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390A -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 Google Patents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390A
KR20210044390A KR1020190127427A KR20190127427A KR20210044390A KR 20210044390 A KR20210044390 A KR 20210044390A KR 1020190127427 A KR1020190127427 A KR 1020190127427A KR 20190127427 A KR20190127427 A KR 20190127427A KR 20210044390 A KR20210044390 A KR 20210044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ressure
digital
pump
firef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919B1 (ko
Inventor
유성배
Original Assignee
유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배 filed Critical 유성배
Priority to KR102019012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9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의 압력 상태를 디지털(수치적) 방식 및 그래프로 표시하는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소방밸브 및 소방펌프의 1차 및 2차 측 압력게이지의 압력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소방건축물의 방화 관리자가 각각의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가 설치된 장소로 찾아가서 압력 상태를 일일이 파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상태 파악이 용이하도록 디지털(수치적) 및 그래프화 되었기 때문에 소방밸브 및 소방펌프의 압력 상태에 대한 현재 상태를 보고 유사시 즉각적인 대응조치를 할 수 있으며, 또한, 보관된 과거 기록을 분석 및 확인하여 작동상태를 사전에 대응조치 할 수 있고, 필요 시 이들 기록을 출력기(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Fire receiver equipped with pressure indicator in firefighting pump and firefighting valve and so on}
본 발명은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의 압력 상태를 디지털(수치적) 방식 및 그래프로 표시하는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소방밸브가 화재 수신기에 신호를 주는 방식은, 말단에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화재로 인한 열 감지로 인해 동작했을 때, 배관 내에 있는 물의 압력에 의해 물의 흐름이 발생하면 소방밸브에 장착되어 있는 압력스위치(Pressure Switch)가 작동하게 되고, 화재 수신기는 중계기 또는 스위치 접점 신호를 통해서 작동된 소방밸브를 화재 표시창에 동작된 소방밸브의 개방구역 위치만을 표시하게 되며, 이때 소방밸브에 부착된 1차 및 2차 측 압력게이지(Pressure Gauge)의 현재 물의 압력 상태는 표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소방건축물의 방화 관리자가 각각의 소방밸브가 설치된 각 층으로 찾아가서 소방밸브의 압력 상태를 일일이 파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소방펌프는 주(예비)펌프, 보조(충압)펌프로 나뉘며 정확히 소방용 가압송수장치라고 부른다. 소방 건축물에는 옥내 소화전이나 스프링클러설비가 있다. 압력챔버의 측면에는 압력스위치가 붙어있고 세팅압력 중 높은 측은 펌프정지압력, 낮은 쪽은 펌프기동 압력 값이다. 소방펌프의 송출 측 배관에서 분기되어 압력챔버의 아래쪽으로 연결된 배관에는 가압된 소방용수가 차 있으며 압력챔버의 아래쪽으로 압력을 가진 물이 들어가므로 압력챔버의 상부는 공기가 압축되어 있다. 이 공기는 항상 아래에 있는 물을 누르게 된다. 화재가 발생하면 스프링클러가 개방되든지 아니면 누군가 옥내소화전밸브를 열어 소방용수를 사용하면 압력챔버의 압력이 급격히 내려가게 되어 우선 보조(예비)펌프가 먼저 기동을 한다. 그런데 보조펌프가 돌아서 그 압력이 신속히 복구되지 않으면 순차적으로 주펌프가 기동하여 소방용수를 소화전이나 스프링클러로 보내게 된다. 화재가 진압되고 소방용수 사용을 중단하면 배관에 압력이 차고 압력챔버의 압력스위치가 소방펌프를 정지시킨다.
그러나 화재가 없는 평상시에도 배관 등에서 미약한 누설이 있어서 압력챔버의 압력이 떨어지면 보조펌프가 가동하여 압력을 채우게 되어있다. 대부분의 현장에서 보조펌프는 세월이 지날수록 자주 잠깐씩 가동되는 걸 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소방펌프는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작동을 하고 있으며, 이것은 화재 수신기에 소방밸브와 마찬가지로, LED 램프로 동작 상태만을 표시하며 표시창에 기록하게 되어 있으며, 이때 소방펌프 및 압력챔버에 항상 부착되어 있는 압력게이지의 압력 상태는 표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소방건축물의 방화 관리자가 각각의 소방펌프가 설치된 장소로 찾아가서 소방펌프 및 압력챔버의 압력 상태를 일일이 파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소방 건축물이 초대형화, 초 고층화되면서 화재의 위험 요소가 나날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에서 화재 수신기가 감시해야 할 역할이 증가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즈음에서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의 현재 상태 및 고장 발생, 유사시에 발생하게 될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화재 수신기에서의 정확한 데이터 수집 및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아직까지 소방밸브 및 소방펌프의 압력 상태를 디지털(수치적) 방식 및 그래프로 표시하는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는 존재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소방펌프 및 소방 밸브의 현재의 압력 상태를 디지털(수치적) 방식 및 그래프로 표시하는 표시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를 제공함으로써, 화재 수신기의 표시창(모니터 화면)에서 모든 소방밸브 및 소방펌프의 1차 및 2차 측 압력게이지의 압력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소방건축물의 방화 관리자가 각각의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가 설치된 장소로 찾아가서 압력 상태를 일일이 파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는 데 목적이 있으며, 상태 파악이 용이하도록 디지털(수치적) 및 그래프화 되었기 때문에 소방밸브 및 소방펌프의 압력 상태에 대한 현재 상태를 보고 유사시 즉각적인 대응조치를 할 수 있으며 또한 보관된 과거 기록을 분석 및 확인하여 작동상태를 사전 대응할 수 있고, 필요 시 이들 기록을 출력기(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중계기에 연결된 자동화재 탐지 설비, 경보 설비, 피난 설비 및 소화 설비로부터 감지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의 화재 정보를 통신 라인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며, 자동화재 탐지 설비, 경보 설비, 피난 설비 및 소화 설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중계반과,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화재 정보에 대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에 대해 상기 중계반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 매체에 저장 및 보관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보관된 화재 정보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기(프린터)로 출력하는 출력부와,
현재 상태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 및 보관된 과거의 모든 정보를 디지털(수치적) 및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LED 화면 디스플레이부와,
통신선, 광케이블, 전화선 등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원부, 중계기, 저장부, 출력부, LED 화면 디스플레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관리, 작동, 운영 및 제어하는 내장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지는 중앙 처리부로 구성되며,
소방밸브의 1차 및 2차 측 주소형 디지털 압력 게이지의 압력 상태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는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중계반으로 전송되고, 전송된 디지털 신호는 상기 중계반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상기 중앙 처리부로 전송되고,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중앙 처리부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LED 화면 디스플레이부에 전송되어, 현재의 소방밸브의 1차 및 2차 측 주소형 디지털 압력 게이지의 압력 상태를 디지털(수치적) 및 그래프로 표시하며,
소방펌프의 주소형 압력 게이지의 압력 상태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는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중계반으로 전송되고, 전송된 디지털 신호는 상기 중계반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상기 중앙 처리부로 전송되고,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중앙 처리부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LED 화면 디스플레이부에 전송되어, 현재의 소방펌프의 주소형 디지털 압력 게이지의 압력 상태를 디지털(수치적) 및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의 압력 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를 제공한다.
또한,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는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과 연결되어 감시/제어되는 모든 회로에 대해 건물 평면도에 기기별 위치를 표시하고 제어함으로써, 화재시 위치 파악과 신속한 대응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를 제공한다.
소방밸브 및 소방펌프의 1차 및 2차 측 압력게이지의 압력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소방건축물의 방화 관리자가 각각의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가 설치된 장소로 찾아가서 압력 상태를 일일이 파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상태 파악이 용이하도록 디지털(수치적) 및 그래프화 되었기 때문에 소방밸브 및 소방펌프의 압력 상태에 대한 현재 상태를 보고 즉각적인 대응조치를 할 수 있으며, 또한 보관된 과거 기록을 분석 및 확인하여 작동상태를 사전에 대응조치할 수 있고, 필요 시 이들 기록을 출력기(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수신기와 자동화재 탐지 설비, 경보 설비, 피난 설비 및 소화 설비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수신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이하에 기술하는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하의 기재된 실시예의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이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수신기와 자동화재 탐지 설비, 경보 설비, 피난 설비 및 소화 설비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화재 탐지 설비(20), 경보 설비(30), 피난 설비(40) 및 소화 설비(50)가 각각의 중계기(10)를 거쳐 화재 수신기(100)에 통신 라인(6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자동화재 탐지 설비(20)는 화재 발생시에 발생하는 열, 연기, 불꽃 등 연소생성물로 인하여 화재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현장에 설치한 음향장치로 경보를 발하거나 이를 화재 수신기(100)에 발신하는 설비를 포함한다. 경보 설비(30)는 화재 발생시 화재 상황을 알리는 설비로 발신기, 경종, 사이렌, 위치 표시등, 종합반 등을 포함한다. 피난 설비(40)는 화재 시 피난을 유도하기 위한 전등으로 정상 상태에서 상용전원에 켜지고 상원전원이 정전되는 경우에는 비상전원으로 자동 전환되는 설비로 유도등 등을 포함한다. 소화 설비(50)는 화재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화물을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 스프링클러, 소방밸브 및 소방펌프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설비, 즉, 자동화재 탐지 설비(20), 경보 설비(30), 피난 설비(40) 및 소화 설비(50)들에 제한되지 않고, 댐파, 저수위, 압력스위치, 방화셔터, 방화문, 배연창, 팬 등과 같은 기타 화재 설비(미도시) 또한, 화재 수신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중계기(10)는 화재 수신기(100)와 자동화재 탐지 설비(20), 경보 설비(30), 피난 설비(40) 및 소화 설비(50)의 통신 거리가 원거리일 경우 신호 전송선 수량 간소화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며, 만약 근거리일 때는 각각의 설비가 화재 수신기(1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의 압력 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100)는 중앙 처리부(110), 중계반(120), 저장부(130), 출력부(140), LED 화면 디스플레이부(1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60), 전원부(170) 등으로 구성된다.
중앙 처리부(110)는 화재 수신기(100) 및 중앙 처리부(110), 중계반(120), 저장부(130), 출력부(140), LED 화면 디스플레이부(1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60), 전원부(170) 등의 구성 요소를 관리, 작동, 운영 및 제어하는 내장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이 있으며, 이들을 통해 화재 수신기(100)를 관리, 작동, 운영 및 제어한다.
전원부(170)는 화재 수신기(1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중계반(120)은 자동화재 탐지 설비(20), 경보 설비(30), 피난 설비(40) 및 소화 설비(50) 등으로부터 감지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의 화재 정보를 중계기(10)를 거쳐 통신 라인(60)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며, 이 디지털 데이터는 중앙 처리부(110)로 송출하며, 또한, 자동화재 탐지 설비(20), 경보 설비(30), 피난 설비(40) 및 소화 설비(50)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중앙 처리부(110)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며, 이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중계기(10)에 송출한다.
중계기(10)에 수신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로 각각의 해당 자동화재 탐지 설비(20), 경보 설비(30), 피난 설비(40) 및 소화 설비(50) 등을 작동시킨다.
중계반(120)에서 중앙 처리부(110)로 송출된 디지털 데이터는 중앙 처리부(110)의 내장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작동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선택하여 중계반(120)으로 송출한다.
저장부(130)는 중계반(120)으로부터 중앙 처리부(110)로 수신된 화재 정보에 대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중앙 처리부(110)의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저장 매체(미도시)에 저장 및 보관한다.
출력부(140)는 저장부(130)에 보관된 화재 정보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중앙 처리부(110)의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출력기(프린터)(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LED 화면 디스플레이부(150)는 화재 수신기(110)의 현재 상태 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 및 보관된 과거의 모든 정보를 중앙 처리부(110)의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수치적) 및 그래픽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화재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여 내부 작동 상태를 감시 및 분석하여 화재 및 고장에 대해 사전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한, 저장 및 보관된 과거의 기록을 분석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60)는 통신선, 광케이블, 전화선 등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하게 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화재 수신기(100) 간 상호 감시/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화재 수신기(100)는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미도시)과 연결되어 화재 수신기(100)에서 감시/제어하는 모든 회로에 대해 건물 평면도 등에 기기별 위치를 표시하고 제어함으로써, 화재시 위치 파악과 신속한 대응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소방밸브 및 소방펌프의 압력 상태를 디지털(수치적) 방식 및 그래프로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 화재 수신기(110)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소방 설비 중 소방밸브는 말단에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화재로 인한 열 감지로 인해 동작했을 때, 배관 내에 있는 물의 압력에 의해 물의 흐름이 발생하면 작동되는 압력스위치(Pressure Switch)와 현재 물의 압력 상태를 표시하는 1차 및 2차 측 주소형 디지털 압력 게이지(addressable digital pressure gauge)가 장착되어 있다.
소방밸브의 1차 및 2차 측 주소형 디지털 압력 게이지의 압력 상태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는 중계기(10)를 통해 중계반(120)으로 전송되고, 전송된 디지털 신호는 중계반(120)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중앙 처리부(110)로 전송되고,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를 중앙 처리부(110)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LED 화면 디스플레이부(150)에 전송되어, 현재의 소방밸브의 1차 및 2차 측 주소형 디지털 압력 게이지의 압력 상태를 디지털(수치적) 및 그래프로 표시한다.
소방밸브와 마찬가지로 소방펌프에도 물의 압력 상태를 표시하는 주소형 디지털 압력 게이지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주소형 압력 게이지의 압력 상태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는 중계기(10)를 통해 중계반(120)으로 전송되고, 전송된 디지털 신호는 중계반(120)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중앙 처리부(110)로 전송되고,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를 중앙 처리부(110)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LED 화면 디스플레이부(150)에 전송되어, 현재의 소방펌프의 주소형 디지털 압력 게이지의 압력 상태를 디지털(수치적) 및 그래프로 표시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화재 수신기 110: 중앙 처리부
10: 중계기 120: 중계반
20: 자동화재 탐지 설비 130: 저장부
30: 경보 설비 140: 출력부
40: 피난 설비 150: LED 화면 디스플레이부
50: 소화 설비 16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60: 통신 라인 170: 전원부

Claims (2)

  1.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의 압력 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에 있어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중계기에 연결된 자동화재 탐지 설비, 경보 설비, 피난 설비 및 소화 설비로부터 감지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의 화재 정보를 통신 라인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며, 자동화재 탐지 설비, 경보 설비, 피난 설비 및 소화 설비를 작동시키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중계반과,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된 화재 정보에 대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에 대해 상기 중계반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 매체에 저장 및 보관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보관된 화재 정보에 대한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기(프린터)로 출력하는 출력부와,
    현재 상태 정보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 및 보관된 과거의 모든 정보를 디지털(수치적) 및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LED 화면 디스플레이부와,
    통신선, 광케이블, 전화선 등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전원부, 중계반, 저장부, 출력부, LED 화면 디스플레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관리, 작동, 운영 및 제어하는 내장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지는 중앙 처리부로 구성되며,
    소방밸브의 1차 및 2차 측 주소형 디지털 압력 게이지의 압력 상태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는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중계반으로 전송되고, 전송된 디지털 신호는 상기 중계반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상기 중앙 처리부로 전송되고,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중앙 처리부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LED 화면 디스플레이부에 전송되어, 현재의 소방밸브의 1차 및 2차 측 주소형 디지털 압력 게이지의 압력 상태를 디지털(수치적) 및 그래프로 표시하며,
    소방펌프의 주소형 압력 게이지의 압력 상태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는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중계반으로 전송되고, 전송된 디지털 신호는 상기 중계반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상기 중앙 처리부로 전송되고, 전송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기 중앙 처리부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LED 화면 디스플레이부에 전송되어, 현재의 소방펌프의 주소형 디지털 압력 게이지의 압력 상태를 디지털(수치적) 및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의 압력 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는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과 연결되어 감시/제어되는 모든 회로에 대해 건물 평면도에 기기별 위치를 표시하고 제어함으로써, 화재시 위치 파악과 신속한 대응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KR1020190127427A 2019-10-15 2019-10-15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KR102332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427A KR102332919B1 (ko) 2019-10-15 2019-10-15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427A KR102332919B1 (ko) 2019-10-15 2019-10-15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390A true KR20210044390A (ko) 2021-04-23
KR102332919B1 KR102332919B1 (ko) 2021-11-30

Family

ID=7573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427A KR102332919B1 (ko) 2019-10-15 2019-10-15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389A (ko) 2021-08-18 2023-02-28 유병욱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4974A (ko) * 2012-07-03 2014-01-14 (주)태산전자 주소형 자동화재 탐지설비
JP2019036179A (ja) * 2017-08-18 2019-03-07 ホーチキ株式会社 防災設備の伝送システム
JP2019103623A (ja) * 2017-12-13 2019-06-27 ホーチキ株式会社 圧力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4974A (ko) * 2012-07-03 2014-01-14 (주)태산전자 주소형 자동화재 탐지설비
JP2019036179A (ja) * 2017-08-18 2019-03-07 ホーチキ株式会社 防災設備の伝送システム
JP2019103623A (ja) * 2017-12-13 2019-06-27 ホーチキ株式会社 圧力監視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389A (ko) 2021-08-18 2023-02-28 유병욱 Iot를 이용한 건물 내의 소방설비 모니터링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919B1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9566460B2 (en) Equipment for the remote control of fire extinguishers and/or hydrants
KR101291717B1 (ko) 소화설비 압력제어 시스템
KR101754620B1 (ko) 화재발생 원격 관리시스템
KR101701455B1 (ko) 공동주택의 원격소방점검 시스템
KR20140050408A (ko) 공동 주택 단지 또는 빌딩의 원격 소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399475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시스템
JP5399878B2 (ja) 消火栓装置点検システム
CN111195408A (zh) 一种智慧消防栓监控系统
KR102464640B1 (ko)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1439267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장치
CN11221605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消防信息管理平台设备
CN111558191A (zh) 消防物联网智能管理系统
KR102332919B1 (ko)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KR100930980B1 (ko) 각종 건물에 설비된 소방장비의 관리시스템
KR101704409B1 (ko)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CN113181586A (zh) 一种消防设施故障分析的数据挖掘系统及方法
KR101926089B1 (ko) 공동주택의 전기를 이용한 소방 시설 통합 관리 시스템
JP2013085914A (ja) アラーム弁とそれを備えた消火設備および火災報知設備
KR102008618B1 (ko) 소방설비의 선로저항측정기
KR102060467B1 (ko) 개선된 스피커 선로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비상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선로 모니터링 방법
JPH10179790A (ja) 防災設備
JP5911143B2 (ja) 消火設備および消火装置
KR20100053128A (ko) 네트워크 기반의 화재 감시 시스템
KR20090033429A (ko) 밸브 일체식 스프링쿨러및 이를 이용한 화재 조기 진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