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534B1 -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534B1
KR102512534B1 KR1020210052303A KR20210052303A KR102512534B1 KR 102512534 B1 KR102512534 B1 KR 102512534B1 KR 1020210052303 A KR1020210052303 A KR 1020210052303A KR 20210052303 A KR20210052303 A KR 20210052303A KR 102512534 B1 KR102512534 B1 KR 102512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ssembly
pipe
steam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3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8464A (en
Inventor
배준석
이영구
장환학
김강영
김문신
문성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48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464A/en
Priority to KR1020230034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24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5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가습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물이 내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물탱크가 거치되고, 챔버하우징파이프를 통해 상기 내부로 유동된 물을 배수하는 물공급어셈블리, 내부에 저장된 물을 기화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 드레인인릿을 통해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어셈블리,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및 상기 드레인인릿을 연통시키는 물연결관, 및 상기 드레인인릿을 포함하고, 자중에 의해 이동된 상기 물공급어셈블리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어셈블리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umidification assembly included in an air conditioner is provided.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a water supply assembly on which the water tank is mounted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flows inside, and a water supply assembly for draining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side through a chamber housing pipe, an internal A steam generator that vaporizes water stored in the steam generator to generate humidified air, a drain assembly that drains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inlet, a water connection pipe that communicates the chamber housing pipe, the steam generator, and the drain inlet, and The drain inlet may include the water supply assembly moved by its own weight and a drain pump draining water from the steam generator, and the drain assembly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Description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가습어셈블리{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Humidifier assembly included in air conditioner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가습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공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습공기를 실내에 제공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umidification assembly included in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umidification assembly capable of generating humidified air and supplying the generated humidified air to a room.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실내기가 배치되고, 실외에 실외기가 배치되며, 실내기 및 실외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통해 실내공기를 냉방, 난방 또는 제습할 수 있다. The split type air conditioner has an indoor unit disposed indoors and an outdoor unit disposed outdoors, and may cool, heat, or dehumidify indoor air through a refrigerant circulating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실내 바닥에 직립으로 설치하는 스탠드형 실내기, 실내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걸이형 실내기 및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 등이 있다.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type, the indoor unit of the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ncludes a stand-type indoor unit installed upright on the indoor floor, a wall-mounted indoor unit installed by hanging on an indoor wall, and a ceiling-type indoor unit installed on the indoor ceiling.

종래 스탠드형 실내기는 냉방 시, 실내공기를 제습할 수 있지만, 난방 시 실내공기를 가습할 수는 없었다. Conventional stand-type indoor units can dehumidify indoor air during cooling, but cannot humidify indoor air during heating.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3-0109738(선행기술 1이라 한다)에는 가습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습장치가 구비된 스탠드형 실내기가 공지되어 있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09738 (referred to as Prior Art 1) discloses a stand-type indoor unit equipped with a humidifier capable of providing humidification.

선행기술1의 스탠드형 실내기는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내부에 가습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드레인팬의 물을 물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통해 흡수부재를 적시며, 상기 흡수부재가 흡수된 물을 자연증발시키는 구조이다. In the stand-type indoor unit of Prior Art 1, a humidifier is provided inside a body forming an exterior of the indoor unit. And, the humidifier of the prior art 1 has a structure in which water from a drain pan is stored in a water tank, an absorbent member is wetted with the stored water, and the absorbent member naturally evaporates the absorbed water.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깨끗한 물을 사용하지 않고, 열교환기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사용한다. 물탱크에 저장된 물에는 열교환기 표면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다량포함될 수 있고, 이물질에서 곰팡이 또는 세균이 번식할 개연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The humidifier of the prior art 1 does not use clean water, but uses condensed water flowing down from the heat exchanger.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may contain a larg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and there is a very high probability that mold or bacteria will propagate in the foreign substances.

또한,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본체 내부에서 물을 증발시키기 때문에, 증발된 물이 본체 내부의 부품 또는 내벽에 부착될 수 있고, 본체 내부에 곰팡이 또는 세균의 번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humidifier of the prior art 1 evaporates water inside the main body, the evaporated water may adhere to parts or inner walls of the main body, causing the growth of mold or bacteria in the main body.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본체 내부에서 물이 증발되고, 송풍팬이 작동되어도, 송풍팬에 의해 증발된 수분이 모두 실내로 토출되지 않고, 실내열교환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 실내열교환기 표면에 재부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humidifying device of the prior art 1, even if water is evapora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blowing fan is operated, all the moisture evaporated by the blowing fan is not discharged to the room,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is low, it is returned to the surfac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There was a problem with attaching.

또한, 실내온도가 낮을 때 실내공기의 습도가 낮기 때문에, 가습이 필요한 실내조건에서는 난방이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실내열교환기의 응축수를 이용하여 가습을 제공하기 때문에, 냉방시에만 가습을 제공할 수 있고, 난방시에는 응축수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가습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humidity of indoor air is low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low, heating is generally performed under indoor conditions requiring humidification. Since the humidifier of the prior art 1 provides humidification using condensate from an indoor heat exchanger, it can provide humidification only during cooling and cannot provide humidification during heating because condensate is not generated.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6245(이하 선행기술 2라 한다)에는 물을 끓여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증기를 실내로 방출하여 실내를 가습하는 스팀가습기가 공개되어 있다.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4624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discloses a steam humidifier that boils water to generate steam and discharges the generated steam into the room to humidify the room.

선행기술2는 물통, 급수유도관, 가열히터관 및 증기방출관을 구비하고, 가열히터관을 통해 물을 가열하고, 증기방출관을 통해 스팀을 실내로 토출하는 구조이다. 선행기술2는 물통에 저장된 물의 압력을 통해 가열히터관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지만, 저장된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구조는 구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Prior Art 2 has a structure including a water tank, a water supply induction pipe, a heating heater pipe, and a steam discharge pipe, heating water through the heater pipe, and discharging steam into the room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ipe. In the prior art 2,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heating heater tube through the press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tructure capable of draining the stored water is not provided.

선행기술 1 및 2와 같이, 가습을 제공하는 장치는 물탱크를 통해 물을 저장하지만, 가습이 필요하지 않을 때,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물이 저장되는 곳에서 세균 또는 곰팡이에 의한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in the prior arts 1 and 2, the device for providing humidification stores water through a water tank, but does not have a structure for draining water when humidification is not needed, so water is stored when not in use. There is a problem that contamination by bacteria or fungi occurs in places where it is.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3-010973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09738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6245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20-0446245

본 발명은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cation assembly capable of draining water stored in a humidified air generator.

본 발명은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er assembly capable of draining water stored in a water tank.

본 발명은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동시에 배수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cation assembly capable of simultaneously draining water stored in a water tank and water stored in a humidified air generator.

본 발명은 가습공기생성기가 스팀히터를 포함하는 경우, 스팀히터의 작동에 의해 가습공기생성기에 물을 공급하는 관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cation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overheating of a pipe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by the operation of the steam heater whe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includes a steam heater.

본 발명은 가습공기생성기가 스팀히터를 포함하는 경우, 스팀히터에 의해 가열된 물을 배수할 때, 배수되는 물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cation assembly capable of lowering the temperature of drained water when draining water heated by the steam heater whe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includes a steam heater.

본 발명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가습공기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적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cation assembly capable of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required to generate humidified air without using a valve operated by an electrical signal.

본 발명은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통해 물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cation assembly capable of controlling water supply through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a humidified air generator.

본 발명은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서플라이플로터에 의해 물탱크의 물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cation assembly capable of controlling the supply of water in a water tank by means of a supply plotter that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level of water stored in a humidified air generator.

본 발명은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동시에 배수할 수 있는 가습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idification assembly capable of simultaneously draining water stored in a water tank and water stored in a humidified air generator by the potential energy of wat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는, 가습공기생성기의 수위와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물을 공급하는 서플라이챔버의 수위가 연동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에 따라 하강 또는 상승되는 서플라이플로터가 상기 서플라이챔버에 물을 공급하는 서플라이유로를 개폐시키기 때문에,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통해 물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level of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re interlocked, and the supply plotter that is lowered or rais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Since the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upply chamber is opened and closed, the water supply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는 물연결관이 물탱크, 가습공기생성기 및 드레인어셈블리를 동시에 연결하기 때문에,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동시에 배수할 수 있다. In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connection pipe simultaneously connects the water tank,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drain assembly,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can be simultaneously drain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는 물연결관이 물탱크, 가습공기생성기 및 드레인어셈블리를 동시에 연결되고,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물을 공급하는 관이 상기 물탱크로부터 온도가 낮은 물을 공급받기 때문에, 상기 물연결관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connection pipe connects a water tank, a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a drain assembly at the same time, and a pipe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supplies low-temperature water from the water tank Therefore, overheating of the water connection pipe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습공기생성기가 스팀히터를 포함하고, 스팀히터에 의해 가열된 물을 배수할 때, 가습공기생성기에서 배수된 물과 물탱크에서 배수되는 물이 3방향파이프에서 혼합되기 때문에 배수되는 물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includes a steam heater and drains water heated by the steam heater, the water drained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water drained from the water tank are discharged from the three-way pipe. Because it is mixed, the temperature of the drained water can be lower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가습공기생성기의 수위와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물을 공급하는 서플라이챔버의 수위가 연동되기 때문에, 가습공기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적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level of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re interlocked without using a valve operated by an electrical signal, humidified air is generated. You can supply the right amount of water needed to do 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물연결관이 물탱크, 가습공기생성기 및 드레인어셈블리를 동시에 연결하고, 물탱크 및 가습공기생성기 보다 드레인어셈블리가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동시에 배수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connection pipe connects the water tank,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drain assembly at the same time, and the drain assembly is disposed lower than the water tank and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The stored water and the water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can be drained simultaneous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는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가습어셈블리에 있어서,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물이 내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물탱크가 거치되고, 챔버하우징파이프를 통해 상기 내부로 유동되는 물을 배수하는 물공급어셈블리, 내부에 저장된 물을 기화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가습공기생성기, 드레인인릿을 통해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어셈블리, 및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 상기 가습공기생성기, 및 상기 드레링인릿을 연통시키는 물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물연결곤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로부터 배수된 물이 유동하는 제1 연결관,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와 연결되고, 상기 가습공기생성기로 유입되는 물 및 상기 가습공기생성기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2 연결관, 상기 드레인인릿과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어셈블리로 유입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3 연결관, 및 상기 제1 연결관, 상기 제2 연결관, 및 상기 제3 연결관과 연결되는 3방향 파이프를 포함한다.In the humidification assembly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the humidification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the water tank is mounted so that water in the water tank flows inside, and flows into the inside through a chamber housing pipe. A water supply assembly for draining the water, a humidified air generator for generating humidified air by vaporizing the water stored therein, a drain assembly for draining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inlet, and the chamber housing pipe,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a water connection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raining inlet, wherein the water connection is connected to the chamber housing pipe, and a first connection pipe through which water drained from the water supply assembly flows, and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 second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rough which water flowing in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drained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flows, and a third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drain inlet and through which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assembly flows. , and a three-way pip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the third connection pipe.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관의 길이는 상기 제3 연결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hird connection pip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레인인릿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브포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in inlet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five pol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습공기생성기는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밀이 기화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가습하우징, 및 상기 가습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가여하는 스팀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includes a humidifying housing forming a storage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stored wheat is vaporized, and a steam heater disposed inside the humidifying housing and applying water in the storage space can inclu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습공기생성기는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기화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의 제1 영역에 공기가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면의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된 제2 영역에 상기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가습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가습하우징, 및 상기 제2 연결관과 연결되는 워터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forms a storage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the stored water is vaporized, and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is formed in a first region of an upper surface, A humidifying housing having a humidified air outlet through which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is formed in a second area spaced apart from the first area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water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이때, 상기 워터파이프는 가습공기토출구보다 상기 공기흡입구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pipe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air inlet than to the humidified air outle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습공기생성기는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기화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가습하우징, 및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2 연결관과 연결되는 워터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includes a humidifying housing forming a storage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the stored water vaporized, and a water pipe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can include

이때, 상기 워터파이프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pipe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또한, 상기 워터파이프는 상기 드레인인릿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water pipe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drain inlet.

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챔버하우징의 내측단이 상기 물공급어셈블리의 내부와 연통되고, 외측단이 상기 제1 연결관과 연결될 수 있다. Alternative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end of the chamber housing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and an out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이때,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외측단은 상기 워터파이프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내측단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외측단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n outer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water pipe, and an inner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an outer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탱크는 상기 드레0인어셈블리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Alternative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tank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drain assembly.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습공기생성기는 상기 물탱크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water tank.

또한, 상기 워터파이프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 및 상기 드레인인릿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ip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hamber housing pipe and the drain inlet in a front-back direction.

이때, 상기 워터파이프는 상기 드레인인릿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pipe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drain inle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가습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The humidification assembly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가습공기생성기의 수위와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물을 공급하는 서플라이챔버의 수위가 연동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에 따라 하강 또는 상승되는 서플라이플로터가 상기 서플라이챔버에 물을 공급하는 서플라이유로를 개폐시키기 때문에,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통해 물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level of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re interlocked, and the supply floater, which is lowered or rais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the supply chamber, supplies water to the supply chamber. Since the supply passage is opened and closed, the water supply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둘째, 본 발명은 물연결관이 물탱크, 가습공기생성기 및 드레인어셈블리를 동시에 연결하기 때문에,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동시에 배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cond, since the water connection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connects the water tank,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drain assembly,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can be drained simultaneously.

셋째, 본 발명은 물연결관이 물탱크, 가습공기생성기 및 드레인어셈블리를 동시에 연결되고,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의 작동에 의해 가습공기생성기에 물을 공급하는 관이 상기 물탱크로부터 온도가 낮은 물을 공급받기 때문에, 상기 물연결관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conne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drain assembly at the same time, and the pipe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by the operation of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drains the water at a low temperature from the water tank. Since it is supplied,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overheating of the water connection pipe.

넷째, 본 발명은 가습공기생성기에 의해 가열된 물을 배수할 때, 가습공기생성기에서 배수된 물과 물탱크에서 배수되는 물이 3방향파이프에서 혼합되기 때문에 배수되는 물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h,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drained water because the water drained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water drained from the water tank are mixed in the three-way pipe when draining the water heated by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there is.

다섯째, 본 발명은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가습공기생성기의 수위와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물을 공급하는 서플라이챔버의 수위가 연동되기 때문에, 가습공기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적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fth,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valve operated by an electrical signal, and since the water level of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supplying water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re interlocked, an appropriate amount of humidified air is required to be generated. It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water.

여섯째, 본 발명은 물연결관이 물탱크, 가습공기생성기 및 드레인어셈블리를 동시에 연결하고, 물탱크 및 가습공기생성기 보다 드레인어셈블리가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동시에 배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xth,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ter connection pipe connects the water tank,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drain assembly at the same time, and the drain assembly is disposed lower than the water tank and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humidification by the potential energy of the water It has the advantage of simultaneously draining the water stored in the air generator.

일곱째, 상기 서플라이플로터는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에 따라 하강 또는 상승되어 상기 서플라이유로를 개폐시키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를 통해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의 적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공급되는 물의 양 또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venth, since the supply plotter is lowered or rais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to open and close the supply passag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appropriate level of water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through the potential energy of water,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The amoun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utomatically adjustable.

여덟째, 상기 서플라이챔버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의 저면을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저면에서 이격시키는 리브가 배치되기 때문에, 서플라이플로터가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서플라이챔버에 부착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ighth, since a rib is disposed in the supply chamber and separa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ly plotter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ly chamber, the phenomenon that the supply plotter is attached to the supply chamber due to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and cannot be moved can be prevented. There are advantages.

아홉째,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외측단은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저면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 차에 의해 서플라이챔버의 물을 챔버하우징파이프로 유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Ninth, since the outer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is disposed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ly chamber, water in the supply chamber can flow into the chamber housing pipe due to a difference in potential energy of water.

열번째,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저면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내측단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 차에 의해 서플라이챔버의 물을 챔버하우징파이프로 유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enth,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ly chamber is inclined toward the inner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ater in the supply chamber can flow into the chamber housing pipe due to a difference in potential energy of water.

열한번째,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물연결관과 결합되는 워터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파이프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 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 차에 의해 챔버하우징파이프의 물을 스팀제너레이터로 유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leventh, a water pip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steam generator and coupled to the water connection pipe is further included, and since the water pipe is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water in the chamber housing pipe is affected by the difference in potential energy of wat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low into the steam generator.

열두번째, 상기 서플라이플로터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보다 높게 위치되기 때문에, 서플라이플로터가 하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welfth, since the supply plotter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the chamber housing pipe from being clogged even when the supply plotter moves downward.

열세번째, 상기 물연결관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와 연결되는 제 1 연결관; 상기 워터파이프와 연결되는 제 2 연결관; 상기 드레인어셈블리와 연결되는 제 3 연결관; 상기 제 1 연결관, 제 2 연결관 및 제 3 연결관과 연결되는 3방향파이프;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상기 드레인어셈블리를 통해 동시에 배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teenth, the water connection pipe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chamber housing pipe; a second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 third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drain assembly; Since it includes a three-way pip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the third connection pipe,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can be simultaneously drained through the drain assembly. There are advantages to being

열네번째, 상기 물연결관의 구조는 가습공기생성기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습어셈블리 전체의 배수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ourteenth, the structure of the water connection pipe has the advantage of not only suppress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but also easily implementing drainage of the entire humidification assembly.

여다섯번째, 상기 워터파이프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보다 낮고, 상기 드레인인릿보다 높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 및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을 상기 드레인어셈블리를 통해 동시에 배수할 때, 상기 물탱크에서 배수된 물과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서 배수된 물이 혼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서 배수되는 물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fth, since the water pipe is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and higher than the drain inlet, when simultaneously drain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through the drain assembly, the The water drained from the water tank and the water drained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can be mixed, and through this,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drained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can be lowered.

열여섯번째, 상기 스팀히터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의 상측단 보다 하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스팀히터에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최저수위 이상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xteenth, since the steam heater is locat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supply plott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ater level supplied to the steam heater can be made higher than the minimum water level.

열일곱번째, 상기 스팀히터의 작동 시,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는 상기 스팀히터의 상측면 보다 높게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의 수위가 상기 스팀히터의 상측면 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스팀히터가 공기중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eventeenth, since the water level in the supply chamber i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am heater during operation of the steam heater, the water level of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i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am heater, and the steam heat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vent exposure to air.

열여덟번째,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저장된 물이 최대수위일 때, 상기 서플라이플로터는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에 의해 상승되고, 상기 서플라이유로를 폐쇄시키기 때문에,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물이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에 추가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ighteenth, when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is at the maximum level, the supply plotter is raised by the water level in the supply chamber and closes the supply passage, so that the water in the supply chamber does not flow into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lock additional supply.

열아홉번째,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는 내측단이 상기 서플라이챔버와 연통되고, 외측단이 상기 제 1 연결관과 연결되며,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외측단은 상기 워터파이프 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내측단은 상기 서플라이플로터의 하측단보다 낮게 위치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 차에 의해 상기 서플라이챔버 내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Nineteenth, the chamber housing pipe has an inn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supply chamber, an out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an outer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being positioned higher than the water pipe, and the chamber housing Since the inner end of the pipe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supply plotter,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water from accumulating in the supply chamber due to a difference in potential energy of water.

스무번째, 상기 서플라이유로는,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로 안내하는 미들홀을 포함하기 때문에, 물의 자중에 의해 물탱크에서 토출된 물이 상기 미들홀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챔버로 유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wentieth, since the supply flow path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upply support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middle hole for guid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supply chamber, th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by its own weigh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iltered water can flow into the supply chamber through the middle hole.

스물한번째,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에 따라 상기 플로터밸브가 상기 미들홀을 개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wenty-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loater valve can open and close the middle hol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스물두번째, 상기 플로터밸브스토퍼는 상기 미들홀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미들홀을 개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wenty-second, the floater valve stopper is disposed below the middle hole,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the supply chamber, and ha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open and close the middle hole.

스물세번째,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의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어셈블리; 상기 가습공기생성기 및 드레인어셈블리를 연결하는 배수연결관; 상기 배수연결관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연결관을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배수밸브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가습공기생성기의 작동 시, 상기 배수밸브가 상기 드레인어셈블리로 고온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wenty-third, a drain assembly for draining water from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 drainage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and the drain assembly; Since it is disposed on the drain connection pipe and further includes a drain valve for regulating the flow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drain connection pipe, when the humidified air generator operates, the drain valve allows high-temperature water to flow into the drain assembl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lock th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분리된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로어캐비닛에 조립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의 후방 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좌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로어캐비닛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물공급어셈블리 및 스팀제너레이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정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5에 도시된 스팀제너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스팀제너레이터의 수위가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 21은 실내기가 기울어졌을 때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의 수위가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팀제너레이터, 물탱크 및 드레인펌프의 급수 및 배수 연결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파이프의 관경, 배치 및 드레인펌프로 인가된는 전압에 따른 배수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파이프의 관경 및 배치에 따른 스팀제너레이터 내부, 급수유로 및 배수유로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의 작동주기에 따른 스케일의 발생 및 스팀히터의 온도와, 세탁기에서의 스케일의 발생 및 스팀히터온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의 작동주기에 따른 히터내부온도 및 열전달률과, 세탁기에서의 히터내부온도 및 열전달률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in FIG. 1 from which the door assembly is separated.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ication assembly and a water tank assembled in the lower cabinet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ide of the humidifi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tank and a water suppl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ure 6;
FIG. 8 is a left sectional view of FIG. 6 .
Figure 9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6;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ank shown in FIG. 6;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tank and a water suppl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FIG. 11 .
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ower cabinet shown in FIG. 3;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and steam generator shown in FIG. 13;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4;
1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drainag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assembly shown in FIG. 16;
18 is a right side view of the drainage assembly shown in FIG. 16;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generator shown in FIG. 5;
FIG. 2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shown in FIG. 19 .
2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water level inside the steam generator when the indoor unit is tilted.
22 is a plan view showing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nection structures of a steam generator, a water tank, and a drain pum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graph showing the drainage speed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tube diameter, arrangement, and drain pump of the water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graph showing temperature changes in the inside of the steam generator,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drainage passage according to the pipe diameter and arrangement of the water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graph showing the comparison of the occurrence of scal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hea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cycle of the drain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ccurrence of scal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heater in the washing machine.
26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the heater internal temperature and heat transfer r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cycle of the drain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eater internal temperature and heat transfer rate in th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분리된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door unit in FIG. 1 from which the door assembly is separated.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not shown)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through a refrigerant pipe and circulating a refrigerant.

상기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응축시키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실외팬(미도시)과, 상기 실내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공급받은 후 기체 냉매만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outdoor unit includes a compressor (not shown) that compresses the refrigerant, an outdoor heat exchanger (not shown) that receives and condenses the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an outdoor fan (not shown) that supplies air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and the indoor unit. and an accumulator (not shown) supplying only gaseous refrigerant to the compressor after receiving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refrigerant.

상기 실외기는 실내기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방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101)에서는 냉매가 증발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시킨다. 난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에서는 냉매가 응축되어 실내 공기를 가열시킨다. The outdo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four-way valve (not shown) to operate the indoor unit in a cooling mode or a heating mode. When operated in the cooling mode, the refrigerant is evaporated in the indoor unit 101 to cool the indoor air. When operated in the heating mode, the indoor unit heats indoor air by condensing the refrigerant.

<<<실내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indoor unit>>>

상기 실내기는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실내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어셈블리(20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includes a cabinet assembly 100 having an open front surface and a suction port formed at a rear surface, the indoor unit assembled to the cabinet assembly 100,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 door assembly 200 that opens and closes the door assembly 200, a humidifier assembly 2000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providing moisture to the room, and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the inlet 101 It includes a filter assembly 600 for filtering the air flowing into.

상기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배면에 배치된 흡입구(101)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면에 배치된 측면토출구(301)(302)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정면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has a suction port 101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and a front discharge port 201 disposed on the front side.

상기 흡입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된다.The inlet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캐빗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된 측면토출구를 제 1 측면토출구(301)로 정의하고, 우측에 배치된 측면토출구를 제 2 측면토출구(302)로 정의한다.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et assembly 100 . In this embodiment,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cabit assembly 100, the side discharge port disposed on the left side is defined as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301, and the side discharge port disposed on the right side is defined as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 302. .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더 포함한다.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is disposed in the door assembly 200, and the door assembly 200 further includes a door cover assembly 1200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시킨 후,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도어어셈블리(2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The door cover assembly 1200 may move downward along the door assembly 200 after opening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 The door cover assembly 1200 is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oor assembly 200 .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측으로 이동된 후, 원거리 팬어셈블리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After the door cover assembly 1200 moves downward, the remote fan assembly may pass through the door assembly 200 and move forward.

상기 팬어셈블리는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로 구성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후방에 상기 열교환어셈블리가 배치된다. The fan assembly is composed of a short distance fan assembly and a long distance fan assembly. The heat exchange assembly is disposed behind the local fan assembly and the remote fan assembly.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의 안쪽에 위치되며,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는 상기 흡입구를 커버하고,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heat exchange assembly is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is located inside the inlet, and the heat exchange assembly covers the inlet and is vertically disposed.

상기 열교환어셈블리 전방에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를 통과한 후,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로 유동된다. The local fan assembly and the remote fan assembly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 assembly and then flows to the local fan assembly and the remote fan assembly.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위치되고, 사익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조립된다. The door assembly 200 is located in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is assembled with the SAIC cabinet assembly 100 .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캐비닛어셈블리(2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200)의 전면 중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The door assembly 200 can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abinet assembly 200 and expose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200 to the outside.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측면토출구에 가습공기를 제공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분리가능한 물탱크(2100)를 포함한다.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supplies humidified air to the side discharge port.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includes a detachable water tank 21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 공간과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 공간은 구획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 The space where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is disposed and the space where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is disposed are divided.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해 여과된 공기 및 살균된 스팀을 사용해서 가습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세균 또는 곰팡이와 같은 유해물질이 물탱크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performs humidification using the ai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and sterilized steam, and through this, harmful substances such as bacteria or mold are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water tank.

<<실내기의 구성>><<Configuration of indoor unit>>

상기 실내기는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흡입구(101)가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와, 상기 팬어셈블리 및 캐비닛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어셈블리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실내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어셈블리(2000)를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includes a cabinet assembly 100 having an open front surface and a suction port 101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assembled to the cabinet assembly 100,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the cabinet assembly 100. A door assembly 200 that opens and closes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 fan assemb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S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discharging air in the inner space S to the room, the fan assembly and It includes a heat exchange assembly disposed between the cabinet assemblies 100 to exchange heat between the sucked indoor air and the refrigerant, and a humidifier assembly 2000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100 to supply moisture to the room.

상기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배면에 배치된 흡입구(101)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면에 배치된 측면토출구(301)(302)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정면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has a suction port 101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and a front discharge port 201 disposed on the front side.

상기 흡입구(101)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된다.The inlet 101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캐빗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된 측면토출구를 제 1 측면토출구(301)로 정의하고, 우측에 배치된 측면토출구를 제 2 측면토출구(302)로 정의한다.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et assembly 100 . In this embodiment,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cabit assembly 100, the side discharge port disposed on the left side is defined as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301, and the side discharge port disposed on the right side is defined as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 302. .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더 포함한다.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is disposed in the door assembly 200, and the door assembly 200 further includes a door cover assembly 1200 that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시킨 후,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도어어셈블리(2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The door cover assembly 1200 may move downward along the door assembly 200 after opening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 The door cover assembly 1200 is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oor assembly 200 .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측으로 이동된 후,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After the door cover assembly 1200 moves downward, the remote fan assembly 400 may pass through the door assembly 200 and move forward.

상기 팬어셈블리(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구성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후방에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The fan assembly 400 is composed of a short distance fan assembly and a long distance fan assembly 400 .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is disposed behind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and the long-distance fan assembly 400 .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의 안쪽에 위치되며,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고,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is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inside the inlet 101, and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covers the inlet 101 and is vertically disposed.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방에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후,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유동된다. The local fan assembly and the remote fan assembly 400 are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101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and then flows to the local fan assembly and the remote fan assembly 400 .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is manufactur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heights of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and the long-distance fan assembly 400 .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 상측에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를 상측에 위치시켜 토출공기를 실내의 먼 곳까지 유동시킬 수 있다.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and the long-distance fan assembly 400 may be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disposed above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By placing the remote fan assembly 400 on the upper side, the discharged air can flow to a far place in the room.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및 우측으로 동시에 공기를 토출한다.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discharges air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binet assembly 100 .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may provide indirect wind to a user.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simultaneously discharges air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binet assembly 100 .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다.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located above the local fan assembly and is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ssembly 100 .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는 실내 공간의 먼 곳으로 공기를 토출시켜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킨다. The remote fan assembly 400 discharges air toward the cabinet assembly 100 in a forward direction. The remote fan assembly provides direct wind to the user. In addition, the remote fan assembly improves circulation of indoor air by discharging air to a distant place in the indoor spac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작동시에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될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은닉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exposed to the user only during operation. When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operated, the remote fan assembly 400 passes through the door assembly 200 and is exposed to the user. When the remote fan assembly 400 does not operate,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hidden inside the cabinet assembly 100 .

특히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remote fan assembly 400 can control the air discharge direction. The remote fan assembly 400 may discharge air in an upper, lower, left, right, or diagonal direction based on the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100 .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위치되고, 사익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조립된다. The door assembly 200 is located in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is assembled with the SAIC cabinet assembly 100 .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캐비닛어셈블리(2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200)의 전면 중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The door assembly 200 can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abinet assembly 200 and expose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200 to the outside.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부공간(S)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부공간(S) 중 일부만을 개방시킬 수 있다.The door assembly 200 may be moved in one of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open the inner space (S). Also, the door assembly 200 may be moved in one of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open only a part of the inner space (S).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으로 수분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분은 상기 근거리팬어셈블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분리가능한 물탱크(2100)를 포함한다.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supplies moisture to the inner space S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the provided moisture can be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includes a detachable water tank 21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 공간과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 공간은 구획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 The space where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is disposed and the space where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is disposed are divided.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해 여과된 공기 및 살균된 스팀을 사용해서 가습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세균 또는 곰팡이와 같은 유해물질이 물탱크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performs humidification using the air filter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and sterilized steam, and through this, harmful substances such as bacteria or mold are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water tank.

<<캐비닛어셈블리의 구성>><<Configuration of cabinet assembly>>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30)와, 상기 베이스(130)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121), 상측면(125) 및 하측면(126)이 개구되고, 좌측면(123) 우측면(124) 및 배면(122)이 폐쇄된 로어캐비닛(120)과, 상기 로어캐비닛(120) 상측에 배치되고, 흡입구(101)가 형성된 배면(116), 전면(111) 및 하측면(116)이 개구되고, 좌측면(113), 우측면(114) 및 상측면(115)이 폐쇄된 어퍼캐비닛(110)을 포함한다. The cabinet assembly 100 includes a base 130 seated on the ground, an upper side of the base 130, a front surface 121, an upper side surface 125, and a lower side surface 126 open, and a left side ( 123) The lower cabinet 120 with the right side 124 and the rear side 122 closed, the rear side 116, the front side 111, and the lower side disposed above the lower cabinet 120 and having the suction port 101 formed therein It includes an upper cabinet 110 in which numeral 116 is open and left side 113, right side 114 and upper side 115 are closed.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내부를 제 1 내부공간(S1)으로 정의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내부를 제 2 내부공간(S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내부공간(S1) 및 제 2 내부공간(S2)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을 구성한다. The interior of the upper cabinet 110 is defined as a first interior space (S1), and the interior of the lower cabinet 120 is defined as a second interior space (S2). The first inner space S1 and the second inner space S2 constitute the inner space S of the cabinet assembly 100 .

상기 어퍼캐비닛(110) 내측에 근거리팬 어셈블리(300), 원거리팬 어셈블리(400) 및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Inside the upper cabinet 110, a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a long-distance fan assembly 400, and a heat exchange assembly 500 are disposed.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측에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다. A humidifier assembly 2000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cabinet 120 .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 사이에 열교환어셈블리(500)를 지지하는 드레인팬(14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팬(140)은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하측면(116) 중 일부를 폐쇄한다. A drain pan 140 supporting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binet 110 and the lower cabinet 120 . In this embodiment, the drain pan 140 partially closes the lower surface 116 of the upper cabinet 110 .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조립 시,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저면(116)은 가습어셈블리(2000) 및 드레인팬(140)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공기는 로어캐비닛(120) 측으로 유동이 차단된다. When assembling the cabinet assembly 100, the lower surface 116 of the upper cabinet 110 is shielded by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and the drain pan 140, and the air inside the upper cabinet 110 cools the lower cabinet ( 120), the flow is blocked.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도어어셈블리(200)가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A door assembly 2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100 , and the door assembly 200 can slide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binet assembly 100 .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이동 시,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When the door assembly 200 is moved, a part of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측 가장자리에 토출그릴(150)이 배치된다. 상기 토출그릴(340)은 도어어셈블리(200)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A discharge grill 150 is disposed at the front edge of the upper cabinet 110 . The discharge grill 340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door assembly 200 .

상기 토출그릴(150)은 상기 어퍼캐비닛(11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그릴(150)은 사출성형을 통해 별도로 제작된 후, 어퍼캐비닛(110)에 조립된다. The discharge grill 150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upper cabinet 110 .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grill 150 is separately manufactured through injection molding and then assembled to the upper cabinet 110 .

상기 좌측면(113) 전방에 배치된 토출그릴을 좌측 토출그릴(151)로 정의하고, 우측면(114) 전방에 배치된 토출그릴을 우측 토출그릴(152)로 정의한다. The discharge grill disposed in front of the left side 113 is defined as the left discharge grill 151, and the discharge grill disposed in front of the right side 114 is defined as the right discharge grill 152.

상기 좌측 토출그릴(151) 및 우측 토출그릴(152)에 각각 측면토출구(301)(302)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좌측 토출그릴(151) 및 우측 토출그릴(152)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are formed in the left discharge grill 151 and the right discharge grill 152, respectively.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are formed through the left discharge grill 151 and the right discharge grill 152,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의 전방에 커버(160)가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가 도어어셈블리(200)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In this embodiment, a cover 16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pper cabinet 110 and the lower cabinet 120 to block direct contact of air inside the cabinet 100 with the door assembly 200 .

도어어셈블리(200)에 차가운 공기가 직접 접촉되는 경우,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고, 도어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전기회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When cold air directly contacts the door assembly 200, condensation may occur, and an electrical circuit constituting the door assembly 200 may be negatively affected.

그래서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의 전방에 커버(160)를 배치하고 커버(160)를 통해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는 정면토출구(201) 또는 측면토출구(301)(302)로만 유동되게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ver 160 is placed in front of the upper cabinet 110 and the lower cabinet 120, and the air inside the cabinet 100 passes through the cover 160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or the side discharge port 301, 302 ) can be made fluid.

상기 커버(160)는,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어퍼커버(162)와,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을 커버하는 로어커버(164)와,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전면을 커버하는 원거리팬커버(166)를 포함한다.The cover 160 includes an upper cover 162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cabinet 110, a lower cover 164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cabinet 120, and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t includes a remote fan cover 166 covering the front of.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상기 어퍼커버(162)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거리팬커버(166) 및 어퍼커버(162)를 별도로 제작된 후 조립된다.The remote fan cover 166 may be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upper cover 162 . 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fan cover 166 and the upper cover 162 ar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then assembled.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원거리팬어셈블리(400)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어퍼커버(162)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커버(166) 및 어퍼커버(162)의 전면은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The remote fan cover 166 is located in front of the remote fan assembly 400 and is located above the upper cover 162 . Front surfaces of the remote fan cover 166 and the upper cover 162 form a continuous plane.

상기 원거리팬커버(166)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팬커버토출구(161)가 형성된다. 상기 팬커버토출구(161)는 정면토출구(201)와 연통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토출그릴(450)은 상기 팬커버토출구(161) 및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하여 도어어셈블리(200)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remote fan cover 166 is formed with a fan cover discharge port 161 open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fan cover outlet 161 communicates with the front outlet 201 and is located behind the front outlet 201 . The discharge grill 450 of the remote fan assembly 400 may pass through the fan cover discharge port 161 and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and move forward of the door assembly 200 .

상기 팬커버토출구(161) 전방에 도어어셈블리(200)가 배치되고, 후술하는 패널토출구(1101)의 후방에 상기 팬커버토출구(161)가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전방 이동 시, 상기 토출그릴(450)은 팬커버토출구(161),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를 순서대로 통과한다.The door assembly 2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an cover discharge port 161, and the fan cover discharge port 161 is located behind the panel discharge port 1101 described later. When the remote fan assembly 400 moves forward, the discharge grill 45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an cover discharge port 161 , the panel discharge port 1101 , and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

즉, 상기 정면토출구(201) 후방에 상기 패널토출구(1101)가 위치되고, 상기 패널토출구(1101) 후방에 상기 팬커버토출구(161)가 위치된다. That is, the panel discharge port 1101 is located behind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and the fan cover discharge port 161 is located behind the panel discharge port 1101.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어퍼커버(162)는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하측에 결합된다. The remote fan cover 166 is coupled to the upper front side of the upper cabinet 110 , and the upper cover 162 is coupled to the lower front side of the upper cabinet 110 .

상기 로어커버(164)는 어퍼커버(16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 또는 가습어셈블리(2000)에 조립될 수 있다. 조립 후, 상기 로어커버(164) 및 어퍼커버(162)의 전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The lower cover 164 is located below the upper cover 162 and may be assembled to the lower cabinet 120 or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 After assembly, the front surfaces of the lower cover 164 and upper cover 162 form a continuous surface.

상기 로어커버(164)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물탱크개구부(167)가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개구부(167)를 통해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 또는 장착될 수 있다. The lower cover 164 is formed with a water tank opening 167 ope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water tank 2100 may be separated or installed through the water tank opening 167 .

상기 로어커버(164)는 드레인팬(140)의 전방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로어캐비닛(120) 전면 전체를 커버하지 않아도 어퍼캐비닛(110) 내부 공기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로어캐비닛(120) 전면 전체를 커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The lower cover 164 is located at the front lower side of the drain pan 140 . Even if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lower cabinet 120 is not covered, air leakage inside the upper cabinet 110 does not occur, so it is not necessary to cover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lower cabinet 120 .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의 수리, 서비스 및 교체를 위해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 일부는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 중 일부는 상기 로어커버(164)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개방면(169)이 형성된다. For repair, service, and replacement of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a front portion of the lower cabinet 120 is preferably opened. In this embodiment,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cabinet 120 is formed with an open surface 169 that is not shielded by the lower cover 164 .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방 시, 물통개구부(167)가 형성된 상기 로어커버(164)만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2단 개방 시, 상기 개방면(169)도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When the door assembly 200 is opened in the first stage, only the lower cover 164 having the water bottle opening 167 is exposed to the user, and when opened in the second stage, the open surface 169 is also exposed to the user.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작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물탱크개구부(167) 전체를 노출시킨 상태를 1단 개방으로 정의하고, 상기 개방면(169)를 노출시킨 상태를 2단 개방으로 정의한다. The door assembly 200 slides left and right by the operation of the door slide module 1300. A state in which the entire water tank opening 167 is exposed by the sliding movement of the door assembly 200 is defined as a first-stage opening, and a state in which the open surface 169 is exposed is defined as a second-stage opening.

상기 1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1 개방면(OP1)으로 정의하고, 상기 2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2 개방면(OP2)로 정의한다. The exposed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when the first stage is opened is defined as a first open surface OP1 , and the front surface exposed when the second stage is opened is defined as a second open surface OP2 .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Configuration of short distance fan assembly>>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한다.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is configured to discharge air in a later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abinet assembly 100 .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provides indirect wind to the user.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Configuration of remote fan assembly>>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a component for discharging air forward with respect to the cabinet assembly 100 . The remote fan assembly 400 provides direct wind to the user.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상측에 적층된다. The remote fan assembly 40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assembly 500 . The far fan assembly 400 is stacked on top of the short distance fan assembly.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형성된 정면토출구(201)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스티어링그릴(450)은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실내공간의 먼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emote fan assembly 400 discharges air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201 formed in the door assembly 200 . The steering grill 450 of the remote fan assembly 400 provides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in up, down, left, right or diagonal directions. The remote fan assembly 400 can improve the circulation of indoor air by discharging air toward the far side of the indoor space.

도 4는 도 1의 로어캐비닛에 조립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의 후방 측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좌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확대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umidification assembly and a water tank assembled in the lower cabinet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ide of the humidifi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tank and a water suppl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lower side of Figure 6; FIG. 8 is a left sectional view of FIG. 6 . Figure 9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6;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ank shown in FIG. 6;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tank and a water supply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nlarged view of FIG. 11 .

<<<가습어셈블리의 구성>>><<<Construction of Humidifier Assembly>>>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팬어셈블리(400)의 토출유로 상에 수분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분은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제어부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The humidifier assembly 2000 supplies moisture to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fan assembly 400, and the provided moisture can be discharged into the room.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may be selectively operated by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공급된 수분은 측면토출구(301)(302)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무화된 상태이거나 스팀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습어셈블리(2000)는 물탱크(2100)의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토출유로에 공급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moisture supplied from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side outlets 301 and 302. Moisture supplied from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may be in an atomized state or in a steam state.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converts water in the water tank 2100 into steam and supplies it to the discharge passag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로어캐비닛(120) 내부에 위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is specifically located inside the lower cabinet 120.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베이스(110)에 설치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을 통해 감싸진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 상측에 드레인팬(140)이 위치되고,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가이드(2400)를 통해 측면토출구(301)(302)로 직접 유동된다. 즉,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설치된 공간과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공간은 구획된다.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is installed on the base 110 and is wrapped through the lower cabinet 120 . The drain pan 140 is positioned above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and the steam generated in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flows directly to the side outlets 301 and 302 through the steam guide 2400. That is, the space where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is installed and the space inside the upper cabinet 110 are partitioned.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2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와 결합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하는 가습팬(2500)과,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가습공기를 독립된 유로를 통해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하는 스팀가이드(24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하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연결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포함한다.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supplies a water tank 2100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storing water and water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stored in the water tank 2100 A steam generator 2300 that receives and converts water stored therein into steam to generate humidified air, and is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100, coupled with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he filter assembly 600 A humidifying fan (2500) for supplying filter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o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a humidifying fan (2500)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100), the humidified air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2300) passing through the cabinet assembly through an independent flow path A steam guide 2400 guiding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of 100,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detachably mounted on the water tank 2100, the water tank 2100 )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for provid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300,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nd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nd the steam generator 2300 ) and a drain assembly 2700 for draining the water to the outside.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팬(2500)은 터보팬이 사용될 수 있다. 가습팬(250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공기흡입부(2318)를 통해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스팀토출부(2316)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A turbo fan may be used as the humidifying fan 2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flowing by the humidifying fan 2500 is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team generator 2300 through the air suction part 2318 of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hrough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of the steam generator 230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스팀가이드(2400) 내부에서 형성되는 가습유로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내부공간에 비해 유로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가습유로로 일정유속 이상의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높은 압력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팬(2500)은 스팀가이드에서 정압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터보팬이 사용될 수 있다. Since the area of the humidification passage formed inside the steam guide 2400 is reduced compar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steam generator 2300, a high pressure is required to form a flow of air at a certain flow rate or more through the humidification passage. As the humidifying fan 2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turbo fan capable of maintaining static pressure performance in a steam guide may be used.

<<물탱크의 구성>><<Configuration of water tank>>

상기 물탱크(210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방 시, 외부로 노출되고, 도어어셈블리(200)가 개방되지 않을 때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The water tank 2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stage of the door assembly 200 is opened,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oor assembly 200 is not opened.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도어슬라이드모듈(1300)의 작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물탱크개구부(167) 전체를 노출시킨 상태를 1단 개방으로 정의하고, 상기 개방면(169)를 노출시킨 상태를 2단 개방으로 정의한다. The door assembly 200 slides left and right by the operation of the door slide module 1300. A state in which the entire water tank opening 167 is exposed by the sliding movement of the door assembly 200 is defined as a first-stage opening, and a state in which the open surface 169 is exposed is defined as a second-stage opening.

상기 1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1 개방면(OP1)으로 정의하고, 상기 2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2 개방면(OP2)로 정의한다. The exposed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when the first stage is opened is defined as a first open surface OP1 , and the front surface exposed when the second stage is opened is defined as a second open surface OP2 .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는 내부의 물을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상기 제 1 개방면(OP1)에 위치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물탱크개구부(167)에 위치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상기 물탱크개구부(167)를 통해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삽입된다. In this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tank 2100 is made of a material through which water can be seen. The water tank 2100 is located on the first open surface OP1, and more specifically, is located on the water tank opening 167. The water tank 2100 is inserted into the lower cabinet 120 through the water tank opening 167 .

상기 물탱크(2100)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되는 탱크로어바디(2110)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고,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캥트로어바디(2110)에 의해 하측면이 폐쇄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탱크미들바디(2120)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어 물탱크개구부(2101)가 형성되고,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의 상측에 결합되는 탱크어퍼바디(2130)와,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물탱크핸들(2140)과,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에 조립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물탱크밸브(2150)을 포함한다. The water tank 2100 has a tank lower body 2110 mounted on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tank lower body 2110, and the kantroer body ( 2110), the lower side of the tank middle body 2120 is closed and water is stored therein,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ed to form a water tank opening 2101, on the upper side of the tank middle body 2120. A tank upper body 2130 coupled thereto, a water tank handle 2140 rotatably assembled to the tank upper body 2130, assembled to the tank lower body 2110, and supplying water stored therein A water tank valve 2150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the assembly 2200 is included.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물탱크(2100)의 바닥을 제공한다.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밸브홀(2111)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홀(2111)에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된다. 상기 밸브홀(2111)은 상기 물탱크(2100)의 측면에서 볼 때 후방측에 위치된다. The tank lower body 2110 provides a bottom of the water tank 2100. The tank lower body 2110 has a valve hole 2111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water tank valve 2150 is assembled to the valve hole 2111. The valve hole 2111 is located on the rear side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water tank 2100 .

상기 밸브홀(2111)의 중심에서 물탱크의 전면(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탱크프론트월)까지의 거리를 T1이라 정의하고, 상기 밸브홀(2111)의 중심에서 물탱크의 배면(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제 1 리어월)까지의 거리를 T2라 정의한다. 여기서 상기 T1이 상기 T2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밸브홀(2111)을 물탱크(2100)의 후방측에 위치시킴으로서, 틸팅어셈블리의 작동 시, 물탱크밸브(2150)의 누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valve hole 2111 to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tank (the tank front wall described later in this embodiment) is defined as T1, and the center of the valve hole 2111 to the rear surface of the water tank (this embodiment A distance from to a first rear wall) to be described later is defined as T2. Here, the T1 is formed longer than the T2. By locating the valve hole 2111 on the rear side of the water tank 2100, leakage of water from the water tank valve 2150 during operation of the tilting assembly can be minimized.

틸팅어셈블리의 작동 시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와 신속히 이격되어야만 물탱크밸브(2150)가 신속하게 폐쇄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전방측을 하단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틸팅되기 때문에, 물탱크밸브(2150)가 후방 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tilting assembly operates, the water tank valve 2150 is quickly closed only when the water tank 2100 is quickly separated from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Since the water tank 2100 is tilted forward based on the lower end of the front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tank valve 2150 is located on the rear sid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탑뷰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이다. 탱크로어바디(21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이 개구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ank lower body 2110 has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a top view. The tank lower body 21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and has an open lower side.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내부에 로어바디공간(2112)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바디공간(2112)는 하측을 향해 개구된다. 상기 로어바디공간(2112)에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일부 구성이 삽입될 수 있다. The tank lower body 2110 has a lower body space 2112 formed therein, and the lower body space 2112 opens downward. A part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body space 2112 .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탱크로어바디(2110)는, 전면, 좌측면, 우측면, 상측면이 폐쇄된다. The tank lower body 211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The tank lower body 2110 is closed on the front, left side, right side, and upper side.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는, 상측이 개구된 미들바디 어퍼개구부(2121)와, 하측이 개구된 미들바디 로어개구부(2122)를 포함한다.The tank middle body 2120 includes a middle body upper opening 2121 with an upper side opened and a middle body lower opening 2122 with a lower side opened.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는, 전면, 좌측면, 우측면 및 배면이 폐쇄되고, 상측면 및 하측면만 개구된다.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는, 탱크프론트월(2123), 탱크레프트월(2124), 탱크라이트월(2125) 및 탱크리어월(2126)를 포함한다.The tank middle body 2120 is closed on the front, left, right, and rear surfaces, and only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 The tank middle body 2120 includes a tank front wall 2123, a tank left wall 2124, a tank right wall 2125, and a tank rear wall 2126.

탱크프론트월(2123), 탱크레프트월(2124) 및 탱크라이트월(2125)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탱크리어월(2126)은 수직하게 배치되되, 전후 방향으로 굴곡이 형성된다. The tank front wall 2123, the tank left wall 2124, and the tank light wall 2125 are vertically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tank rear wall 2126 is disposed vertically and is cur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탱크리어월(2126)은 탱크로어바디(2110)에 결합되고, 탱크로어바디(2110)의 배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는 제 1 리어월(2126a)과,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와 결합되고,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리어월(2126a)보다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 2 리어월(2126b)과, 상기 제 1 리어월(2126a) 및 제 2 리어월(2126b)를 연결하는 커넥트월(2126c)을 포함한다. The tank rear wall 2126 is coupled to the tank lower body 2110 and is coupled to the first rear wall 2126a forming a continuous surface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tank lower body 2110 and the tank upper body 2130 a second rear wall 2126b, which forms a continuous surface with the tank upper body 2130 and is positioned forward of the first rear wall 2126a; 2 includes a connect wall 2126c connecting the rear wall 2126b.

상기 커넥트월(2126c)은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커넥트월(2126c)은 전방측이 높고 후방 측이 낮게 배치된다. The connect wall 2126c is incl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nect wall 2126c has a high front side and a low rear side.

상기 제 1 리어월(2126a)은 상기 커넥트월(2126c)에 대해 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리어월(2126b)은 상기 커넥트월(2126c)에 대해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전후 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리어월(2126a)와 제 2 리어월(2126b)은 T3 만큼의 거리차를 형성한다. The first rear wall 2126a is located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connect wall 2126c, and the second rear wall 2126b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connect wall 2126c.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first rear wall 2126a and the second rear wall 2126b form a distance difference by T3.

그래서 상기 제 1 리어월(2126a)을 포함하는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의 평단면적이 상기 제 2 리어월(2126b)을 포함하는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의 평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물탱크(2100)에 물이 저장되었을 경우, 상기 물탱크(2100)의 무게중심을 보다 후방 측에 형성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flat cross-sectional area of the tank middle body 2120 including the first rear wall 2126a is larger than that of the tank middle body 2120 including the second rear wall 2126b. When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tank 2100 through such a structur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water tank 2100 can be formed more rearward.

이는 틸팅어셈블리에 의해 물탱크(2100)가 전방으로 기울어졌을 때, 상기 물탱크(2100)가 전방으로 쏠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is can prevent the water tank 2100 from tipping forward when the water tank 2100 is tilted forward by the tilting assembly.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탱크미들바디(2120)의 상측단에 결합된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탑뷰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The tank upper body 213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tank middle body 2120. The tank upper body 2130 has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a top view.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미들바디 어퍼개구부(2121)와 연통되는 어퍼바디 개구부(2131)를 형성한다. 상기 어퍼바디 개구부(2131) 하측에 상기 미들바디 개구부(2121)가 배치된다.The tank upper body 2130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ank upper body 2130 forms an upper body opening 2131 communicating with the middle body upper opening 2121 . The middle body opening 2121 is disposed below the upper body opening 2131 .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에 상기 물탱크핸들(2140)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The water tank handle 2140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tank upper body 2130.

상기 물탱크핸들(2140)은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 내측에 배치되고, 로어캐비닛(120)에 수납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숨겨진다.The water tank handle 2140 is disposed inside the tank upper body 2130 and is hidden from the user when stored in the lower cabinet 120 .

이를 위해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의 내측에는 상기 물탱크핸들(2140)이 설치되는 핸들설치홈(2132)이 형성된다.To this end, a handle installation groove 2132 in which the water tank handle 2140 is installed is formed inside the tank upper body 2130.

상기 핸들설치홈(2132)은 탱크어퍼바디(2130)의 전방 측에 형성된다. The handle installation groove 2132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tank upper body 2130.

탑뷰로 볼 때, 상기 핸들설치홈(2132)은 탱크어퍼바디(2130)의 두께 내에 배치되고, 탱크어퍼바디(2130)의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When viewed from a top view, the handle installation groove 2132 is disposed within the thickness of the tank upper body 2130 and is concave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tank upper body 2130.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설치홈(2132)은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의 바깥쪽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핸들설치홈(2132)이 탱크어퍼바디(2130)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installation groove 2132 is formed outside the tank upper body 213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le installation groove 2132 may be disposed inside the tank upper body 2130.

상기 물탱크핸들(2140)은 "ㄷ"자로 형성된 핸들바디(2142)와, 상기 핸들바디(2142) 및 탱크어퍼바디(213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핸들축(2144)과, 상기 핸들바디(2142) 또는 핸들축 (2144)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에 지지되는 핸들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The water tank handle 2140 includes a handle body 2142 formed in a “c” shape, a handle shaft 2144 rotatably coupling the handle body 2142 and the tank upper body 2130, and the handle body ( 2142) or handle shaft 2144, and includes a handle elastic member (not shown) supported by the tank upper body 2130.

상기 핸들탄성부재는 상기 핸들바디(2142)의 전방 측 단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The handle elastic member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handle body 2142 is raised. In this embodiment, a torsion spring may be used as the handle elastic member.

상기 물탱크(2100)가 전방으로 틸팅되면, 상기 핸들탄성부재에 의해 물탱크핸들(2140)이 핸들설치홈(2132) 밖으로 회전된다. When the water tank 2100 is tilted forward, the water tank handle 2140 is rotated out of the handle installation groove 2132 by the handle elastic member.

상기 물탱크(2100)가 물탱크개구부(167) 안으로 삽입되면, 상기 물탱크핸들(2140)이 로어커버(164)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핸들설치홈(2132)으로 수납된다. When the water tank 2100 is inserted into the water tank opening 167, the water tank handle 2140 is received into the handle installation groove 2132 by interference with the lower cover 164.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기 미들바디 로어개구부(2122)에 밀착되고 상기 미들바디 로어개구부(2122)를 밀폐시키는 로어바디탑월(2113)과,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안착되는 로어바디사이드월(2114)과,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밸브홀(2111)을 형성시키는 밸브설치부(2115)를 포함한다. The tank lower body 2110 has a lower body top wall 2113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iddle body lower opening 2122 and seals the middle body lower opening 2122,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body top wall 2113, A lower body side wall 2114 seated on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nd a valve hole 2111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body top wall 2113 and penetrating the lower body top wall 2113 in the vertical direction Includes a valve installation portion 2115 to form.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은 탱크로어바디(2110)의 상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미들바디 로어개구부(2122)를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어바디탑월(2113) 및 미들바디(2120)는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초음파 용접되고, 상기 미들바디(2120)의 저면을 밀폐시킨다. The lower body top wall 2113 forms an upper side surface of the tank lower body 2110 and shields the lower opening 2122 of the middle body.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body top wall 2113 and the middle body 2120 are ultrasonically welded to prevent water leakag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iddle body 2120 is sealed.

상기 밸브설치부(2115)는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밸브홀(2111)을 형성시킨다. 상기 밸브설치부(2115)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The valve installation part 2115 forms a valve hole 2111 penetrating the lower body top wall 2113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alve installation part 2115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상기 밸브설치부(2115)에 조립된다. 물탱크밸브(2150)는 상기 밸브설치부(2115)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밸브홀(2111)을 개방시킬 수 있다. The water tank valve 2150 is assembled to the valve installation part 2115. The water tank valve 2150 may be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to the valve installation part 2115, and through this, the valve hole 2111 may be opened.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기능적으로 체크밸브의 기능을 갖고, 구조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구조에 최적화된다. The water tank valve 2150 functionally has a function of a check valve and is structurally optimized for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밸브설치부(2115)는 상하 로어바디탑월(2113)에서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의 연장설치부(2116)와, 상기 연장설치부(2116)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되는 조립설치부(2117)를 포함한다. The valve installation part 2115 is disposed inside the cylindrical extension installation part 2116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and lower body top walls 2113 and the extension installation part 2116, and the water tank valve 2150 ) includes an assembly installation portion 2117 to be assembled.

상기 연장설치부(2116)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다. 상기 조립설치부(2117)는 상기 연장설치부(2116)의 내부를 가로질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설치부(2117)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extension installation part 2116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 The assembly installation part 2117 is formed across the inside of the extension installation part 2116. In this embodiment, the assembly installation part 2117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조립설치부(2117)는 상기 밸브홀(2111)을 상측 및 하측으로 구획한다.The assembly installation part 2117 divides the valve hole 2111 into upper and lower parts.

상기 조립설치부(2117)의 상측을 어퍼밸브홀(2111a)로 정의하고, 조립설치부(2117)의 하측을 로어밸브홀(2111b)로 정의한다. The upper side of the assembly and installation portion 2117 is defined as an upper valve hole 2111a, and the lower side of the assembly and installation portion 2117 is defined as a lower valve hole 2111b.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기 조립설치부(2117)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되는 조립홀(2117a)과, 상기 조립설치부(2117)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어퍼밸브홀(2111a) 및 로어밸브홀(2111b)를 연통시키는 설치부홀(2118)을 더 포함한다. The tank lower body 2110 penetrates the assembly installation part 2117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ssembly hole 2117a into which the water tank valve 2150 is assembled, and the assembly installation part 2117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installation part hole 2118 passing through and communicating the upper valve hole 2111a and the lower valve hole 2111b.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기 조립설치부(2117)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되는 조립홀(2117a)과, 상기 조립설치부(2117)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어퍼밸브홀(2111a) 및 로어밸브홀(2111b)를 연통시키는 설치부홀(2118)을 더 포함한다. The tank lower body 2110 penetrates the assembly installation part 2117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ssembly hole 2117a into which the water tank valve 2150 is assembled, and the assembly installation part 2117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installation part hole 2118 passing through and communicating the upper valve hole 2111a and the lower valve hole 2111b.

상기 조립홀(2117a) 및 설치부홀(2118)은 모두 밸브설치부(2115) 내부에 위치된다. Both the assembly hole 2117a and the installation hole 2118 are located inside the valve installation part 2115.

상기 조립홀(2117a)은 밸브설치부(2115)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부홀(2118)은 상기 조립홀(2117a) 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설치부홀(2118)은 상기 연장설치부(2116) 및 조립홀(2117a) 사이에 배치된다. The assembly hole 2117a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valve installation part 2115, and the installation part hole 2118 is disposed outside the assembly hole 2117a. The installation part hole 2118 is disposed between the extension installation part 2116 and the assembly hole 2117a.

상기 조립홀(2117a)은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되기 때문에 물의 원활한 유동을 기대할 수 없다.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은 상기 설치부홀(2118)을 통해 물공급어셈블리(2200)로 유동된다.Since the water tank valve 2150 is assembled in the assembly hole 2117a, smooth flow of water cannot be expected. Water in the water tank 2100 flows to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through the installation hole 2118 .

<물탱크밸브의 구성><Configuration of water tank valve>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탱크로어바디(2110)의 밸브설치부(2115)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밸브코어(2152)와,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코어(2152)와 조립되고, 상기 밸크코어(2152)의 상하 이동 시 상기 밸브홀(211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다이어프램(2154)을 포함한다. The water tank valve 2150 is formed of a valve core 2152 assemb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the valve installation part 2115 of the tank lower body 2110 and an elastic material, and the valve core 2152 and a diaphragm 2154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valve hole 2111 when the valk core 2152 moves up and down.

탑뷰로 볼 때, 상기 다이어프램(2154)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홀(2111)의 직경보다 크다. 다이어프램(2154)의 상단은 밸브홀(2111)의 상측에 위치되고, 하단은 상기 밸브홀(2111) 내부에 위치된다. When viewed from a top view, the diaphragm 2154 has a circular shape and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valve hole 2111 . The upper end of the diaphragm 2154 is located above the valve hole 2111, and the lower end is located inside the valve hole 2111.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이어프램(2154)은 하측으로 오목한 보울(bowl) 형상이다. 상기 밸브코어(2152)는 다이어프램(2154)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diaphragm 2154 has a bowl shape concave downward. The valve core 2152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diaphragm 2154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다이어프램(2154)은 중심측에서 바깥쪽으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diaphragm 2154 provides elastic force to be restored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상기 물탱크(2100)에 설치된 물탱크밸브(215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될 때, 상기 밸브코어(2152)의 하단이 후술하는 밸브서포터(2250)와 접촉된다.When the water tank valve 2150 installed in the water tank 2100 is mounted on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the lower end of the valve core 2152 comes into contact with a valve supporter 225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밸브코어(2152)가 상기 밸브서포터(2250)에 접촉되어 지지되면, 상기 다이어프램(2154)을 포함한 물탱크밸브(2150)가 상기 밸브서포터(2250)에 위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제외한 물탱크(2100)의 나머지 구성은 하측으로 이동된다. When the valve core 2152 comes into contact with and is supported by the valve supporter 2250, the water tank valve 2150 including the diaphragm 2154 is positioned on the valve supporter 2250, and the water tank valve 2150 The rest of the components of the water tank 2100 except for are moved downward.

그래서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밸브서포터(2250)에 지지되면, 다이어프램(2154)이 상기 밸브홀(2111)을 개방시킨다. 반면에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서 분리되면,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2154)이 밸브홀(2111)을 폐쇄시킨다. Thus, when the water tank valve 2150 is supported by the valve supporter 2250, the diaphragm 2154 opens the valve hole 2111.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tank 2100 is separated from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the diaphragm 2154 closes the valve hole 2111 by water pressure.

<<물공급어셈블리의 구성>><<Configuration of water supply assembly>>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탱크(2100)의 물을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한다.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탱크(2100)가 거치될 때에만 물탱크(2100)의 물탱크밸브(2150)를 개방시켜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물을 공급한다.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supplies water in the water tank 2100 to the steam generator 2300.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supplies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300 by opening the water tank valve 2150 of the water tank 2100 only when the water tank 2100 is installed.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탱크(2100)를 지지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되는 유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대신 기구적인 배치를 통해 구현한다.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를 전동식으로 구현할 경우, 이에 따른 전기배선이 습기 또는 물에 노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오작동 및 안전성이 문제가 된다.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supports the water tank 2100 and provides a flow path from the water tank 2100 to the steam generator 2300. Also,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may open and close the water tank valve 2150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tored in the steam generator 2300 . In this embodim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tank valve 2150 is implemented through mechanical arrangement instead of being operated by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tank valve 2150 is electrically implemented, the electrical wiring may be exposed to moisture or water, resulting in malfunction and safety issues.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를 기구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구현하기 때문에, 물과 접촉되는 부위의 전기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작동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tank valve 2150 is implemented through a mechanical coupling relationship,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use of electricity in a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and safety accidents.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을 서플라이챔버(2211)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하는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과,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의 서플라이챔버(2211)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서플라이플로터(2220)와,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안내하는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여 틸팅각을 제공하는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거치 시 상기 물탱크(2100)의 물탱크밸브(2150)와 접촉되어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개방시키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에서 토출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111)로 안내하는 상기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를 제공하는 밸브서포터(2250)와,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의 틸팅 시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상대회전 가능하고, 상기 물탱크의 물공급밸브가 관통되게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111)에 제공하는 서플라이틸팅커버(2260)과,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를 연결하고, 상기 밸브서포터(2250)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서플라이유로(2231)를 통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안내하는 워터벨로우즈(2240)를 포함한다.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is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100 (base in this embodiment), temporarily stores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100 in the supply chamber 2211, and store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100 in the supply chamber 2211. ) is disposed in the supply chamber housing 2210 for supplying the water stored in the steam generator 2300 to the supply chamber 2211 of the supply chamber housing 2210, and the level of the water stored in the supply chamber 2211 is above A supply floater 2220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upper side of the supply chamber housing 2210,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supply chamber 2211, and supplies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100 to the supply chamber housing 2210. A supply support body 2230 in which a part of the supply passage 2231 guiding the chamber 2211 is formed and supports the water tank 2100 when the water tank 2100 is tilted to provide a tilting angle; It is disposed on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and when the water tank 2100 is mounted,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ter tank valve 2150 of the water tank 2100 to open the water tank valve 2150, and the water tank valve The valve supporter 2250, which provides a part of the supply passage 2231 for guid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2150 to the supply chamber 2111, and the water tank 2100 are detachably mounted, and the water It is disposed between the tank 2100 and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can rotate relative to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when the water tank is tilted, and is disposed so that the water supply valve of the water tank passes through the water tank A supply tilting cover 2260 providing water to the supply chamber 2111 is disposed between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and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and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and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is connected, the valve supporter 2250 is disposed therein, and water supplied from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is supplied to the supply flow path 2231 of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 and a water bellows 2240 guiding the supply chamber 2211 through.

상기 물탱크(2100)의 하측에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하측에 밸브서포터(225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가 배치되고, 상기 밸브서포터(2250) 하측에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높이 내에서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The water tank valve 2150 is disposed below the water tank 2100, the valve supporter 2250 and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are disposed below the water tank valve 2150, and the valve supporter ( 2250), the supply plotter 222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and the supply plotter 2220 moves up and down within the height of the supply chamber 2211.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은 상기 물탱크밸브(2150), 워터벨로우즈(2240) 및 서플라이유로(2231)를 거쳐 서플라이챔버(2211)로 유동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는 공급된 물을 일시 저장하고, 물은 자중에 의한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시킨다. Water in the water tank 2100 flows into the supply chamber 2211 via the water tank valve 2150, the water bellows 2240, and the supply passage 2231. The supply chamber 2211 temporarily stores supplied water, and the water flows to the steam generator 2300 by potential energy due to its own weight.

<서플라이챔버하우징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supply chamber housing>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베이스(130) 상측면에 설치된다.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물탱크에서 공급된 물을 일시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고,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supply chamber housing 22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30 of the cabinet assembly 100 . The supply chamber housing 2210 temporarily stores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supplies the stored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300 . The supply chamber housing 2210 provides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supply plotter 2220, and the supply plotter 2220 can move up and down within the supply chamber housing 2210.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베이스(130) 상측에 설치되는 챔버하우징바디(2212)와, 상기 챔버하우징바디(2212) 내측에 배치되고, 상측 방향으로 개구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물을 일시 저장하는 서플라이챔버(2211)와, 상기 챔버하우징바디(2212) 또는 서플라이플로터(2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저면(2220a)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에서 이격시키는 리브(2215)와, 상기 챔버하우징바디(2212)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와 연통되고, 상기 챔버하우징(2212)에 저장된 물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물을 제공하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를 포함한다. The supply chamber housing 2210 includes a chamber housing body 2212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30 of the cabinet assembly 100, disposed inside the chamber housing body 2212, and opened upward, It is formed concave downward and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supply chamber 2211 for temporarily storing water, the chamber housing body 2212 or the supply plotter 2220, and the bottom surface 2220a of the supply plotter 2220 ) from the bottom surface 2211a of the supply chamber 2211, and a rib 2215 disposed on the chamber housing body 2212, in communication with the supply chamber 2211, and in the chamber housing 2212. A chamber housing pipe 2214 is included to supply the stored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300.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는 상측으로 개구된다. 서플라이챔버(2211)의 개방된 상측면을 챔버개구면(2213)으로 정의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에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서플라이챔버(2211)의 형상에 대응하여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The supply chamber 2211 is opened upward. An open upper surface of the supply chamber 2211 is defined as a chamber opening surface 2213. The supply plotter 2220 is disposed inside the supply chamber 2211 . In this embodiment, the supply chamber 221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supply plotter 222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upply chamber 2211 .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평단면 형상은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평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것이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이동에 바람직하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평단면 형상은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각진 형태로 형성될 경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상하 이동 시 걸림을 발생시킬 수 있고, 설치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다. It is preferable for the movement of the supply plotter 2220 that the plana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pply chamber 2211 corresponds to the planar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pply plotter 2220.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pply chamber 2211 may be formed freely, but if formed in the angled shape, jamming may occur when the supply plotter 2220 moves up and down, and the installation volume may increase.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저면(2211a)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bottom surface 2211a of the supply chamber 2211 is inclined. The bottom surface 2211a may be inclined toward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

상기 리브(2215)는 본 실시예에서 챔버하우징바디(2212)에 형성된다. 상기 리브(2215)는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리브(2215)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저면(2220a)과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을 이격시킨다. The rib 2215 is formed on the chamber housing body 2212 in this embodiment. The rib 2215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2211a of the supply chamber 2211 . The rib 2215 separates the bottom surface 2220a of the supply plotter 2220 from the bottom surface 2211a of the supply chamber 2211 .

상기 리브(2215)가 없을 경우,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 물이 채워지더라도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저면(2220a) 및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밀착에 의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In the absence of the rib 2215, even if the supply chamber 2211 is filled with water, the bottom surface 2220a of the supply plotter 2220 and the bottom surface 2211a of the supply chamber 2211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It can be. Due to the close contact, the supply plotter 2220 may not move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상기 리브(2215)는 상기 밀착에 의한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rib 2215 may prevent malfunction of the supply plotter 2220 due to the close contact.

또한,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측면(2220b)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내벽(2211b)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측면(2220b) 및 서플라이챔버(2211)의 내벽(2211b)은 1mm 이상의 유격이 확보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o prevent the side surface 2220b of the supply plotter 2220 from being fixed to the inner wall 2211b of the supply chamber 2211, the side surface 2220b of the supply plotter 2220 and the supply chamber 2211 The inner wall 2211b should have a clearance of 1 mm or more.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는 서플라이챔버(2211)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와 연통되고, 외측단(2214b)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밖으로 돌출된다.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supply chamber 2211 . The inner end 2214a of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communicates with the supply chamber 2211, and the outer end 2214b protrudes out of the supply chamber 2211.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과 같거나 높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물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bottom surface 2211a of the supply chamber 2211 is formed equal to or higher than the inner end 2214a of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and through this, water in the supply chamber 2211 is prevented from remaining.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저면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서플라이챔버(2211)에 저장된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로 유동된다. The outer end 2214b of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is dispos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ly chamber 2211, and the water stored in the supply chamber 2211 flows into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due to its own weight.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 보다 낮게 배치된다. The outer end 2214b of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is disposed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2211a of the supply chamber 2211 .

본 실시예에서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 높이 내에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저면(2211a)이 위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2211a of the supply chamber 2211 is located within the height of the inner end 2214a of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저면 보다 높은 경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에 잔류되는 물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세균 또는 곰팡이의 번식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저면과 같거나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inner end 2214a of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is higher than the bottom of the supply chamber 2211, water remaining inside the supply chamber 2211 may be generated, which may cause the growth of bacteria or mold. ca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end 2214a of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is formed equal to or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ly chamber 2211 .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예를 들어 습도가 높은 여름철이나 물탱크에 저장기간이 길어길 때), 물탱크(2100)를 비롯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 모든 물은 내부에 잔류되지 않고, 외부로 배수된다. When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is not in use (for example, in summer when the humidity is high or when the storage period in the water tank is long), all the water in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including the water tank 2100 is inside It does not remain and is drained to the outside.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이 유동되는 과정에서 잔류되지 않고, 자중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100 does not remain while flowing and can be moved by its own weight.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은 스팀제너레이터(2300)와 연결되고,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물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은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된다. The outer end 2214b of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is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supplies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300. In this embodiment, water in the water tank 2100 flows to the steam generator 2300 by potential energy.

<밸브서포터의 구성><Configuration of valve supporter>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물탱크밸브(215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상기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될 때 상기 물탱크밸브(2150)와 간섭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개방시킨다.The valve supporter 2250 is disposed below the water tank valve 2150. The valve supporter 2250 interferes with the water tank valve 2150 when the water tank 2100 is mounted on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nd opens the water tank valve 2150.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상측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밸브코어(2152)를 지지한다. The valve supporter 2250 has a sharp upper side and supports the valve core 2152 of the water tank valve 2150 .

상기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되면, 상기 밸브서포터(2250)가 상기 밸브코어(2152)와 간섭되어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밸브홀(2111)이 개방된다. When the water tank 2100 is mounted on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the valve supporter 2250 interferes with the valve core 2152 to push the water tank valve 2150 upward, thereby completing this process. Through this, the valve hole 2111 is opened.

상기 밸브홀(2111)이 개방되면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이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로 유동된다. When the valve hole 2111 is opened, water in the water tank 2100 flows to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별도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성형을 통해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물탱크밸브(2150)과의 접촉을 위해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서 상측으로 노출되어야 한다. The valve supporter 2250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through injection molding. To contact the water tank valve 2150, the valve supporter 2250 must be exposed upward from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는 서로 이격되어 밸브서포터갭(2256)을 형성한다.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 사이로 물이 유동될 수 있다. The valve supporter 225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this embodiment, the valve supporter 2250 includes a first valve supporter 2252 and a second valve supporter 2254. The first valve supporter 2252 and the second valve supporter 225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valve supporter gap 2256 . Water may flow between the valve supporter gap 2256 .

상기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는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 역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의 상측에 밸브코어(2152)가 배치된다. The first valve supporter 2252 and the second valve supporter 2254 are vertically disposed, and the valve supporter gap 2256 is also vertically disposed. A valve core 2152 is disposed above the valve supporter gap 2256.

상기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이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가 밸브코어(2152)의 하단을 지지하여도 상기 물탱캐(2100)에 배출된 물이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으로 유입될 수 있다. Since the first valve supporter 2252 and the second valve supporter 225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valve supporter 2252 and the second valve supporter 2254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valve core 2152. Also,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er 2100 may flow into the valve supporter gap 2256.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의 하단은 개구된다. 밸브서포터갭(2256)의 상측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상측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의 하측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하측을 향해 개구된다. A lower end of the valve supporter gap 2256 is open. The upper side of the valve supporter gap 2256 opens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and the lower side of the valve supporter gap 2256 open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서포터(2250)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의 하측은 서플라이챔버(2211)와 연통된 미들홀(2258)이 형성된다. 미들홀(2258)는 서플라이유로(2231)의 일부를 형성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valve supporter 2250 is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a middle hole 2258 communicating with the supply chamber 2211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valve supporter gap 2256. do. The middle hole 2258 forms part of the supply flow path 2231.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들홀(2258)이 밸브서포터갭(2256)의 하측에 형성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middle hole 2258 is formed below the valve supporter gap 2256, but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middle hole 2258 may be formed in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The middle hole 2258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미들홀(2258)은 워터벨로우즈(2240)의 내부 공간 및 서플라이챔버(2211)를 연통시킨다. The middle hole 2258 communicates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bellows 2240 with the supply chamber 2211.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에 위치된다. 그래서 상기 밸브홀(2111)을 통해 배출된 물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에 저장되고, 상기 미들홀(2258)을 통해 서플라이챔버(2111)로 유동된다. The valve supporter 2250 is located inside the water bellows 2240. Thus,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valve hole 2111 is stored in the water bellows 2240 and flows into the supply chamber 2111 through the middle hole 2258 .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들홀(2258)이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밖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을 미들홀(2258)로 안내하는 별도의 구성이 배치되거나, 배출된 물이 다른 곳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배치되어야 한다. The middle hole 2258 is preferably located inside the water bellows 2240. When the middle hole 2258 is disposed outside the water bellows 2240, a separate component for guiding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2100 to the middle hole 2258 is disposed, or the discharged water is disposed in a different location. A component for blocking the flow to the supply must be disposed on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상기 물탱크밸브(2150) 및 밸브서포터(2250)의 접촉부분(밸브코어의 하단 및 밸브서포터의 상단)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contact portions of the water tank valve 2150 and the valve supporter 2250 (the lower end of the valve core and the upper end of the valve supporter) are located inside the water bellows 2240.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처럼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을 일시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에 관한 구성은 워터벨로우즈(2240)의 구성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Like the supply chamber 2211, the water bellows 2240 provides a space for temporarily stor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2100.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bellows 2240.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supply support body>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을 커버한다. 특히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이 상측면을 밀폐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의 물이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밖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ly chamber housing 2210 and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supply chamber 2211 . In particular, the upper side of the supply chamber 2211 is sealed, and water inside the supply chamber 2211 is prevented from leaking out of the supply chamber housing 2210 .

그리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안내하는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가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서포터(2250)의 미들홀(2258)이 이를 대신한다.In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a part of the supply passage 2231 guid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2100 to the supply chamber 2211 is formed, and in this embodiment, the valve supporter 2250 The middle hole 2258 of , replaces this.

그리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고,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회전된 물탱크(2100)를 지지한다.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supports the water tank 2100 and the water tank 2100 rotated when the water tank 2100 is tilted.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을 커버하는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와,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를 연결하는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를 형성하는 미들홀(2258)과,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미들홀(2258)과 연통되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상측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플로터가이드(2234)와,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저면과 소정의 틸팅각을 형성하고,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는 틸팅서포터(2236)를 포함한다.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includes a supply body plate 2232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ly chamber housing 2210 and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supply chamber 2211, and the supply body plate 2232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middle hole 2258 forming a part of a supply passage 2231 connecting the supply chamber 2211 from the water tank 2100 an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upply body plate 2232, A plotter guide 2234 communicating with the middle hole 2258, into which an upper part of the supply plotter 2220 is inserted, and guid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pply plotter 2220, and the supply body plate 2232 A tilting supporter 2236 protrudes upward, forms a predetermined tilting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2100, and supports the water tank 2100 when the water tank 2100 is tilted.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챔버개구면(2213)을 커버하며,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챔버개구면(2213)을 밀폐시킨다. The supply body plate 223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ly chamber housing 2210, covers the chamber opening surface 2213 forming the upper side of the supply chamber 2211, and the chamber of the supply chamber 2211. The opening face 2213 is sealed.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가 서플라이챔버(2211)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실링리브(2231)가 더 형성된다. In order for the supply body plate 2232 to effectively seal the supply chamber 2211, a sealing rib 2231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supply body plate 2232 is further formed.

상기 실링리브(2231)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챔버개구면(22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링리브(2231) 및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사이에 실링을 위한 서플라이챔버 개스킷(2233)이 더 배치된다. The sealing rib 223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hamber opening surface 2213 of the supply chamber 2211 . A supply chamber gasket 2233 for sealing is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sealing rib 2231 and the supply chamber housing 2210 .

탑뷰로 볼 때, 상기 서플라이챔버 개스킷(2233)은 상기 챔버개구면(2213)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된다. 서플라이챔버 개스킷(2233)은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된다.When viewed from a top view, the supply chamber gasket 2233 corresponds to the edge shape of the chamber opening surface 2213. The supply chamber gasket 2233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disposed between the supply chamber housing 2210 and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

상기 미들홀(2258)은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를 연결한다. 상기 미들홀(2258)은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을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하측으로 유동시킨다. The middle hole 2258 penetrates the supply body plate 223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s the supply chamber 2211 to the water tank 2100 . The middle hole 2258 forms a part of the supply flow path 2231 and allows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2100 to flow to the lower side of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들홀(2258)은 밸브서포터(225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를 관통하는 별개의 미들홀을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에 위치된다. 즉,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에 밸브서포터(250)의 미들홀(2258)과 별개의 미들홀이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middle hole 2258 is disposed on the valve supporter 2250.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 separate middle hole passing through the supply body plate 2232 may be disposed. In this case, the middle hole 2258 is located inside the water bellows 2240. That is,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 middle hole separate from the middle hole 2258 of the valve supporter 2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water bellows 2240 .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미들홀(2258)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미들홀(2258)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미들홀(2258)을 통과한 물을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 내부로 안내된다. The plotter guide 2234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ly body plate 2232 . The plotter guide 2234 communicates with the middle hole 2258. In this embodiment, the plotter guide 2234 is located below the middle hole 2258, and water passing through the middle hole 2258 is guided into the plotter guide 2234.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하측이 개구된 형태이고, 개구된 하측면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상측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The plotter guide 2234 has an open lower side, and a part of the upper side of the supply plotter 2220 may be inserted through the open lower side. The plotter guide 2234 guide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pply plotter 2220.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삽입되는 플로터가이드 내부공간(2234S)가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가이드 내부공간(2234S) 상측에 상기 미들홀(2258)이 배치되고, 상기 미들홀(2258) 상측에 밸브서포터갭(2256)이 배치된다. The plotter guide 2234 has a plotter guide inner space 2234S into which the supply plotter 2220 is inserted. The middle hole 2258 is disposed above the plotter guide inner space 2234S, and the valve supporter gap 2256 is disposed above the middle hole 2258.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 미들홀(2258) 및 플로터가이드 내부공간(2234S)를 일렬로 배치하여 물의 이동거리를 최단거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미들홀(2258)은 후술하는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승강 시 폐쇄되고, 하강 시 개방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를 통해 미들홀(2258)의 개폐는,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와 별개로 이루어진다. The valve supporter gap 2256, the middle hole 2258, and the inner space 2234S of the plotter guide are arranged in a line to make the moving distance of water the shortest. The middle hole 2258 is closed when the supply plotter 2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cends and descends, and opens when the supply plotter 2220 descends. Opening and closing of the middle hole 2258 through the supply plotter 2220 is performed separately from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tank valve 2150 .

상기 틸팅서포터(2236)는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구조물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서포터(2236)는 사출성형을 통해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틸팅서포터(2236)는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조립될 수 있다. The tilting supporter 2236 is a structure protruding upward from the supply body plate 2232 . In this embodiment, the tilting supporter 2236 is integrally manufactured with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through injection molding.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lting supporter 2236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assembled to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상기 틸팅서포터(2236)는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기 때문에 상기 물탱크(2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Since the tilting supporter 2236 i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water tank 2100, it is disposed below the water tank 2100.

상기 틸팅서포터(2236)는, 상기 물탱크(2100)가 틸팅되기 전 상기 물탱크(2100)를 수직하게 지지하는 제 1 서포터부(2236a)와, 상기 물탱크(2100)가 틸팅된 후 상기 물탱크(2100)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제 2 서포터부(2236b)를 포함한다. The tilting supporter 2236 includes a first supporter part 2236a that vertically supports the water tank 2100 before the water tank 2100 is tilted, and the water tank 2100 after the water tank 2100 is tilted. A second supporter part 2236b supporting the tank 2100 inclinedly is included.

상기 제 1 서포터부(2236a)는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제 1 서포터부(2236a)의 상측단은 수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서포터부(2236a)는 상기 밸브서포터(2250)의 상측단 보다 높게 위치된다. The first supporter part 2236a protrudes upward from the supply body plate 2232 and extends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er part 2236a is disposed horizontally.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upporter part 2236a is locat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valve supporter 2250 .

상기 제 2 서포터부(2236b)는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서포터부(2236b)의 상측단을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서포터부(2236b)는 물탱크(2100)의 틸팅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The second supporter part 2236b protrudes upward from the supply body plate 2232 and is dis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supporter part 2236b is inclined. The second supporter part 2236b is inclined in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water tank 21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는 전방으로 틸팅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서포터부(2236b)는 후방이 높고 전방이 낮은 틸팅경사면(2237)을 제공한다. 상기 틸팅경사면(2237)은 제 2 서포터부(2236b)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틸팅경사면(2237)은 후방에서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water tank 2100 is tilted forward, the second supporter part 2236b provides a tilting slope 2237 with a high rear and a low front. The tilting slope 2237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er part 2236b. The tilting slope 2237 is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rear toward the front lower side.

상기 틸팅경사면(2237)은 상기 물탱크(2100)의 저면과 소정의 틸팅각을 형성한다. 상기 틸팅경사면(2237)은 10도 이상 45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2100)가 상기 틸팅경사면(2237)에 지지될 때, 상기 물탱크(2100)는 전도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2100)가 상기 틸팅경사면(2237)에 지지될 때, 물탱크핸들(2140)이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상측으로 회전되어 전개되어야 한다. The tilting slope 2237 forms a predetermined tilting angle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2100 . The tilting slope 2237 may be formed at 10 degrees or more and 45 degrees or less. When the water tank 2100 is supported on the tilting slope 2237, the water tank 2100 should not be inverted. In addition, when the water tank 2100 is supported on the tilting slope 2237, the water tank handle 2140 should be exposed to the user and rotated upward to be deployed.

<서플라이틸팅커버의 구성><Configuration of supply tilting cover>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물탱크(2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물탱크(210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된다.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is disposed below the water tank 2100, and the water tank 2100 is detachably mounted thereon. In this embodiment,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is disposed between the water tank 2100 and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상기 물탱크의 틸팅 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상대 회전된다. When the water tank is tilted,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rotates relative to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물탱크의 물공급밸브가 관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를 관통하여 밸브서포트(2250)과 접촉된다.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is disposed so that the water supply valve of the water tank passes therethrough, and the water tank valve 2150 passes through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valve support 225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물탱크(2100)의 하부를 구성하는 탱크로어바디(2110)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can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tank lower body 2110 constituting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2100.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하측이 개구되고, 상면 및 측면을 폐쇄된다. The lower side of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is open, and the top and side surfaces are closed.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물탱크(2100)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틸팅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틸팅어셈블리의 작동에 의해 틸팅되는 틸팅커버바디(2262)와,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2100)의 밸브홀(2111)과 연통되는 밸브삽입홀(2261)과,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틸팅커버사이드월(2264)을 포함한다. In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2100 is detachably mounted, the tilting cover body is tiltably mounted on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and is tilted by the operation of the tilting assembly ( 2262), the valve insertion hole 2261 penetrating the tilting cover body 226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valve hole 2111 of the water tank 2100, and the lower side of the tilting cover body 2262 It includes a tilting cover side wall 2264 extending to .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는 대체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에 상기 밸브삽입홀(2261)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삽입홀(2261)은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밸브홀(2111)의 물을 제공받는다. 상기 밸브홀(2111)의 하측에 상기 밸브삽입홀(2261)이 배치된다. The tilting cover body 2262 is dispos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The valve insertion hole 2261 is formed in the tilting cover body 2262. The valve insertion hole 2261 penetrates the tilting cover body 226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eceives water from the valve hole 2111 . The valve insertion hole 2261 is disposed below the valve hole 2111 .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의 하측면에 상기 틸팅경사면(2237)의 상측단(2237a)이 지지된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틸팅경사면(2237)의 상측단(2237a)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틸팅될 수 있다. The upper end 2237a of the tilting slope 2237 is supported on the lower side of the tilting cover body 2262 .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may be tilted forwar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upper end 2237a of the tilting slope 2237 .

상기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될 때, 상기 물탱크(2100)의 밸브설치부(2115)가 상기 밸브삽입홀(2261)을 관통하고,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밸브설치부(2115)에서 물탱브밸브(2150) 및 밸브서포터(2250)이 상호 간섭될 수 있다. When the water tank 2100 is mounted on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the valve installation part 2115 of the water tank 2100 passes through the valve insertion hole 2261, and the tilting cover body 2262 penetrates and protrudes downward. In the valve installation unit 2115, the water tank valve 2150 and the valve supporter 2250 may interfere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밸브삽입홀(2261) 주변에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를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배치된다. A structure for fixing the water bellows 2240 to the tilting cover body 2262 is disposed around the valve insertion hole 2261 .

<워터벨로우즈의 구성><Composition of water bellows>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고정되고, 상기 물탱크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제공한다.The water bellows 224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he water bellows 2240 is fixed to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and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and provides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to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가 탄성변형되어 늘어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물탱크의 틸팅 시에도,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를 연결한다. The water bellows 2240 prevents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2100 from leaking. When the water tank 2100 is tilted, the water bellows 2240 is elastically deformed and stretched. The water bellows 2240 connects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and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even when the water tank is til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water bellows 2240 is formed in a corrugated pipe shape.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은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고정되고, 하단은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고정된다. The upper end of the water bellows 2240 is fixed to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을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고정하기 위한 벨로우즈캡(2242)이 더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a bellows cap 2242 for fixing the upper end of the water bellows 2240 to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is further disposed.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은 상기 밸브삽입홀(2261)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상측으로 돌출된다. An upper end of the water bellows 2240 protrudes upward from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through the valve insertion hole 2261 .

상기 벨로우즈캡(2242)은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을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상측면에 가압한다. 상기 벨로우즈캡(2242)은 체결 또는 억지끼움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bellows cap 224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and presses the upper end of the water bellows 224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The bellows cap 2242 may be fixed to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through fastening or interference fitt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벨로우즈캡(2242)은 체결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고정된다. 이는 워터벨로우즈(2240)의 손상 또는 파손 시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bellows cap 2242 is fixed to the supply tilting cover 2260 through fastening. This facilitates replacement when the water bellows 2240 is damaged or broken.

<서플라이플로터의 구성><Configuration of supply plotter>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서플라이챔버(2211)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supply floater 2220 is disposed in the supply chamber 2211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the supply chamber 2211 .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물탱크의 물이 모두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되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The supply plotter 2220 prevents all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team generator 2300. The supply plotter 2220 controls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steam generator 2300 while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부력은 상기 물탱크(2100)에서 가해지는 압력보다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buoyancy of the supply plotter 2220 is three times greater than the pressure applied by the water tank 2100.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밸브홀(2258)을 폐쇄한다. 상기 밸브홀(2258)이 폐쇄되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물이 공급되지 않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의 물은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를 통해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이동된다. When the water level in the supply chamber 2211 rises above the reference value, the supply plotter 2220 closes the valve hole 2258. When the valve hole 2258 is closed, water is not supplied to the supply chamber 2211 and the water in the supply chamber 2211 is moved to the steam generator 2300 through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물이 이동된 만큼 서플라이챔버(2211) 내의 수위가 낮아지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높이가 낮아져 상기 밸브홀(2258)이 개방될 수 있다. As much as the water is moved from the supply chamber 2211 to the steam generator 2300, the water level in the supply chamber 2211 is lowered, and the height of the supply plotter 2220 is lowered so that the valve hole 2258 can be opened. there is.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 플로터바디(2222)와,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형성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플로터가이드(2234)가 삽입되는 가이드삽입홈(2225)과,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삽입홈(2225)을 형성시키는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와,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유로(2231)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밸브홀(2258)을 개폐시키는 플로터밸브(2270)를 포함한다. The supply plotter 2220 includes a plotter body 2222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lower than water, formed in the plotter body 2222, concav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of the supply support body 2230. A guide insertion groove 2225 into which the plotter guide 2234 is inserted, a support body insertion portion 2224 formed in the plotter body 2222 and forming the guide insertion groove 2225, and the plotter body 2222 ), and a plotter valve 2270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hole 2258 forming a part of the supply passage 2231.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는 상측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가 삽입된다.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에 따른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상승 또는 하강 시,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는 플로터가이드(2234)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된다.The support body insertion part 2224 is formed concave downward on the upper side, and the plotter guide 2234 is inserted therein. When the supply plotter 2220 rises or falls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the supply chamber 2211, the support body insertion part 2224 rises or falls along the plotter guide 2234.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로터가이드(2234)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역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The support body insertion part 2224 and the plotter guide 2234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ince the plotter guide 2234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body insertion portion 2224 is also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방향으로는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최하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는 측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제공한다. The support body insertion part 2224 and the plotter guide 2234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terlock with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Even when the supply plotter 2220 is moved to the lowermost side, the support body insertion part 2224 and the plotter guide 2234 engage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 중 적어도 일부는 동일한 높이 내에 위치된다.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는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된다. At least some of the support body insertion part 2224 and the plotter guide 2234 are positioned within the same height. At least a part of the support body insertion part 2224 and the plotter guide 2234 overla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의 직경이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는 플로터가이드(2234)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는 플로터밸브(2270)의 설치구조를 위한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support body insertion part 2224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lotter guide 2234. So, the support body insertion part 2224 is located inside the plotter guide 2234. This is for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plotter valve 2270.

상기 플로터밸브(2270)는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배치된 플로터밸브코어(2272)와,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미들홀(2258)을 개폐시키는 플로터밸브스토퍼(2278)을 포함한다.The plotter valve 2270 is coupled to the plotter valve core 2272 disposed on the plotter body 2222 and the upper side of the plotter valve core 2272, and opens and closes the middle hole 2258. A plotter valve stopper ( 2278).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는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는 상기 플로터바디(222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플로터바디(2222)는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가 관통되는 코어홀(2223)이 형성된다. The plotter valve core 2272 is assembled to the plotter body 2222. In this embodiment, the plotter valve core 2272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plotter body 2222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plotter body 2222 has a core hole 2223 through which the plotter valve core 2272 passes. is formed

상기 코어홀(2223)은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내측에 배치된다. The core hole 2223 is disposed inside the support body insertion part 2224.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를 기준으로 내측에 코어홀(2223)이 형성되고, 바깥쪽에 가이드삽입홈(2225)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홀(2223) 및 가이드삽입홈(2225)은 모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A core hole 2223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body insertion part 2224, and a guide insertion groove 2225 is formed on the outside. Both the core hole 2223 and the guide insertion groove 2225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는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터바디(2222)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코어홀(2223)을 형성시키고 외측에 상기 가이드삽입홈(2225)을 형성시키는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과, 상기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 및 플로터바디(2222)를 연결하고, 상측에 상기 가이드삽입홈(2225)을 형성시키는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을 포함한다. The support body insertion part 2224 is disposed inside the plotter body 2222, is spaced apart from the plotter body 2222, forms the core hole 2223 on the inside, and the guide insertion groove on the outside. The support body inner wall 2224a forming the 2225, the support body inner wall 2224a and the plotter body 2222 connected, and the support body bottom wall forming the guide insertion groove 2225 on the upper side ( 2224b).

상기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는 상하 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은 탑뷰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upport body inner wall 2224a is formed in a long cylindrical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body bottom wall 2224b is formed in a ring shape when viewed from a top view.

상기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의 안쪽단은 플로터바디(2222)와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의 바깥쪽단은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과 연결된다. The inner end of the support body bottom wall 2224b is connected to the plotter body 2222 and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body bottom wall 2224b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inner wall 2224a.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로터바디(2222) 및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를 별도로 제작한 후 플로터바디(2222) 내부에 조립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lotter body 2222 and the support body insertion part 2224 are integrally manufactured through injection molding.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body insert 2224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assembled inside the plotter body 2222.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는 상기 코어홀(222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상단은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고,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하단은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의 하단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The plotter valve core 2272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core hole 2223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plotter valve core 2272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inner wall 2224a, and the lower end of the plotter valve core 2272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ody inner wall 2224a.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하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의 하단에 지지되는 코어지지단(2273)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지지단(2273)은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 보다 낮게 위치된다.A core support end 2273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lotter valve core 2272, protru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ody bottom wall 2224b. The core support end 2273 is located lower than the support body bottom wall 2224b.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플로터바디홈(2226)이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바디홈(2226)은 코어홀(2223)과 연통되고, 코어홀(2223)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바디홈(2226)은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 보다 낮게 위치된다. A plotter body groove 2226 concavely formed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plotter body 2222 is formed. The plotter body groove 2226 communicates with the core hole 2223 and is formed below the core hole 2223 . The plotter body groove 2226 is located lower than the support body bottom wall 2224b.

상기 코어지지단(2273)은 상기 플로터바디홈(2226)에 삽입되고, 코어지지단(2273)은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저면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플로터바디홈(2226)에 은닉된다.The core support end 2273 is inserted into the plotter body groove 2226, and the core support end 2273 does not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plotter body 2222 and is hidden in the plotter body groove 2226. .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상단에 플로터밸브스토퍼(2278)이 조립된다. 상기 플로터밸브스토퍼(2278)는 플로터밸브코어(2272)에 조립된 상태에서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의 상단에 지지된다. A plotter valve stopper 2278 is assembled to the top of the plotter valve core 2272. The plotter valve stopper 2278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inner wall 2224a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to the plotter valve core 2272.

상기 플로터밸브스토퍼(2278)는 상측이 뾰족한 삼각뿔 형상이고, 뾰족한 첨단(2279)이 상기 밸브홀(2258)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첨담(2279)은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상측단 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plotter valve stopper 2278 has a triangular pyramid shape with a sharp upper side, and a pointed tip 2279 may be inserted into the valve hole 2258. The tip 2279 protrudes upward more than the upper end of the plotter body 2222.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에서 서플라이챔버(2111)로 유동되는 물은 2번의 단속과정을 거친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flowing from the water tank 2100 to the supply chamber 2111 goes through two regulating processes.

먼저,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밸브홀(2111)을 개폐하여 물의 유동을 단속한다. 다음으로, 플로터밸브(2270)가 미들홀(2258)을 개폐하여 물의 유동을 단속한다. First, the water tank valve 2150 opens and closes the valve hole 2111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Next, the floater valve 2270 opens and closes the middle hole 2258 to regulate the flow of water.

상기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이 2번의 개폐과정을 거쳐 서플라이챔버(2111)로 유동되기 때문에, 물의 과공급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추가적으로 물의 공급을 제어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물이 과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Sinc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2100 flows into the supply chamber 2111 through two opening and closing processes, an oversupply of water can be prevented. Specifically, since the supply plotter 2220 additionally controls the supply of water, excessive supply of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2300 can be prevented.

본 실시예와 달리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에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배치하고,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에 개폐밸브를 배치하여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수위센서 및 개폐밸브를 추가적으로 필요로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전기신호를 통해 제어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케이블의 결선구조를 필요로 한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 water level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is disposed inside the supply chamber 2211, and an on/off valve is disposed in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2300. Since this structure additionally requires a water level sensor and an on/off valv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nd an additional cable wiring structure is required because control is performed through an electrical signal.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되는 물의 공급량을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서플라이플로터(2220)를 통해 제어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의 수위조절 및 물 공급량을 기구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upply amount of water provided to the steam generator 2300 is controlled through the supply floater 2220 that rises or falls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2211, the water level inside the steam generator 2300 is controlled and Water supply can be realized mechanically.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로어캐비닛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물공급어셈블리 및 스팀제너레이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어셈블리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정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배수어셈블리의 우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5에 도시된 스팀제너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스팀제너레이터의 수위가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 21은 실내기가 기울어졌을 때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의 수위가 표시된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파이프의 관경, 배치 및 드레인펌프로 인가된는 전압에 따른 배수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파이프의 관경 및 배치에 따른 스팀제너레이터 내부, 급수유로 및 배수유로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의 작동주기에 따른 스케일의 발생 및 스팀히터의 온도와, 세탁기에서의 스케일의 발생 및 스팀히터온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펌프의 작동주기에 따른 히터내부온도 및 열전달률과, 세탁기에서의 히터내부온도 및 열전달률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ower cabinet shown in FIG. 3;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and steam generator shown in FIG. 13;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4; 1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drainag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ainage assembly shown in FIG. 16; 18 is a right side view of the drainage assembly shown in FIG. 16;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generator shown in FIG. 5; FIG. 2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shown in FIG. 19 . 2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water level inside the steam generator when the indoor unit is tilted. 23 is a graph showing the drainage speed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tube diameter, arrangement, and drain pump of the water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graph showing temperature changes in the inside of the steam generator,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drainage passage according to the pipe diameter and arrangement of the water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graph showing the comparison of the occurrence of scal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hea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cycle of the drain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ccurrence of scal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heater in the washing machine. 26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between the heater internal temperature and heat transfer r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cycle of the drain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eater internal temperature and heat transfer rate in the washing machine.

<<스팀제너레이터의 구성>><<Configuration of steam generator>>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시키기 때문에, 살균된 스팀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team generator 2300 receives water from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nd generates steam. Since the steam generator 2300 generates steam by heating water, it can provide sterilized steam.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스팀하우징(2310)과,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배치되고, 인가된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스팀히터(2320)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와 연통되고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워터파이프(2314)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가이드(2400)와 연결되고,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스팀가이드(2400)에 공급하는 스팀토출부(2316)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2500)과 연결되고, 상기 가습팬(2500)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의 여과공기를 공급받는 공기흡입부(2318)를 포함한다. The steam generator 2300 is disposed in a steam housing 2310, a steam heater 2320 disposed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and generating heat by applied power, and the steam housing 2310, , The water pipe 2314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steam housing 2310 and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or out, disposed in the steam housing 2310, connected to the steam guide 2400, and steam generated inside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supplying the steam guide 2400, disposed in the steam housing 2310, connected to the humidifying fan 2500, and the cabinet assembly 100 from the humidifying fan 2500 It includes an air suction unit 2318 supplied with filtered air therein.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최저수위(WL)를 감지하는 제 1 수위센서(2360)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최고수위(WH)를 감지하는 제 2 수위센서(2370)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과열을 방지하는 써미스터(2380)를 더 포함한다. The steam generator 2300 includes a first water level sensor 2360 that detects the lowest water level (WL)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and a second water level sensor 2360 that detects the highest water level (WH)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A water level sensor 2370 and a thermistor 2380 preventing overheating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are further included.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외부와 밀폐된 구조이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 스팀토출부(2316), 공기흡입부(2318)은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는 베이스(130)에 설치된다. The steam housing 2310 has a closed structure with the outside. The water pipe 2314,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and the air intake unit 2318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e steam housing 2310 is installed on the base 130.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스팀히터(2320)에 의해 가열된 물을 저장하기 때문에, 내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SPS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스팀하우징(2310)은, 어퍼스팀하우징(2340) 및 로어스팀하우징(2350)을 포함한다. Since the steam housing 2310 stores water heated by the steam heater 232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f a heat-resistant material. In this embodiment, the steam housing 2310 is made of SPS material. The steam housing 2310 includes an upper steam housing 2340 and a lower steam housing 2350.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은 하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는 상측이 개방된 형태이고, 하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has an open lower side and is concave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has an open upper side and is concave from the lower side to the lower sid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로어스팀하우징(235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토출부(2316) 및 공기흡입부(2318)은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에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in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and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and the air intake part 2318 are disposed in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 및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높낮이 차를 통해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워터파이프(2314)로 유동된다.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Through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pipe 2314 and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water in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flows into the water pipe 2314 by its own weight.

배수관경drain pipe diameter 워터파이프 위치water pipe location 드레인펌프
입력 전압
drain pump
input voltage
시간
(3400cc 배수)
hour
(3400cc multiple)
시간당 배수량displacement per hour
mmmm -- VV min:secmin:sec cc/mincc/min 88 BackBack 88 06:2506:25 529529 88 BackBack 7.57.5 06:5906:59 486486 88 CenterCenter 7.57.5 08:5008:50 384384 88 FrontFront 7.57.5 10:2710:27 325325 1010 BackBack 88 06:2606:26 528528 1010 BackBack 7.57.5 07:1107:11 473473

도 23의 경우, 워터파이프(2314)가 스팀하우징(23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위치, 드레인펌프(2710)로 입력되는 전압, 및 워터파이프(2314)의 관경을 달리할 때, 파악되는 배수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에서 워터파이프(2314)의 배치는, 스팀하우징(2310)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공기흡입부(2318)가 배치되는 후방(Back), 스팀토출부(2316)가 배치되는 전방(Front), 및 전방과 후방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Center)의 배치가 기준이 된다. 다만, 워터파이프(2314)는,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부분으로, 스팀하우징(2310)의 둘레면 하단부에 배치된다. In the case of FIG. 23 , when the position where 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eam housing 2310, the voltage input to the drain pump 2710, and the diameter of the water pipe 2314 are different, the drain speed determined is a graph showing In the above, the arrangement of the water pipe 2314 is based o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team housing 2310, the back where the air suction part 2318 is disposed, and the front where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is disposed. , and the arrangement of the center form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are standard. However, the water pipe 2314 is a portion through which water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is drained, and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am housing 2310.

상기 표 1은, 도 23의 그래프에서 파악되는 데이터를 정리한 표이다. Table 1 is a table summariz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 graph of FIG. 23 .

도 23과 상기의 표 1을 참조하면, 워터파이프(2314)는, 스팀하우징(2310)의 후방에 배치될 때,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속도가 빨라짐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스팀하우징(2310)의 후방으로 공기흡입부(2318)가 형성되어,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을 하측으로 압력을 가하는 구조임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드레인펌프(2710)가 스팀하우징(2310)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구조임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3 and Table 1 above,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behind the steam housing 2310, the speed at which water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is drained increases. This may have an effect on the fact that the air suction unit 2318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steam housing 2310 to pressurize the water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downward. In addi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drain pump 271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team housing 2310 may have an effect.

또한, 도 23과 상기의 표 1을 참조하면, 워터파이프(2314)는, 드레인펌프(2710)로 입력되는 전압이 커질수록,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이 배수되는 속도가 빨라짐을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워터파이프(2314)의 관경은, 배수속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3 and Table 1, the water pipe 2314 can determine that the draining speed of the water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increases as the voltage input to the drain pump 2710 increases. there is.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pipe diameter of the water pipe 2314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rainage spe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 제 2 수위센서(2370) 및 써미스터(2380)는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에는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가 설치되는 제 1 수위센서설치부(2342)와,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가 설치되는 제 2 수위센서설치부(2344)와, 상기 써미스터(2380)가 설치되는 써미스터설치부(2346)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2360,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and the thermistor 2380 are disposed in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To this end,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includes a first water level sensor installation part 2342 in which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2360 is installed, and a second water level sensor installation part in which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is installed ( 2344) and the thermistor installation part 2346 in which the thermistor 2380 is installed are formed.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에 형성된 공기흡입부(2318) 및 스팀토출부(2316)는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 및 공기흡입부(2318)는 높이차(SH)를 형성하고, 상기 스팀토출부(2316)가 공기흡입부(2318)보다 높이차(SH) 만큼 높게 배치된다. The air suction part 2318 and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formed in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have different heights.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and the air intake part 2318 form a height difference SH, and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is higher than the air intake part 2318 by the height difference SH.

이는 어퍼스팀하우징(2340) 내부의 스팀이 상기 스팀토출부(2316)로 용이하게 모이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가 공기흡입부(2318)보다 높게 형성되면, 밀도가 낮은 스팀이 스팀토출부(2316) 하측에 모일 수 있다. This is to facilitate the collection of steam inside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to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When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is formed higher than the air intake part 2318, steam having a low density may be collected below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저수위를 감지하기 때문에, 상기 공기흡입부(2318) 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고수위를 감지하기 때문에, 상기 스팀토출부(2316) 주변에 설치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2360 detects the low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300, it is install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air intake part 2318. Since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detects the high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300, it is installed around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 및 제 2 수위센서(2370)가 높낮이 차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 1 수위센서(2360) 및 제 2 수위센서(2370)의 전극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2360 and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form a height difference, the electrode lengths of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2360 and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can be minimized.

상기 제 1 수위센서(2360)는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의 하단은 같은 높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는 전극이다.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에 물이 닿으면 제어부가 이를 감지한다. The first water level sensor 2360 includes a 1-1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1 and a 1-2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2. The lower ends of the 1-1st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1 and the 1-2nd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2 ar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In this embodiment, the 1-1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1 and the 1-2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2 are electrodes. When water touches the 1-1st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1 and the 1-2nd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2, the control unit senses it.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의 하단은 스팀제너레이터(2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최저수위(WL)이다.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의 하단(2361a)(2362a) 보다 수위가 낮을 경우 스팀히터(2320)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 하단(2361a)(2362a)보다 수위가 낮아지면 스팀히터(2320)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ends of the 1-1st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1 and the 1-2nd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2 are the lowest water level (WL) for driving the steam generator 2300. If the water level is lower than the lower ends 2361a and 2362a of the 1-1st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1 and the 1-2nd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2, the steam heater 2320 may be damaged. Therefore, when the water level is lower than the lower ends 2361a and 2362a of the 1-1st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1 and 1-2nd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2, power supplied to the steam heater 2320 is cut off.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는 물이 닿을 때 이를 감지하는 전극이 사용된다.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의 하단(2370a)은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고수위(WH)를 감지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수위가 제 2 수위센서(2370)의 하단(2370a) 보다 높을 경우, 스팀히터(2320)의 작동에 의해 물이 끓어 넘칠 수 있다. 상기 수위가 제 2 수위센서(2370)의 하단(2370a)에 닿으면 상기 스팀히터(232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uses an electrode that senses water when it comes in contact with it. The lower end 2370a of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detects the highest water level WH of the steam generator 230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300 is higher than the lower end 2370a of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the operation of the steam heater 2320 may boil over the water. When the water level reaches the lower end 2370a of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the operation of the steam heater 2320 is stopped.

상기 최고수위(WH)는 실내기의 기울어짐을 감안한 높이다. 즉, 상기 실내기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기울어졌을 때,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수위는 어느 한쪽이 높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내기가 어느 한쪽으로 3도 기울어지고,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대 작동 시, 상기 스팀하우징(2310) 밖으로 물이 넘치지 않는 높이를 상기 최고수위(WH)로 설정한다. The highest water level (WH) is a height considering the inclination of the indoor unit. That is, when the indoor unit is tilted in one direction, the water level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may be high on one side. In this embodiment, when the indoor unit is tilted to one side by 3 degrees and the steam generator 2300 is maximally operated, the height at which water does not overflow out of the steam housing 2310 is set as the highest water level (WH).

상기 최고수위(WH)가 도달했을 때, 상기 스팀히터(23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작동시켜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을 배수할 수 있다. When the highest water level (WH) is reached, the operation of the steam heater 2320 is stopped and the drain assembly 2700 is operated to drain water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적정수위는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의 하단(2370a) 보다 낮고, 상기 제 1-1 수위감지부(2361) 및 제 1-2 수위감지부(2362) 하단(2361a)(2362a) 보다 높게 형성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를 적정수위라 정의한다. The appropriate water level of the steam generator 2300 is lower than the lower end 2370a of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and the lower end of the 1-1st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1 and the 1-2nd water level detection unit 2362 ( 2361a) should be formed higher than (2362a). In this embodiment, this is defined as an appropriate water level.

상기 써미스터(2380)의 하단(2380a)은 상기 적정수위 내에 배치된다. 상기 써미스터(2380)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내부 온도가 설정값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상기 스팀히터(232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The lower end 2380a of the thermistor 2380 is disposed within the appropriate water level. The thermistor 2380 detects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team generator 2300 rises above a set value,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steam heater 2320.

상기 공기흡입부(2318)의 면적은 넓을수록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스팀토출부(2316) 보다 넓게 형성된다. The larger the area of the air intake unit 2318, the more advantageous it is. In this embodiment, the air intake part 2318 is formed wider than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를 통해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300)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를 통해 배출된 물은 드레인어셈블리(2700)로 유동될 수 있다. The water pipe 2314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steam housing 2310. Water from the water supply assembly 2300 may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pipe 2314 . In addition,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pipe 2314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may flow to the drain assembly 2700 .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하나의 워터파이프(2314)를 물의 공급 및 배수에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스팀을 생성하는 장치의 경우, 물을 공급받는 파이프와 물을 배출하는 파이프를 함께 구비한다. The steam generator 2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water pipe 2314 is used for supplying and draining water. In general, in the case of a device generating steam, a pipe for receiving water and a pipe for discharging water are provided together.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내부 및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에서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30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의 외측단은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측면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water pipe 2314 communicates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The water pipe 2314 protrudes from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toward the water supply assembly 2300. The outer end of the water pipe 2314 protrudes more laterally than the side surface of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와 연결되고,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이다. The water pipe 2314 is connected to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and is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pipe 2314 has a hollow pipe shape.

도 24의 경우, 워터파이프(2314)의 관경과, 워터파이프(2314)의 배치를 달리하면서, 스팀히터(2320)로 스팀제너레이터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때, 제 1 연결관(2731)에 형성되는 급수유로와, 제 3 연결관(2733)에 형성되는 배수유로에 존재하는 물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에서 워터파이프(2314)의 배치는, 스팀하우징(2310)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공기흡입부(2318)가 배치되는 후방(Back), 스팀토출부(2316)가 배치되는 전방(Front)이 기준이 된다. In the case of FIG. 24,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steam generator is heated by the steam heater 2320 while changing the pipe diameter and arrangement of the water pipe 2314, it is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It is a diagram show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water present in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drainage passage formed in the third connection pipe 2733. In the above, the arrangement of the water pipe 2314 is based o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team housing 2310, the back where the air suction part 2318 is disposed, and the front where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is disposed. this will be the criterion

도 24를 참조하면, 스팀히터(2320)로 스팀제너레이터에 저장된 물이 가열될 때, 제 3 연결관(2733)에 형성되는 배수유로에 비해, 제 1 연결관(2731)에 형성되는 급수유로 상의 온도변화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연결관(2731)이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측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형성함에 따라,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에서 가열된 물이 상측으로 일부 유동할 수 있어, 급수유로 상의 온도변화가 생길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4,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steam generator is heated by the steam heater 2320, the water supply passage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is higher than the drain passage formed in the third connection pipe 2733. Temperature fluctuations can be large. As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is inclined upward and forms a flow path extending upward, water heated inside the steam generator 2300 may partially flow upward, causing a temperature change on the water supply path. can

스팀히터(2320)로 스팀제너레이터에 저장된 물이 가열될 때, 급수유로 또는 배수유로 상의 온도가 변경되는 것은, 스팀제너레이터의 가열된 물이 급수유로 또는 배수유로로 역류하는 것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워터파이프(2314)의 배치 및 관경을 조절하여,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가열된 물이 급수유로나 배수유로를 통해 역류하지 않는 워터파이프의 관경이나, 워터파이프의 배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steam generator is heated by the steam heater 2320, the temperature on the water supply passage or the drain passage is changed because the heated water of the steam generator flows backward into the water supply passage or the drain passag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arrangement and diameter of the water pipe 2314 so that the water heated in the steam generator 2300 does not flow backward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or the drainage passage, or the arrangement of the water pipe is applied. do.

워터파이프(2314)는, 관경이 작을 수록, 급수유로 및 배수유로에서 온도변화가 적게 일어남을 파악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워터파이프(2314)는, 관경이 Φ9일 때보다 관경이 Φ7일 때, 급수유로 및 배수유로에서 온도변화가 적게 일어남을 파악할 수 있다. 관경이 작을 수록, 유로저항이 크게 형성되므로,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워터파이프(2314)로 유동하는 물이 적게 형성되어, 급수유로 또는 배수유로 상의 온도변화가 적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e water pipe 2314, it can be seen that the smaller the pipe diameter, the smaller the temperature change occurs in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drainage passage. Referring to FIG. 23,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water pipe 2314 occurs less in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drainage passage when the pipe diameter is Φ7 than when the pipe diameter is Φ9. The smaller the diameter of the pipe, the greater the flow resistance, so that less water flows from the steam generator 2300 to the water pipe 2314, so that the temperature change on the water supply passage or the drainage passage can be reduced.

워터파이프(2314)는, 스팀하우징(2310)의 후방에 배치될 때, 급수유로 및 배수유로에서 온도변화가 적게 일어남을 파악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워터파이프(2314)는, 스팀하우징(2310)의 전방에 배치될 때보다 스팀하우징(2310)의 후방에 배치될 때, 급수유로 및 배수유로에서 온도변화가 적게 일어남을 파악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역류하는 물은, 상측으로 연장되는 급수유로로 유동할 수 있으며, 스팀하우징(2310)의 후방에 배치될 때, 물공급어셈블리(2200)와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연결관(2731)의 길이가 길어진다. 급수유로의 길이가 길수록, 급수유로 상의 유로저항이 크게 형성되므로,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워터파이프(2314)로 유동하는 물이 적게 형성되어, 급수유로 또는 배수유로 상의 온도변화가 적게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behind the steam housing 2310, it can be seen that a small temperature change occurs in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drainage passage. Referring to FIG. 24, when 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team housing 2310 rather than at the front of the steam housing 2310, it is understood that the temperature change occurs less in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the drainage passage. can Water flowing back from the steam generator 2300 may flow into the water supply passage extending upward, and when disposed behind the steam housing 2310, the water supply passage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increases. The length of the first connecting pipe 2731 to be formed is increased.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water supply passage, the greater the flow resistance on the water supply passage, so that less water flows from the steam generator 2300 to the water pipe 2314, resulting in less temperature change on the water supply passage or drainage passage.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워터파이프(2314)는 3방향파이프(2735)를 통해 제 1 연결관(2731) 및 제 3 연결관(2733)과 동시에 연결됨으로써, 워터파이프(2314)를 통해 역류하는 물이 공급유로가 형성된 제 1 연결관(2731)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드레인펌프(2710)와 연결되는 제 3 연결관(2733)으로 역류하는 물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즉, 3방향파이프(2735)를 통해, 제 1 연결관(2731)과 제 3 연결관(2733) 및 워터파이프(2314)가 연결되므로, 배수유로가 형성되는 제 3 연결관(2733)으로 역류를 최소화하여, 배수유로 상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워터파이프(2314)를 스팀하우징(2310)의 후방에 배치하여, 급수유로가 형성된 제 1 연결관(2731)으로 역류를 최소화하여, 급수유로 상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pipe 23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and the third connection pipe 2733 through the three-way pipe 2735, so that water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water pipe 2314 Since the water flows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in which the supply passage is formed, water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third connection pipe 2733 connected to the drain pump 2710 can be blocked. That is, since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the third connection pipe 2733, and the water pipe 2314 are connected through the three-way pipe 2735, the water flows back to the third connection pipe 2733 where a drainage channel is formed. By minimizing,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temperature change on the drainage passage. In addition, 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team housing 2310 to minimize backflow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having the water supply passage, thereby minimizing temperature change on the water supply passage.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드레인어셈블리와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드레인어셈블리(2700)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at the rear side of the steam housing 2310 based o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water pipe 2314 is preferably disposed close to the drain assembly. The water pipe 2314 is effective in suppressing a temperature rise of the drain assembly 2700.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에 상기 스팀히터(2320)가 설치된다.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배면에 상기 스팀히터(2320)가 설치되는 스팀히터 설치부(2352)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을 관통하는 개구면을 포함한다. 상기 스팀히터(2320)는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를 관통하고, 히터부가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 내부에 배치된다. The steam heater 2320 is installed in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A steam heater installation part 2352 in which the steam heater 2320 is installed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In this embodiment, the steam heater installation part 2352 includes an opening passing through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The steam heater 2320 passes through the steam heater installation part 2352, and a heater part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상기 스팀히터(2320)는 병렬로 배치된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와,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가 결합되고,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에 각각 전원을 제공하는 히터마운트(2354)와,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에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퓨즈(미도시)를 포함한다.In the steam heater 2320, a first heater unit 2321 and a second heater unit 2322 disposed in parallel, and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re coupled, and the steam A heater mount 2354 coupled to the heater installation unit 2352 and providing power to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respectively; A fuse (not shown) that blocks power provided to the heater unit 2322 is includ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는 시즈히터(sheath heater)가 사용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use a sheath heater.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히터부(2321)에만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될 수 있고, 상기 제 2 히터부(2322)에만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 모두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될 수 있다.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may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For example, power may be applied to only the first heater unit 2321 to generate heat, power may be applied to only the second heater unit 2322 to generate heat, and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may generate heat. Power may be applied to all of the units 2322 to generate heat.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는 모두 "U" 형태로 형성된다. Both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re formed in a “U” shape.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각 곡선부는 스팀토출부(2316)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단(2321a)(2322a)은 상기 최저수위(WL)와 같거나 상기 최저수위(WL)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Each curved part of the first heater part 2321 and the second heater part 2322 is disposed on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side.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The upper ends 2321a and 2322a of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may be disposed equal to or lower than the lowest water level WL.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기의 기울어짐을 고려하여,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단(2321a)(2322a)이 상기 최저수위(WL) 보다 낮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considering the inclination of the indoor unit, the upper ends 2321a and 2322a of the first and second heater units 2321 and 2322 are disposed lower than the lowest water level WL.

실내기의 베이스(130)는 지면에 수평하게 설치되어야 하지만, 설치오류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실내기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경우에도,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단(2321a)(2322a)은 수면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se 130 of the indoor unit should be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ground, but may be tilted in at least one of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due to installation errors. Even when the indoor unit is tilted to one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s 2321a and 2322a of the first heater part 2321 and the second heater part 2322 are not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이를 위해 상기 제 1 히터부(2321)의 상측면(2321a) 및 최저수위(WL) 사이에 안전수위(WS)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면(2322a) 및 최저수위(WL) 사이에 안전수위(WS)가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a safety water level WS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2321a of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lowest water level WL. A safety water level WS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2322a of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nd the lowest water level WL.

그래서 상기 최저수위(WL) 보다 안전수위(WS) 만큼 하측에 상기 제 1 히터부(2321)의 상측면(2321a) 및 제 2 히터부(2322)의 상측면(2322a)이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수위(WS)는 6mm로 형성된다. Therefore, the upper side surface 2321a of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upper side surface 2322a of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re positioned below the minimum water level WL by the safety level WS. In this embodiment, the safety level WS is formed to be 6 mm.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의 발열 용량은 상이하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의 길이가 제 2 히터부(2322)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는 상기 제 2 히터부(2322)의 내측에 배치된다. Heating capacities of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re different. The length of the first heater part 2321 is shorter than that of the second heater part 2322 . The first heater unit 2321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heater unit 2322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히터부(2321)의 용량은 440W이고, 상기 제 2 히터부(2322)의 용량은 560W이다.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가 함께 작동될 때, 1kW의 최대출력을 제공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apacity of the first heater unit 2321 is 440W, and the capacity of the second heater unit 2322 is 560W. When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re operated together, a maximum output of 1 kW is provided.

상기 제 1 히터부(2321)은 가습운전될 때 작동된다. 가습어셈블리(2000)를 스팀살균할 때, 상기 제 1 히터부(2321) 및 제 2 히터부(2322)가 동시에 작동된다. The first heater unit 2321 is operated during humidification operation. When steam sterilizing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the first heater unit 2321 and the second heater unit 2322 are operated simultaneously.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정상 작동 시,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온도는 105도 내외로 제어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가 가열되면, 저장된 물이 끓어 버블을 발생시키고,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가 이를 감지하여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과열을 차단한다.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과열 시,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는 140도 내외에서 작동될 수 있다.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steam generator 2300,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is controlled to around 105 degrees. When the steam generator 2300 is heated, the stored water boils to generate bubbles, and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detects this and blocks the steam generator 2300 from overheating. When the steam generator 2300 overheats,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may be operated within 140 degrees.

상기 제 2 수위센서(2370)에서 과열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써미스터(2380)가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과열을 감지하고, 상기 써미스터(2380)는 150 내지 180도 내외의 온도범위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써미스터(2380)는 167도 이상을 감지한다. When the second water level sensor 2370 does not detect overheating, the thermistor 2380 detects overheating of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he thermistor 2380 detects a temperature range of about 150 to 180 degrees. . In this embodiment, the thermistor 2380 senses more than 167 degrees.

상기 써미스터(2380)에 의한 전원제어 후에도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온도(본 실시예에서 섭씨 250도)가 상승되면 상기 퓨즈가 상기 스팀히터(2320)의 전원을 차단한다.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250 degrees Celsius in this embodiment) rises even after power control by the thermistor 2380, the fuse cuts off power to the steam heater 2320.

상기 히터마운트(2354)는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를 관통하여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에 결합된다. 상기 히터마운트(2354)는 상기 스팀히터 설치부(2352)를 밀폐시킨다. 상기 히터마운트(2354) 및 스팀히터 설치부(2352) 사이에 기밀을 위한 개스킷(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히터마운트(2354) 측에 배치된다. The heater mount 2354 passes through the steam heater installation part 2352 and is coupled to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The heater mount 2354 seals the steam heater installation part 2352. A gasket (not shown) for airtightnes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eater mount 2354 and the steam heater installation part 2352 . 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on the heater mount 2354 side.

한편,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의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워터파이프(2314)로 유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와 같거나 낮게 배치된다. Meanwhile, water inside the supply chamber 2211 flows into the water pipe 2314 by its own weight. To this end, 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In particular, the water pipe 2314 is disposed equal to or lower than the outer end 2214b of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특히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가장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저장된 물을 배수할 때,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로어스팀하우징(2350)의 내부 바닥면은 상기 워터파이프(2314)로 물을 유동시키는 홈 또는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water pipe 2314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most side of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This is to prevent water from accumulating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steam housing 2310 is drained.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steam housing 2350 may have grooves or slopes through which water flows into the water pipe 2314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파이프(2314)에는 별도의 밸브가 배치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a separate valve is not disposed in the water pipe 2314.

상기 워터파이프(2314) 및 챔버하우징파이프(2214)가 연통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수위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Since the water pipe 2314 and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2211 and the water level of the steam housing 2310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구체적으로,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내부에 충분한 물이 공급되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와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수위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수위 상승에 따라 상승되며,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물이 공급되는 미들홀(2258)을 폐쇄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sufficient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team housing 2310, the water level of the supply chamber 2211 and the steam housing 2310 are formed to be the same, and the supply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The plotter 2220 rises as the water level rises, and the supply plotter 2220 may close the middle hole 2258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은 상기 스팀히터(2320)의 높이 내에 배치된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고수위(WH) 보다 낮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is disposed within the height of the steam heater 2320. The outer end 2214b of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is disposed lower than the highest water level WH of the steam generator 2300.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고수위(WH)는 밸브홀(2111)보다 낮게 배치된다. 상기 미들홀(2258)은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최고수위(WH)와 같거나 높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스팀히터(2320)의 상단(2321a)(2322a)과 이격거리(H)를 형성한다. The highest water level (WH) of the steam generator 2300 is disposed lower than the valve hole 2111. The middle hole 2258 is disposed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ighest water level (WH) of the steam generator 2300. In this embodiment, the middle hole 2258 forms a separation distance H from the upper ends 2321a and 2322a of the steam heater 232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에 배치된 플로터밸브스토퍼(2278)가 플로터바디(2222)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최대 상승 높이는 상기 최고수위(WH)와 같거나 낮을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plotter valve stopper 2278 disposed on the supply plotter 2220 protrudes upward from the plotter body 2222, the maximum elevation of the plotter body 2222 is equal to the highest water level WH. or may be lower.

다만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최대 상승 시, 상기 미들홀(2258)이 폐쇄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되는 물공급이 차단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However, when the supply plotter 2220 rises to its maximum, the middle hole 2258 is closed and the water supply to the steam generator 2300 is blocked.

상기 스팀토출부(2316)는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는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스팀토출부(2316)은 상기 스팀가이드(2400)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penetrates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in a vertical direction.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for connection with the steam guide 2400.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에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어퍼스팀하우징(2340)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어퍼스팀하우징(2340)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가습팬(2500)에서 공급된 공기가 유입된다. The air intake part 2318 is disposed in the steam housing 2310, and more specifically, disposed in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The air suction unit 2318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and air supplied from the humidifying fan 2500 is introduced.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가습팬(2500)과의 연결을 위해 상기 어퍼스팀하우징(234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air intake part 2318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upper steam housing 2340 for connection with the humidifying fan 250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스팀토출부(2316)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스팀토출부(2316) 보다 가습팬(2500)에 가까게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air intake unit 2318 is disposed behind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The air suction part 2318 is disposed closer to the humidifying fan 2500 than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상기 가습팬(2500)과 연결되고, 상기 가습팬(2500)으로부터 여과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공기흡입부(2318)로 공급된 여과공기는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스팀과 함께 스팀토출부(2316)로 토출된다. The air suction unit 2318 is connected to the humidifying fan 2500 and receives filtered air from the humidifying fan 2500 . The air intake unit 2318 receives filtered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 The filtered air supplied to the air suction unit 2318 is introduced into the steam housing 2310 and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steam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through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여과공기가 아닌 일반 공기가 유입될 경우,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는 곰팡이 등이 번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When general air, not filter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steam housing 2310,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mold and the like will propagate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공급되는 공기가 여과공기로 한정되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가 작동되지 않을때 내부가 세균 또는 곰팡이 등으로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air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team housing 2310 is limited to filtered air, it is possible to minimize contamination of the inside with bacteria or mold when the steam generator 2300 is not operating.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가습팬(2500)의 공기 유동이 내부에 공급되어 스팀을 스팀하우징(2310)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스팀의 유동압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The steam generator 23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maximize the flow pressure of steam because the air flow of the humidifying fan 2500 is supplied therein to push the steam out of the steam housing 2310.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팀하우징 밖에서 가습팬이 스팀을 빨아내는 구조일 경우, 스팀하우징 내부의 스팀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a humidifying fan sucks steam outside the steam housing, steam inside the steam housing may not be smoothly discharged.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이 신속하게 측면토출구(301)(302)로 유동되지 않을 경우, 스팀의 이동 과정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다. When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2300 does not quickly flow to the side outlets 301 and 302, dew formation may occur during the movement of the steam.

본 실시예는 가습팬(2500)이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공기 흡입 측에서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스팀의 유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슬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팬(2500)의 공기가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스팀을 스팀하우징(2310) 밖으로 밀어내기 때문에, 충분한 공기의 유속을 확보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humidifying fan 2500 supplies air from the air intake side of the steam generator 2300, dew 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flow of steam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air of the humidifying fan 2500 pushes the steam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out of the steam housing 2310, a sufficient flow rate of air can be secured.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스팀의 유동과정에서 이슬맺힘이 발생되더라도, 스팀을 유동시키는 공기의 유속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응축수가 공기의 유속에 의해 자연증발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even if dew formation occurs during the flow of steam, since the flow rate of air for flowing steam is sufficiently secured, condensed water can be spontaneously evaporated by the flow rate of air.

<드레인어셈블리의 구성><Configuration of drain assembly>

상기 드레인어셈블리(2700)는, 베이스(130)에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펌프(2710)와, 상기 드레인펌프(2710)에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펌프(2710)에서 펌핑된 물을 상기 실내기 밖으로 안내하는 드레인호스(2720)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워터파이프(2314) 및 드레인펌프(2710)를 연결하여 물을 유동시키는 물연결관(2730)을 포함한다. The drain assembly 2700 is disposed on the base 130 and is connected to a drain pump 2710 for drain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nd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he drain pump 2710, A drain hose 2720 for guiding the water pumped from the drain pump 2710 out of the indoor unit, a chamber housing pipe 2214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 water pipe 2314 of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It includes a water connection pipe 2730 connecting the drain pump 2710 to flow water.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구성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장치이기 때문에, 작동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드레인펌프(2710)는 물연결관(2730)과 연결되는 드레인인릿(2714)과, 상기 드레인호스(2720)와 연결되는 드레인아웃릿(2712)을 포함한다.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drain pump 2710 is a general devic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scription of its operation will be omitted. The drain pump 2710 includes a drain inlet 2714 connected to the water connection pipe 2730 and a drain outlet 2712 connected to the drain hose 2720.

상기 드레인인릿(2714)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드레인아웃릿(2712)은 상측으로 돌출된다. The drain inlet 2714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protrudes toward the steam generator 2300 in this embodiment. The drain outlet 2712 protrudes upward.

본 실시예에서 물공급어셈블리(2200), 스팀제너레이터(2300) 및 드레인펌프(2710)에서의 물은 물의 자중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배치는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드레인펌프(2710)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및 워터파이프(2314)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he drain pump 2710 is moved by the water's own weight, the drain pump 2710 is arranged to satisfy this. Therefore, the drain pump 2710 is preferably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and the water pipe 2314.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 역시 물의 자중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water in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nd the steam generator 2300 is also moved by the water's own weight, the water pipe 2314 is preferably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이와 같은 배열에 의해 이 셋 중에서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가 가장 높게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펌프(2710)가 가장 낮게 배치되며, 상기 워터파이프(2314)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및 드레인펌프(2710) 사이의 높이에 배치된다. With this arrangement,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i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the drain pump 2710 is the lowest, and the water pipe 2314 is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and the drain pump ( 2710) is placed at a height between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스팀제너레이터(2300) 및 드레인펌프(2710)는 모두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베이스(130)에 배치된다. 상술한 높이차를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130)는 높낮이차를 형성한다.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he drain pump 2710 are all disposed on the base 130 of the cabinet assembly 100. In order to form the height difference described above, the base 130 forms a height differenc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130)는 하측으로 오목한 드레인펌프 설치부(133)가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base 130 is formed with a drain pump installation portion 133 concave downward.

상기 베이스(130)는 평평하게 형성된 베이스탑월(131)과, 상기 베이스탑월(131)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드레인펌프 설치부(133)를 포함한다.The base 130 includes a base top wall 131 formed flat and a drain pump installation portion 133 formed concave downward from the base top wall 131 .

상기 베이스탑월(131)이 상기 드레인펌프 설치부(133)보다 높게 위치된다. The base top wall 131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drain pump installation part 133 .

상기 드레인펌프(2710)는 상기 드레인펌프 설치부(133)에 설치되고, 물탱크(21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이 상기 드레인펌프(2710)에 모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 잔류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drain pump 2710 is installed on the drain pump installation part 133, and water in the water tank 2100 and the steam generator 2300 may be collected in the drain pump 2710. Through this, the amount of water remaining in the humidifying assembly 2000 can be minimized.

상기 물연결관(2730)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와 연결되는 제 1 연결관(2731)과, 상기 워터파이프(2314)와 연결되는 제 2 연결관(2732)와, 상기 드레인인릿(2714)과 연결되는 제 3 연결관(2733)과, 상기 제 1 연결관(2731), 제 2 연결관(2732) 및 제 3 연결관(2733)과 연결되는 3방향파이프(2735)를 포함한다. The water connection pipe 273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ipe 2731 connected to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a second connection pipe 2732 connected to the water pipe 2314, and the drain inlet ( 2714), and a three-way pipe 2735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the second connection pipe 2732, and the third connection pipe 2733. .

상기 3방향파이프(2735)는 T형 파이프 또는 Y형 파이프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T형 파이프가 사용된다.The three-way pipe 2735 may be a T-shaped pipe or a Y-shaped pipe, and in this embodiment, the T-shaped pipe is used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space.

상기 제 1 연결관(2731)의 일측단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과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3방향파이프(2735)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연결관(2731)에 밸브가 설치되고, 설치된 밸브가 상기 제 1 연결관(2731)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is coupled to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three-way pipe 2735.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a valve is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and the installed valve can regulate the flow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상기 제 2 연결관(2732)의 일측단은 상기 워터파이프(2314)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3방향파이프(2735)와 결합된다. 상기 제 2 연결관(2732) 내부에는 메수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쉬필터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스케일을 여과하고, 스케일이 상기 드레인펌프(27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ipe 2732 is coupled to the water pipe 2314,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three-way pipe 2735. A mesh filter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pipe 2732. The mesh filter filters scal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team generator and blocks the scale from flowing into the drain pump 2710 .

상기 제 3 연결관(2733)의 일측단은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드레인인릿(2714)와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3방향파이프(2735)와 결합된다. One end of the third connection pipe 2733 is coupled to the drain inlet 2714 of the drain pump 271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three-way pipe 2735.

상기 제 1 연결관(2731), 제 2 연결관(2732) 및 제 3 연결관(2733)의 재질에 특별한 제약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이 용이하도록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된다. Although there is no particular restriction on the material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the second connection pipe 2732, and the third connection pipe 2733, in this embodiment, they are made of synthetic resin to facilitate assembly.

여기서 상기 제 2 연결관(2732)은 고온의 물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온도 범위를 커버할 수 있는 내열재질(본 실시예에서는 EDP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상기 제 2 연결관(2732)는 상기 히터퓨즈의 작동 전까지의 온도(섭씨 250도)에 대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econd connection pipe 2732 is preferably formed of a heat-resistant material (EDPM in this embodiment) that can cover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steam generator 2300 because high-temperature water can flow therein. At least the second connection pipe 2732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undergo deformation at a temperature (250 degrees Celsius) until the heater fuse operates.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연결관(2730) 전체가 상기 히터퓨즈의 작동 전까지의 온도(섭씨 250도)에 대해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entirety of the water connection pipe 273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undergo de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250 degrees Celsius) prior to the operation of the heater fuse.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가 작동되면, 정상적인 경우에도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의 물이 100도 이상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때, 물을 공급받는 파이프와 물을 배출하는 파이프가 각각 구비되는 경우, 물을 공급받는 파이프는 물탱크와 연결되기 때문에 온도상승이 더디지만, 드레인펌프(2710)와 연결되는 파이프에는 소량의 물만이 저장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와 유사한 온도로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steam generator 2300 is operated, the water inside the steam generator 2300 may rise to 100 degrees or more even in a normal case. At this time, when a pipe for receiving water and a pipe for discharging water are provided, the temperature rise is slow because the pipe for receiving water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but only a small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pipe connected to the drain pump 2710. Since it is stor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emperature is raised to a temperature similar to that of the inside of the steam generator 2300.

상기 드레인펌프와 연결되는 파이프의 물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드레인펌프가 손상될 수 있다. When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pipe connected to the drain pump rises, the drain pump may be damaged.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3방향파이프(2735)에서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과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물을 혼합시킬 수 있고, 혼합된 물에 의해 상기 제 3 연결관(2733)의 온도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water of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may be mixed in the three-way pipe 2735, and the third connection pipe ( 2733) can suppress the temperature rise.

상기 제 2 연결관(2732) 측의 물의 온도가 섭씨 100도 이상으로 상승되더라도 상기 제 1 연결관(2731) 측의 물은 상온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3방향파이프(2735)에서 고온의 물과 상온의 물이 혼합되어 물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on th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ipe 2732 rises above 100 degrees Celsius, since the water on th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forms room temperature, high temperature water and Room temperature water is mixed to suppress the temperature rise of water.

상기 제 1 연결관(2731) 측의 물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측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기 때문에 대류를 통해 온도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 Since water on th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is supplied from the side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 temperature rise can be suppressed through convection.

예를 들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작동 후,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이 고온인 상태에서 드레인펌프(2710)가 작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 2 연결관(2732)에서 배수된 고온의 물과 상기 제 1 연결관(2731)에서 배수되는 상온의 물이 상기 3방향파이프(2735)에서 혼합되고, 혼합된 물의 온도는 적어도 70도 이하로 하강될 수 있다. For example, even when the drain pump 2710 is operated while the water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is at a high temperature after the operation of the steam generator 2300, the high temperature drained from the second connection pipe 2732 The water at room temperature drain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is mixed in the three-way pipe 2735, and the temperature of the mixed water may be lowered to at least 70 degrees.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연결관(2730)을 통해 배수 시 상기 드레인펌프(2710)으로 유동되는 물의 온도를 30도 내지 50 사이로 형성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draining water through the water connection pipe 2730,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to the drain pump 2710 may be set between 30 degrees and 50 degrees.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작동 시, 상기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저장된 물 뿐만 아니라 상기 물탱크(2100) 및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저장된 물도 모두 배수되는 특징이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drain pump 2710 operates, not only the water stored in the steam housing 2310 but also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100 and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re drained.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사용되는 물은 실내 가습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세균 번식의 위험이 있다. 그래서 소정기간(24시간)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물탱크(2100),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론 스팀하우징(2310)에 저장된 물도 모두 배수하고,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 전체를 건조시키는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Since the water used in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is used for indoor humidification, there is a risk of bacterial propagation over time. So, when it is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24 hours), the water tank 2100,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s well as all the water stored in the steam housing 2310 are drained, and the entir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is dried. can be performed.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사용되는 물은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가열되어 사용되므로, 물을 가열하는 스팀히터(2320)의 표면에 스케일이 발생할 수 있다. 스팀히터(2320)의 표면에 쌓인 스케일은 스팀히터(232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저장된 물로 열전달되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팀히터(2320)의 표면 또는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스케일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주기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소정기간(1일) 가습어셈블리(2000)가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물탱크(2100),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론 스팀하우징(2310)에 저장된 물도 모두 배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water used in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is heated and used in the steam generator 2300, scale may occur on the surface of the steam heater 2320 that heats the water. The scale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the steam heater 2320 may act as a factor preventing heat generated by the steam heater 2320 from being transferred to water stored in the steam housing 231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operate the drain assembly 2700 periodically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scale on the surface of the steam heater 2320 or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is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ne day), it is preferable to drain all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2100,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and the steam housing 2310. do.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어셈블리(2700)의 작동여부 및 작동주기에 따라 스팀히터(2320)가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히터(2320)의 온도가 달라짐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드레인어셈블리(2700)가 3일에 1회 주기로 작동한 경우, 드레인 어셈블리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스케일의 발생량이 현저히 줄어들고, 그에 따른 스팀히터(2320)가 스팀하우징(2310) 내부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스팀히터(2320)의 온도가 줄어드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5,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heater 2320 for heating the water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increases according to whether the drain assembly 2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perates and the operating cycle. difference can be discerned. That is, when the drain assembly 2700 operates once every 3 days, the amount of scale generated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drain assembly does not operate, and the steam heater 2320 accordingly prevents water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heater 2320 for heating is reduc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10년 사용했을 때, 스케일발생에 따른 스팀히터(2320)의 내부온도는, 드레인어셈블리를 작동하지 않았을 때, 207.6도로 형성되고, 3일에 1회 주기로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작동한 경우, 스팀히터(2320)의 내부온도는, 192.4도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으나, 같은 방식으로 1일에 1회 주기로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작동한 경우, 스팀히터(2320)의 내부온도는, 185.9도로 형성되어, 스팀히터(2320)의 표면 또는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스케일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드레인어셈블리(2700)의 작동주기를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used for 10 year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team heater 2320 due to scale generation is 207.6 degrees when the drain assembly is not operated, and the drain is cycled once every 3 days. When the assembly 2700 is operated,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team heater 2320 is formed at 192.4 degrees.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drain assembly 2700 is operated in the same manner once a day,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team heater 2320 is formed at 185.9 degrees, and the surface of the steam heater 2320 or It can be seen that it is desirable to set the operation cycle of the drain assembly 2700 short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scale inside the steam housing 2310.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퓨즈는, 끊어짐 온도를 216도로 설정하여, 드레인어셈블리(2700)가 주기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10년 이상의 공기조화기 사용에도 히터퓨즈가 끊어지지 않아, 스팀히터(2320)가 작동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heater fus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ets the blowdown temperature to 216 degrees, so that even when the drain assembly 2700 does not operate periodically, the heater fuse does not blow even after using the air conditioner for more than 10 years, and the steam heater 2320 ) can have durability that can be operated.

도 2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어셈블리(2700)의 작동여부 및 작동주기에 따라 스케일의 발생여부가 달라진다. 즉, 드레인어셈블리(2700)가 3일에 1회 주기로 작동한 경우, 드레인 어셈블리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스케일의 발생량이 현저히 줄어들고, 그에 따른 스팀히터(2320)의 열전달률도 증가하여, 스팀히터(2320)의 내부온도가 작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6 , whether or not scale occurs varies depending on whether the drain assembly 2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operated or not and the operation cycle. That is, when the drain assembly 2700 operates once every 3 days, the amount of scale generated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when the drain assembly does not operate, and the heat transfer rate of the steam heater 2320 increases accordingly, so that the steam heater It can be seen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2320 can be kept small.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10년 사용했을 때, 스케일발생에 따른 열전달률의 예측값은, 드레인어셈블리를 작동하지 않았을 때, 601W로 형성되고, 3일에 1회 주기로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작동한 경우, 열전달률 예측값은, 624W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으나, 같은 방식으로 1일에 1회 주기로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작동한 경우, 열전달률의 예측값은 631W로 형성되어, 스팀히터(2320)의 표면 또는 스팀하우징(2310) 내부에 스케일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드레인어셈블리(2700)의 작동주기를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used for 10 years, the predicted value of the heat transfer rate due to scale generation is 601W when the drain assembly is not operated, and the drain assembly 2700 is cycled once every 3 days. When operating, it can be seen that the predicted heat transfer rate is formed as 624W.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drain assembly 2700 is operated in the same manner once a day, the predicted value of the heat transfer rate is 631W, and the surface of the steam heater 2320 or the steam housing 2310 It can be seen that it is desirable to set the operation cycle of the drain assembly 2700 short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scale inside.

상기 드레인펌프(2710)가 작동되면, 상기 제 3 연결관(2733) 측의 물이 배수된다. 드레인인릿(2714)과 결합된 상기 제 3 연결관(2733)의 일측단이 가장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물탱크(2100) 및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물은 상기 제 1 연결관(2731) 및 3방향파이프(2735)를 거쳐 상기 제 3 연결관(2733)으로 유동된다.When the drain pump 2710 is operated, the water on the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pipe 2733 is drained. Since one end of the third connection pipe 2733 coupled to the drain inlet 2714 is disposed at the lowest level, water in the water tank 2100 and the water supply assembly 2200 is discharged by potential energy of water. It flows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ipe 2731 and the three-way pipe 2735 to the third connection pipe 2733.

마찬가지로, 물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스팀하우징(2310)의 물은 상기 제 2 연결관(2732) 및 3방향파이프(2735)를 거쳐 상기 제 3 연결관(2733)으로 유동된다. Similarly, water in the steam housing 2310 flows to the third connection pipe 2733 via the second connection pipe 2732 and the three-way pipe 2735 by the potential energy of water.

이와 같이, 상기 물연결관(2730)의 구조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습어셈블리(2000) 전체의 배수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the water connection pipe 2730 can not only suppres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steam generator 2300, but also easily implement drainage of the entir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스팀가이드의 구성>><<Configuration of Steam Guide>>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스팀을 토출유로에 공급한다. 상기 토출유로는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유로 및 근거리 팬어셈블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유로를 포함한다. The steam guide 2400 supplies steam from the steam generator 2300 to the discharge passage. The discharge flow path includes an air flow path flowed by the remote fan assembly 400 and an air flow path flowed by the local fan assembly.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밖으로 토출되기 전까지로 정의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flow passage is defined as until the air disposed in the cabinet assembly 100 and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is discharged out of the cabinet assembly 10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한다.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의 공기와 분리된 별도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관 또는 덕트의 형태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team guide 2400 guides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2300 to the side outlets 301 and 302. The steam guide 2400 provides a separate passage separated from air inside the cabinet assembly 100 . The steam guide 2400 may be in the form of a pipe or a duct.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결합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가습공기를 제공받는 메인스팀가이드(2450)와,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 중 일부를 제 1 측면토출구(301)로 안내하는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 중 나머지를 제 2 측면토출구(302)로 안내하는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조립되고,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토출시키는 제 1 디퓨저(2430)와,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조립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토출시키는 제 2 디퓨저(2440)를 포함한다. The steam guide 2400 is coupled to the steam generator 2300, coupled to the main steam guide 2450 receiving humidified air from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coupled to the main steam guide 2450, the main steam A first branch guide 2410 for guiding some of the humidified air supplied through the guide 2450 to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301 and coupled to the main steam guide 2450, the main steam guide 2450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which guides the rest of the humidified ai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 302, and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re assembled and disposed in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301 and is assembled with the first diffuser 2430 for discharging the humidified air supplied through the first branch guide 2410 to the first side outlet 301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A second diffuser 2440 disposed at the second side outlet 302 and discharging the humidified ai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to the second side outlet 302 is included.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는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가 결합되는 각각의 스팀토출부가 배치된다. Unlike this embodiment,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steam generator 2300. In this case, each steam discharge unit to which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are coupled is disposed in the steam generator 2300 .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분지가이드만 배치되고, 상기 하나의 분지가이드가 하나의 디퓨저에 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디퓨저는 제 1 측면토출구 또는 제 2 측면토출구 중 어느 하나에만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only one branch guide is disposed and the one branch guide is coupled to one diffuser. In this case, one diffuser may be disposed only in either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or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퓨저는 측면토출구에 배치되지만, 상기 정면토출구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디퓨저의 설치위치는 측면토출구로 제한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the diffuser is disposed at the side discharge port, but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discharge port. That i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diffuser is not limited to the side discharge port.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는 덕트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안내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공급된 공기(스팀 및 여과공기가 혼합된 공기)를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에 제공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main steam guide 2450 is formed in a duct shape. The main steam guide 2450 guides ai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main steam guide 2450 supplies the air supplied from the steam generator 2300 (air mixed with steam and filtered air) to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공급된 공기(스팀 및 여과공기가 혼합된 공기)는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에서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로 분기된다. Air supplied from the steam generator 2300 (air mixed with steam and filtered air) is branched from the main steam guide 2450 to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의 하단은 스팀하우징(2310)의 스팀토출부(2316)에 결합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의 상단은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main steam guide 2450 is coupled to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of the steam housing 2310. The upper end of the main steam guide 2450 is coupled to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는 하측이 개구된다.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의 상측에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가 조립되는 제 1 가이드결합부(2451)와,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가 조립되는 제 2 가이드결합부(2452)가 배치된다.The lower side of the main steam guide 2450 is open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steam guide 2450, a first guide coupling portion 2451 to which the first branch guide 2410 is assembled and a second guide coupling portion 2452 to which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is assembled is placed

상기 제 1 가이드결합부(2451) 및 제 2 가이드결합부(2452)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가이드결합부(2451) 및 제 2 가이드결합부(2452)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The first guide coupling part 2451 and the second guide coupling part 2452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guide coupling portion 2451 and the second guide coupling portion 2452 are formed in a pipe shape.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는 상기 제 1 가이드결합부(2451)의 평단면과 대응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는 상기 제 2 가이드결합부(2451)의 평단면과 대응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The first branch guide 2410 is formed in a pipe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anar cross section of the first guide coupling part 2451 .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is formed in a pipe shape corresponding to the planar section of the second guide coupling part 2451.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한쪽(좌측)에 치우쳐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는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main steam guide 2450 is disposed on one side (left side)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cabinet assembly 100,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have a length formed differently.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에 균등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의 관경을 다르게 제작하여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의 유량을 균등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air is equally supplied to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In this embodiment, the flow rates of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can be formed equally by manufacturing the tube diameters of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differently. there is.

예를 들어 길이가 짧은 스팀가이드의 관경을 작게 하고, 길이가 긴 스팀가이드의 관경을 크게하여 유량을 균등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form a uniform flow rate by reducing the tube diameter of a short steam guide and increasing the tube diameter of a long steam guide.

상기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는 좌우 방향으로 대칭된다. The first diffuser 2430 and the second diffuser 2440 are symmetric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조립되고,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를 통해 스팀과 함께 공급된 공기를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토출시킨다. The first diffuser 2430 is assembled with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disposed in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301 . The first diffuser 2430 discharges air supplied together with steam through the first branch guide 2410 to the first side outlet 301 .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스팀이 포함된 여과공기를 실어서 배출한다. 상기 제 1 디퓨저(243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과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은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되는 토출공기의 유량이 가습공기의 유량보다 크지만, 유속은 유사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어느 한쪽의 유속이 더 클 경우, 다른 한쪽의 유속에 대해 저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The first diffuser 2430 carries filtered air containing steam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301 and discharges the filtered air. Th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ffuser 2430 and th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301 are formed similarly. Although the flow rate of the discharged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301 is greater than that of the humidified air, it is preferable to form a similar flow rate. This is because when the flow rate on one side is greater, it acts as a resistance against the flow rate on the other side.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디퓨저(2430)에서 토출된 스팀을 더 멀리 확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디퓨저(2440)도 동일한 원리로 작동된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301 may diffuse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first diffuser 2430 farther. The second diffuser 2440 also operates on the same principle.

상기 제 2 디퓨저(2440)는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조립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디퓨저(2440)는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를 통해 스팀과 함께 공급된 공기를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토출시킨다. The second diffuser 2440 is assembled with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and disposed in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 302 . The second diffuser 2440 discharges air supplied together with steam through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to the second side outlet 302 .

상기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는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 1 디퓨저(243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Since the first diffuser 2430 and the second diffuser 2440 have the same structure, the first diffuser 243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제 1 디퓨저(2430)는 하측에서 스팀과 함께 공급된 공기 측면토출구로 토출시킨다. The first diffuser 2430 discharges the air supplied with steam from the lower side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

상기 디퓨저(본 실시예에서 제 1 디퓨저 및 제 2 디퓨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본 실시예에서 하측)이 개구되는 디퓨저하우징(2460)과,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을 관통하게 형성되는 디퓨저아웃릿(2431)(2441)와,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가이드(2420)(2430)과 조립되는 디퓨저인릿(2433)(2443)를 포함한다. The diffuser (first diffuser and second diffuser in this embodiment) passes through a diffuser housing 2460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one side (lower side in this embodiment) opened, and the diffuser housing 2460. Diffuser outlets 2431 and 2441 formed in such a way, and a diffuser disposed outside the diffuser housing 2460, disposed in the diffuser housing 2460, and assembled with the steam guides 2420 and 2430 Includes lit 2433 and 2443.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의 디퓨저아웃릿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디퓨져아웃릿(2431) 및 제 2 디퓨저아웃릿(2441)으로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제 1 디퓨저(2430) 및 제 2 디퓨저(2440)의 디퓨저인릿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디퓨저인릿(2433) 및 제 2 디퓨저인릿(2443)으로 정의한다.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he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diffuser outlets of the first diffuser 2430 and the second diffuser 2440, the first diffuser outlet 2431 and the second diffuser outlet 2441 are defined. . Similarly, whe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diffuser inlets of the first diffuser 2430 and the second diffuser 2440, the first diffuser inlet 2433 and the second diffuser inlet 2443 are defined.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디퓨저하우징(246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The diffuser outlet 2431 is formed in a slit shape. The diffuser outlet 2431 extends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diffuser outlets 2431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ffuser housing 2460 . The diffuser outlet 2431 is disposed to face left or right.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토출구(301)(302) 근처에 배치된다. The diffuser outlet 2431 is disposed near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of the cabinet assembly 100 .

상기 제 1 디퓨져아웃릿(2431)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디퓨저아웃릿(2441)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우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The first diffuser outlet 2431 is disposed toward the lef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 and the second diffuser outlet 2441 is disposed toward the righ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아웃릿(2431)은 측면토출구(301)(302) 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측면토출구(301)(302)에서 토출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 보다 멀리 가습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iffuser outlet 243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ide outlets 301 and 302, and the humidified air can flow farther by th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side outlets 301 and 302. .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은 내부에 디퓨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디퓨저공간은 상기 디퓨저인릿(2433) 및 디퓨저아웃릿(2431)과 연통된다.상기 디퓨저공간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평단면으로 볼 때, 상기 디퓨저공간의 내측은 넓고, 외측은 좁게 형성된다.The diffuser housing 2460 has a diffuser space formed therein. The diffuser space communicates with the diffuser inlet 2433 and the diffuser outlet 2431. The diffuser space extends vertically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viewed in plan view, the inside of the diffuser space is wide and the outside is narrow.

본 실시예에서 디퓨저인릿(2433)은 파이프형태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ffuser inlet 2433 is formed in a pipe shape.

상기 디퓨저인릿(2433)은 스팀가이드(24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디퓨저인릿(2433)이 스팀가이드(24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은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diffuser inlet 2433 is inserted into the steam guide 2420. The diffuser inlet 2433 is inserted into the steam guide 2420 to prevent condensate generated inside the diffuser housing 246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상기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에 맺힌 응축수는 상기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유동되고, 디퓨저인릿(2433)을 통해 스팀가이드(2420)로 이동된 후,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거쳐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회수될 수 있다. The condensate formed inside the diffuser housing 2460 flows downward by its own weight, moves to the steam guide 2420 through the diffuser inlet 2433, and passes through the main steam guide 2450 to the steam generator 2300. ) can be recovered.

상기 가습팬(2500)의 작동 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의 응축수는 자연증발될 수 있다. 상기 가습팬(2500)이 작동되지 않을 경우, 디퓨저하우징(2460) 내부에 맺힌 응축수는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회수될 수 있고,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When the humidifying fan 2500 is operated, the condensed water inside the diffuser housing 2460 may be spontaneously evaporated by the flowing air. When the humidifying fan 2500 does not operate, condensed water formed inside the diffuser housing 2460 may be recovered to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assembly 2700.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2000)는 가습을 제공할 때, 수분의 도달거리를 가습팬(2500)의 출력에만 의존하지 않는다. 수분을 보다 멀리 유동시키기 위해 가습팬(2500)의 출력에만 의존할 경우, 가습팬(2500)의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가습팬(2500)을 고속으로 작동시켜야만 한다. When providing humidification, the humidification assembly 20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does not depend only on the output of the humidifying fan 2500 for the reach of moisture. When relying only on the output of the humidifying fan 2500 to move the moisture farther, the capacity of the humidifying fan 2500 must be increased or the humidifying fan 2500 must be operated at high speed.

본 실시예에서는 가습어셈블리(2000)를 작동시킬 때,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공기유동에 수분을 실어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용량이 작은 가습팬(2500)을 사용하여도 실내의 먼곳까지 가습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humidifier assembly 2000 is operated, moisture can be loaded into the air flow of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so that it flows further away. In this case, even if the humidifying fan 2500 having a small output capacity is used, humidification can be provided to a far place in the room.

상기 디퓨저아웃릿(2431)가 측면토출구(301)(302)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 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가습공기를 보다 멀리 유동시킬 수 있다. If the diffuser outlet 243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ide discharge ports 301 and 302 rather than in the rear, the humidified air can flow farther.

<<가습팬의 구성>><<Configuration of Humidifying Fan>>

상기 가습팬(2500)은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여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과 함께 여과공기를 스팀가이드(2400)로 유동시킨다. The humidifying fan 2500 sucks the filter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and supplies it to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supplies the filtered air together with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or 2300 to the steam guide 2400. make it fluid

상기 가습팬(2500)은 스팀 및 여과공기(본 실시예에서 가습공기라 한다)를 디퓨저(2430)(2440)에서 토출시키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킨다. The humidifying fan 2500 generates an air flow that discharges steam and filtered air (referred to as humidified air in this embodiment) from the diffuser 2430 or 2440.

상기 가습팬(2500)은,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여과공기를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안내하는 가습팬하우징(2530)과, 하측이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연결되고, 상측이 상기 필터어셈블리(600)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제공하는 클린흡입덕트(2540)와,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의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시키는 가습임펠러(2510)와,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를 회전시키는 가습모터(2520)를 포함한다. The humidifying fan 2500 includes a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that sucks filter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and guides the sucked filtered air to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a lower side of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and the upper side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lter assembly 600 to provide filtered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to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A clean suction duct 2540, A humidifying impeller 2510 disposed inside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and flowing the filtered air of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to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disposed in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the A humidification motor 2520 for rotating the humidification impeller 2510 is included.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에 제공한다.The clean intake duct 2540 provides filter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to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어퍼캐비닛(110)에 배치되고, 가습팬(2500)은 로어캐비닛(120)에 배치되기 때문에 높이차가 있다. 즉, 필터어셈블리(600)는 가습팬(2500)의 상부에 위치된다.Since the filter assembly 600 is disposed in the upper cabinet 110 and the humidifying fan 2500 is disposed in the lower cabinet 120, there is a difference in height. That is, the filter assembly 600 is located above the humidifying fan 2500.

특히,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로 유동되고, 로어캐비닛(120)으로는 여과공기가 유동되지 않거나 유동이 어렵다. 구체적으로 로어캐비닛(120)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지 않는 이상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여과공기가 유동되거나 순환되지는 않는다. In particular, the filtered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assembly 600 flows to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and the filtered air does not flow or is difficult to flow to the lower cabinet 120. Specifically, since the lower cabinet 120 does not have a portion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he filtered air does not flow or circulate inside the lower cabinet 120 unless air is artificially supplied.

더불어 어퍼캐비닛(110)의 하측에는 열교환어셈블리를 지지하고,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팬(140)이 배치되기 때문에,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여과공기가 로어캐비닛(120)으로 유동되는데는 제약이 많다.In addition, since the drain pan 140 supporting the heat exchange assembly and collecting condensate is disposed below the upper cabinet 110, the flow of filtered air inside the upper cabinet 110 to the lower cabinet 120 is restricted. many.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의 상측단은 어퍼캐비닛(110) 내부에 위치되고, 하단은 로어캐비닛(120) 내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여과공기를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유동시키기 위한 유로를 제공한다. The upper end of the clean suction duct 2540 is located inside the upper cabinet 110, and the lower end is located inside the lower cabinet 120. That is, the clean suction duct 2540 provide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iltered air inside the upper cabinet 110 flows into the lower cabinet 120 .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는 열교환어셈블리 또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향해 개구된 제 1 클린덕트 개구면(2541)이 형성된다. The clean suction duct 2540 has a first clean duct opening surface 2541 opened toward the heat exchange assembly or the filter assembly 600 .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은 클린흡입덕트(2540)과 결합되고, 여과공기가 흡입되고, 내부에 제 1 흡입공간(2551)이 형성된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으로 부터 여과공기를 제공받고, 내부에 제 2 흡입공간(2561)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가습임펠러(2510)가 배치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의 작동에 의해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안내하는 제 2 가습팬하우징(2560)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과 연통되고, 일측(본 실시예에서 상측)을 향해 개방된 제 1 흡입개구면(2552)과,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과 연통되고, 타측(본 실시예에서 하측)을 향해 개방된 제 2 흡입개구면(2562)과,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 및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관통하고,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 및 제 2 흡입공간(2561)을 연통시키는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과,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 배치되고, 상기 가습모터(2520)가 설치되는 모터설치부(2565)를 포함한다.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is coupled to the clean suction duct 2540, the filtered air is sucked in,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having a first suction space 2551 formed therein, and the first humidifying fan It is coupled to the housing 2550 to receive filtered air from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a second suction space 2561 is formed therein,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is disposed therein, and the A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for guiding filtered air to the steam generator 2300 by the operation of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formed in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and the first suction space ( 2551) and a first suction opening surface 2552 open toward one side (upper side in this embodiment), formed in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and the second suction space 2561 and The second suction opening surface 2562 communicated with and opened toward the other side (lower sid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and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penetrated, and the first A first suction space discharge part 2553 communicating the suction space 2551 and the second suction space 2561, and a motor disposed in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and in which the humidifying motor 2520 is installed An installation part 2565 is included.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은 상측을 향해 제 1 흡입개구면(2552)이 형성된다.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은 상기 흡입개구면(2552)에 연결된다. 반면에,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은 하측을 향해 제 2 흡입개구면(2562)이 형성된다.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has a first suction opening 2552 facing upward. The clean suction duct 2540 is connected to the suction opening surface 2552.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is formed with a second suction opening 2562 toward the lower sid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흡입개구면(2552)의 개구된 방향과 상기 제 2 흡입개구면(2562)이 개구된 방향은 반대다. In this embodiment,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first suction opening surface 2552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econd suction opening surface 2562 are opposite.

상기 가습모터(2520)의 모터축(미도시)은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관통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에 조립된다. A motor shaft (not shown) of the humidifying motor 2520 passes through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and is assembled to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

상기 모터설치부(2565)는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모터설치부(2565)에 가습모터(252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The motor installation part 2565 protrudes from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to the rear side, and the humidification motor 252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to the motor installation part 2565.

제 1 흡입공간(2551)이 형성된 제 1 가습팬하우징(2550)과 제 2 흡입공간(2561)이 형성된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이 각각 제작된 후 조립될 수 있다.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having the first suction space 2551 and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having the second suction space 2561 may be fabricated and then assembled.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3파트를 조립하여 가습팬하우징(2530)을 제작한다.In this embodiment,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is manufactured by assembling three parts in order to simplify the assembly structure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

상기 가습팬하우징(2530)은,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가습팬하우징부(2531)과, 상기 제 1 흡입공간(2551)의 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의 전방을 감싸게 형성되며,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나머지 및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와, 상기 제 2 흡입공간(2561)의 후방을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모터설치부(2565)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의 나머지를 구성하는 제 3 하우징부(2533)을 포함한다.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is formed to surround the front of the first suction space 2551, and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part 2531 constituting a part of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the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rear of the first suction space 2551 and surrounds the front of the second suction space 2561, the first suction space discharge part 2553 is formed, and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 2550) and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part 2532 constituting a part of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and formed to surround the rear of the second suction space 2561, and the motor installation part ( 2565) is disposed and includes a third housing part 2533 constituting the rest of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이 제 1 가습팬하우징(2550) 및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에서 공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부품 수를 단순화하게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Since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part 2532 is commonly used in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and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number of parts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s.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에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는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는 가습임펠러(2510) 측으로 돌출되고, 원형으로 형성된다. A first suction space discharge part 2553 is formed in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part 2532. The first suction space discharge part 2553 is formed to penetrate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part 2532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first suction space discharge part 2553 protrudes toward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formed into a circle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는 상기 제 1 흡입공간 토출부(2553)를 형성하고, 상기 가습임펠러(2510) 측으로 돌출되는 오리피스부(2534)가 형성된다.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part 2532 forms the first suction space discharge part 2553 and an orifice part 2534 protruding toward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is formed.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부(2532)는 전방에 제 1 흡입공간(2551)이 배치되고, 후방에 제 2 흡입공간(2561)이 배치된다.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32 has a first suction space 2551 disposed at the front and a second suction space 2561 disposed at the rear.

상기 가습임펠러(2510)는 중앙측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이다. 상기 가습임펠러(251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통해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된다.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is a centrifugal fan that sucks in air toward the center and discharges air toward the circumferenc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flows to the steam generator 2300 through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상기 가습모터(2520)의 구동에 따른 여과공기의 유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flow of filtered ai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humidifying motor 2520 is as follows.

상기 가습모터(2520)의 구동 시, 상기 가습모터(2520)와 결합된 가습임펠러(2510)이 회전된다. 상기 가습임펠러(2510)가 회전되면, 가습팬하우징(2530) 내에서 공기유동이 발생되고, 클린흡입덕트(2540)를 통해 여과공기가 흡입된다.When the humidifying motor 2520 is driven,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coupled to the humidifying motor 2520 is rotated. When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rotates, air flow is generated in the humidifying fan housing 2530, and filtered air is sucked through the clean suction duct 2540.

상기 클린흡입덕트(2540)을 통해 흡입된 여과공기는 제 1 가습팬하우징(2550)의 제 1 흡입공간(2551) 및 제 1 흡입공간 토출부92553)을 거쳐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으로 유동된 공기는 가습임펠러(2510)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제 2 가습팬하우징(2560)을 따라 하측으로 유동된 후, 제 2 흡입개구면(2562)를 통해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로 유동된다. The filtered air sucked through the clean suction duct 2540 passes through the first suction space 2551 of the first humidifying fan housing 2550 and the first suction space discharge part 92553 to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it flows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is pressurized by the humidifying impeller 2510 and flows downward along the second humidifying fan housing 2560, then the second suction opening surface 2562 It flows into the steam generator 2300 through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공기흡입부(2318)을 통해 스팀하우징(2310) 내부로 유동된 여과공기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과 함께 스팀토출부(2316)로 토출된다.Filtered air flowing into the steam housing 2310 through the air suction part 2318 of the steam generator 2300 is discharged to the steam discharge part 2316 together with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2300.

상기 스팀토출부(2316)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메인스팀가이드(2450)에서 제 1 분지가이드(2410) 및 제 2 분지가이드(2420)으로 분기된다.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steam discharge unit 2316 is branched from the main steam guide 2450 to the first branch guide 2410 and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로 유동된 가습공기는 제 1 디퓨저(2440)를 통해 제 1 측면토출구(301)로 토출되고,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로 유동된 가습공기는 제 2 디퓨저(2450)를 통해 제 2 측면토출구(302)로 토출된다. The humidified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branch guide 2410 is discharged to the first side outlet 301 through the first diffuser 2440, and the humidified air flowing through the second branch guide 2420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ffuser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 302 through 2450.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를 통해 생성된 바람과 함께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으로 확산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서 토출된 가습공기는 근거리팬 어셈블리(300)를 통해 생성된 바람과 함께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우측으로 확산된다.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side discharge port 301 is diffused to the lef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together with the wind generated through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and the humidified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side discharge port 302 The air diffuses to the right side of the cabinet assembly 100 together with the wind generated through the short-distance fan assembly 300 .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팀제너레이터, 물탱크 및 드레인펌프의 급수 및 배수 연결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22 is a plan view showing water supply and drainage connection structures of a steam generator, a water tank, and a drain pum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를 연결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내부 및 서플라이챔버(2211)를 연통시키는 물연결관(2730')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 및 드레인펌프(2710)를 연결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내부 및 드레인인릿(2714)를 연결하는 배수연결관(2740)과,상기 배수연결관(2740)과 연결되고, 상기 배수연결관(2740)을 통과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배수밸브(2750)를 포함한다.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ater connection pipe 2730' connecting the supply chamber housing 2210 and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steam generator 2300 with the supply chamber 2211. , The drain connection pipe 2740 connecting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he drain pump 2710 and connecting the inside of the steam generator 2300 and the drain inlet 2714, and the drain connection pipe 2740 It is connected to and includes a drain valve 2750 for regulating the flow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drain connection pipe 2740.

상기 물연결관(2730')에 급수밸브(미도시)가 더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되는 물을 단속할 수도 있다.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물탱크(2100)에서 스팀제너레이터(2300)로만 물이 유동되게 하는 체크밸브일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는 제어신호를 통해 개폐되는 개폐밸브일 수 있다. A water supply valve (not shown) may be further disposed in the water connection pipe 2730', and water flowing from the water tank 2100 to the steam generator 2300 may be controlled. The water supply valve may be a check valve that allows water to flow only from the water tank 2100 to the steam generator 2300. The water supply valve may be an on/off valve that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a control signal.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는 제 1 워터파이프(2311) 및 제 2 워터파이프(2312)를 포함한다. The steam generator 2300 includes a first water pipe 2311 and a second water pipe 2312.

상기 제 1 워터파이프(2311)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측부에 배치된다.상기 제 2 워터파이프(2312)는 드레인인릿(2714)의 측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워터파이프(2311)는 상기 제 2 워터파이프(2312) 보다 전방 측에 배치된다. The first water pipe 2311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The second water pipe 2312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rain inlet 2714. The first water pipe 2311 is disposed at a front side of the second water pipe 2312.

상기 제 1 워터파이프(2311) 및 제 2 워터파이프(2312)는 같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워터파이프(2312)가 상기 제 1 워터파이프(2311) 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배수에 바람직하다. The first water pipe 2311 and the second water pipe 2312 may b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It is preferable for drainage that the second water pipe 2312 is disposed lower than the first water pipe 2311.

상기 제 1 워터파이프(2311) 및 제 2 워터파이프(2312)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 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인릿(2714) 보다 높게 배치된다. The first water pipe 2311 and the second water pipe 2312 are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2214 and higher than the drain inlet 2714 .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레인펌프(2710)의 흡입 측에 배수밸브(2750)가 더 배치된다. 상기 배수밸브(2750)는 배수연결관(2740)의 물을 단속한다.In this embodiment, a drain valve 2750 is further disposed on the suction side of the drain pump 2710. The drain valve 2750 regulates water in the drain connection pipe 2740.

상기 배수밸브(2750)가 없을 경우,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작동 시 가열된 고온의 물이 드레인펌프(2710)로 유입되고, 드레인펌프(2710)을 손상시킬 수 있다. In the absence of the drain valve 2750, high-temperature water heated during operation of the steam generator 2300 flows into the drain pump 2710 and may damage the drain pump 2710.

상기 배수밸브(2750)는 고온의 물이 드레인펌프(27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drain valve 2750 blocks high-temperature water from flowing into the drain pump 2710.

상기 배수밸브(2750)는 배수연결관(2740)에 배치되거나, 상기 드레인인릿(2714) 및 배수연결관(27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rain valve 2750 may be disposed in the drain connection pipe 2740 or disposed between the drain inlet 2714 and the drain connection pipe 274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저장된 물을 배수할 때,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온도 또는 스팀제너레이터 내부의 온도를 확인한 후, 상기 드레인펌프(27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물온도를 확인하지 않을 경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작동 후 물이 식는 시간을 고려하여 드레인펌프(2710)를 작동시켜야 한다. In this embodiment, when water stored in the steam generator 2300 is drained, the drain pump 2710 may be operated after checking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steam generator 2300 or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eam generator. If the water temperature is not checked, the drain pump 2710 should be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for the water to cool down after the operation of the steam generator 2300.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 person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0 : 캐비닛어셈블리 200 : 도어어셈블리
300 : 근거리팬 어셈블리 400 : 원거리팬 어셈블리
500 : 열교환어셈블리 600 : 필터어셈블리
700 : 무빙클리너 1100 : 패널모듈
1200 : 도어커버어셈블리 1300 : 도어슬라이드모듈
1400 : 사이드무빙어셈블리 1500 : 디스플레이모듈
1600 : 도어커버무빙모듈 1700 : 도어하우징무빙모듈
1800 : 케이블가이드 1900 : 카메라모듈
2000 : 가습어셈블리 2100 : 물탱크
2200 : 물공급어셈블리 2300 : 스팀제너레이터
2400 : 스팀가이드 2500 : 가습팬
2600 : 틸팅어셈블리 2700 : 드레인어셈블리
2800 :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
100: cabinet assembly 200: door assembly
300: short-distance fan assembly 400: long-distance fan assembly
500: heat exchange assembly 600: filter assembly
700: moving cleaner 1100: panel module
1200: door cover assembly 1300: door slide module
1400: side moving assembly 1500: display module
1600: door cover moving module 1700: door housing moving module
1800: cable guide 1900: camera module
2000: humidification assembly 2100: water tank
2200: water supply assembly 2300: steam generator
2400: steam guide 2500: humidifying fan
2600: tilting assembly 2700: drain assembly
2800: tilting drive gear assembly

Claims (9)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가습어셈블리에 있어서,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물이 내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물탱크가 거치되고, 챔버하우징파이프를 통해 상기 내부로 유동된 물을 배수하는 물공급어셈블리;
내부에 저장된 물을 기화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
드레인인릿을 통해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어셈블리; 및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 및 상기 드레인인릿을 연통시키는 물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어셈블리는 상기 드레인인릿을 포함하고, 자중에 의해 이동된 상기 물공급어셈블리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물을 배수하는 드레인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물연결관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로부터 배수된 물이 유동하는 제1 연결관;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와 연결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 유입되는 물 및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2 연결관;
상기 드레인인릿과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어셈블리로 유입되는 물이 유동하는 제3 연결관; 및
상기 제1 연결관, 상기 제2 연결관, 및 상기 제3 연결관과 연결되는 3방향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인릿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보다 낮게 배치되고,
배수 시 상기 3방향 파이프에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의 물과 상기 물공급어셈블리의 물이 혼합되는 가습어셈블리.
In the humidification assembly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er,
water tank;
a water supply assembly on which the water tank is mounted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flows into the inside, and draining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side through the chamber housing pipe;
A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humidified air by vaporizing water stored therein;
A drain assembly for drain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inlet; and
A water connection pipe communicating the chamber housing pipe, the steam generator, and the drain inlet,
The drain assembly includes the drain inlet, and includes the water supply assembly moved by its own weight and a drain pump for draining water from the steam generator,
The water connection pipe
a first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chamber housing pipe and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assembly flows;
a second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and through which water flowing into the steam generator and water drained from the steam generator flow;
a third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drain inlet and through which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assembly flows; and
It includes a three-way pip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the third connection pipe,
The drain inlet is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The humidification assembly in which the water of the steam generator and the water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are mixed in the three-way pipe during drain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의 길이는 상기 제3 연결관의 길이보다 긴 가습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A length of the first connection pipe is longer than a length of the third connection pi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방향 파이프는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3방향 파이프보다 높게 배치되되,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보다 낮게 배치되는 가습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three-way pipe is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At least some of the second connection pipes are disposed higher than the three-way pipe an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는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기화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스팀하우징; 및
상기 스팀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수공간의 물을 가여하는 스팀히터를 포함하는 가습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am generator
a steam housing for storing water and forming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stored water is vaporized; and
A humidification assembly including a steam heater disposed inside the steam housing and applying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는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기화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의 제1 영역에 공기가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부면의 상기 제1 영역과 이격된 제2 영역에 상기 가습공기가 토출되는 가습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스팀하우징; 및
상기 제2 연결관과 연결되며, 상기 가습공기토출구보다 상기 공기흡입구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워터파이프를 포함하는 가습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am generator
A water storage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and the stored water is vaporized is formed, an air inlet through which air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is formed in a first region of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reg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gion of the upper surface. a steam housing having a humidified air outlet through which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and
A humidification assembly including a water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and disposed closer to the air inlet than to the humidified air outl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는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기화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스팀하우징; 및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2 연결관과 연결되며,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드레인 인릿보다 높게 배치되는 워터파이프를 포함하는 가습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am generator
a steam housing for storing water and forming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stored water is vaporized; and
A humidification assembly comprising a water pipe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torage spac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disposed lower than the chamber housing pipe, and disposed higher than the drain inle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워터파이프는
상기 드레인인릿보다 높게 배치되는 가습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water pipe
A humidification assembly disposed higher than the drain inl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는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기화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스팀하우징; 및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2 연결관과 연결되는 워터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는 제1단이 상기 물공급어셈블리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단의 타단인 제2단이 상기 제1 연결관과 연결되며,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상기 제2단은 상기 워터파이프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상기 제1단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의 상기 제2단보다 높게 위치되는 가습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am generator
a steam housing for storing water and forming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stored water is vaporized; and
A water pipe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torage spac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A first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assembly, and a second end,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first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ipe,
The second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water pipe, and the first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second end of the chamber housing pi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는
물이 저장되고 저장된 물이 기화되는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스팀하우징; 및
상기 저수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2 연결관과 연결되는 워터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는 상기 드레인어셈블리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는 상기 물탱크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워터파이프는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 및 상기 드레인인릿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드레인인릿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가습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am generator
a steam housing for storing water and forming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stored water is vaporized; and
A water pipe communicating with the water storage spac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The water tank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rain assembly, and the steam generator is disposed at a side of the water tank.
The water pipe is disposed between the chamber housing pipe and the drain inlet based o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disposed closer to the drain inlet.
KR1020210052303A 2019-03-04 2021-04-22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KR1025125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4723A KR20230042448A (en) 2019-03-04 2023-03-16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4949 2019-03-04
KR1020190024949 2019-03-04
KR1020190029802A KR102245840B1 (en) 2019-03-04 2019-03-15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802A Division KR102245840B1 (en) 2019-03-04 2019-03-15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723A Division KR20230042448A (en) 2019-03-04 2023-03-16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464A KR20210048464A (en) 2021-05-03
KR102512534B1 true KR102512534B1 (en) 2023-03-21

Family

ID=7247144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802A KR102245840B1 (en) 2019-03-04 2019-03-15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KR1020210052303A KR102512534B1 (en) 2019-03-04 2021-04-22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KR1020230034723A KR20230042448A (en) 2019-03-04 2023-03-16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802A KR102245840B1 (en) 2019-03-04 2019-03-15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4723A KR20230042448A (en) 2019-03-04 2023-03-16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4584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357B1 (en) * 2021-11-18 2024-01-29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Having Humidifier Module
KR102629356B1 (en) * 2021-11-18 2024-01-29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Humidifier Module for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0234A (en) * 1984-04-11 1984-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ot air heater
JPH10141715A (en) * 1996-11-12 1998-05-29 Tabai Espec Corp Water saving type humidifier water supplying and draining apparatus
KR200446245Y1 (en) 2007-12-11 2009-10-09 (주)비엘씨 Steam humidifier with net-shaped metal assembling structure
KR200446240Y1 (en) 2008-02-15 2009-10-09 (주)키네스 Air Vest for Lumbar Vertical Traction in Vertebra shield
KR101339079B1 (en) 2012-03-28 2013-12-09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Humidifier of Air Conditioner
KR20140067310A (en) * 2012-11-26 2014-06-05 헵시바주식회사 Precise temperature control unit with removing condensed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448A (en) 2023-03-28
KR102245840B1 (en) 2021-04-28
KR20200106427A (en) 2020-09-14
KR20210048464A (en)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42448A (en) Humidifier included in air conditioner
CN111868452B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JP7174082B2 (en) steam generator
US11971070B2 (e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KR20230156000A (en) Air conditioner
US11674697B2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643576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11868451B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KR102638178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2639778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14754480B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equipment
US20220404042A1 (e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KR102510974B1 (en) Air conditioner
KR102506902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210079901A (en) Air Conditioner
KR20210029559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