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274A - 블레이드 조립체 부착 디바이스 및 면도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조립체 부착 디바이스 및 면도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274A
KR20210047274A KR1020207036206A KR20207036206A KR20210047274A KR 20210047274 A KR20210047274 A KR 20210047274A KR 1020207036206 A KR1020207036206 A KR 1020207036206A KR 20207036206 A KR20207036206 A KR 20207036206A KR 20210047274 A KR20210047274 A KR 20210047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in
prongs
handle
assembly
raz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오아니스 말리아로스
바실레이오스 다보스
Original Assignee
빅-비올렉스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비올렉스 에스아 filed Critical 빅-비올렉스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21004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 B26B21/521Connection details, e.g. connection to razo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26B21/225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the changeable unit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the hand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블레이드 조립체를 면도기 핸들에 선택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탄성 핀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탄성 핀은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근위 단부에 부착된 한 쌍의 프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프롱은 그 사이에 각도(β)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프롱의 프롱 각각의 원위 단부는 볼록 헤드를 형성할 수 있다. 볼록 헤드는 탄성 핀의 원위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구형의 엔벨로프를 획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블레이드 조립체 부착 디바이스 및 면도기 조립체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8월 13일자로 출원된 국제출원 PCT/EP2019/071671호의 국내 단계 출원이며, 이 국제출원은 현재 국제공개 WO/2020/043477호로 공개되어 있고, 2018년 8월 31일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BLADE ASSEMBLY ATTACHMENT DEVICE AND RAZOR ASSEMBLY"인 유럽 특허출원 EP18192022.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원용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블레이드 조립체를 면도기 핸들에 선택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부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조립체를 면도기 핸들에 선택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탄성 핀, 및 핸들, 블레이드 조립체 및 핸들과 블레이드 조립체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탄성 핀을 포함하는 면도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교체 가능한 블레이드 조립체를 갖는 면도기 조립체의 일반적인 문제는 면도기 헤드의 움직임의 자유도의 결여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핸들의 부착 메커니즘 때문이다. 움직임의 자유도에서 이러한 제한은 면도 중에 면도 헤드가 사람의 피부 윤곽에 적응되는 것을 방지하여 베일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체가능한 블레이드 조립체를 가지면서 동시에 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블레이드 조립체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출원공개 US 2016/250764호는 하우징 내의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조립체의 연결 부분에 대해 회전 가능한 홀더에 블레이드 카트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허용하는 분리 가능한 블레이드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면도기를 개시한다.
또 다른 예는 미국 특허출원공개 US 2015/273708 A1호이며, 이는 홀더의 상단 부분에 제공된 선회 메커니즘 및 면도기 헤드에 제공된 지지 부분을 갖는 블레이드 조립체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출원 공개 US 2014/237828호 및 미국 특허 US 9, 849, 599 B2호는 블레이드 조립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의 단부에 선회 구를 갖는 면도기 조립체를 개시한다.
프랑스 특허출원공개 FR784362A호는 가드 또는 지지체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얇은 블레이드를 갖는 안전 면도기를 개시하며, 후자는 블레이드와 가드를 통과하고 핸들의 단부에 나사로 고정되는 나사산 막대를 구비한다.
독일 특허 DE344677C호는 볼 및 소켓 조인트를 구비하는 안전 면도기를 설명하며, 이 조인트에서 원형 볼은 두 개의 대향하는 탄성 컵 형상의 둔부같은 죠(jaw)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유지되며, 볼 조인트는 클램핑 죠 자체에 의해서 검출된다(detected).
미국 특허 US4926553A호는 턱수염, 콧수염, 구레나룻 등을 다듬고 성형하기 위한 오프셋 조정 가능한 면도기 헤드를 갖는 아치형 블레이드 타입 면도기를 개시한다.
블레이드 조립체는, 특히 블레이드 조립체의 하나의 블레이드 또는 블레이드들이 무뎌졌을 때, 교환될 수 있다. 면도기 조립체는 얼굴, 머리 및/또는 신체의 모발을 면도하기 위해 특별히 구성될 수 있다. 사용 중에 블레이드 조립체의 움직임 자유도를 최대화하면서 교체 가능한 블레이드 조립체를 갖도록 구성된 면도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레이드 조립체를 면도기 핸들에 선택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탄성 핀 및 핸들과 블레이드 조립체를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탄성 핀을 갖는 면도기 블레이드 조립체가 제공된다.
특히, 블레이드 조립체를 면도기 핸들에 선택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탄성 핀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 핀은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근위 단부에 부착된 한 쌍의 프롱(prong)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프롱은 그 사이에 각도(β)를 가질 수 있다. 탄성 핀의 원위 단부는 볼록 헤드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프롱의 프롱 각각의 원위 단부는 볼록 헤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볼록 헤드, 특히, 볼록 헤드 부분은 탄성 핀의 원위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구형의 엔벨로프(spherical envelope)를 획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 핀의 프롱의 구성은 면도기 핸들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볼록 헤드는 면도 블레이드 조립체가 탄성 핀에 대해 그리고 결과적으로 핸들에 대해 임의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허용한다.
양태에서, 탄성 핀은 한 쌍의 프롱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롱 상에 배치된 융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융기부는 탄성 핀을 하우징에 고정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탄성 핀의 프롱의 위치를 조작하는 것을 허용한다.
양태에서, 탄성 핀은, 탄성 핀이 휴지 자세에 있을 때, 4 ≤ β ≤ 8 도의 범위에서 한 쌍의 프롱의 프롱들 사이의 휴지 각도(β)를 가질 수 있는 휴지 자세를 채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양태에서, 탄성 핀은 프롱들 사이의 휴지 각도(β)보다 더 작은 각도를 형성하기 위해 한 쌍의 프롱이 서로 더 가깝게 이동될 수 있게끔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탄성 변형은 탄성 핀이 블레이드 조립체의 선택적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허용한다.
양태에서, 탄성 핀이 결합 자세에 있을 때, 프롱들 사이의 각도(β)는 4 ≤ β ≤ 8 도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탄성 핀이 캐비티에 적절하게 배치되면 탄성 핀은 변형되고 구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은 결합 자세이며, 이 결합 자세는 캐비티 내에 탄성 핀을 단단히 설치하는 것을 돕는다.
양태에서, 탄성 핀이 결합 자세에 있을 때 프롱들 사이의 각도(β)는 탄성 핀이 휴지 자세에 있을 때 프롱들 사이의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변형 또는 휴지 자세와 결합 자세에서 프롱들 사이의 각도(β)의 차이로 인해 프롱이 하우징 캐비티의 내부 표면에 힘을 가하고, 이는 캐비티 내에 탄성 핀을 고정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돕는다.
다른 양태에서, 면도기 조립체는 원위 단부에 연결 부분을 갖는 핸들; 전술된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탄성 핀으로서, 핸들의 연결 부분과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탄성 핀; 탄성 핀과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가질 수 있는 블레이드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면도기 조립체의 이러한 구성은 상호 연결 부재를 사용할 필요 없이 블레이드 조립체가 면도기 핸들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허용하며, 따라서 사용자가 블레이드 조립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핸들에 대한 블레이드 조립체의 회전의 자유도로 인해, 이 구성은 면도 중에 블레이드 조립체가 피부의 윤곽에 적응될 수 있기 때문에 향상된 면도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양태에서, 면도기 조립체에 있어서, 탄성 핀의 융기부는 연결 부분에 형성될 수 있는 윈도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의 윈도우는 탄성 핀의 융기부를 그 안에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탄성 핀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프롱의 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양태에서, 연결 부분은 탄성 핀의 근위 단부에서 한 쌍의 프롱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V 자형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V 자형 캐비티는 프롱들의 원위 단부 상의 헤드들이 실질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형의 엔벨로프를 형성하도록 프롱들을 가이드한다.
양태에서, 핸들의 원위 단부의 외부 표면은 구형 접촉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구형 접촉 표면은 탄성 핀 및/또는 핸들에 대한 블레이드 조립체의 회전 운동의 자유도를 촉진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양태에서, 블레이드 조립체의 수용부는 탄성 핀의 원위 부분의 볼록 헤드 부분들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구형의 엔벨로프를 획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구형 엔벨로프는 탄성 핀의 헤드들에 의해 형성된 구형 엔벨로프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블레이드 조립체가 피부의 윤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핀 및/또는 핸들에 대한 블레이드 조립체의 회전 운동의 자유를 촉진하여 사용자를 위한 향상된 면도 체험으로 귀결된다.
양태에서, 면도기 조립체는 핸들과 블레이드 조립체 사이에 배열된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스프링은 블레이드 조립체의 하우징을 핸들의 원위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은 블레이드 조립체를 핸들의 원위 단부로부터 멀어지게 가압함으로써 블레이드 조립체와 핸들을 나란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블레이드 조립체를 핸들에 대해 나란한 자세로 유지시킨다. 스프링은 또한 면도 중에 블레이드 조립체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이로써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압력을 전달한다. 이 압력은 보다 균일하고 밀착된 면도로 귀결된다.
양태에서,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스프링은 구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구형 스프링은 블레이드 조립체에 가해지는 힘을 고르게 분산시킨다.
양태에서, 스프링은 핸들에 대해 하우징을 나란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양태에서, 탄성 핀은 블레이드 조립체의 연결 부분 내에 밀착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 설치는 면도 중에 블레이드 조립체가 탄성 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허용한다.
양태에서, 탄성 핀이 결합 자세에 있을 때 한 쌍의 프롱의 프롱들 사이의 각도는 휴지 자세의 각도(β)보다 더 작을 수 있다.
프롱들이 휴지 자세에 있을 때 프롱들 사이의 각도(β)는 핸들의 캐비티의 각도(α)보다 더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핀은 캐비티 안으로 배치되면, 캐비티의 내부 표면에 힘을 가하는 변형된 상태를 유지한다.
위의 요약은 개념의 각각의 모든 구현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특히, 본 개시내용 내의 임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선택된 특징부는 반대로 명확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추가적인 실시형태에 통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일 양태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양태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양태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휴지 자세에 있을 때 일 양태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탄성 핀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폐쇄 자세에 있을 때 일 양태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탄성 핀의 측면도이다.
도 3c는 결합 자세에 있을 때 일 양태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탄성 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양태에 따른 면도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는 다양한 수정예 및 대안적인 형태들로 수정 가능하지만, 그 세부 사항들은 도면에서 예로서 도시되었고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 의도는 본 개시내용의 양태를 설명된 특정 실시형태에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반대로, 본 개시내용의 의도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형물, 균등물 및 대안물을 포괄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내용이 명백하게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 대상물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또는"은 일반적으로 내용이 명백하게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및/또는"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용어 "원위"의 사용은 사용자로부터 가장 먼 장치의 일 부분을 가리키고 "근위"는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장치의 일 부분을 가리킨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읽혀야 한다. 반드시 축척에 따를 필요는 없는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측면을 묘사하나,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 의도되지 않는다. 도시된 도해적인 양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도 1a 및 도 1b는, 블레이드 조립체(20), 스프링(30), 핸들(40) 및 탄성 핀(50)을 갖는 면도기 조립체(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블레이드 조립체(20)는, 중공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직육면체를 형성하는 하우징(22)을 가질 수 있으나, 하우징(22)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22)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24)가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블레이드(24)가 도시되지만, 블레이드 조립체(20)는 임의의 수의 블레이드(24)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또한, 도시된 블레이드(24)는 형상이 세장형이나, 블레이드(24)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블레이드 조립체(20)는 또한, 가드 바(26), 캡(28) 및 한 쌍의 리테이너(29A, 29B)를 포함할 수 있다. 리테이너의 다른 실시예는 미국 특허 US 9539734 (B1)호에서 찾을 수 있다. 리테이너(29A, 29B)는 하우징(22) 내에서 블레이드(24)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리테이너(29A, 29B)는 하우징(22)의 한 쌍의 측면 엣지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이격되어 하우징(22)의 대향 측면에 위치된다. 리테이너(29A, 29B)는 하우징(22)과 일체형이거나, 하우징(22)과 조립된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우징(22)은 수용부(22a)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22a)는 탄성 핀(5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22b)를 가질 수 있다. 수용부(22a)는 캐비티일 수 있다. 이 캐비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에 구형 엔벨로프를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획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면도기 조립체(100)는 수직 중심 축선(A-A)을 따라 연장되는 세장형 핸들(40)을 더 포함한다. 핸들(40)은 원위 단부(40a) 및 근위 단부(40b)를 갖는다. 핸들(40)은 손의 자연스러운 윤곽에 맞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핸들(40)의 원위 단부(40a)는 블레이드 조립체(20)의 탄성 핀(5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결 부분(42)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연결 부분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될 수 있다.
면도기 조립체(100)는 핸들(40)의 원위 단부(40a) 주위에 위치된 스프링(30)을 더 포함한다. 스프링(30)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스프링(30)은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형 스프링은 블레이드 조립체가 어느 방향으로 선회될 때 블레이드 조립체에 가해진 힘의 균일한 분배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구형 코일 스프링은 블레이드 조립체의 초기 휴지 자세로의 블레이드 조립체의 효율적 복귀를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원통형 형상의 스프링과 비교하여, 구형 코일 스프링이 블레이드 조립체를 부착하는 구형 코일 스프링의 단부는 구형 코일 스프링의 중앙보다 좁아서 블레이드 조립체를 휴지 자세로 보다 효율적으로 되돌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형 스프링은 예를 들어, 면도기 조립체가 모든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는 블레이드 조립체를 갖는다는 점과 같은 기능을 소비자에게 알린다. 스프링(30)은 예를 들어, 폴리머 또는 금속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0)의 원위 단부(40a)는 연결 부분(42)을 갖는다. 핸들(40)의 원위 단부(40a)의 단면인 연결 부분(42)의 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분(42)은 핸들(40) 내에 형성된 캐비티(44)를 포함한다. 캐비티(44)는 탄성 핀(5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44a)를 갖는다. 캐비티(44)는 탄성 핀(50)이 핸들(40)의 연결 부분(42)의 캐비티(44) 내에서 밀착 설치되도록 탄성 핀(50)에 상보적인 V 자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연결 부분(42)은, 탄성 핀(50)이 캐비티(44) 내부에 배치된 경우 사용자에게 탄성 핀(50)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윈도우(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46)은 벽(48)을 형성하는 핸들(40) 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벽(48)은 핸들(40)의 외부와 캐비티(44)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 벽(48)은 핸들(40)의 종축(A-A)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벽(48)은 평편할 수 있다. 벽(48)은 만곡될 수 있다. 벽(48)은 핸들(40)의 종축(A-A)에 대해 각도를 가질 수 있고, 캐비티(44)와 핸들(40)의 외부 표면 사이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캐비티(44)는 캐비티(44)의 개구(44a)의 대향 단부에 배치된 절곡된 영역(4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곡된 영역은 1 내지 2 mm 범위 내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1.5 mm의 곡률 반경이 예상될 수 있다. 또한, 절곡된 영역(44b)은 각도(α)를 형성할 수 있다. 캐비티(44)는 개구(44a)로부터 각도(α)의 절곡된 영역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44)에 의해 형성된 각도(α)는 4 ≤ α ≤ 8 도, 선택적으로 5 ≤ α ≤ 7 도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6 도의 각도(α)가 예상될 수 있다.
핸들(40)의 원위 단부(40a)의 외부 표면은 실질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형이거나 반구형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블레이드 조립체(20) 및 핸들(40)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3개의 상이한 상태 또는 자세에 있는 면도기 조립체(100)의 탄성 핀(50)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해제된 또는 휴지 자세에 있는 탄성 핀(50)을 도시한다. 탄성 핀(50)은 원위 단부(50a) 및 근위 단부(50b)를 갖는다. 근위 단부(50b)는 한 쌍의 프롱(52c, 52d)에 대한 접합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접합부는 프롱(52c, 52d)이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으나, 이 접합부는 또한 프롱(52c, 52d)이 이로부터 연장되는 절곡된 영역일 수 있다.
프롱(52c, 52d)은 이들 사이에 각도(β)를 형성할 수 있다. 탄성 핀(50)이 휴지 자세에 있을 때, 각도(β)는 4 ≤ β ≤ 8 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6 도의 각도(β)가 예상될 수 있다. 프롱(52c, 52d) 각각은 탄성 핀(50)의 원위 단부(50a) 상에 배치된 각각의 헤드(54c, 54d)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헤드(54c, 54d)는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헤드들(54c, 54d)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도 3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핀(50)은 폐쇄 자세에 있다. 이 자세에서, 프롱(52c, 52d)의 헤드(54c, 54d)는 서로 접촉된다. 이 폐쇄 자세는 탄성 핀(50)을 통한 핸들(40)에 대한 카트리지, 즉 하우징(22)의 부착/분리 작동 중에 달성된다. 이 폐쇄 자세에서, 프롱 사이의 각도(β)는 휴지 또는 결합 자세에 있을 때보다 명백히 작다.
도 3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탄성 핀(50)은 결합 자세에 있다. 예를 들어, 탄성 핀(50)은 하우징(22)의 수용부(22a)에 조립된 경우 결합 자세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롱(52c, 52d)의 헤드(54c, 54d)의 볼록한 형상으로 인해, 탄성 핀(50)이 이러한 결합 자세에 있을 때, 프롱의 헤드(54c, 54d)는 실질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형의 엔벨로프(E1)를 형성한다. 즉, 헤드(54c, 54d)는, 프롱(52c, 52d)이 탄성 핀(50)이 휴지 자세에 있을 때 각도(β)와 동일한 각도(β)를 그 사이에 형성하도록 구속될 때 구형 엔벨로프를 정의한다. 이 구성에서, 탄성 핀(50)의 수명은 핀이 결합 자세에 있을 때 더 이상 텐션을 받지 않기 때문에 연장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프롱(52c, 52d)이 구속될 때, 즉 결합 자세에 있을 때의 프롱 사이의 각도(β)는 휴지 자세에 있을 때의 각도(β)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탄성 핀(50)이 핸들(40)의 캐비티(44) 내에서 밀착 설치를 유지하는 점을 보장한다.
"엔벨로프"에 의해서 의도되는 바는 평면에 있는 곡선의 패밀리 중 각각의 곡선에 접하는 곡선, 또는 3 차원에서 표면의 패밀리 중 각각의 표면에 접하는 표면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프롱(52c, 52d)의 헤드(54c, 54d)의 형상은 탄성 핀(50)과 블레이드 조립체(20)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의 자유를 가능하게 한다. 탄성 핀(50)이 결합 자세에 있을 때, 각도(β)는 4 ≤ β ≤ 8 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6 도의 각도(β)가 예상될 수 있다.
탄성 핀(5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롱(52c, 52d) 상에 배치된 융기부(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융기부(56)는 핸들(40)의 윈도우(4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융기부(56)는 적어도 2개의 파세트(face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세트(56a)는 핸들(40)의 벽(48)과 맞닿도록 구성된다. 제2 파세트(56b)는 면도기 블레이드 사용자에 의해서 맞닿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4를 참조하면, 면도기 조립체(100)의 구성 요소를 조립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핸들(40)을 획득할 수 있다. 스프링(30)은 핸들(40)의 원위 단부(40a) 위에 위치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탄성 핀(50)의 근위 단부(50b)를 스프링(30)을 통해 핸들(40)의 개구(44a)에 삽입할 수 있다. 탄성 핀(50)은 이 프로세스에서 폐쇄 자세에 있을 수 있다. 탄성 핀(50)의 근위 단부(50b)가 핸들(40)의 캐비티(44)의 절곡된 영역(44b)에 도달되면, 탄성 핀(50)은 결합 자세로 전이될 것이다. 이것은 탄성 핀(50)의 융기부(56)가 핸들(40)의 윈도우(46) 내에 위치될 때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프롱(52c, 52d)이 휴지 자세에 있을 때 프롱(52c, 52d) 사이의 각도(β)는 프롱(52c, 52d)이 결합 자세에 있을 때 프롱(52c, 52d) 사이의 각도(β)보다 크거나 같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캐비티의 각도(α)는 프롱(52c, 52d)이 휴지 자세에 있을 때 프롱(52c, 52d) 사이의 각도(β)보다 작거나 같으므로, 탄성 핀(50)이 캐비티(44)에 배치된 경우 탄성 핀(50)은 변형되고 구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변형은 프롱(52c, 52d)이 캐비티(44) 내에서 밀착 설치를 유지하면서 캐비티(44)의 내부 표면에 대해 힘을 가하게 한다. 프롱(52c, 52d)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캐비티(44) 내에 탄성 핀(50)을 단단히 설치시키는 것을 돕고 따라서 면도기 핸들(40)의 블레이드 조립체(20)에 대한 고정되고 안전한 부착을 보장한다.
만약 사용자가 블레이드 조립체(20)를 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핸들(40)에 형성된 윈도우(46)을 통해 접근 가능한 탄성 핀(50)의 융기부(56)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이 힘은 한 쌍의 프롱(52c, 52d)을 서로 더 가깝게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결합 자세로부터 폐쇄 자세로 탄성 핀을 전이시킨다.
이 자세에 있을 때, 탄성 핀(50)의 헤드(54c, 54d)는 서로 접촉되고, 블레이드 조립체(20)의 하우징(22)에 형성된 수용부(22a)에 삽입될 수 있다. 헤드(54c, 54d)가 하우징(22)의 수용부(22a) 내에 위치되면, 사용자는 탄성 핀(50)의 융기부(56)을 놓아 탄성 핀(50)이 결합 자세로 전이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위치에 있을 때, 탄성 핀(50)의 융기부(56)는 하우징(40)의 윈도우(46)에 배치된다.
탄성 핀(50)으로부터 블레이드 조립체의 원치 않는 이탈 또는 핸들(40)로부터 탄성 핀(50)의 원치 않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융기부(56)의 제1 파세트(56a)는 윈도우(46)의 벽(48)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즉, 윈도우(46)의 벽(48)은 종축(A-A)으로의 탄성 핀(50)의 변위를 방지한다. 또한, 하우징(22)은 내포된 구형 엔벨로프(E1)로 인해 탄성 핀(50)에 고정된다. 특히, 탄성 핀(50)이 결합 자세에 있고 프롱(52c, 52d)이 각도(β)로 배치될 때, 탄성 핀(50)의 헤드(54c, 54d)는 하우징(22)의 수용부(22a) 내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블레이드 조립체(20)를 탄성 핀(50)에서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융기부(56)에 힘을 가하여 탄성 핀을 폐쇄 자세로 이동시키고 하우징(22)에서 탄성 핀(50)을 제거할 수 있다.
이제, 면도기 조립체(100)의 회전 작동이 논의될 것이다. 작동 시, 블레이드 조립체(20)는 탄성 핀(50)에 대해 임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이 허용된다. 이는 동심인 구형 엔벨로프들의 형상 때문이다. 또한, 스프링(30)은 블레이드 조립체(20)를 핸들(40)의 원위 단부(40a)로부터 멀어지게 가압한다. 이 스프링 힘은 블레이드 조립체(20)를 핸들(40)에 대해 나란한 위치에 유지한다. 이것은 또한, 하우징(22)이 초기 위치로부터 회전될 때 반작용력을 추가한다. 이 반작용력은 사용자가 면도를 수행할 때 피부에 균일한 압력을 가하는 것을 돕는다.
이 면도기 조립체(100)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에 필요한 구성 요소의 수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블레이드 조립체(20)가 인간 피부의 윤곽에 적응될 수 있도록 최대 회전을 향상시킨다. 이 구성은 면도 품질을 향상시키고, 면도 중에 사용자가 베일 위험을 감소시킨다.
설명된 실시형태들은 상이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로서 제공되었지만, 이러한 실시형태들이 결합 가능하다거나, 또는 상충되지 않는 경우 설명된 실시형태에서 언급된 특징은 상호 교환 가능하다는 점이 예상된다.
청구범위를 포함한 설명 전체에서, "하나를 포함하는"이란 용어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과 동의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여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범위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최종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된 요소에 대한 특정 값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허용된 제조 또는 산업 공차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실질적으로" 및/또는 "대략적으로" 및/또는 "일반적으로"라는 용어의 사용은 이러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속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본 개시내용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응용을 예시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명세서 및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본 개시내용의 진정한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표시된다.

Claims (15)

  1. 블레이드 조립체(20)를 면도기 핸들(40)에 선택적으로 부착하기 위한 탄성 핀(50)으로서,
    근위 단부(50b)에 부착되고, 원위 단부(50a)까지 연장되고 그 사이에 각도(β)를 갖는 한 쌍의 프롱(prong)(52c, 52d)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프롱의 프롱 각각의 원위 단부는 볼록 헤드(54c, 54d)를 형성하고, 상기 볼록 헤드들(54c, 54d)은 상기 탄성 핀(50)의 상기 원위 단부(50a)에서 실질적으로 구형의 엔벨로프(spherical envelope)를 획정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핀(5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롱(52c, 52d)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롱 상에 배치된 융기부(56)를 더 포함하는, 탄성 핀(5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핀(50)은 4 ≤ β ≤ 8 도의 범위에서 상기 한 쌍의 프롱(52c, 52d)의 상기 프롱들 사이의 휴지 각도(β)를 갖는 휴지 자세를 채택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핀(5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핀(50)은 상기 한 쌍의 프롱(52c, 52d) 사이의 상기 휴지 각도(β)보다 더 작은 각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프롱이 서로 더 가깝게 이동될 수 있게끔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되는, 탄성 핀(50).
  5. 면도기 조립체(100)로서,
    말단부에 연결 부분(42)을 갖는 핸들(40);
    상기 핸들(40)의 상기 연결 부분(42)과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탄성 핀(50); 및
    상기 탄성 핀(50)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수용부(22a)를 구비하는 하우징(22)을 갖는 블레이드 조립체(20)를 포함하는, 면도기 조립체(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면도기 조립체는 제2항의 탄성 핀(50)과 조합되고, 상기 융기부(56)는 상기 연결 부분(42)에 형성된 윈도우(4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면도기 조립체(100).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분(42)은 상기 탄성 핀(50)의 상기 근위 단부(50b)에서 상기 한 쌍의 프롱(52c, 52d)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V 자형 캐비티(44)를 포함하는, 면도기 조립체(100).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40)의 상기 원위 단부(40b)의 외부 표면은 구형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면도기 조립체(100).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조립체(20)의 상기 수용부(22a)는 상기 탄성 핀(50)의 상기 원위 부분(50a)의 상기 볼록 헤드들(54c, 54d)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구형의 엔벨로프를 획정하도록 구성되는, 면도기 조립체(100).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40)과 상기 블레이드 조립체(20) 사이에 배열된 스프링(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블레이드 조립체(20)의 상기 하우징(22)을 상기 핸들(40)의 상기 원위 단부(40a)로부터 멀어지게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면도기 조립체(1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0)은 코일 스프링, 더 구체적으로 구형 코일 스프링인, 면도기 조립체(100).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핸들(40)에 대해 상기 하우징(22)을 나란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면도기 조립체(100).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핀(50)은 상기 핸들(40)의 상기 연결 부분(42) 내에 밀착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면도기 조립체(100).
  14. 제5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핀(50)이 결합 자세에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프롱(52c, 52d)의 상기 프롱들 사이의 각도(β)는 상기 휴지 자세의 상기 각도(β)와 동일한, 면도기 조립체(100).
  15. 제5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핀(50)이 결합 자세에 있을 때 상기 한 쌍의 프롱(52c, 52d)의 상기 프롱들 사이의 각도(β)는 상기 휴지 자세의 상기 각도(β)보다 더 작은, 면도기 조립체(100).
KR1020207036206A 2018-08-31 2019-08-13 블레이드 조립체 부착 디바이스 및 면도기 조립체 KR202100472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92022.4 2018-08-31
EP18192022.4A EP3616861B1 (en) 2018-08-31 2018-08-31 Razor assembly
PCT/EP2019/071671 WO2020043477A1 (en) 2018-08-31 2019-08-13 Blade assembly attachment device and razo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274A true KR20210047274A (ko) 2021-04-29

Family

ID=6345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206A KR20210047274A (ko) 2018-08-31 2019-08-13 블레이드 조립체 부착 디바이스 및 면도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20353B2 (ko)
EP (1) EP3616861B1 (ko)
KR (1) KR20210047274A (ko)
PL (1) PL3616861T3 (ko)
WO (1) WO2020043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16861B1 (en) * 2018-08-31 2021-08-18 BIC-Violex S.A. Razor assembly
EP3842196B1 (en) * 2019-12-23 2023-09-13 BIC Violex Single Member S.A. Coupling mechanism
DE102021005997A1 (de) 2021-12-04 2023-06-07 Jan Grinbaum Nassrasier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677C (ko) *
FR784362A (fr) * 1935-01-16 1935-07-22 Rasoir de sûreté
CH218155A (de) * 1941-02-03 1941-11-30 Gisiger Armin Rasierapparat.
US3363312A (en) * 1966-03-07 1968-01-16 James J. Fayed Safety razor with disposable wire-blade magazine and having honing means for the wire blade
US4617736A (en) * 1984-08-02 1986-10-21 Mccrary Mark W Swivel headed scraping device
GB8506831D0 (en) * 1985-03-15 1985-04-17 Wilkinson Sword Ltd Razor handle
US4926553A (en) * 1987-07-17 1990-05-22 Michael Miskin Razor
ITTV20060229A1 (it) * 2006-12-22 2008-06-23 Lucio Modolo Struttura di rasoio
US20170136638A1 (en) * 2010-01-21 2017-05-18 Preston Hage,Llc Safety razor
US8720072B2 (en) 2010-08-11 2014-05-13 Thomas J. Bucco Razor with three-axis multi-position capability
JP6093550B2 (ja) 2012-11-06 2017-03-08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剃刀
DE102013213881A1 (de) 2013-07-16 2015-01-22 Beiersdorf Ag Rasierer mit freier Beweglichkeit des Rasierkopfes
JP6250357B2 (ja) 2013-10-15 2017-12-20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替刃着脱式剃刀
US9873206B2 (en) * 2014-03-13 2018-01-23 Karl O. Gulledge Interchangeable shaver
PL3685974T3 (pl) 2015-12-01 2022-09-26 BIC Violex Single Member S.A. Maszynki do golenia i wkłady do golenia
EP3616861B1 (en) * 2018-08-31 2021-08-18 BIC-Violex S.A. Raz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43477A1 (en) 2020-03-05
PL3616861T3 (pl) 2021-11-29
EP3616861B1 (en) 2021-08-18
EP3616861A1 (en) 2020-03-04
US20210187770A1 (en) 2021-06-24
US11420353B2 (en)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7274A (ko) 블레이드 조립체 부착 디바이스 및 면도기 조립체
CN110430978B (zh) 用于固持可围绕两个轴线枢转的刀头的剃刮手柄系统
JP5735113B2 (ja) 回転可能な部分を有するカミソリのハンドル
EP2621690B1 (en) Flexible and separable portion of a razor handle
US10583573B2 (en) Electric shaver
EP2844437B1 (en) Razor handle with a rotatable portion
KR101522160B1 (ko) 피봇가능하게 배열된 절단 요소 조립체를 포함하는 면도기
EP3623121B1 (en) Razor handle and razor assembly
EP1597028B1 (en) Multiple blade razor cartridge
KR20190103216A (ko) 카트리지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면도기용 핸들
EP1236549A1 (en) Shaving razor using blade cartridge and blade cartridge therefor
US10836059B2 (en) Shaving component, shaving cartridg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250133Y1 (ko) 면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