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450A - 부직포 제조 방법 및 설비 - Google Patents

부직포 제조 방법 및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450A
KR20210045450A KR1020217007881A KR20217007881A KR20210045450A KR 20210045450 A KR20210045450 A KR 20210045450A KR 1020217007881 A KR1020217007881 A KR 1020217007881A KR 20217007881 A KR20217007881 A KR 20217007881A KR 20210045450 A KR20210045450 A KR 20210045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nonwoven fabric
rotating
collecto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스케 다니구치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76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llecting device, e.g. drum, wheel, endless belt, plate or grid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4Dry spin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컬렉터로부터의 박리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부직포를 보다 장시간 연속하여 제조하는 부직포 제조 방법 및 설비를 제공한다.
대전 벨트(13)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층 형성 공정과 제2 층 형성 공정과 박리 공정에 의하여 부직포(11)를 제조한다. 제1 층 형성 공정은 제1 용액(16)을 대전시켜 제1 층(11a)을 형성한다. 제2 층 형성 공정은 제2 용액(17)을 대전시켜 제2 층(11b)을 형성한다. 박리 공정은 제1 층(11a)과 제2 층(11b)을 구비하는 부직포(11)를 대전 벨트(13)로부터 박리한다. 제1 용액(16)은 제2 용액(17)보다 폴리머의 농도가 높다.

Description

부직포 제조 방법 및 설비
본 발명은, 부직포 제조 방법 및 설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수 nm 이상 1000nm 미만의 나노 오더의 직경을 갖는 이른바 파이버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가 있다. 이러한 매우 가는 파이버로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전계 방사법(일렉트로스피닝법, 혹은 일렉트로디포지션법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음)을 이용한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예를 들면 노즐과 컬렉터와 전압 인가부를 갖는 전계 방사 장치를 이용하여 행해지고, 전압 인가부에 의하여 노즐과 컬렉터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로써, 예를 들면 노즐을 플러스, 컬렉터를 마이너스로 대전시킨다.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파이버의 소재(이하, 파이버재라고 칭함)가 용매에 용해된 용액을, 노즐의 개구로부터 내보낸다. 노즐로부터 나온 용액은, 컬렉터로 유인되는 동안에 파이버를 형성하고, 이 파이버가 컬렉터 상에 부직포로서 포집된다.
노즐을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의 개구에서, 용액에 용해되어 있던 파이버재가 고화되어 버려, 개구가 폐색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파이버를 연속하여 형성하는 시간에는 한계가 있다. 그 결과, 부직포를 연속하여 제조하기에도 한계가 있다.
컬렉터에 형성한 부직포를 사용에 제공하는 경우에는, 부직포를 컬렉터로부터 박리한다. 그러나, 부직포를 박리하는 경우에, 부직포와 컬렉터의 접착력이 과도하게 강하여, 그 때문에 일부가 컬렉터에 박리되지 않고 남거나, 부직포가 파단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박리성에 관하여,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전계 방사법에 있어서, 용액이 분출하는 부분과 컬렉터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부직포와 컬렉터의 접착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회전축과 원판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부재를, 파이버재가 용해되어 있는 용액에 접촉시켜, 회전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판의 측면 전체에 용액이 코팅된 상태로 하고 있다. 또, 회전 부재로부터 용액을 비상(飛翔)시키는 수법은, 특허문헌 2에도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27629호 특허문헌 2: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7-505224호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수법은, 노즐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파이버를 장시간 연속할 수 있는 점에서 메리트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수법에 있어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컬렉터로부터의 박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회전 부재와 컬렉터의 거리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목적으로 하는 부직포를 얻기 위한 조건을 알아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회전 부재와 컬렉터의 거리는, 파이버의 직경, 및 부직포에 있어서의 파이버끼리의 밀착력 등에 큰 영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박리성을 향상시키면서 목적으로 하는 부직포를 얻기 위한 조건을 알아내는 것은,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수법에 있어서도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컬렉터로부터의 박리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부직포를 보다 장시간 연속하여 제조하는 부직포 제조 방법 및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 방법은, 제1 층 형성 공정과, 제2 층 형성 공정과, 박리 공정을 가지며, 장척의 컬렉터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폴리머와 용매를 함유하는 대전시킨 용액을, 이 용액과 반대 극성으로 대전시켰거나 또는 전위를 제로로 한 컬렉터로 유인함으로써, 폴리머로 형성된 파이버를 부직포로서 포집한다. 제1 층 형성 공정은, 컬렉터의 아래에 배치된 제1 용액에 접하면서 회전하고, 도체로 형성된 제1 회전 도체에 의하여, 제1 용액을 대전함으로써, 이동 중인 컬렉터에 제1 파이버로 구성된 제1 층을 형성한다. 제2 층 형성 공정은, 컬렉터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용액보다 하류에서 컬렉터의 아래에 배치된 제2 용액에 접하면서 회전하고, 도체로 형성된 제2 회전 도체에 의하여, 제2 용액을 대전함으로써, 제2 파이버로 구성된 제2 층을 제1 층에 겹친 상태로 형성한다. 박리 공정은, 제1 층과 제2 층을 구비하는 부직포를 컬렉터로부터 박리한다. 제1 용액은 제2 용액보다 폴리머의 농도가 높다.
제1 용액과 제2 용액의 농도의 차는 적어도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전 도체와 제2 회전 도체는, 컬렉터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전 도체와 제2 회전 도체는, 컬렉터와의 전위차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전 도체는, 회전 중심부터 둘레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전 도체는, 둘레 가장자리에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며, 복수의 돌기의 정점은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는, 셀룰로스트라이아세테이트와, 셀룰로스다이아세테이트와, 셀룰로스프로피오네이트와, 셀룰로스뷰티레이트와,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와, 나이트로셀룰로스와, 에틸셀룰로스와, 카복시메틸에틸셀룰로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다이클로로메테인, 클로로폼, 아세트산 메틸, 아세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 제조 설비는, 장척의 컬렉터와, 이동 기구와, 제1 용기와, 제1 회전 도체와, 제2 용기와, 제2 회전 도체와, 전위차 발생기를 구비하며, 폴리머와 용매를 함유하는 대전시킨 용액을, 이 용액과 반대 극성으로 대전시켰거나 또는 전위를 제로로 한 컬렉터로 유인함으로써, 폴리머로 형성된 파이버를 부직포로서 포집한다. 이동 기구는, 컬렉터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 용기는, 제1 용액이 수용되어, 컬렉터의 아래에 배치된다. 제1 회전 도체는, 제1 용액에 접하면서 회전하고, 도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용기는, 제2 용액이 수용되어, 컬렉터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용기보다 하류이고, 또한 컬렉터의 아래에 배치된다. 제2 회전 도체는, 제2 용기 내의 제2 용액에 접하면서 회전하고, 도체로 형성되어 있다. 전위차 발생기는, 제1 회전 도체 및 제2 회전 도체와, 컬렉터에 전위차를 발생시킨다. 상기의 제1 용액은 상기의 제2 용액보다 폴리머의 농도가 높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컬렉터로부터의 박리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부직포를 보다 장시간 연속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부직포 제조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회전 도체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부직포 제조 설비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제1 회전 도체 및 제2 회전 도체의 설명도이다.
도 5는 회전판의 개략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부직포 제조 설비(10)의 개략도이며, 부직포(11)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부직포(11)는, 예를 들면 와이핑 클로스, 필터, 혹은 상처 부위 등에 대는 의료용 부직포(드레이프라고 불림) 등으로서 이용 가능하다.
부직포(11)는 직경이 서로 다른 2종류의 나노 파이버(12)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층(11a)과 제2 층(11b)이 두께 방향으로 겹쳐진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층(11a)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일방의 제1 파이버(12a)로 구성되어 있다. 제2 층(11b)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 파이버(12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파이버(12a)와 제2 파이버(12b)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들을 일괄하여 나노 파이버(12)라고 칭한다.
제1 층(11a)은, 후술하는 대전 벨트(13)의 표면에 직접 형성되고, 제2 층(11b)은 제1 층(11a)의 대전 벨트(13) 측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제1 층(11a)에 겹쳐지는 층은, 제2 층(11b)의 1층뿐이지만, 제2 층(11b)의 표면에 또 다른 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부직포는 이와 같이 2층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직경이 다른 3종 이상의 나노 파이버(12)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대전 벨트(13)는, 나노 파이버(12)를 부직포(11)로서 포집하는 컬렉터의 일례이다. 대전 벨트(13)는,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예에서는 환상의 무단 벨트로 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조된 부직포(11)는, 이 대전 벨트(13)로부터 박리된 후에, 상술과 같은 각 용도에 이용된다.
제1 파이버(12a)는, 제2 파이버(12b)의 직경을 Db로 했을 때에, 1×Db보다 크고 3×Db 이하의 범위 내인 직경 Da를 갖는다. 제2 파이버(12)의 직경 Db는, 50nm 이상 3000n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 파이버(12)는 전계 방사법에 의하여, 나노 파이버재인 폴리머가 용매에 용해된 용액으로 형성된다. 제1 파이버(12a)를 형성하는 용액을 제1 용액(16)으로 하고, 제2 파이버(12b)를 형성하는 용액을 제2 용액(17)으로 한다. 부직포 제조 설비(10)는, 제1 용액(16)을 수용하는 제1 용기(21)와, 제2 용액(17)을 수용하는 제2 용기(22)를 구비한다. 제1 용기(21)와 제2 용기(22)는, 대전 벨트(13)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용기(22)는, 대전 벨트(13)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용기(21)보다 하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용액(17)은, 대전 벨트(13)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용액(16)보다 하류에 위치한다.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이 함유하는 폴리머로서는,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중에서도, 셀룰로스계 폴리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스계 폴리머로서는, 셀룰로스트라이아세테이트(이하, TAC라고 칭함)와, 셀룰로스다이아세테이트와, 셀룰로스프로피오네이트와, 셀룰로스뷰티레이트와,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와, 나이트로셀룰로스와, 에틸셀룰로스와, 카복시메틸에틸셀룰로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머를 이용한 경우에는, 비교적 증발하기 쉬운 용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형성할 수 있는 나노 파이버(12)의 직경의 자유도가 크다. 즉, 직경이 작은(가는) 나노 파이버(12)를 다른 폴리머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직경이 큰(굵은) 나노 파이버(12)도 형성하기 쉽다. 그 때문에, 용도에 따른 부직포(11)를 제조하기 쉽다. 또, 이들 폴리머를 이용한 경우에는, 대전 벨트(13)로부터의 후술하는 박리성의 향상이 보다 현저하다.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이 함유하는 폴리머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본 예에서는,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에는 동일한 폴리머를 이용하고 있다.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이 함유하는 용매는, 파이버재로서의 폴리머를 용해할 수 있는 액체의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머가, 상기의 셀룰로스계 폴리머인 경우에는, 비교적 저온에서도 증발하기 쉬운 용매를 이용하는 편이, 나노 파이버(12)의 직경을 가늘게도 굵게도 조정하기 쉬운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용매로서는, 다이클로로메테인(이하, DCM이라고 칭함)과, 클로로폼과, 아세트산 메틸과, 아세톤 중 적어도 어느 것을 들 수 있다. 또, 용매는, 복수의 화합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혼합물로서는, DCM과 클로로폼과 아세트산 메틸과 아세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메탄올(이하, MeOH라고 칭함)과, 에탄올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한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과 같이 비상시킨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의 증발 속도를 조정하기 쉬운 관점에서는, 용매는 혼합물인 편이 바람직하다.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의 용매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의 용매는, 공통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는,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의 용매를, 혼합물로 하고, 서로 동일한 처방(성분, 및 각 성분의 배합 비율)으로 하고 있다.
제1 용액(16)은, 제2 용액(17)보다 폴리머의 농도가 높다.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의 폴리머의 농도의 차는 적어도 1%인 것, 즉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의 농도의 차는, 1% 이상 1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 이상 5%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부직포 제조 설비(10)는, 도체로 형성된 제1 회전 도체(23) 및 제2 회전 도체(24)를 구비한다. 제1 회전 도체(23) 및 제2 회전 도체(24)는, 제1 용액(16) 및 제2 용액(17)을 대전시켜, 사상(絲狀)으로 비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 회전 도체(23)와 제2 회전 도체는 회전 기구(27)를 갖는다. 제1 회전 도체(23)는, 상부가 개방된 제1 용기(21)에 마련된다. 제1 회전 도체(23)는, 회전 기구(27a)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23a)과, 회전축(23a)에 고정된 진원(眞圓)의 원판(23b)을 갖는다. 원판(23b)의 중앙에는 원형의 개구(23o)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23o)와 회전축(23a)은 끼워맞춰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원판(23b)은 회전축(23a)과 일체로 둘레 방향으로 회전한다. 원판(23b)은, 적어도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가 제1 용액(16)의 액면으로부터 나온 상태로 배치된다. 이로써, 제1 회전 도체(23)는 제1 용액(16)에 접하면서 회전한다. 회전함으로써, 제1 용액(16)의 액면으로부터 나온 원판(23b) 중 적어도 둘레 가장자리는 제1 용액(16)이 부착된 상태가 된다.
회전축(23a)과 원판(23b)의 양방이 도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23a)이 전압 인가부(28)에 접속되어 있다. 전압 인가부(28)에 의하여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제1 용액(16)은, 제1 극성으로 대전된 상태가 된다.
이 예의 제1 회전 도체(23)의 개수는, 하나이지만, 대전 벨트(13)의 이동 방향으로 복수를 나열한 상태로 배치해도 된다. 제1 회전 도체(23)를 복수 마련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제1 용기(21)에, 복수의 제1 회전 도체(23)를 배치해도 되고, 대전 벨트(13)의 이동 방향으로 복수의 제1 용기(21)를 나열한 상태로 마련하여, 각 제1 용기(21)에 제1 회전 도체(23)를 마련해도 된다.
제2 회전 도체(24)는, 상부가 개방된 제2 용기(22)에 마련된다. 제2 회전 도체(24)는, 제1 회전 도체(23)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회전 기구(27a)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24a)과, 회전축(24a)에 고정된 진원의 원판(24b)을 갖는다. 원판(24b)의 중앙에는 원형의 개구(24o)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24o)와 회전축(24a)은 끼워맞춰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원판(24b)은 회전축(24a)과 일체로 둘레 방향으로 회전한다. 원판(24b)은, 적어도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가 제2 용액(17)의 액면으로부터 나온 상태로 배치된다. 이로써, 제2 회전 도체(24)는 제2 용액(17)에 접하면서 회전한다. 회전함으로써, 제2 용액(17)의 액면으로부터 나온 원판(24b)의 둘레 가장자리는 제2 용액(17)이 부착된 상태가 된다.
회전축(24a)과 원판(24b)의 양방이 도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24a)이 전압 인가부(28)에 접속되어 있다. 전압 인가부(28)에 대하여, 회전축(24a)과 회전축(23a)은 병렬 접속으로 되어 있다. 전압 인가부(28)에 의하여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는, 액면으로부터 나온 원판(24b)의 둘레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있는 제2 용액(17)도, 제1 용액(16)과 동일 극성인 제1 극성으로 대전된 상태가 된다.
제1 회전 도체(23)와 제2 회전 도체(24)의 소재인 상기 도체로서는, 제1 용액(16) 및 제2 용액(17)에 이용되고 있는 용매에 대하여 내식성이 있고, 또한 도전성이 있는 금속 재료를 이용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제1 용액(16) 및 제2 용액(17)의 용매 성분에 DCM을 이용하고 있으며, 그 때문에 DCM에 대한 내식성과 도전성의 양 관점에서, 상기 도체로서,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도체는, 스테인리스강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미국 헤인즈사의 하스텔로이(등록상표), 타이타늄 합금, 철강, 구리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스텔로이(등록상표)는 니켈기 합금(니켈에 몰리브데넘 및/또는 크로뮴 등을 첨가한 합금)이다.
이 예에서는, 1개의 제2 용기(22)에, 3개의 제2 회전 도체(24)를 마련하고 있으며, 이들은 대전 벨트(13)의 이동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단, 제2 용기(22)를 대전 벨트(13)의 이동 방향으로 3개 나열한 상태로 마련하고, 각 제2 용기(22)에 제2 회전 도체(24)를 마련해도 된다. 이와 같이, 1개의 제2 용기(22)에 마련하는 제2 회전 도체(24)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제2 회전 도체(24)의 개수도 본 예의 3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이어도 된다.
전압 인가부(28)가 회전축(23a, 24a)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축(23a, 24a)과 원판(24b)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회전축(23a, 24a)과 원판(24b)의 각 전체가 도체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부직포 제조 설비(10)는, 포집부(32)와, 상술한 전압 인가부(28)를 추가로 구비한다. 포집부(32)는, 상술한 대전 벨트(13)와, 이동 기구(33)와, 권취부(34)와, 롤러(35)를 갖는다. 대전 벨트(13)는, 금속제의 띠형상물을 환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대전 벨트(13)는, 전압 인가부(28)에 의하여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대전하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제로 된다.
이동 기구(33)는, 한 쌍의 롤러(37, 38)와, 모터(4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전 벨트(13)는, 한 쌍의 롤러(37, 38)에 수평으로 걸쳐져 있다. 일방의 롤러(37, 38)의 각각의 축에는 방사실(42)의 외부에 배치된 모터(41)가 접속되어 있으며, 롤러(37, 38)를 소정 속도로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하여 대전 벨트(13)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롤러(37)와 롤러(38)의 사이에서 순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대전 벨트(13)의 이동 속도는, 10cm/시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한 쌍의 롤러(37, 38)의 일방만을 모터(41)에 의하여 회전시켜도 된다.
전압 인가부(28)는, 제1 회전 도체(23) 및 제2 회전 도체(24)와, 대전 벨트(13)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위차 발생기의 일례이다. 전압 인가부(28)는, 제1 회전 도체(23) 및 제2 회전 도체(24)와, 대전 벨트(13)에 접속되어 있고, 이들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로써, 제1 회전 도체(23) 및 제2 회전 도체(24)를 제1 극성으로 대전시키고, 대전 벨트(13)를 제1 극성과 반대 극성인 제2 극성으로 대전시킨다. 제1 용액(16)은, 대전된 제1 회전 도체(23)의 원판(23b)에 접촉함으로써 제1 극성으로 대전된다. 그리고, 회전하고 있는 원판(23b)에 부착된 제1 용액(16)은, 제1 용액(16)의 액면보다 위의 위치에서, 제2 극성으로 대전되어 있는 대전 벨트(13)로 유인되어, 대전 벨트(13)를 향하여 사상으로 비상한다. 제2 용액(17)도 마찬가지로, 대전된 제2 회전 도체(24)의 원판(24b)에 접촉함으로써 제1 용액(16)과 동일하게 제1 극성으로 대전되고, 대전된 상태에서 제2 용액(17)의 액면 상의 원판(24b)으로부터 대전 벨트(13)를 향하여 사상으로 비상한다.
제1 회전 도체(23) 및 제2 회전 도체(24)로부터 제1 용액(16) 및 제2 용액(17)을 비상시키기 때문에, 장시간 안정적으로 나노 파이버(1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즐 방식과 같이 고화된 폴리머에 의하여 노즐이 폐색되는 일은 없다. 또, 제1 회전 도체(23) 및 제2 회전 도체(24)는, 제1 용기(21) 및 제2 용기(22)에 수용되어 있는 제1 용액(16) 및 제2 용액(17)에 반복하여 침지됨으로써, 폴리머의 고화가 억제되어, 미량으로 고화된 경우여도 용해된다. 장시간 안정적으로 나노 파이버(12)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직포(11)를 보다 장척으로 형성하거나, 두께를 보다 크게 한 부직포(11)를 제조할 수 있다.
이동 중인 대전 벨트(13)에는, 먼저 대전 벨트(13)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제2 용액(17)보다 상류 측에 위치하는 제1 용액(16)으로 형성된 제1 파이버(12a)가 포집되고, 퇴적되어, 제1 층(11a)이 형성된다(제1 층 형성 공정). 다음으로, 제2 용액(17)으로 형성된 제2 파이버(12b)가 제1 층(11a)에 포집되고, 퇴적되며, 제2 층(11b)은 제1 층(11a)에 겹친 상태로 형성된다(제2 층 형성 공정). 이와 같이 하여, 제1 파이버(12a) 및 제2 파이버(12b)가 부직포(11)로서 포집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한 쌍의 롤러(37, 38) 중, 지면(紙面) 좌측의 일방을 롤러(37)로 하고, 우측의 타방을 롤러(38)로 하고 있으며, 롤러(37)로부터 롤러(38)를 향하는 대전 벨트(13)에 대하여, 부직포(11)를 형성하고 있다.
제2 층(11b)은, 부직포(11)로서의 목적으로 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층이다. 그 때문에, 제2 층(11b)을 구성하는 제2 파이버(12b)는, 목적으로 하는 기능에 따른 직경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목적으로 하는 기능에 따라 예를 들면 공극률이 보다 큰 부직포(11)로 하는 경우에는, 제2 층(11b)을 구성하는 제2 파이버(12b)를 보다 가늘게 형성한다. 그러나, 대전 벨트(13)에 접한 나노 파이버(12)가 가늘수록, 부직포와 대전 벨트의 접착력이 강해지고, 그 때문에 부직포를 후술한 바와 같이 박리하는 경우에 부직포가 파단되거나, 대전 벨트(13)에 박리 잔류가 발생하기 쉽다.
이 점, 본 예에서는, 제1 용액(16)은, 제2 용액(17)보다 폴리머의 농도가 높게 되어 있으며, 그 때문에 제1 파이버(12a)가, 제2 파이버(12b)보다 굵게 형성된다. 그 결과, 제1 파이버(12a)에서 제1 층(11a)이 대전 벨트(13)에 접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대전 벨트(13)와의 접착력이 저감된 부직포(11)가 얻어진다. 따라서, 부직포(11)를 박리하는 경우에, 부직포(11)는 보다 약한 힘으로 박리될 수 있으며, 부직포(11)는 파단이 억제되어, 대전 벨트(13) 상의 박리 잔류도 억제된다. 이와 같이, 제2 용액(16)보다 폴리머의 농도가 높은 제1 용액(16)을, 제2 용액(17)보다 먼저 방사함으로써, 이상과 같이 박리성이 향상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예를 들면 후술하는 거리(L1)를 조정하지 않아도, 미리 제1 용액(16)을 제2 용액(17)보다 높은 농도로 조제해 두는 것만으로, 박리성이 향상된다.
박리성을 향상시킬 목적만으로 제1 층(11a)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제2 층(11b)은 부직포(11)로서의 목적으로 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이른바 부직포 본체이기 때문에, 제2 층(11b)이 부직포(11)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두께로 된다. 박리성의 향상 목적의 관점에서는, 제1 층(11a)은, 적어도 0.02mm의 두께로, 즉 0.02mm 이상의 두께로 형성하면 확실하고,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0.02mm 이상 0.2mm 이하의 범위 내로 되어 있다.
제1 층(11a)에는, 박리성의 향상에 더하여, 부직포(11)로서의 목적으로 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제1 층(11a)의 두께는, 제2 층(11b)과 동일하거나, 또는 제2 층(11b)보다 크게 해도 된다.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의 폴리머의 농도의 차가 적어도 1%이기 때문에, 상기의 박리성의 향상은, 보다 확실하다.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의 용매는, 공통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점에서, 제1 파이버(12a)와 제2 파이버(12b)를 형성하는 조건을 서로 동일하게 해도, 제1 파이버(12a)와 제2 파이버(12b)를 직경이 서로 다른 양태로 형성하기 쉽다. 본 예에서는 또한, 서로 동일한 처방, 즉 성분 및 각 성분의 배합 비율이 동일한 혼합물을,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의 용매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 효과는 보다 현저하다.
제1 회전 도체(23)와 제2 회전 도체(24)의 각각은, 전압 인가부(28)에 대하여 병렬 접속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원판(23b)과 원판(24b)은 전위가 동일해지기 때문에,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의 전위도 동일해지고, 그 때문에 대전 벨트(13)와의 전위차가 서로 동일해진다. 그 결과,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의 폴리머의 농도차가 보다 확실히 파이버(12)의 직경의 차로서 작용한다.
롤러(35)는, 대전 벨트(13)와 권취부(34)의 사이에 마련되며, 권취부(34)를 향하는 부직포(11)를 지지한다. 이로써, 부직포(11)는, 대전 벨트(13)로부터 일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박리된다(박리 공정). 상술한 방사실(42)은, 예를 들면 제1 용기(21)와, 제2 용기(22)와, 포집부(32)의 일부 등을 수용하고 있다. 방사실(42)은, 밀폐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용매 가스 등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용매 가스는, 제1 용액(16) 및 제2 용액(17)의 용매가 기화한 것이다.
권취부(34)는 권취축(45)을 갖는다. 권취축(45)은 모터(도시 없음)에 의하여 회전되며, 이로써 권취축(45)에 세팅되는 권심(46)에, 부직포(11)가 권취된다. 연속적으로 제조됨으로써 얻어진 장척의 부직포(11)는, 용도에 따른 사이즈 및 형상으로 컷팅되어, 사용에 제공된다.
전압 인가부(28)에 의하여 인가하는 전압은, 5kV 이상 100kV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5kV 이상임으로써, 5kV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 대전 벨트(13)에 제1 용액(16) 및 제2 용액(17)이 유인되기 쉽다. 100kV 이하임으로써, 100kV보다 큰 경우에 비하여, 제1 회전 도체(23) 및 제2 회전 도체(24)와 대전 벨트(13)의 사이의 방사 공간에 있어서, 제1 용액(16) 및 제2 용액(17)이 액적을 형성해 버리는 것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그 때문에, 부직포로의 비즈(미소구)의 혼입이 방지된다.
전압 인가부(28)에 의하여 인가하는 전압은, 10kV 이상 80kV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kV 이상 60kV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0kV 이상 50kV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회전 도체(23) 및 제2 회전 도체(24)를 플러스(+)로 대전시켜, 대전 벨트(13)를 어스함으로써 전위를 제로로 하고 있지만, 대전 벨트(13)는 제1 회전 도체(23) 및 제2 회전 도체(24)와는 반대 극성의 마이너스(-)로 대전시켜도 된다. 또, 제1 회전 도체(23) 및 제2 회전 도체(24)를 마이너스, 대전 벨트(13)를 마이너스로 대전시켜도 된다. 또, 롤러(37)로부터 롤러(38)를 향하는 대전 벨트(13)의 부직포(11)가 형성되는 표면과는 반대 측의 표면에 이온풍을 분사하는 이온풍 공급 장치를 전위차 발생기로서 마련해도 된다. 이온풍 공급 장치는, 전압 인가부(28) 대신에 이용해도 되고, 전압 인가부(28)와 병용해도 된다. 이로써, 대전 벨트(13)를 제2 극성으로 대전시키거나, 전위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제1 회전 도체(23) 및 제2 회전 도체(24)는, 대전 벨트(13)로부터의 거리(L1)(도 2 참조)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본 예에서도 그와 같이 하고 있다. 거리(L1)는, 이 예에서는, 원판(23b, 24b)과, 대전 벨트(13)의 거리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거리(L1)를 제1 회전 도체(23)만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제2 회전 도체(24)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1 회전 도체(23) 및 제2 회전 도체(24)는 거리(L1)가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대전 벨트(13)와의 전위차도 서로 동일해진다. 그 결과,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의 폴리머의 농도차가 보다 확실히 파이버(12)의 직경의 차로서 작용한다.
거리(L1)는, 파이버재인 폴리머와 용매(26)의 종류, 및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에 있어서의 폴리머의 농도 등에 따라 적절한 값이 다르지만, 50mm 이상 300mm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150mm로 하고 있다.
제1 회전 도체(2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용액(16)의 비상원(元)인 원판(23b)의 일부가, 제1 용기(21)에 수용되어 있는 제1 용액(16)의 액면으로부터 나온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이로써, 제1 용액(16)이 회전하는 원판(23b)에 연속하여 도포되고, 또한 대전 벨트(13)와의 전위차가 확실히 유지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연속한 비상이 보다 확실해진다. 제2 회전 도체(24)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여기에서, 원판(23b)의 직경을 D1로 하고, 제1 용액(16)의 액면으로부터 원판(23b)의 가장 위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D2로 하며, 액면으로부터 원판(23b)의 가장 아래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D3으로 한다. 거리(D3)를 직경(D1)으로 제산한 비 D3/D1은, 0.001 이상 1 미만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 D3/D1이 0.001 이상임으로써 0.001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 제1 파이버(12a)가 형성되기에 충분한 제1 용액(16)이 원판(23b)에 공급된다. 비 D3/D1이 1 미만임으로써, 1 이상인 경우에 비하여, 단위 시간당 나노 파이버(12)의 형성량이 크고, 또한 대전 벨트(13)와의 전위차가 확실히 유지된 상태가 된다.
비 D3/D1은, 0.01 이상 0.8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이상 0.7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0.3 이상 0.6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2 회전 도체(24)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원판(23b)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진원이기 때문에, 회전 중심(CR)부터 둘레 가장자리까지의 거리(D4)가 일정하다. 그 때문에, 회전 중인 원판(23b)과 대전 벨트(13)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제1 파이버(12a)가 안정적으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원판(24b)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1 회전 도체(23)와 제2 회전 도체(24)는 제1 회전 도체(23)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있어서는, 제1 회전 도체(23)를 도시하며, 제1 회전 도체(23)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고, 제2 회전 도체(24)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회전 도체(23)는, 회전축(23a)에 원판(23b)이 복수 마련된 구성인 것이, 부직포(11)를 보다 큰 폭으로 제조하는 관점에서는 보다 바람직하다. 제1 회전 도체(23)는, 회전축(23a)의 길이 방향을 대전 벨트(13)의 폭방향에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1 회전 도체(23)는, 회전축(23a)의 길이 방향을 대전 벨트(13)의 폭방향에 교차(단 직교를 제외함)한 상태로 배치되어도 된다.
도 3에는, 회전축(23a)에 마련된 원판(23b)을, 편의상 5개로 하여 그리고 있지만, 원판(23b)의 수는 본 예에서는 15개로 하고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원판(23b)끼리의 피치(P1)는, 대전 벨트(13)와 제1 회전 도체(23)의 전위차의 설정값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2mm 이상 5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원판(23b)의 두께는 원판(23b)끼리가 접촉하지 않는 두께로 하고, 예를 들면 1mm 또는 1mm에 못 미치는 두께여도 되며, 본 예에서는 1mm로 하고 있다. 피치(P1)가 2mm 이상임으로써, 제1 파이버(12a)가, 개개의 원판(23b)으로부터, 보다 확실히 비상한다. 피치(P1)가 50mm 이하임으로써, 제1 층(11a)의 두께 불균일이 보다 확실히 억제된다. 또한, 피치(P1)는, 인접하는 원판(23)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끼리의 거리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23a)과, 복수의 회전축(24a)의 각각은,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예에서도 그와 같이 되어 있다. 또한, 서로가 이루는 각이 5° 이내이면, 평행으로 간주하고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원판(23b)과 원판(24b)이, 대전 벨트(13)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직선 상에 나열되는 양태로 제1 회전 도체(23)와 복수의 제2 회전 도체(24)가 배치되어 있지만, 원판(23b)과 각 제2 회전 도체(24)의 원판(24b)은 대전 벨트(13)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직선 상에 나열되어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대전 벨트(13)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회전축(23a, 24a)끼리의 각 피치(P2)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상관없다. 하나의 제2 용기(22) 내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회전축(24a)끼리의 피치(P2)는, 서로의 원판(24b)끼리가 맞닿지 않는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피치(P2)는, 대전 벨트(13)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회전축(23a, 24a)의 중심간 거리이다.
대전 벨트(13)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회전축(23a, 24a)끼리의 거리(D5)는, 대전 벨트(13)와 제1 회전 도체(23) 및 제2 회전 도체(24)와의 전위차의 설정값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10mm 이상 20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D5)가 10mm 이상임으로써, 제1 파이버(12a)는 개개의 원판(23b)으로부터, 제2 파이버(12b)는 개개의 원판(24b)으로부터, 보다 확실히 비상한다. 거리(D5)가 200mm 이하임으로써, 단위 시간당 나노 파이버(12)의 형성량이 보다 크고, 부직포(11)의 생산성이 양호하다.
제1 회전 도체(23) 및 제2 회전 도체(24)는,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판(23b, 24b) 대신에, 도 5에 나타내는 회전판(61)을 이용해도 된다. 회전판(61)은, 둘레 가장자리에 돌기(61a)를 복수 구비한다. 도 5의 회전판(61)은, 돌기(61a)를 10개 구비하지만, 돌기(61a)의 수는 10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2개이면 된다. 돌기(61a)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V자형으로 되어 있다. 이 회전판(61)은, 중앙의 개구(61b)에 회전축(23a) 및 회전축(24a)이 삽통되고, 회전축(23a, 24a)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회전 도체 및 제2 회전 도체를 구성한다.
이 회전판(61)을 구비하는 제1 회전 도체 및 제2 회전 도체를 이용한 경우에는, 돌기(61a)의 정점(61t)이, 제1 용액(16) 및 제2 용액(17)의 비상원이 되어, 정점(61t)으로부터 비상한다. 이것은, 정점(61t)에 전계가 집중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 때문에, 원판(23b, 24b)을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인가하는 전압을 낮게 억제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원판(23b, 24b)을 이용한 경우의 인가 전압이 40kV 정도였던 경우에 비하여, 회전판(61)을 이용한 경우에는 20kV 정도로 동일한 나노 파이버(12)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또, 회전판(61)은, 인가하는 전압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는 범위가 원판(23b, 24b)에 비하여 넓고, 그 때문에 형성할 수 있는 나노 파이버(12)의 직경의 자유도가 원판(23b, 24b)보다 크다는 이점이 있다.
복수의 돌기(61a)는, 회전판(61)이 회전축(23a, 24a)에 고정된 경우의 회전 중심(CR)부터 정점(61t)까지의 거리(D6)가, 서로 동일하다. 이로써, 회전한 경우의 각 정점(61t)과 대전 벨트(13)의 전위차가 동일해지고, 그 결과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의 폴리머의 농도차가 보다 확실히 파이버(12)의 직경의 차로서 나타난다. 또한, 거리(D6)는, 1mm 이내의 차이면 서로 동일한 것으로 간주해도 된다. 또한, 회전판(61)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의 직경을 상술한 직경(D1)으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실시예 5]
부직포 제조 설비(10)를 이용하여 장척의 부직포(11)를 제조하고, 실시예 1~5로 했다. 단, 제1 회전 도체(23)와 제2 회전 도체(24) 대신에, 회전판(61)을 회전축(23a)과 회전축(24a)의 각각에 마련한 제1 회전 도체와 제2 회전 도체를 이용했다.
제1 용액(16)과 제2 용액(17)의 폴리머는 TAC이다. 표 1의 "배합 비율"란은, 용매의 제1 성분과 제2 성분의 배합 비율을 제1 성분:제2 성분의 표기로 나타내고 있다. 또, 표 1의 "농도"란은, 폴리머의 질량을 M1로 하고, 용매의 질량을 M2로 했을 때에, {M1/(M1+M2)}×100으로 구한 값(단위는 %)이다. "농도차"란은, 제1 용액의 농도(단위는 %)로부터, 제2 용액의 농도(단위는 %)를 감산한 값(단위는 %)이다.
어느 실시예도, 인가한 전압은 40kV이고, 거리(L1)는 150mm이며, 대전 벨트(13)의 이동 속도는 0.1m/min이었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부직포(11)의 박리성을 이하의 평가 방법 및 기준으로 평가했다. 각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부직포(11)를 대전 벨트(13)로부터 박리하고, 대전 벨트에 있어서의 박리 잔류의 유무 및 정도를 평가했다. 먼저, 대전 벨트(13) 상의 부직포(11)의 일방의 단부를 잡아 대전 벨트(13)로부터 끌어올리는 조작을 행하고, 부직포(1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 영역을 샘플로서 박리했다. 박리한 샘플을 칭량하고, 그 중량을 W1로 했다. 대전 벨트(13)의 샘플을 박리한 영역을 문질러, 그 영역에 남은 부직포편 및 섬유를 박리 잔류분으로서 채취했다. 박리 잔류분을 칭량하고, 그 중량을 W2로 했다. 그리고, W2/(W1+W2)×100으로 구한 값(단위는 %)을 이용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A~C는 합격이며, D는 불합격이다. 또한, 박리하는 동안에 부직포가 파단한 경우에는, 박리 잔류의 유무 및 그 정도에 관계없이 D라고 평가했다.
A; 박리 잔류가 0%였다.
B; 박리 잔류가 0%보다 크고 25% 미만이었다.
C; 박리 잔류가 25% 이상 50% 미만이었다.
D; 박리 잔류가 50% 이상이었다.
[표 1]
Figure pct00001
[비교예 1]
제1 용액(16) 및 제1 회전 도체(23)를 이용하지 않으며, 제2 용액(17)만으로 부직포를 제조했다. 인가한 전압과, 거리(L1)와, 대전 벨트(13)의 이동 속도는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했다.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 및 기준으로, 박리성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10 부직포 제조 설비
11 부직포
11a 제1 층
11b 제2 층
12 나노 파이버
12a 제1 파이버
12b 제2 파이버
13 대전 벨트
16, 17 제1 용액, 제2 용액
21, 22 제1 용기, 제2 용기
23, 24 제1 회전 도체, 제2 회전 도체
23a, 24a 회전축
23b, 24b 원판
27 회전 기구
28 전압 인가부
32 포집부
33 이동 기구
34 권취부
35 롤러
37, 38 롤러
41 모터
42 방사실
45 권취축
46 권심
61 회전판
61a 돌기
23o, 24o, 61b 개구
61t 정점
CR 회전 중심
L1, D2, D3, D4, D5, D6 거리
D1 직경
P1, P2 피치

Claims (9)

  1. 폴리머와 용매를 함유하는 대전시킨 용액을, 상기 용액과 반대 극성으로 대전시켰거나 또는 전위를 제로로 한 장척의 컬렉터로 유인함으로써, 상기 폴리머로 형성된 파이버를 부직포로서 포집하는 부직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장척의 상기 컬렉터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컬렉터의 아래에 배치된 제1 상기 용액에 접하면서 회전하고, 도체로 형성된 제1 회전 도체에 의하여, 상기 제1 용액을 대전함으로써, 이동 중인 상기 컬렉터에 제1 상기 파이버로 구성된 제1 층을 형성하는 제1 층 형성 공정과,
    상기 컬렉터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용액보다 하류에서 상기 컬렉터의 아래에 배치된 제2 상기 용액에 접하면서 회전하며, 도체로 형성된 제2 회전 도체에 의하여, 상기 제2 용액을 대전함으로써, 제2 상기 파이버로 구성된 제2 층을 상기 제1 층에 겹친 상태로 형성하는 제2 층 형성 공정과,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을 구비하는 상기 부직포를 상기 컬렉터로부터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갖고,
    상기 제1 용액은 상기 제2 용액보다 상기 폴리머의 농도가 높은 부직포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액과 상기 제2 용액의 상기 농도의 차는 적어도 1%인 부직포 제조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도체와 상기 제2 회전 도체는, 상기 컬렉터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부직포 제조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도체와 상기 제2 회전 도체는, 상기 컬렉터와의 전위차가 동일한 부직포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도체는, 회전 중심부터 둘레 가장자리까지의 거리가 일정한 부직포 제조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도체는, 둘레 가장자리에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돌기의 정점은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부직포 제조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셀룰로스트라이아세테이트와, 셀룰로스다이아세테이트와, 셀룰로스프로피오네이트와, 셀룰로스뷰티레이트와, 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와, 나이트로셀룰로스와, 에틸셀룰로스와, 카복시메틸에틸셀룰로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부직포 제조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다이클로로메테인, 클로로폼, 아세트산 메틸, 아세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부직포 제조 방법.
  9. 폴리머와 용매를 함유하는 대전시킨 용액을, 상기 용액과 반대 극성으로 대전시켰거나 또는 전위를 제로로 한 컬렉터로 유인함으로써, 상기 폴리머로 형성된 파이버를 부직포로서 포집하는 부직포 제조 설비에 있어서,
    장척의 상기 컬렉터와,
    상기 컬렉터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제1 상기 용액이 수용되어, 상기 컬렉터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1 용기와,
    상기 제1 용액에 접하면서 회전하고, 도체로 형성된 제1 회전 도체와,
    제2 상기 용액이 수용되어, 상기 컬렉터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용기보다 하류이며, 또한 상기 컬렉터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용기와,
    상기 제2 용기 내의 상기 제2 용액에 접하면서 회전하고, 도체로 형성된 제2 회전 도체와,
    상기 제1 회전 도체 및 상기 제2 회전 도체와, 상기 컬렉터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는 전위차 발생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용액은 상기 제2 용액보다 상기 폴리머의 농도가 높은 부직포 제조 설비.
KR1020217007881A 2018-09-18 2019-07-12 부직포 제조 방법 및 설비 KR202100454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74076 2018-09-18
JP2018174076 2018-09-18
PCT/JP2019/027777 WO2020059267A1 (ja) 2018-09-18 2019-07-12 不織布製造方法及び設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450A true KR20210045450A (ko) 2021-04-26

Family

ID=69888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881A KR20210045450A (ko) 2018-09-18 2019-07-12 부직포 제조 방법 및 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47121B2 (ko)
KR (1) KR20210045450A (ko)
CN (1) CN112714809A (ko)
WO (1) WO202005926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5224A (ja) 2003-09-08 2007-03-08 テクニカ ウニヴェルズィタ ブイ リベルシー 静電紡糸法によりポリマー溶液からナノファイバー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その実施装置
JP2014227629A (ja) 2013-05-23 2014-12-08 株式会社イマック 微細繊維集合体の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299537B6 (cs) * 2005-06-07 2008-08-27 Elmarco, S. R. O. Zpusob a zarízení k výrobe nanovláken z polymerního roztoku elektrostatickým zvláknováním
JP4914750B2 (ja) * 2006-04-19 2012-04-11 出光テクノファイン株式会社 有害物質吸着体および有害物質吸着体の製造方法
CZ2007108A3 (cs) * 2007-02-12 2008-08-20 Elmarco, S. R. O. Zpusob a zarízení pro výrobu vrstvy nanocástic nebo vrstvy nanovláken z roztoku nebo tavenin polymeru
CZ2007729A3 (cs) * 2007-10-18 2009-04-29 Elmarco S. R. O. Zarízení pro výrobu vrstvy nanovláken elektrostatickým zvláknováním polymerních matric a sberná elektroda pro takové zarízení
JP4943355B2 (ja) * 2008-02-15 2012-05-30 日東紡績株式会社 ゾル状液の紡糸方法
TWI357449B (en) * 2009-06-19 2012-02-01 Taiwan Textile Res Inst Roller type electrostatic spinning apparatus
CN101775706B (zh) * 2010-03-03 2011-05-04 天津工业大学 一种微纳米纤维无纺布的生产方法及装置
CN101947415B (zh) * 2010-08-13 2012-06-20 东华大学 静电纺丝和静电喷雾方法相结合制备纳米纤维基复合分离膜
JP2014201849A (ja) * 2013-04-03 2014-10-27 富山県 複合基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6755203B2 (ja) * 2017-02-13 2020-09-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シート及びシート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5224A (ja) 2003-09-08 2007-03-08 テクニカ ウニヴェルズィタ ブイ リベルシー 静電紡糸法によりポリマー溶液からナノファイバー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その実施装置
JP2014227629A (ja) 2013-05-23 2014-12-08 株式会社イマック 微細繊維集合体の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47121B2 (ja) 2022-04-04
WO2020059267A1 (ja) 2020-03-26
JPWO2020059267A1 (ja) 2021-08-30
CN112714809A (zh)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9174A (ko) 나노파이버 제조 장치, 나노파이버 제조 방법
JP6315685B2 (ja) 電界紡糸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
WO2005042813A1 (en) Electrostatic spinning equipment and method of preparing nano fiber using the same
JP2007092213A (ja) 静電紡糸法により繊維構造体を製造する装置および方法
CN110291241B (zh) 片材及片材制造方法
JP7062791B2 (ja) 荷電溶液制御構造が改善された極細繊維製造用電界紡糸装置及びそのための溶液移送ポンプ
KR20210045450A (ko) 부직포 제조 방법 및 설비
US1178820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spinning using low power voltage converter
JP6840854B2 (ja) 不織布製造方法及び装置
US20220275536A1 (en) Melt spinning resin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and fiber manufacturing method
CN111247281B (zh) 电纺装置及方法
JP4897553B2 (ja) 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および、ナノファイバ製造方法
WO2021054056A1 (ja) 不織布製造方法及び設備
JP6117174B2 (ja) 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及び、ナノファイバ製造方法
JP4695430B2 (ja) 円筒体および円筒体の製造方法
KR102018981B1 (ko) 하전용액 제어구조가 개선된 극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위한 용액이송펌프
JPS6116516B2 (ko)
JP2018035475A (ja) 繊維集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集合体
US8737884B2 (en) Charging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1525319A (ja) 厚さの均一性が向上したナノ繊維層及び/又はマイクロ繊維層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102243072B1 (ko) 원통형 전기방사장치
WO2021199717A1 (ja) 不織布、不織布製造方法
TWI421384B (zh) 具連續生產功能之靜電紡絲收集裝置及其應用
US2024001119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spinning using low power voltage converter
KR20050041199A (ko) 와이어를 포함하는 정전방사 노즐 및 이를 이용한나노섬유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