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133Y1 - 면도기 - Google Patents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133Y1
KR200250133Y1 KR2020010017305U KR20010017305U KR200250133Y1 KR 200250133 Y1 KR200250133 Y1 KR 200250133Y1 KR 2020010017305 U KR2020010017305 U KR 2020010017305U KR 20010017305 U KR20010017305 U KR 20010017305U KR 200250133 Y1 KR200250133 Y1 KR 200250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ortion
screw
handle
blade
raz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우
이나미
Original Assignee
이성우
이나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우, 이나미 filed Critical 이성우
Priority to KR2020010017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133Y1/ko

Links

Landscapes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을 구비하며 길이방향에 가로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기 면도날의 대향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일단이 상기 면도날의 대향측에 접촉되게 상기 손잡이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면도날의 중앙영역이 상기 손잡이의 대향측으로 돌출되는 만곡정도를 조절하는 만곡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오목하게 굴곡진 부분을 용이하게 면도할 수 있는 면도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면도기{SHAVING APPARATUS}
본 고안은,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목하게 굴곡진 부분을 용이하게 면도할 수 있도록 한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면도기는 날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쉽게 베이게 되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면도날이 상대적으로 적게 노출될 수 있게 면도날의 둘레에 안전기를 구비한 안전 면도기가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면도기에 있어서는, 면도날이 모두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면도날을 둘러싸는 안전기도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목 또는 겨드랑이 등과 같이 인체의 오목하게 굴곡진 부분은 면도날과의 접촉이 곤란하여 면도가 쉽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목하게 굴곡진 부분을 용이하게 면도할 수 있는 면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면도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면도기의 헤드부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평단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1의 면도기의 헤드부의 만곡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헤드부 11 : 하우징
13 : 면도날 14 : 걸림턱
20 : 손잡이부 23 : 걸림고리
24 : 누름버튼 25 : 홀더수용부
30 : 만곡조절부 31 : 조절스크류
33 : 스크류홀더 35 : 스프링부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을 구비하며 길이방향에 가로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기 면도날의 대향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일단이 상기 면도날의대향측에 접촉되게 상기 손잡이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면도날의 중앙영역이 상기 손잡이의 대향측으로 돌출되는 만곡정도를 조절하는 만곡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만곡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헤드부에 접촉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둘레면에 소정 구간에 걸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조절스크류와, 축심을 따라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 가능하게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회전억제됨과 동시에 상기 조절스크류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홀더와, 상기 스크류홀더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류홀더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면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면도기의 헤드부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면도기의 헤드부의 만곡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면도기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13)을 구비하며 길이방향에 가로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헤드부(10)와, 헤드부(10)의 일측에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20)와, 헤드부(10)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유동가능하게 손잡이부(20)에 결합되어 헤드부(10)의 중앙영역이 손잡이부(20)의 대향측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만곡조절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부(20)의 일측에는 헤드부(1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가로로 연장된 헤드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결합부(21)의 양 단부영역에는 헤드부(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거의 “L”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걸림고리(23)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고리(23)는 헤드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접근 및 이반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결합부(21)의 양 연부에는 걸림고리(23)가 상호 접근되게 누름조작하는 누름버튼(2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걸림고리(23)에는 누름버튼(24)의 가압해제시 각 걸림고리(23)가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6)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헤드부(10)는 모발에 접촉되어 모발을 절단하는 면도날(13)과, 면도날(13)의 블레이드부분이 노출될 수 있게 면도날(13)을 둘러 싸는 하우징(11)을 구비하고 있다. 면도날(13) 및 하우징(11)은 각각 길이방향에 가로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1)의 배면에는 걸림고리(23)의 끝단부가 상호 맞물림될 수 있도록 걸림턱(1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만곡조절부(30)는, 헤드부(10)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일단이 헤드부(10)의 배면에 접촉가능하게 배치되고 둘레면에 소정 구간에 걸쳐 수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는 조절스크류(31)와, 조절스크류(31)의 수나사부(32)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축심을 따라 암나사부(34)가 형성되고 손잡이부(20)에 대해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홀더(33)와, 스크류홀더(33)의 일측에 접촉되어 스크류홀더(33)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3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크류홀더(33)는 손잡이부(20)에 대해 유동가능함과 동시에 회전억제될 수있도록 사각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결합부(21)의 내부에는 스크류홀더(33)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홀더수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홀더수용부(25)의 내부에는 스크류홀더(33)를 사이에 두고 헤드부(10)의 대향측에 배치되어 스크류홀더(33)를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부재(35)가 배치되어 있으며, 스프링부재(35)는 조절스크류(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이 가능한 압축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헤드부(10)는 스프링부재(35)의 탄성력보다 작은 가압력에 의해서 탄성변형이 가능한 정도의 가요성을 가지며, 스프링부재(35)의 탄성력은 헤드부(10)의 하우징(11) 또는 면도날(13)에 소정의 압력이 길이방향에 가로로 작용할 경우 압축되어 헤드부(10)를 탄성지지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헤드부(10)를 손잡이부(20)에 결합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부(20)의 양 연부에 형성된 누름버튼(24)을 가압하여 걸림고리(23)가 상호 접근되도록 한다. 다음, 걸림고리(23)의 끝단부가 헤드부(10)의 배면에 형성된 걸림턱(14)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누름버튼(24)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각 걸림고리(23)의 끝단은 걸림턱(14)과 맞물리게 된다.
인체의 평탄한 부분이나 볼록한 부분을 면도하고자 할 경우에는 헤드부(10) 및 면도날(13)이 직선형태를 이룬상태에서 면도를 실시하면 되고, 턱밑이나 오목하게 굴곡진 부분을 면도하고자 할 경우에는 굴곡진 정도에 대응되게 조절스크류(31)를 회전시킨다.
조절스크류(31)의 선단이 헤드부(10)측으로 전진하도록 조절스크류(31)를 회전시키면 헤드부(10)는 중앙영역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만곡되며, 조절스크류(31)의 선단이 후진하도록 조절스크류(31)를 회전시키면 헤드부(10)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헤드부(10)의 하우징(11) 또는 면도날(13)부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헤드부(10)의 배면에 선단부가 접촉된 조절스크류(31) 및 스크류홀더(33)는 길이방향을 따라 후방영역으로 가압되어 이동되고, 스크류홀더(33)에 접촉된 스프링부재(35)는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하우징(11) 또는 면도날(13)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면 헤드부(10)와, 조절스크류(31) 및 스크류홀더(33)는 스프링부재(35)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손잡이부에 대해 헤드부가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손잡이부에 헤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소위 “일회용 면도기”에도 본 고안이 적용됨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스크류홀더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압축코일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인장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을 구비하며 길이방향에 가로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헤드부와, 헤드부의 일측에 연장되도록형성되는 손잡이부와, 헤드부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일단이 헤드부의 배면에 접촉가능하게 손잡이부에 결합되어 헤드부의 만곡정도를 조절하는 만곡조절부를 마련하여 인체의 오목하게 굴곡진 정도에 따라 헤드부가 손잡이의 대향측으로 돌출되는 만곡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오목하게 굴곡진 부분을 용이하게 면도할 수 있는 면도기가 제공된다.

Claims (3)

  1.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을 구비하며 길이방향에 가로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기 면도날의 대향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일단이 상기 면도날의 대향측에 접촉되게 상기 손잡이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면도날의 중앙영역이 상기 손잡이의 대향측으로 돌출되는 만곡정도를 조절하는 만곡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헤드부에 접촉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둘레면에 소정 구간에 걸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조절스크류와, 축심을 따라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 가능하게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부에 대해 회전억제됨과 동시에 상기 조절스크류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홀더와, 상기 스크류홀더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류홀더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KR2020010017305U 2001-06-11 2001-06-11 면도기 KR200250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305U KR200250133Y1 (ko) 2001-06-11 2001-06-11 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305U KR200250133Y1 (ko) 2001-06-11 2001-06-11 면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133Y1 true KR200250133Y1 (ko) 2001-11-16

Family

ID=7310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305U KR200250133Y1 (ko) 2001-06-11 2001-06-11 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1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4127A (en) Concave, convex safety razors
US7028407B2 (en) Extendable handle shaving system
US6493950B1 (en) Rolling razor and shaving method
US6536116B2 (en) Hair clipper with rotating blade assembly
US7658009B2 (en) Shaving implement
US4989328A (en) Dual headed razor assembly
US5625950A (en) Shaving apparatus
US20170282392A1 (en) Razor with handle having articulable joint
US6418623B1 (en) Dual-blade razor head with adjustable spacer
US4720917A (en) Flexible blade contour razor
US6560876B2 (en) Dual headed razor
CA2276882C (en) Device for trimming and shaping a beard or moustache
US20150266191A1 (en) Razor with handle having articulable joint
JP2023524124A (ja) 電気髭トリマー
US20070227015A1 (en) Handle extension for a shaver or applicator pad
EP1972417B1 (en) Eyebrow beautifying apparatus
US11597111B1 (en) Adjustable head razor
KR20210047274A (ko) 블레이드 조립체 부착 디바이스 및 면도기 조립체
KR200250133Y1 (ko) 면도기
ES2864204T3 (es) Cortapelos eléctrico
WO2015110808A1 (en) A razor or razor cartridge
CN214604506U (zh) 一种便于掌控的剃毛器
KR200257871Y1 (ko) 바리캉 겸용 전기면도기
CN113183186A (zh) 一种便于掌控的剃毛器
JPH08505555A (ja) 凸形状及び凹形状の安全カミソ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