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635A -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및 유체 레벨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및 유체 레벨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635A
KR20210047635A KR1020190131487A KR20190131487A KR20210047635A KR 20210047635 A KR20210047635 A KR 20210047635A KR 1020190131487 A KR1020190131487 A KR 1020190131487A KR 20190131487 A KR20190131487 A KR 20190131487A KR 20210047635 A KR20210047635 A KR 20210047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larm
guide pipe
fluid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5841B1 (ko
Inventor
홍태용
최우진
권순오
윤성대
Original Assignee
(주)브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엠에스 filed Critical (주)브이엠에스
Priority to KR102019013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8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01F15/063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는,
유체 레벨을 감지하는 레벨감지부(100); 상기 레벨감지부(100)에서 감지한 유체 레벨에 기초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200); 상기 레벨감지부(100)와 상기 알람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 및 광수신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광수신부(400)는 광스위치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광수신부(400)에 광원이 공급되면 상기 알람부(200)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및 유체 레벨 측정방법 {Liquid Level Measuring Method and Liquid Level Measuring Apparatus With Built-in Alarm By Using LED-modul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오일이나 윤활유 등의 유체 레벨 측정장치 및 유체 레벨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트 자석에 의한 리드스위치 방식의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및 유체 레벨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기계설비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는 윤활유가 적정하게 공급되어야 하고, 윤활유 점검 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의 안전 이슈로 인해 작업자가 기계설비 근처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투명 벽을 설치하여 거리를 두게 하고 있어, 윤활유 점검 작업은 더욱 어렵게 되었다.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42116호에 탱크 내부 안내봉에 삽입되고 표시부가 결합된 부개가 유체 표면을 따라 오르내리도록 형성된 레벨게이지가 공지되어 있으나, 유체표시부가 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투명창 등을 통하여 알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근거리에서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원거리에서 오일이나 윤활유 등의 유체 레벨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KR 1019970042116 A KR 100519138 B1 KR 1020180080249 A KR 1020180062462 A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한 유체 레벨 측정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저전력 소자를 이용하여 소비전류를 최소화하여 무선으로 구현되고, 원거리에서도 유체 레벨을 확인할 수 있는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의한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는,
유체 레벨을 감지하는 레벨감지부(100); 상기 레벨감지부(100)에서 감지한 유체 레벨에 기초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200); 상기 레벨감지부(100)와 상기 알람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 및 광수신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광수신부(400)는 광스위치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광수신부(400)에 광원이 공급되면 상기 알람부(200)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벨감지부(100)는 유체가 유입되고 배출가능한 유체저장모듈(110), 상기 유체저장모듈(110) 내부에 구비되는 비자성 재료로 구성되는 가이드파이프(120), 상기 가이드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는 플로트(130)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파이프(12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드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트(130)는 내부에 영구자석을 구비하여, 상기 플로트(130)가 유체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리드스위치에 의한 출력 저항값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플로트(130)가 위치된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구간에 따라 상기 알람부(200)에 각각 다른 신호를 보내 상기 알람부(200)를 작동시키되,
상기 가이드파이프(1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LED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이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파이프(120)는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LowLow, Low, Normal 구간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Normal 구간에 있는 경우와 Normal 이외의 구간에 있는 경우 서로 다른 색상이 발현되도록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Low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LED 모듈이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1회 점멸되도록 상기 알람부(200)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LowLow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LED 모듈이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2회 점멸되도록 상기 알람부(200)에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파이프(120)는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Normal 구간 다음에 High 구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High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LED 모듈이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3회 점멸되도록 상기 알람부(200)에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모듈에서 발현되는 색상과 점멸되는 시간 간격 및 점멸 횟수는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LED 모듈을 소등하고 대기모드로 진입하되,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Normal 이외의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대기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알람부(200)를 작동시킨 후 다시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광수신부(400)에 광원이 공급되면 즉시 대기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알람부(2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체 레벨 측정방법으로서,
광수신부(400)에 광원을 제공하는 제1 단계; 제어부(300)의 대기모드가 해제되는 제2 단계; 유체저장모듈(110)에 유입된 유체에 의한 플로트(130)의 위치가 인식되는 제 3단계; 플로트(130)가 위치된 가이드파이프(120)의 소정 구간에 따라 제어부(300)가 알람부(400)에 신호를 보내는 제 4단계; 알람부(400)가 작동되는 제 5단계;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제어부(300)가 다시 대기모드로 진입되는 제 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는,
저전력 소자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구현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투명하지 않은 유체의 경우에도 유체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원거리에서도 유체 레벨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어두운 곳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유체 레벨을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대기모드를 이용하여 소비전류를 최소화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레벨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를 간략히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레벨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는 레벨감지부(100), 알람부(200), 제어부(300), 광수신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벨감지부(100)는 측정하고자 하는 유체의 레벨을 감지하는 것으로, 유체저장모듈(110), 가이드파이프(120), 플로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저장모듈(110)은 밸브 등에 결합되어 상기 유체저장모듈(110)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도록 상기 유체저장모듈(110) 하부 소정의 위치에 유체 유입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유체저장모듈(110)은 상기 유체저장모듈(11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 배출밸브(미도시)가 소정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체저장모듈(110)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체 배출구(미도시)가 소정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저장모듈(110)은 사용자가 눈으로 액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원형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파이프(120)는 비자성 재료로 구성되어 상기 유체저장모듈(1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플로트(130)가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플로트(130)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파이프(120)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드스위치가 구비되어, 레벨 구분이 가능한 적어도 둘 이상의 구간이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유체저장모듈(110)에 유입된 유체에 의해 상기 플로트(130)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플로트(130) 내부의 영구자석과 상기 가이드파이프(120) 내부의 리드스위치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출력 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상기 변화되는 출력 저항값을 통해 유체 레벨 구간이 구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벨감지부(100)는 유체 레벨을 정밀하게 감지하기 위해 수평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조절부는 원통 형상의 밸브 결합구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지지대(미도시)와 상기 수직 지지대를 고정하는 고정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평조절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유체저장모듈(110)에 유입되는 유체의 표층면이 지구 중력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조정될 수 있어, 측정 장소의 바닥면 굴곡이나 경사 등이 있는 경우라도 유체 레벨을 더욱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알람부(200)는 상기 레벨감지부(100)에서 감지한 유체 레벨에 기초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알람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LED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이 발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레벨감지부(100), 상기 알람부(200) 및 후술될 광수신센서부(400)와 연결되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미도시)과 전원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레벨감지부(100), 상기 알람부(200)를 제어하며, 상기 전원모듈에 의해 본 개시에 의한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모듈은 외부 전원선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뿐 아니라, 이와는 별도로 배터리를 구비하여 상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전원모듈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별도 충전되거나, 상기 전원모듈에 실장된 상태로 무선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300)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플로트(130)가 위치된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구간에 따라 상기 알람부(200)에 각각 다른 신호를 보내 상기 알람부(200)가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파이프(120)는 LowLow, Low, Normal, High의 네 구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파이프(120)는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LowLow, Low, Normal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Normal 구간에 있는 경우와 Normal 이외의 구간에 있는 경우 서로 다른 색상이 발현되도록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Normal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에서 녹색이 발현되도록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알람부(200)에 신호를 보내도록 하고,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Normal 이외의 구간 즉, LowLow, Low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에서 적색이 발현되도록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알람부(200)에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체 레벨이 Normal 구간에 있는 경우와 Normal 이외의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에서 발현되는 색상을 통해 즉시 구분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LowLow 구간과, Low 구간의 구분은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에 발현되는 색상을 통해 구분할 수 없으므로 이를 구분할 방법이 더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300)는 LowLow 구간과 Low 구간에서는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이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다른 횟수로 점멸하도록 상기 알람부(200)에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Low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이 4초 주기로 1회 점멸되도록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알람부(200)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LowLow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이 4초 주기로 2회 점멸되도록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알람부(200)에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가이드파이프(120)는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Normal 구간 다음에 High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High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LED 모듈이 4초 주기로 3회 점멸되도록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알람부(200)에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의 (a)는 유체 레벨이 High 구간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에는 4초 주기로 3회의 적색빛이 점멸되도록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알람부(200)에 신호를 보낼 것이다.
도 3의 (b)는 유체 레벨이 Normal 구간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에는 녹색빛이 발현되도록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알람부(200)에 신호를 보낼 것이다.
도 4의 (a)는 유체 레벨이 Low 구간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에는 4초 주기로 1회의 적색빛이 점멸되도록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알람부(200)에 신호를 보낼 것이다.
도 4의 (b)는 유체 레벨이 LowLow 구간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에는 4초 주기로 2회의 적색빛이 점멸되도록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알람부(200)에 신호를 보낼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가이드파이프(120)는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High 구간 다음에 HighHigh 구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HighHigh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LED 모듈이 4초 주기로 4회 점멸되도록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알람부(300)에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에서 발현되는 색상과 점멸되는 시간 간격 및 점멸 횟수는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다양한 조건, 상황에서도 유체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전력사용을 최소화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0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레벨감지부(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을 소등하여 전력사용을 최소화하는 대기모드로 진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Normal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에 지속적으로 녹색빛이 발현되는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레벨감지부(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을 소등한 후 대기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Normal 이외의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에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적색빛이 점멸되는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레벨감지부(1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알람부(200)의 LED 모듈을 소등한 후 대기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며, 이에 더해 추가적으로,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대기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알람부(200)를 작동시킨 후 다시 대기모드로 진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Normal 이외의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점검자에게 지속적으로 알람을 제공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레벨감지부(100)에서 감지한 데이터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제거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이즈제거 모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노이즈가 포함된 저항값을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저항값에 대해 그 직전에 샘플링된 저항값과 비교하여 그 값들간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후에 샘플링된 전압을 채택하고, 상기 값들간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그 직전에 샘플링한 저항값을 채택하여 상기 채택된 저항값을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알람부(2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범위를 A라고 하는 경우, 샘플링된 저항값의 차의 절대값이 A보다 작은 경우에는 후에 샘플링된 저항값은 노이즈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채택하고, 샘플링된 저항값의 차의 절대값이 A보다 큰 경우에는 후에 샘플링된 저항값은 노이즈가 포함된 것으로 판다하여 채택하지 않고 전에 샘플링된 저항값을 채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판단과정은 여러 횟수로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의해, 오작동을 최소화하여 더욱 정밀한 유체 레벨 측정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광수신부(400)는 상기 제어부(300)에 연결되어 스위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광스위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수신부(400)에 광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상기 알람부(200)가 즉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300)가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라도, 상기 광수신부(400)에 광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0)는 즉시 대기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레벨감지부(100)에서 감지한 유체 레벨에 따라 상기 알람부(20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력사용을 최소화 하면서도 점검이 필요한 경우에는 즉각적으로 유체 레벨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레벨 측정방법>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레벨 측정방법은,
광수신부(400)에 광원을 제공하는 제1 단계;
제어부(300)의 대기모드가 해제되는 제2 단계;
유체저장모듈(110)에 유입된 유체에 의한 플로트(130)의 위치가 인식되는 제 3단계;
플로트(130)가 위치된 가이드파이프(120)의 소정 구간에 따라 제어부(300)가 알람부(400)에 신호를 보내는 제 4단계;
알람부(400)가 작동되는 제 5단계;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제어부(300)가 다시 대기모드로 진입되는 제 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0 :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S1000 : 본 개시에 실시예에 따른 유체 레벨 측정방법
100 : 레벨감지부 110 : 유체저장모듈
120 : 가이드파이프 130 : 플로트
200 : 알람부 300 : 제어부
400 : 광수신부

Claims (11)

  1. 유체 레벨을 감지하는 레벨감지부(100);
    상기 레벨감지부(100)에서 감지한 유체 레벨에 기초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200);
    상기 레벨감지부(100)와 상기 알람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 및
    광수신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광수신부(400)는 광스위치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광수신부(400)에 광원이 공급되면 상기 알람부(200)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감지부(100)는 유체가 유입되고 배출가능한 유체저장모듈(110), 상기 유체저장모듈(110) 내부에 구비되는 비자성 재료로 구성되는 가이드파이프(120), 상기 가이드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는 플로트(130)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파이프(120)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드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플로트(130)는 내부에 영구자석을 구비하여, 상기 플로트(130)가 유체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리드스위치에 의한 출력 저항값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플로트(130)가 위치된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구간에 따라 상기 알람부(200)에 각각 다른 신호를 보내 상기 알람부(200)를 작동시키되,
    상기 가이드파이프(1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LED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이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파이프(120)는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LowLow, Low, Normal 구간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Normal 구간에 있는 경우와 Normal 이외의 구간에 있는 경우 서로 다른 색상이 발현되도록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Low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LED 모듈이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1회 점멸되도록 상기 알람부(200)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LowLow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LED 모듈이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2회 점멸되도록 상기 알람부(200)에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파이프(120)는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Normal 구간 다음에 High 구간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High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LED 모듈이 소정의 시간 간격 동안 3회 점멸되도록 상기 알람부(200)에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에서 발현되는 색상과 점멸되는 시간 간격 및 점멸 횟수는 상기 제어부(300)에 의해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LED 모듈을 소등하고 대기모드로 진입하되,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플로트(130)의 위치가 상기 가이드파이프(120)의 Normal 이외의 구간에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대기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알람부(200)를 작동시킨 후 다시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광수신부(400)에 광원이 공급되면 즉시 대기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알람부(2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11. 유체 레벨 측정방법으로서,
    광수신부(400)에 광원을 제공하는 제1 단계;
    제어부(300)의 대기모드가 해제되는 제2 단계;
    유체저장모듈(110)에 유입된 유체에 의한 플로트(130)의 위치가 인식되는 제 3단계;
    플로트(130)가 위치된 가이드파이프(120)의 소정 구간에 따라 제어부(300)가 알람부(400)에 신호를 보내는 제 4단계;
    알람부(400)가 작동되는 제 5단계;
    소정의 시간 경과 후 제어부(300)가 다시 대기모드로 진입되는 제 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레벨 측정방법.
KR1020190131487A 2019-10-22 2019-10-22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및 유체 레벨 측정방법 KR102325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487A KR102325841B1 (ko) 2019-10-22 2019-10-22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및 유체 레벨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487A KR102325841B1 (ko) 2019-10-22 2019-10-22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및 유체 레벨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635A true KR20210047635A (ko) 2021-04-30
KR102325841B1 KR102325841B1 (ko) 2021-11-12

Family

ID=7574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487A KR102325841B1 (ko) 2019-10-22 2019-10-22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및 유체 레벨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8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639B1 (ko) * 2021-11-03 2023-01-12 이중호 도로 유도 표시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116A (ko) 1995-12-29 1997-07-24 김태구 레벨 게이지가 설치된 액 저장용 탱크
KR100519138B1 (ko) 1996-05-11 2005-11-28 시트루 리미티드 자기플로트형태의액체레벨표시장치
KR101194035B1 (ko) * 2012-03-02 2012-10-30 주식회사 나노하이텍 유해가스 경보장치
JP2015017925A (ja) * 2013-07-12 2015-01-29 マツダ株式会社 燃料表示制御装置
KR20160069666A (ko) * 2014-12-09 2016-06-17 주식회사전유산업 연료 레벨을 산출하여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실시간 연료 레벨 모니터링 장치
KR20180062462A (ko) 2015-10-28 2018-06-0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액체 레벨 표시
KR20180080249A (ko) 2015-11-30 2018-07-11 본스인코오포레이티드 플로트를 통한 유체 레벨 검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2116A (ko) 1995-12-29 1997-07-24 김태구 레벨 게이지가 설치된 액 저장용 탱크
KR100519138B1 (ko) 1996-05-11 2005-11-28 시트루 리미티드 자기플로트형태의액체레벨표시장치
KR101194035B1 (ko) * 2012-03-02 2012-10-30 주식회사 나노하이텍 유해가스 경보장치
JP2015017925A (ja) * 2013-07-12 2015-01-29 マツダ株式会社 燃料表示制御装置
KR20160069666A (ko) * 2014-12-09 2016-06-17 주식회사전유산업 연료 레벨을 산출하여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실시간 연료 레벨 모니터링 장치
KR20180062462A (ko) 2015-10-28 2018-06-08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액체 레벨 표시
KR20180080249A (ko) 2015-11-30 2018-07-11 본스인코오포레이티드 플로트를 통한 유체 레벨 검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639B1 (ko) * 2021-11-03 2023-01-12 이중호 도로 유도 표시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841B1 (ko)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1661B2 (en) Flow cytometer system with sheath and waste fluid measurement
KR101897572B1 (ko) 자동추출장치 및 자동추출제어방법
CN104975471B (zh) 一种洗涤剂投放装置、洗衣机以及洗涤剂余量检测方法
TW201417893A (zh) 噴嘴流體流量指示器系統
JP2008180643A (ja) 液体検知センサ
US8292035B2 (en) Oil/air lubrication system
CN104457890A (zh) 罐装智能容积监测装置
KR102325841B1 (ko) 자체발광 알람기능이 있는 유체 레벨 측정장치 및 유체 레벨 측정방법
KR20150022143A (ko) 선박의 밀폐 공간 가스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CN106556439A (zh) 曳出流体检测诊断
CN204854869U (zh) 液位自动检测装置
KR102374977B1 (ko) 유체 레벨 측정장치
US20140026648A1 (en) Tiefenbach control systems gmbh
CN108759739B (zh) 校验装置及其校验方法
CN214260781U (zh) 一种机器视觉视镜分液装置
CN205252608U (zh) 油水分离装置
KR101472951B1 (ko) 수돗물 누수 경보장치
KR101686476B1 (ko) 가스 점검장치
CN110921427A (zh) 具有集成指示器的容器
KR20040104093A (ko)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CN203825001U (zh) 泵体润滑油监测装置
CN203856542U (zh) 集成可测量曲轴箱压力的机油尺
CN207602476U (zh) 基于动态液位的液位报警开关检测装置及其报警线的标定装置
KR101210990B1 (ko) 펌프 보호용 led 연동 만수 감지장치
JP2011153842A (ja) 冠水検出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