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207A - 척추 수술용 견인기 - Google Patents
척추 수술용 견인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8207A KR20210048207A KR1020190132184A KR20190132184A KR20210048207A KR 20210048207 A KR20210048207 A KR 20210048207A KR 1020190132184 A KR1020190132184 A KR 1020190132184A KR 20190132184 A KR20190132184 A KR 20190132184A KR 20210048207 A KR20210048207 A KR 202100482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ractor
- hole
- pulling
- spinal surgery
- surger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8000020307 Spinal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2324 minimally invasive surgery Methods 0.000 abstract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386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80 postop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41 scar Toxicit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antagonistic arms as supports for retractor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5—Joint distra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58—Material properties high friction or non-sli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5—Joint distractors
- A61B2017/0256—Joint distractors for the s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질환의 최소 침습 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MIS) 시 수술공의 확보와 유지를 위한 척추 수술용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 수술공에 체결되며, 상기 수술공을 유지시키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상기 수술공 유지를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본체와 탄성수단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견인력을 전달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견인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본체에 수술공 유지를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되어 의료진의 컨트롤이 필요하지 않으며, 수술공에 설치가 편리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다른 의료기기와의 간섭이 거의 없어 사용 편의성을 제고시킨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척추 질환의 최소 침습 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MIS) 시 수술공의 확보와 유지를 위한 척추 수술용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최소 침습 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MIS)은 기존의 개복 절개 수술과는 달리, 최소한의 절개부를 통하여 환자의 신체 내에 수술 도구를 삽입하여 수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절개 부위가 작고, 출혈량이 적어 회복이 빠르며, 통증 및 수술 후 흉터가 거의 없어 최근 그 시술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수술 기법이다.
최근에는 척추 질환의 수술 시에도 최소 침습 수술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절개부를 형성하여 수술부위를 노출시키고, 수술 기구의 접근 및 작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 크기의 수술공을 확보하여야 하며,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이 수술공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수술공은 일정 크기로 확보하였다 하더라도 인체 조직의 특성상 그 크기가 시간이 지날수록 축소되는 경향이 있어 수술 중 수술공의 유지의 필요성이 있다.
또한 척추 수술 시 다양한 의료 기기들이 수술공을 통해 출입을 하게 되며, 삽입 후에도 의료 기기가 유동적으로 사용되어 수술공에 대한 일부 압력과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술공의 확보와 유지, 의료 기기들에 의한 수술공에 대한 압력과 마찰의 최소화를 위해서 절개부에 척추 수술용 견인기(Spine Retractor)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견인기의 경우 도 1과 같이 절개부에 수술도구 가이드를 삽입하고, 의료진이 수술공 확보를 위해 손잡이를 계속적으로 당겨야 한다.
한편, 최소 침습 척추 수술 시 의료진이 수술을 위한 의료기기만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체내를 확인하기 위해 내시경도 함께 사용하게 되는데, 내시경이 고정되어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삽입과정과 병변을 확인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의료진의 의도에 따라 움직여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와 같이 수술공 확보를 위한 견인기도 함께 당겨야 하기 때문에 의료진 1명 기준으로 내시경, 의료 기기 컨트롤, 견인기의 취급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종래의 견인기의 경우, 위와 같이 의료진이 상시적으로 당겨야 하는 경우나, 당기는 경우가 아닌 견인기의 경우에는 이의 고정을 위해 사이즈가 매우 크거나 구성이 복잡하여 다른 의료 기기와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 편리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체에 수술공 유지를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되어 의료진의 컨트롤이 필요하지 않으며, 수술공에 설치가 편리하고, 구성이 간단한 척추 수술용 견인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수술공에 체결되며, 상기 수술공을 유지시키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상기 수술공 유지를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본체와 탄성수단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견인력을 전달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견인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술공의 입구에 체결되는 수평견인부와, 상기 수술공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수평견인부 하측으로 결합되는 수직견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한 쌍의 대향되는 상기 수평견인부 및 한 쌍의 대향되는 상기 수직견인부에 의해 열린 형태의 유도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수평견인부는, 제1견인부 및 제2견인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견인부 및 제2견인부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이 곡면부를 이루어, 상기 견인력에 따라 상기 제1견인부 및 제2견인부의 곡면부가 수렴 또는 발산되는 상기 유도공을 형성시켜 상기 수술공의 입구를 확보,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견인부 및 제2견인부와 연결형성되어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제1견인부 및 제2견인부를 수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견인부 및 제2견인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과 이루는 각도 A가 30°≤ A ≤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견인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회전 또는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견인부는, 제3견인부 및 제4견인부가 상기 제1견인부 및 제2견인부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3견인부는, 하단부에 경사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제4견인부는, 하단부에 걸림턱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견인부 및 제4견인부의 인체와 접하는 외측면에는 마찰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회전형 스프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형성된 스프링형 경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척추 질환의 최소 침습 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MIS) 시 수술공의 확보와 유지를 위한 척추 수술용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에 수술공 유지를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되어 의료진의 컨트롤이 필요하지 않으며, 수술공에 설치가 편리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다른 의료기기와의 간섭이 거의 없어 사용 편의성을 제고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공의 내벽 및 입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수술도구에 의한 수술공의 조직 내벽 손상, 마찰 등을 최소화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린 형태의 유도공을 형성시킴으로써, 수술하기에 최적화된 수술공 확보의 유도 및 다양한 형태의 수술공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더욱 제고시킨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도구를 안정적으로 삽입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비기너 닥터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현미경술 사용 의료진의 시야 확보를 위한 가이드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 종래의 수술용 견인기에 대한 모식도.
도 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견인기에 대한 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견인기에 대한 측면도.
도 4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견인기에 대한 평면도.
도 5 -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작동 모식도를 나타낸 도.
도 6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식도를 나타낸 도.
도 7 및 도 8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식도.
도 9 -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실제 적용 모식도를 나타낸 도.
도 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견인기에 대한 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견인기에 대한 측면도.
도 4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견인기에 대한 평면도.
도 5 -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작동 모식도를 나타낸 도.
도 6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식도를 나타낸 도.
도 7 및 도 8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식도.
도 9 -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실제 적용 모식도를 나타낸 도.
본 발명은 척추 질환의 최소 침습 수술(Minimal Invasive Surgery; MIS) 시 수술공의 확보와 유지를 위한 척추 수술용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에 수술공 유지를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되어 의료진의 컨트롤이 필요하지 않으며, 수술공에 설치가 편리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다른 의료기기와의 간섭이 거의 없는 척추 수술용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견인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견인기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 수술용 견인기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작동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실제 적용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척추 수술용 견인기는 수술공(10)에 체결되며, 상기 수술공(10)을 유지시키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에 상기 수술공(10) 유지를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200), 상기 본체(100)와 탄성수단(20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에 견인력을 전달하는 지지부재(30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수술공(10)에 체결되며, 상기 수술공(10)의 확보, 유지를 위해 수술공(10) 입구에 체결되면서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술공(10)의 입구에 체결되는 수평견인부(110), 상기 수술공(10)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수평견인부(110) 하측으로 결합되는 수직견인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수술공(10)의 입구와 내부를 일정한 형태와 크기로 유지할 수 있도록 견인하여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한 쌍의 대향되는 수평견인부(110) 및 한 쌍의 대향되는 수직견인부(120)에 의해 열린 형태의 유도공(20)을 형성시켜, 수술공(10)의 크기와 형태에 크게 좌우되지 않고, 원하는 크기 및 형태로 수술공(10)을 확보하고, 그 상태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0)의 수평견인부(110)는 상기 수술공(10)의 입구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대향되는 한쌍의 견인부 즉, 제1견인부(111) 및 제2견인부(112)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열린 형태의 유도공(20)의 입구를 형성시키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견인부(111) 및 제2견인부(112)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은 곡면부(113)를 이루어 상기 견인력에 따라 상기 제1견인부(111) 및 제2견인부(112)의 곡면부(113)가 수렴 또는 발산되는 열린 형태의 유도공(20)을 형성시켜, 상기 수술공(10)의 입구를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필요한 수술공(10)의 형태로 확보,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견인력에 따라 상기 제1견인부(111) 및 제2견인부(112)가 모아지거나(수렴) 벌어지게(발산) 되어 수술 부위나 수술공(1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유도공(20)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술공(10)의 크기에 크게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수술 부위나 다양한 크기의 수술공(10)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견인기는 수술공(10) 내벽에 밀착 결합되게 되며, 수술공(10)을 안정적으로 확보,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유도공(20)은 수술공(10)의 확보, 유지 외에 수술공(10)의 내벽 및 입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수술도구에 의한 수술공(10)의 조직 내벽 손상, 마찰 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도공(20)이 수술도구를 안정적으로 삽입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비기너 닥터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현미경술 사용 의료진의 시야 확보를 위한 가이드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견인부(111) 및 제2견인부(112)의 곡면부(113)는 곡률반경 5~20mm 정도로 형성되어, 수술공(10) 또는 견인력에 따라 유도공(20)이 원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구현되도록 하여, 수술도구와의 간섭을 최소화한 수술도구 삽입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견인부(120)는 상기 수술공(10)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수평견인부(110) 하측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견인부(111) 및 제2견인부(112)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제3견인부(121) 및 제4견인부(122)로 형성된다.
상기 제3견인부(121) 및 제4견인부(122)는 수술부위 및 형태에 따라 수술공(10)의 확보를 위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수술공(10)을 (수직)길이 방향으로 확보,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제1견인부(111) 및 제2견인부(112)가 견인됨에 따라 연동되어 함께 각각 견인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3견인부(121) 및 제4견인부(122)는 상기 제1견인부(111) 및 제2견인부(112)의 곡면부(113)의 형태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므로, 상기 제1견인부(111) 및 제2견인부(112)의 곡면의 형태 그대로 연장형성되게 된다. 즉, 전체적으로 수술공(10)이 수직으로 긴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 등의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수술도구 삽입시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수술도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시야 확보가 용이한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3견인부(121) 및 제4견인부(122)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가 더 짧거나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수술 환경이나 수술 부위, 수술도구의 종류에 따라 가이드가 용이하도록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일실시예로 상기 제3견인부(121)가 상기 제4견인부(122)에 대해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3견인부(121)의 하단부에는 경사부(123)가 형성되어, 수술공(10)에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며, 제4견인부(122)의 하단부에는 걸림턱(124)이 형성되어 견인기의 고정이 용이하고 수술공(10)의 수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견인부(121) 및 제4견인부(122)의 인체와 접하는 외측면에는 마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부는 상기 제3견인부(121) 및 제4견인기(122)의 표면이 굴곡된 형태로 구현되거나, 마찰을 야기할 수 있는 돌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수술공의 내벽면에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견인기가 무단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위치에 고정되어 수술 중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4견인부(122)는 걸림턱(124)이 수술부위에 따른 주변 조직에 걸릴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24)은 견인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견인부(112)와 함께 수술공(10) 주변 조직에 고정되어, 수술 중 마찰이나 움직임에도 견인기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견인기의 고정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체(100)의 수평견인부(110) 및 수직견인부(120)는 수술공(10) 확보, 유지를 위한 견인력을 탄성수단(200)에 의해 제공받게 되며, 지지부재(300)는 상기 본체(100)와 탄성수단(2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에 상기 탄성수단(200)에 의한 견인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탄성수단(200)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0)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회전형 스프링 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0)에 연결형성된 스프링형 경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00)는 상기 본체(100) 즉, 상기 수평견인부(110)의 제1견인부(111) 및 제2견인부(112)와 연결형성되어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제1견인부(111)(제3견인부(121)) 및 제2견인부(112)(제4견인부(122))를 수렴시키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0)에 의료진이 일정한 압축력을 가함으로써(도 5(a), 도 6(a)), 상기 탄성수단(200)에 대해 지지부재(300)가 휘어지거나 구부려짐으로써 상기 제1견인부(111)(제3견인부(121)) 및 제2견인부(112)(제4견인부(122))는 수렴되어(도 5(b), 도 5(c), 도 6(b)) 수술공(10) 입구로부터 수술공(10) 내부에 삽입된 후 압축력이 해제되면, 상기 지지부재(300)는 상기 회전형 스프링 또는 스프링형 경첩에 의해 전달되는 견인력(압축력과 반대)을 통해 수술공(10) 내벽에 밀착되어 수술공(10)을 확보,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상기 지지부재(300)와 수평견인부(110)가 이루는 각도 A가 직각(90도)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지지부재(300)에 가해지는 압축력의 방향에 따라 유도공(20)의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수술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지지부재(300)와 수평견인부(110)가 90도보다 큰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지지부재(300)에 압축력을 가한 경우, 유도공(20)이 원형에 가까운 형태를 띄도록 유도하여, 수술공(10)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견인부(111) 및 제2견인부(112)는 상기 지지부재(300)의 내측과 이루는 각도 A가 30°≤ A ≤ 150°로 형성되어, 지지부재(300)의 압축력에 의해 제1견인부(111) 및 제2견인부(112)가 수렴되는 경우, 유도공(20)의 입구(수술공(10)의 입구)를 원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견인부(111) 및 제2견인부(112)는 상기 지지부재(300)에 대해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유도공(20)의 입구의 형태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수술환경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재(300)는 적절한 압축력이 적용될 수 있고, 탄성수단(200)에 의한 견인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즉, 압축력과 견인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져도 형태에 변형이 거의 없는 재질, 예컨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절한 압축력 및 견인력이 전달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즉, 수술 환경에 따른 수술공(10)의 형태에 따라 지지부재(300)와 수평견인부(110) 사이의 각도 및 제1견인부(111)와 제2견인부(11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가장 수술하기에 바람직한 수술공(10) 확보의 유도 및 다양한 형태의 수술공(10)에 안정적으로 고정,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탄성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에 수술공(10) 유지를 위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형 스프링 또는 스프링형 경첩과 같은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회전형 스프링의 경우 견인력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스프링의 크기 또는 탄성계수 등은 조절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300)의 압축력에 대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축력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견인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스프링형 경첩의 경우 3단(도 7) 또는 2단(도 8) 스프링형 경첩을 도시한 것으로, 경첩에 견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스프링이 내장된 형태로, 지지부재(300)의 압축력에 대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축력을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견인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도 7(a)는 3단 스프링형 경첩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3단 스프링형 경첩의 작동 모식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지지부재(300)에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경첩에 의해 상기 본체(100)가 수렴되게(모아지게) 되며, 압축력을 해제하면 다시 경첩에 의해 상기 본체(100)가 발산되게(벌어지게) 된다.
도 8(a)는 2단 스프링형 경첩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2단 스프링형 경첩의 작동 모식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지지부재(300)에 압축력을 가함으로써 경첩에 의해 상기 본체(100)가 수렴되게 되며, 압축력을 해제하면 다시 경첩에 의해 상기 본체(100)가 발산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기가 수술 부위에 적용된 상태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의료진은 따로 견인기를 취급할 필요없이 수술공(10)에 고정시킴으로써 수술공(10)의 확보 및 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의료진의 사용 편리성을 매우 개선시킨 것이다.
또한, 수술공(10) 확보, 유지를 위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소형으로 다른 의료 기기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을 더욱 제고시킨 것이다.
10 : 수술공
20 : 유도공
100 : 본체 110 : 수평견인부
111 : 제1견인부 112 : 제2견인부
113 : 곡면부 120 : 수직견인부
121 : 제3견인부 122 : 제4견인부
123 : 경사부 124 : 걸림턱
200 : 탄성수단 300 : 지지부재
100 : 본체 110 : 수평견인부
111 : 제1견인부 112 : 제2견인부
113 : 곡면부 120 : 수직견인부
121 : 제3견인부 122 : 제4견인부
123 : 경사부 124 : 걸림턱
200 : 탄성수단 300 : 지지부재
Claims (13)
- 수술공에 체결되며, 상기 수술공을 유지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에 상기 수술공 유지를 위한 견인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
상기 본체와 탄성수단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 견인력을 전달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견인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술공의 입구에 체결되는 수평견인부;
상기 수술공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수평견인부 하측으로 결합되는 수직견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견인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한 쌍의 대향되는 상기 수평견인부 및 한 쌍의 대향되는 상기 수직견인부에 의해 열린 형태의 유도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견인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견인부는,
제1견인부 및 제2견인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견인부 및 제2견인부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이 곡면부를 이루어, 상기 견인력에 따라 상기 제1견인부 및 제2견인부의 곡면부가 수렴 또는 발산되는 상기 유도공을 형성시켜 상기 수술공의 입구를 확보,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견인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견인부 및 제2견인부와 연결형성되어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제1견인부 및 제2견인부를 수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견인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견인부 및 제2견인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내측과 이루는 각도 A가 30°≤ A ≤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견인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견인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회전 또는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견인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견인부는,
제3견인부 및 제4견인부가 상기 제1견인부 및 제2견인부에 각각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견인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견인부는,
하단부에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견인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4견인부는,
하단부에 걸림턱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견인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견인부 및 제4견인부의 인체와 접하는 외측면에는 마찰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견인기.
-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회전형 스프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견인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형성된 스프링형 경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수술용 견인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2184A KR102339575B1 (ko) | 2019-10-23 | 2019-10-23 | 척추 수술용 견인기 |
PCT/KR2020/008304 WO2021080114A2 (ko) | 2019-10-23 | 2020-06-25 | 척추 수술용 견인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2184A KR102339575B1 (ko) | 2019-10-23 | 2019-10-23 | 척추 수술용 견인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8207A true KR20210048207A (ko) | 2021-05-03 |
KR102339575B1 KR102339575B1 (ko) | 2021-12-16 |
Family
ID=7562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2184A KR102339575B1 (ko) | 2019-10-23 | 2019-10-23 | 척추 수술용 견인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9575B1 (ko) |
WO (1) | WO2021080114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80813A (zh) * | 2021-05-14 | 2021-07-30 | 西安市红会医院 | 一种用于脊柱微创手术的撬拨整复外固定器的推挤片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1847Y1 (ko) * | 2001-05-18 | 2001-10-15 | 안영기 | 경첩 스프링 |
KR20060107507A (ko) * | 2003-08-14 | 2006-10-13 | 신세스 게엠바하 | 다중 블레이드형 리트랙터 |
US8211012B2 (en) * | 2008-09-30 | 2012-07-03 | Aesculap Implant Systems, Llc | Tissue retractor system |
KR20130006588A (ko) * | 2009-11-02 | 2013-01-17 | 모르 리서치 애플리케이션즈 리미티드 | 홍채 견인기 |
KR101760730B1 (ko) | 2015-03-10 | 2017-07-24 | 주식회사 메드릭스 | 레일 타입의 최소 침습 수술용 견인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13853B1 (en) * | 2011-08-31 | 2015-08-25 | Nuvasiv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spine surgery |
-
2019
- 2019-10-23 KR KR1020190132184A patent/KR10233957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6-25 WO PCT/KR2020/008304 patent/WO2021080114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1847Y1 (ko) * | 2001-05-18 | 2001-10-15 | 안영기 | 경첩 스프링 |
KR20060107507A (ko) * | 2003-08-14 | 2006-10-13 | 신세스 게엠바하 | 다중 블레이드형 리트랙터 |
US8211012B2 (en) * | 2008-09-30 | 2012-07-03 | Aesculap Implant Systems, Llc | Tissue retractor system |
KR20130006588A (ko) * | 2009-11-02 | 2013-01-17 | 모르 리서치 애플리케이션즈 리미티드 | 홍채 견인기 |
KR101760730B1 (ko) | 2015-03-10 | 2017-07-24 | 주식회사 메드릭스 | 레일 타입의 최소 침습 수술용 견인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80813A (zh) * | 2021-05-14 | 2021-07-30 | 西安市红会医院 | 一种用于脊柱微创手术的撬拨整复外固定器的推挤片 |
CN113180813B (zh) * | 2021-05-14 | 2022-09-13 | 西安市红会医院 | 一种用于脊柱微创手术的撬拨整复外固定器的推挤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080114A2 (ko) | 2021-04-29 |
KR102339575B1 (ko) | 2021-12-16 |
WO2021080114A3 (ko) | 2021-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054220A1 (en) | Instrument holder | |
ES2354443T3 (es) | Sistema que permite posicionar un elemento de conexión adyacentes a la columna vertebral en procedimientos poco invasivos. | |
JP4162380B2 (ja) | 骨固定装置導入器 | |
AU2005275261B2 (en) | Laparoscopic instrument and cannula assembly and related surgical method | |
US7341587B2 (en) | Methods and devices for inserting and engaging vertebral implants in minimally invasive procedures | |
JP5496677B2 (ja) | 繊細な組織に使用する手術用アクセス器具 | |
US20110201897A1 (en) | Retractor System for Anterior Cervical Spine Surgery | |
US20080234550A1 (en) | Minimally Traumatic Portal | |
KR20110138226A (ko) | 수술 도구 | |
KR20100061842A (ko) | 타원형 견인기 | |
KR20090051049A (ko) | 외과용 기구 | |
KR20080042814A (ko) | 외과용 접근 장치, 시스템 및 사용 방법 | |
JP2007529268A (ja) | 脊椎固定素子および脊椎固定方法 | |
JP2013508022A (ja) | 保護スリーブ保持装置 | |
JP2010525870A (ja) | 棘間インプラントおよびそれを埋め込む方法 | |
KR102347945B1 (ko) | 관절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한 미세 수술기구 | |
CN114931433A (zh) | 用于执行体内外科手术的外科系统 | |
KR20100040633A (ko) | 최소 침습 수술 도구와 병용될 수 있는 포트 및 포트 어셈블리와 그 사용 방법 | |
KR102339575B1 (ko) | 척추 수술용 견인기 | |
KR101111666B1 (ko) | 최소 침습적 척추수술장치 | |
JP2007530201A (ja) | 骨接合術又は骨ギャップ処置のための創外固定器 | |
EP2630906A1 (en) | Surgical support assembly | |
US20220225983A1 (en) | Suture needle adaptors for delivering suture needles through cannulas while simultaneously visualizing the delivery of the suture needles through the cannulas | |
CN114699576A (zh) | 可弯曲的吸引器和吸引头 | |
KR20220157698A (ko) | 안와 견인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