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172A -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 - Google Patents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172A
KR20210043172A KR1020190126017A KR20190126017A KR20210043172A KR 20210043172 A KR20210043172 A KR 20210043172A KR 1020190126017 A KR1020190126017 A KR 1020190126017A KR 20190126017 A KR20190126017 A KR 20190126017A KR 20210043172 A KR20210043172 A KR 20210043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housing
window
mount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6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3172A/ko
Priority to PCT/KR2020/013789 priority patent/WO2021071310A1/ko
Publication of KR20210043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172A/ko
Priority to US17/716,110 priority patent/US1176993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01Q1/1221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on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01Q1/1228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on a boo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2Arrangements for de-icing; Arrangements for drying-out ; Arrangements for cool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01Q1/428Collapsible radomes; rotatable, tiltable rado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물 외벽 또는 윈도우에 고정 가능한 마운트 부재와 결합된 상태로,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재에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하우징으로서,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반대 방향을 향하고 상기 마운트 부재에 결합 가능한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 3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 3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 3 하우징에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안테나와 정렬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ELECTRONIC DEVICE PROVIDING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AND MOUNTING DEVIC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마운트 부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은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3G와 LTE에서 사용하던 고주파 대역에 추가하여,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구현도 고려되고 있다.
5G의 통신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SA(stand alone) 방식 및 NSA(non-stand alone)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이 중, NSA 방식은, NR(new radio) 시스템을 기존의 LTE 시스템과 함께 이용하는 EN-DC(LTE NR - Dual Connectivity)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NSA 방식에서, 사용자 단말은, LTE 시스템의 eNB뿐만 아니라, NR 시스템의 gNB 를 이용할 수 있다.
5G 통신 시스템은, 3.6GHz, 6GHz, 24 내지 86GHz 등 대략 3Ghz 내지 100Ghz 내외의 주파수를 지원할 수 있으며, 해당 주파수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밀리미터 웨이브(mm Wave)라 명명할 수 있다.
밀리미터 웨이브는, 기존의 4G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웨이브에 비하여 고주파수를 지원하므로, 회절 정도가 더 낮으며 더 강한 직진성을 가진다. 강한 직진성에 의하여, 5G 통신을 지원하는 두 전자 장치들 사이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경우, 통신 환경이 악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5G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셀(Cell)(또는 커버리지)은 기존의 통신을 지원하는 셀에 비하여 소규모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장애물이 위치하지 않도록 중계 장치들이 배치될 것이 요구된다. 아울러, 중계 장치들 각각의 안테나들 간 높은 정렬도가 요구될 수 있다.
사용자가 거주하는 주택 내 5G 통신을 원활하게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자 스스로 5G 통신을 위한 중계 장치를 구비할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다. 간단한 설치 방법에 의해 사용자 스스로 5G 통신을 위한 중계 기기를 옥외 또는 옥내에 쉽게 설치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중계기기가 옥외 또는 옥내에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안정적인 설치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5G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로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며, 마운트 부재에 대하여 체결 가능한 체결부 및/또는 안테나의 배향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부재는, 전자 장치를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 시키기 위한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물 외벽 또는 윈도우에 고정 가능한 마운트 부재와 결합된 상태로,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재에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하우징으로서,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반대 방향을 향하고 상기 마운트 부재에 결합 가능한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 3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 3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 3 하우징에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안테나와 정렬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물 외벽 또는 윈도우에 고정 가능한 마운트 부재와 결합된 상태로,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재에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하우징으로서,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반대 방향을 향하고 상기 마운트 부재에 결합 가능한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 3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 3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 3 하우징에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안테나 모듈; 및 일측이 상기 전자 장치의 제 2 하우징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마운트 부재의 홀더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안테나와 정렬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윈도우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트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축결합되어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와 탈착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벽 또는 윈도우에 고정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로부터 연장된 제 1 아암부; 및 상기 제 1 아암부와 직교하고, 상기 윈도우에 포함된 두 개의 수직 틀에 각각 맞닿아 고정되는 제 2 아암부를 포함하는 마운트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5G 통신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옥외 또는 옥내에 전자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는 마운트 부재를 이용하여 옥외 또는 옥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 감도가 낮을 경우 이를 확인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안테나 배향 방향을 설정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전파를 수신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커넥터부를 이용함으로써 홀더부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의 마운트 부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다른 CPE 사이의 빔-포밍된 RF 웨이브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전자 부품들의 모습을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하우징 표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안테나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고정 장치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고정 장치와 체결되어 건물 외벽의 선반에 놓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c는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가 체결되는 모습을 도 7b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가 체결되어 건물 외벽의 선반에 놓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부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부재의 일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부재의 일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d는, 커넥터부 내에 배치된 회동부를 나타내기 위한 마운트 부재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가 상호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가 체결되어 건물(10a) 외벽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가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a는 마운트 부재의 홀더부 및 아암부가 지지부를 기준으로 회전 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b는 외벽 고정을 위한 브라켓과 연결된 마운트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월 마운트 타입의 마운트 부재에 있어서, 홀더부에 커넥터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마운트 타입 마운트 부재와 전자 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마운트 타입 마운트 부재가 윈도우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가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윈도우 마운트 타입 마운트 부재의 제 1 아암부 및 제 2 아암부 중 적어도 하나가 연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a는, 윈도우 마운트 타입 마운트 부재의 구성요소들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b는, 제 1 아암부에 받침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c는, 제 2 아암부의 일단이 연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d는, 제 2 아암부의 타단이 연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a는 윈도우 마운트 타입 마운트 부재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b는 윈도우 마운트 타입 마운트 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건물(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건물(10)의 창문을 구성하는 요소(예: 창틀, 창문턱) 중 적어도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부재(107)의 적어도 일부분이 건물(10)의 요소에 고정(또는, 부착)될 수 있으며, 마운트 부재(107) 상에 전자 장치(101)가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일 수 있다. CPE는, 건물(10)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102,104)로부터의 데이터를 또 다른 외부 전자 장치인 다른 CPE(108)(또는, 기지국)로 중계할 수 있다. 아울러 다른 CPE(108)(또는, 기지국)로부터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102,104)로 중계할 수 있다. 다른 CPE(108)는, 예를 들어 높은 구조물(109)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배치 위치나 구조물(109)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다른 CPE(108)는, 또 다른 CPE 또는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CPE는, 중계 장치, 라우터로 명명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는,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밀리미터 웨이브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강한 직진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가 건물(10) 내부에 위치한 경우에는 다른 CPE(108)(또는, 기지국)와의 원활한 통신이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10)의 벽에 의하여 전자 장치(101)로부터의 밀리미터 웨이브가 차단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가 건물(10)의 외부에 위치한 경우에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의 원활한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건물(10)의 외부에 위치하면서 건물(1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102,104)의 데이터를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CPE(108))에 중계할 수 있으므로, 아웃-도어(out-door) CPE로 명명될 수도 있다. 또는, 전자 장치(101)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CPE(108))와의 관계에서는 건물(10)과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다른 외부 전자 장치(예: CPE(108))과의 관계에서는 인-도어(in-door) CPE로 명명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건물 내부 또는 외부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CPE(108)의 경우 직진성이 강하고, 커버리지가 넓지 않으므로 통신의 원활한 송신 및/또는 수신을 위해 건물 내부 또는 외부에 복수 개의 CPE를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일부가 건물(10)의 외부에 위치하거나, 또는 외부로 통하는 개구(예: 창문)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는 건물(10)의 내부나 외부에서 개구(예: 창문)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와 다른 CPE(108)(또는, 기지국) 사이에 장애물이 위치할 가능성이 감소하여, 밀리미터 웨이브의 통신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후술할 것으로, 전자 장치(101)는 마운트 부재(107)에 대하여 회동 가능할 수 있으며, 회동에 의하여 전자 장치(101)의 안테나가 다른 CPE(108)의 안테나와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1)는, 안테나의 배향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정부의 조정에 따라 전자 장치(101)의 안테나가 다른 CPE(108)의 안테나와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또는, 설치자)는, 전화를 통하여 또는 다른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를 통하여 다른 CPE(108)의 위치 및/또는 다른 CPE(108)에 의하여 형성되는 빔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확인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또는, 마운트 부재(107))의 고정 위치, 전자 장치(101)의 배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화 통화를 통하여, 건물(10) 근처에 위치한 CPE(예: 다른 CPE(108))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는, CPE 검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는, 현재 다른 전자 장치의 위치에 기반하여 다른 전자 장치 주변에 위치한 CPE(예: 다른 CPE(108))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에는, 예를 들어 주변의 CPE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거나, 및/또는 CPE로부터 발생되는 밀리미터 웨이브(예: 빔-포밍된 웨이브)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해당 정보를 확인하여, 전자 장치(101)의 고정 위치 및 초기 배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추후, 사용자는, 초기 배치 방향으로부터 미세 조정(예: 회동 및/또는 안테나 배치 방향 조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출력 장치(예: LED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다른 CPE(108)(또는, 기지국)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통신 신호의 특성(예: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또는 SNR(signal to noise ratio)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통신 환경의 양호도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통신 환경의 양호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통신 환경의 양호도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면, LED 인디케이터가 제 1 컬러(예: green or blue)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통신 환경의 양호도가 불량한 것으로 확인되면, LED 인디케이터가 제 2 컬러(예: red)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컬러의 빛이 출력될 때까지 전자 장치(101)를 회동시키거나, 안테나의 조향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31),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132), RFFE(radio frequency front end)(133), 안테나 모듈(134),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41), RFIC(142), RFFE(143), 안테나 모듈(144), 또는 출력 장치(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미도시)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31)는 지정된 대역(예: 약 6GHz ~ 약 60GHz)에 대응하는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5G 네크워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RFIC(132)는, 송신 시에,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31)에 의해 생성된 기저대역 신호를 5G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대역의 RF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는, 5G RF 신호가 안테나 모듈(134)을 통하여 획득되고, RFFE(133)를 통해 전처리될 수 있다. RFIC(132)는 전처리된 5G RF 신호를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31)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RFFE(133)는, RF 신호에 대한 증폭 및/또는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안테나 튜닝 및 파워 트랙킹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안테나 모듈(134)은, 복수 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안테나 어레이로 명명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안테나 엘레멘트에 의하여 빔포밍된 RF 웨이브가 형성될 수 있다. RFIC(132) 및/또는 RFFE(133)에는 복수개의 안테나 엘레멘트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phase shifter)들이 포함될 수 있다. 송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5G 네트워크의 베이스 스테이션)로 송신될 5G RF 신호의 위상을 변환할 수 있다. 수신 시에, 복수개의 위상 변환기들 각각은 대응하는 안테나 엘레멘트를 통해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5G RF 신호의 위상을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것은 전자 장치(101)와 상기 외부 간의 빔포밍을 통한 송신 또는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41), RFIC(142), RFFE(143), 및 안테나 모듈(144)은 WI-FI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101)는, 레거시 네트워크(예: 4G 네트워크)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RFIC, RFFE, 안테나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5G 통신 이외에도 4G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4G 통신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RFIC, RFFE, 안테나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및/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31))는, 다른 CPE(108)(또는, 기지국)로부터의 통신 신호(예: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또는 SNR(signal to noise ratio)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확인된 특성에 기반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출력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확인된 RSSI가 지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통신 환경이 양호하다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출력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확인된 RSSI가 지정된 값 이하인 경우, 통신 환경의 양호도가 불량하다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출력 장치(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장치(150)가 LED 인디케이터인 경우, 전자 장치(101)는 각 통신 환경에 대응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이한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출력 장치(1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출력 장치(150)가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101)는 통신 환경을 나타내는 숫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바(bar)를 표시하도록 출력 장치(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출력 장치(15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전자 장치(101)의 배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력 장치(150)로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1)는 각 통신 환경에 대응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이한 크기나 상이한 패턴의 소리를 출력하도록 출력 장치(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마운트 부재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체결부, 및/또는 안테나 모듈(134)에 포함된 안테나의 배향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부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또 다른 외부의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는, 통신 환경의 양호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도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예: 스마트 폰)는, 수신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사용자는 현재 배치된 방향에 대응하는 통신 환경의 양호도를 확인하고, 추가적으로 배치 방향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다른 CPE 사이의 빔-포밍된 RF 웨이브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의 안테나 모듈(134)은 제 1 방향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CPE(108)의 안테나 모듈(106)은 빔-포밍된 RF 웨이브(30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및/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31))는, 다른 CPE(108)로부터의 통신 신호, 예를 들어 빔-포밍된 RF 웨이브(301)의 수신 세기(RSSI)가 A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세기(RRSI)가 임계치 이하임이 확인되면,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통신 환경의 양호도가 불량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 장치(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전자 장치(101)의 배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를 마운트 부재에 대하여 회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의 안테나 모듈(134)이 제 1 방향(예: 후술하는 도 4a의 X축과 평행한 방향)과 다른 제 2 방향(예: 후술하는 도 4a의 Y축과 평행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 및/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31))는, 다른 CPE(108)로부터의 통신 신호, 예를 들어 빔-포밍된 RF 웨이브(301)의 수신 세기(RSSI)가 B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세기(RRSI)가 임계치 초과임이 확인되면,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통신 환경의 양호도가 양호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 장치(15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의 회동을 중단하고, 전자 장치(101)의 배치 방향을 고정하도록 전자 장치(101)를 조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서, 전자 장치(101)는 안테나 모듈(134)의 조향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조정부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안테나 모듈(134)의 조작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회동에 따라서 안테나 모듈(134)이 향하는 방향이 구 좌표계에서의 φ방향(후술하는 도 4a의 φ)으로의 방향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조정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안테나 모듈(134)이 향하는 방향이 구 좌표계에서의 φ방향으로의 방향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안테나 모듈(134)에서 측정되는 통신 신호의 특성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회동이 요구되는지 또는 조정부의 조작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1)는, 회동이 요구되는지 또는 조정부의 조작이 요구되는지 여부를 출력하도록 출력 장치(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장치(150)는 두 개의 LED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LED 인디케이터는 회동이 요구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조작부의 조작이 요구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외부와 노출되도록 형성된 안테나 모듈(13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제 1 방향을 향하는 상부 하우징(110a)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는 하부 하우징(110b) 및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c)에 각각 연결되며 상부 하우징(110a)과 하부 하우징(110c)의 사이에 다양한 전자 부품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부 하우징(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10a), 하부 하우징(110c) 및 측부 하우징(110b)은 편평한 표면과 굴곡진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형상은 어떤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a 및 도 4b에는 가장자리가 굴곡지고 길이가 긴 형태의 원기둥 형상의 하우징(110)이 도시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110)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34)은 측부 하우징(110b)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외부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한 조정부에 의해 배향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전자 부품들의 모습을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다.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110) 내부에는 다양한 전자 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부품들로서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110) 내부에 프로세서(120),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31),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132), RFFE(radio frequency front end)(133), 안테나 모듈(134),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141), RFIC(142), RFFE(143), 안테나 모듈(144), 또는 출력 장치(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부품들에 대한 예시로 안테나 모듈(134)(또는 제 1 안테나 모듈) 및 다른 안테나 모듈(144)(또는 제 2 안테나 모듈)이 하우징(110) 내부에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모듈(134)은 측부 하우징(110b)을 통해 외부를 향해 적어도 일부분이 노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다른 안테나 모듈(144)은 상부 하우징(110a)에 인접한 위치에서 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모듈(134)은 기판(134b) 상에 실장된 복수 개의 안테나 패치(134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의 물리적 충격 또는 비, 눈 기타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전자 부품의 파손이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34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모듈(134)은 상기 기판(134b)을 지지하는 베이스(134d)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베이스(134d)가 지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예: 도 4a의 φ)가 조절됨으로써 안테나 모듈(134)의 배치 방향이 가변되는 구성(조정부)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조정부는 안테나 모듈(134)의 배치 방향을 가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베이스(134d)를 포함한 전자 장치(101) 및/또는 안테나 모듈(134)의 적어도 일부 구성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모듈(134)은 직진성이 강한 5G 통신을 지원하는 안테나 모듈로서, 측면 하우징(110b)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모듈(144)은 기판(144b) 상에 실장된 복수 개의 안테나 패치(144a)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44)은 안테나 모듈(134)과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안테나 모듈(134)에 포함된 안테나 패치(134)들이 지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패치(144a)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발열원들(다양한 전자부품들)에서 발생된 열을 방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복수의 기공들(162)이 형성된 내부 구조물(16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110) 표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안테나 모듈(134)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안테나 모듈(134)은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110), 예를 들면, 측부 하우징(110b)에 대하여 R1 방향(또는 구 좌표계에서의 φ방향)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모듈(134)이 측부 하우징(110b)에 대하여 편평하게 기울어진 상태에서 안테나 모듈(134)은 R1 방향(또는 구 좌표계에서의 φ방향)으로 +10도 또는 -10도 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 모듈(134) 내 안테나 패치들(예: 도 5의 안테나 패치들(134a))이 지향하는 방향을 조절하여 다른 CPE(108)로부터의 통신 신호, 예를 들어 빔-포밍된 RF 웨이브(301)의 수신 세기(RSSI)를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 내에는 다양한 전자 부품들로서, 안테나 모듈들(134, 144)을 구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발열이 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안테나 모듈(134)의 베이스(134d)에는 복수의 기공들(134e)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34d)에 형성된 기공들(134e)은 도 5에 도시된 전자 장치 내의 내부 구조물(161) 상에 형성된 복수의 기공들(16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의 하부 하우징(101c)에 형성된 개구(O) 및 전자 장치(101) 내 여러 기공들(162)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들이 안테나 모듈(134) 주변을 순환할 뿐 아니라, 안테나 모듈(134)의 베이스(134d)에 형성된 복수의 기공들(134e)을 통해서도 순환하게 됨으로써, 전자 장치에 대하여 높은 방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기공들(134e, 162)을 통해 전자 장치(101) 내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전자 장치(101) 내부 전자 부품들의 수명을 늘리고, 발열로 인한 전자 장치(101)의 작동적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 및 마운트 부재(107)가 상호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 및 마운트 부재(107)가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c는 전자 장치(101) 및 마운트 부재(107)가 체결되는 모습을 도 7b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마운트 부재(107)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CPE(108))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마운트 부재(107)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마운트 부재(107)는 전자 장치의 하부 하우징(110c)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커넥터부(107a) 및 커넥터부(107a)와 탈착하게 결합되고 건물의 외벽 또는 윈도우에 고정되는 홀더부(107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하부 하우징(110c)이 마운트 부재(107)의 커넥터부(107a)와상대적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하부 하우징(110c)을 마운트 부재(107)의 커넥터부(107a)에 대향하고, 커넥터부(107a)를 하부 하우징(110c)에 끼어놓은 상태에서 일 방향(R2)으로 회전시키면 전자 장치(101)의 하부 하우징(110c)이 마운트 부재(107)의 커넥터부(107a)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의 하부 하우징(110c)에는 관통공(O)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O)에 마운트 부재(107)의 커넥터부(107a)가 삽입됨으로써, 전자 장치(101)가 하부 하우징(110c)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넥터부(107a)는 플레이트(107a-3), 플레이트(107a-3)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연에 상기 하부 하우징(110c)과 결합되는 체결부(107a-2)가 형성된 돌출부(107a-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07a)는 상기 플레이트(107a-3)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부(107b)에 안착되는 케이스 및 전자 장치를 제 1 회전축에 대하여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107a-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107a-4)는 그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내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품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에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하 후술하는 도 9b 내지 도 9d의 구성과 같이,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플레이트(107a-3)는 하부 하우징(110c)의 적어도 일 단부가 맞닿는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107a-1)는 상기 플레이트(107a-3)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고, 전자 장치(101)와 커넥터부(107a)가 결합될 때는 관통공(O)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에서 볼 때는 가려지는 부분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1)와 커넥터부(107a)의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전자 장치(101) 하부 하우징(110c)의 내주연(110c-1)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110c-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커넥터부(107a) 돌출부(107a-1)의 외주연에도 체결부(107a-2)가 구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하부 하우징(110c)에는 전자 장치(101)의 내부와 연통하는 관통공(O)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O)을 통해 전자 장치(101)의 내부 방열을 위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공(O)을 통해 전자 장치(101)를 외부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케이블(160)을 연결할 수도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의 관통공(O) 및 커넥터부(107a)의 관통공(O')을 통과하여 삽입된 케이블(160)은 전자 장치(101)의 배면에 형성된 케이블 단자(110c-3)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 및 회동부를 포함한 커넥터부(107a)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 및 마운트 부재(107)가 체결되어 건물(10a) 외벽의 선반(13)에 놓인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5G 통신은 4G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의 전파에 비해 회절 정도가 더 낮으며 더 강한 직진성을 가진다. 5G 통신의 강한 직진성에 의하여, 5G 통신을 지원하는 두 전자 장치들 사이에 장애물이 위치할 경우, 통신 환경이 악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5G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자 장치(101)는 건물의 외부 또는 건물의 내부에서 장애물이 적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의 하부 하우징(110c)은 마운트 부재(107)의 상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마운트 부재(107)는 건물(10)의 외벽(10a)이나 윈도우(11)를 구성하는 창틀(12) 또는 선반(13)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의 전자 장치(예: 다른 CPE))와 통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전자 장치(101)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창틀(12) 및 선반(13)은 건물(10) 외부 또는 내부에 형성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파가 차단되지 않고 윈도우(11)를 통과할 수 있는 환경이면 전자 장치(101)는 옥외 또는 옥내에도 배치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상 편의를 위해 옥외에 배치된 전자 장치(101)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건물 외벽 또는 윈도우에 고정 가능한 마운트 부재(107)와 결합된 상태로,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마운트 부재(107)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탠드 타입 마운트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 타입 마운트 부재(300)는 윈도우(11)에서 연장된 선반(13)에 놓여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탠드 타입 마운트 부재(300)의 하부면에 접착제가 구비되고 이를 이용해 선반(13) 상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스탠드 타입 마운트 부재(300)에 전자 장치(101)가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전자 장치(101)를 일 방향(R3)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마운트 부재(300)의 홀더부(107b)는 자세가 고정된 상태에서, 커넥터부(107a)는 전자 장치(10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부(107a)와 전자 장치(101)가 회전하는 중심 축을 '제 1 회전축'이라 명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커넥터부(107a)와 고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홀더부(107b)에 대하여,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R3 방향을 따라 주위를 향해(예: 360도 전 방향)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부재(3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부재(300)의 일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부재(300)의 일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d는, 커넥터부 내에 배치된 회동부를 나타내기 위한 마운트 부재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부재(300)(예: 도 7a의 마운트 부재(107))는 상기 전자 장치(10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커넥터부(310) 및 커넥터부(310)와 탈착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벽 또는 윈도우에 고정되는 홀더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10)와 홀더부(320)는 도 7c에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107a) 및 홀더부(107b)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범위 내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커넥터부(310)는 플레이트(313) 및 돌출부(311), 상기 돌출부(311)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체결부(312)을 포함하고, 케이스(315)(또는 제 1 케이스) 및 회동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314)는 전자 장치(101)가 커넥터부(310)와 결합하여 고정된 이후에, 사용자가 전자 장치(101)를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하여 정렬하는 과정에서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안테나 모듈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일 수 있다. 회동부(314)는 케이스(315) 내부에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회동부는 소정의 나사산이 형성된 형태와, 케이스(315)를 아우르는 전체 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부(320)는 홀더부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321)(또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21)는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선반(13)위에 놓여지고, 전자 장치(101) 및 커넥터부(107a)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케이스(321)는 홀더부(320)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외측에는 매끈한 표면을 가지고 내측에는 커넥터부(31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돌기들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315)(또는 제 1 케이스)의 외주연에는 소정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에 홀더부(320)의 내주연에 형성된 체결 돌기(322)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315)의 일부분에는 개구(316)가 구비되고, 개구(316)에는 핀(314)이 개구(316) 상에 걸쳐지게 삽입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를 함께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운트 부재(300)는 홀더부(320)의 버튼(323) 누름시 개구(316)에 삽입된 핀(324)이 가압되어 전진함으로써 핀(324)과 회동부(314) 내의 나사산의 체결이 해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핀(324)은 마운트 부재(300)의 중심 부분을 향해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버튼(323) 누름에 의해 핀(324)이 마운트 부재(300)의 중심을 향해 전진함으로써,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전자 장치(101)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핀(324)은 사용자의 버튼(323) 누름 해제시 핀(324)이 마운트 부재(300)의 중심과 반대 방향을 향해 후진하여 그 위치가 원복됨으로써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전자 장치(101)의 회동을 허여하지 않도록 동작될 수 있다.
도 9d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커넥터부(10)에 포함된 회동부(314) 내부의 구성이 도시되는데, 회동부(314)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이 회동부(314) 중심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나사산이 핀(324)과 결합 또는 해제 되는 동작을 통해 전자 장치(101)의 각도 조절을 허용하거나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회동부(314)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형상에 대해서 반드시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7c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부는, 도 9d에 도시된 회동부(314)의 구성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내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전자 장치(101)의 회전 동작 중에, 사용자로 하여금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CPE(108))를 향하는 방향이 조절되고 있음을 알게하거나, 얼마만큼 회전하였는지 등 각도 조절 상태를 보다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마운트 부재(300) 내부(예: 회동부(314))에 디텐트 부재(detent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전자 장치(101)의 회전 동작 중에, 디텐트 부재의 래치(ratchet)와 멈춤쇠의 마찰음(예: '똑딱 소리(tic toc)')에 의해 사용자는 현재 전자 장치(101)가 회전하고 있는지 여부 또는 얼마만큼 회전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텐트 부재(detent member)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314)에 구비된 나사산 및 핀(324)을 이용하여 구현되거나, 이에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나사산 및 핀(324) 구조와 다른 래칫기구(ratchet mechanism)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부재(107)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 및 마운트 부재(400)가 상호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 및 마운트 부재(400)가 체결되어 건물(10a) 외벽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 및 마운트 부재(400)가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마운트 부재(107)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월 마운트 타입(wall mount type) 마운트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월 마운트 타입 마운트 부재(400)는 건물의 외벽(10a)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외벽(10a)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440)을 이용하여, 마운트 부재(300)를 외벽 상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부재(400)는 외벽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440) 및 지지부(432)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420) 및 상기 지지부(432)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아암부(4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암부(431)와 지지부(432)를 통틀어 지지아암(430)이라 명명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브라켓(440)이 외벽에 고정 설치된다고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브라켓(440)이 윈도우의 수직 틀(12a, 12b) 부분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다른 다양한 형태의 적용이 가능함을 유의해야 한다.
지지아암(430)은 홀더부(420)의 일측에서 지지부(432)로 연장된 아암부(431)를 통해 전자 장치(101)가 외벽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432)는 아암부(431)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 외벽과 나란하게 대면하는 편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440)과 지지부(432)를 결합시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32)의 편평한 표면과 브라켓(440)이 맞닿아 결합될 수 있다.
도 13a는 마운트 부재(400)의 홀더부(420) 및 아암부(430)가 지지부(435)를 중심으로 회전 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b는 외벽 고정을 위한 브라켓(440)과 연결된 마운트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월 마운트 타입의 마운트 부재에 있어서, 홀더부에 커넥터부(410)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아암부(431)에는 아암부(431)의 상면에서부터 하면까지 관통 형성된 홈(433)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433)에는 적어도 하나의 행거부(434)가 구비될 수 있다. 행거부(434)는 아암부(431)의 하면측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중력 방향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행거부(434)의 하단에는 케이블을 걸어 연결하기 위한 고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브라켓(440)은 단독으로 또는 지지부(432)와 결합된 상태에서 건물의 외벽에 고정되는 구성이며, 심플하게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조임 및/또는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브라켓(440)을 외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브라켓(440)을 윈도우와 가까운 건물의 외벽에 고정시키고, 아암부(431)를 회전시켜 전자 장치(101)를 윈도우 쪽으로 회전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마운트 부재(400)의 홀더부(420)에 커넥터부(410)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월 마운트 타입(wall mount type)의 마운트 부재(400)에 있어서, 전자 장치(101)와 결합을 위한 커넥터부(410)는 도 7a 내지 도 9d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310)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를 건물 외벽 또는 윈도우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트 부재(400)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마운트 홀더부(420)가 제공될 수 있는데, 홀더부에 결합되는 커넥터부(410)는 범용 커넥터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스탠드 타입 홀더부(320)와 커넥터부(310)를 개시하는데,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월 마운트 타입 홀더부(420)와 커넥터부(410)를 개시하고, 여기서 두 가지 서로 다른 실시예의 커넥터부(310, 41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101)를 설치함에 있어서, 거주하고 있는 건물의 설치 환경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타입의 홀더부를 가진 마운트 부재를 상호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커넥터부는 교체시에도 일종의 전자장치와 하나의 모듈처럼 그대로 사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20b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운트 부재(107)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마운트 타입 마운트 부재(500)와 전자 장치(101)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마운트 타입 마운트 부재(500)가 윈도우(12)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 및 마운트 부재(500)가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윈도우 마운트 타입 마운트 부재(500)의 제 1 아암부(531) 및 제 2 아암부(532) 중 적어도 하나가 연장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마운트 부재(107)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 마운트 타입(window mount type) 마운트 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마운트 타입 마운트 부재(500)는 윈도우에 장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스탠딩 타입의 경우 강한 바람 등에 전자 장치(101)가 쓰러져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선반(13) 길이가 짧은 경우 쉽게 설치할 수 없다. 월 마운트 타입의 경우 벽체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드릴이나 스크류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야 하고 또한 벽체에 자국이 남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윈도우 마운트 타입의 마운트 부재(500)의 경우 선반(13) 길이가 짧아도 사용가능하며, 벽체에 자국이 남지 않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마운트 부재(500)는 홀더부(520)로부터 연장된 제 1 아암부(531); 및 제 1 아암부(531)와 직교하고, 윈도우(11)에 포함된 두 개의 수직 틀(12a, 12b)에 각각 맞닿아 고정되는 제 2 아암부(532, 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아암부(531)는 홀더부(520)로부터 연장되어 제 2 아암부(532, 533)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일 수 있다. 제 1 아암부(531)는 제 2 아암부(532, 533)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윈도우(11) 및 선반(13)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건물로부터 지지되는 부분은 제 2 아암부(532, 533)이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아암부(532, 533)는 제 1 아암부(531)와 결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제 2-1 아암부(532)와 제 2-2 아암부(53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 2-1 아암부(532) 및 제 2-2 아암부(533)는 각각 제 1 아암부(531)와 결합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2-1 아암부(532)의 단부는 제 1 밀착부(535) 제 2-2 아암부(533)의 단부는 제 2 밀착부(536)가 결합될 수 있따. 상기 제 1 밀착부(535) 및 제 2 밀착부(536)는, 예를 들어, 윈도우(11)의 창틀(12)에 흡착되기 위한 흡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아암부(531) 및 제 2 아암부(532, 533)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제 1 아암부(531) 및 제 2 아암부(532, 53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531', 532', 5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마운트 부재는 제 1 아암부(531)에서 연장되는 연장부(5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아암부(532, 533) 중 제 2-2 아암부(533)에서 연장되는 연장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531', 533')는 각 아암부(531, 533')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면서 아암부 전체 길이를 늘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11) 틀(12)의 다양한 사이즈에 맞춰 전자 장치(101)를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마운트 부재(5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9a 내지 도 19d를 이용하여 마운트 부재(500)를 윈도우(11)의 틀(12)에 설치하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19a는, 윈도우 마운트 타입 마운트 부재(500)의 구성요소들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b는, 제 1 아암부(531)에 받침부(534)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c는, 제 2 아암부(532, 533)의 일단(532)이 연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d는, 제 2 아암부(532, 533)의 타단(533)이 연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운트 부재(500)는 커넥터부(510); 커넥터부(510)가 안착되는 홀더부(520), 홀더부(520)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아암부(531), 제 1 아암부(531)와 직교하며, 일 측과 타 측으로 각각 연장 가능한 연장부를 가지는 제 2 아암부(532, 5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홀더부(520)는 건물 외벽이나 윈도우, 선반 등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커넥터부(510)를 지지할 수 있다.
또,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마운트 부재(500)는 받침부(5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534)는 제 1 아암부(531)의 상면(531a)과 하면(531b)을 관통하여 형성된 홈(531c)에 결합되고, 제 1 아암부(531)의 하부를 선반(13)측에 지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받침부(534)를 포함하여 윈도우 마운트 타입 마운트 부재(500)의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부(534)는 제 1 아암부(531)에 끼워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받침부(534)는 제 1 아암부(531)가 기울어지는 것을 막아줄 수도 있고, 윈도우 타입 마운트 부재(534)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마운트 부재(500)의 조립방법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홀더부(520)와 연결된 제 1 아암부(531)를 윈도우(11) 선반(13)의 대략적인 위치에 위치시킨 뒤, 제 1 밀착부(535)(또는 석션부) 및 제 2 밀착부(536) 중 적어도 하나를 틀(12)에 밀착시키고, 제 2 아암부(532, 533) 중 어느 일단으로부터 연장부(532', 533')를 인출하여 틀(12)에 밀착된 밀착부(535 및/또는 536)에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2 아암부(532, 533) 중 타단으로부터 다른 연장부를 인출하여 틀(12)에 밀착된 밀착부에 삽입시킴으로써, 윈도우(11)에 마운트 부재(500)를 장착시킬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d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제 2-1 아암부(532)의 길이가 제 2-2 아암부(533)의 길이보다 길고, 제 2-1 아암부(532) 및 제 1 밀착부(535)를 이용한 밀착 동작이 제 2-2 아암부(533) 및 제 2 밀착부(536)를 이용한 밀착 동작에 앞서 수행됨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순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2-1 아암부(532) 및 제 2-2 아암부(533)의 일 측에는 각각 연장부(532', 533')를 인출하기 위한 조정홈(537, 538)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조정홈(537, 538)에, 예를 들면 육각 렌치와 같은 소형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연장부(532', 533')를 인출하거나 다시 인입시켜 고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윈도우 마운트 타입 마운트 부재(500)를 이용하면,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외벽을 뚫어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전자 장치(101)를 윈도우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외부의 전자 장치(예: CPE(108))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101)의 위치를 조정함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0a는 윈도우 마운트 타입 마운트 부재(500)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b는 윈도우 마운트 타입 마운트 부재(500)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아암부(532, 53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연장부(532'533')를 포함하고, 또한, 제 2 아암부(532, 533)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탄성체(53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아암부(532, 533) 중 제 2-2 아암부(533)와 연장부(533')가 이루는 내측 공간상에 탄성체(539)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539)의 탄성 반발력을 이용하여 제 2 아암부(532, 533)가 상기 윈도우(12)에 포함된 수직 틀에 고정 결합될 때, 수직 틀 사이에서 끼워 맞춰져 보다 견고한 고정 구조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 2-1 아암부(532)에 대하여 육각 렌치를 이용하여 조정부(537)의 조임 나사를 풂으로써 연장부(532')를 인출하고 이를 제 1 밀착부(535)에 삽입시킨 뒤, 제 2-2 아암부(533)에 대하여 육각 렌치를 이용하여 조정부(538)의 조임 나사를 풀면 상기 탄성체(539)에 의한 탄성 반발력에 의해 연장부(533')가 제 2 밀착부(536)에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윈도우(11)의 틀(12) 사이에서 보다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5G 통신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와 마운트 부재(300, 400, 500)를 이용하여, 옥외 또는 옥내에 전자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는 마운트 부재를 이용하여 옥외 또는 옥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커넥터부를 이용함으로써 홀더부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의 마운트 부재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외벽 또는 윈도우에 고정 가능한 마운트 부재와 결합된 상태로,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재에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하우징으로서,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반대 방향을 향하고 상기 마운트 부재에 결합 가능한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 3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 3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 3 하우징에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안테나와 정렬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모듈은 3GHz 내지 100GHz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모듈과 다른 주파수 영역을 지원하기 위한 제 2 안테나 모듈로서, 상기 안테나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에서 수신된 신호를 제 3 전자 장치에 중계하기 위한 제 2 안테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안테나 모듈은 WI-FI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이격된 거리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세기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환경의 양호도를 판별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안테나와 정렬에 따른 통신 환경의 양호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간 상에 안테나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기 위한 복수의 기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 부재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 2 하우징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와 탈착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벽 또는 윈도우에 고정되는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연에 상기 제 2 하우징과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부에 안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을 포함하는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 부재는 상기 윈도우에서 연장된 선반에 놓여진 상태에서 고정되는 스탠드 타입(stand type)의 마운트 부재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 부재는 외벽에 고정 설치되는 월 마운트 타입(wall mount type)의 마운트 부재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 부재는 외벽 또는 윈도우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및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아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 부재는 윈도우에 설치되는 윈도우 마운트 타입(window mount type)의 마운트 부재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운트 부재는 상기 홀더부로부터 연장된 제 1 아암부; 및 상기 제 1 아암부와 직교하고, 상기 윈도우에 포함된 두 개의 수직 틀에 각각 맞닿아 고정되는 제 2 아암부를 포함하는 마운트 부재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아암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연장부; 및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의 탄성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윈도우에 포함된 수직 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외벽 또는 윈도우에 고정 가능한 마운트 부재와 결합된 상태로,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재에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하우징으로서,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반대 방향을 향하고 상기 마운트 부재에 결합 가능한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 3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 3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 3 하우징에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안테나 모듈; 및 일측이 상기 전자 장치의 제 2 하우징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마운트 부재의 홀더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안테나와 정렬 가능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부가 결합시, 상기 제 2 하우징 및 커넥터부는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연에 상기 제 2 하우징과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부에 안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을 포함하는 회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윈도우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트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축결합되어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와 탈착하게 결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로부터 연장된 제 1 아암부; 및 상기 제 1 아암부와 직교하고, 상기 윈도우에 포함된 두 개의 수직 틀에 각각 맞닿아 고정되는 제 2 아암부를 포함하는 마운트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아암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연장부; 및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의 탄성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윈도우에 포함된 수직 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 전자 장치
107, 300, 400, 500 : 마운트 부재
108 : 외부 전자 장치
120 : 프로세서
134 : 안테나 모듈(제1 안테나 모듈)
144 : 안테나 모듈(제2 안테나 모듈)
150 : 출력장치
107a , 310, 410, 510 : 커넥터부
107b, 320, 420, 520 : 홀더부
430 : 지지아암
440 : 브라켓
531 : 제 1 아암부
532, 533 : 제 2 아암부

Claims (20)

  1. 건물 외벽 또는 윈도우에 고정 가능한 마운트 부재와 결합된 상태로,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재에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하우징으로서,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반대 방향을 향하고 상기 마운트 부재에 결합 가능한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 3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제 3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 3 하우징에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안테나와 정렬 가능한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듈은 3GHz 내지 100GHz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모듈과 다른 주파수 영역을 지원하기 위한 제 2 안테나 모듈로서, 상기 안테나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에서 수신된 신호를 제 3 전자 장치에 중계하기 위한 제 2 안테나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테나 모듈은 WI-FI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이격된 거리 및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세기와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환경의 양호도를 판별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안테나와 정렬에 따른 통신 환경의 양호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상에 안테나 모듈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기 위한 복수의 기공들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재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 2 하우징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부와 탈착하게 결합되고 상기 외벽 또는 윈도우에 고정되는 홀더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연에 상기 제 2 하우징과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부에 안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을 포함하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재는 상기 윈도우에서 연장된 선반에 놓여진 상태에서 고정되는 스탠드 타입(stand type)의 마운트 부재인 전자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재는 외벽에 고정 설치되는 월 마운트 타입(wall mount type)의 마운트 부재인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재는 외벽 또는 윈도우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및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아암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재는 윈도우에 설치되는 윈도우 마운트 타입(window mount type)의 마운트 부재인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재는 상기 홀더부로부터 연장된 제 1 아암부; 및
    상기 제 1 아암부와 직교하고, 상기 윈도우에 포함된 두 개의 수직 틀에 각각 맞닿아 고정되는 제 2 아암부를 포함하는 마운트 부재인 전자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 2 아암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연장부; 및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의 탄성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윈도우에 포함된 수직 틀에 고정 결합되는 전자 장치.
  16. 건물 외벽 또는 윈도우에 고정 가능한 마운트 부재와 결합된 상태로,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부재에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하우징으로서,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과 반대 방향을 향하고 상기 마운트 부재에 결합 가능한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 3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 3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제 3 하우징에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안테나 모듈; 및
    일측이 상기 전자 장치의 제 2 하우징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마운트 부재의 홀더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모듈은, 상기 제 1 회전축 및 상기 제 2 회전축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안테나와 정렬 가능한 전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부가 결합시, 상기 제 2 하우징 및 커넥터부는 상기 제 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 가능한 전자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외주연에 상기 제 2 하우징과 결합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플레이트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부에 안착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을 포함하는 회동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전자 장치를 윈도우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트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자 장치와 축결합되어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커넥터부;
    상기 커넥터부와 탈착하게 결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로부터 연장된 제 1 아암부; 및
    상기 제 1 아암부와 직교하고, 상기 윈도우에 포함된 두 개의 수직 틀에 각각 맞닿아 고정되는 제 2 아암부를 포함하는 마운트 부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제 2 아암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연장부; 및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의 탄성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윈도우에 포함된 수직 틀에 고정 결합되는 마운트 부재.

KR1020190126017A 2019-10-11 2019-10-11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 KR20210043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017A KR20210043172A (ko) 2019-10-11 2019-10-11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
PCT/KR2020/013789 WO2021071310A1 (ko) 2019-10-11 2020-10-08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
US17/716,110 US11769937B2 (en) 2019-10-11 2022-04-08 Electronic device providing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and mount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017A KR20210043172A (ko) 2019-10-11 2019-10-11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172A true KR20210043172A (ko) 2021-04-21

Family

ID=7543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017A KR20210043172A (ko) 2019-10-11 2019-10-11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69937B2 (ko)
KR (1) KR20210043172A (ko)
WO (1) WO202107131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767B1 (ko) 1999-06-30 2001-11-01 서평원 무선가입자용 안테나 고정장치
US6404405B2 (en) * 2000-07-14 2002-06-11 Mitchell Wanat Releasable mounting for dish satellite antenna
KR20030019736A (ko) * 2001-08-30 2003-03-07 정대용 전방향성 안테나 장치
KR200429199Y1 (ko) * 2006-06-30 2006-10-1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 기지국용 안테나 시설 장치
US8091588B2 (en) 2008-05-30 2012-01-10 Fluid Routing Solutions, Inc. Metallic tubular structure
KR101005623B1 (ko) * 2008-08-27 2011-02-15 주식회사 제타시스 댁내형 무선중계기의 안테나
KR101096240B1 (ko) 2009-02-27 2011-12-22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향성 고이득 안테나 및 무선신호 품질 지시 기능이 구비된 인도어 고객 댁내 장치
KR20110023516A (ko) 2009-08-31 2011-03-08 주식회사 이엠테크 틸팅 고정 지지대
KR101355578B1 (ko) * 2013-08-02 2014-01-24 이광휘 광대역 통신채널의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박스
KR20160033305A (ko) * 2014-09-17 2016-03-28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Ics 중계기의 회전장치
WO2017132501A1 (en) 2016-01-27 2017-08-03 Starry, Inc. High frequency wireless access network
CN107404328B (zh) * 2017-08-03 2023-02-21 宽兆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窗式无线终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69937B2 (en) 2023-09-26
US20220231400A1 (en) 2022-07-21
WO2021071310A1 (ko)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4968B2 (en) Antenna assemblies with tapered loop antenna elements
US8581790B2 (en) Tuned directional antennas
US20160261030A1 (en) Antenna device of base station
US20150372376A1 (en) Low profile high performance integrated antenna for small cell base station
KR19990063664A (ko) 휴대 전화 단말기용 수직 보정 안테나
CN109904626A (zh) 一种天线装置及通信装置
US78562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ally adjustable directional antenna
CN111278173B (zh) 客户前置设备
KR20210043172A (ko) 밀리미터 웨이브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마운트 부재
US10596978B2 (en) Window mounted wireless terminal apparatus
JP2004096572A (ja) 屋内移動通信装置
JP2009124589A (ja) アンテナ
JP6132645B2 (ja) 無線通信装置
US921951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60008348A (ko) 방향성 안테나
WO2006029307A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ally adjustable directional antenna
US11929562B2 (en) Antenna assemblies with tapered loop antenna elements
US10305164B1 (en) Gang junction box antenna enclosure and antenna assembly
KR20220117537A (ko)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3756431B2 (ja) 偏波ダイバーシティアンテナ装置
KR101030386B1 (ko) 소형 이동통신 기지국용 안테나 장치
KR20220108581A (ko) 빔 탐색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CN115550253A (zh) 基于介质透镜天线的路由器
KR20240012301A (ko) 소형 기지국 안테나 장치용 멀티펑션 링크 어셈블리
KR20240044259A (ko) 조절 가능한 통신 장비 조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