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005B1 - 어금니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어금니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005B1
KR101791005B1 KR1020160082761A KR20160082761A KR101791005B1 KR 101791005 B1 KR101791005 B1 KR 101791005B1 KR 1020160082761 A KR1020160082761 A KR 1020160082761A KR 20160082761 A KR20160082761 A KR 20160082761A KR 101791005 B1 KR101791005 B1 KR 101791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molar
control unit
cover
inj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형진
Original Assignee
배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형진 filed Critical 배형진
Priority to KR1020160082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combined with means providing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3/00Gum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3/00Gum massage
    • A61H13/005Hydraulic gum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G06F19/321
    • G06F19/322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어금니를 향해 세척수가 분사됨으로써 어금니 사이에 위치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고, 분사된 세척수는 이물질과 함께 흡입됨으로써 어금니가 항시 청결하게 유지 및 관리될 수 있고, 어금니와 잇몸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유닛이 구비되고 촬영된 이미지는 치과병원과 원격치료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된 이동단말기로 전송됨에 따라 질병의 조기발견 및 치료가 가능하며, 진동소자에 의해 잇몸이 마사지 될 수 있어 잇몸이 건강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어금니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금니 관리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사용자의 어금니 한 개 이상에 덮어 씌워지되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그 내부의 하단 가장자리가 잇몸에 밀착 고정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부 하단에 내장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잇몸 부위가 마사지되게 하는 진동소자와,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어금니와 잇몸을 향해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구와, 상기 커버부의 내벽 하부에 설치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상기 세척수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사용자의 구강 외부에 위치되되 상기 진동소자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진동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분사구 및 흡입구와 세척수의 공급 및 회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어금니 관리장치{MANAGEMENT DEVICE FOR MOLAR}
개시된 내용은 치아가 건강한 상태로 관리될 수 있게 하는 어금니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tooth)는 구강 내 위 턱과 아래 턱에 각각 유선형으로 배열되며 소화와 발음을 돕는 단단한 구조물을 뜻한다. 이러한 치아는 구강 내 표면적의 20% 정도를 차지하는데 위턱 치아의 표면적이 아래턱 치아의 표면적보다 더 넓고, 위턱의 치아가 아래턱의 치아를 살짝 덮는 형상으로 맞물린다.
치아는 우리 몸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인 사기질로 구성되는데, 구강 내의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 소화하기 쉽게 만들어준다. 또한, 치아는 턱뼈, 얼굴 형태, 교합력(씹는 힘) 등에 알맞은 형태를 가지고 적절한 위치에 배열되며, 정확한 발음과 말을 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치아 중에서도 어금니는 주로 음식물을 씹고 으깨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치열의 양단 후방에 위치되는데, 구치(molar)라고도 한다. 이러한 어금니는 그 형태에 따라서 2개로 분류된다. 전방의 작은 쪽을 소구치, 후방의 큰 쪽을 대구치라고 한다. 소구치는 상하턱에 좌우 각 2개가 있고, 대구치는 각 3개가 있다.
한편, 치아의 관리는 보통 칫솔 또는 치실을 통해 이루어진다. 칫솔은 칫솔모에 일정량의 치약을 짜내어 노출된 치아 면에 칫솔모를 반복 마찰시키는 방법으로 칫솔질 된다. 또한, 치실은 치아 사이 사이에 치실을 넣었다 뺐다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앞니와 송곳니는 입을 벌렸을 때 쉽게 확인이 가능하며 칫솔모와 치실이 쉽게 진입될 수 있어 비교적 깔끔한 관리가 가능하다. 이에 비해서 어금니는 그 크기가 크고 구강 내 깊은 곳에 위치되어 있어 칫솔모와 치실이 진입되기 어려워 상대적으로 관리가 까다롭다. 따라서 어금니는 충치가 발생 되었을 경우 발견이 쉽지 않아 조기에 치료되기 어렵고, 치료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32685호(2015.03.27)
치아 중에서도 관리가 어려운 어금니의 건강상태가 판별될 수 있고, 건강한 상태로 유지 및 관리될 수 있게 하는 어금니 관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사용자의 어금니 한 개 이상에 덮어 씌워지되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그 내부의 하단 가장자리가 잇몸에 밀착 고정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부 하단에 내장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잇몸 부위가 마사지 되게 하는 진동소자와,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어금니와 잇몸을 향해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구와, 상기 커버부의 내벽 하부에 설치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상기 세척수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사용자의 구강 외부에 위치되되 상기 진동소자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진동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분사구 및 흡입구와 세척수의 공급 및 회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어금니 관리장치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어금니 관리장치는 어금니를 향해 세척수가 분사됨으로써 어금니 사이에 위치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고, 분사된 세척수는 이물질과 함께 흡입됨으로써 어금니가 항시 청결하게 유지 및 관리될 수 있고, 어금니와 잇몸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유닛이 구비되고 촬영된 이미지는 치과병원과 원격치료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된 이동단말기로 전송됨에 따라 질병의 조기발견 및 치료가 가능하며, 진동소자에 의해 잇몸이 마사지 될 수 있어 잇몸이 건강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금니 관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금니 관리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금니 관리장치의 다른 사용상태 단면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3은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금니 관리장치(1)의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전술한 커버부(10)는 어금니 상에 기밀하게 덮어 씌워지며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버부(10)는 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사용자의 어금니 한 개 이상에 덮어 씌워진다. 이때 수용공간은 어금니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데, 수용되는 어금니 개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0)는 세척수가 누수 되지 않게 기밀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따라서 그 내부의 하단 가장자리가 잇몸에 밀착 고정된다.
이러한 커버부(10)는 합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되, 잇몸 부위에 밀착되는 하단부 가장자리는 기밀성 유지를 위해 유연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커버부(10)의 일측에는 통공(11)이 관통 형성된다. 이는 밀폐된 수용공간 내에 세척수가 분사될 때 내부 공기가 유출되고, 세척수가 흡입될 때 외부 공기가 유입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통공(11)은 공기는 유출 및 유입될 수 있되 세척수는 배출되지 않도록 미세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커버부(10)의 내부 하단에는 진동소자(20)가 구비된다. 전술한 진동소자(20)는 작동 여부에 따라 잇몸 부위가 마사지 되게 하여 혈액순환을 개선 시켜 줌으로써 잇몸이 건강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진동소자(20)는 전선(21)에 의해 추후에 설명될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추후에 설명된 컨트롤러(53)에 의해서 그 진동이 제어되며 종래기술에 따른 진동소자(20)가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수용공간의 내벽 상부 일측에는 분사구(30)가 설치된다. 전술한 분사구(30)는 추후에 설명될 제어부(50)를 통해 공급받은 분사구(30)가 어금니와 잇몸을 통해 분사되어 이물질이 제거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사구(30)는 어금니의 상측마다 위치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 내에 수용 가능한 어금니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전술한 커버부(10)의 내벽 하부에는 흡입구(40)가 설치된다. 전술한 흡입구(40)는 전술한 분사구(30)를 통해 분사된 세척수와, 세척수 분사로 인해 어금니 사이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흡입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흡입구(40)는 커버부(10)의 내벽 하부에 한 개 이상이 구비되되 분사구(30)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전술한 분사구(30)와 흡입구(40)는 각각 제 1 관로(31) 및 제 2 관로(41)를 통해 추후에 설명될 제어부(50)와 연결된다. 제 1 관로(31)와 제 2 관로(41)는 세척수가 유동되는 유로의 역할을 하며, 전술한 전선(21)과 함께 커버부(10) 외측에서 일체로 피복되어 제어부(50)로 연결된다.
한편, 사용자의 구강 외부에는 제어부(50)가 구비된다. 전술한 제어부(50)는 진동소자(20)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진동소자(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분사구(30) 및 흡입구(40)와 세척수의 공급 및 회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50)에는 제 1 저장부재(51)와 제 2 저장부재(52)가 구비된다. 전술한 제 1 저장부재(51)는 제 1 관로(31)를 통해 분사구(30)와 세척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 2 저장부재(52)는 제 2 관로(41)를 통해 흡입구(40)로부터 흡입된 세척수의 회수가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저장부재(51)와 제 2 저장부재(52)는 외부에서 세척수의 저장상태가 확인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50)에는 외부전원과 전원공급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추후에 설명될 이동단말기(70)와 유,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이 탑재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수용공간의 내벽 상부 타측에는 카메라모듈(60)이 작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전술한 카메라모듈(60)은 어금니와 잇몸의 상태가 실시간 촬영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카메라모듈(60)에는 근접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되며 플래시(61)가 점멸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카메라모듈(60)은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카메라모듈(6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이 제어부(50) 측으로 전송된다. 또한, 제어부(50)는 사용자에게 소지 된 이동단말기(70)와 유, 무선접속되어 제어부(50)로 전송된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재전송된다.
한편, 사용자의 이동단말기(70)에는 치과병원과 원격진료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된다. 따라서 이동단말기(70)로 재전송된 이미지를 통해서 사용자의 어금니 상태가 원격으로 진료 될 수 있고, 질병이 발견될 경우 신속한 조기치료가 가능하다.
이하에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금니 관리장치(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커버부(10)를 어금니 측에 덮어씌워서 장착해 준다. 그런 다음, 컨트롤러(53)를 조작해서 제 1 저장부재(51) 내에 저장된 세척수가 제 1 관로(31)로 유동되어 분사구(30)를 통해서 어금니와 잇몸을 향해 분사되게 한다. 분사된 세척수에 의해 어금니 사이에 형성된 음식물과 치석과 같은 이물질이 제거된다.
이물질 제거가 종료되면 다시 컨트롤러(53)를 조작해 세척수 분사를 중지하고, 이어서 흡입구(40)를 통해서 세척수 및 제거된 이물질이 흡입되게 한다. 흡입된 세척수와 이물질은 제 2 관로(41)로 유동되어 제 2 저장부재(52) 내에 저장된다.
세척수 흡입이 종료되면 다시 컨트롤러(53)를 조작해 진동소자(20)의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소자(20)가 잇몸 측에 위치됨에 따라 잇몸이 마사지 되며 혈액순환 개선을 통해 잇몸이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마사지가 종료되면 다시 컨트롤러(53)를 조작해 카메라모듈(60)에 의해 어금니와 잇몸을 촬영한다. 촬영된 이미지는 제어부(50)로 전송되며, 사용자에게 소지 된 이동단말기(70)로 선택적인 재전송이 가능하다. 이동단말기(70)에는 치과병원과 원격진료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되어 있어 이를 통해 치아의 상태와 질병의 유무가 진단될 수 있다. 따라서 질병이 발견되었을 경우 신속한 조기치료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어금니 관리장치(1)에 의하면, 어금니를 향해 세척수가 분사됨으로써 어금니 사이에 위치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고, 분사된 세척수는 이물질과 함께 흡입됨으로써 어금니가 항시 청결하게 유지 및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어금니와 잇몸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유닛이 구비되고 촬영된 이미지는 치과병원과 원격치료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된 이동단말기(70)로 전송됨에 따라 질병의 조기발견 및 치료가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진동소자(20)에 의해 잇몸이 마사지 될 수 있어 잇몸이 건강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게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어금니 관리장치
10 : 커버부
11 : 통공
20 : 진동소자
21 : 전선
30 : 분사구
31 : 제 1 관로
40 : 흡입구
41 : 제 2 관로
50 : 제어부
51 : 제 1 저장부재
52 : 제 2 저장부재
53 : 컨트롤러
60 : 카메라모듈
61 : 플래시
70 : 이동단말기

Claims (11)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사용자의 어금니 한 개 이상에 덮어 씌워지되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그 내부의 하단 가장자리가 잇몸에 밀착 고정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부 하단에 내장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잇몸 부위가 마사지되게 하는 진동소자;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어금니와 잇몸을 향해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구;
    상기 커버부의 내벽 하부에 설치되며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분사구를 통해 분사된 상기 세척수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사용자의 구강 외부에 위치되되 상기 진동소자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진동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분사구 및 흡입구와 세척수의 공급 및 회수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부;가 포함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 상부 타측에는 상기 어금니와 잇몸의 상태가 촬영되는 카메라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모듈에는 플래시가 포함되며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카메라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이 상기 제어부 측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이동단말기와 유, 무선접속되어 상기 제어부로 전송된 이미지가 선택적으로 재전송되며,
    상기 이동단말기에는 상기 제어부에서 전송된 이미지를 근거로 치과병원과 원격진료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고,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는 밀폐된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세척수가 분사될 때 내부공기가 유출되고 밀폐된 상기 수용공간 내의 세척수가 흡입될 때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통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통공은 공기는 유출 및 유입될 수 있되 세척수는 배출되지 않도록 미세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합성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되, 잇몸 부위에 밀착되는 하단부 가장자리는 유연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어금니 관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어금니의 상측마다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 가능한 어금니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금니 관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와 흡입구는 각각 제 1 관로 및 제 2 관로를 통해 제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금니 관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제 1 저장부재와 제 2 저장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제 1 저장부재는 상기 제 1 관로를 통해 상기 분사구와 상기 세척수의 공급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저장부재는 상기 제 2 관로를 통해 상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상기 세척수의 회수가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금니 관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진동소자를 통한 진동발생, 상기 분사구를 통한 세척수의 분사, 상기 흡입구를 통한 세척수의 흡입 및 카메라모듈을 통한 촬영이 제어되는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금니 관리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82761A 2016-06-30 2016-06-30 어금니 관리장치 KR101791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761A KR101791005B1 (ko) 2016-06-30 2016-06-30 어금니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761A KR101791005B1 (ko) 2016-06-30 2016-06-30 어금니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005B1 true KR101791005B1 (ko) 2017-10-27

Family

ID=6030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761A KR101791005B1 (ko) 2016-06-30 2016-06-30 어금니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0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13438A (ja) * 2018-02-13 2021-05-27 イーエイチティー エルエルシー 歯科洗浄用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579A (ja) 1999-10-25 2001-05-08 Osada Res Inst Ltd 歯肉治療具
KR100964414B1 (ko) * 2005-05-25 2010-06-16 바이오레이즈 테크놀로지, 인크. 구강 조직 치료용 활성화된 텍스쳐 표면을 갖는 장치
KR101449724B1 (ko) * 2014-02-21 2014-10-15 현기봉 구강세정장치
KR101543703B1 (ko) 2014-08-29 2015-08-11 신춘우 압축공기를 이용한 구강 세정기
WO2015125109A1 (en) * 2014-02-20 2015-08-27 Mark Levy Oral cavity wetting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579A (ja) 1999-10-25 2001-05-08 Osada Res Inst Ltd 歯肉治療具
KR100964414B1 (ko) * 2005-05-25 2010-06-16 바이오레이즈 테크놀로지, 인크. 구강 조직 치료용 활성화된 텍스쳐 표면을 갖는 장치
WO2015125109A1 (en) * 2014-02-20 2015-08-27 Mark Levy Oral cavity wetting system
KR101449724B1 (ko) * 2014-02-21 2014-10-15 현기봉 구강세정장치
KR101543703B1 (ko) 2014-08-29 2015-08-11 신춘우 압축공기를 이용한 구강 세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13438A (ja) * 2018-02-13 2021-05-27 イーエイチティー エルエルシー 歯科洗浄用装置
JP7450270B2 (ja) 2018-02-13 2024-03-15 イーエイチティー エルエルシー 歯科洗浄用装置
US11931217B2 (en) 2018-02-13 2024-03-19 Eht, Llc Apparatus for dental irrig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3296B2 (en) Mouthpiece type of electric toothbrush
US20220047366A1 (en) Mouthpiece for a Dental Cleaning Device, Method of Brushing Teeth, and Dental Cleaning Device Comprising the Mouthpiece
JP6064127B2 (ja) 歯のホワイトニングの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964414B1 (ko) 구강 조직 치료용 활성화된 텍스쳐 표면을 갖는 장치
US11801128B2 (en) Occlusal stop bite resistor devices utilized in systems and methods for dental treatments
EP2900171B1 (en) Hands free oral hygiene system
US20190000601A1 (en) Bristle-Less Teeth Cleaning Device with Automatic Gel Dispensing for Combined Mechanical and Chemical Activation
JP7016320B2 (ja) 多機能可視口腔清掃器
JP2016502432A (ja) 肌の光線治療装置
EP3032984A1 (en) Dental device for automatically cleaning a person's oral cavity
KR101737903B1 (ko) 애완동물용 구강세정기
JP6347350B2 (ja) 歯漂白装置
KR101822646B1 (ko) 구강 세정기
JP2007105190A (ja) 口腔管理装置
KR101791005B1 (ko) 어금니 관리장치
KR102128806B1 (ko) 전동 칫솔
KR20160111706A (ko) 구강 청결 기구
KR101700274B1 (ko) 치아세정 겸용 잇몸 마사지 기구
CN209172562U (zh) 一种刷牙器及口腔装置
KR200427295Y1 (ko) 초음파를 이용한 잇몸 및 치아 관리기구
KR20190060457A (ko) 구강 세정기
KR20150011951A (ko) 양치질 안내 기능이 포함된 전동칫솔
KR102057152B1 (ko) 구강 세정기
KR200279165Y1 (ko) 다기능 초음파 구강세정기
CN115462924A (zh) 一种具有清洁舒缓牙敏感的口腔护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