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188A - 의료정보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 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정보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 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188A
KR20210043188A KR1020190126051A KR20190126051A KR20210043188A KR 20210043188 A KR20210043188 A KR 20210043188A KR 1020190126051 A KR1020190126051 A KR 1020190126051A KR 20190126051 A KR20190126051 A KR 20190126051A KR 20210043188 A KR20210043188 A KR 20210043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information
gateway terminal
signal
re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6964B1 (ko
Inventor
임용재
Original Assignee
임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재 filed Critical 임용재
Priority to KR1020190126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9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43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02Serial port, e.g. RS232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의한 의료정보 시스템은 병원정보 서버, 병원정보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게이트웨이 단말기 및, 검사 장비 및 게이트웨이 단말기 간에 접속되어, 병원정보 서버로부터 게이트웨이 단말기로 전송된 피검자 정보를 수신하여 검사 장비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중계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정보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 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Hospital Inform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Information}
본 기술은 스마트 의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료 정보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트워크 기반의 의료기기 및 의료정보 시스템이 도입됨에 따라 의료 행위의 결과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의료기기는 사람 또는 동물에게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기구, 기계, 장치, 재료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으로써 질병의 진단, 치료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구조 또는 기능의 검사, 대체 또는 변형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최근의 의료기기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운용되거나 소프트웨어와 연계하여 운용되는 전자 의료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의료기기는 폐쇄적인 장치이므로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가 제한되어 있다. 또한, 의료정보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 장치들과, 의료 행위에 사용되는 검사/진단 장비가 서로 다른 운영체제 환경에서 동작함에 따라 이들 간의 데이터 연동을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기술의 실시예는 이종 장비 간에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는 의료정보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의료정보 시스템은 병원정보 서버; 상기 병원정보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게이트웨이 단말기; 및 검사 장비 및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 간에 접속되어, 상기 병원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로 전송된 피검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검사 장비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중계 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 중계 장치는 병원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게이트웨이 단말기와 통신하는 정보 중계 장치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와의 통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 키보드와 통신하는 제 2 인터페이스;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신호 또는 상기 키보드 인터페이스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검사 장비로 전송하는 제 3 인터페이스; 및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접속 경로를 설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 중계 방법은 병원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게이트웨이 단말기와 통신하고, 제 1 인터페이스, 제 2 인터페이스, 제 3 인터페이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정보 중계 장치의 중계 방법으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 3 인터페이스에 대한 접속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기술에 의하면 환자 정보가 검사 장비에 자동으로 입력됨에 따라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정보 입력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의료정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 중계장치 컨트롤러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기술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의료정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의한 의료정보 시스템(10)은 병원 네트워크(20)를 통해 상호 접속되는 영상 정보 서버(200), 병원 정보 서버(300), 게이트웨이 단말기(400) 및 이력관리 단말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정보 시스템(10)은 게이트웨이 단말기(400)와 검사 장비(600) 간에 접속되고 키보드(700)가 연결되는 정보 중계 장치(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정보 서버(200)는 의료 기기를 통한 검사, 진단의 결과로 발생하는 의료 영상을 취득하여 저장하는 한편, 취득한 의료 영상을 병원 정보 서버(300)나 이력관리 단말기(5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정보 서버(200)는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로 구성될 수 있다. PACS는 내시경, 초음파, CT, X-레이, MRI, 핵의학 영상을 고속으로 검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고화질을 지원하며,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 방식으로 영상 정보를 효율적으로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
내시경, 초음파, CT, X-레이, MRI, 핵의학 장비 등과 같은 영상 검사 장비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가 전송되면, 영상 정보 서버(200)는 병원 정보 서버(300)로부터 대응하는 피검자 정보를 추출하고 영상 정보와 맵핑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정보 판독의는 이력관리 단말기를 통해 영상 정보 서버(200)에 접근하여 고화질의 영상 정보를 조회 및 판독할 수 있다.
병원 정보 서버(300)는 병원 내에서 이루어지는 의료 및 행정 업무를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병원 정보 서버(300)는 전자 의무 기록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전자 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s; HER), 임상 정보 시스템(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LIS), 방사선 정보 시스템 (Radiology Information System; RIS), 처방 전달 시스템(Order Communication System; OC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병원 정보 서버(300)는 진료 또는 검사 대상 피검자의 정보를 게이트웨이 단말기(400) 및/또는 이력관리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피검자 정보는 예를 들어 피검자 식별번호, 이름, 성별, 연령, 검사 대상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는 검사 영상 데이터의 포맷을 기 설정된 표준 규격, 예를 들어 DICOM 표준 프로토콜로 변환한 후 영상 정보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420)는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게이트웨이일 수 있다.
의료영상은 영상자체뿐만 아니라 반드시 환자정보와 각종 영상정보를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과거의 의료영상 들은 기기를 생산한 업체간에 또는 같은 업체라도 기종 별로도 차이가 있어서 저장장치에 보관되었던 영상을 다른 기종에서는 조회가 불가능하였다. DICOM은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각종 디지털 영상을 이종 기기간 또는 컴퓨터와 전송 및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된 표준 규격이다.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는 제 1 운영체제 기반의 서버(200, 300)들과 제 2 운영체제 기반의 검사 장비(600)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서버(200, 300)들이 사용하는 신호와 검사 장비(600)에서 사용하는 신호 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는 서버(200, 300)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또는 검사 장비(60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400)는 의료진의 제어에 따라 검사 영상을 캡쳐할 수 있으며, 검사 영상/동영상을 저장하고 포맷 변환하여 영상 정보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료영상은 영상 자체뿐만 아니라, 각종 영상정보에 피검자 정보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게이트웨이(400) 로 전송된 피검자 정보에 따라 의료진은 피검자의 본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로 전송된 피검자 정보는 검사 장비(600)에서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와 결합되어 의료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로써 키보드 장치 하나만을 인식하도록 세팅되어 있는 검사 장비(600)의 폐쇄성에 의해 현재는 게이트웨이(400) 에 전송 및 디스플레이된 피검자 정보를 의료진이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검사 장비(600) 전용의 키보드(700)를 통해 피검자 정보를 수동 입력한다. 피검자 정보가 수동으로 입력됨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 속도가 저하되고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기술에서는 검사장비(600)와 게이트웨이 단말기(400) 간에 접속되고 키보드(700)가 연결되는 정보 중계 장치(100)를 제안한다.
정보 중계 장치(100)는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로 제공된 피검자 정보를 검사 장비(600)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즉,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중계 장치(420)는 키보드(700)의 연결을 차단하고,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를 통해 전송되는 피검자 정보를 검사 장비(60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검자 정보는 피검자 식별번호, 이름, 성별, 연령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중계 장치(100)는 게이트웨이(600)로부터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검사 장비(600)에 키보드(700)의 입력 신호를 제공하여 검사 장비(60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라 검사 장비(600)에 피검자 정보가 입력된 후 검사가 개시된다.
아울러, 검사완료 후 검사 장비(600)는 검사 영상 데이터를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는 중계장치(100)를 통해 수신한 피검자의 검사 영상과 병원 정보 서버(300)에서 기 전송한 피검자 정보를 결합하여 의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는 생성된 의료 영상을 영상 정보 서버(200)로 전송하여 안전하게 보관되고, 필요에 따라 피검자 본인이나 의료진에 의해 열람될 수 있다.
본 기술의 정보 중계 장치(100)를 도입함에 따라 게이트웨이 단말기(400)가 수신한 피검자 정보를 키보드(700)을 통하지 않고 직접, 자동으로 검사 장비(60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피검자 정보를 입력하는 이벤트를 제외하고는 정보 중계 장치(100)를 통해 키보드(700)와 검사장치(411)가 연결되도록 하여, 의료진이 키보드(700)를 조작하면서 피검자를 검사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중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 중계 장치(100)는 컨트롤러(141),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143), 키보드 인터페이스(145), 검사장비 인터페이스(147) 및 전원 공급부(149)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41)는 중계 장치(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141)는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 상에서 동작하는 펌웨어와 같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143)는 게이트웨이 단말기(400)와 중계 장치(100)를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143)는 RS232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143)를 통해 피검자 정보가 검사 장비(600)로 제공될 수 있고, 검사 장비(600)의 검사 영상이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로 전송될 수 있다.
키보드 인터페이스(145)는 검사 장비(600) 전용 키보드(700)가 중계 장치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키보드 인터페이스(145)는 DIN 8핀 포트 또는 USB 포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검사 장비 인터페이스(147)는 검사 장비(600)가 중계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검사 장비 인터페이스(147)는 예를 들어 DIN 8핀 포트 또는 USB 포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 공급부(149)는 컨트롤러(141),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143) 및 키보드 인터페이스(145)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병원의 검사 장비(600)는 보안 등의 목적을 위해 폐쇄적으로 구성되어 전용 키보드(700) 외의 다른 장치를 연결시킬 수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기술에서는 검사 장비(600)에 확보된 외부 입력 포트에 중계 장치(100)를 접속하고, 중계 장치(100)에 게이트웨이 단말기(400) 및 전용 키보드(700)를 연결함으로써, 검사 장비(600)에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된 신호(피검자 정보) 또는 키보드 입력 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중계장치 컨트롤러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계장치 컨트롤러(141)는 신호 감지부(111), 스위칭부(113) 및 신호 전송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감지부(111)는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는지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칭부(113)는 노멀 모드(제 2 모드)인 경우 키보드 인터페이스(145)의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멀 모드는 신호 감지부(111)가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지 않는 모드일 수 있다. 스위칭부(113)는 신호 감지부(111)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감지 모드(제 2 모드)로 천이하여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143)의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감지 모드는 신호 감지부(111)가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한 모드일 수 있다.
신호 전송부(115)는 스위칭부(113)의 스위칭 경로에 따라 입력 신호를 검사 장비 인터페이스(147)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칭부(113)가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143)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는 감지 모드의 경우 신호 전송부(115)는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143)로 수신된 신호를 검사 장비 인터페이스(147)로 전송할 수 있다. 스위칭부(113)가 키보드 인터페이스(145)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는 노멀 모드의 경우 신호 전송부(115)는 키보드 인터페이스(145)로 수신된 신호를 검사 장비 인터페이스(147)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정보 중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정보 중계 장치(100)는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S101).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로부터 신호가 전송되지 않으면(S101:N), 정보 중계 장치는 키보드 인터페이스(145)의 신호를 입력받는 노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103). 정보 중계 장치(100)는 키보드(70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검사 장비(600)로 전달할 수 있다(S105). 입력된 정보를 전달한 후에는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로부터의 신호가 감지되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중계 장치(100)는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로부터 신호가 감지되는 감지 모드의 경우(S101:Y),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120)로 접속하여(S107), 게이트웨이 단말기(400)에서 전송되는 입력되는 정보(S109)를 검사 장비(600)로 전달할 수 있다(S111). 입력된 정보를 전달한 후에는 게이트웨이 단말기(400)로부터의 신호가 감지되는지 모니터링하는 단계로 복귀할 수 있다.
스위칭부(113)가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143)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는 감지 모드의 경우 신호 전송부(115)는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143)로 수신된 신호를 검사 장비 인터페이스(147)로 전송할 수 있다. 스위칭부(113)가 키보드 인터페이스(145)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는 노멀 모드의 경우 신호 전송부(115)는 키보드 인터페이스(145)로 수신된 신호를 검사 장비 인터페이스(147)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중계 장치(100)에 의해 피검자 정보가 오류 없이 검사 장비(600)로 제공되어 신속하고 정확한 의료 행위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의료정보 시스템
100 : 중계 장치
200 : 영상정보 서버
300 : 병원 정보 서버
400 : 게이트웨이 단말기
500 : 이력관리 단말기
600 : 검사 장비
700 : 키보드

Claims (10)

  1. 병원정보 서버;
    상기 병원정보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게이트웨이 단말기; 및
    검사 장비 및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 간에 접속되어, 상기 병원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로 전송된 피검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검사 장비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중계 장치;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의료정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중계 장치에 접속되는 키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중계 장치는 상기 키보드 또는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상기 검사 장비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의료정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중계 장치는,
    노멀 모드시 상기 키보드의 입력 신호를 상기 검사 장비로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로부터의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 모드로 천이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의 입력 신호를 상기 검사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의료정보 시스템.
  4. 병원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게이트웨이 단말기와 통신하는 정보 중계 장치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와의 통신하는 제 1 인터페이스;
    키보드와 통신하는 제 2 인터페이스;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신호 또는 상기 키보드 인터페이스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검사 장비로 전송하는 제 3 인터페이스; 및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접속 경로를 설정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중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노멀 모드에서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3 인터페이스 간의 접속 경로를 설정하고, 감지 모드에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 3 인터페이스 간의 접속 경로를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중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멀 모드는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로부터의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모드이고, 상기 감지 모드는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로부터의 신호가 감지되는 모드인 정보 중계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는 RS232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제 2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3 인터페이스는 DIN 8핀 또는 USB 인터페이스인 정보 중계 장치.
  8. 병원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게이트웨이 단말기와 통신하고,
    제 1 인터페이스, 제 2 인터페이스, 제 3 인터페이스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정보 중계 장치의 중계 방법으로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상기 제 3 인터페이스에 대한 접속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정보 중계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로부터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키보드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3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검사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중계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로부터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상기 게이트웨이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3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검사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중계 방법.
KR1020190126051A 2019-10-11 2019-10-11 의료정보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 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 KR102316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051A KR102316964B1 (ko) 2019-10-11 2019-10-11 의료정보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 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051A KR102316964B1 (ko) 2019-10-11 2019-10-11 의료정보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 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188A true KR20210043188A (ko) 2021-04-21
KR102316964B1 KR102316964B1 (ko) 2021-10-25

Family

ID=7574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051A KR102316964B1 (ko) 2019-10-11 2019-10-11 의료정보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 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96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074A (ja) * 2003-10-14 2005-05-12 Olympus Corp 検査装置を制御する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KR20100067786A (ko) * 2008-12-12 2010-06-22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의료기기 정보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6633A (ko) * 2009-11-23 2011-05-31 (의료)길의료재단 의료기기 통합 게이트웨이에서 웹기반 원격 관리 지원을 위한 통합 의료관리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한 통합 의료관리 방법
KR20150115466A (ko) * 2014-04-04 2015-10-14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의료 검사 일정에 따른 동적 전원 관리를 위한 게이트웨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시스템
KR20170135294A (ko) *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이상 징후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8160619A1 (en) * 2017-02-28 2018-09-07 Beckman Coulter, Inc. Cross discipline disease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074A (ja) * 2003-10-14 2005-05-12 Olympus Corp 検査装置を制御する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KR20100067786A (ko) * 2008-12-12 2010-06-22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의료기기 정보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56633A (ko) * 2009-11-23 2011-05-31 (의료)길의료재단 의료기기 통합 게이트웨이에서 웹기반 원격 관리 지원을 위한 통합 의료관리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것에 의한 통합 의료관리 방법
KR20150115466A (ko) * 2014-04-04 2015-10-14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의료 검사 일정에 따른 동적 전원 관리를 위한 게이트웨이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 시스템
KR20170135294A (ko) *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이상 징후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8160619A1 (en) * 2017-02-28 2018-09-07 Beckman Coulter, Inc. Cross discipline disease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6964B1 (ko) 202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4398B2 (en) Wireless x-ray system
CN102243692A (zh) 医疗会议系统及方法
JP2003233674A (ja) 医用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2253552A (ja) リモート閲覧用ステーションにおいて画像及びリポートを結合する方法及び装置
Wagner et al. CareStore platform for seamless deployment of ambient assisted living applications and devices
JP7313890B2 (ja) 医用情報処理装置及び医用情報処理方法
KR20150000355A (ko) 의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10043188A (ko) 의료정보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 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
JP2003141250A (ja) 診断支援システム
KR101820425B1 (ko) 병원 내 의료기기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KR101710608B1 (ko) 의료기기 게이트웨이
KR101866896B1 (ko) 의료기기 모니터링 장치
KR102421017B1 (ko) 의료정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12076A (ko) 의료 영상과 관련된 장치들 간에 송수신되는 의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JP5769246B2 (ja) 検査情報管理システム
KR20190078349A (ko) Iot를 활용한 의료 장비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0131034A (ja) 医用画像システム
KR20150111002A (ko) 의료기기 모니터링 장치
US20150254282A1 (en)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KR20190138106A (ko) 의료 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
WO2021172495A1 (ja) 医用情報処理装置、医用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Massat RSNA 2016 in review: AI, machine learning and technology
KR101217113B1 (ko) 무선 접속 포인트를 이용한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 및방법
JP2010122780A (ja) 小規模診断システム
JP6959752B2 (ja) 眼科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