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909B1 -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 Google Patents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909B1
KR101826909B1 KR1020170036248A KR20170036248A KR101826909B1 KR 101826909 B1 KR101826909 B1 KR 101826909B1 KR 1020170036248 A KR1020170036248 A KR 1020170036248A KR 20170036248 A KR20170036248 A KR 20170036248A KR 101826909 B1 KR101826909 B1 KR 101826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weight
natokinase
parts
surfa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0535A (ko
Inventor
박정애
성대용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엔아이 filed Critical (주)에스피엔아이
Publication of KR20170110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02B1/043Contact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택트렌즈의 표면에 나토키나제를 도입하여 친수성을 향상시킨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CONTACT LENS WITH SURFACE OF HIGH HYDROPHILICITY}
본 발명은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택트렌즈의 표면에 나토키나제를 도입하여 친수성을 향상시킨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는 재료에 따라 크게 하드(hard) 콘택트렌즈와 소프트(soft) 콘택트렌즈로 나눌 수 있으며, 기능에 따라 시력교정용, 치료용, 미용 콘택트렌즈 등으로 분류된다.
하이드로겔(hydrogel)은 현대인들이 시력교정 및 치료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대표적 재료로서, 대부분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는 실리콘계 또는 아크릴레이트계를 주재료로 하고 있다.
인체 눈의 각막은 혈관이 없으며, 외부환경으로부터 산소를 직접 공급받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게 되면 렌즈 자체가 일종의 장벽으로 작용하여, 산소투과율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일반적인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는 편안한 착용감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고 있지만, 낮은 산소투과율에 의한 저산소증(각막 부종), 렌즈 표면에 부착된 누액성분들로 인한 렌즈표면의 습윤성 저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는 우수한 착용감은 물론, 높은 산소투과율 및 습윤성 등이 요구된다.
고함수 렌즈는 높은 습윤성으로 인해 착용감이 우수하고 각막에 대한 저산소증의 효과를 제한하는 장점이 있어 많이 착용되고 있다. 그런데, 렌즈 폴더 현상(훌라현상)으로 인하여 많은 고함수 렌즈 사용자들이 건조감을 느끼고, 심한 경우 각종 각막염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의 대안으로 실리콘계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게 되면 눈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어 저산소증에 의한 각막 부종이라는 부작용이 없게 된다. 그러나 실리콘계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는 착용감이 낮다.
즉, 실리콘계 하이드로겔 재료의 특성상, 실리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산소투과율은 충분히 증가하지만, 렌즈 표면의 친수성은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에 불편함을 주고 눈자극, 각막착색, 각막에 대한 렌즈 고착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 2002-0005752 호 (2002.01.17 공개)는 렌즈 표면을 플라즈마 표면처리하여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는 여전히 표면의 습윤성이 낮아 사용자의 불편이 있어 왔으며, 제조공정상에 플라즈마 표면처리라는 복잡한 공정이 추가되어 생산원가 상승의 요인이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한국공개특허 제 2003-0065306 호 (2003.08.06 공개)는 플라즈마 후처리 공정 없이 고분자를 사용하여 습윤성과 함수율을 증가시킨 기술을 개시하였으나, 이렇게 제조된 콘택트렌즈는 내부 습윤제가 렌즈 밖으로 서서히 빠져 나오면서 점차 착용감이 나빠지고 착용시 불편함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02-0005752 호 (2002.01.17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 2003-0065306 호 (2003.08.0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콘택트렌즈로서의 기본 물성을 충족하면서 렌즈 표면의 습윤성과 단백질 분해기능 및 산소투과율을 높여 각종 안구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은,
(A) 대두 발효에 의해 낟또(natto)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생성된 낟또를 에탄올 수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낟또 중 점성의 사상(絲狀)성분을 추출하여 나토키나제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C) 물 100 중량부에,
상기 단계 (B)의 나토키나제 추출액 6 내지 1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중량부,
염화나트륨 0.5 내지 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8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5 중량부,
인산이수소나트륨 0.1 내지 0.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2 내지 0.3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3 중량부, 및
염화칼륨 0.05 내지 0.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6 내지 0.18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0.15 중량부를 첨가한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코팅액에 콘택트렌즈를 침지하여 친수성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C)의 나토키나제 추출액의 점도는 25 내지 60 cP,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cP,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 cP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 (A)의 에탄올 수용액 농도는 0.3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D)의 침지단계는 110 내지 135 ℃, 바람직하게는 112 내지 1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25 ℃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D)의 침지단계는 15 내지 50 분,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4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0 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D)에서 형성된 친수성 표면층의 두께는 20 nm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30 nm 내지 3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nm 내지 2 ㎛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는 표면에 두께 20 nm 내지 5 ㎛의 친수성 표면층을 구비하고, 상기 친수성 표면층은 나토키나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의 기재 상에 발효된 콩으로부터 수득한 나토키나제를 이용하여 친수성 표면층을 형성함으로써, 콘택트렌즈로서의 기본 물성을 충족하면서 렌즈 표면의 습윤성과 단백질 분해기능 및 산소투과율을 높여 각종 안구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콘택트렌즈의 기재로서 아크릴레이트계 하이드로겔 또는 실리콘계 하이드로겔로 이루어짐으로써, 콘택트렌즈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콘택트렌즈의 기재 상에 형성되는 친수성 표면층의 두께를 소정의 치수로 한정함으로써, 광학적 특성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적절한 수준의 습윤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설명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콘택트렌즈는, 콩 발효에 의해 생성된 나토키나제를 포함하는 친수성 표면층을 그 기재 상에 구비하여 콘택트렌즈에 습윤성을 부여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콘택트렌즈의 기재로는, 다양한 소재의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기재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레이트계 하이드로겔 또는 실리콘계 하이드로겔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기재는 투명한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로 사용되거나, 안료가 프린팅되는 컬러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기재는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중합체 또는 실리콘-아크릴계 중합체를 주재료로 할 수 있으며, 이들 중합체는 하이드로겔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기재는 콘택트렌즈 기재 전체 중량 기준으로 상기 중합체를 80 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80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내지 98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기재는, 예컨대 주형법 (cast molding) 또는 회전주조회전법 (spin casting)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그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기재는, 하나의 예시에서 주형법 (cast molding)에 의해 제조되되, 주형 몰드에 단량체, 가교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혼합액이 주입된 다음, 열이 가해져 중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렌즈형상으로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단량체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실리콘 아크릴계 단량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계 단량체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기가 1 내지 3 개 치환된 C1-C15 하이드록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기가 1 내지 3 개 치환된 C1-C15 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비닐피롤리돈 (vinyl pyrrolidone), 글리세롤 메타크릴레이트 (glycerol methacrylate),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등으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계 단량체는, 구체적으로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N,N-디메틸 아크릴아미드 (N,N-dimethylacrylamide, DMA), N-비닐 피롤리돈 (N-vinyl pyrrolidone, NVP), 글리세롤 모노메타크릴레이트 (glycerol monomethacrylate, GMMA), 및 메타크릴산 (methacrylic acid, MAA) 등으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아크릴계 단량체는 폴리디메틸실록산계 화합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리콘 아크릴계 단량체는, 구체적으로 트리스(3-메타크릴옥시프로필)실란, 2-(트리메틸실릴옥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트리스(트리메틸실릴옥시)실릴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3-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스(트리메틸
실릴)실란(MPTS), 3-메타크릴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옥시)프로필비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란 및 4-메타크릴옥시부틸 터미네이티드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으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는,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EGDMA), 디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DEGMA), 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GDMA), 디비닐벤젠(DVB)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TMPTMA)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개시제는 중합을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아조디이소부틸로나이트릴 (AIBN) 및 벤조인 메틸 에테르 (BME), 2,5-디메틸-2,5-디-(2-에틸헥사노일퍼옥시)헥산 및 디메톡시페닐 아세토페논 (DMPA) 등으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기재 표면에 친수성 표면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먼저 대두 발효에 의해 낟또(natto)를 생성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
낟또 (納豆, なっとう)는 대두를 낟또균으로 발효시킨 일본 전통의 식품이다. 단백질이 풍부하고 특유의 향기를 가지고 있으며 실처럼 길게 늘어나는 성질이 있다. 점도가 높고 독특한 맛이 있어 후천적으로 익숙해져야 먹을 수 있다.
이 낟또의 끈적거리는 부분에 함유된 단백질 분해효소가 나토키나제이다. 낟또는 삶은 대두를 낟또균이 발효시켜 생긴 식품이지만, 이 발효과정에서 나토키나제를 비롯한 다양한 영양소가 생성된다.
나토키나제에는 혈전의 주성분인 피브린에 직접 작용해 분해(용해)하는 작용, 신체 내의 혈전용해효소인 우로키나제의 전구체인 프로우로키나제를 활성화하는 작용, 그리고 혈전용해효소인 플라스민을 만들어 내는 조직인 플라스미노겐 활성체(t-PA)의 양을 증대시키는 작용이 있다.
식품으로서의 낟또에는 혈전용해를 촉진하는 성분 '나토키나제'가 함유되어 있는 반면, 혈액응고를 촉진하는 '비타민 K2'도 함유되어 있다. 때문에, 비타민 K2가 제거된 나토키나제가 낟또에 비해 뛰어난 혈전용해작용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서 콘택트렌즈 기재 상의 친수성 표면층에 포함된 나토키나제는 안구 표면에서 분비되는 각종 노폐물, 특히 피브린과 단백질 등을 신속하게 분해함으로써, 콘택트렌즈의 착용감을 제고한다. 뿐만 아니라, 효소 자체가 갖는 친수성 작용기들로 인해 효소 표면에 물 분자를 유지함으로써 보습력 또한 뛰어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나토키나제의 수득을 위해 상기 대두 발효에서 생성된 낟또를 에탄올 수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낟또 중 점성의 사상(絲狀)성분을 추출하여 나토키나제 추출액을 제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나토키나제는 발효물 중 대두가 아니라 점성의 실 모양 물질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대상으로 추출이 이루어진다.
이 때 추출하는 에탄올 수용액의 농도는 0.3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농도 범위 이내일 때 나토키나제의 변성 없이 충분한 양의 나토키나제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다음 상기 나토키나제 추출액을 포함한 코팅액을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먼저 물 100 중량부에, 상기 단계 (B)의 나토키나제 추출액 6 내지 1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중량부, 염화나트륨 0.5 내지 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8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5 중량부, 인산이수소나트륨 0.1 내지 0.4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2 내지 0.3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3 중량부, 및 염화칼륨 0.05 내지 0.2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6 내지 0.18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0.15 중량부를 첨가한다.
상기 코팅액은 콘택트렌즈 기재 상에 친수성 표면층을 형성하는 나토키나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나토키나제가 상기 콘택트렌즈 기재의 표면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기재 표면을 개질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은 나토키나제 추출액에 포함된 에탄올과 코팅액에 포함된 염화나트륨 및 인산이수소나트륨에 의해 구현되며, 염화칼륨은 상기 염화나트륨의 기능 발현을 보조한다.
상기 코팅액 중 나토키나제 추출액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상기 농도 범위 이내일 때 과량의 염 사용으로 인한 세척공정의 증가, 잔존하는 염으로 인한 착용감의 저하, 기타 경제성 감소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면서, 나토키나제와 콘택트렌즈 기재 사이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코팅액 중 나토키나제 추출액의 점도는 25 내지 60 cP,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cP,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 cP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출액의 점도가 상기 범위 이내일 때, 점도 상승으로 인한 작업성의 현저한 저하를 방지하면서도 충분한 양의 나토키나제를 콘택트렌즈 표면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제조된 코팅액에 상기 콘택트렌즈를 침지하여 친수성 표면층을 형성한다. 이 침지단계는 상온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나, 110 내지 135 ℃, 바람직하게는 112 내지 1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25 ℃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지시간은 15 내지 50 분,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40 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0 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침지온도와 침지시간이 상기 범위 이내일 때 고온에의 장시간 노출로 인한 콘택트렌즈의 변형을 방지하면서도, 콘택트렌즈 기재와 강하게 결합한 친수성 표면층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단계를 통해 형성된 상기 친수성 표면층의 두께는 20 nm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30 nm 내지 3 ㎛,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nm 내지 2 ㎛일 수 있다. 친수성 표면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이내일 때 산소투과도의 지나친 하락을 방지하면서도 충분한 정도의 습윤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는 표면에 두께 20 nm 내지 5 ㎛의 친수성 표면층을 구비하고, 상기 친수성 표면층은 나토키나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 친수성 표면층을 구비한 콘택트렌즈의 제조
대두 발효에 의해 낟또(natto)를 생성한 후, 증류수 1 ℓ 및 에탄올 10 ㎖의 용액에 상기 낟또를 첨가하여 나토키나제를 함유한 점액성 용액을 추출하고 이를 분리했다. 이와 별도로 물 1 ℓ에 상기 추출 및 분리한 점도 40 cP의 나토키나제 추출액 90 ㎖, 염화나트륨 8 g, 인산이수소나트륨 2 g, 및 염화칼륨 1 g을 혼합한 코팅액을 제조하고, 여기에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소재의 콘택트렌즈를 침지한 다음 121 ℃에서 21 분 동안 가열하였다. 그 결과 1 ㎛의 친수성 표면층이 형성된 콘택트렌즈를 수득하였다.
시험예 : 접촉각 측정
상기 실시예의 친수성 표면층이 형성된 콘택트렌즈에 대해 DSA100를 사용한 고정기포배열 방법으로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 23 °가 측정되었다. 이를 코팅액으로 처리하지 않은 콘택트렌즈에 대한 접촉각 42 °와 비교했을 때, 본 발명의 친수성 표면층 도입으로 인해 콘택트렌즈의 친수성이 현저히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A) 대두 발효에 의해 낟또(natto)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생성된 낟또를 에탄올 수용액에 첨가하고 상기 낟또 중 점성의 사상(絲狀)성분을 추출하여 나토키나제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C) 물 100 중량부에,
    상기 단계 (B)의 나토키나제 추출액 6 내지 12 중량부,
    염화나트륨 0.5 내지 2 중량부,
    인산이수소나트륨 0.1 내지 0.4 중량부, 및
    염화칼륨 0.05 내지 0.2 중량부를 첨가한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의 코팅액에 콘택트렌즈를 침지하여 친수성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나토키나제 추출액의 점도는 25 내지 60 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에탄올 수용액 농도는 0.3 내지 2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침지단계는 110 내지 135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침지단계는 15 내지 50 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형성된 친수성 표면층의 두께는 20 nm 내지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청구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8. 삭제
KR1020170036248A 2016-03-23 2017-03-22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KR101826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34686 2016-03-23
KR1020160034686 2016-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535A KR20170110535A (ko) 2017-10-11
KR101826909B1 true KR101826909B1 (ko) 2018-02-07

Family

ID=601391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042A KR20170110498A (ko) 2016-03-23 2016-12-27 콘택트렌즈 조성물
KR1020170036248A KR101826909B1 (ko) 2016-03-23 2017-03-22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042A KR20170110498A (ko) 2016-03-23 2016-12-27 콘택트렌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11049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436B1 (ko) * 2018-05-18 2021-11-15 주식회사 인터로조 콘택트렌즈용 코팅액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5276A1 (ja) 2004-08-31 2006-03-09 Kumamoto University ナットウキナーゼを含む眼科疾患の治療・予防剤
JP2006327949A (ja) 2005-05-23 2006-12-07 Hiroshi Takeda 眼薬用組成物
KR101469801B1 (ko) * 2014-05-09 2014-12-05 주식회사 웰솔루션 혈행개선 또는 모세혈관 활성증가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5276A1 (ja) 2004-08-31 2006-03-09 Kumamoto University ナットウキナーゼを含む眼科疾患の治療・予防剤
JP2006327949A (ja) 2005-05-23 2006-12-07 Hiroshi Takeda 眼薬用組成物
KR101469801B1 (ko) * 2014-05-09 2014-12-05 주식회사 웰솔루션 혈행개선 또는 모세혈관 활성증가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498A (ko) 2017-10-11
KR20170110535A (ko)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16233B (zh) 具有润湿性表面的水凝胶隐形镜片及其制备方法
JP5432133B2 (ja) 軟質コンタクトレンズ用シリコンヒドロゲルのための単量体組成物およびその単量体組成物により製造された軟質コンタクトレンズ
EP2453292B1 (en) Soft hybrid contact lens,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hydration method
JP2019515326A (ja) 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ヒドロゲルハイブリッドコンタクトレンズ
US10598955B2 (en) Method for obtaining contact lenses with dynamically controlled sagitta and clearance
JP4772939B2 (ja) 重合性単量体組成物およびコンタクトレンズ
KR101826909B1 (ko) 높은 표면 친수성을 갖는 콘택트렌즈
CN104774288B (zh) 一种超亲水硅水凝胶接触透镜及处理方法
CN107541362A (zh) 用以处理隐形眼镜的溶液及隐形眼镜的包装系统
KR20190025704A (ko) 난시 교정을 위한 소프트 콘택트 렌즈 내의 증가된 강직도의 중심 광학부
KR102006918B1 (ko) 실리콘 함유 소프트 콘텍트렌즈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프트 콘텍트렌즈 및 상기 소프트 콘텍트렌즈 성형용 조성물
KR101963234B1 (ko) 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솔비톨 용액중합체가 코팅된 콘택트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101860832B1 (ko) 산소투과성 및 습윤성이 우수한 신규한 실리콘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KR102245626B1 (ko) 염료용출 방지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렌즈
KR101311134B1 (ko) 약물 서방성 의료용 디바이스
KR102392515B1 (ko) 생체적합성 콘택트렌즈
KR102517172B1 (ko) 컬러 콘택트렌즈용 코팅액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컬러 콘택트렌즈
CN111055520B (zh) 隐形眼镜表面亲水的涂层方法
TW202112861A (zh) 隱形眼鏡的濕式注模方法、供用於該製程的可聚合組成物,以及由該製程所製成的抗紫外線隱形眼鏡
KR20230139081A (ko) 생체적합성 소재로 표면이 개질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KR20230087650A (ko) Mpc를 이용한 기능성이 향상된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JP2009168875A (ja) シリコンコンタクトレンズの成型方法とそ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