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161A - 카메라 작동 방법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작동 방법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8161A KR20220108161A KR1020227023240A KR20227023240A KR20220108161A KR 20220108161 A KR20220108161 A KR 20220108161A KR 1020227023240 A KR1020227023240 A KR 1020227023240A KR 20227023240 A KR20227023240 A KR 20227023240A KR 20220108161 A KR20220108161 A KR 202201081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input
- screen
- electronic device
- are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7 surface acoustic wav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 H04N5/232933—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7—Upgrading or updating of programs or applications for camera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 H04N5/23216—
-
- H04N5/23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메라 작동 방법 및 전자기기를 개시한다. 상기 전자기기는 제1 스크린을 포함하며, 제1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대응되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입력은 제1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카메라에 대응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의 카메라임 - ;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기기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는 프로세스에 적용된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12월 20일 중국에 제출된 출원 명칭이 “카메라 작동 방법 및 전자기기”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1328567.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작동 방법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전자기기의 카메라를 사용할 때 전자기기가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먼저 전자기기에 대해 하나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그 다음 상기 홈 화면에 표시된 여러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서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찾고, 전자기가 전자기기의 카메라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에 대한 선택을 입력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서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수차례 입력을 거쳐야만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메라 작동 방법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여,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상에서,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카메라 작동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제1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대응되고, 상기 카메라 작동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입력은 제1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카메라에 대응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의 카메라임 - ;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상에서,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제1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대응되고, 상기 전자기기는 수신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신 모듈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입력은 제1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카메라에 대응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의 카메라이다. 제어 모듈은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양상에서,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에 의한 카메라 작동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양상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에 의한 카메라 작동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 양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양상에 의한 카메라 작동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6 양상에서,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제1 양상에 의한 카메라 작동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제1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기기가 카메라를 작동시키도록 전자기기에 대해 수차례 입력을 수행할 필요 없이 스크린 상의 한 영역에 대해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기기는 상기 영역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이 간단해지고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아키텍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의 개략도 1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의 개략도 2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인터페이스의 실례의 개략도 1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의 개략도 3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인터페이스의 실례의 개략도 2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인터페이스의 실례의 개략도 3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인터페이스의 실례의 개략도 4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의 개략도 4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인터페이스의 실례의 개략도 5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 개략도 1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 개략도 2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 개략도 3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의 개략도 1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의 개략도 2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인터페이스의 실례의 개략도 1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의 개략도 3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인터페이스의 실례의 개략도 2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인터페이스의 실례의 개략도 3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인터페이스의 실례의 개략도 4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의 개략도 4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인터페이스의 실례의 개략도 5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 개략도 1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 개략도 2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조 개략도 3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의 “제1”, “제2” 와 같은 용어는 대상의 특정 순서를 설명하기 위함이 아니라 서로 다른 대상을 구별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제1 입력과 제2 입력 등은 입력의 특정 순서를 설명하기 위함이 아니라 서로 다른 입력을 구별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다수 개”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예를 들어, 다수 개 부품은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 중의 용어 “및/또는”은 연관 대상의 연관관계를 설명하며, 세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난다. 예컨대, 표시 패널 및/또는 백라이트는 표시 패널이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 표시 패널과 백라이트가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 백라이트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호 “/”는 연관 대상 간의 “또는”의 관계를 나타낸다. 예컨대, 입력/출력은 입력 또는 출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 또는 “예를 들어”와 같은 단어는 예, 예시 또는 설명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시적” 또는 “예를 들어”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 또는 설계 솔루션은 다른 실시예 또는 설계 솔루션보다 더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정확히 말하면, “예시적” 또는 “예를 들어”와 같은 단어는 특정 방식으로 관련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메라 작동 방법 및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전자기기가 카메라를 작동시키도록 전자기기에 대해 수차례 입력을 수행할 필요 없이 스크린 상의 한 영역에 대해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기기는 상기 영역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이 간단해지고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 및 전자기기는 전자기기가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는 프로세스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기기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는 프로세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전자기기는 운영체제를 구비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 또는 ios 운영체제 또는 다른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이 적용되는 소프트웨어 환경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능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아키텍처 개략도이다. 도 1에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아키텍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 시스템 런타임 계층, 커널 계층(구체적으로 Linux 커널 계층일 수 있음)을 포함한 네 개의 계층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의 각 애플리케이션(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및 타사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함)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은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임워크로서,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임워크 개발 원칙을 준수하는 전제하에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시스템 런타임 계층은 라이브러리(시스템 라이브러리라고도 함) 및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런타임 환경을 포함한다. 라이브러리는 주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필요한 각 종류의 자원을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런타임 환경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소프트웨어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커널 계층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운영체제 계층으로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계층의 최하위 계층에 속한다. 커널 계층은 Linux 커널에 기초하여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핵심 시스템 서비스와 하드웨어 관련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개발자는 도 1에 도시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시스템 아키텍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 작동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기초하여 실행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 또는 전자기기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전자기기는 이동 전자기기 또는 비이동 전자기기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동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울트라 모바일 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넷북 또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일 수 있고, 비이동 전자기기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자동 입출금기, 키오스크 등 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결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 및 적용 시나리오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 및 전자기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사용하여 촬영할 때 전자기기를 통해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로 이미지를 수집하여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전자기기에 대해 수차례 입력을 수행할 필요 없이, 전자기기는 스크린의 한 영역(예: 상기 스크린에서 카메라(언더디스플레이 카메라)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 절차가 간단해지고 시간이 절약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에 있어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며, 상기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은 이하 단계 201 및 단계 20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1: 전자기기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제1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입력은 제1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카메라에 대응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의 카메라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가 화면 잠금 및 화면 켜짐 상태에 처하는 경우, 전자기기가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대해 제1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전자기기가 홈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전자기기가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대해 제1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전자기기가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경우, 전자기기가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대해 제1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크린의 제1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스크린의 제1 면”은 제1 스크린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할 수 없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의 카메라는 각각 언더디스플레이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언더디스플레이 카메라”는 스크린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할 수 없는 면과 연결되고 부착되는 카메라로 이해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언더디스플레이 카메라와 연결되고 부착되는 스크린의 영역이 투광 영역이기 때문에 상기 언더디스플레이 카메라는 상기 투광 영역을 통해 촬영할 수 있음을 이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카메라는 언더디스플레이 카메라일 수 있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제1 스크린의 제1 면과 연결되고 부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역은 제1 스크린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할 수 있는 면에서 제1 카메라와 연결되고 부착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영역의 중심점과 제1 카메라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은 제1 스크린이 위치한 평면에 수직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입력은 제1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일 수 있거나, 제1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일 수 있다.
상기 “제1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한 스와이프 입력”은 상기 스와이프 입력의 시작 위치가 제1 영역에 있고, 스와이프 입력의 종료 위치가 제1 영역 안에 또는 제1 영역 밖에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202: 전자기기가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카메라가 작동 상태로 제어된 후, 전자기기는 제1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전자기기 내의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즉, 카메라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의 촬영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전자기기가 임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경우, 사용자는 전자기기가 촬영 화면을 표시하도록 트리거하기 위해 전자기기의 홈 화면 표시를 트리거한 다음 홈 화면에 있는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입력을 수행할 필요 없이, 제1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해 제1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기기는 제1 카메라를 빠르게 작동시켜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의 촬영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이 간단해지고 시간이 절약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를 결부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202는 구체적으로 이하 단계 202a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단계 202a: 전자기기가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스크린에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타겟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것을 검출한 경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기 위해 타겟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 기능은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다.
전자기기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타겟 기능을 통해 제1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즉, 타겟 기능은 타겟 애플리케이션에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 기능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촬영 기능 또는 기타 애플리케이션(예: 결제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의 QR 코드 스캔 기능 또는 안면 인식 기능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제1 스크린이 타겟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전자기기의 홈 화면에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예: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대해 선택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스크린에 표시된 인터페이스가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타겟 인터페이스인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제1 스크린에 타겟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해 제1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기기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이 타겟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영역에 대해 제1 입력을 수행했을 때 전자기기가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타겟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사용자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카메라 작동 권한을 허용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예: 매니페스트(manifest) 파일)에서 카메라(camera)의 타겟 기능 권한을 설정하고, 상기 타겟 기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카메라의 인터페이스(예: 활성화(activity)의 정보, 자체 정의 인터페이스(view) 등) 정보를 메타 데이터(meta-data)에 패키징하고, 인터페이스 명칭(예: 안드로이드: 명칭(android: name))에 타겟 기능의 명칭을 입력하고 인터페이스 정보(예: 안드로이드: 데이터(android: value))에 타겟 기능의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패키지 관리자(packagemanager)는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manifest 파일을 스캔함으로써 camera의 타겟 기능 권한이 설정되고 android: name에 부합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이 타겟 기능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타겟 애플리케이션이 타겟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타겟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겟 애플리케이션이 타겟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기 위해 전자기기는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경로(예: android: value 중의 경로)를 통해 타겟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은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이다. 예를 들어, 채팅류 애플리케이션, 웹페이지류 애플리케이션, 쇼트클립 인터랙티브류 애플리케이션 및 라이브 방송류 애플리케이션 등 중 하나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휴대폰으로 예를 들어 전자기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중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이 타겟 애플리케이션(예: 애플리케이션 a)의 타겟 인터페이스(예: 인터페이스(10))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이 애플리케이션 a를 제어하여 타겟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10)의 제1 영역(예: 영역(11))에 대해 제1 입력(예: 클릭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영역(11)에 대해 제1 입력을 수행한 후, 도 4 중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은 애플리케이션 a를 제어하여 타겟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타겟 기능의 인터페이스(12)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제1 영역에 대해 제1 입력을 수행하면 전자기기가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타겟 기능을 직접 활성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타겟 애플리케이션에서 타겟 기능을 찾고 수차례 입력을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간단해지고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메라 작동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서, 전자기기는 제1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기기가 카메라를 작동시키도록 전자기기에 대해 수차례 입력을 수행할 필요 없이 스크린 상의 한 영역에 대해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기기는 상기 영역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이 간단해지고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201 이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은 이하 단계 301 내지 단계 3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1: 전자기기가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입력은 제2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제1 스크린에서 임의의 카메라에 대응되는 영역이고, 상기 임의의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의 카메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입력은 전자기기가 카메라 작동 권한의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트리거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가 제1 애플리케이션(예: 설정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대해 제2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입력은 구체적으로 제2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일 수 있거나, 제2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일 수 있다.
단계 302: 전자기기가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옵션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 옵션 중의 각 설정 옵션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카메라 작동 권한을 설정하는 데 각각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설정 옵션 중의 각 설정 옵션에 대해, 사용자는 전자기기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카메라 작동 권한을 카메라 작동 허용함 또는 카메라 작동 금지함으로 설정하도록 하나의 설정 옵션에 대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모두 촬영 기능을 구비한 애플리케이션임을 이해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중 각 애플리케이션의 한 기능을 통해 제1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단계 303: 전자기기가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상기 제3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설정 옵션 중의 타겟 설정 옵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며, 상기 타겟 설정 옵션은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카메라 작동 권한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타겟 설정 옵션은 적어도 하나의 설정 옵션 중 타겟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설정 옵션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입력은 구체적으로 타겟 설정 옵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일 수 있다.
단계 304: 전자기기가 제3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카메라 작동 권한을 카메라 작동 허용으로 설정한다.
상기 “카메라 작동 허용”은 전자기기가 카메라를 작동시키기 위해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나의 기능(예: 타겟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허용된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전자기기가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직접 제2 영역에 대해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카메라 작동 권한을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를 결부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202에서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기 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은 이하 단계 401 및 단계 40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202는 구체적으로 이하 단계 202b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단계 401: 전자기기가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기기의 스크린 상태를 검출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린 상태는 화면 잠금 해제 상태 및 화면 잠금 상태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화면 잠금 해제 상태는 전자기기의 스크린이 화면 켜짐 상태에 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상기 화면 잠금 상태는 전자기기의 스크린이 화면 켜짐 및 화면 잠금이 해제되지 않는 상태에 처하거나 전자기기의 스크린이 화면 꺼짐 상태에 처하는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의 스크린의 명암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통해 전자기기의 스크린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 잠금 해제 상태는 구체적으로 전자기기의 스크린이 홈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 또는 전자기기의 스크린이 애플리케이션(예: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상태일 수 있다.
단계 402: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상태인 경우, 전자기기가 제1 입력이 제1 사전설정 입력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제1 입력의 입력 파라미터가 제1 사전설정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입력이 제1 사전설정 입력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파라미터는 입력 방향, 입력 거리, 입력 궤적, 입력 유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방향”은 입력의 시작 위치부터 종료 위치까지의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입력 거리”는 입력의 시작 위치부터 종료 위치까지의 거리로 이해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궤적은 원형 궤적, 호형 궤적, 직사각형 궤적, 불규칙 도형 궤적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유형은 클릭 입력, 더블 클릭 입력, 길게 누르기 입력, 스와이프 입력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상태인 경우, 제1 입력은 구체적으로 제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사전설정 조건은, 제1 입력의 입력 방향이 사전설정 방향과 동일함; 제1 입력의 입력 거리가 사전설정 한계값보다 크거나 같음; 제1 입력의 입력 궤적이 사전설정 궤적임; 제1 입력의 입력 유형이 사전설정 입력 유형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제1 입력의 입력 파라미터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파라미터가 제1 사전설정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스크린(예: 제1 스크린)에서 제1 입력의 시작 위치(즉, 시작 누르기 위치)와 상기 제1 입력의 종료 위치(즉, 사용자가 스크린에서 손가락을 떼는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방향이 사전설정 방향과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제1 입력이 제1 사전설정 입력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스크린(예: 제1 스크린)에서 제1 입력의 시작 위치(즉, 누르기 시작 위치)와 상기 제1 입력의 종료 위치(즉, 사용자가 스크린에서 손가락을 떼는 위치)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거리가 사전설정 한계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제1 입력이 제1 사전설정 입력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제1 입력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궤적을 결정하여,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궤적이 사전설정 궤적인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제1 입력이 제1 사전설정 입력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제1 입력의 입력 유형을 획득하여,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유형이 사전설정 입력 유형인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제1 입력이 제1 사전설정 입력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 202b: 제1 입력이 제1 사전설정 입력인 경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입력이 제1 사전설정 입력인 경우, 전자기기는 전자기기 내의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의 촬영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상태(예: 화면 켜짐 및 화면 잠금이 해제되지 않는 상태, 즉 휴대폰이 인터페이스(13)를 표시함)인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의 제1 영역(예: 영역(14))에 대해 제1 입력(예: 스와이프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휴대폰은 휴대폰의 스크린 상태를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스와이프 입력의 입력 거리가 사전설정 한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휴대폰은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의 촬영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의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대해 제1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제1 입력이 제1 사전설정 입력인 경우, 전자기기는 카메라를 빠르게 작동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402는 이하 단계 403으로 대체할 수 있고, 상기 단계 202는 구체적으로 이하 단계 202c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단계 403: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해제 상태인 경우, 전자기기가 제1 입력이 제2 사전설정 입력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제1 입력의 입력 파라미터가 제2 사전설정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입력이 제2 사전설정 입력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사전설정 조건은 제1 입력의 입력 유형이 사전설정 유형인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해제 상태인 경우, 제1 입력은 구체적으로 제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 사전설정 횟수의 클릭 입력, 또는 길게 누르기 입력일 수 있다.
단계 202c: 제1 입력이 제2 사전설정 입력인 경우, 전자기기가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의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해제 상태이고 전자기기가 홈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제1 입력이 제2 사전설정 입력이면, 전자기기는 전자기기 내의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의 촬영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해제 상태(예: 홈 화면 인터페이스(15)를 표시함)인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의 제1 영역(예: 영역(16))에 대해 제1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휴대폰은 휴대폰의 스크린 상태를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유형이 사전설정 유형(예: 클릭 입력 유형)인 경우, 휴대폰은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의 촬영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의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해제 상태이고 전자기기가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경우, 제1 입력이 제2 사전설정 입력이면, 전자기기는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고,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의 촬영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해제 상태(예: 애플리케이션 b의 인터페이스(17)를 표시함)인 경우, 사용자는 휴대폰의 제1 영역(예: 영역(18))에 대해 제1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휴대폰은 휴대폰의 스크린 상태를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제1 입력의 입력 유형이 사전설정 유형(예: 클릭 입력 유형)인 경우, 휴대폰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c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고,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의 촬영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의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해제 상태이고 전자기기가 애플리케이션(예: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경우, 제1 입력이 제2 사전설정 입력이면, 전자기기는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타겟 기능을 활성화하여 제1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의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해제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전자기기에 대해 제1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제1 입력이 제2 사전설정 입력인 경우, 전자기기는 카메라를 빠르게 작동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5를 결부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201 이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은 이하 단계 5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01: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상태인 경우, 전자기기가 제1 영역에 사전설정 표시 방식으로 프롬프트 내용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롬프트 내용은 제1 카메라가 위치한 위치를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롬프트 내용은 이미지 내용, 애니메이션 내용, 텍스트 내용 중 하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의 스크린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고,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상태이고 화면 꺼짐 상태인 경우, 제1 영역에 프롬프트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사전설정 표시 방식은 깜빡임 표시 방식, 주기적 표시 방식, 명암교대 표시 방식 중 하나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의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상태이고 화면 꺼짐 상태인 경우, 휴대폰은 제1 영역에 프롬프트 내용(예: 이미지 내용(19))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내용(19)은 제1 카메라가 위치한 위치를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가 제1 영역에 프롬프트 내용을 표시하여 제1 카메라가 위치한 위치(즉, 제1 영역)를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1 영역에 대해 정확하게 입력을 수행하여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202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작동 방법은 이하 단계 601 및 단계 6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601: 전자기기가 사용자의 제4 입력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중의 각 제2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카메라에 각각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입력은 제3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며, 상기 제3 영역은 제1 스크린에서 제1 영역과 다른 영역이거나, 상기 제3 영역은 하나의 제2 스크린의 영역이고, 상기 제3 영역은 하나의 제2 카메라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 중의 각 제2 스크린의 제1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스크린의 제1 면”은 제2 스크린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할 수 없는 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제2 스크린에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카메라 중의 각 제2 카메라는 각각 언더디스플레이 카메라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카메라와 하나의 제2 카메라는 동일한 스크린(즉, 제1 스크린)에 대응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즉, 제3 영역은 제1 스크린에서 제1 영역과 다른 영역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카메라와 하나의 제2 카메라는 상이한 스크린에 대응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즉, 제1 카메라는 제1 스크린에 대응되는 카메라이고, 하나의 제2 카메라는 하나의 제2 스크린에 대응되는 카메라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카메라는 전자기기의 전면 카메라일 수 있고, 하나의 제2 카메라는 전자기기의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카메라는 전자기기의 후면 카메라일 수 있고, 하나의 제2 카메라는 전자기기의 전면 카메라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입력은 구체적으로 제3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클릭 입력일 수 있다.
단계 602: 전자기기가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카메라를 종료 상태로 제어하고, 하나의 제2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제1 카메라의 촬영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하나의 제2 카메라의 촬영 기능을 활성화한 다음, 상기 하나의 제2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수집하고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에 상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먼저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에 제1 카메라에 의해 수집된 이미지를 표시하고, 그 다음 사용자가 제3 영역에 대해 제4 입력을 수행한 후, 촬영류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에 하나의 제2 카메라에 의해 수집된 이미지를 표시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수차례 입력할 필요 없이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제4 입력에 따라 카메라를 빠르게 전환하여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이 간단해지고, 사용자의 사용 경험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전자기기의 가능한 구조 개략도를 나타내며, 상기 전자기기는 제1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대응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기(90)는 수신 모듈(91) 및 제어 모듈(9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 모듈(91)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입력은 제1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카메라에 대응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의 카메라이다. 제어 모듈(92)은 수신 모듈(91)에 의해 수신된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어 모듈(92)은 구체적으로, 제1 스크린에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타겟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것을 검출한 경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기 위해 타겟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타겟 기능은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는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수신 모듈(91)은 또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기 전에,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입력은 제2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제1 스크린에서 임의의 카메라에 대응되는 영역이고, 상기 임의의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의 카메라이다. 도 11을 결부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90)는 표시 모듈(93) 및 설정 모듈(9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모듈(93)은 수신 모듈(91)에 의해 수신된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옵션을 포함하고, 하나의 설정 옵션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카메라 작동 권한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수신 모듈(91)은 또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설정 옵션 중의 타겟 설정 옵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타겟 설정 옵션은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카메라 작동 권한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설정 모듈(94)은 수신 모듈(91)에 의해 수신된 제3 입력에 응답하여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카메라 작동 권한을 카메라 작동 허용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도 11을 결부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90)는 검출 모듈(95) 및 결정 모듈(9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 모듈(95)은 제어 모듈(92)이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기 전에, 전자기기의 스크린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크린 상태는 화면 잠금 해제 상태 또는 화면 잠금 상태이다. 결정 모듈(96)은 검출 모듈(95)에 의해 검출된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상태인 경우, 제1 입력이 제1 사전설정 입력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 모듈(92)은 구체적으로 제1 입력이 제1 사전설정 입력인 경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표시 모듈(93)은 또한,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상태인 경우, 제1 영역에 사전설정 표시 방식으로 프롬프트 내용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롬프트 내용은 제1 카메라가 위치한 위치를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데 사용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결정 모듈(96)은 또한,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해제 상태인 경우, 제1 입력이 제2 사전설정 입력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 모듈(92)은 구체적으로 제1 입력이 제2 사전설정 입력인 경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9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을 더 포함하며, 각 제2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카메라에 각각 대응된다. 상기 수신 모듈(91)은 또한, 제어 모듈(92)이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한 후, 사용자의 제4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4 입력은 제3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제3 영역은 제1 스크린에서 제1 영역과 다른 영역이거나, 상기 제3 영역은 하나의 제2 스크린의 영역이고, 상기 제3 영역은 하나의 제2 카메라에 대응된다. 상기 제어 모듈(92)은 또한, 수신 모듈(91)에 의해 수신된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카메라를 종료 상태로 제어하고, 하나의 제2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상기 방법 실시예에서 전자기기가 구현하는 각 단계를 구현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전자기기가 카메라를 작동시키도록 전자기기에 대해 수차례 입력을 수행할 필요 없이 스크린 상의 한 영역에 대해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기기는 상기 영역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이 간단해지고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구현하는 전자기기의 하드웨어 개략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00)에는 무선 주파수 장치(101), 네트워크 모듈(102), 오디오 출력 장치(103), 입력 장치(104), 센서(105), 표시 장치(106), 사용자 입력 장치(107), 인터페이스 장치(108), 메모리(109), 프로세서(110) 및 전원(111) 등 부품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당업자는 도 14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구조가 전자기기에 어떠한 제한도 구성하지 않으며, 전자기기는 도 14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의 조합이나 배치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자기기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차량탑재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및 계보계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 장치(107)는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입력은 제1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카메라에 대응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의 카메라이다.
프로세서(110)는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전자기기가 카메라를 작동시키도록 전자기기에 대해 수차례 입력을 수행할 필요 없이 스크린 상의 한 영역에 대해 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기기는 상기 영역에 대응되는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이 간단해지고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101)는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통화 프로세스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처리를 위해 프로세서(110)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101)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무선 주파수 장치(101)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네트워크 모듈(1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자면, 사용자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검색하며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하도록 도울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03)는 무선 주파수 장치(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이 수신하거나 메모리(1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장치(103)는 전자기기(100)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 호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 장치(103)는 스피커, 버저,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장치(104)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입력 장치(104)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1041) 및 마이크로폰(10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픽 처리 장치(1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장치(106)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1041)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109) (또는 다른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무선 주파수 장치(101) 또는 네트워크 모듈(102)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042)은 사운드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사운드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101)를 통해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전자기기(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05)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자면 광학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가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 센서에는 주변 조도 센서 및 근접 센서가 포함될 수 있고 여기서 주변 조도 센서는 주변 조도의 밝기에 따라 표시 패널(1061)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는 전자기기(100)가 귀 가까이 이동할 때 표시 패널(1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끌 수 있다. 가속도계 센서는 모션 센서의 일종으로 모든 방향(보통 3축)의 가속도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정지 상태일 때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의 자세 인식(예를 들어 세로와 가로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보행계 및 두드리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센서(105)에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 장치(106)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표시 장치(106)에는 표시 패널(1061)이 포함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1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107)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전자기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주요 신호 입력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장치(107)는 터치 패널(1071) 및 기타 입력 장비(1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1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또는 근처에서 수행한 터치 조작(예: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펜 등과 같은 적절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터치 패널(1071) 위에서 또는 터치 패널(1071) 근처에서 실행하는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에는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두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터치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감지하여 터치 컨트롤러로 신호를 전송하고,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감지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촉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10)에 전송하고, 프로세서(110)에 의해 전송된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실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1071)은 저항식, 정전식, 적외선 또는 표면 음파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1071)을 제외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107)는 또한 기타 입력 장치(10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장치(1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터치 패널(1071)은 표시 패널(1061)의 위에 장착되어 터치 패널(1071)이 그 위 또는 근처의 터치 동작을 감지한 후 프로세서(110)로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 유형을 결정한다. 그런 다음, 프로세서(110)는 터치 이벤트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1061)에 해당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비록 도 14에서 터치 패널(1071)과 표시 패널(1061)은 두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 전자기기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널(1071)과 표시 패널(1061)을 통합시켜 전자기기의 입력과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 장치(108)는 외부 장치와 전자기기(100)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에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폰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포트, 식별 모듈을 구비한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포트, 오디오 입/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장치(108)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는 입력(예를 들어,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입력을 전자기기(100) 내부에 있는 하나 이상수의 소자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전자기기(100)와 외부 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1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에는 휴대폰의 사용 과정에 생성된 데이터(예: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스테이드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전자기기의 제어 센터이며,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회로를 사용하여 전자기기의 모든 구성요소에 연결되며, 메모리(109)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운영 또는 실행하는 메모리(109)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전자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자기기에 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10)에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프로세서(110)에 통합할 수 있고,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전자기기(100)는 각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11)(예를 들어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전원(1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프로세서(110)와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충전, 방전 및 전력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00)에는 표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이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된 프로세서(110), 메모리(109), 및 메모리(109)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110)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1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카메라 작동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카메라 작동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시디롬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함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카메라 작동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구현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기기를 더 제공함에 있어서, 전자기기는 상기 카메라 작동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또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갖는다” 또는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의도하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을 포함한다”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적 부분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솔루션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고, 전자기기(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비 등)에 의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복수의 명령을 포함시켜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저장 매체(예: ROM/RAM, 자기 디스크, 시디롬)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일 뿐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당업자는 본 발명의 목적 및 청구범위에 따른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기반하여 다양한 양상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카메라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제1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대응되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제1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카메라에 대응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의 카메라임 - ;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스크린에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타겟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기 위해 타겟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타겟 기능은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는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입력은 제2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스크린에서 임의의 카메라에 대응되는 영역이고, 상기 임의의 카메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의 카메라임 - ;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옵션을 포함하고, 하나의 설정 옵션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카메라 작동 권한을 설정하는 데 사용됨 - ;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입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 옵션 중의 타겟 설정 옵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타겟 설정 옵션은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카메라 작동 권한을 설정하는 데 사용됨 - ;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카메라 작동 권한을 카메라 작동 허용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이전,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기기의 스크린 상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입력이 제1 사전설정 입력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이 상기 제1 사전설정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사전설정 표시 방식으로 프롬프트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롬프트 내용은 상기 제1 카메라가 위치한 위치를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해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입력이 제2 사전설정 입력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입력이 상기 제2 사전설정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을 더 포함하며, 각 제2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카메라에 각각 대응되고,
상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제4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4 입력은 제3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영역이거나 상기 제3 영역은 하나의 제2 스크린의 영역이고, 상기 제3 영역은 하나의 제2 카메라에 대응됨 - ;
상기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카메라를 종료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하나의 제2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 방법. -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제1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에 대응되고, 상기 전자기기는 수신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수신 모듈은, 사용자의 제1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제1 스크린의 제1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제1 영역은 제1 카메라에 대응되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의 카메라이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1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크린에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타겟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기 위해 타겟 기능 활성화하도록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타겟 기능은 카메라를 작동시킬 수 있는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상기 제1 입력을 수신하기 전에, 사용자의 제2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입력은 제2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스크린에서 임의의 카메라에 대응되는 영역이고, 상기 임의의 카메라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중의 카메라이고,
상기 전자기기는 표시 모듈 및 설정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옵션을 포함하고, 하나의 설정 옵션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카메라 작동 권한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사용자의 제3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3 입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 옵션 중의 타겟 설정 옵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타겟 설정 옵션은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카메라 작동 권한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3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카메라 작동 권한을 카메라 작동 허용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검출 모듈 및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검출 모듈은, 제어 모듈이 상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기 전에, 상기 전자기기의 스크린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입력이 제1 사전설정 입력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입력이 상기 제1 사전설정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또한, 상기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영역에 사전설정 표시 방식으로 프롬프트 내용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롬프트 내용은 상기 제1 카메라가 위치한 위치를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또한, 상기 스크린 상태가 화면 잠금 해제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입력이 제2 사전설정 입력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입력이 제2 사전설정 입력인 경우, 상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크린을 더 포함하며, 각 제2 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카메라에 각각 대응되고,
상기 수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제1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한 후, 사용자의 제4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4 입력은 제3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1 스크린에서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영역이거나, 상기 제3 영역은 하나의 제2 스크린의 영역이고, 상기 제3 영역은 하나의 제2 카메라에 대응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4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카메라를 종료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하나의 제2 카메라를 작동 상태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전자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카메라 작동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카메라 작동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비휘발성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카메라 작동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카메라 작동 방법의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911328567.0 | 2019-12-20 | ||
CN201911328567.0A CN111163260B (zh) | 2019-12-20 | 2019-12-20 | 一种摄像头启动方法及电子设备 |
PCT/CN2020/136788 WO2021121265A1 (zh) | 2019-12-20 | 2020-12-16 | 摄像头启动方法及电子设备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8161A true KR20220108161A (ko) | 2022-08-02 |
KR102727572B1 KR102727572B1 (ko) | 2024-11-06 |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509884B2 (ja) | 2024-07-02 |
EP4057618A4 (en) | 2023-01-04 |
JP2023506289A (ja) | 2023-02-15 |
WO2021121265A1 (zh) | 2021-06-24 |
US20220329741A1 (en) | 2022-10-13 |
EP4057618A1 (en) | 2022-09-14 |
CN111163260A (zh) | 2020-05-15 |
CN111163260B (zh) | 2021-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06284B1 (ko) | 객체 추적 방법 및 전자 장치 | |
CN110971823B (zh) | 一种参数调整方法及终端设备 | |
CN109743498B (zh) | 一种拍摄参数调整方法及终端设备 | |
CN109542282B (zh) | 一种界面显示方法及终端设备 | |
CN111142991A (zh) | 一种应用功能页面显示方法及电子设备 | |
CN111163260B (zh) | 一种摄像头启动方法及电子设备 | |
KR102680936B1 (ko) |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전자 기기 | |
KR20220092937A (ko) | 화면 표시의 제어 방법 및 전자기기 | |
CN111010523B (zh) | 一种视频录制方法及电子设备 | |
WO2021057290A1 (zh) | 信息控制方法及电子设备 | |
CN109857495A (zh) |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设备 | |
CN111339515A (zh) | 一种应用程序启动方法及电子设备 | |
WO2021082772A1 (zh) | 截屏方法及电子设备 | |
CN110753155A (zh) | 一种接近检测方法及终端设备 | |
CN110058686B (zh) | 一种控制方法及终端设备 | |
CN109857305B (zh) | 一种输入响应方法及移动终端 | |
JP7413546B2 (ja) | 撮影方法及び電子機器 | |
CN109343900A (zh) | 一种权限配置方法及终端 | |
WO2021036504A1 (zh) | 图片删除方法及终端设备 | |
WO2020192415A1 (zh) | 权限配置方法及终端设备 | |
CN109359460B (zh) | 一种面部识别方法及终端设备 | |
CN108984677B (zh) | 一种图像拼合方法及终端 | |
CN111050071A (zh) | 一种拍照方法及电子设备 | |
CN111045584B (zh) | 一种界面显示方法及电子设备 | |
KR102727572B1 (ko) | 카메라 작동 방법 및 전자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