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378A -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 단열커버 - Google Patents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 단열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378A
KR20210046378A KR1020190130020A KR20190130020A KR20210046378A KR 20210046378 A KR20210046378 A KR 20210046378A KR 1020190130020 A KR1020190130020 A KR 1020190130020A KR 20190130020 A KR20190130020 A KR 20190130020A KR 20210046378 A KR20210046378 A KR 20210046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ndow frame
heat insulating
cooling devic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3202B1 (ko
Inventor
정학근
김종훈
류승환
한설이
이성진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30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20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31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penetrating a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에 설치된 냉방장치와 창틀 사이의 틈새를 통해 차가운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냉방장치 단열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창틀에 설치된 냉방장치에 사용되는 단열커버로서, 상기 냉방장치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창틀에 밀착되는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단열커버이다.

Description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 단열커버{HEAT INSULATION COVER FOR WINDOW FRAME STATIONARY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 단열커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창틀에 설치된 냉방장치와 창틀 사이의 틈새를 통해 차가운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냉방장치 단열커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간 활용의 장점 및 실외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는 장점으로 인해 창틀에 고정되는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10)는 창틀(2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냉방장치(10)의 실내측 전면을 예시하고 있고, 도 2는 냉방장치(10)의 실외측 후면을 예시하고 있다.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10)는 창틀(20)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냉방장치(10)의 전면은 실내를 향해 있고 냉방장치(10)의 후면은 실외에 노출되는 구조이다. 이 경우 냉방장치(10)의 후면이 직접 외부에 노출되므로 실외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이 냉방장치(10)에 실외기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10)의 경우, 창틀(20)과 냉방장치(10)의 사이에 틈새(30)가 생길 수 있다. 동절기에 냉방장치(10)와 창틀(20) 사이의 틈새(30)를 통해 차가운 외기가 유입되어 창틀(20)의 실내측 표면 온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는 냉방장치(10)의 케이스 등을 통해 냉방장치(10)의 실내측 표면 온도가 저하될 수 있다. 창틀(20)이나 냉방장치(10)의 실내측 표면 온도가 내려갈 경우, 창틀(20)이나 냉방장치(10)에 표면 결로가 발생하여 자재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곰팡이가 증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틈새(30)를 통한 외부 냉기의 유입으로 인해 동절기 난방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도 17은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의 온도를 실측한 결과를 예시하고 있다. 실내 온도를 25℃로 유지한 상태에서 외부 온도를 0℃, -10℃, -20℃로 변화시키면서 냉방장치의 상단, 핀 내부, 좌측, 정면, 우측 및 하단을 측정한 결과, 냉방장치는 실내 온도에 비해 상당히 낮은 온도가 관측되고 있다. 특히, 냉방장치 하단의 경우, 외부 온도가 -10℃와 -20℃에서 각각 11.7℃와 8.3℃를 나타내고 있고, 이는 노점 온도인 13.9℃ 보다 낮아 결로가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의 결로 발생 및 난방 부하의 증가를 막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실시예에 따라, 냉방장치와 창틀 사이의 틈새를 통한 외기 유입을 줄일 수 있는 냉방장치 단열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실시예에 따라, 창틀 또는 냉방장치의 실내측 표면에 결로의 발생을 줄이는 냉방장치 단열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실시예에 따라, 창틀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냉방장치 단열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실시예에 따라, 창틀 또는 냉방장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냉방장치 단열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창틀에 설치된 냉방장치에 사용되는 단열커버로서, 상기 냉방장치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창틀에 밀착되는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단열커버이다.
상기 단열커버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커버와 상기 제1 체결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냉방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냉방장치의 에어벤트에 체결되는 클립일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공기압축 방식으로 상기 냉방장치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냉방장치를 향하도록 하는 힘을 상기 커버에 인가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에서 상기 창틀에 밀착되는 부분에는 제1 점착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제는 필름 형태로 상기 단열재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에서 상기 냉방장치에 밀착되는 부분에는 제2 점착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서 상기 창틀에 마주하는 단부에는 제2 체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수단은, 상기 창틀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커버의 상기 창틀에 마주하는 단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를 회전시킬 때 상기 커버의 단부와 상기 제2 체결부 사이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창틀을 향하도록 하는 힘을 상기 커버의 단부에 인가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창틀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의 단부는 상기 제2 체결부의 단부에 비해 상기 창틀을 향해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수단은 제3 점착제일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제3 점착제가 상기 창틀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의 단부는 상기 제3 점착제의 단부에 비해 상기 창틀을 향해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에서 상기 냉방장치와 상기 창틀 사이의 틈새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틈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열재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면은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대응하는 냉방장치의 위치에 따라 열전도율 및/또는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냉방장치의 위치에 따른 상기 단열재의 열전도율 및/또는 두께는 상기 냉방장치에 대한 온도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창틀에 설치되는 냉방장치에 사용되는 단열커버로서, 상기 냉방장치의 네 측면에 인접해서 상기 창틀에 고정되고 단열성을 가지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길이가 조절되며 단열성을 가지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단열커버이다.
상기 단열커버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의 길이를 늘렸을 때 상기 접이부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의 일측의 반대측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접이부는 함께 상기 냉방장치와 상기 창틀 사이의 틈새를 둘러쌀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예에 따라, 냉방장치와 창틀 사이의 틈새를 통한 외기 유입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예에 따라, 창틀 또는 냉방장치의 실내측에 표면 결로의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예에 따라, 창틀과의 밀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예에 따라, 단열커버가 창틀 또는 냉방장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가 창틀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커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단열커버를 창틀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단열커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수단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공기흡착 방식의 제1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단열커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단열재에 점착제가 구비된 단열커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커버의 단부에 제2 체결수단이 구비된 단열커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체결수단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체결수단의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커버의 단부에 점착제가 구비된 단열커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틈새를 메꾸기 위한 돌출부가 구비된 단열커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접이식 단열커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의 위치별 온도 측정 실험 결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커버(3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열커버(300)는 단열재(310)와 커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커버(300)는 창틀(20)에 설치된 냉방장치(10)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열커버(300)는 창틀(20)에 설치된 냉방장치(10)와 창틀(20) 사이의 틈새(30)를 통해 차가운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단열커버(300)는 냉방장치(10) 또는 창틀(20)의 실내측 표면 온도가 저하되어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단열재(310)는 틈새(30)를 통해 외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열재(310)의 일부는 냉방장치(10)를 둘러싸는 형태로 창틀(20)에 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열재(310)의 일부는 냉방장치(10)의 측면(13) 중에서 실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열재(310)의 일부는 냉방장치(10)의 전면(11)에 밀착될 수 있다.
단열재(310)는 소재 자체의 열전도율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공질이 되도록 만들어 기공 속의 공기의 단열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단열재(310)에는 유기질 또는 무기질 소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유기질 소재에는 코르크, 면, 펠트, 탄화코르크, 거품고무 등이 있고, 무기질 소재에는 석면, 유리솜, 석영솜,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분말, 마그네시아 분말, 규산칼슘, 펄라이트 등이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의 재료는 본 실시예의 단열재(310)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열재(310)에는 발포형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열재(310)는 압축력에 의해 부피가 감소하는 수축성을 가질 수 있다.
커버(320)는 단열재(310)를 덮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커버(320)는 단열재(310)에서 냉방장치(10)와 창틀(20)에 밀착되거나 대면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커버(320)는 단열재(310)에서 냉방장치(10)와 창틀(20)에 밀착되거나 대면하지 않는 부분의 일부를 노출하면서 부분적으로 덮을 수 있다. 커버(320)는 단열재(310)에 비해 좀 더 견고한 소재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단열재(310)를 보호하고 형상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커버(320)의 소재에는 플라스틱, 금속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커버(320)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커버(320)가 가요성을 가질 경우, 냉방장치(10)가 창틀(20)로부터 실내 측으로 돌출된 정도에 편차가 있는 경우에도 단열재(310)가 창틀(20)에 밀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단열커버(300)를 창틀(20)에 설치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열커버(300)는 냉방장치(10)와 창틀(20) 사이의 틈새(30)를 덮도록 설치되어 틈새(30)를 통해 외부의 냉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단열커버(300)는 냉방장치(10)의 전면을 덮음으로써 실내의 온기가 열전도성이 높은 냉방장치(10)의 케이스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단열커버(300)는 냉방장치(10)와 창틀(20)의 실내측 표면에서 결로가 생기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커버(5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예시된 단열커버(500)는 도 3에 예시된 단열커버(300)에 비해 제1 체결수단(530)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래 설명과 배치되는 부분을 제외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도 5의 단열커버(500)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체결수단(530)은 제1 체결부(531)와 제1 연결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수단(530)은 단열커버(500)를 냉방장치(10)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 체결부(531)는 냉방장치(10)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체결부(531)는 냉방장치(10)의 에어벤트에 체결되는 클립 형태일 수 있다.
제1 연결부(532)는 커버(320)와 제1 체결부(53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연결부(532)의 일단은 커버(3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체결부(531)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320)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532)의 일단은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체결부(531)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532)의 타단은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연결부(532)는 길이와 형태가 고정된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단열커버(500)는 제1 체결수단(530)을 통해 안정적으로 냉방장치(10)에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연결부(532)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다. 이 경우, 냉방장치(10)가 창틀(20)의 실내측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정도에 차이가 있더라도 제1 연결부(532)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제1 체결부(531)를 냉방장치(10)에 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연결부(532)는 냉방장치(10)를 향하도록 하는 힘을 커버(320)에 인가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532)는 탄성을 가지는 줄의 형태일 수 있다. 탄성을 가지는 제1 연결부(532)가 당겨진 상태에서 제1 체결부(531)가 냉방장치(10)의 에어벤트에 체결될 경우, 커버(320)에는 냉방장치(10)를 향하는 힘이 인가되므로 단열재(310)가 창틀(20)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제1 연결부(532)의 일단이 커버(3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1 연결부(532)의 일단은 단열재(3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수단(630)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체결수단(6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631)와 제1 연결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631)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632)는 제1 몸체(633)와 제2 몸체(6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633)에는 제1 나사부(635)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몸체(634)에는 제2 나사부(636)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나사부(635)와 제2 나사부(636)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나사가 형성되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나사부(635)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제2 나사부(636)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거나 또는 이와는 반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연결부(632)에 의하면, 제1 몸체(633)와 제2 몸체(634)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제1 연결부(632)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631)가 냉방장치의 에어벤트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몸체(633)를 제2 몸체(634)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제1 연결부(632)의 길이를 줄이면 커버(320)에 냉방장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므로 단열커버(500)가 창틀에 밀착되어 냉기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커버(7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단열커버(700)는 공기압축 방식의 제1 체결부(731)를 사용하는 점에서 도 5에 예시된 단열커버(500)와 차이가 있다. 아래 설명과 배치되는 부분을 제외하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도 7의 단열커버(700)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체결부(731)는 공기압축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731)는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로 구성되고, 제1 체결부(731)의 하면이 냉방장치의 표면에 밀착된 후, 제1 체결부(731)와 냉방장치의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면 기압에 의해 제1 체결부(731)가 냉방장치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 체결부가 클립 타입 또는 공기압축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체결부는 그 외에도 점착 필름 등과 같이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커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열커버(800)는 제1 점착제(840)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3에 예시된 단열커버(300)와 차이가 있다. 아래 설명과 배치되는 부분을 제외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도 8의 단열커버(800)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점착제(840)는 단열재(310)에서 창틀에 밀착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열커버(800)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창틀에 효과적으로 밀착되는 장점이 있다. 단열커버(800)에 제1 점착제(840)가 사용되는 경우, 단열재(310)는 수축이 잘되는 발포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320)는 가요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310)의 수축성과 커버(320)의 가요성이 우수할 경우, 냉방장치가 창틀로부터 실내를 향해 돌출되는 정도에 편차가 있더라도 커버(320)가 휘어지고 단열재(310)가 수축되면서 제1 점착제(840)가 창틀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점착제(840)는 필름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1 점착제(840)는 한번 부착되면 탈착이 곤란한 재료보다는 부착되었을 때 점착력을 가지면서도 탈착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예시된 단열커버(900)는 도 3에 예시된 단열커버(300)에 비해 제2 점착제(95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래에 설명할 내용과 배치되는 부분을 제외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도 9의 단열커버(900)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점착제(950)는 단열재(310)에서 냉방장치에 밀착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열커버(900)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냉방장치에 효과적으로 부착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점착제(950)는 다양한 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점착제의 일부(951)는 냉방장치의 전면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점착제의 일부(952)는 냉방장치의 측면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단열커버(900)에 제2 점착제(950)가 사용되는 경우, 단열재(310)는 수축이 잘되는 발포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320)는 가요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310)의 수축성과 커버(320)의 가요성이 우수할 경우, 냉방장치와 창틀의 형태 및/또는 상호 간의 거리에 편차가 있더라도 커버(320)가 휘어지고 단열재(310)가 수축되면서 제2 점착제(950)가 냉방장치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커버(10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열커버(1000)는 제2 체결수단(1060)을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3에 예시된 단열커버(300)와 차이가 있다. 아래에 설명할 내용과 배치되는 부분을 제외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도 10의 단열커버(1000)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체결수단(1060)은 커버(320)에서 창틀(20)에 마주하는 단부(32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수단(1060)은 커버(320)의 단부(321)를 창틀(20)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체결수단(1060)은 제2 체결부(1061)와 제2 연결부(10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1061)는 창틀(20)에 체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체결부(1061)는 창틀(20)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체결부(1061)는 공기압축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체결부(1061)는 고무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로 구성되고, 제2 체결부(1061)의 하면이 창틀(20)의 표면에 밀착된 후, 제2 체결부(1061)와 창틀(20)의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면 기압에 의해 제2 체결부(1061)가 창틀(20)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체결부(1061)는 점착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062)는 커버의 단부(321)와 제2 체결부(1061)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연결부(1062)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연결부(1062)는 커버의 단부(321)에 창틀(20)을 향하도록 하는 힘을 인가하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연결부(1062)는 탄성을 가지는 줄 형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체결부(1061)가 창틀(20)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열재(310)의 단부(311)는 제2 체결부(1061)의 단부(1063)에 비해 창틀(20)을 향해 더 돌출될 수 있다. 즉, 단열재의 단부(311)의 x축 상에서의 위치(1002)가 제2 체결부의 단부(1063)의 x축 상에서의 위치(1001)보다 창틀(20)에 더 근접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을 가지고 길이가 가변되는 제2 연결부(1062)를 당겨서 제2 체결부(1061)를 창틀(20)에 고정시킬 경우, 커버(320)에는 창틀(20)을 향하는 방향(x축 방향)의 힘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단열재(310)의 단부(311)는 창틀(20)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연결부(1062)의 길이가 가변되지 않더라도 단열재(310)가 압축력에 의해 수축되는 성질을 가지는 경우에도 단열재의 단부(311)가 창틀(20)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체결수단(1160)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체결수단(11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1161)와 제2 연결부(1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1161)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162)는 제2 체결부(1161)와 커버의 단부(321) 사이의 거리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연결부(1162)에는 제3 나사부(1163)가 형성되고, 커버(320)의 단부(321)에는 제4 나사부(1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나사부(1163)와 제4 나사부(1122)는 서로 대응되는 형태의 나사가 형성되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나사부(1163)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제4 나사부(1122)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거나 또는 이와는 반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에 예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연결부(1162)의 회전에 의해 제2 체결부(1161)와 커버의 단부(321)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체결부(1161)의 단부(1164)가 단열재의 단부(311, 도 10 참조)에 비해 창틀(20)에서 더 멀리 위치한 상태가 되도록 제2 연결부(1162)의 길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단열재(310)을 압축시키면서 제2 체결부(1161)를 창틀(20)에 고정하면 단열재의 단부(311)가 창틀에 밀착되어 공기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에 예시된 단열커버(1000)에서 제2 체결수단(1060)의 배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제2 체결수단(1060)은 냉방장치(10)를 둘러싸는 형태로 커버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냉방장치(10)를 둘러싸는 네 개의 변 중에서 각 변에는 복수의 제2 체결수단(1060)이 배치될 수 있다. 각 변에 배치되는 제2 체결수단(1060)의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체결수단(1060)이 냉방장치(10)를 둘러싸는 형태로 복수 개가 배치될 경우, 단열커버(1000)는 창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커버(1300)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열커버(1300)는 제3 점착제(1370)을 포함하는 점에서 도 3에 예시된 단열커버(300)와 차이가 있다. 제3 점착제(1370)는 도 10의 제2 체결수단(1060)의 일 예로 이해될 수 있다. 아래에 설명할 내용과 배치되는 부분을 제외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도 13의 단열커버(1300)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3 점착제(1370)는 커버(320)의 단부(321)에 형성되어 창틀(20)에 부착됨으로써 단열커버(1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3 점착제(1370)가 창틀(20)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열재(310)의 단부(311)는 제3 점착제(1370)의 단부(1371)에 비해 창틀(20)을 향해 더 돌출될 수 있다. 즉, 단열재의 단부(311)의 x축 상에서의 위치(1302)가 제3 점착제의 단부(1371)의 x축 상에서의 위치(1301)보다 창틀(20)에 더 근접할 수 있다. 이 경우, 단열재(310)를 압축시키며 제3 점착제(1370)를 창틀(20)에 부착하면 단열재의 단부(311)가 창틀(20)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단열커버(1300)에 제3 점착제(1370)가 사용되는 경우, 단열재(310)는 수축이 잘되는 발포성 재료로 형성될 경우 창틀(20)과의 밀착성이 개선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제3 점착제(1370)는 필름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3 점착제(1370)는 한번 부착되면 탈착이 곤란한 재료보다는 부착되었을 때 점착력을 가지면서도 탈착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커버(14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열커버(1400)는 돌출부(148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도 3에 예시된 단열커버(300)와 차이가 있다. 아래에 설명할 내용과 배치되는 부분을 제외하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은 도 14의 단열커버(14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돌출부(1480)는 단열재(310)에서 냉방장치(10)와 창틀(20) 사이의 틈새(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틈새(30)에 끼워질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돌출부(1480)는 단열재(310)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즉, 돌출부(1480)는 x축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480)는 틈새(30)에 효과적으로 끼워져 틈새(30)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돌출부(1480)의 단면은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돌출부(1480)는 단열재(3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단열커버(15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열커버(1500)는 고정부(1510)와 접이부(15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510)는 냉방장치(10)의 네 측면에 인접해서 창틀(20)에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고정부(1510)는 단열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1510)는 전술한 단열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접이부(1520)는 고정부(1510)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5에는 접이부(1520)가 고정부(1510) 중에서 도면 상에서 아래에 위치한 부분에 일단이 연결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접이부(1520)가 연결되는 고정부(1510)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접이부(1520)는 단열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이부(1520)는 전술한 단열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접이부(1520)가 접혀진 상태에서 고정부(1510)와 접이부(1520) 사이의 열린 공간이 냉방장치(10)의 송풍구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접이부(1520)의 길이를 늘렸을 때 접이부(1520)의 타단은 고정부(1510)의 일측의 반대측에 연결되어, 고정부(1510)와 접이부(1520)는 함께 냉방장치(10)와 창틀(20) 사이의 틈새(30)를 둘러쌀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이식(또는 셔터식) 단열커버(1500)를 사용하는 경우, 냉방장치(10)를 사용하는 계절에는 접이부(1520)를 접어서 냉방장치910) 송풍구의 전방을 개방하고, 냉방장치(10)를 사용하지 않는 계절에는 접이부(1520)를 펼쳐 냉방장치(10)와 틈새(30)가 실내 공간과 단열된 상태로 둘 수 있다.
도 17은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의 위치별 온도 측정 실험 결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냉방장치(10)의 위치에 따라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냉방장치(10)의 특정 위치에서 노점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형성되어 결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단열재를 형성할 때 대응하는 냉방장치의 위치에 따라 단열재의 열전도율 및/또는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냉방장치의 위치에 따른 단열재의 열전도율 및/또는 두께는 냉방장치에 대한 온도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냉방장치의 취약 위치나 취약 정도에 따라 대응하는 부분의 단열재 소재의 열전도율을 결정하거나 및/또는 단열재의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3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열커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3 내지 도 17에는 제1 체결수단, 제2 체결수단, 제1 점착제, 제2 점착제, 제3 점착제 등의 구성 및 이들의 변형예가 각각 별도로 단열커버에 포함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들 구성 및 변형예 중의 적어도 둘 이상이 함께 하나의 단열커버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예에 따라, 냉방장치와 창틀 사이의 틈새를 통한 외기 유입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창틀 또는 냉방장치의 실내측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창틀과의 밀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단열커버가 창틀 또는 냉방장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6)

  1. 창틀에 설치된 냉방장치에 사용되는 단열커버로서,
    상기 냉방장치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창틀에 밀착되는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단열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커버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커버와 상기 제1 체결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냉방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냉방장치의 에어벤트에 체결되는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공기압축 방식으로 상기 냉방장치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길이는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냉방장치를 향하도록 하는 힘을 상기 커버에 인가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에서 상기 창틀에 밀착되는 부분에는 제1 점착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제는 필름 형태로 상기 단열재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에서 상기 냉방장치에 밀착되는 부분에는 제2 점착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가요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서 상기 창틀에 마주하는 단부에는 제2 체결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수단은,
    상기 창틀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커버의 상기 창틀에 마주하는 단부와 상기 제2 체결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의 길이는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를 회전시킬 때 상기 커버의 단부와 상기 제2 체결부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창틀을 향하도록 하는 힘을 상기 커버의 단부에 인가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17. 청구항 16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창틀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의 단부는 상기 제2 체결부의 단부에 비해 상기 창틀을 향해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수단은 제3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19. 청구항 18 있어서,
    상기 제3 점착제가 상기 창틀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의 단부는 상기 제3 점착제의 단부에 비해 상기 창틀을 향해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에서 상기 냉방장치와 상기 창틀 사이의 틈새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틈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열재에서 멀어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면은 삼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대응하는 냉방장치의 위치에 따라 열전도율 및/또는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냉방장치의 위치에 따른 상기 단열재의 열전도율 및/또는 두께는 상기 냉방장치에 대한 온도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25. 창틀에 설치되는 냉방장치에 사용되는 단열커버로서,
    상기 냉방장치의 네 측면에 인접해서 상기 창틀에 고정되고 단열성을 가지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길이가 조절되며 단열성을 가지는 접이부;를 포함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접이부의 길이를 늘렸을 때 상기 접이부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의 일측의 반대측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접이부는 함께 상기 냉방장치와 상기 창틀 사이의 틈새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방장치 단열커버.
KR1020190130020A 2019-10-18 2019-10-18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 단열커버 KR102293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020A KR102293202B1 (ko) 2019-10-18 2019-10-18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 단열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020A KR102293202B1 (ko) 2019-10-18 2019-10-18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 단열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378A true KR20210046378A (ko) 2021-04-28
KR102293202B1 KR102293202B1 (ko) 2021-08-25

Family

ID=7572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020A KR102293202B1 (ko) 2019-10-18 2019-10-18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 단열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20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3558A (ja) * 1997-06-12 1999-03-05 Zexel Corp 空調装置の室内機
JPH11182922A (ja) * 1997-10-13 1999-07-06 Rf Yamakawa Kk 機器の外付け用空気洗浄フィルター
JP2000005047A (ja) * 1998-06-25 2000-01-11 Yutaka Yoshizuka 窓用の断熱シート
KR20020027863A (ko) * 2000-10-05 2002-04-15 구자홍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밀봉장치
KR100345084B1 (ko) 2000-06-19 2002-07-24 만도공조 주식회사 룸 에어컨용 보호커버
KR101670178B1 (ko) * 2015-06-29 2016-10-27 김명국 단열시트 블라인드
KR101991235B1 (ko) * 2019-02-13 2019-06-20 주식회사 태화론 에어컨 실외기용 보호덮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3558A (ja) * 1997-06-12 1999-03-05 Zexel Corp 空調装置の室内機
JPH11182922A (ja) * 1997-10-13 1999-07-06 Rf Yamakawa Kk 機器の外付け用空気洗浄フィルター
JP2000005047A (ja) * 1998-06-25 2000-01-11 Yutaka Yoshizuka 窓用の断熱シート
KR100345084B1 (ko) 2000-06-19 2002-07-24 만도공조 주식회사 룸 에어컨용 보호커버
KR20020027863A (ko) * 2000-10-05 2002-04-15 구자홍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밀봉장치
KR101670178B1 (ko) * 2015-06-29 2016-10-27 김명국 단열시트 블라인드
KR101991235B1 (ko) * 2019-02-13 2019-06-20 주식회사 태화론 에어컨 실외기용 보호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202B1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678Y1 (ko) 방화문 기밀 구조
US10603865B2 (en) Insulating member and its attaching method
CA2616059C (en) A composite thermally insulating material
KR101588288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미닫이 창호
KR101432668B1 (ko) 스테인리스 단열 창호 프레임
WO2018054324A1 (zh) 气膜建筑底部密封装置及气膜建筑
KR101645974B1 (ko) 진공단열재 내장 복합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6378A (ko) 창틀 거치형 냉방장치 단열커버
KR101560125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단열 박스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단열 박스
KR101526181B1 (ko) 커튼월의 틀 구조
KR20170001850U (ko) 방화문용 단열유닛 및 이를 갖는 방화문
KR20150089572A (ko) 에너지 고효율 커튼월 창 구조체
JP5300351B2 (ja) 建築用真空断熱ボード
JP2006117133A (ja) 真空断熱材を具備した鉄道車両の車体または鉄道保冷車両の車体
CN212271268U (zh) 一种建筑外墙保温装置
KR20210061291A (ko) 내경 조절형 배관 단열 자재
CN106567460A (zh) 气膜
CN108759042A (zh) 空调器的连通管及空调器
KR102302052B1 (ko) 복합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문의 선형 열교 및 선형 누기 차단 구조
KR101492067B1 (ko) 프레임 단열보강 연결구
CN212224258U (zh) 一种建筑外墙隔热体
CN214501675U (zh) 一种用于空调系统中的保温箱体
KR200483198Y1 (ko) 단열 복합 창호
JP2010013840A (ja) 住宅
CN216114919U (zh) 一种冷库的通风口的密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