air flowing into the
상기 가습토출부(2316)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메인가습공기가이드(2450)에서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으로 분기된다.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로 유동된 가습공기는 제 1 디퓨저(2440)를 통해 제 1 측면토출구(301)로 토출되고,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로 유동된 가습공기는 제 2 디퓨저(2450)를 통해 제 2 측면토출구(302)로 토출된다. The humidified air flowing through the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를 통해 생성된 바람과 함께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으로 확산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를 통해 생성된 바람과 함께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우측으로 확산된다.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who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0 : 캐비닛어셈블리 200 : 도어어셈블리
300 : 근거리팬 어셈블리 400 : 원거리팬 어셈블리
500 : 열교환어셈블리 600 : 필터어셈블리
2000 : 가습어셈블리 2100 : 물탱크
2200 : 물공급어셈블리 2300 : 액적생성모듈
2330 : 초음파진동자 2570 : 히터
2400 : 가습공기가이드 2500 : 가습팬
2700 : 드레인어셈블리100: cabinet assembly 200: door assembly
300: Near-distance fan assembly 400: Far-distance fan assembly
500: Heat exchange assembly 600: Filter assembly
2000: Humidification assembly 2100: Water tank
2200: Water supply assembly 2300: Droplet generation module
2330: Ultrasonic oscillator 2570: Heater
2400: Humidifying air guide 2500: Humidifying fan
2700: Drain assembly
Claims (13)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향하는 기류를 형성하는 팬어셈블리;
상기 팬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된 기류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고, 내부에 배치된 초음파진동자를 통해 내부에 저장된 물을 무화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액적생성모듈;
상기 액적생성모듈과 결합되고, 공기를 상기 액적생성모듈에 공급하는 가습팬;
상기 액적생성모듈에 결합되고, 상기 액적생성모듈에서 토출된 상기 가습공기가 유동하는 가습공기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는:
상기 팬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된 기류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토출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공기가이드는:
상기 토출유로와 독립된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가습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가습유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 cabinet assembly with an inlet and an outlet arranged;
a fan assembly forming an airflow from the intake port to the discharge port;
a heat exchange assembly that exchanges heat between the airflow formed by the fan assembly and the refrigerant;
a water tank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and storing water;
a droplet generating module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receiv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generating humidified air by atomizing the water stored therein through an ultrasonic vibrator disposed therein;
A humidifying fan coupled to the droplet generation module and supplying air to the droplet generation module;
A humidifying air guide coupled to the droplet generating module and through which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droplet generating module flows,
The cabinet assembly:
It includes a discharge passage that guides the airflow formed by the fan assembly to the discharge port,
The humidified air guide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humidifying passage that forms a passage independent of the discharge passage and guides the humidified air to the discharge port.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커버하며, 상기 캐비닛어셈블리 내부로 유동되는 실내공기를 여과하여 여과공기를 형성시키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되는 열교환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팬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액적생성모듈에 제공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 claim 1,
a filter assembly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covering the intake port, and filtering indoor air flowing into the cabinet assembly to form filtered air;
It further includes a heat exchange assembly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ssembly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filter assembly,
The humidifying fan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sucks in filter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 assembly and provides it to the droplet generating module.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에 배치되는 클린흡입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린흡입덕트는 상기 가습팬과 결합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를 통과한 상기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에 제공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 claim 2,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clean suction duct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ssembly, wherein the clean suction duct is coupled to the humidifying fan and provides the filtered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assembly to the humidifying fan. .
상기 액적생성모듈은,
상기 가습팬과 결합되고, 상기 가습팬을 통해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는 공기흡입부;
상기 가습공기가이드와 결합되고, 상기 액적생성모듈 내부의 상기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가습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 claim 2,
The droplet generation module is,
an air intake unit coupled to the humidifying fan and receiving the filtered air through the humidifying fan;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humidifying discharge unit coupled to the humidifying air guide and discharging the humidified air inside the droplet generating module.
상기 가습토출부는 상기 액적생성모듈에 상방으로 개구되고,
상기 가습공기가이드는 상기 액적생성모듈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공기가이드의 하단은 상기 가습토출부에 결합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 claim 4,
The humidifying discharge unit opens upward in the droplet generating module,
The humidified air guide is disposed above the liquid droplet generating module, and the lower end of the humidified air guide is coupled to the humidifying discharge unit.
상기 초음파진동자는 상기 가습토출부 하측에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 claim 4,
The ultrasonic vibrator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disposed below the humidifying discharge unit.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가습팬에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heater that heats the air, wherein the heater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disposed in the humidifying fan.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가습팬의 토출측에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 claim 1,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heater that heats the air, wherein the heater is disposed on a discharge side of the humidifying fan.
상기 가습팬은,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여과공기를 상기 액적생성모듈로 안내하는 가습팬하우징;
상기 가습팬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하우징의 여과공기를 상기 액적생성모듈로 유동시키는 가습임펠러;
상기 가습팬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임펠러를 회전시키는 가습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 claim 2,
The humidifying fan is,
a humidifying fan housing that sucks in filter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and guides the sucked filtered air to the droplet generating module;
a humidifying impeller disposed inside the humidifying fan housing and flowing filtered air of the humidifying fan housing to the droplet generating modul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humidifying motor disposed in the humidifying fan housing and rotating the humidifying impeller.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가습팬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하우징의 토출측에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 claim 9,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ing a heater that heats the air, wherein the heater is disposed inside the humidifying fan housing and disposed on a discharge side of the humidifying fan housing.
상기 가습공기가이드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액적생성모듈에서 토출된 상기 가습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는 분지가이드; 및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분지가이드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토출구에 토출시키는 디퓨저;를 포함하고, 상기 분지가이드는 상기 가습토출부에 결합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 claim 4,
The humidified air guide is,
a branch guide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ssembly and guiding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droplet generating module to the discharge port; and a diffuser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and discharging humidified air supplied through the branch guide to the discharge port, wherein the branch guide is coupled to the humidification discharge portion.
상기 토출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좌측면에 배치된 제 1 측면토출구 및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우측면에 배치된 제 2 측면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저는 상기 제 1 측면토출구 및 제 2 측면토출구에 각각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 claim 11,
The discharge port includes a first side discharge port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and a second side discharge port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The diffuser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disposed at the first side outlet and the second side outlet, respectively.
상기 물탱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액적생성모듈에 제공하는 챔버하우징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는 상기 초음파진동자 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보다 낮게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In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chamber housing pipe disposed below the water tank and provid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droplet generation module,
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herein the chamber housing pipe is disposed higher than the ultrasonic transducer and lower than the water tan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0950A KR102639778B1 (en) | 2019-09-06 | 2019-09-06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0950A KR102639778B1 (en) | 2019-09-06 | 2019-09-06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9560A KR20210029560A (en) | 2021-03-16 |
KR102639778B1 true KR102639778B1 (en) | 2024-02-21 |
Family
ID=7522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0950A KR102639778B1 (en) | 2019-09-06 | 2019-09-06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9778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44986A (en) * | 2004-06-02 | 2005-12-15 | Daikin Ind Ltd | Air cleaner having humidifier, air conditioner, and humidifying function |
US20130249124A1 (en) * | 2012-03-06 | 2013-09-26 | Dyson Technology Limited | Humidifying apparatus |
KR101335145B1 (en) * | 2011-08-16 | 2013-1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umidifier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54186Y1 (en) * | 1996-12-31 | 1999-08-02 | 윤종용 | Airconditioner |
KR20070102972A (en) * | 2007-09-21 | 2007-10-22 | 최원수 | An air-conditioner with condensed water humidified |
KR200446245Y1 (en) | 2007-12-11 | 2009-10-09 | (주)비엘씨 | Steam humidifier with net-shaped metal assembling structure |
KR101339079B1 (en) | 2012-03-28 | 2013-12-09 |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 Humidifier of Air Conditioner |
KR20140067310A (en) * | 2012-11-26 | 2014-06-05 | 헵시바주식회사 | Precise temperature control unit with removing condensed water |
KR102513480B1 (en) * | 2015-07-17 | 2023-03-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al |
-
2019
- 2019-09-06 KR KR1020190110950A patent/KR10263977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344986A (en) * | 2004-06-02 | 2005-12-15 | Daikin Ind Ltd | Air cleaner having humidifier, air conditioner, and humidifying function |
KR101335145B1 (en) * | 2011-08-16 | 2013-12-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umidifier |
US20130249124A1 (en) * | 2012-03-06 | 2013-09-26 | Dyson Technology Limited | Humidify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9560A (en) | 2021-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868452B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 |
JP7174082B2 (en) | steam generator | |
KR102691497B1 (en) |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 |
US11971070B2 (en) |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 |
KR102643576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20230156000A (en) | Air conditioner | |
CN111868451B (en)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 |
KR102638178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2639778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2717317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20210079901A (en) | Air Conditioner | |
US20220404042A1 (en) |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 |
KR102219869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2628642B1 (en) | Air conditioner | |
CN209857224U (en) | Air conditioner humidifier and air conditioner | |
KR20210029559A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102715124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20240151684A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KR20200106417A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