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468A - 의류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의류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468A
KR20210046468A KR1020190130201A KR20190130201A KR20210046468A KR 20210046468 A KR20210046468 A KR 20210046468A KR 1020190130201 A KR1020190130201 A KR 1020190130201A KR 20190130201 A KR20190130201 A KR 20190130201A KR 20210046468 A KR20210046468 A KR 20210046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image
vending machine
unit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보연
Original Assignee
윤보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보연 filed Critical 윤보연
Priority to KR1020190130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6468A/ko
Publication of KR20210046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co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피사체에 빔을 조사하여 레퍼런스를 마킹하는 레퍼런스 조사부; 피사체를 촬영하여 레퍼런스 마킹이 포함된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적어도 2 개의 이미지 획득부; 이미지 획득부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복수 개의 피사체 이미지를 보정하여 보정된 레퍼런스 마킹을 포함하는 피사체 형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보정부; 보정된 레퍼런스 마킹을 포함하는 피사체 형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를 예측하는 사이즈 예측부; 미리 저장된 의류 데이터 중에서 사이즈 예측부에 의해 예측된 사이즈와 매칭되는 의류를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추천제품 결정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적어도 2개의 이미지 획득부는 상부 이미지 획득부와 하부 이미지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부 이미지 획득부와 하부 이미지 획득부는 의류 자동 판매기의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며, 레퍼런스 조사부는, 제1 레퍼런스 조사부와, 제2 레퍼런스 조사부와, 제3 레퍼런스 조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피사체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피사체의 하부에 복수 개의 레퍼런스 마킹을 표시하며, 사이즈 예측부는 보정된 레퍼런스 마킹을 포함하는 피사체 영상 이미지와 복수 개의 레퍼런스 조사부 사이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를 예측하는, 의류 자동 판매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의류 자동 판매기{CLOTHING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의류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는 의류를 자동으로 추천하고 판매하는 의류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 판매기는 지정된 투입구에 지폐 또는 동전을 투입하거나 신용카드 결제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을 제공하는 기계이다. 자동 판매기는 임대비, 인건비, 보관비 등의 다른 추가 부담없이 자판기를 설치할 공간과 전기를 사용할 수 있기만 하면 어디서든지 사용 가능하므로, 이러한 이점들로 인해 다양한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 등 공공장소를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서 캔음료를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를 흔히 볼 수 있으며, 공중 화장실 입구에 설치된 휴지 자동 판매기 또한 흔히 볼 수 있는 자동판매기이다.
최근 들어서는 자동 판매기로 판매할 수 있는 상품의 종류가 다각화되어, 다양한 종류의 과자를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 담배 자동 판매기, 피자와 같은 냉동식품을 자동으로 해동시켜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 뜨거운 물이 부어져 나오는 컵라면 자동 판매기, 오렌지를 착즙하여 오렌지 주스를 판매하는 자동 판매기, 생맥주를 판매하는 생맥주 자동 판매기등 다양한 상품군에 대한 자동 판매기가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의류 자동 판매기에 대한 소비자 니즈도 항상 있어 왔는데, 의류의 경우, 구매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는 의류를 자동으로 제공해야 하므로, 자동 판매기로는 의류를 자동으로 판매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품 판매 및 배송 등 유통환경이 자동화, 무인화로 변화되고 있는 지금 추세에서, 의류 자동 판매기를 활용할 수 있다면, 사업자 입장에서는 인건비, 임대료 등을 대폭 줄일 수 있고, 구매자 입장에서는 언제 어디서든 자신에게 맞는 의류를 구매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는 의류를 자동으로 추천하고 판매하는 의류 자동 판매기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는 의류를 자동으로 추천하고 판매하는 의류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의류 자판기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는 의류를 자동으로 추천하고 판매하는 의류 자동 판매기로서, 피사체에 빔을 조사하여 레퍼런스를 마킹하는 레퍼런스 조사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레퍼런스 마킹이 포함된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적어도 2 개의 이미지 획득부; 상기 이미지 획득부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복수 개의 피사체 이미지를 보정하여 보정된 레퍼런스 마킹을 포함하는 피사체 형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보정부; 상기 보정된 레퍼런스 마킹을 포함하는 피사체 형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를 예측하는 사이즈 예측부; 미리 저장된 의류 데이터 중에서 상기 사이즈 예측부에 의해 예측된 사이즈와 매칭되는 의류를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추천제품 결정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획득부는 상부 이미지 획득부와 하부 이미지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이미지 획득부와 상기 하부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의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며, 상기 레퍼런스 조사부는, 제1 레퍼런스 조사부와, 제2 레퍼런스 조사부와, 제3 레퍼런스 조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피사체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피사체의 하부에 복수 개의 레퍼런스 마킹을 표시하며, 상기 사이즈 예측부는 상기 보정된 레퍼런스 마킹을 포함하는 피사체 영상 이미지와 복수 개의 상기 레퍼런스 조사부 사이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를 예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류 이미지와 상기 피사체 이미지를 합성하여 2D 또는 3D 이미지로 출력하는 이미지 합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는, 상기 이미지 합성부에 의해 합성된, 상기 의류 이미지와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는 상기 피사체의 유무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를 이용하는 피사체가 센싱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소정 내용의 광고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품 정보는, 의류 종류(티셔츠, 니트, 자켓, 바지, 스커트 또는 양말), 사이즈(44/55/66 또는 S/M/L), 상세 사이즈(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팔길이, 또는 어깨 너비), 색상, 직물 종류(면, 모, 울, 레이온 또는 방수소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는 반품 정보를 포함하는 우편 송장 스티커를 출력하는 송장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에서 구매한 제품에 대한 반품을 원하는 경우에, 상기 우편 송장 스티커를 출력하여 상기 제품을 반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부가 획득한 피사체 이미지에 상기 레퍼런스 마킹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음성출력부로 하여금 사용자 위치 조정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가 특정 제품 판매를 완료한 경우에, 판매 정보를 반영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의 개수, 종류를 포함하는 제품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는 의류를 자동으로 추천하고 판매하는 의류 자동 판매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매자 입장에서는 언제 어디서든 자신에게 맞는 의류를 구매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자영업자를 비롯한 사업자는 인건비와 임대료 부담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와 임대료가 이익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자영업자가 사업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사업의 활로를 찾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자동 판매기의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이미지 보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사이즈 예측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자동 판매기의 전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자판기(100)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자판기(100)는 이미지 획득부(110), 레퍼런스 조사부(120), 이미지 보정부(130), 사이즈 예측부(140), 추천제품 결정부(150), 이미지 합성부(160), 디스플레이부(17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미지 획득부(110)는 의류 자판기(100) 앞에 위치하게 되는 소정의 피사체를 촬영하여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미지 획득부(110)는 통상의 카메라 모듈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의류 자판기(100)는 적어도 2 개의 이미지 획득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이미지 획득부(110)는 의류 자판기(100)의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2개의 카메라가, 의류 자판기(100) 전면의 수직 방향 중심선 상에 배치되되, 하나는 의류 자판기(100) 전면 상부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의류 자판기(100) 전면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의류 자판기 상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획득부를 상부 이미지 획득부(110a)라 하고, 의류 자판기 하부에 배치되는 이미지 획득부를 하부 이미지 획득부(110b)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이미지 획득부(110a)는 의류 자판기(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되고, 하부 이미지 획득부(110b)는 의류 자판기(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다리 부분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미지 획득부(110)는 레퍼런스 조사부(120)에서 조사된 빔이 표시된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의류 자판기(100) 앞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것으로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 획득부(110)는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레퍼런스 조사부(120)는 의류 자판기(100) 전면에 마련되어 의류 자판기(100) 외측으로 피사체를 향해 빔을 조사함으로써 의류 자판기(100) 앞에 위치한 피사체에 레퍼런스를 마킹한다. 레퍼런스 조사부(120)로부터 조사되는 빔은 레이저 빔을 포함한다. 레퍼런스 조사부(120)는 의류 자판기(100)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피사체의 아래쪽 부분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레퍼런스 빔을 조사한다. 이는 레퍼런스 빔이 레이저이고, 피사체가 인체 피사체인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 사람의 눈 또는 얼굴을 향해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레퍼런스 조사부(120)가 배치되는 높이는 상부 이미지 획득부(110a)의 높이와 하부 이미지 획득부(110b)의 높이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레퍼런스 조사부(120)는 2 개 이상이며, 적어도 3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퍼런스 조사부(120)는, 제1 레퍼런스 조사부와, 제2 레퍼런스 조사부와, 제3 레퍼런스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피사체에는 제1 레퍼런스 조사부로부터 조사되어 투영된 제1 레퍼런스 마킹과, 제2 레퍼런스 조사부로부터 조사되어 투영된 제2 레퍼런스 마킹과, 제3 레퍼런스 조사부로부터 조사되어 투영된 제3 레퍼런스 마킹이 표시되게 된다. 복수 개의 레퍼런스 조사부(120)는 의류 자판기(100)의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해 제1 레퍼런스 조사부, 제2 레퍼런스 조사부, 제3 레퍼런스 조사부 순서로 배열된다고 가정할 때, 제1 레퍼런스 조사부와 제2 레퍼런스 조사부 사이의 간격과 제2 레퍼런스 조사부와 제3 레퍼런스 조사부 사이의 간격은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에 의해 의류 자판기(100) 앞쪽에 피사체가 감지되었을 경우에만 레퍼런스 조사부(12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미지 보정부(130)는 이미지 획득부(110)에서 획득한 복수 개의 피사체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이미지 보정을 수행한다. 이미지 획득부(110)가 획득한 피사체 이미지는 원근 왜곡된 피사체 이미지이므로, 이미지 보정부(130)는 이러한 왜곡된 피사체 이미지를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로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부 이미지 획득부(110a)가 획득한 이미지는 피사체의 상부가 강조된 형태로 왜곡되어 있고, 하부 이미지 획득부(110b)가 획득한 이미지는 피사체의 하부가 강조된 형태로 왜곡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
이미지 보정부(130)는 상부 이미지 획득부(110a)가 획득한 이미지와 하부 이미지 획득부(110b)가 획득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 보정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즉, 피사체 형상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피사체 형상 이미지는 피사체의 실제 형상에 대응된다. 이미지 보정부(13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사이즈 예측부(140)는 이미지 보정부(130)로부터 보정된 피사체 형상 이미지를 수신하여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를 예측한다. 사이즈는 피사체의 신장, 팔길이, 목 둘레, 어깨너비, 가슴둘레 단면, 허리둘레 단면, 엉덩이둘레 단면, 다리 길이 등에 대한 사이즈를 포함한다. 이미지 보정부(130)에서 출력되는 피사체 형상 이미지는 피사체의 형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한 것으로, 이 데이터로는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에 대해 알 수 없다. 따라서, 사이즈 예측부(140)는 레퍼런스 마킹이 포함된 피사체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 예측을 수행한다. 사이즈 예측부(14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추천제품 결정부(150)는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의류 데이터 중에서 사이즈 예측부(140)에 의해 예측된 사이즈와 매칭되는 의류가 무엇인지 결정한다. 추천제품 결정부(150)는 피사체의 신체에 맞을 것으로 예측되는 사이즈의 의류 리스트를 추천제품으로 결정하여,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추천제품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추천제품 리스트 중 특정 의류를 선택하여 의류 상세 정보를 확인하거나, 특정 의류의 구매 선택을 입력할 수도 있고, 원하는 의류를 드래그하여 피사체 이미지에 중첩시킴으로써 가상의 착용 이미지를 볼 수도 있다.
이미지 합성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류 이미지와 피사체 이미지를 합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추천제품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의류 이미지와 피사체 이미지의 합성을 요구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미지 합성부(160)는 의류 이미지와 피사체 이미지를 합성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미지 합성부(160)는 합성된 이미지를 2D 또는 3D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을 조작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좌/우 회전시킬 수 있으며, 입력부를 조작하여 선택된 의류 이미지의 사이즈를 크게 또는 작게 변경하거나, 의류 이미지의 색깔을 변경하거나, 의류 종류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의류 관련 정보 또는 촬영된 이미지 등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구성으로,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의류 자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함과 동시에, 의류 자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류 자판기(100)는 소정의 정보 또는 알림 등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의류 자판기(100)는, 메모리, 제어부, 전송부, 사용자 입력부, 센서부, 제품배출구, 결제 모듈, 송장 출력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의류 자판기(100)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 정보를 저장한다. 제품 정보에는 의류 종류(티셔츠/니트/자켓/바지/스커트/양말 등), 사이즈(44/55/66, S/M/L 등), 상세 사이즈(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팔길이, 어깨 너비 등), 색상, 직물 종류(면/모/울/레이온/방수소재 등) 등을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는 이미지 획득부(110)가 획득한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거나, 이미지 보정부(130)가 보정한 이미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의류 자판기(100) 동작 제어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캐시, ROM, PROM, EPROM, EEPROM, 플래시, SRAM 등과 같은 형태의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는 기본적으로 의류 자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의류 자판기(100)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의류 자판기가 특정 제품 판매를 완료한 경우에, 판매 정보를 반영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의류 자판기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의 개수, 종류 등의 제품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전송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이더넷(Ethernet),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블루투스 등의 무선 네트워크 등을 통해 다른 사용자나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를 소정의 처리 과정을 거친 상태로 전송하거나, 또는 소정의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9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 예를 들어, 의류 자판기(100)의 전면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고유 정보는 키, 몸무게, 의류 사이즈, 성별 등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정보 이외에 다른 정보가 사용자 고유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센서부는 의류 자판기 전면에 마련되어, 피사체의 유무를 센싱한다. 센서부는 통상의 감지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에 의해 의류 자판기를 이용하는 피사체가 센싱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가 소정 내용의 광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결제 모듈은 사용자에 의해 구매 선택된 제품의 비용을 결제 처리한다. 이러한 결제 모듈은 사용자가 지폐, 동전으로 결제하거나,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도록 공지의 결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품배출구는 사용자에 의해 구매 선택된 제품의 비용이 결제 처리 완료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제품을 의류 자판기(100) 외부로 배출한다. 예를 들어, 제품배출구는 의류 자판기(100) 전면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송장 출력부는 반품 정보를 포함하는 우편 송장 스티커를 출력할 수 있다. 우편 송장 스티커 출력을 요구하는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송장 출력부는 우편 송장 스티커를 출력한다. 상기 반품 정보는 제품 정보(품명, 모델명, 또는 시리얼넘버 등), 반품 주소, 회사명,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의류 자동 판매기에서 구매한 제품에 대한 반품을 원하는 경우에는, 우편 송장 스티커를 출력하여 해당 제품을 편리하게 반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를 참조하여 이미지 보정부(130)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피사체의 실제 형상이고, 도 2(b)는 상부 이미지 획득부(110a)가 획득한 피사체 이미지이고, 도 2(c)는 하부 이미지 획득부(110b)가 획득한 피사체 이미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이미지 획득부(110a)는 의류 자판기(100)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 이미지 획득부(110b)는 의류 자판기(100) 전면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부 이미지 획득부(110a)는 피사체의 상측에서 촬영을 하고, 하부 이미지 획득부(110b)는 피사체의 하측에서 촬영을 하게 되므로, 각각 획득되는 이미지는 원근 왜곡된 상태이다.
즉,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이미지 획득부(110a)는, 실제로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 이미지와는 달리, 인체 피사체의 머리 부분이 강조되고 다리 부분이 작게 나오는 왜곡된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이렇게 상부 이미지 획득부(110a)가 획득한 이미지를 상측 피사체 이미지(Itop)라고 명명한다. 또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이미지 획득부(110b)도, 실제로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 이미지와는 달리, 인체 피사체의 다리 부분이 강조되고 머리 부분이 작게 나오는 왜곡된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이렇게 하부 이미지 획득부(110b)가 획득한 이미지를 하측 피사체 이미지(Ibottom)라고 명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보정부(130)는 상측 피사체 이미지(Itop)를 이용하여, 하측 피사체 이미지(Ibottom)에 대하여 원근 형상 보정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 이미지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보정부(130)는 하측 피사체 이미지(Ibottom)의 하측(예를 들어, 인체 피사체의 발 부분)을 고정하고, 이미지의 상측(예를 들어, 인체 피사체의 머리 부분)을 넓히면서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이 때, 획득된 이미지의 가로 방향을 X축, 세로 방향을 Y축이라 했을 때, 하측 피사체 이미지의 상부(예를 들어, 인체 피사체의 머리 부분)의 너비(x축 방향)를 상측 피사체 이미지의 상부(예를 들어, 인체 피사체의 머리 부분) 너비와 동일(소정의 오차 범위 허용)하도록 넓힘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 이미지로 보정할 수 있다. 원근 왜곡 특성상, x축 방향에 대한 보정과 동시에, 그와 같은 비율로 y 축 방향에 대한 보정도 함께 수행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보정부(130)는 하측 피사체 이미지(Ibottom)를 이용하여, 상측 피사체 이미지(Itop)에 대하여 원근 형상 보정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 이미지로 보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보정부(130)는 상측 피사체 이미지(Itop)의 상부(예를 들어, 인체 피사체의 머리 부분)를 고정하고, 이미지의 하부(예를 들어, 인체 피사체의 발 부분)를 넓히면서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x축 방향에 대한 보정과 동시에, 그와 같은 비율로 y 축 방향에 대한 보정도 함께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보정을 함으로써, 이미지 보정부(130)는 원근 왜곡 보정된 피사체 형상 이미지를 출력하게 된다. 이미지 보정부(130)에 의해 보정된 피사체 형상 이미지는 도 2(a)의 피사체의 실제 형상과 대응되는 이미지가 될 것이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사이즈 예측부(14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이즈 예측부(140)는 이미지 보정부(130)로부터 피사체 형상 이미지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를 예측한다. 사이즈는 피사체의 신장, 팔길이, 목 둘레, 어깨너비, 가슴둘레 단면, 허리둘레 단면, 엉덩이둘레 단면, 다리 길이 등에 대한 사이즈를 포함한다. 이미지 보정부(130)에서 출력되는 피사체 형상 이미지는 피사체의 형상에 대한 보정을 수행한 것으로, 이 데이터로는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에 대해 알 수 없다. 따라서, 사이즈 예측부(140)는 레퍼런스 마킹이 포함된 피사체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 예측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레퍼런스 조사부(120)는 피사체에 복수 개의 레퍼런스 빔을 조사한다. 따라서, 이미지 획득부(110)가 획득하는 이미지는 레퍼런스 조사부(120)에서 조사된 복수 개의 레퍼런스 마킹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미지 보정부(130)에서 출력되는 피사체 형상 이미지 또한 복수 개의 레퍼런스 마킹을 포함하고 있다.
도 3(a)는 3개의 레퍼런스 조사부(120)를 포함하는 의류 자판기(100) 앞에 인체 피사체가 서 있는 도이고, 도 3(b)는 이미지 획득부(110)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이미지 보정부(130)가 보정한 이미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보정부(130)가 보정한 이미지는 피사체의 실제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지만,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에 대한 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자판기(100) 하측에 3개의 레퍼런스 조사부(120)가 마련되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제1레퍼런스 조사부(120a), 제2레퍼런스 조사부(120b), 제3레퍼런스 조사부(120c)가 일직선으로 배열되며, 각각의 레퍼런스 조사부(120)로부터 조사된 빔이 피사체에 투영된다. 제1레퍼런스 조사부(120a)와 제2레퍼런스 조사부(120b) 사이의 거리를 d1, 제2레퍼런스 조사부(120b)와 제3레퍼런스 조사부(120c) 사이의 거리를 d2라고 하고, 이들 거리는 의류 자판기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이즈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d1과 d2 는 동일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레퍼런스 조사부(120a)에 의해 피사체에 투영된 빔을 제1 레퍼런스 마킹, 제2레퍼런스 조사부(120b)에 의해 피사체에 투영된 빔을 제2 레퍼런스 마킹, 제3레퍼런스 조사부(120c)에 의해 피사체에 투영된 빔을 제3 레퍼런스 마킹이라 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보정부(130)에 의해 보정된 피사체 형상 이미지에도 제1레퍼런스 마킹, 제2 레퍼런스 마킹, 제3 레퍼런스 마킹이 표시되며, 보정된 이미지 상에서 제1레퍼런스 마킹과 제2 레퍼런스 마킹 사이의 거리(h1)와 제2 레퍼런스 마킹과 제3 레퍼런스 마킹 사이의 거리(h2)를 측정할 수 있다.
사이즈 예측부(140)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의류 자판기(100)에서 레퍼런스 조사부 사이의 실제 거리(d1, d2)와 보정된 이미지(Icorrected) 상에서의 레퍼런스 마킹 사이의 거리(h1, h2)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를 예측할 수 있다.
[수학식 1]
(보정된 피사체 형상 이미지의 사이즈)* ((d1/h1)+(d2/h2))/2
예를 들어, 피사체의 실제 어깨 너비를 계산하는 경우에는, 보정된 피사체 형상 이미지에서의 어깨너비 사이즈)* ((d1/h1)+(d2/h2))/2 를 계산하여 피사체 실제 어깨 너비를 예측할 수 있으며, 다른 신체 부위또한 동일한 방식으로 실제 사이즈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의류 자판기(100)가 3개의 레퍼런스 조사부(12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의류 자판기(100)는 2개의 레퍼런스 조사부(120)를 포함할 수도 있고, 4개 이상의 레퍼런스 조사부(120)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의류 자판기(100)가 2개의 레퍼런스 조사부(120)를 포함하는 경우,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를 예측하는 수학식은 아래와 같다.
[수학식 2]
(보정된 피사체 형상 이미지의 사이즈)* (d1/h1)
(단, d1 은 의류 자판기에서 레퍼런스 조사부 사이의 실제 거리이고, h1 은 보정된 이미지(Icorrected) 상에서의 레퍼런스 마킹 사이의 거리임.)
한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자판기(100) 앞쪽에는 사용자 위치(본 실시예에서는, 'x')를 표시해둘 수 있으며, 의류 자판기(100)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표시된 사용자 위치에 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획득부(110)는 레퍼런스 마킹이 표시된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사용자가 정확한 위치에 서지 않은 경우에는 이미지 획득부(120)가 획득한 피사체 이미지에 레퍼런스 마킹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즉, 이미지 획득부(110)가 획득한 피사체 이미지에 레퍼런스 마킹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음성출력부로 하여금 사용자 위치 조정 메시지(예를 들어, '오른쪽으로 한 발자국 이동하세요.' 또는 '왼쪽으로10cm이동하세요' 등)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자판기(100)의 전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의류 자판기(100) 본체는 이미지 획득부(110), 디스플레이부(170), 결제 모듈(180), 입력부(190), 제품 배출구(200) 및 레퍼런스 조사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획득부(110)는 적어도 2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 이미지 획득부(110a)와 하부 이미지 획득부(110b)는 의류 자판기(100)의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의류 자판기(100) 앞에 위치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이미지 획득부(110)가 획득한 피사체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의류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70)는 이미지 합성부에 의해 합성된 의류와 피사체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사용자 입력부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결제 모듈(18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폐, 동전으로 결제하거나,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도록 공지의 결제 수단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에 의해 구매 선택된 제품의 비용을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입력부(190)는 사용자 조작 가능한 푸쉬키, 터치키 버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90)는 의류 자판기(100) 전면 중 디스플레이부(170)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90)를 조작하여 사용자 고유 정보를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된 제품들 중에서 특정 제품에 대한 구매 선택 등을 할 수 있다.
제품 배출구(200)는 의류 자판기(100) 전면 하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구매 선택한 제품을 의류 자판기(100) 외부로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레퍼런스 조사부(120a, 120b, 120c)는 3개이며, 의류 자판기(100) 전면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레퍼런스 조사부(120a, 120b, 120c)는 의류 자판기(100) 앞쪽에 위치한 사용자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레퍼런스 빔을 조사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의류 자판기
110: 이미지 획득부
120: 레퍼런스 조사부
130: 이미지 보정부
140: 사이즈 예측부
150: 추천제품 결정부
160: 이미지 합성부
170: 디스플레이부
180: 결제 모듈
190: 입력부
200: 제품 배출구

Claims (8)

  1.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는 의류를 자동으로 추천하고 판매하는 의류 자동 판매기로서,
    피사체에 빔을 조사하여 레퍼런스를 마킹하는 레퍼런스 조사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상기 레퍼런스 마킹이 포함된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적어도 2 개의 이미지 획득부;
    상기 이미지 획득부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복수 개의 피사체 이미지를 보정하여 보정된 레퍼런스 마킹을 포함하는 피사체 형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보정부;
    상기 보정된 레퍼런스 마킹을 포함하는 피사체 형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를 예측하는 사이즈 예측부;
    미리 저장된 의류 데이터 중에서 상기 사이즈 예측부에 의해 예측된 사이즈와 매칭되는 의류를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추천제품 결정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2개의 이미지 획득부는 상부 이미지 획득부와 하부 이미지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이미지 획득부와 상기 하부 이미지 획득부는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의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며,
    상기 레퍼런스 조사부는, 제1 레퍼런스 조사부와, 제2 레퍼런스 조사부와, 제3 레퍼런스 조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피사체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피사체의 하부에 복수 개의 레퍼런스 마킹을 표시하며,
    상기 사이즈 예측부는 상기 보정된 레퍼런스 마킹을 포함하는 피사체 영상 이미지와 복수 개의 상기 레퍼런스 조사부 사이의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실제 사이즈를 예측하는, 의류 자동 판매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류 이미지와 상기 피사체 이미지를 합성하여 2D 또는 3D 이미지로 출력하는 이미지 합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자동 판매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는,
    상기 이미지 합성부에 의해 합성된, 상기 의류 이미지와 상기 피사체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자동 판매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는 상기 피사체의 유무를 센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를 이용하는 피사체가 센싱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소정 내용의 광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자동 판매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제품 정보는, 의류 종류(티셔츠, 니트, 자켓, 바지, 스커트 또는 양말), 사이즈(44/55/66 또는 S/M/L), 상세 사이즈(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팔길이, 또는 어깨 너비), 색상, 직물 종류(면, 모, 울, 레이온 또는 방수소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자동 판매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는 반품 정보를 포함하는 우편 송장 스티커를 출력하는 송장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에서 구매한 제품에 대한 반품을 원하는 경우에, 상기 우편 송장 스티커를 출력하여 상기 제품을 반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자동 판매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부가 획득한 피사체 이미지에 상기 레퍼런스 마킹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음성출력부로 하여금 사용자 위치 조정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자동 판매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가 특정 제품 판매를 완료한 경우에, 판매 정보를 반영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의류 자동 판매기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의 개수, 종류를 포함하는 제품 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자동 판매기.
KR1020190130201A 2019-10-18 2019-10-18 의류 자동 판매기 KR20210046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201A KR20210046468A (ko) 2019-10-18 2019-10-18 의류 자동 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201A KR20210046468A (ko) 2019-10-18 2019-10-18 의류 자동 판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468A true KR20210046468A (ko) 2021-04-28

Family

ID=75721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201A KR20210046468A (ko) 2019-10-18 2019-10-18 의류 자동 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64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234A (ko) 2021-12-01 2023-06-08 신정헌 디스플레이 자동 판매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234A (ko) 2021-12-01 2023-06-08 신정헌 디스플레이 자동 판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6187B2 (ja) 商品検知システムおよび商品検知方法
AU2019338892B2 (en) Clothing registration device and clothing recommendation device, and online system comprising same
US11129548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generating a set of recommended orthotic products
KR102127562B1 (ko) 의류 쇼핑몰을 위한 코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22018889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body measurements and providing clothing size recommendations
JP6091472B2 (ja) 商品等提供システム、商品等提供方法、及び商品等提供プログラム
JP2008504593A (ja) 人物の形態的データを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上で取得し管理する方法および前記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デバイス
WO2014034188A1 (ja) 衣服画像処理装置、衣服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682769B1 (ko) 사용자맞춤형 온라인 패션 코디네이션 자동 매칭방법
CN109285019A (zh) 图像处理装置、信息处理装置、系统及控制方法
KR20150070459A (ko) 3d촬영 구매자 신체사진 활용, 가상 피팅 쇼핑몰
US6687680B1 (en) Electronic cash register system
US20170344973A1 (en)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asily finding customer
KR20210046468A (ko) 의류 자동 판매기
CN109074605A (zh) 用于服装在线购物的系统和方法
CN105578931A (zh) 具有运动序列控制的自动结账系统
KR102086227B1 (ko) 신체 치수 계측 장치
JP2002099826A (ja) カタログ販売システム
JP2014134906A (ja) 自動販売機
KR20200009182A (ko) 증강 현실 구조의 네일 아트 자동 판매 장치
JP2012094070A (ja) 自動販売機
KR102199398B1 (ko) 증강 현실 구조의 네일 아트 자동 판매 장치
KR20190052831A (ko) 가상의류 피팅미러 장치를 이용한 의류 구매 시스템
KR20140132844A (ko) 오프라인과 온라인 결합방식의 상거래정보 처리방법
KR20210093207A (ko) 영상을 이용한 대상물체 사이즈 결정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