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492A - Led치아미백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Led치아미백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492A
KR20210044492A KR1020190127714A KR20190127714A KR20210044492A KR 20210044492 A KR20210044492 A KR 20210044492A KR 1020190127714 A KR1020190127714 A KR 1020190127714A KR 20190127714 A KR20190127714 A KR 20190127714A KR 20210044492 A KR20210044492 A KR 20210044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tooth
teeth
mold
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빈
Original Assignee
이원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빈 filed Critical 이원빈
Priority to KR1020190127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4492A/ko
Publication of KR20210044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6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 A61N2005/0668Apparatus adapted for operation in a moist environment, e.g. bath or sh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Co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3EVA, i.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원의 일 측면에 따른 LED 치아미백장치의 제조방법은, 치아의 본을 뜨고 이를 이용하여 치아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치아형틀 내부에서 LED 유닛을 지지 부재에 고정시킨 후, 주형소재를 상기 치아형틀에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주형소재를 급냉각하여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LED 유닛은 치아미백을 위한 LED 광원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지지 부재는 치열을 따라 U자형으로 형성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중앙 부분에 돌출된 손잡이부; 및 상기 레일부 상에 LED 유닛을 고정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고정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LED치아미백장치 및 그 제조방법{TOOTH WHITENING MOUTH PIECE AND MANUFACTURE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LED 치아미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성, 내구성이 우수한 LED치아미백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용 분야에서 치아 미백은 오랜 세월동안 관심 대상이었으며, 최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미용에 대한 관심은 커지는 추세이고, 치아 미백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사람의 치아는 약물, 선천적 요인, 담배, 음식의 색소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본래 색깔로부터 변질되어 누렇거나 검게 변하며, 이렇게 변색된 치아를 다시 본래의 하얀 상태로 되돌리는 것은 미용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하얀 치아는 상대방에게 깨끗한 이미지를 남겨 줄 뿐 아니라, 본인 스스로도 자신의 외모에 대해 더 만족감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장시간이 소요되는 치과의 치아 미백은 고통스럽고 비쌀 뿐 아니라 치료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진다. 또한 치과 미백이 대중화됨에 따라 여러가지 치아 미백용 약제 및 기술들이 출현하고 있으나,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소비자는 전문적인 미백과 유사한 효과를 가지면서도, 자주 쉽게 사용하여 안정된 미백 결과를 가지는 집에서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미백 장치를 필요로 한다. 치아미백제가 담겨있는 미백용 마우스피스장치는 미백 양물의 노출시간 등을 조절하기 어렵고, 장기간 사용하기 곤란하며, 백색광 등을 활용하는 마우스피스장치는 내구성, 효율성이 부족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9784호 (발명의 명칭: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치아미백장치의 제조방법은, 치아의 본을 뜨고 이를 이용하여 치아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치아형틀 내부에서 LED 유닛을 지지 부재에 고정시킨 후, 주형소재를 상기 치아형틀에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주형소재를 냉각하여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LED 유닛은 치아미백을 위한 LED 광원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지지 부재는 치열을 따라 U자형으로 형성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중앙 부분에 돌출된 손잡이부; 및 상기 레일부 상에 LED 유닛을 고정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고정홀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연성 회로기판을 포함하고, LED 유닛을 핀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홀에 고정시키는 것이고, 상기 LED 유닛을 상기 고정홀에 상기 금형의 핀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상기 주형소재를 상기 치아형틀에 주입하고, 사출하기 전 상기 핀을 기설정된 속도 이하로 서서히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주형소재는 EVA소재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미백을 위한 LED 치아미백장치는, 마우스피스 및 마우스피스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LED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LED 유닛은 LED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LED 광원은 마우스피스 착용시 치아면을 따라 배열된 것인, LED 치아미백장치이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치아미백장치의 제조방법은 인서트 사출방식을 사용하여 마감제가 누출되지 않고 방수성, 내구성이 우수한 일체형 LED 치아미백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치아미백장치의 제조방법은 LED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부의 전선 등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심리적 거부감을 감소시키고, 미세전류에 의한 감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치아미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치아미백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치아미백장치의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치아미백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치아미백장치의 비스듬하게 내려다 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치아미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LED 치아미백장치(100)는 마우스피스(110), 지지부재(120), 고정홀(130) 및 LED 유닛으로 구성된다.
마우스피스(110)는 구강 전용 실리콘, EVA(Ethylene Vinyl Acetate)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EVA 재질은 섭씨 80도 정도의 물에 녹여서 입안에서 착용자 본인의 치아 형태에 맞게 입술로 다듬어서 맞출 수 있다.
마우스피스(110)는 통상의 마우스피스의 형상과 유사하며, 구강 내 치아 부분으로 삽입하여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들이 거치될 수 있도록 U자 형상의 본체를 가지고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열을 가하여 성형한 뒤에도 다시 열을 가하면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는 수지로 압출성형, 사출성형에 의해 능률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본 발명의 LED 치아미백장치 또한 뜨거운 물에 담그는 방법 등으로 가열해서 마우스피스가 유연해지면, 연화된 마우스피스를 사용자의 치아에 물려 사용자의 치아 형태에 좀 더 밀착되는 형태로 변형 가능한 장점이 있다.
지지부재(120)는 플라스틱, 실리콘, ABS 수지, EVA 수지, COC 수지 또는 엘라스토마수지가 사용될 수 있고, 회로기판(PCB) 또는 연질회로기판(FPCB)이 직접 사용될 수도 있다.
고정홀(130)은 LED 유닛을 고정하기 위해 지지부재상에 형성된다. 고정홀(130)은 U자모양의 지지 부재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좌측에 4개 우측에 4개 중앙에 1개 총 9개의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으나, 개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LED 유닛(140)은 LED 광원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칩으로 구성된다. LED 광원은 치아미백을 위해 가장 적절한 파장대인 400~500nm의 LED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치아미백을 위한 LED 유닛을 제조하는 경우 미백용 LED 뿐 아니라, 자외선 UV살균 LED 또는 치료용 적광 LED가 각각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LED 유닛의 동작을 위한 전원은 LED유닛 내부에 포함되거나, 별도의 배터리형태 또는 외부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레일부(150)는 지지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하는 LED 유닛과 결합하는 단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치아미백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LED 광원 및 LED 칩을 형성하고(S110), LED 유닛을 제조한다(S120). LED 유닛에 사용되는 PCB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일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은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동박(구리막)을 입힌 회로 기판의 원판으로, 휴대성과 굴곡성이 뛰어나 휴대용 기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치아형틀은 사용자의 잇몸 및 치열의 본을 떠서 각각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평균적인 사용자의 잇몸 및 치열의 형태를 고려하여 대량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S130).
치아형틀에 LED 유닛을 고정하고 주형소재를 주입한다. 이때 LED 유닛을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핀을 사용 가능하다. 치아형틀 내부에서 LED 유닛을 지지 부재에 고정시킨 후 주형소재를 치아형틀에 주입한다(S140).
주형소재를 급냉각하여 사출한다(S150). 마우스피스가 사출되기 전에 핀을 서서히 제거하면, 핀이 제거된 영역또한 주형소재로 메꿔져서 사출품이 완성된다.
이때 사출 방식은 인서트 사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LED 치아미백장치를 제조하면서 일반적인 사출 방식을 사용하여 마우스피스를 제조하면, 마우스피스 사출 이후 LED 유닛 등을 삽입해야 하므로 마감 부분이 매끄럽지 않거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LED 치아미백장치는 구강 내에서 사용되므로 마우스피스 내부의 LED 유닛이 오염될 수 있고, 반대로LED 유닛에 포함된 마감제가 노출되거나, 미세전류에 의해 감전될 위험이 있다.
인서트 사출 방식의 경우 인서트 너트(insert nut)를 삽입하여 사출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서는LED 유닛을 마우스피스를 사출하기 전 치아 형틀에 고정시켜 일체형으로 사출하는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일반적인 사출 방식과 비교할 때, 방수성, 내구성이 뛰어나고 마감제가 노출되거나 LED 유닛이 오염될 우려가 낮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치아미백장치의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치아미백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치아미백장치의 비스듬하게 내려다 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치아미백장치는 마우스피스(110) 형태 속에 지지부재(120)가 고정된 상태로 사출된 LED 치아미백장치이다. 지지부재(120) 상에는 고정홀(130) 좌우대칭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5에서는 좌측에4개 우측에4개 중앙에1개 손잡이부분에1개로 총 10개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으나, 고정홀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많거나 적을 수 있다.
LED 치아미백장치는 미백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치아미백제를 병행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LED 치아 미백장치에서 LED 광원을 통해 미백에 효과적인 파장의 광선을 조사하여 치아미백제의 효과를 높인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LED 치아미백장치
110: 마우스피스
120: 지지 부재
130: 고정홀
140: LED 유닛
150: 레일부

Claims (5)

  1. (a) 치아의 본을 뜨고 이를 이용하여 치아형틀을 제작하는 단계;
    (b) 치아형틀 내부에서 LED 유닛을 지지 부재에 고정시킨 후, 주형소재를 상기 치아형틀에 주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주형소재를 급냉각하여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LED 유닛은 치아미백을 위한 LED 광원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지지 부재는 치열을 따라 U자형으로 형성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중앙 부분에 돌출된 손잡이부; 및
    상기 레일부 상에 LED 유닛을 고정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고정홀을 포함하는,
    LED 치아미백장치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고정핀, 상기 LED 유닛 및 고정홀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고정핀이 상기 LED 유닛을 상기 고정홀에 고정시킨 후 상기 주형소재를 상기 치아형틀에 주입하고,
    상기 (c)단계 전, 상기 LED 유닛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고정핀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LED 치아미백장치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소재는 EVA소재 및 구강 전용 실리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인,
    LED 치아미백장치의 제조방법.
  4. 치아미백을 위한 LED 치아미백장치에 있어서,
    치아에 밀착되는 마우스피스 및 마우스피스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치열을 따라 U자형으로 형성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중앙 부분에 돌출된 손잡이부; 및
    상기 레일부 상에 LED 유닛을 고정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LED 유닛은 LED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LED 광원은 마우스피스 착용시 치아면을 따라 배열된 것인,
    LED 치아미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EVA소재 또는 구강 전용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인 것인,
    LED 치아미백장치.
KR1020190127714A 2019-10-15 2019-10-15 Led치아미백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44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714A KR20210044492A (ko) 2019-10-15 2019-10-15 Led치아미백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714A KR20210044492A (ko) 2019-10-15 2019-10-15 Led치아미백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492A true KR20210044492A (ko) 2021-04-23

Family

ID=7573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714A KR20210044492A (ko) 2019-10-15 2019-10-15 Led치아미백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44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383A (ko) * 2021-07-21 2023-01-3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구강 케어 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383A (ko) * 2021-07-21 2023-01-30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구강 케어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414B1 (ko) 구강 조직 치료용 활성화된 텍스쳐 표면을 갖는 장치
US20170172717A1 (en) Dental Carrier
US20160270892A1 (en) Mouthpiece type of electric toothbrush
US9895550B2 (en) Flexible LED light pad for phototherapy
KR20140140617A (ko) 몰딩 방법
KR101660388B1 (ko) Led 패드 및 이 led 패드를 포함하는 개인용 치료기
KR20050114585A (ko) 마우스피스
KR20140140096A (ko) 몰딩된 자극 패드
CA2973076C (en) Oral mounting fixture
KR20210044492A (ko) Led치아미백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9284985A (ja) 歯科漂白用マウスピ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02011A (ko) 마우스피스
KR101333741B1 (ko) 미용 마스크 장치
TWI555515B (zh) 牙齒美白裝置
BRPI0815734B1 (pt) Moldeira de tratamento dental não personalizada para uso na aplicação de uma composição de tratamento dental aos dentes de um indivíduo e dispositivo de tratamento dental
US8382473B2 (en) Apparatus and method relating to teeth whitening
US20080038685A1 (en) Light Irradiation Device For Oral Cavity
KR101611987B1 (ko) 다기능 치아 미백장치
KR101425669B1 (ko) 광 치료용 마우스피스의 제조방법
KR101791005B1 (ko) 어금니 관리장치
KR102580425B1 (ko) 구강 케어 기기
KR102157630B1 (ko) 안경형 광미용 기기
JP2020195662A (ja) 歯のホワイトニング装置
KR200482369Y1 (ko) 치아미백기 구조체
TWM566557U (zh) 口腔保健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