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588A - 주거 보안 공간으로 파이프 라인 및 전기 배선 삽입을 위한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주거 보안 공간으로 파이프 라인 및 전기 배선 삽입을 위한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588A
KR20210041588A KR1020217006294A KR20217006294A KR20210041588A KR 20210041588 A KR20210041588 A KR 20210041588A KR 1020217006294 A KR1020217006294 A KR 1020217006294A KR 20217006294 A KR20217006294 A KR 20217006294A KR 20210041588 A KR20210041588 A KR 20210041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ter
pipe
wall
pipeline
sealing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0302B1 (ko
Inventor
에란 카르펠
Original Assignee
에란 카르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란 카르펠 filed Critical 에란 카르펠
Publication of KR20210041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4Sealing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5/00Safety arrangements
    • F42D5/04Rendering explosive charges harmless, e.g. destroying ammunition; Rendering detonation of explosive charges harmless
    • F42D5/045Detonation-wave absorbing 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 동시에 대피소를 가스, 액체, 폭발 과압, 원동력에 대한 저항 및 폭발 반사 압력에 대해 밀봉하고 불투과성으로 유지하는 새로운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송 장치는, 주변에서 대피소로 가스 파이프 라인, 수도 파이프 라인 및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벽을 통과하여 전송하기 위한 대피소의 벽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파이프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 개스킷; 밀봉 개스킷을 파이프의 개구 및 파이프를 둘러싸는 대피소의 벽을 향해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플레이트; 및 대피소 벽의 외측으로부터 안쪽으로 또는 그 반대로 삽입되고, 바람직하게는 파이프의 개구 위에 밀봉 개스킷 및 고정 플레이트를 조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를 포함한다. 파이프 개구 위의 밀봉 개스킷, 조임 플레이트 및 고정 나사에 의해 생성된 압력은 파이프를 통해서만 내용물이 대피소로 들어갈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주거 보안 공간으로 파이프 라인 및 전기 배선 삽입을 위한 전송 장치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가스, 액체 및 폭발 과압(blast over pressure) 유입에 대한 대피소의 불투과성 및 원동력, 파편 침투 및 폭발 반사 압력에 대한 대피소의 안정성 및 저항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대피소(shelter) 및 대피소로의 파이프 라인 및 배선(wiring) 삽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안 공간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민감한 보안 모드를 겪고 있는 국가에서 사용된다. 그것들은 또한 무기 보관에 사용된다. 많은 보안 공간은 가스 유입 및 파편 침투에 대해 밀봉되어야 하며, 또한 원동력 및 폭발 반사 압력에 대해 안정적이고 저항력이 있어야 한다. 표준으로 이스라엘에서, 보안 공간의 벽은 콘크리트 내부에 그물 또는 강철 막대로 구성되어 벽의 강력한 인프라 구조를 형성하는 철근 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로 만들어지며, 보안 공간이 내부에 있는 건물에 대한 공격이 발생하는 경우 대피소로의 원동력, 폭발 반사 압력 및 파편의 침투에 대한 유연성, 강도 및 안정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벽의 밀폐된 구조를 통해 배선을 전송해야 하는 보안 공간으로 에어컨, 전기 시스템, 통신 시스템, 수도 시스템 등 다양한 시스템의 배선을 삽입할 때 철근 콘크리트 벽의 인프라를 유지하고 가스, 액체 및 폭발에 대한 불투과성을 유지하는 것은 항상 어려운 문제이다.
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솔루션이 있다. 한 가지 주요 솔루션은 직경 4 인치의 파이프 또는 다양한 더 큰 원형 및 직사각형 파이프를 삽입할 수 있는 MCT (Multi Cable Transit)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US5505499 (A) [WALLBANK GRAHAM T). MCT 디바이스의 가장 큰 단점 중 하나는 철근 콘크리트 기반 시설의 치수가 벽 내 내부 철망/봉의 표준 치수 (철강/철봉 중심 사이 10cm 크기)를 넘어서 확장되어 철근 콘크리트 기반 시설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MCT 디바이스를 사용하면 디바이스 설치 영역에서 철봉이 강제로 절단된다. 이는 철근 콘크리트 벽을 두 번 약화시키는데, 한번은 배선 전송을 위해 생성된 홀 영역에서; 그리고 2 번째는, 벽 내부의 강철/철 막대/그물 절단으로 인해서이다. 또한 MCT 디바이스 삽입을 위해 벽에 생성된 홀이 평균 파편 크기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파편이 파이프 라인을 통해 보호 공간으로 들어갈 기회와 위험이 있다.
시장에서 사용 가능한 솔루션 중 하나는 모든 배선(wiring) 및 배관(piping)을 빠져 나가는 일반 슬리브(sleeve) 역할을 하는 보드 위에 밀봉된 메인 개구가 있는 강철로 만들어진 보드를 기반으로 한다. 이 하나의 메인 개구의 구조는 충분히 안정적이지 않으며 메인 개구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파이프와 와이어의 위치가 제한적이고 철근 콘크리트를 두 번 약화시켜 상기에서 설명된 것처럼 파편의 진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철근 콘크리트 벽의 인프라가 완성되고 견고하며 밀봉된 상태를 유지하는 주거 보안 공간에 파이프 라인과 배선을 삽입할 수 있는 더 나은 솔루션이 당업계에 필요하다.
본 발명은 하나의 주요 양태에서 가스, 액체 및 폭발 과압과 원동력, 파편 침투 및 폭발 반사 압력에 대한 벽의 저항 및 안정성을 대피소가 유지하기 위해 대피소의 철근 콘크리트 벽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전기, 통신선, 에어컨, 수도(water)와 같은 다양한 시스템의 배관 및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할 수 있는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대피소(shelter)"는 포탄, 미사일, 공중 공격 등과 같은 재래식 무기에 대한 민방위를 위해 디자인된 지하 또는 지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부 대피소에는 생물학적 및 화학적 무기를 포함한 비 재래식 무기에 대한 보호를 위한 기반 시설이 있다. 대부분의 대피소는 존재하는 가장 강력한 물질 중 하나인 철근 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로 지어졌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대피소라는 용어는 또한 보호 공간, 청정실, 안전실, 보안 공간 및 주거 보안 공간이라는 용어를 포함하며, 이는 이후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벽(wall)"은 방의 주변 벽, 바닥 및 천장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주요 양태에서,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shelter)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대피소를 가스, 액체, 폭발 과압, 원동력에 대한 저항 및 폭발 반사 압력에 대해 밀봉하고 불투과성을 유지하는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주변에서 상기 대피소로 가스 파이프 라인, 수도 파이프 라인 및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벽을 통과하여 전송하기 위한 상기 대피소의 상기 벽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 개스킷; 상기 밀봉 개스킷은 가요성 물질로 제조되고, 평평한 바닥 베이스 및 변경 가능한 각도 경사에 상단 잘린 원추형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바닥 베이스 및 상기 상단 잘린 원추형 돌출부는 상기 파이프 라인과 와이어가 전송되는 홀을 갖는, 상기 밀봉 개스킷; 상기 밀봉 개스킷을 상기 파이프의 개구 및 상기 파이프를 둘러싸는 상기 대피소의 벽을 향해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플레이트(fastening plate); 및 상기 대피소 벽의 외측으로부터 안쪽으로 또는 그 반대로 삽입되고, 상기 파이프의 개구 위에 상기 밀봉 개스킷 및 고정 플레이트를 조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너트(nut)에 의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개구 위의 상기 밀봉 개스킷, 조임 플레이트 및 고정 나사에 의해 생성된 압력은 상기 파이프를 통해서만 내용물이 상기 대피소로 들어갈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대피소의 벽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지고, 상기 파이프 길이는 상기 대피소의 콘크리트 벽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대피소의 벽을 구성하기 위해 다른 강력한 물질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파이프는 가스 파이프 라인, 배수 파이프 라인, 수도 파이프 라인 및 와이어 파이프 라인 중 하나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전기 또는 통신 와이어 중 하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와이어가 단일 파이프 라인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대피소의 벽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서로에 대해 미리 결정된 근접도(proximity)로 하나 초과의 파이프를 모으기 위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를 위치시키기 위한 상기 홀을 포함한다. 프레임이 상기 대피소 벽의 입구 측에 위치될 수 있고, 추가 프레임이 상기 대피소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상기 대피소 벽의 출구 측에 위치될 수 있고, 각각의 파이프가 상기 대피소 벽 내에 배열된 전송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프레임에 전용 홀 관통하여 삽입된다. 일부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대피소 내에 에어컨 시스템 설치를 위한 4 개의 파이프를 위치시키기 위한 적어도 4 개의 홀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4 개의 파이프는 가스용 파이프 라인 2 개, 전선용 파이프 라인 1 개 및 배수용 파이프 라인 1 개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밀봉 개스킷 (132)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물질로 제조되며, 파이프 라인을 따라 개구가 있고 이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통과하는 배선 경로가 있으며, 상기 개스킷은 한쪽에서 잘린 변경 가능한 각도 경사를 갖고 다른 쪽에서 평평한 베이스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상기 개스킷은 양측에 변경 가능한 각도로 잘린 경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다른 전송 장치는, 상기 대피소의 철근 콘크리트 벽의 금속 봉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 전체의 내부 구조를 유지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전송 장치는, 상기 대피소 내의 다수의 시스템용 통신 및 전선의 설치를 위해 상기 대피소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의 내측에 배치된 출구 프레임에 의해 모여진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전송 장치는 다양한 파이프 라인의 전송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상기 대피소에 미리 설치된 스틸 베이스(steal base), 복수의 조임 나사에 의해 상기 스틸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대피소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의 내측에 위치된 각각의 파이프 라인의 통과를 위한 다수의 홀이 있는 출구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출구 프레임의 홀로부터 나오는 각각의 파이프 라인은 상기 조임 플레이트에 의해 더 조여지고 상기 너트로 잠긴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밀봉 개스킷으로 덮여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대피소를 가스, 액체, 폭발 과압, 원동력 저항 및 폭발 반사 압력에 대해 밀봉하고 불투과성으로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방법은 : (a) 주변에서 상기 대피소로 가스 파이프 라인, 수도 파이프 라인 및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해 벽을 통과하여 상기 대피소의 벽 콘크리트에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파이프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적어도 하나의 밀봉 개스킷을 조립하는 단계로서; 상기 밀봉 개스킷은 가요성 물질로 만들어지고, 평평한 바닥 베이스와 변경 가능한 각도 경사에 상단 잘린 원추형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바닥 베이스 및 상단 잘린 원추형 돌출부는 상기 파이프 라인과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홀을 갖는, 상기 조립하는 단계; (c) 상기 파이프의 개구 및 상기 파이프를 둘러싸는 상기 대피소의 벽을 향해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밀봉 개스킷 상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플레이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d)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를 상기 대피소 벽의 바깥 쪽에서 안쪽으로 또는 반대로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이프의 개구 위에 상기 밀봉 개스킷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조이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너트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개구 위의 상기 밀봉 개스킷, 조임 플레이트 및 고정 나사에 의해 생성된 압력은 상기 파이프를 통해서만 내용물이 상기 대피소로 들어갈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양태를 예시하는 예는 본 출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도면에 표시된 컴포넌트 및 피처의 치수는 일반적으로 편의성과 표현의 명확성을 위해 선택되며 반드시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는 않다. 제시된 많은 도면은 개략적인 예시의 형상이며, 따라서, 특정 엘리먼트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크게 단순화되거나 축척에 따라 그려지지 않을 수 있다. 도면은 생산 도면이 아니다.
도면 (도면들)은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등각 투상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top) 및 바닥(bottom)에서 본 고정 개스킷(fastening gasket)의 3 가지 옵션 변형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원동력, 파편 침투 및 폭발 반사 압력 및 가스, 액체 및 폭발 과압 불투과성을 유지할 수 있는 대피소에 설치하기 위한 에어컨(air condition) 파이프 라인, 전기 및 배수의 배선 전송을 위한 새로운 전송 장치의 예를 대피소 내부에서 본 개략적인 등각 투상도 예시이다.
도 2b는 도 2a의 에어컨 파이프 라인의 배선 전송을 위한 새로운 장치의 예의 대피소 외부에서 본 개략적인 등각 투상도 예시이다.
도 2c는 도 2a에 설명된 에어컨 파이프 라인, 배선 및 배수 전송을 위한 새로운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에어컨 파이프 라인, 전기 배선 및 배수를 위한 새로운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대피소의 벽 내에 위치된 도 2a의 에어컨 파이프 라인, 배선 및 배수의 성상(constellation)을 전송하기 위한 새로운 전송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a-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파이프 라인, 배선 및 배수의 성상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장치의 추가 예의 개략도이고, 도 5a는 둥근 형상의 입구 및 출구 프레임을 가진 장치를 도시한다; 도 5b는 직사각형 형상의 내부 및 외부 상자를 갖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5C는 직사각형 형상의 내부 및 외부 상자의 이중 세트를 갖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5d는 내부 및 외부 박스가 없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6a-6b는 다양한 시스템 및 기능의 와이어 및 파이프 라인을 대피소로 전송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송 장치의 두 가지 옵션 구현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6a는 다수의 시스템에 대한 통신 와이어 및 전기를 대피소에 설치하기에 적절한 장치를 설명한다; 도 6b는 대피소에 미리 설치된 스틸 베이스(steal base)에 설치하기에 적절한 전송 장치를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가스, 액체 및 폭발 과압 및 원동력, 파편 침투 및 폭발 반사 압력에 대한 불투과성 유지를 허용하는 대피소에 설치하기 위한 에어컨 파이프 라인의 배선, 배선 및 배수를 전송하는 새로운 장치의 다양한 양태가 설명될 것이다. 설명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구성 및 세부 사항이 제시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특징이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지만, 피처는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반대로, 본 출원에서 명확성을 위해 별도의 실시예의 맥락에서 본 개시가 설명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또한 단일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본 개시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되거나 실행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다른 실시예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설명 및 청구 범위에 제시된 설명, 예 및 자료는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전송 장치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전체를 유지함으로써 파편이 대피소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공한다. 와이어 및 파이프 라인을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파이프는 대피소 벽에 통합되고 콘크리트로 덮여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송 장치의 치수는 대피소의 철근 콘크리트 벽의 내부 구조를 생성하는 금속 봉(metal rod) 사이의 공간에 대한 표준에 의해 결정된 치수를 준수한다. 상기의 것 외에도, 각각의 파이프는 위험한 재래식 및 비 재래식 물질, 독성 가스, 액체 및 압력 및 원동력에 대한 폭발 및 폭발 반사 압력으로부터 대피소를 밀봉하고 보호하는 독점 개스킷(proprietary gasket)으로 밀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본 출원에 제공된 전송 장치는 대피소 벽/천장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직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이제 도면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 전송 장치 (10)의 개략적인 등각 투상도이다. 전송 장치 (1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원동력 및 폭발 반사 압력에 저항하고 가스, 액체 및 폭발 과압에 대피소를 밀폐 상태로 유지하면서 다양한 종류 및 다양한 용도의 파이프 라인 및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장치 (10)는 그것이 통합된 대피소 벽 없이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전송 장치 (10)는 대피소의 벽 또는 천장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장치 (10)는 파이프 라인 전송, 배선 및 수도관 전송에 사용될 수 있는 파이프 (120)를 포함한다. 파이프 (120)의 내부 개구는 대피소 내부 공간을 향하고 있으며 대피소를 밀봉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독점 밀봉 개스킷 (132)에 의해 덮여 있다. 밀봉 개스킷 (132)은 각각의 측면의 두 개의 강한 표면, 밀봉 개스킷 (132)을 향해 고정된 플레이트 (134) 및 파이프 (120)가 통합된 대피소의 벽에 의해 내부 개구에 추가로 조여지고, 적어도 하나 너트(131)에 의해 조여진 적어도 하나의 나사(screw) (130)에 의해 추가로 조여진다. 파이프 (120)의 길이는 대피소의 콘크리트 벽의 두께와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파이프 (120)의 외부 개구는 대피소 외부에 위치하며 또한 조임 플레이트 또는 외부 박스 (미도시)로 조여진 밀봉 개스킷 (132)으로 밀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종류의 물질로 만들어진 추가 층이 조임 플레이트 (134)와 밀봉 개스킷 (13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파이프 (120)는 대피소 벽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또는 임의의 다른 강한 물질로 덮여 있고, 이러한 금속 인프라 구조를 구성하는 벽에 강화 콘크리트 인프라 구조의 금속 망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강화 콘크리트의 내부 금속 망을 강제 절단하여 벽을 약화시키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다른 전송 장치와 달리 대피소 벽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제공된 장치는 대피소 벽 전체의 구조를 유지하도록 허용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의 와이어와 배관이 대피소에 삽입되어 있어도 원동력 및 폭발 반사 압력에 대한 안정성과 대피소의 가스, 액체 및 폭발 과압에 대한 불투과성이 방해 받지 않는다. 전송 장치 (10)의 사용은 대피소에 삽입될 시스템에 따라 하나 이상의 파이프를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에어컨 및 통신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및 바닥에서 본 밀봉 개스킷의 3 가지 옵션 변형의 개략도이다; 밀봉 개스킷은 대피소를 가스와 액체에 밀봉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개스킷 (132)은, 바람직하게는 그 중심에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지만 홀(1323)을 갖는 편평한 바닥 부분 (1321), 잘린(trimmed) 좁은 단부 및 홀 (1323)이 위에 있는 편평한 바닥 부분 상에 위치된 상단 잘린 원추형 돌출부(upper trimmed cone like protrusion) (1322)를 포함하고, 관통 홀 (1323) 파이프 라인과 배선이 전송되고 있다. 밀봉 개스킷 (132)은 바람직하게는 압력에 대한 높은 안정성을 가진 가요성 강한 물질로 구성된다. 밀봉 개스킷 (132)은 파이프의 일 단부 또는 파이프의 양 단부에 위치될 수 있고, 돌출부가 파이프를 향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조임 플레이트를 향하도록 상단 측에 양쪽 배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밀봉 개스킷은 베이스(base), 피라미드 형상, 구 형상 등에 연결된 두 개의 잘린 원뿔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다.
보다 상세하게는, 밀봉 개스킷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물질로 만들어지며, 삽입되어 통과하는 배선 경로와 파이프 라인을 따라 개구 (홀)이 있다. 개스킷 구조는 한쪽에서 변경 가능한 각도 (선형 없음)로 경사져 있고 다른 쪽에서는 평평하다. 대안적으로, 개스킷 구조는 양쪽에서 변경 가능한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개스킷의 끝 부분(tip)이 잘려서 통과할 수 있는 파이프 라인/배선의 단면을 기준으로 변경 가능한 평면을 만든다.
이 도면에서, 개스킷 (132A 및 132A')은 각각의 상부 및 바닥으로부터 하나의 옵션 구조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밀봉 개스킷 구조는 전체 밀봉 개스킷 (132B 및 132B')는 각각의 상부 및 바닥으로부터 서로 옵션 구조를 도시하며, 여기서 밀봉 개스킷은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폭발 과압 원동력의 압력 및 폭발 반사 압력에 대해 더 많은 유연성 및 효율적인 설치를 허용한다. 밀봉 개스킷 (132C 및 132C')은 각각의 상부 및 바닥 관점에서 하나의 추가 옵션 구조를 보여 주며, 여기서 개스킷은 원동력 폭발 과압 및 폭발 반사 압력에 대해 더 많은 가요성을 허용하고 효율적인 설치를 위해 균열이 발생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원동력 및 폭발 반사 압력에 저항하고, 가스, 액체 및 폭발 과압에 대한 불투과성의 유지를 허용하는 대피소에 설치하기 위한 에어컨 파이프 라인, 전기 등의 와이어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 장치 (100)의 하나의 옵션 예의 대피소 내부로부터 본 개략적인 등각 투상도 예시이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장치 (100)는 그것이 통합된 대피소 벽/천장없이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전송 장치 (100)는 도 1a의 장치 (10)의 여러 유닛으로 구성되며, 대피소의 벽 내에 전체적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장치의 위치는 도 4에 도시됨). 이 도면에 예시된 예에서, 전송 장치 (100)의 가장 외부 단부는 대피소 외부로부터 다양한 용도를 위한 다양한 파이프를 삽입할 수 있게 하는 대피소 벽의 외측에 위치된 입구 프레임(entry frame) (110)에 의해 정의된다. 입구 프레임 (110)은 그것을 통과하여 삽입되도록 디자인된 파이프에 적절한 치수의 적어도 홀을 포함한다. 전송 장치 (100)의 가장 내부 단부는 대피소 벽의 가장 안쪽 부분에 위치하는 출구 프레임(exit frame) (112)에 의해 정의되며, 대피소 내부 공간을 향하고 파이프가 대피소 내부 공간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출구 프레임 (112)은 대피소 내에 설치된 다양한 시스템의 파이프 라인과 와이어를 포함하는 파이프용 홀과 나사를 조이는 추가 홀을 포함한다. 이 도면에 예시된 특정 예에서, 전송 장치 (100)는 가스 파이프 라인 (120A 및 120B)을 위한 2 개의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전자 배선용 파이프 (122), 지면으로 향하는 에어컨 시스템 (126)의 배수용 파이프, 적어도 하나의 너트 (131)로 장치를 콘크리트 벽에 조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나사 (130), 및 이 도면에서 출구 프레임 (112)에 의해 덮여있고 도 2c에 도시된 고정 개스킷 및 조임 구개(tightening palate)와 같은 일부 추가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입구 프레임 (110)의 후면과 출구 프레임 (112)의 전면은 커버로 덮일 수 있다. 또는 대피소 공간으로 변하는 출구 프레임 (112)의 전면은 에어컨(air condition)로 덮일 수 있다. 전송 장치 (100)의 주요 장점 중 하나는 벽의 일체형 부분이 되고, 대피소 벽의 내부 구조를 방해하지 않으며, 추가적으로 위에서 언급한 각각의 파이프가 콘크리트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콘크리트 타설이 수행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전송 장치 (100)의 원동력, 폭발 반사 압력 및 파편 침투에 대한 안정성이 높다.
도 2b는 대피소 외부에서 본 전송 장치 (100)의 개략적인 등각 투상도이다. 이 도면에서 입구 프레임 (110)의 후면이 도시된다. 또한 가스 파이프 라인용 파이프 (120A 및 120B), 전기 배선용 파이프 (122) 및 지상으로 향하는 에어컨 시스템의 배수용 파이프 (126)을 포함하여, 기능적으로 다른 배관 및 와이어를 외부에서 대피소로 전송하는 것을 허용하는 입구 프레임 (110)과 출구 프레임 (112) 사이에 위치된 모든 파이프가 또한 도시된다.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대피소로 다른 시스템을 전송하기 위한 추가 파이프를 추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입구 및 출구 프레임의 파이프 및 홀 수는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해야 한다. 또한 이 도면에는 2 개의 조임 나사 (130)와 후방의 출구 프레임 (112)이 도시된다.
도 2c는 도 2a의 전송 장치 (100)의 분해도 예시이다. 구체적으로, 이 도면 입구 프레임 (110)에 예시된 예가 가스 파이프 라인용 2 개와 전선용 1 개의 3 개의 전용 홀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구 프레임 (110)은 파이프 라인 및 와이어가 대피소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후면은 대피소 주변으로 바뀌며 대피소 벽 안에 캐스트(cast)하는 것이 좋다. 가스 파이프 라인의 전송을 위한 파이프 (120A 및 120B), 와이어 전송을 위한 파이프 (122) 및 에어컨 시스템의 배수를 위한 파이프 (126)가 또한 도시된다. 이들 파이프는 입구 프레임 (110)을 출구 프레임 (112)과 연결한다. 또한, 고정 개스킷 (132)과 조임 플레이트 (134)를 출구 프레임 (112) 및 콘크리트 벽과 기능적으로 고정하는 2 개의 조임 나사 (130)가 도시된다. 슬리브 (126) 내에 위치하는 파이프 라인 (126') (미도시)은 에어컨의 배수에 사용되며 건물의 배수 시스템 또는 대피소가 설립된 구조물에 연결된다. 또한 이 도면에는 고정 개스킷 (132) 및 조임 플레이트 (134)를 출구 프레임 (112) 및 대피소의 강화된 콘크리트 벽에 고정하는 너트 (131)와 함께 기능적으로 구성된 조임 나사가 파이프를 위한 전용 홀이 있는 출구 상자 (112)가 도시된다. 고정 개스킷 (132)은 두 배향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도 1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가스, 액체 및 폭발 과압이 대피소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적으로 구성된다.
높은 안정성과 불투과성을 추가로 제공하기 위해, 조임 플레이트 (134)는 고정 개스킷 (132)을 추가로 덮고 가스, 액체 및 압력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추가 보호 층 및 원동력 및 폭발 반사 압력을 차단하기 위한 추가 강도를 생성한다.
도 3은 도 2a의 에어컨 파이프 라인 및 전기 배선을 위한 전송 장치 (100)의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출구 프레임 (112) 내의 개스킷 (132) 및 조임 플레이트 (134)의 위치 및 나사 (130) 및 너트 (131)에 의한 이들의 고정이 도시된다. 이 독특한 구조는 가스, 액체 및 폭발 과압에 대한 대피소 입구의 높은 밀봉을 허용한다. 또한 이 도면에는 가스 파이프 라인용 입구 프레임 (110) 및 파이프 (120A 및 120B)가 도시된다.
도 4는 대피소의 강화 콘크리트 벽 (500) 내에 위치된 도 2a의 전송 장치 (100)의 개략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 장치 (100)는 콘크리트 벽 내에 금속 망의 인프라 구조를 형성하는 수직 및 수평 금속 봉(metal rod) 사이에 위치된다. 콘크리트 벽 내부에 생성된 금속 망(metal net)은 대피소 벽에 높은 가요성과 원동력 및 폭발 반사 압력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하고 포격 중 파편의 침투 가능성을 추가로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금속 봉 사이의 거리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국가의 군사 표준에 따라 규제되고 결정된다. 전송 장치 (100)는 콘크리트 벽의 수직 및 수평 금속 봉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장치 (100)가 대피소 벽에 통합될 때 벽의 안정성이 유지된다.
도 5a-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파이프 라인의 배선 및 다른 통신, 전기 및 수도 시스템의 전송을 위한 전송 장치의 추가 변형의 개략도이다. 도 5a-5b는 둥근 형상의 입구 프레임 (210) 및 출구 프레임 (212)을 전송 장치(200)과 직사각형 형상의 입구 프레임 (310) 및 출구 프레임 (312)을 갖는 전송 장치 (300)를 도시한다. 다른 모든 컴포넌트는 가스 파이프 라인용 파이프 (120A 및 120B), 전자 배선용 파이프 (122), 에어컨 시스템 배수용 파이프 (126), 조임 나사 (130) 및 너트 (131), 고정 개스킷 132 (미도시) 및 출구 프레임 (212) 형상과 유사한 둥근 형상의 조임 플레이트 (234), 출구 프레임 (312)의 형상과 유사한 둥근 형상인 조임 플레이트 (334) 를 포함하여 도 2a에 도시된 컴포넌트와 유사하다.
도 5c는 직사각형 형상의 입구 프레임 (410A 및 410B) 및 출구 프레임 (412A 및 412B)의 이중 세트를 갖는 전송 장치 (400)를 도시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가스 파이프 라인용 파이프 (420A 및 420B)는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분리된 프레임에 위치한다. 전자 배선용 배관 (422)도 정사각형이고, 둥근 형상의 에어컨 시스템 배수용 배관 (126)은 도 2a에 도시된 나사 (130)와 반대 방향에 위치되고 대피소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삽입된다. 조임 플레이트 (434)는 밀봉이 높도록 출구 프레임 (412A 및 412B)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도 5d는 입구 프레임 및 출구 프레임을 포함하지 않는 도 2a의 전송 장치 (100)의 추가적인 변형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파이프는 모두 콘크리트 벽의 금속 망 내부에 위치되며 내부에서 대피소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조임 나사 (130)와 너트(131)에 의해 추가로 고정될 수 있는 개스킷 (132) 및 조임 플레이트 (334)에 연결된다.
도 6a-6b는 다양한 시스템 및 기능의 와이어 및 파이프 라인을 전송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송 장치의 두 가지 옵션 구현의 개략도이다.
도 6a는 대피소 내의 다수의 시스템을 위한 통신 및 와이어의 설치에 적절한 파이프 다발 (120)을 포함하는 전송 장치(600)를 도시한다. 다수의 파이프 (120)는 대피소 벽의 가장 안쪽 부분에 위치되고 대피소 내부 공간을 향하는 출구 프레임 (612)을 통해 삽입되고 파이프 (612)를 통해 대피소 내부 공간으로 와이어의 전송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출구 프레임 (112)은 정확한 치수 및 위치에 있는 모든 파이프 (612)를 위한 홀을 포함한다. 파이프가 있는 각각의 홀은 조임 플레이트 (634)에 의해 추가로 조여지고 너트 (131)로 장치를 콘크리트 벽에 조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나사 (130)에 의해 콘크리트 벽 및 출구 프레임 (612)에 고정되는 밀봉 개스킷 (632)으로 조립된다.
도 6b는 대피소에 미리 설치된 스틸 베이스 (710)를 포함하는 전송 장치 (700)를 도시한다. 모든 파이프 라인과 와이어는 스틸 베이스 (710)를 통해 전송되고 복수의 나사 (130)에 의해 스틸 베이스 (710)에 고정된 출구 프레임 (712)을 통해 대피소로 빠져 나간다. 이 특정 예에서, 출구 프레임 (712)은 전술한 이전 도면 1a-6b에서와 같이 콘크리트가 아닌 스틸 물질 위에 설치된다. 출구 프레임 (712)의 홀로부터 빠져 나가는 각각의 파이프는 조임 플레이트 (734)에 의해 더 조여지고 너트 (131)로 잠금된 나사 (130)에 의해 고정되는 밀봉 개스킷 (732)으로 덮여있다.
본 발명은 또한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대피소를 가스, 액체, 폭발 과압, 원동력 저항 및 폭발 반사 압력에 대해 밀봉하고 불투과성으로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 (a) 주변에서 상기 대피소로 가스 파이프 라인, 수도 파이프 라인 및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해 벽을 통과하여 상기 대피소의 벽 콘크리트에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파이프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적어도 하나의 밀봉 개스킷을 조립하는 단계로서; 상기 밀봉 개스킷은 가요성 물질로 만들어지고, 평평한 바닥 베이스와 변경 가능한 각도 경사에 상단 잘린 원추형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바닥 베이스 및 상단 잘린 원추형 돌출부는 상기 파이프 라인과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홀을 갖는, 상기 조립하는 단계; (c) 상기 파이프의 개구 및 상기 파이프를 둘러싸는 상기 대피소의 벽을 향해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밀봉 개스킷 상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플레이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d)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를 상기 대피소 벽의 바깥 쪽에서 안쪽으로 또는 반대로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이프의 개구 위에 상기 밀봉 개스킷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조이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너트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개구 위의 상기 밀봉 개스킷, 조임 플레이트 및 고정 나사에 의해 생성된 압력은 상기 파이프를 통해서만 내용물이 상기 대피소로 들어갈 수 있게 한다.
이 방법은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데 적합하고, 상기 대피소의 벽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 길이는 상기 대피소의 콘크리트 벽 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이프는 가스 파이프 라인, 배수 파이프 라인, 수도 파이프 라인 및 와이어 파이프 라인 중 하나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대피소의 벽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서로 미리 정해진 근접도로 하나의 초과의 파이프를 모으기 위해 그것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를 위치시키기 위한 홀을 포함한다. 프레임이 상기 대피소 벽의 입구 측에 위치될 수 있고 추가 프레임이 상기 대피소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상기 대피소 벽의 출구 측에 위치될 수 있고, 각각의 파이프는 상기 대피소의 벽 내에 배열된 전송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프레임의 전용 홀을 통해 삽입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대피소 내에 에어컨 시스템 설치를 위한 4 개의 파이프를 배치하기 위한 적어도 4 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4 개의 파이프는 가스용 파이프 라인 2 개, 전선용 파이프 라인 1 개 및 배수용 파이프 라인 1 개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적어도 하나의 밀봉 개스킷, 적어도 하나의 고정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 및 적어도 하나의 너트가 상기 대피소의 철근 콘크리트 벽의 상기 금속 봉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 전체의 내부 구조를 유지한다.
옵션으로, 상기 개스킷은 양쪽에서 변경 가능한 각도로 잘린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추가 변형예에서, 복수의 파이프가 상기 대피소 내의 다수의 시스템에 대한 통신 및 전선 설치를 위한 상기 대피소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의 내측에 위치하는 출구 프레임에 의해 모이고 있다.
추가로, 상기 설명된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 방법은 :
(e) 다양한 파이프 라인을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대피소 벽에 스틸 베이스(steal base)를 사전 설치하는 단계; (f) 복수의 조임 나사로 상기 스틸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대피소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의 내측에 위치된 각각의 파이프 라인의 통과를 위한 다수의 홀이 있는 출구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구 프레임의 홀로부터 나오는 각각의 파이프 라인은 상기 조임 플레이트에 의해 더 조여지고 상기 너트로 잠긴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밀봉 개스킷으로 덮여 있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의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서만 제공된다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읽은 후 당업자는 첨부된 도면 및 본 발명에 의해 여전히 커버될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대한 조정 또는 수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Claims (24)

  1. 파이프 라인(pipline) 및/또는 와이어(wire)를 대피소(shelter)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대피소를 가스, 액체, 폭발 과압(blast over pressure), 원동력(motive force)에 대한 저항 및 폭발 반사 압력에 대해 밀봉하고 불투과성을 유지하는 전송 장치에 있어서,
    a. 주변에서 상기 대피소로 가스 파이프 라인, 수도 파이프 라인 및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벽을 통과하여 전송하기 위한 상기 대피소의 상기 벽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b. 상기 파이프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opening)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 개스킷(sealing gasket); 상기 밀봉 개스킷은 가요성 물질로 제조되고, 평평한 바닥 베이스(base) 및 변경 가능한 각도 경사에 상단 잘린 원추형 돌출부(uppper trimmed cone like protrusion)를 가지며, 상기 바닥 베이스 및 상기 상단 잘린 원추형 돌출부는 상기 파이프 라인과 와이어가 전송되는 홀(hole)을 갖는, 상기 밀봉 개스킷;
    c. 상기 밀봉 개스킷을 상기 파이프의 개구 및 상기 파이프를 둘러싸는 상기 대피소의 벽을 향해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플레이트(fastening plate); 및
    d. 상기 대피소 벽의 외측으로부터 안쪽으로 또는 그 반대로 삽입되고, 상기 파이프의 개구 위에 상기 밀봉 개스킷 및 고정 플레이트를 조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너트(nut)에 의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fastening screw)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개구 위의 상기 밀봉 개스킷, 조임 플레이트(tightening plate) 및 고정 나사에 의해 생성된 압력은 상기 파이프를 통해서만 내용물이 상기 대피소로 들어갈 수 있게 하는,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소의 벽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지고, 상기 파이프 길이는 상기 대피소의 콘크리트 벽 두께에 따라 결정되는, 전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가스 파이프 라인, 배수 파이프 라인, 수도 파이프 라인 및 와이어 파이프 라인 중 하나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전기 또는 통신 와이어 중 하나인, 전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소의 벽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서로에 대해 미리 결정된 근접도(proximity)로 하나 초과의 파이프를 모으기 위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를 위치시키기 위한 홀을 포함하는, 전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소 벽의 입구 측에 위치된 프레임 및 상기 대피소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상기 대피소 벽의 출구 측에 위치된 추가 프레임을 포함하여, 각각의 파이프가 상기 대피소 벽 내에 배열된 전송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프레임에 전용 홀 관통하여 삽입되는, 전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대피소 내에 에어컨 시스템 설치를 위한 4 개의 파이프를 위치시키기 위한 적어도 4 개의 홀을 포함하는, 전송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4 개의 파이프는 가스용 파이프 라인 2 개, 전선(electricity wire)용 파이프 라인 1 개 및 배수용 파이프 라인 1 개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양측에 변경 가능한 각도로 잘린 경사(trimmed slope)를 갖는, 전송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대피소의 철근 콘크리트 벽의 금속 봉(metal rod)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 전체의 내부 구조를 유지하는, 전송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소 내의 다수의 시스템용 통신 및 전선의 설치를 위해 상기 대피소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의 내측에 배치된 출구 프레임에 의해 모여진 복수의 파이프를 포함하는, 전송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양한 파이프 라인의 전송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대피소에 미리 설치된 스틸 베이스(steal base), 복수의 조임 나사에 의해 상기 스틸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대피소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의 내측에 위치된 각각의 파이프 라인의 통과를 위한 다수의 홀이 있는 출구 프레임을 포함하고, 출구 프레임의 상기 홀로부터 나오는 각각의 파이프 라인은 상기 조임 플레이트에 의해 더 조여지고 상기 너트로 잠긴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밀봉 개스킷으로 덮여 있는, 전송 장치.
  13.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대피소를 가스, 액체, 폭발 과압, 원동력 저항 및 폭발 반사 압력에 대해 밀봉하고 불투과성으로 유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주변에서 상기 대피소로 가스 파이프 라인, 수도 파이프 라인 및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해 벽을 통과하여 상기 대피소의 벽 콘크리트에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파이프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적어도 하나의 밀봉 개스킷을 조립하는 단계로서; 상기 밀봉 개스킷은 가요성 물질로 만들어지고, 평평한 바닥 베이스와 변경 가능한 각도 경사에 상단 잘린 원추형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바닥 베이스 및 상단 잘린 원추형 돌출부는 상기 파이프 라인과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는 홀을 갖는, 상기 조립하는 단계;
    c. 상기 파이프의 개구 및 상기 파이프를 둘러싸는 상기 대피소의 벽을 향해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밀봉 개스킷 상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 플레이트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d.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를 상기 대피소 벽의 바깥 쪽에서 안쪽으로 또는 반대로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이프의 개구 위에 상기 밀봉 개스킷과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조이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너트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및
    상기 파이프 개구 위의 상기 밀봉 개스킷, 조임 플레이트 및 고정 나사에 의해 생성된 압력은 상기 파이프를 통해서만 내용물이 상기 대피소로 들어갈 수 있게 하는,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소의 벽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파이프 길이는 상기 대피소의 콘크리트 벽 두께에 따라 결정되는,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가스 파이프 라인, 배수 파이프 라인, 수도 파이프 라인 및 와이어 파이프 라인 중 하나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전기 또는 통신 와이어 중 하나인,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소의 벽에 통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서로 미리 정해진 근접도로 하나의 초과의 파이프를 모으기 위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를 위치시키기 위한 홀을 포함하는,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소 벽의 입구 측에 위치된 프레임 및 상기 대피소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상기 대피소 벽의 출구 측에 위치된 추가 프레임을 포함하여, 각각의 파이프는 상기 대피소의 벽 내에 배열된 전송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프레임의 전용 홀을 통해 삽입되는,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대피소 내에 에어컨 시스템 설치를 위한 4 개의 파이프를 배치하기 위한 적어도 4 개의 홀을 포함하는,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4 개의 파이프는 가스용 파이프 라인 2 개, 전선용 파이프 라인 1 개 및 배수용 파이프 라인 1 개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 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양측에 변경 가능한 각도로 잘린 경사를 갖는,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 방법.
  22. 제 13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파이프, 적어도 하나의 밀봉 개스킷, 적어도 하나의 고정 플레이트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 및 적어도 하나의 너트가 상기 대피소의 철근 콘크리트 벽의 상기 금속 봉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 전체의 내부 구조를 유지하는,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 방법.
  23. 제 13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파이프가 상기 대피소 내의 다수의 시스템에 대한 통신 및 전선 설치를 위한 상기 대피소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의 내측에 위치하는 출구 프레임에 의해 모여지는,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 방법.
  24. 제 13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다양한 파이프 라인을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대피소 벽에 스틸 베이스(steal base)를 사전 설치하는 단계;
    b. 복수의 조임 나사로 상기 스틸 베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대피소의 내부 공간을 향하여 상기 철근 콘크리트 벽의 내측에 위치된 각각의 파이프 라인의 통과를 위한 다수의 홀이 있는 출구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구 프레임의 홀로부터 나오는 각각의 파이프 라인은 상기 조임 플레이트에 의해 더 조여지고 상기 너트로 잠긴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밀봉 개스킷으로 덮여 있는, 파이프 라인 및/또는 와이어를 대피소로 전송하는 방법.
KR1020217006294A 2018-08-01 2019-07-10 주거 보안 공간으로 파이프 라인 및 전기 배선 삽입을 위한 전송 장치 KR102570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260942 2018-08-01
IL260942A IL260942B (en) 2018-08-01 2018-08-01 A passageway facility for inserting pipes and electrical wires into protected rooms
PCT/IL2019/050769 WO2020026224A1 (en) 2018-08-01 2019-07-10 Transferring appartus for pipeline and electricity wiring insertion into residential secured spa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588A true KR20210041588A (ko) 2021-04-15
KR102570302B1 KR102570302B1 (ko) 2023-08-24

Family

ID=66624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294A KR102570302B1 (ko) 2018-08-01 2019-07-10 주거 보안 공간으로 파이프 라인 및 전기 배선 삽입을 위한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041046A1 (ko)
EP (1) EP3830362A4 (ko)
JP (1) JP7228293B2 (ko)
KR (1) KR102570302B1 (ko)
IL (1) IL260942B (ko)
SG (1) SG11202100553TA (ko)
WO (1) WO20200262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3001B (zh) * 2019-06-20 2023-12-22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预埋槽钢的施工方法及其结构
US11505953B1 (en) * 2020-04-30 2022-11-22 Concrete Voids LLC Concrete beam conduit guide
NL2026666B1 (en) * 2020-10-13 2022-06-08 Conduct Technical Solutions B V Photovoltaic string feed-through unit and associated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5499A (en) * 1992-01-17 1996-04-09 Wallbank; Graham T. Pipe coupling
US6394464B1 (en) * 1999-03-02 2002-05-28 Connecteurs Electriques Deutsch Sealed passage device
KR200362351Y1 (ko) * 2004-06-18 2004-09-16 김대식 건축용 배관 파이프의 지지장치
JP2009520458A (ja) * 2005-12-21 2009-05-21 ロックステック アクティエボラーグ 挿嵌されたケーブル、導管又はパイプを密封する装置
JP2018007836A (ja) * 2016-07-13 2018-01-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区画貫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51063A (en) * 1947-12-20 1951-03-07 Standard Oil Dev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uid-tight mountings for pipes
US4086736A (en) * 1976-12-16 1978-05-02 Daniel International Corporation Fire and liquid seals for pipes and conduits and method of forming same
AT384692B (de) * 1983-05-20 1987-12-28 Werner Hauff Durchfuehrung fuer leitungen, wie kabel, rohre oder dergleichen durch eine wandoeffnung und vorrichtung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durchfuehrung in einer betonwand
DE3916752A1 (de) * 1989-05-23 1990-11-29 Kabelmetal Electro Gmbh Wanddurchfuehrung
JP2599184Y2 (ja) * 1990-12-20 1999-08-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ケーブル取出し構造
US6180882B1 (en) * 1999-01-19 2001-01-30 Thomas & Betts, International Single and dual cable seal system
US6957817B2 (en) * 2002-10-29 2005-10-25 Mar Don Corporation Seal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seal
JP3097068U (ja) 2003-04-10 2004-01-15 東京電力株式会社 防水ソケット
DE10323159A1 (de) * 2003-05-22 2004-12-23 Gk-System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bdichtung in Durchbrüchen mit einer elektromagnetischen Abschirmung
NL1023688C2 (nl) * 2003-06-18 2004-12-21 Beele Eng Bv Systeem voor het afdichten van een ruimte tussen een binnenwand van een buisvormige opening en tenminste een althans voor een deel in de opening opgenomen buis of leiding waarvan de as in hoofdzaak evenwijdig is aan de as van de opening.
US7705240B2 (en) * 2005-10-27 2010-04-27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Cord seal for swimming pool and spa light niches
ES2394649T3 (es) 2006-03-20 2013-02-04 Beele Engineering B.V. Sistema para sellar dinámicamente un manguito de canalización a través del cual se extiende un tubo o cable
DE602006008612D1 (de) * 2006-08-25 2009-10-01 Beele Eng Bv System zum dynamischen Abdichten zumindest eines Kanals, durch den sich ein Rohr oder ein Kabel erstreckt
ITGE20080004A1 (it) 2008-01-16 2009-07-17 Ultraflex Spa Elemento di guida per l'attraversamento di una parete di tubi, cavi o simili.
JP5556653B2 (ja) 2010-12-28 2014-07-23 忠政 山口 配線配管貫通構造
NL2010304C2 (en) * 2013-02-14 2014-08-18 Beele Eng Bv System for sealingly holding cables which extend through an opening.
KR102196488B1 (ko) * 2018-04-17 2020-12-29 강원구 배관고정장치
EP3654475A1 (en) * 2018-11-17 2020-05-20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sealing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5499A (en) * 1992-01-17 1996-04-09 Wallbank; Graham T. Pipe coupling
US6394464B1 (en) * 1999-03-02 2002-05-28 Connecteurs Electriques Deutsch Sealed passage device
KR200362351Y1 (ko) * 2004-06-18 2004-09-16 김대식 건축용 배관 파이프의 지지장치
JP2009520458A (ja) * 2005-12-21 2009-05-21 ロックステック アクティエボラーグ 挿嵌されたケーブル、導管又はパイプを密封する装置
JP2018007836A (ja) * 2016-07-13 2018-01-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区画貫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02589A (ja) 2022-01-11
SG11202100553TA (en) 2021-02-25
IL260942B (en) 2019-09-26
EP3830362A4 (en) 2022-04-27
WO2020026224A1 (en) 2020-02-06
US20200041046A1 (en) 2020-02-06
JP7228293B2 (ja) 2023-02-24
IL260942A (en) 2018-11-29
KR102570302B1 (ko) 2023-08-24
EP3830362A1 (en) 202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0302B1 (ko) 주거 보안 공간으로 파이프 라인 및 전기 배선 삽입을 위한 전송 장치
AU630174B2 (en)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fire, water or (flue) gas and the like from propagating along cables
WO2010022044A2 (en) Blast and ballistic protection system
WO2004111513A1 (en) System for sealing a space between a tubular opening and a tube
RU2000105810A (ru) Огнезащитное ограждение.
JP3974582B2 (ja) 破断可能な保護部を具備するケーブル挿入等のための構造
KR101923628B1 (ko)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US20060080897A1 (en) Modular structure resistant to forced entry and ballistic penetration
JP5556653B2 (ja) 配線配管貫通構造
KR101683426B1 (ko) 결로방지 및 수충격흡수가 가능한 밸브실
JP7252849B2 (ja) 導波管アンテナによる通信システム
EP1469144B1 (en) Ballistic shelter
US20160376803A1 (en) Ballistic and fire protection enclosures
KR101575719B1 (ko) 선박의 배관설비 보호장치
JP2001227200A (ja) 水素ガスボンベ建屋
WO2017217615A1 (ko) 진동방지형 지주 구조체
US20170058512A1 (en) Modular protection system for critical assets and infrastructure
KR101762716B1 (ko) 거주구 방화 구조 및 거주구 모듈
US4751874A (en) Blast wave choke
KR102100482B1 (ko) 전선용 가스차단접속관
KR20160001413U (ko) 파이프를 감는 열선의 격벽 관통 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EP1385245A1 (en) Self-supporting cable duct
ES2835998T3 (es) Estructura de una instalación para desminado, investigación y prueba de un artefacto explosivo
US11955789B2 (en) Supply unit for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and burglarproof rooms
CN113802458B (zh) 一种兼具防火防潮防盗功能的桥梁钢索防护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