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929A -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 Google Patents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929A
KR20210043929A KR1020190126878A KR20190126878A KR20210043929A KR 20210043929 A KR20210043929 A KR 20210043929A KR 1020190126878 A KR1020190126878 A KR 1020190126878A KR 20190126878 A KR20190126878 A KR 20190126878A KR 20210043929 A KR20210043929 A KR 20210043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parts
weight
hard contact
optical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626B1 (ko
Inventor
이학준
박상열
Original Assignee
(주)리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드텍 filed Critical (주)리드텍
Priority to KR1020190126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6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3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9Contact lenses having special fitting or structural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 B29D11/00125Auxiliary operations, e.g. removing oxygen from the mould, conveying moulds from a storage to the production line in an inert atmosp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10N-Vinyl-pyrrolid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8F230/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 C08F230/08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a metal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1Esters; Ether-esters of a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 C08K5/23Azo-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은 렌즈 상에 코팅한 후, 상기 코팅층 상에 칼라프린팅하는 인사이드코팅 및 칼라프린팅 단계(S100); 상기 코팅 후 칼라프린팅된 렌즈를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S200); 상기 경화된 렌즈의 광학부를 절단하는 광학부 제1 커팅 단계(S300); 상기 제1 커팅된 광학부에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주입하는 하드 콘택트렌즈 재질 주입 단계(S400); 상기 광학부에 주입된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제1 중합 단계(S500); 상기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중합된 광학부를 커팅하는 광학부 제2 커팅 단계(S600); 상기 2차 커팅된 광학부에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주입하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재질 주입 단계(S700); 상기 2차 커팅된 광학부에 주입된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제2 중합 단계(S800); 및 상기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중합된 렌즈를 커팅하는 제3 커팅 단계(S90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색상을 표현하거나, 또는 투과한 광선의 색상을 조절하기 위해 콘택트렌즈에 첨가된 염료가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하드 콘택트렌즈를 하나의 콘택트렌즈로 제작하여 두 렌즈의 장점을 취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MANUFACTURING METHOD FOR CONTACT LENSES FOR PREVENTING DYE ELUTION AND CONTACT LENSES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색상을 표현하거나, 또는 투과한 광선의 색상을 조절하기 위해 콘택트렌즈에 첨가된 염료가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하드 콘택트렌즈를 하나의 콘택트렌즈로 제작하여 두 렌즈의 장점을 취할 수 있는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는 안경을 대신하여 안구의 전면에 렌즈를 직접 맞닿게 하여 시력교정의 효과를 누리기 위한 수단으로, 이러한 콘택트렌즈는 크게 소프트렌즈(Soft lens)와 하드렌즈(Hard lens)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렌즈는 직경이 13.0 ~ 14.5mm 정도로 하드렌즈에 비해 지름이 크고 PHEMA(Polyhydroxyethyl Methacrylate)와 PVP(PolyVinyl Pyrrolidone)등의 재료로 구성되어 30~80% 정도로 친수성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렌즈 자체가 부드러운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렌즈가 망막에 닿을 때 느끼는 이물감이나 각막의 압박이 하드렌즈에 비해 적고, 렌즈가 각막을 완전히 덮게 됨으로써 이물질에 대한 저항력도 키워주며 심한 운동에도 렌즈를 분실할 위험이 하드렌즈에 비해 적다는 것이 이의 장점이다.
반면에, 하드렌즈는 소프트렌즈의 직경보다 작은 8~9 mm 정도의 직경을 지니는 것으로, 소프트렌즈에 비해 안전성이 높고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진다는 것이 특징이고 렌즈의 난시가 심하거나 불규칙한 각막환자의 시력교정에 좋으며 소프트렌즈에 비해 수명이 길고 세척이 쉬우며 눈에 착용·제거가 용이하다.
또한, 용액에 대한 알레르기가 적고 산소투과성이 높으며, 소프트렌즈에 비해서는 드라이한 상태로 보존하기 때문에 렌즈내에 수분이 없어 세균발생의 우려가 적게 되어 일반 소프트렌즈 착용자에 비해 안질환 발생 빈도는 적지만, 소프트렌즈에 비해 착용감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사람의 눈동자 색은 피부색과 마찬가지로 멜라닌 색소에 의해 결정되는데, 홍채에 멜라닌 색소가 많으면 검정 혹은 갈색눈이 되고 적으면 청색 또는 녹색 눈을 갖게 되므로, 동양인의 눈색은 대개 갈색이나 검정색인 반면 서구인의 경우 파랑 또는 초록이 대부분인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 들어서는 시력교정 및 의안의 향상을 위하여 안경대신 주로 사용되어 온 콘택트렌즈의 근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상기와 같은 이유로 나타난 본래 자신이 지닌 눈동자의 색을 탈피하여 자신만의 개성을 연출하고 싶은 사람들이 자신의 패션 감각에 맞춰 눈동자에도 색깔을 입히기 위하여 다양한 색상을 지니는 미용 컬러 콘택트렌즈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미용 컬러 콘택트렌즈는 눈의 홍채 부위의 칼라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착용하는 사람의 홍채의 색깔이나 농도에 따라서 밝기(light, medium, dark)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연속착용렌즈에서 일회용렌즈까지 용도 또한 다양하다는 장점이 있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택트 렌즈에 염료를 이용하여 색을 갖게 함으로써 눈의 안정피로를 줄이고 미용효과도 갖게 된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어떤 특수한 염료는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수분이 많은 눈에 접촉함으로 염료가 눈 속의 물과 반응하여 콘택트렌즈 밖으로 빠져나와 각막에 영향을 미치거나 안 보건상 문제를 일으킬수 있어 염료의 사용이 제한적이었다.
즉, 소프트 콘택트렌즈는 부드럽고 착용감이 좋아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재질의 특성상 수분을 머금고 친수성이기 때문에 염료가 물에 녹아 용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193300호(1999년 02월 03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026912호(2011년 03월 28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058079호(2017년 05월 26일 공개)
본 발명은 색상을 표현하거나, 또는 투과한 광선의 색상을 조절하기 위해 콘택트렌즈에 첨가된 염료가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하드 콘택트렌즈를 하나의 콘택트렌즈로 제작하여 두 렌즈의 장점을 취할 수 있는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는 착용자의 각막에 착용하되, 소프트렌즈 내부의 광학부에 하드 콘택트렌즈가 형성된다.
상기 하드 콘택트렌즈는 청광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이거나 변색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은 렌즈 상에 코팅한 후, 상기 코팅층 상에 칼라프린팅하는 인사이드코팅 및 칼라프린팅 단계(S100); 상기 코팅 후 칼라프린팅된 렌즈를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S200); 상기 경화된 렌즈의 광학부를 절단하는 광학부 제1 커팅 단계(S300); 상기 제1 커팅된 광학부에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주입하는 하드 콘택트렌즈 재질 주입 단계(S400); 상기 광학부에 주입된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제1 중합 단계(S500); 상기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중합된 광학부를 커팅하는 광학부 제2 커팅 단계(S600); 상기 2차 커팅된 광학부에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주입하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재질 주입 단계(S700); 상기 2차 커팅된 광학부에 주입된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제2 중합 단계(S800); 및 상기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중합된 렌즈를 커팅하는 제3 커팅 단계(S900)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부 제1 커팅 단계(S300)에서 상기 광학부는 상기 렌즈의 센터 부분으로, 상기 광학부는 5.0 내지 12.0mm의 직경 및 0.03 내지 0.05mm의 두께로 절단될 수 있다.
상기 하드 콘택트렌즈 재질 주입 단계(S400)에서 상기 변색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은 Tris(3-Methacryloxypropyl tris(trimethylsiloxy)silane) 25 내지 30 중량부, DMA(N,N-Dimethylacrylamide) 27.5 내지 32.5 중량부, 글리세롤메타크릴레이트(GMMA) 5.5 내지 7.5 중량부, N-비닐피롤리돈(NVP) 3 내지 5 중량부, 메타크릴산(MAA) 4 내지 7 중량부, EGDMA(Ethyleneglycoldimethacrylate) 10 내지 15 중량부, NVP(N,N-Vinylpyrollidone) 15 내지 20 중량부 및 AIBN(Azobisisobutyronitrile) 0.3 내지 0.8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학부 제2 커팅 단계(S600)에서는 상기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중합된 광학부를 5.0 내지 12.0mm의 직경 및 0.1 내지 0.3mm의 두께로 절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은 색상을 표현하거나, 또는 투과한 광선의 색상을 조절하기 위해 콘택트렌즈에 첨가된 염료가 용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소프트 콘택트렌즈와 하드 콘택트렌즈를 하나의 콘택트렌즈로 제작하여 두 렌즈의 장점을 취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는 착용자의 각막에 착용하는 콘택트렌즈로서, 소프트렌즈 내부의 광학부에 하드 콘택트렌즈가 형성된다.
상기 하드 콘택트렌즈는 청광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이거나 변색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일 수 있는데, 청광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는 하드 콘택트렌즈용 실리콘과 청광염료를 주입하여 제조될 수 있고, 변색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는 하드 콘택트렌즈용 실리콘과 변색 염료를 주입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청광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를 형성하는 조성물은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 91 내지 95 중량부, PVP(Polyvinyl pirrolidone) 1 내지 3 중량부, Methacrylic acid(MA) 1.5 내지 2.3 중량부,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 0.3 내지 0.8 중량부, 2,2'-아조비스(2-메틸프로판니트릴) 0.1 내지 0.5 중량부 및 2-[3-(2H-Benzotriazol-2-yl)-4-hydroxyphenyl]ethyl methacrylate 0.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색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를 형성하는 조성물은 Tris(3-Methacryloxypropyl tris(trimethylsiloxy)silane) 25 내지 30 중량부, DMA(N,N-Dimethylacrylamide) 27.5 내지 32.5 중량부, 글리세롤메타크릴레이트(GMMA) 5.5 내지 7.5 중량부, N-비닐피롤리돈(NVP) 3 내지 5 중량부, 메타크릴산(MAA) 4 내지 7 중량부, EGDMA(Ethyleneglycoldimethacrylate) 10 내지 15 중량부, NVP(N,N-Vinylpyrollidone) 15 내지 20 중량부 및 AIBN(Azobisisobutyronitrile) 0.3 내지 0.8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은 인사이드코팅 및 칼라프린팅 단계(S100), 경화 단계(S200), 광학부 제1 커팅 단계(S300), 하드 콘택트렌즈 재질 주입 단계(S400), 제1 중합 단계(S500), 광학부 제2 커팅 단계(S600), 소프트 콘택트렌즈 재질 주입 단계(S700), 제2 중합 단계(S800) 및 제3 커팅 단계(S900)를 포함한다.
1. 인사이드코팅 및 칼라프린팅 단계(S100)
상기 인사이드코팅 및 칼라프린팅 단계(S100)는 칼라 콘택트렌즈 제조시 칼라 용출과 렌즈를 착용할 때 이물감을 제거해 주기 위해 렌즈 상에 코팅한 후, 상기 코팅층 상에 칼라프린팅하는 단계이다.
상기 인사이드코팅 및 칼라프린팅 단계(S100)에서는 칼라 콘택트렌즈 제조시 상기 렌즈 상에 코팅 후 칼라프린팅하는 구성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어, 틴트 렌즈(tint lens)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팅과 칼라프린팅 공정없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사이드코팅 및 칼라프린팅 단계(S100)에서 칼라 콘택트렌즈 제조시 상기 인사이드코팅 및 칼라프린팅하는 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2. 경화 단계(S200)
상기 경화 단계(S200)는 상기 코팅 후 칼라프린팅된 렌즈를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경화 단계(S200)에서는 상기 코팅 후 칼라프린팅된 렌즈를 열경화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경화 단계(S200)는 35 내지 45℃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3. 광학부 제1 커팅 단계(S300)
상기 광학부 제1 커팅 단계(S300)는 상기 경화된 렌즈의 광학부를 절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광학부 제1 커팅 단계(S300)에서 상기 광학부는 상기 렌즈의 센터 부분을 의미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광학부는 공지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5.0 내지 12.0mm의 직경 및 0.03 내지 0.05mm의 두께로 절단할 수 있다.
4. 하드 콘택트렌즈 재질 주입 단계(S400)
상기 하드 콘택트렌즈 재질 주입 단계(S400)는 상기 제1 커팅된 광학부에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하드 콘택트렌즈 재질 주입 단계(S400)에서는 예를 들어, 청광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거나 변색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는데, 청광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는 하드 콘택트렌즈용 실리콘과 청광염료를 주입하여 제조될 수 있고, 변색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는 하드 콘택트렌즈용 실리콘과 변색 염료를 주입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청광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은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 91 내지 95 중량부, PVP(Polyvinyl pirrolidone) 1 내지 3 중량부, Methacrylic acid(MA) 1.5 내지 2.3 중량부,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 0.3 내지 0.8 중량부, 2,2'-아조비스(2-메틸프로판니트릴) 0.1 내지 0.5 중량부 및 2-[3-(2H-Benzotriazol-2-yl)-4-hydroxyphenyl]ethyl methacrylate 0.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색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은 Tris(3-Methacryloxypropyl tris(trimethylsiloxy)silane) 25 내지 30 중량부, DMA(N,N-Dimethylacrylamide) 27.5 내지 32.5 중량부, 글리세롤메타크릴레이트(GMMA) 5.5 내지 7.5 중량부, N-비닐피롤리돈(NVP) 3 내지 5 중량부, 메타크릴산(MAA) 4 내지 7 중량부, EGDMA(Ethyleneglycoldimethacrylate) 10 내지 15 중량부, NVP(N,N-Vinylpyrollidone) 15 내지 20 중량부 및 AIBN(Azobisisobutyronitrile) 0.3 내지 0.8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5. 제1 중합 단계(S500)
상기 제1 중합 단계(S500)는 상기 광학부에 주입된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제1 중합 단계(S500)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광학부에 주입된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에 자외선(UV)을 조사하여 중합시킬 수 있다.
6. 광학부 제2 커팅 단계(S600)
상기 광학부 제2 커팅 단계(S600)는 상기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중합된 광학부를 커팅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 중합 단계(S500) 이후에는 상기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중합된 후 표면이 거칠고 두께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는데, 상기 광학부 제2 커팅 단계(S600)를 거침으로써 상기 광학부의 표면을 일정하고 고르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학부 제2 커팅 단계(S600)에서는 상기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중합된 광학부를 공지의 절단기를 이용하여 5.0 내지 12.0mm의 직경 및 0.1 내지 0.3mm의 두께로 절단할 수 있다.
7. 소프트 콘택트렌즈 재질 주입 단계(S700)
상기 소프트 콘택트렌즈 재질 주입 단계(S700)는 상기 2차 커팅된 광학부에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소프트 콘택트렌즈 재질 주입 단계(S700)에서 상기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은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 에틸렌글리콜(EG),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메틸아크릴레이트(MA) 및 2,2'-아조비스-이소뷰티로나이트릴(AIBN)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은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HEMA) 85 내지 95 중량부, 에틸렌글리콜(EG) 5 내지 10 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3 내지 8 중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MA) 2 내지 8 중량부 및 2,2'-아조비스-이소뷰티로나이트릴(AIBN) 0.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8. 제2 중합 단계(S800)
상기 제2 중합 단계(S800)는 상기 2차 커팅된 광학부에 주입된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제2 중합 단계(S800)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2차 커팅된 광학부에 주입된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에 자외선(UV)을 조사하여 중합시킬 수 있다.
9. 제3 커팅 단계(S900)
상기 제3 커팅 단계(S900)는 상기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중합된 렌즈를 커팅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 중합 단계(S800) 이후에는 상기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중합된 후 표면이 거칠고 두께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는데, 상기 제3 커팅 단계(S900)를 거침으로써 콘택트렌즈를 일정한 두께와 원하는 디자인으로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커팅 단계(S900)에서는 제조되는 콘택트렌즈의 중심부 두께가 0.2 내지 0.4mm가 되도록 커팅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착용자의 각막에 착용하되, 소프트렌즈 내부의 광학부에 하드 콘택트렌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콘택트렌즈는 청광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이거나 변색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
  3. 렌즈 상에 코팅한 후, 상기 코팅층 상에 칼라프린팅하는 인사이드코팅 및 칼라프린팅 단계(S100);
    상기 코팅 후 칼라프린팅된 렌즈를 경화시키는 경화 단계(S200);
    상기 경화된 렌즈의 광학부를 절단하는 광학부 제1 커팅 단계(S300);
    상기 제1 커팅된 광학부에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주입하는 하드 콘택트렌즈 재질 주입 단계(S400);
    상기 광학부에 주입된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제1 중합 단계(S500);
    상기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중합된 광학부를 커팅하는 광학부 제2 커팅 단계(S600);
    상기 2차 커팅된 광학부에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주입하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재질 주입 단계(S700);
    상기 2차 커팅된 광학부에 주입된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을 중합시키는 제2 중합 단계(S800); 및
    상기 소프트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중합된 렌즈를 커팅하는 제3 커팅 단계(S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 제1 커팅 단계(S300)에서 상기 광학부는 상기 렌즈의 센터 부분으로, 상기 광학부는 5.0 내지 12.0mm의 직경 및 0.03 내지 0.05mm의 두께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콘택트렌즈 재질 주입 단계(S400)에서 상기 변색 효과를 가진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은 Tris(3-Methacryloxypropyl tris(trimethylsiloxy)silane) 25 내지 30 중량부, DMA(N,N-Dimethylacrylamide) 27.5 내지 32.5 중량부, 글리세롤메타크릴레이트(GMMA) 5.5 내지 7.5 중량부, N-비닐피롤리돈(NVP) 3 내지 5 중량부, 메타크릴산(MAA) 4 내지 7 중량부, EGDMA(Ethyleneglycoldimethacrylate) 10 내지 15 중량부, NVP(N,N-Vinylpyrollidone) 15 내지 20 중량부 및 AIBN(Azobisisobutyronitrile) 0.3 내지 0.8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 제2 커팅 단계(S600)에서는 상기 하드 콘택트렌즈 조성물이 중합된 광학부를 5.0 내지 12.0mm의 직경 및 0.1 내지 0.3mm의 두께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KR1020190126878A 2019-10-14 2019-10-14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KR102245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878A KR102245626B1 (ko) 2019-10-14 2019-10-14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878A KR102245626B1 (ko) 2019-10-14 2019-10-14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929A true KR20210043929A (ko) 2021-04-22
KR102245626B1 KR102245626B1 (ko) 2021-04-29

Family

ID=7572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878A KR102245626B1 (ko) 2019-10-14 2019-10-14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6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300B1 (ko) 1990-08-07 1999-06-15 더블류. 하링, 지. 보이롤 착색 콘택트 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26912B1 (ko) 2008-12-16 2011-04-04 김경란 천연염색액을 이용한 콘택트렌즈 염색방법
KR20120048381A (ko) * 2010-11-05 2012-05-15 (주)지오메디칼 노즐분사방식 또는 패드코팅으로 샌드위치 패드프린팅에 의한 컬러 콘택트렌즈 및 그 제조방법
JP2017504840A (ja) * 2014-01-31 2017-02-09 シナージアイ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ハイブリッドコンタクトレンズ
KR20170058079A (ko)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스포컴 광변색 콘택트렌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300B1 (ko) 1990-08-07 1999-06-15 더블류. 하링, 지. 보이롤 착색 콘택트 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26912B1 (ko) 2008-12-16 2011-04-04 김경란 천연염색액을 이용한 콘택트렌즈 염색방법
KR20120048381A (ko) * 2010-11-05 2012-05-15 (주)지오메디칼 노즐분사방식 또는 패드코팅으로 샌드위치 패드프린팅에 의한 컬러 콘택트렌즈 및 그 제조방법
JP2017504840A (ja) * 2014-01-31 2017-02-09 シナージアイ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ハイブリッドコンタクトレンズ
KR20170058079A (ko)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스포컴 광변색 콘택트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626B1 (ko)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304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high visual acuity contact lenses
KR101323576B1 (ko) 심도가 향상된 홍채 패턴을 갖는 착색 콘택트 렌즈
CN109991757B (zh) 具有光环效应的角膜接触镜片
KR102363994B1 (ko) 진주광택 공막을 갖는 콘택트 렌즈
JP2009008848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
TWI588564B (zh) 彩色隱形眼鏡及其製法
CA2987050A1 (en) Method for obtaining contact lenses with dynamically controlled sagitta and clearance
TW202138448A (zh) 防藍光隱形眼鏡、其組合物及製備方法
KR102008138B1 (ko)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및 제조방법
KR101190303B1 (ko) 플루시어 공법을 적용하여 채색부가 렌즈 내부에 함입된 착색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착색 콘택트렌즈
KR102245626B1 (ko)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CN112213868A (zh) 功能性隐形眼镜及功能性隐形眼镜的染色方法
WO2002014057A2 (en) Method of making lens with colored portion
JP2001311915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26909B1 (ko)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WO2012102332A1 (ja) 老眼矯正体及び老眼矯正方法
TWI638204B (zh) 具有元件保護功能的隱形眼鏡
KR101123643B1 (ko)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JP5621118B2 (ja) 着色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92515B1 (ko) 생체적합성 콘택트렌즈
JP6448104B1 (ja) ピンホール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ピンホールコンタクトレンズの製造方法
CN110879480B (zh) 一种彩色隐形眼镜三明治浸透印染工艺
JPH119616A (ja) 眼用レンズ
JP7515033B1 (ja) 着色部を有する動物用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070503B (zh) 彩色隐形眼镜及其制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06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