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531A -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 - Google Patents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531A
KR20210044531A KR1020190127806A KR20190127806A KR20210044531A KR 20210044531 A KR20210044531 A KR 20210044531A KR 1020190127806 A KR1020190127806 A KR 1020190127806A KR 20190127806 A KR20190127806 A KR 20190127806A KR 20210044531 A KR20210044531 A KR 20210044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orrosion
variable
beam reinforcement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0395B1 (ko
Inventor
서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
Priority to KR1020190127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39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는: 에이치빔의 홈에 삽입 설치되고, 마주보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밀착블럭과, 밀착블럭에 구비되고, 일측에 가변홀이 형성되는 가변브라켓; 상기 가변홀에 나사산이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가변브라켓을 양측으로 벌려주거나 오므려주어 상기 밀착블럭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축과, 조절축의 나사산과 상기 가변홀 사이를 밀봉하여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유체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H-BEAM REINFORCEMENT WITH CORROSION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차단부를 구비하어 조절축의 나사부와 가변브라켓의 가변홀 사이에 빗물, 눈 등이 유입되어 녹 쓰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강플레이트의 일측에 유체안내부를 구비하여 에이치빔의 웹과 보강플레이트 사이에 유체가 이동하는 이격공간을 제공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에 관한 것이다.
건설토목 현장에서 구조재로 널리 사용되는 에이치빔은 웹을 중앙에 두고, 웹의 일단에 제1플랜지, 웹의 타단에 제2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전체적으로 영문자 H형을 이룬다.
일반적인 에이치빔은 작업 현장에서 말뚝, 기둥, 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세장비가 큰 구조재이므로 에이치빔이 보와 같은 횡부재로 사용될 경우에 에이치빔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이하 '수직하중' 이라 함)에 대한 허용응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보강의 필요성이 생긴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에이치빔의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나사방식으로 벌려주거나 오므려주어 하중을 보강 지지하는 에이치빔 보강구(스티프너 잭)를 사용하고 있다.
이 에이치빔 보강구는 엘이치빔의 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밀착블럭과, 밀착블럭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와, 에이치빔의 웹에 접촉되는 보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에이치빔은 야외 공사현장에 주로 시용되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우천시 빗물에 의해 간격조절부의 나사부위에 녹이 쓸어 간격조절부의 조작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보강플레이트가 웹에 장시간 접촉되므로 빗물의 이동을 차단하여 접촉부위에 녹이 쓸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8-0000013 호(2018.01.02, 발명의 명칭: 토목공사용 스티프너 잭)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유체차단부를 구비하어 조절축의 나사부와 가변브라켓의 가변홀 사이에 빗물, 눈 등이 유입되어 녹 쓰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강플레이트의 일측에 유체안내부를 구비하여 에이치빔의 웹과 보강플레이트 사이에 유체가 이동하는 이격공간을 제공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는, 에이치빔의 홈에 삽입 설치되고, 마주보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밀착블럭; 상기 밀착블럭에 구비되고, 일측에 가변홀이 형성되는 가변브라켓; 상기 가변홀에 나사산이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가변브라켓을 양측으로 벌려주거나 오므려주어 상기 밀착블럭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축; 및 상기 조절축의 나사산과 상기 가변홀 사이를 밀봉하여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유체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차단부는, 상기 조절축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나사산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나사산과 상기 가변홀 사이로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구속부에 의해 상기 장착부에서 결합 위치가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장착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실링부재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구속홈부; 및 상기 구속홈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실링부재의 내측면 또는 상기 장착부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구속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회전방지부에 의해 상기 조절축과 상기 가변브라켓의 결합시 상기 장착부에서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되, 상기 나사산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변홀의 진입측 내경은 개방측으로 갈수록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블럭은 상기 에이치빔의 웹에 접촉되는 보강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에는 상기 에이치빔의 웹에 접촉시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체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안내부에는 상기 에이치빔의 웹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부착부가 구비되고, 상가 자력부착부는, 상기 유체안내부에 형성되는 설치홈부; 및
상기 설치홈부에 매립되어 장착되는 자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는, 유체차단부를 구비하어 조절축의 나사부와 가변브라켓의 가변홀 사이에 빗물, 눈 등이 유입되어 녹 쓰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강플레이트의 일측에 유체안내부를 구비하여 에이치빔의 웹과 보강플레이트 사이에 유체가 이동하는 이격공간을 제공하여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축을 가변브라켓의 가변홀에 조립할 때, 구속부를 이용하여 실링부재의 길이방향을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방지부를 이용하여 조절축을 가변브라켓의 가변홀에 조립시, 실링부재가 조절축의 장착부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플레이트에 유체안내부를 구비하여 빗물 등 유체가 이동공간부를 통해 배출되게 함으로써, 보강플레아트와 웹에 녹쓰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플레이트에 자력부착부를 구비하여 에이치빔 보강구를 에이치빔의 웹에 자기력으로 일시 부착한 후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에서, 유체차단부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에서, 유체차단부의 일부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에서, 조절축을 가변홀에 조립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의 설치 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에서, 유체차단부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에서, 유체차단부의 일부 분해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에서, 조절축을 가변홀에 조립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는, 밀착블럭(100), 가변브라켓(200), 조절축(300) 및 유체차단부(400)를 포함한다.
밀착블럭(100)은 에이치빔(100)의 홈에 삽입 설치되고, 마주보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밀착블럭(100)에는 에이치빔 보강구(10)의 플랜지(140에 접촉되는 면에 미끄럼방지돌기가 다수 형성된다, 이 미끄럼방지돌기는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플랜지(14)에 접촉된다.
가변브라켓(200)은 밀착블럭(100)에 구비되고, 일측에 가변홀(21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가변홀(210)은 나사홀로서 조절축(300)의 나사산(310)이 체결된다.
조절축(300)은 가변홀(210)에 나사산(310)이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가변브라켓(200)을 양측으로 벌려주거나 오므려주어 밀착블럭(100)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양측의 나사산(310)은 각각 나선이 반대로 형성된다.
조절축(300)의 중심부에는 다각형의 파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파지부는 플랜지(14)에 밀착시키거나 분리시킬 때, 스패너등 공구를 이용하여 조절축(200)을 회전시켜 한 쌍의 밀착블럭(100)을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다.
유체차단부(400)는 조절축(300)의 나사산(310)과 가변홀(210) 사이를 밀봉하여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유치차단부(400)를 이용하여 조절축(300)의 나사산(310)에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녹으로 인해 조절축(300)이 가변홀(200)에서 분리 또는 조립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유체차단부(400)는, 조절축(200)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나사산(310)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장착부(410)와, 장착부(410)에 구비되고, 나사산(310)과 가변홀(210) 사이로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실링부재(420)를 포함한다.
실링부재(420)는 구속부(500)에 의해 장착부(410)에서 결합 위치가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속부(500)는, 장착부(410)의 외측면 또는 실링부재(420)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구속홈부(510)와, 구속홈부(510)에 결합되도록 실링부재(420)의 내측면 또는 장착부(41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구속돌부(520)를 포함한다.
구속홈부(510)는 장착부(410)의 외측면에 설징 깊이 함몰 형성되고, 구속돌부(520)는 실링부재(43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구속돌부(520)는 구속홈부(510)에 끼워져 결속됨에 따라 조절축(300)의 나사산(310)을 가변브라켓(200)의 가변홀(210)에 체결할 때, 실링부재(420)가 조절축(300)의 중심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실링부재(420)가 가변홀(2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기밀이 효과적으로 유지되어 빗물 등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420)는 회전방지부(600)에 의해 조절축(200)과 가변브라켓(200)의 결합시 장착부(410)에서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방지부(600)는, 구속홈부(510)에서 외경으로 확장 형성되는 회전방지돌부(610)와, 회전방지돌부(610)에 결합되도록 구속돌부(520)에 형성되는 회전방지홈부(620)를 포함한다.
실링부재(420)는 장착부(410)에 설치되되, 나사산(310)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가변홀(210)의 진입측 내경은 개방측으로 갈수록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변홀(210)의 진입부에는 실링부재(420)의 전측이 접촉되어 실링부재(420)의 진입을 제한하는 진입제한턱(220)이 형성된다.
실링부재(420)의 진입측 외경은 단부로 갈수록 협소해 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진입안내면(422)이 형성된다. 경사진입안내면(422)은 진측의 반경이 작게 형성됨에 따라 실링부재(420)의 진측이 가변홀(210)에서 부딪치는 것을 줄여주므로 실링부재(420)의 안정된 진입을 안내한다.
실링부재(420)의 외측면에는 가변홀(210)의 진입부위에 걸리는 이동제한돌부(424)가 형성된다. 이동제한돌부(424)는 반경이 더 확장되는 부위이다.
밀착블럭(100)은 에이치빔(10)의 웹(12)에 접촉되는 보강플레이트(150)를 구비한다.
보강플레이트(150)에는 에이치빔(10)의 웹(12)에 접촉시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체안내부(700)가 구비된다.
유체안내부(700)는 보강플레이트(15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유체가 이동하는 이동공간부(710)를 갖도록 2개 이상 형성된다. 유체안내부(700)는 보강플레이트(150)에서 웹(12) 측으로 돌출된다.
이동공간부(710)는 에이치빔(10)의 웹(12)으로 부터 이격됨으로써, 에이치빔(10)이 공사장에 설치되어 빗물 등 유체가 흐를 때 통과시키는 공간을 제공하여 웹(12)과 보강플레이트(150)에 구비된 유체언내부(710)의 접촉을 최대한 줄여 접촉부위에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체안내부(700)에는 에이치빔(10)의 웹(12)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부착부(800)가 구비된다.
자력부착부(800)는, 유체안내부(700)에 형성되는 설치홈부(810)와, 설치홈부(810)에 매립되어 장착되는 자력부재(820)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를 에이치빔(10)의 홈에 삽입하여 보강플레이트(150)에 구비된 자력부재(820)를 이용하여 웹(12)에 부착시킨다.
연이어, 파지부를 돌려 조절축(300)를 회전시키면, 반대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나사산(310)이 가변브라켓(200)의 가변홀(210)에서 회전하여 밀착블럭(100)을 양측으로 각각 벌려준다.
이때, 조절축(300)의 장착부(410)에 설치된 실링부재(420)가 가변홀(210)의 진입제한턱(220)에 접촉되어 진입 제한되면서 긴밀하게 밀척되어 기밀이 유지된다. 이로써, 가변홀(210)의 진입부위를 통해 빗물 등 유체가 유입되더라도 나사산(3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녹쓰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에이치빔 보강구를 야외에 설치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조절축(300)이 가변브라켓(200)의 가변홀(210)에서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어 에이치빔 보강구를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체안내부(700)에 의해 형성된 이동공간부(710)를 통해 빗물 등 유체가 통과되므로, 유체가 웹(12)과 보강플레이트(150) 사이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녹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는, 유체차단부를 구비하어 조절축의 나사부와 가변브라켓의 가변홀 사이에 빗물, 눈 등이 유입되어 녹 쓰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강플레이트의 일측에 유체안내부를 구비하여 에이치빔의 웹과 보강플레이트 사이에 유체가 이동하는 이격공간을 제공하여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축을 가변브라켓의 가변홀에 조립할 때, 구속부를 이용하여 실링부재의 길이방향을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방지부를 이용하여 조절축을 가변브라켓의 가변홀에 조립시, 실링부재가 조절축의 장착부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플레이트에 유체안내부를 구비하여 빗물 등 유체가 이동공간부를 통해 배출되게 함으로써, 보강플레아트와 웹에 녹쓰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플레이트에 자력부착부를 구비하여 에이치빔 보강구를 에이치빔의 웹에 자기력으로 일시 부착한 후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에이치빔 12 : 웹
14 : 플랜지 100 : 밀착블럭
200 : 기변브라켓 210 : 가변홀
220 : 진입제한턱 300 : 조절축
310 : 니사산 400 : 유체차단부
410 : 장착부 420 : 실링부재
422 : 경사진입안내면 424 : 이동제한돌부
500 : 구속부 510 : 구속홈부
520 : 구속돌부 600 : 회전방지부
610 : 회전방지홈부 620 : 회전방지돌부
700 : 유체안내부 710 : 이동공간부
800 : 자력부착부 810 : 설치홈부
820 : 자력부재

Claims (8)

  1. 에이치빔의 홈에 삽입 설치되고, 마주보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밀착블럭;
    상기 밀착블럭에 구비되고, 일측에 가변홀이 형성되는 가변브라켓;
    상기 가변홀에 나사산이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가변브라켓을 양측으로 벌려주거나 오므려주어 상기 밀착블럭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축; 및
    상기 조절축의 나사산과 상기 가변홀 사이를 밀봉하여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유체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차단부는,
    상기 조절축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나사산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구비되고, 상기 나사산과 상기 가변홀 사이로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구속부에 의해 상기 장착부에서 결합 위치가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장착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실링부재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구속홈부; 및
    상기 구속홈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실링부재의 내측면 또는 상기 장착부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구속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회전방지부에 의해 상기 조절축과 상기 가변브라켓의 결합시 상기 장착부에서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장착부에 설치되되, 상기 나사산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변홀의 진입측 내경은 개방측으로 갈수록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블럭은 상기 에이치빔의 웹에 접촉되는 보강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에는 상기 웹에 접촉시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체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안내부에는 상기 에이치빔의 웹에 자기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력부착부가 구비되고,
    상가 자력부착부는,
    상기 유체안내부에 형성되는 설치홈부; 및
    상기 설치홈부에 매립되어 장착되는 자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



KR1020190127806A 2019-10-15 2019-10-15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 KR102260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806A KR102260395B1 (ko) 2019-10-15 2019-10-15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806A KR102260395B1 (ko) 2019-10-15 2019-10-15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531A true KR20210044531A (ko) 2021-04-23
KR102260395B1 KR102260395B1 (ko) 2021-06-03

Family

ID=7573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806A KR102260395B1 (ko) 2019-10-15 2019-10-15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9001A (zh) * 2022-03-14 2022-07-29 中铁时代建筑设计院有限公司 一种可循环使用的装配式prc支护结构及支护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9071A (en) * 1972-10-11 1975-04-22 Schell Kg Hubert Threaded connection seal
KR200270234Y1 (ko) * 2001-12-29 2002-03-29 최갑상 토건용 스티프너 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9071A (en) * 1972-10-11 1975-04-22 Schell Kg Hubert Threaded connection seal
KR200270234Y1 (ko) * 2001-12-29 2002-03-29 최갑상 토건용 스티프너 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9001A (zh) * 2022-03-14 2022-07-29 中铁时代建筑设计院有限公司 一种可循环使用的装配式prc支护结构及支护工艺
CN114809001B (zh) * 2022-03-14 2024-05-03 中铁时代建筑设计院有限公司 一种可循环使用的装配式prc支护结构及支护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395B1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8684B1 (en) Guide assembly for guiding a casing used in forming a sheathing wall in a ground and a method for forming a sheathing wall in a ground using the same
US20230151568A1 (en) Safety gate
KR20210044531A (ko) 부식방지구조를 갖는 에이치빔 보강구
KR100651635B1 (ko) 프리 캐스트 박스 암거
KR100578537B1 (ko) 공동주택내의 지대가 낮은 지하공간의 우수유입방지장치
JPH0571297A (ja) アンカー材
KR102085579B1 (ko) 건축용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20220147892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트렌치
KR930001321Y1 (ko) 배수관 연결 조인트
KR102488318B1 (ko) 휨 부재 분절단에서 조립 가능한 소켓장치
KR102616865B1 (ko)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
US20220010538A1 (en) Universal joint type water flow guiding assembly capable of adjusting to uneven ground
KR102397608B1 (ko) 지지력이 향상된 소재 교차 연결장치
KR102611157B1 (ko) 양문개폐형 차수장치
KR102326135B1 (ko)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KR102173078B1 (ko) 끼움식 결합부재가 구비된 내벽형성유닛을 포함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
KR102069668B1 (ko) 강관루프 구조체
KR20190106325A (ko) 흙막이판이 구비된 제수밸브 보호통
CN220521599U (zh) 一种防水性钢结构
KR102403819B1 (ko) 야외 배수로 인근 침하 방지 장치
JP5408543B2 (ja) 管路更生方法
KR101059542B1 (ko) 맨홀
JP3195372U (ja) 排水溝動物侵入防止具
JP3474445B2 (ja) セグメントおよびシールドトンネルの施工方法
WO2024040305A1 (en) A channel strip for dr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