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817A - 확산 실린더의 회전운동을 이용해 반사 이미지의 변경이 가능한 간접조명 공간을 갖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 Google Patents
확산 실린더의 회전운동을 이용해 반사 이미지의 변경이 가능한 간접조명 공간을 갖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3817A KR20210043817A KR1020190126611A KR20190126611A KR20210043817A KR 20210043817 A KR20210043817 A KR 20210043817A KR 1020190126611 A KR1020190126611 A KR 1020190126611A KR 20190126611 A KR20190126611 A KR 20190126611A KR 20210043817 A KR20210043817 A KR 202100438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interior structure
- lower housing
- vehicle
- guid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lighting through the surface to be illumin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17—Doors, e.g. door sills; Ste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25—Small compartments, e.g. glove compar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차 실내 간접조명 공간 내에 개개인의 개성이나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가 제공됩니다. 이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는 기본적으로 간접조명을 이용하되 노출 패턴에 의해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킨 후 하우징, 오브젝트 또는 광택 부재에 반사시켜 노출 패턴에 대응하는 반사 이미지를 형성함으로써, 차주의 개성이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다양한 노출 패턴이 형성된 확산 실린더를 회전시켜 노출 패턴을 편리하게 변경함으로써 다양하게 반사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주의 개성이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간접조명 공간을 갖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실내에는 다양한 조명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계기판 조명, 스위치 조명 등과 같은 기능성 조명 장치가 있고, 실내에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도어 트림, 보관함, 트레이 등에 설치되는 간접 조명 장치가 있다.
최근 들어 경제적, 사회적 여건이 개선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자동차 실내 조명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러한 조명 감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간접 조명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종래 자동차용 간접 조명 장치는 조명 색깔이나 밝기를 조절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어 개개인의 아이덴티티(identity) 또는 정체성을 표현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 실내 간접조명 공간 내에 반사 이미지를 이용해 개개인의 개성이나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고 나아가 확산 실린더의 회전운동을 이용해 반사 이미지 변경이 가능한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는, 간접조명 공간을 갖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로서, 하부 하우징과,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된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을 향해 빛을 발산하는 라이트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라이트 모듈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분산시키는 도광 부재; 상기 도광 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도광 부재에서 발산된 빛을 확산하는 확산 실린더; 및 선택적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노출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확산 실린더의 일면에 형성된 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 패턴을 통해 선택적으로 발산된 빛은 상기 하부 하우징 또는 상기 하부 하우징 상의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상기 노출 패턴의 형상에 대응하는 소정의 반사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확산 실린더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도광 부재의 전면에 위치하는 상기 노출 패턴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반사 이미지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확산 실린더의 내측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상기 도광 부재와 중첩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광 부재에서 발산된 빛은 상기 확산 실린더를 통과한 후 상기 노출 패턴과 상기 개구부를 거쳐 상기 하부 하우징을 향해 발산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모듈에서 발산되는 빛은 소정의 입사각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을 향해 발산될 수 있다.
상기 도광 부재의 일측부는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산란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 부재에 빛을 제공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빛의 밝기, 색깔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하단 보관함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 하부에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는 글러브 박스에 인접한 인스트루먼트 패널 트림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 상에 상기 간접조명의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한 광택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오픈 트레이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 상에 상기 간접조명의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한 광택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는 도어 트림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 상에 상기 간접조명의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한 광택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는 콘솔 후방 보관함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 상에 상기 간접조명의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한 광택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의하면, 빛이 운전자 시야에 직접 조사되지 않는 간접 조명을 이용함으로써 야간 운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조명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접 조명을 이용해 실내를 은은한 분위기로 밝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접 조명을 이용해 대상체 상에 반사되는 문자, 그림 등의 반사 이미지를 통해 차주의 개성이나 아이덴티티를 표현함으로써 나만의 실내 공간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취향에 따라 라이트 모듈의 노출 패턴에 변화를 줌으로써 다양한 문자나 그림 등으로 본인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다. 나아가 확산 실린더 상에 다양한 노출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확산 실린더를 회전시켜 도광 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출 패턴을 편리하게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반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포함된 라이트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2의 확산 실린더의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라이트 모듈을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d는 도 4a의 라이트 모듈을 BB'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a의 라이트 모듈의 변형예이다.
도 6은 도 2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의해 간접 조명을 구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포함된 라이트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2의 확산 실린더의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라이트 모듈을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d는 도 4a의 라이트 모듈을 BB'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a의 라이트 모듈의 변형예이다.
도 6은 도 2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의해 간접 조명을 구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는 차 실내에 간접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하단 보관함, 인스트루먼트 패널 트림 구조, 인스트루먼트 패널 오픈 트레이 구조, 도어 트림 구조, 콘솔 후방 보관함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는 기본적으로 상부 하우징, 하부 하우징 및 라이트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적용되는 구조물에 따라 상부 하우징 또는 하부 하우징은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포함된 라이트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2의 확산 실린더의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의 라이트 모듈을 AA'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d는 도 4a의 라이트 모듈을 BB'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a의 라이트 모듈의 변형예이다. 도 6은 도 2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의해 간접 조명을 구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10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하단 보관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등을 수납하는 트레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100)는 하부 하우징(110), 상부 하우징(120) 및 라이트 모듈(30)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110)는 물건이 수납될 수 있도록 평평한 트레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하우징(120)은 하부 하우징(110)과 결합하되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도록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하부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120)과 하부 하우징(110) 사이에는 간접조명 공간이 형성된다.
라이트 모듈(30)은 하부 하우징(110)을 향해 빛을 발산하도록 상부 하우징(1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광 부재(12), 확산 실린더(20), 차단막(22) 및 이들을 수납하는 케이스(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광 부재(12) 및 확산 실린더(20)가 운전자의 시야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 하우징(120)의 배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하우징(120)의 배면 상에 확산 실린더(20)가 배치되고, 확산 실린더(20) 내측에서 상부 하우징(120)과 인접한 위치에 도광 부재(12)가 배치된다.
확산 실린더(20)의 적어도 일단은 홀더(34)에 의해 고정되고, 홀더(34)에는 회전운동을 제공하는 구동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도광 부재(12)는 소정의 지지부재(미도시)에 의해 상부 하우징(12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광 부재(12)가 확산 실린더(20)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는 하나, 도광 부재(12)와 확산 실린더(20)는 서로 다른 움직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 부재(12)가 상부 하우징(120)에 고정된 상태로, 구동부가 회전운동을 제공하면 홀더(34)에 고정된 확산 실린더(20)는 상부 하우징(120) 또는 도광 부재(1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도광 부재(12)에서 발산된 빛이 확산 실린더(2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홀더(34)는 도광 부재(12)와 중첩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광 부재(12)는 상부 하우징(120)의 개구부(122)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광 부재(12)에서 발산된 빛은 확산 실린더(20)를 통과한 후 노출 패턴(24) 및 상부 하우징(120)의 개구부(122)를 거쳐 하부 하우징(110)을 향해 발산된다. 구동부는 사용자의 손 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구동부가 수동으로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 편의를 위해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이에 연결된 파트가 간접조명 공간 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라이트 모듈(30)에서 발산되는 빛은 하부 하우징(110) 또는 하부 하우징(110) 상에 놓인 오브젝트(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 등)에 반사되어 간접조명을 제공한다. 상기 반사된 빛이 운전자나 탑승자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도록 라이트 모듈(30)에서 발산되는 빛은 0이 아닌 소정의 입사각(θ)으로 하부 하우징(110)을 향해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입사각(θ)은 하부 하우징(110) 표면의 법선을 기준으로 라이트 모듈(30)에서 발산된 빛이 입사하는 각도이다.
하부 하우징(110) 하부에는 무선 충전 모듈(1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 하우징(110) 상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되는 경우 자동으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라이트 모듈(30)에서 발산된 빛이 휴대 단말기의 표면에 반사될 때 소정의 반사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광원(50)은 도광 부재(12)의 일단으로 빛을 제공하며, 제어 유닛(60)은 광원(50)을 제어하여 빛의 온/오프, 밝기, 색깔 또는 이들의 조합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50)은 LED 소자 등으로 이루어져 도광 부재(12)의 일단에 빛을 제공하는 점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광 부재(12)는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광원(50)으로부터 빛이 입사되면 이를 고르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부 하우징(120)의 개구부(122)를 기준으로 그 배면에 도광 부재(12)가 배치되고, 도광 부재(12)를 감싸도록 확산 실린더(20)가 배치된다. 확산 실린더(20)는 전체적으로 얇은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광 부재(12)에서 발산된 빛을 확산시키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광 부재(12)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확산 실린더(20)로 전달되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광 부재(12)의 일측부는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산란 패턴(11)에 형성될 수 있다. 도광 부재(12)의 일단으로 유입된 빛은 전반사를 통해 도광 부재(12) 내부로 전달되고 산란 패턴(11)에 의해 분산되어 도광 부재(12)의 타측부를 통해 외부로 발산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산란 패턴(11)은 도광 부재(12)의 횡방향으로 연장된 미세 요(凹)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산란 패턴(11)의 패턴 방향은 도광 부재(12)의 일단에서 유입되는 빛의 진행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도광 부재(12)에서 평평한 면, 그 위에 형성된 산란 패턴(11), 그리고 산란 패턴(11)의 패턴 방향은 빛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외부로 빛을 균일하게 발산하기 위한 최적화된 설계에 기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세 요부로 이루어진 산란 패턴(11)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산란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형상의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막(22)은 확산 실린더(20)의 일면에 형성되어 기본적으로 빛의 통과를 차단한다. 예를 들어 차단막(22)은 블랙 페인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막(22)에는 노출 패턴(24)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빛이 선택적으로 투과될 수 있다. 이러한 노출 패턴(24)은 확산 실린더(20) 상에 차단막(22)을 균일하게 도포한 후 레이저를 이용해 차단막(22)을 각인 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노출 패턴(24)은 문자, 그림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확산 실린더(20)의 외주면에 차단막(22)이 형성되고 확산 실린더(20)의 내부에 도광 부재(12)가 배치됨으로써, 도광 부재(12)로부터 발산된 빛이 노출 패턴(24)을 통과하기 전에 확산 실린더(20)를 거치게 되어 고르게 확산될 수 있다.
회전운동을 제공하는 구동부에 의해 이에 연결된 홀더(34) 및 확산 실린더(20)가 회전운동을 하면, 도광 부재(12)의 전면에 위치하는 노출 패턴(24)이 변경되고 따라서 반사 이미지도 변경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변형예는 면광원 구조의 라이트 모듈을 예시로 든 것이다. 구체적으로, 광원(50')은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기판(50a)과, 기판(50a) 하부에 실장된 복수의 발광 소자(50b)를 포함하는 면광원으로 구성된다. 발광 소자(50b)는 예를 들어 LED 소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광 부재(12')는 전체적으로 막대 형상을 이루며 그 일측부에는 광원(50')이 삽입되는 삽입홈(11')이 형성되어 있다. 도광 부재(12')는 광원(50')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면광원과 도광 부재(12')에 의해 더욱 균일하게 빛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노출 패턴(24)을 통해 선택적으로 발산된 빛은 하부 하우징(110) 또는 하부 하우징(110) 상에 놓인 오브젝트(40)에 반사되어 간접조명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노출 패턴(24)의 형상에 대응하는 소정의 반사 이미지(70)를 생성한다. 여기서 노출 패턴(24)의 형상과 반사 이미지(70)의 형상은 서로 미러 이미지(mirror image)의 대응관계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 이미지(70)로서 노출 패턴(24)의 미러 이미지인 'SM6' 형상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부 하우징(110) 상에 간접조명의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한 광택 부재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오브젝트(40) 없이도 소정 형상의 반사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의 도면(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200)는 글러브 박스에 인접한 인스트루먼트 패널 트림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200)는 하부 하우징(210), 상부 하우징(220) 및 상부 하우징(220)에 설치된 라이트 모듈(30)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210)은 글러브 박스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 하우징(22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하우징(220)은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도록 하부 하우징(210)과 결합하며, 상부 하우징(220)과 하부 하우징(210) 사이에는 간접조명 공간이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210)의 상부에는, 특히 라이트 모듈로부터 발산된 빛이 닿는 부분에는 간접조명의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한 광택 부재(230)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광택 부재(230)는 고광택(high gloss) 또는 광택 페인트 도포층이나, 고광택 또는 광택 페인트가 도포된 패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인테리어 부재, 특히 글러브 박스 하우징은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 무광택 또는 반광택 소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무광택 또는 반광택 소재에는 빛이 반사되어도 문자나 그림 등의 특별한 형상의 반사 이미지가 생성되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하우징(210) 상에 광택 부재(2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라이트 모듈에서 발산된 빛이 광택 부재(230)에 반사될 경우 노출 패턴의 형상에 대응하는 특별한 형상의 반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택 부재(230)는 이전 실시예의 오브젝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광택 부재(230)에서 반사된 반사 이미지가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도록 라이트 모듈에서 발산되는 빛은 0이 아닌 소정의 입사각(θ)으로 하부 하우징(210)을 향해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의 도면(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30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오픈 트레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글러브 박스(340) 상부에 위치한 인스트푸먼트 패널에 오픈 형태로 형성된 수납함이다.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300)는 하부 하우징(310), 상부 하우징(320) 및 상부 하우징(320)에 설치된 라이트 모듈(30)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31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 하우징(32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하우징(320)은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도록 하부 하우징(310)과 결합하며, 상부 하우징(320)과 하부 하우징(310) 사이에는 간접조명 공간이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310)의 상부에는, 특히 라이트 모듈로부터 발산된 빛이 닿는 부분에는 간접조명의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한 광택 부재(330)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광택 부재(330)는 고광택(high gloss) 또는 광택 페인트 도포층이나, 고광택 또는 광택 페인트가 도포된 패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인테리어 부재, 특히 인스트푸먼트 패널은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 무광택 또는 반광택 소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무광택 또는 반광택 소재에는 빛이 반사되어도 문자나 그림 등의 특별한 형상의 반사 이미지가 생성되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하우징(310) 상에 광택 부재(3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라이트 모듈에서 발산된 빛이 광택 부재(330)에 반사될 경우 노출 패턴의 형상에 대응하는 특별한 형상의 반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택 부재(330)는 이전 실시예의 오브젝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광택 부재(330)에서 반사된 반사 이미지가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도록 라이트 모듈에서 발산되는 빛은 0이 아닌 소정의 입사각(θ)으로 하부 하우징(310)을 향해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의 도면(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400)는 도어 트림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400)는 하부 하우징(410), 상부 하우징(420) 및 상부 하우징(420)에 설치된 라이트 모듈(30)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410)은 도어 트림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 하우징(420)은 도어 트림 상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하우징(420)은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도록 하부 하우징(410)과 결합하며, 상부 하우징(420)과 하부 하우징(410) 사이에는 간접조명 공간이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410)의 상부에는, 특히 라이트 모듈로부터 발산된 빛이 닿는 부분에는 간접조명의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한 광택 부재(430)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광택 부재(430)는 고광택(high gloss) 또는 광택 페인트 도포층이나, 고광택 또는 광택 페인트가 도포된 패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인테리어 부재, 특히 도어 트림은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 무광택 또는 반광택 소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무광택 또는 반광택 소재에는 빛이 반사되어도 문자나 그림 등의 특별한 형상의 반사 이미지가 생성되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하우징(410) 상에 광택 부재(4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라이트 모듈에서 발산된 빛이 광택 부재(430)에 반사될 경우 노출 패턴의 형상에 대응하는 특별한 형상의 반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택 부재(430)는 이전 실시예의 오브젝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광택 부재(430)에서 반사된 반사 이미지가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도록 라이트 모듈에서 발산되는 빛은 0이 아닌 소정의 입사각(θ)으로 하부 하우징(410)을 향해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실시예의 도면(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500)는 콘솔 후방 보관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센터 콘솔의 후방에 위치한 보관함이다.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500)는 하부 하우징(510), 상부 하우징(520) 및 상부 하우징(520)에 설치된 라이트 모듈(30)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510)은 콘솔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 하우징(520)은 암레스트(540)에 인접한 콘솔 상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하우징(520)은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도록 하부 하우징(510)과 결합하며, 상부 하우징(520)과 하부 하우징(510) 사이에는 간접조명 공간이 형성된다.
하부 하우징(510)의 상부에는, 특히 라이트 모듈로부터 발산된 빛이 닿는 부분에는 간접조명의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한 광택 부재(530)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광택 부재(530)는 고광택(high gloss) 또는 광택 페인트 도포층이나, 고광택 또는 광택 페인트가 도포된 패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인테리어 부재, 특히 센터 콘솔 하우징은 탑승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 무광택 또는 반광택 소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무광택 또는 반광택 소재에는 빛이 반사되어도 문자나 그림 등의 특별한 형상의 반사 이미지가 생성되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하우징(510) 상에 광택 부재(53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라이트 모듈에서 발산된 빛이 광택 부재(530)에 반사될 경우 노출 패턴의 형상에 대응하는 특별한 형상의 반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광택 부재(530)는 이전 실시예의 오브젝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광택 부재(530)에서 반사된 반사 이미지가 탑승자의 시야에 들어올 수 있도록 라이트 모듈에서 발산되는 빛은 0이 아닌 소정의 입사각(θ)으로 하부 하우징(510)을 향해 입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라이트 하우징
11: 산란 패턴
12: 도광 부재
20: 확산 실린더
22: 차단막
24: 노출 패턴
30: 라이트 모듈
32: 케이스
34: 홀더
40: 오브젝트
50: 광원
60: 제어 유닛
70: 반사 이미지
100, 200, 300, 400, 500: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110, 210, 310, 410, 510: 하부 하우징
120, 220, 320, 420, 520: 상부 하우징
122: 개구부
130: 무선 충전 모듈
230, 330, 430, 530: 광택 부재
340: 글러브 박스
540: 암레스트
11: 산란 패턴
12: 도광 부재
20: 확산 실린더
22: 차단막
24: 노출 패턴
30: 라이트 모듈
32: 케이스
34: 홀더
40: 오브젝트
50: 광원
60: 제어 유닛
70: 반사 이미지
100, 200, 300, 400, 500: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110, 210, 310, 410, 510: 하부 하우징
120, 220, 320, 420, 520: 상부 하우징
122: 개구부
130: 무선 충전 모듈
230, 330, 430, 530: 광택 부재
340: 글러브 박스
540: 암레스트
Claims (7)
- 간접조명 공간을 갖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로서,
하부 하우징과,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된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을 향해 빛을 발산하는 라이트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라이트 모듈은,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분산시키는 도광 부재; 상기 도광 부재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도광 부재에서 발산된 빛을 확산하는 확산 실린더; 및 선택적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노출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확산 실린더의 일면에 형성된 차단막을 포함하고,
상기 노출 패턴을 통해 선택적으로 발산된 빛은 상기 하부 하우징 또는 상기 하부 하우징 상의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상기 노출 패턴의 형상에 대응하는 소정의 반사 이미지를 형성하고,
상기 확산 실린더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도광 부재의 전면에 위치하는 상기 노출 패턴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반사 이미지도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확산 실린더의 내측에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에는 상기 도광 부재와 중첩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광 부재에서 발산된 빛은 상기 확산 실린더를 통과한 후 상기 노출 패턴과 상기 개구부를 거쳐 상기 하부 하우징을 향해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모듈에서 발산되는 빛은 소정의 입사각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을 향해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의 일측부는 평평한 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산란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에 빛을 제공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빛의 밝기, 색깔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하단 보관함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 하부에 휴대 단말기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 모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는 글러브 박스에 인접한 인스트루먼트 패널 트림 구조, 인스트루먼트 패널 오픈 트레이 구조, 도어 트림 구조, 또는 콘솔 후방 보관함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 상에 상기 간접조명의 반사효율을 높이기 위한 광택 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6611A KR20210043817A (ko) | 2019-10-14 | 2019-10-14 | 확산 실린더의 회전운동을 이용해 반사 이미지의 변경이 가능한 간접조명 공간을 갖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6611A KR20210043817A (ko) | 2019-10-14 | 2019-10-14 | 확산 실린더의 회전운동을 이용해 반사 이미지의 변경이 가능한 간접조명 공간을 갖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3817A true KR20210043817A (ko) | 2021-04-22 |
Family
ID=7573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6611A KR20210043817A (ko) | 2019-10-14 | 2019-10-14 | 확산 실린더의 회전운동을 이용해 반사 이미지의 변경이 가능한 간접조명 공간을 갖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4381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72933B1 (en) * | 2022-10-27 | 2024-01-16 | Hyundai Mobis Co., Ltd. | Lighting device for vehicle |
-
2019
- 2019-10-14 KR KR1020190126611A patent/KR20210043817A/ko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72933B1 (en) * | 2022-10-27 | 2024-01-16 | Hyundai Mobis Co., Ltd. | Lighting device for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19447B2 (en) | Vehicle decorative component and vehicle decorative component installing method | |
TWI644814B (zh) | 頭頂主控台及車體上部結構 | |
JP6869778B2 (ja) | カーテシランプおよびカーテシロゴランプ | |
JP2008174132A (ja) | 車両用室内照明装置 | |
JP4085053B2 (ja) | イルミネーションモジュール | |
CN113272178B (zh) | 车辆用镜装置以及能够照射光的镜显示设备 | |
US20230225515A1 (en) | Illuminated seat panel | |
KR20210043817A (ko) | 확산 실린더의 회전운동을 이용해 반사 이미지의 변경이 가능한 간접조명 공간을 갖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 |
JP2020101781A (ja) | 照明装置 | |
KR20210041700A (ko) | 확산 플레이트를 이용해 반사 이미지의 변경이 가능한 간접조명 공간을 갖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 |
JP2009006853A (ja) | 自動車用照明装置 | |
US20150138792A1 (en) | Photoluminescent vehicle reading lamp | |
KR20210042501A (ko) | 확산 디스크를 이용해 반사 이미지의 변경이 가능한 간접조명 공간을 갖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 |
JP2005306233A (ja) | 車輌用室内照明装置 | |
KR20210043112A (ko) | 확산 플레이트의 병진운동을 이용해 반사 이미지의 변경이 가능한 간접조명 공간을 갖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 |
US10442349B2 (en) | Lighting element and loudspeaker for a motor vehicle | |
JP6826757B2 (ja) | 乗物用照明装置 | |
KR20210040615A (ko) | 간접조명 공간을 갖는 차량용 인테리어 구조 | |
JP6516502B2 (ja) | 照明装置 | |
KR20200106304A (ko) | 차량용 광고장치 | |
CN113932196A (zh) | 灯具以及汽车 | |
JPH06278530A (ja) | 車両用照明装置 | |
US11872934B2 (en) | Vehicle indoor illumination device | |
JP2019001239A (ja) | 車両用照明装置 | |
WO2013121688A1 (ja) | 車室内照明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