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487A -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487A
KR20210044487A KR1020190127708A KR20190127708A KR20210044487A KR 20210044487 A KR20210044487 A KR 20210044487A KR 1020190127708 A KR1020190127708 A KR 1020190127708A KR 20190127708 A KR20190127708 A KR 20190127708A KR 20210044487 A KR20210044487 A KR 20210044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panel controller
mobile device
menu button
operation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144B1 (ko
Inventor
윤형철
김홍석
윤치호
정준호
Original Assignee
포인트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인트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인트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7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14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는 건물 내에 설치된 터치 패널에 장착되어 상기 터치 패널의 동작을 제어하는 터치 패널 제어기;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와 통신 연결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된 동작 명령을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에 전송하여, 상기 터치 패널이 상기 동작 명령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및 방법{SMART IoT TOUCH PANEL CONTROLLER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원격 제어를 지원하지 않는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월패드)에 대하여 터치 패널 제어기를 이용해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컴퓨팅 기술, 네트워크 기술, 보안 기술 등과 같은 IT 기술 발달 및 한국의 독특한 아파트 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왔다.
이러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크게 세대 서비스 및 공용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세대 서비스는 세대 내에 있는 PC, 주변기기, 전화기, 휴대폰, 조명, 난방, 가전제품 등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고, 방범, 화재, 가스 누출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을 미리 감지하여 필요시 관련 기관으로 비상 호출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그리고 공용 서비스는 단지 내에 설치된 CCTV, 엘리베이터, 주차관제장치, 무인택배장치 등과 같은 공용 시설을 모니터링하여 세대 내에서 언제든지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종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세대 내에 설치된 월패드를 통하여 단지 내에 설치된 공용 시설과 연관된 복수의 공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유무선 센서 정보를 얻어서 가스 밸브 및 보일러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집안의 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현대의 모든 아파트들은 각자 현관의 그래픽 유저 디바이스를 가진 월패드(WallPad)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도어락 제어 및 현관 카메라 보기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스마트폰과의 연동이 지원되지 않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있는 기존의 월패드의 경우,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월패드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4071호(발명의 명칭: 홈넷 월패드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디바이스 스마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등록일자: 2015.01.13.)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원격 제어를 지원하지 않는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월패드)에 대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에 부착된 터치 패널 제어기의 해당 터치 영역에 정전기를 발생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는 세대 내에 기 설치된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에 장착되어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의 동작을 제어하는 터치 패널 제어기;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와 통신 연결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된 동작 명령을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에 전송하여,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이 상기 동작 명령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에 관한 영상으로부터 동작 메뉴 버튼의 위치 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메뉴 버튼에 관한 가상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는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에 구비된 동작 메뉴 버튼의 색깔 반전을 감지하기 위한 빛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빛 센서를 통해 상기 동작 메뉴 버튼의 색깔 반전이 감지되면 감지된 위치 좌표를 인식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된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메뉴 버튼에 관한 가상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는 사이드 영역에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에 구비된 동작 메뉴 버튼을 촬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동작 메뉴 버튼이 촬영되면 촬영 영상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된 촬영 영상을 보정 기술을 사용하여 정면에서 찍은 것처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촬영 영상 내 동작 메뉴 버튼 간의 상대 거리로부터 추출된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메뉴 버튼에 관한 가상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에 구비된 카메라가 2개 이상인 경우, 상기 촬영 영상에 대해 보정 기술과 합성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는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의 화면에 대응하는 면이 입력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복수의 정전식 터치 영역으로 분할 구획되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가상 화면에서 특정 동작 메뉴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동작 메뉴 버튼의 위치 좌표를 상기 입력 신호로서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에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정전식 터치 영역 중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동작 메뉴 버튼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이 정전기 발생으로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의 해당 동작 메뉴 버튼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는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의 동작 메뉴 버튼을 사용자가 직접 터치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의 화면에 대응하는 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는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의 전면부에 벨크로 또는 접착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 방법은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와 통신 연결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된 동작 명령을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가 상기 동작 명령에 포함된 위치 좌표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에 정전기를 발생하여, 상기 동작 명령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원격 제어를 지원하지 않는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월패드)에 대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에 장착된 터치 패널 제어기의 해당 터치 영역에 정전기를 발생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복잡한 시공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기존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을 모바일 디바이스(스마트폰)로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터치 패널 제어기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터치 패널 제어기의 장착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100)는 터치 패널 제어기(110) 및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는 예컨대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된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에 장착되어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터치 패널 제어기(110)는 세대 내에 기 설치된 다양한 종류의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와 호환되면서도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의 외부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은 월패드(WallPad)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월패드는 조명 기능에 한정되지 않고 보일러, 현관 출입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치 패널(101)을 홈네트워크용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피스, 공장 등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모든 곳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패널 제어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10), 장착부(220), 센서부(230), 통신부(240), 정전기 발생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는 도 1의 터치 패널 제어기(11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본체부(210)는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의 몸체를 이루고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의 화면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설치된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21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예컨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필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여기서, 상기 본체부(210)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가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에 장착되더라도 동작 메뉴 버튼이 보이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직접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의 동작 메뉴 버튼을 터치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체부(210)는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의 화면에 대응하는 면이 입력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복수의 정전식 터치 영역으로 분할 구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전식 터치 영역에는 후술하는 정전기 발생부(250)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직접 터치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20)는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가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에 장착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찍찍이와 같은 벨크로나 접착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장착부(220)는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의 전면부, 즉 상기 동작 메뉴 버튼이 구비된 면에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가 벨크로 또는 접착 방식으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30)는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에 구비된 동작 메뉴 버튼의 색깔 반전을 감지하기 위한 빛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30)는 상기 빛 센서를 통해 상기 동작 메뉴 버튼의 색깔 반전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색깔 반전이 감지되면 그 감지된 위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센서부(230)는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20)의 사이드 영역에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에 구비된 동작 메뉴 버튼을 촬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3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동작 메뉴 버튼을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 메뉴 버튼이 촬영되면 그 촬영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4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4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4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센서부(230)에 의해 인식된 위치 좌표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통신부(24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센서부(230)에 의해 출력된 촬영 영상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발생부(250)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의 동작 명령에 포함된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그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을 탐색하고, 상기 탐색된 터치 영역에 정전기를 발생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정전기 발생부(250)는 상기 동작 명령에 따른 기능(예: 전등 온/오프, 냉/난방 온/오프, 현관 도어 개폐, 엘리베이터 호출 등)이 수행되도록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 즉 상기 본체부(210), 상기 장착부(220), 상기 센서부(230), 상기 통신부(240), 상기 정전기 발생부(25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에 입력된 동작 명령을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에 전송하여,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이 상기 동작 명령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에 설치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을 조작하여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에 해당 동작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실내에서 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를 통해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의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와 직접 연결을 통해 실내 적용이 가능하며, 공유기(외부 연동이 가능한) - 인터넷 망 - 모바일 디바이스(122)의 연동을 통해서 실외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연결부(410), 메뉴 화면 생성부(420), 원격 조작부(430), 및 제어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는 도 1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통신 연결부(4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를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 연결부(41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에 탑재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예컨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메뉴 화면 생성부(42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에 관한 영상으로부터 동작 메뉴 버튼의 위치 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메뉴 버튼에 관한 가상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의 실행 화면에서 메뉴 화면 생성에 관한 메뉴를 터치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에 구비된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을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뉴 화면 생성부(420)는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에 구비된 동작 메뉴 버튼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동작 메뉴 버튼의 위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뉴 화면 생성부(420)는 상기 추출된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메뉴 버튼에 관한 가상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 화면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 화면은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의 전면부, 즉 상기 동작 메뉴 버튼이 구비된 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가상의 화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에 구비된 동작 메뉴 버튼에 관한 위치 좌표가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메뉴 화면 생성부(42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에 전송된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메뉴 버튼에 관한 가상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 화면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의 촬영 영상이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메뉴 화면 생성부(420)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에 전송된 촬영 영상을 보정 기술을 사용하여 정면에서 찍은 것처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메뉴 화면 생성부(420)는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의 양쪽 사이드에 카메라 2개 이상이 구비된 경우, 상기 촬영 영상에 대해 보정 기술과 더불어 합성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뉴 화면 생성부(420)는 상기 촬영 영상 내 동작 메뉴 버튼 간의 상대 거리로부터 각 동작 메뉴 버튼의 위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메뉴 화면 생성부(420)는 상기 추출된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메뉴 버튼에 관한 가상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가상 화면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조작부(430)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에 입력된 동작 명령을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에 전송하여,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이 상기 동작 명령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원격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격 조작부(430)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표시된 가상 화면에서 특정 동작 메뉴 버튼(예: 전등1 오프)이 선택(터치)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동작 메뉴 버튼의 위치 좌표를 입력 신호로서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원격 조작부(430)는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 내 복수의 정전식 터치 영역 중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동작 메뉴 버튼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이 정전기 발생으로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의 해당 동작 메뉴 버튼(예: 전등1 오프)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40)는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 즉 상기 통신 연결부(410), 상기 메뉴 화면 생성부(420), 상기 원격 조작부(430) 등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그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단계들이 아래와 같이 부가될 수 있고, 하기의 단계들도 순서를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하기에 설명하는 각 단계 및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를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520)에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122)에 입력된 동작 명령을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단계(520)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계(610)에서는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에 구비된 동작 메뉴 버튼의 위치 좌표를 추출 또는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 좌표의 추출은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위치 좌표의 인식은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에 관한 영상을 촬영하고, 그 촬영 영상으로부터 상기 동작 메뉴 버튼의 위치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는 빛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에 구비된 동작 메뉴 버튼의 색깔 반전을 감지하고, 상기 빛 센서를 통해 상기 동작 메뉴 버튼의 색깔 반전이 감지되면 상기 색깔 반전이 감지된 위치 좌표를 인식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단계(620)에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추출(또는 인식)된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메뉴 버튼에 관한 가상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단계(640)에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생성된 가상 화면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122)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의 실행 화면에 표시된 가상 화면에서 특정 동작 메뉴 버튼을 터치(선택)하면(640의 "예" 방향), 단계(650)에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120)은 상기 가상 화면에서 터치(선택)된 특정 동작 메뉴 버튼의 위치 좌표를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30)에서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는 상기 동작 명령에 포함된 위치 좌표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에 정전기를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540)에서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110)는 해당 동작 메뉴 버튼을 터치하여 상기 동작 명령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10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1: 홈네트워크용 터치 패널
110: 터치 패널 제어기
120: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
122: 모바일 디바이스
210: 본체부
220: 장착부
230: 센서부
240: 통신부
250: 정전기 발생부
260: 제어부
410: 통신 연결부
420: 메뉴 화면 생성부
430: 원격 조작부
440: 제어부

Claims (9)

  1. 건물 내에 설치된 터치 패널에 장착되어 상기 터치 패널의 동작을 제어하는 터치 패널 제어기;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와 통신 연결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된 동작 명령을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에 전송하여, 상기 터치 패널이 상기 동작 명령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터치 패널에 관한 영상으로부터 동작 메뉴 버튼의 위치 좌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메뉴 버튼에 관한 가상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는
    상기 터치 패널에 구비된 동작 메뉴 버튼의 색깔 반전을 감지하기 위한 빛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빛 센서를 통해 상기 동작 메뉴 버튼의 색깔 반전이 감지되면 감지된 위치 좌표를 인식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된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메뉴 버튼에 관한 가상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는
    사이드 영역에 상기 터치 패널에 구비된 동작 메뉴 버튼을 촬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동작 메뉴 버튼이 촬영되면 촬영 영상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된 촬영 영상을 보정 기술을 사용하여 정면에서 찍은 것처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되, 상기 촬영 영상 내 동작 메뉴 버튼 간의 상대 거리로부터 추출된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 메뉴 버튼에 관한 가상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에 구비된 카메라가 2개 이상인 경우, 상기 촬영 영상에 대해 보정 기술과 합성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는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에 대응하는 면이 입력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복수의 정전식 터치 영역으로 분할 구획되고,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가상 화면에서 특정 동작 메뉴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동작 메뉴 버튼의 위치 좌표를 상기 입력 신호로서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에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정전식 터치 영역 중에서 상기 선택된 특정 동작 메뉴 버튼의 위치 좌표에 대응하는 영역이 정전기 발생으로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터치 패널의 해당 동작 메뉴 버튼을 원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는
    상기 터치 패널의 동작 메뉴 버튼을 사용자가 직접 터치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터치 패널의 화면에 대응하는 부분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는
    상기 터치 패널의 전면부에 벨크로 또는 접착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9. 건물 내에 설치된 터치 패널에 장착되어 상기 터치 패널의 동작을 제어하는 터치 패널 제어기,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를 이용한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와 통신 연결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된 동작 명령을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패널 제어기가 상기 동작 명령에 포함된 위치 좌표에 해당하는 터치 영역에 정전기를 발생하여, 상기 동작 명령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터치 패널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 방법.
KR1020190127708A 2019-10-15 2019-10-15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및 방법 KR102310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708A KR102310144B1 (ko) 2019-10-15 2019-10-15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708A KR102310144B1 (ko) 2019-10-15 2019-10-15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487A true KR20210044487A (ko) 2021-04-23
KR102310144B1 KR102310144B1 (ko) 2021-10-08

Family

ID=7573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708A KR102310144B1 (ko) 2019-10-15 2019-10-15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1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502A (ko) * 2009-09-23 2011-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094602A (ko) * 2011-02-17 2012-08-27 주식회사 동영미디어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세대단말기를 보조하는 서브단말기용 리모콘 시스템
KR20130069563A (ko) * 2010-03-18 2013-06-26 크리스 아르기로 터치스크린 기반 전자기기들을 위한 작동 가능한 객체 제어기 및 데이터 입력 부착장치
KR20160070535A (ko) * 2014-12-10 2016-06-20 둘툰 주식회사 터치 입력 제어 및 가상 매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502A (ko) * 2009-09-23 2011-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30069563A (ko) * 2010-03-18 2013-06-26 크리스 아르기로 터치스크린 기반 전자기기들을 위한 작동 가능한 객체 제어기 및 데이터 입력 부착장치
KR20120094602A (ko) * 2011-02-17 2012-08-27 주식회사 동영미디어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세대단말기를 보조하는 서브단말기용 리모콘 시스템
KR20160070535A (ko) * 2014-12-10 2016-06-20 둘툰 주식회사 터치 입력 제어 및 가상 매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144B1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37051B (zh) 使用增强现实可视化的智能家居设备放置和安装
RU262855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м терминалом
JP6220889B2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およびこれを制御する方法
US20140267112A1 (en) Home security system with touch-sensitive control panel
US201401816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US11445026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indicating a security status of an internet of things device
KR20170092200A (ko) 미러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502887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terminal
KR20140137080A (ko) 무선 리모컨 기능을 갖는 ip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KR20220108161A (ko) 카메라 작동 방법 및 전자기기
KR20180044554A (ko) 실내 공간의 채광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10144B1 (ko) 스마트 IoT 터치 패널 제어기 및 방법
KR20180044551A (ko) 실내 공간에 필요한 전자 기기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45076B1 (ko) 반지형 무선 컨트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컨트롤 방법
US20210150816A1 (en) Superimposing a virtual representation of a sensor and its detection zone over an image
KR20160033390A (ko) 방범방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143298B1 (ko) 출입문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902312B1 (ko) 직관적인 위젯 타입으로 정보 영역을 표시하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85401B1 (ko) 소방 비상 방송 연동 홈 네트워크 시스템
US20210191779A1 (en) Operating system level distributed ambient computing
KR20220126986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는 현관용 스위칭 장치
KR20240035812A (ko) 네트워크화된 디바이스들의 맵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