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5240A - 시트 재단 도구 - Google Patents

시트 재단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5240A
KR20210045240A KR1020190128740A KR20190128740A KR20210045240A KR 20210045240 A KR20210045240 A KR 20210045240A KR 1020190128740 A KR1020190128740 A KR 1020190128740A KR 20190128740 A KR20190128740 A KR 20190128740A KR 20210045240 A KR20210045240 A KR 20210045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olution
blade member
cutt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954B1 (ko
Inventor
오정민
Original Assignee
오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민 filed Critical 오정민
Priority to KR102019012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95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5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7/00Hand cutting tool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e.g. finger rings for cutting string, devices for cutting by means of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5/00Hand cutting tools involving disc blades, e.g. motor-driven
    • B26B25/005Manually operated, e.g. pizza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9/00Blades for han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시트를 적시기 위한 용액을 수용하는 챔버가 형성된 자루부, 상기 자루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시트를 절단하는 칼날부, 상기 자루부와 상기 칼날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챔버의 용액을 칼날부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시트 재단 도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트 재단 도구{SHEET CUTTING DEVICE}
본 개시내용은 종이를 절단하기 위한 시트 재단 도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종이 등의 절단대상물을 원하는 형태로 자르기 위해 절단칼 등의 재단 도구가 사용된다.
절단칼은 종이를 자르기 위한 날카로운 칼날을 필수적으로 구비한다.
칼날이 너무 날카로운 경우 매우 위험하며, 부주의 등으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절단칼 역시 종이를 자르기 위해서는 칼날이 구비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반대로 칼날이 날카롭지 않은 경우, 종이 절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에, 칼날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들은 대부분 칼날을 사용시에만 선택적으로 인출하거나 조금만 돌출시켜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여전히 예리한 칼날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최근 들어, 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어, 보다 안전하게 종이를 자를 수 있는 재단 도구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를 개선하여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장점을 줄 수 있다.
본 과제는,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시트 재단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액체에 의한 종이의 지질 변화를 통해 종이를 절단할 수 있도록 된 시트 재단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칼날의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하여 원하는 형태로 종이를 절단할 수 있도록 된 시트 재단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재단 도구는, 내부에 시트를 적시기 위한 용액을 수용하는 챔버가 형성된 자루부, 상기 자루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시트를 절단하는 칼날부, 상기 자루부와 상기 칼날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챔버의 용액을 칼날부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날부는 상기 자루부 선단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일측에 절단날이 형성된 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부재는 원형의 판구조를 이루고, 상기 자루부 선단에는 상기 원형의 날부재가 삽입되고 일부만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원형의 조인트홈이 형성되어, 상기 날부재가 상기 원형의 조인트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선단에 형성된 절단날이 외측으로 노출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날부재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 상기 자루부의 조인트홈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날부재 회전시 상기 돌기가 이동되는 슬릿, 상기 슬릿에 설치되어 돌기에 탄성복귀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자루부의 챔버와 상기 조인트홈의 내주면 사이를 연통하여 용액을 이송하는 유로, 상기 날부재를 관통하여 외주면에 입구와 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날부재 회전시 상기 입구가 상기 유로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출구는 상기 절단날쪽에 위치하여 용액을 절단날로 배출하는 배출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날부는 선단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의 뾰족한 단부가 절단날을 이루는 플레이트 형태의 복수의 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날부재는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칼날부는 복수의 날부재가 부착설치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날부재와 날부재 사이와 연통되어 용액을 배출하는 절단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자루부의 선단에 형성된 홈에 상기 칼날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홈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칼날부에 탄성복귀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자루부의 챔버와 상기 홈 사이를 연통하여 용액을 이송하는 유로, 상기 칼날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지나 유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로드, 상기 연결로드에 설치되고 상기 칼날부 상하 이동시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막는 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날부는 선단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절단날을 이루는 원추형 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날부는 상기 날부재 표면에 선단을 향해 함몰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으로 두고 배치된 복수의 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날부는 상기 날부재 표면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선단을 향해 연장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날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자루부 내부로 삽입되는 축부재, 상기 자루부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축부재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날부재가 눌려질 때 선택적으로 벌어져 용액을 배출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자루부의 챔버 사이를 연통하여 용액을 이송하는 유통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의 축부재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유통구 내주면에 밀착되어 유통구를 막으며, 상기 날부재가 눌려질 때 유통구를 탄력적으로 변형시켜 유통구를 개방하는 내측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칼날과 함께 액체를 이용하여 지질의 강성을 저하시켜 종이를 절단함으로써, 칼날을 날카롭게 형성하지 않고도 종이를 원하는 형태로 쉽게 자를 수 있게 된다.
이에, 칼날이 날카롭지 않아 어린아이를 포함하여 누구라도 칼날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없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칼날의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어, 도구 사용이 익숙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형태로 종이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재단 도구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재단 도구의 칼날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재단 도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재단 도구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재단 도구의 칼날들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재단 도구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재단 도구의 칼날들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재단 도구는 종이 재질의 시트를 절단하는 도구를 예로서 설명한다. 종이라 함은 셀룰로우스를 주성분으로 하며, 표면에 비닐 등의 코팅이 없어 셀룰로우스 사이로 액체가 스며들어 젖을 수 있는 종류의 종이를 지칭할 수 있다. 본 재단 도구는 절단 대상으로 있어 종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천이나 비닐 등 다양한 재질의 시트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재단 도구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재단 도구의 칼날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재단 도구(100)는, 내부에 종이(도 3의 P)를 적시기 위한 용액(S)을 수용하는 챔버(12)가 형성된 자루부(10), 자루부(10)의 선단에 설치되어 종이를 절단하는 칼날부(30), 자루부(10)와 칼날부(30) 사이에 마련되어 챔버(12)의 용액(S)을 칼날부(30)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노즐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루부(10)는 내부에 챔버(12)가 형성된 구조로 그 형태나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챔버(12) 내부에 용액(S)이 수용된다. 자루부(10) 상단에는 챔버(12) 내부와 연통되는 입구(14)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14)를 통해 챔버(12) 내부로 용액(S)을 새로 주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 입구(14)에는 챔버(12)를 개폐하는 뚜껑(16)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용액(S)은 점도를 갖는 수용액일 수 있다. 용액(S)이 종이에 스며들면서 절단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용액(S)의 점성은 챔버(12)에서 노즐부(50)를 칼날부(30)로 배출되는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용액(S)은 산도 pH 5 내지 5.5 범위의 약산성 용액일 수 있다. 이에, 용액(S)이 종이(P)에 침투하여 종이의 셀룰로우스를 용해시킴으로써, 종이의 결합 강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이 절단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용액(S)의 산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종이 절단 효과가 떨어지거나 인체에 유해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자루부(10)의 하단에 칼날부(30)가 설치된다.
칼날부(30)는 자루부(10) 선단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일측에 절단날(34)이 형성된 날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날부재(32)는 납작하여 양면이 평평한 원형의 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날부재(32)의 외주면을 따라 일 부분에 절단날(34)이 형성될 수 있다. 절단날(34)은 선단이 뾰족하여 종이를 절단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날(34)이 원형의 날부재(32) 일 부분에만 형성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날부재(32)는 자루부(10)의 선단에 삽입 설치되어 절단날(34)이 형성된 부분만이 자루부(10) 선단에서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루부(10) 선단에는 원판 형태의 날부재(32)가 삽입되고 일부만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일부가 개방된 원형의 조인트홈(18)이 형성된다. 날부재(32)는 원형의 조인트홈(18)에 삽입되어 자루부(10)에 대해 자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날부재(32)는 선단에 형성된 절단날(34)이 자루부(10)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자루부(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자루부(10)에 형성되는 원형의 조인트홈(18)은 반원 이상의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날부재(32)는 조인트홈(18)에 끼워진 상태에서 조인트홈(18)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노즐부(50)는 칼날부(30)로 종이를 자를 때 챔버(12)에 수용된 용액(S)을 칼날부(30)로 선택적으로 배출한다.
본 실시예의 노즐부(50)는 날부재(32)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51), 자루부(10)의 조인트홈(18) 내면에 형성되어 날부재(32) 회전시 돌기(51)가 이동되는 슬릿(52), 슬릿(52)에 설치되어 돌기(51)에 탄성복귀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53), 자루부(10)의 챔버(12)와 조인트홈(18)의 내주면 사이를 연통하여 용액(S)을 이송하는 유로(54), 날부재(32)를 관통하여 외주면에 입구(56)와 출구(57)를 형성하고 날부재(32) 회전시 입구(56)가 유로(54)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출구(57)는 절단날(34)쪽에 위치하여 용액(S)을 절단날(34)로 배출하는 배출통로(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종이 절단시 날부재(32)가 자루부(10)의 조인트홈(18)에서 회전되면서 날부재(32)에 형성된 배출통로(55)가 챔버(12)의 유로(54)와 연결되어, 챔버(12)에 수용된 용액(S)이 배출통로(55)를 통해 날부재(32)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통로(55)는 날부재(32)의 외주면에 관통 형성된다. 배출통로(55)는 직선으로 연장되며, 입구(56)는 챔버(12)쪽을 향해 형성되며, 출구(57)는 절단날(34)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구(56)는 날부재(32)가 종이 절단하는 과정에서 돌기(51)가 탄성부재(53)를 압축하면서 날부재(32)가 자루부(10)에 대해 완전히 회전되었을 때 유로(54)와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날부재(32)가 종이를 자르지 않는 상태에서는, 탄성부재(53)에 의해 돌기(51)가 밀려 날부재(32)가 원상태로 회전 복귀되고, 배출통로(55)의 입구(56)는 유로(54)와 어긋나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출구(57)는 날부재(32)의 절단날(34)에 바로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출구(57)에서 배출되는 용액(S)은 바로 날부재(32)의 절단날(34)쪽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용액(S)은 배출통로(55)의 입구(56)를 통해 유입되어 배출통로(55)를 따라 흘러나가 출구(57)를 통해 날부재(32)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에, 용액(S)이 절단날(34)을 따라 종이에 도포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재단 도구의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P)를 절단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날부재(32)에 형성된 배출통로(55)의 입구(56)가 자루부(10)에 형성된 유로(54)와 어긋나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이에, 챔버(12)에 수용되 용액(S)은 유로(54)를 통해 배출통로(55)로 공급되지 못하고 차단된다. 따라서, 종이(P)를 절단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용액(S)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날부재(32)를 종이(P)에 접촉하여 종이(P)를 절단하게 되면, 날부재(32)에 형성된 절단날(34)이 종이(P)를 가압하여 절단한다,
이와 동시에 종이(P)와 절단날(34)의 마찰에 의해 날부재(32)가 자루부(10)의 조인트홈(18) 내에서 도면상 시계반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날부재(32)가 조인트홈(18)에서 회전됨으로써, 용액(S)이 절단날(34)쪽으로 흘러나와 종이(P)를 적시게 된다.
즉, 날부재(32)가 회전되면 날부재(32)에 형성된 입구(56)가 유로(54)쪽으로 이동되어 유로(54)와 연결된다. 이에, 챔버(12) 내에 수용되어 있는 용액(S)이 유로(54)를 따라 입구(56)로 유입되고 배출통로(55)를 따라 흘러나가게 된다. 따라서, 용액(S)은 배출통로(55)의 출구(57)를 통해 날부재(32) 외측으로 배출된다.
날부재(32) 외측으로 배출된 용액(S)은 절단날(34)을 따라 흘러내려 절단날(34)과 접하고 있는 종이(P)에 묻게 된다. 용액(S)은 절단날(34)을 따라 흘러내림으로써, 절단되는 부위에만 종이(P)를 적시게 된다.
이와 같이, 용액(S)이 종이(P)에 스며들면서 젖은 상태가 되어 종이(P)의 강도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종이(P)는 절단날(34)의 가압력과 용액(S)에 의한 셀룰로우스의 용해로 인해 보다 용이하게 쉽게 절단될 수 있다.
한편, 종이(P)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날부재(32)가 회전되면 날부재(32)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51)가 슬릿(52) 내부에서 이동된다. 이에, 슬릿(52)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부재(53)가 돌기(51)에 의해 압축된다. 탄성부재(53)의 압축력은 날부재(32)의 회전복귀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사용 후 날부재(32)가 종이(P)에서 이격되면 날부재(32)에 대한 종이(P)의 마찰력이 제거되면서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53)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51)가 밀려나고, 돌기(51)가 형성된 날부재(32)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원 상태로 복귀된다. 날부재(32)가 원상태로 복귀함에 따라 날부재(32)에 형성된 배출통로(55)의 입구(56)가 유로(54)에서 이격되어 유로(54)가 날부재(32)의 외주면에 의해 차단된다. 따라서, 용액(S)은 배출통로(55)의 출구(57)를 통해 배출되지 않는다.
도 4와 도 5는 재단 도구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또다른 실시예의 재단도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재단 도구(100)는 내부에 종이(P)를 적시기 위한 용액(S)을 수용하는 챔버(12)가 형성된 자루부(10), 자루부(10)의 선단에 설치되어 종이(P)를 절단하는 칼날부(30), 자루부(10)와 칼날부(30) 사이에 마련되어 챔버(12)의 용액(S)을 칼날부(30)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노즐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루부(10)는 내부에 챔버(12)가 형성될 수 있다. 챔버(12) 내부에 용액(S)이 수용된다. 자루부(10)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칼날부(30)는 선단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의 뾰족한 단부가 절단날(34)을 이루는 플레이트 형태의 복수의 날부재(32)를 포함하고, 날부재(32)는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조일 수 있다.
칼날부(30)는 각각의 날부재(32)가 일정각도로 배열되어 전체적으로 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날부재(32)의 하단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각 날부재(32)는 경사면의 끝쪽 첨부가 중심부쪽에 위치하여 배치된다. 이와 같이, 칼날부(30)에서 날부재(32)가 사방으로 배치됨으로써, 칼날부(30)를 어느 방향으로나 자유롭게 이동하여 종이(P)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칼날부(30)의 절단 방향을 전환하더라도 해당 방향으로 배치된 날부재(32)가 종이(P)를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어, 도구(100) 사용이 익숙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형태로 종이(P)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날부재(32)의 개수나 설치 간격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칼날부(30)는 복수의 날부재(32)가 부착설치되는 지지판(60)을 더 포함하고, 지지판(60)에는 날부재(32)와 날부재(32) 사이와 연통되어 용액(S)을 배출하는 절단홀(61,64)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60)은 원형의 판 구조물일 수 있다. 지지판(60)은,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날부재(32)를 고정한다. 각 날부재(32)는 지지판(60)에 부착되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칼날부(3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는 절단홀(61)이 지지판(60)의 외측단에서 내측으로 절단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5의 (a)에서 용액(S)은 자루부(10) 선단의 홈(19) 내주면과 절단홀(61) 사이에서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날부재(32)와 날부재(32) 사이로 흘러내려갈 수 있다.
도 5의 (b)는 절단홀(64)이 지지판(60)에 관통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5의 (b)에서 용액(S)은 지지판(60)의 절단홀(64)을 통해 날부재(32)와 날부재(32) 사이로 흘러내려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각 실시예 모두 절단홀(61,64)을 통해 용액(S)이 각 날부재(32)들 사이로 용이하게 이동되어 절단날(34)로 흐를 수 있게 된다.
노즐부(50)는 종이(P)를 절단하기 위해 종이(P)에 칼날부(30)를 가압하였을 때, 칼날부(30)로 용액(S)을 배출한다.
본 실시예의 노즐부(50)는, 자루부(10)의 선단에 형성된 홈(19)에 칼날부(3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홈(19)에 삽입 설치되어 칼날부(30)에 탄성복귀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65), 자루부(10)의 챔버(12)와 홈(19) 사이를 연통하여 용액(S)을 이송하는 유로(54), 칼날부(30)에 설치되어 유로(54)를 지나 유로(54)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로드(62), 연결로드(62)에 설치되고 칼날부(30) 상하 이동시 유로(54)를 선택적으로 막는 차단판(6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종이(P)를 절단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탄성부재(65)에 의해 차단판(63)이 유로(54)를 가압하여 막고 있어 용액(S)이 흐르지 않는다. 챔버(12)에 수용되 용액(S)은 유로(54)를 통해 칼날부(30)로 공급되지 못하고 차단된다. 따라서, 종이(P)를 절단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용액(S)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날부재(32)를 종이(P)에 접촉하여 종이(P)를 절단하게 되면, 날부재(32)에 형성된 절단날(34)이 종이(P)를 가압하여 절단한다, 이와 동시에 종이(P)에 절단날(34)이 가압되면서 날부재(32)가 홈(19) 내측으로 눌려져 이동되고 차단판(63)이 들어 올려지면서 유로(54)가 개방된다. 이에, 용액(S)이 유로(54)를 통해 홈(19)으로 배출되고 칼날부(30)의 지지판(60)에 형성된 절단홀(61,64)을 통해 절단날(34)쪽으로 흘러나와 종이(P)를 적시게 된다.
한편, 종이(P)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날부재(32)가 홈(19)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탄성부재(65)가 지지판(60)과 홈(19) 사이에서 압축된다. 탄성부재(65)의 압축력은 날부재(32)의 복귀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사용 후 날부재(32)가 종이(P)에서 이격되면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65)의 탄성력에 의해 날부재(32)가 홈(19)에서 밀려나고, 차단판(63)이 유로(54)를 막게 된다. 유로(54)가 차단됨으로써, 용액(S)은 날부재(32)로 배출되지 않는다.
도 6과 도 7은 재단 도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의 재단도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재단 도구(100)는 내부에 종이(P)를 적시기 위한 용액(S)을 수용하는 챔버(12)가 형성된 자루부(10), 자루부(10)의 선단에 설치되어 종이(P)를 절단하는 칼날부(30), 자루부(10)와 칼날부(30) 사이에 마련되어 챔버(12)의 용액(S)을 칼날부(30)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노즐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루부(10)는 내부에 챔버(12)가 형성될 수 있다. 챔버(12) 내부에 용액(S)이 수용된다. 자루부(10)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칼날부(30)는 선단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절단날(34)을 이루는 원추형 날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날부재(32)의 뾰족한 끝이 종이(P)를 절단하는 절단날(34)을 이룬다.
날부재(32)는 송곳처럼 뾰족하게 형성되어, 칼날부(30)를 어느 방향으로나 자유롭게 이동하여 종이(P)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칼날부(30)의 절단 방향을 전환하더라도 해당 방향으로 배치된 날부재(32)가 종이(P)를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 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어, 도구(100) 사용이 익숙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형태로 종이(P)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도 6은 칼날부(3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칼날부(30)는 날부재(32) 표면에 선단을 향해 함몰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으로 두고 배치된 복수의 슬롯(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a)에서 용액(S)은 슬롯(70)을 따라 날부재(32) 선단으로 용이하게 흘러내려갈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칼날부(30)는 날부재(32) 표면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선단을 향해 연장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날개(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b)에서 용액(S)은 날개(71)와 날개(71) 사이로 유도되어 날부재(32) 선단으로 용이하게 흘러내려갈 수 있다.
노즐부(50)는 종이(P)를 절단하기 위해 종이(P)에 칼날부(30)를 가압하였을 때, 칼날부(30)로 용액(S)을 배출한다.
본 실시예의 노즐부(50)는, 날부재(32)에 형성되어 자루부(10) 내부로 삽입되는 축부재(73), 자루부(10) 선단에 형성되어 축부재(73)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날부재(32)가 눌려질 때 선택적으로 벌어져 용액(S)을 배출하는 탄성부(74), 탄성부(74)에 형성되고 자루부(10)의 챔버(12) 사이를 연통하여 용액(S)을 이송하는 유통구(7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노즐부(50)의 축부재(73) 선단에 형성되고 유통구(75) 내주면에 밀착되어 유통구(75)를 막으며, 칼날부(30)의 날부재(32)가 눌려질 때 유통구(75)를 탄력적으로 변형시켜 유통구(75)를 개방하는 내측마개(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루부(10)의 선단에 탄성부(74)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74)는 용액(S)이 배출되는 출구를 이룬다. 탄성부(74)에 날부재(32) 축방향으로 연장된 축부재(73)가 끼워져 설치된다. 축부재(73)는 탄성부(74)의 선단 출구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74) 내주면과 축부재(73) 외주면 사이가 긴밀하게 밀착하여 용액(S)의 배출이 차단되며, 탄성부(74)와 축부재(73)가 사이가 벌어지면서 용액(S)이 배출된다.
탄성부(74)의 내면에 챔버(12)와 탄성부(74) 출구 사이를 연통하는 유통구(75)가 형성된다. 챔버(12)에 수용된 용액(S)이 유통구(75)를 통해 탄성부(74) 내부로 유입되고 탄성부(74) 선단의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통구(75) 역시 탄성부(74)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내측마개(76)는 축부재(73)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마개(76)는 유통구(75)의 내경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마개(76)는 유통구(75)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용액(S)의 배출을 차단한다. 내측마개(76)의 가압에 의해 유통구(75)가 눌려져 변형되면서 내측마개(76)와 유통구(75) 사이가 벌어져 용액(S)이 배출된다.
이에, 종이(P)를 절단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탄성부(74)와 유통구(75)가 각각 날부재(32)의 축부재(73)와 내측마개(76)에 밀착되어 용액(S)이 배출되지 않는다. 챔버(12)에 수용되 용액(S)은 탄성부(74) 선단의 출구를 통해 칼날부(30)로 공급되지 못하고 차단된다. 따라서, 종이(P)를 절단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용액(S)이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날부재(32)를 종이(P)에 접촉하여 종이(P)를 절단하게 되면, 날부재(32)에 형성된 절단날(34)이 종이(P)를 가압하여 절단한다, 이와 동시에 종이(P)에 절단날(34)이 가압되면서 날부재(32)의 축부재(73)가 탄성부(74)를 가압하게 된다. 탄성부(74)가 축부재(73)에 의해 눌리면서 변형되어 축부재(73)와 탄성부(74) 사이의 틈새가 발생된다.
또한, 탄성부(74) 내부에서도 축부재(73) 선단에 설치된 내측마개(76)가 유통구(75)를 가압하면서 유통구(75)가 변형된다. 이에, 유통구(75)와 내측마개(76) 사이에 틈새가 발생된다.
따라서, 챔버(12) 내부에 수용된 용액(S)이 유통구(75)와 내측마개(76) 사이의 틈새를 통해 탄성부(74)로 배출되고, 탄성부(74)와 축부재(73) 사이를 통해 외측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탄성부(74) 선단에서 배출된 용액(S)은 날부재(32) 외표면을 따라 절단날(34)로 흘러나와 종이(P)를 적시게 된다.
한편, 종이(P) 절단 후 날부재(32)가 종이(P)에서 이격되면 탄성 변형되어 있던 탄성부(74)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축부재(73)에 밀착된다. 유통구(75) 역시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내측마개(76)에 밀착된다. 이에, 용액(S)은 날부재(32)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자루부 12 : 챔버
18 : 조인트홈 19 : 홈
30 : 칼날부 32 : 날부재
34 : 절단날 50 : 노즐부
51 : 돌기 52 : 슬릿
53,65 : 탄성부재 54 : 유로
55 : 배출통로 56 : 입구
57 : 출구 60 : 지지판
61,64 : 절단홀 62 : 연결로드
63 : 차단판 70 : 슬롯
71 : 날개 73 : 축부재
74 : 탄성부 75 : 유통구
76 : 내측마개

Claims (8)

  1. 내부에 시트를 적시기 위한 용액을 수용하는 챔버가 형성된 자루부, 상기 자루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시트를 절단하는 칼날부, 및 상기 자루부와 상기 칼날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챔버의 용액을 칼날부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시트 재단 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상기 자루부 선단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일측에 절단날이 형성된 날부재를 포함하는 시트 재단 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부재는 원형의 판구조를 이루고, 상기 자루부 선단에는 상기 원형의 날부재가 삽입되고 일부만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원형의 조인트홈이 형성되어, 상기 날부재가 상기 원형의 조인트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선단에 형성된 절단날이 외측으로 노출된 구조의 시트 재단 도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날부재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 상기 자루부의 조인트홈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날부재 회전시 상기 돌기가 이동되는 슬릿, 상기 슬릿에 설치되어 돌기에 탄성복귀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자루부의 챔버와 상기 조인트홈의 내주면 사이를 연통하여 용액을 이송하는 유로, 상기 날부재를 관통하여 외주면에 입구와 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날부재 회전시 상기 입구가 상기 유로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출구는 상기 절단날쪽에 위치하여 용액을 절단날로 배출하는 배출통로를 포함하는 시트 재단 도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선단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의 뾰족한 단부가 절단날을 이루는 플레이트 형태의 복수의 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날부재는 방사방향으로 배치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 구조의 시트 재단 도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자루부의 선단에 형성된 홈에 상기 칼날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홈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칼날부에 탄성복귀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자루부의 챔버와 상기 홈 사이를 연통하여 용액을 이송하는 유로, 상기 칼날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로를 지나 유로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로드, 상기 연결로드에 설치되고 상기 칼날부 상하 이동시 상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막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시트 재단 도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부는 선단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어 절단날을 이루는 원추형 날부재를 포함하는 시트 재단 도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날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자루부 내부로 삽입되는 축부재, 상기 자루부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축부재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날부재가 눌려질 때 선택적으로 벌어져 용액을 배출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자루부의 챔버 사이를 연통하여 용액을 이송하는 유통구를 포함하는 시트 재단 도구.
KR1020190128740A 2019-10-16 2019-10-16 시트 재단 도구 KR102294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740A KR102294954B1 (ko) 2019-10-16 2019-10-16 시트 재단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740A KR102294954B1 (ko) 2019-10-16 2019-10-16 시트 재단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240A true KR20210045240A (ko) 2021-04-26
KR102294954B1 KR102294954B1 (ko) 2021-08-27

Family

ID=7573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740A KR102294954B1 (ko) 2019-10-16 2019-10-16 시트 재단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9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1251A (zh) * 2022-04-25 2022-08-05 江苏安全技术职业学院 错题摘录装置
EP4309860A1 (en) * 2022-07-20 2024-01-24 Area S.r.l. Paper cutting unit comprising wetting assembly and relative continuous packaging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0257U (ko) * 1977-03-23 1978-10-16
JPS57154736U (ko) * 1981-03-25 1982-09-29
JPH066434U (ja) * 1991-12-18 1994-01-28 トーヨー産業株式会社 ガラス切り
JP2690542B2 (ja) * 1989-01-17 1997-12-10 旭化成工業株式会社 切抜きペン
JP2000085292A (ja) * 1998-09-11 2000-03-28 Yasuo Ikeda 筆記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0257U (ko) * 1977-03-23 1978-10-16
JPS57154736U (ko) * 1981-03-25 1982-09-29
JP2690542B2 (ja) * 1989-01-17 1997-12-10 旭化成工業株式会社 切抜きペン
JPH066434U (ja) * 1991-12-18 1994-01-28 トーヨー産業株式会社 ガラス切り
JP2000085292A (ja) * 1998-09-11 2000-03-28 Yasuo Ikeda 筆記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1251A (zh) * 2022-04-25 2022-08-05 江苏安全技术职业学院 错题摘录装置
CN114851251B (zh) * 2022-04-25 2024-02-02 江苏安全技术职业学院 错题摘录装置
EP4309860A1 (en) * 2022-07-20 2024-01-24 Area S.r.l. Paper cutting unit comprising wetting assembly and relative continuous packa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954B1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5240A (ko) 시트 재단 도구
WO2005037497A3 (en) Shaving device with shaving aid material dispenser
RU2462345C1 (ru) Картридж бритвенного прибора с контактирующим с кожей компонентом
US4177556A (en) Water dispensing razor
RU244088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волос с системой доставки жидкости
US2229707A (en) Dispensing tube
EP2794203B1 (en) Razor assembly
US20180178401A1 (en) Safety razor
US20050028370A1 (en) Shaving aid dispensing device
US1975757A (en) Safety razor
US7396179B2 (en) Writing instrument including a valve feeder device
CN107003330B (zh) 采样喷嘴、使用该采样喷嘴的自动分析装置及采样喷嘴的制造方法
US3299507A (en) Disposable cylindrical razor apparatus
RU2769368C1 (ru) Блок для срезания волос с предотвращением блокировки ножа
BR9508372A (pt) Peça de contato com a pele para uso em um sistema de barbear a úmido e sistema de barbear a úmido
US1991405A (en) Safety razor
US3324546A (en) Permanently assembled safety razor
US11166534B2 (en) Shaving aid application apparatus
KR20210156103A (ko) 디버링 툴
KR101749085B1 (ko) 푸시형 화장용 펜슬
US5001945A (en) Scissor sharpener
KR200235713Y1 (ko) 면도크림이 내장된 면도기
US4779332A (en) Safety razor
US1991404A (en) Safety razor
CN220719400U (zh) 一种手动剃须刀刀头结构及剃须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