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369Y1 - 치아미백기 구조체 - Google Patents

치아미백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369Y1
KR200482369Y1 KR2020150004543U KR20150004543U KR200482369Y1 KR 200482369 Y1 KR200482369 Y1 KR 200482369Y1 KR 2020150004543 U KR2020150004543 U KR 2020150004543U KR 20150004543 U KR20150004543 U KR 20150004543U KR 200482369 Y1 KR200482369 Y1 KR 200482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insert cover
cover
dimmer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희
Original Assignee
김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희 filed Critical 김순희
Priority to KR2020150004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미백기 구조체는 치아가 노출되는 제1중공을 중심으로 하향하게 만곡진 호형의 판으로 형성되어 착용시 잇몸에 밀착되는 구강착용부와 상기 구강착용부 양측에 돌출형성된 협지부재와 상기 구강착용부로부터 하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측벽부가 마련된 연질의 실리콘인 마우스트레이와, 상기 마우스트레이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중공과 연통된 제2중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제2중공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경사진 테이버부가 구비된 경질의 소재인 인서트커버와, 상기 인서트커버의 하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LED식재된 인쇄회로기판가 수용되어 상기 제1중공과 제2중공을 통과해 치아로 LED광을 조사하는 경질의 소재인 조광기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치아미백기 구조체{Structure of tooth whitening apparatus}
본 고안은 치아미백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치아미백기에 사용되는 마우스피스와 조광기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7727호 '치아미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의 기술은 사람의 입안 치아에 물리는 물림판과 입을 막아주는 본체가 일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성실리콘 재질의 마우스피스와; 상기 마우스피스의 본체 속에 삽입 설치되고, 광조사를 위한 다수의 LED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고, 전원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LED의 구동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발열량과 발열 시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이루어지되,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LED와 함께 발열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콘트롤러의 구동부를 LED구동부와, 발열수단 구동부로 분리구성하여 발열량과 발열시간을 정확히 제어할 수 dlTY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진동수단을 마우스 피스 내에 설치하여 콘트롤러에서 선택제어 할 수 있도록 하여 진동기로서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마우스 피스에 휴대단말기를 연결하거나, 전지 삽입실을 설치해 콘트롤러 없이 마우스 피스만으로 광조사모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연성실리콘 재질의 마우스피스 본체속에 LED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이 삽입되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외부 압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끊어질져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개선하고자 한 것으로, LED가 식재된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되는 부분을 경질의 소재로 형성시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파손을 방지하는 치아미백기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치아가 노출되는 제1중공을 중심으로 하향하게 만곡진 호형의 판으로 형성되고 착용시 잇몸에 밀착되는 구강착용부와 상기 구강착용부 양측에 돌출형성된 협지부재와 상기 구강착용부로부터 하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측벽부가 마련된 연질의 실리콘으로 형성된 마우스트레이와, 상기 마우스트레이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중공과 연통된 제2중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제2중공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부가 구비된 경질의 소재인 인서트커버와, 상기 인서트커버의 하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LED식재된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되어 상기 제1중공과 제2중공을 통과해 치아로 LED광을 조사하는 경질의 소재인 조광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미백기 구조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서트커버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인서트커버는 상단에 내측으로 꺽인 단턱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우스트레이에는 하측 일부가 상기 테이퍼부 내측면에 면접되고, 상기 인서트커버의 단턱이 상기 측벽부에 매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광기는 중앙에 투명창이 결합되는 제3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중공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외측벽이 상기 인서트커버의 내측벽에 면접되어 결합되는 조광판과, 상기 조광판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커버의 하측면을 커버하는 커버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광판과 커버판 사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미백기 구조체는 LED가 식재된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되는 부분인 조광기가 경질의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조광기가 체결되는 부분인 인서트커버 또한 경질의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조광기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미백기 구조체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미백기 구조체의 사시분해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미백기 구조체의 측단면도.
도4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미백기 구조체의 정단면도.
도5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미백기 구조체의 저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미백기 구조체(1)는 치아가 노출되는 제1중공(10a)을 중심으로 하향하게 만곡진 호형의 판으로 형성되어 착용시 잇몸에 밀착되는 구강착용부(11)와 상기 구강착용부(11) 양측에 돌출형성된 협지부재(13)와 상기 구강착용부(11)로부터 하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10a)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측벽부(15)가 마련된 연질의 실리콘인 마우스트레이(10)와, 상기 마우스트레이(10)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중공(10a)과 연통된 제2중공(20a)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제2중공(20a)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부(21)가 구비된 경질의 소재인 인서트커버(20)와, 상기 인서트커버(20)의 하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LED식재된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되어 상기 제1중공(10a)과 제2중공(20a)을 통과해 치아로 LED광을 조사하는 경질의 소재인 조광기(30)로 형성된다.
상기 마우스트레이(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착용부(11)와 협지부재(13)와 측벽부(15)로 형성되는데, 이 구강착용부(11) 중앙에 제1중공(1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10a)을 중심으로 가장자리에 하향하게 만곡진 호형으로 형성된다. 구강착용부(11)는 착용시 잇몸과 입술 사이에 안착되어 잇몸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중공(10a)의 가장자리를 따라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10a)을 통해 치아가 노출된다. 상기 제1중공(10a)은 치열을 따라 길고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강착용부(11)에는 양측에 협지부재(13)가 형성되는데, 이 협지부재(13)는 안쪽 어금니로 상기 협지부재(13)를 물어 상기 구강착용부(11)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어금니가 안착되도록 판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협지부재(1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어금니로 물어 구강착용부(11)를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면 무방하지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협지부재(13)는 구강착용부(11) 양측에 수직하게 판상형으로 형성된 협지부(13b)와, 상기 복수개의 협지부(13b)를 연결하되 만곡져 형성된 판형으로 상기 협지부(13b)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는 연결부(13a)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안쪽 어금니를 이용하여 상기 협지부(13b)를 물어 상기 구강착용부(11)를 고정하고, 상기 협지부(13b)를 물게되면 상기 연결부(13a)가 치아 뒷쪽에 위치하여 치아에 혀가 닿는 것을 방지한다. 치아미백기(1)를 사용하기 전에 치아에 도포하게 되는 치아미백제는 혀나 구강내 피부에 닿으면 쓰라린 느낌이 드는데, 상기 연결부(13a)가 형성됨에 따라 혀가 치아 뒤쪽으로 새어나오는 치아미백제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협지부(13b)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3a)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강착용부(11)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수직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협지부(13b)는 앞니와 송곳니, 어금니를 포함한 모든 치아로 물 수 있어 상기 구강착용부(11)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마우스트레이(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강착용부(11)로부터 하향하게 상기 제1중공(10a)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측벽부(15)가 마련된다. 상기 측벽부(15)는 착용시 입술이 안착되고 후술될 조광기(30)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하측부에는 후술될 인서트커버(20)가 결합되도록 체결부(15a)가 형성된다.
상기 마우스트레이(10)는 구강내에 착용되는 부분으로 피부가 약한 구강내 피부의 특성상 부드러운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질의 실리콘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마우스트레이(10)에는 인서트커버(20)가 결합되는데, 이 인서트커버(20)는 상기 마우스트레이(10)와 후술될 조광기(30)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1중공(10a)과 연통된 제2중공(20a)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제2중공(20a)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하향하게 경사진 테이퍼부(2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인서트커버(20)는 후술될 조광기(3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경질의 소재로 형성되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미백기용 구조체의 인서트커버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부(21)의 하단에는 상기 제2중공을 항해 꺽여 형성된 단턱부(21a)가 형성되는데, 이 단턱부(21a)는 상기 마우스트레이(10)와 인서트커버(20)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형성된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마우스트레이(10)의 상측 일부는 상기 테이퍼부(21)의 내측면에 면접되고 상기 인서트커버(20)의 단턱이 상기 측벽부(10)에 매몰되도록, 상기 인서트커버(20)를 먼저 사출하고, 상기 인서트커버(20)를 사출 몰드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마우스트레이(10)를 사출한다. 즉, 인서트커버(20)를 인서트물로 하여 상기 마우스트레이(10)를 인서트사출한다. 이때,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커버(20)의 상단에 형성된 단턱(21a)이 상기 마우스트레이(10)의 측벽부(15)에 매몰되면서 상기 인서트커버(20)와 마우스트레이(10)의 결합력이 높아지는 것이다.
상기 인서트커버(20)의 일측에는 조광기(30)가 결합되는데, 이 조광기(30)는 LED가 식재된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것으로, 상기 인서트커버(20)에 결합되는 조광판과 상기 조광판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커버(20)의 하측면을 커버하는 커버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광판은 내장된 LED가 상기 제1통공과 제2통공을 통해 치아로 빛을 조사하도록 중앙에 투명창이 결합되는 제3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중공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이 상기 인서트커버(20)의 내측벽에 면접되어 결합된다.
상기 조광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커버판은, 상기 인서트커버의 하측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상기 인서트커버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커버판이 매끈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조광판보다 상기 커버부가 상기 인서트커버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일 바람직하다.
상기 조광기(30)는 내장된 LED가 식재된 인쇄회로기판을 보호하기 위하여 경질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광기(30)는 경질의 소재 중 사출성형이 용이한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치아미백기 구조체는 연질의 마우스트레이(10)와, 상기 마우스트레이(10)와 조광기(30)를 연결하는 경질의 인서트커버(20)와, 상기 인서트커버(20)에 결합되는 경질의 조광기(30)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조광기(30)에 내장된 LED가 식재된 인쇄회로기판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인서트커버(20)가 경질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조광기(3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마우스트레이(10)는 인서트커버(30)를 몰드에 삽입하여 상기 마우스트레이(10)를 사출하여 경질의 인서트커버(20)와 연질의 마우스트레이(10)를 견고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경질의 조광기(30)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경질의 조광기(30)는 경질의 인서트커버(20)에 결합되므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며, 상기 경질의 인서트커버(20)와 상기 연질의 마우스트레이(10)는 인서트사출되므로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마우스트레이
10a : 제1중공
11 : 구강착용부
13 : 협지부재
13a : 연결부
13b : 협지부
15 : 측벽부
15a : 체결부
20 : 인서트커버
20a : 제2중공
21 : 테이퍼부
30 : 조광기

Claims (6)

  1. 치아가 노출되는 제1중공을 중심으로 하향하게 만곡진 호형의 판으로 형성되고 착용시 잇몸에 밀착되는 구강착용부와, 상기 구강착용부 양측에 돌출형성된 협지부재와, 상기 구강착용부로부터 하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을 둘러싸며 형성되는 측벽부가 마련된 연질의 실리콘으로 형성된 마우스트레이;
    상기 마우스트레이의 하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중공과 연통된 제2중공이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제2중공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부가 구비된 경질의 소재인 인서트커버; 및
    상기 인서트커버의 하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LED식재된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되어 상기 제1중공과 제2중공을 통과해 치아로 LED광을 조사하는 경질의 소재인 조광기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인서트커버는 상단에 내측으로 꺽인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우스트레이에는 하측 일부가 상기 테이퍼부 내측면에 면접되고, 상기 인서트커버의 단턱이 상기 측벽부에 매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광기는 중앙에 투명창이 결합되는 제3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중공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외측벽이 상기 인서트커버의 내측벽에 면접되어 결합되는 조광판과, 상기 조광판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커버의 하측면을 커버하는 커버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광판과 커버판 사이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미백기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커버는 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미백기 구조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재는 상기 구강착용부 양측에 수직하게 판형으로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협지부와, 상기 복수개의 협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구강착용부와 평행한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미백기 구조체.

KR2020150004543U 2015-07-06 2015-07-06 치아미백기 구조체 KR200482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543U KR200482369Y1 (ko) 2015-07-06 2015-07-06 치아미백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543U KR200482369Y1 (ko) 2015-07-06 2015-07-06 치아미백기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369Y1 true KR200482369Y1 (ko) 2017-01-16

Family

ID=57963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543U KR200482369Y1 (ko) 2015-07-06 2015-07-06 치아미백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36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016Y1 (ko) * 2005-12-21 2006-03-22 안승만 휴대용 치아미백기
KR100801887B1 (ko) * 2007-06-26 2008-02-12 (주) 덴토존 구강 개구 홀더를 이용한 치아미백기
KR101453520B1 (ko) * 2013-06-04 2014-10-23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치아 미백 장치
KR101525123B1 (ko) * 2014-08-29 2015-06-03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치아 미백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016Y1 (ko) * 2005-12-21 2006-03-22 안승만 휴대용 치아미백기
KR100801887B1 (ko) * 2007-06-26 2008-02-12 (주) 덴토존 구강 개구 홀더를 이용한 치아미백기
KR101453520B1 (ko) * 2013-06-04 2014-10-23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치아 미백 장치
KR101525123B1 (ko) * 2014-08-29 2015-06-03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치아 미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13313A1 (en) Self contained composition enhancing dental tray
US8152521B2 (en) Orthodontic appliance
USD544683S1 (en) Shoe
US20050266370A1 (en) Mouthpiece
USD540525S1 (en) Shoe
IL142657A0 (en) Acetal resin crowns for children
KR101660388B1 (ko) Led 패드 및 이 led 패드를 포함하는 개인용 치료기
KR100768030B1 (ko) 치과용 마우스 프롭
USD538936S1 (en) Probe
CA100351S (en) Insole
USD585554S1 (en)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oral cavity
RU201512402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содержащее зеркало и распростроняющий свет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D532907S1 (en) Handpiece for dental curing light
KR200412016Y1 (ko) 휴대용 치아미백기
KR200482369Y1 (ko) 치아미백기 구조체
USD592827S1 (en) Confection
KR101611987B1 (ko) 다기능 치아 미백장치
ITUD20020250A1 (it) Succhietto per bambini.
USD508996S1 (en) Teeth whitening mouthpiece
KR101695585B1 (ko) 틀니용 어태치먼트의 의치 결합방법
KR101749865B1 (ko) 틀니용 의치
KR20110049171A (ko) 동물용 개구기
USD508563S1 (en) Teeth whitening mouthpiece
KR102577852B1 (ko) 입속삽입형 원적외선 발생장치
KR101501197B1 (ko) 자가결찰식 치열 교정용 브라켓 및 브라켓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